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근대화와 언어 어휘 표현 -...

48
중국의 근대화와 언어, 어휘, 표현 한국어 어휘와 표현 2017. 5. 11.

Upload: others

Post on 26-Dec-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중국의 근대화와언어, 어휘, 표현

    한국어 어휘와 표현

    2017. 5. 11.

  • 19세기 초 중국의 언어 상황: 방언

    • 약 8개의 방언권으로 나누어짐.

    • 관화(官話)(북방), 진(晉); 오(吳), 감(竷), 상(湘); 민(閩), 객가(客家), 월(粤)• 이른 시기에 여러 차례 북방 주민이 남방으로 이주함으로써 각 방언이 형성됨.

    • 남방 방언이 고층(古層)의 중국어를 반영함.

    • 방언간 의사소통 불가• 관리가 각 지방에 부임하면 그 지역 출신 통역관 고용.

    • 관화(官話)방언(Mandarin)이 가장 넓은 지역에서(75%) 사용됨.• 베이징을 중심으로 하여, 관리들이 많이 사용함.

    • 나중에 중국 전체 공통어의 바탕이 됨.

    • 각 지역의 구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문학 언어 발생: 백화(白話)

  • 19세기 초 중국의 언어 상황: 문언(文言)

    • 지식인들은 공통의 문어인 文言 사용.

    • 문언(文言)은 선진(先秦)시대의 구어를 바탕으로 형성.

    • 초기에는 구어와 문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웠음.

    • 구어에서의 언어 변화로 인해 文言과 구어 사이의 거리가 점차멀어짐.

    • 각 방언간의 차이로 말미암아 구어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게되자, 문언(文言)이 방언간 의사소통의 도구로 활용됨.• 한국인, 일본인, 베트남인과도 文言을 이용하여 필담으로 의사소통함.

    • 과거시험은 문언(文言)의 독해 및 작문 능력을 측정.

  • 19세기 초 중국의 언어 상황: 언어정책

    • 청나라 초기에는 만주어, 몽골어, 중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함.(다언어 정책)• 점차 중국어 하나로 통일됨.

    • 만주어, 몽골어는 궁정(宮廷), 기인(旗人)들만 사용함.

    • 만주족, 몽골족과 관련된 문서만 이들 언어 사용.

    • 중국어의 여러 방언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음.• 과거시험과 文言에 의존

    • 옹정제(雍正帝)(1722-1735)가 복건성(福建省), 광동성(廣東省)의관리들에게 官話를 배우라고 명령.• 잠시 시행되다가 1737년 폐지됨.

  • 서양과의 접촉

    • 전근대 시기에는 서양어에 대해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음.• 외교를 위한 외국어 교육을 담당한 통문관(通文館)에서 동아시아의 여

    러 언어 교육.

    • 여기에 러시아어도 포함되어 있었음.(유일한 서양어)

    • 중국인이 서양인과 처음으로 접촉한 것은 주로 선교사와 상인들.• 일부 외교 사절들도 있으나, 선교사나 상인에 비하면 매우 제한적임.

  • 초기의 선교사들

    • 16, 17세기에는 주로 예수회 선교사들이 활약.• 마테오 리치(利玛窦, 1552-1610), 줄리오 알레니(1582-1649)

    • 처음에는 난징(南京), 나중에는 베이징(北京)에 거주함. 이들은 모두 관화(官話) 방언 지역.

    • 마테오 리치는 중국어 지식 강조.• 1552-1583년 사이의 중국 선교가 실패한 주된 이유로 중국어 지식의

    부족을 꼽음.

    • 선교 활동에서 중국어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

    • 기독교, 서양의 과학 등을 소개하는 책을 중국어로 지음.

  • 초기 선교사들이 만든 단어

    • 초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저작에서, 과학·지리 ·교육 영역에 대한서양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중국어 단어들이 만들어짐.• 기하(幾何), 경선(經線), 위선(緯線), 열대(熱帶), 냉대(冷帶), 온대(溫帶),

    지구(地球), 중학(重學)(역학, mechanics) 등.

