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17
연구논문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교수 I. 서론 인류문화의 시작과 원동력은 유인원의 진화론적인 흐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앙드레 르루와 구랑의 말을 빌리자면, 직립인간의 탄생으로 앞발이 손으로 진화되면서 도구를 제작하는 과정을 구축하여 새로운 감각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감각은 ‘촉각’과 ‘시각’의 확립을 통해 일상의 욕구를 충족하는 계기를 형성하고, 인간의 총체적인 감각기관과 연관된 인류 문화의 태초를 만드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인간의 신체구조 중에서 손은 가장 복잡하고 섬세한 신경구조의 총체적인 집합체이다. 또한 손은 인간이 세상과 만나기 위한 기능의 분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발은 삶의 영역을 확충하고 보는 것에 대한 정면성의 문제와 연관된다. 즉 정면성의 문제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문제로 직면하게 되고, 눈의 개입으로 인한 시각적 정보를 다루는 역사적인 맥락의 형성은 선사시대의 동굴벽화에서처럼 인간의 총체적인 감각 기관의 출현으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하다. 이미지의 시원으로 대표성을 갖고 있는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는 신비스러움과 감동적인 형상의 표현과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재현되었다. 또한 동굴벽화의 이미지는 인간이 보는 것에 대한 확실한 것의 실체를 대상으로 기록된 재현의 표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정·발전시켜 완성하였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10-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29

연구논문 연구논문

볼터

의「

글쓰

기 공

간」

으로

본 영

상자

막의

시각

적 구

성과

표현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함 현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교수

I. 서론

인류문화의 시작과 원동력은 유인원의 진화론적인 흐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앙드레

르루와 구랑의 말을 빌리자면, 직립인간의 탄생으로 앞발이 손으로 진화되면서 도구를

제작하는 과정을 구축하여 새로운 감각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감각은 ‘촉각’과 ‘시각’의

확립을 통해 일상의 욕구를 충족하는 계기를 형성하고, 인간의 총체적인 감각기관과 연관된

인류 문화의 태초를 만드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인간의 신체구조 중에서 손은 가장 복잡하고 섬세한 신경구조의 총체적인 집합체이다.

또한 손은 인간이 세상과 만나기 위한 기능의 분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발은 삶의

영역을 확충하고 보는 것에 대한 정면성의 문제와 연관된다. 즉 정면성의 문제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문제로 직면하게 되고, 눈의 개입으로 인한 시각적 정보를 다루는

역사적인 맥락의 형성은 선사시대의 동굴벽화에서처럼 인간의 총체적인 감각 기관의

출현으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하다.

이미지의 시원으로 대표성을 갖고 있는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는 신비스러움과 감동적인

형상의 표현과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재현되었다. 또한 동굴벽화의 이미지는 인간이 보는

것에 대한 확실한 것의 실체를 대상으로 기록된 재현의 표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정·발전시켜 완성하였습니다.

Page 2: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30

이에 대해 앙드레 르루와 구랑은 ‘성적인 상징주의’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그림으로 장식된

동굴 내부에는 엄연히 미리 정해진 질서가 존재하고, 그림이나 상징, 동물 문양 등을

조합해서 설명하고 있다.1) 이러한 시선의 문제는 대상에 대한 의식적인 개념을 형성하고,

인간의 창조적인 성과로 표현된 재현의 문제로 귀결된다.

그러나 선사시대의 동굴벽화에 대한 해석은 신비롭고 감탄스러운 예술적 창조물의

존재론적인 측면을 강조하거나 고고학적인 가치적 의미부여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굴벽화 이미지들의 특징은 오늘날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맥락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위 그림은 그 안에 담긴 의미를 전체적으로 종합해

볼 때, 인간-사물의 상호작용이라는 역사적 관점에서 대단히 복잡하고 조직적인 단계를

보여준다.2) 또한 동굴 벽면의 공간적 활용과 표현하고자 하는 실체의 드로잉 작업 및 채색의

구조적 표현방식은 단순한 모사 또는 모방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와 관련하여

앙드레 르루와 구랑은 선사예술의 양식을 [표 1]과 같이 표현기법과 구상방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현대의 그래픽 구성과 체계의 유전적인 진화 과정의 변화도 예측할 수 있다.

