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4
2015년 7월 30일 -제 17호- La Française des jeux parie sur le numérique 프랑스 복권 공사, 디지털화에 승부수를 던지다 La Française des jeux va investir dans le numérique afin d'offrir davantage de jeux en ligne à ses clients et gagner ainsi 1 million de joueurs d'ici 2020. La Française des jeux, l'entreprise publique qui détient le monopole des loteries et des jeux de grattage, dispose de plus de 32 000 points de vente avec le réseau des bars-tabacs-presse. Mais les ventes en ligne ne représentent encore que 4 % des 13 milliards d'euros de chiffre d'affaires. L'objectif est de faire passer les ventes numériques à 20 % du total et d'augmenter de 27 à 28 millions le nombre de clients en 2020. Pour cela, la Française des jeux va investir 400 millions d'euros, dont 180 millions d'euros pour installer des terminaux de jeux dans son réseau physique. De nouveaux jeux en ligne vont également être proposés aux amateurs qui auront à mettre en œuvre une tactique. La FDJ est une entreprise prospère dont les ventes sont en croissance régulière : 3 % depuis le début de l'année. Elle est aussi une affaire profitable pour l'Etat qui en assure la tutelle. Pour 10 euros misés sur l'un de ses produits, les finances publiques encaissent 2 euros de taxes diverses. 프랑스에서 복권과 스크래치 게임에 대한 독점권을 가진 공기업인 프랑스 복권 공사 La Française des jeux (이하 FDJ)는 고객들에게 더 많은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 고 2020년 까지 100만 명의 이용자를 모으기 위해서 디 지털화에 투자를 시작할 것이다. FDJ 는 32000 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데, 담배 가게 혹은 신문 가게에서 판매를 진행한다. 그러나 온라 인 판매는 여전히 총 매출 13 억 유로 중 오직 4%만을 차지하고 있다. FDJ 의 목표는 2020 년에 온라인 판매를 전체 판매의 20%로 늘리고 고객의 수를 2 천 7 백만 명에서 2 천 8 백 만 명으로 늘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FDJ 는 4 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인데, 그 중 1 억 8 천만 유로는 물리적 네트 워크에서 게임 단말기를 설치하는 데에 투자할 것이다. 새로운 온라인 게임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해야 하는 사람 들도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질 것이다. FDJ 는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며 번영하는 기업이다. 올 해는 연초에 비해 매출의 3%가 증가했다. 또한 이 기업 을 후견하는 프랑스 당국으로서는 FDJ 는 큰 이익을 창 출해주는 기업이다. 10 유로짜리 복권을 살 경우 국가가 세금으로 2 유로를 가져가게 된다. 14 이지영 <[email protected]> 참고 : RFI “La Française des jeux parie sur le numérique”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Les éleveurs maintiennent leurs blocages avant les annonces du gouvernement 소고기 값 폭락을 규탄하고 나선 프랑스 축산업자들 Des dizaines de tracteurs pour bloquer les accès au périphérique de Caen. Depuis dimanche, des exploitants se mobilisent en Normandie pour dénoncer la faiblesse des prix agricoles. Depuis des années, ils pointent du doigt la responsabilité de la grande distribution dans la baisse de leurs revenus. Face à la colère des éleveurs, le gouvernement est passé à la vitesse supérieure. Après trois jours de blocages par les agriculteurs français, qui protestent contre la baisse des prix de vente de leur production et réclament le respect de l’accord du 17 juin, un plan d’urgence promis par François Hollande sera détaillé mercredi 22 juillet. « Je demande à tous les agriculteurs de comprendre que nous sommes tous mobilisés, nous sommes conscients de leurs difficultés », a-t-il déclaré mardi en marge d’un discours à Paris. Un rapport d’un médiateur indépendant, très attendu par les producteurs de viande, a également été reminfés mardi soir à Stéphane Le Foll et sera rendu public mercredi. Le ministre s’est refusé à répartir les responsabilités dans la faiblesse actuelle des prix, entre les industriels de l’abattage et de la transformation et les distributeurs. Le médiateur avait été désigné par le ministre à l’issue d’une table ronde de la filière bovine le 17 juin, pour faire la lumière sur le rôle exact de l’industrie et de la distribution. 프랑스 노르망디 지방 도시 껑의 외곽순환도로의 진입 로를 수십 대의 트랙터들이 막아섰다. 지난 18 일 일요일 부터, 축산업자들은 노르망디에서 모여 축산물 가격 폭 락을 규탄하고 나섰다. 몇 년 전부터, 축산업자들은 그들 의 수입의 감소에 대형유통업자들의 책임을 지적해 왔 다. 축산업자들의 분노에 직면하여 정부는 긴급 지원대책 을 내놓았다. 소고기 값 폭락에 대해 시위하고 지난 6 월 17 일의 협약을 지킬 것을 요구하는 프랑스 축산업자들 이 길을 가로 막은 지 3 일 만에,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 스 대통령이 약속했던 긴급 대책이 7 월 22 일 수요일에 발표되었다. 그는 “모든 축산업자들께서는 정부에서 충분 히 여러분의 어려움을 지각하고 있음을 알아주시길 바랍 니다.”라고 파리 연설 중 밝혔다. 축산업자들이 기다렸던 독립 행정 조정관의 발표는 7 월 21 일 화요일 저녁 스테판 르 폴, 프랑스 농업부 장관 에게도 전달되었고 수요일에는 대중에게 공개될 예정이 다. 장관은 현재 축산물 가격이 폭락하는 가운데 도축업 체, 가공업체 그리고 유통업체 사이에서 가격과 책임감 은 떼 놓고 생각할 수 없다고 했다. 한편 6 월 17 일, 우육업계와의 회의 후 농업부 장관은 생산업과 유통업의 역할 차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축산 물 가격 조정 대책을 마련했다. 14 학번 박소희 <[email protected]> 참고 : Le Monde "Les éleveurs maintiennent leurs blocages avant les annonces du gouvernement"

