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46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그 해결방안 2017. 9. 20 환경정의연구소 김미선

Upload: others

Post on 14-Oct-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그 해결방안

2017 9 20

환경정의연구소

김미선

발 표 순 서

1 녹조 발생 현황 및 문제점

2 녹조관리 현황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4 시사점 및 제언

1 녹조 발생 현황 및 문제점

bull 2012년 이후 녹조는 매년 7~8월에 주요한 사회적 관심사가 됨

bull 낙동강은 문제가 매년 반복 한강은 12년과 15년에 문제가 됨

bull 주로 여름철에 대두되었던 녹조 문제가 최근엔 연중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이후 4대강에서 유해녹조 대량 발생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최동진 2017)

최근 녹조 문제

4

최근 녹조 문제

새로운 정부 이후 4대강 녹조 개선 조치로 보 개방

bull 개선 효과는 아직 확인하기 어려움

bull 새로운 논란 가중

5

남조류세포수(cells)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7-0

1-0

2

2017-0

1-0

9

2017-0

1-1

6

2017-0

1-2

3

2017-0

1-3

1

2017-0

2-0

6

2017-0

2-1

3

2017-0

2-2

0

2017-0

2-2

7

2017-0

3-0

6

2017-0

3-1

3

2017-0

3-2

0

2017-0

3-2

7

2017-0

4-0

3

2017-0

4-1

0

2017-0

4-1

7

2017-0

4-2

4

2017-0

5-0

2

2017-0

5-0

8

20170

51

5

20170

52

2

20170

52

9

20170

60

5

20170

61

2

20170

61

9

20170

62

6

20170

70

3

20170

71

0

20170

71

7

20170

72

4

20170

73

1

20170

80

7

20170

81

4

20170

82

1

20170

82

8

2017년 보령호 녹조발생 데이터

최근 녹조 문제

기후변화로 인한 물관리 어려움

bull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녹조발생지역 증가

bull 도수로를 통한 물이동으로 녹조 이동

6

최근 녹조 문제

녹조 피해에 대한 새로운 라운드 시작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bull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

bull 정확한 정보접근이 어려워 막연한 공포심 증가

VS

7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발 표 순 서

1 녹조 발생 현황 및 문제점

2 녹조관리 현황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4 시사점 및 제언

1 녹조 발생 현황 및 문제점

bull 2012년 이후 녹조는 매년 7~8월에 주요한 사회적 관심사가 됨

bull 낙동강은 문제가 매년 반복 한강은 12년과 15년에 문제가 됨

bull 주로 여름철에 대두되었던 녹조 문제가 최근엔 연중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이후 4대강에서 유해녹조 대량 발생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최동진 2017)

최근 녹조 문제

4

최근 녹조 문제

새로운 정부 이후 4대강 녹조 개선 조치로 보 개방

bull 개선 효과는 아직 확인하기 어려움

bull 새로운 논란 가중

5

남조류세포수(cells)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7-0

1-0

2

2017-0

1-0

9

2017-0

1-1

6

2017-0

1-2

3

2017-0

1-3

1

2017-0

2-0

6

2017-0

2-1

3

2017-0

2-2

0

2017-0

2-2

7

2017-0

3-0

6

2017-0

3-1

3

2017-0

3-2

0

2017-0

3-2

7

2017-0

4-0

3

2017-0

4-1

0

2017-0

4-1

7

2017-0

4-2

4

2017-0

5-0

2

2017-0

5-0

8

20170

51

5

20170

52

2

20170

52

9

20170

60

5

20170

61

2

20170

61

9

20170

62

6

20170

70

3

20170

71

0

20170

71

7

20170

72

4

20170

73

1

20170

80

7

20170

81

4

20170

82

1

20170

82

8

2017년 보령호 녹조발생 데이터

최근 녹조 문제

기후변화로 인한 물관리 어려움

bull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녹조발생지역 증가

bull 도수로를 통한 물이동으로 녹조 이동

6

최근 녹조 문제

녹조 피해에 대한 새로운 라운드 시작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bull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

bull 정확한 정보접근이 어려워 막연한 공포심 증가

VS

7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1 녹조 발생 현황 및 문제점

bull 2012년 이후 녹조는 매년 7~8월에 주요한 사회적 관심사가 됨

bull 낙동강은 문제가 매년 반복 한강은 12년과 15년에 문제가 됨

bull 주로 여름철에 대두되었던 녹조 문제가 최근엔 연중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이후 4대강에서 유해녹조 대량 발생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최동진 2017)

최근 녹조 문제

4

최근 녹조 문제

새로운 정부 이후 4대강 녹조 개선 조치로 보 개방

bull 개선 효과는 아직 확인하기 어려움

bull 새로운 논란 가중

5

남조류세포수(cells)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7-0

1-0

2

2017-0

1-0

9

2017-0

1-1

6

2017-0

1-2

3

2017-0

1-3

1

2017-0

2-0

6

2017-0

2-1

3

2017-0

2-2

0

2017-0

2-2

7

2017-0

3-0

6

2017-0

3-1

3

2017-0

3-2

0

2017-0

3-2

7

2017-0

4-0

3

2017-0

4-1

0

2017-0

4-1

7

2017-0

4-2

4

2017-0

5-0

2

2017-0

5-0

8

20170

51

5

20170

52

2

20170

52

9

20170

60

5

20170

61

2

20170

61

9

20170

62

6

20170

70

3

20170

71

0

20170

71

7

20170

72

4

20170

73

1

20170

80

7

20170

81

4

20170

82

1

20170

82

8

2017년 보령호 녹조발생 데이터

최근 녹조 문제

기후변화로 인한 물관리 어려움

bull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녹조발생지역 증가

bull 도수로를 통한 물이동으로 녹조 이동

6

최근 녹조 문제

녹조 피해에 대한 새로운 라운드 시작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bull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

bull 정확한 정보접근이 어려워 막연한 공포심 증가

VS

7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2012년 이후 녹조는 매년 7~8월에 주요한 사회적 관심사가 됨

bull 낙동강은 문제가 매년 반복 한강은 12년과 15년에 문제가 됨

bull 주로 여름철에 대두되었던 녹조 문제가 최근엔 연중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이후 4대강에서 유해녹조 대량 발생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최동진 2017)

