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4, pp. 311~333, 2016.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민 숙 현 * 정 성 원 ** < 요 약 > 본 연구는 지체뇌병변 장애인이 장애 초기 단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준형 수동휠체어 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주요 행동별 사용성 평가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용성 평가척 도의 항목은 사용성 평가와 수동휠체어 관련된 국내외 논문, 표준규격, 휠체어 사용 및 제작 매뉴얼 등과 같은 문헌 연구를 통해 1차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평가 척도의 세부 항목들은 휠체어 전문가의 검증으로 수정되었다. 연구 결과,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의 대항목은 학습의 용이성, 오류의 최소화, 직관성, 효율성, 사용 만족도, 적합성으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사용방법의 직관성, 낙상위험 방지, 신체 끼임 방지, 방해요소 제거, 조작의 효율성, 올바른 자세, 신체 적합성, 편안함, 외형 만족도로 도출되었다. 핵심어 : 휠체어, 사용성, 사용성 평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디자인기술융합전공 Dept. of Design and Engineering at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디자인기술융합전공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t. of Design and Engineering at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pload: others

Post on 21-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4, pp. 311~333, 2016.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민 숙 현* ㆍ 정 성 원**

< 요 약 >본 연구는 지체ㆍ뇌병변 장애인이 장애 초기 단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준형 수동휠체어

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주요 행동별 사용성 평가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용성 평가척도의 항목은 사용성 평가와 수동휠체어 관련된 국내ㆍ외 논문, 표준규격, 휠체어 사용 및 제작 매뉴얼 등과 같은 문헌 연구를 통해 1차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평가 척도의 세부 항목들은 휠체어 전문가의 검증으로 수정되었다.

연구 결과,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의 대항목은 학습의 용이성, 오류의 최소화, 직관성, 효율성, 사용 만족도, 적합성으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사용방법의 직관성, 낙상위험 방지, 신체 끼임 방지, 방해요소 제거, 조작의 효율성, 올바른 자세, 신체 적합성, 편안함, 외형 만족도로 도출되었다.

핵심어 : 휠체어, 사용성, 사용성 평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디자인기술융합전공Dept. of Design and Engineering at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디자인기술융합전공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Dept. of Design and Engineering at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age 2: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12 -

Ⅰ. 서 론

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체ㆍ뇌병변 장애인의 약 70% 이상은 이동을 위한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 보조기기에 대한 수요 조사(보건복지부, 2014)에 따르면, 지체ㆍ뇌병변 장애인은 자유로운 보행 및 이동(Transfer)에 대한 욕구가 높아 보행기,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의 수요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수동휠체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신응수, 이희태, 안성철, 2001). 그런데 보조기기에 대한 만족도 연구(전영환, 이혜경, 이진현, 2014)에서는 장애인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신체에 부적합한 보조기기 선택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껴 보조기기의 사용을 포기하게 되거나 중단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에 보조기기를 선택하거나 맞춤 제작 전에 사용의 편리성, 효과성, 적합성 등의 요소를 확인한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이근민, 2013). 또 보조공학기기의 외형이나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경우 보조기기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지만,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Scherer, 1996). 이는 보조기기가 모든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획일적이지 않고 사용자 개인의 욕구에 부합되어야 하고, 개별 사용자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한다(Frank Lopresti & Mihailidis & Kirsch 2004). 보조기기를 선택하거나 맞춤 제작을 하기 전에 전문가가 해당 보조기기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해 보조기기를 제작하고 맞춤 수정할 수 있다면 보조기기 사용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장애인이 자신의 신체에 적합한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어 만족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국내의 각 병원, 복지관, 보조공학센터에서는 보조기기 사용에 대한 불편사항 및 요구사항을 해결하고, 장애인들의 신체에 적합한 보조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보조기기 맞춤 제작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휠체어의 개발 및 맞춤 제작 단계에 사용되고 있는 휠체어 및 이동기기 평가도구는 아직까지 기능성과 안전성에 관한 평가 항목이 대부분이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사용성에 관한 항목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국립재활원, 2009). 사용성은 사용자가 도구를 사용할 때 그 도구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를 의미하는데, 이는 안전성이나 기능성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오은혜, 2010). 사용자가 직접 휠체어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휠체어에서는 2차 사고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2차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수동휠체어의 사용성을 개선시키는 것은 중요한 요구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수동휠체어의 사용성을 개선시킨다면, 올바른 사용을 유도할 수 있고 욕창, 골절 등과 같은 2차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손병창,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잘못된 사용

Page 3: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장애 정도, 주요 행동을 고려한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주요 내용인 ‘사용성’, ‘사용성 평가’. ‘수동휠체어’, ‘보조기기 평가도구’, ‘휠체어 사용자’ 에 관한 161편의 자료들을 1차적으로 수집되었고, 연구의 내용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83편의 자료들을 선별하였다. 먼저 사용성 평가척도의 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ㆍ외 사용성에 관한 기존연구와 표준규격을 참고하여 사용성의 원칙들을 도출하였고 유사한 의미로 해석되는 요소들로 계층화하여 5가지의 대항목으로 종합하였다. 수동휠체어와 관련된 논문, 표준규격, 수동휠체어의 올바른 선택 및 사용에 관한 매뉴얼에 관련된 자료를 통해 수동휠체어의 올바른 선택에 대한 고려사항, 수동휠체어의 크기 및 규격, 수동휠체어 사용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대항목의 고려사항으로 접목하였다. 또한 수동휠체어 사용자에 관련된 논문, 도서를 통해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및 체형, 휠체어 사용으로 인한 2차 합병증, 올바른 자세에 대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대항목의 세부요소로 같은 방법으로 접목하였다. 이후 실제 보조기기를 평가하고, 맞춤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주요 행동 4가지를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한 대항목, 고려사항, 세부요소, 주요 행동을 바탕으로 1차적으로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척도를 검증하고 보완하기 위해 보조공학사와 같은 전문가 9명에게 평가척도의 타당성에 대해 검증하였고,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평가척도의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가 완성되었다.

