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고령화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노후소득보장노후소득보장...

97
碩士學位論文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노후소득보장 노후소득보장 노후소득보장 노후소득보장 제도에 제도에 제도에 제도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연구 연구 연구 연구 -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 南大 校 大 學院 導敎2006年 8

Upload: others

Post on 27-Dec-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碩士學位論文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노후소득보장노후소득보장노후소득보장노후소득보장

    제도에 제도에 제도에 제도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연구연구연구연구

    -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

    全南大學校 大學院

    行 政 學 科

    金 守 珍

    指導敎授 徐 準 敎

    2006年 8月

  • 碩士學位論文

    고령화 사회의 노후소득보장

    제도에 관한 연구

    -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

    全南大學校 大學院

    行 政 學 科

    金 守 珍

    指導敎授 徐 準 敎

    2006年 8月

  • 고령화 사회의 노후소득보장

    제도에 관한 연구

    -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

    全南大學校 大學院

    行 政 學 科

    金 守 珍

    上記者의 行政學碩士 學位論文을 認准함

    所 屬 職 位 學 位 姓 名

    審査委員長 全南大學校 敎授 政治學博士 林杜澤

    審 査 委 員 全南大學校 專任講師 行政學博士 金鎬囷

    審 査 委 員 全南大學校 專任講師 都市政策學博士 徐準敎

    2006年 8月

  • - i -

    목 목 목 목 차차차차

    국 국 국 국 문 문 문 문 초 초 초 초 록록록록 ····················································································································································································································································································································································································································································ⅳⅳⅳⅳ

    제제제제1111장 장 장 장 서론서론서론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3

    제제제제2222장 장 장 장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노후소득보장제도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고찰고찰고찰고찰 ····························································································6666

    제1절 고령화 사회 노인의 인구 ․ 사회학적 변화 ···················································· 61. 한국의 인구고령화 추이 ························································································ 6

    2. 노인의 인구 ․ 사회학적 변화 ············································································· 103. 노인의 빈곤 원인 ································································································· 18

    제2절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의의 ·············································································· 23

    1.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개념과 형태 ··································································· 23

    2.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필요성 ··············································································· 26

    3. 외국의 노후 소득보장제도 ················································································· 28

    제3절 연구의 분석모형 ································································································ 37

    1. 선행연구 검토 ······································································································· 37

    2. 분석모형 ················································································································· 39

    제제제제3333장 장 장 장 한국 한국 한국 한국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현황 현황 현황 현황 분석분석분석분석 ················································································································································································································42424242

    제1절 노후소득보장제도 체계와 현황 ······································································ 42

    1. 노후소득보장제도 체계 ······················································································· 42

    2.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현황 ··················································································· 45

  • - ii -

    제2절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문제점 ·········································································· 55

    1. 국민연금제도의 문제점 ······················································································· 55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 ······································································· 59

    3. 경로연금제도의 문제점 ······················································································· 62

    제3절 현행 노후소득보장제도 분석 결과 논의 ······················································ 64

    1. 빈곤감소와 계층간 소득재분배 효과성의 한계 ············································· 64

    2. 노후소득보장의 광범위한 사각지대 존재 ······················································· 65

    3. 가족부양의 강제와 저소득층의 부양부담 ······················································· 66

    제제제제4444장 장 장 장 노후소득보장제도를 노후소득보장제도를 노후소득보장제도를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위한 위한 위한 위한 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 ························································································································································································································68686868

    제1절 국민연금제도의 개선방안 ················································································ 68

    1. 국민연금제도의 사각지대 개선안 ····································································· 68

    2. 급여의 적정수준 개선방안 ················································································· 70

    제2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선방안 ································································ 71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의 사각지대 해소 ··········································· 71

    2. 급여 수준의 제고 ································································································· 74

    제3절 경로연금제도의 개선방안 ················································································ 75

    1. 대상자 선정기준 합리화 ····················································································· 75

    2. 급여 수준의 현실화 ····························································································· 77

    제제제제5555장 장 장 장 요약 요약 요약 요약 및 및 및 및 결론결론결론결론 ····················································································································································································································································································································································································79797979

    참 참 참 참 고 고 고 고 문 문 문 문 헌헌헌헌 ············································································································································································································································································································································································································································82828282

    AbstractAbstractAbstractAbstract ············································································································································································································································································································································································································································87878787

  • - iii -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추이 ···························································· 7

    인구 고령화속도 국제 비교 ·········································································· 8

    주요국의 합계출산율(TFR) ··········································································· 9

    부양비 및 고령화 지수 추이 ········································································ 17

    종사상 지위별 성별 노인취업자: 2002 ··················································· 19

    OECD 국가의 사회복지지출(SOCIAL EXPENDITURE) ····················· 20

    노인의 가구형태의 변화 ·············································································· 22

    가구형태별 노인동거가구의 빈곤율 및 센지수 ···································· 27

    사회복지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적 선택 차원 ········································ 40

    현행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의 구성 ················································ 45

    65세 이상 공적연금 수급자 현황 ····························································· 47

    국민연금 연령별 급여수급자 현황(당월 수급자 기준) ························· 47

    국민연금의 급여종류별 수급요건과 급여수준 ········································ 48

    국민연금(월급여) ························································································· 49

    생애주기별1) 수급자 백분율 및 수급률(총괄) ········································ 50

    소득인정액 도입에 따른 수급자 선정기준의 변화 ································ 50

    2006년 최저생계비 및 현금급여기준 ······················································ 52

    연도별 경로연금 수급자 현황(실적기준) ··············································· 53

    연도별 경로연금 집행현황 ········································································ 54

    경로연금 지급현황 ······················································································ 55

    국민연금 급여종별 평균지급액 ································································ 59

    주요 탈락 및 미선정 사유 ········································································ 60

    부양불능, 부양거부․기피 사유별 비율 ···················································· 60

    [그림 2-1] 분석모형 ······································································································· 41

    [그림 3-1] 현행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의 구성 ············································· 42

    [그림 3-2] 부양능력 유무의 판정 ············································································· 51

  • - iv -

    고령화 사회의 노후소득보장제도에 관한 연구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金 守 珍

    全南大學校大學院 行政學科

    (指導敎授 : 徐準敎)

    (국문초록)

    21세기 큰 화두는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다. 고령화 현상을 지진(earthquake)

    으로 인한 자연재해에 견주어, 에이지퀘이크(인구지진, agequake)라고 지칭하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이는 고령화 현상을 ‘인구지진(agequake)’이라고 표현할 정

    도로 고령화 사회에서 인구구조의 변화가 초래하는 사회 ․ 경제적 충격이 큼을 의미한다. 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국가적으로 대재앙을 몰고 올 수 있는 심각한 문제

    이다.

