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약합편 方藥合編 약성가 藥性歌 -...

12
방약합편(方藥合編) 약성가(藥性歌) 방초(芳草) (삼십삼종(三十三種)) 1. 당귀성온주생혈보심부허축어결(當歸性溫主生血補心扶虛逐瘀結) 당귀(當歸)성온(性溫)하다. ()생혈(生血)시키며, 보심(補心)하고 (扶虛)하며, 어결(瘀結)쫓는다. 승검초뿌리 ①입심(入心)하여 ()생혈(生血)하고, 입비(入脾)하여 ()이혈(裏血)하고, 입간(入肝)하여 ()장혈(藏血)한다. ②담용 (痰用)에는 강즙초(薑汁炒)하고, 치상(治上)에는 주침(酒浸)하고, 치외(治外)에는 주세(酒洗)한다. ()온면(溫麵)()하고, 창포(菖蒲)해조(海藻) 생강(生薑)()하고, 웅황(雄黃)()한다. ④당귀(當歸)두부(頭部) 지혈(止血)한다. ⑤당귀신(當歸身)양혈(養血)하고, ⑥당귀미(當歸尾)(行血) 한다. (본초(本草)). 2. 천궁성온지두동양신생혈개울승(川芎性溫止頭疼養新生血開鬱升) 천궁(川芎)성온(性溫)하다. 두통(頭痛)멈추며 신생혈(新生血)() 하고 울혈(鬱血)풀어 준다. 궁궁 ①소양인경약(少陽引經藥)이며, 수족궐음기분(手足厥陰氣分)으로 들어간 . ②황련(黃連)()한다. ③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이 좋다. ④두면풍 (頭面風)부가결(不可缺)하다. 천궁(川芎)오래 복용(服用)하면 폭망(暴亡) 하기 쉽다. 골증(骨蒸)다한(多汗)에는 더욱 ()한다. [()]싹인데, 두목풍(頭目風)다스리고, 삼충(三蟲)없앤다. (본초(本草)).

Upload: others

Post on 31-Jan-2021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방약합편(方藥合編) 약성가(藥性歌)

    방초(芳草) (삼십삼종(三十三種))

    1. 당귀성온주생혈보심부허축어결(當歸性溫主生血補心扶虛逐瘀結)

    당귀(當歸)는 성온(性溫)하다. 주(主)로 생혈(生血)시키며, 보심(補心)하고 부

    허(扶虛)하며, 어결(瘀結)을 쫓는다.

    승검초뿌리 ①입심(入心)하여 그 심(心)에 생혈(生血)하고, 입비(入脾)하여 그

    비(脾)에 이혈(裏血)하고, 입간(入肝)하여 그 간(肝)에 장혈(藏血)한다. ②담용

    (痰用)에는 강즙초(薑汁炒)하고, 치상(治上)에는 주침(酒浸)하고, 치외(治外)에는

    주세(酒洗)한다. ③려여(䕡茹)․온면(溫麵)을 오(惡)하고, 창포(菖蒲)․해조(海藻)

    ․생강(生薑)을 외(畏)하고, 웅황(雄黃)을 제(制)한다. ④당귀(當歸)의 두부(頭部)

    는 지혈(止血)한다. ⑤당귀신(當歸身)은 양혈(養血)하고, ⑥당귀미(當歸尾)는 행

    혈(行血) 한다. (본초(本草)).

    2. 천궁성온지두동양신생혈개울승(川芎性溫止頭疼養新生血開鬱升)

    천궁(川芎)은 성온(性溫)하다. 두통(頭痛)을 멈추며 신생혈(新生血)을 양(養)

    하고 울혈(鬱血)을 풀어 준다.

