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섬유산업 동향 - user.kotiti.re.kruser.kotiti.re.kr/technic/newsvol12no162.pdf ·...

81
Country Report 중국 섬유산업 동향 2012. 1 한국섬유산업연합회

Upload: others

Post on 23-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Country Report

    중국 섬유산업 동향

    2012. 1

    한국섬유산업연합회

  • 발 간 사

    섬유․패션인 여러분 !

    우리 섬유패션산업은 경제발전 태동기부터 현재까지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왔을 뿐만 아니라 2011년 무역

    1조 달러를 돌파해 세계 9위의 무역대국으로 진입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습니다.

    금년 한해 미국 경기부진과 유로존의 재정위기 확산, 중국의 긴축정책으로

    인한 수요 감소, 원자재 가격 변동폭 확대에 따른 수급불안 등 대내외적인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섬유류 수출은 지난해에 이어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전 세계 정보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대에 도래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기업들은 해외시장에서 새로운

    사업기회의 확대를 찾고 있으며 이를 위한 발판으로 해외 섬유패션산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 요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국내 섬유패션업계의 해외시장 확대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교역과 투자 의존도가 매우 높은 미국,

    EU,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총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섬유패션산업 현황에

    대한 자료를 발간하였습니다. 동 자료가 향후 수출과 해외투자를 검토하는

    기업에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2011년 12월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 장 노 희 찬

  • - 목 차 -

    1. 국가 정보 ·················································································································1

    (1) 일반 현황 ···············································································································1

    (2) 주요 부문별 현황 ·································································································2

    (3) 한국과의 관계 ·····································································································13

    2. 섬유산업 현황 ·······································································································17

    (1) 생산 현황 ·············································································································17

    (2) 교역 현황 ·············································································································19

    (3) 외국인 투자 현황 ·······························································································29

    (4) 섬유산업 관련정책 및 경쟁력 평가 ·······························································30

    (5) 중국 섬유산업 변화 전망 ·················································································33

    3. 시장 동향 ···············································································································34

    (1) 일반적인 시장 특성 ···························································································34

    (2) 일반적인 소비 패턴 ···························································································35

    (3) 섬유시장 동향 ·····································································································37

    (4) 사회 문화적 환경과 유통시장 ·········································································38

    (5) 섬유관련 전시회 개최 일정 ·············································································45

    4. 투자 환경 ···············································································································47

    (1) 투자 환경 현황 ···································································································47

    (2) 부문별 투자 환경 ·······························································································48

    1) 고용, 노동 ···········································································································48

    2) 입지 여건 ············································································································50

    3) 세제, 외환 관리 ·································································································51

    4) 무역 규제 ············································································································55

    5) 비관세 장벽 ········································································································57

    6) 투자 유치 정책(법) ···························································································60

    7) 현지 자금 조달 ··································································································65

    8) 현지 투자기업의 애로사항 ··············································································65

    5. 기 타 ························································································································70

    (1) 현지 지원 및 투자자문 기관 ···········································································70

    (2) 관련 웹사이트 ·····································································································72

    ·······································································································73

    - i -

  • 중국 개요 ········································································································2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8

    한중 교역 추이 ····························································································15

    중국 섬유수출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추이 ························17

    중국의 섬유생산 추이 ················································································17

    주요 섬유수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 추이 ············································19

    중국의 섬유 교역 추이 ··············································································20

    중국의 지역별 섬유제품 수출 현황(‘10) ·················································21

    중국의 지역별 의류 수출 현황(‘10) ·························································22

    중국의 주요 국가별 섬유제품(사, 직물) 수입 현황(‘10) ···················23

    우리나라의 대중국 섬유수출입 현황 ····················································24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특화 및 수입특화 현황과 전망 ················25

    주요국들의 중국 섬유시장 점유율 비교 ··············································27

    중국의 구조 변화에 따른 시장접근 가능성이 높은 분야 ················28

    한국산업의 대중국 강점과 약점 비교 ··················································28

    한국의 대 중국 섬유/의류 부문 투자 추이 ········································30

    중국의 제12차 5개년계획 기간(2011∼‘15년) 중 섬유기술발전 방향 31

    한․중 간 섬유산업의 경쟁력비교 ······················································32

    중국산업의 변화 전망에 따른 섬유산업의 기회 및 위협요인 ········33

    중국의 도소매업 현황 ··············································································40

    중국 명품시장의 품목별 시장규모(‘10) ·················································44

    중국 권역별 경제지표 ············································································38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와 보급률 추이 ··········································38

    중국 유통산업의 부가가치 규모 ··························································40

    중국의 명품시장 규모 추이 ··································································42

    중국 도시별 부자 인구 분포 ································································43

    - ii -

  • 1

    1. 국가 정보

    1 국가 정보 (1) 일반 현황

    1) 국토

    ○ 위치

    - 중국은 아시아 동부에 지리적으로 남쪽 남사군도(23˚N)에서 북쪽 흑룡강

    (53˚N)에 이르는 5,500㎞ 남북 길이와 동쪽 파미르고원(73˚E)에서 서쪽

    우수리 강(135˚E)까지 동서 5,200㎞ 거리, 영해 12해리, 국경선 총길이

    20,280㎞를 갖고 있음.

    ㆍ 북한, 러시아, 몽골, 중앙아 3국,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 14개 국가와 육지로 접경하고 있으며,

    최근 베트남, 일본 등과 영유권 분쟁 중

    ○ 면적

    - 국토면적은 세계 4위인 960만㎢로 한반도 면적의 43.45배, 남한면적의

    약 96.66배에 달하고 있음.

    ․ 행정구역은 22개의 성, 4개 직할시, 5개 자치구, 2개 특별행정구로 나

    뉘어져 있음

    ○ 기후

    - 서장청장 고원 : 고원기후

    - 신강, 내몽고, 흑룡강 : 온대 대륙성 기후

    - 동북 3성, 화북지역 : 온대 계절풍 기후

    - 중부, 남부 지역 : 아열대 계절풍 기후

    - 윈난성 남부와 해남성 : 열대 계절풍 기후

    2) 국민

    ○ 인구

    - 중국의 총인구는 2010년 현재 전년보다 626만 명 증가한 13억 4,100만

    명으로 세계 최대 인구를 보유한 국가

  • 2

    해외 섬유산업 동향

    - 연령별로 0~14세가 전체 인구의 19.4%, 15~59세가 69.0%, 60세 이상이

    11.6%로 각각 구성되고, 성별로는 남자가 51.5%, 여자가 48.5%를 차지

    ○ 종족

    - 중국은 전 인구의 92%를 차지하는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구성

    ○ 종교

    - 중국 정부는 헌법으로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나 장기간 공산당이

    집권하여 종교의 영향력은 그다지 크지 않음.

    중국 개요

    국 명 중국(China), 중화인민공화국(PRC, People's Republic of China)

    수 도 베이징(Beijing, 北京)

    독 립 일 1949년 10월 1일

    면 적 약 960만㎢(세계 4위, 한반도의 약 43배)

    기 후고원기후(서장청장고원), 온대대륙성기후(신강, 내몽고), 온대계절풍기후(동북

    3성, 화북), 아열대계절풍기후(중부, 남부), 열대계절풍기후(운남, 해남성)

    인 구 13억 4,100만 명(2010년 전년대비 626만 명 증가)

    주요 도시 베이징(1,755만 명), 상하이(2,220만 명), 톈진(1,272만 명), 충칭(3,200만 명)

    민 족 한족(92%), 55개 소수 민족(8%)

    공 용 어 중국어(보통어 통용, 방언과 소수민족언어)

    종 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이슬람교, 도교, 동정교, 다수의 민간 신앙

    화폐 단위 위안(元)

    한국과 수교 1992. 8. 24

    (2) 주요 부문별 현황

    1) 정치, 사회

    ○ 정치 체제

    - 중국의 정치체제는 노농연맹에 기초한 인민민주주의 사회주의 국가체제를

    가지며, 1971년 10월에 유엔에 가입하여 현재 안전보장이사회 상임 이사국

    으로 활동하고 있음.

  • 3

    1. 국가 정보

    - 정부형태는 형식상 8개 정당이 존재하나 실질적으로 공산당이 통치하고

    있으며, 의회는 ‘전국인민대표대회’ 단원제로 운영

    - 정치조직은 국가주석을 중심으로 실질적 최고 권력기관인 공산당, 입법

    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인대), 행정기관인 국무원 등으로 구성

    ㆍ 입법기관 : 전국인민대표대회, 지방 각급 인민대표대회

    ㆍ 행정기관 : 국무원, 지방 각급 인민정부

    ㆍ 정책 자문기관 : 인민정치협상회의

    ㆍ 군사지도기관 : 중앙군사위원회

    ㆍ 사법기관 : 최고인민법원, 지방 각급 인민법원, 전문 인민법원

    ㆍ 검찰기구 : 최고인민검찰원, 지방 각급 인민검찰원, 전문 인민검찰원

    ○ 주요 정책

    - 중국 특유의 사회주의 건설 표방

    - 과학적 발전과, 조화로운 사회건설 등을 모토로 양적 경제성장을 지양

    하고, 질적 경제발전을 추구

    - 대륙과 대만 간 국가통일 실현(1국 2체제 방식)