최근 녹조 문제

4

최근 녹조 문제

새로운 정부 이후 4대강 녹조 개선 조치로 보 개방

bull 개선 효과는 아직 확인하기 어려움

bull 새로운 논란 가중

5

남조류세포수(cells)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7-0

1-0

2

2017-0

1-0

9

2017-0

1-1

6

2017-0

1-2

3

2017-0

1-3

1

2017-0

2-0

6

2017-0

2-1

3

2017-0

2-2

0

2017-0

2-2

7

2017-0

3-0

6

2017-0

3-1

3

2017-0

3-2

0

2017-0

3-2

7

2017-0

4-0

3

2017-0

4-1

0

2017-0

4-1

7

2017-0

4-2

4

2017-0

5-0

2

2017-0

5-0

8

20170

51

5

20170

52

2

20170

52

9

20170

60

5

20170

61

2

20170

61

9

20170

62

6

20170

70

3

20170

71

0

20170

71

7

20170

72

4

20170

73

1

20170

80

7

20170

81

4

20170

82

1

20170

82

8

2017년 보령호 녹조발생 데이터

최근 녹조 문제

기후변화로 인한 물관리 어려움

bull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녹조발생지역 증가

bull 도수로를 통한 물이동으로 녹조 이동

6

최근 녹조 문제

녹조 피해에 대한 새로운 라운드 시작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bull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

bull 정확한 정보접근이 어려워 막연한 공포심 증가

VS

7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5: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최근 녹조 문제

새로운 정부 이후 4대강 녹조 개선 조치로 보 개방

bull 개선 효과는 아직 확인하기 어려움

bull 새로운 논란 가중

5

남조류세포수(cells)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7-0

1-0

2

2017-0

1-0

9

2017-0

1-1

6

2017-0

1-2

3

2017-0

1-3

1

2017-0

2-0

6

2017-0

2-1

3

2017-0

2-2

0

2017-0

2-2

7

2017-0

3-0

6

2017-0

3-1

3

2017-0

3-2

0

2017-0

3-2

7

2017-0

4-0

3

2017-0

4-1

0

2017-0

4-1

7

2017-0

4-2

4

2017-0

5-0

2

2017-0

5-0

8

20170

51

5

20170

52

2

20170

52

9

20170

60

5

20170

61

2

20170

61

9

20170

62

6

20170

70

3

20170

71

0

20170

71

7

20170

72

4

20170

73

1

20170

80

7

20170

81

4

20170

82

1

20170

82

8

2017년 보령호 녹조발생 데이터

최근 녹조 문제

기후변화로 인한 물관리 어려움

bull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녹조발생지역 증가

bull 도수로를 통한 물이동으로 녹조 이동

6

최근 녹조 문제

녹조 피해에 대한 새로운 라운드 시작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bull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

bull 정확한 정보접근이 어려워 막연한 공포심 증가

VS

7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6: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남조류세포수(cells)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7-0

1-0

2

2017-0

1-0

9

2017-0

1-1

6

2017-0

1-2

3

2017-0

1-3

1

2017-0

2-0

6

2017-0

2-1

3

2017-0

2-2

0

2017-0

2-2

7

2017-0

3-0

6

2017-0

3-1

3

2017-0

3-2

0

2017-0

3-2

7

2017-0

4-0

3

2017-0

4-1

0

2017-0

4-1

7

2017-0

4-2

4

2017-0

5-0

2

2017-0

5-0

8

20170

51

5

20170

52

2

20170

52

9

20170

60

5

20170

61

2

20170

61

9

20170

62

6

20170

70

3

20170

71

0

20170

71

7

20170

72

4

20170

73

1

20170

80

7

20170

81

4

20170

82

1

20170

82

8

2017년 보령호 녹조발생 데이터

최근 녹조 문제

기후변화로 인한 물관리 어려움

bull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녹조발생지역 증가

bull 도수로를 통한 물이동으로 녹조 이동

6

최근 녹조 문제

녹조 피해에 대한 새로운 라운드 시작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bull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

bull 정확한 정보접근이 어려워 막연한 공포심 증가

VS

7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7: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최근 녹조 문제

녹조 피해에 대한 새로운 라운드 시작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bull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

bull 정확한 정보접근이 어려워 막연한 공포심 증가

VS

7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8: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에 마이크로시스티스 검출(부산보건환경연구원)

bull 7월 19일 386000cellℓ검출 WHO 기준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예상

- 담수에서 1mL당 8688개 검출시 마이크로시스틴 농도 02μg1ℓ

bull 사하구청 부서간 불통 행정으로 피서객은 위험에 노출

- 해수욕장관리부서는 총무과 갯벌체험장 관리는 환경위생과 관리

- 해수욕 금지된 5일 동안 갯벌체험장은 그대로 운영

최근 녹조 문제

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우려 증가

8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9: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9

낙동강수련원

bull 설립년도 2014년

bull 설립 이후 이용자 수 연간 약 30000명

bull 주요 이용자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학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생수련 활동