시기 표현기법 구상방법

1기 단순한 물체의 형태를 표현 기하학적인 구상

2기 대범한 윤곽으로 그림을 그림 초보적인 합성 구상

3기 동물의 움직임 표현 진화한 합성 구상

4기 동물의 신체 각 부분의 세세함 표현 분석적 구상

<표 1> 선사예술의 양식3)

이처럼 현대 그래픽 구성 양식은 선사시대의 이미지의 출현에서부터 현대의 매체사상가에

이르기까지 앞선 매체를 대체하는 재매개의 과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고에서는 볼터의 글쓰기 공간의 이론적 사례를 중심으로 영상의 시각적 구성 형식의

공간적 개념을 프레임 공간에 적용하여, 영상 이미지와 자막의 그래픽 구성 양식과 상호

관계성 및 시각적 메시지 전달 방식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Anati, Emmanuel/이승재 옮김, 「예술의 기원」 (Aux Origines De L'art), 바다출판사, 2008, p.8. 

2) 위의 책, p.8. 

3) 요코야마 유지/장석호 옮김, 「선사예술기행」, 사계절, 2005, p.167. 

Page 3: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1

Ⅱ. 글쓰기 공간에 대한 볼터의 사상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캔버스’는 바위였으며, 인류는 사피엔스의 사고력을 갖추게 된

이후부터 바위나 동굴의 벽 내부에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을 하기 시작했다.4) 이러한 특성은

돌로 만들어진 도구를 사용하고, 다양한 손과 팔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글쓰기 공간의 개념을 살펴보더라도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다. 현대의 문자 발명은

다양한 매체의 기술적 발전을 통해 글쓰기 공간의 개념을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즉 문자의 형식과 물질적 속성에 따른 다양한 표기 방법은 진화를 거듭하고, 다양한

시각체계의 도식과정을 형성하였다. 또한 문자의 발명은 인간의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고안된

인위적인 창조물로 물질성과 형태적인 구조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시각의 개념을 형성한

인류 문화의 대표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자의 발명은 구술문화시대와 비교해 보았을 때,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즉 대량생산체제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종이와

인쇄술의 발전, 그리고 책의 출현은 문자의 혁명을 가져오게 했다.

문자의 출현은 시각과 시각성의 문제로 발전되었다. 문자 시스템의 확립을 통해 책의

페이지 구성과 형태는 글쓰기의 도식과정, 즉 인쇄 공간의 시각체계의 구조를 확립하게

된다. 또한 글쓰기의 형식과 구성은 공간의 개념으로 확장되는 건축양식과도 같은 유사한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타이포그래피는 물질적이고 형태적인 구조화의

과정을 통해 시각의 개념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시각의 개념을 형성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공간의 개념은 앙드레 르루와 구랑이 선사예술양식을 분류한 표현기법과 구상방법을 통해

글쓰기 구조의 양식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점을 살펴 볼 수 있다.

글쓰기의 역사적인 맥락으로 살펴볼 때, 타이포그래피의 기술발전 과정에서부터

하이퍼텍스트의 시스템과 웹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글쓰기의 매체적 기술적 발전의 변화는

상호매체성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해 볼터는 “재매개”의 변화라고 논의하고 있다.

재매개라는 말 속에는 매체들이 앞선 매체를 대체하면서 그 매체의 글쓰기 특징들을

빌려와서 재조직하며, 그것들의 문화적 공간을 새롭게 형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5)

글쓰기 공간에 대한 볼터의 사유 방식은 글자와 이미지의 밀접한 연관성, 즉 상호매체성의

4) Anati, 앞의 책, p.28. 

5) Bolter, Jay David/김익현 옮김, 「글쓰기의 공간」 (Writing Space),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p.36. 

Page 4: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32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의 웹과 멀티미디어의 기술발전에 따른

글쓰기를 문자표현과 시각적 표현방식 간의 중요성에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사항은

중세시대의 필사본에서도 유사점을 살펴 볼 수 있다. 즉 필사본의 시각적 표현과 텍스트의

문자표현은 시각적 풍요로움을 제공하고, 규격화 및 이미지와 텍스트의 여백과 공간이

활용되었다는 점은 현대 인쇄매체의 글쓰기 공간의 활용과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글쓰기의 시각적, 개념적 공간의 활용이 물질적 또는 테크놀로지에 의해서

결정되어지는 현상이라는 볼터의 사상의 특성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 먼저

볼터는 디지털 글쓰기에서의 낡은 것과 새로운 것6)의 관점에서 저자들이나 디자이너들은

구텐베르크 발명 이후 인쇄술의 서비스가 전자 테크놀로지 시대에서도 동일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논의하고 있다. 이 말에 대한 글쓰기의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보게 되면, 필사본의