    고령화 현상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한국에서도 노인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부각

    되고 있다. 특히나 한국의 노인들은 노후의 소득보장준비가 미비하여 노후에 빈곤

    위험에 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득보장은 노인문제의 개선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문제 해결의 가장 중심적인 해결책이 되고 있다. 현재 한국은

    소득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는 있으나 그 수준은 매우 열악하다. 또

    한 노인 스스로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노인을 위한 소득보장제도에 대한 공적부문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소득보장에 초점을 두고 우리나라에서 시행되

    고 있는 노후소득보장에 관한 제도들인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이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목적

    이 있다. 따라서 노후소득보장제도인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 - v -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는 틀로서 흔히 사용되는 Gilbert와 Terrel(1998)의 연

    구방법을 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민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및 경로연금제도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

    통사항으로 첫째, 수급자 선정기준에 있어 부양의무자 기준 및 자산조사의 부

    정확성 등으로 소득보장의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문제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둘째, 급여의 형태에 있어 생계급여액 결정상의 문제 및 가구유형별 최

    저생계비 미반영 등으로 급여의 충분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급여

    의 재원이 빈약하여 실질적으로 보장을 받는데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제시된 개선방안은 현재 국민연금제도의 가장 시급한 당면과제인 광범위한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국민연금 가입을 통해 공적 소득보장의 보호를 받는 사

    람들을 최대한 확대하는 일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은 연금제도의 관리운

    영체계를 재편하고 행정관리 능력을 제고하여 가입자를 확대시키는 방안과 연

    금 크레딧제도 도입의 활성화이다.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의

    수급조건을 현실적으로 파악하여 실제 부양능력과 부양의무자가 없는 노인들

    을 명확하게 산정하는 방법과 이들에게 지급되는 최저생계비 수준과 지급항목

    및 비율방법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경로연금제도에 있어서도 경제적으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소득보장 혜택을 보장함으

    로써 노후생활에 경제적 안정을 유지토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방안들은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생활이 어려운 노

    인들에게 보다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보장이 이루어져서 인간으로서 최소한

    의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 1 -

    제 제 제 제 1 1 1 1 장 장 장 장 서서서서 론론론론

    제 제 제 제 1 1 1 1 절 절 절 절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목적목적목적목적

    과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부모를 섬기고, 봉양하는 경로효친사상이 중시

    된 사회였다. 이 시대의 노인은 가족과 사회구성원으로부터 존경과 보호를 받

    는 삶을 살았다. 그러나 1960년대 산업화 이래로 가족과 공동체 안에서 존경

    받고 보호를 받아오던 노인의 지위가 크게 약화되면서 노인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오늘날은 의료기술 발달과 생활수준 향상 및 환경 개선 등에 의해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전체인구 중 고령인구의 비율이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고령인구 증가 문제가 현대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65세 고령인구 비중은 1970년과 1980년에 각각 3.1%와 3.8%

    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고령인구 비중은 1990년에 5.1%로 크게 증가한 후,

    2000년에 7.2%로 고령화 사회(Ageing Society)1)에 진입하였다. 2006년 현재

    65세 고령인구는 4,597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9.5%를 차지하고 있다2). 앞으로

    이러한 고령화 속도3)는 더욱 가속화 되어 2018년에는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

    가 14%를 넘는 고령사회(Aged Society)에 도달하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

    (Super-Aged Society)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4). 이러한 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선진국형 인구구조의 가장 두드러진 현상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나

    라의 인구 고령화는 그 속도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데 문

    1) 유엔(UN)은 고령인구를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사회를 ‘고령화 사

    회(aging society)’, 14% 이상인 사회를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

    (super-aged society)’로 나누고 있다. 또한 한나라의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율이 4%미만

    인 나라를 ‘유년인구국(幼年人口國)’, 4-7%인 나라를 ‘성년국(成年國)’, 7% 이상인 나라를 ‘노년인구국(老

    年人口國)’이라 지칭하고 있다(조성남, 2004, p.22).

    2) 통계청 홈페이지 통계자료마당_분야별통계_장래인구추계(http://www.nso.go.kr)

    3) UN은 통계상 고령자의 비율이 7%가 넘으면 ‘노화가 시작되는 나라’로 간주하는데, 그 비율이 2배인 14%

    로 증가하는데 걸린 기간이 고령화의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柔原洋子; 1979).

    고령화의 속도는 보통 65세 인구 비율이 7%에서 14%에 달하는 데에 몇 년이 걸리는가로 측정된다.4) 통계청(2005),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p.22

  • - 2 -

    제점이 있다. 선진국의 고령화 진행속도를 살펴보면, 1865년에 세계에서 가장

    먼저 고령화 사회가 된 프랑스의 경우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가 되는데

    115년이 소요되었으며, 1975년에 가장 먼저 고령사회가 되었던 스웨덴의 경우

    는 85년이, 가장 빠른 속도의 인구고령화를 경험한 일본의 경우 고령화 사회

    에서 고령사회가 되는데 24년이 소요되었다. 이것과 비교해볼 때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18년으로 가히 혁명적 수준이다.

    고령화의 매우 빠른 진전에 따라 부양문제를 비롯한 노인문제가 우리나라에

    서도 매우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다. 2005년 현재 노년부양비5)는 12.6%로 생

    산가능인구(15~64세) 7.9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다. 그러나 2020년에

    노년부양비는 21.8%로 생산가능인구 4.6명이 노인 1명을, 그리고 2050년에는

    69.4%로 생산가능인구 1.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될 것으로 전망되어 사

    회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일반적인 노인들은 ‘3

    고(苦)’라 일컫는 빈곤, 질병, 고독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0세 이상

    가구주의 절반가량인 49.0%가 노후에 대한 준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 인구 중 13.9%만이 공적연금을 받고 있다6).

    현대 산업사회에서 인간다운 최저한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의식주의

    욕구, 건강보호의 욕구 및 문화적 욕구를 기본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소득이

    필요하다. 노년기에 있어서의 적절한 소득은 최소한의 계속적인 생존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여가의 문제, 사회적 및 심리적 고립과 소외의 문제 등도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자존심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성공적인 노화의 삶을 가

    능하도록 한다.

    노년기에 있어서 피할 수 없는 생물학적 노화와 사회적으로 가해진 제약 등

    으로 수입이 크게 줄어들거나 중단되어 최소한의 경제적 수입을 확보하지 못

    하는 사람들이 많다. 노인들의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현대국가는 사회의 연대

    책임 정신을 발휘하여 최저한의 수입을 보장해 주는 소득보장의 제도를 마련

    하고 있다. 소득의 보장은 다른 노인문제의 개선에도 직접 ․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문제 해결의 가장 중심적인 해결책이 되고 있다.

    5) 노년부양비 = (65세 이상 인구) / (15~64세 인구) × 100

    6) 통계청(2005), “2005 고령자 통계”

  • - 3 -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등을 통하여 소득보장

    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는 있으나 그 수준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또한 노인들은 노후생활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준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노인문제가 크다 하겠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소득보장제도에 대한 공적부문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

    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후소득보장제도는 선진국에 비해 초보적인 단계이며,

    미약한 수준이다7).

    본 연구는 현행 노후소득보장제도를 분석하여 고령화 사회에 경제적으로 열

    악한 환경에 처한 노인을 위한 소득보장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오늘날의 노인문제는 현재의 노인만의 문제로 끝나는 성질의 것이 아

    니며, 노년기는 누구에나 공평하게 찾아오며 현재 노인의 삶이 예비노인 세대

    에게는 미래가 될 수 있다. 그래서 노인문제의 해결은 예비 노인세대의 지대한

    관심사가 되고,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의 공적소득보장에 초점을 두고,

    노인들이 노후에 경제적으로 열악해지는 원인과 현황을 살펴본 후,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이에 대한 향후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보고

    자 한다.

    제 제 제 제 2 2 2 2 절 절 절 절 연구 연구 연구 연구 범위 범위 범위 범위 및 및 및 및 방법방법방법방법

    본 연구는 노후에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한 노인의 공적소득보장제도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함

    에 있어 연구 범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우선, 노인빈곤 문제가 개별적 차원이 아니라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파악하

    며, 그 해결방안도 제도적 접근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곧 노인빈

    곤문제를 노년기를 맞이하는 개인이 적응해야 할 불가피한 문제가 아니라 사

    7) 지난해 노인복지 예산의 전체 규모는 5005억원. 정부 예산의 0.42%로, 유럽(15% 수준), 일본(3.7%), 대만

    (2.9%)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조선일보, 2005. 8. 16)

  • - 4 -

    회정책을 통해 극복하고 최소화해야 할 사회문제로 본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

    나라의 노후소득보장제도가 아직 미성숙하고, 제도 자체의 미비점으로 인하여

    노인빈곤 문제의 해결에 있어 그 기능을 다하고 있지 못하므로 제도적 접근방

    식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노인복지정책 중에서 노후소득보장제도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기업연금이나 퇴직금에 의한 사적 노후소득보장 논의

    는 제외하였다. 노인의 소득보장은 소득원천에 있어 가족과 시장, 국가라는 3

    자로 이루어져 있으며(Rainwater, Rein and Schwartz, 1986;

    Esping-Andersen, 1990, 1999; Rein and Turner, 1999; 최희경, 2004:8,

    재인용), 국가마다 각 주체의 역할에 있어 그 비중은 다르지만 주로 공적 연금

    이 1차적 소득보장의 역할을 하고, 다른 주체들이 역할분담을 통해 소득보장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1차적 역할을 담당

    해야 할 공적 소득보장제도의 역할이 아직 미비하고 기업연금체제도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업이나 그 외 사적 소득보장은 제외하고 공적 소득보장을 중

    심으로 노후소득보장 제도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공적 노후소득보장제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연구

    자들의 연구 실적, 정기 간행물 및 각종 통계자료 등의 문헌자료를 통해 알아

    보고자 한다.

