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43
2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대표의원 연구책임의원 구성의원(가나다 순) 노웅래 홍문표 윤후덕 고용진 금태섭 김경협 김영호 김정호 김정훈 민경욱 박 정 원유철 이동섭 이수혁 정동영 주승용

Upload: others

Post on 31-Dec-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대표의원 연구책임의원 구성의원(가나다 순)

노 웅 래

홍 문 표윤 후 덕

고 용 진 금 태 섭 김 경 협 김 영 호

김 정 호 김 정 훈 민 경 욱 박 정

원 유 철 이 동 섭 이 수 혁 정 동 영

주 승 용

Page 2: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2018. 12.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국회 철도ㆍ통일ㆍ경제 포럼)

대표의원 노 웅 래

Page 3: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기대효과 ································································································································2

II. 물류산업 분야 ··············································································································3

1. 북한 교통물류체계 현황 ··················································································································3

2. 주요 국가별 교통물류 개발전략 ··································································································6

3. 유라시아 복합교통물류네트워크 구축 방향 ··············································································11

III. 에너지산업 분야 ·······································································································14

1. 북한 에너지 현황 ····························································································································14

2. 북한 신재생에너지 현황 ················································································································17

3. 남북 에너지 협력 사업 구축 방향 ······························································································21

IV. 정보통신산업 분야 ··································································································24

1. 북한 ICT 현황 ··································································································································24

2. 남북 ICT 표준화 과제 ····················································································································27

3. 남북 ICT 교류협력 중장기 전략 ··································································································29

V. 법제도 개선방안 ·······································································································31

1. 물류정책기본법 개정안 ··················································································································31

2. 에너지법·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개정 ····················································································33

3. 정보통신산업 진흥법 개정안 ········································································································35

VI. 결론 ····························································································································37

Page 4: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1 -

I. 서론

1. 연구의 배경

□ 북한의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를 완성하기 위한 최종 수단은 결국 경제

ㅇ 통일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북한 내 장마당은 전국 404개, 시장 전체

면적은 55만6474평, 전체 매대 수는 109만2992개

ㅇ 2017년 북한의 이동전화 가입대수는 400만대내외로 추정되며 전체 인구대

비 약 16%를 차지하는 수준

ㅇ 최근 북한 노동당내 개혁개방 전담 조직 설치

- 장마당과 기업책임관리제 등 북한 당국이 시작한 시장경제적 요소들을 어

떻게 “사회주의식”으로 관리할 것인가를 두고 중국을 모델로 삼으려는

의도로 풀이

□ 4.27 판문점 선언 이후, 각 분야별 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 고조

ㅇ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및 추진에 강한 의지 표명

-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를 위한 공동조사 진행 및 연내 착공식 추진

- 한강·임진강 하구 280㎢ 공동이용을 위한 수로 조사 진행

- DMZ생태평화공원 조성 추진 등

ㅇ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북한 시장개방을 둘러싼 예측과 대응이 이뤄지

는 중

-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북한 금융시장 개방에 대비해 경제체제 전환 과정

에 따른 단계별 전략으로 보험시장 진출을 준비해야 한다는 보고서 작성

- 한국은행의 BOK경제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경제성장이 본격화될

경우 ‘21년~‘30년 사이 동안 연평균 주택수요가 최소 0.3%에서 최대

Page 5: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2 -

2.1% 증가할 것으로 추측

□ 향후 국제적 대북제재 완화 진행 상황에 따라 중국, 러시아 등 북한 개발을

둘러싼 각축전이 치열하게 벌어질 것으로 예상

ㅇ 우리의 경제역량만으로 북한을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미 북한자원개발 분야의 경우 중국의 영향력과 비중이 큰 상황

- 일례로 현재 중국기업은 북한 광물자원 개발의 약 88% 차지

□ 본격적인 남북경협 시대를 앞두고 북한 개발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에서 뒤

지지 않기 위해 우리나라의 경쟁력 제고가 필수적

ㅇ 특히 남북경협 첫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이뤄져야만 하는 철도·도로 등 물

류, 통신과 에너지 등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의 중요성이 높아

2. 연구의 목적

□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물류·에너지·정보통신) 현황 및 전략 분석

ㅇ 에너지의 경우, 신재생 에너지 분야를 포함

□ 해당 분야에 있어 우리 정부의 선제적 준비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모색

ㅇ 물류정책기본법, 에너지법과 저탄소 녹생성장 기본법, 정보통신산업 진흥법

개정 검토

3. 연구의 기대효과

□ 남북경협의 선결과제인 법제도 개선안을 마련하여 향후 남북경협의 원활한

추진 및 북한 개발을 둘러싼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경쟁력 강화

Page 6: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3 -

II. 물류산업 분야

1. 북한 교통물류체계 현황

□ 북한 교통인프라의 초기조건

ㅇ 근대까지 한반도는 서울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교통망’이 형성되었음

ㅇ 조선시대의 ‘10대로’는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도로망이었으며,

북한 지역에는 서해안을 따라가는 의주로와 동해안을 따라가는 경흥로가

있었음

ㅇ 구한말~일제강점기에는 서울을 기점으로 하여 경의선, 경원-함경선의 양대

간선과 평원선(평양-원산)을 기반으로 하는 철도망이 건설됨

ㅇ 일제강점기 시대의 교통인프라 건설은 대게 북한 및 만주지역의 지하자원

및 식량자원을 일본으로 보내는 데 집중되었기에 철도를 이용한 광산·평

야지역-항구간 연결이 활발하였음

ㅇ 특히 1930년대에 접어들어서 일본의 대륙침략이 본격화되며 자동차 유류

소비가 증가했고, 철도 중심의 교통정책 기조가 더욱 강화되었음

ㅇ 그러나 분단으로 남과 북이 단절되며 서울 중심의 교통망 역시 단절되었

ㅇ 그렇기에 평양을 중점적으로 활용하면서 강원도 방면으로 우회를 상당히

해야하는 비효율이 발생하였으나, 북한 중앙에 남북으로 뻗은 낭림산맥이

있어 동서 관통 교통인프라의 건설은 어려웠음

ㅇ 결국 북한의 교통인프라 체계는 전체적으로 동서가 분리되어진 상태며, 북

한 당국은 이 문제를 풀고자 청년이천선, 혜산만포청년선 등 동서 횡단철

도노선과 신의주-고무산 간 도로 등 ‘동서 횡단도로노선’을 신설하였음

Page 7: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4 -

□ 북한의 교통인프라 체계의 특징

ㅇ 북한은 SOC시설에 대한 투자 부족으로 교통인프라의 전반적 낙후에서 벗

어나지 못하고 있음

ㅇ 철도를 중심으로 하고, 도로 및 해운은 보조하는‘주철종도’의 체계를 갖

추고 있음

ㅇ 수송수단 분담률 역시 철도가 86%로 높고, 도로 12%, 해운 2%에 지나지

않아 철도의 절대적 비중이 높음. 도로는 단지 지역 내 단거리 수송을 맡

아 철도와 연계되는 교통수단으로서 역할에 지나지 않음.