수련원 참가는 1학년 학생 전체이나 1일차 오후 프로그램으로 수상(30) 자전거(20) 산행(30) 동아리

(20)으로 구성되어 참가학생의 30만 수상활동에 참여

최근 녹조 문제

낙동강의 수변활동 시설 및 활용 인구 규모

2017년 8월~9월 20일 현재까지 정보공개 청구 결과(환경정의)

달성군 레포츠밸리 수상계류장

bull 설립년도 2017년 4월 1일

bull 이용객 수 2360명(조사기간 2017년 41 ~ 725)

고령 부례 관광지 계류장

bull 준공 2016년 12월

bull 정식개장 전 미비점을 보완중

bull 현재 관광지 내 계류장은 수자원공사의 물관리용 선착장으로만 이용 민간인 이용실적 없음

bull 녹조발생과 관계없이 수변활동은 계속되고 있음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0: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대부분의 조류는 인간 동물에 건강상 위해를 가할 만큼 고농도 독성을 갖지 않음

bull 그러나 남조류는 대량 발생시 독성을 갖게 되며 가벼운 바람에도 부유하여 강변 호숫가에 축적

bull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이 죽는 사례 발생 수생생물에 축적

bull 남조류의 독소는 간독성(마이크로시스틴) 신경독성 세포독소 등으로 생물에 악영향을 끼침

bull 해외에서는 주로 녹조가 발생한 물을 마신 가축 야생동물 애완동물 피해가 큼

bull 인간은 음용 친수활동 혈액투성에 의해 독성 노출

간독성

- 치사량 섭취시 급성 간손상 유발 몇시간 또는 며칠 이내에 사망도 가능

-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 특징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장기간 또는 지속적 친수활동으로 독성에

누적 노출되고 그로 인해 급성 간손상에 이를 확률이 높아짐

- 간손상 외에 암유발 독성인자로도 보고되고 있음

신경독소

3가지 신경독소가 있으며 질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

현재까지 신경독소 노출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지만 급사도 유발 가능

주로 경련 떨림 설사 구토 유발

인간보다는 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에게 더욱 위험한 편

세포독소 신장 및 간부전 증상 유발

자료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 2014 KEI

유해녹조의 독소로 인한 건강피해

최근 녹조 문제

10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1: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자료 KEI 2014

최근 녹조 문제

11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2: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2 녹조 관리 현황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3: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상수원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처리장 기능 저하 및 일부 남조류의 독성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조류경보제 도입 운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상수원 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

경보단계 발령 기준

친수활동구간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20000세포mL 이상

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세포mL 이상

조류대발생 기준 없음

1 발령주체는 위 발령ㆍ해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강우 예보 등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조류경보를 발령 또는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2 남조류 세포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및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屬) 세포수의 합을 말한다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제21조 환경부장관 또는시도지사는 수질오염으로 하천 호소수의 이용에 중대한 피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거나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하천 호소에 대하여 수질오염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bull 상수원 구간 관심 rarr 경계 rarr 조류대발생 3단계

bull 친수활동 구간 관심 rarr 경계 2단계

bull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 시

bull 해제 남조류세포수가 2회 이상 기준 미만시 해제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3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4: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총 28개소 상수원 23개소 하천 4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 측정 기관

-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 냄새middot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 관심경보 발령

-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

염원 관리 강화

- 경계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 대국민 상황 전파

-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middot정수장 관리기관

- 정수처리 강화(활성탄

오존처리 등)

-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 취수구 이동

- 원middot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 조류제거 조치(황토 살

포 등)

조류 경보별 대응 내용 조류경보 대상 지역

자료 환경부

1 우리나라 조류 관리 제도 - 조류경보제

14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5: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목적 주요 내용

취정수장 오염물질 유입시 대응 매뉴얼

- 「수도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새로운 미량유해물질 발견시 처리지침」 에 근거 - 피해 발생 및 주민들의 불편을 저감 정수장에서의 수질감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고의 사전예방이 목적

middot 수질오염의 단계별 위기경보 설정(4단계) middot 녹조 발생시 경보 긴급조치 등 방법제시(소독부산물 맛middot냄새물질의 처리방법 제시) middot 사고대책반 구성 주민공지 등 제시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및 평가지침

「수도법」 에 의해 국고보조사업을 지원하는 경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기준 및 도입절차를 정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게 목적

middot 맛middot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시 고도처리시설 도입을 검토하도록 규정 middot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경우 시설 도입을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기초자료 수집 대안검토 공정결정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고보조지원 신청의 근거가 됨)

조류제거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조류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조류제거 시설 설치middot운영 및 조류제거물질의 사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이 목적

middot 조류제거시설 종류 시설의 설치 및 운영 middot 조류제거물질의 준비 및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 제시 middot 조류제거시설 및 물질 이용 후 사후영향조사 실시 규정

취middot정수장 운영관리 매뉴얼

- 취정수장의 전 공정에 대한 설명 및 운전자가 활용 가능한 내용을 총망라

- 정수장 운전요원 교육훈련 수도사업자의 책무 기록물 정리 보존 및 긴급조치의 필요성 명시 - 정수처리 공정 각 공정별 관리 방법 수질검사 및 조류관리 대책 오염원별 수질사고에 대한 처리대책 수질사고 시 위기관리 대응 체계 기타 정수시설 관리 운영에 관한 내용 등을 제시 - 조류대응과 관련해 조류의 특징 조류독성 조류 제거 조류예보시 조치 행동 등을 포함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작성

- 조류가 발생할 경우 정수처리 단계별 조치 요령 조류 종류별 제거 방법 등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인 내용 수록 -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해 지오스민 2-MIB 등과 같은 맛냄새 물질을 완벽히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일반 정수처리시설의 공정운영에 대한 최적화에 중점 - 조류세포 내외의 농도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맛냄새 물질 존재형태의 효과적인 공정운영 방법 맛냄새 물질 제거에 적합한 활성탄 선택 방법 등을 제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 운영지침