    궁궁 ①소양인경약(少陽引經藥)이며, 수족궐음기분(手足厥陰氣分)으로 들어간

    다. ②황련(黃連)을 외(畏)한다. ③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이 좋다. ④두면풍

    (頭面風)에 부가결(不可缺)하다. 천궁(川芎)만 오래 복용(服用)하면 폭망(暴亡)

    하기 쉽다. 골증(骨蒸)․다한(多汗)에는 더욱 기(忌)한다. ⑤[미무(蘼蕪)]는 즉

    그 싹인데, 두목풍(頭目風)을 다스리고, 삼충(三蟲)을 없앤다. (본초(本草)).

  • 3. 사상신고하기쾌온중거풍어창개(蛇床辛苦下氣快溫中祛風瘀瘡疥)

    사상자(蛇床子)는 미신고(味辛苦)하다. 하기(下氣)하여 상쾌(爽快)하게 하고,

    온중(溫中)(약(藥)을 먹어 속이 따뜻해짐)하며, 풍(風)․어(瘀)․창(瘡)․개(疥) 등

    을 없앤다.

    뱀도랒씨 ①신(腎)․명문(命門)․삼초(三焦)의 기분약(氣分藥)이다. ②목단(牧

    丹)․패모(貝母)․파두(巴豆)를 오(惡)하고, 유황(硫黃)을 복(伏)한다. ③미초(微

    炒)해서 쓴다. ④남자(男子)의 양사(陽事)를 성(盛)하게 한다. ⑤유독 남자(男

    子)만 보조(補助)할 뿐 아니라, 부인(婦人)에게도 유익(有益)하다. 이를 버리고

    달리 도움을 구한다면 어찌 눈은 낮고 귀만 높음이 아니겠는가. (본초(本草)).

    4. 고본기온거풍능겸치한습전정동(藁本氣溫祛風能兼治寒濕巓頂疼)

    고본(藁本)은 기(氣)가 온(溫)하다. 거풍(祛風)에 능(能)하고, 겸(兼)하여 한

    습(寒濕)과 정수리의 동통(疼痛)을 다스린다.

    ①족태양(足太陽)으로 들어 간다. ②청상자(靑箱子)를 외(畏)한다.(본초(本

    草)).

    5. 백지신온배농왕양명두동풍열양(白芷辛溫排膿往陽明頭疼風熱痒)

    백지(白芷)는 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배농(排膿)시키며, 양명두동(陽明頭

    疼)과 풍열소양(風熱少陽)을 없앤다.

    구리때뿌리 ①수양명(手陽明)의 본경약(本經藥)인데, 승마(升麻)와 함께 쓰면

    수족양명(手足陽明) 및 수태음(手太陰)으로 행경(行經)한다. 선복화(旋覆花)를

    오(惡)하고, 웅황(雄黃)․유황(硫黃)을 제(制)한다. ②구규(九竅)를 통(通)하며,

  • 발한(發汗)에 불가결(不可缺)하다. (본초(本草)).

    6. 백작산한복통리능수능보허한기(白芍酸寒腹痛痢能收能補虛寒忌)

    백작약(白芍藥)은 미산(味酸) 성한(性寒)하다. 복통(腹痛)과 리질(痢疾)을 멎

    게 하며, 수렴(收斂)도 능(能)하고 보익(補益)도 능(能)하나, 허한(虛寒)에는 기

    (忌)한다.

    함박꽃뿌리 ①소독(小毒)이 있다. ②수족태음(手足太陰)으로 행경(行經)하며,

    간비혈분(肝脾血分)으로 들어 간다. ③화홍단엽(花紅單葉)으로 산중(山中)에 있

    는 것이 좋다. 흰 것은 보(補)하고 붉은 것은 사(瀉)한다. 죽도(竹刀)도 껍질을

    벗기고 밀증(蜜蒸)한다. 한(寒)을 피(避)할 자(者)에게는 주초(酒炒)해서 쓴다.

    (본초(本草)).