    문헌연구는 실증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개념 정립 등 다양한 학설들을 이론

    화시킴으로써 학문을 이해하는데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방향을 제시해준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먼저 각종 단행본을 통해 고령화 사회의

    노인의 현황과 소득보장제도의 기존 연구 동향을 살펴본 후 분석하고 보건복

    지부, 통계청, 학술단체 등에서 연구한 통계자료를 통해서 노인을 위한 발전적

    인 소득보장제도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제2장에서는 노후소득보장의 이론적 고찰부분으로서 고령화 사회의 노

    인의 인구 ․ 사회학적 변화와 노후 소득보장제도 개념과 필요성을 살펴본 후

  • - 5 -

    외국의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제3장은 현 노후소득보장제

    도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제4장에서는 이러한 노후소득보장제

    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 요약과 함께

    종합적인 측면에서 소득보장제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 6 -

    제제제제2222장 장 장 장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사회의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노후소득보장제도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고찰고찰고찰고찰

    제 제 제 제 1 1 1 1 절 절 절 절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고령화 사회 사회 사회 사회 노인의 노인의 노인의 노인의 인구 인구 인구 인구 ․․․․ 사회학적 사회학적 사회학적 사회학적 변화변화변화변화

    1. 1. 1. 1.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 인구고령화 인구고령화 인구고령화 인구고령화 추이추이추이추이

    1) 고령화 추이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여러 가지로 특징지어지지만 ‘고령화 사회’ 라

    는 특성을 빼놓을 수 없다. 2005년 세계인구 구조를 보면, 0~14세 인구가

    28.2%, 15~64세 인구가 64.5%, 65세 이상 인구는 7.4%로 보고 되고 있다.

    선진국은 개도국보다 0~14세 인구비중이 낮은 반면, 65세 이상인구 비율은

    15.3%로 개도국 5.5%보다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8) 이처럼 선진국

    형 인구구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가 인구 고령화인데 선진국

    으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이 같은 고령화 현상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

    유엔에서는 65세 이상의 인구비율로 고령화 사회를 분류하는데,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 이상∼14% 미만인 사회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 이상∼20% 미만일 경우는 ‘고령사회(Aged Society)’로, 20% 이

    상은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로 정의하고 있다. 유엔의 정의를 이용

    하여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를 판단하면, 우리나라에서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에는 3.1%에 불과하였으나, 1990

    년에는 5.1%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에는 7.2%를 점하여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이러한 고령인구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06년 현재

    9.5%(4,597천명)에 달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고령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되어 65세 이상의 비율이 2018년에 14.3%가 되어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2026년에는 20.8%로 본격적인 초(超)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

    다.9)

    8) 통계청(2005),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p.16

  • - 7 -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추이

    2000(고령화)

    2010 2018(고령)

    2020 2026(초고령)

    2050

    총 인 구(천명) 47,008 49,220 49,934 49,956 49,771 42,348

    65세 이상(천명) 3,395 5,354 7,162 7,821 10,357 15,793

    구 성 비(%) 7.2 10.9 14.3 15.7 20.8 37.3

    자료 : 통계청(2005),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p.22

    우리사회가 선진사회에서처럼 고령노인들의 증가와 이들의 보호문제를 심각

    하게 인식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닥쳐올 고령사회를 대처할 준비를 하지 않

    으면 사회적인 중대한 위기를 맞게 될 수도 있다. ‘고령화 사회’라는 말 속에

    감추어져 있는 중요한 의미는 고령화를 실감하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를

    예상하여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할 문제는 ‘고령사회’가 된다는 데 있다고 하기

    보다는 와 같이 고령화 속도가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급속히 빨라지고 있다는데 있다.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프랑스는 115년, 노르웨이, 스웨덴이 각각 92년과 85년이 소요되었고, 호

    주와 미국은 73년, 영국과 독일 역시 그 보다는 짧지만 각각 47년과 40년이

    소요된데 비해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사회에 이르는데 18년 밖에 소요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어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고령화를 먼저 경험하고 있는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고령

    화에서 일어나는 노인문제들을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음을 깨닫고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해 왔고 점진적으로 시

    행착오를 거쳐 해결해 왔기 때문에 지금은 커다란 문제가 표출되지 않고 있다.

    선진국들이 이미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얻은 교훈을 우리나라에서

    는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 이에 관한 연구를 하고

    배우는 일은 매우 시급하고 중대하다고 하겠다.

    9) 통계청(2005),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p.25

  • - 8 -

    인구 고령화속도 국제 비교

    (단위 : 년)

    고령인구비율

    국가

    도달년도 증가소요년수7% 14% 20% 7%→14% 14%→20%

    프 랑 스 1864 1979 2018 115 39노르웨이 1885 1977 2024 92 47스 웨 덴 1887 1972 2014 85 42호 주 1939 2012 2028 73 16미 국 1942 2015 2036 73 21캐 나 다 1945 2010 2024 65 14이탈리아 1927 1988 2006 61 18영 국 1929 1976 2026 47 50독 일 1932 1972 2009 40 37일 본 1970 1994 2006 24 12한 국 2000 2018 2026 18 8

    자료 :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2005 인구통계자료집』, 여기서는 통계청(2005),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재인용

    2) 고령화 원인

    고령인구의 증가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

    나이다. 고령인구가 그 절대 수에 있어서 증가하고 그의 비율이 높아지는, 즉

    고령화되어 가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거의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주된 이유는 상호관련이 되는 출산율10)과 사망률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과 경제적 풍요와 함께 공중보건위생,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해 노인의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있다는 것이다.11)

    먼저, 지속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는 원인으로는 남녀 모두의 초혼연령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었다는 것과 젊은 여성층의 미혼율이 급증하는데서 기인하

    다. 우선, 남녀의 초혼연령은 1972년의 남자 26.7세, 여자 22.6세에서 2004년

    10) 2000년도 10월에 UN에서는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정책대응’에 관한 국제회의가 개최되었는데 여기서는

    인구감소와 노동력 부족현상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출생율과 사망률의 수준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2.1명

    수준의 합계출산율의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보건복지포럼],2001, 권두언).

    11) 초기의 평균수명의 연장의 주된 원인은 유아사망율의 감소에 있었으나 최근에는 의학발달 등의 결과로

    인한 노년기의 연장이 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김기태, 2001).