    • 대학(大學), 문과(文科), 이과(理科), 의과(醫科), 의학(醫學), 중학(中學)등

    • 중국어에 이미 있던 단어에도 새로운 의미 부여.• 북극(北極), 남극(南極), 적도(赤道) 등

  • 중국인의 서양어 학습

    • 선교사들은 일부 중국인들을 성직자로 길러내려고 시도.

    • 이들에게 서양어(특히 라틴어)를 가르쳐서 신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할수 있도록 함.

    • 마테오 리치는 서광계(徐光啓)에게 기초 라틴어 가르침.

    • 니콜라스 트리고(1577-1628)는 왕징(王徵, 1571-1644)에게 라틴어 가르침.

    • 트리고의 ‘서유이목자(西儒耳目資)’(중국어 로마자 표기案) 작성을 왕징이 도움.

    • 정마낙(鄭瑪諾, 1633-1673): 17세 때 로마로 가서 로마신학대학에서공부. 신부가 되어 중국에서 선교. 라틴어와 이탈리아어를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최초의 중국인.

  • 전례(典禮) 문제로 인한 갈등

    • 중국인 신자들이 전례(典禮)에 참가하는 문제에 대해 교단에서 논란이 생김.• 예수회, 도미니크회, 프란체스코회의 입장 차이.

    • 로마 교황청은 갈팡질팡하다가 사안별로 현지 선교사들이 해결하도록 결정(1669).

    • 전례(典禮) 문제로 말썽이 계속되다가, 중국 정부는 기독교 선교활동을 금지하게 됨.• 마카오에서만 선교 허용.

    • 베이징의 천문대에도 일부 선교사의 거주 허용.

    • 선교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서.

  • 서양 상인과의 접촉

    • 광동성, 복건성에는 16~19세기에 많은 서양 상인들이 와서 항구 무역이 성행.

    • 중국 정부는 서양 상인들의 거주지를 마카오와 광주(廣州)로 제한하고

    • 중국인과 서양인의 직접 접촉을 막으려고 함.

    • 중국인 중개자를 통해 모든 거래가 이루어짐.

    • 중개인들은 잡종어 pidgin을 공통어로 사용.• 피진은 처음에는 포르투갈어+중국어(+말레이어+인도어)

    • 중국-영국 무역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포르투갈어가 영어로 대치되어 감.

    • 포르투갈식 피진은 마카오에서만 쓰이게 되고, 광주 등 기타 지역에서는 영어식 피진이 사용됨.

  • 피진(pidgin)

    • 문법/구문은 중국어를 모델로 하나, 매우 단순함.

    • 단어는 주로 영어를 바탕으로 함.

    • pidgin이라는 명칭은 영어 단어 business를 음역하여 만들어진 듯.

    • 피진에서 사용되다가 중국어(광동방언)에 흡수된 단어들도 있음.• 三文治(샌드위치), 麥(마크), 巴士(버스), 士擔(스탬프), 士多啤梨(스트로베리),

    多士(토스트), 之士(치즈)

    • 이들 중 일부는 다른 방언으로 퍼져 나감.

  • 아편전쟁 이전의 서양에 대한 인식

    • 중국인들은 이방인들에 대해 ‘야만인’으로 낮춰 보는 경향이 강했음.

    • 연해 지역에서의 서양과의 무역에 대해서도 별로 관심이 없었음.

    • 서양 국가를 여행한 소수의 사람이 남긴 여행기가 약간 있음.

    • 서양 선교사들이 한문으로 지은 책에 나오는 서양에 관한 정보에 주로 의존.

  • 중국인의 서양에 대한 초기 기술(記述)

    • 번수의(樊守義, 1682-1753)

    • 산서성(山西省)의 기독교도.

    • 이탈리아인 예수회 선교사 프란체스코 프로바나를 따라 유럽으로감.

    • 로마에서 예수회의 견습수사가 됨.