    7. 적작산한능산사파혈통경산후파(赤芍酸寒能散瀉破血通經産後怕)

    적작약(赤芍藥)은 미산(味酸) 성한(性寒)하다. 산사(散瀉)시키는 능력(能力)이

    있어서 파혈(破血)하고 통경(通經)하나, 산후(産後)에는 조심해야 한다.

    8. 목향미온능화위행간사폐산체기(木香微溫能和胃行肝瀉肺散滯氣)

    목향(木香)은 성미온(性微溫)하다. 능(能)히 위(胃)를 조화(調和)시키며, 행간

    (行肝) 사폐(瀉肺)하고, 체기(滯氣)를 헤친다.

    ①삼초(三焦)의 기분(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이기약(理氣藥)인데, 불을 보이

    지 말고 생용(生用)한다. 만일 대장(大腸)의 병사(病邪)가 실(實)하면 면외(麵煨)

    해서 쓴다. (본초(本草)).

  • 9. 감송미향욕기향제심복통오기량(甘松味香浴肌香除心腹痛惡氣良)

    감송(甘松)은 미향(味香)하다. 이 물에 목욕하면 살갗에 향기(香氣)가 난다.

    심복통(心腹痛)과 악기(惡氣)를 제거(除去)하는데 좋다.

    10. 양강성열하기량전근곽란주식상(良薑性熱下氣良轉筋藿亂酒食傷)

    양강(良薑)은 성열(性熱)하다. 기(氣)를 내리고 전근(轉筋)․곽란(藿亂)․주식상

    (酒食傷)에 좋다.

    ①족태음(足太陰) 양명(陽明)에 들어 간다. ②씨는 [홍두구(紅荳蔲)]라고 하며,

    치효(治效)는 양강(良薑)과 같고, 또 주독(酒毒)을 푼다. (본초(本草)).

    11. 초구신온식무미구토작통한범위(草蔲辛溫食無味嘔吐作痛寒犯胃)

    초두구(草荳蔲)는 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식음(食飮)에는 맛이 없고, 구

    토(嘔吐)․작통(作痛) 등 한사(寒邪)가 위(胃)를 범(犯)한데 쓴다.

    ①밀가루로 싸서 외(煨)한다. ②태음양명(太陰陽明)으로 들어 간다. ③초두구

    (草荳蔲)와 초과(草果)는 비록 같은 종류(種類)이나, 건녕산(建寧産)이 초두구(草

    荳蔲)이고, 전광산(滇廣産)은 초과(草果)이다. (본초(本草)).

    12. 초과미신소식창절학축담피온장(草果味辛消食脹截瘧逐痰辟瘟瘴)

    초과(草果)는 미신(味辛)하다. 식체창만(食滯脹滿)을 소(消)하고, 학질(瘧疾)

    을 떼고 담음(痰飮)을 몰아내고, 온역(瘟疫)과 장역(瘴疫)을 물리친다.

    면외(麵煨)해서 갈아서 쓴다.

  • 13. 백구신온조원기능거장예구번위(白蔲辛溫調元氣能祛瘴瞖嘔翻胃)

    백두구(白豆蔲)는 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원기(元氣)를 조화(調和)시키며,

    능히 장역(瘴疫)․목예(目瞖)․구토(嘔吐)․번위(翻胃) 등을 떨어버린다.

    ①거피(去皮)․초연(炒硏)해서 쓴다.(입문(入門)). ②다섯 가지의 주작용(主作

    用)이 있는데, 일(一)은 폐경(肺經)으로 들어가고, 이(二)는 흉체(胸滯)를 소산

    (消散)시키고, 삼(三)은 한복통(寒腹痛)을 제거(除去)하고, 사(四)는 비위(脾胃)

    를 난(煖)하고, 오(五)는 태양경(太陽經)의 적안홍근(赤眼紅筋)을 없애는 것이다.

    (본초(本草)).

