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20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Field-oriented Spiritual Leadership Development Through Theological Education. 강 승 삼 교수 Ⅰ. 왜 현장중심의 영적지도자 신학교육이 필요한가? (Why to Educate Leaders in/for the Field?) 지도자는 선발되고 훈련되어져야 한다. 선교지에서 사역의 협력, 위임과 이양, 그리고 현지재산 권관리와 이양의 과정을 위하여 영적지도자 교육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은 사람을 사용하여 역사 하신다. 선교현장의 그리스도인이 사역자로 훈련되어지고 활성화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 하면 선교현장에 영적지도력의 부족 현상은 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이다. 영적지도자 교육에 대한 성경적 뒷받침을 간단히 개관해 보자. 영적지도자 선발과 교육에 있어서 주님께서 본(Example)을 보이셨다. 콜만(Robert Coleman)은 예수님의 제자훈련을 8단계로 나누었다. (마13:36, 17:19) ①제자들을 선택하심 (Election) ②제자들과 함께하심 (Association) ③제자들을 성별하심(Consecration) ④제자들에게 능력주심 (Impartation) ⑤ 본을 보이심 (Demonstration) ⑥제자들에게 위임하심 (Delegation) ⑦ 케어와 감독하심 (Supervision) ⑧ 제자가 제자를 재생산함 (Reproduction) 등이다. 성경에서의 영적지도자 교육은 주로 멘토링과 같은 비공식교육(Non-Formal Education) 가정교육과 같은 비형식교육(In-Formal Education)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사야, 예레미야, 다니엘, 에스겔, 베드로, 요한, 바울에게서 볼 수 있는 종의 영적지도자모델은 9가지의 특성으로 나타내 보인다. 즉, ①하나님의 부르심 ②하나님의 정결케 하심 ③하나님의 사명주심 ④하나님의 보호하심 ⑤하나님의 능력주심 ⑥하나님의 인도하심 ⑦종이 겸손하게 섬김 ⑧종이 세상에 버림받음 ⑨종이 결국 그 사명을 완수함 등이다. 먼저 현장중심의 영적지도력 육성프로그램개발을 위한 5대 질문부터 해 보자. 1) 현장신학교의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가? (A: The Major Purposes) 신학교육의 목적은 신학도들로 하여금 성경에서 바른 진리를 찾고, 이에 대한 순종적 삶의 장인 영적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영적 자원을 발견하고, 삶의 궁극적인 목표와 비전을 갖게 하는 것 이다. 예컨대 이라크의 복음주의 목회자들을 양성하여 교회를 개척하고 목양하며 선교할 수 있 게 하여 하나님나라를 건강하게 확장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림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2) 신학교 설립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소는 무엇인가? (B: The Key Factors) 신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한 민족교회의 영적지도자 육성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소, 즉, 정치적, 종교적, 사회문화적, 교육적, 경제적인 요소들과 교 육철학과 운영원칙이 기술되어야 한다. 예컨대 사회문화적인 요소라 함은 전통적인 그리고 교회 공동체의 리더십스타일, 남, 여 리더십의 선호도등은 학생모집과 기숙사운영, 그리고 교수방법과 관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경제적인 요소라 함은 현지교회의 재정상황, 일반인의 사회생활의 삶 의 질을 연구하여 신학생들의 등록금, 교수사례, 운영비, 도서관, 기숙사비, 외부에서의 지원 등 이 결정되어진다. 교육적인 요소라 함은 현지교육체제, 문교당국과 행정상의 관계, 학위과정이나 비학위과정을 지향할 것인지 또는 국제적인 신학연맹에 소속을 지향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현장에 맞는 영적지도자육성을 위한 신학교육의 운영원칙은 ①함께하는 협력운영, ②개혁주의, 복음주의 신학의 견지, ③리더십과 재정의 점진적 자립지향, ④커리큘럼운영의 문화적, 정치적, 재정적 상황의 고려, ⑤신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국내외적 학적교류 및 공인지향, ⑥교육이

Upload: others

Post on 21-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Field-oriented Spiritual Leadership Development Through Theological Education.

강 승 삼 교수

Ⅰ. 왜 현장중심의 영적지도자 신학교육이 필요한가? (Why to Educate Leaders in/for the Field?)

지도자는 선발되고 훈련되어져야 한다. 선교지에서 사역의 협력, 위임과 이양, 그리고 현지재산

권관리와 이양의 과정을 위하여 영적지도자 교육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은 사람을 사용하여 역사

하신다. 선교현장의 그리스도인이 사역자로 훈련되어지고 활성화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

하면 선교현장에 영적지도력의 부족 현상은 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이다.

영적지도자 교육에 대한 성경적 뒷받침을 간단히 개관해 보자.

영적지도자 선발과 교육에 있어서 주님께서 본(Example)을 보이셨다. 콜만(Robert Coleman)은

예수님의 제자훈련을 8단계로 나누었다. (마13:36, 17:19) ①제자들을 선택하심 (Election)

②제자들과 함께하심 (Association) ③제자들을 성별하심(Consecration) ④제자들에게 능력주심

(Impartation) ⑤ 본을 보이심 (Demonstration) ⑥제자들에게 위임하심 (Delegation) ⑦ 케어와

감독하심 (Supervision) ⑧ 제자가 제자를 재생산함 (Reproduction) 등이다. 성경에서의 영적지도자

교육은 주로 멘토링과 같은 비공식교육(Non-Formal Education) 가정교육과 같은

비형식교육(In-Formal Education)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사야, 예레미야, 다니엘, 에스겔, 베드로,

요한, 바울에게서 볼 수 있는 종의 영적지도자모델은 9가지의 특성으로 나타내 보인다. 즉,

①하나님의 부르심 ②하나님의 정결케 하심 ③하나님의 사명주심 ④하나님의 보호하심 ⑤하나님의

능력주심 ⑥하나님의 인도하심 ⑦종이 겸손하게 섬김 ⑧종이 세상에 버림받음 ⑨종이 결국 그

사명을 완수함 등이다.

먼저 현장중심의 영적지도력 육성프로그램개발을 위한 5대 질문부터 해 보자.

1) 현장신학교의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가? (A: The Major Purposes)

신학교육의 목적은 신학도들로 하여금 성경에서 바른 진리를 찾고, 이에 대한 순종적 삶의 장인

영적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영적 자원을 발견하고, 삶의 궁극적인 목표와 비전을 갖게 하는 것

이다. 예컨대 이라크의 복음주의 목회자들을 양성하여 교회를 개척하고 목양하며 선교할 수 있

게 하여 하나님나라를 건강하게 확장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림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2) 신학교 설립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소는 무엇인가? (B: The Key Factors)

신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한 민족교회의 영적지도자 육성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소, 즉, 정치적, 종교적, 사회문화적, 교육적, 경제적인 요소들과 교

육철학과 운영원칙이 기술되어야 한다. 예컨대 사회문화적인 요소라 함은 전통적인 그리고 교회

공동체의 리더십스타일, 남, 여 리더십의 선호도등은 학생모집과 기숙사운영, 그리고 교수방법과

관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경제적인 요소라 함은 현지교회의 재정상황, 일반인의 사회생활의 삶

의 질을 연구하여 신학생들의 등록금, 교수사례, 운영비, 도서관, 기숙사비, 외부에서의 지원 등

이 결정되어진다. 교육적인 요소라 함은 현지교육체제, 문교당국과 행정상의 관계, 학위과정이나

비학위과정을 지향할 것인지 또는 국제적인 신학연맹에 소속을 지향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현장에 맞는 영적지도자육성을 위한 신학교육의 운영원칙은 ①함께하는 협력운영, ②개혁주의,

복음주의 신학의 견지, ③리더십과 재정의 점진적 자립지향, ④커리큘럼운영의 문화적, 정치적,

재정적 상황의 고려, ⑤신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국내외적 학적교류 및 공인지향, ⑥교육이

Page 2: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2 -

론과 실재 즉 교학의 병합지향, ⑦동문회 강화 및 계속교육지향 등이다.

3) 신학교의 교육목표는 무엇인가? (C: The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와 교육의 철학과 운영원칙에 따라서 큰 교육목표가 세워지고 그 교육목표를

성취하기위한 작은 목표들이 세워지는 것이다.

