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ard powerpoint template -...

30
불가리아 정치경제학(2) 불가리아와 유대인 최조현 교수 최조현 교수

Upload: others

Post on 07-Sep-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불가리아 정치경제학(2)

불가리아와 유대인

최조현 교수

최조현 교수

C o n t e n t s 1 유대인의 불가리아 진출

2 유대인의 인구 분포

3 홀로코스트(Holocaust)

4 2차 대전시 불가리아의 유대인에 대한 정책

5 Oscar Schindler

6 이스라엘의 징병제

7 불가리아와 이스라엘의 관계

8 유대인의 교육

9 QnA

• 유대인의 동유럽 거주는 로마황제 Caligula(서기 37-41년) 시기에 마케도니아에 최초로 정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2세기말 유대인 커뮤니티가 있었으며, 로마황제 데오시우스 1세(Theodosius 1세)는 379년 트라키아 및 일리리아 총독에게 유대인을 박해하고 유대교 회당을 파괴하라는 정령을 내린 적이 있다.

• 비잔틴제국의 레오3세(718~741)가 유대인을 박해할 때 많은 수의 유대인이 불가리아로 피난해 와서 정착하였다.

• 불가리아 제1차왕국의 보리스 1세(853~889) 시기에 유대인들은 이교도 불가르인들의 종교적 불만을 이용하여 이들을 유대교로 개종시키기도 했으나, 기독교의 전파가 더 성공을 거두었다.

• 초기 불가리아 기독교인들의 신앙은 기독교, 유대교 및 이교 신앙의 혼합이었다.

유대인(猶太人)의 불가리아 진출-1 1

• 키릴 및 메토디우스 형제는 고향인 데살로니키에서 유대인 선생으로부터 교육을 받아 키릴문자 창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 키릴은 Glagolitic 문자(후에 키릴문자)를 창시할 때 그리스 알파벳은 물론 히브리 알파벳도 이용하였으며, 예를 들면 그리스 알파벳에는 없는 sh와 ts가 있는데 이 것은 키릴이 히브리어 성경의 번역을 통해 만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대인의 불가리아 진출-2 1

•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전세계의 유대인 인구가 1,800만 명 정도였으나 히틀러가 집권하는 나치 독일의 유대인 대학살(Holocaust)로 1,200만 명 정도로 줄어들었다.

• 오늘날 전세계 134개국에 1,400만 명 정도가 살고 있다. 미국에 580만 명, 이스라엘에 500만 명 정도가 살고 있다. 유럽에서 유대인이 가장 많은 곳은 헝가리의 부다페스트로 100만에서 150만 정도가 있다고 추산된다.

• 유럽에서 유대인이 가장 빨리 증가하고 있는 국가는 독일로 특히 동유럽에서 많이 이주해 오기 때문이다. 그밖에 캐나다, 우크라이나, 프랑스, 아르헨티나, 러시아 등에 많은 수의 유대인들이 살고 있다. 유럽의 유대인 인구는 240만, 라틴 아메리카는 50만 이상으로 추정된다.

유대인의 인구분포 2

0 아버지는 외국인이나 어머니가 유대인일 경우, 그 자식은 유대인이나,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아버지가 유대인일 경우 자식은 유대인이 될 수 없다.

0 그러나 개혁 유대교는 양친 중 한 명이 유대인이면 아이를 유대인이라고 인정한다.

모계 위주

민족

• 히틀러가 왜 이렇게 많은 유대인을 학살했는지에 대해서는 단지 히틀러가 내세운 "반유태주의" 때문이라고만 사람들은 알고 있다.

• 히틀러가 반유태주의자가 된 이유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설명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심리학까지 동원되고, 어머니가 어느 유대인의 정부였다는 설까지 있다.

홀로코스트-1 3

홀로코스트-2

• 그러나 히틀러는 현실적인 권력을 지향하는 정치인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전의 경험은 단순한 몽상이나 이상주의보다 현실적인 생존에 대한 욕구와 그럴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다.

• 그런 사람이 단지 어머니의 정부에 대한 어린 시절의 기억 만으로 반유태주의자가 되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 히틀러의 반유태주의와 극우 민족주의는 청년 시절에 실업자로 빈(Wien)을 헤매던 시절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1940년 불가리아 정부는 유대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결정을 채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불가리아에는 포괄적인 반유대인 법률이 도입되었다. 불가리아의 이러한 조치는 동맹국인 나치 독일이 지향하는 정책을 추종하려는 데서 비롯된다.

