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원전부품 구매시스템 개선 등 원전산업의 근본적인 체질 ... ·...

378

Upload: others

Post on 03-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우리나라는 1978년 고리 1호기의 준공을 시작

    으로 현재 23기의 원전을 가동중이며, 원자력

    발전은 국내 전력수요의 약 30%를 담당하는 등

    부존자원이 없는 우리나라가 산업발전을 이루고

    국민 물가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었습니다. 정부와 원자력계의 일관된 정책

    의지와 끊임없는 연구개발은 신형 경수로, 한국 표준형 원전개발 등 원자력

    기술자립을 이끌었고, 나아가 연구용 원자로와 상용 원전, 원전 플랜트

    건설을 수출하는 세계 5위의 원자력 강국으로서 오늘날 대한민국을

    자리매김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2013년은 원자력계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된 해

    였습니다. 2011년부터 미국과 함께 파이로 사업에 대한 기술성·경제성·

    핵 비확산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동연구를 원활하게 추진하면서 사용

    후 핵연료 처리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수출 분야에서는

    최초의 해외 연구로 건설사업인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의 건설허가를 획득

    하였으며, UAE 원전 건설 사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지난해 말 ‘원자력 창조경제 실천계획’을 수립하여

    원자력 분야의 신산업 창출을 위해 4대 전략과 10대 실천과제를 제시하는 등

    창조경제의 새로운 동력으로 발전해 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발간사

  • 아울러 원전부품 구매시스템 개선 등 원전산업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위해 원전 관리·감독 개선방안, ‘원전산업정책협의회’의 정기적 운영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데 노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지난 한 해 정부가 원자력의 활성화를 위해 추진해 온 정책

    및 사업 성과를 모아「2014 원자력백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이 백서가

    원자력 발전에 대한 각종 정보와 필요성을 올바르게 전달하는 매개가 되어

    원자력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넓히고 중요성을 공감하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원자력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번 백서의 발간을 위해

    수고하신 원자력 분야 전문가 및 관계자 여러분께 지면을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14년 5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최 문 기

  • ▲ 원자력기업을 방문하여 현장 의견을 듣는 최문기 장관 (2013년 12월 27일)

    ▲ 한영 원자력기술 협력 MOU를 체결하는 후 최문기 장관 (2013년 11월 6일)

  • ▲ 제57차 국제원자력기구(IAEA)정기총회에서 연설하는 이상목 차관 (2013년 9월 17일)

    ▲ 경주 양성자가속기 운영개시 (2013년 7월 22일)

  • Contents

    2014 원자력백서 i

    Chapter 01 총 론 ··············································· 1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 3

    1. 국가 원자력 이용 현황 ······························································· 5

    2. 원자력 정책 방향 ····································································· 12

    가. 국정과제와 원자력정책 ······················································· 12

    나. 원자력 창조경제 구현 ························································· 15

    다. 장기 원자력발전 비중 확정 ················································ 19

    라.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출범 ········································ 21

    마.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시한 연기 ································· 23바. 원전 수출 전략 수립 ·························································· 25

    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건설 추진 ·························· 27

    3. 국제 동향 ················································································· 29

    가. 국제 에너지 수급동향 ························································· 29

    나. 해외 주요국의 에너지정책 동향 ·········································· 31

    다. 해외의 원자력 정책 동향 ···················································· 35

    라. 향후 원자력 이용개발 전망 ················································ 39

    마. 국제 핵비확산 정책 동향 ···················································· 41

    제2장 주요 성과 ································································· 47

    1. 기반 구축 ················································································· 49

    2. 연구 개발 ················································································· 56

    3. 해외 수출 ················································································· 61

  • ii 2014 원자력백서

    4. 원자력 창조경제 실천계획 수립 ··············································· 64

    가. 추진 배경 ··········································································· 64

    나. 추진 경과 ··········································································· 65

    다. 주요내용 ············································································· 66

    5. 원자력산업국제회의(ICAPP 2013) 개최 성과 ··························· 69

    Chapter 02 각론 ·············································· 75

    제1장 원자력 R&D 추진 ···················································· 77

    1. 추진 개요 ················································································· 79

    가. 추진 경과 및 체계 ······························································ 79

    나. 2013년도 주요 추진실적 ···················································· 81

    2. 원자력기술개발사업 ·································································· 84

    가. 사업개요 ············································································· 84

    나. 세부 분야별 추진실적 ························································· 86

    3. 방사선기술개발사업 ·································································· 93

    가. 사업개요 ············································································· 93

    나. 세부 분야별 추진실적 ························································· 96

    4. 방사선연구기반확충사업 ························································· 102

    가. 사업개요 ··········································································· 102

    나. 추진실적 ··········································································· 104

    5.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 107

    가. 사업개요 ··········································································· 107

    나. 세부 분야별 추진실적 ······················································· 110

  • Contents

    2014 원자력백서 iii

    6. 수출용 신형연구로 사업 ························································· 119

    가. 사업개요 ··········································································· 119

    나. 추진 실적 및 향후 계획 ··················································· 120

    7. 중입자가속기 기술개발 사업 ·················································· 124

    가. 사업개요 ··········································································· 124

    나. 추진실적 ··········································································· 126

    8. 중소형원자로(SMART)사업 ······················································ 129

    가. 사업개요 ··········································································· 129

    나. SMART 건설 관련 안전성 향상 연구 ······························· 130

    다. SMART 기술 홍보 및 국제 협력 ······································ 137

    9.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신개념 치료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 ····· 139

    가. 사업개요 ··········································································· 139

    제2장 미래원자력시스템 개발 ········································· 145

    1. 연구개발 현황 ········································································ 147

    가. 추진 전략 ········································································· 147

    나. 시스템별 연구개발 현황 ··················································· 148

    2. 국제 공동개발 현황 ································································ 155

    가. 제4세대 원자력 시스템 국제포럼(GIF) ······························· 155

    나. 한・미 원자력국제공동연구(I-NERI) ···································· 1663.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공동연구개발사업 ······························ 169

    가. 사업 개요 ········································································· 169

    나. ITER 건설 현황 ································································ 171

    다. ITER 한국사업 ·································································· 171

  • iv 2014 원자력백서

    제3장 방사선 이용기술 증진 ··········································· 175

    1. 방사선이용 ············································································· 177

    가. 사업개요 ··········································································· 177

    나. 분야별 방사선이용 기관 및 인력 ······································ 178

    다. 방사성동위원소 등 수출입 및 생산 ·································· 180

    라. 분야별 방사선이용기술 ····················································· 187

    2. 수출입 기업 지원 ··································································· 192

    가. 국제 전시회 참가 지원 ····················································· 192

    나. 원자력기술수출지원단 활동 ··············································· 193

    3. 방사선의학 및 비상진료체계 운영 ·········································· 198

    가. 방사선 의학 ······································································ 198

    나. 방사선비상진료체계 운영 ·················································· 201

    제4장 원자력 국제협력 ···················································· 209

    1. 다자간협력 ············································································· 211

    가. 국제원자력기구(IAEA) ························································ 211

    나. 경제협력개발기구/원자력기구(OECD/NEA)와의 협력 ········· 223

    다. 지역협의체와의 협력 ························································· 227

    라. 기타 다자협력 ··································································· 236

    2. 양자간 협력 ··········································································· 239

    가. 미국과의 협력 ··································································· 239

    나. 러시아와의 협력 ······························································· 241

    다. 협약정 체결 ······································································ 243

    3. 원자력국제협력 협의회 ··························································· 246

  • Contents

    2014 원자력백서 v

    4. 민간분야 협력 ········································································ 248