4) 신학교의 운영방법론은 무엇인가? (D: The Methodologies)

설정된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위하여 이미 언급된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행정적, 교육적인 상황

을 고려하여 신학교를 운영한다. 학교의 정관과 규칙, 교과과정, 교수수급과 자질, 교수방법과 수업

평가방법, 학생입학과 졸업의 기준, 학교의 칼렌더와 시간표, 학생공동체 활동과 연구동아리 활동,

도서관운용방법, 장학제도, 등록금납부방법, 학교의 장단기계획, 다른 학교와 자매결연, 학력인준진

행 등등 학교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제반방법이 포함된다. 신학교 교과과정은 신학도들이 그리스도

의 제자의 삶을 배우면서 그리스도께서 명령하신 모든 말씀을 복종하는 현장에 알맞은 사랑의

교회공동체를 개척,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한국의 신학대학(원)의 커리큘럼

을 타문화적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신학교 교수의 책임은 지혜의

진주를 학생의 머리에 넣어 주는 도사(Grue)가 아니라 신학도들로 하여금 복음주의 성경신학을

기초로 그 선교지역의 상황에 알맞은 성경 해석과 교회를 개척 할 수 있는 제자와 목회자를 배

출하는 것이다.

5) 신학교가 효율적인 교육을 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E: The Evidences of Effectiveness)

교수 및 학생평가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교수, 졸업하여 사역중인 자들, 학생들, 후원과 운영관

계자들을 통해서 학교의 모든 교육프로그램을 평가(Evaluation)하여 이라크복음주의 신학교의 목

표가 훌륭하게 성취되고 있는가를 점검하고 또한 새로운 상황에 맞는 신학교육의 방법을 모색

하여야 함을 말한다.

영적지도력 개발을 위한 현장중심의 신학교육의 실재를 도표로 요약한다.

A B A.B.C--교육이론적인 면을 다룸,

C.D.E--교육의 실재를 다룸.

교육이론 D--교육방법론은 이론과 실재를

C D 겸하며 교과과정과 교육체제 모든

것이 여기에 속함.

교육실재 E--효율성평가를 학교와 사역지에서

E 행하여 D에 반영함.

Ⅱ. 선교현장의 영적 지도력 개발을 위하여 무엇을 교육할 것인가?(What To Educate?)

A. 선교현장의 영적지도자 교육은 10가지 중요사항이 전제되어야 한다.

1. 하나님의 말씀과 복음 선교의 확신, 타 문화권 선교의 헌신, 성경적 상황화의 민감성을 가질 것.

2. 서구나 한국의 신학교육제도에서 탈피하여 현지에 알맞은 효과적인 신학교육에 임할 것.

3. 처음에는 현지인들의 세계관, 사고방식을 잘 파악하여 가르칠 수 있는 다양한 신학교육형태에

적응력을 갖춘 신학교수가 필요하며, 점차적으로 현지인 교수의 비율을 높일 것.

4. 선교현장의 경제사정, 문화 및 정치적 정황과 교육수준의 상황에서 훈련할 것.

5. 기독교공동체에서 서로 배울 수 있는 비형식교육(Informal Education)의 공동생활을 지향하고

Page 3: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3 -

공식교육(Formal Education)과 멘토링 같은 비공식(Nonformal Education)교육방법을 모색할 것.

6. 21세기 글로벌 리더십 개발을 목표로 통합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7. 공동체 생활 속에서 상호간에 강력한 영성, 인격성개발 지향적 훈련을 강조할 것.

8. 국내외적 협력사역개발을 위하여 신학교, 교회(단). 선교단체와 협력의 교류를 지향하고, 신학

교육의 인적자원, 비젼, 문제점, 리더십 등을 나눌 것.

9. 신학교 운영관계자는 각 전공신학교수가 교회선교중심의 관점에서 전공신학개발을 돕는다.

10. 리더십의 위임과 이양, 그리고 현지재산권의 관리와 이양의 방법의 과정을 지혜롭게 실시한다.

B. 영적지도자 신학교육 안내를 위한 성경적, 교육적인 지침을 참고해야 한다.

1. 신학교육의 목표는 효과적인 선교적 목회 봉사를 요구하는 이해(Understanding), 교육의 질

(Quality), 목회자의 삶과 목회능력(Pastor's ability and skills)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이 그리스도를 닮아가며 열매 맺기를 원하신다.

2. 신학교육은 교회와 선교현장과 관련되어 연합과 일치를 지향하며 연단되어야 한다. 교회공동체

는 삶과 사역과 학습의 가장 좋은 장이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가정공동체, 이스라엘민

족의 공동체(창12:1-4, 출19:3-6), 그리고 모든 족속의 교회공동체(벧전 2:4-5, 9-10)를 이루어 연합과

일치(Partnership and Unity)를 원하셨다. 강조하면서 연단시키셨다.

3. 신학교육의 방법은 신학교육목표와 적절한 연대성을 가져야 한다. 예수님은 지도력개발을 위해

은유적 가르침과 멘토링의 실재모범으로 가르치셨다.(빌2:5-8)

4. 신학교육의 전략은 피교육자의 사고방식과 전통적 배움의 방법에 적절해야 한다. 문화와 세계관,

언어, 사회적, 정치적 요인 등을 고려한다. 이념이나 종교를 정치이데올로기화 하는 지역은 더욱 더

지혜롭게 해야 한다.

5. 신학교육의 전략은 피교육자의 삶과 교육경험의 토대에서 시작해야 한다.

6. 영적지도자교육의 신학지식, 일반지식 및 모든 교육정보는 타당성 있고 순응되어야 한다.

7. 성경과 신학지식, 영성, 인격성 및 목회능력습득은 교수, 본보기 그리고 실제실습을 포함한다.

(Modeling and Reflection)

C. 피교육자의 영성함양과 목회사역능력배양교육이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1. 성경이해력과 사용법 (Biblical Training), 기도훈련, 전도훈련이 강조되어야 한다.

2. 목회사역능력배양교육의 분야(Ministry skills and Abilities)가 검증되어야 한다.

1) 다음의 영적은사(Spiritual Gifts)개발이 발견되고 있는가?

①사역은사의 갈망 (Desire), ②사역의 열매 (Fruitfulness), ③하나님능력 역사의 인정

(Recognition of God's power), ④하나님의 능력과 사역자 상호간의 협력정신 (Cooperate

One another & God's power). 고전12::31, 고전14:1, 고전14:39.

2) 목회사역에 성령의 능력이 나타나는가? (Power of the Holy Spirit)

3) 신학생들의 발견된 은사를 계속 사용하여야 그 은사가 개발되고 성숙되어진다.

4) 기도와 찬양으로 하나님의 능력이 나타나게 하는가? 왕하 19:14-37; 대하 20:1-30

3. 신학생들의 영적인 삶과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Personal Spiritual Life - PSL)

주님을 알아가는 기본원리, 신학생들의 영성훈련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즉, 성경읽기 수 1:8,

시 1:2-3; 성경 공부, ③성경암송 ④기도와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 ⑤ 묵상하기;

Page 4: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4 -

영성훈련

개인훈련 공동체훈련

그 외의 금식, 경건서적 읽기, 깨달은 바를 기록하기, 예술적인 자질을 사용하기 --악기, 음악,

그림, 조각, 댄싱, 노래하기, 찬양, 악기 사용) 등개인적인 훈련, 교회공동체생활 --①함께 모이

기를 힘씀 ②대중 예배(Public Worship) ③ 영적 권위자와 관계를 유지 ④영적 권위를 사용

하기 ⑤함께하는 협력의 기도 (Corporate prayer) ⑥교회 제자도(Cell Group)의 과정(Process)

⑦ 서로 사랑하고 용납하기 ⑧죄를 대적하기 ⑨우리의 은사를 다른 사람을 위하여 사용하기

등이다.

4. 신학생들의 영성훈련실천과 적용(Applied Spirituality)할 사항은 7가지다.

첫째, 사탄을 대적하고 죄를 피하라.(눅 8:14,15) 우리를 실족케 하는 네 가지 죄는 ①쓴 뿌리

(bitterness), ②성적 부도덕, ③돈을 사랑함, ④ 교만(자만) 함이다. 다음으로 영적지도자가 피해

야 하는 범죄 (마 22장)는 ①사람들 위에 지나치게 군림하려 함, ②타인이나 타지도자를 시기

하거나 비방함. ③제자나 타지도자를 키우지 않음이다.

