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11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12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1. 서 론 1) 현대인의 탈모는 노화나 유전적인 요인뿐 아니 라 각종 환경오염, 과중한 업무의 스트레스, 식생 활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 이상 등 후천적 요인 의 영향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탈모 인구 의 증가로 탈모 시장은 급팽창하고 있으며 탈모 관련 산업은 성장기에 들어섰다. 탈모시장은 탈모 관리제품, 기기, 관리실 및 의료 시술로 세분화되 고 있으며 관련 신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로선 샴푸와 같은 화장품 시장의 규모 가 가장 크지만 최근 의약외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홈쇼핑은 그 주요 판매 통로가 되고 있다. 병원 역시 의약품과 모발 이식 시장을 더욱 확 장하고 있으며 관리실의 경우 전문 관리실에서 출 발하여 현재 병원과 미용실에서 대체의학적 관리 저자 (E-mail: [email protected]) 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장 변화를 이해하 고 미용 산업에서 탈모 관련 시장의 합류를 모색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체계적인 관리로 차별화된 시술 및 고객 지향적인 마케팅과 서비스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미용실에서의 두피모발 관리는 탈모 예방의 전초적인 역할을 하는 분야로 인식하여, 미용인들은 전문적 지식을 습득 함은 물론 다른 분야보다 고객과의 친밀도가 높은 미용실에서 자연스럽게 고객 두피의 문제점을 인 식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변화하는 고객 니즈에 맞추어 전문적인 관 리 프로그램 개발로 만족도를 높이고 젊은 세대와 여성의 세분화 전략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관리시 스템 도입과 대체의학을 접목한 다양한 매뉴얼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기획에서는 최근에 인구 노령화 및 탈모인구 증가에 따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탈 모 화장품 시장변화와, 현재 연구되고 있는 다양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소 대 섭 1 이 봉 진 2,†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 ()ABNC Market Trends for Anti Hair Loss Cosmetics Dae-Sup So 1 and Bongjin Lee 2,† 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oul 02456, Republic of Korea 2 ABNC Inc, 8, Teheran-ro 21-gil, Gangnam-gu, Seoul 06132, Republic of Korea Abstract: 탈모 인구의 증가로 국내 탈모 시장이 빠르게 팽창하고 있으며, 탈모 관련 산업이 성장기에 진입하였다. 모시장은 탈모관리제품, 기기, 관리실 및 의료 시술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관련 신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샴푸같은 화장품 시장의 규모가 가장 크게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 헤어케어 관련 화장품 시장은 중국의 탈모 관련 미용산업 시장규모가 매우 크며, 국내 기업들도 중국 탈모 시장에 선진출하기 위해 제품개발 및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동향과 더불어 국내에서는 새로운 소재 개발과 함께 안전하고 기능성이 뛰어난 탈모방지 화장품의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기획에서는 현재 기능성 헤어케어 제품들의 시장분석과 동업계 현황, 5-Force 분석을 통한 경쟁상황, 수요전망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화장품시장의 발전 가능성과 향후 전 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hair loss, cosmetics, anti hair loss, haircare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Upload: others

Post on 20-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12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1. 서 론1)

현대인의 탈모는 노화나 유전적인 요인뿐 아니

라 각종 환경오염, 과중한 업무의 스트레스, 식생

활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 이상 등 후천적 요인

의 영향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탈모 인구

의 증가로 탈모 시장은 급팽창하고 있으며 탈모

관련 산업은 성장기에 들어섰다. 탈모시장은 탈모

관리제품, 기기, 관리실 및 의료 시술로 세분화되

고 있으며 관련 신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로선 샴푸와 같은 화장품 시장의 규모

가 가장 크지만 최근 의약외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홈쇼핑은 그 주요 판매 통로가 되고 있다.

병원 역시 의약품과 모발 이식 시장을 더욱 확

장하고 있으며 관리실의 경우 전문 관리실에서 출

발하여 현재 병원과 미용실에서 대체의학적 관리

저자 (E-mail: [email protected])

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장 변화를 이해하

고 미용 산업에서 탈모 관련 시장의 합류를 모색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체계적인 관리로

차별화된 시술 및 고객 지향적인 마케팅과 서비스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미용실에서의 두피⋅모발 관리는 탈모 예방의 전초적인 역할을 하는

