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양식이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식이 가정부문...

175
기본연구보고서 04-01 생활양식이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 기 추․강 윤 영

Upload: others

Post on 13-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기본연구보고서 04-01

    생활양식이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 기 추․강 윤 영

  •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 연구위원 임기추

    선임연구위원 강윤영

    연구참여자 : 연구위원 정창봉

    책임연구원 권태규

  • 요약 ⅰ

    요 약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소득 증가에 기인한 일반 소비자의 편리성, 사회적 추구경향이 증진됨

    에 따라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계속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

    시 말해서 냉장고 용량의 대형화, TV 및 세탁기 보유의 대형화, 김치냉

    장고의 보급 확대 추세 등에 따라 향후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점차 증

    가할 전망이다.

    가정부문 에너지소비가 변화해 온 배경에는 값싼 에너지가격도 한 몫

    했지만 소득증대에 따른 에너지 사용기기의 보급 확대나 생활양식의 변

    화에 따른 해당 기기의 사용방식에 의한 영향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 개인주의화, 정보화, 고령화, 쾌적화의 추구, 여

    가의 증대 등 생활양식(life style)에 따라 에너지소비 패턴의 변화 및 다

    양화가 예상되고 있다.

    여기서, 생활양식의 변화란 다양한 사회적 경향의 변화라고 바꿔 말해

    도 좋을 것이다. 즉 여성의 사회진출, 개인주의적 생활화, 정보화 사회,

    고령화 사회, 여가의 증대 등의 추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경

    향의 축을 기본으로 하여 가정생활의 생활시간이 변경되어 가고 있고,

    이에 소요되는 에너지 사용기기의 보유대수나 용량, 그 가동시간도 변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용도별 에너지 수요분석 뿐만 아니라 생활행위

  • 측면에서 에너지소비를 분류하고 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생활양식

    에 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패턴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에너

    지절약 내지 온실가스 배출 감축형 가정생활의 생활방식을 장려하기 위

    한 방안 접근이 요청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양식의 다양한 요인들이 가정부문 에너

    지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생활양식

    과 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를 통한 분석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2. 내용 요약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모형으로 가정내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모

    형은 부위(방)별로 설치한 각 기기의 에너지 소비효율(정격소비전력 용

    량 등)에 가족의 생활행위별 기기마다 가동시간을 곱해 가구당 에너지소

    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가정부문, 주로 아파트에 대한 에너지소비와 생활양식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생활양식관련 에너지소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가구당 에너지소비는 2.341TOE, 1인당 에너지소비는 0.639

    TOE로 나타났다. 이를 용도별로 보면 온수용 0.415TOE, 난방용 1.490

    TOE, 전력용 0.307TOE, 취사용 0.130TOE 등으로 나타났다. 용도별 에너

    지소비 비중은 난방용이 63.6%로 3분의 2 가까이 차지하고, 온수용 17.7

    %, 전력용 13.1%, 취사용 5.6% 등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가정내 에너지소비관련 생활행위는 조명용, 난방용, 냉방

    용, 오락용, 정보용, 위생용, 취사용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분류별로

    나누어 보면 조명용 0.034TOE, 난방용 1.523TOE, 냉방용 0.028TOE, 오

  • 용약 ⅲ

    락용 0.029TOE, 정보용 0.014TOE, 위생용 0.439TOE, 취사용 0.275TOE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위별 에너지소비 비중은 난방용이 65.0%로 3

    분의 2 가까이 차지하고 있으며, 위생용 18.7%, 취사용 11.8%, 조명용

    1.5%, 냉방용 및 오락용 각각 1.2%, 정보용 0.6% 등의 점유율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 생활양식의 다양한 요인들이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생활양식의 유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정보화, 고령화, 여성의 사회진출, 여가의 증대, 위생 지향,

    개인주의화, 에너지절약 촉진 등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생활양

    식이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각 생활양식의 유형별 에너지소비 변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은 이미

    지로 상정한다. 우선 「정보화」는 정보기기 이용에 있어서 장시간 사용

    을 추구하는 세대이고, 「고령화」는 고령자 가구수 증가를 반영한 경

    우, 「여성의 사회진출」은 전업주부였던 모친이 취업하는 경우이다.

    또, 「여가의 증대」는 휴일이 증가하고 그 휴일을 레저로 보내는 것

    이며, 「위생 지향」은 온수사용 목욕․샤워 빈도 및 청소․세탁기 사용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를 상정한 경우이다. 「개인주의화」는 가족이 제

    각각 가정생활을 하고, 「에너지절약 촉진」은 쾌적성을 저하시키지 않

    고 에너지절약을 장려하는 세대이다.

    정보화에 대한 전제시 가정내에서 가구당 평균대비 에너지소비 0.011

    TOE 증가, 가구당 평균대비 온실가스 배출 0.007TC로 각각 0.5% 씩 증

    가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또, 고령화에 대한 전제시 가정내에서 가구

    당 에너지소비 0.004TOE 증가, 온실가스 배출 0.002TC로 각각 0.2% 씩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한 감안시 가정내에서 가구당 에너지소비 0.030

  • TOE 감소, 온실가스 배출 0.018TC로 각각 1.3% 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여가의 증대에 대한 전제시 가정내에서 가구당 에너지소비

    0.014TOE 감소, 온실가스 배출 0.008TC로 각각 0.6% 씩 감소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위생 지향에 대한 가정에 의거 가정내에서 가구당 에너지소비 0.035

    TOE 증가, 온실가스 배출 0.021TC로 각각 1.5% 씩 증가하는 것으로 도

    출되었다. 또한, 개인주의화에 대한 전제시 가정내에서 가구당 에너지소

    비 0.135TOE 증가, 온실가스 배출 0.080TC로 각각 5.0% 씩 증가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에너지절약 촉진에 대한 가정시 가정내에서 가구당 에너지소

    비 0.117TOE 감소, 온실가스 배출 0.069TC로 각각 5.0% 씩 감소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이와같은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생활양식의 유형별 시나리오 전제에

    대한 분석결과 정보화, 고령화, 위생 지향, 개인주의화 등의 유형에서 증

    가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여성의 사회진출, 여가의 증대 및 에너지

    절약 촉진 등의 유형에서 감소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생활양식의 유형별로 에너지소비와 관련한 이미지로

    상정한 것이지 특정 기준년도를 기준으로 한 산출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생활양식 개념에 대한 에너지소비 분석에 관해 처음 시도

    한 결과 몇가지 연구의 한계점을 안고 있다. 먼저, 전국 규모의 조사자

    료 미확보와 동시에 다년간의 분석자료 미축적으로 인해서 생활양식 개

    념에 대한 에너지소비 분석관련 시나리오 설정 근거상 일부 미흡 등의

    문제점 및 한계점을 안고 있다.

  • 요약 ⅴ

    둘째로, 분석자료로 광역시 규모의 시범적 조사결과를 활용한 바, 이

    를 전국 규모의 조사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다소 부족한 점이다. 셋째,

    가정주변 모형의 미적용의 한계이다. 이로 말미암아, 생활양식과 관련

    상업부문과 수송부문에 관계되는 에너지소비 영향 분석결과가 제외되어

    있다. 물론, 가정내 모형의 적용은 본 연구의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

    범위에 부합된다.

    3.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생활양식의 유형별 전제에 대한 분석결과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정

    보화, 고령화, 위생 지향, 개인주의화 등의 유형에서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여성의 사회진출, 여가의 증대 및 에너지절약 촉진 등의

    유형에서 감소경향을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진전이 보여지는 고령화, 개인주의화, 위생지향 등의 생활양식에

    의해서 분명히 에너지소비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나 여가의 증대 등의 경우 생활의 외부화를 고려하면 에너지소비의 증

    가로 연결된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의 꾸준한 증가세는 향후 에너지절약

    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생활수준의 저하, 예컨대 에너지절약

    을 위해서 생활수준을 낮추는 것은 사회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번 분석의 결과 현재의 생활양식을 답습하는 한 가구당 에너지소비

    증가경향은 피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사용기기의 보급

    은 가구당 한대의 시대에서 1인당 한대의 시대로 변화해 가고 있다. 개

    인이 각각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보유하는 것은 에너지의 다소비로

  • 연결된다.

    또한, 에너지 사용기기의 가동연장이나 대형화에 의한 다양한 생활양

    식의 추구는 에너지 다소비 경향을 강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여성의 사

    회진출, 여가의 증대 등 생활의 외부화는 에너지소비의 증가로 연결된

    다. 위생지향이나 고령화의 진전은 가정내의 에너지소비 증가경향을 높

    인다.

