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경제/섬유산업 현황 및 투자...

59
베트남 경제/섬유산업 현황 및 투자 유의사항 2014. 12. 11 변동욱 관세청 기업심사팀장

Upload: others

Post on 17-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베트남 경제/섬유산업 현황 및 투자 유의사항

    2014. 12. 11

    변동욱 관세청 기업심사팀장

  • - 2 -

    - 목 차 -

    Ⅰ. Introduction

    Ⅱ. 베트남의 지리경제적 위치

    Ⅲ. 베트남 경제/섬유산업 현황

    Ⅳ. 對베트남 투자시 유의사항

    Ⅴ. 베트남의 관세-통관-물류 개관

  • - 3 -

    Ⅰ. Introduction

    □ 섬유봉제산업 ㅇ 잇고, 짜고, 꿰메 붙여서

    ㅇ 인류를 보호, 안전, 따뜻, 그리고 아름답게 ⇨ 반드시 필요하고도 좋은 산업이긴 한데 ......

    》 》 》 》

    □ 필요-좋은 산업이라고 반드시 성공하는 것 아님. 경쟁에서 승리해야 ...... ㅇ 원료 - 제품 - 최종 Distribution까지 경쟁력 있는 Value Chain, Supply Chain 구축 필요

    ㅇ 원료 - 가공 - 제조 - 배송 Chain의 이면에 있는 모든 Risk들을 찾아내어 비용관점 대응

  • - 4 -

    □ 기업경쟁력 결정요소 ; 수익, 비용, 혁신

    수익(R) 관점

    - 고객

    - 상품

    - 경쟁자

    - 가격, 마케팅, 환율, ....... (모든 Risk를 찾아)

    혁신(국내 & 해외)

    +

    비용(C) 관점

    - 자재관리

    - 노무관리

    - 통관물류

    - 국세관세

    - 품질관리, .......

    (환경변화)

    □ 혁신기업, 혁신제품의 예

    10/50대 혁신기업 (2013)(Released by BCG, 2013. Sep.)

    100대 혁신기업 (2014)(Released by Forbes, 2014. Oct.)

    휴대폰 (때문에 사라지는 산업)

    - 애플

    - 삼성

    - 구글

    - MS

    - 토요타

    - IBM

    - 아마존

    - 포드

    - BMW

    - GE

    - 한국 Naver 1개

    - 미국 39개

    - 일본 8개

    - 중국 6개

    ※ 존재감 의심 받는 우리 성장동력

    전화기,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컴퓨터, 계산기

    게임기, MP 3, 라디오

    시계, TV, CD 플레이어

    인터넷, 지도, 메모, 책

    〉〉

    .....융합

  • - 5 -

    □ 왜, "혁신"이 필요한가 ? ☞ 환경변화 가운데서도 오래 오래 성장·번영을 위해 ......

    ㅇ 남들 하는 현상유지 방식 → 경쟁력 확보 곤란, 어차피 곧 퇴출

    (후진국, 낙후기업이 채택하는 방식)

    ㅇ 남들 보다 좀더개선 방식 → 일정기간 후, 경쟁력 상실

    (일본 기업이 많이 채택하는 Kaizen 방식)

    ㅇ 남이 상상 못한 혁신방식 → 승자 독식 (석유, 자동차, 전기, Window, 아이폰)

    (각 시대 초일류기업이 채택하는 방식)

    ※ Gartner社, 2013년도 조사대상 기업의 77%가 “혁신”이 핵심과제라고 응답

    < 동화 Alice in Wonderland (Lewis Carroll) 중에서 >

    앨리스 : 여기서 내가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가르쳐 줄래 ?

    체셔캣 : 그건 네가 어디로 가고 싶은가에 달려 있겠지 !

    ♣ ♣ ♣

    (앨리스 : 혹시 나는 갈 곳이 없는 건 아닐까 ?

    벽 : 지도만 보면 뭐해 ?

    남이 만든 지도에 네가 가고 싶은 곳이 있을 것 같니 ?

    앨리스 : 그럼 내가 가고 싶은 곳은 어디 나와 있는데 ?

    체셔캣 : 넌 너만의 지도를 만들어야지 !)

    ♣ ♣ ♣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중국, 아니면 베트남 ?

    여기서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가르쳐 줄래?그건 네가 어디로 가고

    싶은가에 달려 있겠지!

  • - 6 -

    Ⅱ. 베트남의 지리 경제적 위치 1. 세계 제조업지대의 확장추세 ① 지중해 → 대서양 유럽 : 차 · 향료 · 면직물 vs 금은 · 금속세공품 · 모직물 (무역풍) ; 폴투갈

    ② 서유럽 (네델란드, 영국, 프랑스) : 가축 및 수력 → 석탄 (스팀엔진)으로 에너지 변경 ; 영국

    ③ 북미지역 : 석탄 → 석유 엔진, 전기, 철도, 석유화학으로 변경 (거대 장치산업) ; 미국

    ④ 동북아 : 전자제품, 반도체, IT제품 (핵심에 반도체 패권 경쟁) ; 일본-한국-중국 → 동남아

    ☞ 세계 제조기지 재편 추세에 맞추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 해외투자 활동이 필요한 시점

    2

    13

    4

  • - 7 -

    대양의 무역풍과 해류의 방향

    무역풍/해류의 방향 무역풍/해류의 방향

    ※ 폴투갈/스페인 무역선 : 무역풍(동풍)과 적도해류를 이용, 항해시간을 1/4 로 단축

    적도선

    해류 / 바람 : 시계방향

    해류 / 바람 : 反시계방향

    적도선

  • - 8 -

    세계의 공장지대 확장 ; 유럽/북미 → 동북아 → 동남아

    ☞ 유럽/북미의 전통적 산업지대는 점차 퇴조하고, 속도, IT, 순발력을 기초로 젊은 아시아가 강해

    지는 추세

    Now동남아시아로 확장중!

  • - 9 -

    2. 동남아국간 투자환경 비교분석

    면 적 (만㎢) 인 구 (백만명) 1인당 GDP ($)

    ㅇ 인도네시아 (181), 미얀마 (65),

    태국 (51), 말레이지아 (33), 베트남

    (31), 필리핀 (30) 순

    ㅇ 인도네시아, 필리핀은 다수 섬

    으로 구성

    ㅇ 말레이시아는 본토와 사라와크로

    구성

    ㅇ 베트남, 태국, 미얀마는 하나로

    연결된 국토

    ㅇ 인도네시아 (2.5), 필리핀 (1.0),

    베트남 (0.9), 태국 (0.7), 미얀마

    (0.5) 순

    ㅇ 인도네시아, 필리핀에는 다수의

    이슬람 인구

    ㅇ 일부 국가는 종교 및 계층간

    분열을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

    ㅇ 베트남 : 대규모 젊은인력, 통일

    된 국민의식

    ㅇ 국민소득 5,000$ 이상인 나라

    에서는 저부가가치 제조업 영

    위하기 어려움

    ㅇ 소득수준에 따라 진출, 수용할

    수 있는 산업/업종이 달라짐

    ㅇ 베트남은 1인당 GDP 1,900$

    ㅇ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

    아가 동남아 최빈국으로 앞으

    로 상당기간 빠른 성장 가능성

    ※ 출처 : IMF, Data and Statistics, World Economic Outlook DB (2014. 10)

  • - 10 -

    투자효율성 비교평가 (2013) ; 베트남 vs 기타 경쟁국

    국 명 면 적(만㎢)

    인 구(백만명)