Ⅱ. 사용성 평가에 대한 이해

1. 사용성 평가의 특징

사용성(Usability)은 사용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얼마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Wessels, Witte & Heuvel, 2004). 90년대 초반부터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터페이스가 있는 제품이 우리 주변에 많아지게 됨으로써 이러한 사용성의 개념이 확산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제품은 인간의 신체적 기능을 대신해주는 기계중심의 제품에서 인간의 사고를 대신해주는 지적 자원 제품으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계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정예슬, 2013). 사용자 중심 디자인이 등장함에 따라 사용성은 제품 및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적 기능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ㆍ인지적 기능까지 모두 포괄하게 되었고(이건표, 1996) 사용성이 제품, 소프트

Page 4: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14 -

웨어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또한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제품 및 서비스에 차별화를 두기 위한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사용성 평가는 특정 환경에서 특정 사용자가 제품 및 서비스에서 수행하는 작업 및 행동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이다(Karat & Karat, 2003). 일반적으로 사용성 평가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먼저 제품 및 서비스의 사용 과정을 가정한 태스크를 부여한다. 이때, 업무 수행시간, 수행도, 특이사항, 주요 오류 유형의 빈도 등을 기록하고 기록된 자료를 토대로 제품 및 서비스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ㆍ보완점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파악된 행동 과정에서의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ㆍ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도출한다(Krug, 2014). 이러한 사용성 평가의 방법은 하나로 결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상황이나 목적에 맞게 평가의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이하연, 김정룡, 2002). 사용성 평가가 사용자의 주요 행동 과정에서의 개선ㆍ보완점을 발견하고, 사용자가 제품 및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므로, 각 제품 및 서비스 별 주요 행동에 따라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2. 기존 사용성 평가의 원칙

사용성 평가의 원칙은 90년대 초반부터 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양하게 주장되어 왔으며,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제품의 특성에 맞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용성의 원칙은 연구의 대상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었는데, 가장 먼저 사용성의 중요성을 주장한 Shackel(1991)은 ‘Usability-Context, Framework, Definition, Design and Evaluation’을 통해 유효성(Efficiency), 학습의용이성(Learnability), 유연성(Flexibility), 사용자의 태도(User Attitude)의 원칙을 제시하면서 사용성을 하나의 프로세스라고 주장하였다. 또 사용성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앞서가는 전문가로 소개 되는 Nielsen(199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을 강조한 ‘Discount Usability Engineering’ 운동을 처음 전개하였으며, 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 효율성(Efficiency), 기억의 용이성(Memorability), 오류(Error), 만족도(Satisfaction)를 사용성 평가의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Nielsen과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성 평가 방법을 제시한 Gould & Lewis(1985)는 ‘Designing for usability: Key principles and what designers think’라는 주제로 효율적인 사용성 평가의 방법과 만족도(Satisfaction), 기억의 용이성(Memorability), 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사용성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제품 및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을 측정하는 모델도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모델은 FURPS, SUMI, QUIM이다. FURPS(Functionality Usability Reliability Performance Supportability)는 소프트웨어

Page 5: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5 -

품질 속성을 분류하기 위하여 HP에서 개발된 모델이다. 이 모델은 소프트웨어 품질의 기능과 비기능의 요구사항을 분류하여 평가하며, 모델의 5가지 속성 중 비기능에 속한 사용성(Usability)의 원칙은 인간 요인(Human Factors), 심미성(Aesthetics), 유익성(Helpfulness), 문서화(Documentation), 반응성(Responsiveness)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Watson, 2006). 이와 유사한 모델인 QUIM(Quality in Use Integrated Measurement)은 통합된 사용성의 품질을 측정하는 모델이며, 제품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의 관점으로 사용성의 품질을 정의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는 효율성(Efficiency), 유효성(Effectiveness), 만족도(Satisfaction), 생산력(Productivity), 안전성(Safety), 국제성(Internationality), 접근성(Accessibility)을 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Seffah & Kececi & Donyaee, 2001). 마지막으로 SUMI(Software Usability Measurement Inventory)는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프로토타입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이다. 이 모델은 효율성(Efficiency), 반응성(Responsiveness), 유익성(Helpfulness), 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Kirakowski & Corbett, 1993).

3. 사용성과 관련된 표준규격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표준규격에서도 대상이나 목적에 따라 사용성의 정의를 다양하게 명시하고 있는데, 사용성에 관한 표준규격은 ISO 9242-11, 9126, 9241-210이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규격인 ISO 9241-11(Guidance on Usability)은 전산, 장비 등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서 환경적 측면에서 필요한 부분과 사용자의 업무 및 만족도 기준에 의거하여 사용성을 명시하고 있다. 명시된 사용성 평가의 원칙은 유효성(Effectiveness), 효율성(Efficiency), 만족도(Satisfaction)이다. ISO 9241-11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 9241-210(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은 인간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인 ISO 13407이 폐기되고 ISO에서 재 발행한 규격이다. 기존의 ISO 13407의 원칙을 계승하여 사용자 작업 및 환경에 대한 명확한 이해, 사용자의 설계 및 개발의 참여, 사용자 중심의 평가, 프로세스의 반복, 환경에 대한 대응, 기술과 관점을 포함하여 6가지 원칙으로 확장되었고, 인간중심디자인의 원칙 및 프로세스와 지속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241-210의 규격에 따르면, 사용자의 태도(User Attitude), 이해성(Understandability), 만족도(Satisfaction), 인간요소(Human Factors)의 4가지 요소가 사용성 평가의 원칙으로 명시되어 있다. ISO 9126에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필수 요소를 기능성(Functionality), 신뢰성(Reliability), 유효성(Efficiency),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 이동성(Portability), 사용성(Usability)으로 명시하고 있다.