    그러나, 생활양식의 변화에 의한 에너지소비량의 변화는 의외로 크다.

    따라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자의 의식에 의해 에너지절약을 실현할 수

    있는 여지가 큰 편으로 판단된다. 에너지절약 촉진 가구와 같이 에너지

    절약을 의식하여 생활했을 경우 가정내에서 연간 0.117TOE의 에너지가

    절약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가구당 평균 약 5.0%의 에너지절약을 의미

    한다.

    따라서, 몇가지 가정부문 에너지절약을 위한 대응방안으로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자의 의식이나 사용방법과 함께 에너지

    절약마크제에 의한 대기전력 감소 등의 사용시스템을 포함한 대응으로

    에너지절약의 가능성은 한층 더 제고시킬 수 있다. 대기전력 절감이 각

    광받고 있는 또 하나의 이유는 에너지절약 실천이 가장 용이하기 때문

    이다.

    둘째, 가정부문의 에너지소비 감축을 위한 고효율 에너지 사용기기 및

    설비의 설치를 강화하는 것이다. 이들 에너지 사용기기의 일반 가정에

    대한 보급확대를 위한 저비용화나 지원제도의 확충이 더욱 더 불가피할

    것이다.

    셋째, 홈네트워크나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HEMS) 등과 같은 정보

    기술(IT)의 이용에 의한 가정부문 에너지관리시스템 활용을 본격적으로

  • 요약 ⅶ

    추진하는 것이다. 이 정보기술을 통해서 난방가동이나 에어콘 등의 가전

    기기에 대한 합리적인 운전이나, 사용자 대신 냉난방 가동 및 조명을 차

    단하거나 에너지 사용상황을 즉각응답 방식으로 표시하는 등 에너지의

    관리의식을 높이면서, 가정부문 에너지절약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

    이다.

    향후 연구과제로 가정주변 모형을 반영한 생활양식에 대한 에너지소

    비 영향 분석, 가정부분 에너지절약관련 고효율기기 및 대기전력 기기에

    관한 보유․교체(의사 및 주기)․선호․고비용 투자의지 등의 전문적 실

    태조사, 가정부분 에너지절약 행동메뉴 작성을 위한 에너지절약관련 의

    식조사, 가정부문 에너지절약관련 아파트 이외의 가구를 포함한 전국 규

    모의 다양한 생활행위별 에너지소비 영향 분석 등의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추가적인 조사자료 확보를 통한 생활행위별 에너지

    소비의 변화에 대한 비교분석도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 abstract ⅰ

    ABSTRACT

    1. Research Purpose

    Energy consumption in the residential sector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as consumers tend to pursue the convenience, caused by

    an increase in income.

    That means, the trend to the large-sized and fashionable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 refrigerators, TV, washers, Kimchi refrigerators -

    has increased th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Furthermore, the change of the life style, such as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the individualism, the information age,

    the graying trend, the pursuit of environmental pleasure, and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have been changing and diversifying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arious factors in

    life styles affect th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To achieve the

    purpos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data through the survey on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in the residential sector related to the life

    style.

  • 2. Summary

    This study establishes th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model in

    house. This model calculates the energy consumption per household

    by multiplying the energy capacity and the hours of operation by

    appliances, which are established in each room according to the life

    styles.

    To grasp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and the life style in the

    residential apartment, this study surveys and analyzes the energy

    consumption related to life style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energy consumption per household

    and per person is 2.341TOE and 0.639TOE respectively. The energy

    consumption per household by uses is 0.415TOE in heating water,

    1.490TOE in heating space, 0.307 in electricity, and 0.131TOE in

    cooking. The energy consumption for space heating holds 63.6% -

    two thirds of total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 heating water

    17.7%, electricity 13.1%, and cooking 5.6%.

    This study classifies the energy using behaviors in the residential

    sector into seven such as lighting, heating, cooling, recreation,

    information, sanitary, and cooking.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lighting uses 0.034TOE, heating 1.523TOE, cooling 0.028TOE,

    recreation 0029TOE, information 0.014TOE, sanitary 0.439TOE, and

    cooking 0.275TOE - 1.5%, 65%, 1.2%, 1.2%, 0.6%, 18.7%, and 11.8%

    respectively.

  • abstract ⅲ

    Because the diversification of the life style affects th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pattern of the life

    styl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This study defines the pattern of the life style as the

    information-oriented, the graying trend,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the pursuit of environmental pleasure,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the individualism, and the energy saving behavior and

    analyzes the effects of each pattern.

    This study materializes each pattern as the following images. The

    information-oriented is how long to use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computer, the graying trend is how many aging households

    increase, and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is how

    many married women get jobs. Also,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is

    to increase holidays, the pursuit of environmental pleasure i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shower and bath and the using time of

    vacuum cleaner and washer, the individualism is the trend toward

    nuclear family, and the energy saving behavior is to save energy

    maintaining the pleasantnes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formation-oriented, the graying

    trend, the pursuit of the environmental pleasure and the

    individualism increase th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while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the increase of leisure, and

    the energy saving behavior decrease th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 Because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materialized images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by patterns rather than the special basic year,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 that cannot compare the result

    directly.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hanges of energy

    consumption by patterns, it is estimated that the information- oriented

    increases 0.011TOE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0.007TC i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per household - 0.5% increase on each -,

    and the graying trend increases 0.004TOE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0.002TC i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per household - 0.2%

    increase on each.

    Besides,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decreases

    0.030TOE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0.018TC i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per household - 1.3% decrease on each -, and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decreases 0.014TOE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0.021TC i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per

    household - 0.6% decrease on each.

    The pursuit of the environmental pleasure increases 0.035TOE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0.021TC i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per household - 1.5% increase on each -, and the individualism

    increases 0.135TOE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0.080TC i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per household - 5.0% increase on each.

    At the last, the energy saving behavior decreases 0.117TOE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0.069TC i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per

  • abstract ⅴ

    household - 5.0% decrease on each.

    3. Research Results & Policy Suggestions

    The conclusion of this analysis is inevitable that the energy

    consumption per household will increas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urrent life style. However, the increase level depends on how much

    the saving effort of energy consumers in the residential sector is

    actualized as a real amount.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asures to save energy

    consumption in the residential sector. First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ergy saving mark system inducing to save the standby power;

    second is to install the high efficient energy appliance and

    equipment; third is to introduce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in

    the residential sector through using IT(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home network or HEMS(Houses Energy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tended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which is to provide energy

    consumption data by uses and life style patterns, and the

    establishment of survey method on the residential sector.

    However, it has also limit because this study is the first try to

    analyze the energy consumption based on the life style pattern. That

    is, the model surrounding the residential sector is not applied to this

    study, the sample size is not large enough as like a megalopolis, the

  • grounds of the assumptions on the life style used in the analysis is

    not sufficient, and some data is not enough.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energy consumption from the life style reflecting the model

    surrounding the residential sector,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s

    such as the ownership, the replacement plan, the preference, and the

    high-cost investment plan of the high efficient energy appliances and

    the standby power equipment, and to survey the consciousness

    related to energy saving in order to make out the energy saving

    behavior menu in the residential sector.

  • 차례 ⅰ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및 범위 ············································································· 4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 6

    1. 생활양식관련 개념 정의 및 선행연구사례 ······································ 6

    2. 생활행위와 생활양식 유형 분류 및 설정관련 연구사례 ················ 12

    제3장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 ································ 26

    1.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연구사례 ························ 26

    2.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시범조사 ······························· 29

    3.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결과 ······························· 34

    제4장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모형 구축 및 영향분석 ·········· 59

    1.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모형관련 연구사례 ······························· 59

    2.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모형 구축 ············································· 66

    3. 생활행위 분류에 의한 에너지소비 패턴분석 ································· 69

    4. 생활양식 유형에 의한 에너지소비 영향분석 ································· 83

    제5장 요약 및 결론 ············································································· 102

    참고문헌 ····························································································· 110

    부 록 ······························································································· 113

    부록 : 생활양식관련 에너지소비 조사(조사표 가) ······························ 115

  • 생활양식관련 에너지소비 조사(조사표 나) ··························· 117

    부표 1. 생활양식관련 전체 에너지소비 조사결과 ···························· 120

    부표 2. 생활양식관련 용도별 에너지소비 조사결과 ························ 122

    부표 3.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 패턴분석 ······························· 142