    • 유럽에서 10년간 생활하다가 프로바나와 함께 중국으로 귀환.

    • 유럽에서의 견문을 적은 ‘신견록(身見錄)’ 저술.

    • 지명은 모두 借音 방식

    • 포르투갈의 각급 학교를 ‘학교(學校)’, ‘대학(大學)’, ‘중학(中學)’, ‘소하(小學)’으로 지칭.

  • 임칙서(林則徐, 1785-1850)

    • 아편 문제 해결을 위해 흠차대신으로 광주에 파견됨.

    • 베이징에서 영어 통역관 2명을 대동. 광주에서도 통역관 추가고용.

    • 서양 신문 등의 많은 자료를 중국어로 번역할 것을 지시.

    • 마카오와 광주의 외국인 사회에서 출판한 초기 간행물들로부터서양에 대한 정보 수집.• Canton Register, Chinese Repository, Canton Press

  • 위원(魏源, 1794-1857)의 ‘해국도지(海國圖志)’

    • 임칙서가 광주에서 활동할 때 조정에서 내각중서(內閣中書)의 직책을맡고 있었음.

    • 임칙서는 황제의 신임을 얻지 못해, 자신이 수집한 서양 정보를 위원에게 넘겨줌.

    • 위원은 임칙서가 수집한 자료에다가 선교사들이 쓴 기록 등을 보태어자료집 ‘해국도지(海國圖志)’(1844) 출간.

    • 서양의 국가, 국민, 기술(技術)에 관한 최초의 근대적 자료집.

    • 크게 성공을 거두어 여러 차례 재인쇄됨.• 아편전쟁에서의 패배로, 중국의 지식인들이 서양을 알아야겠다는 自省이 생김.

    • 일본에서도 널리 읽힘.• 처음에 요약본 출간. 나중에 전체 완간.

  • ‘해국도지(海國圖志)’의 신어휘와 표현

    • 당시의 구어를 반영한 평이한 문체• 고전어의 문말 허사 사용 안 함.

    • 이음절 단어가 많이 사용됨.

    • 구어에서 안 쓰는 고급 단어들을 회피.

    • 19세기 말 중국의 정치적 산문에 영향을 줌.

    • 무역(貿易), 교역(交易), 進口(수입), 出口(수출); 문학(文學), 법률(法律), 정치(政治); 火輪機(증기기관), 火輪船/火輪舟(증기선), 火輪車(증기기관차), 火車(기차), 철로(鐵路), 철궤(鐵軌); 公司(연합동인도회사→회사), 신문(新聞)(news), 국회(國會)

    • 서양 국명, 지명, 관직명, 정부기구, 도량형 단위 등을 나타내는 데에借音 사용.• 巴里滿(parliament), 甘文好司(House of Commons, 하원); 磅(pound), 躉(ton)

  • 서계여(徐繼畬, 1795-1873)의 ‘영환지략(瀛環志略)’

    • 복건성, 광동성에 관리로서 파견되어 서양에 관심을 갖게 됨.

    • 서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영환지략’ 저술.

    • 서양어를 몰랐기 때문에, 서양 자료를 직접 본 것이 아니라, 한문으로쓰여진 선교사들의 저술을 참고한 것.

    • 차음어(借音語)보다는 차역어(借譯語)를 많이 사용.• 국도(國都)에는 공회(公會)가 있는데 兩處로 나뉘어 있어서 하나는 爵房, 하나

    는 鄕紳房이라 부른다.

    • 正統領(주지사), 總統領(대통령)

    • 서계여는 친영국파라는 혐의를 받아 복건순무(福建巡撫)직 사임.

    • ‘영환지략’은 큰 성공을 거둠.• 일본에서 1859, 1861 재인쇄되고, 일본어로도 번역됨.

    • 1866년 중국의 총리아문에서도 재인쇄.

  • 개신교 선교사들의 번역

    • 초기에는 광주에서 모리슨, 밀른, 메드허스트, 브리지먼, 귀츨라프 등이 각종 서적 출간.