ㅇ 북한 도로는 1~6등급도로와 고속도로로 구분되고 1988년 백과사전출판사

에서 발행한 ‘조선개관’에는 도로 총연장을 약 75,500km로 공표

ㅇ 우마차로 및 소로인 6급도로 이하 연장 약 43,000km를 고려하며 북한의

실질적인 도로연장은 약 26,000km에 불과할 것으로 판단됨

ㅇ ‘약 3,000㎞’에 달하는 동․서해안이 분리된 지리적 한계는 연안 해운 중

심의 발전을 가져왔고, 해운 항만시설의 노후와 이용률 저조로 해운의 수

송 분담률은 2~3%임.

ㅇ 북한 공항의 정확한 갯수는 파악되지 않으며 위성을 이용하여 관측한 결

과에 따르면 약 30개 정도로 추정됨

ㅇ 항공수송은 고려항공이 항공사로 유일하며 국제공항은 평양 순안공항 밖

에 없는 상황임, 국내 정기노선 역시 평양-삼지연뿐이며 나머지는 부정기

노선임

ㅇ 국제노선의 경우를 따지면 실제 운항은 3개 노선밖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 할 수 있음

ㅇ 해상운송은 ‘86년 서해갑문의 건설로 5만 톤급 선박의 운항이 가능하게

됐음

Page 8: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5 -

구분 단위 북한(A) 우리나라(B) A/B

자동차 보유량 천대 266.1 18,870 0 12

도로연장 천km 26 105 0.2

고속도로 천km 0.7 4.0 0.1

철도연장 천km 5.2 3.4 1.5

물류성과지수 - 3.7 -

<표 1> 남북한 주요 교통인프라 현황 비교(출처: World Bank, 국가통계포털)

Page 9: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6 -

2. 주요 국가별 교통물류 개발전략

□ 러시아 중장기 교통물류 개발전략 분석

ㅇ 러시아 정부는 2000년대 들어 교통인프라 발전을 위한 노력을 본격화했으

며, 2005년 이후 부터는 더욱 종합적이고 혁신적인 교통전략 발표에 힘써

왔음.

- 러시아의 교통전략은 2005에 채택된 ‘러시아연방 교통전략 2020’과

2008에 수정·채택된 ‘러시아연방 교통전략 2030’이 있음

- 이외에 ‘철도개발전략 2030’과 ‘교통시스템개발 국가프로그램

2010-2015’와 ‘교통시스템개발 국가프로그램 2010-2020’ 발효되어 시

행되고 있음

- 또한 지역적 단위의 ‘(2025년까지) 극동 및 바이칼 지역 사회경제발전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Far East and the Baikal region) 국

가 프로그램’ 등의 국가 개발 프로젝트 하에 교통 인프라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음

- 한편, 러시아 정부가 추진하는 교통 개발 사업의 상위 개념인 ‘교통전략

2030’은 ‘교통전략 2020’과 ‘철도개발전략 2030’을 포함하고 있으므

로 이 보고서에서는 ‘교통전략 2030’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함

ㅇ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2위로 긴 공용

철도를 자랑함

- 그러나 철도시설의 낙후로 현대화가 시급하며, 지역별로도 도로와 항공 등

교통에 대한 접근성에 격차가 크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교통 인프라가

미비하다고 할 수 있음

- 또한, 러시아는 ‘14년 세계은행 물류성과지수 2.69(160개국 중 90위)를 기

록했으나 이는 러시아가 가진 교통인프라 발전 잠재력에 비하여 실제 경

쟁력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의미함

- 철도는 국토가 넓고 겨울이 추운 기후조건을 가진 러시아에게 유용한 물

적·인적 수송수단으로 발달을 거듭하여 왔으나, 선진국들에 비교하자면

Page 10: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7 -

러시아의 철도 이용밀도는 매우 떨어지는 편임

- 또한, 극동 캄차카 반도와 일부 지역은 철도 노선이 아예 없는 상황으로

보급률 자체가 낮아

ㅇ 최근 러시아 정부는 도로건설에 힘쓰고 있는데 여전히 도로 보급률이 자

동차 보급률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프라의 노후화가 빨

라지면서 교통체증과 도로용량의 포화, 추가적인 비용 발생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음.

ㅇ 러시아 대외 교역 화물의 60% 이상이 해운을 이용하여 수송되는 만큼 항

만의 중요성은 러시아 대외교역에서 크다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항만 처리 물동량에 비교하

면 항만 배후단지와 복합물류단지가 턱없이 부족함

- 다른 한편, 내륙수로를 이용한 화물과 여객 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

- 2000년대 이후 러시아 경제가 급격히 발전하며 항공의 여객 처리량이 급

격히 늘어나고 있음.

- 그러나 현재 러시아의 국영공항 수는 약 230개. 구소련 시대의 1200여개에

비교하면 절대적으로 적으며, 많은 지방 공항들이 시설 노후화와 안전문

제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결국 러시아는 교통인프라 구축과 현대화로 자국 경제 활성화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를 서로 연결하는‘통로’로서 중요하고도 막대한 역할을

해내고자 함.

ㅇ 러시아의 교통전략은 2단계로 나뉘는데 2015년까지 1단계고, 이후 15년은

2단계임

- 1단계: 운송시스템의 주요 부분의 현대화, 2단계: 첨단기술 도입으로 운송

시스템의 발전

- 조금 더 구체적으로 2단계는 2016~2020년 동안 ‘통합운송통신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운송기술을 통합해 운송서비스 시장에서 경쟁이 이뤄질 수

Page 11: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8 -

있도록 하는 목표를 세움

- 이후 2021~2030년간 ‘통합운송망’을 완성하고, 국제적 수준의 서비스 제

공을 달성하는 구체적 목표도 두고 있음

- ‘교통전략 2030’은 이 같은 시행 시나리오를 혁신적 케이스와 보수적

케이스로 나눠 예산 규모를 제안하였음

- 즉, 혁신적 케이스는 러시아 교통의 현대화가 아주 대대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고 보수적 케이스는 러시아 교통시설의 일부만 보수하는 것임

- 러시아 교통부문이 혁신적으로 발달하게 되면 106조 루블 상당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보수적으로 보수만 할 경우에는 약 70조 루블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이 전략으로 러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2010년 기준) 화물운송량이 약