시대는 인쇄 시대를 예고하고,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는 매체의 변화, 즉 전자 테크놀로지의

산물들에 의한 시대를 예고할 뿐, 글쓰기의 기술적인 측면은 앞선 기술들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공통점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글쓰기 방법의 유사점이 존재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글쓰기의 혁명은

단순한 식자성에 의한 기술발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글쓰기 즉,

키네틱 타이포그래픽은 새로운 ‘촉각’과 ‘감각’의 끊임없는 창발을 통해, 오랜 세월 동안

지속되었던 문자성에 관한 관념을 해체하고, 청각적이고 시각적인 차원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진보를 거듭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볼터는 서구 글쓰기 역사의 변화에 대해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좀 더 깊은 영향을 준 재매개 중의 하나로 꼽고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해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글쓰기와 읽기의 “모양과 느낌”을 바꾸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7)

결국 글쓰기의 “모양과 느낌”의 변화는 텍스트가 문자성에 의한 전달방식이 아니라,

이미지로 재생산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시각적 주체로 발전되고, 새로운 시각의

매커니즘을 형성하는 것이다. 결국 텍스트의 이미지화 현상은 기존의 문자성에서 이미지로

교환되는 새로운 시각과 시각성을 구축하게 된다.

그렇다면 디지털 글쓰기는 어떤 시각과 시각성을 표출하는가? 이에 대해 핼 포스터는

시각은 사회적이고 역사적이며, 시각성은 신체와 정신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한다. 또한

6) 위의 책, p.11. 

7) 위의 책, p.36. 

Page 5: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서로 동일한 것이 아니며, 이 경우 두 개념의 차이에 대해 시각적인 것

내에서의 어떤 차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그 차이란 시선의 매커니즘과 시선의 역사적인

테크닉들 사이의 차이이며, 시각의 데이터들과 시각의 담론적 규정들 사이의 차이라고

지적하고 있다.8) 그렇다면 디지털 글쓰기의 시작과 기술 발전 과정이 재매개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되는 과정은 텍스트가 이미지 과정의 새로운 시각성을 구축하는 현상으로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존의 텍스트가 갖고 있는 문자성의 시선에 집중된 시각의

데이터인 문자와 텍스트가 이미지로 구축된 텍스트이미지는 보는 것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담론 구성이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구축하게 된다는 점이다.

결국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글쓰기의 특징은 텍스트와 이미지의 혼종성으로 드러나는

새로운 감각의 출현이다. 디지털 글쓰기 공간의 비선형적인 구조의 확장에 따른 기존의

인쇄매체의 규칙적인9) 글쓰기 공간의 활용에 비해, 이미지와 텍스트가 비규칙적인10) 공간적

활용을 통해 봉합된 하나의 이미지로 새로운 시각적 주체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하이퍼리얼리티 시대의 다양한 매체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영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매체성의 특성은 괄목할 만한 연구의

대상이기도 하다.

즉 영상은, 종이라는 글쓰기 공간과 같이, 한정된 프레임 공간에서 이미지와 텍스트를

구별 짓는 공간적 활용으로 영상 이미지와 텍스트의 복합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영상자막이 글쓰기의 공간적 활용과 같은 화면비의 공간적 활용의 틀을 벗어나는

구조적인 특성은 물론 영상자막의 형태가 일반적인 문자를 포함한 다양한 그림, 그래픽적

요소 등을 가미한 도상성을 활용한 텍스트와 이미지가 혼종된 양식으로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볼터의 글쓰기 공간의 사유에서 펼쳐지는 하이퍼텍스트 시스템과

웹을 기반으로 한 글쓰기의 매체적 기술의 발전이 영상제작 시스템의 비선형 시스템의

연동으로 인한 문자표현과 시각적 표현간의 봉합으로 재매개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 장에서는 이러한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의 방식들을 볼터의 글쓰기

공간의 개념적 활용과 구체적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8) Foster Hal/최연희 옮김, 「시각과 시각성」 (Vision and Visuality),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4, p.7.