Upload: hufsfrance

Post on 14-Aug-2015

79 views

Category:

Education


8 download

TRANSCRIPT

Page 1: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2015년 7월 30일 -제 17호-

La Française des jeux parie sur le numérique프랑스 복권 공사, 디지털화에 승부수를 던지다

La Française des jeux va investir dans le numérique

afin d'offrir davantage de jeux en ligne à ses clients

et gagner ainsi 1 million de joueurs d'ici 2020.

La Française des jeux, l'entreprise publique qui

détient le monopole des loteries et des jeux de

grattage, dispose de plus de 32 000 points de vente

avec le réseau des bars-tabacs-presse. Mais les

ventes en ligne ne représentent encore que 4 % des

13 milliards d'euros de chiffre d'affaires.

L'objectif est de faire passer les ventes numériques

à 20 % du total et d'augmenter de 27 à 28 millions

le nombre de clients en 2020. Pour cela, la Française

des jeux va investir 400 millions d'euros, dont 180

millions d'euros pour installer des terminaux de jeux

dans son réseau physique. De nouveaux jeux en

ligne vont également être proposés aux amateurs qui

auront à mettre en œuvre une tactique.

La FDJ est une entreprise prospère dont les ventes

sont en croissance régulière : 3 % depuis le début

de l'année. Elle est aussi une affaire profitable pour

l'Etat qui en assure la tutelle. Pour 10 euros misés

sur l'un de ses produits, les finances publiques

encaissent 2 euros de taxes diverses.

프랑스에서 복권과 스크래치 게임에 대한 독점권을

가진 공기업인 프랑스 복권 공사 La Française des jeux

(이하 FDJ)는 고객들에게 더 많은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

고 2020년 까지 100만 명의 이용자를 모으기 위해서 디

지털화에 투자를 시작할 것이다.

FDJ 는 32000 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데, 담배

가게 혹은 신문 가게에서 판매를 진행한다. 그러나 온라

인 판매는 여전히 총 매출 13 억 유로 중 오직 4%만을

차지하고 있다.

FDJ 의 목표는 2020 년에 온라인 판매를 전체 판매의

20%로 늘리고 고객의 수를 2 천 7 백만 명에서 2 천 8 백

만 명으로 늘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FDJ 는 4 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인데, 그 중 1 억 8 천만 유로는 물리적 네트

워크에서 게임 단말기를 설치하는 데에 투자할 것이다.

새로운 온라인 게임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해야 하는 사람

들도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질 것이다.