둘째, 그리스도 닮는 인격을 개발하라. 신약에서 가장 강조하는 네 가지 요소는 사랑, 거룩,

종의 모습, 겸손 이다. 셋째, 성경적 삶과 사역에서 다가오는 고난을 받아들이라. 넷째, 가족, 직

장, 정부에 대한 사회적인 책임을 수행하라. 기독교인은 요셉과 다니엘처럼 가족부양의 책임,

고용주에 대한 충성심, 국가의 일등시민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성도는 자원 (Time, ,Money,

Talents, Energy-Ability to do work, Knowledge)에 대한 청지기 의식을 가진다. 여섯째, 주요

결정을 하나님의 뜻대로 하라. 일곱째, 목회지도력과 영적사역자 영성함양훈련 상황의 총체적

관계성 모델을 보자.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사

말씀 기도 세속공동체 교육 순종 교회공동체

제자 양육 자연 환경

사역 사역

자신

21세기의 사역현장은 사역자들의 수준 높은 영성무장을 요구한다. 사역자의 영성개

발은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까지 자라는 것” 즉, Christlikeness이다(롬8:29, 빌3:8-16,

고전11:1, 벧후3:18, 히12:1-2). 이는 곧 하나님 중심의 삶(God-Centered Life), 이타적인

Page 5: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5 -

삶(Selfless Life), 성육신적인 삶(Incarnational Life)이다. 사역자의 영성함양상황의 관계

성 모델은 ⅰ) 성삼위일체 하나님과의 말씀, 기도 및 순종적 상향의 관계성

(Upward-Relationship), ⅱ) 교회공동체와 세속공동체에 선교적 관계성 및 자연환경을

청지기로서 문화적 명령을 순종하는 삶의 외향적 관계성(Outward- Relationship) 그리

고 ,ⅲ) 이러한 Upward 및 Outward 관계성의 확립과 교육을 통한 내향적 삶의 관계성

(Inward-Relationship)으로 순종하는 삶의 장(Context)이다. 이것이 곧 그리스도를 닮은 삶

의 장이요, 사역자 영성개발의 장이다.

D. 모든 신학과정은 교회선교 활성화 중심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교회선교 활성화와 신학교육 갱신을 위하여 신학교육과 목회자의 영성훈련에 선교중심의 재 조망

을 해야 한다. 각 전공신학이 교회선교중심 축의 바퀴처럼 총체적으로 엮어져야 할 것이다. 그림

과 같이 선교는 교회의 본질에서 출발하고 교회선교는 모든 신학의 중심이 되도록 재 반영 되어

야 한다. 모든 신학분과에서는 예수님의 지상명령 (Great Commission) 순종지향적인 신학으로 재

조망해야 한다.

<교회의 본질적인 관점에서 본 통합신학>

선교신학

리더십 조직신학

사회복지 구약 교회 선교 기독교 신약 교육 실천신학 교회사

E.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신학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아세아 신학연맹, 북 미주 신학연맹, 유럽신학연맹, 아프리카 신학연맹 등에서 요구

하는 각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대학과정(4년 BA)의 신학과는 교양과목 42학점, 전공필수 45학점, 전공 선택 43~53학점, 총

130~140학점이다. 전공필수는 대개 기독교교리, 서양 철학사, 신학 원강, 기독교철학, 헬라어초

급, 기독교역사, 구약강해I, II, 종교학, 신약강해I, II., 히브리어초급 등이며, 전공 선택은 신학연

구를 위한 기초학문분야이다.

2. 신(선교)학 석사(MA)과정은 전공에 따라 최저 30학점에서 최고 90학점 까지 시행한다. 미국

의 Fuller, Columbia 등의 실례를 든다면 MA과정의 신학을 마치고 바로 Ph. D. 과정을 가능하

게 하기 위하여 MA과정에 90학점(M. Div. 동등)을 요구한다.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의 MA과

정은 논문 6학점을 포함하여 54학점을 요구하며, Ph. D.과정을 지원 하려면 학교에 따라 M.

Div. 과정의 나머지 학점을 요하던지, 바로 입학되는 학교도 있다.

3. 목회신학석사 과정(3년 M. Div.)은 구약신학 17학점, 신약신학 16학점, 교의신학 18학점, 역

Page 6: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6 -

사신학 13학점, 선교신학 8학점(선택 2학점 포함), 실천신학 16학점, 선택 16학점으로 총 100학

점임. 필수선수과목은 히브리어 4학점, 헬라어 3학점은 별도이다.

4. 신학석사 과정(Th. M.)은 교육부가 권장하는 최저학점 30학점으로 전공 15학점, 부전공 6학

점, 선택 3학점, 논문 6학점(심사위원회 되어야 함)이며, 전공에 따라 42학점도 시행한다.

5. 철학박사(Ph. D.)나 신학박사(Th. D.)과정은 정규 6학기를 등록하여 소정의 전공을 필(평점

3.0 B이상)하고 종합시험과 논문이 논문심사위원회에서 통과되어야 한다.

F. 대개 선교신학 교육/훈련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타문화권 사역교육과정은 (Cross-cultural Ministry Skills)대개 12과목으로서 Biblical Theology

of Missions, Biblical Ecclesiology in Missions, History of Missions,Cultural Anthropology for

missionaries, Cross-cultural Communication, Cross-cultural Evangelism and Discipleship,

Cross-cultural Church Planting and Renewal, World Religions, Linguistics,Contextualization,

Urban Missions, The Unreached People Groups or The Untargeted Peoples 등이다.

2. 인간관계술과 리더십(Relational and Leadership Skills)은 Missions Administrations and

Policies, Church-mission Dynamics, Missionar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ission Strategies,

Leadership and Team Work, Holistic Ministry and Community Development, Women in

Missions & child ministry, Theological Education by Education (TEE) 등이다.

3. 타문화권 사역과 삶 (Cross-cultural Living Skills)의 가목은 대개 Spiritual Warfare, Biblical

Principles from Cross-cultural Perspective, Devotional of Q.T. Life, Missionary Family Life,

Practical Skills--Basic hygiene, Preventive Health Care, Repair Skills, First Aid 등이다.

Ⅲ. 영적지도력교육을 위한 지도자는 언제 교육할 것인가?(When to Educate?)

A. 목회지도력 교육의 시기는 각 문화적 상황에 맞도록 한다.

교회는 영적지도력 개발의 터전이며 교회학교는 영적지도력 개발의 기초가 형성되는 단계이

다(눅 2:52). 20-30세 전후는 훈련받고 준비하는 시기(Time for preparation and training)이다.

영적으로도 주님을 섬기기로 갈망하는 자들을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30대부터는 사역의

시기이며 계속교육을 겸하여 받을 시기이다. 후배사역자들을 돌보며 상담하는 시기이다. 은

퇴이후에도 건강하면 계속 사역하는 것이 좋다.

B. 영적지도력은 교육/훈련을 통하여 단계지속적으로 형성되어진다.

1. 영적지도력형성에 있어서 선발과 교육/훈련, 어느 것이 먼저인가?

이 질문은 마치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이냐?”의 질문과 같다. 목회자후보를 발굴하여 교육/훈

련시켜 사역에 임하는 데는 지역교회가 협력하여야 한다. 지도자후보선발, 교육/훈련, 목회지 파

송 또는 교회개척사역, 그리고 영적지도자를 위한 목회적 관리는 일련의 연관된 사역이다. 이는

곧 영적지도자 교육/훈련의 모든 활동이 연결된 교회사역의 총체적 모델이다.

Page 7: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7 -

교회 교회와 노회/총회 노회/총회 노회/총회

교육기관

목회자후보 선발 교육/훈련 계속교육 지도자 관리 목회현장

노회/총회 신학교육과정 교회/신학교 교회/신학교 교회

(선발기준)

* 영적지도자교육/훈련의 총체적 모델 *

2. 영적지도자 또는 목회자(후보) 선발의 기준은 무엇인가?

1) 목회사역자 (후보)의 소명이다. 첫째, 사역자 소명의 나무는 믿음처럼 자라서 열매를 맺는

다. 둘째, 소명(Call)에는 세 가지가 있다. ① 예수 믿어 구원 얻게 되는 성도의 부르심이다.(롬

1:7), ② 교회 사역을 위한 부르심(엡 4:11-12), ③ 특수사역을 위한 부르심이다. (마 28:18-20,

행 1:8) 소명의 응답에는 다섯 가지 선행 조건이 있다. 즉 열린 마음, 듣는 귀, 순결한 마음,

열심 있는 사역의 봉사, 준비되어 순종하는 발 등이다.(Kane)

2) 목회사역자(후보)의 자질이 있어야 한다. 영적성숙--하나님을 의뢰하는 삶, 고난감수, 경건

의 삶 지향; 섬김의 자세; 자아훈련; 전도와 말씀봉사; 섬김의 높은 관심; 나누는 정신; 인격적

인 자질--성격, 인성, 정서, 사리분별력; 건강; 분명한 의사 전달 능력; 원만한 가정생활; 헌신

에 대한 일편단심 등을 포함한다.

3. 지역교회는 지속적으로 목회사역훈련/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

영적지도자는 예수의 좋은 군사(딤후 2:3)이며 교회목회의 영적전쟁터인 세상에 나가서 싸우

는 영적군대이다. 1) 영적지도자는 교회사역을 통해서 훈련받는다. 2) 영적전쟁의 능력을 배양

하는 길인 기도생활화, 경건의 연습, 하나님말씀 연구와 선포는 교회에서 훈련받아야 한다.