9) 선형구조

10) 비선형구조 

Page 6: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34

Ⅲ. 볼터의 시선으로 바라본 영상자막의 특징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이르는 글쓰기에 대한 볼터의 견해는 글로 된 생각들을 시각적인

공간에 배치하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테크놀로지라고 명명하고 있다.11) 또한 글을 쓰기 위한

표면의 물질성과 표시를 하는 도구를 사용한 글쓰기에서부터 컴퓨터의 자판을 통해서 글을

쓰는 작업의 형태는 다르지만, 결국 쓰는 것의 기술과 방법에 따른 글쓰기 개념의 기본적인

본질은 해체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쓰기 공간의 활용은 급속한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새로운 도구들의 탄생으로 글쓰기의 기술적, 문화적 특징들이

다변화하고 있는 것은 극명한 사실이다.

컴퓨터 글쓰기 테크놀로지는 영상 매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전통적인 글쓰기

공간의 물질성을 대표하는 종이매체와는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글쓰기 공간의 활용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한정된 공간의 활용을 통해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매체의 프레임

공간은 인쇄출판과도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결국 영상 매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화면구성은 글쓰기 공간이 스크린으로 대체되어, 이미지와 텍스트가 공존하는 시각 기호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다. 영상매체의 공간적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구성이란 이미지가

만족스럽고 통일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모든 시각 요소들을 프레임 안에 배치하는 것을

말하며, 이미지 통합 또는 완성은 선, 컬러, 부피, 빛을 가장 쾌감을 주는 위치에 배치

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12) 결국 화면구성은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즉 언어와 시각 이미지의 명확한 전달 기능을 위한 공간적 활용은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고 대치하는 시각적 언어의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볼터의 글쓰기 공간의

개념에서 바라본 초기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의 공간적 활용은 테크놀로지 기술 발전에

따라 시각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언어 기호와 지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호의 동시성을

제공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영상 매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영상자막은 언어와 지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동시성을 제공하기 보다는, 하나의 텍스트의 개념을 지각하는 데 있어서 우리가

익숙함에 대한 기대와는 다른 복잡한 언어기호, 시각기호가 서로 상호작용 또는 해체되는

11) Bolter, 앞의 책, p.23.

12) Ward Peter/김창유 옮김, 「영화·TV의 화면구성」 (Picture Composition for Film and Television), 책과길,

2000, p.13. 

Page 7: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5

시각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면 영상매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영상자막의 익숙함과

의식적인 사유를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그 특성과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1. 글쓰기 공간적 개념으로 이어지는 영상자막의 화면구성

글쓰기 공간의 중요한 의미 작용과 구성 요소는 텍스트의 서체, 크기, 공간의 여백 활용,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화로움 등을 살펴 볼 수 있다. 영상자막의 활용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일반적인 뉴스나 다큐멘터리 영상처럼 설명을 위주로 특정한 인물이 이야기 한

것을 설명으로 나타내는 자막이고, 다른 하나는 타이틀이나 광고에서처럼 문자나 문장으로

전체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자막, 즉 타이포그래피로 분류할 수 있다. 영상에서처럼

영상자막 또한 말하려는 의도와 말하는 방법의 차이를 갖고 있을 뿐, 한정된 프레임 공간의

활용은 일반적인 글쓰기 방식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영상자막이 말하려는

의도는 단순한 텍스트의 의미를 전달하는 측면에서의 방법론이 아니라, 영상 이미지의

특성과 부합된 의미의 연관성을 갖거나 부연 설명의 보충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방식이다.

또한 일반적 글쓰기와 다른 말하는 방법, 즉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의 차이는

일반적인 종이가 끊어져 있으면서도 이어지는 것과는 상반된 상황이다. 영상자막은 한정된

프레임 공간에서 ‘분절’의 개념이 성립된다. 영상은 한 프레임 한 프레임, 쇼트와 쇼트가

합쳐져서 하나의 시퀀스를 구성하는 방식을 구현하여 연속적인 것과 불연속적인 것들의

총체적인 집합체이다. 또한 이러한 시퀀스와 시퀀스가 합쳐지는 것은 상호 교환적 또는 상호

치환적인 구성 방식의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상황에서 영상자막의 위치와 크기 등은

2차원적인 평면 또는 3차원적인 입체감과 효과음이 첨가된 복합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자막은 2차원적인 평면 구조와 3〜4차원적인 입체 구조를 동시에 활용하고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2차원적인 평면 구조의 영상자막은 위에서 언급한 뉴스나 다큐멘터리와

같은 내용의 단순한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3차원적인

영상자막은 문자 자체의 동적인 움직임과 그래픽 요소가 가미되어 또 다른 시각과 시각적

특성으로 이어지는 다중적인 시각효과를 나타낸다.