    GDP(1인당, $)

    강 점 유 의 종합평가

    중국 957 1,367.5 6,950투자 유치국 → 투자 진출국 전환

    싱가폴 0.06 5.5 55,182 고소득, 도시국가

    부르네이 0.5 0.4 39,658 산유국, 도시국가, IS

    말레이지아 33 30.5 10,457 고소득, 많은 섬, IS

    태국 51 68.5 5,675 분쟁

    인도네시아 181 251.5 3,510 많은 섬, IS

    필리핀 30 99.4 2,791 분쟁, 많은 섬, IS

    베트남 31 90.6 1,901 안정, 근면, 물류, 투자 베트남에 대한 무지투자수익률/안정성 高

    라오스 23 6.9 1,594 내륙국

    미얀마 65 51.4 1,113 분쟁

    캄보디아 17 15.3 1,028 분쟁

    ※ 출처 : IMF, Data and Statistics, World Economic Outlook DB (2014. 10)

    ※ 한국 ; 인구 50.4백만명, GDP 25,975$/인

  • - 11 -

    베트남의 비교우위 ; FTA, 물류 허브, 안정성, 시장, 임금, 근면성 등

    ① 정치․사회적 안정성 / Non-IS ② 풍부한 인력 / 시장규모

    ③ 낮은 인건비 / 높은 투자효율성 ④ 최고의 국제 물류운송거점 위치

    ⑤ FTA Hub / 親FDI정책 / 온건 노조 ⑥ 우수한 국민 ; 영리․손재주 좋고, 부지런 ㅇ 타결·발효 ; ASEAN(1996), A–China(2010),

    A–Korea(2007), A–Japan(2008), V–Japan(2008), A–ANZ(2010), A–I(2010), V–Chile(2013)

    ㅇ 협상중 ; 한국, EU, TPP, 러시아CU, RCEP

    ㅇ Smart (영리, But not strategic) ㅇ Crafty (손재주, But not meticulous) ㅇ Diligent (부지런, But not hard-working) ㅇ Polite (온순, But lacks discipline)

    ⑦ 투자기회 ; SOC·고급인력·부품원자재 부족 ⑧ 빠른성장 잠재력 ; 6,000USD 까지

    ㅇ 도로·항만·교량·철도·공항 부족 → 협력기회

    ㅇ 석화·비철금속·부품소재 취약 → 투자기회

    ㅇ 단순인력 많고, 고급인력 없고 → 노동집약산업

    ㅇ 중국 소득, 임금, 물가 → FDI 투자처 변경 ㅇ ASEAN 경쟁국의 정치경제적 불안요인 ㅇ 베트남의 적극적 FDI 투자유치 노력

  • - 12 -

    3. 베트남의 FTA Hub 전략

    □ FTA에 적극적인 나라 ; 정치적 이유

    ㅇ WTO 체제내 다자간 협상은 회원국들의 발전단계, 경제규모, 주요 관심사가 매우 상이하여

    이를 모두 반영한 합의도출이 어렵기 때문에 협상진행이 매우 느려 성과거양 곤란

    ㅇ 기업의 경쟁력 제고, 일자리 창출, 국민소득 증대 등 거시경제 지표를 관리하는 정치지도자

    들은 조기에 성과물 제시 가능

    ㅇ 독자적 관세체제를 유지함으로써 국가적 과제에 기민하게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무역

    정책상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경제적 후생의 극대화 가능

    ㅇ 정치경제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고, 국제관계에 대외적 협상력을 확대하는 효과거양 가능

    ㅇ 정치경제적 동맹을 통해 투자유치, 시장확보, 안보Risk 축소, 대외신인도 제고 등 성과거양

    □ FTA에 적극적인 나라 ; 경제적 이유

    ㅇ 관세인하 만큼 수입 원자재, 기계설비, 상품의 가격을 낮추어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 제고

    ㅇ 설비투자나 연구개발 등에 대한 비용지출 없이도, 협정만으로 기업의 가격경쟁력 제고

    ㅇ 시장확대를 통해 역내국가간 무역, 생산, 규모경제, 고용, 소득, 투자, 성장률을 확대 효과

    ㅇ 선진국 기업의 투자를 촉진함으로써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경제체질의 선진화 도모

    ㅇ 수입 소비재에 대한 관세가 제거되면, 그 만큼 가격이 낮아져 소비자 잉여와 후생 증가

  • - 13 -

    □ 발효된 FTA

    ① ASEAN FTA (1996) ; 아세안

    ② ASEAN-China FTA (2010) ; 중국

    ③ ASEAN-Korea FTA (2007) ; 한국 (한국과 양국간 FTA 협상 진행중)

    ④ ASEAN-Japan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2008) ; 일본

    ⑤ Vietnam-Japan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2008) ; 일본 (양국간)

    ⑥ ASEAN-Australia and New Zealand FTA (2010) ; 호주, 뉴질랜드

    ⑦ ASEAN-India FTA (2010) ; 인도

    ⑧ Vietnam-Chile FTA (2013) ; 칠레

    ※ 베트남의 FTA별 관세인하 스케쥴 및 관세율 수준비교 (출처 : 베트남 산업무역부)

    ※ 출처 : 베트남 산업무역부

  • - 14 -

    □ 협상중인 FTA ; 전망과 기대효과

    FTA명 참가국 GDP 등 (2012) 관세인하 효과 진행 및 쟁점 타결/발효 목표

    TPP

    호주, 부르네이, 칠레, 캐나다, 일본, 말레지아, 멕시코, 뉴질랜드, 페루, 싱가폴, 미국, 베트남 등 12개국 (한국 참여 예정)

    - GDP : 28.1조$- 1인당 GDP : $35,488- 인구 : 7.9억명- 세계 GDP의 39.0%- 세계 인구의 11.3%- 세계교역의 25.8%

    - 12개 참가국중 베트남 최대 수혜자

    - 세계 최대 의류생산기지 부상 전망

    - 관세인하 (섬유); 17~37% → 0%

    - 일본의 농산물 (관세화), 자동차- 원산지 기준(섬유); Yarn Foward- 농산물/공산품 Vs. 서비스/투자/지재권

    - 18차 협상 종료 (2013. 7)- 2013년말 이후 싱

    가폴 거점으로 협상 진행중

    - 현재 교착상태

    Vietnam-

    EU

    오스트리아, 벨지움,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사이프러스, 체크,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태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말타, 네델란드, 폴란드, 폴투갈, 로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영국 등 28개국

    + 베트남

    - GDP : 16.8조$- 1인당 GDP : $28,283- 인구 : 약 6억명- 세계 GDP의 23.3%- 세계 인구의 8.6%- 세계교역의 15.4%

    - 신발 ; 12.4%- 섬유 ; 11.7%- 수산물 ; 10.8%→ 0%

    ※ EU향 수출 10~20% 증가 예상

    - EU 남부권 국가의 부정적 기류

    - 2014. 10 타결- 비준절차 진행중

    Vietnam-

    Customs Union

    러시아, 카자흐스탄,벨라루스 + 베트남

    - GDP : 2.4조$- 1인당 GDP : $9,541- 인구 : 2.56억명- 세계 GDP의 3.3%- 세계 인구의 3.66%- 세계교역의 4.3%