FDJ 는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며 번영하는 기업이다. 올

해는 연초에 비해 매출의 3%가 증가했다. 또한 이 기업

을 후견하는 프랑스 당국으로서는 FDJ 는 큰 이익을 창

출해주는 기업이다. 10 유로짜리 복권을 살 경우 국가가

세금으로 2 유로를 가져가게 된다.

14 이지영 <[email protected]>

참고 : RFI “La Française des jeux parie sur le numérique”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Les éleveurs maintiennent leurs blocages

avant les annonces du gouvernement소고기 값 폭락을 규탄하고 나선 프랑스 축산업자들

Des dizaines de tracteurs pour bloquer les accès au

périphérique de Caen. Depuis dimanche, des

exploitants se mobilisent en Normandie pour

dénoncer la faiblesse des prix agricoles. Depuis des

années, ils pointent du doigt la responsabilité de la

grande distribution dans la baisse de leurs revenus.

Face à la colère des éleveurs, le gouvernement est

passé à la vitesse supérieure. Après trois jours de

blocages par les agriculteurs français, qui protestent

contre la baisse des prix de vente de leur production

et réclament le respect de l’accord du 17 juin, un

plan d’urgence promis par François Hollande sera

détaillé mercredi 22 juillet. « Je demande à tous les

agriculteurs de comprendre que nous sommes tous

mobilisés, nous sommes conscients de leurs difficultés

», a-t-il déclaré mardi en marge d’un discours à Paris.

Un rapport d’un médiateur indépendant, très

attendu par les producteurs de viande, a également

été reminfés mardi soir à Stéphane Le Foll et sera

rendu public mercredi. Le ministre s’est refusé à

répartir les responsabilités dans la faiblesse actuelle

des prix, entre les industriels de l’abattage et de la

transformation et les distributeurs.

Le médiateur avait été désigné par le ministre à

l’issue d’une table ronde de la filière bovine le 17

juin, pour faire la lumière sur le rôle exact de

l’industrie et de la distribution.

프랑스 노르망디 지방 도시 껑의 외곽순환도로의 진입

로를 수십 대의 트랙터들이 막아섰다. 지난 18 일 일요일

부터, 축산업자들은 노르망디에서 모여 축산물 가격 폭

락을 규탄하고 나섰다. 몇 년 전부터, 축산업자들은 그들

의 수입의 감소에 대형유통업자들의 책임을 지적해 왔

다.

축산업자들의 분노에 직면하여 정부는 긴급 지원대책

을 내놓았다. 소고기 값 폭락에 대해 시위하고 지난 6 월

17 일의 협약을 지킬 것을 요구하는 프랑스 축산업자들

이 길을 가로 막은 지 3 일 만에,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

스 대통령이 약속했던 긴급 대책이 7 월 22 일 수요일에

발표되었다. 그는 “모든 축산업자들께서는 정부에서 충분

히 여러분의 어려움을 지각하고 있음을 알아주시길 바랍

니다.”라고 파리 연설 중 밝혔다.

축산업자들이 기다렸던 독립 행정 조정관의 발표는 7

월 21 일 화요일 저녁 스테판 르 폴, 프랑스 농업부 장관

에게도 전달되었고 수요일에는 대중에게 공개될 예정이

다. 장관은 현재 축산물 가격이 폭락하는 가운데 도축업

체, 가공업체 그리고 유통업체 사이에서 가격과 책임감

은 떼 놓고 생각할 수 없다고 했다.

한편 6 월 17 일, 우육업계와의 회의 후 농업부 장관은

생산업과 유통업의 역할 차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축산

물 가격 조정 대책을 마련했다.

14 학번 박소희 <[email protected]>

참고 : Le Monde "Les éleveurs maintiennent leurs blocages

avant les annonces du gouvernement"

Page 2: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2015년 7월 30일 -제 17호-

En hausse constante ces dernières années, le

marché de la consommation responsable séduit de

plus en plus de Français. Une étude menée par

l'Observatoire de la consommation responsable dévoile

leur l'appétence pour les oeufs bio, le covoiturage ou

les énergies renouvelables.

Le commerce équitable poursuit sa croissance avec

16% de progression en 2014. Café, sucre, riz... les

aliments soutiennent largement ce secteur évalué à

499 millions d'euros tout confondu l'année dernière.

Les produits équitables sont principalement présents

dans les grandes surfaces.