  • 차례 ⅲ

    표 차례

    < 표 2-1 > 생활양식관련 국내외 주요 연구사례 ·································· 11

    < 표 2-2 > 생활행위별 에너지 사용기기 ·············································· 14

    < 표 2-3 > 생활양식 유형과 에너지소비 변화요인 ······························ 21

    < 표 3-1 > 모집단 및 표본의 크기 ······················································· 31

    < 표 3-2 > 생활행위별 에너지 사용기기 분류 ····································· 34

    < 표 3-3 > 생활양식관련 소비조사표 매수 및 유효표본율 ·················· 35

    < 표 3-4 > 조사대상 가구의 평형별 분포 ············································ 36

    < 표 3-5 > 조사대상 가구의 평형별 평균 면적 ···································· 37

    < 표 3-6 > 조사대상 가구의 소득수준별 분포 ····································· 37

    < 표 3-7 >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주 연령별 분포 ································ 38

    < 표 3-8 >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원수별 분포 ····································· 40

    < 표 3-9 > 조사대상 가구의 주부 직업유무별 분포 ····························· 41

    < 표 3-10 > 평형별 전체 에너지소비 ··················································· 42

    < 표 3-11 > 소득수준별 전체 에너지소비 ············································ 44

    < 표 3-12 > 가구주 연령별 전체 에너지소비 ······································· 45

    < 표 3-13 > 가구원수별 전체 에너지소비 ············································ 47

    < 표 3-14 > 주부 직업유무별 전체 에너지소비 ···································· 48

    < 표 3-15 >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개요 ········································· 49

    < 표 3-16 >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49

    < 표 3-17 >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51

    < 표 3-18 > 용도별 에너지소비 비교 ··················································· 52

    < 표 3-19 > 평형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53

    < 표 3-20 > 평형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53

  • < 표 3-21 > 소득수준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54

    < 표 3-22 > 소득수준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54

    < 표 3-23 > 가구주 연령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55

    < 표 3-24 > 가구주 연령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56

    < 표 3-25 > 가구원수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57

    < 표 3-26 > 가구원수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57

    < 표 3-27 > 주부 직업유무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58

    < 표 3-28 > 주부 직업유무별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58

    < 표 4-1 > 생활행위별 에너지 사용기기 분류 ····································· 70

    < 표 4-2 >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개요 ······································· 72

    < 표 4-3 >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비중 ······································· 73

    < 표 4-4 >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 비교 ····································· 74

    < 표 4-5 > 생활행위 분류별 평형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76

    < 표 4-6 > 생활행위 분류별 평형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76

    < 표 4-7 > 생활행위 분류별 소득수준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77

    < 표 4-8 > 생활행위 분류별 소득수준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78

    < 표 4-9 > 생활행위 분류별 가구주 연령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79

    < 표 4-10 > 생활행위 분류별 가구주 연령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80

    < 표 4-11 > 생활행위 분류별 가구원수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80

    < 표 4-12 > 생활행위 분류별 가구원수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81

    < 표 4-13 > 생활행위 분류별 주부 직업유무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82

    < 표 4-14 > 생활행위 분류별 주부 직업유무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82

    < 표 4-15 > 생활양식의 분류사례 ························································· 84

    < 표 4-16 > 생활양식 유형별 에너지소비 영향요인 ····························· 91

    < 표 4-17 > 생활양식 유형의 변화 시나리오 설정내용 ······················· 92

    < 표 4-18 > 생활양식 유형별 에너지소비 증감영향 ····························· 94

    < 표 4-19 > 생활양식 유형별 온실가스 배출 증감영향 ······················· 96

  • 차례 ⅴ

    그림 차례

    [ 그림 1-1 ] 연구수행과정 ······································································· 5

    [ 그림 2-1 ] 생활양식 유형 분석의 관점 ················································ 8

    [ 그림 3-1 ] 조사대상 가구의 평형별 분포 ··········································· 36

    [ 그림 3-2 ] 조사대상 가구의 소득수준별 분포 ···································· 38

    [ 그림 3-3 ]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주 연령별 분포 ······························· 39

    [ 그림 3-4 ]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원수별 분포 ···································· 40

    [ 그림 3-5 ] 조사대상 가구의 주부 직업유무별 분포 ··························· 41

    [ 그림 3-6 ] 평형별 전체 에너지소비 ···················································· 43

    [ 그림 3-7 ] 소득수준별 전체 에너지소비 ············································· 44

    [ 그림 3-8 ] 가구주 연령별 전체 에너지소비 ······································· 46

    [ 그림 3-9 ] 가구원수별 전체 에너지소비 ············································· 47

    [ 그림 3-10 ] 주부 직업유무별 전체 에너지소비 ·································· 48

    [ 그림 3-11 ]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 ·············································· 50

    [ 그림 3-12 ] 용도별 가구당 에너지소비비중 ······································· 51

    [ 그림 4-1 ] 가정내 모형의 흐름도 ······················································· 63

    [ 그림 4-2 ] 가정주변 모형의 흐름도 ···················································· 65

    [ 그림 4-3 ]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 ············································· 72

    [ 그림 4-4 ]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비중 ······································ 73

    [ 그림 4-5 ]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 비교 ···································· 75

    [ 그림 4-6 ] 생활양식 유형별 에너지소비 증감영향 ····························· 95

    [ 그림 4-7 ] 생활양식 유형별 온실가스 배출 증감영향 ······················· 97

  • 제1장 서론 1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소득 증가에 기인한 일반 소비자의 편리성, 사회적 추구경향이 증진됨

    에 따라, 가정부문 에너지소비가 계속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가구당 에너지소비량을 보면 꾸준히 증가되어 1981년에 1.50TOE에서

    1990년 1.57TOE, 1997년 1.78TOE로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1998년 외환위

    기에는 1.43TOE로 하락되었다.

    외환위기 이후에 가구당 에너지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2년에

    는 1.61TOE까지 회복하였으나, 외환위기 이전 최고수준인 1997년도의

    1.78TOE에는 미치는 못하는 수준이다.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를 1인당 기준으로 살펴보면 1981년 0.32TOE에서

    1990년에 0.42TOE, 1997년에는 0.43TOE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1998년

    외환위기에는 0.43TOE로 하락되었으나, 2002년에는 0.51TOE까지 회복하

    였다.

    이러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가전제품의 대형화 및 신기기 보급 확

    대 등으로 인해 에너지수요 증가가 뚜렷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맞벌이 부부 증가 등에 기인한 냉장고 용량이 과거 보다 대형화 추세,

    TV 및 세탁기 보유의 대형화, 김치냉장고의 보급 확대 추세 등에 따라

    향후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 개인주의적 생활화, 정보화, 고령화, 쾌적화의

  • 2

    추구, 여가의 증대 등 생활양식(life style)에 따라 에너지소비 패턴의 변

    화 및 다양화가 예상(樓井隆博, 1994)되고 있다.

    이와같은 가정부문 에너지소비가 변화해 온 배경에는 값싼 에너지가

    격도 한몫 했지만 소득증대에 따른 에너지 사용기기의 보급 확대나 생

    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해당 기기의 사용방식에 의한 영향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양식의 변화란 다양한 사회적 경향의 변화라고 바꿔 말해

    도 좋을 것이다. 즉 여성의 사회진출, 개인주의적 생활화, 정보화 사회,

    고령화 사회, 여가의 증대 등의 추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경

    향의 축을 기본으로 하여 가정생활의 생활시간이 변경되어 가고 있고,

    이에 소요되는 에너지 사용기기의 보유대수나 용량, 그 가동시간도 변화

    되고 있다1).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용도별 에너지 수요분석 뿐만 아니라 생활행위

    측면에서 에너지소비를 분류하고 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생활양식에 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패턴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

    해서, 에너지절약 내지 온실가스 배출 감축형 가정생활의 생활방식을 장

    려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요청되어 왔다.