  • - 9 -

    에는 남자 30.6세, 여자 27.5세로 상승되었다. 초혼연령이 상승하는 것은 젊은

    층의 경제활동 참여 및 교육수준 증가 등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출산율 감소

    의 또 하나의 원인은 젊은 여성층 미혼율 급증을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 20

    세 이상 미혼율은 전 연령층에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20대의 미혼율

    은 1970년 34.6%에서 1980년 43.4%, 1990년 50.8%, 2005년 69.3%로 계속

    높아지고 있는 전망이다. 이러한 20대 여성층 미혼율 증가에 따른 출산지연으

    로 출산력이 감소하고 있다.12)

    이러한 원인 등에 의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13)은 1970년 4.53명의 높은

    수준에서 1983년 대체출산력14) 수준인 2.08명으로 낮아졌고, 2003년 1.19명

    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이 같은 출산력 감소 속도는

    선진국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우리나라는 1970년에서

    2003년 사이(약 33년간)에 3.34명이 감소, 일본(0.84명), 독일(0.69명), 영국

    (0.72명)등에 비해 상당히 감소 속도가 빠르다15).

    주요국의 합계출산율(TFR)

    (단위 : 명)

    연도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1970 4.53 2.13 2.46 2.47 2.03 2.43 2.43

    1980 2.83 1.75 1.84 1.99 1.56 1.61 1.89

    1990 1.59 1.54 2.08 1.78 1.45 1.33 1.85

    2000 1.47 1.36 2.13 1.88 1.38 1.24 1.64

    2003 1.19 1.29 2.04p 1.89e 1.34e 1.29e 1.71e

    1970~2003

    감소 명수3.34 0.84 0.42 0.58 0.69 1.14 0.72

    주: e는 추정치, p는 잠정치

    자료: UN, 『Demographic Yearbook』2001년 판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2005 인구통계자료집』, 2005 통계청, 『2003 인구동태통계연보(총괄․출생․사망 편)』, 2004

    12) 통계청(2005), “장래인구 특별추계”, pp.18~20

    13)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TFR)은 가임여성(15~49세) 한명이 평생 동안 낳을 평균 자녀수

    14) 대체출산력이란 장기적으로 현재인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출산력 수준

    15) 통계청(2005),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p.18

  • - 10 -

    다음으로 인구 고령화의 또 하나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평균수명에 대해

    살펴보면, 의료기술 발달 등에 힘입어 평균수명(0세 기대여명)이 1971년에는

    62.3세에 불과했으나 1991년 71.7세로 높아져 2005년 현재는 77.9세로 나타

    나고 있다. 이러한 평균수명은 2030년에는 이보다 4.0세 높아진 81.9세, 2050

    년에는 83.3세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2005년 77.9

    세로 선진국 평균수준인 76.2세를 웃도는 수준이다16).

    2. 2. 2. 2. 노인의 노인의 노인의 노인의 인구 인구 인구 인구 ․․․․ 사회학적 사회학적 사회학적 사회학적 변화변화변화변화

    1) 노인 개념과 노인층의 세분화

    (1) 노인 개념

    노인이란 개념을 엄밀하게 정의하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왜냐하면 노

    인에 대한 정의는 노인의 본질 및 그 시대의 사회 ․ 문화 ․ 가정사정의 양상 등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전통과 현재 노인의 특권 및 미래에 대한 기대들을 관련

    시켜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17)

    1951년 7월 미국에서 개최되었던 제2회 국제노인학회(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Gerontology)에서는 의학적인 견지에서 노인이

    란, 인간의 노화(aging)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 및 행

    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형태의 과정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다섯 가지로

    세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첫째,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자체조직에

    서 결핍이 있는 사람 둘째, 자신을 통합하려는 능력이 감퇴되어 가는 시기에

    있는 사람 셋째, 인체기관, 조직기능 등에 있어서 감퇴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넷째, 생활 자체의 적응이 정신적으로 결손 되어 가고 있는 사람 다

    섯째, 인체의 조직 및 기능저장의 소모로 적응이 감퇴되어 가는 시기에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

    16) 통계청(2005),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p.10

    17) 서명숙, 「노인연구」, (서울 : 교문사), 1994, p.1

  • - 11 -

    노인은 대체로 몇 가지 다른 규정들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된다. 애

    췰리(Atchley, 1994)는 ‘역연령(曆年齡, chronological age)’, ‘기능적 연령(機

    能的 年齡, functional age)’, ‘인생주기(人生週期, life cycle)’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조성남 외, 1998; 유성호 외, 2000: 16-18). ‘역연령’은 개인의 출생에서

    현재까지의 기간을 산술적으로 산출하는데 입법적 ․ 행정적인 편의성 때문에 보편적으로 이용되며, 주로 ‘60세 이상’ 또는 ‘65세 이상’을 노인이라고 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65세는 각종 연금 혜택을 받고 정년퇴직을 하는 시기로 국

    제적 비교가 용이한 기준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환갑’을 넘기면 노

    인으로 간주하는 문화로 인해 60세를 노인의 기준으로 삼자는 주장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문제는 역연령만을 근거로 일률적으로 정의되고 있는 노인의 개

    념이 실제 개인의 생활의 경험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노화의 개인 간 차

    이뿐만 아니라 개인내(個人內)의 차이를 무시한다는 단점이 지적된다.

    ‘기능적 연령’은 개인의 특수한 신체적 ․ 심리적 기능정도에 따라 노인을 규정하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은 피부상태, 머리카락 색깔, 자세,

    시력 및 청력 등이다. 이것은 개인 및 개인 간 노화의 특성이 다름을 감안한다

    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능을 통해 노인을 정의하는 것은 개인별

    차이가 크고 판단이 주관적일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기능을 판단할 수 있

    는 기준이 복잡하고 이러한 판단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편의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인생주기에 의해 노인을 정의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심리적 ․ 신체적 ․ 사회적 특성을 고려해 인생을 사춘기,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 노년기로 나누고 규정한다. 각 인생주기의 명확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집단적으

    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개인이 자신의 연령에 대해 주관적 ․ 심리적으로 인지하는 정도에 따른 ‘심리적 연령(心理的 年齡, psychological age)’에 의한 규정이라든가

    나이와는 관계없이 개인이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 의무, 책임으로

    생애주기 단계를 구분하는 사회적 연령(社會的 年齡, social age)’에 의해 노인

    이 정의되기도 한다.

    이처럼 누가 노인인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는 다양한 기준과 규정을 통해

  • - 12 -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노인을 규정하는 기준이 생물학적 변화와 특성, 나이만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 심리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도출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노인 개념에 대한 정의가 사회와 문

    화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무기력하고 무위하며 노쇠한 존

    재라는 정의는 고정된 시각이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노년기는 단순한 시기일 뿐 고정된 정의와 역할이 주어진 시기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가지는 특성이 하나의 생애주기를 구분

    하는 기준을 이룰 뿐, 그것이 고정 불변의 정의일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런 맥

    락에서 노년기는 스스로 위축되어 소극적으로 생활하는 시기만이 아니며, 오히

    려 새로운 사회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생산적 노화(productive aging)의 시

    기일 수도 있다.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노인 인구는 더욱 증

    가할 것이다. 이들의 삶은 과거 노인들의 것과는 상당히 다를 것으로 예상된

    다. 이들은 노인으로 규정될 수 있지만 이들의 삶의 모습은 다양한 것이 될 것

    이다. 그러므로 노인의 정의도 새롭게 구성되어야 하며, 현재 증가하는 노인들

    은 과거와는 달리 새로운 특징을 지닌 인구집단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2) 노인층 세분화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연령에 속하는 사람들을 모두 ‘노인’이라고 한다면,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은 그 어떤 연령층보다 스펙트럼이 넓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고령화를 빠르게 경험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단지 역연령

    을 기준으로 60세 혹은 65세 이상을 노년기의 시작으로 보는 것은 무리라고

    할 수 있다. 은퇴를 하고 사회적 활동을 그만 두고서도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

    는 사람들, 65세가 훌쩍 넘었어도 여전히 젊음을 유지하는 사람들 등 다양한

    노인의 모습과 노년기의 삶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건강

    한 노인이 많은 ‘전기(前期) 노인층’과 노쇠하고 병약한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

    ‘후기(後期) 노인층’에 있어서 노인들의 생활양상 및 이에 따른 욕구(need)는

    매우 상이하다.