    14. 사인온양위진식선통경태안통식(砂仁溫養胃進食善通經胎安痛息)

    사인(砂仁)은 성온(性溫)하다. 위(胃)를 보양(補養)하여 식욕(食慾)을 증진시

    키고, 통경(通經)이 잘 되게 하며, 안태(安胎)하게 하고, 지통(止痛)시킨다.

    ①수족태음(手足太陰) 양명(陽明) 태양(太陽)과 족소음(足少陰)으로 들어 간다.

    ②백단(白檀)과 두구(豆蔲)를 얻으면 폐(肺)로 들어 가고, 인삼(人蔘)․익지인(益

    智仁)을 얻으면 비(脾)로 들어 가고, 황백(黃栢)․복령(茯苓)을 얻으면 신(腎)으로

    들어 가고, 적석지(赤石脂)를 얻으면 대장(大腸)․소장(小腸)으로 들어 간다. ③

    동(銅)이나 철(鐵)을 화합(化合)하면 뼈를 굳게 한다.(본초(本草)). ④느슨한 불

    (만화(熳火))에 초(炒)해서 갈아서 쓴다. (입문(入門)).

    15. 익지신온치구요안신익기유정닉(益智辛溫治嘔要安神益氣遺精溺)

    익지인(益智仁)은 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구토(嘔吐)를 다스림에 요긴하

    며, 안신익기(安神益氣)하고, 유정(遺精)․유닉(遺溺)에도 쓰인다.

  • ①심(心)은 비(脾)의 모(母)이다. 진식(進食)으로 비(脾)를 조화(調和)시킬 뿐

    아니라, 화(火. 心)가 토(土. 脾)를 생(生)하는 것이니, 심약(心藥)을 비위(脾胃)

    로 들어 가게 하여 토중(土中)에서 화(火)를 더하게 함이 마땅하다. 보약중(補

    藥中)에 겸용(兼用)하되 다용(多用)하지는 말라. ②거각(去殼)하고 초(炒)해서

    갈아서 쓴다. (본초(本草)).

    16. 필발신온하기이현벽음산곽사리(蓽撥辛溫下氣易痃癖陰疝霍瀉痢)

    필발(蓽撥)은 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하기(下氣)를 쉽게 하며, 현벽(痃癖)

    ․음산(陰疝)․곽란(霍亂)․사리(瀉痢)를 다스린다.

    ①수족양명(手足陽明)으로 들어 간다. ②초침일숙(醋浸一宿)하여 배건(焙乾)

    한다. ③다복(多服)하면 목혼(目昏)하고 상폐(傷肺)한다. (본초(本草)).

    17. 육구신온위허냉사리불지공가등(肉蔲辛溫胃虛冷瀉痢不止功可等)

    육두구(肉豆蔲)는 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위(胃)가 허냉(虛冷)하여 사리

    (瀉痢)가 멎지 않는 증세(症勢)에는 효력(效力)이 가(可)히 월등(越等)하다.

    ①수족양명(手足陽明)에 들어 간다. ②초(醋)로 반죽한 면(麵)으로 싸서 외숙

    (煨熟)한 다음 꺼내어 종이로 싸서 기름을 두들겨 뺀다. 구리그릇을 가까이 하

    지 말라. (본초(本草)).

    18. 파고지온염주초요슬통급고정교(破古紙溫鹽酒炒腰膝痛及固精巧)

    파고지(破古紙)는 성온(性溫)하다. 염초(鹽炒)나 주초(酒炒)해서 쓰면, 요통

    (腰痛)․슬통(膝痛)을 다스리며, 고정(固精)하는 효력(效力)이 교묘(巧妙)하다.

  • ①일명(一名) [보골지(補骨脂)]. ②심포(心包)의 화(火)를 명문(命門)의 화(火)

    에 통(通)하게 한다. ③감초(甘草)를 오(惡)하고, 양육(羊肉)과 모든 피를 기(忌)

    하며, 호마(胡麻)나 호도(胡桃)를 얻으면 좋다. (본초(本草)).