    일본에서는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대책의 하나로, 일상 생

    활에서 에너지절약을 지향하는 생활양식의 변혁을 촉진시키는 방안이

    강구2)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생활양식의 관점에

    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과 관련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한편, 정부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3) 및 제2차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

    1) 日本 エネルギー經濟硏究所, 1995, pp. 1-2

    2) 日本 エネルギー基本計劃, 2003. 10, pp. 35-36 및 2002년도 UNFCCC 일본 3차 국

    가보고서(The Government of Japan, 2002, p. 176) 참조

  • 제1장 서론 3

    획(1999~2003)의 중점추진과제 “환경친화적 저탄소형 에너지소비 시스

    템 구축”관련 과제에서, 소비자 스스로 에너지소비 패턴을 변화시켜 에

    너지소비의 합리화 유도 방침이 명시4)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양식의 다양한 요인들이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생활양식과 관련 가정부

    문 에너지소비 시범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

    지 소비파악 및 구체적 생황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 동향파악 및 생활

    양식의 유형 분류에 의한 에너지소비 영향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 관련 조사연구 사례를 살펴보면, 기존 연구는 가구특성별 조사

    통계자료의 작성에 국한되고 있으며, 생활양식과 관련 에너지소비 분석

    연구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2002 에너지총조사(2003)는 가

    구특성(지역, 건축년도, 가구원수, 난방면적, 주택형태, 난방설비/용도)별

    에너지소비, 소비구조 등의 자료 제공에 국한되고 있다. 가정부문 에너

    지 소비조사 및 DB 구축(2003) 과제는 가구부문 에너지소비와 외부환경

    (기온 등)의 영향,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구조, 가전기기 및 에너지 사용

    설비 이용실태 등의 통계자료 제공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관련연구와 같은 전국 규모의 가구특성별 조사 통계

    자료의 작성에 의한 에너지소비 분석이 아니라, 대도시 중심의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지소비 파악 및 구체적 생활행위 분류별 에너지소비 동향

    및 생활양식의 유형 분류에 의한 에너지소비 영향분석에 있다. 이는 생

    활양식과 관련 에너지소비 분석연구로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연구과제로 판단된다.

    3) 대한민국 정부, 2002,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2~2011)

    4) 산업자원부, 1999, 제2차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1999~2003)

  • 4

    2. 연구내용 및 범위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양식의 유형별 분류에 의한 가정부문 에너지소

    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먼저, 제2장에서는 생활양식의

    개념 및 정의, 생활양식관련 선행연구사례, 특히 생활양식 유형의 분류

    및 설정관련 연구사례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생활양식과 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내용을 설명

    하였다. 이 조사는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지소비 및 구체적 생활행위별

    에너지소비 동향 파악, 나아가 생활양식 유형 설정에 의거한 영향 분석

    이 가능하도록 조사항목 및 조사내용을 포함하였다.

    생활양식에 관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는 지역난방 및 중앙난방

    아파트가구를 대상으로, 예산규모를 고려하여 실시되었다. 이 조사결과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지소비 동향을 파악하였다. 여기서 가정부문 에너

    지소비관련 용도구분은 온수용, 난방용, 전력용, 취사용으로 분류하였다.

    제4장에서는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모형으로 가정내 모형의 개념

    을 설정한 후 에너지소비량을 가구당 연간 기준으로 추계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즉 각각의 생활행위별․주택부위별로 설치된 에너지 사용기

    기별 에너지 소비효율(정격소비전력 용량 등)에, 가구 구성원별 에너지

    사용기기별 가동시간을 곱해서 산출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이 가정내 에너지수요 미시모형을 활용하여, 생활행위 분류에 의한 에

    너지소비 패턴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생활행위 구분은 조명용, 난방용,

    냉방용, 오락용, 정보용, 위생용, 취사용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 생활양

    식의 다양한 유형이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생활양식의 유형은 정보화, 고령화, 여성의 사회진출, 여가의 증

  • 제1장 서론 5

    대, 위생 지향, 개인주의화 및 에너지절약 촉진 등으로 설정하였다.

    [ 그림 1-1 ] 연구수행과정

    연구목적 및

    범위 설정

    목적

    생활양식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조사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

    가정부문 에너지수요

    미시모형 구축

    생활행위 분류 및

    에너지소비 패턴분석

    생활양식 유형 설정 및

    에너지소비 영향분석

    영향분석자동차

    기업평균연비제도

    도입방안 제시요약 및 결론

    전문가 자문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동시에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여 본 보고서의 결론으로 삼았다.

  • 6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1. 생활양식관련 개념 정의 및 선행연구사례

    가. 생활양식의 용어 정의

    생활양식(life style)의 개념은 연구자의 관심과 접근방법에 따라 다양

    하고, 포괄적으로 정의되어 왔다.

    1950년대 Kelly의 인간행동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Kelly, G. A.,

    1955), 1960년대에 소비자 행동연구 및 마아케팅 분야에 도입(Lazer, W.,

    1963)1) 외 다수의 연구가 있다.

    이후 생활양식의 개념 및 정의는 인간행동론, 소비자행동론, 마아케팅,

    가정관리학, 사회경제학, 소비자경제학 등 여러 학문적 측면에서 가치,

    태도, 인식 및 동기 등의 관련 개념들과 함께 실증분석을 통해 정립되어

    왔다(이연복(1996), 이연복․홍형옥(2000), 손상희(2001), 이명진(2002)).

    여러 학문적 측면에서 사용하였던 개념들에서 공통적으로 담겨있는

    의미로 요약하자면, 생활양식이란 하나의 사회과학적 개념으로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생활상의 특성을 보이는 총체적 행위로 볼 수 있다2)).

    생활양식의 정의는 연구분야에 따라 각양각색이어서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양식을 어의 그 자체인 「생활행위

    1) 문숙재․김혜연, 1987, p. 91에서 재인용

    2) 김민정․박진선, 1997, 소비자학연구, 제8권 제1호, p. 2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7

    의 양식」으로 해석하기로 한다3).

    일반적으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안정적으로 계속 확대되어 왔다.

    그 배경을 살펴보면 최근 값싼 에너지가격을 포함하여 소득증대에 따른

    에너지사용 기기의 보급 확대,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기기의 사용방식

    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양식의 변화란 다양한 사회적 경향의 변화라고 바꿔 말해

    도 좋을 것이다. 즉 여성의 사회진출, 생활의 개인주의화, 정보화, 고령

    화, 쾌적화의 추구와 같은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경향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생활시간이 변경되어 가고

    있음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 사용기기의 보유대수, 용량 및 가동

    시간도 변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여성의 사회진출, 생활의 개인주의화, 정보화, 고령화, 쾌

    적화의 추구가 새로운 에너지 사용기기의 수요(needs)를 유발하고, 동시

    에 에너지소비량도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것들이 가사형태나 취업형태를 변화시켜 소비자의 행동양식을

    변화시키고 에너지소비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생활행위란 취사나 식사, 위생이나 오락 등과 같은 것

    에서부터 냉난방이나 조명 등과 같이 주택의 환경을 설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활양식이란 그 행위를 하기 위한 수단(기기의 사용방식, 금전의 사

    용방식)과 시간의 사용방식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정부문 에너지수요는 어떤 생활행위의 실현을 위하여 파생적

    으로 일어난 것이라는 측면에 입각하여 분석해 볼 수 있다(工蕂拓穀

    3) 日本 エネルギー經濟硏究所, 1995, p. 31

  • 8

    (1993) , 藤目和哉(1994)).

    [ 그림 2-1 ] 생활양식 유형 분석의 관점

    지출

    사회적흐름여성의사회진출, 고령화, 쾌적화지향, 핵가족화, 건강지향,정보화·····

    가정

    식사 위생교양오락

    주거환경 정보

    생활행위

    시간 에너지소비

    가동시간

    용량효율

    기기대수

    생활양식의형성

    지출

    사회적흐름여성의사회진출, 고령화, 쾌적화지향, 핵가족화, 건강지향,정보화·····

    가정

    식사 위생교양오락

    주거환경 정보

    생활행위

    시간 에너지소비

    가동시간

    용량효율

    기기대수

    생활양식의형성

    工蕂拓穀(1993)

    이 관점은 당연한 것이면서도 의외로 간과하는 경향이 많다. 과거부터

    가정부문 에너지는 난방용, 급탕용, 취사용, 동력용, 조명용 등과 같은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9

    구분이 되어왔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필요한 것은 「조명용」의 에너지가 아니라 「밝

    기」이다. 마찬가지로 「취사용」 에너지가 아니라 「가정내에서 식사를

    한」결과 에너지도 필요하게 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용도별 에너지소비에 대한 분석 뿐만

    아니라, 생활행위 측면에서 에너지소비를 분류하고 그 분석을 시도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즉 식사를 준비하고, 책을 읽고, 목욕을 하고, 드라마를 보는 등과 같

    은 생활행위가 주목적으로써 그 행동실현을 위한 취사기구, 조명, 목욕

    설비, TV 등과 같은 기기들의 가동시간에 맞추어 에너지가 소비되게 마

    련이다.