Les produits alimentaires bio sont de plus en plus

prisés. Avec une croissance de 10% entre 2013 et

2014, le marché du bio est en très bonne santé. Près

de 9 Français sur 10 ont consommé au moins une

fois des produits issus de l'agriculture biologique,

selon un sondage cité dans le rapport. Seuls 12% des

personnes sondées déclarent ne jamais y avoir touché,

contre 46% en 2003.

Champions d'Europe de consommation de biodiesel,

les Français. D'ailleurs avec sa loi de finances, la

France affiche l'objectif le plus ambitieux

d'incorporation d'agrocarburants dans les carburants

traditionnels, soit 7,7%.

L'autopartage comme l'Autolib' s'ajoute aux

solutions de mobilité partagée à succès puisque son

marché est évalué à 937 millions de dollars dans le

monde entier. Même chose pour le vélopartage.

L'année 2014 a vu le réseau Vélib' consolider son

succès.

윤리적 소비 시장이 최근 몇 년 간 지속적으로 상승함

에 따라 점점 더 많은 프랑스인들이 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프랑스 윤리적 소비 연구소가 실시한 연구에 따르

면, 프랑스인들은 유기농 달걀, 카풀(자가용 합승)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강한 욕구를 보인다고 한다.

공정무역은 2014년에 16% 증가한 이후 계속해서 성

장하고 있다. 이 중, 커피, 설탕, 쌀 등과 같은 식료품들

은 작년 총 4억 9천 9백만 유로로 공정무역에서 큰 비

중을 차지했다. 공정무역 상품은 주로 대형 마트에서 판

매되고 있다.

유기농 식품의 가치가 점점 높게 평가되고 있다. 유기

농 시장은 2013년부터 2014년 사이에 10%의 성장을 보

이며 활기를 띄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10명 중 9명

에 가까운 프랑스인이 유기농 식품을 적어도 한 번은 이

용했다고 한다. 유기농 식품을 단 한 번도 이용해보지

않은 프랑스인이 2003년에는 46%였던 반면, 작년에는

12%로 크게 감소했다.

또 프랑스는 유럽에서 바이오디젤(친환경 연료의 한

종류)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이기도 하다. 그런데다

가 프랑스는 재정법을 통해 기존의 연료에 바이오연료를

7.7% 혼합 사용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밝혔다.

Autolib 과 같은 자동자 공유 시스템 또한 그 시장 규

모가 전 세계에서 9 억 3 천 7 백만 달러로 평가되는 만

큼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자전거 공유 시스템도 마찬

가지인데 파리의 Velib 서비스가 2014 년에 크게 성공했

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 Figaro “Les Français sont de plus en plus engagés

dans la consommation responsible”

Toujours plus de faux billets en euros saisis점점 더 많이 압수되는 유로화 위조지폐

Le nombre de faux billets en euros saisis entre

janvier et juin a augmenté de 37% sur un an, a

annoncé vendredi la Banque centrale européenne

(BCE). Au cours du premier semestre 2015, quelque

454.000 faux billets ont été saisis et retirés de la

circulation, contre 507.000 au second semestre 2014

et 331.000 au premier, selon l'étude bi-annuelle

publiée par l'institution monétaire.

Depuis 2012, le nombre de faux billets saisis chaque

année a progressé de manière continue, passant de

531.000 fin 2012 à 670.000 en 2013 et 838.000 l'an

passé. Pour autant, «le nombre de billets contrefaits

continue d'être très faible en comparaison de

l'augmentation du nombre de vrais billets en

circulation», qui se montait à plus de 17 milliards au

premier semestre 2015, explique la BCE dans un

communiqué.

Les billets de 20 et de 50 euros sont toujours les

plus contrefaits. Ils représentent respectivement 55%

et 31% des billets retirés de la circulation pour ce

motif. Viennent ensuite les billets de 100 euros

(8,5%). La quasi-totalité (98%) des faux billets ont été

découverts dans des pays de la zone euro, 1,6%

dans des pays de l'Union européenne non membres

de la zone euro et 0,5% hors de l'Union.

Pour compliquer la tâche des faussaires, l'institution

monétaire a doté les billets en euros de dispositifs

de sécurité renforcés avec l'émission de la nouvelle

série Europe, dont la coupure de 20 euros doit être

mise en circulation le 25 novembre. Les coupures de

5 et de 10 euros ont elles déjà été introduites dans

l'économie de la zone euro.