1.7~2배 가량 증가한다고 보았음

- 러시아 정부가 이처럼 ‘복합교통물류 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사업들을

구상하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와 기업이 러시아 사업에 대한 참여 가능성

을 따져보고 구체적 진출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있음

□ 중국 중장기 교통물류 개발전략 분석

ㅇ 중국 교통물류분야 12차 5개년계획

- ‘중국 12-5 계획’은 경제발전방식의 전환과 조화로운 발전, 지속가능한

발전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

- 교통 관련 계획 : 제3편 ‘산업전환 및 고도화를 통한 산업 핵심경쟁력 제

고(转型升级提高产业核心竞争力)’의 제12장 ‘종합교통운수체계 구축(构

建综合交通运输体系)’에 계획됨

- 물류 관련 계획 : 제4편 ‘발전환경 조성을 통한 서비스산업 대발전 추진

(营造环境推动服务业大发展)’중 제15장 제2절 ‘현대물류업의 대대적 발

전(大力发展现代物流业)’에 계획됨

ㅇ 교통인프라 계획

Page 12: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9 -

- 교통부문 12-5계획 1개장으로 확대 구성

- 교통운수부문은 11-5계획에서 1개의 절(제16장 제1절)로 언급되었던 ‘교

통운수’ 부문이 12-5계획에서는 제3편의 1개의 장(제12장)으로 확대되어

구성

- 제12장의 ‘종합교통운수체계 구축(构建综合交通运输体系)’은 “적절한

속도로 전단계를 발전시킨다(适度超前)”는 원칙하에 각종 운송방식 발전

을 조화롭게 추진하여, 국가 고속철도망 및 고속도로망을 기본적으로 건

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응용, 안전하고 효율

적인 교통운수체계 구축을 골자로 함.

- 교통운송부문은 총 4개의 절, ① 구역간 교통네트워크 완성(完善区际交通

网络), ② 도시간 고속교통망 건설(建设城际快速网络), ③ 대중교통 우선

발전(优先发展公共交通), ④ 운송서비스 수준 제고(提高运输服务水平)로

구성

ㅇ 물류산업 부문

- 12-5계획 중 물류산업에 관하여는 제4편 ‘발전환경 조성을 통한 서비스

산업 대발전 추진’ 중 제15장 제2절 ‘현대물류업의 대대적 발전’에서

다뤄짐

- 기존의 정책을 유지하면서, 효율과 통합, 그리고 선진화에 중점을 두고 있

- 물류 하드웨어 부분의 효율화 및 통합, 그리고 물류 소프트웨어 부분의

선진화를 달성하는 것이 주요 목표임

ㅇ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발전전략

- 신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은 ‘13년 9월 7일 카자흐스탄 ’나자르바예브

대학‘에서 시진핑이 제안한 중국만의 대중앙아시아 국가 전략임.

- 이는 고대 실크로드 개념의 기초 위에서 만들어진 신경제발전 구역을 가

르키는 말임

- 시진핑은 고대 실크로드 지역인 중국 서부지역와 중앙아시아지역, 또한

중국 동부지역을 비롯한 한반도와 일본, 미국 등 아시아태평양경제권, 그

Page 13: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10 -

리고 유럽경제권의 사이에 놓인‘세계에서 가장 길고, 발전 잠재력이 높

은 경제대통로’를 자처

- 해당 지역의 경제발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하여 국가와 민중의 요구로

중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정책, 교통, 무역, 금융, 사회문화 분야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져야한다 강조

- 이에 중국은 전통적 우호관계와 협력관계를 지키며 각국의 주체적인 발전

과 대내외정책을 존중하고, 상호간의 불간섭과 지역패권을 추구하지 않는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유라시아 각국과 밀접히 연계되고 상호협력 관계가

깊어지는 ‘실크로드경제권’을 새로운 모델로 제안하였음

Page 14: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11 -

3. 유라시아 복합교통물류네트워크 구축 방향

□ 개요

ㅇ 유라시아 전체의 발전을 목표로 함

- 복합교통물류체계 구축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유라시아 전체의

공동발전을 목표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중국의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연합’ 등 자

국 중심적인 국가들의 자국이익 극대화 계획과 유라시아 운송로 개발계획

과 다르다는 점, 즉 차별성이 있다는 것을 부각해야

- ASEM회의 등을 이용한 유라시아 국가들 간의 공감대 형성과 자발적 참여

와 소통 전략이 필요

ㅇ 한반도부터 유라시아 전체로 단계적 추진

- 대상이 되는 지역을 초기 첫 단계부터 동시 다발적으로 정하는 것은 현실

성도 떨어지고 물리적으로 어려움

- 한반도, 특히 북한 교통인프라 현대화와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접경 지역

인 동북아를 중점적으로 더욱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야

- 중국, 몽골, 러시아, 또한 중앙아시아와 중동, 유럽까지 범위를 확대해나가

면서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 모색

ㅇ 철도를 중심으로 하는 복합물류체계 추진

- 철도를 중심에 두고 도로와 해운, 항공, 그리고 내륙항만 등이 결합되는

국제복합수송로를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

- 유라시아 복합교통물류체계 구상의 출발은 그간 해상수송로만 연결되어

비효율적으로 운영된 기존 유라시아 국제운송로의 다각적 변화를 목적으

로 추진되는 사업

- 유라시아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동유럽, 러시아, 중국, 중앙아시아, 몽

골은 철도를 중심으로하는 운송체계를 전통적으로 구축

- 자동차 운송 활성화에 따른 중단거리 철도+도로, 항만+도로 운송회랑 구

Page 15: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12 -

- 노선의 경직성이라는 철도의 단점과 유라시아 대륙의 내륙철도노선이 없

다는 문제를 풀어내고자 도로와 내륙수운과 같은 다른 운송수단과 복합적

인 연계방안 모색할 필요있음

ㅇ 실현가능성 있는 사업부터 추진

- 해당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참여하는 국가들에게 신뢰를

주어야 하며, 이는 ‘복합교통물류네트워크’에 관한 아무리 작소 사소한

프로젝트라고 적극적으로 이뤄내고 그 결과와 효과를 체감하도록 할 필요

가 있음

-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위한 남북러, 남북중 간의 북방3각 협력사업과

같은 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해당 사업에 대한 실천의 의지가 확

고하다는 것을 홍보할 필요가 있음

ㅇ 한반도 통일을 전제로 추진

- ‘유라시아 복합교통물류네트워크 구축’은 기본적으로 북한을 지날 수

있고, 북한의 교통인프라가 선진화되고 현대화되는 것을 조건으로 두고

있음.