    우선 노인인층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할 것이다. 물론 그 범주를 세분한다면

    연령 이외에도 성(性), 인종, 계층 등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있겠지만 여

  • - 13 -

    기에서는 연령의 세분화에 따라 구분해 보고자 한다.

    먼저 노인호칭에 대해 살펴보면, 미국에서는 ‘시니어 시티즌(senior

    citizen)’, ‘골든 에이지(golden age)’로, 프랑스에서는 ‘제3세대층’으로, 스위스

    에서는 ‘빨간 스웨터’로 일본에서는 ‘실버’, ‘노년’으로 불린다. 중국에서는 50

    세대 숙년(熟年), 60대를 장년(長年), 70대 이상을 존년(尊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유성호․모선희, 2002:16).그리고 사회학자 라스렛(Laslett, 1991)은 노년기를 ‘제3인생’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는 인생을 4단계로 구분하면서 출생부터 사회 진출 전까지를 제1인생,

    직업생활 시기를 제2인생, 퇴직 후의 건강한 생활 시기를 제 3인생, 마지막 의

    존생활 시기를 제4인생으로 구분한다.

    뉴가르텐(Neugarten, 1974)은 역연령의 기준으로 모든 노인이 동일하게 취

    급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노인집단을 3단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노인

    그룹은 대부분 돈을 받고 고용될 수 있는 사람들이며, 사회적 승인이 최고조에

    달해 있는 55~65세의 노인들로 ‘연소노인(年少老人, young-old)’으로 규정했

    다. 둘째는 주로 퇴직자들이 많이 포함되는 65~75세 사이의 노인으로 ‘중노인

    (中老人, middle-old)’이라 칭하였고, 마지막으로 75세 이상의 노인을 ‘고령노

    인(高齡老人, old-old)’으로 구분하였다(최봉수, 1998). 이와 같은 구분은 대체

    로 75세를 경계로 병약한 노인들이 급증하는 현상을 근거로 75세를 그 기준점

    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에 의하면 ‘연소노인’은 건강하고 활발하며, 고학력이고

    경제력 있는 그리고 새로운 생활양식을 계속 만들어 나가는 노인층이다. 이들

    은 연령적으로는 노인이지만, 일반적으로 ‘병약, 빈곤, 고독’이라는 특성으로 정

    형화된 노인들의 이미지에는 해당되는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소노인층이

    다양한 사회적 기회를 추구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의 노인에 대한 생각이나 노

    인관(老人觀)의 변화가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층이 두터워지면서 최근에는 노인을 다시 ‘초노인

    (young-old)’, ‘중노인(middle-old’, ‘노노인(old-old)’으로 세분화한다. 이들은

    연령을 기준으로 ‘초노인’은 65세에서 74세까지, ‘중노인’은 75세에서 84세까

    지, 그리고 ‘노노인’은 85세 이상으로 구분한다(윤인경, 2002). 뉴가르텐

    (Newgarten, 1996) 역시 수십 년 동안 65세부터 74세까지의 사람들(초기 노

  • - 14 -

    인), 75세에서 84세까지의 사람들(후기 노인), 그리고 85세 이상의 사람들(최

    고령 노인), 간에 노년의 생활이 매우 다르다고 주장해 왔다. 그리고 노인 인구

    내의 이 세 하위집단들의 건강상 차이는 그들 간 불평등을 낳는 핵심적 요소

    (Pampel, 2000:52)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라스렛(Laslett, 1991)은 나이 많은 성인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됨으

    로써 생애경로에 새로운 단계를 만들어 내기에 이르렀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많은 사람들은 노동과 책임과 그리고 저축의 나날들로 이루어진 성인기와 남

    에게 의존해야 하고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후기 노년기 사이에 존재하는 초기

    노년기에 개인적으로 만족스러운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자유를 누린다(Pampel,

    2000:33)고 언급한다.

    이러한 노인 세분화의 근거는 각 노인층마다 요구나 당면 과제가 상이하다

    는 것이다. 즉, 초노인은 사회의 주변인으로 물러나 있기에는 아직 너무 젊은

    세대로 그들의 주된 관심은 활동의 지속과 자기 개발, 참여적인 여가에 있다.

    반면, 중노인은 건강과 소득 수준의 유지에 주된 관심이 있으며, 가족이나 사

    회에 대한 의존성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노노인은 고령인구 중에서도 가장 빠

    르게 증가하는 고령인구층으로서, 이들의 주된 관심은 건강에 있다. 상당수의

    노노인들은 와병(臥病) 상태에 있거나 만성질환을 가진 상태에 처해 있어서 이

    들의 요구는 주로 보살핌과 관련된 것들이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의 문제는 단

    순히 고령인구의 증가뿐 아니라, 이렇게 다양한 노인들의 요구와 문제에 어떻

    게 대응하는가 하는데 있다(윤인경, 2002).

    2) 고령화 사회의 전반적인 노인문제

    (1) 개인적 차원의 노인문제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노인문제를 빈곤(貧困), 병고(病苦), 고독(孤獨),

    무위(無爲) 등의 4고(四苦)로 표현하고, 때로는 빈곤, 병고, 고독의 3악(三惡)으

    로 말하기도 한다. 노인이 퇴직 후 소득감소에서 오는 생계비 문제, 노후에 자

    주 경험하는 만성질환과 심신쇠약으로 인한 건강문제, 은퇴 후 가정과 사회에

    서의 역할상실 및 지위의 저하, 그리고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고독감, 소외감

  • - 15 -

    등은 현대노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겠다.

    권육상(2001)은 여러 자료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이 당하는 고통을

    6가지(6苦)로 제시하면서 그 속에 ① 경제적 빈곤문제 ② 불건강문제 ③ 심리

    ․사회적인 소외와 고독감의 문제 ④ 사회적인 문제로서의 역할상실 ⑤ 노인부양문제 ⑥ 고령화에 따른 여성노인의 사회문제 등을 포함시켜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접근하고 있다.

    장인협 등(2001)은 고령인구의 빠른 증가추세와 함께 노인문제가 심각하게

    부상하고 있는 현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를 열거하고 있다.

    ① 고령화에 따른 소득의 상실 : 노인은 산업화 과정에서 파생되는 도시화

    와 핵가족화로 인하여 지금까지 누려왔던 대가족제도하에서의 경제적 안정 대

    신에 빈곤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② 질병과 건강상의 문제 : 만성질환을 한 가지 이상을 앓고 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만성질환 유병율(有病率)이18) 증가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③ 역할 상실 : 산업구조의 변화와 낮은 교육수준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④ 고독과 소외의 문제 : 전통적인 경로사상이 퇴조되고 도시화로 인하여

    이웃과의 사회적 연대가 약화되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어 고독하게 되

    고 소외감이 생긴다.

    김기태 외(2001)도 우리나라의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그리고 핵가족의 진

    전은 전통적인 대가족으로부터 핵가족으로의 가족구조 및 기능의 변화를 가져

    와 대가족제도하에서 높은 지위와 권한을 행사해 오던 노인들의 위치가 바뀌

    게 되었다고 보고 노인과 관련된 문제의 구체적인 양상으로 이와 유사하게 ①

    수입의 격감 ② 부양 및 보호문제 ③ 건강보호문제 ④ 부양 및 보호문제 ⑤

    사회적 ․ 심리적 고립과 고독 등을 들고 있다. 박태룡(2002)은 이들 다섯 가지에 ‘긴 여가시간’ 하나를 더 추가하고 있다.