    • 1807년 모리슨이 광주에 도착한 뒤 1850년대 말까지 266종의 서적출간.• 253권은 관화방언으로, 나머지는 남방방언으로.

    • 1867년까지는 777종 출간(방언 187권)• 종교 관련 서적(성경, 교리문답, 도덕잠언집, 신학논문집 등) 474종

    • 1855년 이후에야 비종교 서적이 100종 이상 출간됨.

    • 몇몇 지리 서적들은 ‘해국도지’의 기초 자료로 활용됨.

  • 의학, 과학 서적

    • 19세기 전반에 각종 의학 서적 출간.• 마카오에 서양식 병원 설립. ‘의원(醫院)’이라 부름. 이 단어가 후에 각종 병

    원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됨.

    • 벤자민 홉슨 ‘전체신론(全體新論)’(1851, 전10권)• 중국어로 번역된 최초의 서양 의학 서적.

    • 생리학, 해부학 용어를 중국어로 만들어 제시.

    • 대뇌(大腦), 소뇌(小腦)

    • 뒤에 상하이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간행한 의학 서적들의 기초가 됨.

    • 1857년 일본에서도 재인쇄됨.

    • 홉슨 ‘박물신편(博物新編)’(1854)• 과학, 천문학, 자연사의 세 부분으로 구성.

    • 화학, 전기학에 관한 설명도 포함.

  • 종교 서적

    • 태평천국 운동의 지도자 홍수전(洪秀全, 1814-1864)은 양아발(梁阿發)의 ‘권세양언(勸世良言)’, 귀츨라프가 중국어로 번역한 성경을 읽고 영향을 받음.

    • 태평군이 1853년 난징(南京)에 진입하여 종교서적 간행.• 개신교 선교사들이 처음 소개한 용어들 포함.

    • 유조(遺詔, testament), 천국(天國), 복음서(福音書, Gospel), 첨로(甛露, manna), 안식일(安息日)

    • 태평천국 기간 동안 널리 사용되었으나, 그 뒤 오래 살아남지는 못함.

    • 애매한 고전적 문체보다는 구어에 기반을 둔 문체 사용을 주장.

    • 문자 간략화, 상용(常用) 문자의 개수 제한, 구두점 보급, 인명·지명 표시(홑줄, 겹줄) 등을 짧은 기간 동안에 광범위하게 보급.

  • 언어학교 설립• 아편전쟁 이후 서양인들은 중국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폭됨.

    • 청 정부에서도 외국어 교육 및 국제관계 전문가 양성을 위해 1862년베이징에 근대적 학교 설립: 동문관(同文館)

    • 뒤에 상해(上海)와 광주(廣州)에도 설립됨.• 상해(上海) 동문관은 1869년 강남기기제조총국(상하이제조국)에 합병됨.

    • 처음에는 언어만 가르쳤으나, 나중에는 수학·과학 과정도 개설.

    • 베이징 동문관은 통역·번역의 인재 양성• 이들의 서양 여행기는 근대 중국어 어휘의 형성과 전파에 큰 역할.

    • 베이징 동문관(대부분 법률 관련 서적)과 상하이제조국은 서양의 저작을 번역함으로써, 중국어 어휘 발전에 공헌.

  • 윌리엄 마틴의 ‘만국공법(萬國公法)’

    • 윌리엄 마틴은 베이징 동문관의 영어 교습.

    • 헨리 휘턴의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1836)을 번역하여 1864년 출간한 것.

    • 이 책은 메이지유신 직전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근대적 법률/정치 어휘 형성에 기여.• 마루야마 마사오, 가토 슈이치, ‘번역과 일본의 근대’ 참고

    • right를 이전에는 ‘예(例)’로 번역했었는데, 이 책에서 최초로 ‘권(權)/권리(權利)’라 번역. ‘특권(特權)’, ‘주권(主權)’ 등의 합성어 형성.

    • republic을 ‘민주(民主)’로 번역.