- 즉, 향후 ‘통일된 한반도의 교통인프라 마스터플랜’이라는 큰 그림을

그리고 추진될 필요 있어

- 90% 가 넘는 북한 교통인프라가 일본제국의 자원 찬탈과 대륙침략을 위

하여 구축된 것으로 일제강점기 교통망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 한반도 차원에서 국토의 고른 균형발전을 위한 교통 네트워크 구축이 필

□ 지역별 구축전략

ㅇ (북한) 북한 교통인프라 현대화 또는 신설

- 현재 남북관계 및 5.24조치애 따른 남한 만의 독자적이고 자주적인 사업

추진은 어려운 상태

- 남북중, 남북러의 북방3각협력을 이용한 북한의 ‘교통SOC 현대화 사

업’ 추진이 필요

Page 16: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13 -

ㅇ (중국): 지금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유라시아

국제연결’과 연계 필요

- 특히, 북한에게 갖고 있는 영향력을 활용하여 한반도 통일과 북한 교통인

프라 현대화에 주도적 역할을 해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중국과의 소

통과 협력이 필수적

- 라선경제무역지대, 황금평경제지대 등과 같이 북한과 중국 간의 경제지

구 개발사업이 현재 진행 중이며, 신압록강 대교 공사가 완료되는 등 두

국가간 협력이 진전을 이뤄내고 있음

- 그렇기에 이 같은 북중 협력사업에 우리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남북중 3

각 협력사업으로 나아가 남북 간의 소통과 협력 시 발생 할 지도 모르는

위험 가능성을 없애야 함

ㅇ (러시아) 북한 교통인프라 현대화를 향한 남북러 교통협력과 한국 정부의

TSR 활용과 산업진출 위한 협력을 검토해야

- 지금 북한과 러시아가 함께 추진하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에 있어 우리나

라에서는 코레일 등 여러 기업들의 참여가 이뤄지는 중

- 최근 이뤄지고 있는 러시아의 북한 철도망 현대화와 전력망 연계사업 역

시 우리나라의 적극적 개입이 이뤄져야 할 것임

- 특히, TSR 이용과 관련하여서는 러시아 극동지역 항만 개발에 우리가 참

여하고 항만과 산업단지 배후지로 교통인프라를 건설하는 프로젝트에 참

여 할 필요가 있음

ㅇ (중앙아시아) 세관을 통과하고 자국 내 운송에 있어 우리나라 화물이 효과

적이고 효율적으로 통과하기 위한 한·중앙아 협력 필요

- 지금 중국,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접경 지역에서 세관을 통과하는데 오

랜 시간이 걸리고, 중앙아시아 국가 내에서 이용하는 육상교통에 여러 문

제가 있음이 드러나고 있어

- 예로 우즈베키스탄 나보이 공항 위탁운영과 같이 우리나라가 우위를 점하

는 공항운영 또는 내륙물류기지(물류단지) 부분의 양자 협력 추진 필요

Page 17: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14 -

III. 에너지산업 분야

1. 북한 에너지 현황

□ 북한의 긴 경제난과 산업 전반의 생산력 저하의 배후에는 에너지 부족이라

는 주요한 원인이 있음

ㅇ 북한 에너지 공급은 ‘90년을 정점으로 악화되기 시작하여‘09년 15.9백만

TOE를 공급하여‘90년의 23.9백만 TOE의 약 70% 수준에 지나지 않음

- ‘90년 이후 연평균 3.3% 감소

- ‘16년 소비규모는 우리나라‘60년대 초 수준

- 북한 공업구조는 에너지 다소비형인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너지 부족은 산업의 회생 걸림돌로 자리잡고 있음

- 에너지 공급이 줄어듬에 따라 북한의 1인당 에너지 소비규모는 ‘91년

1.07 TOE에서‘09년 0.66 TOE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 남한과 북한 간의 에너지 공급 규모 격차는 ‘90년 3.9배 정도였지만, 남

한의 에너지 공급의 급격한 증가와 역으로 북한의 에너지 생산의 급격한

감소로‘09년 기준 약 14.2배로 커짐

- ‘90년 1.8배에서 최근 약 7배로 남한과 북한의 1인당 에너지 소비량 차

이 역시 커짐

ㅇ 북한의 1차 에너지 공급은 석탄 위주임

- 북한 에너지원별 공급에 있어 석탄과 수력의 비중이 큼. ‘09년 기준으로

석탄 67.9%, 수력 19.6%, 석유 4.6%, 기타 7.9%임.

- 이 점에서 북한 에너지 부족현상은 의존도가 제일 높은 석탄의 생산량 감

소가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음

- 과거 북한은 자립경제 노선을 추구하며 석탄 중심으로 에너지 공급체계를

만들었음. 매장량이 풍부했기 때문임.

- 그러나‘80년대 중반부터 석탄생산량 감소가 시작되었고,‘90년 중반부터

Page 18: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15 -

는 원부자재 공급 부족과 북한의 최대 무연탄 산지 평남 북부탄전의 침수

로 급격히 줄어들었음

- ‘91년 3,110만 톤의 석탄을 생산했던 북한은‘98년 1,830만 톤을 생산

- 2000년대 접어들어 석탄 생산량이 다소 증가했으나 ‘09년 2,550만 톤을

생산하여 여전히‘90년 초반의 수준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음

ㅇ 북한 1차 에너지 공급구조에서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5% 미만

- 다른 국가에 비교하면 자립도가 높지만, 원조의 형태로 가져오던 원유 공

급량의 감소는 북한 에너지 부족을 심화시킴

- 과거 구소련에게 받던 원유는 ‘우호가격의 폐지’로 거의 중단됨, 즉 유

입이 끊어짐

- 북한 원유 도입량은 ‘91년 1,385만 배럴에서‘99년 232만 배럴로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음

- 2000년대 초반 미국이 준 중유 일부(매달 2,000-5,000톤)가 평양화력발전

소에서 사용되었으나, ‘02년 12월 KEDO 중유공급 중단으로 지금은 중국

으로부터 석유를 대부분 도입하고 있음

- 북한의 대중국 원유 도입량은 ‘09년 519,814톤,‘10년 528,315톤 수준으

로 추정됨

- ‘10년 도입량(중량)은‘09년에 비해 1.6% 늘었으나, 국제 유가가 상승함

으로서 수입가격은 36.6% 늘었음

□ 북한 당국은 전력공급의 확대를 국가경제의 정상화 중점 과제로 보고 중소

형 발전소 건설공사 추진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심각해진 전력난을 해

결하기에 절대적 발전량이 부족

ㅇ ‘09년 북한의 발전 설비용량은 693만kW 정도로 추정되고, 이는 우리의

7,347만kW의 1/10수준

ㅇ 북한의 발전량은 2000년대 들어 증가 추이를 보였음

- 북한은 중소형발전소 건설, 노후 발전설비의 개보수, 석탄 증산 등을 전력

난 해소 방안으로 추진함

Page 19: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16 -

- 북한은 2000년대 전반기 전력난을 해소하고자 중소형 발전소 건설에 주된

노력을 하였으며, ‘08년까지 7,000여개의 중소형 발전소 건설로 총 48만

㎾ 이상의 발전용량을 조성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져있음

- 2000년대 후반기에는 1만㎾ 이상의 대규모 수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였