3) 전도와 간증 설교 또한 교회에서 훈련받는다. 4) 아름다운 인간관계 형성(성도의 교제) 또

한 교회에서 시작된다. 5) 효과적인 복음커뮤니케이션 또한 기초적으로는 교회에서 도전 받게

된다. 교회학교 교사로서 충성스럽게 사역하다 보면 스스로 훈련을 받게 된다. 교회학교 전도

프로그램에서 전도연습 또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6) 제자훈련도 교회를 통한다. 교회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양육 프로세스를 시행하고 있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려면 자연히 스트레

스를 받을 수 있고 또 해소하는 것도 터득할 수 있게 된다.

4. 지도자와 선교사역자 계속 교육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야 한다.

Ⅳ. 어떻게 교육/훈련할 것인가? (How to train? - pedagogy)

A. 교육/훈련이 이루어지는 3 가지 방법론은 무엇인가?

Page 8: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8 -

사교지향성

비형식

교육

-기능적, 필요 -전통에 근거함

에서 발생함 -사회․정치적으로

-시공간의 제한 안정됨

받지 않음

변화지향성 비공식 공식 단계식 구조성

교육 교육

의도적 ․ 계획적

교수 및 직원 ․ 재정확보

-Formal(공식): 단계식 교육구조, 모든 교육행위가 계획됨. 인사행정. 재정확보의 필요.

-Non-formal(비공식): 예수님의 교육방법같은 멘토링이나 삶의 본을 통해 교육함.

-Informal (비형식): 가정교육, 동아리활동 등과 같은 비의도적인 상태의 교육방법.

B. 지도자로 육성하기 위한 은사 발견은 어떤 방법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가?

1. 일에 참여하라(Be involved in the ministry). 많은 분들이 사역하면서 은사를 발견한다.

2. 계속 연습하라 (Much Practice). 먼저 시범을 보여주고 반복 훈련을 하게한다.

3. 하나님이 사람을 통하여 어떻게 우리 삶 속에서 역사하시는 가를 유의하라.

D. 영적지도자 후보의 영성교육/훈련을 어떻게 도울 것인가?

1. 영성 훈련을 돕기 위한 다섯 가지 실천 방법

1) 진솔한 모범을 통해서 제자의 영성훈련을 실시한다. (벧전5:3) Sincerely seek God and Be

honest. 자신의 잘못을 진솔하게 인정하라. 가식은 금물이다.

2) 영성에 대한 신학적인 체계를 세우기 위하여 신학교에서 조직적인 학문과 영적 생활을

배울수 있다. 또한 영성에 관한 책들이 많으므로 읽을 필요가 있다.

3) 조언을 통해서 (Giving feed back to young believers) 영성 훈련을 돕는다.

4) 교회에서의 영성훈련에 적절한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예배 시간에 찬송하고, 같이 기도하

는 시간 등을 통한 집합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5) 중보적인 기도를 통해서영성훈련을 실시한다. (예) 4세기의 어거스틴의 어머니--오늘날

선교사 파송교회/단체들의 중보적 기도, 새벽기도회나 철야기도회 등을 들수 있다.

2. 영적인 선배나 부모가 되어 Mentoring으로 영성훈련을 도울 수 있다. 고전4:15, 살전2:7-12,

딤후1:3, 딤후1:4-7. 참고로 현지인 지도자를 선발하여 신학 공부하도록 외국유학을 보내는 것

은 바람직한가? 만약 유학을 보낸다면 효과적 방안은 무엇인가? 자기 나라에 헌신된 사람을 선

발하여 유학을보낼 수 있으나, 유의사항은 ㉠ 경제적인 차이가 심한 나라에 유학 보내는 것은

삼갈것. 유학후에 귀국하기보다는 편안한 일자리를 찾는 경우가 허다하다. ㉡ 현지의 목회자수

준은 현지에서 교육할것. ㉢ 목회자중에서 오직 교수급 인적 충원을 위해 신중한 선별을 통해

유학을 보내야 할 것이다.

Page 9: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9 -

Ⅴ. 어떤 환경의 신학교에서 교육/훈련시킬 것인가? (Where To Train? - Context)

1. 신학교는 복음적이고 이웃과 사회의 공신력 있어야 한다. 교계 지도자들과 신학적, 협력적 교류

를 폭넓게 갖는 신학교여야 한다. 그러나 Grass-Root 범주의 지도자들을 위해서는 Sunday School이

나 제자 양육반 같은 Nonformal Training의 환경에서도 가능하다.

2. 모든 사역교육/훈련(Ministry Training)은 학교와 모든 일이 발생하는 삶의 현장에서 배워야 이론

을 실천에 적용할 수 있다. 전도/선교는 믿지 않는 세상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신학교에서는 배

울 수 없다. 세상 속에서 전도/선교교육과 훈련을 한다.

3. Mentor는 Mentoree를 사역현장에서 사역을 지도해야 한다. 멘토로부터 영성과 사역을 배우려

면 그분과 함께 살면서, 그분의 경건의 삶과 사역을 통하여 배우게 된다. 영적사역 기술은 삶

을 통하여서 전달되어진다.

4. 영적지도자교육/훈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지 언어, 현지의 리더십 스타일과 관습, 현지 일반 교회의 리더십 형태, 현지의 교육제도, 현

지의 신학교육제도, 현지의 협력 스타일, 현지의 교회행정과 정책 및 선교전략의 요소 등이다.

Ⅵ. 누가 교육/훈련시킬 것인가? (who to Educate/Train?)

1. 영적지도자의 영성, 사역능력, 경험, 신학적 학문성을 요한다.

학문 높은 교수나 탁월한 사역기술을 가진 훈련자라도 영적인 삶을 힘쓴다. (눅6:40) 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케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 영적인 삶은 피교육자/피훈련자

에게 영향을 끼친다. Mentor의 경건의 삶이 피교육자에게 전달된다. 훈련자의 영적인 자질은 그의

사역 시에 성령의 능력이 나타나도록 유의해야 한다. 성령의 능력을 구하고 인정하고, 협력해야

한다. 영적지도자는 성령의 역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계속 간구하며(금식하면서) 간청해야 한다.

설교를 할 때에도 그 설교에 하나님께서 임재하시도록 금식하면서 구해야 한다.

2. 교수(The Trainer)는 피교육자(The Trainee) 선택의 기준을 인식해야 한다.

1) 배움에 열망하는 자를 택한다. (딤전3:2-7). (Select those who are hungry to learn)

2) 충성스럽고(Faithful) 약속을 지키는 사람을 택한다.

3) 시간, 힘, 헌신도가 높은 적절한(available) 사람이어야 한다.

4) 배우려고 하고 말을 들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Teachable).

5) 영적지도자(Spiritual leadership)를 선택할 때는 강직한 은사를 가진 사람을 구하여야 한다.

베드로는 어부였다. 그러나 그는 단순한 고기잡이가 아니라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 자였다.

주님께서는 그것을 보시고 그를 부르셨다.

3. 영적지도자 교육/훈련을 위한 훈련자(A Ministry Trainer) 프로파일(Profile)을 제안한다.

1) 영적지도자를 교육/훈련하는 지도자의 영성프로파일은 13가지이다.

① 하나님과의 깊은 수직적인 관계를 맺는 영성훈련을 지속하는 자. ② 하나님 말씀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소유한 자. ③ 하나님 말씀에 복종하는 삶의 인격으로 성장하는 자. ④ 성령의 9가지 열매

가 현저한 자. ⑤ 효과적인 기도생활을 실시하는 자. ⑥ 교회와 성경적인 관계성을 도모하는 자.

⑦ 재정적인 면에서 청지기직을 훌륭히 수행하는 자. ⑧ 정상적인 가정생활에 우선권을 두는 자.

⑨ 희생적이고 단순한 삶을 사는 자. ⑩ 선교의 비전과 열정을 소유한 자. ⑪ 책임감이 투철한 자.

⑫ 영적 권위를 존중하는 자. ⑬ 항상 배움의 정신을 소유한 자 등이다.

2) 영적지도력 교육/훈련자 (Ministry Trainer)의 사역능력과 경험의 프로파일이다.

① 선교목회사역 또는 선교사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 있는 자. ② 스승과 제자의 관계성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자. ③ 사람들과 프로젝트를 민첩성과 지혜로 잘 대처할 수 있는 자. ④ 다양

Page 10: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0 -

한 상황(Situations)에서 다른 사람들과 잘 친목하는 자. ⑤ 개방적이면서도 정직한 관계를 유지하

는 인격자. ⑥ 다양한 사람들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자. ⑦ 양육자 재생산사역 경험이 있는 자.

3) 전도자로서의 사역훈련자 (Ministry Trainer) 프로파일이다.