Page 6: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16 -

4. 수동휠체어에 적용될 사용성 평가의 원칙

위에서 살펴본 사용성 평가의 원칙을 종합해보면, 연구자의 주장이나 표준규격의 목적에 따라 요소의 의미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Nielsen이 주장한 원칙인 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 기억의 용이성(Memorability), 오류(Error), 효율성(Efficiency), 만족도(Satisfaction)에 모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성 평가는 주로 소프트웨어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도출된 원칙의 의미를 그대로 물리적인 제품에 평가하는데 적용하기는 어렵다. 제품은 화면과 같은 인터페이스 보다 물리적ㆍ환경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인체 치수나 사용자의 행동 반경 등의 인간공학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도출된 각 요소들의 의미를 제품 사용성의 관점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재해석한 각 요소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면, 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은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어려움 없이 사용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제품의 사용방법이 용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억의 용이성(Memorability)은 사용자가 제품을 처음 사용하거나 장시간 사용을 중단했다가 다시 사용할 경우에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함으로써 제품에서는 직관성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오류(Error)의 최소화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데 오류를 적게 경험해야하고, 어떤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오류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율성(Efficiency)은 사용자가 제품 에서 하는 작업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시간적ㆍ물리적ㆍ환경적 영향이 최소화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만족도(Satisfaction)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주관적이고 전반적인 만족도를 의미한다. 위의 5가지 사용성 평가의 원칙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가 사용성이 높은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사용성의 원칙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표1> 참조).

<표 1> 종합한 사용성 평가의 원칙

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

Understandability, Helpfulness

제품의 조작 방법이 간단하여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무리가 없도록 조작이 용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오류의 최소화(Error)

Responsiveness, Effectiveness, Reliability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데 어떠한 행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 행동을 방해하는 요소와 위험요소를 제거해 오류의 빈도가 낮아야 하고,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쉽고 빠르게 오류해결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Page 7: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7 -

<표 1> 종합한 사용성 평가의 원칙(계속)

직관성(Intuitiveness)

Memorability장시간 사용하지 않았거나 처음 제품을 접하는 사용자에게도 사용에 대한 직관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에 무리가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효율성(Efficiency)

Flexibility, Operability, Maintainability제품을 사용 하거나 사용 방법을 배우는 데 있어서 시간적ㆍ물리적ㆍ환경적 영향이 적게 미치도록 하여 어떤 행동을 수행하더라도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

만족도(Satisfaction)

User Attitude, Aesthetics, Human Factors사용자의 신체 특성과 행동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을 가능하게 해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편안함을 주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5. 기존의 보조기기 평가도구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부족한 신체적 능력을 도와 독립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보조기기를 선택하거나 맞춤 제작을 할 때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보조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Hocking, 1999).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과 행동 별 요구사항 등을 반영할 수 있는 전문적인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현재 국ㆍ내외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보조기기 평가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국립재활원에서는 휠체어 및 이동보조기기 평가 도구를 사용하고 있고, 국외에서는 QUEST, MPT 평가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국립재활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휠체어 및 이동기기 평가 도구는 국내의 각 병원, 복지관 등 총 11개의 센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국립재활원, 2009). 이는 국립재활원의 평가도구가 국내 휠체어 및 이동기기 영역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립재활원에서 사용되는 평가도구는 총 3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휠체어 초기 개발이 아닌 휠체어 맞춤 제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 평가도구는 주로 신체능력과 인지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평가도구의 세부 항목은 사용자의 기본사항, 과거병력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부터 이동보조기기의 최종 목적, 환경적 평가, 사회적 평가, 기능적 평가까지 신체능력과 인지능력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평가도구는 기능성ㆍ안전성 항목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별적인 요구사항을 사용성 관점에서 반영하기에는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QUEST(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는 크게 보조기기와 보조기기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평가로 구분된다. 이 평가도구는 신체능력 및 기능을 평가하는 국립재활원 평가도구와 다르게 사용자의 주관적인 만족도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Demers & Weiss-Lambrou & Ska, 2000). 이 평가도구의 장점은 보조기기 만족도에 대한 경험과 의견을 얻기 쉽다는 것이며, 여기서 말하는 만족도는 보조

Page 8: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18 -

기기 및 서비스가 가지는 고유 특성에 대한 인식, 기대, 태도, 가치의 개인적 평가를 중심으로 보조기기에 대한 편안함, 설치의 용이성, 효과성 등에 주관적으로 얼마나 만족하는가를 의미한다(안나연, 공진용, 2009). 만족도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평가도구에서의 만족도는 보조기기의 사용에 대한 평가라기 보다는 규격, 무게, 안전성, 내구성과 같은 보조기기 자체의 성능ㆍ기능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UEST 평가항목에서 성능ㆍ기능의 항목을 제외하고 사용의 용이성, 설치의 용이성, 편안함과 같은 수동휠체어 사용에 있어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일부 평가 요소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MPT(Matching person and technology)는 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기술과 사용자 사이의 최적의 사용 방법을 제공해주는 평가도구다(Scherer & Craddock, 2002). 이 평가도구의 항목은 사람이 기술을 사용하는 환경, 개인의 특성, 기술의 기능과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와 개발자의 관점 사이에서 일치하는 정도를 평가하고, 기술의 사용에 관련된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MPT를 사용한다면 보조기기 기술 자체에서의 사용자의 요구는 나타날 수 있겠지만, 보조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평가 항목이 부족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는 보조기기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부적절한 사용 방법을 제공하게 될 수도 있게 한다(Scherer, 2004).

보조기기의 개발 및 맞춤 제작을 할 때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각 개별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이나 주요 행동을 고려한 제품 사용에 관한 전문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조기기 평가도구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주로 기능성ㆍ안전성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기술에 대한 평가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성을 개선하기에 부족하다.

Ⅲ. 수동휠체어 사용자에 대한 이해

1. 수동휠체어의 정의

장애인의 보조기기 중 이동을 위한 보조기기에 속하는 수동휠체어는 하지 기능이 손상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보행 및 이동(Transfer)을 할 수 있도록 바퀴를 장착하여 제작된 의자이다. 수동휠체어의 역할은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올바른 착석자세를 위해 지지와 이동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국립재활원, 2011). 이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해

Page 9: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9 -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이들의 사회참여 및 다양한 활동을 확대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근민, 2016).