으며, 황해북도 예성강청년발전소, 평안남도 영원발전소(9만㎾), 강원도 원

산청년발전소를 2008년과 2010년 사이에 준공하여 조업하고 있음

- 화력 부문에서는 석탄 공급량 증가와 북창화력발전소, 동평양화력발전소

등의 개보수가 발전량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보임

□ 그러나 북한은 ‘수력과 석탄을 위주로 하는 자력갱생의 에너지 정책 고

수’, ‘발전 설비와 송변전 시스템의 노후화’, ‘전력 관리기술의 낙후’,

‘핵무기 개발시도에 따른 KEDO 경수로 원전사업 지원 중단’ 등으로 전

력난 개선 실패 중

ㅇ 수력발전이 전력생산의 60%로 수력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하여 전력

공급 불안정이 심각해지고 있음

- 북한은 지리적으로 수력자원이 풍부함

- 그러나 수력발전소는 갈수기에 용수 부족으로 가동률이 낮아지는 등의 한

계가 있음

- 에너지의 순환구조를 개선하고자 ‘신규 발전소 건설’, ‘노후 발전설비

의 교체’, ‘송배전망의 개선’, ‘송전탑 및 전주 보수 및 추가 건설’,

‘발전소 컴퓨터 통제장치 설치’, ‘수송부문(철도, 도로)의 현대화’ 등

추진이 있어야 개선 효과가 실질적으로 있을 것임

- 북한은 엄청난 재원이 필요한 에너지 부분의 선진화와 현대화를 자발적이

고 자체적으로 실천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고 있음

- 그렇기에 남한과 북한 같의 에너지 협력을 위해서는 ‘북한의 송배전 설

비 개보수 지원’, ‘노후 발전 설비 교체’, ‘개성공단과 인근 지역의

전력 지원 확대’ 등이 제안됨

-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북한 화력발전소에 쓸 수 있는 ‘중유 제공’,

‘기존 수력 발전소의 개보수 지원’, ‘화력 발전소 건설 지원’ 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임

Page 20: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17 -

2. 북한 신재생에너지 현황

□ 에너지 정책 중 하나로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정책이 김정일

정권으로부터 계속 됨

ㅇ 북한은 ‘93년에‘자연에네르기개발이용센터(NCEDC)’를 구축하고, 신재

생에너지 산업화를 위한 정부 조직의 신설, 관련한 법의 제정과 같은 상당

한 노력에 힘썼음

ㅇ 전력 사정이 매우 열악한 조건에서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보급에 관한 관

심은 컸지만, 자체적으로 풍력발전기를 일부 설치한 것을 빼면 신재생에너

지를 개발하거나, 태양광 등의 적극적 활용은 상대적으로 미비했으며

NGO와의 개발협력에 따른 에너지 활용이 주를 이룸

□ 김정은의 집권 후, 에너지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이 강조됨

ㅇ 김정은 체제 출범 후, 북한 신재생에너지 동향이 더욱 관심을 끄는 배경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정책이 전에 없던 새로운 정책이 아니라, 이미 주민과

소규모 생산시설에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

를 위한 북한 당국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으로 관찰되는 탓

ㅇ 아울러 기존 전력의 생산구조로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신

재생에너지라도 이용하면 사정이 나아질 수 있지 않겠냐는 선전을 목적으

로 삼고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강조하게 되는 부분도 있어

ㅇ 당대회와 최고인민회의에서 역시 에너지 자립을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을 거듭 강조

- 김정은 위원장은 ‘16년 5월 제7차 당대회 사업총화보고에서 “전력 문제

를 푸는 것은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 수행의 선결 조건이며 경제 발전

과 인민생활 향상의 중심고리라며, 자연에네르기를 적극 이용하여 국가적

인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며,

- “풍력과 조수력, 생물질과 태양에네르기에 의한 전력 생산을 늘리며 자

Page 21: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18 -

연 에네르기(에너지)의 이용 범위를 계속 확대해 나가야한다”고 강조

- 6월에 개최된 제13기 최고인민회의에서도 “풍력과 조수력, 태양에네르기

발전소 건설 적지들을 빠짐없이 조사 장악하여 발전소들을 건설하는 것과

함께 모든 부문과 단위에서 실정에 맞게 자연에네르기에 의한 전력생산기

술을 적극 받아들이고 그 리용 범위를 확대하며 도, 시, 군들에서 자체의

힘으로 중소형발전소건설과 운영을 실용성 있게 진행해나가겠다”고 보고

ㅇ 김정은 위원장은‘16년 신년사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전력부족 해결을 국

가경제발전의 선결적인 조건으로 제안하며,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적극적으

로 권장함

- 김 원장은 “전력문제를 해결하는 데 전당적, 전국가적 힘을 넣고, 현재

가동 중인 발전소들을 정비보강하고 만부하로 돌려 전력생산을 최대한 늘

이며 발전능력을 새로 더 조성하기 위한 투쟁과 자연에네르기를 적극 이

용하여 긴장한 전력문제를 풀기 위한 사업을 힘 게 밀고나가야 한다”고

언급

ㅇ 북한 전력문제는 신년마다 강조되어온 해묵은 과제나, ‘16년에는 특히나

발전소 정비와 가동률 제고, 또한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강조했음

- ‘14년에는 수력에 중점을 두고 재생에너지 이용을 장려했던 것과 달리

‘16년에는 재생에너지 이용 자체를 강조

-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연구와 시범 사업에서 벗어나 전면적으로 활용하

고 도입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선회

- “수력 자원을 위주로 하면서 풍력, 지열, 태양열을 비롯한 자연에네르기

를 이용해 전력을 더 많이 생산하도록 해야 한다.”

ㅇ 군중대회에서는 각 시도별 특성에 따라 전력 생산의 정상화 및 증가를 중

요하게 강조했으며, 특별히 수력발전 능력을 증진하고자 애써

- 이는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발전소의 설비 정비와 가동률 제고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다라 함경남도와 량강도, 평안남도에서 재

생에너지 이용과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

Page 22: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19 -

□ 게다가 북한 당국은 재생에너지 개발의 촉진을 위하여 외국자본의 유치까

지 장려

ㅇ 외국인이 풍력에너지 부분에 투자를 할 경우, 소득세를 면하는 조치를 추

진했음

ㅇ ‘15년 12월, BOT(Built-Operate-Transfer) 방식으로 풍력 발전소 건설 계

획을 추진하겠다고 발표, 이는 북한 경제특구인 원산-금강산 국제관광지대

전력공급을 위해서임

ㅇ 북한 국가계획위원회 최인수 처장은 해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하여 풍력발

전기 현대화와 이를 통한 에너지 대량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고 발언함

□ 북한의 에너지 정책은 에네르기관리법에 기초

ㅇ 에네르기관리법에서 에너지 계획, 이용, 관리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도록

되어잇음

- 국가계획기관과 해당 기관이 에너지의 생산과 수요를 계산하여, 계획적으

로 공급하고 이에 관한 공급 계획은 국가계획기관이 수립

- 그 외에도 국가는 에너지 부분에 대한 연구와 인력양성, 발전소 건설 등

전반에 걸친 정책을 시행

ㅇ 에네르기관리법을 봄으로서 알 수 있는 북한 에너지 정책의 대원칙은

‘자력갱생’, 전력 생산의 정상화’,‘소비 관리’

- 법령은 에너지의 공급보다 절약, 낭비의 요소를 제거하는 등 소비에 관한

관리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어

- 예를 들어 소비 기준을 초과하거나 에너지를 낭비하였을 경우, 에너지 공

급과 설비 운영을 중단시키거나 손해에 대해 보상하는 조항이 있어.

