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역기능현상및개인정보침해 대응방안연구 · 2009-12-28 · -2-제출문...

233
-1- 일반정책연구지정공모사업 01-GP-09 인터넷의 역기능현상 및 개인정보침해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policies on the legal liabilities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in Internet 2001. 12. 주관연구기관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연구책임자 : 권헌영

Upload: others

Post on 22-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 1 -

    일반정책연구지정공모사업

    01-GP-09

    인터넷의 역기능현상 및 개인정보침해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policies on the legal

    liabilities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in Internet

    2001. 12.

    주관연구기관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연구책임자 : 권 헌 영

  • - 2 -

    제 출 문

    정보통신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인터넷의 역기능현상 및 개인정보침해 대응방안 연구『 』의 연구결과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1. 12.

    주관연구기관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공동연구기관 : 선문대학교

    위탁연구기관 : 목포해양대학교

    연 구 책 임 자 : 권헌영 정보통신윤리위원회( )

    공동연구책임자 : 정준현 선문대학교( )

    위탁연구책임자 : 박경호 목포해양대학교( )

  • - 3 -

    요 약 문

    제목1.

    인터넷의 역기능현상 및 개인정보침해 대응방안 연구

    인터넷사업자의 책임과 그 한계 및 자율규제 확립방안 연구-

    세부주제별 연구내용은 개별 보고서를 참고바람※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2.

    기존의 연구과제들이 사업자규제체제의 원칙만을 제시하고 그 구체적 실현방안과

    우리 현실에 맞는 체계구축까지 나아가지 못하였던 데 비하여 본 과제에서는 인터,

    넷 공간에서 사업자가 부담하게 되는 법적 책임을 명확하게 밝혀내고 이에 대한 대

    응책으로서 자율규제 제도의 확립방안 및 자율규제제도와 공적규제제도간의 조화방

    안을 마련한다는 데 의의가 매우 크다.

    아울러 인권침해행위 등에 대한 피해자 구제방안에 대하여 효과적인 정책방안을 마

    련하지 못하였던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 현실에서 취할 수 있는 구체적 대응책을 마

    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기존의 연구 결과로 축적된 공적규제제도가 담당하지 못했던

    분야에 대한 보완장치가 마련됨으로써 효과적인 불건전정보 대응정책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 4 -

    연구의 구성 및 범위3.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사업자의 의의를 밝히는 것과 더불어 인터넷 사업자의 법적

    책임에 관하여 고찰한다 현재 각국의 사례와 입법례 등을 살펴서 우리나라의 인터.

    넷사업자 책임론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적정한 인터넷사업자의 책임정.

    도를 정하고 이 이외의 것은 책임을 제한하고자 한다 과연 어느정도가 인터넷 사.

    업자의 책임을 지우도록 하는 정도인지를 정하면 이에 따라서 자율규제 정책의 근

    거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자율규제의 의의와 종류 및 국내외 사례를 살펴본다 아직 명확하게 자리.

    잡은 바 없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자율규제 정책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유동성이 매

    우 높은 분야이다 따라서 선진각국의 사례 조사가 중요한 부분이다 아울러 이를. .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자율규제정책의 현주소를 살피고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본다.

    아울러 인터넷 내용에 대한 피해에 대하여 신속한 구제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본다 구제를 위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어떤 조직을 통해 이를 구체화할 것인 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노력들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여 보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고

    자 한다.

    연구내용 및 결과4.

    인터넷 사업자는 다양한 체계를 갖고 있으며 그 성질도 조금씩 다르고 나라마다 책

    임정도도 다르게 규율하고 있지만 인터넷사업자의 책임을 논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제공하지 않은 타인의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자신의 관리 하에 자신의 이익을 위.

    하여 자신의 명의로 제공된 정보에 대한 책임이 해당 사업자에게 귀속하는 것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인터넷 사업자에 대한 규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용자의 침해행위에 대한 의 책임범위와 관련하여 이용자의 침해행위에 어떠ISP ,

    한 형태의 가담도 하지 아니한 의 면책에 관한 원칙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ISP

    하다 컴퓨터서비스의 제공자 또는 이용자는 다른 정보컨텐츠제공자가 제공한 정. “

    보의 출판자 또는 진술자 로 간주되지 아니한다 라고 규정한(speaker) ” 47 USC §

    의 규정이 좋은 예이다230(c)(1) .

  • - 5 -

    에게 면책이 인정되기 위한 조건으로써 로 하여금 자신이 관리하는 서버상의ISP ISP

    정보를 감시하여 부적절한 것에 대한 삭제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

    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무는 그러한 통제의 현실적 어려움은 차치하더.

    라도 언론 출판의 자유 사생활의 비밀 통신의 비밀 등의 헌법적 기본권 침해의, ,ㆍ

    문제를 야기하며 또한 감시의무의 해태가 결국 책임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ISP

    면책을 사실상 부인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인정되기 어렵다고 할 것이다.

    정보감시의무제의 위헌성을 고려한다면 위 법 제 조에 따른 정보의 삭제 또는 반, 44

    박내용의 게재 요청에 관한 제도는 권리침해자의 보호를 위하여 에게 최소한의ISP

    의무를 부과하는 적절한 제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청인의 주장만을 믿고 관련.

    정보를 삭제 또는 반박내용을 게재한 것이 역으로 타인의 권익을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바 위 법은 이를 대비한 규정은 두고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신.

    청인에게 권익침해사실에 대한 소명을 요구하는 한편 삭제 또는 반반내용을 게재,

    한 경우 그 사실을 해당 정보의 게시자에게도 통보하게 함으로써 원상 회복조치 등

    을 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또한 위 법은 삭제 등의 주체에 대하여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라고 규정하고 있는“ ”

    바 순수한의미의 도 삭제 등의 의무를 부담하는 것인지가 분명치 아니하다 순, lAP .

    수한의미의 는 이러한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구체화할 필lAP

    요가 있다.

    한편 위 법은 에게 이러한 삭제의무만을 부과하였을 뿐 신청인의 삭제요청을, ISP ,

    묵살한 경우에 대한 제재규정은 두고 있지 아니하다 물론 제재규정의 흠결이 민사.

    책임까지 면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행정적 형사적 제재규정을 설치하는ㆍ

    것이 동 규정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리라고 본다.

    삭제 등의 의무위반에 대한 벌칙이 흠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위 법 제 조는 개인, 22

    정보의 수집에 있어서 상대방의 동의를 얻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동의 없이 개인 정

    보를 수집한 경우에 대한 처벌규정은 두고 있지 아니하다 비록 수집한 정보를 고.

    지 또는 이용약관에 명시된 범위를 넘어 이용 또는 제 자에게 공개한 경우 중형으3

    로 처벌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동의 없는 개인정보의 수집행위는 그 자체로서 경우,

    에 따라 사생활의 비밀을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처벌규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그밖에 제 조의 개인정보 보호조치의 해태에. 28

    따른 제재규정도 존재하지 아니한다.

  • - 6 -

    인터넷접속기록은 인터넷을 이용한 스토킹 명예훼손 등에 있어서 게시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되며 익명의 게시자인 때에는 유일한 단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로 하여금 이용자의 접속기록을 일정기간 보관하게 하고 또한. ISP

    범죄수사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수사기관에 관련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현행법 가운데 전기통신사업법이 전기통신사업자는 검사 또는 수사기관의 장으로부

    터 수사 또는 형의 집행 국가안전보장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보 수집의,

    필요에 의하여 이용자의 인적사항과 가입 또는 해지일자에 관한 자료의 열람이나

    제출을 요청받은 때에는 이에 응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있으나 여기에서 공개,

    의 대상은 이용자의 인적사항과 가입 또는 해지일자 에 국한된 것이며 또한 공개“ ”

    의 주체는 전기통신사업자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통신법의 이러한 규정으로.

    는 전술한 제도적 목적을 달성하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몰론 접속기록의 보관의무는 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안겨준다는 점에서 문제가ISP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중요한 사회적 법익의 보호를 위하여 감수해야 할 사항이

    라고 본다 보관기간의 설정 공개의 절차 영장여부 등 등에 관한 구체적 입법이. , ( )

    요구된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정보를 심의한 결과 불온통신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통신사업

    자에게 이용자에 대한 경고 해당 정보의 삭제 불온통신을 행한 자에 대i) , ii) , iii)

    한 이용정지 등의 시정요구를 할 수 있게 하고 전기통신사업자가 시정 요구에 용하

    지 아니한 때에는 정보통신부장관에게 불온통신의 취급을 거부 청지 또는 제한을ㆍ

    명하도록 건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결국 동 위원회가 가진 시정요구권.

    은 심리적 부담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아무런 제재력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최

    근 법원은 그 처분성을 부인하여 행정소송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시한 바 있다.

  • - 7 -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력이나 파급효과를 감안할 때 인터넷상의 불법행위에 대해서

    는 즉각적인 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 바 위원회의 시정요구가 실질적인 제재력,

    을 지니고 있지 못함으로 인하여 시정요구권의 실효성이 의문시된다 이에 시정요.