    그러므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와같은 생활행위

    에 입각한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부문 에너지소비관련 생

    활행위 구분은 조명용, 난방용, 냉방용, 오락용, 정보용, 위생용, 취사용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의 분석에 있어서 과거의 용도별 접근

    외에 「생활행위별」로 분류, 분석할 필요가 있다.

    나. 생활양식관련 선행연구사례

    국내에서 생활양식과 관련 에너지소비 분석 연구사례는 아직 없는 것

    으로 판단된다.

    다만,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량 및 소비구조 파악을 위한 조사결과가 에

    너지경제연구원을 중심으로 발표되고 있다.

    국내의 생활양식에 관한 이론적 연구사례를 보면 생활양식과 관련 에

    너지소비 분석을 한 연구사례는 아직 없으나, 학계를 중심으로 일반적

  • 10

    소비자행동 분석 등에 국한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문숙재․김혜연(1987)은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가정관리 행동의 분석,

    이연복․홍형옥(2000)은 대도시 가족의 주거생활양식에 관한 연구(주거

    생활양식 유형화를 중심으로), 손상희(2001)는 한국가계의 소비수준 및

    표준(지속가능한 생활양식의 실현 모색) 등의 연구가 있다.

    주된 연구방법으로 문숙재․김혜연(1987)은 524가구 조사, 주성분분

    석․요인분석, 집락분석 등이, 이연복․홍형옥(2000)은 850가구 조사, 주

    성분분석․요인분석, 집락분석, 일원분산분석 등이, 손상희(2001)는 567

    가구 조사, 분산분석, 상관분석 등이 적용되었다.

    일본 등지에서는 이미 1990년대 초부터 생활양식의 측면에서 가정부

    문 에너지소비 분석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과 관련 조사방법론 개발 및

    조사 실시, 용도별․기기별․생활행위별 에너지소비 원단위 파악, 또한

    세대별 에너지 소비규모(표준세대, 과소비 세대, 저소비 세대)별 소비영

    향 분석까지 수행하고 있다.

    나아가, 고령화 측면에 대한 연구에서는 고령화의 주택환경과 에너지

    수요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工蕂拓穀(1993)은 생활행위에 의한 가정 에너지소비와 에

    너지절약, 樓井隆博(1994)은 라이프스타일에 의한 장래 에너지소비 변화

    의 분석, 工蕂拓穀(1997)은 유형화 세대모형에 의한 가정용 에너지소비

    변화분석 등이 연구되었다.

    이들 연구에서 주된 연구방법으로 생활행위의 유형분류, 기존 문헌조

    사 및 소비조사,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분석(bottom-up) 모형 구축, 에너

    지소비 분석모듈에 의한 분석 등이 기법이 적용되었다.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11 11

    < 표 2-1 > 생활양식관련 국내외 주요 연구사례

    구분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국내

    ▪국내에서 생활양식과 관련 에너

    지소비 분석 연구사례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판단됨.

    ▪다만, 생활양식과 관련 학계를

    중심으로 일반적 소비자행동 분

    석 등에 국한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음(문숙재․김혜연(1987

    ), 이연복․홍형옥(2000) 등).

    ▪문헌조사

    ▪실태조사

    ▪소비자행동론

    적 시각에서

    생활양식 분

    석․평가

    ▪문숙재김혜연(1987): 생활양식 유

    형에 따른 가정관리 행동의 분석

    - 서울지역 아파트거주 주부를 중

    심으로

    ▪이연복홍형옥(2000): 대도시 가

    족의 주거생활양식에 관한 연

    구 - 주거생활양식 유형화를

    중심으로

    해외

    1

    생활행위라는 측면에

    서 증감요인 분석을 분석하고,

    향후 에너지소비와 절약가능성

    을 평가

    ▪생활 행위의

    유형분류

    ▪기존 문헌조

    사 및 소비조

    ▪생활행위에서 본 에너지 소비분석

    ▪가정부문 에너지절약방법의 문제

    ▪가정부문 에너지절약방법의 개선

    방법

    해외

    2

    생활양식에

    의한 에너지소비 변화는 의외로

    큰 편이며, 세대규모별로 에너지

    과소비 또는 저소비 영향이 현

    저함.

    ▪표준세대 설

    정, 가정부문

    에너지 분석

    모형 구축

    ▪과소비형 및

    저소비형 세

    대 설정

    ▪가정부문 에너지수요 분석모형 개

    념 정리 및 개발

    ▪표준세대의 에너지소비 영향 분석

    ▪생활양식의 변화와 에너지소비 영

    향분석

    ▪생활양식과 에너지절약 분석 및

    절약 가능량 산출

    해외

    3

    : 세대유형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수요 추정, 고령화

    제요소를 고려한 향후 에너지수

    요 영향을 분석함

    ▪문헌조사, 설

    문조사

    ▪세대 유형별

    에너지소비

    자료 구축

    ▪에너지소비분

    석모듈에 의

    한 분석

    ▪유형화 세대모형 개념, 분석방법

    정립

    ▪에너지수요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

    석방법의 검증

    ▪시뮬레이션에 의한 장래 영향분석

    ▪세대유형별 고령화 등의 생활양식

    을 고려한, 향후 에너지수요 영향

    분석

  • 12

    2. 생활행위와 생활양식 유형 분류 및 설정관련 연구사례

    가정부문 에너지소비관련 생활행위와 생활양식 유형의 분류 및 설정

    관련 연구사례를 보면, 1) 식사, 위생, 교양․오락, 주거환경(냉난방, 조

    명), 정보, 기타(工蕂拓穀, 1993), 2) 냉난방, 식사, 위생, 오락, 정보 등(藤

    目和哉, 1994), 3) 쾌적화, 고령화, 개인주의화, 여가 증대, 여성의 사회진

    출, 직주근접․재택근무(樓井隆博, 1994), 4) 고령화, 고단열화, 생활시간

    변화, 외식화, 여성취업화(工勝拓穀, 1997)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분류는 생활행위 분류하에 에너지소비에 대한 분석사례이고, 나머

    지 사례는 생활양식 유형 설정하에 에너지소비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외의 생활양식 유형의 분류 및 설정관련 연구사례를 보면, 먼저 국

    내 생활양식 유형의 분류 및 설정관련 연구사례의 경우 문숙재․김혜연

    (1987)은 가정관리행동의 분석관련 생활양식 유형을 자기충실형, 소극적

    침체형, 유행관리추구형, 혁신충동형으로 구분4)하였다.

    이연복․홍형옥(2000)은 주거생활양식 유형을 형식적 생활형, 가족화

    목 생활형, 적극적 건강생활형, 미온적 혼합생활형, 편리추구 생활형, 주

    거환경중시 생활형으로 구분5)하였다. 또 이명진(2002)은 주생활양식의

    유형을 집안의 구조와 기능적 편리성 중시, 가구와 실내장식 중시, 거실

    의 규모와 가구배치․청소 중시 등으로 설정 구분6)하였다.

    이외의 해외 생활양식 유형의 분류 및 설정관련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Future Foundation(2003)은 영국의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와 관련한 인구

    4) 문숙재․김혜연, 1987, pp. 99~104

    5) 이연복․홍형옥, 2000, pp. 84~85

    6) 이명진, 2002, p. 134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13 13

    변화, 가구구성의 변화, 직업의 변화, 가계소득의 변화, 쇼핑기술의 변화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Uyterlinde․Jeeninga(1999)는 네덜란드 가정부문 전력소비와 관련 가

    처분 소득, 사회적 인식, 여유시간의 변화, 개인주의, 편리성의 증진 등

    의 유형으로 구분 분석하였다.

    California Energy Commission(2002)은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지역 가

    정부문 전력소비 절약행동과 관련 11가지 유형, 즉 조명 사용차단, TV

    시청차단, 수영장 비사용 장비 사용차단, 냉방온도 상향 조정, 냉방 사용

    빈도 감축, 의류 세탁 및 식기 세척 빈도 감축, 비첨두시 에너지이용, 고

    효율 형광등 이용, 에너지 사용기기 저비용 투자, 고효율 가전기기 교체,

    에너지 사용기기 고비용 투자 등의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Rick Diamond(2001)는 미국의 가정 및 사무실에 대한 생활양식의 변

    화에 대한 에너지소비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정부문에 대한 생활양식 유

    형은 가구 구성원수, 재택시간, 가전기기 증가, 고효율 가전기기, 절약형

    창문 개수, 냉방 감축, 취사 증가, 송풍시스템의 기계화, 조명의 종합제

    어, 재생에너지 사용 등으로 구분되었다. 또 사무실에 대한 생활양식의

    유형으로 근무시간 증가, 근무시간 감축, 작업용 전자장비 증가, 송풍시

    스템의 기계화, 조명의 종합제어, 냉방 감축, 절약형 창문 개수, 고효율

    사무용 기기, 개인 난방 제어, 전기배선의 분리, 재생에너지 사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가. 工 拓穀(1993) 생활행위의 분류7)

    구체적인 생활행위로써는 식사, 위생, 오락, 주거환경의 선택, 정보의

    7) 工蕂拓穀, 1993, pp. 59~68

  • 14

    5가지 행위로 분류하였다. 식사는 식재의 저장부터 취사, 그리고 설거지

    까지의 일련의 행위를 포함한다. 식재의 저장에는 주로 냉장고가 사용되

    고, 취사에는 곤로나 밥통,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기기가 사용된다. 설거

    지에는 식기세척기의 급탕기 사용이나 식기건조기 등과 같은 기기가 사

    용된다.