- 이는 북한 당국이 에너지 소비 자체를 매우 귀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움

- 에너지 공급은 자력갱생이 기본으로 특히, 이용에 있어서도 연유를 대체

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적극 권고

Page 23: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20 -

- 특히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연유의 경우, 기준을 초과하여 공급하는 것을

허가 하지 않아

□ 북한의 재생에너지 개발은 ‘93년 자연에네르기개발이용센터(NCEDC)’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자연에네르기연구소’가 중심

ㅇ ‘93년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국가행동계획의 장기적인 전략으로 설정하고,

국가과학원 부속조직으로 ‘자연에네르기개발이용센터(NCEDC;

Non-Conventional Energy Development Center)’를 설립

- 기존 열공학연구소, 광업연구소, 수학연구소, 역학연구소의 일부 연구팀을

귀속시켜서 확대

Page 24: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21 -

3. 남북 에너지 협력 사업 구축 방향

□ 소규모 ․ 다분산 설비투자

ㅇ 북한의 전력설비가 일정한 규모로 확대되기 전까지 한 지역에 대규모의

전력설비를 구축하지 않고, 소규모 설비를 여러 지역들에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대규모 설비는 송배전문제, 낮은 예비전력문제 발생

Page 25: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22 -

□ 지역단위의 ‘종합 전력시스템’ 구축

ㅇ 북한 내에 특정한 지역을 정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는 발전부터 송배전 및

최소 전력이용단위까지 총합적으로 전력체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협력

ㅇ 특히, 지역별 전력수요 및 부하특성 뿐만 아니라 기존 발전소 및 송배전

형태를 감안하여 개별 지역에 합리적인 수준의 적정 전원을 채택

- 예비전력을 고려하고 기존 발전소 개보수, 소규모 발전소 건설 등 지역실정에 적

정한 전력시스템 구축

□ 남북 경제협력사업과 연계 추진

ㅇ 북한 전력지원 및 협력에 대한 제안들이 남북 경협 사업과 연계되어 함께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

ㅇ 남북 경제사업들과 연계한 전력설비 투자는 대북 전력협력의 가장 큰 장

애요인의 하나인 재원조달, 투자비회수의 과제들을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

의 강구를 가능하게 함

ㅇ 남북 경협에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들을 공동으로 활용하여 북한의 자체의

적 전력수요 역시 충당

□ 남북 전력융통 추진

ㅇ 남북이 상생할 수 있는 공동 전력시스템 구축으로 중장기적으로 남북 전

력융통이 이뤄지도록 해야

ㅇ 즉, 남한 전력시스템이 갖고 있는 고비용의 요인들을 북한을 통하여 완화

시키고, 비용절감에 따른 일부를 북한 전력증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재투

자하여 남은 비용 절감, 북은 전력증대의 결과를 얻는 남북 상생의 방안

추진

□ 남북 간의 전력협력 상설 논의기구 운영

ㅇ 단일성 프로젝트보다는 다각적인 남북 전력협력 방안들을 조합하여 추진

Page 26: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23 -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임

ㅇ 이 같은 방식은 서로의 전력운용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 비용절감 방

법에 대한 여러 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남과 북의 전력전문가들 사이에

서 지속적 협의를 요구함, 그렇기에 남북 간의 전력협력 논의기구를 상설

하여 이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

Page 27: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24 -

<그림 2> 북한이 전람회에 출품한 태블릿 PC

IV. 정보통신산업 분야

1. 북한 ICT 현황

□ 북한 DMB기능 '판형콤퓨터' 개발(2014. 9. 23 - 서울=연합뉴스)

ㅇ 조선중앙TV가 23일 북한 조선콤퓨터중심(쎈터)이 '판형콤퓨터'(태블릿 PC)

를 출품했다고 보도, 이는 제9차 평양가을철국제상품전람회에 DMB 기능

을 갖춘 것으로 알려짐

□ 북한 개발자들 온라인 커뮤니티 결성해 정보공유(2013. 8. 20 - IT뉴스)

ㅇ 해외에 주재하는 조선콤퓨터중심(KCC) 등 북한 개발자들이 온라인 커뮤니

티를 만들어 활동

ㅇ 수십 명의 개발자들은 ‘11년 7월부터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애플,

구글, 페이스북,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근황을 공유, 커뮤니티로 협

업을 진행하고 개발자 교육도 실시

□ MS워드, 오토캐드, 포토샵 등 SW 사용하는 북한(2014. 7. 29 - IT뉴스)

Page 28: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25 -

<그림 3> 전자도서관 PC운영체제/ 함경북도 전자도서관 모습

ㅇ 북한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고 선전하지만 실제 미

국 등의 다른 국가에서 제작한 프로그램 역시 사용하고 있음

ㅇ 일례로 레이몬드 커닝햄(Raymond Cunningham)이 사진촬영한 함경북도 전

자도서관 PC를 보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체제(OS) 사용 중

ㅇ 자세히 사진을 보면 웹브라우저로 파이어폭스를 쓰는 등 여러 해외 응용

프로그램이 등장

ㅇ 미국 정부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핵개발 등에 활용 될 수 있다는 이유로

주요 소프트웨어의 북한 수출 금하고 있음. 즉, 상당수 소프트웨어는 북한

이 불법으로 복제하여 쓰고 있는 것으로 추정

□ 북한의 스마트폰? '아리랑' (2013. 8. 14 - 평화문제연구소)

ㅇ ‘13년 8월 북한매체 김정은 제1비서가 전자제품 공장 현지지도를 간 소

식을 보도하며 휴대전화 '아리랑'을 처음으로 오픈했는데 북 측은 '아리랑'

폰을 자체적으로 생산했음을 주장

ㅇ 또한 미국의 북한 전문 사이트 노스코리아테크는 북의 스마트폰이 안드로

이드로 운영되고 평양에 위치 한 공장에서 생산되었다고 함

ㅇ 이처럼 북한 매체의 보도를 볼 때, 터치폰 방식과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가

Page 29: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26 -

<그림 4> 북한이 개발한 아리랑폰

능하다는 점에서 초보적이고 기초적인 수준의 스마트폰이라고 추정

ㅇ 우리 정부 당국자에 의하면 아리랑 폰은 북한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제품

은 아니고, 중국 등으로부터 부품을 수입하여 재조립한 뒤 아리랑이라는

상표를 붙여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추정

□ 북한 공업용컴퓨터 '노을' 확산 (2013. 3. 15 - IT뉴스)

ㅇ 북한 당국이 공업용컴퓨터 '노을'을 개발해 이를 쓴다고 보도됨

ㅇ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4일 김책제철련합기업소, 희천발전소, 평양곡

산공장에서 생산공정 현대화에 노을이 매우 기여하고 있다고 보도

ㅇ 북한은 5.7인치, 10.4인치로 만들어진 노을이 수입된 공업용컴퓨터 보다는

성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사용도 편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주장