    구에 불응한 경우 제재력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다,

    만 과잉규제 등에 대한 상대방의 불복구제절차의 보완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

    사업자 자율규제라 함은 정부의 규제에 의한 것이 아니라 또는 이들의 단체가ISP

    스스로 정한 행동규약에 따라 자율적으로 불법정보의 유통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

    다 자율규제는 언론 출판의 자유 등의 헌법적 문제를 야기함이 불법정보를 차단. ㆍ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 위법 시행령 제.

    조가 및 그 단체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건전하고 안전한 정보통신2 ISP “

    서비스제공을 위하여 윤리강령을 정하여 시행할 수 있다 고 하여 사업자 자율규”∙∙∙

    제제도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율규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

    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이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물론 위 법 제. 3

    조 제 항이 정부는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단체 또는 이용자단체의 개인정보보호 및3 “

    정보통신망에서의 청소년보호 등을 위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으”

    나 자율규제 사업자 또는 그 단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지원시책을 명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현재 논란의 대상이 되는 전기통신사업법상의 불온통신을 금지하면서 전기통신사,

    업자에게 불온통신의 취급을 거부 정지 또는 제한하도록 명할 수 있는 권한을 정ㆍ

    보통신부장관에게 부여하고 있다 여기에서 불온통신이라 함은 범죄행위를 목적. i)

    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하는 내용 반국가적인 행위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 ii)

    는 내용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를 해하는 내용 동의 전기통신을 의미하는, iii)

    바 반국가적 행위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등의 개념이 가지고 있는 불명, “ ”, “ ”

    확성으로 인하여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위헌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를.

    합헌적인 방향을 개선해야 하겠다.

  • - 8 -

    또한 사업자 책임에 대하여 일반적 규율을 하면서 면책사유를 명확히 하여 사업수

    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줄 필요가 있다 이 경우도 앞서 본 독일의 경우가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자신이 인식하고 있고 자신의 관리범위 내에.

    있으며 그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할 것이고 이

    를 위반한 경우에는 그 고의 및 과실에 따라 책임을 면할 수 없도록 규율되어야 한

    다 이 때 사업자가 불법정보에 대하여 적절한 처리절차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성.

    실히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의무를 다한 경우에는 책임을 면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

    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제 조에. 44

    서 규정한 바와 같은 내용삭제 요구 등에 대하여 사업자가 행하여야 할 표준적인

    절차를 제도적으로 명확히 해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가능하다.

    면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등과 같은 심의 및 시정요구의 시행과 관련하여 사업자가

    무조건적으로 이를 이행하는 절차보다 당해 정보제공자의 이의신청 등과 같은 구제

    절차를 진행하는 등 절차적 보완도 고려할 수 있겠다.

    통신사업자를 통한 간접적 규제에 있어서 전기통신사업자의 책임을 너무 과도하게

    부과하면 이러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전기통신사업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서

    일어나는 표현행위에 대해서 과도한 사적 검열을 행할 것이며 결국 전체 표현행위

    에 대한 위축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은 제도 보완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이다.

    인터넷 서비스는 보다 다양해질 것이며 더 많은 사업자유형이 나타나겠지만 사업,

    자의 책임여부가 불투명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인터넷정보제공에 대하여 현재의.

    시스템과 같은 전기통신사업자 체계에서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의 개념을 도입한 정

    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은 진일보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책임당

    사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실질적으로는 법률관계를 더욱 꼬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생각하면 사업자 규제제도가 발전하기 위하여서는 사업자를 특.

    정할 수 있는 최소한도의 규제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독일법에.

    서 정하고 있는 제공자 표시의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 - 9 -

    현행 행정적 규제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정보통신부장관의 명령권과 정보통신 윤리

    위원회의 심의 및 시정요구제도의 불명확한 연결고리를 명확하게 할 필요성이 제기

    된다 항상 논란의 초점이 되고 있는 행정기관 주체성 과잉규제의 가능성. , ,① ② ③

    불복구제절차의 미비 등에 관한 지적을 극복하고 행정적 규제제도를 개선하기 위하

    여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구성 및 심의범위 및 절차 이의신청 등의 불복구제절차,

    등을 정교하게 하고 정보통신부장관의 명령권과 같은 처분권을 인정하는 등의 방안

    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때 불온통신에 관한 용어의 정의를 보다 명확하게 규정.

    하고 불온통신 여부의 결정을 일종의 가처분으로 할 수 있게 한 다음 그에 대한, ,

    이의와 재심청구를 빠른 시일 내에 사법기관에 제기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

    련함과 아울러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위원 구성이 준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전문

    가들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견해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규제집행의 효율성.

    과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적규제와 공적규제의 절차를 조화롭게 세분화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터넷에 관한 자율규제를 정하고 있는 현행 법제로서 대표적인 것은 정보통신망이

    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이라고 할 수 있다 동법 제 조는 정보통신서비스제. 3

    공자 및 이용자의 책무라는 명칭아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건전하고 안전한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권익보호와 정

    보이용능력의 향상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제 항 는 다소 선언적인 의무 조항을 두어( 1 )

    서 자율규제의 원천을 삼고 있다 나아가 사업자뿐만 아니라 정보이용자에게도 건.

    전한 정보사회가 정착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 항 고 함으로써 인터넷의 특성을( 2 )

    반영하고 있다 즉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이용자는 불법 유해정보에 의한 피해자. ㆍ

    가 되기도 하지만 스스로 가해자가 될 위험성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노력.

    은 인터넷 내용규제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또한 이 법률은 정부가 이러한 자율.

    규제정책을 적극 옹호하고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즉 제 항에서. , 3

    정부는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단체 또는 이용자단체의 개인정보보호 및 정보통신망

    에서의 청소년보호 등을 위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 - 10 -

    현재 자율규제의 대표적 태양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사업자 등의 행동강령

    내용선별 또는 차단 프로그램 소프트웨어(code of conduct), ( )(tools of rating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한 신고체계 이service or filtering software) (hotline system)

    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 법에서도 미흡하나마 이러한 규정들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다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동에관한법률 시행령 제 조는 윤리강령에 대. 2

    하여 규정하고 있다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및 그 단체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

    호하고 건전하고 안전한 정보통신서비스제공을 위하여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윤리

    강령을 정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제 항 하고 있고 역시 이용자 단체도 이를 정하( 1 )

    여 시행할 수 있으며 제 항 정부로 하여금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근거를 두고 있( 2 )

    다 제 항 이는 사업자 대부분이 행동강령을 스스로 제정하여 시행할 수 없는 환경( 3 ).

    이며 이러한 환경에서 자율규제를 스스로 시행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자율규제정책의 성공을 위한 정부의 배려라고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배려가. ,

    지나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적정하고 필요한 지원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자율규제정책의 근거규정을 구체화하는 여러 조문을 발견할 수 있다 즉.

    동법 제 조는 내용선별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보급 등을 규정함과 아울러 정보통신41

    윤리위원회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단체 이용자단체 그 밖의 관련 전문기관의 청소, , ,

    년보호를 위한 활동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이어 같은 법 시행령에서는 더

    욱 구체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유통되는 음란 폭력정보 등의 유해한 정보로ㆍ

    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청소년의 자발적 참여활동의 촉진 및 지원 청소년,

    보호를 위한 학부모 교사 또는 민간단체 등의 자율적인 감시 상담 피해구제활동ㆍ ㆍ ㆍ

    의 촉진 및 지원 청소년보호활동올 위한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간의 협력체계 구,

    축 지원 등을 정하고 있다 따라서 자율규제의 대표적 사례들은 이 규정에 따라 법.

    적 근거를 명확히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자율규제정책의 성공을 보장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

    다 그것은 아직도 우리 환경이 자율규제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에서 첫 번째 원인.

    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자율규제가 성공하기 위하여서는 우선적으로 시민사회가.

    성숙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과 관심이 높아져야만 한다 아울러. .

    사업자의 경우에도 선의의 사업자연합회나 사업자구도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우리.

    의 경우 인터넷환경도 아직 성숙하지 못하였지만 일반 시민사회나 사업자 구도 및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과 관심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과 관심이 모두 성숙하지 못하,

    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의 자율규제 성공을 위한 노력은 여러 분야의 성숙.

    도를 함께 고려하여야만 하는 지난한 길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 - 11 -

    사업자 자율규제제도는 다음과 같이 발전하여야 한다 인터넷에서 자율규제라는 용.

    어는 매우 다양한 어의를 갖고 있지만 사업자 자율규제는 대체적으로 사업자 행동

    강령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업자나 사업자 단체가 스스로 제정한 행동규약.

    에 따라 자율적으로 불법정보에 대한 대응을 해 나가는 것이다 대체로 그 유형은.

    인터넷사업자 협회 주도형 개별 사업자형 정부주도형 등으로 구분된다 사, , .① ② ③

    업자 자율규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표현의 자유 관련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불법

    정보를 차단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대체로 사업자 협회 주도형이.