    가. 원자력발전분야 ································································· 248

    나. 방사선이용기술 분야 ························································· 254

    제5장 원자력 인력양성과 이해증진 ······························· 261

    1. 원자력 인력양성 ····································································· 263

    가. 개요 ·················································································· 263

    나. 인력현황 ··········································································· 266

    다. 인력양성 추진 ··································································· 272

    라. 원자력교육협력센터 활동 ·················································· 280

    2. 원자력 해외 인력양성 과정 ···················································· 287

    3. 원자력 이해증진 ····································································· 291

    가. 원자력 및 에너지 정보를 국민 눈높이에서 알기 쉽게 전달 ····· 291

    나. 미래 세대를 위한 장기적인 안목의 이해증진 ··················· 295

    다. 국민과 소통하는 정책콘텐츠 개발 ···································· 299

    라. 방사선 홍보전담체계 구축 및 대국민 이해활동 확대 ······· 301

    Supplement 부록 ············································ 305

    부록Ⅰ 제도 및 법령체계 ················································ 307

    1. 행정체계 ················································································· 309

    2. 위원회 ···················································································· 315

  • vi 2014 원자력백서

    3. 원자력법령 ············································································· 319

    가. 원자력 관련 법령 체제 개편 ············································ 319

    나. 원자력진흥 관련 법령 구성 ·············································· 322

    다. 원자력진흥 관련 법령의 제・개정 동향 ····························· 323라. 고시의 제・개정 ································································· 325

    부록Ⅱ 참고 및 통계자료 ················································ 327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성과 통계 ··············································· 329

    가. 전문학술지 논문게재 실적 ················································ 329

    나. 학술대회 논문발표 실적 ··················································· 332

    다. 지식재산권(특허) 출원실적 ················································ 333

    라. 지식재산권(특허) 등록실적 ················································ 334

    마. 학위 배출 실적 ································································· 335

    바. 사업화 실적 ······································································ 336

    사. 기술확산 실적 ··································································· 337

    아. 기술료 실적 ······································································ 338

    2. 원자력산업분야 분야별 매출액 구성도(2012년도) ·················· 339

    3. 원자력공급산업체의 분야별 매출액 추이 ································ 340

    4. 원자력발전사업체의 투자비용 추이 ········································ 341

    5. 원자력산업분야의 직능별 인력분포 추이 ································ 342

    6. 원자력산업분야의 분야별/직능별 인력분포(2012년도) ············ 343

    7. 원자력산업분야의 업종별 인력분포 추이 ································ 344

    8. 원자력산업분야의 연령별/근로조건별 인력분포(2012년도) ····· 345

    9. 원자력산업분야의 근속연수별 인력분포(2012년도) ················· 346

  • Contents

    2014 원자력백서 vii

    10. 원자력산업분야의 자격증 소지자 업종별 현황(2012년도) ······· 347

    11. 원자력산업분야의 면허증 소지자의 업종별 현황(2012년도) ···· 348

    12. 원자력산업분야의 기술도입 계약건수 추이 ·························· 349

    13. 원자력산업분야의 기술도입 계약금액 추이 ·························· 350

    14. 원자력산업분야의 수출 계약실적 및 계약건수 추이 ············· 351

    15. 원자력협력협정 체결현황(2013년) ········································ 353

    16. 원자력협력약정 체결현황(2013년) ········································ 356

    17. 양자간 공동위원회 개최현황(2013년) ··································· 358

  • viii 2014 원자력백서

    연도별 발전량(2009년~2013년) ·········································· 7

    국내 원자력 발전 세부현황 ················································· 8

    제1차 및 2차 에너지기본계획 비교 ··································· 20

    국제 원유 수급동향(2012년~2013년) ································ 30

    2012년~2014년 연구장비구축 사업 ·································· 52

    2013년도 연구시설 공동이용과제 ······································ 53

    2013년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자료현황 ································ 83

    연구개발 지원 분야 및 내용 ············································· 85

    미래형원자로시스템 주요성과 ············································ 87

    핵연료주기 주요 연구성과 ················································· 89

    원자력안전 주요성과 ························································· 91

    2013년 방사선기술개발사업 분야별 추진목적 및 연구개발 내용 ··· 95

    방사선기기연구기반구축사업 목표 및 내용 ······················· 104

    2013년 원자력기반확충사업 세부 프로그램 현황 ·············· 110

    2013년도 연구시설장비구축운영 지원실적 ························ 111

    2013년도 대형연구시설 공동이용활성화 지원실적 ··········· 112

    2013년도 전략기초연구분야 지원실적 ···························· 113

    2013년 원자력기초공동연구소 지원실적 ························· 114

    2013년 원자력선진기술연구센터 지원실적 ······················ 115

    연도별 원자력대학생 논문연구 지원현황

    (2002년~2013년) ························································ 116

    원자력인력기반확충분야 세부분야별 지원목적 ················· 117

    연도별 세부분야별 연구비 지원현황(2002년~2013년) ····· 118

    각 설계 분야 주요 업무 ················································ 121

    수출용 신형연구로와 기존 국내 설치 연구로 비교 ·········· 123

    2013년도(4차년도) 중입자가속기기술개발사업

    주요내용 및 실적 ························································· 125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신개념 치료기술개발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목적 및 내용 ························································· 142

    GIF 회원국 현황 ····························································· 155

    GIF 선정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의 주요 특징 ···················· 156

  • 표 목차

    2014 원자력백서 ix

    GIF의 3단계 연구개발 협정 ············································· 157

    GIF 회원국의 기본협정 및 시스템약정 서명 현황 ·············· 158

    GIF 회원국의 프로젝트 약정 서명 현황 ···························· 159

    GIF 회원국의 주요 원자력 동향 ······································· 164

    한・미 I-NERI 추진 개요 ················································· 166 최근 10년간 한・미 I-NERI 과제 추진 현황(총괄표) ··········· 167 한・미 I-NERI 과제 ························································· 168 우리나라 조달품목별 조달약정 및 산업체 계약 현황 ······· 173

    ITER 국제기구 및 타회원국으로부터 용역사업 수주 현황 · 174

    방사선이용 분야별 인・허가 현황(2013년 12월말 현재) ····· 179 2013년 분야별 방사선작업종사자(원자력발전분야 제외) ····· 179

    2013년 분야별 방사성동위원소 수입내역 ························· 180

    방사성동위원소 최근 5년간 수입내역 ······························· 181

    2013년 주요 품목별 방사성동위원소 수입내역 ················· 181

    2013년 국가별 방사성동위원소 수입내역 ························· 182

    2012년-2013년 국내 방사성동위원소 생산현황 ··············· 183

    2012년-2013년 방사성동위원소 수출현황주) ··················· 184

    방사선발생장치 최근 5년간 수입 현황 ····························· 184

    2013년 국가별 방사선발생장치 수입 현황 ····················· 185

    방사선발생장치 최근 5년간 수출 현황주) ······················· 185

    2013년 국가별 방사선발생장치 수출 현황 ····················· 185

    2011/2012년 의료용 기기의 생산, 수출 및 수입금액 ····· 186

    최근 5년간 PET이용 검사 현황 ····································· 187

    최근 5년간 F-18(FDG) 이용현황 ··································· 187

    국내 주요 방사선 치료 장비 이용 현황 ·························· 189

    국내 양성자가속기의 현황 ············································· 190

    방사선비상진료 교육훈련 현황 ······································· 203

    방사선비상진료 인프라 지원 현황 ·································· 204

    분야별 방사선비상진료 자문위원회 세미나 개최 현황 ······ 205

    방사선비상진료 클리닉 운영 현황 ·································· 206

    방사선비상진료 국제협력 현황 ······································· 208

  • x 2014 원자력백서

    우리나라의 IAEA 자문위원회 및 기타위원회 참여 현황

    (2013년 말 기준) ··························································· 222

    해외원전 소유자그룹 현황 ··············································· 252

    국내 원자력산업분야의 주요 분야별 남・여 인력분포 ········· 267 국내 원자력산업분야의 주요 분야별 인력분포 ··················· 267