지난 금요일, 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압수된 유로화 위조지폐의 액수가 1년 새 37%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유럽중앙은행이 시행한 이중 연간 연구(연 2

회)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와 하반기에는 각각 33만

1,000유로(한화 약 4억 2,370만원)와 50만 7,000유로(한화

약 6억 4,900만)였던 것에 비해 2015년 상반기 동안에는

약 45만 4,000 유로(한화 약 5억 3,130만)의 위조지폐가 유

통과정에서 압수되었음을 밝혔다.

2012년부터 압수되고 있는 위조지폐의 액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2012년 말에는 53만 1,000유로(한화 약

6억2,150만), 2013년에는 67만 유로(한화 약 7억 8,410만),

그리고 작년에는 83만 8,000유로(한화 약 9억 8,080만)로

나타났다. 위조화폐의 액수가 2015년 상반기에 170억 유

로 이상이었다고는 하지만 유럽중앙은행(ECB)은 “위폐의

액수는 화폐의 유통과정에서 진폐의 액수 증가와 비교

했을 때 계속 약세에 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보통 20유로와 50유로짜리 지폐가 가장 많이 위조된다.

이 두 지폐는 지폐 유통 과정 내에서 압수된 위폐의 55%

와 31%를 각각 차지한다. 그리고 100유로 지폐가 8.5%의

압수율로 그 뒤를 잇는다. 위조지폐의 98%는 유로존 국가

내에서, 1.6%는 유럽연합 내 비(非)유로존 국가들 그리고

0.5%는 유럽연합 외의 국가들에서 압수되었다.

유로화를 쉽게 위조할 수 없게 하기 위해, 유럽중앙은행

은 새로운 유럽 시리즈 발행과 같은 더욱 강화된 지폐

보안 방식으로 유로화를 발행하기로 하였다. 그 중 20유로

지폐는 11월 25일부터 유통될 것이며 5유로와 10유로

지폐들은 이미 유로존 경제구역 내에 도입되었다고 한다.

14 최은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 Figaro “Toujours plus de faux billets en euros

saisis”

Les Français sont de plus en plus engagésdans la consommation responsable

프랑스, 윤리적 소비 증가

Page 3: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2015년 7월 30일 -제 17호-

Canicule : coup de chaud sur la France !프랑스, 계속되는 폭염

Comment réagir face à la chaleur? S'hydrater et

s'hydrater encore, et chercher de l'ombre à tout prix !

À Lyon, le jeudi 18 juin, il mesurait 38 degrés

l'après-midi, alors que les Parisiens ont affronté des

températures frôlant les 37 degrés. En Bourgogne

également, les températures ont avoisiné les 38

degrés alors que le Rhône et la Drôme ont quant à

eux été placés en vigilance orange.

La vague de chaleur s'est durablement installe sur

la France, puisque le pic de température était attendu

dimanche, et que Météo-France a prévu du soleil sur

l'Hexagone pour les dix jours suivants. Météo-France

conseille de s'arroser autant que possible le corps

plusieurs fois par jour. Il est évidemment déconseillé

de sortir aux heures les plus chaudes.

Si les vacanciers sont ravis - quoique les départs en

vacances vendredi s'annoncent difficiles -, les

travailleurs souffrent de la canicule. Mercredi, le

ministre du Travail François Rebsamen a appelé les

chefs d'entreprise à aménager les horaires des salariés

les plus exposés à la chaleur pendant la canicule

annoncée ces prochains jours. Dans un communiqué,

François Rebsamen « demande aux chefs d'entreprise

de prendre les mesures qui s'imposent, en lien avec

leurs représentants du personnel », en vue du «

nouvel épisode caniculaire » prévu « dans les

prochains jours ».

Au-delà des travailleurs, les coureurs du Tour de

France s’apprêtent eux aussi à souffir. « Je suis rouge

comme une tomate. On a beau s'arroser. Quand il fait

35 degrés à l'ombre et qu'on est dans les cols, c'est

super dur.» dit Le Français Thomas Voeckler.

폭염에는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 계속해서 물

을 마셔 수분을 보충하고 반드시 그늘진 곳을 찾아 쉬어

야 한다.