    위생은 신체위생과 생활위생으로 크게 구분한다. 신체위생은 목욕이나

    세면, 화장실과 같이 신체에 관한 행위로써 급탕 주변기기나 온수세정변

    기 등과 같은 기기가 사용된다. 생활위생은 청소․세탁 등과 같이 생활

    에 필요한 위생행위를 가리키며 세탁기나 청소기가 이 행위에서 사용되

    는 기기이다.

    오락은 가정내에서의 여가나 정보수집 등에 필요한 에너지소비를 가

    리킨다. TV나 스테레오 등의 오디오․비디오 기기, TV 게임기 등과 같

    은 기기가 여기에 해당된다.

    < 표 2-2 > 생활행위별 에너지 사용기기

    생활행위 행위의 내용 사용 기기

    식 사조 리 조리, 식기 설거지 전자렌지, 곤로, 밥통, 오븐 외

    저 장 식품의 저장 냉장고

    위 생신체위생 목욕, 세면 급탕주변기기, 온수세정변기 외

    생활위생 청소, 세탁 청소기, 세탁기, 의류건조기 외

    교양․오락 TV 시청, 음악감상 TV, 스테레오, DC 플레이어 외

    주거환경의

    선택

    냉 난 방 냉방, 난방 에어컨, 온풍히터, 스토브 외

    조 명 주택조명 조명기기

    정보․기타 통신, 정보수집 전화, 컴퓨터, 문자방송 외

    자료: 工蕂拓穀, 1993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15 15

    주거환경의 선택은 냉난방 등과 같은 공조관련 기기와 조명이 포함된

    다. 냉난방에는 에어컨이나 히터, 스토브 등 에너지 사용기기가 사용된

    다. 조명은 일반적인 실내 조명과 함께 대문 등, 정원 등, 무드 조명과

    같이 조명기기 전반을 가리킨다.

    정보에는 외부와 정보교환 수단으로써의 컴퓨터, 전화기 등과 같은 통

    신기기를 비롯한 정보가공기기의 사용도 이 행위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1) 식사

    식사는 간편화․실용화를 목적으로 한 효율적인 행동과 다양화․고급

    화의 행동이 양극으로 분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간편화․실용화

    는 여성의 사회진출과 1인 가구의 증가, 핵가족화 등과 같은 사회적 동

    향으로 일상적 식사행위의 효율성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취사․쇼핑시간을 비교하면 취업주부의 취사와 쇼핑시간은

    전업주부에 비해 단축되었을 것이다. 취업에 따른 시간적 제약으로 이러

    한 시간이 단축되었을 것이다.

    한편, 전업주부도 취사시간의 단축으로 시간을 만들고 그 시간을 자유

    롭게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등 시간의 사용방식이 다양화되고 있다.

    취사와 쇼핑행위의 변화, 시간의 단축으로 구입하는 식사 재료의 종류

    에도 변화가 보여진다. 생선식품의 구입량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역

    으로 조리(주로 준비)를 간편하게 하는 가공조리 식품과 음료 등 저장이

    가능한 식품의 구입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저장형 식품의 증가는 당연히 가정에서의 저장으로 이어진다. 소득수

    준의 향상으로 최근 냉장고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반면 냉장고

    의 기기효율 개선가능성이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저장용도의 에너지소

  • 16

    비는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생활의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움직임으로써 식사의 다양화․고급

    화를 들 수 있다. 가정에서 수준 높은 요리를 즐기는 경향으로 인해, 소

    식단 다소비의 식생활에서 다식단 저소비의 식생활로 변화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조리정보의 확대, 다양한 조리기구의 개발․보급이 뒷받침되고

    있다.

    이와같이 식사에서는 합리화와 다양한 조리․식사방법 등과 같은 생

    활의 풍요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전기제품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

    므로, 식사행위에서의 에너지소비 증가세는 둔화하고 있지만 전력 소비

    량은 증가하고 있을 것이다.

    2) 위생

    가) 신체위생

    신체위생면에서는 건강의식이나 청결지향 등을 배경으로 목욕관련 기

    기의 대형화와 고급화,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목욕관련 동향으로써 수년간 진행되고 있는 욕조 크기의 확대, 아침

    샤워로 대표되듯이 샤워의 사용빈도 증가, 그리고 생활의 개인화에 의한

    목욕시간의 분산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에너지소비 증가에 기

    여하고 있다.

    또한, 고령화와 청결․건강의식의 고양으로 온수 세정좌변기의 보급․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온수세정좌변기의 보급률이 점차 높아져, 앞

    으로 전력의 소비량이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나) 생활위생

    생활위생면에서는 시간합리화의 필요성 때문에 세탁의 기계화․자동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17 17

    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세탁물의 건조도 건조장소가 협소한 주거환경

    과 생활시간의 효율화를 위하여 의류건조기 보급에 의한 기계화가 진행

    되고 있다. 최근 생활위생면에서의 에너지소비 증가는 주로 그 의류건조

    기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3) 교양․오락

    교양․오락의 특징으로는 TV의 동향과 그 역할 변화를 들 수 있다.

    TV의 시청시간은 레저의 다양화, 여성취업자의 증가에 의해 해마다 감

    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최근에는 휴일의 시청시간 증가로 인하여 그 경향

    이 둔화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다기능 기기의 보급, 지금까지 대폭적

    으로 진행되어 왔던 효율개선이 둔화됨으로써 최근에는 TV 1대당의 소

    비 전력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 행위에서의 에너지소비는

    수년간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TV가 단순시청과 함께 TV 게임, 비디오 감상, 음악감상 등

    모니터로도 사용되고 있어 TV의 가동시간은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비디오와 TV 등 리모콘을 사용하는 기종에서는 상시 대기를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와같이 에너지 사용기기의 고부가가치에 따라 의

    도하지 않은 에너지도 소비되고 있다.

    연령별 TV 시청시간을 보면 여성은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고 있고,

    남성도 재택시간이 늘어나는 경향 때문에 급증하고 있다. 사회전체의 고

    령화가 진행되어 고령자의 비율이 높아짐으로써 앞으로 1인당의 TV 시

    청시간이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4) 주거환경의 선택

    가) 냉난방

  • 18

    냉난방의 경우에 지역적인 차이는 있지만 최근 전력화가 추진되고 있

    다. 난방용 에너지소비는 수년간 이상난동의 영향으로 신장이 둔화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정내의 공조에 대한 쾌적화 지향으로 냉난방 겸용 에

    어컨이나 온풍 히터 등과 같이 전기에 의한 난방용 기기의 에너지소비

    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생활의 개인주의화에 의해 룸 에어컨의 복수 보유도 특징적인

    동향이다. 복수 보유 세대의 2대째 이후 기종은 개별 방에 설치하는 것

    이기 때문에 1대째에 비해 소형이라고 생각되고, 기기효율의 개선과 아

    울러 룸에어컨의 평균 기기 용량이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기기의 효율

    개선은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평균용량의 감소는 앞으로도 둔화될 것이

    라고 생각된다.

    고연령층에서의 에너지원 선택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난방은 등유 중

    심이고 냉난방 겸용 에어컨도 다른 연령층에 비해 그다지 사용하고 있

    지 않다. 이것은 고령자층의 소득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

    기 때문에 기기 및 연료가격이 저렴한 쪽을 선택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젊은 층에서는 냉난방 겸용 에어컨과 온풍 히터 등을 많이 구

    입하고 있는 반면, 석유 스토브 사용이 거의 없어지고 있다. 젊은 세대

    는 냉난방에서의 전력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같이 냉난방에서는 쾌적화와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경향 때문에

    전력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나) 조명

    조명은 기기효율의 향상과 형광등의 보급 등이 에너지소비 감소에 기

    여하고 있는 반면, 최근 주거환경의 변화와 요구되는 조도의 증가, 생활

    의 개인주의화에 의해 점등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에너지소비는 증가경향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19 19

    이다.