    기관별 해외대상 단기 교육훈련과정* 운영 현황(2012년) ··· 288

    기관별 학위과정 운영 현황(2012년) ································· 288

    기관별 국제기구 교육훈련 과정 운영현황(2012년) ············ 289

    주요 원자력 유관기관 ················································· 313

    원자력진흥위원회 위원 현황 ········································ 316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위원 현황 ··························· 318

    원자력 관련 법률 ······················································· 319

    2011년도 원자력진흥 관련 법령의 제・개정 ·················· 324

  • 그림 목차

    2014 원자력백서 xi

    국내 원자력발전소 현황 ··················································· 7

    방사성동위원소등의 연도별 인허가 추이 ························· 11

    정부의 국정과제와 원자력정책 ······································· 13

    중소기업 중심의 요르단 연구로 공급체계 ························ 16

    5개 권역별 원자력 R&D 특화 단지 ································ 18

    2035년까지 발전설비용량 대비 원자력 발전 비중 추이 ··· 21

    WNA 예측 연도별 세계 원전 용량 전망(~2030년) ·········· 41

    제4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2012년~2016년) ··················· 50

    제 4차 원자력연구개발 5개년 계획(2012년~2016년) ······ 51

    원자력 창조경제 실천계획 체계도 및 기대효과 ················ 67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추진절차 ········································· 81

    원자력연구개발사업 구조 ··············································· 82

    파이로 기술의 필요성 ···················································· 88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연혁별 변천과정 ······················ 107

    글로벌제약업체들의 연간 연구개발비용 및 신약개발 성과의 추이 ·· 140

    방사성동위원소 기술을 통한 신약개발 과정 단축 ··········· 141

    사업 추진 체계 ··························································· 143

    소듐냉각고속로 개발일정 ············································· 150

    에너지의 자원량 ·························································· 170

    우리나라 핵융합에너지 개발 단계 ································· 170

    방사선의학의 체계 ······················································· 199

    전국 방사선비상진료기관 현황(2012년 말 기준) ············ 201

    국가방사선비상진료체계 ··············································· 202

    IFNEC 운영체계 ·························································· 236

    국내 원자력산업분야의 직능별 인력분포 추이 ··············· 268

    국내 원자력산업분야의 업종별 인력분포 추이 ··············· 268

    국내 원자력 관련학과 연도별 재학생 현황 ···················· 269

    원자력분야별 연령분포 ················································ 271

    원자력 관련 행정체제 현황(2013년 말 현재) ············· 311

    원자력 행정조직 및 유관기관 현황 ··························· 312

    원자력 관련 법률의 변천과정 ··································· 321

  • Chapter 01총 론

  • 2014 원자력백서 3

    제1장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5

    제1장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1. 국가 원자력 이용 현황

    우 리나라의 원자력 이용은 에너지 수요증가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정치・사회적 측면, 경제・에너지 여건 등을 고려,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2013년 국가 전체 발전량의 27%를 담당하고 있는 원자력발전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따라

    2035년까지 전체 발전설비 대비 29%까지 확대될 계획이며, 방사선 이용은 2017년에

    연간 7조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국가 핵심 신산업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특히 2013년

    수립한 원자력창조경제 실천계획은 방사선분야 및 연구로・중소형원자로 분야에서의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원전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큰 측면에서 안전성 제고를 연구개발과 사용후핵연료의 안전관리를 위한 미래원자력

    시스템의 연구개발도를 전개하고 있다.

    2013년에도 세계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개발

    도상국을 중심으로 에너지 수요는 더욱더 증가할 것으로 IEA 등 국제 에너

    지 관련 기구들은 예측하고 있다. 한편 주요 에너지원인 석유의 가격은

    2013년 2분기에 90 $/bbl 대로 다소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나 시리아 사태,

    이집트 정정불안 등의 요인으로 다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기후변화협

    약은 1997년 교토의정서 채택 이후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의 첨예한 대립으로 포스트 교토체제를 합의하지 못하고 미국, 일

    본, 러시아, 캐나다 등 주요 국가가 탈퇴하는 진통을 겪고 있다. 그러나 현

  • 제1편 총론

    6 2014 원자력백서

    재 지구 기후변화 가속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국제적인 공

    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주요 국가는 에너지정책의 핵심 목표로 기후변화

    대응을 추진하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적인 요구는 향후 더욱

    강해질 것이 분명하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탈석유 전원정책

    의 일환으로 원자력발전을 시작하였고 그동안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원자

    력발전이 국가 주력 발전원으로서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중추적

    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국가 에너지원의 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에너지자원 빈국으로써 원자력은 안정적인 에너지 자원 확보 측

    면에서 절대적인 기여를 담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가 현재의 경제성장을 이

    룰 수 있었던 배경에 원자력 발전이 있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2014년 1월 수립된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전체 발전설비

    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26.4%에서 2035년에 29%로 확대

    될 예정이다. 이는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제시하였던 원전 설비

    비중(2030년 41%)보다 하향 조정되었으나, 여전히 국가 기간전원으로서 원

    자력발전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총 23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며 설비용량은 20,716 MW에 달한

    다. 원자력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량은 1978년 2,324 GWh에 불과하였으나

    2013년에는 138,784 GWh로 국가 전체 발전량의 27% 가량을 담당하고 있

    다. 국내 원전의 평균이용률은 원전 운영 기술과 경험이 부족했던 1970~1990

    년대에는 70% 수준이었으나 운영기술의 선진화를 통해 2000년 이후 연속

    해서 90% 이상의 높은 이용률을 달성하였다. 2013년에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로 인한 원전 안전 강화 및 불시 정시 등으로 인해 이용율이 80%

    대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나 세계 평균 보다는 여전히 3~4% 높은 수준을 유

    지하고 있다.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7

    국내 원자력발전소 현황

    구분 고리 월성 한빛 한울 합계

    기수 6 5 6 6 23

    설비용량(MWe) 5,137 3,779 5,900 5,900 20,716

    자료 : 한국원자력산업회의(http://www.kaif.or.kr)

    연도별 발전량(2009년~2013년)

    연도

    발전량(MWh)2009 2010 2011 2012 2013

    원자력 전체 147,770,807 147,473,755 154,723,107 150,327,259 138,783,972

    고리 원자력 26,542,553 28,077,946 35,522,219 37,174,040 29,647,804

    월성 원자력 19,331,402 18,221,262 21,550,526 27,291,855 19,670,140

    한빛 원자력 50,930,825 50,731,143 50,497,465 46,478,803 44,381,528

    한울 원자력 50,966,027 50,443,404 47,152,897 39,382,561 45,084,500

    자료 : 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http://www.khnp.co.kr)에서 발췌하여 재정리