타이틀 자막의 경우, 화면의 연결성보다는 설명적 영상의 단절된 부분을 통해 그

화면에서의 정확한 전달력을 요구한다. 하지만 단순 영상의 전달을 통해 광고에서처럼

의미전달 요소에 의하여 움직인다. 또한 하나의 문자로서의 의미전달이 아닌 움직임을 통한

Page 8: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36

이미지의 새로운 모습을 통해 시각전달 요소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영상은 분절과 단절을 통해, 연결의 고리로서의 문자는 의미해석과 음차에 의한 의미전달

요소와 포스터 등 다양한 문자의 전달을 통해 고정된 문자의 표현이 아닌 움직임의 요소를

첨가한 의미전달자적 요소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림 1]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으며, 화면비에서 공존하고 있는 영상자막과 이미지가 병치되는 특징은 비선형 공간의

확장의 개념으로도 살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글쓰기는 공간의 한정적 요소와 단순화

시키려는 문자의 조합이지만, 영상에 있어서 문자는 화면에 나타나는 부분이 아닌 다른

화면의 요소와 결합을 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서 화면을 구성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림 1> 삼성 애니콜 갤럭시A 핸드폰 광고 이미지

2. 영상자막의 비선형적 공간의 확장

영상자막에서 글쓰기 공간은 화면비(aspect ratio)의 공간 활용이 글쓰기 공간 활용과

유사하다는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화면비의 공간 활용이란 영상자막의 크기, 위치, 선,

부피, 색감, 질감 등과 같은 다양한 시각적인 요소들을 프레임 안에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글쓰기 공간인 인쇄지면의 공간적 분할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영상자막 또한 화면비의

프레임 안에 다양한 시각적 요소들은 만족스럽고 통일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13)

13) 주창윤, 「영상 이미지의 구조」, 나남출판, 2003, p.94. 

Page 9: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7

다시 말하면 영상자막은 문자 텍스트만을 직접 전달한다기보다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전달하는 구조적 특성이 있다. 이를 감안해 피사체의 영역을 피해서 영상자막을 배열하는

화면비의 공간적 활용은 중요시되어 왔다. 그러나 영상자막의 비선형적 공간이 확장되면서

이러한 규칙은 해체되고 이미지와 텍스트의 자유로운 공간적 활용이 시작되었다. 영상자막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화면 분할은 핵심적인 사항이며, 글쓰기의 공간

활용과도 유사하다. 또한 공간 활용을 통한 영상자막의 배열은 핵심적인 텍스트를

이미지화하고, 왼쪽과 오른쪽, 위와 아래, 그리고 중심 주변주의 구성 형식은 글쓰기

공간에서의 활용과 유사한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영상자막의 배열에 있어서 또 다른 중요한 사항인 화면비, 주사와 본질 영역, 화면비 밖의

디자인, 표준 TV와 HDTV의 화면비 조화, 정보의 양과 가독성, 색, 그리고 스타일14) 등은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시각적 구성 요소는

영상자막을 포지셔닝하는 역할을 하고 정보 전달의 중요한 기능을 충족한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된다. 텔레비전 화면의 경우, 화면비의 프레임 공간적 활용과 정보량의 저장은

매우 한정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비선형적

공간의 확장은 괄목할 만한 대상이다. 이와 유사한 볼터의 견해를 살펴보면, 오늘날

우리에게 전자 그림문자를 통한 전자 글쓰기는 문자 이후 시대와 문자 이전 시대

그림문자들과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웹, CD롬, 혹은 DVD 디자이너들은

알파벳 문자에 이미지와 도형을 혼합함으로써 컴퓨터를 직관적인 재현 방식과 추상적인

재현 방식을 왔다 갔다 하는 글쓰기 공간으로 규정하고 있다.15)

이러한 특징적인 사항들은 최근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 형식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사례이다. 예를 들어 초창기 영상자막을 구성하는 문자 발생기는 화면비의 선형적인

구조 안에서 규칙적으로 텍스트 자막을 삽입하는 방식이었다. 대표적인 예로 뉴스

프로그램이나 인터뷰 장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용 설명을 위해 사용된 제작 기법을 들

수 있겠는데, 이러한 영상자막은 프로그램의 제목, 시간, 장소, 이름, 인터뷰의 질문과 답 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웹의 환경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도형을

혼합하여 구성하는 재현 방식은 이제 영상자막을 구성하는 형식에서도 유사한 구조를 살펴

14) Zettle Herbert/임영호 외 옮김, 「방송 제작론」 (Television Production Handbook), 청문각, 2003, p.443. 