    형광등의 광원효율은 지금까지 상당한 정도 효율이 향상되고 있다. 또

    고효율 인버터식 형광등이 도입된 것도 효율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점

    이다. 또한 조명기기의 사용시간에 관계되는 재택시간의 변화에 따라 달

    라질 것으로 보인다.

    기기의 효율향상과 재택시간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생활 개인주의화

    에 따른 점등시간의 변화와 조명에의 쾌적화 추구 변화에 의해 가정용

    조명기기의 종류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세대의 방 수 증가와 함께

    보조조명의 증가, 설정조도의 변화에 의한 주조명의 대형화로 조명용 전

    력소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조명에서의 풍요로움과 쾌적화의 추구 때문에 전력 소비량

    이 증가하고 있다.

    5) 정보

    현재 정보기기 관련 에너지소비량은 적지만 이 분야의 에너지소비(주

    로 전력)는 최근 급증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의 진행으로 사회정보의 획

    득이 중요하게 되고 있는 점이나 생활에서의 자유시간 확대에 의해 일

    상적인 통신이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써 정보기

    기의 보급과 고기능화, 다양화가 진행되고 에너지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정보기기 관련 전력 소비량은 주로 컴퓨터로, 전화 등 통신관련 기기

    에 의한 것이 포함된다. 컴퓨터는 대부분의 가구에 보급이 이루어졌으

    며, 전화는 생활의 개인주의화가 진행됨으로써 세대당의 보유대수가 한

    대를 넘어 무선전화나 자동응답 기능 등의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실제 사용시간의 증가와 함께 다기능 전화 등의 미사용시 대기전

    력 등 의도하지 않는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하는 기기가 늘어나고 있다.

  • 20

    이와같이 기기의 보급, 고기능화로 앞으로도 정보관련 전력 소비는 계

    속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나. 樓井隆博(1994) 생활양식의 분류8)

    다양화하는 생활양식의 유형을 7가지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시나리오

    로 작성하여 표준세대기준 가정내 및 가정외(주변) 에너지소비로 구분한

    영향을 각각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서는 「가정주변」부분이 중요한 분

    석 대상으로 포함된다. 그 이유는 몇 가지의 사회적 경향이나 생활양식

    의 변화는 가정내․외의 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성의

    사회진출은 가정내의 에너지소비를 감소시키는 반면, 가정주변의 에너지

    소비를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와같은 점에서 가정주변부의 에너지

    소비를 고려하고, 생활양식의 변경으로 인한 에너지소비량 변화를 분석

    할 수 있을 것이다.

    7가지 생활양식 유형에 대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은 이미지로 상정

    한다. 우선 「쾌적화」는 기기 이용에 있어서 쾌적함을 추구하는 세대이

    고, 「고령화」는 장남을 노인으로 바꾼 세대이다. 「개인주의화」는 가

    족이 제각각 개인별로 가정생활을 하고, 「여가의 증대」는 휴일이 증가

    하고 그 휴일을 레저로 보내는 것이다. 「여성의 사회진출」은 전업주부

    였던 모친이 취업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또, 「직장근접형 근무․재택근무」는 정보화의 촉진으로 아버지가

    원격근무 사무소(Satellite Office)나 재택에서 근무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에너지절약 촉진 가족」은 쾌적성을 손상9)시키지 않고 에너지절약을

    8) 樓井隆博, 1994, pp. 21~24

    9) 온수사용 목욕․샤워 빈도, 온수 세정좌변기의 보유, 난방 및 냉방(에어컨)의 가동시

    간의 감축 등이 없는 상황을 가리킴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21 21

    < 표 2-3 > 생활양식 유형과 에너지소비 변화요인

    유형표준세대에 대한 주요한 변화요인

    가정내 가정외

    쾌적화

    ▪다기능 목욕, 온수 세정좌변기

    의 보유

    ▪에어컨의 가동 연장

    ▪승용차의 대형화

    고령화

    ▪장남을 노인으로 가정함에 의

    한 재택시간의 증가(TV, 난방

    의 가동연장)

    ▪장남부재에 의한 취학

    관련 감소

    개인주의화

    ▪TV의 개별 시청과 공조, 조명

    가동의 증가

    ▪저녁식사 조리 빈도의 증가

    ▪목욕간격 증대 및 사용 증가

    ▪자녀용 승용차 보유

    여가의

    증대

    ▪휴일 레저의 증가로 재택일수

    의 감소

    ▪이동 및 가정외 생활의

    증가

    ▪취업, 취학시간의 감소

    여성의

    사회진출

    ▪주부의 취업으로 재택시간의

    감소(식사, 세탁, 청소, 공조,

    TV, 조명 등의 빈도․가동시

    간의 감소)

    ▪취업시간의 증가

    ▪이동(통근)의 증가

    ▪외식의 증가

    직장근접형

    근무

    ▪부친의 재택시간 증가에 따른

    TV, 공조의 증가▪통근 거리의 감소

    재택근무

    ▪취업에 관련된 정보기기의 가

    동 연장

    ▪부친의 재택(취업)시간 증가에

    따른 공조, 조명, 세면 화장실

    등의 가동시간․빈도 증가

    ▪가정외 취업시간의 감

    ▪이동(통근)의 감소

    ▪외식의 감소

    에너지절약

    촉진화

    ▪에너지절약형 조명의 보유

    ▪대기상태 스위치의 전원 차단

    ▪냉난방 설정 온도의 변경

    ▪식기건조기 등의 이용 감소

    ▪쇼핑시 승용차 이용의

    감소

    자료: 樓井隆博, 1994

  • 22

    장려하는 세대이다.

    1) 쾌적화(Amenity)

    쾌적화 추구 전제시 표준세대의 가정내에 비해 +30%, 가정외에서

    +10% 내외 모두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쾌적화 추구시 1) 가정내

    에서 다기능 목욕, 온수 세정좌변기의 보유, 목욕 횟수의 증가, 에어컨의

    가동 연장, 2) 가정외에서 승용차의 대형화 등을 전제한 것이다.

    에너지소비의 큰 증가가 보여진 생활행위는 위생, 공조, 레저에 따른

    이동이었다. 이들은 주로 목욕이나 샤워 빈도의 증가나 온수세정 좌변기

    의 사용, 에어컨의 가동시간 연장이나 냉방설정 온도의 저하(1℃), 자가

    용 승용차 등 이동공간에 있어서의 쾌적함․대형화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은 행위에는 아직 쾌적화의 여지가 크고, 또한 에너지소비의 증가에

    크게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2) 고령화

    표준세대에 비해 표준세대의 가정내에서 +8%, 반대로 가정외에서

    -8%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장남을 노인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장남이

    다니고 있던 학교 등의 외부생활에 드는 에너지소비가 감소하고, 노인의

    재택시간 증가에 의한 가정내 생활의 에너지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령화에 의해 가정내 에너지소비가 증가하는 것은 쉽게 추정할 수

    있지만, 이번 추계 결과에 있어서도, 난방 등 공조에서의 에너지소비 증

    가로 인해 그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세대를 고려했을 경우 고령화는 반드시 가정외의 에너지소비가

    감소하고 가정내 + 가정외, 합계의 에너지소비가 증가하는 것이라고는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23 23

    할 수 없다.

    3) 개인주의화

    표준세대의 가정내에 비해 +8%, 가정외에 비해 +5% 증가했다. 이것

    은 개인주의화의 진전으로 TV의 개인시청과 이에 따른 공조, 조명의 가

    동연장, 개별식사에 의한 조리빈도 증가, 각자 목욕하기 때문에 더운물

    을 데워야 하는 빈도 증가, 자가용 승용차 복수 보유에 의한 이동 에너

    지 증가 등에 의한 것이다.

    생활에 있어서 개인주의화는 확대 경향에 있고, 그 개별보유, 개별이

    용의 진전은 생활자의 에너지소비를 꾸준히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4) 여가의 증대

    표준세대에 비해 가정내에서 -2%, 역으로 가정외에서 +10%로 분석되

    었다. 이 여가의 증대 시나리오에서는 약 2주간의 대형 연휴를 취득하

    고, 그것을 가족여행으로 보내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정

    내에서는 재택일수의 감소분이 에너지소비를 감소시켰다. 가정외에서는

    취업관련 에너지소비가 감소하고, 레저에 있어서 에너지소비가 크게 증

    가하였다.