2. 수동휠체어의 종류

최근 장애인의 문화 활동, 경제 활동 등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용도의 휠체어가 개발되고 있다. 수동휠체어의 종류는 주로 장애 초기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표준형, 다양한 활동을 위해 표준형 휠체어 보다 가볍고 높은 내구성을 가진 활동형, 레저 활동이나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최적화된 스포츠형, 재활 운동을 스스로 할 수 없는 대상자를 위한 기립보조와 자세관리의 기능이 추가된 특수형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는 맞춤 개조 단계에 적용되기 때문에 숙련된 사용자보다 초보 사용자에게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주로 장애 초기에 사용되어 초보 사용자가 사용할 가능성이 많고, 맞춤 제작을 진행하기 전에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표준형 휠체어를 대상으로 하였다.

3. 수동휠체어 사용 및 조작과 관련된 연구

수동휠체어는 전동휠체어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바퀴의 손잡이(이하 ‘핸드림’이라고 함)를 잡고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오르막길이나 높은 턱과 같은 특수한 지형에서는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러한 물리적ㆍ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중 경사로의 기울기와 높이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김충식 등, 2010)에 따르면, 휠체어 사용자는 지형의 기울기와 높이에 따라 물리적인 불편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해 사용성에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사로의 기울기에 따라 물리적인 영향을 받게 되어 불편도가 증가하게 되면 사용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휠체어 사용자가 주행을 할 때 방향이나 기울기에 따라 사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주행 별 방향이나 기울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애인의 일생생활에서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WSP(Wheelchair Skills Test)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WSP는 수동휠체어 사용자 혹은 보호자의 휠체어 조작능력을 평가하고, 재활훈련에서 중요한 조작 기술을 훈련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WSP는 수동휠체어와 전동휠체어에 따라 검사항목이 다르게 평가되는데, 수동휠체어의 평가항목은 실내기술, 사회기술, 고급기술의 총 3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박제모, 2014). WSP 프로그램의 훈련이 실제 조작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공진용, 2010)에 따르면, 캠퍼스 내에서 가장 많이 직면하는 환경요소는 ‘학교 들어가기-사면 이동하기, 캠퍼스 이동하기-단차 통과하기, 건물로

Page 10: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20 -

들어가기-출입문 들어가기, 강의실 찾아가기-승강기 이용하기, 강의실 들어가기-강의실 문 들어가기, 화장실 사용하기-대변기로 이동하기/휠체어로 이동하기로 나타. 연구 결과, 사면 이동하기와 높은 각도의 경사면 올라가기에서 높은 변화율이 나타났으며, 대변기로 이동하기/휠체어로 이동하기와 출입문 들어가기에서도 훈련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수동휠체어의 효율적이고 자유로운 사용을 위해 경사면, 좁은 통로의 이동과 이동(Transfer)의 사전 평가 및 훈련이 필요하다. 수동휠체어 사용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도출한 세부 요소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주행과 이동(Transfer)의 세부 요소

주행 이동(Transfer)

방향 기울기 환경적 문제 행동

전방/후방좌측/우측 오르막/내리막 낮은 턱

좁은 통로휠체어 ↔ 침대휠체어 ↔ 의자

4. 수동휠체어의 표준규격

국내의 휠체어 표준 규격인 KS P 6113은 체중 100kg을 초과하지 않는 사람이 사용하도록 제작된 수동휠체어의 요구사항과 시험 방법을 명시하고 있다. 표준규격에 명시되어 있는 수동휠체어의 요구사항의 요소는 전체 폭, 접은 폭, 기준점에서 발판까지의 거리, 전체 높이, 바닥에서 좌석까지의 높이, 좌석 너비, 좌석 깊이, 좌석에서 팔꿈치까지의 높이, 등받이 높이, 팔걸이 길이, 구동륜 지름, 핸드림의 지름, 핸드림의 부착 간격, 자체륜 지름, 발판 조절 범위, 발판의 최저 지상 높이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규격은 수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외국인의 평균적인 신체 치수를 바탕으로 표준화되어 있고, 대부분의 보조기기가 표준규격의 치수에 따라 제작되기 때문에 장애인 개인의 체형 및 특성에 적합하지 않다(김승언, 송병섭, 2013).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 및 체형을 고려한 휠체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맞춤 제작 시 사용자의 신체 특성 및 체형과 주요 행동을 바탕으로 수동휠체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요소의 평가를 진행하여 휠체어의 조작 능력을 향상시킨다면, 수동휠체어의 사용성을 개선시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동휠체어의 표준규격에 명시되어 있는 요소 중 수동휠체어 사용자와 자주 접촉하고 사용하는 등받이, 발판, 핸드림 등 일부 요소를 사용성 평가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Page 11: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21 -

5. 올바른 휠체어 선택을 위한 고려요소

국립재활원 중앙보조기구센터에서 휠체어 사용자에게 올바른 휠체어 선택 방법과 휠체어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휠체어 및 이동기기 안내서를 발간하였다. 그 중 올바른 휠체어 선택을 위한 고려요소를 살펴보면,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수납에 용이해야 하고, 사용에 대한 어려움이 없어야 하며,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접근성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국립재활원, 2011). 여기에서 명시된 고려사항을 충족하는 휠체어는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편리한 제품임을 뜻하므로 수동휠체어 제작 및 맞춤 제작을 할 때 사용성 평가척도에서 가이드라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명시된 고려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사용의 간편함은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거나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도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학습의 용이성과 직관성에 포함된다. 접근성 문제의 손쉬운 해결은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해결할 수 있어야 하는 오류의 최소화에 포함된다. 신체의 상태에 맞는 수정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함으로 인해 효율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하므로 효율성에 포함된다. 가벼운 무게와 작은 부피는 사용자의 수송 및 휴대를 편리하게 하여 사용하는데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만족도에 포함된다. 따라서 위의 고려사항은 사용성 평가 원칙인 학습의 용이성, 오류의 최소화, 직관성, 효율성, 만족도의 원칙에 포함되며, 각 원칙의 세부사항으로 활용될 것이다.