    - 평화공존 5원칙을 기조로 패권주의를 반대하고, 세계평화를 옹호

    ○ 최근 중국내 정치 일정과 주요 결정 사항

    - ‘07.10월 제17차 당 대회 : 후진타오 총서기 연임, 정치국상무위원(9명) 선출

    - ‘08.3월 제11기 1차 전인대 : 후진타오 국가주석 연임

    - ‘08.10월 제17차 3중 전회 : ‘농촌의 개혁발전에 관한 결정’ 채택

    - ’09.9월 제17차 4중 전회 : 당내 민주화, 부패척결 등 공산당 개혁 강조

    - '10.10월 제17차 5중 전회 : 시진핑 부주석, 중앙군사위 부주석 선출,

    '12.5'계획 심의, 통과

    2) 경제

    ① 개황

    - 2010년 현재 중국은 GDP 세계 2위, 교역규모 세계 2위, 외국인투자유치

    세계 3위, 외환보유고 세계 1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

  • 4

    해외 섬유산업 동향

    ㆍ 중국은 2010년말 기준 GDP 약 6조 달러(39.8조 위안), 교역 규모

    2.97조 달러, 외국인 직접투자 순유입 1,851억 달러, 외환보유고 2.87조

    달러를 기록

    - 중국은 1978년 개혁ㆍ개방정책 실시 이후 2010년까지 지난 30여 년간

    연평균 약 10%를 상회하는 괄목할 만한 경제 성장을 달성

    - 향후 중국 경제는 대외무역, 외국인투자, 내수성장 등으로 인한 안정 성장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

    ㆍ 2010년 중국의 소비재 판매는 전년대비 2.8% 증가한 15.7조 위안을

    기록하였는데, 내수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중국 경제성장에서 국내

    소비의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ㆍ 선별적 외자유치, 환경보호 및 에너지절약 등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정책으로 성장속도는 다소 억제될 전망

    ② 주요 지표별 현황

    가. GDP(국내총생산)

    - `2010년 중국의 GDP는 전년대비 10.3% 증가한 39.8조 위안(약 6조 달러)에

    달하여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하였고, 1인당 GDP는 4,492 달러로

    나타남.

    - 산업별 생산규모는 1차 산업이 전년대비 4.3% 상승한 4.05조 위안, 2차

    산업이 12.2% 상승한 18.65조 위안, 3차 산업은 9.5% 상승한 17.1조 위안

    을 기록

    나. 산업

    - 중국의 산업은 1978년 개혁ㆍ개방 이후 1980~90 년대의 양적 확대에서

    2000년 이후 산업고도화와 고부가가치화가 진행 중

    - 개혁ㆍ개방 이래 풍부한 노동력, 이공계 인재축적, 시장경쟁 도입을 통해

    제조업 중심의 공업(2차 산업)이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으나, 최근 IT 서비스

    와 금융업을 중심으로 서비스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

  • 5

    1. 국가 정보

    ㆍ 2010년 현재 중국의 1차, 2차, 3차 산업의 비중은 10 : 47 : 43로 구성

    다. 소 비

    - 2010년 소비재의 판매 총액은 전년대비 18.3% 증가한 15.7조 위안에 달

    하였고, 지역별로 도시 판매는 18.7% 증가한 13.6조 위안, 농촌 판매는

    16.2% 증가한 2.1조 위안을 기록

    - 경제성장 및 소득증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소비 수준이 제고되었으며,

    상품구매에서 서비스 구매로 소비 패턴도 변화하고 있음.

    ㆍ 도시주민 및 중산층이 소비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정부의 농촌지역

    지원 및 농민소득 향상으로 농촌 소비시장도 지속적으로 확대

    - 최근 중국 소비시장의 주요 변화로서 주요 소비품은 가전제품에서 주택,

    자동차, 통신기기 등 고급ㆍ고가의 내구성 소비재로 전환되고 있고, 체인점

    및 외자유통기업 증가 등 소비재의 유통환경도 변화되고 있음.

    ․ 관광·요식 등 서비스업 소비시장의 빠른 성장과 고가품 및 저가품 소

    비의 양극화 현상이 발생

    - 중국 정부는 재정지출 및 통화 공급의 확대, 금리 인하 등의 정책 추진을

    통한 소비 진작에 주력

    ㆍ 자동차, 여행, 가전, IT 시장의 확대와 이에 대한 민간 수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구사

    라. 물 가

    - 중국의 소비자 물가는 2008년 5.9%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하락, 안정세를 유지하였고, 2010년에는

    3.3%로 증가세를 나타냄.

    ㆍ 중국정부는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2010년 한 해 동안 지준율을

    4차례 인상, 금리를 2차례 인상하는 등 시장수급 조절 등을 실시하였음

    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2010년 4/4 분기 4.7% 상승함에 따라 물가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긴축정책을 실시하였음.

  • 6

    해외 섬유산업 동향

    마. 환율

    - 위안화 환율은 2008년 이후 사실상 고정환율제도 시행으로 2010년 6월

    말까지 변동 폭이 미미했으나, 2010년 7월 1일 관리변동환율제도 시행

    으로 2011년 4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절상

    ㆍ 2005년 7월 환율제도 개혁 이후 2011년 2월 말까지 약 19.7% 절상

    ㆍ 2010년 7월 관리변동환율제를 시행

    바. 외환 보유액

    -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지속적인 흑자시현, 외국인투자의 증가 및 외환보유

    규제 완화에 따른 민간보유 외환 증가 등으로 계속 증가하였음(‘06년

    1.07조 달러, ‘07년 1.53조 달러, ‘08년 1.95조 달러, ‘09년 2.42조 달러, ‘10년

    2.87조 달러)

    사. 외채

    - 중국의 외채 총액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단기외채비중이 확대

    되고 있는 추세

    - 2010년 말 중국의 총 외채는 5,489억 달러이며, 이 중 중장기 외채가

    1,732억 달러(31.6%), 단기 외채가 3,757억 달러(68.4%)로 구성

    ㆍ 이에 중국정부는 그동안의 외화유입 촉진 및 유출억제 중심의 정책

    기조를 바꾸어 기업의 해외투자를 장려하고, 외화유출 규제도 완화

    아. 대외무역

    - 2010년 현재 중국의 무역규모는 2.97조 달러로 전년대비 34.7% 증가율 기록

    ㆍ 수출은 1.58조 달러로 전년대비 31.3% 증가, 수입은 1.39조 달러로 전년

    대비 38.7% 증가율을 기록,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1,831억 달러로 전년

    보다 약 126억 달러 감소

  • 7

    1. 국가 정보

    자. 고정자산투자

    - 중국의 고정자산투자는 지난 1996년 이후 14년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중국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ㆍ 2010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전년(30.1%)대비 소폭 하락한 23.8%를

    기록함. 사회간접자본 투자 및 중서부지역 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

    하는 등 산업별, 지역별로 차별화된 투자정책을 실시

    차. 외국인 투자

    - 對중국 외국인 투자는 2009년 약 782억 달러에서 2010년에는 1,852억

    달러로 전년보다 2.4배 증가하였음.

    ㆍ 최근 선별적 외자유치정책, 중국내 생산원가 상승 및 기업의 법제 환경

    정비, 수출억제정책 실시 등으로 기업환경이 과거에 비해 불리해졌음

    에도 불구하고, 외국자본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음.

    ㆍ 한편, 중국정부는 중서부 및 농촌지역에 대한 투자유치 정책을 적극적

    으로 추진

    - 외국인의 對중국 투자 패턴이 무역 형에서 생산기지+소비시장형으로

    전환,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전환, 합작투자 및 R&D 투자 증가 등

    으로 변화되는 추세에 있음.

    파. 중국의 해외투자

    - 2010년 현재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전년대비 36.3% 증가한 590억 달러에

    달하였음.

    ㆍ 해외직접투자 방식에 있어서도 기존의 해외직접투자, M&A, 해외공사

    수주, 노무인력송출 등을 통한 해외진출방식 외에 국부펀드(중국투자

    공사)를 통한 해외투자 및 국유기업을 통한 해외 자본시장 투자가

    가속화 되는 등 점차 다양화되고 있음.

    ㆍ 원유, 가스, 광물자원에 대한 투자확대로 세계 자원시장에서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

  • 8

    해외 섬유산업 동향

    ③ 12.5 계획

    - 2010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7차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에서 결의된

    12차 경제개발 4개년 계획은 2011년 이후 5년 동안 중국의 경제 방향성을

    제시

    ㆍ 양적성장에서 균형 발전 추구, 성장과 분배를 동시 고려하는 기조

    ㆍ 농업, 엔지니어링 기계, 자동차, 문화, 의약, 해양 엔지니어링 등 육성

    분야와 석탄, 제지 등 구조조정 산업들을 포함하여 18개 핵심 산업에

    대한 육성과 구조조정을 추진

    ㆍ 에너지절약형 환경보호, 바이오, 신에너지 등 7대산업을 신흥전략산

    업으로 선정하고 세제와 금융 지원을 통해 민간자본의 투자를 유도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항 목 2008 2009 2010

    GDP

    실질GDP 성장률(%) 9.6 9.2 10.3

    명목GDP총액(현지통화, 10억 元) 31,404.5 34,090.3 39,798.3

    명목GDP총액(백만 달러) 4,519,517 4,990,222 5,878,392

    1인당 명목GDP(달러) 3,404 3,739 4,382

    소비자

    물가

    소비자물가 상승률(%) 5.9 -0.7 3.3

    실업률(%) 4.2 4.3 4.1

    국제

    수지

    경상수지(백만 달러) 426,107 297,142 305,400

    무역수지(백만 달러) 298,130 195,690 183,103

    외화준비고(백만 달러) 1,949,260 2,416,040 2,866,080

    대외채무잔고(백만 달러) 390,160 428,650 548,938

    평균 환율(대 달러) 6.9487 6.8314 6.7703

    통화 공급량 증가율(%) 17.8 27.7 -

    수출(백만 달러) 1,430,690 1,201,610 1,577,932

    대한 수출(백만 달러) 76,930 54,246 71,574

    수입(백만 달러) 1,132,560 1,005,920 1,394,829

    대한 수입(백만 달러) 91,389 86,703 116,838

    직접투자 유입(백만 달러) 147,791 78,193 185,100

    자료 : 중국 ; 국가통계국-중국통계연감(2010),해관총국-해관통계월보, 국가외화관리국

    IMP ;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IFS,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 9

    1. 국가 정보

    ④ 주요 산업(섬유 제외) 현황

    가. 철강 산업

    - 2010년 중국 철강 산업 생산(조강)은 전년대비 9.3% 증가한 6억 2,665만 톤

    을 기록

    ㆍ 중국 철강생산의 86.2%는 대기업과 중형 기업에서 생산되며, 연 생산

    능력 1,000만 톤 이상인 기업은 총 13개

    ㆍ 품목별로 제조업 수요가 가장 많은 철판 생산은 전년대비 18.9% 증가

    하였고, 건축용 자재인 봉형 철강의 생산은 8% 증가

    - 2010년 중국의 철강 수출은 2009년 침체에서 벗어나 국제수요의 호조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73.1% 증가한 4,256만 톤을 기록하였고, 수입은

    6.9% 하락하였음.