    일반적인데 강령들은 당국과의 협조 의무와 책임 문제에 대한 설명 개인정보보호, ,

    및 개인정보 취급법 이용자 불만사항의 조사 불법 유해정보 처리 절차 이용자, , ,ㆍ

    능력 강화방안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앞서 본 바와 같이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시

    행령에서 사업자 윤리강령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별 사업자의 윤리강령과 사업자 단체의 윤리강령 등이 제정 시행될 수 있ㆍ

    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자 자율규제 제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규제기관의

    인내가 필요하다 아직 성숙되지 않은 자율규제 제도가 채 자리를 잡기도 전에 형.

    사적 제재나 행정적 제재 등이 무분별하게 적용된다면 자율규제 제도는 싹트기 어

    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사업자 자율규제 제도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규제장치.

    가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행정 관행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가장 낮은. ,

    단위의 규제 장치인 사업자 행동강령의 적용을 통해 불법정보 차단 목적이 달성되

    는지를 심사한 후 다음 단계의 행정적 규제 및 형사적 제재가 이루어지는 체계를

    제도적으로 보장할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면 가장 바람직한 자율규제 옹호정책이

    될 것이다.

    현재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이 제도가 어느 방향으로 발전하여야 하는지는 더 많은

    논의와 우리 현실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정보내용규제제도의 원.

    칙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합의 를 도출하는 메커니즘을 합리적으로 설계하고 그 절‘ ’

    차를 정교하게 함으로써 민주성과 정당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 - 12 -

    인터넷상의 불법정보에 대하여 올바른 규제방법이 정부규제냐 자율규제냐에 관한

    논란이 많이 있지만 사회를 맑고 밝게 하는 것이 구성원 모두의 책임이라고 할 때

    인터넷에 대한 규제 또한 다양한 사회규범이 조화를 이루는 혼합규제 방식이 바람

    직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용자 및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우선적으로.

    옹호하고 촉진하기 위한 제도권의 노력과 인내를 바탕에 두고 명백한 불법정보에

    대한 신속한 차단을 위한 신고처리 체계 및 정보통신윤리위원회와 같은(hot-line)

    규제기관의 독립성 및 민주성 전문성의 보장이제도의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ㆍ

    관건이 될 것이다.

    사업자의 책임범위를 적극적으로 규율함으로써 사업자의 행위에 대한 기대가능성을

    높여주는 것도 중요한 제도 발전사항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사업자규제제도에 대.

    하여 법률적으로 미비된 사항 및 여러 법제에 산재되어 있는 정보통신내용규제 관

    련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단일한 법률체계로 정비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

    토하여야 할 때이다.

    인권침해 피해자에 대한 구제활동 지원하기 위하여 설치된 사이버 인권침해방지지

    원센터는 사이버 명예훼손 등 인권침해정보에 대한 신고접수 뿐만 아니라 사이버인

    권침해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인권침해를 당한 피해자에

    게 전문적 상담을 제공하고 인권침해정보에 대한 사법적 입증 자료를 확보하는 방

    법을 알려줌으로써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명예훼손의 경우 정보통신 윤리위원회

    의 심의 결정업무를 지원하고 사이버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홍보 활동 및 사이버,

    인권침해에 관한 제도 연구 및 정책을 개발함으로써 사이버 인권침해정보 처리에

    관한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이 사이버인권침해방지지원센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업무를 확실하게 수

    행하는 것 외에 초기 단계로서 기관의 홍보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포털사이트. ,

    통신 사업자의 협력을 얻어 각종 인터넷 게시판에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경고문PC

    및 본 센터와 연결될 수 있는 링크배너의 부착을 의뢰함은 물론 정보통신망이용촉,

    진 및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 사항 중 사업자 책임 부분을 주지시키고 사

    업자의 이용약관에서 인권침해 방지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도록 권장하고 실제로 약(

    관에 규정되어 있고 자체적으로도 여러 가지 대책 이용정지 삭제 강제 해지 등, - , , -

    에 관한 근거 규정을 삽입해놓고 있음 사업자 측의 자체 모니터링과 필터링을 통)

    한 인권침해정보의 즉각 삭제도 요구하여야 할 것이며 상담기능을 가진 각종 사이,

    트 및 시민 단체 등과 링크배너의 상호 부착을 추진하는 방법으로 걸음마 단계인

    본 센터의 업무를 조기에 정착시키고 우선은 각종 언론 매체와 안전넷 등의 시민단

    체를 통한 본 센터의 홍보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

  • - 13 -

    본 센터를 실질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권침해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은 물론 유형별로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신고 사항의 신속한 처리로 기,

    관의 신뢰성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신고 사항에 대한 처리 방식을 매.

    뉴얼화함으로써 센터 운영을 효율적으로 행하며 신속한 업무처리를 신고자에게 고,

    지해 줌으로써 본 센터의 존재이유를 네티즌들에게 확인시켜둘 필요가 있을 것이

    다 인터넷 사업자의 인권침해 여부 질의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답함으로써 사업자.

    가 인권침해의 예방 및 구제에 일조할 수 있도록 협조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사이버 인권침해방지지원센터 이외에도 인권침해 정보의 특

    성상 각 권리주체간에 논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위원회의 존재만으로

    는 인권침해를 구제할 수 없고 그 다툼에 대한 분쟁조정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위

    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필수적 요건이라는 판단아래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쟁

    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사이버 인권침해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할 예정이다.

    특히 피해자 개인 법인 및 단체 의 신청에 따라 당해 정보에 의한 피해자 권리의( , )

    침해성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여 사업자에 대한 삭제 기준 제공 비구속적 심의 결( , ,

    정 사업자가 본 조정위원회에 의한 분쟁해결에 동의하는 경우에 조정 절차를 개시)

    하여 정보제공사업자와 피해자간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명예훼손 관련 분쟁을 신속

    히 조정 해결함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ㆍ

    우선 사이버 인권침해분쟁조정위원회의 법적 근거를 우선적으로 마련해야할 것이

    며 위원회의 이름으로 분쟁 해결의 방식인 알선 조정 및 중재 조정만, ( , ), (調整 調停

    가능 중 어느 수단을 사용할 것인가에 따라 분쟁해결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당사자간의 각종 다양한 분쟁올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정수단을 다양화해.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 - 14 -

    위원회의 구성 방안으로는 다른 기관의 조직을 참고하여볼 때 인 이내의 중재I) 30

    및 조정위원으로 구성 위원장 부위원장을 두고 인 이내의 운영위원회를 설치 운( , 7 ,

    영 하고 위원 중 과반수 이상을 변호사 자격 있는 자 또는 법학교수로 하며 중) , ii) ,

    재부 및 조정부는 위원 인 이상 인 이하로 구성 개 이상의 중재 또는 조정부 하3 5 (5 )

    며 중재법과의 관계상 중재 및 조정부의 장은 반드시 법관의 자격이 있는 자로iii) ,

    하고 분쟁조정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이버인권침해방지지원센터, iv)

    등과 연계한 조직 개편을 검토하여 분쟁조정팀을 구성 운영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

    각된다.

    분쟁처리절차에 관하여는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에관한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

    보호등에관한법률 제 조 이하를 참조하여 충분한 제도연구 및 검토를 해야할 것이36

    며 분쟁조정위원회가 설립될 경우 윤리위원회의 전체적 조직체계 등과 연계하여,

    개편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고 알선 등으로의 분쟁해결 수단의 확대,

    를 위한 최종적인 안을 위해서 환경분쟁조정위원회와 통신위원회 언론중재위원회,

    의 경우를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분쟁의 성격상 온라인을 통한 신청 증거 수집 및 보전 등 대부분의 분쟁 해결 절,

    차가 온라인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가 도입하고 있는 온라

    인 분쟁해결시스템 을 구축 운영하는 방안도(Online Dispute Resolution System) ,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소액 분쟁사건이 태반일 것으로 여겨지는 전자거.

    래상의 분쟁과는 달리 본 사이버인권침해분쟁조정 위원회가 다룰 분쟁의 해결은 서

    로간에 쌓인 감정의 앙금을 해소해야한다는 측면을 주안점으로 고려해 볼 때 총론,

    적인 과정에선 전면적으로 온라인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지만 각론에 들어가서는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을 통한 진정한 사과와 용서를 통해서만이 분쟁의 재발을 방

    지할 수도 있을 것이고 종국적 실질적으로 분쟁올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ㆍ

    두어야할 것이다.

  • - 15 -

    정책적 활용내용5.

    인터넷 사업자의 책임과 인터넷 내용규제의 문제는 여전히 우리 사회의 숙제로 남

    아 있다 이 문제에는 인터넷 내용에 관한 문제가 과연 국가권력의 통제 하에 놓이.