    19. 강황미신능파혈소옹하기심복결(薑黃味辛能破血消癰下氣心腹結)

    강황(薑黃)은 미신(味辛)하다. 파혈(破血)하고 소옹(消癰)하고 하기(下氣)하는

    효능(效能)이 있으며, 심복결적(心腹結積)에도 쓰인다.

    ①약성(藥性)이 열(熱)하고 불랭(不冷)하다. 대한(大寒)이라고 함은(含銀) 잘

    못이다. ②수비(手臂)로 들어갈 수 있다. (본초(本草)). ③초초(醋炒)해서 쓴

    다.(입문(入門)). ④효력(效力)은 울김초(鬱金稍)와 같은데, 기미(氣味)가 더 강

    렬(强烈)하다. (경악(景岳)).

    20. 울금미고파제혈임닉견혈급울결(鬱金味苦破諸血淋溺見血及鬱結)

    울김(鬱金)은 미고(味苦)하다. 제혈(諸血)을 파(破)하며, 림혈(淋血)․익혈(溺

    血)(뇨혈(尿血)) 및 혈울결(血鬱結)에 쓰인다.

    심황 ①성한(性寒)하다.(경악(景岳)은 기온(氣溫)이라고 하였다.) ②화(火)와

    토(土)에 속(屬)하나 수(水)도 있으며, 그 성(性)이 경양(輕揚)하여 상행(上行)한

    다. (본초(本草)). ③[증(增)]울금(鬱金)과 강황(薑黃)은 본시 다른 풀인데, 운림

    (雲林)이 같은 풀이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④시인(市人)들은 흔히 강황(薑黃)

    을 울금(鬱金)이라 속인다. (비요(備要)).

    21. 아출온고파현벽소어통경지통극(莪朮溫苦破痃癖消瘀通經止痛劇)

    아출(莪朮)은 성온(性溫) 미고(味苦)하다. 현벽(痃癖)을 파(破)하며, 어혈(瘀

  • 血)을 풀고 통경(通經)하게 하고, 극통(劇痛)을 멎게 한다.

    ①일명(一名) 봉아술(蓬莪荗). ②간경(肝經)으로 들어가 기중(氣中)의 혈(血)

    을 다스린다. ③술과 초(醋)를 함께 쓰면 좋다. (본초(本草)). ④완고(頑固)한

    적(積)이 아니면 쓰지 말아야 한다. (경악(景岳)).

    22. 삼릉미고이혈벽기체작동허막척(三稜味苦利血癖氣滯作疼虛莫擲)

    삼릉(三稜)은 미고(味苦)하다. 혈벽(血癖)․기체(氣滯) 작동(作動)을 다스린다.

    허증(虛證)에는 쓰지 말라.

    매자깃뿌리 ①간경혈분(肝經血分)으로 들어 간다. ②성온(性溫)한데, 일설(一

    說)에는 색량(濇凉)하다고 하였다. ③초침(醋浸)하여 초(炒)하거나 포숙(炮熟)한

    다. (본초(本草)).

    23. 향부미감소숙식개울조경통가식(香附味甘消宿食開鬱調經痛可息)

    향부자(香附子)는 미감(味甘)하다. 숙식(宿食)을 삭히고, 개울(開鬱) 조경(調

    經)하며, 통증(痛症)도 멎게 한다.

    향부자 ①즉 사근(莎根)이다. ②간삼초약(肝三焦藥)인데, 십이경(十二經)을

    겸행(兼行)하며 맥기분(脈氣分)으로 들어 간다. ③동변(童便)․초(醋)․천궁(川芎)

    ․창출(蒼朮)을 얻으면 좋다. ④철(鐵)을 기(忌)한다. ⑤날 것은 상행외달(上行

    外達)하고 하주외철(下走外徹)한다. 초흑(炒黑)하면 지혈(止血)하고, 동변초(童

    便炒)하면 입혈(入血)하여 보허(補虛)하고, 염수초(鹽水炒)하면 입혈윤조(入血潤

    燥)하고, 주초(酒炒)하면 행경(行經)하고, 초초(醋炒)하면 소적(消積)하고, 강초

    (薑炒)하면 화담(化痰)한다. (본초(本草)).