    노인문제가 야기하는 양상을 이상에서 살펴 본 네 가지, 다섯 가지 또는 여

    18) 정경희 외(1998)의 조사에 의하면 조사대상 노인의 86.7%가 만성질환 한 가지 이상을 앓고 있으며, 연령

    이 증가할수록 그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75세 이상의 남성노인은 78.0%인데 비하여 여성노인의

    경우에는 92.5%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변화순 외, 2002)

  • - 16 -

    섯 가지의 어느 것으로 구분하든 이들은 모두 노년기에 겪게 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며 인생주기(人生週期)의19) 노년기에 모든 사람들이 겪게 되는

    보편적이고 정상적인 특성들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2) 사회적 차원의 노인문제

    고령화에 따른 노인문제는 이처럼 개인적 차원의 문제만을 일으키는 것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문제도 일으킨다. 우리나라 인구는 낮은 출산수준이 지

    속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예상보다는 빠르게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같은 인구의 변동은 유년인구(0~14세)의 감소에 의한 노동력의 부족문제,

    노인부양문제 등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동력에 관해 살펴보며 유년 인구(0~14세)는 2005년 현

    재 총인구의 19.1%를 점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출산율 감소로 인하여 2010년

    에는 16.3%, 그리고 2030년에는 11.2% 수준으로 급격히 낮아져 노동시장에

    의 신규진입이 급속히 감소되며 또한 노년인구 비율은 앞에서 살펴 본 대로

    급속히 높아진다. 따라서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급

    속히 저하될 것으로 전망되어 노동력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인구규모 및 인구구조의 변동은 이 같은 노동력의 감소뿐만 아니라

    인구의 고령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산업구조의 변화는 도시화, 핵가족화를 촉진하고 이로 인한 생활환경의 변화와

    가족기능의 약화는 고령인구들의 노후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19) 혹자들(윤진;1995, 권육상;2001....)에 의해서 ‘인생주기’라는 번역어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 다른 논자들

    (김미혜;1995, 김인숙 외;2001...)에 의해서는 ‘생애주기’라는 번역어로 사용되기도 하는 원어의 ‘life

    cycle’은 인생을 8단계로 구분한 E. Erikson의 명저 Childhood and Society(아동기와 사회, 1950)에서

    얻은 개념으로 사람의 심리학적 발달은 ‘인생주기 진행도’에 따라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즉 인생의 출발에

    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한평생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그 사회적 역할과 기대, 권리와 의무가 달라지

    므로 심리, 사회적 발달을 달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인생의 주기를 몇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논자들은

    많다. 권육상(2001)은 이에 관하여 8단계로 구분한 에릭손의 인생기론 외에 ① 6단계로 구분한 공자의 인

    생주기론 ② 5단계로 구분한 Levinson의 인생계절론 ③ 인간의 욕구를 중심으로 5단계로 구분한 Maslow

    의 욕구 계층설 ④ 3단계로 구분한 K. Young의 인생주기론 ⑤ 6단계로 구분한 R. Havighurst의 인생주기

    론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이들 논자들이 논의하는 ‘주기(cycle)’란 개별적인 한 인생이 하나의 일관된

    경험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세대교체 및 연쇄의 한 고리를 형성한다는 두 가지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주기

    는 단계별로 공통성과 이질성을 지니면서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은 각각의 연령에 따라 생활

    주기가 변화해 간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한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과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

    지 않을 경우, 그 다음 단계의 주기에서 어려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가정을 담고 있다(남세진․ 조흥식; 2000).

  • - 17 -

    에 의하면, 노년부양비는 총 부양비 중에서 점하는 비율이 점차 높

    아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유년 부양비의 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년부양비(0~14세 인구/15~64세 인구)는 2005년 현재 26.7%에서 출산력

    감소로 인하여 2030년 17.4%, 2050년 16.7%로 계속 낮아지는 반면, 노년부양비(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는 2005년 현재 12.6%이나 평균수명 증가로 인하여 2020

    년 21.8%, 2030년 37.3%, 2050년 69.4%로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2005년

    현재 유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는 47명 정도이나 2030년 215명, 2050년에는

    416명이 되어 초고령사회가 상당히 급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노년인구에

    대한 부양부담은 급속히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노인 1인당

    부양자수의 측면에서 보아도 노인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고 심각함을 알

    수 있다. 2005년 현재 생산가능인구는 7.9명당 노인 1명, 2020년에는 4.6명당

    노인 1명, 2050년에는 1.4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인구구조로 된다.

    이러한 고령인구의 증가는 의존적인 노인을 증가시켜 사회전체에 부담이 된다.

    부양비 및 고령화 지수 추이

    (인구 백명당)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20 2030 2050총 부양비1) 83.9 60.7 44.3 39.5 39.3 37.3 39.4 54.7 86.1유년 부양비2) 78.2 54.6 36.9 29.4 26.7 22.3 17.6 17.4 16.7노년 부양비3) 5.7 6.1 7.4 10.1 12.6 14.9 21.8 37.3 69.4고령화지수4) 7.2 11.2 20.0 34.3 47.4 66.8 124.2 214.8 415.7

    통계청(2005),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p.28

    1) 총부양비 = 유년부양비 + 노년부양비

    2) 유년부양비 = (0~14세 인구) / (15~64세 인구) × 100

    3) 노년부양비 = (65세 이상 인구) / (15~64세 인구) × 100

    4) 고령화 지수 = (65세 이상 인구) / (0~14세 인구) × 100

    따라서 노인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권육상(2001)은 특

    히 현대화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동에 따른 노화와 노인들의 처지와 관련된 많

    은 문제들이 생겨났고 이들 현상이 우리의 생활주변에 많아짐으로써 이제 노

    인문제는 어느 한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만이 아니라 현대사회에 수반되는 자

  • - 18 -

    연스런 사회문제라고 한다. 김기태 외(2001)는 이에 관하여 산업화과정에 따른

    이동 및 도시화 현상 등으로 가족의 형태가 핵가족화 양상을 띠면서 전통적인

    대가족제도와 경로효친사상을 기초로 해 온 노인에 대한 가족부양기능의 약화

    현상은 노인문제를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만으로 돌릴 수 없는 사회문

    제로 대두시켰다고 본다. 이 같은 노인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세

    계의 선진국들에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으

    며, 1982년 비엔나에서 개최된 국제고령회의(World Assembly on Aging)에서

    는 “노인문제는 개인이나 가족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적으로 세계 각 국가가 공통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문제”라고 강조하고 있다.

    현재 고령인구는 고령인구의 비율뿐만 아니라 절대적인 수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보이게 된다. 이런 고령인구의 절대적인 증가는 지속되어 2026년에는

    고령사회의 노인들은 ‘소수집단’이 아닌 ‘다수집단’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3. 3. 3. 3. 노인의 노인의 노인의 노인의 빈곤 빈곤 빈곤 빈곤 원인원인원인원인

    1) 사회적 요인

    노인빈곤의 원인은 여러 가지 각도에서 논의 가능하나, 먼저 사회적 요인을

    살펴보자면 첫째, 과거세대가 보유하는 지식이나 경험이 쓸모없는 것이 됨에

    따라 취업 또는 사회참여 기회의 상실로 인한 소득의 단절을 들 수 있다. 전산

    업사회에서 노인이 보유한 지식과 경험은 자손에게 이어지는 하나의 자산으로

    여겨졌으며 존중받아왔다. 그러나 급속하게 변화하는 산업사회에서 노인의 지

    식과 기술은 무용(無用)한 것으로 여겨지고, 노인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

    득할 기회를 상실하게 되며, 이는 노인의 정규적인 소득단절로 이어지게 되는

    것은 보통이다.