    - 또한 인수합병 등 적극적인 구조조정으로 중국 철강 산업의 집중도가

    향상되면서 상위 10대 기업의 생산량이 전체 생산의 48.6%를 차지하였고,

    원재료인 철광석 대외의존도는 63%로 나타남.

    나. 석유화학 산업

    - 2010년 중국 석유화학공업의 생산은 전년보다 30% 이상 증가하여 5조

    2,300억 위안에 달해, 세계 1위를 차지

    ㆍ 품목별로 2010년 원유생산은 전년대비 6.9% 증가한 2억 353만 톤, 정제유

    생산은 10% 증가한 2억 5,300만 톤, 에틸렌 생산은 전년대비 31.7%

    증가한 1,419만 톤에 달하였음.

    ㆍ 이밖에 합성수지와 화학비료 생산은 각각 전년대비 18,3%와 2.5%

    증가한 4,361만 톤과 6,620만 톤에 달하였음.

    - 국유기업과 연간 매출 300만 위안 이상의 민간 기업이 총 3만 6,700개

    이며, 주강, 장강, 발해 등이 중국 석유산업의 3대 거점이나 최근 중서부

    지역(광서, 강서)으로 확대되고 있음.

  • 10

    해외 섬유산업 동향

    - 자원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저우추취(走出去) 정책의 추진으로 2010년

    해외 유기원료 생산은 전년대비 13.9% 증가한 8,673만 톤에 이르고,

    CNPC, SINOPEC, CNOOC 3개 기업의 M&A를 위한 해외 투자는 300억

    달러에 달하였음.

    - 2010년 현재 원유수입은 전년대비 17.4% 증가한 2억 4천만 톤에 달하는

    가운데 중국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은 전년대비 35.7% 증가한 1,343억 2천만

    달러, 수입은 42.3% 증가한 3,244억 6천만 달러로 거의 2천억 달러의 무역

    수지 적자를 기록

    다. 의약 산업

    - 중국 의약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27.07% 증가한 1조 1,933억 위안에

    달하였고, 이 중 화학약품 생산이 24.6% 증가한 5,953억 위안, 중성약이

    25,8% 증가한 2,487억 위안, 생물화학 제품이 29.7% 증가한 1,314억 위안을

    각각 기록

    - 중국 의약산업의 정부의 구조조정으로 상장, 인수합병 등을 통해 대형

    제약그룹으로 규모화를 이루며 상위 100개 기업의 매출이 전체매출의

    50% 이상을 점유

    - 2010년 중국의 의약품 수출은 전년대비 24.8% 증가한 397억 3,300만 달러에

    달하였고, 수입은 23.9% 증가한 204억 6,400만 달러에 이르러 약 19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ㆍ 주 수출시장은 유럽, 미국, 일본 3개 지역의 선진국들로서 이들 지역

    수출이 전년대비 21.7%의 증가세를 보였고, 전체 수출의 54.4%를 차지

    라. 자동차 산업

    - 2010년 중국의 자동차산업 생산과 판매는 전년대비 32.4% 증가한 각각

    1,826만대, 1,806만대를 기록하면서 세계 1위를 차지

    ㆍ 품목별로 승용차의 생산이 33.8% 증가한 1,390만대, 상용차가 28.2%

    증가한 437만대, SUV가 101.3% 증가한 132만대, 화물차는 30.5% 증가한

    385만대를 각각 기록

  • 11

    1. 국가 정보

    - 2010년 중국 현지브랜드 승용차 판매는 전년대비 37.1% 증가한 627만

    3,000대로 전체 승용차 판매의 45.6%를 차지하였고, 특히 대기업의 생산

    /판매가 크게 증가하면서 산업집중도를 높이고 있는데, 상위 10개 기업의

    판매(1,560만대)가 전체 판매의 86%를 차지

    - 2010년 중국 자동차 수출은 금융위기 침체를 겪었던 전년보다 63.9% 증가한

    54.5만대를 기록하였으며, 이 중 승용차 수출이 89.2% 증가한 28.3만대,

    상용차가 43.3% 증가한 26.2만대에 달하였음.

    마. 7대 신흥 전략산업

    - 중국정부는 ‘신흥전략산업 양성 발전 가속화에 관한 결정’을 공표하여

    에너지절약형 환경보호, 신정보처리기술, 바이오, 첨단장비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 등 7대 산업을 신흥전략산업으로 선정

    ㆍ 7대 산업 신 성장 분야에 대한 민간의 투자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세제,

    금융 지원을 하고, 외국인 투자도 적극 장려할 계획

    - 신에너지: 2020년까지 비 화석 에너지 소비를 15%로 확대, 원자력, 수력,

    풍력, 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에 10년간 5조 위안 투자할 계획

    - 신에너지 자동차: 플러그인 혼합동력 자동차, 순전기자동차를 중점 지원,

    보조금 지원을 정부구매에서 개인용 자동차로 확대하고 기술개발, A/S에

    조세와 금융 지원을 추진

    - 바이오산업: 생물의약, 생물농업, 생물제조, 생물 환경보호 분야를 육성

    하여 2020년까지 2조 위안(GDP 비중 4% 달성)의 부가가치를 창출

    -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 2020년까지 에너지 소비를 GDP 대비 20% 감소

    시키기 위해 에너지 절약기술 보급, 에너지 소비표준(오염물 배출총량

    통제, 환경리스크 예방)을 강화

    - 정보기술: 삼망융합, 첨단 소프트웨어, 신형 평판디스플레이를 집중 육성

    하기 위해 2015년까지 삼망통합 시스템 구축, 대형 핵심 소프트웨어 기업에

    대한 중점지원, 5~8개 신형 평판디스플레이 핵심 주력 기업을 육성

  • 12

    해외 섬유산업 동향

    - 첨단제조업: 대형항공기 프로젝트에 융자, 수출보조금, 항공운행 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위성산업, 유인우주선, 달 탐사 사업 등 우주항공산업을

    육성

    - 신소재: 강철, 비철금속, 석유화학 등 기초 원재료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

    하고, 고성능 복합소재, 희토류 등 전략적 소재산업 육성으로 1천억 위안

    규모의 소재산업 Value chain을 구축

    ⑤ FTA, 대외 무역협정 체결

    ○ CAFTA(중국-ASEAN FTA)

    - 중국은 베트남을 포함한 ASEAN과 2002년 11월 포괄적 경제협력에 관한

    기본협정을 체결하고, 2004년 11월 상품무역협정(The Agreement on

    China-ASEAN Trade in Goods)을 체결함으로써 관세 인하 및 철폐를

    10년 내에 수행키로 합의한 중-아세안 FTA는 2010년 1월부터 전면 발효

    ○ 중-대만 ECTA 체결

    - 중국과 대만은 2010년 6월 양국 간 경제협력 기본협정(ECFA)을 체결하고

    관세인하를 포함한 포괄적인 경제협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이로 인해 중국은 물론 세계시장에서 대만제품의 경쟁력이 강화됨으로써

    우리 제품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

    ○ 한-중 FTA 추진

    - 한-미 FTA 타결 이후 중국이 한국과의 FTA 추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하여 2010년 9월 양국 정부 간 1차 사전협의를 위한 회의를 개최하였음.

    ○ 기타 FTA 추진

    - 2005년 11월 중국-칠레 FTA 체결하고 2006년 10월부터 정식 시행

    - 2006년 11월 중국-파키스탄 FTA 협정 체결, 2007년 7월부터 실시하였고,

    2009년 2월 서비스부문 FTA도 체결

    - 2007년 4월 중국-아이슬란드 FTA 협상을 개최하여 양측 의견을 교환

  • 13

    1. 국가 정보

    - 2008년 10월 중국-뉴질랜드 FTA 시행

    - 2010년 9월 중국-노르웨이 FTA를 위한 8차 협상을 개최

    - 2008년 10월 중국-싱가포르 FTA 8차 협상 개최하고, 협의서를 체결함.

    - 2010년 3월 중-페루 FTA 실시에 이어 8월 서비스무역협정 실시

    - 그 외 중-스위스 FTA 공동연구 완료, 한-중-일 FTA와 중국-인도 FTA

    타당성 연구 중

    (3) 한국과의 관계

    1) 개황

    - 중국과는 1992년 8월 수교 이후로 정치, 외교, 안보, 경제통상, 문화, 인적

    교류 등 제반분야에서 비약적인 관계 발전을 이루어 왔음.

    ㆍ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2009년까지 양국 간 교역규모는 23배 증가(64억

    달러→1,410억 달러)하였으며, 상호 인적교류는 35배 증가(13만 명→

    454만 명)하였음.

    - 중국은 2009년 기준, 한국의 최대 수출, 수입, 교역 상대국이며, 한국의

    전체 해외투자 중 제1위 투자 대상 국가

    ㆍ 중국에는 2009년 현재 약 66만 명의 한국인이 체류하고 있고, 한국

    유학생과 중국 유학생은 각각 6만 명을 상회

    - 2008년 5월 이명박 대통령 방중 시 한ㆍ중 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설정하고, 동년 8월 胡錦濤(Hu Jintao) 국가주석 방한 시 구체적

    추진 방안에 합의함으로써 한 단계 높은 관계 발전을 추구하고 있음.