분야로 인식하여, 미용인들은 전문적 지식을 습득

함은 물론 다른 분야보다 고객과의 친밀도가 높은

미용실에서 자연스럽게 고객 두피의 문제점을 인

식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변화하는 고객 니즈에 맞추어 전문적인 관

리 프로그램 개발로 만족도를 높이고 젊은 세대와

여성의 세분화 전략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관리시

스템 도입과 대체의학을 접목한 다양한 매뉴얼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기획에서는 최근에 인구 노령화 및

탈모인구 증가에 따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탈

모 화장품 시장변화와, 현재 연구되고 있는 다양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소 대 섭1⋅이 봉 진2,†

1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주)ABNC

Market Trends for Anti Hair Loss Cosmetics

Dae-Sup So1 and Bongjin Lee2,†

1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oul 02456, Republic of Korea2ABNC Inc, 8, Teheran-ro 21-gil, Gangnam-gu, Seoul 06132, Republic of Korea

Abstract: 탈모 인구의 증가로 국내 탈모 시장이 빠르게 팽창하고 있으며, 탈모 관련 산업이 성장기에 진입하였다. 탈

모시장은 탈모관리제품, 기기, 관리실 및 의료 시술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관련 신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샴푸와

같은 화장품 시장의 규모가 가장 크게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 헤어케어 관련 화장품 시장은 중국의 탈모 관련

미용산업 시장규모가 매우 크며, 국내 기업들도 중국 탈모 시장에 선진출하기 위해 제품개발 및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동향과 더불어 국내에서는 새로운 소재 개발과 함께 안전하고 기능성이 뛰어난 탈모방지 화장품의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기획에서는 현재 기능성 헤어케어 제품들의 시장분석과 동업계 현황,

5-Force 분석을 통한 경쟁상황, 수요전망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화장품시장의 발전 가능성과 향후 전

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hair loss, cosmetics, anti hair loss, haircare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Page 2: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 22, No. 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화장

품의 발전가능성과 시장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시장동향

2.1. 국내외 시장 동향

중장년층에게 불청객이었던 탈모가 2030세대

의 고민거리로 떠오르면서 탈모시장이 커지고 있

다. 최근 스트레스나 기후의 영향으로 인해 이른

나이부터 머리숱 문제를 고민하는 이들이 늘어나

면서 탈모 관련 전문 제품을 찾는 20~30대 남성

들의 발걸음이 잦아지고 있다. 탈모 샴푸를 넘어

탈모 예방⋅치료 보조기구, 가발까지 제품군도 다

양하다.

국내에서는 탈모 예방 및 둔화에 도움을 주는

보조용품이 스테디셀러가 된 지 오래이다. 20⋅30

대 남성의 두피스케일링 제품 구매량은 전년 대비

850% 이상 상승했으며, 관련 전문가들은 장기적

으로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 환자 증가 자체가 매

출의 증가를 이끌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국내 주요 업체에서도 이 같은 점들을 감안해

탈모 관련 라인업 강화에 나서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 칸타월드패널 분석에 따르면, 헤어시장 내

탈모 기능 샴푸 비중은 2015년 12.9%, 2016년

15.3%, 2017년 20.1%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

며, 헤어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진 카테고리

가 되었다.

아모레퍼시픽은 모근 보호, 탈모 증상에 효력이

있는 ‘려(呂) 자양윤모 탈모증상케어’ 샴푸를 리뉴

얼 출시하는 등 탈모시장 경쟁은 뜨거워지고 있

다. 또한 식약처에서는 탈모 방지와 모발 굵기 증

가 등의 기능을 갖는 상품에 대해 의약외품에서

기능성화장품으로 분류를 전환하여 화장품 분류

에 대한 국제적 흐름을 따라가고 있다.

한편 해외에서는 탈모를 겪는 소비자들이 증가

하고 탈모의 원인과 유형이 다양화됨에 따라 탈모

관련 제품 또한 세분화되고 있다. 탈모의 진행 상

황, 두피의 상태 그리고 성별에 따른 제품으로 다

양하게 분류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자신의 상황

에 맞는 상품을 구매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시세이도(Shiseido)社는 탈모

현상을 많이 경험하는 산모들을 위한 전용 제품을

출시하고 있고, 특히 산후 2~6개월간 탈모 증상을

겪는 여성들을 위한 맞춤형 제품인 Adenovital을

출시해 산후 탈모로 스트레스를 받는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홍콩 탈모

예방제품 수입액은 6억 7800만 홍콩 달러로 2015

년 7억 4300억 홍콩 달러 대비 8.8% 감소했다. 홍

콩의 탈모 예방제품 최대 수입국은 일본으로 2016

년 기준 총 2억 2800만 홍콩 달러로 전체 수입의

순위 국가2014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 총액 675 -5.4 743 10.1 678 -8.8