한편 수동휠체어의 사용 만족도에 대한 다른 연구(김세훈, 2008)에 따르면, 최근 사회적 분위기 변화로 인해 장애인들이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면서 편리하고 세련된 휠체어를 선호하게 됨에 따라 휠체어 선택 시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브랜드와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즉, 휠체어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조기기 외형의 심미성(무게, 크기, 디자인, 색상, 재질)에 대한 고려도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고려사항들을 세부요소로 접목하여 종합한 사용성 평가의 원칙과 세부 요소는 <표3>과 같다.

<표 3> 사용성 평가척도의 요소

사용성 평가의 원칙

사용성 평가의 원칙

학습의 용이성 직관성 오류의 최소화 효율성 만족도 심미성

고려사항 사용의 간편함 접근성 문제의 손쉬운 해결

신체의 상태에 맞는 수정

가벼운 무게/작은

부피, 수송의 편의성

무게크기

디자인색상재질

Page 12: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22 -

6.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정의

선천적ㆍ후천적인 문제로 기능적으로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경우, 심폐기능의 문제로 인해 100m 이상의 보행이 힘든 장애인은 휠체어 및 이동보조기기가 필요하다(국립재활원, 2011). 즉,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하지의 기능적인 문제로 인해 보행 및 이동(Transfer)이 불가능한 지체, 뇌병변, 심장, 호흡기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다. 그 중에서 수동휠체어는 주로 지체ㆍ뇌병변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혼자 힘으로는 이동이 곤란하기 때문에 휠체어에 의존하게 되거나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이창희, 2011; 고영준, 2011).

7.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2차 합병증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신체의 일부가 압박되거나 과부화가 발생함으로 인해 욕창, 골다공증, 경직과 같은 2차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손상 이하 부위에서만 발생하고 고관절, 슬관절 주위에 호발하며, 혼수상태, 척수손상, 강직, 골절 등이 2주 이상 지속되면 발생할 수 있는 이소성 골화증, 주로 경수 손상이 있는 환자들이 장시간 앉아 있을 때 자율신경부전으로 인해 말초 혈관이 수축되지 않아 뇌로 가는 혈액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기립성 저혈압과 보조기기 사용 시 감각이 없는 신체부위의 끼임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사용 중 보조기기에서 낙상해서 발생하는 골절 등이 있다.

2차 사고에 의해서도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2차 사고는 주로 수동휠체어 사용 중에 신체의 일부가 끼는 경우, 물체나 사람과 부딪쳐 충돌하는 경우, 이동(Transfer) 중 추락하는 경우 등의 이유로 발생하게 된다. 사고의 원인은 대부분 도로, 지면, 경사면, 턱 등의 물리적인 장애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의 컨트롤러, 핸들, 핸드림 등의 조작부주의와 보조기기 자체의 기기결함으로 인해 발생하여, 하지의 일부 부위에 가장 많은 손상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공진용, 2013). 즉, 2차 사고와 합병증은 휠체어에서의 올바르지 않은 자세, 휠체어의 잘못된 조작, 물리적인 문제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동휠체어 개발 및 맞춤 제작 전에 사용자의 2차 사고와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낙상위험, 끼임위험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게 되면 2차 합병증의 예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자신에게 부적합한 휠체어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목, 어깨와 같은 상지 부위, 엉덩이와 같은 하지 부위의 압박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이동훈, 변승남, 1994).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복근을 이완시키게 되고 다른 부위까지 손상을 입게 되어 소화기관과 심장기능 저하 등과 같은 2차 합병증으로 이어져 보조기기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포기하게

Page 13: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23 -

될 수 있다(Grandjean & Landrigan, 2006; Drury & Couty, 1982). 즉,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및 체형에 맞지 않는 보조기기를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보조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보조기기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해 기능적인 손실과 정신적인 질환으로 이어지게 된다(Scherer, 2004; Phillips & Zaho, 1993). 따라서 장애인의 지속적인 보조기기 사용을 위해서는 수동휠체어에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및 체형에 맞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Pendleton & Heidi & Winifred, 2013).

8.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 교육

2차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휠체어에서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휠체어 자세 교육에 관한 연구(김환희, 2013)에서는 휠체어에서의 올바른 자세의 정의, 중요성,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수동휠체어에서의 올바른 자세는 가장 적은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행동에 효율적인 작업이 수행가능하게 한다(권혁철, 2014). 휠체어 자세 교육 내용은 상담, 자세 교육, 발 받침대 조절, 시트 쿠션 및 삽입물 사용에 대한 큰 항목으로 구성된다. 먼저 자세 교육에 대한 내용은 사용자가 대칭적으로 앉을 수 있어야 하고, 사용자의 골반 뒤쪽에 맞닿아 앉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외부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자세유지가 가능해야한다. 발 받침대 조절에서는 지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바닥에서 5cm 높이에 위치하도록 높이를 조절해야하고, 엉덩이 관절을 90도, 무릎관절을 70도, 발목은 중립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트쿠션 및 삽입물 사용에서는 욕창과 같은 2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시트쿠션을 사용해야하고, 균일하게 압력이 가해지도록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즉,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발 받침대와 시트와 같은 요소를 스스로 조절해 올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2차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발 받침대와 시트와 같은 요소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성 평가척도에서는 발 받침대와 시트와 같은 요소의 간편한 조절에 대한 세부항목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Page 14: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24 -

Ⅳ. 평가척도 개발

1. 사용성의 원칙

사용성은 단순히 안전성ㆍ기능성을 제공해주는 것을 넘어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사용과 신체에 적합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 개별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과 주요 행동을 고려해야하는 보조기기에 반드시 필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4장에서 도출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의 원칙은 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 직관성(Intuitiveness), 오류(Error), 효율성(Efficiency), 만족도(Satisfaction)로 나타났다(표 4).

