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22
리튬이차전지 개발 동향 리튬이차전지 개발 동향 2004. 11. 04 2004. 11. 04 박홍규

Upload: pinenamu

Post on 25-Oct-2015

17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박홍규

TRANSCRIPT

Page 1: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리튬이차전지 개발 동향리튬이차전지 개발 동향

2004. 11. 04 2004. 11. 04

박 홍 규

Page 2: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1. 1.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

HEV : Hybrid Electric VehicleFCHEV : Fuel Cell HEV MEV : Mild Electric Vehicle

Mobile Phone

e-바이커

노트북 PC

고출력

전지

고용량

BMS

FCHEV

전지전지팩의팩의용량용량 (Ah)(Ah)1 1

HEV

MEV

e-스쿠터

노트북 PC

40C

1,000

고고율

전전속속도

율출력출력(W)(W) 방방

100

0.5C

0

Page 3: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1.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소형전지11--1. 1.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소형전지소형전지

250 300 350 450400

부피 당 에너지 밀도 (Wh/liter)

500100

150

200

무게

당에

너지

밀도

(Wh

/kg

)

1세대 각형

2세대 각형

폴리머전지

폴리머전지

소재의 성능개선설계기술 개발

각형 전지 원통형 전지

2.2Ah

2.4Ah?

Page 4: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1.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소형전지11--1. 1.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소형전지소형전지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96C

Y

97C

Y

98C

Y

99C

Y

00C

Y

01C

Y

02C

Y

03C

Y

04C

Y

05C

Y

06C

Y

07C

Y

08C

Y

09C

Y

10C

Y

11C

Y

12C

Y

13C

Y

Cel

l dem

and(

M c

ells

/CY

)

LIB Lam i.

LIB Pr

LIB Cy

NiMH/NiCd

Page 5: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2.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고출력 전지11--2. 2.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고출력고출력 전지전지

1. 고출력 리튬이차전지

Ener

gy d

ensi

ty (W

h/kg

)

Power density (W/kg)

고에너지전지

EV, 휴대폰노트북등

고출력전지

G-HEVFCHEV

소재기술

전극기술

설계기술

100

2,0001,000

50

EV

?

Page 6: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2.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고출력 전지11--2. 2.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고출력고출력 전지전지

2. 리튬이차전지 Pack 기술개요

소형 고에너지 전지

고출력 리튬이차전지

전지 제어관리 장치

리튬이차전지 전지 팩

차량 제어 장치

(HCU)

중대형 고출력 전지

고출력 전지 팩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Page 7: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2.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고출력 전지11--2. 2.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고출력고출력 전지전지

3.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란?

42V

42V144~500 V

가속시 전지가 동력을 보조

감속/ 정지시 에너지 저장

가속시 전지가 동력을 보조

감속/ 정지시 에너지 저장연비향상 및 배기 가스 감소연비향상 및 배기 가스 감소

Page 8: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고출력 전지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고출력고출력 전지전지

4. HEV에서 배터리의 역할

Page 9: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2.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고출력 전지11--2. 2.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고출력고출력 전지전지

5. 국제유가의 상승에 따른 에너지 절감

국제 유가의 급상승에 의한 에너지

부담 가중

대체에너지 필요성 대두

기존 시스템의 효율 극대화

HEV 자동차의 연비 (프리우스)

10km/Litter 35km/Litter

Page 10: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1-2. 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고출력 전지11--2. 2.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응용분야응용분야--고출력고출력 전지전지

6. 세계 중대형 전지 시장현황 및 전망

전기 자동차를 제외한 고출력 전지시장은 2010년경 약 3조원 이상 규모로 전망. 전기 자동차를 제외한 고출력 전지시장은 2010년경 약 3조원 이상 규모로 전망.

자동차용 신형시장 규모 전망(금액기준, 100억원/년)

2001 2002 2004 2006 2008

Mild

42V

Pure EV

Full

294

201

115

60

157

2010

HE

V

자료원 : ITT, AABC 기술자료, HEV, EV, 42V ISA 모두 포함.

Page 11: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2. 리튬이차전지의 특징2. 2.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특징특징

리튬이온 전지의 특징

Lithium: Atomic weight = 7.9Density = 0.53g/cm3

Size: atomic = 153 pmionic = 90 pm

표준환원전위 : - 3.045 V vs SHE고에너지밀도 : 소형화 , 경량화에유리자원적인문제 : 풍부하다.

Lithium: Atomic weight = 7.9Density = 0.53g/cm3

Size: atomic = 153 pmionic = 90 pm

표준환원전위 : - 3.045 V vs SHE고에너지밀도 : 소형화 , 경량화에유리자원적인문제 : 풍부하다.

1. 계면반응이 중요: 양극 – Lithium Source

음극 – Lithium Sinker

2. Macroscopic한 조절을 통한 Microscopic한 특성 구현

: 물리적 contact이지만 – 전자의 이동을 조절

3. 음극과 양극은 서로 상호작용.

4. 계면을 통과 時 Ion 상태로 이동함.