• 그러나 국회부의장인 Dmitar Preshev는 인도주의를 주장하면서 강제이송명령은 즉각 바뀌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정치계의 주요인사들과 정교회의 고위 성직자들이 Preshev의 강제이주 반대운동에 참여하였다. 결국 Bogdan Filov 정부는 불가리아 유대인들에 대한 모든 강제이주 명령은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

• 그러나 마케도니아 유대인들(11,384명)은 기차와 다뉴브 강의 보트를 통해 폴란드의 죽음의 캠프로 이동되었다.

2차 대전시 불가리아의 유대인에 대한 정책 4

• 불가리아 정부는 유대인에 대해 차별정책을 추진하였다.

•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었고, 옷에는 노란 뱃지를 착용토록 하였다.

• 매 도시마다 유대인 문제를 다루는 감독관이 임명되었고 유대인이 소지한 보석이나 금화는 은행에 예치토록 하였다.

• 나치는 계속 불가리아 유대인들의 강제이송을 위해 압력을 가했다.

• 그러나 Preshev와 그의 친구들은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 불가리아는 비밀리에 미국 및 영국과 휴전협상을 하면서 유대인에 대해서도 의논을 하였다.

• 결국 불가리아는 모든 반유대인법을 1944.9.5 폐지시켰다.

• 1945년 가을 불가리아에는 49,172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다.

• 소피아 27,700명, 플로브디브 5,800명, 루세 1,927명, 바르나 1,223명, 쿠스텐딜 1,100명, 얌볼 1,076명, 두프니짜 1,050명

2차 대전시 불가리아의 유대인에 대한 정책 4

• 2차 대전 당시 유대인들을 가스실에서부터 구하려고 히틀러와 나치를 능가하는 지혜를 발휘한 위대한 남자에 대한 실화이다.

• 오스카 쉰들러는 2차대전 중 유대인들이 가스실에서 죽음을 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나치친위대 (SS)에게 수많은 뇌물과 돈을 제공하였다. 이 일은 쉰들러 본인의 목숨도 위태롭게 만드는 일이었다.

• 그 당시 수백만의 유대인들은 아우슈비츠 같은 나치 수용소에서 죽어갔다. 그러나 쉰들러의 유대인들은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1,200 명 이상의 유대인들을 쉰들러는 나치의 손아귀로부터 구해내었다. 쉰들러는 그의 유대인들에게 진심으로 대했으며 그의 노동자들을 ‘나의 아이들’이라고 불렀다

• 오스카 쉰들러의 아내 에밀리 쉰들러는 남편과 함께 일을 하는 강한 여성이었을 뿐 아니라 지치지 않고 끈기 있게 쉰들러의 유대인들을 구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였다.

Oscar Schindler 5

• 오늘날에는 쉰들러 유대인의 자손들은 미국과 유럽, 대부분 이스라엘에 7,000명이 넘게 살고 있다. 2차 대전 이전에는 폴란드의 유대인 인구수는 350만 명이었으나 현재는 3,000명에서 4,000명 정도 남아있다.

• 오스카 쉰들러는 유태인들을 보호하고 구하기 위해 그가 가진 모든 것을 썼다.

• 그는 쉰들러 유대인들로부터 영원히 계속되는 감사를 얻었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잔인한 세상에서 용기를 말할 때 흔히 쓰는 말로 통한다. 히틀러의 가스실에서부터 수많은 유대인들을 구한 영웅인 것이다. 쉰들러는 1974년 10월 9일 독일의 힐데스하임에서 죽었고 예루살렘에 묻혔다. 그가 이야기하던 대로 ‘나의 아이들이 여기 있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Oscar Schindler 5

• 이스라엘은 아랍 제국과 팔레스타인과의 분쟁 때문에 징병제를 채택하게 된 국가로서 남자와 여자 모두 병역 의무를 지고 있고 병역 기간은 남자는 3년, 여자는 2년 동안 복무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특히 유대교를 믿는 사람들과 드루즈 교를 믿는 사람들은 군에 복무해야 한다. 하지만, 대한민국과는 달리, 종교적 신념에 의한 양심적 병역거부를 허용하고 있다. 본인이 이슬람교(교리상 징집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신자이거나 어느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이라면 징집이 되지 않는다.

• 이스라엘군(약칭 IDF)은 미국제 최신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사병과 장교간의 사이가 좋으며 혈기도 왕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집트를 비롯한 아랍 제국들은 장교와 사병 간의 불협화음이 있어 전투 중에 장교가 겁을 먹고 도망을 치는 일이 비일비재 했고, 이로 인해 사병들만 목숨을 잃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이스라엘군의 경우 제3차 중동 전쟁 중에 사병과 장교가 하나되어 아랍 제국에 맞서 싸웠다는 일화가 있다(실제로 장교 측의 전사자도 많았다).