15) Bolter, 앞의 책, p.93. 

Page 10: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38

볼 수 있다. 즉 화면비의 공간 또한 비선형적인 구조화로 진행되면서, 그래픽 디자인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혼용이 영상자막의 형식에도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 영상자막에 있어서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따른 시각적 변화의

커다란 구조적 특성은 한정된 프레임 공간의 화면비의 활용이 그래픽 디자인과 같은 새로운

기법으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 시대의 재현 방식이 취하고 있는 유사성을

살펴 볼 수 있다. 결국 디지털 시대의 영상 표현 방식은 기존에 존재하는 텍스트를 새롭게

구현하는 상호 텍스트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다음 절에서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 매체성의 특징을 중심으로 영상자막의 다양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3. 이미지와 텍스트 : 상호 매체성

선사시대의 이미지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더라도 일정한 이미지의 결합과 규칙적인

시스템의 체계를 발견할 수 있다. 볼터의 논의에서처럼, 컴퓨터 글쓰기에서의 재현(구상적)

방식과 추상적인 재현 방식이 병존하는 현상으로 나타나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선사의 이미지는 현대 이미지 생산의 유전자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선사미술의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기호들의 집합들이 오늘날의 다양한

매체의 흐름 속에서 지속되고 있는 맥락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도 괄목할 만한

대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상자막의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현상들은 과거 글자들이 그림 세계를

글쓰기 공간으로 바꾸어 놓으려고 시도했던 것과 같이, 그림들이 글자를 기호보다 이미지나

추상적인 현상으로 간주한 것16)과 같은 현상들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을 살펴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 형식이 과거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적 또는

기능적인 측면의 활용 범위에 비해, 정적이고 동적인 요소들이 혼용되어 진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 형식에서 살펴 볼 수

있는 특징은 단순한 텍스트의 자막이 아니라, 시청자에게 웃음을 유도하거나 프로그램의

재미를 돋우는 코믹한 자막의 구성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서술행위 자체에 시청자

주위를 환기시키는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희극적 효과를 노리는 자막의 형태로 변화되고

16) Bolter, 앞의 책, p.97.

Page 11: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9

있다.17) 또한 이러한 자막의 형태는 오락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의 프로그램에까지

재매개 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글자들이 그림 세계를 글쓰기

공간으로 바꾸어 놓으려는 시도와도 같다.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경우를 살펴보면, 화면비의 중심축인 영상 이미지의 형식적인

중요성보다 오히려 영상자막의 공간적 활용의 범위의 중요성이 부각된 시각적 구성 형식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의 성향 또는 의도적인 상황에서

연출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그 파급 효과, 즉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에 전이되는 현상은

하나의 문화적 코드로 작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오락 프로그램의 자막의 유형과 기능에

대해 설정자막(묘사자막)을 살펴보면 간접설정과 직접설정으로 구분하고 있다. 간접설정은

연출자의 의도로 출연자의 심리나 상황이 묘사 및 추축, 재설정된 것이고, 직접설정은

연출자의 생각이나 대사가 자막으로 표출되어 간섭이 강하게 드러나는 상태로 규정할 수

있다.18)

그러나 연출자의 직·간접적인 영상자막의 설정에서는 도상적 이미지를 상징화하여 하나의

문자 텍스트와 병치하는 시각적 구성형식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영상자막의 복합적인

구성은 하나의 상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수용자들의 사전 지식을 이용해

이미지를 해독하게 하거나 연상하게 하는 방법으로, 영상자막의 텍스트에 결여되어 있는

구술의 음성적 성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영상자막의 도상적 이미지의 활용을

통한 전달 방식은 일반적인 영상자막의 텍스트에 비해 그 해독의 범위가 확장되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Ⅳ. 영상자막의 사례 및 분석

영상 매체에 있어서 영상자막의 구성과 형식은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 중에서도 텔레비전 매체는 영상자막의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매체는 그 형식과 구성면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는 영상 매체의 대표성을 갖고 있으며, 볼터의 글쓰기 공간의 측면에서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17) 이수연, 「텔레비전 서술양식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코믹한 자막의 이해」, 한국언론학보 43-9호, 1999, p.183. 