    는 것인가 아니면 국가권력 이전의 사회의 문제인가라는 다소 대답하기 어려운 질

    문이 도사리고 있다 우리는 현재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두고 여러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을 행하고 있다 때로는 이러한 시도들이 갈등을 표출하기도 하고 서로 연합.

    하기도 한다 거기에 바로 표현의 자유와 국가권력에 의한 통제에 대한 갈등이 자.

    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주어진 현실은 사실은 비교적 간단하다 우리가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을 우려하면서 논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의 수이다 이 말은.

    논쟁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가 아니다 다만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우. ,

    리 모두의 이해가 대부분 일치하는 사회일탈적 정보로부터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다

    는 점이다 그 피해자가 특히 육체적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피해자가 자신의 권리. , ㆍ

    를 심각하게 훼손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가 사.

    실은 이러한 정보에 대한 대응체계를 국가권력의 통제 이전에 마련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사회가 이러한 준비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

    다고 생각한다 우선은 시민사회가 성숙하여야 한다 우리가 우리 공통의 가치를 마. .

    련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로와 다양한 방식을 가져야만 한다 다행히 우리 사회에서.

    도 학부모나 시민단체 등을 통해 이러한 노력이 가시화되어가고 있음을 본다 지난.

    한 해 우리는 안전넷을 출범시키고 인터넷 내용선별서비스를 개시하는가 하면 사업

    자들이 자체적으로 모임을 시작했다 또한 학교에서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실시하.

    고 있으며 그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마련하고 있다 사업자에.

    대하여도 이해를 나누고 자율규제의 준비를 행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터넷공간에서의 사업자를 중심으로 하는 자율규제를 확

    립할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내지는 정보를 매개.

    하는 사업자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해 사업자의 자율적 규제환경을 조성하

    여 주되 이를 일탈하는 경우에는 공적 규제를 가하는 체계를 제도화할 방안을 마련

    하기 위함이었다.

  • - 16 -

    대체로 사업자의 책임을 명확히 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인터넷 사업자가

    타인의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책임을 져야 하는가로 축약되었다 그동안 타인의.

    정보에 대해서는 대체로 책임이 없다는 통신사업자 의 경우와는(common carrier)

    달리 인터넷사업자는 자신이 내용과 관련성을 갖는 경우가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인터넷사업자의 경우 대부분은 인터넷접속서비스이외에도 정보를 제공하거나.

    적극적으로 매개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인터넷사업자의 경우 자신의 서비스 중.

    에서 정보의 질이나 양이 절대적인 사업의 영향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공개적이건 묵시적이건 간에 내용과의 연관성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는 것이다 그.

    러나 그렇다고 하여 인터넷사업자에게 내용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지울 수는 없

    다 사업자에게 큰 부담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나아가서는 정보이용자에 대한 사적.

    검열로 무수한 분쟁의 씨앗이 되기도 할 터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법제도적 책임에 관하여 사업자에게는 자신의 인터넷서비스의 정보내용에

    대한 책임은 그 내용을 알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고 보았다 물론 이를 제도화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

    을 것이다 새로 개정작업을 하고 있는 저작권법의 경우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의 생각은 인터넷사업자나 온라인 사업자의 책임을.

    개별법률에서 따로이 정하는 것보다는 인터넷사업자에 대한 자율규제를 정할 수 있

    는 단일한 법률에서 일반적으로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법.

    률이외의 사항으로서 개별적인 환경에 따라 독특한 책임관계를 규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특별법률에 규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인터넷사업자가 자신의.

    정보내용이 명예훼손인 경우에는 명예훼손법 민법 형법 등 에 따라 책임지고 저작( , ) ,

    권침해사항이면 저작권법에 의하여 책임을 지는 등의 사항은 바람직하지 않다 물.

    론 개별법률의 본질적 책임사항은 따라야 할 것이나 인터넷사업자의 책임범위나,

    인정되는 면책사항 등은 일반화하여 규정할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 - 17 -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핫라인의 구축이

    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우리에게서 인터넷 핫라인은 명확히 구축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방향도 명확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인터넷 핫라인은 명확한 신.

    고체계와 더불어 피해구제절차와의 연계를 의미한다 핫라인의 성공은 우리 사회에.

    시민사회에 의한 인터넷규제와 공적규제가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핫라인은 사법기관과 자율기관간의 조화로운 운영을 통해서만 성공할 수 있다 우.

    선은 핫라인을 위하여 하나의 통합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정보통신

    윤리위원회가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부 검 경 등 사. ,ㆍ

    법기관 시민단체 교사 및 학부모 등을 연계하는 고리에 그간의 축적된 경험을 살ㆍ ㆍ

    려 짧은 시일 내에 국내 핫라인 구축을 성공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물론.

    향후 해외기관과의 공조 등을 위하여서도 핫라인은 중요한 자율규제 정책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이외에 자율규제정책으로서 인터넷내용선별소프트웨어 및 차단소프트웨어의 개발보

    급 등이 기술적 방식으로 선호된다 우리의 경우 우선 청소년들이 주로 이용하는.

    학교 및 도서관 등 청소년이용시설의 경우 이러한 기술적 조치를 강제로 시행하도

    록 하는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아울러 방 등에서도 청소년과 성인 이용 를. PC PC

    구분하여 청소년에게는 이러한 기술적 조치가 강구된 시설을 이용하도록 하는 노력

    도 고려해 봄직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정 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는 현.

    실을 고려할 때 학부모단체 등을 통한 인터넷내용선별프로그램의 보급과 활용촉진

    이 필요하다 이제부터는 이에 대한 보급확산 정책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으.

    로 판단된다 기술적 조치로서 신규로 판매되는 등 인터넷이용기술에 인터넷내. PC

    용선별프로그램 내지는 차단소프트웨어 등이 장착되었음을 표시하는 인증기법도 개

    발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역시 업계의 참여가 필요하다. .

    또 하나의 자율규제 정책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윤리강령의 제정 시행이다 그.ㆍ

    러나 윤리강령의 제정 시행은 한가지 중요한 선결요건이 필요하다 그것은 바로.ㆍ

    윤리강령의 실효성을 확보할 사업자단체 등의 체계화이다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

    와 더불어 이들이 함께 사업하는 동업자로서의 인식을 나누는 모임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법정사업자 단체인 정보통신산업협회 내에 분야별로 유사한 사.

    업자간의 모임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사업자 단체별로 그에 적합한 윤리강령을 제정

    시행할 수 있도록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정부차원에서 지원 할 수 있ㆍ

    을 것이다 사업자의 체계화를 위하여서는 사업자가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도록 하.

    는 규제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신고 등의 의무는 부과하여 선의의 정보내.

    용피해자를 줄이고 사업자 정보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 등은 할 수 있을 것

    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 18 -

    마지막으로 피해자에 대한 신속한 구제체계의 마련이다 인터넷의 속성에 따라 다.

    양하게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조정 등 해결방안과 더불어 해당 내용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내에 분쟁조정위원회 등

    을 두고 침해신고센터 등을 두는 것은 매우 효율적인 구제책인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를 위하여 전문가의 보강이 필요하고 인력 및 재원의 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분쟁시스템에는 온라인에 의한 침해신고 및 분쟁해결절차 등이 마련된다면.

    인터넷상에서 편리하게 분쟁을 해결함으로써 법원이나 기타 분쟁해결기구의 업무부

    담도 줄이고 인터넷상의 피해도 신속하게 해결하는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는 인터넷공간에서의 생활로 점점 빠져들고 있다 우리가 세계에서 어느 나라.

    보다 빠르게 경험하고 있는 인터넷이 우리 삶을 윤택하게 하는 공간이 되도록 만들

    어야 할 책임은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거나 간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우

    리들의 몫이다 이 공간이 우리사회의 갈 길을 밝히는 공간이 되고 유용한 정보가.

    끝없이 샘솟고 지구상의 누구라도 편리하게 만나고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인간의 공

    간으로 가꾸어지도록 하는 것은 우리와 같은 개척자들의 몫이다.

    기대효과6.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재 논의중인 인터넷 내용규제 정책의 수립시 참고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법제도를 마련하는 데 원용할 수 있을 것이며 사업자에. ,

    대한 자율규제정책의 수립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19 -

    SUMMARY

    1. Title

    A study on the public policies on the legal liabilities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in Internet

    - Policies on Liabilities and its limit of ISP and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on the Internet

    2. Objective and Importance of Research

    It 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to make clear the legal liabilities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especially to be compatible in the environment of

    current Korea. It is also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o make the policies on

    self-regulations of the Internet Contents, and o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for the dispute occurred by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In current Korea, this

    is one of the urgent studies on the policies in the circumstance that Internet

    users expand explosively.

  • - 20 -

    3. Contents and Scope of the Research

    To make clear the liabilities of ISPs, we studied the concept of ISP and its

    classes. And we analysed the similar cases of other countries. We also

    suggest the sphere and the limits of the ISPs’ legal liabilities, especially we

    suggest to make the improvement of the legislations on the public liabilities of

    ISPs. And we studied the policies on the self-regulation of the Internet which

    is one of the hot-issues on the globe, and made recommendations which are

    suitable to Korean circumstance.