환경부 남조류 등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간 독소물질 마이크로시스틴 감시항목 지정

WHO 수준의 권고기준(1L이하) 설정 2013년 1월부터 본격 시행 조류 발생시 주 1~3회 모니터링 강화

bull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에 집중 조류를 처리하기 위한 내용들이 분절적으로 운영

bull 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내용은 부재

2 녹조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수도시설 운영 매뉴얼 및 지침

15

자료 상수원 녹조와 수돗물 안전 토론회2(김미선 2017)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6: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의 국가환경보건센터에 lsquo유해녹조 관련 질병 감시시스템rsquo이나 수인성 질병에

대한 국가질병보고시스템을 통해 녹조로 인한 질병을 감시 관리

bull 유해녹조 관련 질병 발생시 보건당국에 질병보고서를 제출

bull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 Surveillance System

WBDOSS)은 수집된 보고서 분석 후 정리 유해녹조 피해 보고서 발간

자료 KEI 2014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미국

16

국민이 필요로 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 제공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7: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발생전 대응

bull녹조 발생 징후 감시

bull정기적으로 물의 상황을 파악

발생 가능성 높을 때 대응

bull녹조발생의 빠른 감지를 위한 대응

bull수온 상승 등 가능성이 높아질 때

발생시 대응

bull피해발생middot확대방지를 위해

bull정확한 상황 파악 대응 조치 실시

bull물이용자 및 주변 주민에 대한 설명 등 필요

발생 후 대응

bull다음의 발생시에 만전에 대비

bull녹조의 발생 및 대응 상황을 정리 향

후 대응 방침을 정리

일본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시 4단계 대응

bull 주요 호소내 부영양화 심각 남조류 독성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

bull 비교적 독성이 약해 건강 피해와 가축 폐사 등이 발생한 기록은 없음

bull 현재 기준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유해녹조에 관한 다양한 연구 조사 진행중

조류의 분류 증식 조건 마이크로시스틴의 발생 조건 수생 생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축 등

bull 온난화 영향 등으로 유해녹조 제어가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 남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마이크로시스틴 등의 독성 물질 감시 요구

bull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lsquo녹조 겉보기 지표rsquo 개발

17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8: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레벨0

bull발생이 확인되지 않음

레벨1

bull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레벨2

bull살짝 선형으로 발생

레벨3

bull패치형으로 발생

레벨4

bull녹조막 발생

레벨5

bull매트형으로 발생

레벨6

bull스컴 발생

녹조 겉보기 지표

자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18

bull 남조류 발생상황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0~6까지 7단계로 레벨화

bull 이 지표를 통해 누구나 평상시 녹조발생 여부 확인 가능

bull 레벨 4 이상의 녹조 발생 장소에서는 겉보기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 아키타현의 하치로호에서는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부터 소멸까지녹조 상황

(발생 위치와 수준) 파악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19: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19

3 해외의 유해녹조 건강피해 관리 시스템 - 일본

녹조 겉보기 지표

bull 가스미가우라호에서 녹조 겉보기 지표를 활용하여 일지를 작성 게시

bull 녹조 발생 장소의 지표 레벨과 그 발생 위치를 기록 정보를 공개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0: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3 녹조 건강피해 조사 및 결과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1: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유역 기간 총 수질 측정 데이터수(A)

남조류 측정 횟수(B)

BA100

1만셀 이상 측정 횟수(C)

CB100

한강 2000~2016 9072 2575 284 71 28

낙동강 2004~2016 8596 3958 460 457 115

영산강 2000~2016 3907 1605 411 94 59

금강 2003~2016 3677 1974 537 87 44

bull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2016년 동안의 남조류개체수 데이터 조사

(2012년 이후 데이터가 호소와 보로 구분 호소는 남조류개체수 보는 표층조류 중 남조류개체수 조사)

bull 수질측정 데이터수가 가장 많은 유역 한강

bull 남조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유역 금강

bull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이 많은 유역 낙동강(1만셀 기준 이유 상수원구역 lsquo경계rsquo경보 기준)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1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2: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6 26 6(3)

2001년 - - -

2002년 70 37 없음

2003년 70 36

2004년 68 60 6회(4회)

2005년 70 30 1회

2006년 70 34 1회

2007년 529 227 7회(1회)

2008년 802 298 15회(4회)

2009년 747 252 1회

2010년 740 202 1회

2011년 707 156 없음

2012년(보) 138 0 없음

2012년(호소) 745 167 없음

2013년(보) 156 0 없음

2013년(호소) 845 145 2회

2014년(보) 154 0 없음

2014년(호소) 785 241 2회

2015년(보) 153 0 없음

2015년(호소) 972 425 28회(11회)

2016년(보) 147 0 없음

2016년(호소) 1038 239 1회

한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검출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96 23 1회

2005년 137 48 2회

2006년 176 67 5회(4회)

2007년 326 183 26회(12회)

2008년 273 149 1회

2009년 396 248 없음

2010년 403 215 1회

2011년 381 190 없음

2012년(보) 658 368 22회(14회)

2012년(호소) 429 124 2회

2013년(보) 674 392 74회(31회)

2013년(호소) 670 193 없음

2014년(보) 623 286 99회(55회)

2014년(호소) 630 142 없음

2015년(보) 569 380 134회(99회)

2015년(호소) 786 281 36회(17회)

2016년(보) 428 286 44회(25회)

2016년(호소) 941 383 10회(7회)

낙동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2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3: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62 52 4회