  • 제1편 총론

    8 2014 원자력백서

    국내 원자력 발전 세부현황

    발전소명 설비용량(MWe) 노형 위치 상업운전일

    고리

    #1 587

    경수로 부산시 장안읍

    1978. 4. 29

    #2 650 1983. 7. 25

    #3 950 1985. 9. 30

    #4 950 1986. 4. 29

    신고리#1 1,000 2011. 2. 28

    #2 1,000 2012. 7. 20

    월성

    #1 679

    중수로경북 경주시 양남면

    1983. 4. 22

    #2 700 1997. 7. 1

    #3 700 1998. 7. 1

    #4 700 1999. 10. 1

    신월성 #1 1,000 경수로 2012. 7. 31

    한빛

    #1 950

    경수로 전남 영광군 홍농읍

    1986. 8. 25

    #2 950 1987. 6. 10

    #3 1,000 1995. 3. 31

    #4 1,000 1996. 1. 1

    #5 1,000 2002. 5. 21

    #6 1,000 2002.12. 24

    한울

    #1 950

    경수로 경북 울진군 북면

    1988. 9. 10

    #2 950 1989. 9. 30

    #3 1,000 1998. 8. 11

    #4 1,000 1999.12. 31

    #5 1,000 2004. 7. 29

    #6 1,000 2005. 4. 22

    계 20,716 - - -

    자료 : 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http://www.khnp.co.kr)에서 발췌하여 재정리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9

    우리나라의 방사선 이용은 산업발전에 따른 공정의 자동화, 보건 및 건

    강 의식의 향상에 따른 진단 및 치료 설비의 첨단화, 신물질 개발에 따른

    연구 기자재의 현대화 등에 따라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다. 2012년

    말 기준으로 RI(방사성동위원소) 및 RG(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하는 기관

    은 5,606개소로 2002년(1,998개)과 비교하면 약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용

    분야별로 보면 산업분야가 전체 이용기관의 74% 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공분야가 11%, 교육 및 연구 분야가 각각 5%, 의료분야가 약 4%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2013년 정부는 '원자력 창조경제 실천계획'에서 '방사선융

    합기술을 통한 신산업 창출'을 핵심 달성 목표로 선정하여 2017년까지 연간

    매출액 7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체가 참여

    한 개방형 연구개발 기획을 추진하고, 도출된 과제 중심으로 기업주도의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신설, 2017년까지 매년 25개 기업 규모로 지원할 계

    획이다. 또한 산업체가 권역별로 구축된 방사선 이용시설 활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방사선 연구시설 공동 활용 협의회'를 구축하여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운영모델을 수립할 예정이다.

    원자력 연구개발에 있어 우리나라는 2009년 요르단에 5 MWt급 연구용

    원자롤 수출한 바 있으며 경수로 기반 중소형 규모 일체형원자로인 SMART

    는 2012년 7월 세계 최초로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하였다. 연구용원자로는

    현재 2017년 건설 완공을 목표로 한 '수출용 신형연구로 사업'을 통해 핵심

    기술 개발 및 수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며 SMART

    의 경우 실증로의 국내 건설 타당성을 검토한 후 차별화된 수출전략에 따라

    차기 단계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사용후핵연료 포화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핵확산저항성 파이로 건식처리와 소듐냉각고속로(SFR)가

    연계된 순환형핵연료주기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으며, 향후 전망되는 수소

    경제시대의 대비차원에서 초고온가스로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아울

    러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중

  • 제1편 총론

    10 2014 원자력백서

    대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 수립, 자연재해 및 극한환경을 고려한 원전 리스

    크 성능분석 등 원자력 안전에 관련된 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한편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관련 분야에서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새로운 가치창출을 통해 풍요로운 사회를 실현」하는 것을 비전으로 제1차 방사선진흥계획(2012년 1월)을 발표하였다. 동 계획은 제4차 원자력진흥종합

    계획의 부문별 진흥계획으로의 법적 위상을 가지며 2012년부터 2016년까

    지 향후 5년간 방사선 과학기술 강국진입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

    표로 정책, 연구 인프라 및 인력, 방사선의학 및 방사선융합기술 등을 포괄

    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의료 및 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의 국내수요 충

    족, 연구로의 수출역량 강화를 위해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 '사업

    을 착수하여 2012년에는 부지상세조사, 환경영향평가 및 동위원소 생산시

    설 등 주요시설의 개념설계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최적의 의료용 중입자

    가속기 개발을 위해 2011년 12월 부산시 기장군에 착공한 중입자가속기센

    터는 건설공사와 가속기 설계 등이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정부의 방사선이용의 활성화 정책에 맞춰 방사선동위원소등의 인ㆍ허가

    기관수가 2000년 1,692개에 비해 2012년에는 5,606개로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 비해서도 451개가 늘어나는 등 와 같이 지속적인 성

    장 추세에 있다.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11

    방사성동위원소등의 연도별 인허가 추이

    자료 : 한국동위원소협회, 2012년도 방사선이용통계(2013년)

  • 제1편 총론

    12 2014 원자력백서

    2. 원자력 정책 방향

    2 013년 2월 새롭게 출범한 정부는 국정비전을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로 설정하고 비전 달성을 위한 5개의 국정목표와 140개 국정과제를 발표하였으며, 이중 5개 국정과제를 통해 원자력 안전관리체계, 안정적인 에너지수급을 위한 원자력의

    역할 등을 강조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국정과제 분석을 통해 원자력을 이용한 창조

    경제 구현 방안으로 원자력기술을 이용한 신산업 발굴, 원자력을 둘러싼 사회이슈 해결,

    원자력기술 확산 생태계 구축, 원자력기술과 타 기술의 융합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2013년에는 장기 원자력발전 비중이 새롭게 확정되었으며 점증하는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하였다. 그러나 2014년 만료

    되는 한미원자력협력협정에 있어 한・미는 다수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농축, 파이로 등 일부 조항에 대한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함에 공감하고 협정 만료시한을 2년 연장하기로

    합의하였다.

    가. 국정과제와 원자력정책

    2013년에는 제18대 대통령의 취임과 더불어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였고,

    신정부는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라는 국정비전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5대 국정목표,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140개 국정과제를

    발표(2013.2.21)하였다. 이 140개 국정과제 중 원자력이 직접적으로 거론

    된 과제는 다음의 5개로 요약될 수 있다.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13

    정부의 국정과제와 원자력정책

    '국정과제 18'에서는 해외건설・플랜트, 원자력발전소 등 건설・원전산업의 해외진출 촉진을 통해 신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자 하였고, 이의 일환으

  • 제1편 총론

    14 2014 원자력백서

    로 위해 원전플랜트 수주 확대를 강조하였다. 세부 실천전략으로는 국가별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수출전략 수립・추진과 수주활동 적극 지원, 대기업이 주도하는 플랜트수출 이외에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기자재 틈새시

    장 진출 역량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원전운영・정비・계속운전 등 서비스・기술시장에의 적극 대응, 미 자립기술 국산화, 원전 건설・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 적기확보 등을 적시하였다.

    '국정과제 95'에서는 원자력안전관리를 실질적으로 강화함으로써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원자력 안전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노후 원

    전(고리 1호기, 월성 1호기)에 대해서는 Stress Test를 실시하는 등 원전에

    대한 엄격한 안전점검을 시행할 것과 원전 부지별로 원전안전 정보공개센

    터를 설립하여 원전 정보 공개 등 국민의 신뢰 확보를 위한 안전규제의 투

    명성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원전비리의 근원적 척결을 위해 원전관

    리시스템 재정비,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력안전규제 전문역량을 확보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 역량과 기능을 세밀하게 설계할 것을 주문하였다.