1 일본 178 -15.8 210 17.8 228 8.7

2 중국 202 -0.6 208 2.8 150 -27.8

3 미국 77 -28.3 72 -6.0 62 -13.8

4 태국 59 8.3 66 12.6 39 -41.6

5 독일 43 63.3 41 -4.6 28 -31.5

6 호주 9 -24.7 11 27.7 14 24.5

7 이탈리아 15 5.4 17 8.7 16 -1.4

8 한국 10 21.9 19 89.2 16 -19.5

출처: 쑥쑥 자라나는 홍콩 탈모 예방제품시장, KOTRA (2017).

Table 1. 홍콩의 탈모 예방제품 수입액 추이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Page 3: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14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33%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2014년 홍콩의 1위 수

입국이었으나 2016년 전체 수입액의 22.1%를 차

지하며 2위를 기록하였다.

2016년 홍콩의 탈모 예방제품 전체 수입액의

감소로 대한국 탈모 예방제품 수입액은 전년 대비

19.5% 하락한 1600만 홍콩 달러를 기록했지만 한

국은 2016년 홍콩의 탈모 예방제품 8위 수입국으

로 2013년(16위) 대비 8단계 상승해 시장 내 입지

를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에서는 탈모 시장 수요가 인구 노령화 및

탈모 인구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 탈모 케어 시장

의 수요는 2013년 35억 4480만 달러에서 2018년

37억 5170만 달러로 증가했고, 오는 2023년까지

38억 2360만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

다. 2013~2018년 사이에는 미국 내 탈모 케어 관

련 제조업체가 304개에서 363개로 증가했다. 매출

규모도 37억 4240만 달러에서 38억 8630만 달러

로 늘어난 상태이다.

2.2. 동업계 현황

헤어케어 제품에는 탈모방지제품, 미용효과 헤

어케어 제품을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요 기업 리스트는 Table 2와 같다.

특히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과학기술을

경제발전의 동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기 시작

하여, 국가주도의 연구기획 하에서 기업 중심보다

는 정부 주도 하의 다수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

특히 중국에서는 실리콘 샴푸가 인체 건강에 미치

는 악영향에 대한 보도 이후 천연 유래 소재 개발

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CCTV의 주된

내용은 머리 윤활제로 샴푸에 함유된 PDMS

(polydimethylsiloxane)가 물에 용해되지 않아 두피

모공까지 막아서 두피를 건조하게 하고 손상을 입

히며 궁극적으로 탈모를 유발한다는 내용이었다.

그 방송 이후 독일 바이어스도르프社가 무실리콘

샴푸를 중국에 출시하게 되었고, P&G, PANTENE

등 대부분의 기업들이 무실리콘 샴푸를 출시하게

되었다.

국내의 경우 탈모방지 기능성화장품으로 최근

이슈가 된 제품은 한방 약재를 사용한 아모레퍼시

픽의 ‘려(呂)’, 두리화장품의 ‘댕기머리’이다. 아모

레퍼시픽의 ‘려(呂)’는 녹차의 카테킨 성분을 활용

하여 두피를 케어하고 두피 혈액 순환을 개선한다

는 컨셉으로 출시된 제품이고, 두리화장품의 ‘댕

기머리’는 인삼, 하수오 등 한방 약재 6가지가 모

출처: 중국 CCTV 방송.

Figure 1. 중국 실리콘 샴푸 유해성 관련 방송 화면.

구분 경쟁환경

기술분류 탈모방지용 세정제 미용효과 헤어케어

주요 품목 및 기술탈모방지효과를 가지는 샴푸, 트리트먼트, 린스, 에센스 등

젤, 무수, 헤어로션, 왁스, 미스트, 염색제 등

모발에 적용하여 미용효과를 주는 제품

해외기업PANTENE, LOREAL, Beiersdorf, P&G, Unilever,

Milbon, Kao, Basf, ShiseidoHenkel, LOREAL, Wella, Hoyu, Michel, Mercier

국내기업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더 페이스샵, 코스맥스,

한국콜마, 에이씨티, 한불화장품, 케이씨아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더 페이스샵, 코스맥스, 트라이베스트

자료 :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2017-2019 (화장품), 중소기업청, 2017.

Table 2. 제품분류별 주된 사업자

Page 4: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 22, No. 1, 2019 15

근에 영양을 공급해 모발 윤기, 탈력, 탈모예방을

할 수 있다는 컨셉으로 출시된 제품이다.