    Finally, we suggest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on the Internet.

    4. Research Results

    It might be the responsibilities of the ISP that the contents constitute the

    liabilities of tort and of any kind of legal liabilities, if there are the evidences

    that the ISP knows the contents it might be the subject of legal problems or

    if there is no liabilities not knowing that.

    To improve the system of regulations on the ISPs’ liabilities, it is important to

    make clear the legislations that regulate ISPs to contain the provisions of

    ISP’s general liabilities and its limits so that ISPs can make their business in

    stable. It is urgent to construct the Internet hotline in Korea to make the

    cyberspace clean. And to help the victims of the illegal or harmful contents

    on the Internet, we have to make the system that provides the professional

    assistance and gives the resolution of the disputes.

    5. Policy Suggestions for Practical Use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ies is to make the legislation which make

    clear the liabilities of ISPs by the general provisions. And it is urgent to make

    the Internet Hot-line which is constituted by public and private entities. Finally

    we suggest to make the system which provides ADR services on the Internet

    dispute.

  • - 21 -

    6. Expectations

    It might be the progress of the legal system on the regulation of Internet

    contents in Korea.

  • - 22 -

    목 차

    제 편 연구개요1

    제 편 인터넷 사업자의 책임과 그 한계 및 자율규제 확립방안 연구2

    제 장 서 론1

    제 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1

    국내외 환경 및 동향1.

    선행 연구의 검토2.

    제 절 연구의 목적2

    제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3

    제 장 인터넷 불법정보와 인터넷 사업자의 의의2

    제 절 인터넷상 불법정보의 의의1

    서설1.

    불법정보의 의의2.

    인터넷 불법정보 유통의 현황3.

    제 절 인터넷 사업자의 의의2

    의 의의1. ISP

    가 의의.

    나 실정법의 정의.

    의 유형과 책임의 정도2. ISP

  • - 23 -

    제 장 인터넷 사업자의 책임3

    제 절 인터넷 사업자의 민사적 책임1

    문제의 소재1.

    불법행위책임2.

    가 독일.

    나 미국.

    다 우리나라.

    계약상의 내용통제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3.

    소결4.

    제 절 인터넷 사업자의 공법적 책임2

    사업자 규제제도의 의의1.

    사업자 규제의 체계2.

    가 형사적 규제.

    나 행정적 규제.

    현행법상 인터넷 사업자의 공법적 의무3.

    가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나 전기통신사업법.

    다 전기통신기본법.

    라 청소년보호법.

    마 형법.

    바 저작권법 개정안.

    공적규제체계로서의 정보통신윤리위원회4.

    사업자 규제제도의 한계5.

    인터넷사업자의 공법적 책임제도의 발전방안6.

    가 도입. Good Samaritan Clause

    나 정보감시의무제의 도입여부.

    다 삭제등 요청제도의 보완.

    라 동의 없는 정보수집 등에 대한 벌칙규정의 흠결.

  • - 24 -

    마 접속기록보관의무 등의 도입.

    바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권한강화.

    사 사업자 자율규제에 대한 지원.

    아 불온통신등의 개념 명확화.

    자 사업자정보의 확보.

    차 규제제도 및 절차의 체계화.

    제 장 인터넷 사업자 책임과 자율규제4

    제 절 공법적 규제의 한계와 자율규제의 필요성1

    제 절 자율규제의 방식2

    사업자 윤리강령1.

    핫라인 등 신고체계2.

    내용등급제 및 차단장치3.

    제 절 자율규제에 관한 정책사례3

    미국1.

    캐나다2.

    영국3.

    독일4.

    프랑스5.

    호주6.

    싱가폴7.

    일본8.

    유럽연합9.

    제 절 우리나라의 자율규제 정책과 방향4

    현행 법제1.

    사업자 규제제도의 발전 방안2.

  • - 25 -

    제 장 인터넷 사업자 책임과 피해구제5

    제 절 피해구제제도의 의의1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권침해현황1.

    인터넷의 특성에 따른 역기능과 그에 대한 전통적 규율의 한계2.

    가 본질적 한계.

    나 사이버공간의 익명 비대면성에 따른 한계. ,

    다 전통적 구제책의 한계.

    라 법령상 한계.

    마 국제적 한계.

    피해 구제3.

    제 절 사업자 중심의 피해구제제도2

    사이버 공간의 확대와 의사소통의 변화1.

    사업자의 역할 및 자율 규제의 필요성2.

    제 절 피해구제제도의 발전방향3

    개요1.

    가 분쟁해결제도.

    나 소송의 한계 및 소송이외의 분쟁해결제도의 필요성.

    다 소송이외의 분쟁해결제도의 특징 및 장점.

    라 소송이외의 분쟁해결제도의 분류.

    마 소송이외의 분쟁해결 방법.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 의한 피해구제2.

    가 사이버 인권침해 방지 지원센터.

    나 사이버 인권침해 분쟁 조정위원회.

    소결3.

    제 장 결론6

    참 고 문 헌

  • - 26 -

    부록 인터넷 사업자 책임 관련 사례[ ] (ISP)

    사업자 책임 판결 및 판례 사례I.

    윤리위원회 시정조치 및 경찰 수사 사례II.

    기타 인터넷 서비스 사업 관련 사례III.

    제 편 인터넷 개인정보 침해 대응방안 연구 요약3 ( )

    제 편 한국형 사이버중독 자가진단 및 분석기법 개발 요약4 ( )

  • - 27 -

    Contents

    Volume 1. Introduction of the Research

    Volume 2. Policies on Liabilities and its limit of ISP and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on the Internet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Illegal Contents and Conept of the ISPs

    Chapter 3. Liabilities of the ISPs

    Chapter 4. ISP’s liabilities and self-regulations

    Chapter 5. ISP’s liabilities and the dispute resolution systems

    Chapter 6.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 Cases

  • - 28 -

    Volume 3. A Study on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in Internet

    (summary)

    Volume 4. Development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Interpretation Method (summary)

  • - 29 -

    표 목 차

    표 인터넷이용률 및 이용자수< 1-1>

    표 보유가구의 인터넷 접속비율< 1-2> PC

    표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심의통계< 1-3>

    표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심의통계< 2-1>

    표 인터넷 특색에 따른 정부규제의 한계< 4-1>

  • - 30 -

    그 림 목 차

    그림 핫라인 운영체계4-1>〈

  • - 31 -

    제 편 연구개요1

    이 연구는 각기 서로 다른 세 가지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하나는 인터넷 내용.

    에 대한 사업자의 책임과 자율규제에 관한 정책연구이고 둘째는 인터넷에서의 개인

    청보침해에 대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인터넷 중독증.

    에 대한 한국형 자가진단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 다른 두 개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실증적인 연구이다.

    이 세 가지 연구과제는 모두 인터넷의 역기능이라는 공통점을 안고 있다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과 더불어 사회변혁이 함께 일어나고 있는 우리 환경에서는 세 가지 분

    야 모두가 정책적으로 새로운 대책을 마련하여야 하는 사안이다 그리고 이 연구들.

    은 모두 한 두 해 정도의 선행 연구를 가진 연구들이다 그만큼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의 마련이 요구되는 연구인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연구진의 구성

    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정보통신부의 인터넷 내.

    용담당부서인 정보이용보호과의 기획에 따라 성립하였으며 이의 주관은 우리나라,

    인터넷 내용에 대한 심의 동의 업무를 오랫동안 수행하여 온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

    서 맡았다 학제간 다양한 연구능력을 가진 연구진과의 공동 및 위탁연구의 필요성.

    은 학계와의 연계로 충족하였다.

    두 번째 연구주제인 인터넷개인정보침해 대응방안 연구는 선문대학교의 정준현 교

    수팀에서 공동연구형태로 수행하였다 법학과 공학의 조화로운 연구진은 학제간 연.

    구를 통해 좋은 정책대안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 연구주제인 한국형 인터넷중독증 자가진단 척도개발은 목포해양대학교의

    박경호 교수팀에서 위탁연구형태로 수행하였다 역시 공학과 심리학 등의 연계를.

    통하여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마련하게 되었다.

    첫 번째 주제인 인터넷 사업자의 책임과 그 한계 및 자율규제 확립방안 연구는 윤

    리위원회에서 권헌영 부장팀에서 맡았다 제도와 실무에서의 경험을 살리려 애썼으.

    며 연구결과의 정책활용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 - 32 -

    연구결과의 발간형태를 두고 여러 가지로 고민한 연구진에서는 연구협력회의를 통

    해 연구결과를 세 권의 보고서로 제출하기로 하였다 한 권의 보고서로 담기에는.

    연구결과의 분량도 방대하고 다소 주제가 산만하여 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에 따

    른 것이다 그러나 이 보고서에서는 편을 달리하여 제 주제 및 제 주제의 연구결과. 2 3

    도 요약문을 싣기로 하였다 개별주제에 대한 상세연구결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각.

