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226

Upload: others

Post on 19-Feb-2020

1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Page 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 3 1.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 3 1.2 대·내외 정책 환경 ········································································································ 6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 9 2.1 평가 추진방향 ············································································································· 9 2.2 평가 영역 ···················································································································· 11 2.3 항목별 주요 평가 결과 ····························································································· 143. 평가결과 활용 ················································································································· 26 3.1 평가정보 공개 ············································································································ 26 3.2 가감지급사업 ·············································································································· 26 3.3 인센티브 지급 사업 ··································································································· 29 3.4 질 향상 지원 사업 ····································································································· 29

Part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1. 평가 배경 ························································································································ 33 1.1 도입배경 ······················································································································ 33 1.2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현황 ······················································································ 342. 평가 절차와 방법 ··········································································································· 35 2.1 평가절차 ······················································································································ 35 2.2 평가방법 ······················································································································ 36 2.3 평가결과 분석 ············································································································ 38 2.4 이의신청 ······················································································································ 39 2.5 결과 활용 ···················································································································· 39

Page 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1. 만성질환 ·························································································································· 43 1.1 고혈압 ·························································································································· 43 1.2 당뇨병 ·························································································································· 47 1.3 천식 ····························································································································· 51 1.4 만성폐쇄성폐질환 ······································································································· 562. 암질환 ······························································································································ 62 2.1 대장암 ·························································································································· 62 2.2 유방암 ·························································································································· 69 2.3 폐암 ····························································································································· 76 2.4 위암 ····························································································································· 83 2.5 간암 진료결과 ············································································································ 913. 약제 ·································································································································· 95 3.1 약제급여 ······················································································································ 954. 정액수가 ························································································································ 102 4.1 의료급여 정신과 ······································································································ 102 4.2 7개 질병군 포괄수가 ······························································································ 1075. 중환자실 ························································································································ 121 5.1 중환자실 ···················································································································· 1216. 일반질 ···························································································································· 126 6.1 병원 표준화 사망비 ································································································· 126 6.2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 130

Part 3. 평가결과 활용1. 평가정보 공개 ·············································································································· 137 1.1 공개 내용 ·················································································································· 137 1.2 공개 효과 ·················································································································· 1382. 가감지급 사업 ·············································································································· 139

Page 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1 배경 및 목적 ·········································································································· 139 2.2 사업 내용 ·················································································································· 140 2.3 가감지급 내역 ·········································································································· 142 2.4 가감지급사업 결과 ··································································································· 144 2.5 향후 추진방향 ·········································································································· 1473. 인센티브 사업 ·············································································································· 148 3.1 배경 및 목적 ············································································································ 148 3.2 사업 내용 ·················································································································· 1484.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지원 사업 ······················································ 152 4.1 요양기관 QI 교육 과정 제공 ················································································· 153 4.2 QI 컨설팅 ················································································································· 153 4.3 QI 우수사례 공모 및 발표회 개최 ········································································ 155 4.4 뉴스레터 배포 ·········································································································· 156 4.5 QI 커뮤니티 운영 ···································································································· 158 4.6 요양기관 개별 교육 등 ··························································································· 158

Part 4. 부록1. 지표 해설 ······················································································································ 1632.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 1903. 평가 관련 용어 ············································································································ 206

Page 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표 차 례

표 요약1. 2016년도 평가대상 및 평가부문 ·············································································· 13표 요약2. 2016년도 평가항목별 평가 결과 ·············································································· 20표 요약3. 가산지급사업 현황 ····································································································· 28

표 2.1 고혈압 지표별 평가결과 ································································································· 45표 2.2 고혈압 종합결과 공개기관 현황(의원) ········································································· 46표 2.3 당뇨병 지표별 평가결과 ································································································· 50표 2.4 당뇨병 종합결과 공개기관 현황(의원) ········································································· 50표 2.5 천식 지표별 평가결과 ···································································································· 53표 2.6 천식 종합결과 공개기관 현황(의원) ············································································· 54표 2.7 COPD 지표별 평가결과 ·································································································· 58표 2.8 COPD 평가 종합점수 ····································································································· 59표 2.9 COPD 등급별 기관 현황 ································································································ 59표 2.10 호흡기능검사 장비 보유 여부에 따른 지표결과 ························································· 60표 2.11 평가대상자의 만성폐쇄성폐질환약 처방 현황 ···························································· 61표 2.12 대장암 구조지표 평가결과 ··························································································· 65표 2.13 대장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 66표 2.14 대장암 결과지표별 평가결과 ······················································································· 67표 2.15 대장암 평가 종합점수 ·································································································· 67표 2.16 대장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 68표 2.17 유방암 구조지표 평가결과 ··························································································· 72표 2.18 유방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 73표 2.19 유방암 평가 종합점수 ·································································································· 74표 2.20 유방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 74표 2.21 폐암 구조지표 평가결과 ······························································································· 79표 2.22 폐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 80표 2.23 폐암 평가 종합점수 ······································································································ 81표 2.24 폐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 81표 2.25 위암 구조부문 평가결과 ··························································································· 86표 2.26 위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 87표 2.27 위암 결과지표별 평가결과 ··························································································· 88표 2.28 위암 평가 종합점수 ······································································································ 88

Page 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표 2.29 위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 89표 2.30 간암 진료결과 결과지표 평가결과 ·············································································· 93표 2.31 상병별 사망률 현황 ······································································································ 93표 2.32 수술별 사망률 현황 ······································································································ 94표 2.33 약제급여 평가대상 기관수(4분기 기준) ····································································· 96표 2.34 약제급여 지표별 평가결과(건강보험) ········································································· 98표 2.35 약제급여 주사제 처방률 등급별 기관현황(’16년 하반기) ········································· 98표 2.36 약제급여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등급별 기관현황(’16년 하반기) ················ 99표 2.37 약제급여 전체 상병 처방건당 약품목수 등급별 기관현황(’16년 하반기) ················ 99표 2.38 의료급여 정신과 구조지표별 평가결과 ····································································· 104표 2.39 의료급여 정신과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 104표 2.40 의료급여 정신과 결과지표별 평가결과 ····································································· 105표 2.41 의료급여 정신과 평가 종합점수 ················································································ 105표 2.42 의료급여 정신과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 106표 2.43 7개 질병군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 108표 2.44 7개 질병군 결과지표별 평가결과 ·············································································· 109표 2.45 수정체 수술 청구현황 ································································································ 109표 2.46 수정체 수술 평가지표 결과 ······················································································· 110표 2.47 자궁적출술, 기타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청구현황 ············································· 111표 2.48 자궁적출술, 기타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평가지표 결과 ···································· 112표 2.49 제왕절개 분만 청구현황 ···························································································· 112표 2.50 제왕절개 분만 평가지표 결과 ··················································································· 113표 2.51 충수절제술 청구현황 ·································································································· 114표 2.52 충수절제술 평가지표 결과 ························································································· 115표 2.53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청구현황 ········································································· 115표 2.54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평가지표 결과 ································································ 116표 2.55 항문 수술 청구현황 ···································································································· 117표 2.56 항문 수술 평가지표 결과 ··························································································· 118표 2.57 편도 및 아데노이드절제술 청구현황 ········································································· 118표 2.58 편도 및 아데노이드절제술 평가지표 결과 ································································ 119표 2.59 중환자실 구조지표별 평가결과 ·················································································· 123표 2.60 중환자실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 123표 2.61 중환자실 결과지표 평가결과 ····················································································· 124표 2.62 중환자실 평가 종합점수 ···························································································· 124표 2.63 중환자실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 125

Page 1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표 2.64 실제사망률 평가결과 ·································································································· 128표 2.65 병원 표준화 사망비 평가결과 ··················································································· 128표 2.66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율 평가결과 ············································································ 132표 2.67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평가결과 ············································································ 132

표 3.1 가감지급사업 지급 현황 ······························································································· 143표 3.2 평가대상(의원) 지표별 현황 ······················································································· 144표 3.3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가감지급사업 현황 ···································································· 144표 3.4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가감지급사업 지역별 현황(’15년 상반기) ······························ 145표 3.5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가감지급사업 지역별 현황(’15년 하반기) ······························ 146표 3.6 2015년 고혈압 적정성 평가결과 가산지급(6차) 현황 ·············································· 150표 3.7 2015년 당뇨병 적정성 평가결과 가산지급(4차) 현황 ·············································· 150표 3.8 질향상 지원사업 연도별 실적 ······················································································ 152표 3.9 2016년 질향상 컨설팅 활동내용 ················································································· 154표 3.10 2016년 우수사례 선정 및 포상 ················································································ 155표 3.11 2016년 QI 뉴스레터 수록내용 ·················································································· 157

Page 1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그 림 차 례

그림 요약1. 고령인구 증가 및 노인의료비 비중 ········································································ 6그림 요약2. 보건의료환경 변화와 새로운 의료체계의 방향 ······················································ 6그림 요약3. 의료 질향상을 위한 목표 및 우선 순위 ······························································· 8그림 요약4. 2016년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방향 ······························································ 10

그림 1.1 연도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현황(2011~2016년) ·················································· 34그림 1.2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발전 단계 ··········································································· 34그림 1.3 평가수행 절차 ············································································································· 36그림 1.4 행정자료를 이용한 자료수집방법 ··············································································· 37그림 1.5 행정자료와 조사표를 이용한 자료수집방법 ······························································ 38그림 1.6 적정성 평가 결과의 활용 ··························································································· 40

그림 2.1 지역별 고혈압 양호기관 비율 현황 ··········································································· 46그림 2.2 지역별 당뇨병 양호기관 비율 현황 ··········································································· 50그림 2.3 지역별 천식 양호기관 비율 현황 ··············································································· 54그림 2.4 지역별 COPD 평가결과 ······························································································ 60그림 2.5 지역별 대장암 평가결과 ····························································································· 68그림 2.6 대장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 68그림 2.7 지역별 유방암 평가결과 ····························································································· 75그림 2.8 유방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 75그림 2.9 지역별 폐암 평가결과 ································································································· 82그림 2.10 폐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 82그림 2.11 지역별 위암 평가결과 ······························································································· 89그림 2.12 수술방법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 90그림 2.13 위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 90그림 2.14 지역별 주사제 및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평가결과(’16년 4분기) ············ 99그림 2.15 요양기관 종별 주사제 처방률 연도별 추이(건강보험) ········································ 100그림 2.16 요양기관 종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연도별 추이(건강보험) ··············· 101그림 2.17 요양기관 종별 처방건당 약품목수 연도별 추이(건강보험) ································· 101그림 2.18 지역별 의료급여 정신과 평가결과 ········································································· 106그림 2.19 지역별 중환자실 평가결과 ····················································································· 125그림 2.20 지역별 병원 표준화 사망비 평가결과 ··································································· 129

Page 1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그림 2.21 지역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평가결과 ···························································· 133

그림 3.1 공개전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변화 추이 ·············································· 138그림 3.2 QI 컨설팅 절차 ········································································································· 154그림 3.3 QI 뉴스레터 화면 ····································································································· 156그림 3.4 질 향상 지원 사업 요약 ··························································································· 158

Page 1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1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3. 평가 결과 활용

Page 1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1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3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1.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1. 적정성 평가의 개념 2000년 7월 개정된 국민건강보험법에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기능을 도입하고,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업무로 규정함 동법 시행규칙에는 ̒요양급여 등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경우에는 의약학적 측면과

비용·효과적 측면에서 요양급여를 적정하게 하였는지를 평가’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IOM(Institute of Medicine)에서는 의료의 질1) 구성요소로 안전성, 효과성, 환자 중심성,

적시성, 효율성, 형평성을 제시하고 있음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는 효과성, 효율성, 적시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환자

중심성, 안전성 영역 등으로 확대하고자 의료 질 관리 기반을 마련하였음

IOM의 질향상과 환자 안전을 위한 6개의 영역

안전성(Safe) : 환자를 돕기 위한 치료로부터 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 효과성(Effective) :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환자에게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는 제공하지 않도록 조정 환자중심성(Patient-centered) : 환자를 존중하고 환자 개인의 선호, 필요 및 가치에 상응하는 치료의 제공,

그리고 모든 임상적 결정에 환자의 가치 보장 적시성(Timely) : 기다리는 시간과 치료를 받거나 제공하는 사람 모두에게 해가 될 수 있는 지체시간 감소 효율성(Efficient) : 장비, 용품, 아이디어 및 에너지 낭비 방지 형평성(Equitable) : 성별, 민족, 지리적 위치, 사회경제적 지위 등으로 인해 질이 달라지지 않는 치료 제공

주. IOM(Institute of medicine) : 미국의학연구원, 건강정책에 대한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는 미국 의료기구

1) 의료의 질 : 국민에게 제공된 의료서비스가 기대하는 건강결과(outcome)를 가져올 가능성을 높이고, 최신 경향의 전문적인 지식에 지속적으로 부합되는 정도

Page 1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4

2. 평가 목적 국민에게 평가결과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기관 선택정보로 활용 의료제공자는 평가결과를 제공하여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하고 가치 평가 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자율적으로 질 향상 개선 활동을 하도록 동기 부여 정책결정자는 정책에 반영하여 효율적인 재정 사용

3. 평가 방법가. 자료원

평가에 이용되는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이라 한다.)의 청구 자료와 요양기관현황자료, 요양기관의 의무기록자료,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전산 자료임

나. 자료수집 방법

자료수집 방법에는 행정자료만을 이용하거나 행정자료와 조사표를 함께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조사표는 요양기관에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작성한 E-평가자료제출시스템을 통해 수집함 - 행정자료 : 요양급여비용의 청구자료, 요양기관현황자료, 행정자치부자료

4. 평가결과 분석 평가결과는 요양기관단위로 지표값을 산출하고 평가지표가 여러 개인 경우는 가중치를

고려한 종합점수를 산출하여 평가대상기관을 등급화 함- 환자의 중증도가 지표값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지표(예, 사망률 등의 결과지표)는 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함

Page 1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5

5. 평가결과 활용 국민홍보- 국민이 의료이용 선택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별 요양기관의 평가결과를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공개함 의료기관의 질 향상 지원- 요양기관에 평가결과를 통보하고, 현지 상담 등을 통하여 평가 자료에 기반을 둔 질 향상

활동을 지원함 정책적 활용- 정부가 제도 개선 등에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결과 전반에 관한 사항을 보고함

국민건강보험공단- 급성기 뇌졸중, 외래 약제 등 가감지급 대상 항목은 공단에 평가 결과를 통보하여 그 결과에

따라 요양급여비용을 가산 또는 감액할 수 있도록 함

Page 1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

1.2 대·내외 정책 환경

1. 환경변화 질 높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관심 증가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 급증 및 의료비의 지속적 증가로 만성질환 관리 필요 의료소비자의 권리의식 강화로 질 높은 의료서비스 및 보장성 강화 요구 급격한 세계화와 의료기술 발전으로 고품질 첨단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가 의료서비스 당사자로서의 소비자 참여 확대

[노인(65세 이상) 진료비 및 구성비]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비통계지표2016

[연령계층별 고령인구]

출처 : 통계청 2016 고령자 통계그림 요약 1. 고령인구 증가 및 노인의료비 비중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래전략 보고서그림 요약 2. 보건의료환경 변화와 새로운 의료체계의 방향

Page 2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7

2. 대·내외 정책 환경 의료선진화 측면에서 질 향상을 통한 의료서비스 경쟁력 강화 필요 의료서비스 양에 기반을 둔 진료비 지불 방식에서 포괄수가제도 및 질에 따른 지불 보상

체제로 전환 필요- OECD는 포괄수가제도 확대와 그의 보완을 위해 적절한 입원 및 퇴원 기준을 마련하고

입원 시 진단명과 제공된 서비스의 구성 및 양에 대한 엄격한 감시 등의 질을 측정할 것을 제안함(OECD 보건의료의 질 평가 보고서 : 한국, 2012년)

• 미국 메디케어에서 1983년부터 입원 진료비에 대해 DRG(Diagnosis Related Group) 지불제도를 최초로 도입하였음

• 프랑스, 독일, 핀란드, 이태리,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에서는 전체 입원진료비에 대해 DRG 지불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1997년 시범사업을 토대로 2002년부터 선택 참여방식의 7개 질병군에 대해 시행하였음. 2012년 7월부터 병·의원급에 당연적용제로 시행하였으며 2013년 7월에는 상급종합병원~의원급까지 모든 의료기관에 확대 적용됨. 이에, 7개 질병군 포괄수가 실시에 따른, 질적 변화에 대한 평가와 청구현황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음

- 미국에서는 높은 질과 효율적 의료서비스 전달을 위한 보상정책인 병원가치기반구매 (hospital value based purchasing, HVBP) 프로그램 적용 (2012.10.) 시작

• 미국의 CMS(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는 과정(proccess), 결과 (outcome), 환자 경험(patient experience of care)등의 질 지표(quality measure)를 통해 측정한 병원의 성과를 인센티브 지불로 전환함으로써 가치에 기반한 지불을 강화시킴

• 2016년 HVBP program을 위해 과정지표 8개, 환자경험 지표 8개, 결과 지표 7개, 효율지표 1개를 선정, 2017년에는 결과지표 3개, 과정지표 3개, 환자경험 지표 8개, 안전 지표 6개, 효율지표 1개를 선정

- 영국에서는 National Health Service(NHS)가 일차의료 의사에 대한 성과관리 및 지불체계로 Quality and Outcomes Framework(QOF)를 시작, 2009년 4월부터는 입원 및 정신보건 분야 등에 대해서 Care Quality Commission(CQC)에서 시행하고 있음

- 호주에서는 외래 진료에 대한 질 향상을 위해 Practice Incentives Program(PIP)을 시행 하고 있음

Page 2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8

근거중심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비자 참여 확대- 적정성 평가의 객관성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 단체 등의 참여 확대• 소비자 및 환자단체와 업무협약(MOU)체결(2012.11.)을 통해 적정성 평가 과정의 소비자 직접 참여 확대

- 1999년부터 영국에서는 자원봉사자, 자선단체, 지역사회조직을 포함한 소비자를 업무에 참여• NICE의 소비자 참여는 NHS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환자중심의 의료체계로 전환하기 위함

보건의료 질 지표 생산 및 개발 연구 진행 - OECD는 2001년부터 보건의료 질 지표 프로젝트(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이하

HCQI)를 시작, 격년마다 OECD Health at a Glance (HAG)발간·수록- OECD HCQI프로젝트에서의 의료의 질의 구체적인 질 지표는 암 진료, 급성기 진료,

일차의료, 정신보건, 환자안전, 환자경험의 여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지표를 산출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 치매와 병원성과에 대한 지표를 추가하였음

의료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음

출처 : Input to the secreta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n Priorities for the 2011 National Quality Strategy, Oct 2010; National Priorities Partnership그림 요약 3. 의료 질향상을 위한 목표 및 우선 순위

Page 2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9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2.1 평가 추진방향

적정성 평가영역의 확대-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 평가로 ‘환자경험’ 평가 계획- 포괄적 평가 체계 구축• 치과 분야의 적정성 평가 기반 마련을 위해 예비평가 추진• 신생아중환자실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 평가 인프라 강화• 요양기관 부담완화 및 평가자료의 정확성 제고를 위해 EMR기반의 E-평가자료제출

시스템 확대 제공• 요양기관 자료 제출에 대한 행정비용 보상

가감지급 및 인센티브 사업 확대- 가감지급사업은 종합병원 이상의 급성기 뇌졸중, 병원급 이상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의원급 이상 혈액투석, 의원급에서의 약제급여 3항목(항생제처방률, 주사제 처방률, 약품목수)에 대해 추진

- 인센티브사업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평가결과에 따른 만성질환관리 인센티브 지급 - 의료질평가지원금 지급을 위한 의료질평가 시행

국내․외 평가정보 공유 활성화- 적정성 평가 연구 논문화 사업 지속 추진• 천식 등 연구과제(5편) 결과 발표회 개최(12월)

- 국제의료질관리학회(ISQua), 국제심포지엄(e-ICU)에 중환자실 평가 결과 발표- 지역거점공공병원 및 보훈위탁병원 지정 평가에 평가정보 공유-「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 대책」관련 기관(복지부, 질병관리본부)과 협업-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제작 및 배포 •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 및 유관기관 대상

Page 2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0

그림 요약 4. 2016년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방향

- 평가정보의 국민 활용 편의성 제공을 위한 공개 방식 개선• 병원 비교, 평가 안내문 등 홈페이지 화면 재구성 및 원스톱 검색 구현• 등급별 검색 및 평가정보 엑셀 다운로드 서비스 개시

- 국민의 알권리 및 의료선택권 강화를 위한 병원 평가정보 제공 확대 의료의 질 향상 지원 및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강화- 질향상 지원 사업 강화• 지방 중심 QI(Quality Improvement)교육과정 추진으로 중소병원 직원 참여 확대• 지역단위 통합적 QI 컨설팅 확대(’15년 7기관 → ’16년 8기관)

- 진료심사평가위원회 기능 및 역할 확대• 신규 평가항목 선정 심의 등 기획 단계 의료평가조정위원회 기능 강화• 의료평가조정위원회 개최 및 분과위원회 운영

- 적정성 평가 과정의 참여 통로 확대 • 평가분과 위원회 심의 등을 통한 평가 개선과 평가지표에 대한 온·오프라인 의견수렴,

소비자 단체와의 공동 워크숍 및 간담회 개최 등

Page 2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11

2.2 평가 영역 평가 초년도에는 전체 요양급여에서 차지하는 빈도나 비용의 비중이 큰 분야를 중심으로 시작 2004년부터 급성심근경색증, 급성기 뇌졸중,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등 임상 질 분야로

확대하였고, 2010년 이후부터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중증·만성질환으로 평가 영역을 확대하였음 최근에는 기관단위 지표결과를 대표하는 병원 표준화 사망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음그간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현황

Page 2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2

2016년에는 고혈압, 대장암, 약제, 요양급여 등 37항목 평가- 급성질환 : 급성심근경색증, 관상동맥우회술,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급성기 뇌졸중, 폐렴- 만성질환 : 고혈압, 당뇨병,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혈액투석- 암질환 :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진료결과- 약제 : 항생제 처방률, 성분계열별 항생제 처방률, 주사제처방률, 처방건당 약품목수,

투약일당 약품비, 골관절염 해열진통소염제 중복처방률, 유소아중이염 항생제,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 정액수가 : 요양병원 입원급여, 의료급여 정신과, 7개 질병군 포괄수가- 중환자실 : 중환자실- 진료량 : 수술별 진료량- 일반질 : 병원 표준화 사망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환자중심의료 : 환자경험(신규평가)

Page 2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13

평가항목평가대상기관 평가부문 조사

표 대상기간상급 종합

종합 병원 병원 의원 요양

병원 구조 과정 결과

급성기관상동맥우회술 ○ ○ ○ ○ ○ ○ 연간급성기 뇌졸중 ○ ○ ○ ○ ○ ○ 6개월폐렴 ○ ○ ○ ○ ○ ○ 3개월

만 성질 환

고혈압 ○ ○ ○ ○ ○ ○ 연간당뇨병 ○ ○ ○ ○ ○ ○ 연간천식 ○ ○ ○ ○ ○ ○ 연간만성폐쇄성폐질환 ○ ○ ○ ○ ○ ○ ○ 연간혈액투석 ○ ○ ○ ○ ○ ○ ○ ○ ○ 3개월

대장암 ○ ○ ○ ○ ○ ○ ○ ○ 연간유방암 ○ ○ ○ ○ ○ ○ ○ ○ 연간폐암 ○ ○ ○ ○ ○ ○ ○ ○ 연간위암 ○ ○ ○ ○ ○ ○ ○ ○ 연간간암 진료결과 ○ ○ ○ ○ ○ ○ 2년

약 제약제급여 ○ ○ ○ ○ ○ ○ 연간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 ○ ○ ○ ○ 연간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 ○ ○ ○ ○ ○ 3개월

정액수가7개 질병군 포괄수가 ○ ○ ○ ○ ○ ○ ○1) 3개월요양병원 입원급여   ○ ○ ○ ○ ○2) 3개월의료급여 정신과 ○ ○ ○ ○ ○ ○ ○ ○ ○3) 3개월

중환자실 중환자실 ○ ○ ○ ○ ○ ○ 3개월일반질 병원 표준화 사망비 ○ ○4) ○ 연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 ○4) ○ 연간환자중심의료 환자경험 ○ ○4) ○5) 약 3~4개월6)

주 1.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점검표 2. 환자평가표 3. 기관단위 4.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5.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입원환자 전화조사 6. ’17.7월 이후 실시(약 3~4개월 소요 예상) 7. 급성심근경색증,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진료량은 연구 진행 중

표 요약 1. 2016년도 평가대상 및 평가부문 등

Page 2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4

2.3 항목별 주요 평가 결과1) 평가 항목 전반에 걸쳐 질 향상을 보이고 있음 지속적으로 평가를 수행한 급성기 뇌졸중, 약제급여, 요양병원 등의 항목에서 질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음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결과1)

고혈압의 처방지속성 및 처방지표 향상 ■ 처방일수율 ’15년 89.4% ➝ ’16년 89.9%로 0.5%p↑ ■ 처방지속군 비율 ’15년 83.0% ➝ ’16년 83.9%로 0.9%p↑ ■ 권장되지 않는 병용요법 처방률 ’15년 1.47% ➝ ’16년 1.41%로 0.06%p↓ 당뇨병의 치료지속성 및 검사 시행률 향상

■ 처방일수율 ’15년 88.9% ➝ ’16년 89.7%로 0.8%p↑ ■ 지질 검사 시행률 ’15년 75.0% ➝ ’16년 78.1%로 3.1%p↑ 천식

■ 폐기능검사 시행률 ’15년 24.88% ➝ ’16년 28.34%로 3.46%p↑ ■ 지속방문 환자비율 ’15년 71.88% ➝ ’16년 72.02%로 0.14%p↑ ■ ICS(흡입스테로이드) 처방 환자비율 ’15년 27.06% ➝ ’16년 30.62%로 3.56%p↑ 만성폐쇄성폐질환

■ 폐기능검사 시행률 ’15년 58.70% ➝ ’16년 62.53%로 3.83%p↑ ■ 지속방문 환자비율 ’15년 85.46% ➝ ’16년 92.12%로 6.66%p↑ ■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15년 67.93% ➝ ’16년 71.19%로 3.26%p↑ 대장암 수술환자의 보조요법 영역(항암 및 방사선 치료 관련) 등 전반적인 치료과정 개선

■ 절제술의 완전성 평가 기록률 ’15년 96.5% ➝ ’16년 98.2%로 1.7%p↑ ■ 수술 후 8주 이내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15년 93.7% ➝ ’16년 96.2%로 2.5%p↑ ■ 권고된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15년 95.2% ➝ ’16년 97.4%로 2.2%p↑ ■ 수술 후 방사선 치료율(직장암) ’15년 80.8% ➝ ’16년 87.3%로 6.5%p↑ 유방암 수술환자의 보조요법 영역 등 전반적인 치료과정 개선

■ 권고된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15년 97.3% ➝ ’16년 99.0%로 1.7%p↑ ■ AI 투여 전 환자의 골밀도 검사 시행률 ’15년 92.1% ➝ ’16년 95.0%로 2.9%p↑ ■ 유방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률 ’15년 92.3% ➝ ’16년 94.4%로 2.1%p↑

1) 이하 평가결과 : 평가수행년도 기준

Page 2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15

폐암 수술환자의 진단적 평가 및 기록충실도 등 전반적인 치료과정 개선 ■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15년 95.7% ➝ ’16년 97.5%로 1.8%p↑ ■ 근치적 방사선 치료과정 중 부작용 평가, 전기적 영상 검교정 기록 비율

’15년 97.7% ➝ ’16년 99.2%로 1.5%p↑ ■ 근치적 방사선 치료 후 2개월 이내 종양반응 및 부작용 평가 기록 비율

’15년 98.8% ➝ ’16년 99.6%로 0.8%p↑ 위암

■ 절제술 전 진단적 내시경 검사 기록률 ’15년 97.4% ➝ ’16년 98.1%로 0.7%p↑ ■ 불완전 내시경 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 실시율 ’15년 76.3% ➝ ’16년 84.4%로 8.1%p↑ ■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

’15년 84.0% ➝ ’16년 85.4%로 1.4%p↑ ■ 수술 사망률 ’15년 0.88% ➝ ’16년 0.66%로 0.22%p↓ 간암 진료결과

■ 수술 사망률 ’16년 0.93% 약제급여

-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주사제 처방률 감소세는 ’06년 공개이후 감소세가 지속 ■ 감기 항생제처방률 ’15년 43.5% ➝ ’16년 41.0%로 2.5%p↓(’02년 대비 32.7%p↓) ■ 주사제 처방률 ’15년 17.5% ➝ ’16년 16.5%로 1.0%p↓(’02년 대비 21.1%p↓) ■ 처방건당 약품목수 ’15년 3.63개 ➝ ’16년 3.60개로 0.03개↓(’02년 대비 0.55개↓) 의료급여 정신과

■ 비정형약물 처방율(조현병) ’13년 76.0% ➝ ’15년 79.8%로 3.8%p↑ ■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조현병) ’13년 28.4% ➝ ’15년 26.8%로 1.6%p↓ ■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알코올장애) ’13년 29.1% ➝ ’15년 28.2%로 0.9%p↓ 7개 질병군 포괄수가

- 포괄수가제도 시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의 질 저하는 보이지 않음 ■ (진료과정) 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0.05%로, 99.95%가 이상소견 없이 퇴원하였으며,

수술 전 검사의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92.34%로 나타남 ■ (진료결과) 입원 중 사고율(0.01%), 감염률(0.03%), 재입원율(0.15%),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0.07%),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0.24%)로 낮은 발생률을 보임

Page 2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6

2) 평가 항목별로 종별·요양기관별·진료과목별·지역별 질적 변이가 여전히 존재하여 변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결과

고혈압 ■ 평가결과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지만, 요양기관 종별·기관별 변이가 있음 ■처방지속성 영역의 처방지속군 비율은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에서 최소 0%, 최대 100%로

요양기관별 변이가 컸음 ■ 처방 영역의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종합병원 0.90%, 상급종합병원 0.85%, 의원 0.34%)과

심·뇌혈관 질환 등의 동반상병이 없는 경우 권장되지 않는 병용요법 처방률(상급종합병원 6.00%, 종합병원이 3.91%, 의원 1.14%)은 상위 종별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당뇨병 ■치료지속성과 처방영역 , 검사영역 모두 평가 결과가 향상 되었으나, 검사영역은 타 지표에 비해

전체적인 결과가 여전히 낮음. 또한, 모든 영역에서 요양기관 종별 ·기관별 변이가 있음 ■ 처방 영역의 평가 결과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며 동일성분군 중복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

병원을 제외한 모든 종별에서 2014년 보다 감소하였으나, 일부 매우 높은 기관이 있었음 ■ 검사 평가 결과, 기관별 변이는 상급종합병원이 가장 작았음 - 의원은 당화혈색소·안저 검사 시행률 최소 0.0%, 최대 100%였음 천식

■전년도 대비 모든 지표에서 결과 값이 상승하였으나, 전체적인 결과가 여전히 낮으며 모든 영역에서 요양기관 종별·기관별 변이가 있음

■ 천식 진단을 위해 필수적인 폐기능 검사 시행률이 상급종합병원 85.44%, 종합병원 65.87%, 의원 20.09%로 차이가 있어 개선이 필요함