국내의 경우, 상기 두 제품이 탈모방지 샴푸 시

장을 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들이 상기 두 제품들과 시장에서 경

쟁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따라서 기존 제품

에 비하여 기능적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앞세운

광고 및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3. 시장규모 및 특성

3.1. 국내외 시장규모

3.1.1. 해외시장 규모

탈모란 생리적으로 털이 빠지는 것으로, 일반적

으로 모발은 생장기(3년)-퇴행기(3주)~휴지기(3개

월)의 성장주기를 가지는데, 휴지기의 털이 자연

스럽게 탈락되는 자연탈모와 발열성 질병, 임신,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서 생장기의 털이 갑자기

휴지기에 들어가 털이 빠지게 되는 비정상적인 탈

모로 구분된다.

모발의 성장은 보통 15~30세 사이에 가장 활발

하여 40~50세에 점진적으로 퇴보되며, 50세 이상

이 되면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탈모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70세 이후부터 탈모가 빨라지게 된다.

하루에 보통 50~100개 정도의 정상적인 퇴행기

탈모가 일어나는데, 이를 초과하여 빠질 경우 비

정상적인 탈모이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산업화로 인한 각종 오염, 업무 과로에

따른 스트레스로 탈모를 겪는 경우가 부쩍 늘어나

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탈모 방

지 헤어케어 제품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헤어케어 기능성화장품은 공급망 관점에서 샴

푸, 린스, 트리트먼트, 에센스, 스프레이, 젤, 왁스,

헤어로션, 미스트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2015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화장품산업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헤어케어 화장품 시장은

2015년 기준 501억 달러규모이었으며, 연평균성

장률 3.5%로 성장해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계 헤어케어 관련 화장품 시장의 경우, 중국

시장의 성장률이 가장 눈여겨볼 만하며, 중국의

경우 탈모 관련 미용산업 시장규모가 2015년에

출처: 아모레퍼시픽(좌) 및 두리화장품(우) 홈페이지.

Figure 2. 국내 탈모방지 샴푸 사진.

제품 종류 세부 기술

샴푸 두피나 모발에 붙은 땀이나 먼지, 피지 등의 불순물을 씻어냄

린스 샴푸 후 모발을 약산성으로 만들어 유연성을 주고 적당한 기름기를 주어 광택을 주는 역할

트리트먼트 갈라지고 손상된 모발에 단백질을 보충

에센스 손상된 모발 끝이나 모발의 큐티클 층에 작용하여 수분과 영약을 공급하고 모발을 코팅해 줘서 윤기가 나게 함

스프레이 모발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스타일을 고정

젤 손쉽게 모발의 스타일을 만들 수 있고 마른 뒤에는 딱딱하게 굳혀 줌

왁스 젤과는 달리 굳지 않고 자연스러운 스타일링 가능

헤어로션 모발의 거칠어짐, 갈라짐, 정전지 발생을 막아줌

미스트 모발에 보호막을 형성해 주고 냄새나는 물질들을 날려주는 향수 역할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Table 3. 헤어케어 기능성화장품 분류

Page 5: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16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1.3조원을 돌파하였으며, 연평균성장률 12.4%로

급성장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남성 4명 중 1명이 탈모를 겪고 있으며,

최근 여성들은 무리한 다이어트, 잦은 염색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탈모가 급증하고 있는 추

세이다. 또한 탈모 발발 연령을 보면, 25~35세 남

성이 50%를 차지하며, 최근에는 탈모 발생 연령

이 20대 초반까지 앞당겨지는 추세이다. 그 이외

에도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의 잦은 사용

에 따른 전자파 노출에 의한 탈모 인구도 급증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는 중

국인뿐만 아니라 각국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미국의 탈모 관리 및 치료 시장규모가 2014년

약 70억 달러이었으며, 이 중 탈모 치료 의약품 시

장규모가 27억 달러로 조사되었다.

현재까지 탈모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방

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탈모 관련 의

약품, 기능성화장품, 의료기기, 식품 시장은 지속

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3.1.2. 국내시장 규모

국내에서도 업무 과로에 따른 스트레스성 탈모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에 따르면, 탈모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수가

2009년 18만 1,000명에서 2013년 21만 명으로

15% 증가했으며, 2015년 23만 명을 넘어선 것으

로 조사되었다.