    국정과제 원자력 정책관련 주요내용

    1. 과학기술을 통한 창조 산업 육성

    - (거대・전략기술 기반산업) 우주발사체, 인공위성, 대형가속기, 원자력 등 대형 국가프로젝트 민간개방으로 산업생태계 구축

    18. 해외건설・플랜트 및 원전산업 진출 지원

    - (원전플랜트 수주확대) 국가별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수출전략 수립・추진

    - 미 자립기술 국산화로 도입국의 기술이전 수요에 대응

    95. 원자력 안전관리체계 구축

    - (안전 R&D) 전체 원자력 R&D에서 안전연구 비중을 5년내 40%까지 확대- (원안위, 안전규제) 안전규제 투명성 제고, 안전규제 법령체계 정비,

    안전규제 홍보전담기구설치, 호기장 규제인력 확대, 원전관리시스템 재정비

    100. 안정적인 에너지수급 및 산업구조 선진화

    - (원전) 안정적인 전력공급, CO2 감축 등을 위해 불가피한 원전은 안전 최우선으로 운영・관리하고 금년 중 '25년 이후 적정규모를 재설정

    - 사용핵연료 관리를 위해 공론화위원회를 발족하고('13년4월), 논의결과를 토대로 임기내 중간저장시설 부지선정과 착공 추진

    128. 한미동맹과 한중동반자 관계의 조화・발전 및 한일관계 안정화

    -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방위비 분담 등 한미간 당면현안의 원만한 해결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15

    '국정과제 100'에서는 창조경제를 뒷받침하는 중장기 에너지 수급전략을

    새로 수립하고 원활한 수급을 보장하기 위한 에너지시장 구조 선진화를 강

    조하였다. 특히 원전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운영・관리하고, 2025년 이후 적정 원전규모를 면밀히 검토・제시하도록 하였다1). 또한, 사용후핵연료 관리를 위해 「공론화위원회」를 발족하고, 논의결과를 토대로 임기 내 중간저장시설 부지선정과 착공을 추진키로 하였다.

    '국정과제 128'에서는 한미 동맹을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심화 발전시키

    고자 하였고, 이를 위한 세부 방안으로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등 당면현안을

    원만히 해결하고자 하였다.

    나. 원자력 창조경제 구현

    국정과제를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사

    회 갈등 해소, 기술간 융합을 통한 신기술 개발이 창조경제의 핵심 키워드

    였다. 원자력 분야에서는 지금까지의 성과와 현재의 정책 환경을 토대로

    '수출 산업화를 포함한 신산업 발굴', '원자력을 둘러싼 사회이슈 해결', '기

    술 확산 생태계 구축', '기술 융합 산업 창출'의 4대 분야를 원자력 기술을

    활용한 창조경제 구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신산업 창출의 중심 역할은 중소형원전과 연구로의 수출을 위한 강소기

    업 생태계 구축과 방사선기술의 산업화이다. 연구로는 우리나라 최초로 원

    자력 시스템 분야의 수출 성과를 낸 항목으로 요르단과 수출 계약을 맺은

    1) 적정 원전규모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시에 반영하도록 하였으며, 민관워킹그룹이 발표('13.10.11)한

    권고안(원전비중 22%∼29%)을 토대로 다양한 채널의 의견수렴을 위해 공청회(3회), 토론회(10회), 국회보고

    (3회)를 거친 바 있으며, 에너지위원회('14,1,6)와 녹색성장위원회('14.1.8) 심의를 거쳐 국무회의('14.1.14)에서

    2035년 원전설비용량을 29%로 하는 계획이 확정되었다.

  • 제1편 총론

    16 2014 원자력백서

    이후 2013년 8월 건설허가를 획득하여 2016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요르

    단 연구로 건설에는 기존 대형 원전기업이 아닌 50여 중소・중견기업이 기기 납품과 건설 과정에 참여하는 공급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 이 공

    급생태계는 초기 단계이므로 추가 수요발굴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시

    켜야할 것이다. 연구로 해외시장은 향후 남아공, 네덜란드, 사우디 등에서

    신규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에는 기장에 의료용 방사성동위

    원소 공급을 위한 신형연구로 건설이 추진되어 새로운 원자력시스템 공급

    체계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세계최초로 일체형원자로 표준설계 인가를 획득(2012년

    7월)한 SMART 원자로가 기술 실증과 함께 해외 수출에 성공할 경우 대형

    원자로 공급망과 차별화된 강소기업 중심의 공급망 구성으로 창조경제 구

    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방사선기술 산업화 역시 우리나라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IT 및 메카트

    로닉스 기술을 접목하여 급증하고 있는 방사선 기기 및 소재 시장에 건실한

    기업 육성이 가능한 분야이다.

    중소기업 중심의 요르단 연구로 공급체계

    자료 : 한국원자력연구원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17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이 정치・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원자력 이용을 둘러싼 갈등이 증가되고 있고, 원자력 이용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사용후핵연료와 원전 해체 문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 원

    자력 창조경제는 원자력 이용과 연관된 사회적 이슈를 해결함으로써 불필

    요한 소모비용을 줄이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과 지속가능한 이용환경을

    구축하여 창조산업 육성을 위한 기틀을 수립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삼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지식기반형 안전기술 확보, 사용후핵연료의 기술

    적 관리방안 제시, 원자력 시설의 제염해체 원천기술 확보 및 미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실물 경제 측면에서 원자력의 창조경제 구현 성과를 보면 제1호 연구소

    기업 설립, 원자력밸리 조성 등 다른 분야에 비해 모범적인 실적을 기록하

    고 있다. 이에 만족하지 않고 원자력 기술기업들의 창업을 지원하고 원활

    한 기업 운영을 위해 전국 4개 권역에 원자력 R&D 특성화 단지를 조성하거

    나 추진 중에 있다. 또한 각 특화단지에는 대형원자력 시설을 중심으로 연

    관된 기술 기업들의 창업 및 보육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대전에는 다목

    적 연구로인 “하나로”와 성과확산관을 중심으로 원자력 기초・응용・실용화 연구 단지를 구축하고 있고, 정읍은 첨단방사선연구소 내 연구시설과 RFT

    실용화센터를 통해 농업・공업・의료 및 생명공학 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13년 본격 가동에 들어간 경주의 양성자 가속기를 중심으로 기

    업지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고, 기장의 신형연구로가 2017년 건설되면 방사

    성동위원소 가공산업과 중성자 조사서비스 산업이 육성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원자력 및 방사선 관련 산업들이 지속가능한 기업 운영 및 성장을

    위해 지역산업과 연계한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고, 이를 토대로 형성된 기업

    군이 지역의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제1편 총론

    18 2014 원자력백서

    5개 권역별 원자력 R&D 특화 단지

    자료 : 한국원자력연구원

    한편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원자력기술의 활용도 추진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항공・우주기술의 발달로 우주시대가 열리고 청정에너지원으로 수소가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 기술은 거대 전략 기술인 항

    공・우주 기술이나 에너지 이용 기술과 융합하여 미래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원자력 기술은 태생적으로 다학제의 융합된 분야로써 기존

    의 기계・전기・건설과의 결합에서 확장되어 정보통신, 국방, 항공우주, 의료, 기초과학 등과 결합한 융복합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19

    다. 장기 원자력발전 비중 확정2)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6%를 상회하고 있고 깨끗하고 편리한

    전력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대용량

    의 경제적 에너지원인 원자력발전은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국제 화석연료가격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석

    탄, LNG 등 화력발전 위주의 전원구성은 경제구조를 매우 취약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집약적 발전원인 원자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원과 함께 합

    리적인 전원을 구성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2014년 1월에 확정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장기 원자력발전

    의 비중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에너지 안보와 발전원의 경제성 그리고 기후

    변화대응을 고려한 온실가스 측면을 주요 요소로 감안하였으며 우리나라의

    부족한 부존자원상황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번 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선 다양한 측면에서 정책패러다임이 전환되

    었는데 핵심적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특징적인 것이 1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비해 산업계・시민단체・학계인사로 구성된 민관 워킹그룹의 권고안을 최대한 반영・마련한 개방형 프로세스를 최초도 도입한 것이다. 둘째, 수요추정방식의 공급확대 정책에서 가격체제 개편・ICT 기술을 활용한 효율투자 유인 등 수요관리형 정책으로 중심축을 이동한 것이다.