    권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수고와 자료제공 등을 아끼지 않은 정보통신부 정보이용보호과의

    여러 관계자들과 연구를 위해 애써주신 여러 참여연구진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들

    드리며 연구결과의 오류는 오로지 연구진의 책임임을 밝혀둔다.

  • - 33 -

    제 편 인터넷 사업자의 책임과 그 한계 및 자율규제 확립방안2

    연구

    연구책임자 : 권헌영 부장 정보통신윤리위원회( )

    참여연구원 : 김철환 부장 정보통신윤리위원회( )

    김순정 정보통신윤리위원회( )

    김해란 정보통신윤리위원회( )

    연구자문위원 : 안춘수 교수 연세대학교( )

    정상기 교수 한남대학교( )

    이태규 교수 안양대학교( )

    윤성이 교수 경상대학교( )

    명재진 교수 충남대학교( )

    최성은 강사 연세대학교( )

    이종석 연구원 한국외대( )

  • - 34 -

    제 장 서 론1

    제 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1

    국내외 환경 및 동향1.

    국내 인터넷 이용자는 년 월 현재 만 명에 달하여 전체 인구의 절반을2001 9 2,412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표 인터넷이용률 및 이용자수< 1-1>

    연령별로는 세의 인터넷 이용률이 로 타 연령층 대 대7~19 91.1% (20 : 84.0%, 30 :

    대 대 이상 에 비해서 인터넷 이용이 매우 활발한61.3%, 40 : 36.6%, 50 : 8.3%)

    것으로 조사되었고 학력별로는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률은 로 가장 높고 일반99.5%

    인 중에는 대졸 이상 학력자의 인터넷 이용률이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80.3% .

    업별로는 학생의 인터넷 이용률이 로 가장 높고 초등학생의 경우 년93.1% 2000 12

    월에 비하여 나 증가하여 다른 계층에 비하여 가장 급속하게 인터넷 환경에32.5%

    익숙해져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는 장소가 가정 회사 방 학교. (70.5%), (15.9%), PC (6.9%),

    순으로 나타나 가정 이용자가 급속히 늘고 있음을 알수 있고 가정내에서 인(4.5%)

    터넷 접속시 주로 이용하는 방법인 초고속 통신은 전체가구의 를 차지하는52.3%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 한국인터넷정보센터(2000. 11 ).

  • - 35 -

    표 보유가구의 인터넷 접속비율1-2> PC〈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은 국가경제의 틀을 바꾸고 정보통신분야의 경제를 활성화하

    는 등 순기능뿐 아니라 불건전 정보의 유통 사이버성폭력 명예훼손 인권침해행위, , ,

    등의 역기능을 발생시키고 있다 지난해 전상망 침해 컴퓨터사용사기 전산업무방. , ,

    해 등 국내 컴퓨터범죄는 년 전인 년에 비해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4 97 6

    대검찰청 컴퓨터수사과 또한 현재 단순한 검색만으로도 접속 가능(2001. 3. 18, ).

    한 국내외 음란물 사이트는 만 여 개이며 이 가운데 이상은 형식적인 통제35 , 80%

    장치도 없이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무방비 상태에 있다고 한다

    한국일보(2001. 3. 14, ).

    지난해부터 년 월 현재까지의 불건전정보 유통건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001 4 .

    표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심의통계< 1-3>

  • - 36 -

    지금까지 국내에서의 불건전정보유통규제에 관한 논의는 공적규제를 중심으로 진행

    되어 왔다 올해 월 일 정보통신망의 이용을 촉진하고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 1 16 ,

    호하며 건전하고 안전한 정보통신이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등에관한법률 시행 이 개정 공포되었다”(2001.7.1. ) .ㆍ

    개정된 법에서는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건전하고“

    안전한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권익보호와 정보이용능력의 향상

    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는 책무규정을 도입하고 있으며 제 조 제 항 이는 사업자의” ( 3 1 )

    자율규제를 촉진하는 근거가 된다 아울러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일반에게 공개. “

    를 목적으로 제공된 정보로 인하여 법률상 이익이 침해된 자는 해당 정보를 취급한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에게 당해 정보의 삭제 또는 반박내용의 게재를 요청할 수 있

    고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는 당해 정보의 삭제 등의 요청을 받은 때에는 지체 없”, “

    이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이를 즉시 신청인에게 통지하도록 제 조 하여 사업자의”( 44 )

    책임에 관한 기초적 내용을 법규화 하였다.

    한편 불건전정보유통규제와 관련한 해외 여러 나라의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공적규제기관에 의한 직접적 규제 외에도 산업계의 자율적 규제가 되는. ,

    규범의 제정 집행 그리고 제재에 이르기까지 정부의 개입정도가 가장 높은 규제유,

    형으로 싱가포르가 이러한 규제방식을 택하고 있다.

    둘째 산업계가 자율적으로 실행규범을 제정하나 산업계의 실행규범 준수 및 이행,

    여부 등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주체는 공적기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형으로 독,

    일이 이러한 제도를 채택하는 대표적인 국가다.

    셋째 기존의 규제기관과 인터넷업계가 공동으로 제 의 규제기관을 설립하여 인터, 3

    넷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전적으로 담당하는 방식으로 영국이 채택한 유형이다 기.

    존 규제기관이 인터넷서비스를 규제하기에는 적합치 않다고 판단한 영국정부는 인

    터넷산업계와 공동으로 제 의 규제기관인 인터넷감시재단 를 설립하여 로3 IWF IWF

    하여금 인터넷서비스 규제업무를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각 국은 자국이 처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규제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이 우리나라에 적합하다고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하지만 싱가포르를.

    제외한 국가들이 공적기관에 의한 타율 규제보다는 사업자에 의한 자율 규제를 제

    도화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법과 공적규제기관에 의한 타율규제를 강화시키려는 우,

    리나라 규제정책 방향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 - 37 -

    선행연구의 검토2.

    불건전 정보유통 현황을 조사하고 그 대응방안을 연구하는 등 정보화 역기능 현상,

    과 관련한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정보화 역기능에 대응한 정책연구로 정보화의 역기능에 관한 정책연구 디, “ :

    지털 한국을 위하여 최병렬 이 있으며 둘째 불건전정보유통의 현황 유해”(2000, ) , ,

    환경의 실태를 조사한 연구로서 통신과 인터넷상의 불건전 정보유통 및 윤리의“pc

    식 실태조사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불건전정보 유”(1992, ), “

    통실태 및 윤리의식 실태와 정보윤리의식 고취방안 연구 정보통신윤리위원”(1997,

    회 통신과 인터넷상의 청소년 유해환경에 관한 실태보고서 김민석 등), “pc ”(1999, )

    이 있다.

    셋째 국내외 불건전정보유통 규제를 연구한 것으로 정보통신 선진국의 인터넷 불, “

    건전 정보규제 현황조사 및 국내 응용 가능성 연구 정보통신윤리위원회”(1997, ),

    인터넷상의 유해정보규제와 관련한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 윤리“ ”(1998,

    위원회 인터넷 내용등급제의 국내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윤리위), “ ”(1998,

    원회 온라인상의 불건전정보 규제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등이 있다), “ ”(2000, ) .

    그밖에 정보건전화 방안에 대한 연구로 정보사회의 네티켓과 정보이용윤리 정립방“

    안 정보사회 촉진방안 연구사업 한국전산원 정보통신과 방송의 융합현: ”(1997, ), “

    상에 다른 정보건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윤리위원회 가 있다”(1998, ) .

    불건전정보유통에 관련한 앞서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불건전정보유통 현황조사,①

    국내외 불건전정보유통 규제연구 윤리의식 정립 등을 통한 정보건전화 방안연,② ③

    구로 그 내용을 축약할 수 있다 이들 연구 결과들은 불건전정보유통 규제방안으로.

    서 사업자와 이용자의 자율규제를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꼽고 있다 하지만 불건전.

    정보유통방지를 위한 사업자 자율규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및 사업자의 법적

    책임의 범위 한계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다, .

  • - 38 -

    인터넷환경의 유해성과 불건전정보의 유통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으로 사업자의

    자율규제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자율규제 정책의 핵심은 정보통신망에서의 활동에.

    있어서 책임 있는 참여자들에 의하여 내용규제 정책을 확립하여 나가는 것이다 사.

    업자의 자율규제와 관련하여 우리의 경우는 새로 개정한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

    보호등에관한법률에 의하여 윤리강령을 제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다.

    아울러 세계적인 동향에 있어서도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촉진할 정책적 방안을 마련

    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그리고 정보화선진국으로서의 위상에. ,

    맞추어 우리현실에 적합한 자율규제 모델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처럼 자. ‘

    율규제가 바람직하다 는 원론적인 차원을 넘어서 사업자 자율규제의 방식과 실효성’

    확보방안 정부의 자율규제 지원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가 지금 필요,

    한 것이다.