    남녀를 불문하고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은 50대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

    여 2004년 65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9.8%로 급격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에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5세-64세 남성의

  • - 19 -

    52.0%, 여성의 58.3%가 비임금근로자이고, 65세 이상은 남성의 76.4%, 여성

    의 74.8%가 비임금근로자이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서도 남성노인은 자영업주

    의 비율이 높은 반면, 여성은 무급가족종사자의 비율이 더 높은 편이다. 특히

    55-64세 여성노인의 경우, 무급가족종사자는 29.1%로 26.0%인 자영업주와

    거의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55세-64세 남성노인은 자영업주가

    41.5%이며 무급가족종사자는 1.4%로 대부분이 자영업주로 나타났다. 65세 이

    상 여성노인은 자영업주가 42.4%로 무급가족종사자의 31.6%를 상회한다. 하

    지만 65세 이상 남성노인의 자영업주 비율은 66.5%에 달하여 여성노인에 비

    해 나이에 관계없이 자영업주의 비율이 높다.

    종사상 지위별 성별 노인취업자: 2002

    55~64세 65세 이상

    남 여 남 여

    비임금 근로자 52.0 58.3 76.4 74.8

    고용주 9.1 3.1 6.1 0.9

    자영업자 41.5 26.0 66.5 42.4

    무급가족종사자 1.4 29.1 3.8 31.6

    임금 근로자 48.0 41.7 23.6 25.1

    상용 22.5 4.7 4.8 0.6

    임시 14.1 20.7 11.8 8.1

    일용 11.4 16.4 7.0 16.5

    전체 1,380 971 627 528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2002a, 여기서는 한국여성개발원(2003), “고

    령사회대비 여성노인 고용활성화 방안”에서 재인용.

    임금근로자인 경우를 보면 남성노인에 비해 여성노인은 상용고가 적으며 임

    시직, 일용직 비율이 높다. 55세-64세의 경우 남성노인은 상용고가 가장 많은

    데 비해 여성노인은 임시고 20.7%, 일용직 16.4%로 임시, 일용직에 종사하고

    있다. 65세 이상인 여성노인은 16.5%가 일용직, 8.1%가 임시직으로 일용직

    종사자 비율이 높은 반면 남성노인은 임시직 비율이 더 높다. 65세 이상 노인

    은 상용고 취업자 비율이 낮은 것은 남성이나 여성 모두 마찬가지로 우리 사

  • - 20 -

    회에서 대부분 65세를 기준으로 취업에 제한을 두는 현실을 반영한다. 하지만

    65세 이상 여성노인은 남성에 비해 취업의 지속성이 현저하게 낮은 일용직에

    주로 종사하고 있어 안정적인 소득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55세

    -64세의 경우에는 남성은 상용고에 취업하는 비율이 높으나 여성은 주로 임시

    직이나 일용직에 종사하여 고용상 불안정한 지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4년 65세 이상 취업자의 구성을 산업별로 보면 남녀 모두 농림어업

    종사비율이 각각 50.7%, 57.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남자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1.0%)에, 여자는 도소매․음식숙박업(23.5%)에 많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종사상 지위나 직종의 폭이 매우 좁아서 단순직 혹은 전통산

    업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인빈곤의 또 다른 사회적 요인으로 산업사회에서는 필연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사회보장제도가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미성숙 단계에 놓여 있다는 점을 들 수 있

    다. 은 우리나라의 GDP 대비 사회보장비 지출이 OECD 국가 중 최하위

    국가군에 속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1인당 GDP 수준이 국가마다 큰 편차를 보

    인다는 점을 무시한 이러한 단순비교는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수준을 지나치게 폄하

    할 소지가 있다.

    OECD 국가의 사회복지지출(SOCIAL EXPENDITURE)

    (단위: % of GDP)

    국가

    연도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 스웨덴 영국 미국

    1999 28.9 28.7 15.6 9.8 30.4 21.7 14.6

    2000 28.3 28.5 16.6 9.1 29.2 22.2 14.6

    2001 28.5 28.8 17.5 8.7 29.5 22.4 15.2

    자료: OECD Homepage(oecd.org)

    보건복지부 홈페이지(http://www.mohw.go.kr/index.jsp)

    따라서 1인당 GDP 수준이 동일한 시점에서의 사회보장비 지출 수준을 비

    교해 보는 것이 객관적인 지표로서 더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즉, 경

    상가치를 기준으로 1인당 소득수준이 1만 달러인 시점에서 각국의 사회복지비

  • - 21 -

    지출수준을 비교한 결과, 1995년에 GDP 대비 5.7%인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지

    출은 일본, 미국, 영국, 스웨덴이 1만 달러시기에 시현했던 복지지출수준의 약

    1/5~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우리나라의 사회보장비 지출은 ‘발

    전주의’에 밀려 산업화과정에서 지체되어 왔으며, 그 결과 비슷한 1인당 GDP

    에서 선진복지국가가 실현해 왔던 수준에 크게 미달하는 것이었다(최성재 외,

    2002).

    특히, 선진복지국가의 공공예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노인복지예산

    도 예외가 아니다. 2005년 노인복지 관련 예산이 3,301억원으로 정부예산 대비

    0.25%, 보건복지부 일반회계예산 대비 3.82%를 차지하고 있음을 볼 때, 아직도

    미약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적소득보장제도의 적용현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2004년 말 65세 이상 인구 중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

    인연금 등 공적연금 수급자는 총 582천명으로 65세 이상 인구의 13.9%만이

    공적연금을 받고 있으며, 경로연금의 수급대상 노인은 14.8%, 국민기초생활보

    장 수급대상 노인은 341천명으로, 수급률은 8.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중 경로연금은 실질적인 소득대체의 효과가 매우 미약한 것을 감안

    할 때, 실제로 노인의 공적 소득보장제도의 적용범위는 더 낮을 것으로 보인

    다.

    요컨대, 사회적 측면에서 노인의 빈곤은 무엇보다도 급격한 산업화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노인에 대한 노동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노인의 경제활동률, 즉

    자조적인 소득능력이 크게 감소하게 되었다는데서 일차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서구 복지국가의 경우 일찍이 이에 대한 대비로서 공적연금과 같은

    사회보장제도를 갖추어 왔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인 보장 노력이 미흡하

    였다는 점에서도 노인 빈곤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2) 개인적 차원

    다음으로 노인빈곤의 가족 또는 개인적인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가족해체

    현상의 심화로 인한 노부모 부양기능의 감퇴현상을 들 수 있다. 종전까지는 경

    로효친 사상 또는 가족 공동체의식에 입각한 가족규범에 의해서 노인은 자녀

  • - 22 -

    들로부터 부양받는 관습이 일반화되어 있어 노후생계에 별 어려움이 없었으나

    오늘의 사회에서는 그러한 전통적 규범이 급격히 붕괴되고 있다는 점이다(박재

    간, 1997; 최성재 외, 2002 재인용). 을 보면, 노인가구의 형태 중

    전통적인 확대가족 형태인 자녀와의 동거가구는 1994년에는 전체가구의

    55.9%에 이르렀으나 2004년에는 43.5%로 감소하였다. 이에 비례해서 노인

    독신 거주형태는 1994년 16.2%에 불과하던 것이 2004년에는 전체 노인가구

    중 24.6%가 노인독신가구에 이르러, 노인단독가구 비율이 전체노인가구의 절

    반 이상(51.2%)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이와 같이 도시화, 산업화, 핵

    가족화로 인한 물리적 거리의 확대와 전통적인 경로효친 사상의 약화로 인해

    단기간 내에 노인단독가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노부모의 부양기능

    이 크게 감퇴함에 따라 노인단독가구의 빈곤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노

    인 단독 가구의 빈곤율이 31.2%로 자녀동거가구 빈곤율 4.6%에 비해 크게 높

    은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노인의 가구형태의 변화

    (단위 : %)

    1994년 1998년 2004년

    노인독신가구 16.2 20.1 24.6

    노인부부가구 22.8 21.6 26.6

    자녀동거가구 55.9 53.2 43.5

    기타 가구 5.1 5.1 5.4

    계 100.0 100.0 100.0

    자료 : 보건복지부(2004),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둘째, 오늘날의 노년세대는 과다출산과 자녀의 양육비, 교육비, 결혼비 등의

    과다 지출로 자신의 노후 생계를 준비할 여유가 없었거나, 설사 노후 준비를

    해 놓았을 경우라 하더라도 경제변동의 심화로 그 재산을 올바르게 지탱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박재간, 1997). 결국 위에서 언급한 사회적 차원에서 노후 소

    20) 보건복지부(2004),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보도자료

  • - 23 -

    득보장을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미흡과 개인적 차원에서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

    한 준비 미흡의 결합된 효과로 노인의 빈곤이 심각한 수준으로 제기되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정년퇴직 후 무소득상태에서

    노후생활을 해야 하는 기간이 장기화되고 있는 바 이는 결과적으로 부양자와

    피부양자 모두에게 경제적, 정신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

    이다.