    - 농산물 : 13.3%- 공산품 : 9.4※ 러시아 GDP: 2조$

    - 농산물, 수산물, 의류 수출- 비료, 석유, 가스, 원발, 중기계, 자동차 수입

    - 5차 협상 종료 (2014. 4)- 2015년 타결 목표

    ※ 출처 : http://www.imf.org/external/pubs/ft/weo/2013/02/weodata

    http://stat.wto.org/CountryProfile/WSDBCountryPFReporter.asp

    ㅇ 기타 : RCEP (ASEAN + 6, 2012), EFTA (Swiss, Norway, Iceland, 리히텐쉬타인, 2012)

  • - 15 -

    4. 시사점 ; Post China 투자적지, 아세안국가 핵심거점, FTA Hub활용 ㅇ 동남아 국가중 해상운송 Crossroad의 중심국가 위치

    ㅇ 동남아 국가중 싱가폴 제외하고, 가장 FTA에 적극적인 국가

    ㅇ 동남아 저소득 국가중 가장 인구규모 크고, 근면, 빨리 발전, 정치적 안정, 투자효율성 높음

    ☞ Global 소싱기지로서의 중국을 대체하는 동남아 최적의 투자적지

    ☞ 한국/중국(부품·원자재)→베트남(가공·조립)→미국/유럽(시장)간 3각 무역체제 완성 파트너

    국민소득 6000$이상 동북아국가

    국민소득 6000$이하 동남아국가

    세계 공장지대 확장 : 동북아 + 동남아로 확대

    TPP

    EU Russia

    ASEAN

    A-NZ

    China

    Korea

    Japan

    India

  • - 16 -

    Ⅲ. 베트남 경제/섬유산업 현황

    1. 베트남 국가개관

    동남아의 중심국가 주요 국가통계 떠오르는 龍의 나라

    ▷ 면적 : 33만K㎡, 남북 2,000Km

    ▷ 인구 : 9,000만명

    ▷ GDP (2013) : 1,705억$

    ▷ 1인당 GDP(“) : 1,901$

    ▷ 경제성장률(“) : 5.4%

    ▷ 물가상승률(“) : 6.6%

    ▷ 수출(“) : 1,321억$ +

    ▷ 수입(“) : 1,321억$

    ▷ 환율('14.11) : 21,300VND/1U$

    ☞ 중국 대체 생산기지 국가

  • - 17 -

    2. 주요 경제지표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경상 GDP(억U$) 982.7 1,016.3 1,127.7 1,346.0 1,555.6 1,705.6

    1인당 GDP(U$) 1,154 1,181 1,297 1,532 1,752 1,901

    경제성장률(%) 6.2 5.3 6.8 5.9 5.2 5.4

    물가상승률(%) 22.9 6.9 9.7 24.1 9.2 6.6

    실업률(%) 4.7 4.6 4.3 4.5 4.5 4.4

    대미달러환율 16,583 18,119 19,501 20,828 20,860 21,095

    ※ 출처 : IMF WEO DB, 베트남 통계청 및 국가은행/중앙은행 등

    □ 2013년 1인당 GDP는 1,901$로 동남아 10개국중 가장 낮은 4개국 그룹 (CLMV)에 속함

    □ 경제성장은 WTO 가입으로 2005~2007년중 높은 수준을 시현하였으나, 2008년 이후 저조

    □ 물가상승은 원자재 파동, 환율 급상승, 임금 급상승 등 영향을 높은 수준을 보여 왔으나,

    2013년 6.6% 수준으로 최근 10년래 가장 낮은 수준 달성

    □ 평균임금은 그 동안 낮은 수준 (250$/월)을 유지해 왔으나, 사회불안이 고조됨에 따라 최저

    임금을 최근 매년 15% 수준 인상하고 있는데, 실제 임금상승으로 그대로 이어지는 경향

  • - 18 -

    3. 베트남에 대한 주요 투자국

    □ 한국은 통계상 일본에 이어 2위 투자국이나, 삼성전자 (60억$)가 싱가폴 국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사실상 1위 투자국가

    □ 싱가폴, 대만, 홍콩 등 중화권 투자 압도적 비중. 중국, 홍콩 등 본토 투자에 대해 비우호적

    □ 외국인투자 (FDI)에 의존한 경제발전전략 추구 (한국; 借款 의존 발전) ☞ FDI에 우호적 태도

    국 가 명 건    수 인가 금액(억$) 집행 금액(억$)

    일 본 2,434 365 118

    한 국 4,020 334 103

    싱 가 폴 1,330 326 83

    대 만 2,343 280 118

    전체합계 17,219 2,441 827

    ※ 출처 : 베트남 기획투자부 (2014. 10 현재)

  • - 19 -

    4. 베트남의 수출입규모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수 출 (억불) 626.9 571.0 716.3 969.1 1,145.7 1,321.3

    수 입 (억불) 807.1 699.5 840.0 1,067.5 1,137.9 1,321.2

    무역수지 (억불) -180.2 -128.5 -123.7 -98.4 7.8 0.1

    ※ 출처 : 베트남 관세청

    □ 주요 수출품목 (’14. 1~10)

    ㅇ 핸드폰 191.6억$

    ㅇ 섬유직물 176.2

    ㅇ 신발류 82.2

    ㅇ 원유 62.8

    ㅇ 수산물 65.2

    ㅇ 기계플랜트 59.4

    ㅇ 목제품 50.0

    ㅇ 수송수단 부품 45.7

    ㅇ 커피 31.1

    □ 주요 수입품목 (’14. 1~10)

    ㅇ 기계 182.7억$

    ㅇ 전자제품 149.5

    ㅇ 의류원단 77.4

    ㅇ 유류제품 69.2

    ㅇ 전화기부품 67.7

    ㅇ 철강 62.4

    ㅇ 플라스틱원료 52.6

    ㅇ 직물/원부자재 38.9

    ㅇ 사료 28.3

    □ 베트남 전체 수출의 1/3을

    한국 투자기업이 달성

    □ 한국 투자기업의 진출업종은

    전체 산업분야에 걸치나, 특히

    핸드폰, 섬유직물의류 및 신발

    분야에서 높은 성과 거양

    □ 주요 수출대상국은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독일 등임

  • - 20 -

    5. 한-베 경제관계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수 출 (억$) 70.8 71.5 96.5 134.6 159.5 210.9

    수 입 (억$) 20.4 23.7 33.3 50.8 57.2 71.8

    무역흑자 (억$) 57.6 47.8 63.2 83.8 102.3 139.1

    < 한-베 양국간 교역추이 (단위 : 억$) > ※ 출처 : 한국 관세청

    0.0

    50.0

    100.0

    150.0

    200.0

    25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수출

    무역흑자

    수입

    ‣ 양국 교역은 2008년 이후 년평균 25% 수준 증가 ‣ 아국은 투자재 및 중간재를 주로 수입하며, 베측은

    원유, 신발, 의류 등을 주로 수출

    ‣ 베측은 자국 경제규모에 비해 과도한 무역적자를 지적하고, 아국은 양국간 관점에서 보다는 3국간 관점에서 베트남의 무역흑자 기조유지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

    □ 10대 수출품목ㅇ 반도체 29.1억$ㅇ 무선통신기기 15.7 ㅇ 합성수지 11.4ㅇ LCD 11.2ㅇ 철강 9.6ㅇ 편직물 9.4ㅇ 기계부품 9.2 ㅇ 석유제품 7.9ㅇ 자동차 4.4ㅇ 플라스틱제품 4.0

    □ 10대 수입품목 ㅇ 의류 29.1억$ ㅇ 신발 3.8 ㅇ 목재류 2.3 ㅇ 섬유제품 2.2 ㅇ LCD 2.1 ㅇ 무선통신기기1.9 ㅇ 연체동물 1.3 ㅇ 갑각류 1.3 ㅇ 수산가공품 1.2 ㅇ 컴퓨터 0.7