    또한 사이버성폭력이나 명예훼손 등의 행위는 인터넷상의 행위 중 특히 인권과 관,

    련된 내용이 되며 이에 대한 침해행위로 인한 피해자의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구제

    받을 수 있는 방책이 필요하다 현재 개정된 법률에서는 이에 대한 정보 삭제요구.

    등을 사업자에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

    다 여기에서 이러한 행위에 관계된 정보제공자와 사업자 및 피해자간의 법적 책임.

    관계를 민사적 형사적으로 고찰하여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행정적으로 피,ㆍ

    해구제를 위하여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제시하는 것도 발빠르게 움직이는 사이버

    환경에서의 선진제도 수립을 위한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 - 39 -

    제 절 연구의 목적2

    기존의 연구과제들이 사업자규제체제의 원칙만을 제시하고 그 구체적 실현방안과

    우리 현실에 맞는 체계구축까지 나아가지 못하였던 데 비하여 본 과제에서는 인터,

    넷 공간에서 사업자가 부담하게 되는 법적 책임을 명확하게 밝혀내고 이에 대한 대

    응책으로서 자율규제 제도의 확립방안 및 자율규제제도와 공적규제제도간의 조화방

    안을 마련한다는 데 의의가 매우 크다.

    아울러 인권침해행위 등에 대한 피해자 구제방안에 대하여 효과적인 정책방안을 마

    련하지 못하였던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 현실에서 취할 수 있는 구체적 대응책을 마

    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기존의 연구 결과로 축적된 공적규제제도가 담당하지 못했던

    분야에 대한 보완장치가 마련됨으로써 효과적인 불건전정보 대응정책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3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사업자의 의의를 밝히는 것과 더불어 인터넷 사업자의 법적

    책임에 관하여 고찰한다 현재 각국의 사례와 입법례 등을 살펴서 우리나라의 인터.

    넷사업자 책임론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적정한 인터넷사업자의 책임정.

    도를 정하고 이 이외의 것은 책임을 제한하고자 한다 과연 어느정도가 인터넷 사.

    업자의 책임을 지우도록 하는 정도인지를 정하면 이에 따라서 자율규제 정책의 근

    거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자율규제의 의의와 종류 및 국내외 사례를 살펴본다 아직 명확하게 자리.

    잡은 바 없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자율규제 정책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유동성이 매

    우 높은 분야이다 따라서 선진각국의 사례 조사가 중요한 부분이다 아울러 이를. .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자율규제정책의 현주소를 살피고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본다.

    아울러 인터넷 내용에 대한 피해에 대하여 신속한 구제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본다 구제를 위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어떤 조직을 통해 이를 구체화할 것인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노력들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여 보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고

    자 한다.

  • - 40 -

    제 장 인터넷 불법정보와 인터넷 사업자의 의의2

    제 절 인터넷상 불법정보의 의의1

    서설1.

    공식적으로 인터넷에 대한 정의가 비록 존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부분 이들은

    공적 사적 그리고 상업적 네트웍들로 이루어진 국제적 네트웍( ), ( ) ( )公的 私的 網「 」

    이라 일컫는데 그리 큰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주지하다시피 미국에서 년대. , 1960

    말 군사연구소들 사이 그들만의 업무효율 제고를 목적으로 자신들의 여러 가지 네

    트웍을 결합시킴으로써 그 원형을 출발시킨 인터넷은 년대 초에 최초로 대서1970

    양을 가로지르는 유럽과 미국의 망 들이 연결되는 그러한 기술적 쾌거를 뒤로한( )網

    채 이제 인터넷의 역사는 여 년에 걸친 소박한 공적 옛 모습을 지금 이, 30 ( )公的

    순간에서도 자신을 지극히 상업적으로 변화시켜 가고 있다.

    누가 인터넷의 주인인가 다시 말해 인터넷의 소유자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대, ?”

    한 대답은 아무도 그러한 법적 지위를 누리는 이는 없다 라고 지극히 간명하게“ ”

    처리할 수 있다 한마디로 인터넷이란 다스리는 이가 없는 최초로 전지구적 차원에. ,

    서 형성된 이라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것이야말로 인터넷의institution .「 」

    가장 큰 장점이자 동시에 단점으로 작용한다 디지털 정보의 송수신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물리적 장치들에 대한 소유권이 분산됨으로써 각자는 자기 나름대로의 인터

    넷 소유에 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 인터넷 상 머물거나 오가는 정보에.

    대한 지적 소유권 문제는 별개의 문제이다.

  • - 41 -

    작금의 이른바 인터넷 법률 형성 과정은 세기 영국을 중심으로(internet law) 17「 」

    일어난 새로운 상업기술에 발맞춘 새로운 상업적 법규 제정 노력에 일견 비유된다.

    당시까지 실효성 있게 적용되던 옛 규범들이 당시 새로운 무역 상황에 안 맞듯이,

    라디오와 텔레비젼 그리고 전화 등과 같은 전통적 정보교환 수단에 대한 규제와 그

    로부터 파생된 사업자 책임 문제가 현재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사업자에게 그대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는 거의 없다 더군다나 새로운 법체계의.

    필요성이라는 차원에서의 포괄성과 심층성은 세기 영국정부가 당면했던 것에, 17

    비하면 인터넷 법률 만들기 노력의 경우가 더욱 더 큰 것임에 틀림없다 특히 법제, .

    화 부분에 있어서 자연스레 국제적 조화와 협력의 경향을 띨 수밖에(law-making)

    없다는 점은 이 논문과 그 방향을 같이한다 여기에는 미국의 연방과 주 정부 차원. ,

    의 입법적 시도를 제외하고라도 우선 의 법제화 노력과 유엔과 와 같은, E.U. OECD

    국제조직을 들 수 있다.

    참고적으로 인터넷이 법 이라는 당위 와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에 걸쳐‘ ’ ( )當寫

    연관된다 첫째로 가장 저차원적 결합으로써 물리적 장치제공자에 대한 고삐 역할. ‘ ’

    로서의 법률과 두 번째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바탕; (ISP)

    으로 하여 가해지는 규제 그리고 세 번째는 이른바 차원에서 일반; e-commerce「 」

    인터넷 사용자 차원에서 이뤄지는 규범 정립 등이 그것들이다 물론 이들 중 이 논.

    문에서는 두 번째 것에만 그 관심을 국한시킨다는 점은 분명하고 또한 그것은 곧,

    인터넷 사업자의 책임 문제와 전혀 다를 바가 없다.

    사실 인터넷은 생래적으로 그 혼혈아적 본질에서 자유스러울 수 없다 즉 그것은.

    우편과 전화와 같이 정보의 단순한 교환 즉 통신 의 한 수단이기, (communication)

    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동시에 정보의 창출과 확산의 기능을 하는 출판

    내지는 방송 수단이기도 하다 문제는 전통적으로 이(publishing) (broadcasting) .

    들 수단 에 대한 규제가 그 본질적 상이성에 근거하여 다를 수밖에 없었지만‘ ’ 1) 이

    제 더 이상 인터넷 사업자에 대한 책임문제는 그 이전의 전통적 사업자들과는 결

    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개연적 사실과 또한 한발 더 나아가서 그들에게는 법,

    과 윤리가 아직도 서로 교감2)하는 매우 특이한 상황이 강요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

    다.

    1) 예를 들어 전화통신업자에게는 오로지 통신망의 완전성만 확보되면 그것을 이용하여,

    오가는 내용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을 수 없으며 출판업자는 단지 내용상 외설적이거나,

    인신공격적 명예훼손에 대한 책임만 유의하면 족했고 방송관계자에게는 이들 둘 사이의,

    복합적 책임성을 묻는 것이 보통이다.

    2) 포르노 외설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등이 대표적이다, , , .

  • - 42 -

    불법정보의 의의2.

    우리는 그 동안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통신망의 불법 및 유해정보를 불건전 정보 라‘ ’

    는 다소 불명확한 표현으로 일컬어 왔다 불건전 이라는 말은 역시 불명확한 표현. ‘ ’

    인 건전 의 상대개념이다 여기에는 사회적으로 건전한 즉 그 사회의 건강한 정‘ ’ . ‘ ’ , “

    신문화 내지는 가치질서 를 옹호하는 건전성에 대한 합의 가 전제되어 있음을 의미” ‘ ’

    한다 이러한 사회적 합의 에 일탈하는 불건전정보는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 ’ .

    인터넷상의 정보 중 규제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을 특정하기 위한 노력은 모든

    국가의 당면과제이지만 쉽게 해결되지는 않고 있다 최근 들어 영미법계의 국가들.

    은 이를 불법정보와 유해정보의 개념으로 구분하는 데 익숙해져 가고 있다.3)

    개념상 불법정보는 당해 국가의 실정법을 위반하는 내용의 정보 라고 이해할 수 있‘ ’

    다 이러한 불법정보 의 개념은 나라와 사법관할에 따라 다양하게. (illegal materials)

    나타나는 것으로 그 위법성 판단은 궁극적으로는 법원의 몫이다 즉 당해 정보에. ,

    의하여 영향을 받는 개인의 취향이나 개인적 판단 문화 및 세대적 배경이 어떻든,

    간에 그 위법성의 결정은 법원의 판단에 의하는 것이다 불법정보 내지 인터넷의.