18) 김용석·김태용, 「TV 프로그램 자막의 오락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2009, p.5.

Page 12: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40

앞서서 논의한 바와 같이 디지털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현상들 중의 하나로 영상자막의

글쓰기, 즉 ‘모양과 느낌’의 변화는 2차원적인 평면 구조에서부터 3차원의 입체구조의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과거 문자 발생기에서 활용한 일반적인 텍스트의 구성적 측면의

강조보다 이미지(도상적 기호)와 텍스트의 혼종성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절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텔레비전 매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영상자막을

기능자막, 강조자막, 설정자막 등으로 구분해 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능자막은 가장 일반화되고 보편적인 표현 방식이다. 기능자막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모든 장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거나 보충적인

설명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그림 2]와 같이, 영상자막의 활용

빈도수는 뉴스 프로그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하나의 뉴스 아이템을 소개할 때,

뉴스 진행자의 오른쪽 상단에 PIP 화면을 구성하고 영상자막의 핵심적인 정보를 문자로

제공함으로써 화면비의 공간적 활용을 균형감 있게 적용한다. 또한 자료 화면의 하단에

제목, 시간, 장소, 출연자의 이름, 양력 등을 요약 정리하여 나타냄으로써 정보제공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홈쇼핑 광고에서는 상품의 코드번호, 가격, 전화번호, 수량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용자의 상품 구매를 위한 정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분류 내용

기능자막

화면구성 PIP 화면구성 하단 구성 하단 구성

표현방식 이미지와 텍스트 혼용 정보전달 방식 정보전달 방식

<그림 2> 기능자막의 사례

둘째, 강조자막의 경우를 살펴보면 기능자막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보를 좀 더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터뷰 내용의 보완적 기능으로

출연자의 대사를 영상자막으로 처리하거나, 오디오 사운드의 부족한 부분을 대체하는

Page 13: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41

것이다. 최근의 오락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능자막의 특성은 [그림 3]과 같이

다양한 글자체와 화려한 색채를 사용하는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강조자막은 대체적으로

출연자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여 대사를 강조하거나, 내레이션 또는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장면이나 내레이션을 영상자막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영상자막과 다양한 사운드 이펙트 효과음을 사용하여 상황을 강조하거나, 자막의

의성어와 의태어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그림 3]의 두 번째 화면

내용에서 사용하고 있는 ‘[억울] 너무 하시네요...(아이콘으로 표현된 눈물)’에서 출연자의

감정을 영상자막으로 강조하는 것은 과거의 기능자막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내용전달의

의미를 부각하고 있다. 또한 영상자막과 효과음의 사용은 수용자의 관심을 유도하는

시선끌기를 시도하는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다.

분류 내용

강조자막

화면구성 하단구성 인물중심부 구성 상단 구성

표현방식 아이콘과 텍스트 혼용 인물의 감정 표현 전달 분위기 표현 전달

<그림 3> 강조자막의 사례

셋째, 설정자막은 최근 다양한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설정자막은 연출자의

계획된 의도에 의해서 출연자의 심리나 상황이 묘사되거나 추측되어 재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간접설명 방식의 설정자막은 방송 프로그램의 또 다른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는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연출자의 생각이나 대사를 영상자막으로

구성하여 지나치게 자연스러운 대화 장면에서마저 연출자의 간섭이 드러나고 있는 점도

사실이다.

이러한 설정자막이 증가하는 이유는 [그림 4]와 같이 기존의 영상자막의 보조적인 수단을

넘어서 수용자에게 웃음을 유도하거나 프로그램의 재미를 유발하는 코믹스러운 장면을

Page 14: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42

부각시키기 위해서이다. 설정자막은 현재 오락 프로그램에서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

프로그램에게 파급하는 효과가 매우 크다. 설정자막의 시각적 구성형식의 특성은 다양한

아이콘과 그래픽 요소를 통해 풍성한 색채와 화면상의 균형을 통해 시선끌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림 4]에서 나타나고 있는 동물의 뼈의 도상적 이미지 활용, 즉 은유적

표현의 구체적이고 의도적인 표현 방식처럼 수용자의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기도 한다.