ㅇ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쓰이는 컴퓨터들과 달리 노을은 온도, 습도, 광선, 소

음, 진동을 비롯한 공업 환경에 더 오래 견딜 수 있게 설계 및 제작되었다

고 함

ㅇ 북측은 노을에 한국어로 된 HMI(인간-기계접촉대면부형식)를 적용했다고

하며,노을 컴퓨터는 노을기술합작회사에서 만들었다고 한다. 노을기술합작

회사는 장치 및 외형설계는 물론 장치구동 프로그램 설계, 기계장치 조종

기술 등을 연구개발해 노을 공업용컴퓨터를 완성했다고 함

Page 30: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27 -

2. 남북 ICT 표준화 과제

□ 남북 IT용어 체계 비교

ㅇ 남북 IT 용어를 사용함에 있어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소통은 서로 이뤄지

지만 용어들이 아주 생소한 것들도 있어

ㅇ 이는 북한 기술 발전과정이 남한과 완전히 다르고 각 정부의 언어정책에

영향력을 많이 받기 때문

ㅇ 또한 IT용어를 비롯하여 남한과 북한의 기술용어들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무엇보다 남한과 북한에 각기 기술을 준 국가들이 다르기 때문

ㅇ 남한은 미국 기술을 주로 도입하여 용어의 대부분 영어로 되어 있으나, 북

한은 러시아 기술을 주로 도입하면서 케이블을 ‘까벨’이라고 하는 등

러시아어로 된 용어를 사용

ㅇ 또한 ‘인터네트’ 나 ‘구동기’라는 말처럼 일본의 영향도 있는데 이는

북한IT 분야의 초기의 기술 관련 서적 다수를 일본으로부터 수입해 왔기

때문

ㅇ 또한 북한의 IT 용어는 우리말의 맛을 살려서 서버는 ‘봉사기’, 디지털

은 ‘숫자식’, 메뉴는 ‘안내’와 같이 순수 우리 한글로 표현되는 말들

도 많아

□ 남북한의 정보통신용어 표준화의 과제

ㅇ 한국어정보학회에서는 ‘94년부터‘02년까지 남한과 북한과 중국, 미국,일

본 등의 학자들과 함께 중국에서 모여 정보통신 교류 부분에 관한 학술대

회를 개최했고, 실질적으로 정보통신용어 표준화에 필요한 협력방안 등을

모색

ㅇ 남북한 학술회의와 정보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뤄진다면 ‘컴퓨터 자판과

코드 문제’, ‘음성인식기술 문제’, ‘국제표준규격 문제’, ‘정보기술

Page 31: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28 -

용어통일 문제’, ‘글꼴문제의 여러 가지 표준화 문제’ 등 여러 분야의

연구와 토론을 지속적으로 협의

ㅇ 정보통신용어 통일과 한글화 및 표준화 작업은 가장 기초적이기에 더욱

중요한 작업

- 정보통신용어의 연구는 크게 어떻게 표준화할 것이며 이것을 어떻게 보급

할수 있느냐 하는 것

- 정보통신 용어의 표준화는 국내적으로는 남한어의 언어체계에 맞는 용어의 정리

이고, 대외적으로는 국제표준에 알맞은 정보교환 양식

ㅇ 정보통신 용어의 표준화는 일반적인 대중들의 지지가 앞서 이뤄지지 않으

면 어려운 것이므로 특히, 대중들의 지지를 받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할 것

ㅇ 특히, 남북한이 정보통신 기술이 서로 공유되기 위해서는 남한과 북한의 정

보통신 협력 현황을 알아야

- 북한의 과학기술 정책, 북한의 정보통신정책, 북한의 신사고론, 북한의 정보통신

현황 등을 잘 알아야 할 것

- 북한의 주요한 정보기술 기관은 ‘평양프로그램센터’, ‘조선컴퓨터센터’가 있

으며, ‘김일성 종합대학’, ‘북한 과학원’, ‘북한 국제통신센터’, ‘중앙 과

학기술 정보연구소’, ‘김책공업대학’, ‘평양 전자계산기 단과대학’ 등이 있

음. 이들과의 공동연구가 필요.

Page 32: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29 -

3. 남북 ICT 교류협력 중장기 전략

□ 남북한 ICT 단계별 시나리오

ㅇ 시나리오 Ⅰ : 남북관계 경색 해소전략

- 남북한 ICT관계자들의 학술교류협력 : 독일 통일 전 오스트리아에서 만나 준비한

것과 같이 제3국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학술적인 교류협력부터 이루어내며 남북교

류의 물꼬를 트는 것 중요

- 북한 ICT경제의 이해와 협력 : 제3국에 한반도 교류협력센터를 건설하고 학술교

류하여 남북한 ICT의 강점을 상호 이해하고 협력하여 한반도 민족공동의 번영을

일구어내는 것이 과제임(중국과 대만의 ICT경제통합사례를 분석)

ㅇ 시나리오 Ⅱ : 북한의 개방을 유도할 수 있는 사업제시

- 제3국과 연계한 남북한 ICT 교류협력 : 한반도 교류협력센터를 중심으로 교류 활

성화, 남북한 ICT상생발전을 위한 교류협력 체결 및 전략수립, 제3국에서의 남북

ICT 협력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필요

- 경제특구와 연계한 남북한 ICT 교류협력 : 북한 경제정책인 경제특구현황을 잘

이해하여 ICT 경제특구지역인 평성IT단지나 2002년 해주지역과 삼성이 추진하려

고 했던 전자산업단지 건설 등을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

- 개성공단과 연계한 남북한 ICT 교류협력 : 개성공단의 현황을 잘 파악하여 제1단

계-제2단계-제3단계로의 추진 단계 중 2단계에서 전자전기 등 ICT 관련 공단추진

도 고려해야 할 사항임

- 도·농간 스마트 팜 사업 및 사이버 공간 평화지대 구축 추진

ㅇ 시나리오 Ⅲ : 북한의 개방에 따른 지원 방안

- 국제기구와 교류협력에 따른 공동협력 전략 : 북한개발지원그룹의 역할, 북한경제

개발을 위한 국제 재원조달, 원조공여자 간 원조 조정 및 조화, 양자 간 지원과

다자간 지원의 조화, 경제특구 및 산업단지 개발지원

- 남북 ICT 교류협력에 따른 공동협력 전략 : ICT 산업단지 건설, 북한 지역의 인프

라 건설, 북한의 ICT 사유기업설립 지원

- 남북 신 성장 동력사업 개척 시나리오 제안 : 차이완은 중국과 대만의 경제통합의

Page 33: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30 -

<표 3> 시나리오별 사업 추진체제 및 장단점

고유명사임. 남북한 ICT 경제협력 시사점 도출 필요

- 남북한 ICT 경제통합 시나리오 : 선경후정(정치보다 경제우선정책), 남한의 자본의

북한직접투자 허용, 남북한의 경제통합의 시너지효과 기대

Page 34: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31 -

V. 법제도 개선방안

1. 물류정책기본법 개정안

□ 제안이유

ㅇ 지난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관계가 개선되어 경제협력 등 상호

교류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음

ㅇ 특히, 남북 철도와 도로가 연결되면 남북 간 물류활동은 물론, 대륙

간 육상 물류 진출이 예상되는 등 국내외 물류환경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됨