2001년 62 50 2회

2002년 60 57 2회

2003년 78 53 없음

2004년 142 112 1회

2005년 136 96 7회

2006년 154 113 15회(5회)

2007년 140 116 10회(7회)

2008년 166 144 없음

2009년 216 138 23회(13회)

2010년 204 109 6회(1회)

2011년 204 91 없음

2012년(보) 171 29 없음

2012년(호소) 272 88 없음

2013년(보) 116 35 1회

2013년(호소) 370 50 6회(2회)

2014년(보) 108 22 없음

2014년(호소) 320 66 없음

2015년(보) 103 23 3회(1회)

2015년(호소) 364 77 없음

2016년(보) 100 22 7회(1회)

2016년(호소) 359 62 없음

연도 연간 측정db갯수 남조류 발생 총횟수 1만셀 이상 횟수

(그중 2만셀 이상)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54 111 16회(10회)

2004년 141 79 3회(2회)

2005년 144 78 10회(3회)

2006년 145 85 4회(1회)

2007년 139 94 1회

2008년 136 92 1회

2009년 145 91 8회(2회)

2010년 173 91 12회(6회)

2011년 175 123 1회

2012년(보) 201 119 없음

2012년(호소) 251 137 10회(4회)

2013년(보) 177 93 5회(2회)

2013년(호소) 304 165 2회(1회)

2014년(보) 183 38 5회(4회)

2014년(호소) 282 157 없음

2015년(보) 155 56 9회(8회)

2015년(호소) 312 188 없음

2016년(보) 150 46 7회(6회)

2016년(호소) 310 131 없음

영산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금강 남조류 측정데이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23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4: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2004년부터 남조류 데이터 게시

bull 2004~2010년 사이 남조류 발생 경향을 보면 영천호(취수탑)에서 남조류 대량 발생

4대강 사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전으로 호소라고 하는 특성상 녹조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측

bull 2012년 이후 보와 하천으로 나눠 남조류 측정 시작 본류에서 1만셀 이상의 남조류 발생 횟수 증가

bull 2015년 이후부터는 보와 호소 모두 1만셀 이상의 남조류가 측정됨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4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회야호 (취수탑)

1만~2만셀 1 1 2 1 2 1 2

2만셀~5만셀 1 2 1 1 1 1

5만셀~10만셀 1 1 1 1 1

10만셀 이상 2

2012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1 1 6 7 9 6 9

2만셀~5만셀 2 2 1 1 2 6 3 1 5

5만셀~10만셀 3 2 1

10만셀 이상 1 1

2013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5: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4 4 8 6 10 5 7

2만셀~5만셀 2 5 5 4 7 5 11

5만셀~10만셀 1 3 1 3

10만셀 이상 1 1 4 2

2014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

25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구미광역취수장)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강정 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 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창녕 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3 2 6 3 9 3 2 2 2 3

2만셀~5만셀 1 2 4 5 4 3 10 12 13 10

5만셀~10만셀 1 2 3 2 3 4 5 5

10만셀 이상 1 1 1 2 1 3

2015년(보)

발생횟수 상주보 (도남)

낙단보 (낙단)

구미보 (선산)

칠곡보 (칠곡)

강정고령보 (다사)

달성보 (논공)

합천창녕보 (덕곡)

창녕함안보 (함안)

1만~2만셀 1 2 1 6 4 5

2만셀~5만셀 2 4 7 2

5만셀~10만셀 1 3 2

10만셀 이상 1 2 1

2016년(보)

2016년부터는 보로 구분되서 측정하던 취수장 수질데이터를 호소로 이동 하천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공개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6: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2003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3~2012년까지는 대청호 및 일반 수질측정망 데이터 2013년부터 보에서의 녹조 데이터 측정

bull 2012년 전까지는 주로 대청호 용담호 등 호소에서 녹조 대량 발생 이후에는 보(백제보)에서 발생

발생횟수 대청호 (추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1 2 7

1만~2만셀 1 2 3

2만셀~5만셀 4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12년

2013년

발생횟수 세종보(금남) 공주보(금강) 백제보(부여)

1만셀초과횟수 1 2 2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발생횟수 대청호(추

동) 대청호 (문의)

대청호 (회남)

보령호 (취수탑)

용담호 (댐앞)

1만셀초과횟수 2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6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7: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3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2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2014년(보)

2012년에는 보에서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고 2014년~16년까지 호소에서는 남조류 1만셀 이상 측정된 데이터가 없음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9회

1만~2만셀 1

2만셀~5만셀 5

5만셀~10만셀 3

10만셀 이상

2015년(보)

발생횟수 세종보 (금남)

공주보 (금강)

백제보 (부여)

1만셀초과횟수 2 5회

1만~2만셀 1 2

2만셀~5만셀 1 1

5만셀~10만셀 1

10만셀 이상 1

2016년(보)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금강

27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8: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발생횟수 주암호(신평교) 주암호(댐앞) 동복호(댐앞) 동복호(중류) 옥정호

(칠보취수구)

1만~2만셀 24 12 2 4 1

2만셀~5만셀 4 11 3 3 3

5만셀~10만셀 1 1

10만셀 이상

2012년~2016년

발생횟수 죽산보(죽산) 승촌보(광산) 동복호(중류) 동복호(댐앞)

1만~2만셀 7 1 2 2

2만셀~5만셀 2 1 1 1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000년~2011년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 1만셀 이상 발생 횟수가 급증 2009년에 가장 자주 대량 발생

bull 2012년이후 보와 호소로 나누어 녹조 측정 주로 보에서 녹조 발생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영산강