분류 내용

설정자막

화면구성 상단/하단 구성 전체 구성 중간 구성

조형적 특성 도상기호와 텍스트 혼용 도상기호와 텍스트 혼용 도상기호

<그림 4> 설정자막의 사례

V. 결론

본 글은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형식과 표현의 특징을 매체의 기술발전에 따른 상호

매체성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특히, 볼터의 「글쓰기 공간」의 사유에 대한 의미와

주요한 개념들을 살펴보고, 글쓰기의 형식이 재매개되는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글쓰기의 커다란 변화는 새로운 ‘촉각’과 ‘감각’을 구현하는 새로운

시각적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데서 기인한다. 그 결과,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영상자막의

글쓰기 형식의 변화는 보는 것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시각성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 글은 무엇보다도 영상자막의 특성과 유형을 중심으로 글쓰기와 읽기의 ‘모양과 느낌’이

기존 매체와 무관하게 발전된 것이 아니라, 상호매체성의 중심에서 변화된 현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영상자막의 화면구성을 통해 이루어진 시각적

구성의 형식은 언어기호와 시각기호의 총체적인 집합체의 구성이 상호작용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볼터의 지적처럼, 글자를 쓰고 읽을 수 있게 된 이전이나 이후에

Page 15: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43

등장한 모든 그림문자에서 아이콘들이 언어적 의미와 그림 의미의 경계에서 존재하는

것19)과 같이, 현대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 형식의 특성은 다양한 도상 이미지와 텍스트가

혼용되어 새로운 시각기호를 형성하고,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영상자막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시각적 구성의 변화 과정은 앙드레 르루와 구랑이

선사예술의 양식을 표현기법과 구상방법으로 분류하고 그 발전의 진화과정을 살펴본 것과

유사하다. 즉 영상자막이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자막의 역할에서 시작해, 구체적

내용이 보완·대체되는 강조자막의 과정을 거쳐, 연출자의 의도된 계획에 의해 아이콘

이미지와 텍스트의 혼종성으로 특성화된 시각적 풍요로움을 제공하는 설정자막의 역할로

변화한 것이다.

따라서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 형식에 따른 표현 방식과 특성은 그래픽 디자인의

재매개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영상자막은 스크린을 통해서

글쓰기 공간이 변형되었을 뿐 그 표현기법과 구상방법은 다양한 매체와 상호관계성을 갖고

재조직되면서 진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영상자막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전달방식은 새로운 기술적 상호작용 및 다양한 시각기호의 혼종성으로

드러나고 있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중심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19) Bolter, 앞의 책, p.96.

Page 16: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영상기술연구44

참고문헌

<단행본>

주창윤, 「영상 이미지의 구조」, 나남출판, 2003.

요코야마 유지, 장석호 옮김, 「선사예술기행」, 사계절, 2005.

Anati, Emmanuel/이승재 옮김, 「예술의 기원」 (Aux Origines De L'art), 바다출판사,

2003.

Bolter, Jay David/김익현 옮김, 「글쓰기의 공간」 (Writing Space),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Foster Hal/최연희 옮김, 「시각과 시각성」 (Vision and Visuality),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8.

Ward Peter/김창유 옮김, 「영화·TV의 화면 구성」 (Picture Composition for Film and

Television), 책과길, 2000.

Zettle Herbert/임영호 외 옮김, 「방송 제작론」 (Television Production Handbook),

청문각, 2003.

<논문>

김용석·김태용, 「TV 프로그램 자막의 오락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2009.

이수연, 「텔레비전 서술양식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코믹한 자막의 이해」, 한국언론학보,

1999.

투고일자: 2010년 10월 13일

심사일자: 2010년 11월 06일

게재확정일자: 2010년 11월 14일

Page 17: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33 시각과 시각성이

볼터의「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45

Abstract

볼터

의「

글쓰

기 공

간」으

로 본

영상

자막

의 시

각적

구성

과 표

Jab David Bolter <Writing Spa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ubtitle

Hahm, HyunProfessor, Dept. of Broadcasting & Digital Media, Chungwoon Universit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rigin of writing system as visual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out pre-history age to digital technique age. The various period of

time that the composition and technique skill of expression method of writ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remediation. Jay David Bolter states that remediation

of writing system create the various of human feeling toward of medium.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the writing system as a visual method of communication technique

in terms of subtitle of framework. A point of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system have been developed the sense of touch and sights are object of things within

the culture of humankin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image and text are

intermediately relate with themselves. As a matter of fact, the form and function of

writ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remediation of medium. The composition and

technique skill of using subtitle are new expression of visual frameworks. Writing

system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title considered as

iconology of image rather than just text we have seen before as a medium.

Key Words : Writing Space, Visual Representation, Subtitle, Iconology, 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