ㅇ 향후 북한의 교통 여건이 개선될 가능성을 고려할 때 남북한 물류 부문의

상호 교류와 협력을 촉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현행법에는 남북한

의 이러한 교류협력을 위한 근거가 명시되어 있지 않음

ㅇ 이에, 국가물류기본계획의 수립 사항에 ‘남북한 물류의 교류협력 촉진’

을 추가하고, 이에 관한 별도 조항으로 ‘남북한 교류협력증진에 필요한

시책을 추진하고 북한의 물류관련 정책·제도 및 현황 등을 조사·연구’

하도록 하는 등 남북한 상호 교류협력의 근거를 마련하려는 것임(안 제11

조제2항제9호의3 및 제63조의2 신설)

Page 35: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32 -

□ 신·구조문대비표

Page 36: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33 -

2. 에너지법·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개정안

□ 제안이유

ㅇ 최근 남북관계가 개선되면서 경제협력 등 상호 교류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남북경협 대상으로 다양한 사업들이

거론되고 있음

ㅇ 그런데 남북경협 사업의 대부분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므로 우선하여 남북간 에너지 교류협력이 절실한 실정임

ㅇ 이에 북한의 에너지 관련 정책ㆍ제도 및 현황 등을 조사ㆍ연구할 수 있도

록 하고, 이를 토대로 남북한 에너지 부문의 상호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며, 에너지위원회의 심의사항에 남북한 에

너지 교류협력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는 등 남북한 에너지 교류협력을 위

한 근거를 마련하려는 것임(안 제10조제9호의2 및 제12조의2 신설)

Page 37: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34 -

□ 신·구조문대비표

Page 38: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35 -

3. 정보통신산업 진흥법 개정안

□ 제안이유

ㅇ 지난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관계가 개선되어 경제협력 등 상호 교

류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음. 특히, 다양한 산업의

근간이 되는 전력공급과 관련하여 신·재생에너지 분야 등 남북한 간의

에너지 협력에 대한 시급성이 대두되고 있음

ㅇ 이에 현행법의 에너지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북한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남북한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상호교류 및 협력

증진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고, 이에 관한 별도 조항으로 ‘남북한 교류

협력증진에 필요한 시책을 추진하고 북한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제도

및 현황 등을 조사·연구’하도록 하는 등 남북한 상호 교류협력의 근거

를 마련하려는 것임(안 제41조제3항제7호 및 제48조의2 신설)

Page 39: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36 -

□ 신·구조문대비표

Page 40: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37 -

VI. 결론

1. 물류산업 분야

□ 물류정책기본법 개정안은 국가 물류기본계획 수립사항에 남북한 물류 교류

협력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고, 필요한 정책과 북한의 제도 및 현황

을 조사·연구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임

ㅇ 물류산업은 남북 간, 대륙 간 물류활동은 우리나라의 국제철도협력기구

(OSJD) 정회원 가입과 남북 철도·도로 협력 분과 회담 진행 등 문재인

정부의 신한반도 경제지도 정책에 따라 특히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

대되는 핵심 분야로 중요함

ㅇ 유라시아 물류네크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중국와 러시아와 같이 자국 중심

의 국가 이익 극대화 중심계획과 차별화를 꾀해야 함

ㅇ 한반도부터 유라시아 전체로 단계적 추진하며 철도를 중심으로 도로, 해

운, 항공, 내륙항만 등이 결합된 국제복합수송소 구축 전략 필요함

ㅇ 이 점에서 본 연구에 따른 개정안은 물류산업 분야에 따른 선제적 조사가

향후 한반도 차원의 국토 균형발전 차원의 교통네크워크 구축을 위하여

통일한국의 교통인프라 마스터플랜 구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Page 41: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38 -

2. 에너지산업 분야

□ 에너지법과 녹색성장법 개정안은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분야에

있어 남북 교류·협력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이를 국가에너지위원회에서

심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함

ㅇ 남북경협이 대부분 안정적 전력공급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북

간 교류협력이 가장 시급한 분야 중 하나

ㅇ 특히, 남북 전력협력 교류는 단일성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협력방안의

조합이 필요로 됨

ㅇ 또한 상호 전력운용에 대한 이해가 절실할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대안 마련을 위해서는 남북 간의 지속적 협의와 협상이 필요함

ㅇ 이 점에서 본 연구에 따른 개정안은 남북 에너지산업 분야의 교류·협력

에 관한 밑바탕을 선제적으로 그리도록 함으로서 향후 본격적인 남북경협

추진에 있어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Page 42: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남북경제협력 초기 인프라 투자 분야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39 -

3. 정보통신산업 분야

□ 정보통신산업법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정보통신 분야에 있어 남북

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이를 위한 연구·조사의 법

적 근거를 마련하는 법안임

ㅇ 정보통신 분야는 남북이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대표 분야로 이미 KT와

SK텔레콤이 남북협력 전담조직을 신설하는 등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

황임

ㅇ 현재 과기정통부는 해당 법안에 대한‘수용’의견을 제출하였으며 부대

의견으로 남북교류협력법에 따른 협력사업에 “과학기술, 정보통신, 방

송”을 추가해줄 것을 요청해옴

□ 남북경협 추진 및 활성화에 있어 초기 인프라 투자는 다른 산업분야의 원

활한 경협추진의 근간을 이룬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임

ㅇ 본 연구와 이에 따른 개정안 대표발의를 통해 남북경협 초기 인프라 투자

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효성있는 정부의 계획 수립 및 사전 조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함

Page 43: 제2장 통일을넘어유라시아로 - ASSEMBLYebook.assembly.go.kr/ebooklnk/research/pdf/research33204352.pdf설하고, 교통인프라 연결, 기술 및 장비의 선진화 및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

- 40 -

□ 참고문헌

- 남북한 경제교류․ 협력 제도화 방안, 통일연구원, 2001

- 유라시아 복합교통물류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추진, 한국교통연구원, 2014

- 주요 남북에너지협력프로젝트의 설계,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의 필요성과 장애요인,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 2007

- 북한 에너지 현황과 남북 에너지협력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 주요 남북경제협력 사업의 전망과 경제적 편익, 국회예산정책처, 2014

- 남북 에너지협력 프로젝트별 추진방안 분석 연구, 에너지연구원, 2012

- 남북한 IT산업 협력의 기대 효과와 발전 방안, 현대경제연구원, 2001

- 남북한 ICT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전파

진흥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