    ㆍ 한중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란 협력의 범위가 양자문제에서 지역적․

    글로벌차원으로 확대되고, 경제, 사회, 문화, 정치ㆍ안보 등 전 분야에

    걸쳐 협력이 강화된다는 의미를 갖고 있음.

    ○ 최근 고위급 인사교류

    - 2003. 7월 노무현 대통령 방중

  • 14

    해외 섬유산업 동향

    - 2005.11월 胡錦濤 국가주석 방한

    - 2006.10월 노무현 대통령 실무 방중

    - 2007. 4월 溫家寶 총리 방한

    - 2008. 5월 이명박 대통령 방중

    - 2008. 8월 이명박 대통령 방중(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 2008. 8월 胡錦濤 국가주석 방한

    - 2008.10월 이명박 대통령 방중(ASEM 정상회의)

    - 2009.10월 이명박 대통령 방중 (한ㆍ중ㆍ일 정상회의)

    - 2009.12월 習近平 국가부주석 방한

    - 2010. 4월 이명박 대통령 방중(상하이 엑스포 개막식)

    - 2010. 5월 溫家寶 총리 방한

    - 2010.11월 胡錦濤 국가주석 방한(G20 정상회의)

    2) 경제 관계

    ⓛ 개 관

    - 수교 당시 50억 달러에 불과하던 한ㆍ중 교역규모가 2010년 말에는 약

    1,884억 달러로 30배 확대되어 중국은 2004년 이후 지금까지 우리의 최대

    교역대상국의 위치를 유지

    ㆍ 2010년 6월 한ㆍ중 정상회담 시, 양국은 2015년까지 3천억 달러의 교역

    목표를 제시

    - 2010년말 현재 우리나라 기업의 대중투자 누계는 21,016건에 319억 달러로

    제 6위의 투자국 위치

    ② 교역 현황

    - 중국은 우리나라의 3대 교역국(홍콩 제외시)이며, 2001년 이후 우리의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하였고, 우리나라는 1993년 이후 對중국 무역수지

    흑자 기조를 유지

    - 우리나라와 중국의 총 교역규모는 1992년 수교 이후 22.0%의 높은 연평균

    증가율로 확대되었고, 그 후 2010년까지 19.7%의 증가세로 늘어나 1,884억

    달러에 달하였음.

    ㆍ 수출은 2000년 이후 연평균 12.9%로 증가하여 2010년에 1,168억 달러,

    같은 기간 중 수입은 18.8%로 증가하여 716억 달러를 각각 기록하면서

    452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  

  • 15

    1. 국가 정보

    한중 교역 추이

    (단위 : 억 달러, %)

    1992 2000 2005 2010연평균 증가율

    1992~2010 2000~2010 2005~2010

    교역 규모 63.7 313 1,006 1,884 22.0 19.7 13.4

    수 출 26.5 185 620 1,168 27.5 12.9 13.5

    수 입 37.2 128 386 716 16.7 18.8 13.2

    무역 수지 -10.7 57 234 452 - - -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③ 투자 현황

    ○ 한국의 대중 투자

    - 우리나라의 대중국 투자는 2010년 누계 기준으로 446.8억 달러에 달하였고,

    2010년 당해 연도는 전년대비 43.5% 증가한 37.6억 달러를 기록하였음.

    - 중국은 2002년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겪었던

    2009년을 제외하고 줄곧 우리의 제1위 투자대상국 위치를 유지

    - 우리나라의 대중투자는 업종별로 아직 제조업의 비중(78,4%)이 높으나

    서비스 시장의 개방 확대로 유통, 금융업의 투자도 증가 추세에 있음.

    - 대중 투자규모가 평균 282만 달러로 전체 해외투자 규모 783만 달러의

    1/3 수준에 불과한데 이는 대중 투자가 주로 소규모 노동집약 업종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

    ㆍ 대중투자가 아직 산둥, 북경, 상해 등 주요 6개 지역에 집중(81.9%)되고

    있으나 최근 개방 확대로 내수시장 진입제한이 완화되면서 내륙지방

    으로 확산되고 있음.

    - 향후 자본, 생산기지 이전 목적의 대중투자는 지속될 것이나, 일부 경쟁력을

    상실한 노동집약형 업종의 투자는 중국에서 동남아 등 제3국으로 이전

    될 전망

    ㆍ 중국의 개방 확대로 유통, 정보통신서비스, 금융 등 서비스업의 투자가

    확대되고, 지역적으로 서부에서 중서부로 확대될 전망

  • 16

    해외 섬유산업 동향

    ○ 중국의 대한 투자

    - 중국의 대한 투자는 2009년 말 누계 26.8억 달러로서 1999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한국의 대중투자 규모(286억 달러)에 비하면 적은

    규모에 해당

    ㆍ 2009년말 누계 기준, 중국의 대한 투자는 전체 해외투자(1,605억 달러)의

    1.7%에 불과

    - 업종별로 2004년 이전까지 제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최근에는 유통시장 진출 및 자본유치(증시상장, 중국 식품포장공사) 등

    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M&A를 통한 대형투자도 증가

    ㆍ 2002년 하이디스(BOE, 1.5억 달러), 2004년 쌍용자동차(상해자동차그룹,

    5.6억 달러), 엑토즈소프트(상하이셩다, 1.3억 달러) 등

    - 중국의 해외투자는 해외투자를 장려하는 중국정부의 정책(走出去)과 기업의

    글로벌 전략에 따라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고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를

    지속할 전망

    ㆍ 상하이엑스포와 같은 국제적 이벤트, 외환보유고 증가 등을 동력으로

    해외투자의 지속적 확대

    ㆍ 중국의 해외투자 현황 : 1억 달러(‘95년) → 5억 달러(‘00년) → 69억

    달러(‘05년) → 512억 달러(‘09년)

    ㆍ 중국 상무부 산업지도목록상 추천업종인 제조업 부문의 전기전자, 자동차,

    화공분야와 서비스 분야의 유통물류, R&D 센터 등에서 증가할 전망

    - 향후 기술이전, 한국시장 개척 목적의 중국기업의 대한 투자는 지속적

    으로 증가할 전망

    ㆍ 중국의 해외투자는 크게 해외자원 확보를 위한 해외자원 개발형과

    해외브랜드 및 선진기술 확보를 위한 산업구조 고도화형으로 구분

    ④ 한·중 FTA 추진

    - 한·미 FTA 타결 이후 중국이 FTA 추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

    2010년 9월 양국 정부 간 1차 사전협의를 위한 회의를 개최하였음.

  • 17

    2. 섬유산업 현황

    2 섬유산업 현황 □ 개 황

    - 중국의 섬유산업은 1990년대 말까지 중국 전체 수출물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수출전략산업으로서 제조업 성장을 견인

    - 2000년에 들어서 중화학 공업의 발전으로 그 비중이 2005년의 15.1%,

    2010년 현재 13.1%로 낮아졌으나 아직도 중국 산업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중핵산업으로서의 위상을 유지

    중국 섬유수출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추이

    (단위 : %)

    2000 2005 2010

    전체 수출에서의 섬유 비중중국 본토 6.5 5.4 4.9

    홍콩 6.6 4.7 2.8

    전체 수출에서의 의류 비중중국 본토 14.5 9.7 8.2

    홍콩 11.9 9.3 6.0

    전체 수출에서의 섬유전체 비중*중국 본토 21.0 15.1 13.1

    홍콩 18.5 14.0 8.8

    자료 : WTO,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2011

    주 : * 섬유전체 = 섬유+의류

    (1) 생산 현황

    - 중국 섬유산업은 ‘90년대에 의류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2000년대 들어

    섬유소재 육성에 힘입어 의류와 섬유소재가 균형 발전하면서 양과 질적

    으로 높은 성장을 시현

    - ‘90년대에는 저임의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의류부문 생산이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지만, 섬유소재는 대만, 한국, 일본 등지에서 수입에

    의존함으로써 섬유산업 전체 생산증가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렀음.

    중국의 섬유생산 추이

    (단위 : 억 위안, %)

    1995 2000 2005 2008 2009연평균증가율

    95~00 00~05 05~09 09~15

    섬유소재 4,604 5,149 12,518 21,393 22,971 2.3 19.4 16.4 ◆

    의 류 1,470 2,291 4,954 9,436 10,445 9.3 16.7 20.5 ◆

    화학섬유 810 1,243 2,560 3,970 3,828 8.9 15.5 10.6 ▲

    전 체 6,884 8,684 20,032 34,799 37,245 4.8 18.2 16.8 ◆

    자료 : 中國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監」 주 : ◆15% 이상 고성장, ▲5~10% 성장

  • 18

    해외 섬유산업 동향

    - 2000년대 들어서는 섬유소재 자급도 향상을 목표로 한 중국 정부의 적극

    적인 육성정책에 힘입어 생산능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에 힘입어 섬유

    소재 생산이 급격히 증가하였음.

    ㆍ 낮은 인건비를 바탕으로 높은 경쟁력을 갖춘 의류산업은 섬유소재의

    생산능력 향상으로 국내에서 섬유소재를 조달하여 경쟁력을 더욱 강화

    하면서 수출 확대와 함께 생산도 높은 증가세를 시현

    - 특히, 2005년 미국, EU 등의 다자간섬유협정(MFA, 섬유쿼터) 완전 폐지

    (섬유무역 자유화)에 힘입어 중국의 섬유수출은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수출용 섬유생산도 급격히 증가하였음.

    ㆍ 중국은 MFA제도 하에서 쿼터보유물량 부족으로 인해 미국, EU 등

    대선진국 수출확대에 어려움을 겪은 바 있음.