- 특히, 의원의 폐기능 검사 시행률은 최소 값 0.0%, 최대 값 100%로 기관 간 변이가 컸음 ■ 천식 치료를 위해 필수적인 ICS 처방 환자비율이 상급종합병원 88.20%, 종합병원 68.60%,

의원 20.09%로 차이가 있어 개선이 필요함 - 특히, 의원의 ICS 처방 환자비율은 최소값이 0.0%, 최대값 100%로 기관 간 변이가 컸음

Page 3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17

만성폐쇄성폐질환 ■ 평가대상기관은 의원급이 81.17%를 차지하나, 평가대상자가 이용하는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40.42%), 의원(28.03%), 상급종합병원(26.42%)의 분포를 보임 ■ 폐기능검사 시행률은 62.53%로 1차 평가대비 3.83%p 증가함 - COPD 진단을 위해 필수적인 폐기능검사 시행률이 상급종합병원 82.30%, 종합병원 68.43%,

병원 52.35%, 의원42.36%로 종별간 차이가 있음 ■ 지속방문 환자비율은 92.12%이며, 종별간의 차이는 미미함 ■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은 71.19%로 1차 평가 대비 3.26%p 증가함 - COPD 치료에 효과적인 흡입기관지확장제의 처방 환자 비율이 상급종합병원 92.61%, 종합병원

80.04%, 병원 60.41%, 의원 40.46%로 차이가 있음 ■ 종합점수는 평균 58.90점으로 1차 평가대비 5.01점 향상됨 - 상급종합병원 87.64점, 종합병원 73.59점, 병원 63.11점, 의원 52.52점으로 종별간 변이가 큼 ■ 종합점수 산출기관 1,499기관 중 1등급 296기관(19.75%), 2등급 342기관(22.81%), 3등급

349기관(23.28%), 4등급 250기관(16.68%), 5등급 262기관(17.48%)임 대장암

■종합점수 산출 대상 134기관의 평균은 96.16점이며,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최소 40.99점에서 최대 100.00점으로 기관 간 범위는 큼

■상급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99.51±0.57점, 종합병원 94.84±8.55점, 병원 92.13±10.29점으로 종별 간 차이를 보임

■종합점수 산출대상기관 134기관 중 1등급 119기관(88.9%), 2등급 8기관(6.0%), 3등급 5기관(3.7%), 4등급 1기관(0.7%), 5등급 1기관(0.7%)임

유방암 ■ 종합점수 산출 대상 109기관의 평균은 97.02점이며,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최소

74.29점에서 최대100.00점으로 기관 간 범위는 큼 ■상급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99.80±0.27점으로 종합병원의 96.70±4.91점, 병원 85.86±7.76점,

의원 86.56±2.38점으로 종별 간 차이를 보임 ■종합점수 산출대상기관 109기관 중 1등급 84기관(77.1%), 2등급 12기관(11.0%), 3등급 8기관

(7.3%), 4등급 3기관(2.8%), 5등급 2기관(1.8%)임 폐암

■ 종합점수 산출 대상 89기관 평균은 97.47점이며, 최소 76.59점에서 최대 100.00점으로 기관 간 범위는 큼 ■상급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99.16±0.77점, 종합병원은 95.96±6.79점으로 종별간 차이를 보임 ■종합점수 산출대상기관 89개 기관 중 1등급 80기관(89.9%), 3등급 2기관(2.2%), 4등급 4기관

(4.5%), 4등급 3기관(3.4%)임

Page 3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8

위암 ■종합점수 산출 대상 114기관의 평균은 95.77점이며,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최소 61.52점

에서 최대 100.00점으로 기관 간 범위는 큼 ■ 상급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99.07±1.07점, 종합병원 93.87±8.92점, 병원 91.66±6.58점

으로 종별간 차이를 보임 ■종합점수 산출대상기관 114개 기관 중 1등급 98기관(86.0%), 2등급 9기관(7.9%), 3등급 4기관

(3.5%), 4등급 3기관(2.6%)임 간암 진료결과

■ 간암 진료결과 평가를 통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수술사망률(0.93%) 확인 ■ 전체 평가대상 121기관/ 5,371건(2014.7월~2015.6월, 1년 진료분)임 - 1년 진료분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한 결과 평가대상 모수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평가부터는 2년 단위 평가(2년 진료분)로 전환하여 모니터링 할 예정임 약제급여(4분기)

■ 주사제 처방률 및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등 지표에서 종별·기관별 차이를 보임 - 종별 주사제 처방률은 의원 18.5%, 병원 16.7%, 종합병원 8.8%, 상급종합병원 2.3%이고,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 14.1%이고 병원 44.5%로 차이를 보이며, - 기관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은 의원의 경우 최소 0%에서 최대100% 까지 기관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남 ■주사제 처방률과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의 지역별 차이는 전년대비 다소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큼. 의원의 경우 주사제 처방률은 서울 14.5%(최저), 경남 26.1%(최고),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은 대전 34.4%(최저), 강원 45.9%(최고)로 차이를 보임

의료급여 정신과 ■종합점수 산출 대상 422기관의 평균은 77.8점이며,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최소 55.3점

에서 최대 99.5점으로 기관 간 범위는 큼 ■ 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89.1±7.5점, 병원은 77.7±6.7점, 의원은 72.7±7.8점으로 종별간

차이를 보임 ■종합점수 산출 대상 422기관 중 1등급 73기관(17.3%), 2등급 117기관(27.7%), 3등급 155기관

(36.7%), 4등급 65기관(15.4%), 5등급 12기관(2.8%)임 7개 질병군 포괄수가

■낮을수록 좋은 지표는 전년 대비 감소하거나 차이가 없었고, 높을수록 좋은 지표는 지속적인 향상을 보임 ■ 기관별 결과에서도 낮을수록 좋은 지표의 Q1, Q3는 모두 0.00%이며, 높을수록 좋은 지표는

모두 100.00%로 기관별 변이가 거의 없음

Page 3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19

중환자실 ■종합점수 산출대상 263기관의 평균은 58.2점이며, 최소 18.5점에서 최대 100.0점으로 요양기관별

차이가 큼 ■ 상급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89.2±7.9점, 종합병원은 52.1±19.1점으로 종별 차이를 보임 ■ 7개 권역(서울, 경기, 경상, 전라, 충청, 강원, 제주) 중 3개 권역(서울, 경기, 경상)에만 1등급

기관이 있어 권역별 차이를 보임 ■ 종합점수 산출대상 263기관 중 1등급 12기관(4.6%), 2등급 63기관(24.0%), 3등급 52기관

(19.8%), 4등급 90기관(34.2%), 5등급 46기관(17.5%)임 병원 표준화 사망비

■ 병원 표준화 사망비(HSMR) 평가를 통해 국가단위 수준 및 종별·지역별 편차 확인 ■ 병원 표준화 사망비(HSMR)는 국가 평균 100.0을 기준으로 상급종합병원 95.0, 종합병원이

107.6으로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보다 낮게 나타남 ■ 권역별 병원 표준화 사망비(HSMR)는 서울이 88.0으로 가장 낮고, 경상권이 109.7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사망비가 높은 기관 등에 대해 원인 분석 등 지속적 추이 관찰이 필요함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RSRR) 평가를 통해 국가단위 수준 및 종별·지역별 편차 확인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RSRR)는 국가 평균 100.0을 기준으로 상급종합병원 100.5, 종합병원이

99.4로 종합병원이 상급종합병원보다 조금 낮게 나타남 ■ 권역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RSRR)는 경인권이 92.3으로 가장 낮고, 전라권이 120.2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재입원비가 높은 기관 등에 대해 원인 분석 등 지속적 추이 관찰이 필요함

Page 3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0

평가항목

(지표수)지표

결과(수행년도 기준)2015년 2016년 증감 향상된

지표 등

고혈압(5)

처방지속성

처방일수율 89.4 89.9 0.5↑ ○처방지속군 비율 83.0 83.9 0.9↑ ○

처방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 0.46 0.46 0.00

심·뇌혈관질환 등의 동반상병이 없는 경우이뇨제 병용 투여율(권장지표) 86.99 86.06 0.93↓권장되지 않는 병용요법 처방률 1.47 1.41 0.06↓ ○

당뇨병(7)

치 료지속성

외래방문 분기별 1회 이상 방문 환자비율 84.7 85.9 1.2↑ ○처방지속성 처방일수율 88.9 89.7 0.8↑ ○

처 방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 0.26 0.21 0.04↓ ○4성분군 이상 처방률 0.57 0.74 0.18↑

검 사당화혈색소 검사 시행률 76.7 78.9 2.2↑ ○지질 검사 시행률 75.0 78.1 3.1↑ ○안저 검사 시행률 42.2 43.0 0.8↑ ○

천식(7)

검 사 폐기능검사 시행률 24.88 28.34 3.46↑ ○치료지속성 지속방문 환자비율 71.88 72.02 0.14↑ ○

처 방

ICS 처방 환자비율 27.06 30.62 3.56↑ ○필수약제(ICS or LTRA) 처방 환자비율 61.08 63.65 2.57↑ ○ICS 없이 LABA 처방 환자비율 18.26 16.77 1.49↓ ○ICS 없이 SABA 처방 환자비율 13.21 12.92 0.29↓ ○ICS 없이 OCS 처방 환자비율 1.12 28.201) -

만성폐쇄성폐질환

(3)

검 사 폐기능검사 시행률 58.70 62.53 3.83↑ ○치료지속성 지속방문 환자비율 85.46 92.12 6.66↑ ○

처 방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67.93 71.19 3.26↑ ○

대장암(20)

구조 치료 대응력 전문인력 구성 여부 66.2 67.9 1.7↑ ○

과정 진단적 평가및 기록 충실도

수술 전 통증 평가율 97.6 98.3 0.7↑ ○암 가족력 확인 비율 96.8 98.1 1.3↑ ○수술 전 정밀 검사 시행률 95.4 96.1 0.7↑ ○절제술의 완전성 평가 기록률 96.5 98.2 1.7↑ ○

(단위 : %, 개, 명, 병상, 회, 일, 점, %p)표 요약 2. 2016년도 평가항목별 평가 결과

Page 3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21

평가항목

(지표수)지표

결과(수행년도 기준)2015년 2016년 증감 향상된

지표 등

대장암(20)

과정

진단적 평가및 기록 충실도

수술 후 3개월 내 CEA 검사 시행률 97.9 98.1 0.2↑ ○병리보고서 기록 충실률 98.9 99.4 0.5↑ ○12개 이상의 국소 임파절 절제 및 검사율 93.5 95.0 1.5↑ ○임상의 암 관련 정보 기록률 99.1 99.3 0.2↑ ○

환자교육 장루관리 교육 시행률 98.7 98.6 0.1↓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비율(Stage I) 98.1 99.1 1.0↑ ○수술 후 8주 이내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Stage II(or IIb)~III) 93.7 96.2 2.5↑ ○항암화학요법 계획을 설명한 환자 비율 97.6 98.9 1.3↑ ○Flow sheet 사용률 96.8 97.7 0.9↑ ○권고된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95.2 97.4 2.2↑ ○항구토제를 투여 받은 환자 비율 98.6 99.2 0.6↑ ○

방사선치료

수술 후 방사선 치료율(직장암) 80.8 87.3 6.5↑ ○항암화학요법ㆍ방사선치료 병용 시행률(직장암) 98.7 99.2 0.5↑ ○

결과 - 평균 입원일수(LI) 1.17 1.14 0.03↓ ○수술 사망률 (원내사망 또는 수술 후 30일내 사망) 1.16 1.37 0.21↑

유방암(18)

구조 구조 전문인력 구성 여부 68.4 68.3 0.1↓

과정

진단적 평가 및

기록충실도

유방암 가족력 확인 비율 98.4 98.6 0.2↑ ○전신상태 평가 기록 비율 99.0 99.0 0.0보조치료 동의서 비율 97.5 98.0 0.5↑ ○항암화학요법 기록 비율 99.5 99.6 0.1↑ ○방사선치료 기록 비율 100.0 100.0 0.0병리보고서 기록 충실률 98.5 98.8 0.3↑ ○임상의 암 관련 정보 기록률 99.5 99.4 0.1↓

수술관련감시림프절 생검 또는 액와림프절절제술 시행률 99.7 99.6 0.1↓최종절제연이 침윤성 유방암 음성 비율 99.7 99.4 0.3↓

전신보조요법

수술 후 8주 이내에 보조요법(항암화학요법 또는 내분비요법) 시행률 99.8 99.7 0.1↓

Page 3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2

평가항목

(지표수)지표

결과(수행년도 기준)2015년 2016년 증감 향상된

지표 등

유방암(18) 과정 전신

보조요법

보조내분비요법 시행률 99.6 99.4 0.2↓권고된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97.3 99.0 1.7↑ ○항구토제를 투여받은 환자 비율 99.5 99.7 0.2↑ ○표적치료 시행률 94.8 95.4 0.6↑ ○AI(aromatase inhibitor) 투여 전환자의 골밀도 검사 시행률 92.1 95.0 2.9↑ ○방사선치료 시작 시기 98.8 98.7 0.1↓유방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률 92.3 94.4 2.1↑ ○

폐암(21)

구조 치료 대응력 전문인력 구성여부 88.5 86.1 2.4↓

과정

진단적 평가및

기록충실도

흡연력 기록 비율 99.6 99.7 0.1↑ ○전신상태 평가기록 비율 99.4 99.7 0.3↑ ○치료 전 정밀 검사 시행 비율 96.6 97.0 0.4↑ ○임상의에 의한 암 병기 기록 비율 99.1 99.5 0.4↑ ○치료 전 병리학적 확정 진단 비율 99.1 99.7 0.6↑ ○

수술관련 병리보고서 기록 충실률 98.6 99.6 1.0↑ ○림프절 절제 또는 림프절 샘플링 시행률 99.5 99.8 0.3↑ ○

전신요법

항암화학요법 환자 동의서 비율 99.3 99.5 0.2↑ ○Flow sheet 사용률 99.0 99.7 0.7↑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비율(stage IA) 99.7 99.3 0.4↓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95.7 97.5 1.8↑ ○항구토제를 투여 받은 환자 비율 99.4 99.7 0.3↑ ○제한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의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 99.4 96.0 3.4↓ 항암제 투여시 항암제 부작용 평가 비율 99.7 99.7 0.0IIIB/IV기 비소세포폐암환자의 항암화학요법시 정기적인 종양반응 평가 기록 비율 99.9 99.9 0.0

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 기록 비율 99.6 99.9 0.3↑ ○근치적 방사선 치료과정 중 부작용 평가, 전기적 영상 검교정 기록 비율 97.7 99.2 1.5↑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2개월 이내종양반응 및 부작용 평가 기록 비율 98.8 99.6 0.8↑ ○

Page 3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23

평가항목

(지표수)지표

결과(수행년도 기준)2015년 2016년 증감 향상된

지표 등폐암(21)

과정 방사선치료 수술불가능 III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 97.8 94.2 3.6↓

결과 - 평균 입원일수(LI) 1.22 1.23 0.01↑

위암(18)

구조 치료 대응력 전문인력 구성 여부 81.7 80.4 1.3↓

과정

진단적 평가

절제술 전 복부조영 CT 실시율 98.9 98.5 0.4↓절제술 전 진단적 내시경 검사 기록률 97.4 98.1 0.7↑ ○절제술 전 병리조직 검사 실시율 99.1 99.1 0.0전신상태 평가기록 비율 99.0 98.6 0.4↓항암화학요법 전문의 암병기 기록률 99.9 99.8 0.1↓

수술영역

내시경 절제술 치료내용 기록 충실률 99.1 98.2 0.9↓불완전 내시경 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 실시율 76.3 84.4 8.1↑ ○병리진단 보고서 기록 충실률 99.6 99.5 0.1↓위절제술 후 수술 기록 충실률 98.6 98.9 0.3↑ ○국소 림프절 절제 및 검사율 98.2 97.8 0.4↓위암에 대한 근치적 수술 비율 98.1 98.1 0.0

과정 항암화학요법영역

권고되지 않은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1a) 99.8 99.9 0.1↑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 Ⅱ~Ⅲ) 84.0 85.4 1.4↑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 94.4 95.0 0.6↑ ○Flow sheet 사용률 97.5 96.4 1.1↓

결과 - 입원일수 장기도 지표(LI) 1.14 1.15 0.01↑수술 사망률 0.88 0.66 0.22↓ ○

간암진료결과

(1)결과 수술 사망률(원내 사망 및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 - 0.93 -

약제급여(12)

주 사 제 주사제 처방률 18.28 17.22 1.06↓ ○항 생 제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44.14 43.00 1.14↓ ○

성분계열별항생제 처방률

급성상기도감염 세파3세대이상 항생제 처방률 5.77 6.35 0.58↑급성상기도감염 퀴놀론계 항생제 처방률 2.45 2.27 0.18↓ ○

Page 3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4

평가항목

(지표수)지표

결과(수행년도 기준)2015년 2016년 증감 향상된

지표 등

약제급여(12)

처 방 건 당약 품 목 수

처방건당 약품목수(전체 상병) 3.72 3.71 0.01↓ ○처방건당 약품목수(호흡기계 질환) 4.57 4.56 0.01↓ ○처방건당 약품목수(근골격계 질환) 3.53 3.50 0.03↓ ○6품목이상 처방비율 13.44 13.43 0.01↓ ○소화기관용약 처방률 46.16 45.90 0.26↓ ○

투약일당 약품비 투약일당 약품비 1,662 1,709 47↑골관절염에 NSAIDs·부신피질호르몬제

NSAIDs 중복처방률 0.59 0.53 0.06↓ ○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률 3.43 3.47 0.04↑

의료급여

정신과2)(20)

구조

시설

병실당 정원수 6.43) 6.34) 0.1↓ ○전체 병상 중 침대비율 61.93) 67.24) 5.3↑ ○입원병동내 대변기 1개당 병상수 9.63) 9.54) 0.1↓ ○휴게 공간, 산책 공간, 운동 설비를 갖춘 운동공간의 유무5) 27.33) 33.04) 5.7↑ ○

인력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47.13) 46.84) 0.3↓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20.53) 19.64) 0.9↓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인력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10.03) 9.84) 0.2↓ ○정신보건전문요원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65.83) 68.44) 2.6↑사회복지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79.43) 81.64) 2.2↑

과정

약물치료 비정형약물 처방률(조현병) 76.03) 79.84) 3.8↑ ○

정신요법 정신요법 실시횟수(주당) 4.73) 4.84) 0.1↑ ○개인정신치료 실시횟수(주당) 2.13) 2.24) 0.1↑ ○

재활치료 낮병동 또는 정신보건센터 등 (위탁)운영 유무6) 27.83) 28.94) 1.1↑ ○

결과 입원일수

재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조현병) 558.33) 663.74) 105.4↑퇴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조현병) 134.33) 117.64) 16.7↓ ○재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알코올장애) 160.03) 305.64) 145.6↑퇴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알코올장애) 61.13) 65.44) 4.3↑

Page 3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2. 2016년 적정성 평가방향 및 결과 등

25

평가항목

(지표수)지표

결과(수행년도 기준)2015년 2016년 증감 향상된

지표 등의료급여

정신과2)(20)

결과 재입원율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조현병) 28.43) 26.84) 1.6↓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알코올장애) 29.13) 28.24) 0.9↓ ○

외래방문율 퇴원 후 30일 이내 외래방문율(조현병) 42.83) 42.64) 0.2↓

7개질병군포괄수가(8)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13 0.05 0.08↓ ○재원일수비7) -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2.05 92.34 0.29↑ ○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1 0.01 -입원 중 감염률 0.04 0.03 0.01↓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35 0.24 0.11↓ ○재입원율 0.17 0.15 0.02↓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08 0.07 0.01↓ ○

중환자실(7)

구조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 44.78) -병상 수 대 간호사수의 비 - 1.10 -중환자실 내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 3.6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 82.9 -

과정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 72.3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 46.09) -

결과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 1.3 -병원

표준화 사망비

(1)결과 병원 표준화 사망비10) - - - -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1)결과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10) - - - -

주 1. ICS 없이 OCS 처방 환자비율 : 2016년부터 세부기준 변경 2. 기관당 평균 3. 2013년 수행결과 4. 2015년 수행결과 5. 유무지표로 3가지 모두 운영하는 기관의 비율임 6. 유무지표로 1가지 이상 운영하는 기관의 비율임 7. 개별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 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8.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를 배치한 기관의 평균 9. 표준화사망률 평가를 실시한 기관 비율 10. 국가 평균 100.0을 기준으로 상대적 위치를 그룹화하는 비 지표임

Page 3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6

3 평가결과 활용

3.1 평가정보 공개

가. 사업 배경 및 목적

국민에게 평가 결과 정보를 제공하여 질이 우수한 요양기관을 선택하게 하고, 요양기관에게는 의료의 질 향상을 유도함

나. 공개 내용

평가 결과 : 위암,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 중환자실 등 26개 항목다. 공개 방법

평가 항목별로 평가 결과를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게시함- 양호( )기관 공개, 항목별 종합결과를 등급( ∼ )으로 제시

모바일「병원평가정보」앱(APP) 서비스를 통해 병원 평가정보 제공- GPS를 활용하여 가까운 지역의 병원 평가 결과를 등급으로 공개

3.2 가감지급사업

가. 배경 및 목적

가감지급 시범사업으로 질 향상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기관 간 변이 및 질 향상 여지가 남아 있으며, 가감지급 확대에 따른 대·내외의 지속적인 요구 등으로 가감지급 시범사업 완료 후 본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음

요양기관 평가결과에 따른 경제적 인센티브(또는 디스인센티브)를 적용함으로써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을 촉진시켜, 국민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함

Page 4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3. 평가 결과 활용

27

나. 사업내용

대상 항목 및 기관- 급성기 뇌졸중 : 종합병원급 이상-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 병원급 이상- 약제급여 3항목(항생제 처방률, 주사제 처방률, 약품목수) : 의원급- 혈액투석 : 의원급 이상

다. 가감지급 내역

1) 가감지급 기준 급성기 뇌졸중1)- 2014년 진료분을 평가하여 최우수기관(종합점수 상위 20% 기관) 및 평가점수 향상기관

(전 차수 대비 종합점수 10점 이상 향상, 단 70점미만 기관 제외. 최우수기관과 중복 시 최우수기관 가산 적용)에 가산 적용

- 2014년 진료분을 평가하여 감액기준선(55점) 미만인 기관에 감산적용 외래 약제급여- 의원급 2015년 상ㆍ하반기 심사결정분을 각각 평가하여 우수등급인 1등급(백분위순위

25% 이내 기관) 기관 및 전년 동반기와 비교하여 등급이 향상된 기관(백분위순위 50% 이내 기관)에 가산 적용

- 의원급 2015년 상ㆍ하반기 심사결정분을 각각 평가하여 9등급이면서, 절대평가 기준 (항생제 처방률 80% 이상, 주사제 처방률 60% 이상, 6품목이상 처방비율 40% 이상) 해당 기관에 감산 적용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2017년 적용예정)- 2015년 진료분을 평가하여 가산기준선인 종합결과 97% 이상 기관, 전차수 대비 30%p 이상

향상 기관, 전차수 대비 2회 연속 15%p 이상 향상된 기관에 가산 적용(단, 종합결과 50%미만 기관은 제외)

- 2015년 진료분을 평가하여 감액기준선인 종합결과 40% 미만인 기관에 감산적용

1) 2015년도 가감지급기준임

Page 4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8

혈액투석(2017년 적용예정)- 2015년 10월~12월 진료분을 평가하여 1등급이면서 상위 10%기관에 가산적용- 2015년 10월~12월 진료분을 평가하여 종합점수 65점미만 기관에 감산적용

2) 가감지급 기관 및 금액- 가산 : 2,475기관, 4억 5천만원을 가산 지급함- 감산 : 107기관, 3천 8백만원을 감산 지급함

표 요약3. 가감지급사업 현황

구분 가산 감산가산기관 가산지급 금액 감산기관 감산지급 금액

약제급여 2,475 445,388 107 37,578주. 2015년 상·하반기 가감, 중복기관 제외

(단위 : 기관, 천원)

라. 사업 결과

1) 외래 약제적정성 평가 2015년 의원 급성상기도감염(J00~J06) 항생제 처방률은 43.96%로 전년도 43.65% 대비

0.71% 증가하였으며, 주사제 처방률은 20.53%로 전년도 20.95% 대비 2.00% 감소하였고, 6품목이상 처방비율은 14.11%로 전년도 14.67% 대비 3.81% 감소함

2015년 상ㆍ하반기 전체 가산 지급대상은 2,475기관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1,241기관이 증가하였고, 가산액은 445,388천원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221,602천원이 증가하였음. 감산 지급대상은 107기관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57기관이 증가하였고, 감산액 37,578천원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19,956천원이 증가함

Page 4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요 약

3. 평가 결과 활용

29

3.3 인센티브 지급 사업

가. 배경 및 목적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도’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의료기관 인센티브 지급사업으로 만성질환 (고혈압·당뇨병) 환자를 지속적으로 적정하게 관리하는 ‘의원’의 질환관리 노력을 향상시키기 위함

나. 사업 내용 및 지급 내역

가산지급 대상 및 주기 -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양호’ 기관에 질환별(고혈압 ․ 당뇨병)로 각각 지급-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주기에 따라 연간실시

가산 지급 결과 - 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고혈압, 당뇨병(1회) : 7,794개 기관, 총 142.7억원 가산지급

3.4 질 향상 지원 사업

질 향상 지원 사업 프로그램은 2007년부터 요양기관이 적정성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체계적이고 자율적으로 의료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과 자문, 모범사례를 공유하는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실시하고 있음

주요 사업으로는 QI교육, QI컨설팅, QI활동 우수사례 포상 및 발표, QI뉴스레터, QI 커뮤니티 운영 등이 있음

2016년 교육, 컨설팅, 우수사례 공유 등 지역단위 통합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질향상 계획수립, 실행지원, 교육 및 정보제공 등 맞춤형 질향상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참여기관 모두 질 향상에 도움을 받은 것으로 응답함

Page 4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4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1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1. 평가 배경2. 평가 절차와 방법

Page 4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4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1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개

1. 평가 배경

33

1 평가 배경

1.1 도입배경

가.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의 양적 팽창

1989년 전국민의료보험 적용과 함께 의료인력 및 시설이 확대되어 의료서비스의 양적 수준은 어느 정도 확충됨

1990년대 이후 의료서비스의 적정성 및 질적 수준 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나. 의료서비스의 질 평가 및 관리에 대한 의료계 관심 대두

의료서비스 질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자체적 질 관리 활동을 시작함 - 1981년부터 대한병원협회에서 병원표준화심사 시작- 1990년대 초반부터 의료기관 단위에서 자체적 질 향상 활동 시작 - 1995년부터 정부주도로 의료기관서비스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활동

의료의 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가적인 개념 정립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활동은 부족하였음

다. 건강보험 급여의 질 평가에 대한 요구 증가

기존의 건강보험 진료비 심사는 심사기준에 부합여부를 판단하였기 때문에 급여 적정성에 대한 평가는 다소 미흡하였음

요양급여 적정성의 평가 필요성- 행위별 수가제 하에서는 의료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불필요한 서비스의 과다제공

가능성- 의료제공자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서비스의 경우 과소제공의 가능성- 의료기관이나 시술자에 따라 질적 수준에 차이

라. 국민건강보험법

2000년 7월 국민건강보험법에 건강보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기능이 도입됨 동법은 적정성 평가업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업무로 규정함

Page 4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34

1.2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현황

그림 1.1 연도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현황(2011~2016년)

그림 1.2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발전 단계

Page 4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1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개

35

2 평가 절차와 방법

2.1 평가 절차

평가계획 수립 - 매해 연말 다음해 평가항목, 평가기준 및 방법, 평가시기, 평가결과 활용 등에 대한 ‘연간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세부계획을 수립 - 의료평가조정위원회 심의 및 보건복지부 승인을 받아 연간 평가를 수행 - 승인된 연간 평가계획, 세부계획은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와 보도자료 등을 통해 공개 평가 수행 - 자료수집, 평가자료의 데이터 검증, 자료 분석, 평가결과 산출 - 평가결과 및 공개범위·방법 등 중요사항은 의료평가조정위원회에서 심의 평가결과 활용 - 평가결과는 요양기관에 통보·질향상 활동 지원, 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등에 공개 - 가감지급 해당항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함

평가 의견수렴 및 심의 ※ 평가분과위원회 평가기준 및 방법 등 의·약학적 전문적 검토를 위하여 의료평가조정위원회 산하에 설치 전문학회, 특수분야 전문가, 소비자단체 등으로 구성하여 평가 항목별 운영

※ 의료평가조정위원회 국민건강보험법 제66조에 의거 효율적인 평가 업무 수행을 위하여 진료심사평가위원회 내에 의료평가조정위원회 설치

의약계 · 공익 · 건강보험대표를 각 6인씩 총 18인으로 구성하여 평가계획 등 평가 주요정책 심의

Page 4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36

그림 1.3 평가수행 절차

2.2 평가 방법가. 자료원

심사평가원의 청구자료와 요양기관현황자료, 요양기관의 의무기록자료,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전산자료임

나. 자료수집 방법

자료수집 방법에는 행정자료(요양기관청구자료, 요양기관현황자료, 행정자치부자료) 이용방법, 행정자료와 조사표를 함께 이용하는 방법이 있음

1) 행정자료이용 방법 요양급여비용 청구자료, 시설‧인력 등 요양기관현황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각

자료를 통합하여 수집을 완료함 사망자료는 심사평가원과 연계된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전산자료를 이용하여 추출함

Page 5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1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개

3. 평가 절차와 방법

37

그림 1.4 행정자료를 이용한 자료수집방법

2) 행정자료와 조사표 이용 방법 행정자료만으로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 별도의 조사표를 이용하여 요양기관에서 자료를 수집함

조사표 방법을 병용하는 경우, 요양기관의 행정부담을 줄이고 자율적인 질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E-평가자료제출시스템’을 통하여 평가자료를 수집함

E-평가자료제출시스템의 주요기능 의료기관 자체적으로 전자의무기록(EMR)과 평가조사표의 자동연계 평가자료 상시 작성·관리로 업무 집중 부담 완화 평가지표 즉시 산출이 가능하여 자율적인 의료의 질 개선 가능 다양한 통계자료 생성 및 의료진 등 관계자와의 소통기능 추가

신뢰도 점검 - 자료내용의 유효성 및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점검을 실시함- 제출된 평가자료 중 표본을 추출하여 요양기관에 의무기록을 요청하거나 직접 요양기관을

방문하여 확인함

Page 5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38

그림 1.5 행정자료와 조사표를 이용한 자료수집방법

2.3 평가결과 분석 요양기관단위 평가 - 각 평가지표 별로 개별 의료기관의 지표 값을 산출하고, 의료기관 간의 변이를 파악함 - 평가 방식 : 목표 값이 있는 경우는 절대평가하고 그렇지 않은 지표는 동일 그룹 안에서

상대평가함 환자 중증도 보정- 환자의 중증도가 결과치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지표(예, 사망률 등의 결과지표)는 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한 후 요양기관 간 평가결과를 비교함 - 중증도 보정을 위한 환자 정보는 평가 자료 수집 시 함께 조사

종합점수 산출 및 등급화 - 평가지표가 여러 개인 항목은 항목 당 하나의 종합점수를 산출- 종합점수 산출시 지표별 가중치 부여여부는 평가항목에 따라 다름- 종합점수에 따라 평가대상기관을 등급화 함

Page 5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1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개