  • 24. 곽향신온지구토발산풍한곽란주(藿香辛溫止嘔吐發散風寒霍亂主)

    곽향(藿香)은 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구토(嘔吐)를 멎게 하며, 풍한(風寒)

    을 발산(發散)시키고, 곽란(霍亂)을 다스린다.

    수족태음(手足太陰)으로 들어 간다. (본초(本草)).

    25. 택란감고소옹종타박손상허부중(澤蘭甘苦消癰腫打撲損傷虛浮重)

    택란엽(澤蘭葉)은 미감고(味甘苦)하다. 옹종(癰腫)․타박손상(打撲損傷)․음허부

    종(陰虛浮腫)이 심(甚)한 것을 다스린다.

    ①약성(藥性)은 소온(小溫)하다. ②족태음(足太陰) 궐음(厥陰)으로 들어 간다.

    ③방기(防己)를 사약(使藥)으로 삼는다. ④부인방증(婦人方證) 중에서 가장 급

    (急)한 데 쓴다. (본초(本草)).

    26. 향유미신치상서곽란변삽종번거(香薷味辛治傷暑霍亂便澁腫煩去)

    향유(香薷)는 미신(味辛)하다. 상서(傷暑)를 다스려 곽란(霍亂)․변삽(便澁)․부

    종(浮腫)․심번(心煩)을 제거(除去)한다.

    소양기 ①일명(一名) 향여(香茹). ②약성(藥性)은 미온(微溫)하다. ③금(金)

    과 수(水)에 속(屬)하며, 철상(徹上) 철하(徹下)하는 효력(效力)이 있다. ④화기

    (火氣)를 범(犯)하지 말라. 묵은 것이 좋다. ⑤기허(氣虛)에 다복(多服)하는 것

    은 불가(不可)하다. (본초(本草)). ⑥경(莖)을 버리고(거경(去梗)) 강초(薑炒)해

    서 쓴다. (입문(入門)).

  • 27. 형개미신청두목표한거풍창어축(荊芥味辛淸頭目表寒祛風瘡瘀蹙)

    형개(荊芥)는 미신(味辛)하다.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표한(表寒)을 쫓고, 풍

    창(風瘡)․어혈(瘀血)을 물리친다.

    명가 ①본명(本名)은 가소(假蘇). ②족궐음기분(足厥陰氣分)으로 들어간다.

    ③무린어(無鱗魚)를 기(忌)한다. 게(蟹)를 함께 먹으면 풍(風)이 동(動)하고, 황

    상어(黃顙魚)를 형개(荊芥)와 함께 먹고 생강(生薑)과 겨자(개(芥))를 먹으면 당

    장 죽는다. (본초(本草)). ④치혈(治血)에는 초흑(炒黑)해서 쓴다. 치자(梔子)․

    건강(乾薑)․지유(地楡)․종려(棕櫚)․오령지(五靈脂) 등도 초흑(炒黑)해서 쓰는데,

    흑(黑)으로써 혈(血)을 차(借)하는 것이다. ⑤묵은 것이 좋다. (비요(備要)).

    28. 박하미신청두목풍담골증구가복(薄荷味辛淸頭目風痰骨蒸俱可服)

    박하(薄荷)는 미신(味辛)하다. 머리와 눈을 맑게 한다. 풍담(風痰)과 골증(骨

    蒸)에도 복용(服用)할 수 있다.