28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29: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2000년 데이터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게시

bull 2006년까지는 호소에서만 측정 2007년부터 호소와 하천에서 남조류 측정

(충주호(황강나루)와 한강(성산대교)는 2007년부터 측정)

bull 2004년 2008년 2015년에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며 그 외에는 1만셀 이상의 발생 사례가 적음

bull 한강(성산대교)에서 10만셀 이상의 남조류 측정

충주호 (댐앞)

충주호 (청풍교)

충주호 (황강나루)

횡성호 (취수탑)

팔당호 (댐앞)

팔당호 (부용사앞)

팔당호 (삼봉)

한강 (성수대교)

한강 (한남대교)

한강 (한강대교)

한강 (마포대교)

한강 (성산대교)

1만~2만셀 2 6 8 2 1 1 2 3 4 2 4 6

2만셀~5만셀 1 1 3 1 1 2 2 3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2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한강

29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0: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1~2배 미만 (2만셀 이하)

2배이상~5배 미만 (2만셀~5만셀 미만)

5배 이상~10 미만 (5만셀~10만셀

미만)

10배 이상 (10만셀 이상)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1회~5회 (연평균1회 이하) 1 1 2 4 8

연간 기준 초과 빈도 6회~20회 (연평균 2회~4회) 2 2 4 8 16

연간 기준 초과 빈도 20회~50회 (연평균 5회 ~10회) 3 3 6 12 24

연간 기준 초과 빈도 50회 이상 (연평균 10회 초과) 4 4 8 16 32

위험도 산정 방법

위험점수 4이하 4~6 7~12 13~24 25~

위험도 낮음 조금 위험 위험 매우 위험 상당히 위험

등급 1 2 3 4 5

bull 남조류 위험도 산출 위험발생빈도발생세포수

bull 4대강 유역에서 남조류가 대량 발생한 2012년~2016년 5년간을 기준

bull 각 측정지점별로 5년 동안 1~2만셀 2만~5만셀 이하 5만셀~10만셀 10만셀 이상 4등급으로 구분

bull 위험점수는 발생 세포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WHO가 발표한 lsquo물안전계획(Water Safety Plan Guideline)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을 활용

위험발생 가능성(빈도)과 그로 인한 위험영향 정도(영향도)를 기준으로 위험도 계산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남조류 독성 위험 가능 지역 선정

30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1: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상주보(도남)

1~2배 미만 1 1

2~5배 미만 3 4

5배~10배 미만 0

10배 이상 0

5점 2

낙단보(낙단)

1~2배 미만 5 3

2~5배 미만 5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0

17점 4

구미보(선산)

1~2배 미만 7 3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2 8

10배 이상

17점 4

칠곡보(구미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6 3

2~5배 미만 1 2

5배~10배 미만

10배 이상

5점 2

칠곡보(칠곡)

1~2배 미만 12 4

2~5배 미만 8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8점 4

강정고령보(고령광역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4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3 8

10배 이상 1 8

26점 5

측정지점 1만셀 이상 검측 비율 횟수 위험점수 위험도

강정고령보(다사)

1~2배 미만 19 4

2~5배 미만 10 6

5배~10배 미만 6 12

10배 이상 2 16

38점 5

달성보(논공)

1~2배 미만 21 4

2~5배 미만 21 8

5배~10배 미만 7 12

10배 이상 0

24점 4

합천창녕보(덕곡)

1~2배 미만 27 4

2~5배 미만 30 8

5배~10배 미만 13 16

10배 이상 9 24

52점 5

창녕함안보(창원칠서취수장)

2012~2014

1~2배 미만 13 4

2~5배 미만 19 8

5배~10배 미만 6 6

10배 이상 1 8

26점 5

창녕함안보(함안)

1~2배 미만 25 4

2~5배 미만 29 8

5배~10배 미만 8 12

10배 이상 5 24

48점 5

위험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

합천창녕보(덕곡) 창녕함안보(함안)

bull 4대강 중 낙동강이 남조류 발생 빈도 및 발생량이 최다 낙동강 내 측정소별로 위험도 산정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남조류 위험도 산정

31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2: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 낙동강의 월별 남조류 1만셀 초과 횟수

32

bull 2012~2013년은 8 9월에 집중 발생

bull 2014 이후 연중 대량 발생으로 패턴 변화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3: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2012년

2013년

2014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33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4: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2015년

2016년

1 4대강 남조류 위험도 조사 ndash 낙동강 측정지점별 남조류 기준초과 정도

bull 10만셀 이상 발생지점수가 해마다 증가(2012~2015)

bull 10만셀 발생 지점의 위치가 하류에서 중류로 이동(함안보 rArr 칠곡보) 34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5: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조사 목적 남조류 대량 발생 이후 건강 변화 및 하천변 야생동물 변화 조사

bull 조사 지역 합천군 창녕군 낙동강 인접지역(경남 창녕군 이방면 유어면 경남 합천군 덕곡면)

bull 조사 시간 2017년 7월 13일~15일

bull 조사 대상자 마을 보건소장 주민 농어민 등 약 30명

bull 조사 방법 마을회관 노인회관 보건소 등 시설을 방문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그룹 인터뷰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음용방법

bull 먹는 물은 주로 어디서 가져오나요 bull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나요 bull 물을 마실 때 불편하거나 의심스러운 점(맛 냄새 색깔 등)은 없었나요 bull 있었다면 주로 언제부터 그랬나요 bull 수돗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음식 빨래 목욕 청소 농작물 가축사육 등)

친수활동

bull 강가에 나가 수영이나 빨래 낚시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가에서 뱃놀이나 기타 물놀이를 한 적이 있나요 bull 강물을 애완동물이나 소 같은 가축들에게 마시게 한 적이 있나요