Interaction Interaction

Li+전극의 구성물 (계면)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전해액

집전체

Page 12: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3. 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3. 3.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재료개발동향

Reference 전극 : Li+

Cell Voltage : 양극전압-음극전압

Page 13: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3. 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3. 3.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재료개발동향

주요 구성물의 재료 추이

ANODES ELETCTROLYTES

Liquid OrganicElectrolytes

Liquid OrganicElectrolytes

고체고분자

전해질

고체고분자

전해질

고분자젤전해질

고분자젤전해질

이온성액상전해질

이온성액상전해질

?

CATHODES

Metallic LithiumMetallic Lithium

Lithium AlloysLithium Alloys

LithiatedCarbonsLithiatedCarbons

OtherLithiatedMaterials

OtherLithiatedMaterials

주로일차전지에응용

주로일차전지에응용

Li1-xNi1-y-zCoyMzO4 (M=Mg, Al, etc.)

Li1-xCo1-yMyO2

Li1-xMn2-yMyO4

Li1-xNi1-y-zCoyMzO4 (M=Mg, Al, etc.)

Li1-xCo1-yMyO2

Li1-xMn2-yMyO4

흑연흑연

Li[Ni1-x-yMnxMy]O2 (M=Co, etc.) Li[Ni1-x-yMnxMy]O2 (M=Co, etc.) 기타탄소

기타탄소

금속합금/복합체

Sn, Si based

금속합금/복합체

Sn, Si basedPolyanionic Compounds

Li1-xVOPO4 ; LixFePO4

Polyanionic Compounds Li1-xVOPO4 ; LixFePO4

3d-M OxidesNitridesLiMyN2

3d-M OxidesNitridesLiMyN2

?

Page 14: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3. 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3. 3.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재료개발동향

주요 양극 활물질의 입자형상

x5000

LiCoO2

x5000

Li[NiMnCo]O2

Page 15: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3. 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3. 3.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재료개발동향

결정학적 구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0 40 80 120 160 200 2403.0

3.2

3.4

3.6

3.8

4.0

4.2

4.4TEST CONDITIONVoltage : 3.0 ~ 4.2VCurrent : 0.1 C rate

: LiCoO2

: Li[NiMn]O2 (C)

: Li[NiMnCo]O2

: Li[Ni1-x

Cox]O

2

VO

LTA

GE

(V)

SPECIFIC CAPACITY (mAh/g)

전기화학적 특징

1. Ni함량이 증가할 수록 용량 증가, 밀도 감소

효율 감소

2. Co와 Mn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평균전압 증가

3. 안전성 : Ni함량 증가할 수록 악화됨

전기화학적 특징

1. Ni함량이 증가할 수록 용량 증가, 밀도 감소

효율 감소

2. Co와 Mn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평균전압 증가

3. 안전성 : Ni함량 증가할 수록 악화됨

(Ni,Mn,M)O2 slabs

Li+ ions

구조적 특징

1. 층상구조 산화물 : R3M (Hexagonal)

slab 사이에 리튬층이 존재

2. 충전지 C축 방향 팽창 (리튬 방출)

3. 리튬의 이동통로 : 2차원적임

구조적 특징

1. 층상구조 산화물 : R3M (Hexagonal)

slab 사이에 리튬층이 존재

2. 충전지 C축 방향 팽창 (리튬 방출)

3. 리튬의 이동통로 : 2차원적임

Page 16: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60 120 180 240 3000.0

0.1

0.2

0.3

0.4

0.5

: LiCoO2

: Li[NiMn]O2

: Li[NiMnCo]O2

: LiNi1-x

CoxO

2

Heat

Flo

w (

W /

g)

Temperature (oC)

3. 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3. 3.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재료개발동향재료개발동향

열적 안전성 (DSC)

Page 17: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4.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4. 4.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안전성

전지제조공정

활물질

도전재

NMP

Binder

양극

음극

분리막

Coating 된 전극

<Jelly Roll>완성품

• 기본성능 평가

- 용량, 수명특성, 고율방전 특성, 저온성능

• Abuse Test : 고온저장 특성, Thermocycle

• 열적 안전성 평가 : Hot box test

• 기계적 안전성 평가 : Impact test

Crush test

Nail penetration test

• 전기적 안전성 평가 :

- Over-charge & Over-discharge test

• 기본성능 평가

- 용량, 수명특성, 고율방전 특성, 저온성능

• Abuse Test : 고온저장 특성, Thermocycle

• 열적 안전성 평가 : Hot box test

• 기계적 안전성 평가 : Impact test

Crush test

Nail penetration test

• 전기적 안전성 평가 :

- Over-charge & Over-discharge test

전지의 활성화(Formation and Aging)

전지의 활성화(Formation and Aging)

Page 18: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4.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4. 4.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안전성

안전성 TEST (Hot Box)

0 10 20 30 40 500

50

100

150

200

10 min.

Tem

pera

ture

()

Time (min.)

Page 19: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4.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4. 4.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안전성

안전성 TEST (Impact)

sample

Page 20: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4.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4. 4.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안전성

안전성 TEST (Crush)

sample

Page 21: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4.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4. 4. 리튬이차전지의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안전성

안전성 TEST (Nail Penetration)

sample

Page 22: 박홍규_리튬이차전지개발동향.pdf

결론결론결론

리튬이온전지의 성능 다양화

- 고용량화

- 고출력화

- 고안전성화

Application의 창출 및 확대

리튬이온전지의 성능 다양화

- 고용량화

- 고출력화

- 고안전성화

Application의 창출 및 확대

지속적인 성장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