    영생이 ①미신(味辛) 성량(性凉)하다. ②수족궐음(手足厥陰) 기분(氣分)으로

    들어 간다. ③모든 약(藥)을 인도(引導)하여 영위(營衛)로 들어가므로 풍한(風寒)

    을 발산(發散)시킨다. ④고양이(묘(猫))․개(견(犬))․호랑이(호(虎))의 술(주(酒))

    이다. (본초(本草)).

    29. 자소미신해풍한경능하기창가안(紫蘇味辛解風寒梗能下氣脹可安)

    자소(紫蘇)(소엽(蘇葉))는 미신(味辛)하며, 풍한(風寒)을 해소(解消)시킨다.

    가시는 능(能)히 하기(下氣)하여 창만(脹滿)을 가라앉게 한다.

    차조기 ①미신(味辛) 성온(性溫)하다. ②기분(氣分)으로 들어가며, 귤피(橘皮)

  • 와 축사(縮砂)를 만나면 안태(安胎)하고, 곽향(藿香)․오약(烏藥)을 만나면 온중

    (溫中) 지통(止痛)하고, 향부자(香附子)․마황(麻黃)을 만나면 발한(發汗)하고, 천

    궁(川芎)․당귀(當歸)를 만나면 화혈(和血)하고, 목과(木瓜)․후박(厚朴)을 만나면

    解暑하여 곽란(霍亂)․각기(脚氣)를 다스리고, 지각(枳殼)․길경(桔梗)을 만나면 이

    격(利膈)하고, 행인(杏仁)․나복자(羅蔔子)를 만나면 소담(消痰)한다. ③잎은 생

    식(生食)해도 좋으며, 일체(一切)의 어육(魚肉)과 함께 국을 끓여 먹으면 독(毒)

    을 없앤다.

    30. 소자미신개담기지해정천윤심폐(蘇子味辛開痰氣止咳定喘潤心肺)

    소자(蘇子)는 미신(味辛)하다. 개담(開痰) 하기(下氣)하며, 지해(止咳) 정천

    (定喘)하고, 심폐(心肺)를 윤택(潤澤)하게 한다.

    차조기씨 ①하기(下氣)하는 효력(效力)은 귤피(橘皮)와 같다. ②어해(魚蟹)의

    독(毒)을 푼다. ③[증(增)]약국(藥局)에 있는 것은 가짜가 많으니 냄새를 맡아

    보고 소자(蘇子)의 냄새가 있는 것을 써야 한다.

    31. 대회미신산각기지방광통구번위(大茴味辛疝脚氣止膀胱痛嘔翻胃)

    대회향(大茴香)은 미신(味辛)하다. 산기(疝氣)․각기(脚氣)에 좋고, 방광통(膀

    胱痛)․구토(嘔吐)․번위(翻胃)를 멎게 한다.

    ①성평(性平)하다. ②수족소음(手足少陰) 태양(太陽)으로 들어 간다. ③주침

    일숙(酒浸一宿)했다가 초황(炒黃)하여 갈아서 쓴다.(본초(本草)). ④팔각회향(八

    角茴香)이라는 향기(香氣)가 강렬한 일종(一種)이 있는데, 오로지 요통(腰痛)을

    다스린다. (입문(入門)).

  • 32. 소회성온제산기치요복동겸난위(小茴性溫除疝氣治腰腹疼兼煖胃)

    소회향(小茴香)은 성온(性溫)하다. 산기(疝氣)를 없애고, 요통(腰痛)․복통(腹

    痛)을 다스리며, 위(胃)를 따뜻하게도 한다.

    우리나라 도처에서 난다.(보감(寶鑑)).

    33. 백합미감안심담해부옹저개가담(百合味甘安心膽咳浮癰疽皆可啖)

    백합(百合)은 미감(味甘)하다. 심(心)과 담(膽)을 편안(便安)하게 하며, 해수

    (咳嗽)․부기(浮氣)․탄탄(癱瘓)․옹저(癰疽)에 다 먹을 수 있다.

    꽃이 흰 것을 약(藥)으로 쓴다. (비요(備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