    • 자주(自主), 자치(自治), 자호(自護)

    • 국회(國會), 上房(상원), 下房(하원): 일본에도 보급됨.

    • 動物(동산), 植物(부동산)은 후에 일본에서 만든 ‘동산, 부동산’에 밀림.

  • 윌리엄 마틴의 ‘격물입문(格物入門)’(1868)

    • 수학(水學), 기학(氣學), 화학(火學), 전학(電學), 역학(力學), 화학(化學) 등에 대해 문답 형식으로 설명.

    • 전기를 가리키는 단어에 ‘電’ 사용.(1850년대의 다른 저작들에도 보임.) 많은 합성어 형성.

    • ‘역학(力學)’, ‘화학(化學)’이라는 학문 명칭도 마틴이 만든 것.(스스로 자부심 느낌)• ‘화학(化學)’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舍密’이라는 차음어가 사용되고 있었음.

    • 서양인들은 초기에 ‘화학(化學)’이라는 용어에 부정적.

  • 장덕이(張德彛)의 ‘항해술기(航海述奇)’

    • 1866년 서양 답사단의 일원으로 서양을 여행함. 이 때 적은 일기를간행한 것.

    • 1862-1865년 베이징 동문관에서 수학하는 동안 마틴의 번역서의 영향을 받음: 민주(民主)

    • 마틴의 번역어 ‘판단(判斷)’( judgement, 심판)을 이용하여 ‘판단처(判斷處)’(court, 법정, 재판소) 만듦.

    • ‘공사(公司)’를 외국계 회사 일반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

    • 신문(新聞, news), 신문지(新聞紙, newspaper)

    • 전기(電氣), 전기등(電氣燈), 전기기(電氣機, 모터), 전기선(電氣線), 전기신(電氣信, 전신/전보)

  • 중국 역사상 첫번째 유럽 답사단 출발 전 베이징에서 찍은 사진. 右에서 세번째

  • 지강(志剛)의 ‘초사태서기(初使泰西記)’(1872)

    • 중국 주재 초대 공사였던 벌링게임이 원래 서양 방문 사절단의 대표였으나

    • 벌링게임이 1870년 러시아에서 사망하자 지강(志剛)이 대표단을 이끌고 여정을 마무리함.

    • 자유(自由), 자주(自主)

    • 會堂(의회), 上堂(상원), 下堂(하원)

    • 養瘋院, 萬獸園/野獸園(동물원)

    • 織機(방직기), 蕩機(다리미), 擠機(프레스), 軋機(드릴), 拔機(족집게), 火機(기계), 印文機(인쇄기), 通信線機(통신기기)

    • 차음어: 旦把孤(담배), 伯理喜頓(president)

  • 수학 관련 용어• 마테오 리치와 서광계가 유클리드의 ‘기하학원리’의 앞 6권을 번역하여 1607년 ‘기하원본(幾何原本)’으로 간행.

    • 이선란(李善蘭)과 와일리가 뒷부분 9권을 번역하여 1857년 ‘속기하원본’이라는 제목으로 출간.

    • geometry의 번역어 ‘기하(幾何)’는 geo의 차음어이면서도 약간의 차의어(借意語)의 성격도 겸하고 있어서 일찍이 쉽게 정착됨.

    • algebra는 처음에 차음어 ‘阿爾熱巴拉’로 번역되어 쓰이다가

    • 1859년 이선란과 와일리가 드 모르강의 ‘대수학원리’를 번역한 책의제목을 ‘대수학(代數學)’이라고 하면서 후자로 대체됨.

    • ‘수학(數學)’이라는 용어 자체는 1578년 처음 보이나 널리 쓰이지는 않고 있다가

    • 1853년 와일리가 상해(上海)에서 번역 출간한 ‘수학계몽(數學啓蒙)’으로 일반화됨.

  • 잡지 ‘육합총담(六合叢談)’

    • 와일리, 무어헤드, 윌리엄슨, 에드킨스 등이 1857.1.~1858.1. 상하이에서 출간한 과학 잡지.