3. 평가 절차와 방법

39

2.4 이의신청 적정성에 대한 평가 등 심사평가원의 처분에 이의가 있는 공단·요양기관, 기타의 자는 심사평가원에 이의신청을 하여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음

이의신청은 처분이 있음을 안 날부터 90일 이내에 문서로 이의를 제기하여야 하며, 정당한 사유에 의하여 그 기간 내에 이의신청을 할 수 없는 경우 처분이 있은 날부터 180일 이내 이의 제기 가능

이의신청은 관련문서가 접수된 날부터 60일 이내에 결정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30일의 범위 안에서 그 기간을 연장 할 수 있음

2.5 결과 활용 국민홍보- 국민에게는 의료이용 선택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별 요양기관의 평가결과를 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등에 공개 요양기관의 질 향상 지원- 요양기관이 질 향상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기관의 평가결과를 벤치마킹 자료와

함께 제공- 평가결과와 개선이 필요한 전반적 사항 등에 대해서는 요양기관 설명회 등을 통하여 전달- 요양기관 현장 상담을 통하여, 해당 요양기관의 평가 자료에 기반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 제시- 질 향상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요양기관의 질 향상 활동을 공모하여 우수한 사례에 대하여

포상 및 발표기회 제공 정책적 활용 - 제도 개선 등에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결과 전반에 관한 사항을 보건복지부에 보고

Page 5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40

-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 항생제 내성관리 종합대책, 심뇌혈관센터 지정, 응급의료 센터지정 및 평가 등 정부의 타 평가에 활용, 소방방재청, 소비자단체,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에 평가정보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평가결과에 의거 진료비를 가감지급 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공단에 그 내역을 통보하여

가산 또는 감액할 수 있도록 함 심사평가원- 지표연동자율개선제, 전문병원 평가, 요양급여비용의 심사 등 업무와 연계가 필요한

사항은 심사평가원의 관련부서와 공유

그림 1.6 적정성 평가 결과의 활용

Page 5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Part 2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

1. 만성질환2. 암질환3. 약제4. 정액수가5. 중환자실6. 일반질

Page 5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5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43

1 만성질환

1.1 고혈압

1. 평가 목적 고혈압 환자관리의 질 향상 도모로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을 감소

2. 평가 추진경과 2009년 고혈압 적정성 예비평가수행 2010년 ’10년 상반기 평가결과 산출 2011년 ’10년 하반기, ’11년 상반기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2012년 ’11년 하반기, ’12년 상반기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2013년 ’12년 하반기, ’13년 상반기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 지급 2014년 ’13년 하반기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 지급 2015년 ’14년 상반기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 지급 2016년 ’14년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지급 2017년 ’15년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지급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 상 대상 상병을 주․부상병으로 외래에서 혈압강하제를 2회 이상

원외처방 받고 혈압강하제 총 투여일수가 7일 이상인 사망하지 않은 만 30세 이상 환자 (건강보험, 의료급여 및 보훈)

Page 5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44

대상 상병- I10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I11 고혈압성 심장병- I12 고혈압성 신장병- I13 고혈압성 심장 및 신장병

혈압강하제성분군 성분명

이뇨제

thiazide계 hydrochlorothiazideloop Furosemide 등

K+ sparing Spironolactone 등기타 Metolazone 등

중추신경계 작용약물 Moxonidine 등알파차단제 Doxazosin 등

베타차단제 [알파 및 베타 차단제 포함] Atenolol 등혈관확장제 Hydralazine 등

칼슘채널차단제 DHP Amlodipine 등NDHP Diltiazem 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Enalapril 등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Losartan 등

2) 대상기간 2015년 7월~2016년 6월(1년) 진료분 (2014년 7월 진료분부터 연간평가로 변경됨)3)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의 외래에서

고혈압 상병으로 혈압강하제를 원외 처방한 전산청구 기관 21,352개소- 처방지속성 평가 : 단일 기관 이용한 환자1)가 1명 이상인 기관 20,442개소- 처방 평가 : 혈압강하제가 포함된 원외처방전이 30건 이상인 기관 18,111개소

1) 단일 기관 이용 환자 : 고혈압 진료를 위해 1개 기관만 이용한 환자

Page 5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45

4. 평가 산출방법 5개 평가지표 결과가 양호한 의원만을 대상으로 공개기관 선정

단계 산출방법1단계 ■ 의원 개별 기관과 종별 지표값 산출

2단계■ 양호기관 선정 - 단일기관 이용 환자 30명 이상, 원외처방전 30건 이상인 기관을 대상으로 - 처방지속성 지표(처방일수율, 처방지속군 비율)가 각각 80% 이상인 기관 선정 - 단, 처방 지표별 결과값이 하위 10%수준 미만인 기관 제외

3단계■ 고혈압 평가결과가 양호한 의원 공개

구 분 공개기관고혈압 평가 양호 의원 양호( )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평가결과- 처방지속성 지표의 평가결과는 대부분 양호함- 처방 지표의 평가결과는 양호하지만, 평가결과가 높거나 낮은 일부 기관에 대한 중재가

필요함

영역 지표명 평가결과’15년 ’16년 전년대비

처방지속성

처방일수율 89.4 89.9 0.5↑처방지속군 비율 83.0 83.9 0.9↑

처방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 0.46 0.46 0.00(심·뇌혈관 질환 등의 동반상병이 없는 경우)

이뇨제 병용 투여율(권장지표) 86.99 86.06 0.93↓권장되지 않는 병용요법 처방률 1.47 1.41 0.06↓

표 2.1 고혈압 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

Page 5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46

2) 종합결과 평가결과가 양호한 의원( )은 고혈압을 진료하는 전체 의원(18,083개소)의 28.1%인

5,085개소로 나타남

구분 ’15년 ’16년평가대상 기관 17,725 (100.0) 18,083 (100.0)

(양호) 4,698 (26.5) 5,085 (28.1)

표 2.2 고혈압 종합결과 공개기관 현황(의원)(단위 : 기관, %)

주. ’16년 양호기관은 이의신청 결과 반영된 기관수임

지역별 현황

그림 2.1 지역별 고혈압 양호기관 비율 현황

Page 6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47

1.2 당뇨병1. 평가 목적

당뇨병 환자관리의 질향상 도모로 뇌졸중을 비롯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감소시키고 요양급여의 적정성을 제고하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0년 당뇨병 적정성 예비평가수행 2011년 당뇨병 적정성 평가 계획 보건복지부 승인 및 세부추진계획 공개 2012년 2011년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2013년 2012년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지급 2015년 2013년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지급 2016년 2014년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지급 2017년 2015년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및 가산지급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평가대상 기간 이전 1년에 혈당강하제를 원외 처방받은 환자 중 평가대상 기간에 요양급여

비용 청구명세서 상 대상상병을 주․부상병으로 의료기관 이용이 있는 환자로, 사망발생이 없고 외래 방문횟수가 2회 이상인 환자 (건강보험, 의료급여 및 보훈)

대상 상병- E10 인슐린-의존 당뇨병- E11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E12 영양실조와 관련된 당뇨병- E13 기타 명시된 당뇨병- E14 상세불명의 당뇨병

Page 6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48

대상 혈당강하제- 약효분류번호 396 당뇨병용제(9성분군)

성분군 성분명(일반명)비구아나이드 metformin

비설폰계 mitiglinide 등설폰요소제 glibenclamide 등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acarbose 등

인슐린

(초속효성) insulin aspart 등(속효성) human insulin regular(중간형) human insulin NPH(지속형) insulin detemir 등(혼합형) human insulin(N50/R50) 등

티아졸리딘디온 pioglitazone 등Dipeptidyl peptidase-4 억제제 sitagliptin 등

Glucagon-like peptide-1 수용체 효능제 exenatide 등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 억제제 dapagliflozin 등

2) 대상기간 2015년 7월~2016년 6월(1년) 진료분 (☞ 평가대상 기간 이전 1년 : 2014년 7월~2015년 6월)※ 대상 환자 선별 및 안저 검사 확인 : 평가대상 기간 및 평가대상 기간 이전 1년

3)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에서 당뇨병 상병 또는 혈당강하제의 외래 요양급여비용 청구가 발생한 기관 16,623개소- 외래방문 평가 : 평가대상 기간 동안 총 입원일수가 90일 미만인 단일기관 이용자1)가

1명 이상인 기관 15,857개소- 처방지속성 평가 : 외래방문 평가 대상기관 중 경구 혈당강하제를 투여한 단일기관이용자가

1명 이상인 기관 15,782개소- 처방 평가 : 원외처방전이 30건 이상인 기관 14,781개소- 검사 평가 : 단일기관 이용자가 1명 이상인 기관 15,889개소

1) 단일기관 이용자 : 당뇨병 진료 환자 중 평가대상 기간에 외래 진료를 받은 기관이 1개이거나, 혈당강하제 원외 처방전을 교부받은 기관이 1개인 환자

Page 6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49

4) 대상자료 당뇨병 상병(E10~E14) 또는 혈당강하제가 있는 외래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 - 검사는 입원 포함, 지질 검사는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 포함

4. 평가 산출방법 7개 평가지표 결과가 양호한 의원만을 대상으로 공개기관 선정단계 산출방법1단계 ■ 의원 개별 기관과 종별 지표값 산출

2단계

■ 양호기관 선정 ­ 평가대상자가 30명 이상이고, 4개 평가영역(외래방문, 처방지속성, 처방, 검사)을 모두 평가 받은

의원을 대상으로 ­ 분기별 1회 이상 방문환자 비율이 90% 이상이고, 처방일수율이 80% 이상인 기관 선정, ­ 단, 처방 및 검사 영역 지표별 결과가 하위 10% 수준(단, 당화혈색소 검사 시행률은 75%) 미만인

기관은 제외

3단계

■ 당뇨병 평가결과 양호 의원 공개구분 공개기관

당뇨병 평가 양호 의원 양호 ( )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평가결과- 치료지속성 평가 결과는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일부 낮은 기관에 대하여 추이 관찰이 필요함- 처방 평가 결과는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일부 높은 기관에 대하여 추이 관찰이 필요함- 검사 평가 결과는 타 평가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시행률이 낮으며, 요양기관의 종별 변이가

커 추이 관찰이 필요함

Page 6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50

영역 지표명 평가결과’15년 ’16년 전년대비

치료지속성 분기별 1회 이상 방문 환자비율 84.7 85.9 1.2↑처방일수율 88.9 89.7 0.8↑

처방 동일 성분군 중복 처방률 0.26 0.21 0.04↓4성분군 이상 처방률 0.57 0.74 0.18↑

검사주)당화혈색소 검사 시행률 76.7 78.9 2.2↑지질 검사 시행률 75.0 78.1 3.1↑안저 검사 시행률 42.2 43.0 0.8↑

주. 평가대상 기간 동안 다른 의료기관에서 실시한 검사(입원 및 외래, 지질 검사는 공단의 건강검진 자료)도 포함하여 산출(단, 안저 검사는 평가대상 기간 이전 1년 포함하여 2년)

표 2.3 당뇨병 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

2) 종합결과 당뇨병 평가결과가 양호한 의원( )은 2,978개소로 당뇨병을 진료하는 전체 의원의

21.6%로 나타남

구 분 ’15년 ’16년평가대상 기관 13,616 (100.0) 13,777 (100.0)

(양호) 2,664 (19.6) 2,978 (21.6)

표 2.4 당뇨병 종합결과 공개기관 현황(의원)(단위 : 기관, %)

지역별 현황

그림 2.2 지역별 당뇨병 양호기관 비율 현황

Page 6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51

1.3 천식1. 평가 목적

천식 환자관리의 질 향상 도모로 급성악화 및 중증으로의 이환을 줄이고 요양급여의 적정성을 제고하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2년 천식질환의 평가방안 연구(예비평가) 2012년 천식 적정성 평가계획 심의(중앙평가위원회) 및 보건복지부 승인 2013년 세부추진계획 심의(중앙평가위원회) 및 공개 2015년 2013년(1차), 2014년(2차)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2017년 2015년(3차) 평가결과 및 양호기관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 환자 평가대상 기간 중에 대상 상병을 주 또는 제1부상병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만 15세 이상

환자로서,- 천식약을 사용한 외래 진료가 2회 이상인 환자 또는,- 전신스테로이드를 사용한 입원 진료가 있고, 천식약을 사용한 외래 진료가 있는 환자

(건강보험, 의료급여 및 보훈) 대상 상병- J45 천식- J46 천식지속 상태

Page 6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52

단계 산출방법1단계 ■ 개별 기관과 전체 종별 지표값 산출

대상 천식약제성분군 성분명

스테로이드(CS1)) budesonide 등류코트리엔조절제(LTRA2)) montelukast 등

지속성 베타2항진제(LABA3)) formoterol 등속효성 베타2항진제(SABA4)) salbutamol 등

항콜린제 ipratropium, tiotrupiumXanthine 유도체 theophylline 등

주 1. CS : Corticosteroid, 스테로이드2. LTRA :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류코트리엔조절제3. LABA : Long-Acting Beta2 Agonist, 지속성베타2항진제4. SABA : Short-Acting Beta2 Agonist, 속효성베타2항진제

2) 대상기간 2015년 7월~2016년 6월(1년) 진료분3)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의 외래에서

천식을 주 또는 제1부상병으로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한 기관 16,950개소※ 제외기관

∙ 한방기관, 조산원, 보건진료소, 치과병원, 치과의원∙ 폐업기관, 전산매체 미청구 기관, 의약분업 예외인 경우 등

4. 평가 산출방법 7개 평가지표 결과가 양호한 의원만을 대상으로 공개기관 선정

Page 6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53

단계 산출방법

2단계■ 양호기관 선정 ­ 의원 중 평가대상자가 10명 이상이면서, ­ 폐기능검사 시행률 20%이상, 지속방문 환자비율 70%이상, ICS 처방 환자비율 20%

이상, 필수약제 처방 환자비율 50%이상인 기관 ­ 단, 그 외 처방영역의 평가지표 결과가 일정수준 이하(의원 하위 10% 수준)인 기관 제외

3단계■ 평가결과가 양호한 의원 공개

구분 공개기관천식 적정성 평가결과 양호 의원 양호 ( )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평가결과- (검사 영역) “폐기능검사 시행률”이 28.34%로 낮아, 개선 필요- (치료지속성 영역) 연간 3회 이상 지속적으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는 “지속방문

환자비율”은 72.02%로, 다소 양호한 수준이나 지속적인 추이 관찰 필요- (처방 영역) “ICS 처방 환자비율” 30.62% 등 ICS(흡입스테로이드) 처방이 낮아, 개선 필요

영역 지표명 평가결과’15년 ’16년 전년대비

검사 폐기능검사 시행률 24.88 28.34 3.46↑치료지속성 지속방문 환자비율 71.88 72.02 0.14↑

처방

ICS 처방 환자비율 27.06 30.62 3.56↑필수약제(ICS or LTRA) 처방 환자비율 61.08 63.65 2.57↑ICS 없이 LABA 처방 환자비율 18.26 16.77 1.49↓ICS 없이 SABA 처방 환자비율 13.21 12.92 0.29↓ICS 없이 OCS 처방 환자비율 1.12 28.20주) -

주. ICS 없이 OCS 처방 환자비율 : 세부기준 변경

표 2.5 천식 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

Page 6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54

2) 종합결과 평가결과가 양호한 의원( )은 평가대상자가 10명 이상인 의원(8,762기관)의 16.19%인

1,419기관으로 나타남

구분 ’15년 ’16년평가대상 기관 14,771 14,932

평가대상자가 10명 이상인 기관 8,866 (100.0) 8,762 (100.0) (양호) 1,278 (14.41) 1,419 (16.19)

표 2.6 천식 종합결과 공개기관 현황(의원)(단위 : 기관, %)

지역별 현황

그림 2.3 지역별 천식 양호기관 비율 현황

Page 6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55

6. 기타 주요 현황 천식약 처방 현황- 천식환자가 연간 1회 이상 처방받은 천식약을 살펴보면, ∙ 투여경로별로는, 경구제를 처방받은 환자가 93.05%인 반면, 흡입제를 처방받은 환자는

35.35%로 나타났으며,∙ 성분군별로는, 경구제인 류코트리엔조절제(LTRA) 51.92%, 경구스테로이드(OCS)

39.97%, 경구 Xanthine 유도체 39.82% 순이었음

구분 평가대상자수 처방률전체 776,882 -

투여경로별

경구 722,916 93.05 주사 75 0.01 패치 50,558 6.51 흡입 274,620 35.35

성분군별

스테로이드경구(OCS) 310,529 39.97 주사(IVCS) 66 0.01 흡입(ICS) 237,885 30.62

류코트리엔조절제(LTRA) 403,343 51.92

지속성베타2항진제(LABA)

경구 LABA 125,715 16.18 패치 LABA 50,558 6.51 흡입 LABA 216,507 27.87

성분군별

속효성베타2항진제(SABA)

경구 SABA 89,716 11.55 패치 SABA 0 0.00 흡입 SABA 90,384 11.63

항콜린제 5,617 0.72

  Xanthine 유도체   경구 Xanthine 309,373 39.82 주사 Xanthine 9 0.00

주 1. 전체 환자수의 경우, 각 구분별 환자수 중복을 제거한 숫자임 2. 처방률 : 연간 해당 약제의 처방이 발생한 환자의 비율

(단위 : 명, %)

Page 6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56

1.4 만성폐쇄성폐질환1. 평가 목적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관리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 중증으로의 이환을 줄이고 요양급여의 적정성을 제고하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2년 만성폐쇄성폐질환 평가방안 연구(예비평가) 2013년 예비평가 결과보고 및 평가계획 심의(중앙평가위원회) 2014년 평가세부추진계획 보건복지부 승인 및 공개 2015년 12월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2017년 1월 2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평가대상 기간 중에 만성폐쇄성폐질환(J43~J44, 단 J43.0은 제외)을 주 또는 제1부상병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만 40세 이상1) 환자로서,- 만성폐쇄성폐질환약을 사용한 외래진료가 2회 이상인 환자 또는,- 전신스테로이드2)를 사용한 입원진료가 있고(and), 만성폐쇄성폐질환약을 사용한 외래진료가

있는 환자

1) 만성기침, 가래, 호흡곤란은 COPD의 진단에 있어서 주된 증상이다. 기침과 가래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꼭 COPD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심각한 기류 제한으로 악화되기 전, 만성기침과 가래 증상은 수년에 걸쳐 선행되어 COPD는 천천히 진행되므로 40대 이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진단되어진다.

(WHO : Diagnosis of COPD, www.WHO.int)2) 경구스테로이드(Oral Corticosteroid) 및 주사스테로이드(Intravenous Corticosteroid)

Page 7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57

대상상병-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 Ver 7.0 기준상병코드 상병명 상병코드 상병명J43 폐기종 J44 기타 만성폐색성폐질환J43.1 범소엽성 폐기종 J44.0 급성 하기도 감염을 동반한 만성 폐색성 폐질환J43.2 중심소엽성 폐기종 J44.1 급성 악화를 동반한 상세불명의 만성 폐색성 폐질환J43.8 기타 폐기종 J44.8 기타 명시된 만성 폐색성 폐질환J43.9 상세불명의 폐기종 J44.9 상세불명의 만성 폐색성 폐질환

주 1. J43.0(맥로드 증후군)은 희귀성 질환으로 대상 상병에서 제외 2. ’16.1.1부터 J44.0~J44.9에 중증도 표기 (0:경도, 1:중등도, 2:중증, 9:상세불명)2) 대상기간 2015년 5월~2016년 4월(1년)3) 대상기관 만성폐쇄성폐질환(J43~J44, 단 J43.0은 제외)을 주 또는 제1부상병으로 외래 요양급여비용 청구가 발생한 요양기관- 종별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 ※ 제외기관∙ 치과 병ㆍ의원, 한방 병ㆍ의원, 조산원, 보건진료소∙ 폐업기관, 전산매체 미청구 기관, 의약분업예외기관 등

4) 대상약제 (만성폐쇄성폐질환약) 구 분 성분명

베타2작용제전신기관지확장제1) bambuterol 등

흡입 LABA2) indacaterol 등흡입 SABA3) salbutamol 등

항콜린제 흡입 LAMA4) tiotropium 등흡입 SAMA5) ipratropium

메틸잔틴유도체 theophylline 등스테로이드 budesonide 등

PDE4억제제6) roflumilast주 1. 전신기관지확장제 : 경구, 주사, 패치 베타2작용제2. LABA : Long-Acting Beta2 Agonist, 지속성베타2작용제3. SABA : Short-Acting Beta2 Agonist, 속효성베타2작용제4. LAMA :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지속성항콜린제5. SAMA : Short-Acting Muscarinic antagonist, 속효성항콜린제6. PDE4 : Phosphodiesterase4

Page 7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58

4. 평가 산출방법 전체 평가대상기관을 1~5등급 및 등급제외로 공개

단계 산출방법

1단계가. 평가지표별 결과산출(기관별, 종별 산출)○ 평가지표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부여 - 폐기능검사 시행률 0.4, 지속방문 환자비율 0.2,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0.4

2단계나. 기관별 종합점수 산출○ 산출식 - 종합점수=∑(지표별 결과값 X 평가지표별 가중치)○ COPD환자수가 연간 10명 이상이고, 3개 평가지표의 평가결과가 모두 산출되는 기관

3단계다. 기관별 평가등급 산출○ 종합점수 구간에 따라 1~5등급 구분 및 기관별 평가등급 부여(절대평가)○ 종합점수 미산출기관(COPD 환자수가 연간 10명 미만이거나, 3개 평가지표의 평가결과가

모두 산출되지 않는 기관)은 ‘등급제외’로 공개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2차 평가결과는 1차 대비 전반적으로 향상됨- 폐기능검사 시행률은 62.53%로 1차 평가대비 3.83%p 증가함- 지속방문 환자비율은 92.12%이며, 종별간의 차이는 미미함-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은 71.19%로 1차 평가 대비 3.26%p 증가함

표 2.7 COPD 지표별 평가결과

평가영역 지표명 평가결과’15년 ’16년 전년대비

검사 폐기능검사 시행률 58.70 62.53 3.83↑치료지속성 지속방문 환자비율 85.46 92.12 6.66↑

처방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67.93 71.19 3.26↑

(단위 : %, %p)

Page 7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59

2) 종합결과 종합점수는 평균 58.90점으로 1차 평가대비 5.01점 향상됨 - 상급종합병원 87.64점, 종합병원 73.59점, 병원 63.11점, 의원 52.52점으로 종별간 변이가 큼

표 2.8 COPD 평가 종합점수

구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기관수 건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체 1,499 129,468 58.90 21.22 60.24 6.15 100.0 41.70 75.61상급종합 43 37,720 87.64 5.41 89.16 69.39 94.73 85.35 91.46종합병원 266 57,343 73.59 12.67 73.97 19.55 96.00 63.90 84.20

병원 243 10,336 63.11 14.31 63.64 23.91 94.67 53.46 72.97의원 927 27,136 52.52 21.71 50.95 6.15 100.0 33.94 70.00

(단위 : 기관, 건, 점)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종합점수 산출기관 1,499기관 중 1등급 296기관(19.75%), 2등급 342기관(22.81%),

3등급 349기관(23.28%), 4등급 250기관(16.68%), 5등급 262기관(17.48%)임- 1등급 중 상급종합병원 40기관, 종합병원 90기관, 병원 34기관, 의원 131기관임

표 2.9 COPD 등급별 기관 현황

구분 계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계 1,499 (100.0) 43 (100.0) 266 (100.0) 243 (100.0) 927 (100.0)

1등급 296 (19.75) 40 (93.02) 90 (33.83) 34 (13.99) 131 (14.13)2등급 342 (22.81) 3 (6.98) 104 (39.10) 81 (33.33) 151 (16.29)3등급 349 (23.28) - 68 (25.56) 84 (34.57) 193 (20.82)4등급 250 (16.68) - 3 (1.13) 36 (14.82) 205 (22.11)5등급 262 (17.48) - 1 (0.38) 8 (3.29) 247 (26.65)

등급제외 5,223 - 23 331 876주 1. 비율은 종합점수 산출대상 기관수 대비 종합점수 등급별 기관수의 비율임2. 평가대상 기관 6,722개소 중 종합점수 미산출 5,223기관 “등급제외”3. 등급제외 : 평가대상자 10명미만 또는 평가지표 3개 모두 산출되지 않은 경우

(단위 : 기관, %)

Page 7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0

지역별 현황

그림 2.4 지역별 COPD 평가결과

6. 기타 주요 현황 호흡기능검사 장비 보유 여부에 따른 지표결과- 호흡기능검사 장비 보유현황은 전체평균 64.31%이며, 종별로 상급종합병원 100.0%,

종합병원 98.27 %, 병원 87.46%, 의원 62.26%임- 장비를 보유한 기관들의 평가 결과가 보유하지 않은 기관보다 우수하게 나타남

표 2.10 호흡기능검사 장비 보유 여부에 따른 지표결과

구분장비 보유한 경우 장비 보유하지 않은 경우

기관수 검사시행률

지속방문률

흡입제처방률 기관수 검사

시행률지속

방문률흡입제처방률

전체 4,323 (64.31) 67.41 92.63 74.90 2,399 (35.69) 26.81 84.98 24.46상급종합 43 (100.0) 82.37 91.45 92.59 - - - -종합병원 284 (98.27) 68.77 94.18 80.00 5 (1.73) 61.85 92.98 74.81

병원 502 (87.46) 53.02 93.54 61.42 72 (12.54) 45.91 92.41 45.18의원 3,397 (62.26) 51.25 90.09 47.28 2,059 (37.74) 21.62 84.02 23.51

(단위 : 기관, %)

Page 7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1. 만성질환

61

COPD약 처방 현황- COPD 환자가 연간 1회 이상 처방받은 COPD약을 살펴보면,∙ 투여경로별로는, 경구제 처방 72.78%, 흡입제 처방 71.80%이고,∙ 성분군별로는, 경구 메틸잔틴유도체 55.32%, 흡입 LABA 49.85%, 흡입 LAMA 47.52% 순임

표 2.11 평가대상자의 만성폐쇄성폐질환약 처방 현황(단위 : 명, %)

구분 평가대상자수 처방률1)

전체 142,7902)  -

투여경로

경구 103,928 72.78주사 6 0.00흡입 102,530 71.80패치 3,257 2.28

성분군

베타2작용제전신기관지확장제3) 33,848 23.70

흡입 LABA4) 71,179 49.85흡입 SABA5) 23,702 16.60

항콜린제 흡입 LAMA6) 67,852 47.52흡입 SAMA7) 1,475 1.03

메틸잔틴유도체 경구 메틸잔틴유도체 78,995 55.32주사 메틸잔틴유도체 1 0.00

스테로이드OCS8) 36,602 25.63IVCS9) 5 0.00ICS10) 55,104 38.59

경구 PDE4억제제11) 3,176 2.22주 1. 처방률 : 연간 해당 약제의 처방이 발생한 환자의 비율2. 전체 평가대상자수의 경우, 각 구분별 평가대상자수 중복을 제거한 숫자임3. 전신기관지확장제 : 경구, 주사, 패치 베타2작용제4. LABA : Long-Acting Beta2 Agonist, 지속성베타2작용제5. SABA : Short-Acting Beta2 Agonist, 속효성베타2작용제6. LAMA :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지속성항콜린제7. SAMA : Short-Acting Muscarinic antagonist, 속효성항콜린제8. OCS : Oral Corticosteroid, 경구스테로이드9. IVCS : Intravenous Corticosteroid, 주사스테로이드10. ICS : Inhaled Corticosteroid, 흡입스테로이드11. PDE4 : Phosphodiesterase4

Page 7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2

2 암질환

2.1 대장암

1. 평가 목적 대장암 평가를 통한 진료과정 개선으로 질적 수준 향상

2. 평가 추진경과 2010년 예비평가 실시 2011년 평가계획 복지부 승인 2012년 1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2013년 2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2014년 3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2016년 4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2017년 5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원발성 대장암으로 수술 받은 만 18세 이상인 환자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대상 상병-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C18~C20 (주․부상병 포함)

대상 수술- 자-267 결장절제술- 자-292 직장 및 에스장절제술- 자-292-1 결장 및 직장전절제술

Page 7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63

단계 산출방법

1단계가. 지표별 결과산출 ○ 결과산출 단위 : 환자 및 요양기관별, 종별 결과 산출 ○ 결과산출 값 : 비율,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사분위수(Q1,Q3) 등 기술통계량 값 산출

2단계

나. 사망률 산출 ○ 행정자치부의 사망자료 활용 ○ 사망률 지표는 실제사망률과 예측사망률 산출 - 실제사망률과 환자위험요인을 보정변수로 적용한 위험도 보정모형을 통해 예측사망률 산출 ■ 보정변수 선정 < 선정방법 > - 암수술 후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위험요인을 문헌검토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우선 선정 - 조사자료를 통해 얻는 보정변수별 처리방법 등은 단변량 분석결과, 전문가 자문회의, 위험도 보정

모형에 의해 최종 선정

※ 과정지표 : 대장암 수술 환자 중 암 병기가 AJCC1) Ⅰ~Ⅲ인 환자결과지표 : 대장암 수술 환자 중 암 병기가 AJCC Ⅰ~Ⅳ인 환자, 대장암 수술 이전 5년 내 다른 원발성 암상병이 있는 환자

제외기준- 5년 내 다른 원발성 암상병이 있는 환자(과정지표)- 재발암이나 속발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다른 기관에서 수술 후 전원 온 환자- 암병기 0기인 환자

2) 대상기간 2015년 1월~2015년 12월(1년) 진료분3) 대상기관 평가대상 환자를 청구한 252개 요양기관 (상급종합병원 43, 종합병원 179, 병원 28, 의원 2기관)

4. 평가 산출방법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종별 통합하여 5등급으로 구분

1) 미국공동암위원회(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Page 7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4

단계 산출방법

■ 위험도 보정모형의 설계 - 사망여부를 종속변수로, 환자위험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모형을 구축 - 최종 모형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보정변수가 모두 포함되고 모형의 판별력과 교정력을 판단하는

통계량과 교정 절편(≒0), 교정 기울기(≒1)가 좋은 것으로 선택 ■ 위험도 보정모형에 적용된 보정변수 및 모형적합성 - 모든 보정변수는 범주형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으며, 범주형 구간은 문헌검토와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결과, 전문가자문회의를 통해 결정 보정변수

청구자료 (공통) 조사자료- 성별, 연령, 의료보장종류- 수술유형, 동반상병지수(CCI)1)

- BMI2)

- ASA점수3)

- 동반수술여부 - 응급입원여부- 암병기- 과거복부수술여부

주 1. 동반상병지수 : 과거 1년간 입원·외래로 청구된 상병을 charlson comorbidity index로 구분한 지수의 합2. BMI : 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로 체중(kg)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 3. ASA점수 : 마취과의사가 평가한 환자상태

3단계

다. 종합점수 및 등급 산출 ○ 종합점수 산출 - 평가지표를 5개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종합점수 산출 - 수술사망률은 위험도 보정한 사망률을 생존지수로 변환하여 산출

■ 종합점수 산출식 = ∑{(지표별 분자합/지표별 분모합) × 지표별·그룹별 가중치)} × 100가중치의 총합 *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가중치 및 기준 【 종합점수 및 등급 산출 대상기관 】 - 평가대상 총 건수가 10건 이상이면서 세부 기준에 충족되는 기관 -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가중치 및 산출 대상기관 기준