국내 탈모 인구는 잠재적 탈모 인구까지 포함할

때 약 1,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탈모 관리 및 치료 시장 규모는 최근 10년 사이에

4배 이상 증가하여 2015년 기준 약 4조원 내외의

시장규모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생산실적 자료

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2015년 기준 헤어케어 화

장품 국내시장 규모가 6,653억 원이었으며, 연평

균성장률 10% 수준으로 꾸준히 성장해온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헤어케어 화장품 시장은 수입품이 시장에

거의 살아남지 못하는 실정이며, 로레알과 SKII가

근근이 제품만 내놓는 실정이고 국내산 제품이 거

의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1) 전후방 시장의 규모 및 추이도 분석

탈모방지 헤어케어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전후

방 산업 연관도는 Figure 4와 같다.

후방산업은 기능성 생명공학 관련 산업으로써,

대부분 바이오, 제약 관련 중소기업, 대학이나 출

년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CAGR

시장규모(억 달러) 452 468 484 501 519 3.5%

출처: 화장품산업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

Table 4. 최근 헤어케어 화장품 세계시장 규모

년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CAGR

시장규모(억 원) 4,998 5,498 6,048 6,653 7,318 10.0%

출처: 2015년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생산실적.

Table 5. 국내 헤어케어 화장품 시장규모

출처: 약업신문, 2015년 3월.

Figure 3. 중국의 탈모 관련 미용산업 시장규모.

Page 6: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 22, No. 1, 2019 17

연연 연구소, 벤처기업과 연관되어 있다.

전방산업은 화장품 산업, 미용서비스 산업, 의

료서비스 산업과 관련성이 높으며, 최종 완제품의

경우 브랜드파워 우위를 앞세운 두리화장품의 ‘댕

기머리’샴푸, 아모레퍼시픽의 ‘려’샴푸 등 대기업

들의 시장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화장품 산업은 화장품 로드샵, 홈쇼핑 등과 같

은 유통채널의 성장으로 유통⋅제조⋅개발 분야

의 분리가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천

연화장품 산업 가치사슬 구조에서 원재료 생산업

체가 중간 유통사를 배제하고 완제품 업체와 직거

래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화

장품 소재를 개발하여 대기업에 납품하거나 피부과,

온라인, 브랜드샵, 홈쇼핑 등 다양한 판매경로를 확

보하여 자체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미용서비스 산업(뷰티산업), 의료서비스

산업의 경우 거의 두 자리 수에 가까운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므로 관련 제품 사업화에 굉장히 우호

적인 수요 동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2) 국내 생산, 수입, 내수, 수출 등의 동향 분석

헤어케어 화장품 기술이 적용된 화장품 관련 품

목의 무역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 수입금액

보다 수출금액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아래 표

에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HS코드1)를 활용하여

조사된 최근 헤어케어 화장품 관련 무역현황을 제

시하였다.

헤어케어 화장품 기술의 수출현황은 ’11년

6,282만 달러에서 ’15년 1억 7,620만 달러 수준으

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수입현황은 ’11년 1억

5,186만 달러에서 ’15년 2억 42만 달러 수준으로

증가하여 무역수지 적자폭이 대폭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

금액은 29.4%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 7.2%로

증가하여 전체 무역수지 적자폭은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2. 시장특성

탈모방지 화장품 기술의 활용영역은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은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수행할 수 있

도록 제품과 공정의 효율 극대화를 위한 노력이

1) HS코드(Harmonized System Code): 대외 무역거래에서 거

래 상품의 종류를 숫자코드로 분류해 놓은 것이며, 6자리로

구성되어 있음.

출처: 자체작성.

Figure 4. 전후방 산업연관도.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CAGR

수출금액 62,826 74,120 92,931 129,557 176,203 29.4%

수입금액 151,869 163,084 179,319 191,413 200,425 7.2%

무역수지 -89,043 -88,964 -86,388 -61,856 -24,222 -27.8%

무역특화지수 -0.41 -0.38 -0.32 -0.19 -0.06

*무역특화지수: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이며, 1이면 완전 수출

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 뜻.

Table 6. 헤어케어 화장품 관련 무역현황 (단위: 천불)

Figure 5. 기술 수명 주기상 단계별 특징.

Page 7: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18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필요하다.

헤어케어 제품은 제형에 따라서, 샴푸, 린스, 트

리트먼트, 에센스, 스프레이, 젤, 왁스, 헤어로션,

미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될 수 있다.