    셋째, 대규모 집중형 발전시설 확대방식에서 벗어나 분산형 전원을 활성화

    함으로써 대국민 수용성을 제고하고 계통 안정화를 도모하였다. 넷째, 에너

    지믹스는 에너지수급과 환경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에너지 안보, 온실가

    스 감축효과, 산업경쟁력, 수용성 등을 고르게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국민 신뢰회복을 위해 안전 최우선 원칙이 뿌리 내리도록 하고 에너지빈곤

    2) 산업자원통상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2014. 1.)

  • 제1편 총론

    20 2014 원자력백서

    층에 대한 에너지바우처 지원 등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추진하였다.

    정부는 금번 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국민들의 실생활과 산업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창조적이고 자발적인 에너지 효율개선 노력이 가속화되어 에

    너지 고효율 경제구조로의 조기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제1차 및 2차 에너지기본계획 비교

    구 분 제1차 계획 제2차 계획

    계획기간 '08년~'30년 '14년~'35년

    수립과정정부도로 초안작성

    (정부초안 마련 후 의견 수렴)개방형 프로세스 구조

    (민관 거버넌스가 초안 작성)

    수급기조 공급 중심형 수요 관리형

    수요관리 규제 중심 ICT + 시장기반

    발전소 배치 대규모 집중형 발전소 분산형 발전시스템

    원전설비 비중 41% 29%

    신재생 보급 11% 11%

    기 타 -∙ 분산형 발전비중(5% → 15%)∙ 에너지바우처 도입('15년)

    수립절차 에너지위원회 심의 에너지위원회 → 녹색성장위원회 → 국무회의 심의

    제1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전력수요곡선의 최소부하까지 모두 원자력

    발전으로 담당하도록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2030년도에 원전의 설비비중이

    41%에 달하였으나 금번의 2차 계획에서는 전력수요와 국민수용성, 계통안

    정성 등의 국내외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원전설비 비중을 하향조정하였다.

    원전비중(설비용량 기준)은 금번 처음 가동한 민관워킹그룹이 제안한 22%

    ∽29%의 권고안을 존중하되, 에너지안보, 온실가스 감축, 산업경쟁력 등을

    고려하고 원자력발전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감안하여 1차 계획의

    41%보다 축소한 29% 수준으로 결정하였다.

    2035년도에 원전설비비중이 29%가 되려면 총 43 GW의 원전설비가 필

    요한데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24년까지 36 GW의 원전건설・운영 계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21

    획3)이 이미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7 GW의 신규설비가 추가적으로 건설되

    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원전 건설기수는 전력수요, 운영허가 만료 원전의 계속운전 여부,

    건설・운영 여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며, 기본적으로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될 전망이다.

    2035년까지 발전설비용량 대비 원자력 발전 비중 추이

    자료 :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산업통상자원부, 2014)

    라.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출범4)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2013년 1월부터 원

    전지역, 시민사회단체, 국회, 전문가 등 이해관계자들과 다양한 논의를 거

    쳐 2013년 10월에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공론화위원

    회는 홍두승 위원장을 비롯하여 인문사회・기술공학・원전지역・시민사회분야 등 13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되었다. 동 위원회는 공론화 원칙을 자율

    적으로 결정하여 공론화과정 전반을 주관하고 공론화 결과를 2014년 말까

    3)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기 운영 중인 23기외에 11기 운영계획(건설 중 5기, 계획 중 6기) 확정4)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http://pecos.go.kr)

  • 제1편 총론

    22 2014 원자력백서

    지 정부에 권고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위원회는 공론화 과정 전반을 ①공

    론화 기반구축 → ②공론화 → ③권고안 구성 및 권고의 총 3단계로 구분하

    여 추진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2014년 2월까지 실행계획을 제출하여 공론화에 관한 기본

    방향 제시 및 의견수렴 체계와 방법 등을 구체화하고 2014년 2월에서 10월

    까지 실행계획에 따라 현안별, 의견수렴 대상별, 논의단계별 최적의 방법으

    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을 마련할 예정

    이다. 공론화를 통해 마련된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은 종합적 검토를 거

    쳐 2014년 12월까지 정부 권고안으로 제출할 계획이다.

    ▲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출범식,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2013년 10월 30일)

    정부는 공론화위원회가 사용후핵연료 관리문제에 대한 공론화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위원회에 대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충실히 수행할 계획이며 공론화 과정에서 정부의 의견 요청 시 위원회와 정부 간 소통 기구

    로 국무조정실 제2차장을 위원장으로,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안전행정부 등의 실장급으로 구성된 범부처 협의체를 구성하였다. 향후 정

    부는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을 최대한 존중하여 사용후핵연료 관리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23

    마.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시한 연기(1) 한・미 원자력협력협정의 체결 및 경과우리나라는 1956년 2월 3일 미국과 "원자력의 비군사적 사용에 관한 대

    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 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Agreement for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Civil Uses of Atomic

    Energy, 이하 '1956년 협정'이라 함)을 처음으로 체결하였다. 한미원자력협

    력협정에 따라 원자력 이용개발을 위한 우선조치로서 1956년부터 미국으

    로 원자력 관련 훈련생을 파견하기 시작하였다. 1956년 협정은 연구용 원

    자로 도입을 계기로 1958년 3월 14일 1차로 개정되었다. 1차 개정을 통해

    우리나라는 1958년 12월 미국의 제너럴 아토믹(General Atomics) 회사와

    트리가 마크 II(TRIGA MARK II) 연구용 원자로(100kW)의 구매계약을 체

    결하였다. 1956년 협정은 1965년 7월 30일 2차로 개정되었다. 2차로 개정

    된 협정에서는 1968년 12월 미국 걸프 제너럴 아토믹(Gulf General

    Atomic) 회사와 트리가 마크 III 연구용 원자로(2MW)의 구매계약을 체결하

    였다. 1956년 협정은 발전용 원자로 도입을 계기로 1972년 11월 24일 서명

    되고 1973년 3월 19일 발효된 "원자력의 민간 이용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

    와 미합중국 정부 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Agreement for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Civil Uses of Atomic Energy, 이

    하 '1972년 협정'이라 함)으로 대체되었다.5)

    5) 1956년 협정과 1972년 협정의 영문 명칭은 같으나 국문 명칭은 다르다. 1956년 협정은 'civil uses'를 '비군사

    적 이용'으로, 1972년 협정은 '민간 이용'으로 번역하고 있다.