    결국,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은 급속한 산업화의 결과 노인의 기술적 ․ 사회적 참여 쇠퇴, 사회적인 노후 소득보장 장치의 미흡, 전통적인 가족부양의식의

    약화, 개인적인 노후 준비의 미흡 그리고 노년기의 장기화 등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 제 제 제 2 2 2 2 절 절 절 절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의의의의의의의의

    1. 1. 1. 1. 노후소득보장의 노후소득보장의 노후소득보장의 노후소득보장의 개념과 개념과 개념과 개념과 형태형태형태형태

    1) 노후소득보장 개념

    소득보장(Income Maintenance)은 국민의 소득을 일정선 이상의 수준에서

    유지시켜주는 제도를 의미하는데 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득보장제도는 주로 단기 또는 장기 실업과 관련된 위험을 완화

    시키고 사회불안을 사전에 예방하며 소득 재분배를 통한 공평한 사회로 가기

    위한 제도라고 볼 수 있다(R. M. Moroney 1991; 박찬용 외, 2000:34-35 재

    인용). 석재은(1998)은 소득보장(Income Maintenance)이란 ‘각종의 사회적 위

    험에 의하여 소득원이 상실되었을 때 상실된 소득의 일부 혹은 전부를 보상하

    여 주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노후소득보장제도는 ‘고령’이라는 소득상실 위험에

    대비한 소득보장제도를 총칭하고, 노후소득보장제도로서 대표적인 제도가 연금

  • - 24 -

    제도(pension scheme)이며, 특별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빈곤

    선 이하에 놓여있는 고령계층에게 지급되는 공공부조와 국가에 따라 고령수당

    제도를 운영하기도 한다고(석재은, 2005:38-39) 정의하고 있다.

    노후 소득보장이란 ‘노인빈곤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대책으로서 국가 사회

    가 노인이 빈곤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정기적 소득을 확보해 주

    는 활동’(장인협․최성재, 1996:286)을 말한다. 사회보장이 발달한 선진국의 소득보장제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는데 먼저 고령으로 은퇴한자, 산업재

    해로 근로능력을 상실한 자, 불구 또는 단기 질환자, 가장의 죽음으로 생계가

    막연해진 자, 실업자 등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므로 관련된 프로그램

    으로는 연금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 고용보험 그리고 공공부조가 있다

    (Scholz J. K. and Levine K, 2000, 박찬용 외, 2000:35 재인용).

    소득보장의 일반적 분석방법은 3층 구조이론을 자주 인용하는데, 첫째 단계

    는 복지 프로그램으로 공공부조(생활보호)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 단계는

    공적연금제도로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이 역기에 속한다. 셋째 단계는 개인

    연금, 퇴직금, 개인저축 등이 여기에 속한다(M. Haydock, 1977:8-24; 이계탁,

    1997:432; 추수호, 2004:8-9 재인용).

    2) 공적노후소득보장제도의 형태

    노후소득보장의 범위는 나라의 환경과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하나 대체로

    노인을 60~65세 이상을 규정하고 있고, 노후보장을 위한 소득보장방법으로는

    사회보험인 노령연금, 저소득노인계층을 위한 공공부조, 사기업체 또는 사회단

    체에서 실시하는 사적연금, 노인인력활용을 위한 노인고용제도 등이 있다(이지

    호, 1999; 이승준, 2002:177 재인용). 여기서는 공적노후소득보장제도의 종류

    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공적연금제도

    노령, 장애, 사망 등 소득상실의 위험에 봉착하게 될 때 국민들에게 안정적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 책임 하에 운영되는 사회보장제도이다(원종욱

  • - 25 -

    외, 2000:18). 이러한 사회보험으로서의 공적연금제도는 강제성과 최저소득보

    장, 사회적 충분성, 수익자 재정책임 원칙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Rejda,

    1999:18-25). 여기에는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국민연금과 공무원연

    금, 사립학교교원연금, 군인연금 등 특수직역연금 등이 있다.

    (2) 공공부조

    사회부조(Social Assistance)라고 하는 공공부조란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해 국가 및 지자체의 책임 하에 생활유지능력이 없

    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이다(이

    인재 외, 2002:253). 즉, 국가가 국민으로서의 인간다운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제도로서 공적연금제도가 빈곤예방, 모든 계층의 경제적

    비보장을 경감시키는데 있다면, 공공부조는 빈곤을 완화시키는데 있다

    (Kingson&Berkowitz, 1993:14-15). 따라서 노인소득보장제도의 직접적인 소

    득보장제도인 공공부조는 사회보험에 의한 연금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또

    는 사회보험에 의한 연금혜택을 받더라도 국가에서 정한 최저한도의 생활수준

    의 수입(빈곤선)에 미달하는 개인 또는 가족에게 균일의 금품을 지급하거나 최

    저생활 수입 미달분(최저 생활수준 수입기준에서 자기수입 부분을 제한 부분)

    을 국고에서 보조해 주는 방법인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있으며, 노인에게 지급되

    는 공공부조적 현금 급여는 경로연금과 교통수당이 대표적이다.

    (3) 경로연금제도

    국민연금을 비롯해 많은 연금제도가 있지만, 특히 고령화 사회의 노인을 위

    한 연금제도가 경로연금제도이다. 이 제도는 국민연금제도가 1988년 시행 당

    시 이미 55세 이상이 된 사람은 연금에 가입해도 일시금만 받을 수 있고 연금

    을 받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60세 이상이 된 사람들은 연령상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없어서 55세 이상 자에 대한 불이익을 보상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1991년부터 65세 이상의 생활보호대상노인에게 지급하여 오던 노령수당을

    1998년부터 대상을 확대한 것이다. 이 제도는 직접적인 금전으로 지급되기 때

    문에 간접보조제도 중에서 더욱 활성화가 필요한 제도이다.

  • - 26 -

    2. 2. 2. 2.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필요성필요성필요성필요성

    우리나라는 그동안 계속된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

    달로 인하여 1971년 62.3세이던 평균수명이 1991년에는 71.7세로 상승하였으

    며 2005년 현재 77.9세로 선진국 평균수준 76.2세에 웃도는 수준이다.21) 이

    와 같은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고령인구의 증가는 여러 가지 노인문제를 발

    생시킨다.

    이러한 노인문제 중 무엇보다도 핵심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는 소득보장 문

    제, 특히 노인의 빈곤문제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의 빈곤현황을 보면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인이 없는 가구(노인비동거가구)의 빈곤율은 9.7%인데

    비해 노인부부 혹은 독거가구(노인가구)의 빈곤율은 31.0%로 3가구 중 약 1가

    구가 빈곤한 가구로 나타났다. 더구나 노인가구에서 공적 ․ 사적 이전을 제외할 때 빈곤율은 58.0%에 이르러 노인가구의 절대다수가 빈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센지수(Sen Index)22)를 살펴보면, 자녀와 노인이

    동거하는 가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