그룹 지표수 가중치 세부기준구조영역 1 5

모든 지표 발생기관검사 및 교육영역 5 15수술영역 4 37결과영역 2 13

보조요법 영역 8 30 5개 이상 지표 발생기관주 1. 진단적 평가 그룹의 장루관리 교육 시행률 지표는 미 발생기관도 포함 2. 대상기관 이외의 기관은 등급제외 함 3. 단, 평가대상 총 건수가 1건 이상인 기관들에서 지표별 결과값이 있는 기관들은 각 지표별 결과값을 요양기관에 통보함

Page 7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65

단계 산출방법 ○ 등급 산출 -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종별 통합하여 5개 등급으로 구분

등급 종합점수 공개방식1등급 90점 이상2등급 80점 이상 ~ 90점 미만3등급 70점 이상 ~ 80점 미만4등급 60점 이상 ~70점 미만5등급 60점 미만

등급제외 종합점수 미산출 기관 등급제외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구조부문- 치료대응력 영역인 전문인력(외과, 병리과, 혈액종양내과) 구성률은 67.9%로 전체 지표

중 가장 낮은 지표 충족률을 보임표 2.12 대장암 구조지표 평가결과

영역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치료대응력 전문인력 구성 여부 66.2 67.9 1.7↑

(단위 : %, %p)

과정부문- 진단적 평가 및 기록 충실률 관련 지표• 해당 지표 모두 높은 충족률을 보이며, 전년 대비 향상됨

- 환자교육 관련 지표• 장루 관리 교육 시행률은 전체 평균 98.6%이며, 전년 대비 유사함

- 수술 관련 지표• 절제술의 완전성 평가 기록률은 98.2%이며, 전년 대비 1.7%p 향상됨

Page 7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6

- 항암화학요법 관련 지표• 수술 후 8주 이내 항암화학요법 시행률은 96.2%로 전년 대비 2.5%p 향상됨

- 방사선 치료 관련 지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율(직장암)은 87.3%로 전년 대비 6.5%p 향상됨

영역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진단적 평가 및기록 충실률

수술 전 통증 평가율 97.6 98.3 0.7↑암 가족력 확인 비율 96.8 98.1 1.3↑수술 전 정밀 검사 시행률 95.4 96.1 0.7↑ 절제술의 완전성 평가 기록률 96.5 98.2 1.7↑ 수술 후 3개월 내 CEA 검사 시행률 97.9 98.1 0.2↑ 병리보고서 기록 충실률 98.9 99.4 0.5↑ 12개 이상의 국소 임파절 절제 및 검사율 93.5 95.0 1.5↑ 임상의 암 관련 정보 기록률 99.1 99.3 0.2↑

환자교육 장루 관리 교육 시행률 98.7 98.6 0.1↓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비율 (Stage I) 98.1 99.1 1.0↑수술 후 8주 이내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93.7 96.2 2.5↑항암화학요법 계획을 설명한 환자 비율 97.6 98.9 1.3↑Flow sheet 사용률 96.8 97.7 0.9↑권고된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95.2 97.4 2.2↑항구토제를 투여 받은 환자 비율 98.6 99.2 0.6↑

방사선치료

수술 후 방사선 치료율(직장암) 80.8 87.3 6.5↑항암화학요법ㆍ방사선치료 병용 시행률(직장암) 98.7 99.2 0.5↑

표 2.13 대장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

Page 8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67

결과부문- 평균 입원일수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며, 수술사망률 전체 평균은 1.37%로 전년 대비

0.21%p 증가되었고, 종합병원이 전체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평균 입원일수(LI) 1.17 1.14 0.03↓수술사망률 1.16 1.37 0.21↑

표 2.14 대장암 결과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

2) 종합점수 결과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평균 96.16점이며, 최소 40.99점에서 최대 100.00점으로

기관 간 편차가 나타남- 상급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99.51±0.57점으로 종합병원 94.84±8.55점, 병원

92.13±10.29점보다 점수는 높고 편차는 적음

구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기관수 건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체 134 16,946 96.16 7.59 98.77 40.99 100.00 96.35 99.59 상급종합 43 11,523 99.51 0.57 99.50 97.85 100.00 99.17 99.94 종합병원 82 4,798 94.84 8.55 97.74 40.99 100.00 94.68 99.47

병원 9 625 92.13 10.29 96.14 63.90 98.08 95.43 96.80

표 2.15 대장암 평가 종합점수(단위 : 기관, 건, 점)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전체 134기관 중 1등급 119기관(88.9%), 2등급 8기관(6.0%), 3등급 5기관(3.7%), 4등급

1기관(0.7%), 5등급 1기관(0.7%)으로 나타남

Page 8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8

구분 전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소계 134 (100.0) 43 (100.0) 82 (100.0) 9 (100.0)1등급 119 (88.9) 43 (100.0) 69 (84.2) 7 (77.8)2등급 8 (6.0) - 7 (8.5) 1 (11.1)3등급 5 (3.7) - 5 (6.1) -4등급 1 (0.7) - - 1 (11.1)5등급 1 (0.7) - 1 (1.2) -

표 2.16 대장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단위 : 기관, %)

지역별 현황

그림 2.5 지역별 대장암 평가결과

6. 기타 주요 현황 암병기 현황

그림 2.6 대장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Page 8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69

2.2 유방암1. 평가 목적

유방암 평가를 통한 진료과정 개선으로 질적 수준 향상

2. 평가 추진경과 2011년 평가지표 개발 및 예비조사 2012년 평가계획 복지부 승인 및 공개 2013년 1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2014년 2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2016년 3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2017년 4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원발성 유방암으로 수술 받은 만 18세 이상인 여성환자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대상 상병-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C50 유방의 악성신생물 (주․부상병 포함)- 암병기 : AJCC1) Ⅰ~Ⅲ

대상 수술 : 자-713 유방절제술가. 단순전절제(N7131)다. 부분절제(N7133)마. 근치절제술(N7135)

1) 미국공동암위원회(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Page 8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70

단계 산출방법

1단계가. 지표별 결과산출 ○ 결과산출 단위 : 환자 및 요양기관별, 종별 결과 산출 ○ 결과산출 값 : 비율,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사분위수(Q1,Q3) 등 기술통계량

값 산출

2단계

나. 종합점수 산출 - 유사성 있는 평가지표별로 4개 영역으로 그룹화 후 각 그룹별로 중요도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종합점수 산출■ 종합점수 산출식 = ∑{(지표별 분자합/지표별 분모합) × 그룹별 가중치)} × 100가중치의 총합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가중치 및 기준

제외기준- AJCC stage Ⅳ인 환자 - 양측 유방에 종양이 발생한 경우 (한쪽 유방에 종양 발생 후 시차를 두고 다른 쪽 유방에

원발성 종양이 발생한 경우도 제외)- 5년 이내 다른 원발성 암상병을 진단받은 환자 - 타병원에서 수술 혹은 치료를 받고 전원 온 환자 (기종양 절제,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 항암화학요법 : 항암제, 호르몬제, 표적치료제 포함- 국소진행성 유방암 중 염증성, 잠재성 유방암- 육종이나 림프종 등의 기타 암- 임신 중인 환자- 주민등록번호 오류가 있는 건

2) 대상기간 2015년 1월~2015년 12월(1년) 진료분3) 대상기관 평가대상 환자를 청구한 187개 요양기관 (상급종합병원 43, 종합병원 114, 병원 22, 의원 8기관)

4. 평가 산출방법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종별 통합하여 5등급으로 구분

Page 8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71

단계 산출방법 【 종합점수 및 등급 산출 대상기관 】 - 평가대상 총 건수가 10건 이상이면서 보조요법영역 지표 5개 이상 발생 기관 -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지표수 및 가중치

그룹 지표수 가중치구조부분 1 12

기록 충실도 6 28수술관련 3 20보조요법

(내분비, 항암, 표적, 방사선치료) 8 40주. 단, 평가대상 총 건수가 1건 이상인 기관들에서 지표별 결과값이 있는 기관들은 각 지표별 결과값을 요양기관에 통보함

(단위: 개, %)

3단계

다. 등급 산출 -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종별 통합하여 5등급으로 구분

등급 공개방식 종합점수1등급 95점 이상2등급 90점 이상~95점 미만3등급 85점 이상~90점 미만4등급 80점 이상~85점 미만5등급 80점 미만

등급제외 등급제외 종합점수 미산출 기관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구조부문- 치료대응력인 전문인력(외과, 혈액종양내과, 병리과, 방사선 종양학과) 구성여부에 있어

상급종합은 99.4%인 반면 종합병원은 67.2%로 특히 혈액종양내과와 방사선종양학과가 낮았으며, 병·의원은 각각 28.7%, 25.0%의 낮은 구성률을 보이며, 종별 간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Page 8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72

평가지표 전체평균 충족률’15년 ’16년 전년 대비

전문인력 구성 여부 68.4 68.3 0.1↓

표 2.17 유방암 구조지표 평가결과 (단위 : %, %p)

과정부문- 진단적 평가 및 기록 충실률 관련 지표• 전체평균 98.0%~100.0%로 높은 충족률을 보이며, 전년 대비 유사한 양상을 보임

- 수술 관련 지표• 감시림프절 생검 또는 액와림프절 절제술 시행률 지표 충족률은 전체평균 99.6%로 높은 충족률을 보임

• 최종절제연이 침윤성 유방암 음성 비율 지표 충족률은 전체평균 99.4%로 높은 충족률을 보임

- 전신보조요법 관련지표• 전체평균 95.0%~99.7%의 충족률을 보이며, AI 투여 전 환자의 골밀도 검사 시행률 지표의 경우 전년 대비 2.9%p 향상됨

- 방사선 치료 관련지표• 전체평균 94.4%, 98.7%로 높은 충족률을 보이며, 전년 대비 유사한 양상을 보임

Page 8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73

영역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진단적 평가 및

기록충실률

유방암 가족력 확인 비율 98.4 98.6 0.2↑전신상태 평가 기록 비율 99.0 99.0 0.0보조치료 동의서 비율 97.5 98.0 0.5↑ 항암화학요법 기록 비율 99.5 99.6 0.1↑방사선치료 기록 비율 100.0 100.0 0.0 병리보고서 기록 충실률 98.5 98.8 0.3↑임상의 암 관련 정보 기록률 99.5 99.4 0.1↓

수술관련 감시림프절 생검 또는 액와림프절 절제술 시행률 99.7 99.6 0.1↓최종절제연이 침윤성 유방암 음성 비율 99.7 99.4 0.3↓

전신보조요법

수술 후 8주 이내에 보조요법(항암화학요법 또는 내분비요법) 시행률 99.8 99.7 0.1↓보조내분비요법 시행률 99.6 99.4 0.2↓권고된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97.3 99.0 1.7↑항구토제를 투여받은 환자 비율 99.5 99.7 0.2↑표적치료 시행률 94.8 95.4 0.6↑AI 투여 전 환자의 골밀도 검사 시행률 92.1 95.0 2.9↑

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 시작 시기 98.8 98.7 0.1↓유방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률 92.3 94.4 2.1↑

표 2.18 유방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단위: %, %p)

2) 종합결과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평균 97.02점이며, 최소 74.29점에서 최대 100.00점으로

기관 간 편차가 나타남

Page 8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74

구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기관수 건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 체 109 7,819 97.02 5.35 99.64 74.29 100.00 96.42 99.96상급종합 42 4,710 99.80 0.27 99.86 98.85 100.00 99.74 100.00종합병원 58 2,652 96.70 4.91 99.49 80.55 100.00 94.50 99.87

병 원 6 359 85.86 7.76 88.19 74.29 92.97 78.81 92.70의 원 3 98 86.56 2.38 87.32 83.89 88.47 83.89 88.47

표 2.19 유방암 평가 종합점수 (단위 : 기관, 건, 점)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1등급에 속하는 기관은 종합점수 산출 대상 109기관 중 84기관이었고, 상급종합병원

42기관 (100.0%), 종합병원 58기관 중 42기관(72.4%)이 포함됨

구분 전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소계 109 (100.0) 42 (100.0) 58 (100.0) 6 (100.0) 3 (100.0)1등급 84 (77.1) 42 (100.0) 42 (72.4) - -2등급 12 (11.0) - 9 (15.5) 3 (50.0) -3등급 8 (7.3) - 5 (8.6) 1 (16.7) 2 (66.7) 4등급 3 (2.8) - 2 (3.0) - 1 (33.3) 5등급 2 (1.8) - - 2 (33.3) -

표 2.20 유방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단위 : 기관, %)

Page 8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75

지역별 현황

그림 2.7 지역별 유방암 평가결과

6. 기타 주요 현황 암 병기 현황

그림 2.8 유방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Page 8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76

2.3 폐암1. 평가 배경 및 목적

폐암 평가를 통한 진료과정 개선으로 질적 수준 향상

2. 평가 추진경과 2012년 예비평가 실시 2013년 평가계획 복지부 승인 2014년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2016년 2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2017년 3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원발성 폐암으로 수술 또는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치료를 받은 만 18세 이상인 입원환자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대상 상병-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C34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주․부상병 포함)

※ 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 모두 포함- 암병기 : AJCC Ⅰ~Ⅳ인 환자

대상 수술- 수술 : 자140 폐쐐기절제술, 자141 폐구역절제술, 자142 폐엽절제술, 자143 폐전적출술- 항암화학요법 : cisplatin, carboplatin, vinorelbine, paclitaxel, etoposide, docetaxel,

irinotecan, gemcitabine, erlotinib, pemetrexed, gefitinib, mitomycin C, vinblastine, cyclophoshamide, doxorubicin, topotecan, belotecan, methotrexate, vincristine, afatinib, crizotinib, ifosfamide

Page 9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77

단계 산출방법

1단계가. 지표별 결과산출 ■ 결과산출 단위 : 환자 및 요양기관별, 종별 결과 산출 ■ 결과산출 값 : 비율,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사분위수(Q1, Q3) 등 기술통계량 값 산출

2단계

나. 종합점수 산출 - 유사성 있는 평가지표별로 6개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로 중요도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종합점수 산출

■ 종합점수 산출식 = ∑{(지표별 분자합/지표별 분모합) × 지표별 가중치)} × 100가중치의 총합

- 방사선 : 다405 체외조사, 다405-1 회전조사, 다406 입체조형치료, 다411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 다412 체부 정위적 방사선 수술, 다412-1뇌 정위적 방사선 수술, 다-413양성자 치료, 다-414 세기변조 방사선치료

제외기준-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를 전혀 받지 않은 환자- 다른 기관에서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전원 온 환자- 기관의 악성신생물(C33), 기관지 및 폐 상피내암종(D02.2)- 5년 내 다른 원발성 암 상병 진단받은 경우- 동시 또는 폐암 진단 후 다른 원발성 암 진단받은 double primary 암환자(폐부위 포함)- 재발 환자- sarcoma, carcinoid, lymphoma, salivary type- 주민등록번호 오류 건

2) 대상기간 2015년 1월~2015년 12월 진료분3) 대상기관 평가대상 환자를 청구한 132개 요양기관 (상급종합병원 43, 종합병원 81, 병원 7, 의원 1기관)

4. 평가 산출방법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종별 통합하여 5등급으로 구분

Page 9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78

단계 산출방법 *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가중치 및 기준 【 종합점수 및 등급 산출 대상기관 】 - 평가대상 총 건수가 10건 이상 기관 -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지표수 및 가중치

그룹 지표수 가중치구조영역 1 21

진단적 평가 및 기록충실도 영역 5 18수술영역 2 10

전신요법(항암치료)영역 8 32방사선치료 영역 4 16

결과영역 1 3주. 단, 평가대상 총 건수가 1건 이상인 기관들에서 지표별 결과값이 있는 기관들은 각 지표별 결과값을 요양기관에 통보함

(단위 : 개, %)

3단계

다. 등급 산출 - 산출된 종합점수를 5점 간격으로 5등급으로 구분

등급 공개방식 종합점수1등급 95점 이상2등급 90점 이상~95점 미만3등급 85점 이상~90점 미만4등급 80점 이상~85점 미만5등급 80점 미만

등급제외 등급제외 종합점수 미산출 기관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구조부문- 치료대응력인 전문인력(호흡기내과, 혈액종양내과, 흉부외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구성률은 전체 평균 86.1%로 상급종합 99.6%, 종합병원 81.2%로 나타남

Page 9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79

평가지표 전체평균 충족률’15년 ’16년 전년대비

전문인력 구성여부 88.5 86.1 2.4↓

표 2.21 폐암 구조지표 평가결과(단위 : %, %p)

과정부문- 진단적 평가 및 기록 충실도 영역 지표• 전체 평균 97.0%~99.7%로 높은 충족률을 보이며, 2차 평가 대비 4개 지표에서

0.1%p~0.6%p 향상률을 보임. 치료 전 정밀검사 시행 비율은 97.0%로 2차 평가 대비 0.4%p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타 지표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

- 수술 관련 지표• 전체 평균 99.6%~99.8%의 매우 높은 충족률 보이며 2차 평가 대비 0.3%p~1.0%p

향상률을 보임- 전신요법 관련 지표 • 전체평균 96.0%~99.9%로 높은 충족률을 보임. 2개 지표에서 2차 평가 대비 유사한

충족률을 보이며, 4개 지표에서 2차 평가 대비 0.2%p~1.8%p 향상률을 보임.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시행률이 97.5%로 2차 평가 대비 1.8%p 크게 향상되었음. 제한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의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의 경우 2차 평가 대비 3.4%p 낮아져 96.0%의 충족률을 보임

- 방사선 치료 관련지표• 전체 평균 94.2%~99.9%로 2차 평가 대비 3개 지표 0.3%p~1.5%p 향상률을 보이나,

수술불가능 Ⅲ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은 94.2%로 2차 평가 대비 3.6%p 낮아짐

Page 9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80

영역 지표명전체평균

’15년 ’16년 전년대비

진단적 평가 및

기록충실도

흡연력 기록 비율 99.6 99.7 0.1↑ 전신상태 평가기록 비율 99.4 99.7 0.3↑ 치료 전 정밀 검사 시행 비율 96.6 97.0 0.4↑ 임상의에 의한 암 병기 기록 비율 99.1 99.5 0.4↑ 치료 전 병리학적 확정 진단 비율 99.1 99.7 0.6↑

수술관련 병리보고서 기록 충실률 98.6 99.6 1.0↑ 림프절 절제 또는 림프절 샘플링 시행률 99.5 99.8 0.3↑

전신요법

항암화학요법 환자 동의서 비율 99.3 99.5 0.2↑ Flow sheet 사용률 99.0 99.7 0.7↑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비율(stage IA) 99.7 99.3 0.4↓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95.7 97.5 1.8↑ 항구토제를 투여 받은 환자 비율 99.4 99.7 0.3↑ 제한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 99.4 96.0 3.4↓ 항암제 투여시 항암제 부작용 평가 비율 99.7 99.7 0.0 IIIB/IV기 비소세포폐암환자의 항암화학요법시 정기적인종양반응 평가 기록 비율 99.9 99.9 0.0

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 기록 비율 99.6 99.9 0.3↑ 근치적 방사선 치료과정 중 부작용 평가, 전기적 영상 검교정 기록 비율 97.7 99.2 1.5↑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2개월 이내 종양반응 및 부작용 평가 기록 비율 98.8 99.6 0.8↑ 수술불가능 III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 97.8 94.2 3.6↓

표 2.22 폐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

결과부문- 평균 입원일수(LI)는 폐암 수술로 입원 진료를 받은 환자가 대상이며 1.23으로 나타남

Page 9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81

2) 종합결과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평균 97.47점이며, 최소 76.59점에서 최대 100.00점으로 기관 간 편차가 나타남

구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기관수 건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 체 89 10,251 97.47 5.21 99.06 76.59 100.00 98.40 99.75 상급종합 42 7,372 99.16 0.77 99.08 97.11 100.00 98.82 99.61 종합병원 47 2,879 95.96 6.79 99.04 76.59 100.00 96.83 99.80

표 2.23 폐암 평가 종합점수 (단위 : 기관, 건, 점)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1등급에 속하는 기관은 종합점수 대상 89기관 중 80기관(89.9%)이었고, 상급종합병원

42기관 중 42기관(100.0%), 종합병원 47기관 중 38기관(80.9%)이 포함됨

구분 전체 상급종합 종합병원소계 89 (100.0) 42 (100.0) 47 (100.0)1등급 80 (89.9) 42 (100.0) 38 (80.9)2등급 - - -3등급 2 (2.2) - 2 (4.3)4등급 4 (4.5) - 4 (8.5)5등급 3 (3.4) - 3 (6.4)

표 2.24 폐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단위 : 기관, %)

Page 9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82

그림 2.9 지역별 폐암 평가결과

지역별 현황

6. 기타 주요 현황 암 병기 현황

21.3

26.4

24.5

6.8

7.1

7.0

50.0

15.2

14.9

15.0

100.0

50.0

38.9

34.4

36.0

4.4

5.5

5.1

13.0

11.5

12.1

0.5

0.2

0.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

전체

StageⅠ StageⅡ StageⅢ StageⅣ 제한 확장 기타

(%)

그림 2.10 폐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Page 9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83

2.4 위암1. 평가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위암은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며, 암 사망률은 폐암, 간암에 이어 3위를 차지함

※ 통계청, 2016년 발표 - 인구 10만명당 암 발생 환자: 갑상선암 60.7명 > 위암 58.8명 > 대장암 53.1명 -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 환자: 폐암 34.1명 > 간암 22.2명 > 위암 16.7명 2015년 1차 평가 결과 위암 치료에 대한 질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의료기관

간 구조와 진료과정의 적절성에는 차이를 보임 이에, 위암 치료과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 하여 진료변이를 감소시키는

등 진료의 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3년 위암 예비평가 실시 2014년 평가계획 복지부 승인 2016년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2017년 2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원발성 위암(C16)으로 수술 받은 만 18세 이상 환자(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 암 병 기• 과정지표 : AJCC1)Ⅰ~Ⅲ• 결과지표 : AJCCⅠ~Ⅳ

1) AJCC(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 미국공동암위원회

Page 9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84

단 계 산 출 방 법

1단계가. 지표별 결과산출 ○ 결과산출 단위 : 환자 및 요양기관별, 종별 결과 산출 ○ 결과산출 값 : 비율,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사분위수(Q1,Q3) 등 기술통계량 값

산출

2단계

나. 사망률 산출 ○ 행정자치부의 사망자료 활용 ○ 사망률 지표는 실제사망률과 예측사망률 산출 - 실제사망률과 환자위험요인을 보정변수로 적용한 위험도보정모형을 통해 예측사망률 산출

■ 보정변수 선정 < 선정방법 > - 암수술 후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위험요인을 문헌검토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우선 선정 - 조사자료를 통해 얻는 보정변수 변수별 처리방법 등은 단변량 분석결과, 전문가 자문회의,

위험도 보정모형에 의해 최종 선정 ■ 위험도 보정모형의 설계 - 사망여부를 종속변수로, 환자위험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모형을 구축

대상수술 : 「내시경 절제술」또는「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자765나, 자765다, 자253, 자259)

제외기준 - 5년 내 다른 원발성 암 상병을 진단받은 환자(결과지표 대상에는 포함)- 위암 재발 환자- 다른 기관에서 수술(위절제술), 선행요법(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 후 전원 온

환자2) 대상기간 2015년 1월~12월(12개월) 입원 진료분3) 대상기관 평가대상 환자를 청구한 221개 요양기관(상급종합병원 43, 종합병원 151, 병원 25, 의원 2기관)

4. 평가 산출방법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종별 통합하여 5등급으로 구분

Page 9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85

단 계 산 출 방 법 - 최종 모형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보정변수가 모두 포함되고 모형의 판별력과 교정력을 판단하는

통계량과 교정 절편(≒0), 교정 기울기(≒1)가 좋은 것으로 선택 ■ 위험도 보정모형에 적용된 보정변수 및 모형적합성 - 모든 보정변수는 범주형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으며, 범주형 구간은 문헌검토와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결과, 전문가자문회의를 통해 결정 보 정 변 수

청 구 자 료(공 통) 조 사 자 료- 연령, 의료보장종류- 동반상병 지수1)

- BMI2)

- ASA점수3)

- 동반수술여부

- 응급수술 여부- 암병기

주 1. 동반상병 지수 : 과거 1년간 입원·외래로 청구된 상병을 charlson comorbidity index (동반상병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17개의 질환으로 구성되며, 1년 사망률에 대한 보정된 상대 위험비를 근거로 각 범주마다 1~6점의 가중치를 부여한 점수)로 구분한 점수의 합2. BMI : 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로 체중(kg)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3. ASA점수 : 마취과의사가 평가한 환자상태

3단계

다. 종합점수 및 등급 산출 ○ 종합점수 산출 - 평가지표를 5개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종합점수 산출 - 수술사망률은 위험도 보정한 사망률을 생존지수로 변환하여 산출

■ 종합점수 산출식 = ∑{(지표별 분자합/지표별 분모합) × 지표별 가중치)} × 100가중치의 총합

*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가중치 및 기준 【 종합점수 및 등급 산출 대상기관 】 - 평가대상 총 건수가 10건 이상인 기관 - 내시경절제술과 위절제술을 모두 시행한 기관 - 항암화학요법 영역 6개 지표 중 3개 이상 발생 기관

<종합점수 산출 그룹별 가중치>그 룹 지 표 수 가 중 치

구조영역 1 10진단적 평가영역 3 12

수술영역 6 45항암화학요법영역 6 20

결과영역 2 13(수술사망률 10, 입원일수 장기도지표 3)

주. 대상기관 이외의 기관은 등급제외 함 ■ 단, 평가대상 총 건수가 1건 이상인 기관들에서 지표별 결과값이 있는 기관들은 각 지표별

결과값을 요양기관에 통보함

Page 9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86

단 계 산 출 방 법 ○ 등급 산출 - 산출된 종합점수를 10점 간격 5등급으로 구분

등급 공개방식 종합점수1등급 90점 이상2등급 80점 이상~90점 미만3등급 70점 이상~80점 미만4등급 60점 이상~70점 미만5등급 60점 미만

등급제외 등급제외 종합점수 미산출 기관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구조부문- 치료대응력 영역인 전문인력(외과, 소화기내과, 혈액종양내과, 병리과, 영상의학과)

구성률은 평균 80.4%임- 진료과목별로는 외과(98.5%), 영상의학과(97.0%), 소화기내과(93.0%)가 높은 충족률을

보이는 반면, 병리과(68.0%), 혈액종양내과(45.4%)는 충족률이 낮게 나타남

표 2.25 위암 구조부문 평가결과

지표명 구분 전체 외과 소화기내과 혈액종양내과 병리과 영상의학과

전문인력구성 여부

전체 80.4 98.5 93.0 45.4 68.0 97.0상급종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종합병원 79.7 99.8 92.5 38.0 68.4 99.8

병원 54.7 91.7 82.9 0.0 16.0 82.8 의원 30.0 50.0 100.0 0.0 0.0 0.0

(단위 : %)

Page 10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87

과정부문- 진단적 평가 영역(5개 지표) • 진단적 평가영역의 전체 평균은 98.1% 이상으로 높은 충족률을 보임

- 수술 관련 영역(6개 지표)• 수술 관련 영역은 대체로 90% 이상의 높은 충족률을 보임. 그러나 불완전 내시경 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 실시율이 84.4%로 낮은 충족률을 보이고 있음

- 항암화학요법 영역(4개 지표)• 항암화학요법 영역은 대체로 90% 이상의 높은 충족률을 보임. 그러나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 Ⅱ~Ⅲ)이 85.4%로 낮은 충족률을 보임

• 요양기관종별로는 병원에서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항암화학요법 실시율이 62.5%로 낮은 충족률을 보임

표 2.26 위암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영역 지 표 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진단적 평가

절제술 전 복부조영 CT 실시율 98.9 98.5 0.4↓절제술 전 진단적 내시경 검사 기록률 97.4 98.1 0.7↑절제술 전 병리조직 검사 실시율 99.1 99.1 0.0전신상태 평가기록 비율 99.0 98.6 0.4↓항암화학요법 전문의 암병기 기록률 99.9 99.8 0.1↓

수술영역

내시경 절제술 치료내용 기록 충실률 99.1 98.2 0.9↓불완전 내시경 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 실시율 76.3 84.4 8.1↑병리진단 보고서 기록 충실률 99.6 99.5 0.1↓위절제술 후 수술 기록 충실률 98.6 98.9 0.3↑국소 림프절 절제 및 검사율 98.2 97.8 0.4↓위암에 대한 근치적 수술 비율 98.1 98.1 0.0

항암화학요법영역

권고되지 않은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1a) 99.8 99.9 0.1↑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Ⅱ~Ⅲ) 84.0 85.4 1.4↑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 94.4 95.0 0.6↑Flow sheet 사용률 97.5 96.4 1.1↓

(단위 : %, %p)

Page 10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88

결과부문- 입원일수 장기도 지표(LI)는 1.15, 수술 사망률 전체 평균은 0.66%이며, 종합병원은 위험도

보정요인을 고려한 예측사망률 비교 실제 사망률이 높았으며 그 외 요양기관종별에서는 예측사망률 비교 실제 사망률이 낮았음

표 2.27 위암 결과지표별 평가결과

지 표 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입원일수 장기도 지표(LI) 1.14 1.15 0.01↑수술 사망률 0.88 0.66 0.22↓

(단위 : %, %p)

2) 종합점수 결과 종합점수 전체평균은 95.77점이었음- 상급종합병원 99.07점, 다음으로 종합병원 93.87점, 병원 91.66점 순임 - 기관별 편차는 종합병원에서 최소 61.52점~최대 100.00점으로 가장 컸음

표 2.28 위암 평가 종합점수

구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기관수 건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체 114 21,619 95.77 7.46 98.41 61.52 100.00 96.22 99.59상급종합 43 16,239 99.07 1.07 99.19 96.27 100.00 98.23 99.86종합병원 68 5,340 93.87 8.92 97.64 61.52 100.00 92.26 99.36

병원 3 40 91.66 6.58 95.74 82.38 96.85 89.06 96.30

(단위 : 기관, 건, 점)

Page 10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89

그림 2.11 지역별 위암 평가결과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전체 114기관 중 종합점수 90점 이상(1등급)이 98기관(86.0%)로 대부분을 차지함

표 2.29 위암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

구분 전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전체 114 (100.0) 43 (100.0) 68 (100.0) 3 (100.0)1등급 98 (86.0) 43 (100.0) 53 (77.9) 2 (66.7)2등급 9 (7.9) - 8 (11.8) 1 (33.3)3등급 4 (3.5) - 4 (5.9) -4등급 3 (2.6) - 3 (4.4) -5등급 - - - -

(단위 : 기관, %)

지역별 현황

Page 10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90

6. 기타 주요 현황 수술방법에 따른 종별 현황- 원발성 위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위절제술을 받은 수가 내시경절제술을 받은 수의

두 배 수준이었음

83.3

55.2

37.7

34.8

35.7

16.7

44.8

62.3

65.2

64.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

전체

내시경절제술 위절제술

(%)

그림 2.12 수술방법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암 병기 현황- 암 병기는 StageⅠ이 16,686건(75.7%)로 가장 높았으며 Stage Ⅳ는 663건(3.0%)로

낮게 나타나며, 종별 분포도도 비슷함

그림 2.13 위암 병기에 따른 종별 분포 현황

Page 10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91

2.5 간암 진료결과1. 평가 배경 및 목적

암은 국내 인구당 사망원인 1위로, 그 중 간암은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함 ※ 인구 10만 명당 암 사망 환자(통계청, 2016년 발표): 폐암 34.1명, 간암 22.2명, 위암 16.7명