    - 2008년 이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중국 섬유생산은 다소

    낮은 증가세를 보였는데, 특히 화학섬유 생산은 감소세로 반전

    ㆍ 화학섬유는 2000년대에 외자유치를 통한 대대적인 신증설이 이루어

    졌는데, 최근에는 수요 위축으로 과잉생산문제를 야기하고 있음.

    - 중국 섬유산업은 앞으로 인건비 상승, 인력조달의 어려움, 위안화 절상

    등에 따른 생산여건 및 수출경쟁력 악화로 다소 둔화된 성장세를 보이겠지만,

    화섬소재 및 산업용 섬유를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

    ㆍ 화섬소재는 2000년대 들어 화섬소재 자급도 향상을 위한 외국인 투자

    유치 및 대대적인 설비투자 확대에 힘입어 범용품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고, 향후 지속적인 염색가공 기술개발 등에 힘입어

    중저가 화섬직물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ㆍ 산업용 섬유의 생산과 수출도 세계적인 수요 증가에 함께 11.5계획과

    12.5계획에서의 산업용섬유 중점 육성정책이 맞물려 높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지역별로는 중․서부(내륙)지역의 섬유산업은 빠른 성장을 보이고, 절강성과

    강소성도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

  • 19

    2. 섬유산업 현황

    ㆍ 중국의 인건비 상승, 인력조달의 어려움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의류를 중심으로 내륙지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이 급속히 이루어지

    면서 내륙지역의 섬유산업이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

    ㆍ 절강성과 강소성의 섬유산업은 내/외자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원료

    /사 - 직물/염색 - 의류 등으로 연결되는 일관생산체제의 구축으로

    더욱 높은 경쟁력을 갖추면서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2) 교역 현황

    - 단일국가로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의 섬유교역은 `90년대에

    연평균 두자릿수의 증가세를 나타냈고, 이어 2005년∼‘10년 동안에 연평균

    12.4%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

    ․ 중국의 섬유교역 규모는 2009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전년대비

    10% 감소한 1,671억 달러에 그쳤으나, 2010년에는 세계 섬유시장의

    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23.7% 증가한 2,067억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

    - 중국은 2010년 세계 섬유수출 시장의 30.7%를 점유하면서 전년도 제1의

    섬유수출국인 EU를 제치고 명실상부한 제1의 수출국으로 부상

    주요 섬유*수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 추이

    (단위 : %)

    1980 1990 2000 2005 2010

    세계 순위 100.0 100.0 100.0 100.0 100.0

    중국 1 4.6 6.9 10.4 20.3 30.7

    EU 2 - - 36.6 34.8 26.8

    인도 3 2.4 2.1 3.6 4.1 5.1

    미국 4 6.8 4.8 7.1 6.1 4.9

    한국 5 4.0 5.8 8.2 5.1 4.4

    대만 6 3.2 5.9 7.7 4.8 3.9

    터키 7 0.6 1.4 2.4 3.5 3.6

    파키스탄 8 1.6 2.6 2.9 3.5 3.1

    일본 9 9.3 5.6 4.5 3.4 2.8

    인도네시아 10 0.1 1.2 2.3 1.7 1.7

    자료 : WTO,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2011

    주 : * 섬유 사, 직물류의 업스트림 부문임.

  • 20

    해외 섬유산업 동향

    중국의 섬유 교역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

    1990 2000 2005 2008 2009 2010연평균증가율

    90-00 00-05 05-'10

    섬유 7,219 16,135 41,050 65,367 59,824 76,900 8.4 20.5 13.4

    의류 9,669 36,071 74,163 120,405 107,264 129,838 14.1 15.5 11.9

    소계 16,888 52,206 115,213 185,762 167,088 206,738 11.9 17.2 12.4

    섬유 8,213 13,441 13,830 12,256 9,976 11,307 5.0 0.6 -3.9

    의류 15,406 24,214 27,292 27,908 22,826 24,049 4.6 2.4 -2.5

    소계 23,619 38,655 41,122 40,164 32,802 35,356 5.0 1.2 -3.0

    섬유 15,432 29,576 54,880 77,623 69,800 88,207 6.7 13.2 10.0

    의류 25,075 60,285 101,455 148,313 130,090 153,887 9.2 11.0 8.7

    소계 40,507 89,861 156,335 225,936 199,890 242,094 8.3 11.7 9.1

    섬유 5,292 12,832 15,503 16,289 14,945 17,667 9.3 3.9 2.6

    의류 48 1,192 1,629 2,282 1,842 2,513 37.9 6.4 9.1

    소계 5,340 14,024 17,132 18,571 16,787 20,180 10.1 4.1 3.3

    섬유 10,182 13,716 13,793 12,313 9,964 11,265 3.0 0.1 -4.0

    의류 6,913 16,008 18,437 18,546 15,508 16,645 8.8 2.9 -2.0

    소계 17,095 29,724 32,230 30,859 25,472 27,910 5.7 1.6 -2.8

    섬유 15,474 26,548 29,296 28,602 24,909 28,932 5.5 2.0 -0.2

    의류 6,961 17,200 20,066 20,828 17,350 19,158 9.5 3.1 -0.9

    소계 22,435 43,748 49,362 49,430 42,259 48,090 6.9 2.4 -0.5

    섬유 1,927 3,303 25,547 49,078 44,879 59,233 - - -

    의류 9,621 34,879 72,534 117,823 105,422 127,325 - - -

    소계 11,548 38,182 98,081 166,901 150,301 186,558 - - -

    섬유 -1,969 -275 37 -57 12 42 - - -

    의류 8,493 8,206 8,855 9,362 7,318 7,404 - - -

    소계 6,524 7,931 8,892 9,305 7,330 7,446 - - -

    섬유 -42 3,028 25,584 49,021 44,891 59,275 - - -

    의류 18,114 43,085 81,389 127,485 112,740 134,729 - - -

    소계 18,072 46,113 106,973 176,506 157,631 194,004 - - -

    자료 : WTO,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2011

    주 : 1) 홍콩의 경우 재수출 물량은 제외

    2) 본토는 중국대륙을 지칭

    1) 대세계 수출입 추이

    ① 수출

    - 중국1)의 섬유수출은 `90년대에 이어서 2000년 이후에도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여 2008년에는 1,858억 달러 규모로 확대되었으나, 2009년에는 전년

    대비 10.2% 감소한 1,671억 달러로 축소되었음.

    1) 중국 본토를 기준함.

  • 21

    2. 섬유산업 현황

    - 2010년 중국의 섬유수출은 세계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23.7% 증가한 2,067.4억 달러를 기록하였음.

    ㆍ부문별로 사, 직물 등의 섬유 수출은 2010년에 769억 달러로, 2005년

    이후 연평균 13.4%의 증가율을 기록하였고, 의류 수출은 2010년

    1,298.4억 달러로 같은 기간 중 연평균 11.9%의 증가율을 기록

    - 지역별로 중국 섬유제품(사, 직물류) 수출은 2010년 현재 아시아가 전체

    수출물량의 38.7%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유럽(17.5%), 북미(16.7%),

    아프리카(8.8%), 중남미(6.5%) 등의 순

    ㆍ 2005년 이후 중국의 섬유수출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지역은 중남미

    (연평균 24%)이고, 이어 러시아연방(CIS: 연평균 21%), 아프리카(연평균

    18%), 유럽(연평균 13%), 아시아(연평균 12%) 순

    ㆍ 2005년에 비해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수출 비중은 하락한 반면 신흥

    시장인 아프리카, 중남미, 러시아연방 등의 비중은 상승

    - 한편 지역별 의류제품 수출은 2010년 현재 유럽이 전체 수출규모의

    29.9%를 차지하는 1위의 수출지역이고, 그 다음으로 25.7%를 차지한

    아시아, 북미(23.7%), CIS(8.4%), 중동(4.8%) 등의 순

    ㆍ 2005년 이후 의류수출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지역은 연평균 증가율

    21%를 기록한 중남미이며, 그 뒤를 이어 중동(19%), 아프리카(18%),

    유럽(17%), 북아메리카(11%) 순

    ㆍ 2005년에 비해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CIS의 수출 비중은 하락한 반면

    유럽과 신흥시장인 아프리카, 중남미, 중동의 비중은 상승

    중국의 지역별 섬유제품 수출 현황(‘10)

    (단위 : 10억 달러, %)

    지역 명

    2010 증감률

    실적비중 연평균

    (`05∼‘10)

    전년대비 증가율

    `05 `10 `09 `10

    아시아 30 40.3 38.7 12 -3 27

    유럽 13 17.7 17.5 13 -14 29

    북아메리카 13 19.6 16.7 10 -7 32

    아프리카 7 7.4 8.8 18 -7 20

    중남미 5 4.2 6.5 24 -19 55

    중동 5 6.7 6.1 11 -7 19

    러시아연방(CIS) 4 4.1 5.6 21 -22 25

    수출 전체 77 100.0 100.0 13 -8 28

    자료 : WTO,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2011

  • 22

    해외 섬유산업 동향

    중국의 지역별 의류 수출 현황(‘10)

    (단위 : 10억 달러, %)

    지역 명

    2010 증감률

    실적비중 연평균

    (`05∼10)

    전년대비 증가율

    `05 `10 `09 `10

    유럽 39 23.7 29.9 17 -9 21

    아시아 33 33.3 25.7 6 -7 10

    북아메리카 31 24.7 23.7 11 1 25

    러시아연방(CIS) 11 9.5 8.4 9 -45 27

    중동 6 3.5 4.8 19 -2 19

    중남미 6 2.9 4.4 21 -21 73

    아프리카 4 2.4 3.1 18 3 32

    수출 전체 130 100.0 100.0 12 -11 21

    자료 : WTO,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2011

    ② 수입

    - 중국의 섬유수입은 2010년 현재 201.8억 달러로, `90년대에는 연평균

    10.1%의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2000년 이후에는 섬유부문의 자급화

    달성으로 수입증가율이 한자릿수로 감소

    ㆍ 부문별로 수입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 직물 등의 섬유 부문의

    수입은 2010년 현재 176.7억 달러로, `90년대에 9.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2005년∼‘10년 동안에 연평균 2.6%로 둔화

    ㆍ 의류 수입은 2010년 현재 25억 달러로, 수입비중은 적지만 2005년 이

    후 연평균 9.1% 증가율을 기록

    - 국가별 중국 섬유제품(사, 직물류) 수입은 2010년 현재 중국을 제외2)하고,

    일본이 전체 수입물량의 17.9%를 차지한 가운데 다음으로 대만(17.4%),

    한국(13.1%), EU(7.7%), 파키스탄(5.8%) 등의 순

    ㆍ 특히 일본, 한국, EU로부터 수입되는 섬유제품은 대부분 중국 내 공급이

    불가능한 기능성 경량 소재 등의 고기술을 요하는 제품들임.