  • 제1편 총론

    24 2014 원자력백서

    (2) 현행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 현황1972년 협정은 농축우라늄 공급 상한선 조정, 협정의 유효기간 변경 등을

    위해 1974년에 개정되었다.6) 현재의 한・미 원자력협력협정(이하 '한미협정'

    이라 칭함)은 1974년에 최종 개정된 것이다. 한미협정의 유효기간은 발효일

    (1973년 3월 19일)로부터 41년으로, 2014년 3월 19일에 만료된다. 한・미 양국은 현행 한미협정의 만료가 2014년 3월 19일로 도래함에 따라, 2007년

    5월 제28차 한・미 원자력공동상설위원회에서 현행 한미협정을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협정으로 완전히 대체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한・미간에는 2010년 10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1차 협상이 착수되었다. 제1차 협상에

    서는 한・미가 본격적인 문안 협상을 들어가기에 앞서, ① 한・미 양국이 과거 원자력협력의 성과를 평가하고, ② 한미협정이 개정되어야 할 방향에 대해

    상호 입장을 확인하였으며, ③ 한・미 핵연료주기 공동연구의 중요성에 따라 향후 동 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협의를 가졌다. 이외에도 한・미 양측은 향후 한미협정 개정 협상을 위한 절차적인 측면에 합의하였다. 한・미 양측은 제1차 협상을 통해 우리나라가 원자력 강국으로 성장한 점을 충분히 고려하고,

    양국의 호혜적인 이익을 위해 원자력 협력을 심화할 필요성에 적극 공감하

    면서 향후 협상을 진지하고 열린 마음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

    ▲ 제8차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 협상, 미국 워싱턴 D.C.(2013년 9월)

    6) 현행 한・미 원자력협력협정문은 전문, 본문 15조 및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25

    (3) 현행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연장한・미 양국은 2013년 12월 말 현재, 현행 한미협정을 개정하기 위하여

    8차례의 본협상 및 수차례의 실무협상을 개최하고, 수령국의 의무, 공급국

    의 권리, 협력의 범위 등 세부 문안에 대하여 협의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한미는 다수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농축, 파이로 등 일부 조항에 대한 추가

    적인 협의가 필요함에 공감하였다. 이에 한미는 2013년 4월 제6차 협상에

    서 현행 한미협정 유효기간의 만료에 따른 한미협정의 부재 상황을 방지하

    고 양측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협상을 진행하기 위하여, 현행 한미협정을

    2년 연장하기로 잠정 합의하였다. 또한 한미는 제6차 협상에서 향후 집중

    적인 협상을 진행하기 위하여 3개월마다 협상을 정례화하기로 합의하였다.

    현행 한미협정의 2년 연장을 위해서는 한미 양국에서의 관련 법적 절차가

    2014년 3월 이전에 마무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 의회는 한미협정

    2년 연장을 위한 관련 법안을 발의하였다. 2013년 9월 18일 미국 하원 외교

    위원장인 에드 로이스(Edward Royce)가 발의한 한미협정 연장 법안

    (H.R.2449)은 하원 전체회의에서 이날 출석의원 407명 전원의 찬성표를 얻

    어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 특히, 에드 로이스 위원장은 한미협정 연장 법

    안 투표에 앞서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한미협정이 2년 연장되

    기 위한 미국 내 절차는 미국 상원에서 하원에서 통과된 법안과 동일한 법

    안이 통과되고, 미국 대통령이 관련 법안에 서명해야 한다.

    바. 원전 수출 전략 수립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셰일가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전기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기존 노후 원전의 대체 수요로 인해 신규 원전 시장

    은 현재 상태를 유지할 전망7)이다. 다만 신규 발주될 원전은 안전성이 보다

    강화되고 건설에 필요한 금융 조달 방안이 요구되는 등 수출 여건 변화가

  • 제1편 총론

    26 2014 원자력백서

    발생하였다. 러시아, 프랑스, 일본 등 주요 원전 수출국들은 원전 수출 전담

    기구를 설치하고 주요 공급사간 전략적 제휴를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

    며, 수출 주도권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원전 건설 및 운영 경험과 전 단계 국내 공급

    망에 기반한 가격경쟁력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에 반해 핵심 수출

    인력 부족, 금융 조달 여력 미흡, 수출 모델 미확보 등은 약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부는 2013년 12월에 UAE 원전 수출 이후 답보상태를

    보이는 원전 수출 정체상황을 탈피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5대

    기본원칙과 6개 중점추진 과제로 구성된 '원전수출 추진전략(안)' 수립을

    검토하였다. 기본 원칙의 주요 내용은 국내 원전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국

    민 불안감을 해소하고, 수출 사업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실적 위주의

    무리한 전략을 지양하는 한편, 우리의 약점인 수출 재원 조달 방안을 확보

    하는 등 착실한 수출기반을 구축하는 것과 고부가가치 공급체인을 구축하

    여 기자재・용역 등 틈새시장을 개척하고, UAE 원전을 착실히 준공하여 대외신인도를 높이는 지속적인 수출 활동을 벌이는 것이다.

    중점추진 과제의 주요 내용은 크게 수출 전략수립과 수출 기반 확보고

    구분될 수 있다. 수출 전략은 2020년까지 신규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베

    트남, 사우디 등 중점 수주 대상국을 선정하여 도입국가 별 맞춤형 수출을

    추진하는 내용이다. 개도국 수출을 위해 신형 1,000MW 급 저용량 수출노

    형을 개발하고, 선진국 진출을 위해서는 설계인증 획득과 전략적 투자자로

    써 현지 사업자의 참여유도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원전 플랜트 이외에도

    기자재・용역 등 틈새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 우수 제작 업체와 전략적

    7) 향후 7년간(2014~2030) 약 170개의 원전이 발주될 전망(WNA)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27

    제휴를 추진하여 핵심 기자재 품목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수출 기반확

    보 측면에서는 우선 가장 큰 약점인 금융 조달 능력 확충을 위해 국내 ECA

    기관의 대출여력을 확대하고, 금리 산전구조 개선, 정부 금융기관과의 리스

    크 분담을 통해 수출 금융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수출 전문 인력 확보

    를 위해서는 공기업 정원의 적기확대, 해외 원전전문 인력 확보 및 양성방

    안의 이행, 현지 근무 여건 개선 등의 방안이 추진된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방안의 체계적인 수행을 위해 민관합동 원전 수출전략 T/F를 활용하

    여 체계적인 수출 거버넌스를 확립하는 것이다.

    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건설 추진

    2005년 부지 공모를 통해 선정된 경주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영구처분을 위해 총 80만 드럼 처분이 가능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이 건설 중에 있다. 1단계 공사는 10만 드럼을 수용 할 수 있는

    동굴처분장으로 201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98%의 진척율을 보이고 있으

    며 2014년 6월 완료 예정이다.

    ▲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공사현장의 처분장 사일로 전경

  • 제1편 총론

    28 2014 원자력백서

    원자력시설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 폐기물은 방사성폐기물이라는 고유특

    성을 고려하여 유효적절한 방법으로 폐기물을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방사성폐기물(이하 "폐기물"이라 칭함) 분류체계는 1994년도 국제원

    자력기구(IAEA)의 분류체계를 부분적으로 준용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

    서도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러 가지 종류의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음을 고려

    할 때, 현재와 같은 경주의 동굴처분장에 모든 중저준위폐기물을 처분하는

    것은 기술성과 효율성 등의 관점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에 따라 보다 경제적이고 부지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처분방식을 선

    정하고, 처분방식별 대상 폐기물을 선정한 결과 2단계부터는 천층처분 방

    식을 적용할 할 계획이다. 2단계 공사는 2012년 1월에 착수되었으며, 2016

    년 12월에 완료될 예정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주 방폐장에 총 80만 드럼을 처분하기로 계획되었으

    나, 장기적인 폐기물 발생량을 예측해 보면 최소한 100만 드럼 이상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현상은 지속적인 원전 건설 등 원자력 이용이 확

    대되기 때문인데, 초과하는 용량에 대한 감용 대책을 강구해야 하며, 경주

    방폐장의 농도 제한치를 초과하는 폐기물의 처분에 대해서도 대비하는 것

    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의 일환으로 방사능 준위에 맞는 처분방식을 선택하여 처분장 운영 효

    율성을 높이기 위해 폐기물 분류방식을 개선하고 있는데, 2009년에 IAEA에

    서 발행된 "Classification of Radioactive Waste(General Safety Guide No.