두피와 관련된 제품은 화장품 형태로 수퍼마켓,

전문 화장품 샵, 홈쇼핑 등 다양한 루트로 판매되

기도 하지만, 의약품의 경우 병원, 약국, 한의원,

두피관리 전문센터 등 다양한 판매루트로 판매될

수 있다.

현재 미용실에서 탈모 관리 서비스가 성행하고

있는데, 1997년에 모발진단기와 피부 진단기의 도

입을 통해 헤어클리닉 서비스로부터 시작되었으

며, 유럽 및 미국에서 수입된 제품이 주류를 이루

고 있다. 초기 헤어클리닉 사업은 탈모에 대한 관

심보다는 모발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던 시기로

서 모발의 윤기와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기

능이 주가 되었다.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는 탈

모 인구로 미용실의 두피 탈모 관리 서비스는 주

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미용실 탈모 관리는 탈모, 비듬, 지성 두피 등의

타입에 따라 제공되며 탈모 방지를 위한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 상담과 진단을 통해 두피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탈모의 원인을 분

석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한 단계로써 문진, 시진, 촉진과 검진을 통해 적합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탈모 관리에는 탈모 관련

기능성 화장품 이외 스캘프 펀치, 진동기, 적외선

기, 헤어스티머 저주파기, 소프트바이오빔, 오존미

스트기 등 다양한 기구와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두피관리센터에서 두피와 탈모의 유형에

따른 고객 관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소

비자들에게 보다 전문적이라는 인식을 주고 있다.

탈모 관리 센터에서는 미용실과 달리 전문 두피

관리사가 전문 측정기기를 통해 두피 및 탈모의

상태를 진단한 후 두피 스케일링, 마사지, 영양공

급 등의 탈모 유형에 따른 고객관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보다 전문적이라

는 인식을 주고 있다.

국내에서는 1,000여 곳이 넘는 탈모 전문 관리

실이 있고, 그중 국외 브랜드인 스벤슨(Svenson),

메소드(WTMethods), 국내 브랜드로는 (주)스펠라

랜드, 까망, 인디모, 아미치 등의 탈모 전문 관리실

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탈모 전문 관리실은 전국

에 걸쳐 수많은 대리점을 두고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Table 7에 두피관리센터에서 일반적으

로 실시되는 서비스 종류를 단계별로 나열하였다.

미용실과 두피관리센터에서는 기능성화장품보

구분 단계 내용

1 상담 등록 및 두피 진단

2 두피 스케일링 1단계: 노폐물 제거, 약 4~5주

3 두피 스케일링 및 영양공급 2단계: 노폐물 세정 후 영양공급, 약 12주

4 특수 고급과정 3단계: 특수관리, 약 9주

5 홈케어 4단계: 집에서 관리

출처: 헤어케어 화장품, 2016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전략보고서 (2016).

Table 7. 두피관리센터 서비스

출처: WT 메소드 홈페이지(www.wt-methode.co.kr).

Figure 6. WT-메소드 자사 탈모방지 샴푸 사진.

Page 8: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 22, No. 1, 2019 19

다는 첨단 의료장비를 통한 탈모관리서비스가 주

로 시행되며, 탈모 관련 기능성화장품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

고 자체적으로 개발한 탈모방지 샴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watsons (왓슨즈) 등 화장품 전문 샵 등

을 통한 판매와 미용실, 두피관리센터로의 납품을

병행하는 투트랙 판매 전략이 바람직하다.

3.3. 경쟁상황 등

헤어 제품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샴푸이고 그 종류가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서 각각

의 기능성을 강조하는 이른바 기능성 제품이 많아

지고 있다. 최근까지 탈모방지 제품은 의약외품으

로 분류되어 판매되었으나 관련 법 개정으로 기능

성화장품의 분류에 포함되게 되었다.

최근 환경적 요인에 기인하여 탈모 인원이 급증

하고 있으며, 해당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서 화장

품 전문 기업, 화학 제품 전문 기업, 의약품 전문

기업, 바이오기업 등 다수의 유관 기업들이 시장

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탈모방지 기능성 화

장품에 대한 5-Forces 분석 결과를 Figure 7에 나

타내었다.

탈모방지제품, 미용효과 헤어케어 제품 위주로 시

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PANTENE, P&G, WELLA

등 다수의 국외기업,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등 다수의 국내기업들이 해당 시장을 점

유하고 있어서 최종 탈모방지 기능성화장품 신제

품으로 초기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기는 다소

어려울 전망이다.