리옹의 7 월 16 일 목요일 오후 기온이 38 도였던 가운

데 파리에는 37 도에 육박하는 폭염이 들이닥쳤다. 부르

고뉴 지방도 마찬가지로 기온이 약 38 도였으며 론과 드

롬 지방에서는 최고 단계인 적색 기상 경보보다 한 단계

낮은 오렌지 기상 경보를 발령했다.

이러한 고온 현상은 프랑스 전역에서 계속해서 일어났

다. 지난 7 월 19 일 일요일이 폭염의 고비였으며 프랑스

기상청은 7 월 19 일 이후 10 일 간 프랑스 전역의 날씨

가 매우 맑을 것으로 예상했다. 프랑스 기상청은 가능한

한 하루에 여러 번 시원한 물로 샤워를 하고 가장 더운

시간대의 외출을 삼갈 것을 권고한다.

고온 현상으로 금요일에 휴가를 떠나는 것이 어렵겠다

고는 하지만 피서객들은 개의치 않는다. 그에 반해, 근로

자들은 일터에서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 7 월 15 일 수요일, 프랑스 노동청장 프랑수아 렙사

멘은 회사 경영자들에게 폭염이 예고된 향후 몇 일간 더

위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근로자들의 근무 시간표를 변

경할 것을 요구했다. 공식 성명에서 그는 경영자들에게

인사 대표들과 며칠 뒤 예고된 폭염에 맞서기 위한 대책

을 세울 것을 촉구했다.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뚜르 드 프랑스 (매년 프랑스에

서 개최되는 자전거 경주)참가자들도 폭염에 시달릴 것

으로 보인다. ”제 얼굴이 너무 빨간 것 같네요. 아무리

목을 축여도 소용이 없습니다. 그늘에서도 35 도가 넘는

날씨에 이런 몸에 달라붙는 타이즈를 입는 건 정말 힘듭

니다.”라고 출전 선수인 프랑스인 토마스 벡클러씨가 밝

혔다.

13 배준영 <[email protected]>

참고 : Le Point “Canicule: coup de chaud sur la France!”

France : une plage privatisée pour les vacances du roi saoudien프랑스에 사우디 왕실 사유 해변이?

Les habitants de Vallauris, dans les Alpes-Maritimes

françaises, ont eu la surprise mercredi 15 juillet de voir

une dalle de béton coulée sur leur plage publique.

L’accès aux baigneurs allait aussi être fermé. La cause :

la famille royale saoudienne est en vacances dans la

ville autour du souverain Salman.

Pour accéder à la plage de la Mirandole, il faut

emprunter un sous-terrain. C’est un petit coin à l'abri

des regards indiscrets. C'est peut-être pour cela que le

roi d'Arabie saoudite a décidé de passer ses vacances

dans une luxueuse villa au-dessus de la plage. Des

travaux d'aménagement de cette plage publique ont

été lancés sans autorisation. Une dalle de béton a été

coulée afin de faciliter l'accès à la plage.

«La France doit la sécurité aux chefs d’Etat étrangers.

Il n’est même pas imaginable qu’il y ait une

fréquentation de la plage si le roi est personnellement

présent. En France, vous avez des lieux interdits pour

des raisons de présence d’un chef d’Etat étranger. Il

n’y a rien de plus classique. On ne va pas risquer un

incident diplomatique pour un problème de 12 mètres

carrés de béton», argumente Philippe Castanet, le

sous-préfet de Grasse.

Mais Michelle Salucki, la maire de Vallauris, entend

défendre le droit de ses administrés : «Je comprends

tout à fait le souci de l’Etat. Pour autant, condamner la

plage publique, ce n’est pas acceptable pour des

raisons républicaines.»

Pour l'instant, les travaux ont été mis en suspens. Si

l'accès est demandé par voie diplomatique, le roi

pourra obtenir l'accès à la plage via un escalier qui

pourra ensuite disparaître.

7월 15일 수요일, 프랑스 동남부 알프마리팀주 발로리

스의 해수욕장에 콘크리트가 깔렸다. 이로 인해 일반인

의 해변 출입이 금지되었다. 사우디의 살만 왕가가 주변

도시에서 휴가를 보내기 때문이었다.