① 훌륭한 경험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자. ② 실제적이고 적절한 과목에 초점을 맞추는 자.

③ 다양한 교수법과 자료를 사용하여 교수할 수 있는 자. ④ 실제적인 전도 경험을 충분히 가지는

자. ⑤ 좋은 인간관계와 팀 사역을 추구하는 자. ⑥ 사람들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그들

을 인도하는 자. ⑦ 가르치는 것을 모범적으로 생활화하는 자. ⑧ 사람들이 배우고 싶어 하도록

동기부여 하는 자 등이다.

4) 성경적 상황신학화 작업자로서의 교수의 6대 프로파일이다.

① 신학지식을 사회 정치적, 경제적, 윤리적 실상에 대한 선교학적 실천으로 연관시키는 지식의

소유자. ② 지역 상황, 정치적 상황, 사회적 상황 및 그곳의 기관들과 잘 친교하는 자. ③ 훈련

목표에 적절한 사전 훈련과 경험을 가지는 자. ④ 세계의 영적지도자들과 친교와 협력을 하는 자.

⑤ 지역교회(Local Church)와 세계교회(Global Church)에 대한 성경적이고 역사적인 지식을

소유한 자. ⑥ 성경적 상황화의 원리에 숙달한 자 등이다.

5) 성경적 상황신학화의 방법은 무엇인가?

급속한 세속적 세계화로 인해 발생한 질문에 대해 성경적 답을 제공해야 한다. 교회는 해석학

적 공동체가 되어 상황과 문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설교, 성경공부, 제자양육을 감당해야 한다.

존재의 의미, 종말, 인생의 가치에 대한 질문을 비롯하여 에이즈, 궁핍, 눌림과 압박, 공포와 테러,

핍박, 상실, 피난살이, 옛 전통과 현대사회의 가치관 사이에서의 갈등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문제를 성격적으로 풀어주어야 한다. 신학적 커뮤니케이션 또한 상황에 맞게 전달해야 한다. 각문

화의 독특한 전통 축제절기, 예절, 제도, 생활양식 등이 비성경적이라면 성경에 맞게 상황신학화를

해주어야 혼합 신앙에 빠지지 않게 된다. 그렇다면 성경에 맞는 상황화의 원리는 무엇인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상황신학화의 3대 요소인 성경, 신학, 문화의 관계를 바로 정립해야 한다.

성경 � 가장 중요한 것은 성경을 성령의 영감으로 쓰여진 하나님

말씀으로 믿는 성경관이다.

신학 ‚ 절대적 진리는 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것을 하나님이

사물을 보시는 관점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한 신학

상황 (THEOLOGY)이라 한다.

(문화) ƒ 문화의 영향을 받는 신학(Theology)은 사람이 성경 본문 연

구를 통해 성경 당시의 역사 문화 및 나타난 실재(reality)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신학이다. 절대적 진리를 한 문화권과 커뮤니케이션 할 때도 상황화

작업이 필요하다. 성경의 해석(Biblical Interpretation) 즉 본문 연구, 성경 당시의 역사 문

화 및 상황의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문화의 해석(Cultural Interpretation)을 통해서 그 문

화와 세계관이 우리의 신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인식하고, 이 문화 해석 과정을

통해 우리 문화에서 복음 적용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인식한다. 교회는 성경해석의

공동체이므로 성경해석(Biblical Hermeneutics)을 통해서 오늘의 문화적 상황에서 의미하

는 바를 알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인 그림으로 설명한다.

Page 11: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1 -

성경속의교훈

성경적상황화

문화, 관습, 초대교회와역사성, 언어 교회사에서의

의 의미 실천(Practices)

<성경적 상황화의 관계성>

관습, 신념, 의식, 이야기, 노래, 미술, 음악 등을 성경적(비판적) 상황화하는 단계는 ①

옛 것에 대해 파악한다. ② 옛 관습에 대한 성경의 교훈을 연구 한다. ③ 성경의 교훈에

비추어 옛 것을 평가한다. ④ 새롭게 상황화 된 기독교적 방식이 창출된다.

VII. 몽골 사역지에 신학교현황과 과제는 무엇인가?

몽골에는 한인 선교사 200여 명과 외국선교사 100여 명이 사역하고 있다. GMS는 1300 여명

(개혁교단과 합동이후 1700여명 예상함)의 선교사들이 다양한 선교사역을 펼치고 있다. 그 중에

교회개척이 200여 가정, 신학교사역 106가정, 목회자 재교육을 포함한 149개의 지도자육성사역에

104가정이 섬기고 있다. 이들은 모두 영적지도자 육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어려운 여

건에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는 선교사들의 모습과 더불어 대부분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음을 엿

볼 수 있다. 필리핀의 PTS와 인도의 Asia Evangeical College and Seminary, 인도네시아의 샬롬신

학교 외 몇 개의 신학교는 현지정부나 국제학력인정을 받았 다. 이들 신학교들은 상당한 수준에

까지 성장하여 학사과정과 석사과정, 박사과정까지 개원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와 교수수급에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그리고 일본신학대학. 대학원은 미국의 The Jesus Presbytery Theological

Seminary of USA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우간다의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는 남아공

스텔렌보시 대학의 인준으로 학사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민다나오의 Evangelical Missions College

는 팀 사역의 표본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 외 많은 선교지 신학교들은 그 열매에 비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교단이나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는 신학교는 필리핀의 PTS 외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차제에 GMS에서 이 세미나를 개최하여 토의하게 된 것은 큰 의의가 있다

고 사료되며, 이 기회를 통해서 선교현지신학교 후원사역이 제대로 정착되어 현지의 영적지도자

교육/훈련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 신학교 사역선교사들에게 조금이라도 격려가 되기를 기원

하는 바이다.

* 토의 과제1. 성경적 상황신학을 오늘 우리의 급변하는 문화권 내에서 한 예를 들어 시행해 보자.

2. T.E.E로서 Nonformal 교육방법을 통한 영적지도자 교육은 어떻게 하는가?

새로운교회문화창출

Page 12: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2 -

3. 현지 교회 지도력의 위임과 이양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어야 하는가?

4. 영적지도자 육성을 위한 신학교육을 교회선교중심으로 개혁할 수 있는 신학교육의 교과과정

과 교재(Course contents)를 어떻게 개발하는가?

5. 영적지도자 교육을 위한 교수의 프로파일은 어느 정도이면 될 것인가?

6. 영적지도자후보 선발은 어떤 기준으로 할 것인가?

7. 영성이 신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

8. 영적지도자의 총체적 영성개발 관계성을 나름대로 개발하여 보자.

9. 신학교육의 3가지 방법론은 어떤 것인가?

10. 신학교육은 왜 이론과 실재를 병행해야 하는가?

11. 교수급 지도자 육성을 위한 교육/유학은 어떤 방법이 좋은가?

12. 내부자운동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3. 선교현장에서 재산위임과 이양은 어떻게 하는가?

14. 전방개척선교란 무엇이며 어느 방향으로 가야하는가?

II. 한국교회선교현황분석(2006년 1월 현재)과 전방개척선교의 방향Analysis of Korean Missions Statistics and New Milieu of Frontier Mission

우리 한국교회의 세계선교는 지난 1년 동안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우리는 주님의 지상명령

수행과 성령주도하에서의 교회세계선교 활성화운동을 전개하면서 많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주

변변화에 도전을 받고 있다. 세계화시대의 복잡한 세계정세와 주변 환경, 한국교회성장의 정체현

상과 세계선교현황분석, 그러면서도 우리 한국교회가 재기하여 세계선교를 함께 협력하며 주도해

나가야 할 사명과 전방개척선교의 새로운 방향을 포용해야하는 일들을 긍정적 도전으로 받아들인

다. 먼저 선교에 도전이 되는 국제주변정세를 알아본 다음 2005년 말 현재통계를 통한 한국교회

세계선교현황분석을 하고 한국교회전방개척선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세계선교와 관련된 오늘의 국제정세

9,11 테러사견 이후 국제정세는 날로 악화일로에 있다. 전쟁과 난민문제, 인권문제, 종교 간의

갈등심화현상, 민족주의 대결구도, 핵확산조치문제 등이다. 이에 더하여 지속적인 가뭄과 가난, 엄

청난 자연재해 등이 국제정세에 악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세계선교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북미주는 9,11테러와 이라크전쟁 이후로 선교사파송수자가 극감하고 있다. 백인선교사의 운신

의 폭이 점점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아직은 세계선교의 1위를 견지하고 있는 것을 감사

하게 생각한다.

유럽은 은근히 미국을 견제하려는 하나의 유럽을 제창하며 유럽세력을 규합하고 있다 동시에

포스터 모던이즘의 영향과 세속화의 물결 속에 급격한 기독교 쇠락과 이슬람인구의 증가 그리고

종교와 인종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다시 한 번 교회부흥운동과 선교부흥운동이 이러나지 않

고는 옛 유럽의 찬란한 기독교 유업은 존속되기 힘들 것으로 예상한다.