    □ 주요 통상현안

    ㅇ 對한국 무역적자 확대에 대한 문제 제기 ㅇ A-K FTA에 대한 낮은 수출활용률 ㅇ 한-베간 FTA 타결 / A-K FTA 실효성 약화 ㅇ 외투기업에 대한 이전가격 세무조사 ㅇ 외국인투자자에 대한 빈번한 출국 정지 ㅇ ODA 지원 확대

    Red-tapes, Corruption 투자분규 빈발

    노사분규, 임금 급상승 환경단속 간화, 인프라

  • - 21 -

    6. 베트남의 섬유봉제산업 규모 (FPT증권의 "베트남 섬유산업 보고서 (2014. 4)" 요약)

    ㅇ 2012년 전세계 섬유봉제 무역규모 : 708 Billion$

    ㅇ 1위 중국 : 288 Billion$, 비중 40.7%

    ㅇ 2위 EU : 178 Billion$, 25.1% (옆 설명문 오류)

    ㅇ 세계 10대 수출국 :

    중국, EU, 인도, 터키, 방글라데쉬(21.6Bil$), 베트남, 미국, 한국,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ㅇ 베트남 섬유산업 : 방글라데쉬 보다 조금 작으나, 비슷한 규모

    ※ 출처 : Wazir Advisors : 인도계 컨설팅社 ※ 출처 : FPT증권 : 베트남 최대 IT회사 FPT社의 증권 자회사

    2025년 전세계 섬유봉제산업 무역성장율 전망

    ㅇ 전세계는 708 → 1,700Bil$로 년평균 6.5% 성장

    ㅇ 중국을 제외한 기타 국가는 년평균 8% 성장

    ㅇ 중국은 288 → 600Bil$로 년평균 6% 성장

    ㅇ 중국은 2012년 전세계 40%에서 35%로 비중감소

    ㅇ 중국을 제외한 기타 국가群의 성장세가 더 높음

    2025년 세계 섬유봉제 무역예측 (10억$)

    중국 기타 국가 중국 비중

    중국전세계 인도 터키 방글라데쉬

  • - 22 -

    7. 베트남 섬유봉제 산업의 現주소

    □ 섬유봉제 산업은 베트남의 주력 수출산업

    □ 베트남 토종 섬유기업은 부가가치가 낮은 CMT(Cut-Make-Trim) 봉제수준에 집중

    □ 부가가치가 높은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 & Distribution 기능은 선진국 OBM기업이 수행

    □ 부가가치가 높은 부분으로 발전해 나가야 함

    원부자재생산 수출

    주요 생산방식 제품에 체화되는 부가가치

    방직분야

    부가가치

    Value Chain

    봉제 분야

    디자인 봉제

    Distribution

  • - 23 -

    8. 베트남 섬유봉제 산업의 구조 및 생산성

    ㅇ 봉제 분야 70%

    ㅇ 제사 분야 6%

    ㅇ 제직 분야 17%

    ㅇ 염색 분야 4%

    ㅇ 지원서비스 3%

    ㅇ 개인 기업 84%

    ㅇ 외국인투자 15%

    ㅇ 국가 기업 1%

    ※ 전체 기업수 : 6,000개

    ㅇ 한국 (최상위)

    ㅇ 싱가폴 (차상위)

    ㅇ 말레이시아 (중위권)

    ㅇ 대만,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하위권)

    ㅇ 베트남 (최하위권)

    활동형태별 기업분포생산국가별 노동생산성 지수

    소유형태별 기업분포

  • - 24 -

    9. 베트남 섬유봉제 수출입규모

    ㅇ 2013년 수출규모는 179억$

    ㅇ 2010년 이후 년평균 17% 성장

    ㅇ 2013년에는 전년대비 19% 성장

    ㅇ 2013년에는 섬유봉제 부문에서 44억$ 흑자기록

    ㅇ 섬유봉제부문은 휴대폰에 이어 2대 수출품목

    ㅇ 2013년 면, 絲, 직물, 원부자재 등 총 135억$ 수입

    ㅇ 2010년 이후 년평균 15% 증가

    ㅇ 2013년에는 전년대비 19.5% 증가

    ㅇ 면사, 화학사 등 원부자재 생산능력이 미비하여

    원자재를 한국, 중국으로부터 수입

    섬유봉제 수입금액 (백만USD)섬유봉제 수출금액 (십억USD)

  • - 25 -

    10. 베트남 2013년도 섬유제품 주요 수출시장

    시 장 금 액 (억$) 전년대비 증가율 (%) 전체대비 비중 (%)

    미 국 86.2 15.5 48.0

    E U 27.3 11.8 15.2

    일 본 23.8 20.7 13.3

    한 국 16.4 53.5 9.14

    ASEAN 4.2 21.3 2.3

    캐 나 다 3.9 24.2 2.2

    중 국 3.6 43.7 2.0

    대 만 2.0 -12.4 1.1

    홍 콩 1.4 31.1 0.8

    러 시 아 1.3 9.7 0.8

    ※ 출처 : VITAS

    11. 베트남 섬유제품의 미국시장 수출전망

    ㅇ TPP가 없을 경우, 2025년 대미 수출은 175억$ 예상

    ㅇ TPP 발효 시, 2025년 300억$ 예상 (+ 125억$)

    ㅇ 베트남에 대한 현행 평균관세율은 17~18% → 0%. 년 12~13% 증가

    ㅇ 2025년 섬유 수출 : 550억$ 전망

    ※ 출처 : VITAS

    TPP 불포함 TPP 포함

  • - 26 -

    12. 베트남의 제사분야 통계데이터

    구 분 2010 2011 2012

    스핀들 수 (1,000추) 3,650 4,500 5,100

    Rotor 수 103,348 103,348 103,348

    면사, 폴리에스터,레이욘 생산 (만톤) 51.4 62.0 68.0

    원사 수출 (만톤) 33.6 38.4 41.5

    직물 생산 (10억㎡) 1.0 1.0 1.0

    직물 수입 (10억㎡) - - 6.0

    ※ 출처 : VCOSA

    13. 베트남 2013년 섬유산업 현황 (요약)

    ㅇ GDP / 전체 GDP 비중 : 10.5% ㅇ 평균 임금 : 450만동 (약 215$)

    ㅇ 수출증가율 (2008 ~ 2013) : 14.5% ㅇ 근로일 수/Week : 6일

    ㅇ 업체 수 : 6,000개 ㅇ 근로시간/Week : 48시간

    ㅇ 업체규모 : 200~500명 수준 중소기업이 대부분 ㅇ 교대/일 : 2교대

    ㅇ 분포지역 : 북부 30%, 중부 8%, 남부 62% ㅇ 생산방식 : CMT 85%, 기타 15%

    ㅇ 근로자 수 : 250만명 ㅇ 생산 소요기간 (Lead Time) : 90~100일

  • - 27 -

    베트남, 2030년을 향한 2020년 섬유산업 발전계획 출처 : 베트남 산업무역부 제3218/QĐ-BCT호, 2014. 4. 11

    A. 발전 방향

    □ 지속가능한 현대화, 효율화

    ㅇ 제조를 임가공 → 원료, 반제품 구매로 강력 전환

    ㅇ 품질 제고, 수출물품의 다양화

    □ 수출기반의 섬유산업 발전을 추진

    ㅇ 동시에 국내시장 요구도 최대한 충족

    ㅇ 각종 지원산업 제품, 원부자재 생산의 발전에 집중하고, 섬유산업 제품의 부가가치 제고

    □ 섬유산업을 환경 보호 및 농업 농촌 인력 변화추세에 맞도록 발전

    ㅇ 환경처리 요구를 충족하도록 집중 섬유직물 염색 공업구, 클러스터 개발

    ㅇ 인력을 많이 사용하는 섬유업체를 농촌지역으로 이전

    ㅇ 동시에 각 도시 및 대도시에서는 섬유 패션시장 발전

    □ 인력자원의 량 및 질 개선

    ㅇ우수 비즈니스맨, 숙련되고 전문성 있는 간부, 관리자, 기술자, 기능공 양성

    □ 섬유 발전에 투자자원을 동원하고, 취약하고 경험이 부족한 부문에 FDI 투자유치

  • - 28 -

    B. 발전 목표

    a) 총괄 목표

    □ 수출 핵심산업, 그리고 국내수요를 충족시키는 잠재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