    GSG-1)"의 세분화된 폐기물 분류기준을 참고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KINS)은 신 분류 기준을 국내 법규에 반영할 계획을 갖고 있다.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29

    3. 국제 동향

    세 계 에너지수요는 2013년에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해외 주요국은 이러한 에너지 수요증가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정치・사회적 측면, 경제・에너지 여건 등을 고려하여 자국의 상황에 맞은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안정적・경제적 에너지원 확보, 온실가스 감축 대응, 에너지 안보 등을 고려하여 원전을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에 국제 에너지 관련 기구들은 원전 이용개발의 확대를 전망하고 있으며 원전 확대와

    더불어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들은 핵비확산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가. 국제 에너지 수급동향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 IEA)는 "석유시장보고서

    (Oil Market Report)"를 통해 2013년 평균 석유수요는 91.2 백만b/d(barrels

    / day), 평균석유공급은 91.6 백만b/d로 잠정 집계하였다8). 이는 2012년과

    비교하면 수요의 경우 1.2 백만b/d, 공급의 경우 0.6 백만b/d 증가한 수치이

    다. 석유수요는 OECD 및 비 OECD 국가의 비중이 비슷하였으며 중국이

    10.1 백만b/d로 전 세계 일일수요량의 11%를 차지하였다. 석유공급의 경우

    OECD 국가가 전체의 19%, 비 OECD 국가가 48%, OPEC이 33%를 차지하였

    으며 2012년에 비해 OPEC은 석유공급이 줄었지만 OECD 및 비 OECD 국가

    의 공급량이 늘어 이를 상쇄하였다. 2013년도 국제유가는 103.95 $/bbl로

    2012년(104.96 $/bbl) 보다 다소 하락하였으나 시리아사태, 이집트 정정불

    안 등의 요인으로 당초 국제기구들이 예상했던 것보다는 다소 상승하였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2013년 2분기에 90 $/bbl 대로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나

    3분기에는 경기지표 호전 및 중동지역의 지질학적 불안정 등의 요인으로 급

    상승하였으며 4분기에는 비 OECD의 공급증가로 다소 하락하였다9).

    8) IEA, 'Oil Market Report', 2014., 2.9) 국제유가는 WTI(West Texas Intermediate), Dubai, Brent유의 평균치임.

  • 제1편 총론

    30 2014 원자력백서

    국제 원유 수급동향(2012년~2013년)

    단위(백만 b/d)

    2012년 2013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평균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평균

    수요

    OECD 46.2 45.5 45.9 46.2 45.9 45.8 45.5 46.2 46.6 46.0

    비OECD 42.8 43.9 44.6 44.9 44.0 44.3 45.2 45.7 45.5 45.2

    세계 89.0 89.4 90.4 91.1 90.0 90.1 90.7 91.9 92.1 91.2

    공급

    OECD 20.0 19.7 19.4 20.5 19.9 20.6 20.5 21.1 21.8 21.0

    비OECD 53.4 52.9 53.0 54.1 53.4 53.8 54.2 55.0 55.9 54.7

    OPEC 37.5 37.9 37.8 37.1 37.6 36.8 37.3 37.1 36.2 36.8

    세계 90.9 90.8 90.8 91.2 91.0 90.6 91.5 92.0 92.1 91.6

    자료 : Oil Market Report(IEA, 2014)

    2012년 셰일가스 등장에도 불구하고 천연가스의 수요・공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천연가스 소비는 2012년보다 2.7% 증가한 3,390.6 십

    억m3을 기록할 전망이며 생산 역시 전년대비 2.4% 증가한 3446.1 십억

    m3을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은 가격 하락으로 인한 가스발전수요의 상승으

    로 천연가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서유럽은 재정위기와 석탄 가

    격의 하락으로 인해 2012년 2.0% 감소하였으나 2013년 상반기 이상기후로

    인해 2.3%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더불어 강한 수요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아시아의 가스수요는 2013년에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천연가스 생산에 있어 북미 지역은 셰일가스로 인한 낮은

    가스가격으로 2012년 대비 소폭 상승할 전망이지만 중동지역 및 아프리카

    지역은 5% 수준의 높은 생산량 증가가 전망된다. 국제 천연가스 가격에

    있어 미국 천연가스 가격은(Henry Hub) 2012년 셰일가스의 등장으로 1999

    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나 2013년에는 전년 대비 크게 상승

    할 전망이며 유럽의 천연가스 가격 또한 생산량 감소로 높은 가격을 기록할

    전망이다10)

    .

    10)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수요전망', 2013.9

  • 제1장 국가 원자력 현황 및 정책

    2014 원자력백서 31

    국제 석탄 소비는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신흥 개도국의 소비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되었으나 이상기온으로 인한 미국 및 유럽의 소비 증가, 일본의

    원전대체 석탄발전수요 확대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2.7%의 완만한 증가세

    를 기록하였다. 2013년 상반기 석탄 공급은 중국과 미국에서 국제 가격하

    락에 따른 생산량 조절로 공급량이 감소하였으나 인도와 호주의 증산정책

    으로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소폭(0.3%) 상승하였다11)

    .

    국제 에너지 수급 전망에 있어 IEA는 '세계에너지전망(WEO) 2013'을 통

    해 전 세계 에너지수요는 2011~2035년 사이에 1/3이 증가하며 신재생이

    77%, 원자력이 66%, 가스가 68%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세계

    에너지수요 증가의 90%는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며 향후 10년간은 중국이

    주도하겠지만, 2025년 이후에는 인도와 동남아시아가 수요의 중심으로 부

    상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에너지원별 전망은, 석유 부문에서는 타이트 오일

    이 향후 10년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겠지만, 현재의 판도가 크게 바뀌지는

    않을 전망이며 석탄은 그 비중이 2011년 47%에서 2035년 39%로 감소할

    전망이다. 가스 수요의 증가량은 다른 모든 에너지원의 증가를 압도하며

    2035년까지 석유와 석탄 수요를 합한 것보다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

    다. 신재생에너지는 천연가스를 넘어서서 2035년에는 석탄과 함께 발전용

    원료 1위 자리를 경쟁할 것으로 예측하였다.12)

    나. 해외 주요국의 에너지정책 동향13)

    미국 오바마 1기 행정부는 '신에너지정책(New Energy for America)'을

    통해 새로운 청정에너지부문의 일자리 창출과 기술개발, 에너지자립 강화,

    11)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수요전망', 2013.912) World Energy Outlook 2013, IEA, 2013, 11. 13) 본 부문의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하였음.

  • 제1편 총론

    32 2014 원자력백서

    기후변화 대응 등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이의 추진을 위해

    '2009 경제회복 및 재투자법(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

    ARRA)', '2012 클린에너지기준법(Clean Energy Standard Act of 201 :

    CESA)'을 제정하여 청정에너지부문에 대한 기술개발 촉진 및 투자증대를

    통해 청정에너지원 발전량 비중을 2035년까지 80%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2012년 11월 치러진 미 대통령 선거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재

    임에 성공함에 따라 미국의 에너지정책 방향은 친환경적인 관점에서 에너

    지・환경정책을 펼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