    불법적 이용행위 의 위법성 판단과정은 매우 정형화되어 있는데 신(illegal uses) , ①

    고 고발( )4) 혐의심사 수사 증거수집 기소 공판 혐의 입증시- (assess)- ( )- - ( )② ② ③ ④ ⑤

    선고 등의 절차가 그것이다.5)

    3)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대하여 보고서는 불법적 유해한 정보와 더OECD (illegal), (harmful)

    불어 쟁점이 되는 정보를 정의하고 있는데 불법적이라는 용어는 국내법 하에서(controversial)

    민 형사상의 범죄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의미하고 유해한 이라는 용어는 일부 사람들 특히ㆍ

    어린이들에게 해로운 것으로 생각되는 컨텐츠를 가리키며 쟁점이 되는 이라는 용어는 한

    문화권 혹은 공동체 내에서 불법적 혹은 유해한 것으로 생각될 수 있는 보다 넓은 회색지대를

    말한다고 한다 인터넷 상의 컨텐츠에 대한 접근(OECD, (Approaches to content on the「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역 쪽Internet , DSTI/ICCP(97)14/FINAL, , 1999, 1~2 ).」

    4) 반드시 신고에 의한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니다 형사사법당국에서 인지한 경우에도 역시.

    수사의 출발점은 될 수 있다.

    5) 불법 정보와 유해정보의 개념 등에 관하여는v Department of Justice, Ireland. 1998.

    Illegal And Harmful Use of the Internet. First report of the working group. Dublin, Ireland참조pp. 12 ~ 15

  • - 43 -

    대표적인 불법정보의 유형으로는 국가안보 테러활동 폭탄제조정보 정부정보망해( , ,①

    킹 등 청소년보호 아동음란물 성인음란물 극단적 폭력묘사 아동약취유인 화), ( , , , ,②

    상물의 불법거래 등 인간존엄성침해 인종차별조장 극단적 성도착 등 경제질), ( , ),③ ④

    서침해 각종 사기 신용카드범죄 등 정보보안 악의적 해킹 등 개인정보 및( , ), ( ),⑤ ⑥

    사생활침해 무단메일발송 사적 이메일 침해 개인정보의 오남용 및 불법수집 등( , , ),

    명예훼손 도박 마약 등 불법 약물류 관련 정보 지적재산권 각종 매체에, , , (⑦ ⑧ ⑨ ⑩

    의한 저작권 침해 영상 음악 소프트웨어 등의 무단배포 등 침해정보 등이 꼽힌, )ㆍ ㆍ

    다.6)

    이에 대하여 유해정보 는 그 자체로서 앞서 본 불법정보에 해당(harmful materials)

    하지는 않지만 미성숙한 개인 특히 청소년과 같은 이들에게(vulnerable individuals)

    정신적 물리적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정보를 일컫는다 그러나 유해정보 내지 인.ㆍ

    터넷의 유해한 이용행위 에 대한 명쾌한 정의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harmful uses) .

    특히 유해정보는 피해당사자를 기준으로 그 유해성을 판단하여야 하는데 이를 일,

    반화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대체로 유해정보는 성행위 폭력 불합리한 차별. , , ,

    범죄장면의 현시 마약중독 및 사이비종교행위 등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

    직접 법률을 위반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결과적으로 특정한 개인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데서 규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7)8)

    6) 여기 제시된 불법정보의 유형은 아일랜드의 실정법을 기준으로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엄밀히 표현하자면 인터넷의 불법적 이용 에 해당하는 것이다 다만 예시적으로(illegal uses) .

    참고하기 위하여 제시한다.

    7) 캐나다의 경우도 불법정보 와 유해정보 로 구분하고(illegal content) (offensive content)

    있는데 불법정보는 캐나다의 실정법을 위반하는 내용의 정보를 말한다 특히 아동포르노. ,

    와 인종차별을 조장하는 정보 를 주요 불법정보로(child pornography) (hate propaganda)

    다루고 있다 이를 불법정보로 주목하는 이유는 그 침해가 광범하고 즉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와 더불어 인터넷 사기행위 도 네트워크 경제를 무너뜨리는. (fraud)

    으로서 주목하고 있다 대체로 형법이나 인권법을 위반하는 내용의 정보가 불법정보를.公敵

    구성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유해정보 는 불법정보에 해당하지는 않으나. (offensive content)

    당해 정보가 특정인 또는 집단 세대 등 에게 피해를 일으킬 정도로 공격적인 정보를 말한다( , ) .

    유형으로는 성적표현물 폭력화상물 등을 비롯하여, (graphic violence)

    사회적 종교적 문화적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는 정보가 이에 해당한다 합법적 정보라.ㆍ ㆍ ㆍ

    하더라도 청소년에게는 유해한 경우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이러한.

    유해정보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해를 끼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인터넷의 성장에 결과적으로 장애물이 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Government of Canada.

    2001. Illegal and Offensive Content on the Internet, The Candian Strategy To Promote

    Safe, Wise and Responsible Internet Use. available at

    http://www.connect.gc.ca/cyberwise. pp. 2~3.).

    8) 실제로는 대부분의 정보가 불법정보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실정법을 위반하는 내용의.

    정보는 일단 규제의 대상으로 삼는 행위나 표현을 담고 있는 것이며 이것은 각 개별법을

    판단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형사적 제재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행정적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결과적으로는 불법정보를 구성하기 때문에 불법정보의 범위는

    실제적으로는 불확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에 대하여 김기중 변호사는 불법정보의 범위를 과도하게 넓혀 놓은 사법부의‘

    태도 를 문제삼고 있다 그는 행정규제의 모델을 주장하는 기관이나 학자 등은 먼저 사법부에’ . ‘

    대해 불법정보의 범위를 엄격하게 좁혀 달라고 청원하는 활동을 시작해야 한다 고 주장하고’

  • - 44 -

    우리의 경우 불온통신 의 개념에 의하여 정보내용이 규제되고 있다 우리 법상 불‘ ’ .

    온통신은 공공의 안녕질서 또는 미풍양속을 해하는 내용의 통신 이다“ ” .9) 여기서 공

    공의 안녕질서 또는 미풍양속을 해하는 내용의 통신은 다시 대통령령에 의하여 구

    체화하도록 되어 있는데10) 이는 범죄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1.

    하는 내용의 전기통신 반국가적 행위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내용의 전기통신2.

    및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를 해하는 내용의 전기통신 이다3. ” .11)

    최근 우리의 불건전정보 규제시스템의 이해 및 개발을 위하여 불법정보와 청소년유

    해정보의 구분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12) 이 견해는 불법정보

    를 법률에 의하여 민 형사책임을 지는 정보 로서 제작뿐만 아니라 유통까지도 금‘ ’ㆍ

    지되며 음란죄 명예훼손죄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 내지는 공직선거 후보자비

    방죄 및 국가보안법상의 찬양 고무죄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하고 있다 이에 반하.

    여 청소년유해정보는 법률에 의하여 금지되지는 않지만 청소년에게 유통되는 경우

    에만 법적 제재를 받는 정보로 금지 가 아니라 관리 의 대상이 되는 것이라 한‘ ’ ‘ ’

    다.13)

    있다 김기중 인터넷 콘텐트 규제와 청소년 보호 청소년사이버문화 정책의 수립필요성과( , “ ”,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 청소년보호위원회 쪽 이하 참조, 2001. 7. 104-2 ).

    9) 전기통신사업법 제 조 제 항53 1 .

    10) 동조 제 항2 .

    11) 동법 시행령 제 조16 .

    12) 김철완 외 건전한 정보통신 윤리확립과 개인정보 보호대책 방안 연구 연구, 2001.2, ,「 」

    보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쪽 이하01-03, , 283 .

    13) 불법 정보와 유해정보 및 불건전정보 등에 관한 논의는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사이버문화 정책의 수립 필요성과 방안 청소년보호 정책토론 자료집“ ”, (2001. 7.

    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5) .

  • - 45 -

    불건전정보 및 불온통신이라는 표현이나 불법정보 및 유해정보라는 표현은 그 규제

    대상을 특정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매한가지이나 실정법을 위반한 내용의

    정보를 불법정보로 특정하는 데는 논리적으로 명확한 선을 획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보인다 이는 이후 논의하는 불법정보에 대한 사업자 규제의 전제로서 불법정.

    보 해당 여부의 심사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있다.14)

    인터넷 불법정보 유통의 현황3.

    불법정보의 범주를 명확히 하지 않고 불법정보 유통의 현황을 밝히는 것은 가능하

    지 않은 일이나 현재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심의 통계를 통해 그 일단을 파악할 수

    있다 정보통신윤리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