2012년 대장암·위암·간암 수술사망률 평가결과 암 진료전반에 대한 질 관리 필요성이 제기되어 대장암을 비롯하여 유방암, 폐암, 위암으로 확대하여 진료과정 전반을 평가함

그러나, 간암은 2013년 예비평가 실시 결과 표준화된 간암 치료법이 없으므로, 간절제술의 국가적인 수술사망률에 대해 우선 평가해 보기로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3년 예비평가 실시 2016년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대상 상병으로 대상 수술을 받은 환자(만18세 미만, 임신부 제외)

대상상병 대상수술(자722)- C220 간세포암종- C221 간내담관암종- C787 간 및 간내 담관의 이차성 악성신생물

(타장기 전이암)

- 부분절제(Wedge Rescection)- 구역절제(Segmentectomy)- 간엽절제(Lobectomy)- 3구역절제(Triesgementectomy)

2) 대상기간 2014년 7월~2015년 6월(12개월) 입원 진료분3) 대상기관 평가 대상기간 동안 간암 수술환자가 발생한 전체 요양기관- 121기관(상급종합병원 43, 종합병원 73, 병원 5기관)/5,371건

Page 10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92

단 계 산 출 방 법

1단계 가. 지표별 실제 값 산출 ■ 평가대상건을 분모로, 사망환자를 분자로 실제사망률 산출

2단계

나. 위험도 보정모형 구축 ■ 단변량 분석과 임상문헌,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위험도 보정변수 선정 및 변수별 적용방법 결정 ■ 위험도 보정모형 설계 - 환자위험요인을 독립변수로 사망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 구축 - 최종 모형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보정변수가 모두 포함되고 모형의 판별력과 교정력을

판단하는 c-통계량과 교정 절편(≒0), 교정 기울기(≒1)가 좋은 것으로 선택 ■ 위험도 보정모형에 적용된 보정변수 및 모형적합성 - 모든 보정변수는 범주형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으며, 범주형 구간은 문헌검토와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결과, 전문가자문회의를 통해 결정보 정 변 수

청 구 자 료(공 통) 조 사 자 료

- 성별, 연령, 의료보장종류- 동반상병 지수1)

- 응급수술- BMI2)

- 동반수술여부- 평가대상 상병

- 수술유형- Chil Pugh점수3)

- 수술 전 혈소판 수치

주 1. 동반상병 지수 : 과거 1년간 입원·외래로 청구된 상병을 charlson comorbidity index(동반상병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17개의 질환으로 구성되며, 1년 사망률에 대한 보정된 상대 위험비를 근거로 각 범주마다 1~6점의 가중치를 부여한 점수)로 구분한 점수의 합 2. BMI : 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로 체중(kg)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 3. Child Pugh점수 : 간경변 병기의 임상적 분류

구분 1 2 3albumin(g/dL) >3.5 2.8~3.5 <2.8bilirubin(mg/dL) <2.0 2.0~3.0 >3.0prothrombin time sec 0~4 4~6 >6

INR <1.7 1.7~2.3 >2.3Ascites none slight moderateencephalopathy(grade) none 1~2 3~4

*Class A ≦ 6 points, Class B = 7~9 points, Class C ≧ 10 points

3단계다. 위험도 보정모형에 의한 예측 값 산출 ■ 예측 값(predicted value) 산출 -환자별 보정변수를 보정하여 산출된 예측사망률

4. 평가 산출방법

Page 10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2. 암질환

93

5. 평가결과1) 수술 사망률 전체 환자의 수술 사망률은 0.93%임

표 2.30 간암 진료결과 결과지표 평가결과

구분 전체평균’16년

수술 사망률(원내 사망 및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 0.93

(단위 : %)

2) 상병별 사망률 현황 간내담관암종 2.17%> 간세포암종 0.93% > 간 및 간내 담관의 이차성 악성신생물 0.72% 순임

표 2.31 상병별 사망률 현황

구분 건수 사망건수 사망률전체 5,371 50 0.93

C220(간세포암종) 3,225 30 0.93C221(간내담관암종) 277 6 2.17

C787(간 및 간내 담관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1,801 13 0.72복합 상병 68 1 1.47

(단위 : 건, %)

Page 10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94

3) 수술별 사망률 현황 3구역절제 2.22%> 간엽절제 1.55%> 부분절제 0.52%> 구역절제 0.36%순임 절제 범위가 클수록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

표 2.32 수술별 사망률 현황

구분 건수 사망건수 사망률전체 5,371 50 0.93

부분절제(Q7221) 1,145 6 0.52구역절제(Q7222) 1,931 7 0.36간엽절제(Q7223) 2,070 32 1.553구역절제(Q7224) 225 5 2.22

주. 간절제 범위 : 3구역 절제>간엽절제>구역절제>부분절제

(단위 : 건, %)

Page 10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3. 약제

95

3 약제

3.1 약제급여

1. 평가 목적 의료기관의 자율적인 약제사용 관리 및 개선을 통해 약물의 오·남용을 줄이고 적정사용을

도모하고자 함

2. 평가 추진 경과 2001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시작 (항생제처방률, 주사제처방률, 투약일당약품비) 2005년 항생제 처방률, 주사제처방률 낮은 기관 공개시작 2014년 약제평가 가감지급 사업 1차 시행(‘13년 상반기 대상) 2016년 ’17년 심결분 평가부터 평가등급 공개주기 변경(6개월→1년),

골관절염 평가 종료, 감산 대상기관 확대(OPCI 2.0이상→1.5이상 변경)

3. 평가대상1) 대상 약제 및 상병 의료기관(의·치과) 및 보건기관에서 의사가 처방한 외래 약제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의 주상병(KOPG 및 KCD 중분류)을 기준으로 지표별 평가대상 결정 제외기준- 부상병이 중증도 보정 대상 질환인 경우∙ 중증도 보정 대상 질환 : 암질환·장기이식 등 중증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등

- 혈우병 진료건(KCD 분류 중 D66~D69, M36.2)2) 대상기간 2016년 1월~2016년 12월(12개월) 심사 결정분

Page 10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96

단계 산출방법

1단계

■ 개별 기관과 전체 종별 지표값 산출 - 주사제 처방률,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호흡기계·근골격계 질환 처방건당 약품목수 - 처방건당 약품목수(전체상병): 처방건당 약품목수 상대지수

¤ 상대지수 산출식

개상병

동일평가군상병별지표해당기관의상병별건수

개상병

해당기관의상병별지표해당기관의상병별건수

※ 동일 평가군은 외래환자분류체계가 같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의료원을 동일 평가군으로, 보건소, 보건지소를 동일 평가군으로 별도 분류

■ 개별 기관과 동일 평가군 평균(또는 상대지수) 산출 - 급성상기도감염 성분계열별 항생제처방률 - 6품목이상 처방비율, 소화기관용약 처방률 : 상대지수 ※ 동일 평가군은 병원급 이상의 경우 동일 종별로, 의원급의 경우 동일 표시과목별로 분류

3) 대상기관 외래 처방 30건 이상 청구한 의료기관(의·치과) 및 보건기관

구 분 200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항생제 등 30,270 39,604 40,414 40,520 41,646 42,598 43,352 44,249 45,348

골관절염주) 진통소염제 - 11,220 11,197 11,206 11,266 11,365 11,761 12,030 12,166부신피질호르몬제 - 10,824 10,800 10,804 10,869 10,953 11,305 11,525 11,674

주. 골관절염 상병에 처방 30건 이상인 기관 대상

표 2.33 약제급여 평가대상 기관수(4분기 기준)(단위 : 년, 기관)

4. 평가 산출방법 주사제 처방률,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처방건당 약품목수 각각에 대해 공개대상

전체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평가결과를 백분위 순위화하여 양호한 순서로 1~5등급으로 구분하여 공개

급성상기도감염 성분계열별 항생제 처방률, 6품목이상 처방비율, 소화기관용약 처방률은 개별 기관 결과와 동일 평가군 평균을 공개

Page 11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3. 약제

97

단계 산출방법

2단계

■ 공개대상 기관별 등급 구분 - 항목별 공개대상 전체 요양기관의 평가결과를 백분위 순위화하여 5등급으로 구분

단, 각 항목별 기본평가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기관은 등급제외 ※ 공개대상 ∙ 주사제 처방률,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 처방건당 약품목수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의료원, 보건소,

보건지소(치과 제외) ■ 주사제 처방률, 약품목수

등급 공개방식 백분위수1등급 백분위순위 20% 이하2등급 백분위 순위 20% 초과 ~ 40% 이하3등급 백분위 순위 40% 초과 ~ 60% 이하4등급 백분위 순위 60% 초과 ~ 80% 이하5등급 백분위 순위 80% 초과 ~ 100% 이하

등급제외 평가기간 내 진료건수가 100건 미만인 의료기관(주사제)평가기간 내 원외처방 30건 미만인 의료기관(약품목수)

2단계

■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등급 공개방식 백분위수1등급 백분위순위 40% 이하2등급 백분위 순위 40% 초과 ~ 55% 이하3등급 백분위 순위 55% 초과 ~ 70% 이하4등급 백분위 순위 70% 초과 ~ 85% 이하5등급 백분위 순위 85% 초과 ~ 100% 이하

등급제외 평가기간 내 급성상기도 감염 진료건수가 100건 미만인 의료기관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2016년 전체 평가결과 중에서 주사제 처방률,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약품목수, 골관절염 항목은 2015년에 비해 개선됨

Page 11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98

구 분 ’15년 ’16년 전년대비상반기 하반기 전체(B) 상반기 하반기 전체(A)주사제 처방률 19.06 17.46 18.28 17.88 16.53 17.22 1.06↓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44.62 43.52 44.14 44.54 40.99 43.00 1.14↓

성분계열

급성상기도감염 세파3세대이상 항생제 처방률 5.64 5.94 5.77 6.13 6.66 6.35 0.58↑

급성상기도감염 퀴놀론계 항생제 처방률 2.71 2.10 2.45 2.38 2.12 2.27 0.18↓

처방건당약품목수

전체상병 3.81 3.63 3.72 3.80 3.60 3.71 0.01↓호흡기계 질환 4.63 4.50 4.57 4.63 4.48 4.56 0.01↓근골격계 질환 3.57 3.50 3.53 3.52 3.47 3.50 0.03↓

6품목이상 처방비율 14.68 12.09 13.44 14.85 11.91 13.43 0.01↓소화기관용약 처방률 46.63 45.64 46.16 46.10 45.69 45.90 0.26↓

투약일당 약품비 1,654 1,671 1,662 1,681 1,735 1,709 47↑골관절염

NSAIDs 중복처방률(경구) 0.59 0.59 0.59 0.56 0.50 0.53 0.06↓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률 3.45 3.41 3.43 3.53 3.42 3.47 0.04↑

표 2.34 약제급여 지표별 평가결과(건강보험)(단위 : %, %p, 개, 원)

2) 종합결과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표 2.35 약제급여 주사제 처방률 등급별 기관현황(’16년 하반기)

구분 전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소계 28,772 (100.0) 43 (100.0) 299 (100.0) 1,488 (100.0) 26,942 (100.0)1등급 5,760 (20.0) 35 (81.4) 32 (10.7) 321 (21.6) 5,372 (19.9)2등급 5,753 (20.0) 8 (18.6) 106 (35.5) 362 (24.3) 5,277 (19.6)3등급 5,752 (20.0) - 101 (33.8) 277 (18.6) 5,374 (19.9)4등급 5,754 (20.0) - 54 (18.1) 296 (19.9) 5,404 (20.1)5등급 5,753 (20.0) - 6 (2.0) 232 (15.6) 5,515 (20.5)

(단위 : 기관, %)

Page 11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3. 약제

99

표 2.36 약제급여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등급별 기관현황(’16년 하반기)

구분 전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소계 14,114 (100.0) 42 (100.0) 293 (100.0) 823 (100.0) 12,956 (100.0)1등급 5,646 (40.0) 36 (85.7) 83 (28.3) 274 (33.3) 5,253 (40.5)2등급 2,117 (15.0) 6 (14.3) 69 (23.5) 186 (22.6) 1,856 (14.3)3등급 2,119 (15.0) - 87 (29.7) 157 (19.1) 1,875 (14.5)4등급 2,116 (15.0) - 48 (16.4) 113 (13.7) 1,955 (15.1)5등급 2,116 (15.0) - 6 (2.0) 93 (11.3) 2,017 (15.6)

주. 급성상기도감염 성분계열별 항생제처방률 공개기관수 : 13,191기관

(단위 : 기관, %)

표 2.37 약제급여 전체 상병 처방건당 약품목수 등급별 기관현황(’16년 하반기)

구분 전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소계 30,781 (100.0) 43 (100.0) 297 (100.0) 1,324 (100.0) 27,803 (100.0)1등급 6,194 (20.1) 15 (34.9) 29 (9.8) 226 (17.1) 5,578 (20.1)2등급 6,159 (20.0) 22 (51.2) 79 (26.6) 287 (21.7) 5,477 (19.7)3등급 6,797 (22.1) 6 (14.0) 106 (35.7) 333 (25.2) 6,120 (22.0)4등급 5,850 (19.0) - 62 (20.9) 272 (20.5) 5,310 (19.1)5등급 5,781 (18.8) - 21 (7.1) 206 (15.6) 5,318 (19.1)

주 1. 전체는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 외 요양병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 포함임 2. 공개기관수: 30,781기관(6품목이상 처방비율), 30,780기관(소화기관용약 처방률)

(단위 : 기관, %)

지역별 주사제 및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현황(의원)

그림 2.14 지역별 주사제 및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평가결과(’16년 4분기)

Page 11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00

6. 기타 주요 현황1) 요양기관 종별 연도별 추이 주사제 처방률- 2016년 4분기 주사제 처방률은 16.6%이며, 전년 동 분기(17.4%)에 비해 0.8%p 감소함- 요양기관 종별 주사제 처방률은 의원(18.5%), 병원(16.7%), 종합병원(8.8%), 상급종합

병원(2.3%) 순으로 낮아짐

그림 2.15 요양기관 종별 주사제 처방률 연도별 추이(건강보험)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2016년 4분기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은 39.7%이며, 전년 동 분기(42.8%)에 비해

3.1%p 감소함- 요양기관 종별로는 병원(44.5%), 의원(39.5%), 종합병원(37.7%), 상급종합병원(14.1%)

순으로 낮아짐

Page 11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3. 약제

101

그림 2.16 요양기관 종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연도별 추이(건강보험)

처방건당 약품목수- 2016년 4분기 전체 기관의 처방건당 약품목수는 3.68개이며 전년 동 분기(3.71개)에

비해 0.03개 감소함- 요양기관 종별로는 의원(3.77개), 병원(3.70개), 종합병원(3.41개), 상급종합병원(2.95개)

순으로 낮아짐

그림 2.17 요양기관 종별 처방건당 약품목수 연도별 추이(건강보험)

Page 11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02

4 정액수가

4.1 의료급여 정신과

1. 평가 목적 ’08년 의료인 등 인력확보수준에 따른 정신과 정액 수가제 적용으로 의료서비스의 과소제공

우려가 있어 의료의 질을 개선하고 기관 간 수준차이를 줄이기 위해 평가 지속

2. 평가 추진경과 2009년 의료급여 정신과 적정성 평가 요청(보건복지부) 2010년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2012년 2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2014년 3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2016년 4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기간 구조부문 : 2015년 3월 15일 기준으로 시설, 인력 평가 진료부문 : 2015년 1월~3월(3개월) 의료급여 정신과 입원 진료분

2) 대상기관 대상기간 동안 의료급여 정신과 입원 진료비를 청구한 457기관(종합병원 61, 병원 299,

의원 97기관)- 제3차 의료급여기관은 2차 평가부터 제외(청구건이 없거나 적음)

Page 11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03

4. 평가대상 부분별 종합점수를 산출하여 5개 그룹으로 등급화함

단계 산출방법

1단계

∙ 종합대상 ­ 구조부문 9개, 진료부문 11개의 평가지표를 종합대상에 포함 ∙ 지표별 가중치 ­ 지표별 질개선 가능성,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력, 지표값의 분포 등 고려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함 ­ 구조·과정·결과부문은 각각 40, 27, 33로 부여하고, 영역별로 시설 16, 의료인력 24 등 8개

영역에 가중치를 부여함∙ 지표의 표준화 ­ 지표별 형태(비율, 비, 유무)가 달라 1~5점으로 표준화함

2단계

∙ 종합점수 산출 ­ 기관별 종합점수 산출 ­ 100점 형태로 종합점수 변환

종합점수 = ∑n=지표계수 ( 지표별 표준화 점수 × 가중치 )5

3단계

○ 등급 산출 -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5등급으로 구분

등급 공 개 방 식 종합점수1등급 85점 이상2등급 78점 이상 85점 미만3등급 71점 이상 78점 미만4등급 64점 이상 71점 미만5등급 64점 미만

등급제외 등급제외 구조부분 지표개수가 9개 미만인 기관과진료부문 지표가 6개 미만인 기관

Page 11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04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구조부문

표 2.38 의료급여 정신과 구조지표별 평가결과

영역 지표명 전체평균’13년 ’15년 전년대비

시설병실당 정원수 6.4 6.3 0.1↓전체 병상 중 침대비율 61.9 67.2 5.3↑입원병동내 대변기 1개당 병상수 9.6 9.5 0.1↓휴게 공간, 산책 공간, 운동 설비를 갖춘 운동공간의 유무 27.3 33.0 5.7↑

인력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47.1 46.8 0.3↓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20.5 19.6 0.9↓정신건강의학과 간호인력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10.0 9.8 0.2↓정신보건전문요원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65.8 68.4 2.6↑사회복지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79.4 81.6 2.2↑

주. 유무지표로 3가지 모두 운영하는 기관의 비율임

(단위 : 명, %, 병상, %p)

과정부문표 2.39 의료급여 정신과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영역 지표명 전체평균’13년 ’15년 전년대비

약물 비정형약물처방률(조현병) 76.0 79.8 3.8↑

정신요법 정신요법 실시횟수 4.7 4.8 0.1↑개인정신치료 실시횟수 2.1 2.2 0.1↑

재활치료 낮병동 또는 정신보건센터 등 (위탁)운영 유무 27.8 28.9 1.1↑주 1. 지표별 분포건수가 5건 이상인 기관을 대상으로 산출함 2. 유무지표로 1가지 이상 운영하는 기관의 비율임

(단위 : %, 회, %p)

Page 11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05

결과부문 표 2.40 의료급여 정신과 결과지표별 평가결과

영역 지표명 전체평균’13년 ’15년 전년대비

입원일수재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조현병) 558.3 663.7 105.4↑퇴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조현병) 134.3 117.6 16.7↓재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알코올장애) 160.0 305.6 145.6↑퇴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알코올장애) 61.1 65.4 4.3↑

재입원율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조현병) 28.4 26.8 1.6↓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알코올장애) 29.1 28.2 0.9↓

외래방문율 퇴원 후 30일 이내 외래방문율(조현병) 42.8 42.6 0.2↓

주. 지표별 분포건수가 5건 이상인 기관을 대상으로 산출함

(단위 : 일, %, %p)

2) 종합점수 결과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평균은 77.8점이며, 최소 55.3점에서 최대 99.5점으로 기관 간

편차가 나타남- 의료급여기관 종별 종합점수 평균은 종합병원이 89.1±7.5점으로 병원의 77.7±6.7점,

의원의 72.7±7.8점보다 점수가 높음- 2013년 대비 종합점수 평균은 7.1점 증가하였고, 종합병원의 종합점수 평균이 9.1점

증가하여 상승폭이 가장 크게 나타남

구 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기관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체 422 77.8 8.2 76.9 55.3 99.5 72.9 82.5종합병원 44 89.1 7.5 90.9 73.1 99.5 82.8 95.1

병원 291 77.7 6.7 77.0 55.4 98.3 73.2 81.7의원 87 72.7 7.8 73.3 55.3 96.0 67.7 77.5

표 2.40 의료급여 정신과 평가 종합점수(단위 : 기관, 건, 점)

Page 11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06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종합점수 산출대상 기관은 평가대상 457기관 중 422기관(92.3%)임 - 등급별 기관수는 3등급 기관이 155기관(36.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5등급에

속하는 기관은 12기관(2.8%)으로 가장 적음

구분 전체 종합병원 병원 의원소계 422 (100.0) 61 (100.0) 299 (100.0) 97 (100.0)1등급 73 (17.3) 31 (70.5) 37 (12.7) 5 (5.7)2등급 117 (27.7) 10 (22.7) 94 (32.3) 13 (14.9)3등급 155 (36.7) 3 (6.8) 115 (39.5) 37 (42.5)4등급 65 (15.4) 0 (0.0) 44 (15.1) 21 (24.1)5등급 12 (2.8) 0 (0.0) 1 (0.3) 11 (12.6)

등급제외 35 17 8 10주. 종합점수가 산출되지 않은 35기관은 ʻ등급제외ʼ로 공개

표 2.42 의료급여 정신과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단위 : 기관, %)

지역별 현황

2.18 지역별 의료급여 정신과 평가결과

Page 12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07

4.2 7개 질병군 포괄수가

1. 평가 배경 및 목적 포괄수가 실시에 따른 질적 변화에 대한 평가와 청구 현황 모니터링을 통해 의료기관의 질

향상 노력을 유도하여 적정진료를 보장하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2년 병·의원 예비평가 실시 2013년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예비평가 실시 2014년 1차 적정성 평가결과 2015년 2차 적정성 평가결과 2016년 3차 적정성 평가결과

3. 평가대상1) 대상상병 대상 분류코드

질병군 명칭 질병군 분류코드수정체수술 C051*, C052*, C053*, C054*

자궁적출, 기타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N041*, N042*, N045*, N046*, N047* N048*제왕절개분만 O016*, O017*충수절제술 G081*, G082*, G083*, G084*

서혜 및 대퇴부 탈장수술 G095*, G096*, G097*, G098*항문수술 G102*, G104*, G105*, G106*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D111*

Page 12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08

2) 대상기간 2015년 10월~12월(3개월) 진료분3) 대상기관 7개 질병군 포괄수가 분류코드로 청구한 전체 요양기관 2,609개소로 상급종합병원 43개소

(1.6%), 종합병원 250개소(9.6%), 병원 361개소(13.8%), 의원 1,955개소(74.9%)임

구분 전체 수정체 자궁 제왕절개 충수절제 탈장 항문 편도기관수 2,609* 1,136 530 528 548 557 1,040 268

청구건수 268,950 120,058 21,388 38,056 17,695 7,007 58,486 6,260 총진료비 3,413 1,041 561 681 445 105 517 62

* 기관별 질병군 중복 제외 (질병군 1개: 1,702기관, 2개: 433기관, 3개: 237기관, 4개: 66기관, 5개: 52기관, 6개: 29기관, 7개: 90기관)

(단위 : 기관, 건, 억원)

4. 평가 결과1) 전체결과 과정부문- 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이 있는 비율은 전체 0.05%이며 ’15년 대비 0.08%p 감소함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92.34%이며 ’15년 대비 0.29%p 향상됨

표 2.43 7개 질병군 과정지표별 평가결과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13 0.05 0.08↓재원일수비주) - -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2.05 92.34 0.29↑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 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Page 12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09

결과부문- 입원 중 사고율, 입원 중 감염률은 0.01%, 0.03%로 발생률이 미미함 -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은 전체 0.24%로 ’15년 대비 0.11%p 감소함- 퇴원 후 30일 이내 당초 입원 상병 또는 합병증 등으로 동일기관 또는 타기관 재입원율은 전체

0.15%이며, 응급실을 이용한 건은 전체 0.07%로 ’15년 대비 각각 0.02%p, 0.01%p 감소함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1 0.01 -입원 중 감염률 0.04 0.03 0.01↓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35 0.24 0.11↓재입원율 0.17 0.15 0.02↓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08 0.07 0.01↓

표 2.44 7개 질병군 결과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

2) 질병군별 세부 결과가) 수정체 수술

평가대상 청구 현황- 대상기관은 1,136개소로, 청구건수는 120,058건이며 의원에서 전체 수술의 78.9%

(94,668건)을 실시함

구분 기관수 청구건수 총진료비 건당진료비 입원일수전체 1,136 (100) 120,058 (100) 1,041 867 1.0

상급종합 42 (3.7) 8,576 (7.1) 99 1,153 1.2 종합병원 86 (7.6) 6,069 (5.1) 68 1,114 1.4

병원 19 (1.7) 10,745 (8.9) 98 912 1.1 의원 989 (87.1) 94,668 (78.9) 777 821 1.0

표 2.45 수정체 수술 청구현황(단위 : 기관, %, 건, 억원, 천원, 일)

Page 12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10

평가지표 결과- 퇴원 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전체 0.02%로 99.98%에서 이상소견 없이 퇴원함ㆍ종합병원이 0.18%로 가장 높고 병원, 의원은 0.00%로 가장 낮음

- 수술 전 검사의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99.00%로 ’15년 대비 종합병원에서 실시율이 증가함

-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은 전체 0.06%로 ’15년 대비 0.03~0.08%p 감소하였으며 발생사유는 주로 안압상승임

-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은 상급종합병원 0.01%, 종합병원 0.03%였으며, 병원과 의원에서는 발생하지 않음

- 재입원율은 전체 0.08%로 ’15년 대비 상급종합병원, 의원에서 각각 0.05%p, 0.03%p 감소함

표 2.46 수정체 수술 평가지표 결과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07 0.02 0.05↓재원일수비주)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9.08 99.00 0.08↓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0 0.00 -입원 중 감염률 0.00 0.00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09 0.06 0.03↓재입원율 0.11 0.08 0.03↓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00 0.01 0.01↑

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 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Page 12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11

나) 자궁적출술, 기타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평가대상 청구 현황- 대상기관은 530개소로, 청구건수는 21,388건이며 병원급 이상에서 전체 수술의 90.3%

(19,311건)을 실시함- 입원일수는 평균 5.5일로 종합병원이 5.8일로 가장 길었으며, 상급종합병원이 5.2일로

가장 짧음

표 2.47 자궁적출술, 기타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청구현황

구분 기관수 청구건수 총진료비 건당진료비 입원일수전체 530 (100) 21,388 (100) 561 2,625 5.5

상급종합 43 (8.1) 6,906 (32.3) 203 2,935 5.2 종합병원 153 (28.9) 7,164 (33.5) 194 2,710 5.8

병원 143 (27.0) 5,241 (24.5) 123 2,351 5.4 의원 191 (36.0) 2,077 (9.7) 41 1,990 5.4

(단위 : 기관, %, 건, 억원, 천원, 일)

평가지표 결과- 퇴원 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전체 0.05%로 99.95%에서 이상소견 없이 퇴원함- 수술 전 검사의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97.55%이며 상급종합병원은 99.41%로

가장 높고 의원은 90.90%로 종별간 차이를 보임- 입원 중 사고율은 0.01%로 ’15년 대비 0.02%p 감소하였으며 종합병원, 의원은 감소,

상급종합병원, 병원은 발생하지 않음- 입원 중 감염률은 전체 0.09%로 ’15년 대비 의원이 0.08%p 감소함-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은 전체 0.63%로 ’15년 대비 0.08%p 감소하였으며 출혈이

가장 많음- 재입원율은 상급종합병원 0.23%, 종합병원 0.08%, 병원 0.11%, 의원 0.00%임

Page 12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12

표 2.48 자궁적출술, 기타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평가지표 결과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08 0.05 0.03↓재원일수비주)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7.62 97.55 0.07↓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3 0.01 0.02↓입원 중 감염률 0.06 0.09 0.03↑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71 0.63 0.08↓재입원율 0.11 0.13 0.02↑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12 0.14 0.02↑

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 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다) 제왕절개 분만

평가대상 청구 현황- 대상기관은 528개소로, 청구건수는 38,056건이며, 병원과 의원에서 전체 수술 중 각각

46.3%(17,628건), 36.2%(13,789건)을 실시함- 입원일수는 평균 6.4일로 상급종합병원이 5.7일로 가장 짧음

표 2.49 제왕절개 분만 청구현황

구분 기관수 청구건수 총진료비 건당진료비 입원일수전체 528 (100) 38,056 (100) 681 1,789 6.4

상급종합 42 (8.0) 2,949 (7.7) 68 2,311 5.7 종합병원 69 (13.1) 3,690 (9.7) 72 1,960 6.7

병원 129 (24.4) 17,628 (46.3) 305 1,732 6.4 의원 288 (54.5) 13,789 (36.2) 235 1,704 6.4

(단위 : 기관, %, 건, 억원, 천원, 일)

Page 12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13

평가지표 결과- 퇴원 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전체 0.09%로 99.91%에서 이상소견 없이 퇴원하였고,

상급종합병원은 0.00%로 다른 종별에 비해 이상소견율이 낮음-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90.51%이며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에 비해 병원과

의원의 실시율은 낮았으며 ’15년 대비 각각 0.3%p, 0.97%p 감소함- 입원 중 감염률은 전체 0.04%이며 상급종합병원이 0.10%로 가장 높은 반면,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은 병원, 의원에서 각각 1.13%, 0.88%로 높음- 재입원율은 전체 0.17%로 ’15년 대비 0.01%p 증가하였으며, 병원과 의원에서 각각

0.04%p, 0.03%p증가함-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은 전체 0.02%이나 상급종합병원이 0.07%로 종별간 차이를 보임

표 2.50 제왕절개 분만 평가지표 결과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09 0.09 -재원일수비주)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1.09 90.51 0.58↓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2 0.02 -입원 중 감염률 0.05 0.04 0.01↓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1.42 0.87 0.55↓재입원율 0.16 0.17 0.01↑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02 0.02 -

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Page 12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14

라) 충수절제술

평가대상 청구 현황- 대상기관은 548개소로, 청구건수는 17,695건이며 종합병원에서 전체 수술의 63.5%

(11,232건)를 실시함- 입원일수는 평균 5.0일이며 상급종합병원과 의원이 가장 짧음

표 2.51 충수절제술 청구현황

구분 기관수 청구건수 총진료비 건당진료비 입원일수전체 548 (100) 17,695 (100) 445 2,514 5.0

상급종합 43 (7.8) 2,482 (14.0) 73 2,932 4.5 종합병원 248 (45.3) 11,232 (63.5) 284 2,526 5.1

병원 186 (33.9) 3,069 (17.3) 69 2,259 5.2 의원 71 (13.0) 912 (5.2) 19 2,088 4.5

(단위 : 기관, %, 건, 억원, 천원, 일)

평가지표 결과- 퇴원 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전체 0.14%로 99.86%에서 이상소견 없이 퇴원함- 수술 전 검사의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98.62%이며 의원은 91.78%로 종별 간

차이를 보임- 입원 중 사고율은 전체 0.02%로 발생건이 미미함- 입원 중 감염률은 전체 0.20%이며 전체 종별에서 ’15년 대비 감소함-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은 평균 0.23%로 ’15년 대비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이 각각

0.22%p, 0.06%p 감소함-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은 전체 0.10%로 상급종합병원, 의원에서 각각 0.06%p, 0.11%p

증가함

Page 12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15

표 2.52 충수절제술 평가지표 결과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22 0.14 0.08↓재원일수비주)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8.04 98.62 0.58↑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1 0.02 0.01↑입원 중 감염률 0.30 0.20 0.10↓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28 0.23 0.05↓재입원율 0.09 0.10 0.01↑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22 0.10 0.12↓