    ㅇ 많은 일자리 공급 및 경쟁력을 제고하여, 역내 및 세계 경제에 적극 참여

    □ Global Standard에 맞는 현대적 기술, 품질관리시스템, 인력관리, 환경관리를 토대로 지속발전 보장

    □ 섬유산업을 각 지역에 적절히 배치 : 인력, 교통, 항만 등 자원 공급의 원활화 도모

    □ 2020년까지 다수 유명 브랜드 개발

    b) 세부 목표

    □ 2013 ~ 2015년 단계

    ㅇ 섬유 전체 성장률은 연간 12% ~ 13%, 그중 직물은 11% ~ 12%, 봉제는 13% ~ 14% 성장

    ㅇ 수출은 10% ~ 11%, 국내시장은 9% ~ 10% 성장

    □ 2016 ~ 2020년 단계

    ㅇ 섬유 전체 성장률은 연간 12% ~ 13%, 그중 직물은 13% ~ 14%, 봉제는 12% ~ 13% 성장

    ㅇ 수출은 9% ~ 10%, 국내시장은 10% ~ 12% 성장

    □ 2021 ~ 2030년 단계

    ㅇ 섬유 전체 성장률은 연간 9% ~ 10%, 그중 직물은 10% ~ 11%, 봉제는 9% ~ 10% 성장

    ㅇ 수출은 6% ~ 7%, 국내시장은 8% ~ 9% 성장

  • - 29 -

    ※ 섬유산업에서 직물 Vs. 봉제 각 비율 목표

    ㅇ Yr. 2015) 45% : 55% → Yr. 2020) 47% : 53% → Yr. 2030) 49% : 51%

    섬유산업 각 분야별 세부 달성목표

    구분 단위 2015 2020 2030

    ㅇ 수출 금액 10억 USD 23-24 36-38 64-67

    - 전체대비 섬유비중 % 15-16 13-14 9-10

    ㅇ 인력 사용 1,000명 2,500 3,300 4,400

    ㅇ 주요 제품

    - 면사 1,000톤 8 15 30

    - 화섬사 1,000톤 400 700 1.500

    - 합성사 (단섬유로 제조) 1,000톤 900 1,300 2,200

    - 직물 백만 m2 1,500 2,000 4,500

    - 봉제의류 백만 SP 4,000 6,000 9,000

    ㅇ 국산화 비율 % 55 65 70

  • - 30 -

    C. 제품개발 방향 및 배치계획

    a) 각 분야별 발전방향

    첫째 : 시장기회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하여 수출 봉제분야 강화

    - 의류제품을 다양화하고 수준을 제고하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제조비즈니스 방식 변경 : CMT → OEM, FOB 또는 ODM, OBM과 같은 형식

    - 노동 생산성 제고, 기업 경영관리, 샘플 디자인, 품질관리, 거래 활성화

    - 의류생산을 대도시 → 인력자원 풍부하고 교통이 원활한 지방으로 배치 전환

    둘째 : 하이테크 絲, 헬스케어 絲 제품을 개발 ․ 수출하는 직물생산 계획수립- TPP, FTA 등 무역협정을 활용하여, 하이테크, 헬스케어 소재 絲 , 니트, 우븐 의류제조 발전

    - 제품품질을 개선 고객 신뢰 제고에 집중하며, 그 중에서도 직물 염색분야 완성 중요시

    - 絲, 직물 생산, 염색 각 프로젝트는 환경오염을 적게 야기하는 적합 기술채택

    - 직물 염색공장 계획은 물 공급 및 폐수 처리를 순조롭게 할 수 있는 일정 장소에서 전부 완성

    셋째 : 면사 원료자원, 각종 섬유작물, 인조섬유 및 부자재를 개발한다

    - 면화 개발 프로그램 추진하고, 그 중에서도 국내 관개 (Irrigated) 면화식재 지역 개발

    - 국산화율 목표달성을 위해 국내수요 충족시킬 수 있는 각 단계별 인조 섬유사 생산공장에 보충 투자

  • - 31 -

    b) 지역별 계획 : 각 지역에 나누어 배치

    □ 지역 1 : 홍강평야 지역

    + 하노이시 : 패션 디자인 센터, 샘플모델 생산, 서비스, 원부자재 공급, 섬유기술 센터

    + 흥옌성 포노이 (Phố Nối - tỉnh Hưng Yên), 남딩성 화쌰, 바오밍 (Hòa Xá, Bảo Minh - tỉnh Nam Định), 타이빙성 푹칸, 응웬득카잉 (Phúc Khánh, Nguyễn Đức Cảnh - tỉnh Thái Bình), 하이퐁시 짱줴 (Tràng Duệ - thành phố Hải Phòng), 하남성 쩌우선 (Châu Sơn - tỉnh Hà Nam) 등과 같이 인프라 기반을 갖춘 공업구, 제조수출구 (수출가

    공구) 등에서 제사, 제직, 염색 공장

    + 꽝닝성 하이옌 (Hải Yên - tỉnh Quảng Ninh) 공업구에 섬유봉제 공업클러스터+ 빙푹성 빙쑤옌 (Bình Xuyên - tỉnh Vĩnh Phúc) 공업구에 섬유봉제기계 장비, 부품 생산공장

    □ 지역 2 : 북부 내륙 및 산간 지역

    + 푸토성 투이번, 쭝하, 땀농 (Thụy Vân, Trung Hà, Tam Nông - tỉnh Phú Thọ) 공업구, 타이응웬성 포옌 (Phổ Yên - tỉnh Thái Nguyên) 공업구에 제사, 제직, 염색 공장 타이응웬성, 옌바이성, 뚜옌꽝성, 박쟝성, 박깐성 (tỉnh Thái Nguyên, Yên Bái, Tuyên Quang, Bắc

    Giang, Bắc Cạn)에 봉제공장+ 선라성, 디엔비엔성 (tỉnh Sơn La, Điện Biên)에 면화식재, 실크원료 지역 개발

  • - 32 -

    □ 지역 3 : 중북부 지역

    + 타잉화성 빔선 B, 겝꽝쓰엉 (Bỉm Sơn B, Ghép Quảng Xương - tỉnh Thanh Hóa) 공업구, 응예안성 (tỉnh Nghệ An) 남단 (Nam Đàn) 제사 제직 공업구, 응예안성 지옌저우 (Diễn Châu - tỉnh Nghệ An) 직물염색 집중 공업구, 하띵성 (tỉnh Hà Tĩnh) 홍링 (Hồng Lĩnh) 제사 제직 공업구, 하띵성 직물염색 집중 공업구,