미랑돌 해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지하통로를 이용해

야한다. 이 해변은 잘 가려져 있어 밖에서는 보이지 않

는다. 이것이 바로 사우디 왕실이 이 해변에서 바캉스를

보내기로 결정한 이유일 것이다. 해변으로 가는 길을 만

들기 위한 해변 보수 공사는 프랑스 당국의 어떠한 허가

도 없이 개시되었다.

필립 카스타네 그라스 지방 군수는 “프랑스는 의무적

으로 외국 국가 원수의 안전을 지켜야 합니다. 가령 왕

이 개인적인 용무로 해변에 갔을 때 민간인이 그곳에 출

입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프랑스

에서는 해외 원수가 방문하는 곳에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는 한 나라의 원수에 대한 예의입니다. 콘크

리트를 설치함으로서 외교적 문제 발생 위험을 차단할

것 입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셸 살루키 발로리스 시장은 시민의 권리를

중요시했다. 그는 “당국이 염려하는 점은 이해하지만, 그

렇다고 해서 대중의 해수욕장 출입이 금지되는 것은 받

아들일 수 없습니다.”라며 해수욕장 출입 금지를 비판했

다.

현재, 공사는 잠시 중단되었다. 만일 사우디 왕실이 해

수욕장 출입을 외교적으로 요구한다면, 사우디 왕실은

임시 계단을 통해 해변에 출입하게 될 것이다.

10 류정현 <[email protected]>

참고 : RFI “France : une plage privatisée pour les vacances

du roi saoudien”

Page 4: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2015년 7월 30일 -제 17호-

C’est nouveau. Une application gratuite destinée à

repérer, enregistrer puis transmettre via Internet, tous

les bruits qui vous agressent. La Ville de Paris s’est

associée à SoundCity, le nom de l’appli mise au point

par des chercheurs français, pour mieux lutter contre

la pollution sonore.

Si comme beaucoup de citadins, vous n’en pouvez

plus du bruit des klaxons, des sirènes, des

échappements pétaradants, la nouvelle application

SoundCity (est pour vous. Cette application gratuite et

téléchargeable sur Androïd (version 4.0 minimum) est

l’œuvre de chercheurs français de l’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Inria).

SoundCity fonctionne comme un sonomètre capable

de mesurer le niveau du bruit ambiant. Les clients

bruyants du bar d’en face vous empêchent de dormir

? Vous pouvez les enregistrer avec votre téléphone

mobile grâce à l’appli qui va mesurer l’intensité des

décibels entendus pendant 5 minutes, avec des cycles

de 5 secondes. Les enregistrements conservés

permettent aussi de mesurer le niveau d’exposition au

bruit de l’utilisateur sur la durée : un jour, une

semaine ou sur des mois.

Mieux, cette mesure géolocalisée grâce à un GPS,

permet de partager les données enregistrées sur

Internet et ainsi participer à l’élaboration d’une « carte

des nuisances sonores ».

De plus, l’utilisateur doit donner son feu vert pour

tout partage des mesures enregistrées. SoundCity a

reçu l’approbation de la Commission nationale de

l’informatique et des libertés (Cnil) ce qui sous-entend

la protection des données personnelles des utilisateurs

et la garantie de l’anonymat.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모든 소음의 위치를 탐지하

고, 녹음하고 심지어 인터넷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

료 앱이 새로 개발되었다. 파리 시는 소음 공해 퇴

치를 더 수월하게 하기 위해 프랑스 연구진들이 새

로 개발한 앱인 SoundCity와 연합했다.

도시의 수많은 거주민들처럼 당신도 더 이상 자

동차의 경적, 사이렌 그리고 굉음을 견딜 수 없다

면, 새로운 앱 SoundCity가 당신을 지켜줄 것이다.

프랑스 국립 정보학 연구소(Inria)가 제작한 이 어플

리케이션은 무료이며 안드로이드(최소 4.0버전 이

상)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SoundCity는 주위 환경의 소음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측음기로서 작동한다. 집 앞 술집의 시끄러

운 취객들 때문에 잠을 이룰 수 없다면, 총 5분 동

안 5초마다 입력되는 데시벨의 강도를 측정해주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휴대폰에 다운로드 받은 뒤 소

음을 녹음할 수 있다. 녹음된 소음들을 통해서 사용

자들이 일정한 지속기간(하루, 한 주, 또는 한 달)동

안 얼마나 소음에 노출되어 있는지 그 정도를 알

수 있다.

