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19-성공적인 부모리더십_짐 테일러_

2
제목: 성공적인 부모 리더십 저자(역자): 짐 테일러(2002)/노혜숙(2006) , 더난출판 2010-06 이 책에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 1. 성공적인 부모 리더십의 주요 체크리스트 2. 강의안에 포함시킬 인용문 찾기 3. 유진이에게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은? 주제: 아이를 성취형 인재로 키우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아이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성공적인 부모 리더십(Positive Pushing) 미리 짐작한 핵심단어 (목차 활용) 콜로라도대학 심리학교수 짐 테일러Jim Taylor, 성취형 인재, 때론 강하게 밀어붙여라, 무조건적인 사 랑, 높은 과제의 의한 자극, 최고보다는 최선, 자긍심4E, 감정의 주인, 아이가 좋아하는 일, 성취활동, 아이의 자유시간, 부모의 완벽주의, 정서적인 미숙, 감정표현, /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어 성취형 양육, 실수용인, 자긍심, 무조건적 사랑, 주제 및 저자입장에서의 대표문장 성취형 인재: 노력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배우게 되고 점차 자긍심이 생기며,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 고 소중한 교훈을 배우게 된다. 강제력 행사: 부모의 권리,책임,도덕적 의무, 긍정적인 강제력 Positive Pushing –모범/믿음 정직, 남에 대한 배려, 책임감과 열심히 노력하고 감사하는 법을 배우기를 기대해야 한다. 재능과 결과를 연결하게 되면, 재능만 믿고 노력하지 않게 된다. 아이디어 및 성찰 미 자녀양육철학 변천사는 두고 두고 활용할 만하다. (엄격한 비허용적 교육 -> 허용적 양육 -> 성취형 인재) 성취형 양육에 대한 개념을 익혀두자. End of page Page 인용하게 될 내용/기억하고 싶은 내용 6-7 미 자녀양육철학변천: 기독교적 세계관의 엄격한 비허용적 교육 -> 1950대 벤자민 스포크Benjamin Spock의 <유아와 육 아Baby and Child Care> 허용적 양육 (덜 불만스럽게 하여 더 건강한 정신적, 신체적 성장 도모) -> 1970년 후반 짐 테일러 성취형 인재(Positive Pushing) 24 “눈금을 올리면 재미있는 일이 일어난다. 사람들은 주어진 선을 넘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어떻게 해 서든 넘어간다. 인간은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놀라운 일들을 해낸다 – John Powers 24 성취형 인재: 노력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 을 배우게 되고 점차 자긍심 이 생기며, 성공과 실패를 경 하고 소중한 교훈을 배우게 된다. 이러한 경험들은 성패에 관계없이 최선을 다하는 것에서 느끼 는 만족과 성취동기를 깨닫게 해준다. 자신을 가장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삶 의 열정을 발견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해 준다. 25 강제력 행사: 부모의 권리,책임,도덕적 의무, 긍정적인 강제력 Positive Pushing –모범/믿음 32 강요 vs. 강요하는 방법

Upload: chang-kwon-chung

Post on 06-Mar-2016

217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독서노트19-성공적인 부모리더십_짐 테일러_

TRANSCRIPT

Page 1: 독서노트19-성공적인 부모리더십_짐 테일러_

제목: 성공적인 부모 리더십 저자(역자): 짐 테일러(2002)/노혜숙(2006) , 더난출판 2010-06

이 책에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

1. 성공적인 부모 리더십의 주요 체크리스트

2. 강의안에 포함시킬 인용문 찾기

3. 유진이에게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은?

주제: 아이를 성취형 인재로 키우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아이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성공적인 부모 리더십(Positive Pushing)

미리 짐작한 핵심단어 (목차 활용)

콜로라도대학 심리학교수 짐 테일러Jim Taylor, 성취형 인재, 때론 강하게 어붙여라, 무조건적인 사

랑, 높은 과제의 의한 자극, 최고보다는 최선, 자긍심4E, 감정의 주인, 아이가 좋아하는 일, 성취활동,

아이의 자유시간, 부모의 완벽주의, 정서적인 미숙, 감정표현,

/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어

성취형 양육, 실수용인, 자긍심, 무조건적 사랑,

주제 및 저자입장에서의 대표문장

성취형 인재: 노력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배우게 되고 점차 자긍심이 생기며,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

고 소중한 교훈을 배우게 된다.

강제력 행사: 부모의 권리,책임,도덕적 의무, 긍정적인 강제력 Positive Pushing –모범/믿음

정직, 남에 대한 배려, 책임감과 열심히 노력하고 감사하는 법을 배우기를 기대해야 한다.

재능과 결과를 연결하게 되면, 재능만 믿고 노력하지 않게 된다.

아이디어 및 성찰

미 자녀양육철학 변천사는 두고 두고 활용할 만하다.