    • 과학뿐 아니라 서양 문화(지리학, 그리스문학, 영미 의회체제 등)도소개.

    • 1858년 일본에서 재간행. 1864년 일본어로 번역.

    • 의원(議院): 일본에서 ‘의회(議會)’, ‘국회(國會)’와 함께 널리 사용.

    • 電氣通標(전보)• ‘전보(電報)’는 그 뒤에야 생김.

    • 문학(文學), 국채(國債), 통계(統計), 공기(空氣)

  • 상하이제조국의 John Fryer(1839-1928)

    • 1871~1896년 사이에 77종의 번역서 출간.

    • 나중에 미국에서 번역한 14종도 상하이제조국에서 출간.

    • 각종 기관의 위임을 받아 38종의 책 번역.

    • 이들 책은 상하이제조국 번역관과 전국 선교 출판사에서 수천 부가발행/판매됨.

    • 번역의 기준 확립.• 중국어에 이미 있는 용어들을 광범위하게 조사.

    • 새 명칭을 만들 때에는, 상용자에 편방(偏旁)을 붙이거나 벽자(僻字)에 새 뜻을 붙여 새 명칭을 만든다.

    • 관음(官音)을 바탕으로 하되 뜻이 통할 수 있는 한자를 택한다.

    • 이전 번역서의 관행을 존중한다.

    • 중국과 서양 명칭의 대조표를 만들어 계속 업데이트한다.

  • 프라이어의 ‘화학초계(化學初階)’(1871-1875)• 64개의 원소에 대한 번역어 제시.

    • 10개는 중국어에 본래 존재하던 단음절어 이용• 금(金), 은(銀), 동(銅), 철(鐵), 鉛(납), 錫(주석), 汞(수은), 硫(유황), 인(燐), 炭(탄소)

    • 48개 원소는 새 글자를 만들거나, 기존 글자에 새 의미를 부여.• 금속(metal)은 ‘금(金)’, 비금속(non-metal)은 ‘석(石)’을 부수로 함.

    • 라틴어 명칭의 첫 음절을 나타내는 음부(音部)를 결합함.

    • 2음절어: 養氣(산소), 輕氣(수소), 淡氣(질소), 綠氣(염소), 弗氣(불소)• ‘박물신편’ 등의 선례를 따른 것.

    • 이들이 합성어를 형성할 때에는 첫 음절만 사용.

    • 나중에는 기체를 의미하는 부수 ‘气’에 라틴어 명칭 첫 음절을 나타내는 음부(音部)를 결합한 새 글자를 만들게 됨: 氧, 氫, 氮, 氯, 氟

  • 프라이어의 번역 원칙(1890)• 차음어만 사용하지 말고, 최대한 번역하라.

    • 번역이 불가능한 경우, 가장 적절한 글자를 선택하라.• rifle의 번역어에 ‘화(火)’ 부수 사용.

    • 새 용어는 가능한 한 중국어의 일반적인 구조에 일치해야 한다.

    • 새 용어는 짧고 간결해야 한다.• ‘火輪船’을 ‘輪船’으로 대체.

    • 정확하고 분명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 같은 부류의 다른 용어들과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prime number를 ‘數根’으로 번역하면 ‘~數’ 형태의 단어들과 어긋나므로 ‘~數’

    형태로 해야 한다.

    • 활용성이 풍부해야 한다.

    • 전문적인 어휘사전을 편찬하여 새 과학 어휘에 대한 합의를 보증하는것이 중요하다. (‘번역편람’, 1888)

  • 프라이어의 과학 용어 번역에 대한 평가

    • 차음어보다는 차의어, 차역어를 선호하는 역사적 경향성에 일치.

    • 새 글자를 만들거나 옛 글자를 되살리는 방법은 화학 원소에만사용.

    • 중국어의 다음절어화 경향을 파악.• 많은 단어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다음절어가 불가피함을 인식.

    • 일반적 원칙, 사람들간의 합의 중시

    • 후에 양계초(梁启超)에게 높은 평가를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