중남미는 로마카토릭교회의 중압과 해방신학의 혼돈 속에서도 여러 나라에서 기독교의 부흥

과 선교확대의 기쁜 소식이 들린다.

중동과 북아프리카는 견고한 이슬람세력의 응집과 이슬람과격테러분자들에 의한 계속되는 폭

Page 13: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3 -

탄테러로 인한 이슬람의 부정적인 이미지 확산과 내부적으로는 세속화현상으로 안간힘을 쓰고 있

는가 하면, 유대주의 이스라엘과 중동의 비호아래에 있는 팔레스타인 간의 긴장관계는 계속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이슬람은 중동의 오일머니로 아프리카 남부로 확산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이사야 선지자는 중동과 이스라엘이 주님 경배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예언 (사 19:23-25)한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흑아프리카는 부족 간의 갈등과 내전의 고통, 종교 간의 긴장관계, 지속적인 기근과 가난 속

에서 고통 받고 있다. 그러면서도 기독교회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부흥하고 있으며 자체

적으로 선교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중앙아세아는 정치적으로는 친 유럽과 친 러시아의 대립구도, 미족주의의 득세현상에 있다.

종교적으로는 이슬람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기독교 선교사의 배척현상과 기독교회 부흥현상

이 혼재하고 있다. 중앙아세아를 위한 한국교회의 관심어린 기도와 선교적 지원이 필요하다.

서아시아는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의 과격세력화 현상과 배타적 민족주의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도 인도의 기독교부흥은 계속되고 있으며 인도의 경제 진흥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일부 이슬람권에서는 최근 쯔나미 재해로 인해 고난 속에서 기독교 NGO활동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기독교 선교에 기회가 되고 있다.

동남아세아는 기독교 선교의 추수기를 맞고 있다. 한편 남부이슬람의 세력이 태국을 거쳐 북

진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때일수록 우리 기독교회의 선교는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며 선

교의 동역자로서의 자세를 견지하여야 할 것이다.

동북아시아는 가장 기독교의 부흥과 핍박이 혼재하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면서도 기독교선교

의 기회는 조심스럽게 그러나 힘 있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상해와 우루무치지역을 중심으

로 새로운 실크로드가 진행되어 터키와 인도에 까지 펼쳐지고 있다. 신 실크로드가 신 생명로드선

교네트워크의 새로운 선교방향이 필요하여 그 움직임을 하나님께서 일으키시고 계신다.

2. 2005년 12월 현재로 KWMA가 조사한 한국교회 선교사파송현황분석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가 조사한 2005년 12월 현재 한국선교사 파송현황 1차 통계는 14,012명으로 집

계되었다.1) 비공식통계인 5,000명을 합치면 19,000명이 되는 셈이다. 지난 2005년 9월부터 12월까지 약 4개월 동

안 26개 국내 주요 교단/교단선교부와 108개 선교단체에서 파송된 선교사 수를 조사한 결과 총 14,012명 파송으

로 2004년 12,159명 대비 1,853명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1998년 이후 매년 1,317명씩 증가하던 추세

보다 약 1천여 명 더 많은 것으로 한국선교의 선교사파송 증가 추세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

2004년 4월(20개 교단/80개 선교단체)

2005년 12월(26개 교단/108개 선교단체) 증감현황

가정 명 비율 가정 명 비율

파송기관별교단선교부   5,944 42.4%   6,646 47.4% 702

선교단체   6,215 44.4%   7,366 52.6% 1,151

표 1 한국선교사 파송기관별 현황

1) 이 조사통계는 KWMA 정보팀(박기홍 실장)의 연구조사결과이다. 지금까지 파악된 한국교회선교사

파송현황은 거의 마무리 단계이지만 앞으로 비공식통계, 즉, 교단이나 선교단체를 통하지 않고 개 교

회나 다른 형태의 파송현황은 시간이 좀 더 걸릴 예정이다. 지금까지의 공식통계이외 한인선교사들

의 보고에 의하면 비공식 통계는 아시아에서만 5천여 명이 넘어간다. 비공식통계를 교단들을 통해서

이미 실시하고 있다. 몇 달이 더 걸릴 것이다.

Page 14: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4 -

파송기관별 현황으로는 교단선교부가 6,646명으로 전체의 47.4%, 선교단체가 7,366명으로 52.6%를 차지하였

다.(표 1 ‘한국선교사 파송기관별 현황’ 참고) 이는 작년 대비 각각 702명, 1,151명씩 증가한 것으로 대체적인 현재

의 분위기와는 달리 선교단체 선교사 파송 수가 교단선교부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약 1천여

명의 교단과 선교단체에 모두 소속되어 있는 이중멤버십 선교사의 수를 감안 할 때 교단과 선교단체의 파송 비율

은 비등한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서 일반 해외선교 전문 선교단체보다는 대학생선교단체들의 팀 사역, 전문인

사역 등으로 다양한 선교활로 개척을 나서고 있기 때문에 선교단체의 선교사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예상

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이중멤버십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이중멤버십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려는 교단

선교부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교단과 선교단체 간의 파송 숫자는 더욱 좁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항목

2004년 4월(20개 교단/80개 선교단체)

2005년 12월(26개 교단/108개 선교단체) 증감현황

가정 명 비율 가정 명 비율

기간별장기 6,109 11,184 79.8% 5,819 12,594 89.9% 1,410

단기 684 911 6.5% 464 1,418 10.1% 507

표 2 한국선교사 파송기간별 현황

기간별 현황을 보면 2년 이상 사역을 하는 장기선교사가 12,594명으로 89.9%, 2년 미만의 단기선교사가

1,418명으로 10.1%로 작년 대비 각각 1,410명, 507명 증가하였다. 전체적인 증가 숫자를 보면 단기선교사보다 장

기선교사의 증가추세가 더 가파를 뿐만 아니라 약 2배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한국교회의 전반적인 성장의

저조현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선교에 헌신되는 선교선신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장기선교사로서 파

송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표 2 ‘한국선교사 파송기간별 현황’ 참고)

항목

2004년 4월(20개 교단/80개 선교단체)

2005년 12월(26개 교단/108개 선교단체) 증감현황

가정 명 비율 가정 명 비율

직분별목사 4,324 8,112 57.9% 4,056 9,069 64.7% 957

평신도 2,469 3,983 28.4% 2,963 4,943 35.3% 960

표 3 한국선교사 직분별 현황

직분별 선교사 현황에서는 사모까지 포함하는 목사선교사가 12,295명으로 전체의 64.7%, 평신도 선교사가

2,963명으로 전체의 35.3%를 차지하였다. 이는 작년 대비 957명, 960명 증가한 것으로 증가 숫자는 비슷하나 여전

히 목사 선교사 파송 수가 평신도 선교사 파송 수의 2배로 나타남으로써 목사 중심의 선교사 이루어지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100만 전문인/자비량 선교사 파송을 목표로 하고 있는 선교계의 과제 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표 3 ‘한국선교사 직분별 현황’ 참고)

Page 15: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5 -

항목

2004년 4월(20개 교단/80개 선교단체)

2005년 12월(26개 교단/108개 선교단체) 증감현황

가정 명 비율 가정 명 비율

자녀수19세 이하   4,996 67.7%   5,499 74.5% 503

20세 이상   975 13.2%   1,881 25.5% 906

표 4 한국선교사 자녀 현황

선교사 자녀의 현황은 약 20%에 해당되는 단체가 파송선교사의 자녀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19

세 미만이 5,499명으로 74.5%, 20세 이상이 1,881명으로 25.5%로 작년 대비 503명, 906명의 증가를 보였다. 파악

되지 않은 단체의 자녀수를 감안한다면 약 1천여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선교사 자녀수는 연령별 분포를 보

았을 때 19세 미만의 자녀들을 위한 교육에 파송기관 및 파송교회가 더욱 그 중요성을 깨닫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선교사 수의 증가는 곧 선교사 자녀의 증가와 비례하며 이는 선교사의 지속적인 사역을

위한 인프라 구축의 가중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선교사의 전략적 재배치나 사역의 확대에 있

어서 선교사 자녀교육 문제 때문에 많은 걸림돌이 되어 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19세 미만의 어린이가 약 5,500

명이라고 하는 것은 그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켜 준다. 또한 작년 보다 약 1천여 명이 증가한 20세 이상의 자녀들

에 대해서도 대학교육 및 직업교육 등의 대책도 세워야 할 필요성을 제기해 주고 있다.(표 4 ‘한국선교사 자녀 현

황’ 참고)