    ㆍ 2005년 이후 수입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국가는 베트남(연평균 70%

    증가)이고, 이어 인도(29%), 파키스탄(12%), 미국(12%), EU(11%) 순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수입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냄.

    2) 중국내 진출한 수출자유지역 외국기업들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중국 총 수입규모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23

    2. 섬유산업 현황

    중국의 주요 국가별 섬유제품(사, 직물) 수입 현황(‘10)

    (단위 : 백만 달러, %)

    국가 명

    2010 증감률

    실적 비중 `05-10전년대비 증가율

    `09 `10

    중국1) 3,203 18.1 3 -9 11

    일본 3,156 17.9 0 -14 12

    대만 3,070 17.4 -1 -8 17

    한국 2,312 13.1 -2 -10 14

    EU 1,352 7.7 11 -15 27

    파키스탄 1,031 5.8 12 52 14

    홍콩 656 3.7 -11 -25 -9

    미국 655 3.7 12 -25 39

    인도 513 2.9 29 24 86

    베트남 437 2.5 70 86 70

    수입 전체 17,667 100.0 3 -8 18

    자료 : WTO,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2011.

    주 : 중국의 자유무역지대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의 수입액

    ③ 무역 수지

    - 중국 섬유교역의 무역 수지는 2010년 현재 1,865.6억 달러로 전년대비

    24.1% 증가율을 기록하였고, 이 중 의류부문이 전체 흑자 규모의 약

    70%를 차지

    ․ 중국의 섬유무역수지 흑자규모는 1990년 115.5억 달러에서 2000년에는

    381.8억 달러로 증가하였고, 2008년에는 1,669억 달러로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음.

    2) 한․중 섬유산업 교역 추이

    - 우리나라의 대 중국 섬유수출은 2010년 현재 27.2억 달러, 수입은 51.3억

    달러로, 24.1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

    ․ 대중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2008년 25.2억 달러에서 2009년 16.6억 달러

    로 낮아졌으나, 2010년에는 의류제품의 수입 증가로 적자 폭이 확대

    되는 추세에 있음.

    - 우리나라의 대 중국 섬유수출은 2007년 이후 연평균 0.4% 감소율을 기록

  • 24

    해외 섬유산업 동향

    ㆍ 대 중국 섬유수출의 감소는 중국에 진출한 우리 봉제업계가 인건비

    상승 등 중국의 투자여건 악화로 생산기지를 동남아 저임국가로 이전함에

    따라 관련 사, 직물류의 대중국 수출 물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

    우리나라의 대중국 섬유수출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2007 2008 2009 2010연평균

    증가율

    수출

    섬유

    제품

    인조장섬유* 626 646 570 662 1.9

    인조단섬유* 345 306 265 364 1.8

    편직물* 565 524 532 617 3.0

    섬유제품 계 2,407 2,277 2,016 2,420 0.2

    의류

    제품

    니트* 64 63 45 53 -6.1

    직물제* 288 258 197 247 -5.0

    의류제품 계 352 321 242 300 -5.2

    섬유 총계 2,759 2,598 2,258 2,720 -0.4

    수입

    섬유

    제품

    면* 419 440 408 587 11.9

    인조장섬유* 339 367 250 393 5.1

    인조단섬유* 408 335 308 387 -1.7

    섬유제품 계 2,118 2,058 1,719 2,380 4.0

    의류

    제품

    니트* 999 963 702 894 -3.6

    직물제* 2,249 2,092 1,499 1,853 -6.3

    의류제품 계 3,246 3,055 2,201 2,747 -5.4

    섬유 총계 5,364 5,113 3,920 5,127 -1.5

    무역

    수지

    섬유 제품 289 219 297 40 -

    의류 제품 -2,894 -2,734 -1,959 -2,447 -

    섬유 총계 -2,605 -2,515 -1,662 -2,407 -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주 : 1) 섬유제품은 사류(견사, 모사, 면사, 화섬사 등), 직물(견직, 모직, 면직, 화섬직, 편직물

    등), 기타 섬유제품 등을 포함하는 주로 업스트림과 미들스트림 제품군이고(HS

    50~59, 63), 의류제품은 니트와 직물제 의류 등의 다운스트림 제품군임(HS 61, 62)

    2) *수출입 규모의 비중이 높은 품목

    - 부문별로 사, 직물, 기타 섬유제품을 포함하는 섬유제품 수출은 2010년 24.2억 달러로 2007년 이후 연평균 0.2% 증가에 머물고 있는데 이는 인조장섬유의 수출부진에 기인

    - 의류제품 수출은 2010년 3억 달러로, 2007년 이후 연평균 5.2%의 감소율을

    기록하였고, 이 중 직물제 의류와 니트 의류제품은 같은 기간에 각각

    연평균 5.0%와 6.1% 감소율을 기록

    - 또한 우리나라의 대 중국 섬유수입은 2010년 51.3억 달러로, 2007년 이

    후 연평균 1.5%의 감소율을 기록

  • 25

    2. 섬유산업 현황

    ․ 품목별로 면사, 인조장섬유 등이 수입증가로 섬유류수입은 2007∼‘10년

    동안에 연평균 4.0% 증가한 반면에 의류수입은 동기간에 연평균

    5.4% 감소율을 기록

    ㆍ 특히, 대중 의류제품 수입의 경우 중국의 인건비 상승 등 투자여건

    악화로 우리의 임가공 업체들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저임국가로

    생산기지를 이전함에 따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감소

    3) 한․중 섬유산업의 분업 및 경쟁구조 분석

    ① 주요 비교우위(수출) 분야와 비교열위(수입) 분야

    -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

    하면서 수출특화 정도가 약화되다가 2002년부터는 수입특화로 전환

    - 현재 의류, 생활용 섬유제품, 천연섬유사/직물 등이 중국에 진출한 우리

    업체들의 역수입 증가로 수입특화를 보이고 있음.

    ㆍ 중국에 진출한 우리 의류 업체들이 필요한 섬유소재를 국내에서 조달

    해 감으로써 편직물, 화섬장섬유직물, 화섬원료, 표면처리직물 등은

    수출 특화를 나타냄.

    - 2015년까지 편직물, 화섬장섬유직물, 화섬원료, 표면처리직물 등이 수출

    특화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출특화 정도는 낮아질 것으로 예상

    ㆍ 경쟁관계에 있는 부직포와 모직물은 수입특화로 전환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특화 및 수입특화 현황과 전망

    시기 수출특화 분야 수입특화 분야 경쟁 분야

    2010 편직물, 화섬원료, 화섬

    장섬유직물, 표면처리직물

    의류, 생활용 섬유제품, 화섬

    장섬유사, 천연섬유사, 면직물,

    견직물, 타이어코드직물

    화섬단섬유직물, 모직물,

    부직포

    2015편직물, 화섬원료, 화섬

    장섬유직물, 표면처리직물

    의류, 생활용 섬유제품, 천연

    섬유사/직물, 화섬장섬유사,

    타이어코드직물, 부직포

    화섬단섬유직물

    자료 : 산업연구원

  • 26

    해외 섬유산업 동향

    ② 중국 내수시장에서 한국산업의 분업 및 경쟁구조

    - 우리나라는 대만, 태국 제품과 경쟁이 심화되면서 중국시장 점유율이

    2000년 20.3%에서 2010년 현재 12.4%로 크게 하락

    ㆍ 중저가품은 태국, 대만과의 경쟁심화로 시장잠식이 이루어지고 있고,

    고부가가치시장은 신기술․신소재 및 디자인 개발력 미흡 등으로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음.

    ㆍ 우리나라는 기능성․경량 섬유소재를 중심으로 일본, 대만에 이어 중국

    시장점유율 3위를 기록

    * 1위: 편직물, 타이어코드직물, 2위: 화섬장섬유사/단섬유직물, 표면처리

    직물, 세폭직물, 3위: 화섬장섬유직물, 4위: 화섬원료

    ㆍ 일본은 고기능성․차별화 직물과 첨단 산업용 섬유제품 분야에서 중국

    수입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

    ㆍ 미국은 산업용 섬유를, EU는 천연섬유 및 패션의류를, 그리고 태국은

    중저가 화섬소재를 중심으로 수출 확대와 함께 중국시장점유율을 확대

    하고 있음.

    ㆍ 대만은 화섬소재의 중국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 중국에 대한 투자는 중국의 인건비 상승, 인력조달의 어려움, 위안화 절상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로 생산기지로서 역할이 약화되면서 임가공분야를

    중심으로 위축될 것으로 예상

    ㆍ 중국에 진출한 우리 업체들은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건비가 낮은

    베트남, 미얀마 등지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고 있음.