    레저에서의 증가는 주로 숙박에 드는 시설의 에너지소비와 이동에 있

    어서 자가용 승용차의 에너지소비이다. 이것은 증가하는 여가에 대해서

    활용하는 방법 등에 따라서 에너지소비가 변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5) 여성의 사회진출

    여성의 사회진출로 표준 세대에 비해 가정내에서 -6%, 반대로 +43%

    로 분석되었다. 가정내의 감소는 주부의 재택시간의 감소로 식사, 세탁,

    청소, TV 시청, 공조 등의 가동 시간 감소에 의한 것이다. 한편, 가정외

  • 24

    의 증가는 주로 주부의 취업에 의해 통근도 포함한 에너지소비의 증가

    에 의한 것이다.

    가정내 에너지소비의 감소 폭으로 가정외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가정에 비해서 공조가 두루 미치고 있고, 그 외 에너지 사용기기

    가 많은 직장에서 에너지소비량이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통근은 자가

    용 승용차의 이용을 상정했지만 통근수단에 의해 에너지소비가 변동하

    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생활의 외부화는 에너지소비를 증대시킬 가

    능성이 높다.

    6) 직장근접형 근무․재택 근무

    직장근접형 근무는 표준세대에 비해 가정내에서 +1%, 가정외에서

    -2%로 산출되었다. 가정내의 증가는 부친의 이른 귀가에 의한 TV 시청

    이나 공조의 가동연장에 의한 것이다. 가정외의 감소는 통근거리 단축에

    의한 것이다.

    재택근무는 표준세대에 비해 가정내에서 +4%, 역으로 가정외에서

    -25%로 분석되었다. 가정내에서는 부친이 재택근무하기 때문에 컴퓨터

    등의 정보, 공조, 조명등에 관한 에너지소비가 증가했다. 가정외에서는

    통근이나 점심식사도 포함한 취업에 관한 에너지소비가 감소하고, 가정

    내의 증가폭에 비해 매우 큰 폭으로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재택근무는 정보화의 진전이 전제이지만 이로 인해 통근 등

    이동 에너지의 불필요, 단축화가 실현될 수 있다.

    7) 에너지절약 촉진 가족

    표준세대의 가정내에 비해 -22%, 가정외에서 -3%로 산출되었다. 여기

    에서는 쾌적성을 그다지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로 사용방법에 의해 에너

  • 제2장 생활양식의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25 25

    지절약을 권장하는 세대를 상정했다. 에너지소비량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생활행위는 위생, 공조, 식사, 쇼핑에 있어서의 이동이었다.

    위생은 목욕물을 2회 데우는 것이나 의류건조기 이용의 감소이다. 공

    조는 설정온도의 조절 (냉방 +1℃, 난방은 -1℃)이나 불필요한 방의 공조

    이용 감소이다. 식사는 보온밥솥, 보온병, 식기건조기의 이용감소나 냉장

    고의 개폐회수의 감소이다. 쇼핑은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최대한 도보나

    자전거로 바꾸었다. 이와같이 생활에서의 의식변화에 의해 가정내, 가정

    외의 합계로 표준세대에 비해 13%의 에너지절약 달성이 예측된다.

  • 26

    제3장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

    1.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연구사례

    가. 국내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연구사례

    국내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연구사례로, 가전기기 보급률 및 가정

    용 전력 소비행태 조사(한국전력거래소, 2003)를 들 수 있다.

    이 사례에서 조사목적은 2002년 전국 가구의 가전기기 보급현황 및

    보급률, 가정용 전력 소비행태 파악에 있다. 이 조사는 2년 주기의 조사

    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 가정용의 유형은 주방용, 난방용,

    냉방용, 난방용, 문화용(정보용 포함), 기타(위생, 조명 등)용 등으로 구분

    한 27종의 기기를 포함하고 있다.

    조사대상 및 실사방법을 보면 주택용 고객 15,039천 수용가중 3,500가

    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조사원에 의한 가구 방문 및 면접조사하는

    자계식 조사표 기재방식의 조사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주요조사내용을 보면, 1) 주요 가전기기 보유 현황 및 사용실태 : 보유

    대수, 제품종류, 규격, 구입년도, 소비전력, 제조회사, 사용시간대, 1일 사

    용시간, 월간 사용일수 등, 2) 단속적 사용기기 : 보유대수, 제품종류, 규

    격, 구입년도, 소비전력, 제조회사, 사용시간대, 1일 사용시간, 월간 사용

    일수 등, 3) 계절적 사용기기 : 제품규격, 소비전력, 제조회사, 일평균 사

    용시간, 월간 사용일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

  • 제3장 생활양식관련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 27

    나. 일본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연구사례

    일본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연구사례를 보면 일본 라이프 스타일

    과 에너지소비1)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와 일본 주택내 에너지소비실태

    전국조사2) 등이 대표적이다.

    먼저, 일본 라이프 스타일과 에너지소비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를 살펴

    보면, 조사목적은 가정에서의 생활행위나 에너지절약 의식, 또한 에너지

    절약 의식과 실제 에너지절약 행동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앙케이트 조사를 하였다. 이 조사는 가정부문 에너지수

    요 미시모형 분석에 필요한 제반요소의 기초적인 정보수집이라는 목적

    도 가지고 있다.

    이 조사의 조사대상 및 실사방법으로는 도시지역 405가구 대상으로,

    연령, 직업(유직, 무직), 주택형태 구분하에 무작위 표본추출하였으며, 주

    부 조사원에 의한 가구 방문 및 면접조사하는 자계식 조사표 기재방식

    의 조사를 시행하였다.

    주요조사내용을 보면, 1) 에너지 사용기기의 보유 및 사용실태 파악을

    위한 항목으로 TV와 음향기기, 취사 기기, 욕조 및 샤워기기, 세탁 밑

    청소 기기, 에어컨 및 조명 기기 등, 2) 생활양식 및 에너지절약 의식관

    련 설문 등, 3) 응답자관련 사항으로 주택 소유형태, 주택형태, 가구주

    나이․직업 및 출근시간, 가족 구성원, 소득, 에너지비용, 지출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일본 주택내 에너지소비실태 전국조사의 경우 조사목적이

    1) 가정내 에너지원별 소비량을 생활용도별로 파악, 기기별로 계절별․

    1) 日本 エネルギー經濟硏究所, 1995, pp. 204~217

    2) 日本建築學會, 2003, pp. 1~7

  • 28

    시간대별 자료 조사로 전국적 데이터베이스(DB) 작성, 2) 효과적인 에너

    지절약 정책 입안을 위한 실태 파악, 행정규제․사용자․제조업자․컨설

    팅업자 및 에너지공급사업자에 대한 정보 제공에 두고 있다.

    이 조사의 조사대상 및 실사방법을 보면 전국적으로 6개 도지역 가구

    를 대상으로 주택형태, 가족구성형태 구분하에 조사하고 있다. 주된 특

    징은 연간 4회에 걸친 조사(인터넷 활용 포함)를 실시하는 점이다.

    즉, 1회 조사에서는 에너지소비조사로 7040부 송부후 3840부 회수, 2

    회 조사에서 하절기 에너지기기 사용․주거 및 환경의식 조사로 6922부

    송부후 4097부 회수, 3회 조사에서 동절기 에너지기기 사용․주거 및 환

    경의식 조사로 3954부 송부후 3371부 회수, 4회 조사에서는 전반적 보완

    조사 추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세측정조사와 대량 앙케이트 조사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세측

    정조사에서 생활용도별, 기기별, 시간대별 등 상세한 에너지소비자료를

    파악하고 있으며, 대량 앙케이트 조사에서 대량 표본을 지역 및 주택특

    성의 평균값 등 파악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주요조사내용으로 1) 주택 속성 및 조사내용에 관한 주택정보에 관한

    사항 즉, 주택속성, 가족속성, 에너지사용기기 사용형태 등 조사, 2) 에너

    지소비량에 관한 조사 및 기기별 에너지소비량에 관한 조사로 1분마다

    적산값, 최대값 산출이 가능하도록 접근, 개별 기기별로 투입에너지․열

    량 및 이용요금 파악 등, 3) 용도별 에너지소비량에 관한 조사 및 시간

    별․용도별 에너지소비량에 관한 조사 등이 있다.

    여기서, 생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