건강변화

bull 주로 주민들이 겪는 질병은 어떤건가요 bull 일반적으로 복통 열 설사 눈병 피부병 같은 질병에 자주 걸리나요 bull 마을 주민 중 간염 간암 등에 걸린 사람이 있나요 bull 혹시 이런 질병들이 최근 들어 증가했나요 그랬다면 언제부터 주로 증가한 거 같은가요 bull 이런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피해상황

bull 애완동물이나 가축들이 얼마나 질병에 걸리나요 bull 최근 들어 자주 아프거나 하진 않나요 bull 혹시 강가나 마을에서 야생동물이 죽은 것을 본적이 있나요 bull 있다면 주로 무슨 이유로 죽는다고 생각하나요 bull 농업이나 어업을 할 때 가장 큰 피해는 무엇인가요

녹조에 대한

정보 접근

bull 강에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건 알고 있나요 bull 녹조가 많이 생기면 어떻게 대응을 하나요(강가에 나가지 않는다든지 강물을 이용하지 않는

다든지 물을 마시지 않는다든지) bull 녹조가 심각할 때 강가에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안내를 듣거나 본적이 있나요 bull 녹조가 여러 가지 건강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35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6: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ldquo몇 년 전부터 반설사에 소화불량이 계속되고 있고 발이 아프다rdquo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강에 나가면 눈이 따갑다rdquondash 합천군 어민 할아버지 ldquo본 적 없다rdquondash 보건소장들 합천 농민 곽00씨 ldquo건강피해 없었다rdquondash 대다수의 주민 노인분들

1 주민건강피해를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었다

2 수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ldquo강변에 많았던 너구리가 사라졌고 특히 2~3년 전쯤엔 피부병에 걸린 너구리를 본 적도 있었다 그나마 이젠 완전히 사라졌다 물고기 잡아먹고 비늘이 있는 배설물을 남겨놓던 수달도 1년 전부터 볼 수가 없다rdquo ndash 창녕군 어민 성00씨 ldquo길고양이의 개체수가 증감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녹조때문인진 알 수 없다rdquo ndash 합천군 농민 곽00씨 ldquo피해 없다rdquondash 창녕군 H 보건소장 박00씨 ldquo강에 안 가니 알 수 없다rdquo ndash 대부분의 주민들 ldquo물고기죽음은 농약 때문이다rdquo- 합천군 노인회관 할아버지들 ldquo피해를 들어본 적이 없다 피해가 있어도 보고시스템이 없으니 모를 것이다rdquo ndash 창녕군 M보건소장 송00씨

3 남조류 독성에 대해 무지 정부 및 지자체의 정보제공 부재

ldquo건강쪽으로는 모르겠다 간디스토마나 문제일까helliprdquo- 창녕군 H 보건소장 ldquo전혀 모른다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었다rdquondash 창녕 어민 성00씨 창녕군 M보건소장 외 모든 주민들 ldquo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알고 있다rdquo-합천군 덕곡 농민 곽00씨 ldquo녹조에 독성이 있다는 건 상식적인 사항으로써 알고 있다rdquo ndash 합천군 D 보건소 직원

녹조문제를 자기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아무 정보를 접하지 못한 채 건강피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민 외엔 피해 인식 못함 건강피해 자체를 알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음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 변화를 알 지 못하고 4대강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음

2 낙동강 녹조 위험지역 주민 인터뷰 조사 결과

36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7: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2012년 2013년 2014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2월 1 불검출 0 1 불검출

3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4월 0 1 불검출 0 1 불검출

5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6월 10 00 1 01 01 10 불검출

7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4 01 7 03 02 14 불검출

8월 7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7 불검출 20 불검출 21 불검출 불검출 21 불검출 7 불검출 0 7 불검출

9월 1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8 불검출 18 불검출 불검출 18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0월 4 불검출 0 불검출 불검출 4 불검출 19 불검출 19 불검출 불검출 19 불검출 3 불검출 0 3 불검출

11월 3 불검출 3 불검출 불검출 3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월 1 불검출 1 불검출 불검출 1 불검출 1 불검출 0 1 불검출

12 0 12 66 67 67 44 01 8 02 02 44

2015년 2016년

기간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전체시료 검출시료 전체시료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건수 농도평균

(μgL) 건수

최고농도 (μgL)

농도평균 (μgL)

건수 검출여부

1월 3 00 0 3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2월 1 00 0 1 불검출 5 00000 0 5 불검출 3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4월 1 00 0 1 불검출 4 00000 0 4 불검출 5월 1 00 0 1 불검출 5 00226 1 01128 01128 5 불검출 6월 8 03 6 04 04 8 불검출 6 00795 3 02194 01589 6 불검출 7월 6 06 4 17 08 6 불검출 4 00418 1 01671 01671 4 불검출 8월 5 09 5 21 09 5 불검출 6 26108 5 57000 31330 6 불검출 9월 4 08 4 15 08 4 불검출 10월 4 04 4 07 04 4 불검출 11월 5 07 3 22 09 5 불검출 12월 4 00 0 4 불검출

43 03 26 14 07 43 38 03 10 15 09 38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에서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bull 원수의 검출 횟수 조사시료의 최고농도 및 농도평균 모두 증가 추세

- 2012년 원수에서 불검출rarr2016년 8월 최고농도 57 (μgL) 농도평균 3133 (μgL)

2012년~2016년 8월까지 낙동강 화명 덕산 칠서 석동 대산 반송 삼계 명동 범어 신도시 웅상 정수장 대상 조사 (서형수의원실 2016년 자료) 37

반송정수장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상황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8: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월 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 0022 0040 0012 0057 0057 0011 0039 0031 0053 0000 0038