(엄격한 비허용적 교육 -> 허용적 양육 -> 성취형 인재)

성취형 양육에 대한 개념을 익혀두자.

End of page

Page 인용하게 될 내용/기억하고 싶은 내용

6-7 미 자녀양육철학변천:

기독교적 세계관의 엄격한 비허용적 교육 -> 1950대 벤자민 스포크Benjamin Spock의 <유아와 육

아Baby and Child Care> 허용적 양육 (덜 불만스럽게 하여 더 건강한 정신적, 신체적 성장 도모) ->

1970년 후반 짐 테일러 성취형 인재(Positive Pushing)

24 “눈금을 올리면 재미있는 일이 일어난다. 사람들은 주어진 선을 넘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어떻게 해

서든 넘어간다. 인간은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놀라운 일들을 해낸다 – John Powers

24 성취형 인재: 노력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배우게 되고 점차 자긍심이 생기며, 성공과 실패를 경

험하고 소중한 교훈을 배우게 된다. 이러한 경험들은 성패에 관계없이 최선을 다하는 것에서 느끼

는 만족과 성취동기를 깨닫게 해준다. 자신을 가장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삶

의 열정을 발견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해 준다.

25 강제력 행사: 부모의 권리,책임,도덕적 의무, 긍정적인 강제력 Positive Pushing –모범/믿음

32 강요 vs. 강요하는 방법

Page 2: 독서노트19-성공적인 부모리더십_짐 테일러_

38 아이들이 부모에게 반항할 때는 종종 도움을 바라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이 반항

하는 이유를 안다고 생각하면 이내 수그러든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것이 얼마나 자신

에게 중요한 지 부모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 이상 반항하지 않는다.

– John Gray<Children are from Heaven>

40 아이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믿음

<아이들은 위한 종합스포츠Total Sports Experience for Kids> 오브리 파인Aubrey Fine과 마이클 작스Michael Sacshs

1)나는 사랑받고 있다_존중받는 느낌 2) 나는 할 수 있다_자긍심 3) 노력이 중요하다_노력의 가치

4)내 인생은 내가 책임진다_주인의식 5) 누구나 실수할 수 있다_불완전함의 수용 6) 일이 잘못되면 바로잡을 수

있다_역경극복 7) 내 생활을 즐긴다_열정과 행복의 가치 8) 나는 변화할 수 있다_감정조절능력

49 아이가 스스로 선택한 가치관을 표현하고 목표를 정해 달성하는 것을 “성공’으로 정의해야 한다

58 ‘나는 네가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하다’.

부모의 사랑은 아이가 애써 구걸할 필요가 없는 선물이 되어야 한다.

59 언제라도 돌아갈 수 있는 부모의 품이 있다고 생각하면 안정감을 느껴 성취활동에 집중한다.

76 자신에게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이 있다고 믿으면 자긍심이 생긴다.

79 정직, 남에 대한 배려, 책임감과 열심히 노력하고 감사하는 법을 배우기를 기대해야 한다.

80 결과에 대한 기대는 종종 아이를 친구들과 비교하게 만든다. 능력과 결과에 대한 기대는 성과급

사랑과 결부된다. 아이는 성공해도 그다지 기쁨을 느끼지 못한다. 단지 부모의 사랑을 유지할 수

있어서 안심할 뿐이다.

87 전반적 자긍심:행동(노력)과 결과의 관계에 대한 깨달음.노력하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는 믿음

89 재능과 결과를 연결하게 되면, 재능만 믿고 노력하지 않게 된다.

93 실수용인: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부모의 사랑을 잃어버릴까 봐 걱정하지 않으면 자긍심 위협X

100 성실성 = f(노력, 인내)

106 자긍심 = f(경험Experience + 기대Expectation + 노력Effort + 격려Encouragement)

143 “나는 예나 지금이나 항상 타이거에게 골프경기가 재미있다는 것을 가르쳐왔다.”

타이거 우즈의 아버지 얼 우즈

169-

175 의존적인 아이의 5가지 유형

1. 환심을 사려는 아이: 사랑 얻기 위해 규칙 지킴. 모범적으로 보이나 항상 자신을 질책. 욕구불만

2. 실망시키는 아이: 똑똑하나 자기파괴적. 실패하면 부모의 사랑을 잃게 될까봐 시도조차 안 한다.

3. 방항하는 아이: 통제가 싫으나 자기주장을 펼 용기 없음. 이런 무력감은 분노와 원망을 일으킴

4. 부모을 애태우는 아이: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

5. 부모를 거절하는 아이: 철저히 거부, 이탈로 인한 대가 치름. 그나마 의존형 중 가장 건전함

176- 부모≠아이의 친구: 엄한 부모가 되면 아이와의 ‘우정’이 깨질까 봐 두려워 함. 우정이 성립되기 위

해서는 쌍방이 동등한 입장이어야 한다. 따라서 부모의 행복을 아이에게 떠넘기는 것.(협력자역할)

End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