<표 4>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용성 평가의 원칙

최종 사용성 평가의 원칙학습의 용이성(Learnability)

직관성(Intuitiveness)

오류의 최소화(Error)

효율성(Efficiency)

만족도(Satisfaction)

2.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의 세부항목

앞선 문헌연구를 통해 조작의 간편함, 직관적인 요소, 낙상위험 방지, 끼임위험 방지, 조작의 효율성, 올바른 자세, 편안함, 신체 적합성, 외형의 만족도의 세부 항목을 도출하였다.

사용성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요소인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주요 행동은 실제 장애인에게 보조기기 맞춤 개조 및 평가를 진행하는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주요 행동을 주행, 이동(Transfer : 예를 들어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 정지, 관리 4가지로 분류하여 각 원칙과 세부항목에 접목시켰다. 주행과 이동의 세부 행동은 문헌조사를 통해 기울기, 방향, 환경적 문제, 행동에 따라 도출하였고, 정지와 관리의 세부 행동은 정지, 관리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세부 행동은 아래의 <표5>와 같다.

<표 5>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주요 행동 별 세부 항목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주요행동주행 이동(Transfer) 정지 관리

방향 기울기 환경적 문제휠체어 ↔ 침대휠체어 ↔ 의자

착석 자세의 교정/유지

휠체어에서 다른 행동

(독서, 식사 등)

세척수납/휴대전방/후방

좌측/우측오르막/내리

막낮은 턱

좁은 통로

Page 15: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25 -

주행은 전방/후방, 좌측/우측, 오르막/내리막, 낮은 턱, 좁은 통로 주행을 세부행동으로 선정하였고, 이동은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과 휠체어에서 의자로 양방향 이동으로 선정하였다. 정지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의 교정 및 유지와 휠체어에서의 독서, 식사 등 다른 행동의 세부 행동을 선정하였고, 관리는 수동휠체어 세척과 수동휠체어의 수납 및 휴대를 세부 행동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종합한 원칙, 세부 요소, 주요 행동은 <표6>과 같다.

<표 6> 최종 사용성 평가척도의 요소

최종 사용성 평가도구 요소

사용성평가의 원칙

학습의 용이성 직관성 오류의 최소화 효율성 만족도 심미성

고려사항 사용의 간편함 접근성 문제의 손쉬운 해결

신체의 상태에 맞는 수정

가벼운 무게/작은

부피, 수송의 편의성

무게크기

디자인색상재질

주요행동 주행, 이동 주행, 이동, 관리

주행, 이동, 정지

주행, 이동, 정지, 관리

주행, 이동, 정지, 관리 -

세부항목 조작의 간편함

직관적인 요소

낙상위험 방지, 끼임위험 방지

조작의 효율성,

올바른 자세

편안함,신체 적합성

외형의만족도

학습의 용이성에서는 수동휠체어의 주요 행동 중 주로 조작을 해야 하는 주행과 이동(신체의 위치 이동)시의 조작 및 사용 방법이 얼마나 간편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세부 항목을 도출하였고, 직관성에서는 주행, 이동, 관리에 있어서 오랜 시간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거나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얼마나 신속하게 인지가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는 세부 항목을 도출하였다. 오류의 최소화에서는 주행 행동에서는 끼임 위험에 대한 항목, 이동 행동에서는 낙상 위험에 대한 항목, 정지 행동에서는 방해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세부 항목을 도출하였다. 효율성의 세부 항목은 사용자의 주요 행동에서 시간적ㆍ물리적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 및 조작이 가능한지와 휠체어에서의 올바른 자세에 대한 고려사항을 참고하여 도출되었다. 만족도의 세부 항목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만족도 평가도구인 QUEST의 보조공학기기 만족도 항목의 요소를 참고하여 주요 행동에 대한 만족도 항목으로 다시 구성하였다. 심미성은 전반적인 수동휠체어 외형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의 평가 항목으로써 디자인, 재질, 크기, 무게, 색상의 요소를 세부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문헌연구와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1차적으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 척도가 도출되었다.

Page 16: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26 -

Ⅴ. 평가척도 검증

1.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평가척도 수정

개발된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를 검증하기 위해 보조기기를 평가 및 맞춤 제작을 진행하고 있는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평가척도의 항목에 대한 자문을 실시하였다. 자문 후 개발된 평가척도의 수정 및 보완을 거침으로써 사용성 평가 척도로서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전문가의 검증을 거친 결과, 중복 항목 제거, 명칭 수정, 평가 항목의 타당성 고려, 평가 척도의 평가 기준 조정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척도의 항목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주요 변경사항은 주행과 이동(Transfer)의 의미가 혼동될 수 있으므로 ‘이동’의 명칭을 ‘트랜스퍼’로 변경하였다. 사용자의 주요 행동 요소 중 주행에서 ‘좌측/우측’의 명칭을 ‘좌측방/우측방’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앉은 자세’의 명칭을 ‘착석 자세’로 변경하였다. 또 주요 행동 중 자세의 항목인 ‘발 받침대/시트의 조절’은 각 요소 별로 분류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어 2개의 항목으로 수정하였고, ‘올바른 자세 유지 및 교정’의 항목은 자세 교정을 위한 캐스터, 핸드림, 바퀴축의 요소를 추가하여 구체화시켰다.

또한 ‘학습의 용이성’과 ‘직관성’이 모두 사용 방법의 직관성 안에 포함되어 중복된 세부항목이라고 판단되어 평가항목을 합쳐 하나의 항목으로 변경하였고, 세부 요소를 전반적으로 수정하였다. ‘사용 만족도’의 신체 적합성은 제품에 속하는 보조기기를 평가할 때 인체공학적 요소로 포함되기 때문에 따로 분류되어 평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적합성’의 대항목을 추가하였고, ‘편안함’의 세부항목을 원칙의 의미에 맞게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미성’의 재질에 대한 만족도는 구체화 될 필요가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나 자세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핸드림, 시트의 요소로 구체화하였다.