항목

2004년 4월(20개 교단/80개 선교단체)

2005년 12월(26개 교단/108개 선교단체) 증감현황

가정 명 비율 가정 명 비율

지역별

동아시아 1,612 2,860 20.6% 2,095 4,068 29.3% 1,208

동남아시아 1,064 1,940 14.0% 1,011 2,012 14.5% 72

서아시아 416 708 5.1% 374 756 5.4% 48

중앙아시아 404 683 4.9% 442 825 5.9% 142

중동 347 611 4.4% 309 623 4.5% 12

북아프리카 153 260 1.9% 198 366 2.6% 106

아프리카 381 680 4.9% 348 697 5.0% 17

중남미 436 798 5.7% 431 863 6.2% 65

북미2)     0.0% 395 799 5.8% 기타에 포함

태평양/오세아니아 249 479 3.5% 469 941 6.8% 462

유럽 811 1,526 11.0% 711 1,422 10.2% -104

순회 68 105 0.8% 69 138 1.0% 33

기타3) 891 1,513 10.9% 185 372 2.7% -1,141

표 5 한국선교사 지역별 파송현황

한국선교사 지역별 선교사 분포를 보면 AX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가 4,068명으로 전체의 29.3%

를 차지하여 2004년 2,860명보다 1,208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가장 많은 한국선교사가 배치되었으며 그 증가

Page 16: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6 -

-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아프리카

중남미

북미

태평양/오세아니아 유

럽순회

기타

2004년 2005년

추세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동남아시아는 2,012명으로 전체의 14,5%로서 작년 대

비 72명, 인도를 중심으로 하는 서아시아는 756명, 5.4%로서 작년 대비 48명, 중앙아시아는 825명, 5.9%로서 작년

대비 142명, 중동은 623명, 4.5%로서 작년 대비 12명, 사하라 사막 이북의 북아프리카는 366명, 2.6%로서 작년 대

비 106명,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는 697명, 5.0%로서 작년 대비 17명, 중남미는 863명, 6.2%로서 작년 대비

65명, 태평양/오세아니아 지역은 941명, 6.8%로서 작년 대비 462명이 증가하여 동아시아 다음으로 많은 증가를 보

였 다 .

이 번

조사에

새롭게

분류된

미 국 ,

캐나다

의 북

미 주

지역은

799명,

5.8%로

나타났

다. 북

미주 지역은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UBF)의 선교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유럽은 1,422명, 10.2%로서 작년 1,526

명보다 104명이 감소하였으며 순회선교사, 국내외국인근로자대상선교사 및 비 거주 선교사는 138명, 1.0%로서 작

년 대비 33명 증가하였다. 그 외 국내 행정, 동원 사역 등의 기타 분류로는 372명 2.7%를 차지하였다. 2004년 조

사에는 기타분류에 미주 지역을 포함하였기 때문에 이것을 감안한다면 기타분류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표 5. ‘한국선교사 지역별 파송현황’ 참고)

다음의 그래프로 비교해 본 2004년과 2005년의 한국선교사파송현황을 전반적 지역별 현황을 보면, 유럽을 제

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선교사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난 2000년 세계선교대회 이후 한국선

교사의 전략적 재배치 결의에 의해 여러 파송기관이 이에 동참함으로써 선교사를 미 복음화된 지역, 미 전도종족

으로 파송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선교사 수의 증가가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높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일본을 비롯한 중국으로 선교사가 오히려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앙아

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등 이슬람 지역의 선교사 수는 1,814명으로 전체 선교사 수의 13.1%에 불과해 이슬람 지

역으로의 선교사 파송이 더욱 집중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러 파송기관에서 파송 지역별 선교사 현

황 자료가 되어 있지 않아 전체 선교사 수에는 포함되었지만 지역별 현황에는 포함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 그 합

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선교사 파송현황을 종합해 보면 2005년은 매년 선교사 파송 증가치보다 약 1천여 명이 더 파송된

것으로 나타나 한국선교의 긍정적인 면을 보여주었으며 한국선교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러나 파송

된 숫자의 증가만큼 선교인프라 구축이 매우 시급하다는 것과 모달리티와 소달리티 간의 협력 방안 모색, 목사와

평신도 간의 사역적 균형, 지역적 편중화 현상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지역적 균형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국 선교에 대한 새로운 조정과 접근이 필요하며 이슬람 지역으로의 보다 적

Page 17: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7 -

극적인 선교사 동원과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각 교단의 교세별 선교현황은 곧 발표될 예정이다.2)

3. 전방개척선교(Frontier Mission)와 전방개척선교사역(Frontier Mission Work)

첫째, 전방개척선교(Frontier Mission)와 전방개척선교사역 (Frontier Mission Work)은 무엇인

가?

지난 2005년 11월 16일 ~18일 강화예수성산 마을에서 한국선교지도자 포럼을 가졌을 때 랄

프 윈터 박사의 “What Are Mission Frontiers?" (선교의 전방개척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250여 명의 한국선교지도자들이 많은 질문을 하였다. 그 이유는 전통적인 전방

개척선교의 개념과 많이 상이한 개념, 즉, 지적인 개척선교(Intellectual Frontiers) 등을 소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분명한 이해가 필요하고 우리의 의식전환도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

여 여기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여 왔던 전방개척선교에 대하여 먼저 개략한 다음 랄프 윈터

박사가 강연한 새로운 개념의 선교의 전방개척에 대하여 분명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개척선교 (Pioneer Mission) 또는 개척선교사역 (Pioneer Mission Work)이라고도 하며 이는

미 전도종족(Frontier Peoples or Unreached Peoples)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전통적인 개념

의 전방개척선교란 타 문화권에 가서 미 전도종족지역이나 미 전도종족에게 복음을 전하여 건강

한 토착교회를 세울 때까지의 사역을 말한다. 전방개척선교사역의 형태는 타 문화권전도와 교회개

척 (Evangelism and Church Planting), 문맹퇴치와 성경번역사역 (Literacy and Translation), 구제

와 개발사역 (Relief and Development), 학교나 병원 등을 세워 사역하는 것을 말하며, 사역자는

기독교선교사나 기독교자비량사역자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전방개척선교지역을 지정학적 경계선 (geo-political boundaries)에 강조를 두었다

가 다음에는 종족언어학적인 범주 (ethnolinguistic boundaries)에 강조점을 두었다.

이러한 변화된 개념들과 관련하여 10/40창, 미 전도종족 그룹 (unreached or hidden people

groups), 종족입양운동 (ADOPT-A-PEOPLE campaign)으로 발전하였다. 약 12,000 미 전도종족들

가운데 특히 2,000여 종족들은 전방개척선교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10/40창

권내에 있으며 가장 열악한 지역이면서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고도의 기술과 우리 교회의 특별관심과 성령의 특별한 역사가 필요한 종족지역이다.

둘째, 선교의 전방개척 (Mission Frontiers)이란 무엇인가?

Ralph D. Winter 박사의 저서 <Frontiers in Mission---Discovering and Surmounting Barriers

to the Missio Dei> (3rd ed, 2005) 에는 전통적인 개념의 전방개척선교의 역사적 동향과 설명이

있는가 하면, 새로운 개념의 선교의 전방개척 (Mission Frontiers) 연구 자료가 서술되어 있다. 한

마디로 하나님의 선교에 도전하는 장벽들이다. 다시 말하면 선교의 전방개척이란 선교에 방해거나

도전하는 악, 즉, 악한사상이나 , 암이나 에이즈 같은 불치의 병균 등을 말하고 있다. 즉, 지적인

개척선교이다. 병균에 대한 대처방안은 연구에서 비롯된다. 지금까지 인류의 공동적이었던 마마병,

말라리아병, 소아마비병, 등 예방의학을 통해서 예방되고 있다는 것에 주시하고 있다. 윈터 박사는

지난 10여 년 동안 그의 사역과 가정생활을 통해 많은 불치의 병균에 대한 신학적 답을 찾으려고

2) KWMA는 이번 조사를 1차로 마감하고 1월 9일 KWMA총회를 통해 최종 결과 및 분석 자료를 상세한 데이터의 정

확한 검증과 함께 교단의 교세현황, 선교현황이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Page 18: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8 -

애쓴 흔적이 보인다. 그와의 여러 차례 대화를 통해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사실 그의 아내,

Roberta 사모를 암 진단을 받은 지 5년 만에 세상을 떠나보내는 슬픔을 겪었다. Winter 박사 자신

도 똑 같은 암 진단을 받은 지 2년이 경과했다. 그의 말로는 향후 3년 밖에 남지 않았다. 그냥 앉

아서 죽음을 기리는 것 보다 힘이 있을 때 까지 선교사역을 하겠다는 그의 믿음과 의지는 굳건하

다. 그에게 있어서 새로운 개념의 선교의 전방개척은 하나님의 선교를 방해하는 악들에 대한 전쟁

선포나 다름없다. 이 전쟁은 영적전쟁이면서 동시에 질병퇴치 연구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Winter 박사의 성경적인 기초는 일요 3:8b 말씀이다. “---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