GPS 위치 추적 기능이 탑재된 이 소음 측정기는

인터넷에 등록된 데이터들을 공유하고, 소음공해지

도를 사람들이 함께 참여해서 만들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녹음한 자료들을 모두

공유해야 한다는 조항에 동의해야만 한다.

SoundCity는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와 그들의 익명성

을 보장해줄 수 있는 전국 정보처리 및 자유 위원

회(Cnil)의 승인을 받았다.

14학번 정미선 <[email protected]>

참고 : rfi “Une appli pour traquer et cartographier les

nuisances sonores"

Ils sont plus de 684 000, âgés de 13 à 93 ans, cette

année. Les candidats au baccalauréat ont passé les

épreuves finales de cet examen vieux de 200 ans. Le

« bac », institution française qui sanctionne la fin des

études générales en France, mais aussi à l'étranger.

Près de 16 500 candidats au baccalauréat 2015 ne

vivent pas et n'étudient pas en France.

L'épreuve est organisée cette année dans 85 pays à

travers le monde. Les établissements de l'Agence pour

l'enseignement du français à l'étranger et de la

Mission laïque française ont mis en place 141 centres

d'examen où les épreuves se déroulent comme en

France, à quelques exceptions près, notamment le

calendrier des sessions. Le calendrier diffère selon les

zones géographiques. En Amérique du Nord, par

exemple, les épreuves sont déjà terminées. C'est le

cas aussi dans les pays européens d'Afrique et du

Proche-Orient ainsi qu'à Madagascar et à l'île Maurice.

Reste l'Asie où le bac a commencé ce lundi et se

terminera vendredi. Quant à l'Amérique du Sud, ce

sera pour la fin de l'année. Les épreuves seront

organisées entre le 16 et le 25 nov prochain. Sur les

16 500 personnes qui passent le bac hors de France,

la moitié sont de la nationalité du pays d'accueil : 40

% sont Français et 10 % d'une autre nationalité.

Les candidats reçus seront détenteurs d'un

baccalauréat français général, technologique ou

professionnel identique en tous points à celui obtenu

sur en France.

올해, 프랑스 고등학교 졸업시험인 바깔로레아에 13세

부터 93세까지 다양한 나이대로 총 68만 4000명 이상의

수험생이 응시했다. 응시생들은 200년 전통을 가지고 있

는 바깔로레아의 시험 중 마지막 시험을 치렀다. 바깔로

레아는 보통 프랑스에서 중등교육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

관례적인 시험이지만 외국에서도 이 시험을 치를 수 있

다. 올해 외국에서 바깔로레아를 치르는 1만 6500명의

응시생들은 프랑스에서 거주한 적도 공부한 적도 없다.

올해는 전세계 총 85개국에서 시험이 실시된다. 비(非)

프랑스어권 국가의 프랑스어 교육기관들과 프랑스 정교

분리 포교단은 프랑스와 같은 환경에서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141개의 시험장을 설치했다. 그러나 시험 일정

은 프랑스와 다르게 진행된다. 이 시험 일정은 지역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가령 북미에서의 바깔로레아는

이미 끝이 났다. 아프리카 국가들이나 중동지방, 마다가

스카르 그리고 모리셔스 섬에서도 시험이 종료되었다.

아시아권 국가에서는 지난 월요일 시험이 시작되었고 이

번 주 금요일 시험이 모두 끝날 예정이다. 남미에서는

이번 연말 11월 16일에서 25일 사이에 시험이 진행될

것이다. 1만 6,500명의 해외 응시자들 중에서 거의 절반

은 프랑스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다. 응시자 중 40%가

프랑스인이고 10%가 다른 국적의 사람들이다.

응시자들은 프랑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일반 프랑스어

학위, 기술 학위 혹은 전문 학위를 수여 받을 것이다.

14학번 이미지<[email protected]>

참고 : rfi “Baccalauréat: 16 500 candidats passent

l’examen hors de France"

Baccalauréat: 16 500 candidats passent l’examen hors de France프랑스 이외 국가에서의 바깔로레아 응시

Une appli pour traquer et cartographier les nuisances sonoresINRIA, 소음 공해 위치 추적 어플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