2. 최종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

이상과 같이 평가척도의 항목이 전반적으로 수정 및 보완되었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가 완성되었다. 완성된 평가척도는 아래의 <표7>과 같다.

Page 17: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27 -

<표 7>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

항목 세부항목

1 2 3 4 5 사용불가능

매우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만족

학습의용이성

사용방법의 직관성

주행

전방/후방 주행 시 조작 방법이 직관적인가?좌측방/우측방 주행 시 조작 방법이 직관적인가?오르막/내리막 주행 시 조작 방법이 직관적인가?낮은 턱 주행 시 조작 방법이 직관적인가?좁은 통로 주행 시 조작 방법이 직관적인가?

트랜스퍼

좁은 통로 주행 시 조작 방법이 직관적인가?직관성

휠체어에서 침대로 양방향 트랜스퍼 방법이 직관적인가?휠체어에서 의자로 양방향 트랜스퍼 방법이 직관적인가?

오류의최소화

끼임위험

주행

전방/후방 주행 시 신체의 끼임이 있는가?좌측방/우측방 주행 시 신체의 끼임이 있는가?오르막/내리막 주행 시 신체의 끼임이 있는가?낮은 턱 주행 시 신체의 끼임이 있는가?좁은 통로 주행 시 신체의 끼임이 있는가?

낙상 위험

트랜스퍼

휠체어에서 침대로 양방향 트랜스퍼 시 낙상 위험이 있는가?

휠체어에서 의자로 양방향 트랜스퍼 시 낙상 위험이 있는가?

방해요소

정지

착석 자세의 유지 및 교정의 방해요소가 있는가?휠체어에서의 다른 행동(식사, 독서, 노트북 이용 등)의 방해요소가 있는가?

효율성

조작의 효율성

주행

전방/후방 주행 시 조작이 효율적인가?좌측방/우측방 주행 시 조작이 효율적인가?오르막/내리막 주행 시 조작이 효율적인가?낮은 턱 주행 시 조작이 효율적인가?좁은 통로 주행 시 조작이 효율적인가?

트랜스퍼

휠체어에서 침대로 양방향 트랜스퍼가 효율적인가?

휠체어에서 의자로 양방향 트랜스퍼가 효율적인가?

정지

착석 자세의 유지 및 교정 시간이 효율적인가?휠체어에서의 다른 행동(식사, 독서, 노트북 이용 등)이 효율적인가?

관리

세척이 효율적인가?휠체어의 접이 방식이 효율적인가?

자세

발 받침대의 조절이 효율적인가?시트의 추가 및 제거가 효율적인가?캐스터, 핸드림, 바퀴축의 조절이 효율적인가?

Page 18: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28 -

<표 7>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계속)

항목 세부항목

1 2 3 4 5사용불가능

매우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만족

사용만족도

편안함

주행

전방/후방 주행 시 승차감이 편안한가?좌측방/우측방 주행 시 승차감이 편안한가?오르막/내리막 주행 시 승차감이 편안한가?낮은 턱 주행 시 승차감이 편안한가?좁은 통로 주행 시 승차감이 편안한가?

트랜스퍼

휠체어에서 침대로 양방향 트랜스퍼 시 안정감을 느끼는가?

휠체어에서 의자로 양방향 트랜스퍼 시 안정감을 느끼는가?

정지

휠체어에서의 착석 자세에 안정감을 느끼는가?휠체어에서의 다른 행동(식사, 독서, 노트북 이용등)에 안정감을 느끼는가?

관리

세척이 간편한가?휠체어의 접이 방식이 간편한가?

적합성

신체적합성

주행

전방/후방 주행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좌측방/우측방 주행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오르막/내리막 주행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낮은 턱 주행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좁은 통로 주행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

트랜스퍼

휠체어에서 침대로 양방향 트랜스퍼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

휠체어에서 의자로 양방향 트랜스퍼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

정지

착석 자세의 교정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휠체어에서의 다른 행동(식사, 독서, 노트북 이용 등) 시 휠체어의 크기가 신체에 적합한가?

심미성

외형만족도

외형

휠체어의 크기에 만족하는가?휠체어의 무게에 만족하는가?휠체어의 색상에 만족하는가?휠체어의 디자인에 만족하는가?핸드림, 시트의 재질에 만족하는가?

Page 19: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29 -

Ⅵ. 결론 및 향후계획

대부분의 지체ㆍ뇌병변 장애인은 이동을 위한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장애인들은 단기간 내에 보조기기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장애 정도, 주요 행동을 고려한 맞춤형 휠체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재 일부에서 휠체어 맞춤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때 활용되는 휠체어 및 이동기기의 평가도구는 대부분 기능성ㆍ안전성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휠체어 사용을 개선할 수 있는 사용성에 관한 평가 항목이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동휠체어 사용성 개선을 위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를 개발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인 사용과 독립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사용성 평가의 원칙과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1차적으로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평가 척도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 후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총 56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가 완성되었다.

개발된 수동휠체어 평가척도는 수동휠체어의 제작 및 맞춤 수정 제작에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는 실제 수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의 요구사항을 직접적으로 물어서 반영한 것이라기 보다는 장애인들을 잘 이해하는 보조공학사나 장애인 시설 관계자들로부터 검증되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개발된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실제로 수동휠체어에 대한 상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이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평가척도에 반영하는 과정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일반적으로 설문 항목의 완전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타당도와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지 못한 것은 역시 한계점으로 남는다. 향후에는 개발된 평가척도를 이용한 상용성 평가와 더불어 각 평가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Page 20: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30 -