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마)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평가대상 청구 현황- 대상기관은 557개소로, 청구건수는 7,007건이며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전체

수술의 67.2%(4,715건)을 실시함- 입원일수는 평균 3.1일로 종합병원이 3.8일로 가장 길었으며, 병원이 2.4일로 가장 짧음

표 2.53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청구현황

구분 기관수 청구건수 총진료비 건당진료비 입원일수전체 557 (100) 7,007 (100) 105 1,499 3.1

상급종합 42 (7.5) 1,930 (27.5) 32 1,657 2.8 종합병원 235 (42.2) 2,785 (39.7) 42 1,508 3.8

병원 143 (25.7) 1,668 (23.8) 25 1,469 2.4의원 137 (24.6) 624 (8.9) 7 1,047 2.7

(단위 : 기관, %, 건, 억원, 천원, 일)

Page 12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16

평가지표 결과- 퇴원 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전체 0.03%로 99.97%에서 이상소견 없이 퇴원했으며

병원과 의원은 발생건 없음- 수술 전 검사의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98.20%이며 의원을 제외한 종별에서

98%이상의 높은 실시율을 보였으나 의원은 90.06%로 종별 간 차이를 보임- 입원 중 사고율과 감염률은 병원, 의원에서는 발생하지 않음

표 2.54 서혜 및 대퇴부 탈장 수술 평가지표 결과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15 0.03 0.12↓재원일수비주)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7.63 98.20 0.57↑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1 0.01 -입원 중 감염률 0.01 0.01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09 0.14 0.05↑재입원율 0.12 0.09 0.03↓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18 0.11 0.07↓

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 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바) 항문 수술

평가대상 청구 현황- 대상기관은 1,040개소로, 청구건수는 58,486건이며 의원에서 전체 수술의 65.6%

(38,341건)을 실시함- 입원일수는 평균 2.7일로 종합병원이 3.7일로 가장 길었으며, 의원이 2.5일로 가장 짧음

Page 13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17

표 2.55 항문 수술 청구현황

구분 기관수 청구건수 총진료비 건당진료비 입원일수전체 1,040 (100) 58,486 (100) 517 884 2.7

상급종합 42 (4.0) 534 (0.9) 7 1,274 3.6 종합병원 225 (21.6) 3,668 (6.3) 44 1,197 3.7

병원 201 (19.3) 15,943 (27.3) 155 974 2.9 의원 572 (55.0) 38,341 (65.6) 311 811 2.5

(단위 : 기관, %, 건, 억원, 천원, 일)

평가지표 결과- 퇴원 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전체 0.07%로 99.93%에서 이상소견 없이 퇴원했으며

’15년 대비 종합병원과 의원에서는 각각 0.37%p, 0.24%p 감소함- 수술 전 검사의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74.98%이며 상급종합병원 98.50%,

종합병원 98.96%로 높은 실시율을 보였으나 의원 65.85%로 종별간 큰 차이를 보임- 입원 중 사고율, 감염률은 전체 0.02%, 0.01%로 ’15년 대비 사고율은 동일하고 감염률은

0.01%p 감소함-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발생률은 전체 0.08%로, 종합병원은 0.25%로 타 종별에 비해 높음-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은 전체 0.06%이며 상급종합병원 0.75%, 종합병원 0.19%로 병원과

의원에 비해 높음

Page 13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18

표 2.56 항문 수술 평가지표 결과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24 0.07 0.17↓재원일수비주)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75.15 74.98 0.17↓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2 0.02 -입원 중 감염률 0.02 0.01 0.01↓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07 0.08 0.01↑재입원율 0.31 0.26 0.05↓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0.06 0.06 -

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 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사) 편도 및 아데노이드절제술

평가대상 청구 현황- 대상기관은 268개소로, 청구건수는 6,260건이며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이 약

69.5%(4,349건)를 실시함- 입원일수는 평균 3.0일로 병원급 이상은 차이가 없었으나 의원의 경우 2.4일로 가장 짧음

표 2.57 편도 및 아데노이드절제술 청구현황

구분 기관수 청구건수 총진료비 건당진료비 입원일수전체 268 (100) 6,260 (100) 62 993 3.0

상급종합 43 (16.0) 2,221 (35.5) 25 1,134 3.1 종합병원 127 (47.4) 2,128 (34.0) 21 1,004 3.3

병원 14 (5.2) 533 (8.5) 5 898 3.3 의원 84 (31.3) 1,378 (22.0) 11 785 2.4

(단위 : 기관, %, 건, 억원, 천원, 일)

Page 13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4. 정액수가

119

평가지표 결과- 퇴원 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은 전체 0.10%로 99.90%에서 이상소견 없이 퇴원함- 수술 전 검사의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전체 96.01%이며 병원급 이상은 98% 이상인데

반해 의원의 경우 87.01%로 종별간 차이를 보임-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은 전체 0.21%로 ’15년 대비 종합병원, 의원이 각각 0.12%p,

0.09%p 감소함- 재입원율은 전체 0.69%이며 ’15년 대비 0.26%p 증가하였으나 의원은 0.17%p 감소함

표 2.58 편도 및 아데노이드절제술 평가지표 결과

부문 지표명 전체평균’15년 ’16년 전년대비

과정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0.11 0.10 0.01↓재원일수비주) -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93.96 96.01 2.05↑

결과

입원 중 사고율 0.03 0.00 0.03↓입원 중 감염률 0.03 0.02 0.01↓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0.26 0.21 0.05↓재입원율 0.43 0.69 0.26↑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1.34 1.13 0.21↓

주. 개별 기관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별 값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함

(단위 : %, %p)

Page 13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20

3) 종합결과 퇴원의 적정성- 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은 0.05%로, 99.95%가 이상 소견 없이 퇴원함

입원일수 변화- 입원일수는 항문 수술을 제외한 대부분의 질병군에서 종합병원이 긴 입원일수를 보임

서비스 제공량-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은 92.34%로 ’15년 대비 0.29%p 증가함

진료 결과- 입원 중 사고율과 입원 중 감염률은 0.01%, 0.03%로 낮은 발생률을 보임 -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은 0.24%이며, 사유는 출혈이 다수임

퇴원 후 의료기관 방문- 재입원율은 0.15%로 낮은 발생률을 보임-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은 0.07%로 ’15년 대비 0.01%p 감소함ㆍ상급종합병원(0.30%), 종합병원(0.17%)에서 편도 수술, 자궁 수술 환자의 응급실

이용률이 높음

☞ 평가결과 의료의 질 저하를 우려할 만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과정, 결과지표 모두 ’15년 대비 지표값이 향상됨

Page 13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5. 중환자실

121

5 중환자실

5.1 중환자실

1. 평가 목적 중환자실은 중증의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전문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곳으로 병원 간

중환자실 질적 수준차이 감소 및 질 향상을 제고하고자 적정성 평가를 실시함

2. 평가 추진경과 2014년 평가지표 개발 연구 결과 보고(대한중환자의학회),예비평가 결과보고 2016년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만18세 이상,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제외대상- 중환자실 입실 기간 48시간미만 환자, 신생아 중환자실, 화상환자(화상 산정특례 대상

V247, V248, V249, V250)2) 대상기간 2014년 10월~12월(3개월) 중환자실 입원 진료분3) 대상기관 종합병원 이상 요양기관(상급종합병원 43, 종합병원 220기관)- 평가대상 건이 10건 미만인 기관은 평가대상에서 제외

Page 13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22

단계 산출방법

1단계가. 지표별 결과 산출 ○ 결과산출 단위 : 요양기관별, 종별 결과 산출 ○ 결과산출 값 : 비율,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사분위수(Q1, Q3) 등 기술통계량 값 산출

2단계

지표 가중치(%)

구조(60)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25병상 수 대 간호사수의 비 20중환자실 내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10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5

진료(40)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15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15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10

나. 지표별 표준화 ○ 지표별 결과값의 형태(비, 비율 등) 및 방향성(높을수록‧낮을수록 좋음)이 다름 ○ 결과값의 분포 등을 고려하여 기준 지표값과 간격을 정하여 1∼5점으로 표준화함다. 종합점수 산출 ○ 각 지표별 의료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 개선 가능성 등 고려하여 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함

※ 종합점수 대상지표 : 모니터링지표를 제외한 평가지표 7개

■ 종합점수 산출식 = ∑{(지표별 표준화 점수/5) × 지표별 가중치)} × 100가중치의 합

3단계

라. 등급 산출 ○ 산출된 종합점수 순으로 5등급으로 구분

등급 종합점수 공개방식1등급 95점 이상2등급 75점 이상 ~ 95점 미만3등급 55점 이상 ~ 75점 미만4등급 35점 이상 ~ 55점 미만5등급 35점 미만

등급제외 종합점수 미산출 기관 등급제외

4. 평가 산출방법 종합점수를 고려하여 5등급으로 구분

Page 13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5. 중환자실

123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구조부문- 평가대상 기관 중 32.7%에서 전담전문의를 배치하였고 전담전문의 1명이 평균 44.7병상을

담당함- 병상수 대 간호사수의 비가 1.10이고, 이는 통상적인 간호사 근무형태가 3교대인 점을

감안하여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환자수는 3~4명 정도임

지표명 전체평균'16년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44.7주)

병상 수 대 간호사수의 비 1.10중환자실 내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3.6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82.9주. 중환자실 전담전문의 배치한 기관의 평균

표 2.59 중환자실 구조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병상, 점, %)

과정부문-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의 평균은 72.3%이나 최소 0%에서 최대 100%로

요양기관별 변이가 큼

지표명 전체평균'16년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72.3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46.0주)

주. 표준화사망률을 평가를 실시한 기관 비율

표 2.60 중환자실 과정지표별 평가결과(단위 : %)

Page 13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24

결과부문-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의 평균은 1.3%이며, 상급종합병원 1.4%, 종합병원

1.3%로 종별 차이는 거의 없음

지표명 전체평균'16년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1.3

표 2.61 중환자실 결과지표 평가결과(단위 : %)

2) 종합점수 결과 평가대상 266기관 중 종합결과 산출 대상 기관은 263기관임(98.9%)- 평가대상 건수가 10건 미만인 3개 기관은 종합결과 산출시 제외

종합점수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평균 58.2점이며 최소 18.5점에서 최대 100.0점으로 종별‧기관별 편차가 나타남- 상급종합병원의 기관별 평균은 89.2±7.9점으로 종합병원 52.1±19.1점이었음

구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기관수 건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체 263 37,560 58.2 22.5 53.5 18.5 100.0 39.5 80.0상급종합 43 14,198 89.2 7.9 91.0 61.0 100.0 87.5 94.0종합병원 220 23,362 52.1 19.1 48.0 18.5 98.0 37.5 63.5

주. 평가대상 건수가 10건 미만인 경우는 종합결과 산출 제외

표 2.62 중환자실 평가 종합점수(단위 : 기관, 건, 점)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1등급에 속하는 기관은 평가대상 263기관 중 12기관(4.6%)이었고, 상급종합병원 43기관

중 10기관(23.3%), 종합병원 220기관 중 2기관(0.9%)이 포함됨- 5등급 기관은 46기관으로 모두 종합병원임

Page 13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5. 중환자실

125

구분 계 상급종합 종합병원계 263 (100.0) 43 (100.0) 220 (100.0)

1등급 12 (4.6) 10 (23.3) 2 (0.9)2등급 63 (24.0) 30 (69.8) 33 (15.0)3등급 52 (19.8) 3 (7.0) 49 (22.3)4등급 90 (34.2) - 90 (40.9)5등급 46 (17.5) - 46 (20.9)

등급제외주) 3 - 3주. 평가대상 건수가 10건 미만인 기관은 종합결과 산출 제외

표 2.63 중환자실 종합결과 등급별 기관 현황(단위 : 기관, %)

지역별 현황

그림 2.19 지역별 중환자실 평가결과

Page 13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26

6 일반질

6.1 병원 표준화 사망비

1. 평가 목적 병원 표준화 사망비 평가를 통해 국가 및 지역단위의 사망 수준과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기관에 관련 자료 제공을 통하여 자율적 질 개선과 국민건강 향상을 도모하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4년 일반질 예비평가 2016년 종합병원 이상 확대적용 예비평가 및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만1세~120세 제외기준- 전원- 1일 입원- 완화의료(Palliative care)

포함기준- 원내 사망의 80%를 설명하는 주진단군

2) 대상기간 2014년 1월~12월(12개월) 입원 진료분3)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 및 500병상이상 종합병원 94개소(상급종합병원 43개소, 종합병원51개소)

Page 14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6. 일반질

127

단계 산출방법

1단계

가. 평가자료수집 - 요양급여비용 청구자료 : 의과입원 - 행정자치부의 사망자료 - 의무기록 자료(일부 주진단군 의무기록 자료 이용)나. 제외조건 적용 - 전원 : 퇴원 후 1일 이내 타 기관(병원급 이상) 입원한 경우 · 전입 및 전출기관 모두제외 · 단, 전출 당일 전입기관에서 사망시 전출기관으로 사망을 귀속 후 전출기관은 평가대상에 포함 - 1일 입원 : 입원일자와 퇴원일자가 같은 경우 - 완화의료(Palliative care) : 암환자(V193) 대상 · 완화의료 대상자(시범사업) 또는 · 원내 사망한 환자 중, 사망 시점에서 3개월 전 항암제·방사선치료,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또는 · 주진단이 Z515(고식적 의료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2단계

병원 표준화 사망비 = 실제사망자수(Observed deaths) × 100기대사망자수(Expected deaths)

가. 평가대상 - 원내 사망 환자수가 많은 상위 80% 주진단군나. 중증도 보정모형 적용 - 주진단군별 중증도 보정 모형 적용하여 기대 사망자수 산출 - 중증도 보정 변수 : 성별, 연령, 보험종류, 수술유무, 응급입원여부, 주상병 코드, 동반질환다. 병원 표준화 사망비(HSMR) 산출 - 실제 사망자 수와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한 기대 사망자 수의 비

3단계

가. 95% 신뢰구간에 따른 그룹 설정 - Byar's Approximation 공식을 사용하여 95% 신뢰구간 상·하한을 계산

HSMR 해석전체 국가 평균 100.0을 기준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좋음

A 그룹 사망비가 낮은 기관(신뢰구간 상한이 국가평균(100.0)보다 낮은 기관)B 그룹 사망비가 평균인 기관(신뢰구간이 국가평균(100.0)에 포함 기관)C 그룹 사망비가 높은 기관(신뢰구간 하한이 국가평균(100.0)보다 높은 기관)

4. 평가 산출방법

Page 14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28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실제사망률- 종별 실제 사망률은 상급종합병원이 2.3%로 전체 평균보다 낮으며, 종합병원은 3.2%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지표명 전체평균’15년

실제사망률전체 2.6

상급종합 2.3종합병원 3.2

표 2.64 실제사망률 평가결과(단위 : %)

병원 표준화 사망비-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95.0으로 국가 평균(100.0)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종합병원은

107.6으로 국가 평균(100.0)보다 높게 나타남

지표명 전체평균’15년

병원 표준화 사망비전체 100.0

상급종합 95.0종합병원 107.6

표 2.65 병원 표준화 사망비 평가결과

Page 14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6. 일반질

129

2) 종합결과 지역별 현황- 지역별 병원 표준화 사망비의 경우 서울권(88.0)과 제주권(89.8)이 국가 평균(100.0)

보다 낮게 나타남

그림 2.20 지역별 병원 표준화 사망비 평가결과

Page 14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30

6.2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1. 평가 목적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평가를 통해 국가 및 지역단위의 재입원 수준과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기관에 관련 자료를 통하여 자율적 질 개선과 국민건강 향상을 도모하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2014년 일반질 예비평가 2016년 종합병원 이상 확대적용 예비평가 및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1) 대상환자 만18세~120세 제외기준- 암질환- 정신질환- 재활- 산과- 전원- 원내사망

2) 대상기간 2014년 1월~12월(12개월) 입원 진료분3)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 및 500병상이상 종합병원 94개소(상급종합병원 43개소, 종합병원51개소)

Page 14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6. 일반질

131

단계 산출방법

1단계

가. 평가자료수집 - 요양급여비용 청구자료 : 의과입원 - 행정자치부의 사망자료나. 제외조건 적용 - 암질환 : 산정특례로 등록된 암환자(V193) - 정신질환 : 정신 및 행동장애(F00~F99) 주진단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 재활 : 전문재활치료를 위한 재활의학과 입원 - 산과 : 임신, 출산 및 산후기(O00~O99) 주진단으로 산부인과 입원 - 전원 : 퇴원 후 1일 이내 타 의료 기관(상급·종합·병원)에 입원 - 사망 : 병원내 사망

2단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 실제재입원수(Observed readmissions) × 100기대재입원수(Expected readmissions)

가. 평가대상 퇴원 후 30일 이내 재입원 여부 파악 - 재입원 파악범주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 재입원 대상기간 : 2014년 1월 ~ 2015년 1월나. 계획된/계획되지 않은 재입원 분류 - 정신질환 재입원 제외 - 계획된 처치군 : 항암, 방사선치료, 이식, 분만, 재활환자 - 잠재적으로 계획된 처치군(단, 급성기 질환이 아닌 경우)다. 중증도 보정모형 적용 - 5개 진료군별 보정 모형 적용하여 기대 재입원수 산출 - 중증도 보정 변수 : 성별, 연령, 보험종류, 주진단군, 동반질환라.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RSRR) 산출 - 실제 재입원 수와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한 기대 재입원수의 비

3단계

가. 95% 신뢰구간에 따른 그룹 설정 - Byar's Approximation 공식을 사용하여 95% 신뢰구간 상·하한을 계산

RSRR 해석전체 국가 평균 100.0을 기준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좋음

A 그룹 재입원비가 낮은 기관(신뢰구간 상한이 국가평균(100.0)보다 낮은 기관)B 그룹 재입원비가 평균인 기관(신뢰구간이 국가평균(100.0)에 포함 기관)C 그룹 재입원비가 높은 기관(신뢰구간 하한이 국가평균(100.0)보다 높은 기관)

4. 평가 산출방법 종합점수를 고려하여 5등급으로 구분

Page 14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32

5. 평가결과1) 전체결과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율- 종별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율은 상급종합병원이 6.3%로 전체 평균보다 낮으며,

종합병원은 6.7%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지표명 전체평균’15년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율전체 6.5

상급종합 6.3종합병원 6.7

표 2.66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율 평가결과(단위 : %)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종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는 상급종합병원이 100.5 종합병원이 99.4 임

지표명 전체평균’15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전체 100.0

상급종합 100.5종합병원 99.4

표 2.67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평가결과

Page 14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2

요양급여 적

정성

평가 결

6. 일반질

133

2) 종합결과 지역별 현황 - 지역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의 경우 경인권(92.3), 서울권(96.6), 충청권(95.7)이

국가평균(100.0)보다 낮게 나타남

그림 2.21 지역별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평가결과

Page 14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14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평가 결과 활용

1. 평가정보 공개2. 가감지급 사업3. 인센티브 사업4. 질 향상 지원 사업

Page 14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15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137

1 평가정보 공개

1.1 공개 내용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 28조 ʻ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결과의 공개’에 근거하여 평가 항목별로 평가 결과를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게시함- 적정성 평가 초년도에는 평가결과 요약 내용만 공개하였으나, 2005년도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한 기관의 명단을 공개- 2006년도부터 평가 결과가 양호한 기관과 미흡한 기관 전체를 공개하였으며, 제왕절개

분만 건수 및 제왕절개분만율 등 요양기관별 평가 지표값을 공개 - 2009년도부터 평가항목별 종합결과를 별의 개수(★∼★★★★★)로 제시하고 각 지표별

결과값도 공개- 2010년도부터 요양기관별 38개 수술별 병원진료비와 입원일수 공개- 2011년도부터 평가항목별 종합결과를 안테나개수로 ( ~ ) 변경하여 공개

하였으며, 약제평가는 2등급에서 5등급으로 공개방법을 표준화함- 2013년도부터 국민이 병원 선택 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이해 할 수 있게 홈페이지

개선 및 평가항목별 종합결과 등급 표시 개선 ( ∼ → )- 2014년 모바일 병원평가정보 앱(APP) 서비스 제공 - 2015년 홈페이지 개선 및 평가항목별 종합결과 등급 표시 개선( →

)

Page 15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38

1.2 공개 효과 평가 결과 공개에 따른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변화 추이 분석 결과 -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2006년도 전체 요양기관별 결과 공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임

그림 3.1 공개전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변화 추이

Page 15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139

2 가감지급 사업

2.1 배경 및 목적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에 따라 경제적 인센티브(또는 하위기관에 디스인센티브)를 적용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질 향상 촉진과 국민의 안전한 의료이용 도모

시범사업을 통해 가감지급의 효과 분석 후 우리 실정에 맞는 가감지급 확대사업 실시를 위한 기반 마련

가감지급사업 적용에 대한 대내외적 요구 증가- 법에 명시된 가감지급의 미적용·미확대에 대한 지적이 있음

평가결과의 공개 및 요양기관 환류로 의료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나 질 향상 효과를 더욱 높이고 국민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함

관련법령 및 고시 국민건강보험법 제47조(요양급여비용의 청구와 지급 등)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제18조(요양급여비용의 가감지급 기준) 의료급여법 제11조(급여비용의 청구와 지급) 의료급여법 시행규칙 제23조(급여비용의 가감지급기준) 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 및 요양급여비용의 가감지급 기준 (고시 제2016-62호)

Page 15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40

2.2 사업 내용

1. 대상 항목 급성심근경색증, 급성기 뇌졸중,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혈액투석☞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항목 중 문제 크기, 심각성, 실행가능성, 개선가능성,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에 의해 의료공급자의 행태변화가 예측되는 항목을 대상으로 선정2. 대상 기관

연 도 추진내용 대상기관 대상항목’07년 • 가감지급 시범사업 실시 상급종합병원 급성심근경색증

제왕절개분만’10년 • 1등급 및 질 향상기관 가산지급

• 가감지급 시범사업 실시 상급종합병원 급성심근경색증제왕절개분만

’11년 • 가감지급 본 사업 실시(1차년도) 종합병원이상 급성심근경색증제왕절개분만

’12년 • 가감지급 본 사업 실시(2차년도) 종합병원이상급성심근경색증제왕절개분만급성기 뇌졸중

’13년 • 가감지급 본 사업 실시(3차년도) 종합병원이상급성심근경색증1)제왕절개분만2)급성기 뇌졸중

병원급이상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14년 • 가감지급 본 사업 실시(4차년도)종합병원이상 급성기 뇌졸중병원급이상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의원급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15년 • 가감지급 본 사업 실시(5차년도)종합병원이상 급성기 뇌졸중병원급이상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원급이상 혈액투석

의원급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16년 • 가감지급 본 사업 실시(6차년도)종합병원이상 급성기 뇌졸중3)

병원급이상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4)

의원급이상 혈액투석5)

의원급 외래 약제적정성평가주 1. 급성심근경색증 : ’14년부터 허혈성심질환 포괄평가로 가감지급사업 종료 2. 제왕절개분만 : ’14년(’13년 진료분)부터 적정성 평가 종료 3. 급성기 뇌졸중 : ’15년 진료분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지급예정(세부계획 공지예정) 4.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 ’15년 진료분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17년에 가감 예정 5. 혈액투석 : ’15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17년에 가감 예정

Page 15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2. 가감지급 사업

141

3. 평가 방법 등급화 방법

단계 산출방법급성기 뇌졸중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1단계 ■ 입원진료부분 급성기 뇌졸중의 등급화 방법1)과 동일하게 종합점수 산출

■ 12개 지표 중 6개 지표2)를 선정하여 가중치 부여한 종합결과 산출

- 산출식∑{(지표별 분자 합 / 지표별 분모 합) × 지표별 가중치} × 100

가중치의 총합

2단계 ■ 기관별 종합점수 이용, 5등급 구분 - 점수구간별 절대 평가

■ 기관 종합결과 이용 - 절대평가

주 1. 가감지급사업의 1단계 등급화방법은 Part 2의 1.2급성기 뇌졸중의 본문 내용과 동일함 2. 지표의 방향 및 단위를 동일하게 전환 - 지표의 결과값이 높을수록 좋은 경우 또는 낮을수록 좋은 경우를 모두 높을수록 좋은 경우로 전환 : 낮을수록 좋은 지표를 분자값(B2~E2)”은 “분모값-분자값(B′2~E′2)”으로 치환 - 지표의 결과값이 ‘률’ 또는 ‘투여일수’로 산출되는 경우 모두 ‘률’로 전환 : 총 투여일수는 수술별 ‘평균 투여일수 이내 투여율’로 전환 다만, 수술별 항생제투여 권고일수보다 평균 투여일수가 낮은 경우는 권고일수를 기준으로 함

지 표 분모 분자 치환된 분자 가중치 피부 절개 전 1시간 이내에 최초 예방적 항생제 투여율 A1 A2 1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투여율 B1 B2 B′2 0.5 3세대 이상 세팔로스포린 계열 투여율 C1 C2 C′2 1 예방적 항생제 병용 투여율 D1 D2 D′2 0.5 퇴원 시 항생제 처방률 E1 E2 E′2 0.5 총 평균 투여 일수 F1 F2 0.5

단계 산출방법외래 약제적정성 평가 혈액투석

1단계 ■ 질지표별, 표시과목별로 9개 구간으로 균등 분할 등급화

■ 기관별 종합점수 산출(∑지표별 구간점수×가중치) - 100점 형태로 종합점수 변환

종합점수 = 기관종합점수 - 최소점수 × 100최대점수 - 최소점수

2단계 ■ 기관별 종합점수 이용, 5등급 구분 - 점수구간별 절대 평가

Page 15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42

2.3 가감지급 내역1. 가감 산정기준

관련 근거- 국민건강보험법 제47조·제63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8조·제29조- 의료급여법 제11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3조-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6-62호 제11조

대상기관 구분 가산 감산

급성기 뇌졸중■ 우수기관 : 종합점수 상위 20% 최우수 기관 (1%)■ 평가점수 향상기관 : 전차수대비 10점 이상 향상된

기관 (0.5%)■ 감액 기준선 이하(-1%)

외래 약제적정성 평가

■ 우수기관 : 두분기 연속 1등급 + 전체상위 25%ile 이내 + 외래 PCI 0.6*이하 기관

■ 질향상기관 : 동반기 비교 2등급이 향상 + 전체상위 50%ile 이내 + 외래PCI 2.0미만

■ 두분기 연속 9등급 + 지표연동1) 대상기관 + 외래 PCI 2.0*이상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 우수기관 : 종합결과 97%이상 기관■ 질향상기관 : 전차수비교 30%p이상 향상기관 및 전차수비교 2회 연속 15%p이상 향상기관 (단, 종합결과 50%미만 기관은 제외)

■ 종합결과 40%미만 기관

혈액투석 ■ 1등급(종합점수 95점 이상)이면서 상위 10% 기관(1%) ■ 종합점수 65점미만 기관(-1%)

대상금액- 급성기 뇌졸중 : 심사결정공단부담금액 및 의료급여기금부담액의 100분의 0.5~1- 외래 약제적정성 : 가산(감산) 금액 = 진찰료 중 외래관리료 × 질 지표별(1%)

개선금액 = 진찰료 중 외래관리료× 질 지표별(0.5%)-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 ∑ 수술별 [ { (평균 항생제 금액 + 평균 수술료) × 평균 공단부담률

× 가감률(5%) } × 평가대상건수 ]- 혈액투석 : (건강보험)[(진찰료, 혈액투석 1회당 수가, 투석액, 재료대)☓(100-본인부담율)]의 1%

1) 지표연동 통보대상 : 항생제처방률(80%이상), 주사제처방률(60%이상), 6품목이상처방률(40%이상)* 지표연동자율개선제 : 관리지표 정보를 요양기관에 제공해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고,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현지조사, 평가와 연계하여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

Page 15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2. 가감지급 사업

143

(의료급여)[혈액투석 1회당 포괄정액 - 본인부담금]의 1%- 평가대상항목의 복합 상병 등에 따른 요양급여비용 포함- 건강보험법 제107조에 의거 10원 미만의 단수는 제외

2. 가감지급 기관 및 금액 가산 : 2,475기관, 4억 5천만원을 가산 지급함 감산 : 107기관, 3천 8백만원을 감산 지급함

구 분 가산기관 수진자수 총진료비 가산 지급 금액계 공단부담금 의료급여기금

약제급여 가산 2,475 - - 445,388 445,388 -감산 107 - - 37,578 37,578 -

주. 2015년 상·하반기 가감, 중복기관 제외

표 3.1 가감지급사업 지급 현황(단위 : 기관, 천원)

Page 15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44

2.4 가감지급사업 결과1. 외래 약제적정성 평가

1) 종합결과 2015년 의원 급성상기도감염(J00~J06) 항생제처방률은 43.96%로 전년도 43.65% 대비

0.71% 증가하였으며, 주사제처방률은 20.53%로 전년도 20.95% 대비 2.00% 감소하였고, 6품목이상 처방비율은 14.11%로 전년도 14.67% 대비 3.81% 감소함

구분 ’14년 ’15년 전년대비증감률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43.65 43.96 0.71↑

주사제 처방률 20.95 20.53 2.00↓6품목이상 처방비율 14.67 14.11 3.81↓

주. 건강보험, 의료급여 통합 지표 현황

표 3.2 평가대상(의원) 지표별 현황 (단위 : %)

2015년 상ㆍ하반기 전체 가산 지급대상은 2,475기관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1,241기관이 증가하였고, 가산액은 445,388천원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221,602천원이 증가하였음. 감산 지급대상은 107기관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57기관이 증가하였고, 감산액 37,578천원으로 ’14년 하반기 대비 19,956천원이 증가함

구분 ‘14년 하반기 ‘15년 상ㆍ하반기 증감기관수 금액 기관수 금액 기관수 금액

가산

우수 913 183,023 1,826 362,435 913↑ 179,441↑개선 328 40,762 660 82,953 332↑ 42,190↑

감산 50 17,622 107 37,578 57↑ 19,956↑주. 가감금액 : 1만원미만 기관 제외, 기관수 : 지표 중복기관 제외

표 3.3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가감지급사업 현황(단위 : 기관, 원)

Page 15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2. 가감지급 사업

145

’15년 상반기 가산(우수)기관은 서울(252기관) > 경기(176기관) > 부산(71기관) > 대구(62기관) 순으로 많으며, 감산기관은 경기(13기관) > 서울(10기관) > 전남(7기관) > 인천ㆍ대구(6기관) 순으로 많음

구분 총기관수가산(우수) 가산(개선) 감산

기관수 금액 기관수 금액 기관수 금액계 27,375 886 (3.24) 175,572 304 (1.11) 37,997 60 (0.22) 21,416

서울 6,765 252 (3.73) 47,911 79 (1.17) 7,934 10 (0.15) 3,939부산 2,001 71 (3.55) 17,164 21 (1.05) 2,255 2 (0.1) 767인천 1,365 33 (2.42) 5,439 16 (1.17) 2,087 6 (0.44) 2,664대구 1,514 62 (4.10) 9,075 16 (1.06) 2,184 6 (0.4) 2,104광주 839 27 (3.22) 2,761 8 (0.95) 875 3 (0.36) 915대전 945 35 (3.70) 8,601 14 (1.48) 1,651 1 (0.11) 370울산 543 23 (4.24) 7,582 7 (1.29) 994 - -경기 5,869 176 (3.0) 33,031 68 (1.16) 9,112 13 (0.22) 4,796강원 705 15 (2.13) 1,992 4 (0.57) 235 3 (0.43) 697충북 781 26 (3.33) 5,783 8 (1.02) 1,209 2 (0.26) 194충남 1,000 19 (1.90) 5,415 11 (1.10) 1,236 - -전북 1,059 30 (2.83) 5,395 15 (1.42) 2,221 3 (0.28) 1,755전남 902 21 (2.33) 4,187 9 (1.0) 1,461 7 (0.78) 2,235경북 1,198 34 (2.84) 7,628 15 (1.25) 2,586 2 (0.17) 547경남 1,479 49 (3.31) 10,747 8 (0.54) 1,153 2 (0.14) 433제주 329 10 (3.04) 2,164 3 (0.91) 140 - -세종 81 3 (3.70) 698 2 (2.47) 665 - -