    꽝빙성 (tỉnh Quảng Bình) 제사 제직 염색 공업구, 꽝찌성 동아이뜨 (Đông Ái Tử - tỉnh Quảng Trị) 공업클러스터, 후에성 퐁디옌, 뜨하, 푸바이 (Phong Điền, Tứ Hạ, Phú Bài - tỉnh Thừa Thiên Huế) 공업구 등에 제

    사, 제직, 염색 분야 투자

    + 이 지역내 각 성의 도시 외곽지역, 읍면 각 지역에 봉제공장을 나누어 배치

    + 꽝찌성 (Quảng Trị), 꽝빙성 (Quảng Bình)에 면사 원료지역 개발+ 타잉화성 응이선 (Nghi Sơn - tỉnh Thanh Hóa) 석유화학 공업구 인접지역에 인조섬유 생산공장 개발

    □ 지역 4 : 중남부 연해지역

    + 다낭시, 빙딩성, 푸옌성 (tỉnh Đà Nẵng, Bình Định, Phú Yên) 공업구, 공업클러스터의 남북연결 국도 축에 따라 섬유공업 투자 배치 유도

    + 다낭시 화칸 (Hòa Khánh - thành phố Đà Nẵng), 꽝남성 떠이안, 동꿰선, 탕빙 (Tây An, Đông Quế Sơn, Thăng Bình - tỉnh Quảng Nam), 꽝응아이성 즁꽡 (Dung Quất - tỉnh Quảng Ngãi),

  • - 33 -

    빙딩성 년호이 (Nhơn Hội - tỉnh Bình Định), 푸옌성 안푸 (An Phú - tỉnh Phú Yên), 빙투언성 떤득 (Tân Đức - tình Bình Thuận)에 중심공업구 건설하고, 그 안에 제사, 제직, 염색 공장+ 닝투언성, 빙투언성 (tỉnh Ninh Thuận, Bình Thuận)에 면사 원료지역 개발+ 이 지역에 봉제 원부자재, 섬유봉제기계 장비, 부품 생산공장

    □ 지역 5 : 동남부 지역

    + 호치민시 : 패션 디자인센터, 샘플모델 생산, 서비스, 원부자재 공급, 섬유기술 센터

    + 빈증성 빙안, 동안 1, 다이당 (Bình An, Đồng An 1, Đại Đăng - tỉnh Bình Dương), 동나이성 년짝, 안푸억, 저우쟈이, 롱카잉, 롱빙, 송머이 2, 고저우 (Nhơn Trạch, An Phước, Dầu Giây,

    Long Khánh, Long Bình, Sông Mây 2, Gò Dầu - tỉnh Đồng Nai) 공업구, 호치민시 레밍쑤언, 떤터이히엡, 구찌, 빙락 1, 링쭝 및 떤투언 제조수출구 (Lê Minh Xuân, Tân Thới

    Hiệp, Củ Chi, Vĩnh Lộc 1; khu chế xuất Linh Trung, Tân Thuận - thành phố Hồ Chí Minh) 같이 인프라 기반이 있는 공업구, 제조수출구에 제사, 제직, 염색 공장

    + 빙프억성 떤카이, 비엩끼에우, 동쏘아이, 쩐타잉 1, 박동푸 (Tân Khai, Việt Kiều, Đồng Xoài, Chơn Thành 1, Bắc Đông Phú - tỉnh Bình Phước),

    떠이닝성 안화 보우르본, 버이러이 프억동, 짱방 (Bourbon - An Hòa, Phước Đông - Bời Lời, Trảng Bàng - tỉnh Tây Ninh) 공업구,

    바리아붕따우성 덭도 (Đất Đỏ - tỉnh Bà Rịa Vũng Tàu) 공업구에 섬유공업 클러스터+ 이 지역에 봉제 원부자재, 섬유봉제기계 장비, 부품 생산공장

  • - 34 -

    □ 지역 6 : 구룡강평야 지역 (메콩델타 지역)

    롱안성 쑤옌아 (Xuyên Á - tỉnh Long An) 공업구에 제사, 제직, 염색 생산시설띠엔장성, 벤쩨성, 빈롱성, 동탑성, 껀터시, 박리에우성, 끼엔쟝성 (tỉnh Tiền Giang, Bến Tre, Vĩnh Long, Đồng Tháp, Cần Thơ, Bạc Liêu, Kiên Giang)에서 수출 및 국내소비용 봉제생산 발전

    □ 지역 7 : 서부고원 지역

    수출 및 국내 시장 목적 각 제품 가공, 제조와 직결된 면화, 뽕나무 같은 직물 원료작물 전문화

    D. 계획추진 대책 및 정책 체계

    a) 시장에 대한 정책 및 대책

    ㅇ 수출시장 다양화, 국내시장 확대

    ㅇ 미국, 유럽, 일본 같은 전통적 시장에서 수출을 이어 나가고

    ㅇ 한국, BRIC 국가, ASEAN 국가, 아프리카, 캐나다, 터키 등과 같은 신시장, 틈새시장으로 수출 확대

    ㅇ 각 국가 관리기관은 :

    - 섬유시장 확대 협상에 역량 집중, 외국주재 무역대표기관의 역할을 강화

    - 세계적 리테일러, 트레이더와 협력적 무역진흥 전략수립

    - 국세, 관세, 수출입분야 행정절차 절차간소화 개혁 추진

    - 시장 검사, 감시, 밀수, 탈세 단속 강화

    - 업체가 수입국 무역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국제무역 법률알림서비스 강화

  • - 35 -

    ㅇ 섬유업체는 :

    - 국내 리테일 네트워크를 조직 및 확대

    - 수출 마케팅 방식 혁신

    - 세계시장에 베트남 섬유산업 브랜드, 이미지 구축

    b) 투자에 대한 정책 및 대책

    ㅇ 상세 섬유계획지도 (Zone Chart), 투자장려 프로젝트 리스트 작성

    ㅇ 전력, 급수, 폐수처리에 관한 기반요건을 보장하고, 환경적 요구를 충족하면서 훈련된 인력자원을 갖춘

    집중 직물염색 공업구 건설투자 장려

    ㅇ 직물, 하이테크, 헬스케어 섬유제품 및 봉제서비스 부자재 투자를 장려하고, 관개 면화생산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우대하며, 섬유봉제용 석유화학 제품 생산능력 연구

    ㅇ 소비네트워크 개발을 위한 서비스 공급, 무역에 대한 투자에 관심

    ㅇ 중점 경제지역에서 부두, 도로, 철도 등 운송인프라를 건설하고, 창고, 화물집중처리장 건설

    c) 산업관리에 관한 정책 및 대책

    ㅇ 섬유산업 클러스터 조성, 산업내 업체간 생산연결망 구축, 산업내 가치사슬 (Value Chain) 개발

    ㅇ 가치사슬 (Value Chain) 관리능력 제고, 원료 공급에서 의류제품 배송완료까지의 공급망 (Supply

    Chain)에 참여하는 각 업체간 협력활동 조직화

    ㅇ 기업애로 해결을 위해 외국 관리자, 기술전문가와의 협력, 기술, 경험 전수를 강화하고, 신 프로젝트,

    신기술을 조정 시행

    ㅇ 생산성, 품질 제고대책 시행, 표준에 따라 생산, 정보기술 이점을 효과적으로 살리고, 전자무역을 적용

    ㅇ 베트남 섬유봉제협회 (VITAS) 및 베트남 면사협회 (VCOSA)의 역할 및 활동 실효성 제고

  • - 36 -

    d) 인력자원 개발에 관한 대책

    ㅇ 섬유분야 인력자원 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속 추진 : 관리분야에 소프트 기술, 스킬 및 기능 교육훈련,