참 고 문 헌

권혁철 (2014). 재활전문가를 위한 휠체어 개론, 서울: 대학서림.보건복지부 (2014). 장애인 실태조사, 세종: 저자.고영준 (2011). 사용자 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방법과 사례, 파주: 이담북스.공진용. (2013). 장애인 이동보조기기 안전사고 실태조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2), 1-16.공진용, 조재덕. (2010). 휠체어 조작기술 훈련 프로그램(WSTP)이 캠퍼스 환경 내 휠체어 조작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연구, 49(4), 139-158.국립재활원 중앙보조기구센터 (2011). 휠체어 실무자 및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및 이동기기 안내서, 서울:

저자.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2009). 휠체어 및 이동기기 평가도구, 서울: 저자.김세훈 (2008). 척수손상장애인의 수동휠체어 사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김승언, 송병섭. (2013). 성인인체치수에 따른 한국형수동휠체어 표준규격에 관한 고찰, 재활복지공학회,

7(2), 63-68.김충식 등 (2010). 경사로의 기울기와 높이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의 사용성 및 생리적 특성 분석, 대한

인간공학회, 29(4), 681-686.김환희 (2013). 휠체어 자세 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앉은 자세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

학회, 21(3), 103-114.박제모, 편마비 환자의 일반 접이식 수동휠체어 사용상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신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손병창 (2009). 장애유형별 휠체어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지체 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8(4), 19-37.신응수, 이희태, 안성철 (2001). 정ㆍ역 구동방식 수동휠체어의 인체공학적 성능 분석,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1(3), 464-469.안나연, 공진용 (2009). 한국어 번역판 보조공학 평가도구 QUEST 2.0의 검증연구, 장애와 고용,

19(2), 99-116.오은혜 (2010).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사용성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소비문화연구, 13(3),

101-121.유성문 (2016). 전동휠체어 등받이시트 디자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

대학, 석사학위논문.이건표 (1996).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37-150.이근민 (2016). 기립보조형 전동휠체어 개발에 따른 장애인 사용성 평가 연구, 재활복지, 20(1),

211-233.이근민 (2013). 대구광역시 보조기구센터의 보조공학 지원 사업 별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7, 359-375.

Page 21: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31 -

이동훈, 변승남 (1994). 설문조사 기법을 응용한 사무용 의자의 사용 실태분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춘계학술대회, 1, 96-101.

전영환, 이근민 (2014).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평가, EDI 연구보고서 다이제스트, 28-31.정예슬. (2013). AHP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내비게이션의 사용성 평가척도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정동훈 (2005). 임상 적용을 위한 휠체어 진단 및 평가, 서울: 정담미디어.Scherer, M. J. & Craddock, G. (2002). Matching person & technology (MPT) assessment

process, Technology and Disability, 14(3), 125-131.Seffah, A., Kececi, N. & Donyaee, M. (2001). QUIM: a framework for quantifying usability

metrics in software quality models. In Quality Software, 2001. Proceedings. Second Asia-Pacific Conference on (pp. 311-318). IEEE.

Shackel, B. (1991). Usability-context, framework, definition, design and evaluation. Human factors for informatics usability, 21-37.

Drury, C. G. & Coury, B. G. (1982). A methodology for chair evaluation, Applied Ergonomics, 13(3), 195-202.

Demers, L., Wess-Lambrou, R. & Ska, B. (2000).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version 2.0), The Institution for Matching Person & Technology. Inc, NY.

Frank Lopresti, E., Mihailidis, A. & Kirsch, N. (2004). Assistive technology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State of the art,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4(1-2), 5-39.

Pendleton, H. M. & Schultz-Krohn, W. (2013).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Hocking, C. (1999). Function or feelings: factors in abandonment of assistive devices, Technology and Disability, 11(1, 2), 3-11.

Standard, I. (1998). Ergonomic requirements for office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vdts)–part 11: Guidance on usability. ISO Standard 9241-11: 1998.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ould, J. D. & Lewis, C. (1985). Designing for usability: key principles and what designers think, Communications of the ACM, 28(3), 300-311.

Karat, J. & Karat, C. M. (2003). The evolution of user-centered focus in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field, IBM Systems Journal, 42(4), 532-541.

Kirakowski, J. & Corbett, M. (1993). SUMI: The software usability measurement inventor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3), 210-212.

Krug, S. (2014). Don't make me think: Web Usability: Das intuitive Web. MITP-Verlags GmbH & Co. KG.

Nielsen, J. (1994). Usability engineering. Elsevier.

Page 22: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32 -

Scherer, M. J. (1996). Outcomes of assistive technology use on quality of lif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8(9), 439-448.

Parette, H. P. & Scherer, M. J. (2004). Connecting to learn: Educational and assistive technolog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hillips, B. & Zhao, H. (1993). Predictors of assistive technology abandonment, Assistive technology, 5(1), 36-45.

Grandjean, P. & Landrigan, P. J. (2006). Developmental neurotoxicity of industrial chemicals, The Lancet, 368(9553), 2167-2178.

Watson, M. (2006). Managing smaller projects: a practical guide. Multi-Media Publications Inc..

Wessels, R. D., De Witte, L. P. & Van Den Heuvel, W. J. A. (2004). Measuring effectiv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assistive devices from a user perspective: An exploration of the literature, Technology and Disability, 16(2), 83-90.

Page 23: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6-%B9%CE%BC%F...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13 - 에서 오는 2차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 333 -

<Abstract>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Scale for Manual Wheelchair

Min, Sook-Hyun ㆍ Jeong, Seong-W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usability assessment scale based on key behavior exhibited by users of standard manual wheelchairs, widely used by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cerebral palsy in the early stage. The items of the usability assessment scale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articles, standard specifications, and manuals on the use and manufacturing of wheelchairs. Detailed items under the developed assessment scale were modified through an expert revie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items of the usability assessment scale were ease of learning, minimization of error, ease of memorization,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e detailed items were convenient controls, objective elements, reduced risk of falling, prevention of body parts getting caught in the wheelchair, efficiency of controls, proper posture, physical adequacy, convenience, and external satisfaction.

Key Words : Wheelchair, Usability, Wheelchair Usability Test

논문접수 : 2016. 10. 31 / 논문심사일 : 2016. 11. 22 / 게재승인 : 2016.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