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니라.” 결국 그의 신학 속에는 모든 질병은 악하다. 이러한 악

한 균은 사탄에게서 비롯된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불치의 병이 걸린 후 치료비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 치료비에 비해 이를 퇴치하고자 하는 연구비는 너무나 미미하다고 고발하고 있다. 이러한

퇴치운동을 세속의학계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기독교회와 선교회와 이 악한 것과 싸워야 한다고

말한다. 기도와 연구를 통해서 마귀의 의 일을 멸해야 한다고 왜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그의 신학적인 기초는 세 가지다. 하나는 창세기 1:2을 근거로 천지창조이전의 창

조를 믿는다.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신은 수면에 운행하시니

라.” 여기에 대하여는 복음주의 신학자들 가운데서도 여러 가지 학설을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는 여기서 논찬하지 않기로 한다. 둘째는 총체적인 선교신학이다. 사람의 구원이 영혼구원만이 아

니라 육체의 구원도 포함되어 있다. 영육이 구원받아야 할 존재임을 암시하고 있다. 그래서 기독

교회의 전쟁은 영적전쟁 뿐만 아니라 악한 병균의 원천적 예방을 위한 의학적 연구전쟁도 포함되

어야 함을 강력히 제안하고 있다. 세 번째는 선하신 하나님께서 어떠한 악의 형태나 악한 병균을

만드시지 않으시고 사탄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심각한 신학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만약 사탄이 악한 병

균을 만들었다면, 그렇다면 사탄을 창조자라로 만드는 것이 아니가? 라는 의혹이다. 이 문제에 대

하여 필자는 오랫동안 Winter 박사와 토의한 바 있음을 밝힌다. 필자는 이렇게 주장하였다. 사탄

은 선한 것이나 악한 것이나 아무것도 창조할 수 없다. 오직 하나님만이 만물을 선하게 찬조하신

창조주시다. 인간타락 이후 가시넝쿨이 있게 하신 하나님이시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악을 만드시

지 않으셨다. 그러면 악이란 무엇인가? 죄는 악하다. 죄는 사탄의 거짓에 넘어간 사람이 저질렀다.

모든 질병이나 자연재해 등은 악하다. 그러나 죄는 아니다. 단지 악할 뿐이다. 이러한 악은 선의

왜곡이다. 창조가 아니다. 여기에는 하나님의 선하신 의도가 있을 수 있다. 욥의 경우와 요셉의 경

우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래서 성경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

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3) 하지 않았던가! 이러한 악의 결과는 불순종과 창조

질서파괴에서 파생된다. 암을 예를 들면 암세포는 별도로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체내의

백혈구의 변신이라고 들었다.4) 질병은 인간의 범죄와 환경오염과 창조질서의 혼돈으로 인하여 선

하게 창조하신 피조물이 괴로움을 당하고 있으며 이것을 사탄이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

한 경우는 때로는 선하신 하나님을 기억하고 믿으라고 주신 다른 또 하나의 은총이다.

윈터 박사는 필자의 주장에 다음과 같이 논박하였다. 사람도 자동차, 비행기, 위성, 전기, 전화

기, 등 많은 것들을 발명하는데 인간보다 재능이 많은 사탄이 그런 것을 조작하지 못하겠는가!?

라고 답하였다. 필자는 사람은 하나님이 주신 지혜와 피조물을 가지고 생명이 없는 물건을 만들었

3) 로마서 8:28절.

4) 암 세포의 생성에 대하여 의학적인 리서치를 참고하자.

Page 19: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19 -

으니 창조라는 Creation 단어대신에 조작한다는 Device가 더 바람직하지 않겠느냐고 했더니,

Winter 박사는 사탄의 병균에 대해서는 Creation을 써도 무방하다고 확실히 답하였다. 그러기 때

문에 불치병균예방약을 연구하는 것이 또 하나의 Mission Frontier 라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하고 싶다. 하나는 사탄을 또 하나의 창조자로 만드는 신학적인 우를 범하는

게 아닌가라는 의문을 떨쳐버릴 수 없다. 그리고 의학적 리서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

측면은 질병의 균에 대한 전쟁, 즉, 그리스도인의 의학적 연구 선교는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것이 또 하나의 Mission Frontiers, 즉, 지적선교의 장벽 (Intellectual Frontiers)이기 때문이다.

셋째, 우리 교회의 전방개척선교의 방향은 어디로 가야할 것인가?

우리는 전방개척선교지역을 대체로 3지역으로 나눈다. 부분제한지역(Limited Access Area), 창

의적 접근지역(Creative Access Area), 그리고 폐쇄지역(Closed Area) 등이다. KWMA는 한국교회전

방개척선교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위한 미 전도종족지도를 제작하였다.5) 이 3지역은 모두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 기독교를 반대하거나 적대시한다. 이러한 지역을 창의적 접근지역이라고

도 한다. 왜냐하면 아무리 폐쇄된 지역이라 해도 어떤 형태의 선교사역을 지혜롭게 할 수 있기 때

문이다. 이러한 종족지역에 전 세계의 선교사 1/10미만이 사역하고 있으며 한국선교사는 13%로서

전방개척 선교지향 쪽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6) 요즘 들어 선교사를 받아들이지 않거

나 배척하고 선교사 비자를 주지 않는 종족이나 나라들이 증가하고 있다. 심지어 기독교를 박해하

는 나라가 76개국으로 늘었다. 그러나 기독교에 대하여 배타적이라고 하여 모두가 전방개척선교지

역은 아니다. 어떤 나라는 이미 스스로 선교할 수 있는 건강한 토착교회가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단지 외부의 도움의 손길이 필요할 뿐이다. 한편 서구선교지도자들이나 선교학자들에 의하면 이제

는 전방개척선교가 복음이 전혀 전해지지 않았던 종족지역으로 제한하지 말고 이미 한때는 복음

화 되었다가 이제는 더 이상 복음의 위력이 상실되었거나 자전, 자치, 자급의 힘이 없는 종족지역

(secularized post-Christian urban areas)을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전방개척선교지역은 아니라 하더라도 사안에 따라 우리의 선교지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전방개척선교사의 목표는 건강한 토착교회설립이기 때문에 항상 전도와 제자양육이 실시도어

야 한다. 이러한 전방개척사역은 정말 많은 기도와 인내와 지혜와 물질과 전략 정책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개척선교단체들의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하나는 창의적 접근지역에 가서 학생

신분, 연구원(Researchers)의 신분 또는 전문 직업(Professionals)을 가지고 지혜롭게 사역한다. 또

한 가지 방법은 기독교선교의 자유가 있는 제3국의 어느 전략적인 지역을 거점으로 삼아 단기 여

행객으로 위장하여 목표종족이나 지역에 전도하고 제자육성사역을 하여 토착교회를 설립한다. 이

러한 사역을 위하여 선교사는 조화된 영성과 소명의 확신은 물론 타 문화권에서의 팀 사역 기법

과 전도의 방법, 제자양육의 기술, 그리고 셀 교회의 전략에 익숙하여야만 한다. 건강한 토착교회

란 자전 (Self-Evangelism/Mission), 자치 (Self-Government), 자급 (Self-Support), 그리고 자신학화

(Self-Theologizing) 할 수 있는 교회를 가리킨다.

또 한 가지 방향은 선교의 전방개척 ((Mission Frontiers), 즉, 선교에 방해가 되는 지적장해

(Intellectual Frontiers)의 도전이 기독교선교개척분야임을 깨닫고 기독교회가 한 걸음 더 적극적으

5) KWMA/UPMA는 최근의 미 전도종족 지도(2005)를 제작하여 한국교회전방개척선교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하시라.

6) KWMA 2005년 12월 조사에 따르면 한국선교사들의 5.9%가 중앙아시아, 4.5%가 중동에, 2.6%가 북아프

리카에 토털 무슬림지역에 배치되어 사역하는 한인선교사의 비율이 13%로서 증가추세이다.

Page 20: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s.kwma.kr/kwma/archive/gangss/2006-18.pdf · I. 현장중심의 신학교교육을 통한 영적지도력개발(몽골)

- 20 -

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강승삼 박사는 아프리카 무슬림지역 선교사 출신으로서

현재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사무총장, 한기총선교위원장,

한국복음주의협의회선교위원장, 총신대선교대학원장으로

섬기고 있으며 슬하에 1남 1녀와 7손자를 두고 있다.

현재 딸의 가정(백신종/강은경)은 캄보디아

선교사로 섬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