2 0031 0033 0024 0061 0054 0017 0032 0038 0050 0040 0021

3 0030 0032 0031 0052 0031 0022 0051 0043 0062 0033 0026

4 0024 0019 0031 0037 0040 0045 0062 0048 0061 0039 0029

5 0029 0027 0041 0053 0041 0027 0056 0056 0059 0037 0036

6 0032 0027 0022 0056 0038 0047 0056 0042 0047 0039 0039

7 0030 0041 0022 0065 0031 0037 0062 0054 0071 0041 0048

8 0036 0035 0052 0048 0040 0029 0061 0038 0063 0051 0055

9 0035 0024 0056 0067 0038 0028 0046 0038 0083 0015

10 0020 0001 0042 0077 0044 0028 0051 0059 0000 0026

11 0026 0023 0049 0053 0023 0020 0048 0059 0046 0030

12 0037 0020 0051 0056 0042 0029 0045 0053 0039 0016

THM 평균 0029 0027 0036 0057 0040 0028 0051 0047 0053 0031 -

먹는물 수질기준 THMs 01 mgL 2006년부터 16년까지 낙동강 명동정수장의 월별 THM 농도(서형수 의원실 자료 2016년)

bull 2009년 이후 정수장의 월별 트리할로메탄 농도 증가 추세

- 월평균 006 이상이 되는 횟수 트리할로메탄 연평균치 월별 농도 최고치 증가

38

명동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검출 상황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39: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39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석동

창원칠서

반송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06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2010년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0: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40

3 낙동강 수돗물의 위험가능성 ndash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0070

0080

009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덕산

화명

삼계

명동

웅상

범어

신도시

석동

창원칠서

반송

낙동강 정수장의 트리할로메탄 농도 추이

2013년

2015년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1: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4 시사점 및 제언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2: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유해녹조 독소의 건강피해 가능성 유무 확인 불가능

-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인성 질환에 대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전염병 감시체계 및 수인성 질환 전염병 연구

체계인 EnterNet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상 병원체가 세균 10종 바이러스 4종에 국한 유해녹조 독성에 의

한 질병감시체계는 갖춰져 있지 않음

bull 관련 기초조사도 부재

- 국내외적으로 유해녹조 독성 피해 사례의 보고가 적은 것은 남조류 독성에 의한 복통 구초 열 설사 어지

러움 피로함 피부병 및 눈병 등을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인식하여 남조류 독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국내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

bull 광역지자체 및 대도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남조류 문제 해결

rarr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에 대한 우려 여전히 존재 소독부산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

bull 지방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지방도시 주민들은 안전한 물 공급에서 취약한 상황

rarr 안전한 물 접근 및 이용 측면에서 불평등 존재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부재로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

1 시사점

42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3: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43

1 시사점

bull 건강피해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부재 일선 보건기관도 남조류 독성 문제에 대해 무지

bull 주민들도 개인적 이해나 관심에 따라 정보를 접하지만 대응 방법은 알지 못함

ldquo다른 어민들의 건강피해는 어민들과 건강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rdquo

bull 건강위해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자발적 자율적 대응이 어려움

bull 최소한 직접 접촉하는 그룹(어민 농민)에 대해서는 건강피해 가능성 전달 필요

남조류 건강피해에 대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유해녹조 대량 발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공개

bull 수질DB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합천창녕보가 위험도가 높은 지역

- 창녕함안보 강정고령보 백제보 등으로 가시적 녹조 대량 발생지와 건강피해가능 지역에 차이 가능성 존재

bull 정확한 수질조사가 중요하며 측정된 정보가 대응에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결측치 다수 데이터에 대한 해석 부재 정보생산자 중심의 정보공개

- 국가 지자체 산하기관 등 흩어져 있는 물환경 데이터들의 취합 필요

bull 하천은 접근이 어려운 상황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음

bull 필요한 물은 점점 더 멀리서 끌어오고 물보전 책임에서 멀어짐

bull 4대강 사업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부정적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민정서 존재 공동체 갈등 유발

인간과의 관계가 단절된 유역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4: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유해녹조 대량발생 시 현장에 즉각적인 조치

- 프래카드 마을방송 등 다양한 방식을 개발 활용

- 녹조우심지역의 수변활동 수변접근 금지 하천관리자 활동 주의

bull 보건의료기관과 마을이장을 통한 경보 전달 ex)폭염 열중증 관리

bull 농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농어업 금지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검토

- 취정수장 및 물관리자용 매뉴얼이 아닌 물가 주민이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ex) 일본의 겉보기 지표 등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정보 제공

bull 유해녹조 건강피해에 대한 국가적 조사 연구 실시

단기적 뉴트리아 고라니 등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 하천감시원에 대한 건강 조사

장기적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

bull 국가(감시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 전문가(관련 DB 조사 분석) 지자체 및 주민(자율적 모니터

링 행동규칙 준수 등) 이 참여하는 상시적ㆍ지속적 감시 기구 설치

2 제언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 구축

44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5: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bull 건강영향평가제도는 대규모 개발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는 제도

bull 4대강 보 건설로 인한 환경 사회적 변화가 뚜렷하고 유해 녹조 증가 등 건강위해성 요인 발생

bull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bull 가까운 물을 포기하고 먼 물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현재의 상황 제고

- 유역적 관점에서 물을 인식하고 인근 지역의 물이용을 높여야 수질보전 가능

bull 광역상수도 고도처리 중심의 수돗물 생산에 대한 재검토 필요

bull 지방상수원 녹조관리 문제 등 안전한 수돗물 이용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2 제언

상수원 및 수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

45

감 사 합 니 다

46

Page 46: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10/20171011_043718.pdf · -대국민상황전파 -친수활동, 어패류섭취

감 사 합 니 다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