표 3.4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가감지급사업 지역별 현황(’15년 상반기)(단위 : 기관, 천원)

Page 15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46

’15년 하반기 가산(우수)기관은 서울(287기관) > 경기(190기관) > 부산(70기관) > 대구ㆍ경남(60기관) 순으로 많으며, 감산기관은 서울ㆍ경기(7기관) > 전북ㆍ경남(6기관) 순으로 많음

구분 총기관수가산(우수) 가산(개선) 감산

기관수 금액 기관수 금액 기관수 금액계 27,537 940 (3.41) 186,863 356 (1.29) 44,956 47 (0.17) 16,162

서울 6,770 287 (4.24) 50,654 84 (1.24) 9,564 7 (0.1) 2,514부산 2,019 70 (3.47) 17,196 27 (1.34) 2,908 1 (0.05) 683인천 1,379 36 (2.61) 7,078 20 (1.45) 3,402 2 (0.15) 843대구 1,514 60 (3.96) 8,924 23 (1.52) 2,815 3 (0.2) 1,114광주 831 23 (2.77) 2,430 11 (1.32) 1,240 3 (0.36) 591대전 957 32 (3.34) 6,100 18 (1.88) 1,769 1 (0.1) 14울산 553 19 (3.44) 6,412 7 (1.27) 815 - -경기 5,918 190 (3.21) 42,189 78 (1.32) 9,993 7 (0.12) 3,002강원 706 18 (2.55) 2,324 11 (1.56) 1,342 2 (0.28) 433충북 795 29 (3.65) 5,956 12 (1.51) 1,609 - -충남 996 18 (1.81) 4,835 11 (1.1) 2,347 2 (0.2) 974전북 1,064 38 (3.57) 7,664 14 (1.32) 1,368 6 (0.56) 2,200전남 896 18 (2.01) 3,910 12 (1.34) 2,225 5 (0.56) 1,349경북 1,214 26 (2.14) 6,165 15 (1.24) 2,226 1 (0.08) 277경남 1,486 60 (4.04) 11,133 11 (0.74) 1,231 6 (0.4) 1,897제주 341 13 (3.81) 3,268 2 (0.59) 102 1 (0.29) 273세종 98 3 (3.06) 625 - - - -

표 3.5 외래 약제적정성평가 가감지급사업 지역별 현황(’15년 하반기)(단위 : 기관, 천원)

Page 16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2. 가감지급 사업

147

2.5 향후 추진방향 적정성 평가 결과에 기반한 가감지급 사업 확대 검토- 급성기 뇌졸중,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약제급여 등 6개 항목에서 요양병원 입원 급여

등으로 연차별 확대 추진 항목별 가감지급 효과 분석을 통한 가감지급 체계 정비 및 관리 방안 마련

Page 16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148

3 인센티브 사업

3.1 배경 및 목적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도’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의료기관 인센티브 지급사업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 환자를 지속적인 적절한 진료 및 건강 관리하는 ‘의원’의 질환관리

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 고혈압·당뇨병의 적정성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평가결과 양호한 기관에 요양급여비용을 가산

관련법령 및 고시 국민건강보험법 제47조(요양급여비용의 청구와 지급 등)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제18조(요양급여비용의 가감지급 기준) 의료급여법 제11조(급여비용의 청구와 지급) 의료급여법 시행규칙 제23조(급여비용의 가감지급기준) 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 및 요양급여비용의 가감지급 기준(고시 제2016-62호) 만성질환관리에 대한 요양급여비용의 가산지급기준(고시 제2016-63호)

3.2 사업 내용

1. 가산지급 대상 및 주기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 ‘양호’기관에 질환별(고혈압·당뇨병)로 각각 지급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주기에 따라 연간 실시

Page 16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3. 인센티브 사업

149

2. 가산지급 제외 대상 평가대상 기간 전체 월을 요양급여비용으로 청구하지 않은 경우 평가대상 진료 분에 대하여 업무정지 또는 과징금 처분을 받은 경우 기타 가산지급 대상에서 제외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경우

「만성질환관리 인센티브 지급 제외관련 적용기준 알림」 보험평가과-2414, 2013.3.11. 제4조 제2항 3호의 장관이 인정하는 지급대상 제외사유에 해당

① 약제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항목(항생제처방률, 주사제처방률, 약품목수(종합결과))모두 최하위(5등급)인 경우

② OPCI 2.0 이상인 기관의 경우

3. 가산지급 금액 양호기관에 지급하는 ①기본 금액과 ②건강보험 관리 환자 수 30인 이상일 때 지급하는 구간별 지급 금액을 합산하여 산정

단, 가산 최대 범위는 외래요양급여비용 총액에 대한 공단부담액의 100분의 5 이내

4. 가산지급 결과 1) 2015년 고혈압 적정성 평가 가산지급(6차) 결과 2015년 고혈압 적정성 평가결과, 가산지급기관은 4,918개소이며 가산지급 총금액은 약

108억 원임- 양호기관 5,085개소 중 지급제외조건※을 적용한 최종 가산지급 기관이 4,918개소 임- 가산지급기관은 양호기관의 96.7%에 해당하며, 평가대상 기관의 27.2%에 해당됨

Page 16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50

전체 의원 평가대상 기관(A)

양호기관(B)

가산지급기관기관수(C) 총 지급금액 비율

C/A C/B29,928 18,083 5,085 4,918 10,827,900,000 27.2 96.7

주. 이의신청 결과 반영※ 지급제외조건 : ① 평가대상기간 전체 월을 청구하지 않은 경우② 평가대상기간에 대하여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③ 외래약품비고가도지표 2.0 이상인 기관의 경우(2015년 하반기 또는 2016년 상반기)④ 약제급여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항목 모두 5등급인 경우

표 3.6 2015년 고혈압 적정성 평가결과 가산지급(6차) 현황(단위 : 개소, 원, %)

2) 2015년 당뇨병 적정성 평가 가산지급(4차) 결과 2015년 당뇨병 적정성 평가결과, 가산지급 기관은 2,876개소이며 가산지급 총액은 약 34억 원임- 양호기관 2,978개소 중 지급제외조건※을 적용한 최종 가산지급 기관이 2,876개소임- 가산지급기관은 양호기관의 96.6%에 해당되며, 평가대상 기관의 20.9%에 해당됨

전체 의원 평가대상 기관(A)

양호기관(B)

가산지급기관기관수(C) 총 지급금액 비율

C/A C/B29,928 13,777 2,978 2,876 3,440,800,000 20.9 96.6

※ 지급제외조건 : ① 평가대상기간 전체 월을 청구하지 않은 경우② 평가대상기간에 대하여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③ 외래약품비고가도지표 2.0 이상인 기관의 경우(2015년 하반기 또는 2016년 상반기)④ 약제급여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항목 모두 5등급인 경우

표 3.7 2015년 당뇨병 적정성 평가 가산지급(4차) 현황(단위 : 기관, 원, %)

Page 16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3. 인센티브 사업

151

관리환자 수 구간별 지급 금액표① ‘양호기관’ 기본 금액 - 대상 질환별 각각 연간 10만원 지급 ② ‘양호기관’의 관리 환자 수에 따라 “관리환자 수 구간별 지급 금액표”에 따라 지급

관리환자 수주) 지급금액30≤ n ≤50 200,000

50< n ≤100 500,000100< n ≤150 800,000150< n ≤200 1,100,000200< n ≤250 1,400,000250< n ≤300 1,700,000300< n ≤400 2,000,000400< n ≤500 2,600,000500< n ≤600 3,200,000600< n ≤700 3,800,000700< n ≤800 4,400,000

800< n ≤1,000 5,000,000n >1,000 6,200,000

주. 관리환자 수 : 건강보험 단일기관 이용 환자 수

(단위 : 명, 원)

Page 16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152

4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지원 사업

구 분 QI 교육 QI 컨설팅 우수사례선정

QI 뉴스레터(메일수신자수) QI 커뮤니티

2016년 250명 이수 8기관(서울권역 통합 4기관 포함) 9기관 연 6회 발간 (3,500명) 989명2015년 226명 이수 7기관(서해권역 통합 3기관 포함) 9기관 (3,221명) 929명2014년 197명 이수 6기관(지역단위 통합 3기관 포함) 9기관 (2,800명) 895명2013년 168명 이수 6기관 9기관 (2,500명) 796명2012년 97명 이수 6기관 9기관 (2,000명) 700명2011년 100명 이수 4기관(시범운영) 8기관 (1,401명) 620명2010년 200명 이수 - 8기관 (1,300명) 440명2009년 160명 이수 - 6기관 (1,240명) 274명2008년 56명 이수 - 6기관 (1,195명) 109명(5월)2007년 - - 4기관 최초발간(11월) -

표 3.8 질향상 지원사업 연도별 실적

심사평가원에서는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평가결과 공개, 가감지급 사업, 질 향상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질 향상 지원 사업 프로그램은 2007년부터 요양기관이 적정성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체계적이고 자율적으로 의료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과 자문, 모범사례를 공유하는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실시하고 있음

질 향상 지원의 주요 사업으로는 QI교육, QI컨설팅, QI활동 우수사례 포상 및 발표, QI뉴스레터 발간, QI커뮤니티 운영 등이 있음

그간의 경과 2016년 5월~6월 QI 교육과정 (원주․대구․광주․서울)(5/13, 5/27, 6/10, 6/24) 2016년 5월 QI 컨설팅 사업실시(8기관 선정, 서울역 지역단위 통합지원 4기관 포함) 2016년 6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계획발표 및 자문(서울)(6/29) 2016년 8월~9월 QI 컨설팅 참여기관 맞춤형 질 향상 방문컨설팅 시행 2016년 11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결과발표 및 자문(서울)(11/18) 2016년 12월 요양기관 질향상 활동 우수사례 포상식(12/1, 9개 기관)

Page 16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4.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지원 사업

153

4.1 요양기관 QI 교육 과정 제공 2008년부터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담당자 또는 QI 실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 QI 커뮤니티 인터넷 홈페이지에 교육 자료 공유 2016년에는 원주, 대구, 광주, 서울 지역 교육을 실시하였고, 이론과 실무를 접목한 1일 단기

집중과정으로 운영하여 교육생의 만족도를 높임- 교육 후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96.0%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

2016년 교육프로그램(원주, 대구, 광주, 서울)

1일

<주제: 적정성 평가의 이해 및 QI 기본개념과 실무활용>■ 질평가 동향 및 요양급여 적정성평가 방향 ■ QI 활동 시작하기■ QI 활동 수행하기

■ QI활동 사례 발표■ 적정성평가를 활용한 실무적용 분임토의 및 실습과정

4.2 QI 컨설팅 요양기관이 적정성 평가 관련하여 해당기관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수립에서 실행까지의 전 과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컨설팅 운영 대상 : 8개 기관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가 낮아 질 향상이 필요한 중소병원 - 2014년 부터는 지역 네트워크 활용 통합지원 컨설팅 사업 시행함

주제 : 현재 심사평가원에서 수행중인 적정성 평가 항목의 QI활동 전 과정

Page 16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54

업무절차

그림 3.2 QI 컨설팅 절차

월 내용 비고

6월■ 질향상 활동 계획서 발표(서울) 참여 기관 QI담당자■ 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컨설팅 팀■ 활동계획 수립 교육 제공 컨설팅 팀(지역 멘토)

8월∼9월■ 참여 기관 방문 컨설팅 - 중간점검 및 피드백 - 기관별 요청에 의한 맞춤형 강의 제공

컨설팅 팀

11월■ 질향상 활동 결과 발표(서울) 참여 기관 QI담당자■ 결과에 대한 피드백 및 활동보고서 작성방법 교육 컨설팅 팀(지역 멘토)■ 질향상 활동 성과 평가 참여 기관 QI담당자, 컨설팅 팀

표 3.9 2016년 질향상 컨설팅 활동내용

컨설팅 팀 구성-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하여 질향상 계획 수립, 활동지원, 교육서비스 및 정보제공 등 수행

Page 16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4.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지원 사업

155

질향상 컨설팅 운영 성과 평가- QI 활동 우수사례 심사에서 특별상 포상(3개 기관)- QI컨설팅 참여기관 만족도 조사결과 4.88점(5점 만점)으로 참여기관 모두 질 향상에

상당한 도움을 받은 것으로 응답

4.3 QI 우수사례 공모 및 발표회 개최

QI활동 우수사례 관련 정보 교류·벤치마킹을 목적으로 각 요양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적정성 평가 관련 QI 활동사례를 공모

2016년 28개 공모사례 중 총 9개 기관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포상- 대상 1개 기관, 최우수상 2개 기관, 우수상 3개 기관, 특별상 3개 기관 포상

우수사례는 다른 기관에서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우리원 홈페이지 「QI커뮤니티」에 우수사례 파일 게재, 우수사례집 제작‧배포 함

내 용■ 약제급여 적정성 지표 개선활동(전라북도 군산의료원)■ 폐렴 적정성 평가를 위한 제표 개선활동(부산광역시의료원)■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적정성 향상을 위한 질 향상 활동(의료법인 안동병원)■ 수술환자 및 보호자에게 정보제공을 통한 외부고객 만족도 증진(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신경외과 수술환자의 고객경험관리를 통한 내․ 외부 고객 만족 증대(서울아산병원)■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적정성 평가 지표 향상 활동(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급성심근경색환자의 적정 진료 프로세스 구축(단원병원)■ 욕창 신규 발생률을 ZERO로 관리한다(양지요양병원)■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지표 관리 체계 확립(평택성모병원)

표 3.10 2016년 우수사례 선정 및 포상

Page 16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56

4.4 뉴스레터 배포가. QI 뉴스레터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소식, 요양기관의 질 향상 활동 사례, QI 이론 및 도구, QI관련 국내·외 주요 이슈 등 최신 QI정보 제공- 격월(짝수월) 발간, 2016년 12월 약 3,500명 수신 중임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 의료정보 / 간행물 /뉴스레터 / QI 뉴스레터)를 통해 연중제공

그림 3.3 QI 뉴스레터 화면

Page 17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4.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지원 사업

157

구 분 내 용

2월(50호)

■ 2015년도 폐렴(1차) 적정성 평가 결과 안내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임상질지표 관리를 통한 폐렴 진료 적정성 향상 활동 소개■ The Joint Commission 2016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Central line Bundle을 활용한 CLABSI 감소 활동 소개■ 2016년 적정성 평가 계획 등 평가실 소식

4월(51호)

■ 위암(1차) 적정성 평가 결과■ 부산대학교병원 임상질지표 관리를 통한 위암 진료 적정성 향상 활동 소개■ Choosing Wisely Canada(위장관계) ■ 국립암센터 위암 적정성 평가 지표 향상을 위한 관리 및 개선활동 소개■ 위암, 폐암 적정성 평가 자료수집 계획 안내

6월(52호)

■ 중환자실(1차) 적정성 평가 결과■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지표개선 활동 소개■ NICE Guideline : Major trauma(1): service delivery■ 부산대학교병원 중증 외상 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단축 활동(1) 소개 ■ 급성기 뇌졸중(7차) 적정성 평가 주요 개선사항 안내

8월(53호)

■ E-평가자료제출시스템 주요 기능 및 2016년 서비스 확대 내용 안내■ 에스포항병원 적절한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소개■ NICE Guideline : Major trauma(2): assessment and initial management■ 부산대학교병원 중증 외상 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단축 활동(2) 소개■ 2016년 QI 교육과정 완료 안내

10월(54호)

■ 적정성 평가 결과 활용 국외 학술지 논문 소개: 급성기뇌졸중 평가에서 가감지급 사업의 효과 연구

■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급성 뇌경색증 환자의 CP 개발과 적용으로 양질의 적정진료 서비스를 제공하자 소개

■ 질향상 활동 보고서를 잘 쓰기 위해 제안된 가이드라인(SQUIRE 2.0) 소개■ 인하대학교병원 포괄수가제 적용 질환의 CP 활용사례 소개■ 간암(간절제술) 2차 평가 세부추진 계획 안내

12월(55호)

■ 2016년 상반기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 안내■ 군산의료원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지표 개선활동 소개■ 5 Tips for Publishing Your QI Work 소개■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수술환자의 고객경험관리를 통한 내․ 외부 고객 만족 증대 소개■ 2016년 QI 활동 우수사례 선정 결과 및 발표회 소식 소개

표 3.11 2016년 QI 뉴스레터 수록내용

Page 17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58

4.5 QI 커뮤니티 운영

적정성 평가 및 QI활동에 대한 이해도와 접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운영(국내·외 QI 동향, 뉴스레터 및 관련 자료, QI 활동사례 및 병원 소개, 적정성 평가정보, 요양기관 QI 컨설팅 운영 및 상담, QI 교육자료 등 제공)

또한, 요양기관 벤치마킹의 질향상 활동 교류의 장으로 활용-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국민소통 / 커뮤니티 /고객자문단/ 커뮤니티/QI 커뮤니티

4.6 요양기관 개별 교육 등

요양기관 개별 교육 활동 - 적정성 평가 결과 질 개선이 필요한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경영진, 적정성 평가 관련

의사·간호사(보험심사팀, QI팀) 등을 대상으로 상담- 위험도 보정요인 세부내역, 평가방법, 지표산출방법, 우수한 타기관의 사례 소개 및 질향상

방안 상담- 2016년에는 의료급여정신과, 위암 등 5개 평가항목의 하위기관의 방문상담 및 소그룹

집중상담 실시 평가 설명회 및 간담회 개최- 평가기준, 조사표 작성방법 등 적정성 평가 세부추진계획, 평가결과에 대하여 요양 기관을

대상으로 권역별로 실시

그림 3.4 질 향상 지원 사업 요약

Page 17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3

평가 결

과 활

4.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지원 사업

159

그간의 경과 2007년 9월 질향상 지원 사업에 대한 요구도 조사 2007년 11월 QI 뉴스레터 창간호 발간 2007년 11월 적정성 평가 결과 우수기관 사례발표회 개최 2008년 5월 QI 커뮤니티 개설(5/16) 2008년 6월 QI 교육과정 개설(6/19~20) 2008년 10월 QI 활동 우수사례 기관 선정 및 포상 (10/29, 4개 기관) 2008년 12월 QI 자료집(2008 QI이론과 의료현장의 최신동향) 제작·배포 2009년 4월 요양기관 QI 교육 입문과정 개설(4/23~24) 2009년 6월 요양기관 QI 교육 심화과정 개설(6/25~26) 2009년 11월 QI 활동 우수사례 기관 선정 및 포상(11/20, 6개 기관), 발표회 개최(11/26) 2009년 12월 ʻQI 이론과 실무 활동’ 발간 2010년 1월 ʻQI 활동 따라잡기’ 발간 2010년 4월 요양기관 QI 교육 입문과정 개설(4/22~23) 2010년 6월 요양기관 QI 교육 심화과정 개설(6/24~25) 2010년 11월 QI 활동 우수사례 기관 포상 및 발표회 개최(11/23, 8개 기관) 2011년 4월 요양기관 QI 교육 입문/심화 통합 1차 과정(4/22~23) 2011년 5월 QI 컨설팅 시범사업 실시 (4개 기관 대상선정)

QI 컨설팅 대상기관의 질향상 활동 계획발표 및 개선방안 자문회의 2011년 6월 QI요양기관 QI 교육 입문/심화 통합 2차 과정(6/24~25) 2011년 8월~9월 QI 컨설팅 대상기관 방문 컨설팅 수행 2011년 10월 QI 컨설팅 대상기관의 질향상 활동결과 발표 및 결과에 대한 피드백 2011년 11월 QI 활동 우수사례 기관 포상 및 발표회 개최(11/23, 8개 기관) 2012년 5월 QI 컨설팅 사업 실시 (6개 기관 대상 선정) 2012년 6월 요양기관 QI 교육 통합 1차 과정(5/14~5/15) 2012년 6월 QI 컨설팅 대상기관의 질향상 활동 계획발표 및 개선방안 자문회의 2012년 7월 요양기관 QI 교육 통합 2차 과정(7/2~7/3) 2012년 8월 QI 컨설팅 참여기관 맞춤형 질 향상 방문 컨설팅 시행 2012년 10월 QI 컨설팅 활동결과 발표와 자문제공 및 최종 보고서 작성안내 2012년 12월 QI 활동 우수사례 기관 포상 및 발표회 개최(12/17, 9개 기관) 2013년 5월 QI 컨설팅 사업 실시 (6개 기관 대상 선정) 2013년 4월 요양기관 QI 교육(서울) 시행(4/23~4/24) 2013년 6월 요양기관 QI 교육(광주, 부산) 시행(6/19, 6/25)

Page 17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60

2013년 8월 QI 컨설팅 참여기관 맞춤형 질 향상 방문 컨설팅 시행 2013년 12월 QI 활동 우수사례 기관 포상 및 발표회 개최(12/18, 9개 기관) 2014년 4월 QI 교육과정 (서울, 2일 과정)(4/24~4/25) 2014년 5월 QI 컨설팅 사업실시(6기관 선정, 지역단위 통합지원3기관 포함) 2014년 6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계획발표 및 자문(서울, 부산)시행(6/11, 6/27) 2014년 6월~7월 QI 교육과정 (대구, 대전, 제주도)시행(6/18, 6/25, 7/10) 2014년 8월~9월 QI 컨설팅 참여기관 맞춤형 질 향상 방문컨설팅 시행 2014년 11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 결과발표 및 자문(서울, 부산)시행(11/11, 11/13) 2014년 12월 요양기관 질향상 활동 우수사례 포상식(12/22, 9개 기관) 2015년 4월~8월 QI 교육과정 (서울, 대전, 강원․경기, 부산)(4/23, 5/21, 7/30, 8/7) 2015년 5월 QI 컨설팅 사업실시(7기관 선정, 서해권역 지역단위 통합지원 3기관 포함) 2015년 5월, 7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계획발표 및 자문(서울, 대전)(5/18, 7/24) 2015년 8월~9월 QI 컨설팅 참여기관 맞춤형 질 향상 방문컨설팅 시행 2015년 11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결과발표 및 자문(서울, 대전)(11/6, 11/13) 2015년 12월 요양기관 질향상 활동 우수사례 포상식(12/3, 9개 기관) 2016년 5월~6월 QI 교육과정 (원주․대구․광주․서울)(5/13, 5/27, 6/10, 6/24) 2016년 5월 QI 컨설팅 사업실시(8기관 선정, 서울역 지역단위 통합지원 4기관 포함) 2016년 6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계획발표 및 자문(서울)(6/29) 2016년 8월~9월 QI 컨설팅 참여기관 맞춤형 질 향상 방문컨설팅 시행 2016년 11월 QI 컨설팅 질향상 활동결과발표 및 자문(서울)(11/18) 2016년 12월 요양기관 질향상 활동 우수사례 포상식(12/1, 9개 기관)

Page 17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부 록

1. 지표 해설2.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1등급 요양기관 현황3. 평가 관련 용어

Page 17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17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163

1 지표 해설1. 고혈압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처방일수율

혈압강하제 총 처방일수×100

평가대상 기간 전체일수

■고혈압 환자의 낮은 투약순응도(환자가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는 정도)는 혈압조절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순응도를 높이는 것은 어떠한 의학 치료보다 건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WHO, 2003)

■평가에서는 환자의 실제 복용여부(투약순응도)를 확인하기 어려움에 따라, 여러 연구에서와 같이 처방일수를 이용하여 복용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여 혈압강하제 복용 지속정도를 파악함

■평가대상기간 내 요양기관을 2기관 이상 이용한 고혈압 환자

처방지속군 비율

처방일수율 80% 이상인 평가 대상자수 ×100처방지속성 평가 대상자수

■혈압강하제를 처방받아야 할 총일수의 80% 이상 혈압강하제를 처방받는 고혈압 환자는 이보다 적게 처방받는 환자보다 입원할 위험이 낮았고, 결과적으로 의료비용 발생도 적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음(Sokol et al.,2005)

■평가대상기간 내 요양기관을 2기관 이상 이용한 고혈압 환자

동일성분군중복 처방률

동일성분군 내 중복처방이 있는 처방건수 ×100혈압강하제 처방건수

■동일성분군의 중복 사용은 치료적 이득이 없으므로 주의를 요함

■평가대상기간 내 혈압강하제 처방전 건수가 30건 미만인 요양기관

심·뇌혈관 질환 등의 동반 상병이

없는 경우

이뇨제

병용 투여율(권장지표)

이뇨제 포함 처방건수 ×100혈압강하제 3성분군 이상 병용 처방건수

■혈압강하제를 3성분군 이상 병용이 필요한 환자는 thiazide계 이뇨제를 포함하여 처방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대한고혈압학회, 2013), (JNC 8, 2014), (NICE, 2011)

■평가대상기간 내 혈압강하제 처방전 건수가 30건 미만인 요양기관

권장되지 않는 병용 요법 처방률

초기병용으로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 병용 처방건수 ×100혈압강하제 2성분군 처방건수

■고혈압 진료지침에 권장되는 병용요법(대한고혈압 학회, 2013)과 권장되지 않는 병용요법(ESH, 2013)을 고려하여 동반상병이 없는 경우 및 2성분군만을 처방한 경우로 한정하여 병용 처방을 평가함

■평가대상기간 내 혈압강하제 처방전 건수가 30건 미만인 요양기관

Page 17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64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분기별 1회 이상 방문 환자비율

분기별 1회 이상 방문한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외래방문)수

■2년간의 의료이용과 그 후 1년간의 입원, 사망, 의료비를 비교한 선행연구에서 정기적으로 의료 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 비해 그렇지 않은 환자의 입원, 사망, 의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관리가 필요함

■평가년도 동안 총 입원일수가 90일 이상인 환자

처방일수율

환자수 평가대상 기간 내

총 처방일수 ×100평가대상 기간의총 일수

■여러 가지 순응도와 관련한 요소 중 당뇨병 관리 에서는 당뇨병 치료제에 대한 투약 순응도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

■평가년도 동안 총 입원일수가 90일 이상인 환자■평가년도 동안 주사 혈당강하제만 원외 처방 받은

환자

동일 성분군중복 처방률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건수 ×100혈당강하제 총 처방건수

■병용요법이 필요한 경우, 작용기전이 다른 약제로 병용하는 것이 권고됨

■동일성분군 주사 혈당강하제의 병용■동일 성분 의약품의 병용

※제외 건 : 분자 산출시

4성분군 이상

처방률4성분군 이상 처방건수 ×100혈당강하제 총 처방건수

■대한당뇨병학회의 진료지침에서 환자가 인슐린 치료를 강력히 거부하는 경우에 한하여 3제 요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고 하였으며, 제2형 당뇨병의 치료 알고리즘에 관한 미국 및 유럽 당뇨병 학회의 합의안에서도 성분의 수가 많게는 경구 3제 요법 또는 인슐린을 포함한 3제 요법으로 권장 되고 있음

■없음

당화혈색소 검사 시행률

당화혈색소 검사를 실시한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정도를 판단하고 감시 하기 위하여 당화혈색소를 이용하고 있으며, 당화혈색소의 엄격한 관리는 미세 혈관합병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에서는 당화혈색소는 3개월 마다 측정하나 환자 상태에 따라 시행주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적어도 매년 2회 이상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음

■없음

2. 당뇨병

Page 17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65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지질 검사 시행률

지질 검시를 실시한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당뇨병 환자는 대혈관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혈중 지질이상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에서는 당뇨병환자는 당뇨병 진단 시 및 매년 1회 이상 혈청 지질검사(총콜레스테롤, HDL-C, 중성지방, 산출된 LDL-C)를 실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없음

안저 검사 시행률

안저 검사를 실시한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망막병증은 당뇨병 환자의 시력과 관련된 주요한 합병증으로, 유병률은 당뇨병의 이환 기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대한당뇨병학회의 진료지침에서는 당뇨병 환자는 진단 직후에 포괄적인 안과검사를 받을 것과 최초 안과검사 이후에 매년 정기적인 검사를 받으며, 초기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일 경우 매 2년마다 검진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없음

3. 천식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폐기능검사시행률

폐기능검사 시행 환자 수 ×100검사 평가대상자수

■천식이 진단이 된 경우 향후 위험성의 가장 유용한 지표는 폐기능으로, 진단 당시뿐만 아니라, 치료 이후 3∼6개월, 그리고 추적 중에 주기적으로 폐기능의 평가가 필요하며, 증상과 폐기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함(2014 천식진료지침)

■평가대상 기간 동안 입원 또는 외래에서 치매, 의식저하, 안면마비 등의 폐기능검사 제외 상병이 발생한 환자

■사망환자

Page 17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66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지속방문환자비율

지속방문 환자 수 ×100치료지속성 평가대상자수

■천식 환자는 증상 조절, 위험 인자, 그리고 급성 악화를 감시하고 치료 변경에 따른 반응을 확인 하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점검을 받아야 함

(2014 천식진료지침)■평가대상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의료기관 외래를

이용한 환자■사망환자

ICS 처방 환자비율

ICS 처방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흡입스테로이드는 천식 조절상태를 유지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예방약물로 가능한 모든 천식 환자에서 사용(2014 천식진료지침)

■사망환자필수약제(ICS or LTRA) 처방

환자비율

ICS 또는 LTRA 처방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흡입스테로이드는 천식 조절상태를 유지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예방약물로 가능한 모든 천식 환자에서 사용

■중간 용량 흡입스테로이드로 천식 조절이 안되면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를 추가(2014 천식 진료지침)

■사망환자ICS 없이

LABA 처방환자비율

ICS 없이 LABA 처방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저용량 흡입스테로이드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환자는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를 우선 추가할 것을 권고(2014 천식진료지침)

■사망환자

ICS 없이SABA 처방환자비율

ICS 없이 SABA 처방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는 필요할 때만 가장 최소 용량과 빈도로 사용하여야 하며, 매일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추천되지 않음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규칙적인 조절제 치료는 천식 진단 후 가능한 즉시 시작해야 하며, 천식 환자에서 저용량 흡입스테로이드의 조기 시작은 2~4년 이상 증상이 지속된 후 시작한 경우보다 폐기능을 향상시킴(2014 천식진료 지침)

■사망환자

ICS 없이OCS 처방환자비율

ICS 없이 OCS 처방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심한 천식증상이 있거나 천식 급성악화가 있다면, 단기간의 경구스테로이드와 함께 규칙적인 조절제(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 또는 중간용량 ICS/LABA)를 시작할 것을 권고(2014 천식진료지침)

■사망환자

Page 18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67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전문인력 구성 여부

각 전문의 1인 이상 * 전문인력 : 외과, 혈액종양내과,

병리과 전문의

■환자 진료의 조정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시각에서 환자를 고려하는 기회를 증가하기 위함

■없음

과정

수술 전 통증 평가율

수술 전 통증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통증을 평가한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모든 암 환자에서 통증은 평가되어야 하고, 통증 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함