4. 수요 전망

4.1. 국내외 시장 전망 및 시장점유율 확보 가능성

여러 환경적 요인, 선천적 요인에 기인한 탈모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탈모가 발생하는 연령대도 점차 낮아지

고 있다. 또한 탈모는 한번 진행되면 근본적인 해

결책이 거의 없어서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질

병 중 하나이다.

2014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20

대 남성 중 23%가 탈모를 겪고 있으며, 30대는

28%, 40대는 21%로 조사되어, 20~40대의 젊은

남성들 4명 중 1명은 탈모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

신규 참여자(High)

- 연구원, 설비, 유통망을 확보한 다수의 기업

들이 해당 시장에 진입하고 있어서 신규 참

여자의 위협 가능성이 높음.

공급자(Low) 시장 내 업체 간 경쟁(High) 수요자(High)

-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서 기능

적 우수성이 입증되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들 중

심으로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

여가고 있음.- 공급자 교섭력 낮음.

- 다수 기업들이 관련 시장에 진출하여 다양

한 제품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

황임.- L’oreal,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외 대기업들

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어서 중소기업체들

의 진입장벽이 높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

하여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

- 국내외 다수의 제품들에 대하여

소비자들도 자신의 탈모 원인, 좋아하는 제형의 제품들을 다양

하게 선택할 수 있음.- 수요자 교섭력 높음.

- 큐티클층 보호 제품, 두피 치료 전문 의료기

기 제품 등 다수의 대체기술 제품들이 시장

에 널리 유통되고 있음.

대체재(High)

Figure 7. 탈모방지 기능성화장품 시장 경쟁요소.

Page 9: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20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탈모 증상이 나타날 경우 취업면접, 이

성교제, 직장생활 등 왕성한 사회활동을 할 나이

임에도 불구하고, 대인기피증이 생길 수 있으며,

탈모로 인하여 사회적 및 경제적 활동에 많은 제

약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서 정신적인 스트레스까

지 수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향후 탈모 관련 시장은 종래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서 복용한 ‘마이녹실’ 등과 같은 전문의약품

시장보다는 헤어케어 기능성화장품 시장이 보다

더 커질 전망이다. 그 이유는 전문의약품의 경우

고가이며,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처방전을 받아

서 약품을 구매해야 하고, 무엇보다 탈모환자라는

주변의 시선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하여 병원을 찾

아가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2015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화장품산업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헤어케어 화장품 시장은

2015년 기준 501억 달러 규모이었으며, 연평균성

장률 3.5%로 성장해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2015년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생산실적

자료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2015년 기준 헤어케

어 화장품 국내시장 규모가 6,653억 원이었으며,

연평균성장률 10% 수준으로 꾸준히 성장해온 것

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데 대하여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므로 최

근 시장자료를 토대로 향후 국내외 헤어케어 화장

품 관련 시장규모를 추정하면 Table 8과 같다. 2022

년에 헤어케어 화장품 세계시장규모는 637억달러,

국내시장규모는 1조 3천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4.2. 시장의 기회/위협 요인과 발전 전망

SWOT분석은 기업의 강점과 약점, 환경적 기회

와 위기를 열거하여 효과적인 기업 경영전략을 수

립하기 위한 분석방법이다.

탈모 화장품 시장은 최근 탈모인구와 여성탈모

인구의 증가로 인한 소비계층의 다양화가 이루어

지고 있는 추세이며, 발모 및 헤어케어에 대한 연

구가 매우 활발하여 경쟁/대체 기술의 출현가능성

이 매우 높은 시장 분야이다.

따라서 탈모와 관련된 제품 개발에 따른 규제

강화를 극복해야 하며, 천연물 소재 적용 확대와

화장품법 개정에 따른 고부가가치 기능성 화장품

연구개발의 촉진으로 인해 경쟁력이 제고되고 있

으므로 신규시장 접근이 가능하다. 이렇듯 중소기

업들은 Table 9에 제시된 시장에서의 기회/위협

요인과 발전 전망 예측을 통해 관련 제품 사업화

시 적절한 경영전략이 필요하다.

5. 결 론

최근 국내 탈모 고민 인구가 1,000만 명 이상인

것으로 파악되는 가운데,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과

년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CAGR

세계시장(억 달러) 536 555 575 595 616 637 659 682 3.5%

국내시장(억 원) 8,050 8,855 9,741 10,715 11,786 12,965 14,261 15,688 10.0%

추정 근기: 1) 2015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화장품산업분석보고서.2) 2015년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생산실적 자료.

Table 8. 국내외 헤어케어 화장품 시장규모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Figure 8. 국내 연령별 남성 탈모 환자 비율.