    ㆍ 그러나 중국 내수시장 확대에 대비한 내수시장 지향형 투자는 고급

    패션의류, 기능성 화섬소재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27

    2. 섬유산업 현황

    주요국들의 중국 섬유시장 점유율 비교

    (단위 : %)

    섬유소재의 류 기타제품 전 체

    화섬원료 섬유사 직 물 전체

    한 국

    2000 29.2 12.0 23.2 21.5 4.7 24.2 20.3

    2005 14.5 9.0 19.8 16.3 6.4 18.4 15.5

    2010 10.8 6.2 17.6 13.3 6.0 10.9 12.4

    대 만

    2000 16.6 22.7 24.4 23.3 3.1 14.2 21.5

    2005 17.9 22.3 19.7 20.1 1.7 9.2 18.2

    2010 11.9 15.4 18.5 16.8 1.3 6.8 14.6

    일 본

    2000 24.0 7.2 26.7 22.4 26.5 25.7 22.8

    2005 23.2 6.1 26.5 21.0 9.5 24.7 20.2

    2010 21.6 5.8 24.0 18.0 5.2 22.1 16.8

    미 국

    2000 8.6 1.2 0.8 1.7 0.6 6.6 1.7

    2005 14.0 1.6 2.1 3.4 0.8 9.5 3.4

    2010 24.0 2.5 3.2 5.1 1.0 9.3 4.9

    이 탈

    리 아

    2000 2.0 1.7 1.2 1.4 1.4 0.9 1.4

    2005 1.9 2.4 2.0 2.2 7.8 2.4 2.6

    2010 0.1 1.4 3.6 2.5 17.3 3.5 4.1

    태 국

    2000 3.2 1.8 0.4 1.0 0.1 1.0 0.9

    2005 6.2 2.0 1.2 2.0 0.7 2.0 1.9

    2010 3.9 2.6 1.5 2.1 2.3 4.8 2.3

    자료 : KITA Database(중국무역통계)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 향후 중국의 내수시장 확대, 중국의 위안화 절상과 인건비 상승 등에

    따라 우리나라 제품의 가격경쟁력 개선, 한․중 FTA에 따른 중국시장

    개방 등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

    ㆍ 직물의 경우 향후 고기능성 가공을 바탕으로 품질수준을 강화할 경우는

    대중국 수출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화섬사의 수출도 극세사, 고강력사,

    고탄성사를 중심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ㆍ 편직물의 수출도 고탄성 직물 등 고품질제품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전망

    ㆍ 그러나 중국의 생산능력 증강을 통한 수입대체 확대 및 기술개발 및

    디자인력 강화에 따른 품질수준 향상은 대중국 수출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28

    해외 섬유산업 동향

    중국의 구조 변화에 따른 시장접근 가능성이 높은 분야

    현재 2015

    현지투자 의류, 법용 화섬소재 고급패션의류, 기능성 화섬소재

    수출편직물, 화섬원료, 화섬장섬유직물,

    표면처리직물

    편직물, 화섬원료, 화섬장섬유직물,

    표면처리직물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대표적인 품목 예시, 시장 접근이 가능한 분야 제시, 수출 혹은 현지투자를 통한 시

    장접근으로 나누어서 고찰

    ③ 한국산업의 대중국 강점과 약점 비교

    - 우리 산업이 중국에 비해 강점을 가지는 분야

    ㆍ 우리나라는 원료부터 완제품까지 일관 생산 공정을 갖춘 화섬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편직물도 고탄성 직물 등 고품질제품

    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ㆍ 특히, 고밀도(초경량․박지)직물과 표면처리직물이 중국에 비해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

    - 우리 산업이 중국에 비해 취약한 분야

    ㆍ 천연섬유사/직물은 국내에서 천연섬유원료가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천연섬유원료 최대 생산국인 중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으로 대중국

    수입 의존가 높은 수준

    ㆍ 의류 및 생활용 섬유제품도 가격경쟁력 열세로 인해 중국에 비해 경쟁력

    이 취약

    한국산업의 대중국 강점과 약점 비교

    구분 현재 2015

    대중국

    강점 분야

    화섬원료, 화섬장섬유사, 기능성․고

    밀도 직물, 표면처리직물

    화섬원료, 극세사, 고강력사, 기능성․

    고밀도 직물, 표면처리직물, 복합기능

    성 직물, 텍스타일 직물

    대중국

    취약분야

    의류, 생활용 섬유제품, 견사, 모사,

    범용 화섬장섬유사, 화섬단섬유사, 천

    연섬유직물, 화섬 생지직물

    의류, 생활용 섬유제품, 견사, 모사, 화

    섬장섬유사, 화섬단섬유사, 천연섬유직

    물, 화섬 생지직물, 부직포

    자료 : 산업연구원

  • 29

    2. 섬유산업 현황

    (3) 외국인 투자 현황

    - 중국은 2011년 상반기 기준 한국의 섬유/의류 부문 전체 해외투자규모의

    금액기준 40.4%를 차지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첫 번째 투자대상국

    ㆍ 대 중국 투자 증가는 1990년대 이후 2000년대 중반까지 막대한 저임금

    노동력을 이용한 생산기지로서의 이점과 무역규제 회피를 위한 우회

    수출기지로서의 이점을 향유하기 위해 우리 섬유업계의 투자가 급격히

    확대되었기 때문

    - 우리나라의 대 중국 섬유/의류 분야에 대한 투자규모는 1989년 최초 투자

    이후 2011년 상반기까지 총 23.4억 달러에, 3,067개 신규법인이 진출

    ㆍ 2011년 상반기까지 섬유/의류 분야의 대 중국 투자는 전체 대 중국

    투자의 신규법인 진출의 19.5%, 투자규모의 약 8.9%의 비중을 차지

    ㆍ 대 중국 섬유/의류 분야의 신규법인 당 평균 투자규모는 76만 달러로

    전 산업 평균치(176만 달러)의 46%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타산업

    보다 자본투자가 적은 노동집약적 의류분야 투자가 많기 때문

    - 시기별로 투자 초기인 1990년대의 경우 섬유부문이 우리나라 대 중국

    전체 투자규모의 약 17%를 차지할 정도로 주력 투자분야였으나, 2000년

    이후 보다 자본집약적인 중화학 공업 부문의 대중국 투자가 확대되면서

    11.4%로 낮아졌음.

    - 그리고 2006년 이후 섬유부문의 비중이 급격한 하향세를 보이며 2011년

    에는 4.4%를 기록. 이는 동기간 동안 노동자의 급격한 임금상승, 외국인

    투자에 대한 혜택 철회 등 중국의 투자여건이 크게 악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기 때문임.

  • 30

    해외 섬유산업 동향

    한국의 대 중국 섬유/의류 부문 투자 추이

    (단위 : 건수, 백만 달러, %)

    `89-99 `0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누계

    전산업

    신규법인(A) 377.8 1471.8 1,513 1,317 677 378 499 223 15,744

    투자액(B) 385.6 1625.7 2,882.9 3,798.9 2,314.2 1,683.3 2,282.2 1,386.7 26,332.9

    섬유/의류

    신규법인

    섬유 33.1 61.4 78 70 35 14 17 5 857

    의류 71.7 211.8 171 143 45 22 32 21 2,210

    계(C) 104.8 273.2 249 213 80 36 49 26 3,067

    C/A 27.7 18.6 16.5 16.2 11.8 9.5 9.8 11.7 19.5

    투자액

    섬유 34.3 99.6 75.0 127.0 44.4 42.4 105.5 17.1 1,242.1

    의류 31.1 85.9 113.0 80.5 56.8 18.2 34.6 44.6 1,088.0

    계(D) 65.4 185.5 188.0 207.5 101.2 60.6 140.1 61.7 2,340.0

    D/B 17.0 11.4 6.5 5.5 4.4 3.6 6.1 4.4 8.9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2011년 6월말 누계 기준)

    주 : 1989~1999년 및 2000~2005년은 연간 평균치임.

    (4) 섬유산업 관련정책 및 경쟁력 평가

    1) 섬유산업 관련 정책

    - 중국 정부는 제12차 5개년 계획(2011~2015년)에서 생산의 효율성 향상,

    산업구조조정 및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추구

    ㆍ 우선 염색 및 화섬분야, 면방, 모방 등 산업 전반의 노후설비를 폐기

    하여 생산설비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과잉생산설비의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중국 정부는 화섬기업 25개사 및 염색․날염업체 201개

    사를 노호설비 폐기 업체로 지정하고 폐쇄 명령을 시행한 바 있음.

    ㆍ 자가 브랜드 개발력을 강화하고 방직설비 생산기술 수준을 높일 계획인데 그

    예로 에어제트직기, 날염기, 소모기(Combing machine), 연조기(Drawing

    frame) 등 첨단설비와 기능성 날염과 후 가공기술을 중점적으로 개발

    ㆍ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고분자량폴리에틸렌섬유, 현무암섬유 등 고

    성능산업용 섬유개발 및 산업화 추진, 풍력발전용 블레이드, 항공기와

    우주선의 동체 등에 사용되는 고성능·고강도 복합섬유를 개발

    -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산업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선 산업용

    섬유 비중을 2005년 13%에서 2010년 20%로 높인 데 이어 12.5 계획 말인

    2015년에 25%로 더욱 높일 계획

  • 31

    2. 섬유산업 현황

    - 향후 중국 편직물, 화섬소재 및 산업용 섬유제품의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ㆍ 우선 편직물은 세계적인 수요증가 및 중국의 생산능력 증가에 힘입어

    높은 증가율이 예상되고, 섬유소재도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높은 수출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ㆍ 향후 중국 정부의 고성능 산업용 섬유개발 및 산업화 추진에 힘입어

    앞으로 수출산업으로 부상할 전망

    중국의 제12차 5개년계획 기간(2011∼‘15년) 중 섬유기술발전 방향

    구 분 연구개발의 중점 보급의 중점

    섬유원료/사

    - 초모방섬유, 기능섬유, 차별화 섬유, 바이오섬유, 고성능 섬유의 사업화 가속

    - 섬유소재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하고, 국방과 민생분야의 기본적인 수요 충족