이스라엘의 징병제 6

• 불가리아는 이스라엘의 독립을 승인하고 외교관계를 개설하였다. 불가리아와 이스라엘은 외교적으로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무역관계를 증진시켜 나가고 있었으나, 소련의 정책 노선에 따라 양국관계는 나빠지기 시작하였다. 1955.8월 불가리아 공군이 불가리아 국경지대를 항행중인 EI AL항공사 여객기를 잘못으로 격추시킴으로써 양국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 1967년 6일 전쟁 후에 불가리아는 이스라엘에 대해 외교적으로 신랄히 항의하고 무역관계를 단절시켰다. 그러나 1968년 초 무역관계를 재개하였다.

불가리아와 이스라엘 관계 7

• 토도르 알렉산드로프 거리와 흐리스토 보테프 거리가 만나는 곳에는 Tel Aviv-Yafo광장이 있다. 2002.1월 명명된 이 광장의 이름은 불가리아와 이스라엘의 우호를 상징하는 것이다.

• 소피아의 국회건물 옆에는 화강암 기초 위에 사다리꼴의 동판이 있는데 이 것은 유대인들이 나치수용소에 가는 것을 봉쇄한 비유대인들과 국회의원들을 기념하는 동판이다.

• 현재 불가리아에는 1,162명(2011년 인구선세스)의 유대인이 살고 있다. 1989년 공산주의 몰락 이후 유대인 사회는 재건되었다. Shalom은 불가리아내 유대인 조직의 이름이다. 불가리아내 유대인 학교로는 1-7학년까지 다니는 Hebrew and English 초등학교가 소피아에 있으며 학생수는 650명이 있다.

• 이 학교 학생의 30%는 유대인이다.

• 2001. 6 불가리아와 이스라엘은 FTA를 체결하였다.

불가리아와 이스라엘 관계 7

최근 불가리아-이스라엘 관계

• 2012.1월 양국은 군수산업 협력 협정 및 합동군사훈련 협정 등 2개 군사 협정

체결

• 2012.7.18 흑해 연안도시 부르가스에서 이스라엘 관광객을 겨냥한 자살폭탄버스테러 발생, 이스라엘 관광객 5명과 불가리아 버스 기사 1명 사망, 이스라엘 관광객 30여명 부상

• 매년 약 17만 명의 이스라엘 관광객이 불가리아를 방문, 주로 흑해 리조트에서

휴가를 보냄

• 이스라엘 관광객은 불가리아 방문 관광객의 6~7%

• Delyan Dobrev 경제-관광-에너지 장관이 즉각 이스라엘을 방문(7.24), 희생자를추모하고 사태악화 방지 및 공동대책을 협의

• Burgas 시는 2012말 폭발현장에 추모비를 건립

• 불가리아 정부는 자국 내에서 발생한 테러로 인한 관광객 감소를 우려, 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하고 국제적인 협조체체 강화 천명

테러발생장소에서 이스라엘 희생자를 추모하는

불가리아 관광장관

Plevneliev불가리아 대통령, 네타냐후 이스라엘총리

• 역사를 바꾸고 세계를 움직인 인물 다섯을 뽑는다면 물리학의 아인슈타인, 공산당 선언을 만든 칼 마르크스, 인간의 무의식의 세계를 연구한 프로이드, 물리학의 아버지격인 뉴턴, 진화론을 전개한 다윈을 손꼽을 수 있겠다. 이들 중에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 다윈을 제외한 네 명은 유대인이란 점이다. 지난 100년간 노벨상을 받은 사람들 300명 중에 유대인이 100명을 넘는다. 경제학 분야에서는 65%, 의학분야에서는 23%, 물리학 분야에서는 22%가 유대인이다.

유대인 교육 8

• 종교와 교육을 합친 특별한 시스템 때문이다. 유대인의 삶의 핵심은 그들의 종교인 유대교(Judaism)이다. 유대교의 중심은 구약성경이다. 유대인들의 우수성의 핵심은 그들 종교의 경전인 구약성경을 어려서부터 반복교육 시키고 그런 반복교육을 통하여 삶의 체질화를 이룬 결과이다. 그 말씀의 대표적인 경우가 쉐마(Shema)로 알려진 구약성경 신명기 6장의 말씀이다.

• “들으라 이스라엘아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오늘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신명기 6장 4절~ 7절)

유대인 교육의 특징 8

Q & A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