    제품, 디자인 및 시장조사, 직업훈련 포함

    - 섬유클러스터 형성추세에 따라 섬유산업 인력 교육훈련 계획 수립

    - 섬유전문 교육훈련 체계를 강화하고, 섬유기술 및 패션관련 전문대학 설립

    - VITAS는 기업간 협력․연결 중개기관, 국내외 섬유인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추진기관

    đ) 연구 및 기술에 관한 대책

    ㅇ 차별적 성능을 보유한 각종 섬유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신기술, 신원료를 연구하고, 클린 생산, 에너지

    절약, 생산성 및 품질 제고를 전개하며, 소비자 안전보호 보장

    ㅇ 섬유제품의 디자인, 생산 및 품질 관리에 각종 S/W를 적용

    ㅇ 글로벌 스탠다드 및 역내기준에 부합하는 품질관리, 테스트, 인증 강화

    ㅇ 세계와 조화되는 섬유제품 기준, 규범 체계를 마련

    ㅇ 각 연구기관의 컨설팅 능력, 연구개발, 기술이전, 디자인 및 샘플 창작능력 제고

    ㅇ 국가는 수입국의 무역·기술 장벽을 극복하도록 샘플 디자인 연구, 제품 품질검사 업무의 일부를 지원

    ㅇ 섬유제품 평가, 품질검사 센터의 업그레이드 지원

    ㅇ 관리경험 학습, 현대적 기술 입수를 위해 국제협력 강화

    e) 원부자재 공급에 관한 대책

    ㅇ 하노이, 호치민 및 각 대도시에는 섬유업체에 적시에 공급하기 위한 원부자재 공급센터 건설

  • - 37 -

    ㅇ 석유화학 파생제품 (단․장섬유, 화학물질, 염색제 등) 생산투자를 위해 FDI를 유치하고, 재원조달ㅇ 관개 면화 원료식재 지역 개발

    ㅇ 국가는 원료작물 계획지구내의 인프라 기반투자를 지원

    f) 환경보호에 관한 대책

    ㅇ “환경친화”적인 생산, 클린, 각종 화학물질, 보조첨가제, 염색제재, 가스, 전력, 용수 등을 합리, 절약 및

    고효율 사용하기 위한 섬유산업 기술혁신 로드맵을 작성, 이행

    ㅇ 세계경제 통합속에서 환경 및 기술 장벽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에 관한 기술과학 능력을 강화

    g) 자금에 관한 대책

    ㅇ 자금 있는 국내외 모든 경제주체가 투자참여 하도록 장려

    ㅇ 자본조달 채널을 구축하기 위해 각 기업이 증권시장 참여하도록 장려

    ㅇ 국가는 국제협약과 부합하여, 연구기관 능력제고를 위한 기초물질, 기술에 대한 교육훈련 및 투자 활동

    을 위해, 섬유산업을 위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위해 국가예산으로 경비의 일부를 지원

    ㅇ 섬유업체의 환경처리 투자프로젝트는 국가 자금, ODA 자금, 환경기금 자금으로부터 차입 허용

  • - 38 -

    Ⅳ. 對베트남 투자시 유의사항 1. 준비단계 : 법령 숙지, 입지 선정, 투자 허가

    구 분 검토 사항 유의해야 하는 이유

    법령 숙지

    ㅇ 투자법

    ㅇ 공업단지법

    ㅇ 기업법

    ㅇ 우대·제한 분야, 허가권자 (省長 또는 首相) 확인

    ㅇ 경제구, 공업구, 수출가공구(EPZ)별 우대·제한 사항

    ㅇ 기업의 권리의무, 합작사업, 의결권 (과반수/76%)

    ※ 베트남 경제법은 2005년 체제에서 2015년 체제로

    전면 개정중 (WTO체제 → FTA체제) 임에 유의

    입지 선정ㅇ 북부 VS 남부

    ㅇ 공업단지 VS 사유지

    ㅇ 토지 상태 (숨은비용, 해발 0.5m)

    ㅇ 항공/해상/육상 물류, 소싱, 인건비, 정부우대 고려

    ㅇ 공단 입주 강추. 사유지는 매매, 압류 등 미래불안

    ㅇ 토질이 무르고, 만조, 스콜 침수우려 성토비용 高

    투자 허가

    ㅇ 우대업종 여부

    ㅇ 투자규모

    ㅇ 반입설비 리스트첨부 허가 得

    ㅇ 첨단업종은 각종 우대 (기업소득세, 관세 등 면제)

    ㅇ 공장 건설비 뿐 아니라, 在工品 규모를 포함 산출

    ㅇ 투자허가시 설비반입 허가 있어야 면세반입 가능

    (일단 반입된 설비는 절대 반출 안됨. 수리 반출은

    세관허가 받아 가능)

    ※ 베트남에서의 투자는 행정절차의 불투명성, 인프라 미비, 노동자의 근로태도, 한국과 다른

    자연환경 등으로 당초 예상한 비용, 시간 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 시간이 소요된다고 함

  • - 39 -

    2. 착수단계 : 전력, 펀딩, 건설, 용수, 인력 채용

    구 분 검토 사항 유의해야 하는 이유

    전력ㅇ 전력 부족

    ㅇ 전기 품질 불량

    ㅇ 건기에 전기 부족, 단전 잦음. 발전기 자체 보유

    ㅇ 정밀공업 애로. 기계 고장 잦음. 발전소-공장 직결

    펀딩ㅇ 상대적 고금리 (10% 이상)

    ㅇ 산은, 수은 자금

    ㅇ 현지진출 아국 금융기관

    ㅇ 대기업·성실기업; 런던·싱가폴·한국 조달 → VN 송금

    ㅇ 이중과세방지협정에서 정부기관 취급-저리융자 가능

    ㅇ 신한, 우리, 기은, 외환 등 영업. 사무소, 보험, 리스

    건설

    ㅇ 아국기업 현지 사무소

    ㅇ 한국인 운영 현지 법인

    ㅇ 현지인 운영 현지 기업

    ㅇ 대규모 공사는 한국 회사 (외국인계약자세 부담)

    ㅇ 회사마다 평판과 능력 다름 (공사 품질, 가격 영향)

    ㅇ 낮은 가격 불구하고, 품질, 납기, A/S 미흡

    용수ㅇ 용수 부족 - 제한 공급

    ㅇ 폐수처리 - 환경부담금

    ㅇ 오염 및 석회질 용수

    ㅇ 높은 수준의 용수 절감, 재활용 계획 반영

    ㅇ 완벽한 폐수처리 설비

    ㅇ 공단지역 지하수의 식수, 생활용수 사용 곤란

    인력ㅇ 호치민 및 하노이 지역 인건비

    ㅇ 업종성격에 따른 인력조달 계획

    ㅇ 근소한 차이에도 쉽게 이직

    ㅇ 대도시 인근지역 평균 인건비는 400$/월 상회

    ㅇ 대도시 도심으로부터 100km 이상 원격지역

    ㅇ 회사에 충성도 낮고, 교육훈련 효과 저조

    공사비ㅇ 기초공사

    ㅇ 층 고

    ㅇ 공 조

    ㅇ 델타지역 위치하여, 지질 물러 기초공사비 많이 듦

    ㅇ 무더위로 인해 공장, 아파트, 사무실 층고가 높음

    ㅇ 무더위로 공조 설치비 및 운영비 훨씬 많이 소요

  • - 40 -

    3. 정착단계 : 세무, 노동, 환경, 통관, 물류, CSR

    구 분 검토 사항 유의해야 하는 이유

    세무ㅇ 이전가격 세무조사

    ㅇ 추징기간 10년, 5배이내 패널티

    ㅇ 뇌물 관행 (직원들 끼리 나눔)