Page 10: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 22, No. 1, 2019 21

같이 현대 사회에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탈모의

원인에 따라 탈모인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

되고 있다. 중장년층의 고민이었던 탈모가 20, 30

대 연령층에게까지 내려와 탈모 연령층이 현저하

게 낮아지고 있는 추세로 조사되고 있으며, 또한

외모 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탈모 예방제

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층이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지난해 탈모 완화 제품이 의약외품에서 기

능성 화장품으로 전환된 이후 탈모 케어 전문 브랜

드의 성장세에 자극받은 대기업과 제약업체, 헬스

케어 업체들이 잇따라 탈모 케어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시장 규모가 어느 정도까지 확대될지 가늠하

기 어려울 것이라는 업계 분석들도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새로운 원료 및 신소재 발굴을 위해 기

능성 화장품 연구개발의 촉진이 요구되며, 고기능

성의 원료를 수입하는 해외 기술 의존도를 낮추어

국내 업체 간의 경쟁강도를 완화해야한다.

더불어 최근 화장품법도 개정된데다 탈모 화장

품에 대한 인식이 바뀌게 되면서 관련 소재 개발

연구의 지원이나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므로, 우수

한 품질을 강조하는 고급화 전략방안이 요구된다.

References

1. Beauty and Personal Care 2016, Euromonitor

International (2016).

2. 화장품산업 신성장 동력화 연구, 한국수출입

은행 (2017).

3.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식약처

(2017).

4. 최신 화장품학, 김주덕 (2011).

5. 보건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

6. 글로벌코스메틱 연구개발사업단 (www.ncrkorea.

or.kr).

7. 화장품 제조유통 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

8. Exploit the product life cycle, T. Levitt,

Harvard Business Review, vol. 43, pp. 81-94

(1965).

9. 2016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

진흥원 (2016. 12).

10.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및 정책 방향, KHIDI

(2017).

11.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중소기업청 (2016).

12. 연구기획 평가 실무자를 위한 R&D Planning,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6).

13.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트렌드, 바이오 화장품,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16).

14. Paradigm Shift, Bio-cosmetics, 메리츠종금증

권 리서치 센터 (2016).

15. 두리화장품 홈페이지(www.duricare.com).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향후 화장품의 높은 성장을 예측하여 국가적인 화장품 소재개

발 연구의 지원 및 확대

∙화장품법 개정에 따른 고부가가치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 촉진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

고객 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새로운 원료등록을 위한 관련 인허가의 복잡성과 제약

∙신소재 개발을 위한 정책이 미흡한 상태

∙인체 및 동물 유래 줄기세포 배양 화장품 개발의 규제 강화

∙싸드의 국내 배치 등에 따른 대 중국수출 감소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탈모인구와 여성탈모 인구 증가(소비계층 다양화)∙정부의 화장품산업 지원

∙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

∙한류효과에 따른 한국 화장품 해외 수요 증가

∙대기업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확대

∙고기능성 원료 80% 이상 수입

∙신규소재개발에 대한 기술 의존도가 높아 기술 진입장벽 존재

∙대부분의 유통채널에서 대형사의 시장지배력 강화

∙중하위 업체 간 경쟁강도 높음

∙허위, 과장광고, 안전성, 부작용 등에 대한 우려 존재

출처: 헤어케어 화장품, 2016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전략보고서 (2016).

Table 9. 탈모 화장품 시장의 SWOT 분석

Page 11: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 cheric.org ·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KIC News, Volume22, No.1, 2019 13 한 탈모 제품들을 소개하고, 향후 탈모방지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22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16. (주)파마리서치프로덕트 홈페이지(pr-products.

co.kr).

17. 약업신문 (2015년 3월).

18. 2014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19. WT 메소드 홈페이지(www.wt-methode.co.kr).

소 대 섭1986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학사

1989 한양대학교 공업화학과 석사

2010 한양대학교 나노공학과 박사

2011~2012 Carnegie Mellon University 방문연구원

2012~2018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

1989~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 / 센터장

이 봉 진2000 제37회 변리사시험 합격

2001 한양대학교 공업화학과 졸업

2001 제38회 변리사시험 검토위원

2001~2003 유미특허법인 화학소재팀 근무

2006~2007 경기테크노파크 지식재산센터 근무

2008~현재 (주)ABNC 대표(www.abnc.co.kr)기술보증기금 시장조사, 가치평가 자문위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장조사, 가치평가 자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