    - 산업화에 성공한 PTT섬유, 대나무펄프섬유, 마섬유 등의 신형 섬유가공기술보급․‘15년까지 연간 100만톤급 대형

    PTT 설비와 대형 레이욘 설비 국산화 추진

    방적사, 직물니트 생지

    - 복합혼방기술과 신구조사가 공기술개발을 통해 5개 이상의 차별화 다기능섬유 생산

    - 방사 품질관리기술, 직물자동검사측정/분석기술의 연구로 제품 품질과 생산성 향상

    - 성형 니트, 단섬유 경편기술 등의 니트 신기술 발전

    ․기능성니트제품 1억점, 초박막고급 니트생지 연산 1만톤 규모로 확대

    - 면방 : Compact yarn 등 신형 방적기술 중점 보급

    - 모방 : 복합방 등의 신형 모방기술과 고효율 에너지 절감 염색기술의 보급

    - 마방 : 환경보전형 탈교(脫膠)기술 보급

    - 실크 : 고효율 자동물레기, 무북직기 등 신형 기술/설비 보급

    - 니트 : 제품의 다품종, 부가가치 제고

    염색정리

    - 바이오효소 정련, 면직물의 저온표백 등 고효율 전처리 신기술의 산업화

    - 니트생지의 CPB(Cold Pad-Bach Process) 기술개발

    - 디지털 프린트 기술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국산 생지의 품질 및 고부가가치화

    - 기 산업화한 바이오효소의 정련, CPB 전처리 기술 등의 보급 확대

    ․폐수배출 연간 1억 1,330만톤 감소, 표준탄(炭)사용을 121만톤 감소, 전력 16,878kwh 절감, 少水/無水프린트기술을 프린트 염색 총량의 20∼30% 보급

    산업용 섬유- 고성능 Geo-Synthetic, 의료 위생용,

    필터용, 교통/운수용 안전방호용 등 산업화 가속

    - 2015년까지 산업용 섬유 생산량 : 1,200만톤 확대

    의류, 가정용 섬유제품

    - 의류기업의 IT 시스템화, 대규모 안정생산기술의 개발

    ․2015년까지 디지털기술을 표준화

    - 의류기업의 IT화 : CAD 30% 이상, CAM 15% 이상 RFID 20% 이상 보급

    - 환경보전형 가정용 섬유제품 기술 보급

    에너지 절감/환경보호

    - 에너지절감 환경보호 중요 기술과제(50개)의 완성

    ․면직물의 Bio정련, 저온표백기술 등 환경보전형 섬유가공기술, 펄프섬유생산기술, 디지털염색기술 등

    - Clean 생산기술, 프린트염색, Clean 염색기술, 고효율 단공 정전처리기술 등 산업화된 34건의 에너지절감 환경보호기술의 보급

    자료 : 중국화학섬유공업협회(아시아화섬산업연맹회의 발표 자료)

  • 32

    해외 섬유산업 동향

    현재 2015

    한국 중국 한국 중국

    가격수준 115 150 110 130

    품질수준 80 67 83 73

    기술수준제품기술 78 64 81 70

    생산기술 83 70 85 75

    ㆍ 중국은 그 동안 저기술제품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였지만,

    향후 기술개발 강화 및 기술인력 공급 확대에 힘입어 중급기술제품의

    경쟁력도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

    - 다운스트림인 의류분야의 높은 경쟁력을 보유한 중국 섬유산업은 업스트림인

    섬유소재까지 육성되면서 섬유사 - 직물 - 의류에 이르는 전 밸류체인이

    균형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

    ㆍ 중국 정부는 제 10차 5개년 계획기간(2001년 ~ 2005년)중 섬유소재 자급률

    향상을 목표로 화학섬유, 화섬 직물을 비롯한 섬유 소재산업을 집중 육성하였음.

    ㆍ 제 11차 5개년 계획기간(2006년 ~ 2010년)에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

    고도화를 발전 목표로 설정하고 화학섬유, 산업용 섬유를 비롯한 고부가

    가치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

    2) 경쟁력 평가와 전망

    - 국내 섬유산업은 현재 중국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30% 정도 낮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앞으로 중국의 인건비 상승 및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해

    20% 이내로 축소될 전망

    ㆍ 기술경쟁력은 우리나라가 중국보다 현재 20% 정도 높은 수준이지만

    2015년에는 중국이 기술 인력의 지속적인 공급 및 화섬소재와 산업용

    섬유의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인해 15% 수준으로 축소될 전망

    한․중 간 섬유산업의 경쟁력비교

    (일본 = 100)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100은 동등한 수준, 업계자체 판단

    ㆍ 품질수준도 중국의 염색가공 기술수준 향상, 브랜드력 강화 등으로

    인해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

  • 33

    2. 섬유산업 현황

    (5) 중국 섬유산업 변화 전망

    - 중국은 소득수준 향상과 함께 고급제품을 중심으로 내수시장이 빠른 신장세를

    나타내면서 고급 제품의 수입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

    ㆍ 중국은 범용품에 대해 수입대체를 하고 있지만, 고급․차별화제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으로, 우리 업체들이 고부가가치․차별화제품

    중심의 산업구조고도화를 통해 중국시장을 공략해야 함.

    - 중국의 인건비 상승, 인력조달의 어려움, 위안화 절상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는 우리 수출업체들에게 가격경쟁력 개선효과로 작용

    - 반면, 중국의 화섬소재 생산능력 확대, 기술 및 디자인 개발 강화, 슈퍼

    섬유 육성, 한․중 FTA에 따른 한국시장 개방 등은 우리나라 섬유산업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음.

    ㆍ 중국의 기술개발 및 디자인력 강화에 따른 품질수준 향상, 글로벌 브랜드

    M&A를 통한 브랜드력 강화, 슈퍼섬유 생산체제 구축 등은 앞으로

    우리 섬유산업을 위협할 것으로 예상

    중국산업의 변화 전망에 따른 섬유산업의 기회 및 위협요인

    항목 주요 내용

    기회 요인

    - 중국 내수시장 확대

    - 중국의 인건비 상승, 위안화 절상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 한․중 FTA에 따른 중국시장 개방

    위협 요인

    - 중국의 화섬 생산능력 확대

    - 중국의 슈퍼섬유 생산체제 구축 및 중국정부의 확고한 슈퍼

    섬유 육성 의지

    - 중국의 기술․디자인 개발 강화, 글로벌 브랜드 M&A를 통한

    브랜드력 강화

    - 한․중 FTA에 따른 국내시장 개방

    자료 : 산업연구원

  • 34

    해외 섬유산업 동향

    3 시장 동향 (1) 일반적인 시장 특성

    ○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중국 소비 시장

    - 중국은 2015년 전후로 세계 1위의 사치품 시장으로 부상하고, 사치품의

    구매 능력 인구는 약 2.5억 명에 달할 전망

    ․ 인구 13억과 경제 발전에 따른 소득수준 상승으로 중국의 소비시장은

    자동차, 고급 가전, 주택, 정보 통신기기, 화장품, 금은 보석류 등 각

    소비재 부문에서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급화와 고

    가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또한 가전하향 등 농촌소비시장 확대정책으로 광범위한 농촌시장과

    3선 이하의 시장들이 새로운 소비활력소로 부상하고 있음.

    ○ 브랜드 이미지 선호 시장

    - 최근 중국 소비자는 소득수준 향상과 소비패턴의 변화 등으로 과거와는

    달리 브랜드 제품, 개성화된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

    - 특히 외국 유명브랜드, 외자기업 및 중국 대기업의 고급품 출시로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는 시장으로 변모하면서 다국적 기업들이 선진국과 중국

    시장에 신제품을 동시 출하하고 있음.

    ○ 짧은 제품 수명주기의 신제품 선호 시장

    - 기술혁신의 경쟁과열에 따른 빈번한 신제품 출시와 소비자들의 과시적

    소비성향, 외국인 투자의 급증 등으로 전자제품 등 내구성 소비재의 수명

    주기는 점차 단축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개성화, 패션화, 고급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소비자의 구매

    패턴을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소비패턴 민감형 시장으로 변모하고 있음.

    ○ 지적재산권 보호가 미흡한 복제품 천국 시장

    - 중국시장은 WTO 가입 후 정부의 지적재산권 보호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허권, 상표권 등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이 아직 정착되지 않아 복제품

    (짝퉁-산자이) 출몰이 빈번한 시장으로 악명이 높아 향후 중국 내 지적

    재산권 보호 문제는 주요 통상 현안 과제로 대두될 것임.

  • 35

    3. 시장 동향

    (2) 일반적인 소비 패턴

    1) 구매자의 소비 성향

    - 내구 소비재의 경우 친구나 이웃의 브랜드, 품질을 비교하는 경향이 있고,

    다른 사람보다 더 좋거나 동질의 제품을 구입하는 성향이 강함.

    ㆍ 개방 이전 억압되었던 소비 욕구가 소득수준의 향상과 개방 확대로

    크게 늘어났고 외국산을 선호하는 편인데, 최근 외국산 중에서도 품질,

    브랜드, 성능, 디자인 등을 비교하여 선택적으로 구매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음.

    - 한국 상품의 인지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나 일본, 미국, 프랑스 등 선진국

    제품과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최근 한류 열풍의 영향

    으로 한국 상품의 인지도 역시 상승하면서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확산

    되는 추세

    ㆍ 지역적으로 지방도시 보다는 북경, 상해, 천진, 대련 등 중국 북부지역의

    대도시에서의 인지도가 높은 편

    ㆍ 중국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은 한국 상품은 컬러 TV, VCD, 전자레인지,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과 자동차, 의류, 식품 등이며, 기업인들의 경우

    석유화학 제품, 종이, 철강, 선박, 기계류 등에서도 한국산에 대해 비교적

    높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 상담 관행

    - 일반적으로 중국인들은 상대방을 치켜세우거나, 거래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여 상대방의 호감을 산 후 상담을 진행하기 때문에 상대방은 냉정한

    태도 유지와 철저한 사업계획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