    ㅇ 정확한 납세관행 정착, 철저한 담당직원 통제

    ㅇ 회사 존립에 영향

    ㅇ 한 번 지급하면, 계속 요구 --> 고지서 납부

    노동ㅇ 노조 설립 의무화

    ㅇ 상시 고용인력 약속 이행

    ㅇ 동일 또는 인근 공단 임금통일

    ㅇ 설립 안하면, 패널티 부과

    ㅇ 약속인력 (임시직, 용역 제외)채용 안하면, 특혜 취소

    ㅇ 공단의 한국, 중국, 일본계 공장 임금과 공동보조

    환경ㅇ 베트남의 강물 - 흐르지 않음

    ㅇ 강물 및 지하수 오염 심각

    ㅇ 폐수 방류 단속 엄격

    ㅇ 강물 (염도)이 왔다갔다 하나 빠져 나가지 않음

    ㅇ 지하수 고갈 및 오염으로 사용 한계

    ㅇ 잦은 단속 및 뇌물 요구

    통관ㅇ 지역유지 운영하는 물류회사

    ㅇ 세관 핑계대고 뒷돈 요구

    ㅇ 잦은 세관 세무조사

    ㅇ 한국계, 베트남계 등 물류통관 여러 회사 이용

    ㅇ 지역소재 KOCHAM과 정보교류 하고, 예방조치

    ㅇ 평소 세관 직원부터 세관지국장, 관세국장과 교분

    물류ㅇ 수운중심, 육로·철도 운송 미약

    ㅇ 베트남내 물류사업 애로

    ㅇ 도로, 교량, 철도, 항만 인프라 취약. 시속 40Km

    ㅇ 자동차 새 부품·연료, 화물(소재, 제품) 절도 만연

    기타

    ㅇ 소송, 서류위조 횡행

    ㅇ 이중과세방지협정 적용

    ㅇ 외국인계약자세 (외면시 출국안됨)

    ㅇ 관세 정산시 소요량 인정

    ㅇ CSR

    ㅇ 법치작동 안돼 소송 이기기 어려움 - 소송 회피

    ㅇ 사업장 소재지, 거주지 (183일 기준)에서 납세

    ㅇ 현지 사업에 대하여 외국사업자가 납세의무

    ㅇ 원칙 3% 인정, 그러나 사전 세관 확인시 추가 인정

    ㅇ CSR 적극 참여해야 함

  • - 41 -

    Ⅴ. 베트남의 관세-통관-물류 개관 1. 관세법령 체계 및 주요내용 □ 법령체계 개관

  • - 42 -

    □ 관세법 (해관법) - 1

  • - 43 -

    □ 관세법 (해관법) - 2

  • - 44 -

    □ 관세법 (해관법) - 3

  • - 45 -

    □ 수출입세법 - 1

  • - 46 -

    □ 수출입세법 - 2

  • - 47 -

    □ 수출입세법 - 3

  • - 48 -

    □ 통관 시행규칙 - 1

  • - 49 -

    □ 통관 시행규칙 - 2

  • - 50 -

    □ 통관 시행규칙 - 3

  • - 51 -

    □ 통관 시행규칙 - 4

  • - 52 -

    □ 통관 시행규칙 - 5

  • - 53 -

    2. 수입, 제조, 수출, 정산, 환급 등 업무처리 절차 □ 수입통관 절차도

  • - 54 -

    □ 수출통관 절차도

  • - 55 -

    □ 정산 절차도

  • - 56 -

    □ 관세환급 절차도

  • - 57 -

    □ 베트남 관세청의 최근 동향

    ㅇ 관세법 전면 개정 : 경제발전, 개방확대, 정보기술 도입 등 고려

    - 현행 2005년 관세법을 개정(2014. 7), 2015. 1월 발효 예정

    - TPP, EU와의 FTA 추진에 맞추어, 세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촘촘히 방비한다는 차원

    - 세부적인 내용은 시행규칙(TT)에 반영되게 되는데, 신규 시행규칙은 년말에 발행 예정

    - 전자통관시스템 적용에 따른 법률적 근거마련

    - 원산지증명서 등 원산지관련 업무수행 근거마련

    - 밀수단속, 임가공무역, 외환 · 금 · 귀금속 · 원자재 등 거래에 대한 감시강화

    ㅇ 전자통관시스템 전면적 시행 금년부터 모든 성에서 적용

    - 모든 수출입, 정산, 환급 등 서류가 전산으로 기록되고, 10년간 보관됨을 의미

    - 모든 지방관세국 간의 통관정보 Data가 상호 교환 및 저장됨

    - 세무조사 추징대상 기간이 10년으로 매우 길고, 가산세가 1~5배인 바, 추징 발생시 회사

    존립을 위협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납세신고가 필수적

    ㅇ ASEAN 회원국간 전자통관시스템 연결 (ASEAN Single Window)

    - 상호간 통관 Data 교환 · 확인 가능 → 정확한 납세신고 필요

  • - 58 -

    3. 관세, 수출입통관, 정산, 환급 등 업무처리 유의사항

    □ 관세

    ㅇ 원칙적으로 관세 및 부가세 납부해야 통관됨. 징수유예제도 또는 EPE제도 이용하면 예외

    ㅇ 기업 세무담당자도 세관, 세무서 핑계 대고, 자주 자금 횡령. 세관 정보원 노릇

    ㅇ 관세국 및 관세지국 세관서류는 모두 장기간 보관 필요 ; 없으면, 분쟁시 대응 못함

    □ 통관

    ㅇ 일반적으로 물류업체가 통관대행 하면서, 세관을 핑계 대고 자주 세금납부 배달사고

    ㅇ 수출입물품 운송과정에서 화물 절도, 분실 등이 자주 발생하므로 보험 부보 필요

    ㅇ 관세사가 있으나 대개 물류업체에 고용되어 있으며, 물류업체가 對정부 로비도 대행해 줌

    □ 정산 (우리나라 세관절차에 없는 제도) : “수입 - 제조 - 수출 – 잔량/ 재공품” 확인 절차

    ㅇ 일정기간 마다, 또는 특정 거래가 종결될 때마다 세관과 정산하여야 함

    ㅇ 신청서, 총괄표, 입증서류 제시. 수량 불일치시 시중유출로 간주하여 과세 및 패널티 부과

    ㅇ 정산을 완료하여야만 수출입 세관절차 (수입 - 제조 - 수출)가 완결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

    □ 환급

    ㅇ 수출 및 정산 완료 후, 환급신청 (관세는 관세지국에, 부가가치세는 세무서에 신청)

    ㅇ 관세지국, 세무서에서 제때에 환급금을 지급하지 않고 계속 지연시킴

    ㅇ 대개 환급액의 일정비율을 관계공무원이 떼고 지급한다고 함. 따라서 가급적 세금을 내지

    않는 징수유예제도 등 이용하는 방어조치 필요. //끝//

  •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