■대장암 관련 진료가 없었던 환자가 응급 수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 전 대장암으로 확진되지 않은 경우암

가족력 확인 비율

암 가족력을 확인한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미국 결장암 환자의 1/3 가량이 가족력과

관련성이 있으므로 가족력을 확인하기 위함■없음

4. 만성폐쇄성폐질환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검사 폐기능검사시행률

폐기능검사 시행 환자 수 ×100평가대상자수

■COPD를 진단하기 위해서 폐활량측정이 필요폐활량측정법은 기류제한을 확인하는데 있어 가장 객관적이고 재현성 있는 검사방법

■적어도 1년에 한 번 이상 폐기능검사를 통해 폐기능의 저하 정도를 확인(2014 COPD 진료지침)

■사망환자

치료지속성

지속방문환자비율

지속방문 환자 수 ×100치료지속성 평가대상자수

■COPD 환자는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수적. 적절한 치료를 하더라도 폐기능이 점차 저하 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면서 치료 변경을 결정하고 합병증 발생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2014 COPD 진료지침)

■평가대상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요양기관 외래를 이용한 환자

■사망환자

처방흡입기관지

확장제처방

환자비율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 수 × 100평가대상자수

■기관지확장제는 COPD 치료의 중심이며, 효과 및 부작용 등을 고려할 때, 흡입약제를 우선 사용(2014 COPD 진료지침)

■사망환자

5. 대장암

Page 18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68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수술 전 정밀 검사 시행률

수술 전 정밀 검사를 받은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민감도가 높은 검사 시행하여 수술 전에 대장암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함

■대장암 관련 진료가 없었던 환자가 응급 수술을 시행한 경우

■천공, 폐색으로 내시경검사를 미시행한 환자■타기관에서 선행요법을 시행한 환자

절제술의 완전성 평가

기록률

외과의가 절제술의 완전성에 대해 평가하고

의무기록에 기록한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외과 수술의 완전성에 대해 아래의 점수로 평가 하는 것이 바람직함

- R0 : 모든 절제연들이 음성인 완전 종양 절제 - R1 : 절제연에 현미경적으로 침윤이 나타나는

불완전한 종양 절제 - R2 : 절제되지 않은 종양 부위가 크게

남아있는 불완전한 종양 절제 - C0 : absolute curative resection - C1 : relatively curative resection - C2 : relatively palliative resection - C3 : palliative resection■없음

수술 후3개월 내 Carcino

embryonic antigen(CEA)검사 시행률

Carcinoembryonicantigen(CEA) 측정한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지

3개월(90일)된 환자 수

■CEA가 수술 후 정상 수준이 되는 것은 완벽한종양 절제와 관련된 것으로 CEA 정상수준 회복 기간은 3개월을 권고함

■수술 후 종양이 남아 있음과 재발의 확인을 위함■해당 검사일에 내원하지 않은 환자■원내 사망환자

병리보고서기록

충실률

병리보고서가 충실하게기록되어 있는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대장암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인 종양 깊이, 림프절 전이, 암의 조직학적 등급 등이 병리보고서에 기록되어야 함

■No residual tumor일 경우

12개 이상의 국소 임파절

절제 및 검사율

12개 이상의 국소 임파절을절제하고 병리검사를

시행한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II기 결장암을 명확하게 입증하기 위해 필요하며, 감시 결절에서의 미세 전이암을 놓치지 않기 위함

※N0 병소를 갖지만 12개미만의 림프절이 조사된 환자들은 병기 결정이 완전하지 않아 고위험군 으로 간주되고, 검사된 림프절의 수는 생존과 관련이 있음

■선행방사선 치료 또는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수술 전 대장암으로 확진되지 않은 경우임상의 암 관련

정보기록률

임상의가 암병기(TNM)를 의무기록에 기록한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대장암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종양 깊이, 림프절 전이, 다른 장기로의 전이로, 이러한 요인은 의무기록에 기록되어야 함

■없음

Page 18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69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장루관리 교육

시행률

퇴원 전에 장루관리교육을 받은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 후

장루를 가진 환자 수

■장루를 가진 환자는 장루기구를 부착하게 되면서 다양한 피부 문제 및 장루 합병증을 경험하게 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교육이 필요함

■원내 사망환자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비율(stageⅠ)

보조적인 항암화학요법을 투여 받지 않은 환자 수 ×100결장암(Stage I), 직장암(Stage I)

으로 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결장암(Stage I), 직장암(Stage I) 환자들은보조적인 항암화학요법이 권고되지 않음

■없음

수술 후 8주 이내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stageⅡ,(orⅡb)~Ⅲ)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하는 첫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수 ×100결장암(Stage IIb~III), 직장암(Stage II~III)으로 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재발 위험(폐색, 천공, T4 병변)을 높이는 2기나 3기 결장암환자는 8주 이내 보조화학요법으로 재발을 낮추고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함

■수술 후 8주 이내 다른 기관으로 전원 간 환자■수술 후 8주 이내 환자요인으로 인해 항암화학

요법을 시행하지 못한 환자 ■수술 전 사전요법(항암방사선 병용요법, 항암

요법)을 시행한 환자■수술 후 Palliative 요법만을 시행하거나 항암

방사선 병용요법을 시행한 환자항암화학요법

계획을 설명한

환자 비율

환자(또는 가족)에게 항암화학요법 계획을 설명한

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대장암 환자 수

■환자에게 치료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질문에 답해주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며, 정보 제공은 필수적인 부분이어야 함

■없음

Flow sheet 사용률

Flow sheet를 사용한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대장암 환자 수

■일정간격을 두고 투여되는 항암치료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환자 상태를 모니터함으로써 지속적인 환자 상태 평가와 환자 교육 용이하게 하기 위함

■없음

권고된 항암화학

요법 시행률

시행한 항암화학요법이 권고된 요법과 일치하는 환자 수 ×100수술 후 항암화학단독요법을 시행한 대장암 환자 수

■항암제를 용법에 맞게 투여하기 위함■수술 전 사전요법 (항암방사선 병용요법, 항암

요법)을 시행한 환자■수술 후 Palliative 요법만을 시행하거나 항암

방사선 병용요법을 시행한 환자

항구토제를 투여 받은 환자 비율

Serotonin antagonist를처방받은 환자 수 ×100중등도 이상 구토를 유발하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대장암 환자 수

■고도와 중등도의 구토 위험성이 있는 항암화학 요법을 받고 있는 사람의 오심·구토의 위험성은 적어도 4일 이상 지속되므로, 이러한 위험성이 있는 기간 내내 환자 보호를 하기 위함

■없음

Page 18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70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수술 후방사선치료율

(직장암)

수술 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수 ×100직장암 (Stage II~III) 으로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해당기준에 속하는 환자 수

■직장암 고위험 환자군의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함■환자가 방사선 치료를 거부한 경우 등■수술 전 방사선 요법을 시행한 경우■종양의 위치가 상방에 있을 경우

(단, 종양의 위치가 상방에 있으면서 resection margin이 양성이거나 incomplete resection인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시행해야 함)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병용 시행률

(직장암)

5-fluorouracil 에 근거한 항암화학요법을 방사선치료와

병용 시행한 환자 수 ×100방사선 치료를 받은 직장암(Stage II~III) 환자 수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하여 직장암 환자에게 수술 전·후 방사선 치료 시행을 권고

■국소적 절제가 어려운 2~3기 직장암 환자는 선행 요법으로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병용해서 시행할 것을 권고함

■타 기관에 의뢰하여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등

결과

평균 입원일수(수술 후 입원일수

포함)

×

×

h : 대상 요양기관 g : 종별 DRG별 nhg : 대상 요양기관의 종별 DRG별 건수 Lg : 종별 DRG별 건당입원일수 Lhg : 대상 요양기관의 종별 DRG별 건당입원일수 LIh : 대상 요양기관의 장기도지표

■의료서비스를 위해 투입되는 비용효과성을 측정 하기 위함

■재원일수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아 상단값을 초과하거나 하단값 미만에 속하는 환자

※상단값 = X > {Q3+2.5|Q3-Q1|} 하단값 = X < {Q1-2.5|Q3-Q1|}X : 건별 총입원일수Q1 : 1사분위수Q3 : 3사분위수

수술 사망률(원내 사망 및 수술 후

30일내 사망)

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후 입원기간 내 또는 수술 후 30일내 사망한 환자 수 ×100대장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 환자의 임상상태 등 중증도를 보정하여 산출 예정

■대장암 절제술 환자의 사망률은 의료의 질과 긴밀한 관계가 있고 사망률의 증가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음

■없음

Page 18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71

6. 유방암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전문인력 구성 여부

각 전문의 1인 이상* 전문인력 : 외과, 혈액종양내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시각에서

환자를 고려하는 기회를 증가하기 위함■없음

과정

유방암 가족력 확인

비율유방암 가족력을 확인한 환자 수 ×100유방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유방암 가족력이 있으면 유방암에 대한 고위험군임 ■유방암 병력이 있는 가족 구성원이 누구인지에

대한 기록 필요함■없음

전신상태 평가 기록

비율항암화학요법 시작전 전신상태

평가가 기록된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수■전신상태는 항암화학요법 시작 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없음

보조치료 동의서 비율

보조치료에 대해 동의한 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보조치료를 받은 환자 수

■치료의 가능한 효과와 위험도에 대하여 환자/ 의사가 의논하며, 이때 치료의 근거가 되는 증거, 간접 증거에 근거한 치료 시의 장점에 대한 가정,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 고위험 예후의 특징을 설명하고 보조 치료 시행 여부에 대하여 환자의 선택을 포함시켜야 함

■없음

항암화학요법 기록 비율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 수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암화학요법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은 향후 환자 치료 및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부분임

■없음

방사선치료 기록 비율

방사선치료 결과가 기록된 환자 수 ×100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수

■전원이나 전과시 이전에 치료가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되었는지 알기 위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 현황에 대한 결과가 기록되어 있어야 함

■타 기관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병리보고서기록 충실률

병리보고서가 충실하게기록되어 있는 환자 수 ×100유방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유방암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병리학적 기록들이 모두 충실하게 기록되어 있어야 함

■없음

임상의 암 관련

정보 기록률

임상의에 의한 암 관련 정보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유방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예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침윤성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다른 장기로의 전이로 이러한 요인은 의무기록에 기록되어 있어야 함

■유방암 향후 치료에 호르몬 수용체와 HER2 발현기록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병리 보고서 이외 임상의에 의한 병기기록이 의무 기록에 기록되어 있어 향후 치료에서 고려되어야 함

■없음

Page 18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72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감시림프절 생검 또는 액와림프절

절제술 시행률

감시림프절 생검 또는 액와림프절 절제술 시행한 환자 수 ×100유방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유방암의 림프절 전이 여부는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어 확인이 필요함

■액와림프절 절제술의 경우 림프부종 등의 합병증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최근 감시림프절 생검을 시행하기도 함

■없음

최종 절제연이 침윤성 유방암

음성 비율

최종 절제연이 침윤성 유방암 음성인 환자 수 ×100유방보존술을 시행한 환자

■최종 절제연이 침윤성 유방암 양성인 경우 재절제를 원칙으로 함

■절제된 검체의 경계가 superficial, deep margin인 경우■lateral margin의 경우 focal하게 상피내암

혹은 침윤성암 양성 환자에게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요법

(항암화학요법 또는

내분비요법)시행률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요법 (항암화학요법 또는 내분비요법)

을 시행한 환자 수 ×100종양의 크기가 1cm 초과이거나 종양의 크기에 상관없이 림프절 양성인 환자 수

■종양의 크기가 1cm 초과이거나 림프절 양성인 1~3기 환자는 수술 후 보조요법(항암화학요법 또는 내분비요법)이 필요함

■수술과 수술 합병증의 초기치료에서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8주 이내 보조요법(항암화학요법 또는 내분비요법)을 시행해야 함

■환자가 수술 후 8주 이내 다른 기관으로 전원 간 경우

■선행 화학요법 시행한 경우 ■수술 후 방사선치료 후 보조요법을 실시하는 경우■예후가 좋은 조직형 유방암(Tubular, Mucinous)■임상시험 환자인 경우 ■수술 후 8주 이내 환자요인으로 인해 보조요법을

시행하지 못한 경우

보조내분비요법 시행률

보조 내분비요법을 시행한 환자 수 ×100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환자 수

■ER, PR 중 하나가 양성인 경우 보조내분비 요법을 시행해야 함

■림프절 음성이면서 원발 종양의 크기 0.5cm 이하■선행치료(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권고된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권고된 보조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수 ×100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 수

■항암제를 용법에 맞게 투여해야 함■수술 후 다른 기관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임상시험 환자의 경우■수술 후 환자요인으로 인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못한 경우

항구토제를 투여받은 환자 비율

serotonin antagonist를 처방받은 환자 수 ×100중등도 위험군 이상 구토를

유발하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 수

■항암화학요법의 예견된 부작용을 미리 방지하여 환자를 보호함

■CMF 요법(경구 cyclophosphamide 투여한 경우)

Page 18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73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전문인력 구성여부

각 전문의 1인 이상*전문인력 : 호흡기내과, 혈액종양내과, 흉부외과, 병리과, 핵의학과, 방사선 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

■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시각에서 환자를 고려하는 기회를 증가하기 위함

■없음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표적치료 시행률

표적치료를 시행한 환자 수 ×100HER2 면역검사 결과가 3+이거나 FISH or SISH 검사로 HER2 유전자 증폭이 확인된 환자 수

■HER2 과발현 유방암에서 림프절 양성이거나, 림프절 음성이면서 종양의 크기가 1cm 초과인 경우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1년 이내의 trastuzumab 투여를 권장하며, 이는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킴

■액와림프절 음성이고 종양의 크기가 1cm 이하인 경우AI 투여 전 환자의 골밀도 검사 시행률

AI 투여 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환자 수 ×100 AI를 투여한 환자 수

■AI 투여 시 골밀도 손실로 골다공증 위험 있음■없음

방사선치료 시작 시기

수술 후 또는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완료 후

6주 이내 방사선 치료를 시작한 환자 수 ×100유방보존술을 시행한 환자 수

■유방보존술을 시행 받은 경우 모든 환자에서 전유방 조사가 필요함

■수술 후 6주 이내 다른 기관으로 전원 간 경우■평가 종료 시점에 항암화학요법이 미완료된 환자의 경우■70세 이상인 유방암 환자에서 림프절 음성

이면서 ER 양성이고 절제연 음성의 유방보존술을 시행했을 경우

■수술 후 환자요인으로 인해 6주 이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지 못한 경우

유방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수 ×100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해당기준에 속하는 환자 수

■유방전절제술을 받은 경우 종양의 직경이 5cm 초과이거나 절제연이 양성인 경우에 흉벽에 대한 방사선요법 시행이 필요함

※해당 기준 - 외과적으로 절제된 검체의 경계가 양성인 경우 - 침윤성 유방암 종양의 크기가 5cm 초과인 경우(T3) - 종양의 크기에 관계없이 종양이 직접 흉벽이나

피부를 침윤한 경우(T4) - N2 이상인 경우■ 절제된 검체의 경계가 Superficial, Deep margin인 경우■ 수술 또는 항암화학요법 후 다른 기관으로 전원 간 경우

7. 폐암

Page 18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74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흡연력 기록 비율

흡연력이 기록된 환자 수 ×100평가대상 폐암 환자 수

■흡연은 폐암 발생의 주 위험요인임■수술 전 환자의 흡연력에 대한 사전 지식은 수술을

포함한 환자치료 중재를 적절히 계획하는데 중요함■없음

전신상태평가기록

비율치료 전 전신상태 평가가

기록된 환자 수 ×100평가대상 폐암 환자 수■치료(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시작 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없음

치료 전 정밀 검사 시행

비율

치료 전 각 해당 정밀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 수 ×100각 해당 검사의 평가대상 폐암

환자 수

■치료 전에 폐암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민감도가 높은 검사를 시행해야함

-폐기능검사 : 수술 위험도 사정을 위해 수술 전이나 근치적 방사선치료 전에 폐기능평가 (FEV1, DLCO)

-흉부CT : 종양의 크기, 위치, 주위 장기와의 관계, 림프절침범을 평가하는데 필수

-PET-CT 또는 PET : 수술 전에 다른 부위로의 전이여부를 알아보는데 유용

-종격동내시경 또는 EBUS 또는 종격동림프절 절제술 : N2 병기가 의심될 때 종격동 병기 설정 위해 시행. 종격동 병기 설정은 치료 결정과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주므로 치료 전에 시행

-뇌CT 또는 뇌MRI : 뇌전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

■폐암 관련 진단이 없었던 환자가 응급 수술을 시행한 경우

■PET-CT : 환자가 거부한 경우■종격동내시경 또는 EBUS 또는 종격동 림프절

절제술: 환자가 거부한 경우

임상의에 의한

암 병기 기록 비율

임상의(내과전문의, 흉부외과전문의,

방사선종양학과전문의)에 의한 암 병기 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평가대상 폐암 환자 수

■TNM 병기에 따라 예후 및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상태,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평가되어야 함

■병리보고서 이외 임상의(내과·흉부외과․방사선 종양학과전문의)에 의한 병기기록이 기록되어 향후 치료에서 고려되어야 함

■없음치료 전 병리학적 확정 진단

비율

치료시작 전 조직학적 또는 세포학 적으로 확정 진단을 받은 환자 수

×100폐암에 대한 근치수술 이외의 치료를 하는 환자 수

■치료 시작 전에 병리학적 확정 진단을 해야 치료 방향 설정이 가능하고 의료진 간 의사소통에 도움이 됨

■stage IV 환자의 고식적 방사선치료 환자■조직학적 검사가 어려운 경우

병리보고서기록 충실률

수술 병리기록이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 수 ×100

폐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폐암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병리소견이 병리보고서에 기록되어야 함

■없음

Page 18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75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림프절 절제 또는

림프절 샘플링 시행률

림프절 절제 또는 림프절 샘플링을 시행한 환자 수 ×100폐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체계적인 림프절 절제나 림프절 샘플링은 완전 절제를 위해 필요함

-각 림프절의 체계적인 생검으로 임상병기 N0-1 환자의 24%에서 N2 병변이 증명 되므로 림프절의 완전 절제는 치료 목적 및 N2 환자에서의 관해 유도시 필요함

■ 수술 후 stage IIIB, IV기 환자 ■ COPD 등으로 심폐기능 저하시■ 이전 수술로 인하여 3 stations 이상 종격동림프절

절제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 pure AIS(adenocarcinoma in situ) 또는 MIA

(minimally invasiveadenocarcinoma) 소견 환자■ Chest CT상 GGO(ground glass opacity) 소견

보이는 환자

항암화학요법 환자 동의서

비율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설명과 동의한 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수

■치료의 가능한 효과와 위험도에 대하여 환자/ 의사가 논의하며 이때 치료의 근거가 되는 증거, 간접 증거에 근거한 치료 시의 장점에 대한 가정,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 고위험 예후의 특징과 환자의 선택을 포함시켜야 함

■IRB 승인 받은 임상시험 환자

Flow sheet 사용률

Flow sheet를 사용한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폐암 환자 수

■일정간격을 두고 투여되는 항암치료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환자 상태를 모니터함으로써 지속적인 환자 상태 평가와 환자 교육이 용이함

■IRB 승인 받은 임상시험 환자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비율(stageⅠA)

보조적인 항암화학요법을 투여받지 않은 환자 수 ×100폐암(stage ⅠA)으로 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폐암(stageⅠA) 환자들은 보조적인 항암요법이 권고되지 않음

■IRB 승인 받은 임상시험 환자(사유서 있을시 제외)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시행률

수술 후 8주 이내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수 ×100II/IIIA기 비소세포폐암 (70세미만)으로

수술 받은 환자 수

■II/III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수술 후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함

■수술과 수술 합병증의 초기치료에서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8주 이내에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해야 함

■수술 후 8주 이내 타기관 전원 간 환자■수술 전 사전요법을 시행하거나 수술 후 CCRT

시행한 환자■수술 후 방사선 치료 후 보조요법 실시 예정 ■수술 후 palliative 요법만을 시행한 경우■IRB 승인 받은 임상시험 환자■전신상태(ECOG 또는 PS)가 2이상인 경우

Page 18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76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항구토제를 투여 받은 환자 비율

중등도 위험군 이상의 항암화학요법 1회차 투여 전

항구토제를 투여 받은 환자 수 ×100중등도 위험군 이상의 항암

화학요법제를 투여 받은 환자 수

■고도와 중등도의 구토 위험이 있는 항암화학 요법을 받고 있는 사람의 오심 구토의 위험성은 적어도 4일 이상 지속되므로 환자들은 이러한 위험성이 있는 기간 내내 보호를 받아야 함

■IRB 승인 받은 임상시험 환자제한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 환자 수 ×100전신상태가 양호한 70세 미만의

제한병기 소세포폐암 환자 수

■전신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항암화학 단독요법(±방사선치료)이 추천되나 전신상태가 양호한(PS 0-2) 제한병기 소세포폐암에서는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시행이 추천됨

■CCRT 거부 환자■수술 시행한 제한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전신상태(ECOG 또는 PS)가 3이상인 경우

항암제 투여시 항암제

부작용 평가 비율

매 주기 전 항암제 부작용 평가를 한 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폐암으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수

■항암화학요법 투여 환자에서 매 주기 전 비혈액 학적 독성, 신독성, 간독성, 골수억제 등 투여되는 항암제에 대한 부작용이 있는지 평가를 권고함

■항암화학요법 치료 시작 후 1 cycle 종료하지 못한 환자

■IRB 승인 받은 임상시험 환자IIIB/IV기

비소세포폐암환자의 항암화학요법시

정기적인 종양반응 평가 기록

비율

정기적인 종양반응 평가에 대한 기록이 있는 환자 수 ×100IIIB/IV기 비소세포폐암으로

항암화학단독요법 시행 환자 수

■폐암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을 때 항암요법 치료효과 평가를 위해 매 2~3 cycle 마다 또는 매 2~3개월마다 종양반응을 평가해야하며, 직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이를 기록으로 남겨야 함

■항암화학요법 치료 시작 후 2 cycle 종료하지 못한 환자(환자거부포함)

■독성으로 인한 항암화학요법 지연되는 경우■치료 후 타 병원으로 전원 간 경우■환자요인으로 F/U이 안 된 환자■IRB 승인 받은 임상시험 환자

방사선 치료 기록 비율

방사선치료내용(총방사선량, 분획당 방사선량(또는 분획수, 치료부위)이 기록된 환자 수 ×100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수

■전원이나 전과시 이전에 치료가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되었는지 알기 위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 현황에 대한 결과가 기록되어 있어야 함

■타기관에 의뢰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근치적 방사선

치료과정 중 부작용 평가, 전기적 영상 검교정 기록

비율

매 주 1회 부작용 평가, 전기적 영상 검교정 기록 환자 수 ×100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수

■방사선치료 중 부작용 평가는 치료 대응을 하고 있는지 보는 것으로 방사선 치료 전 매주 1회 환자 면담으로 부작용 평가(조사기간 동안 폐렴, 피부염, 식도염, 동통, 구내염 등)를 하는 것이 필요함

■매주 1회 전기적 영상 검교정 시행을 확인하는 것은 방사선치료의 정확성 및 치료의 질 보장에 중요함

■환자가 방사선치료를 거부한 경우■타기관에 의뢰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Page 19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77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전문인력 구성 여부 각 상근 전문의 1인 이상

■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시각에서 환자를 고려하는 기회 증가

■없음

과정절제술 전 복부조영

CT 실시율

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 전 복부조영CT를 실시한 환자 수 ×100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 전에 치료 방법 선택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복부조영CT 실시

■위암 관련 진료가 없었던 환자가 응급 수술을 받은 경우

■절제술 전 진단이 위암이 아닌 경우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근치적 방사선 치료

후 2개월 이내 종양반응 및 부작용 평가 기록 비율

치료 후 2개월 이내 종양반응 및 부작용 평가를 받은 환자 수 ×100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수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행 후 치료효과 평가를 위해 2개월 이내에 종양반응 및 부작용 평가를 하여야 하며 직원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이를 기록으로 남겨야 함

■2개월 이내 사망한 경우 ■환자가 치료를 거부하거나 내원하지 않은 경우■타기관에 의뢰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수술 전․후 보조적 방사선치료 환자

수술 불가능 Ⅲ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시행률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CCRT)을 시행한 환자 수 ×100수술이 불가능한 전신상태가

좋은 70세 미만의 Ⅲ기 비소세포폐암 환자 수

■수술이 어려운(환자 수술거부 포함) Ⅲ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 중 전신상태가 PS 0-1로 양호하고 70세 미만인 경우 동시병용 항암화학방사선요법 (CCRT) 시행을 권고함

■전신상태(ECOG 또는 PS)가 2이상인 경우

결과 평균 입원일수

×

×

h : 대상 요양기관 g : 종별 DRG별 nhg : 대상 요양기관의 종별 DRG별 건수 Lg : 종별 DRG별 건당입원일수 Lhg : 대상 요양기관의 종별 DRG별 건당 입원일수 LIh : 대상 요양기관의 장기도지표

■의료서비스를 위해 투입되는 비용효과성을 측정 하기 위함

■재원일수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아 상단값을 초과하거나 하단값 미만에 속하는 환자

※상단값 = X > {Q3+2.5|Q3-Q1|} 하단값 = X < {Q1-2.5|Q3-Q1|}X : 건별 총진료비 또는 입원일수Q1 : 1사분위수Q3 : 3사분위수

8. 위암

Page 19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78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절제술 전 진단적

내시경 검사 기록률

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 전 내시경 검사 결과가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 ×100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내시경절제술의 적응증 파악, 위절제술 전에 위암의 정확한 위치 파악 및 육안소견, 조직 검사를 위해 내시경 검사를 시행해야 함

■과거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위암 관련 진료가 없었던 환자가 응급으로 수술을 받은 경우■천공으로 내시경 검사를 미실시한 경우■절제술 전 진단이 위암이 아닌 경우

절제술 전 병리조직

검사 실시율

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 전 종양의 병리조직검사를 실시한 환자 수 ×100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위암의 확진을 위해 중요한 병리조직검사를 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 전에 실시하여야 함

■절제술 전 진단이 위암이 아닌 경우■위암 관련 진료가 없었던 환자가 응급수술을 받은 경우

전신상태 평가기록

비율항암화학요법 시작 전 전신상태

평가가 기록된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 수

■전신상태는 항암화학요법 시작 전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

■없음항암화학요법 전문의 암병기 기록률

항암화학요법을 담당하는 전문의가 암병기(TNM)를 의무기록에 기록한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 수

■위암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종양깊이, 림프절 전이, 다른 장기로의 전이이며 이러한 요인은 의무기록에 기록되어야 함

■없음내시경

절제술 치료 내용 기록

충실률

내시경절제술 치료 내용이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 수 ×100내시경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내시경절제술 후 근치 치료인 완전절제를 파악 할 수 있는 내시경절제술 치료 기록이 충실하게 기재하도록 권고

■내시경절제술 도중 시술을 중단한 위암 환자불완전 내시경

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

실시율

추가 위절제술을 실시한 환자 수 ×100내시경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이 필요한 환자 수

■내시경절제술 후 불완전절제 또는 전이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위절제술을 실시하여야 함

■내시경절제술로 인한 합병증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분모에서 제외

병리진단 보고서 기록

충실률

병리진단 보고서가 충실하게 기록되어 있는 환자 수 ×100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 실시 환자

수 또는 위절제술을 실시한 환자 수

■위암의 예후 및 추가 치료 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병리 소견이 병리진단 보고서에 기록 되어야 함

■이전에 실시한 검사 또는 치료로 인해 종양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위절제술 후 수술 기록

충실률 수술 기록지가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 수 ×100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위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근치와 관련된 수술 기록을 충실하게 기재하도록 권고

■없음

국소 림프절 절제

및 검사율

15개 이상의 국소 림프절을 절제하고 병리조직 검사를

실시한 환자 수 ×100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림프절 전이 여부는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므로 최소 15개의 국소 림프절 절제를 권고함

■위절제술 전에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과거 위절제술 또는 위주변 림프절 절제술을 받은 경우■임상시험 대상자로 Sentinel lymph node 절제술을 받은 경우

Page 19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79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위암에 대한 근치적 수술

비율첫 위암수술(위절제술)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 수 ×100cT2 이상인 위암 환자 수

■진행 위암에서 근치적 수술을 실시하여 최초 수술의 근치율을 높이도록 권고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한 사유가 있는 경우 권고되지 않은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 Ia]

보조 항암화학요법(또는 항암방사선요법)을

실시한 환자 수 ×100내시경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StageⅠa 환자 수

■StageⅠa(T1N0M0)에 해당하는 위암 환자들은 보조 항암화학요법 또는 항암방사선요법을 권고하지 않음

■없음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Ⅱ~Ⅲ]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하는 첫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 수 ×100위암 stage Ⅱ~Ⅲ으로근치적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위암 stageⅡ나 stageⅢ 환자는 보조 항암 화학요법으로 재발을 낮추고 생존 기간을 연장 시키므로,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권고함

■수술과 수술 합병증의 초기치료에서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수술 후 8주 이내에 항암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고

■수술 후 8주 이내 타 기관으로 전원 간 환자■수술 전 항암요법을 실시한 경우■수술 후 방사선 또는 항암방사선요법을 시행한 경우■수술 후 8주 이내 환자요인으로 인해 보조요법을

실시하지 못한 경우■임상시험 대상인 경우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 수 ×100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수

■보조 항암화학요법으로 권고된 항암화학요법을 용법에 맞게 투여해야 함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수술 후 항암방사선요법을 실시한 환자■임상시험 대상인 경우

Flow sheet 사용률

Flow sheet를 기재한 환자 수 ×100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수

■일정간격을 두고 투여하는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환자 상태를 모니터함으로써 지속적인 환자 상태 평가와 교육이 용이함

■없음

결과입원일수 장기도

지표[LI]

×

×

h : 대상 요양기관 g : 종별 DRG별 nhg : 대상 요양기관의 종별 DRG별 건수 Lg : 종별 DRG별 건당입원일수 Lhg : 대상 요양기관의 종별 DRG별 건당입원일수 LIh : 대상 요양기관의 장기도지표

■없음■재원일수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아 상단값을

초과하거나 하단값 미만에 속하는 환자※상단값 = X > {Q3+2.5|Q3-Q1|}

하단값 = X < {Q1-2.5|Q3-Q1|}X : 건별 총진료비 또는 입원일수Q1 : 1사분위수Q3 : 3사분위수

Page 19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80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주사제 처방률

주사제 총 처방횟수 ×100총 내원횟수

■주사는 경구 투약을 할 수 없는 경우, 투약 시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경우, 경구투약으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응급환자에게 신속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함

■경구약보다 효과발현이 빠르나 소실도 빠르며, 경구약보다 부작용의 위험이 크고 우리나라의 경우 처방률이 과도하게 높아 선정(선진국의 권고사항: 1~5% 이하)

■검사 및 처치 목적 등으로 투여된 주사제 및 외래에서 경구제 사용을 대체하기 곤란한 일부 주사제(에리스로포이에틴, 항혈우인자, 인슐린, 항암제, 성장호르몬제 등)

※중증도 보정 대상질환: 암질환·장기이식 등 중증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등이 부상병인 경우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결과 수술 사망률위절제술을 받은 후 입원기간 이내

또는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 수 ×100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수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사망률은 의료의 질과 긴밀한 관계가 있고 사망률의 증가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음

■없음

9. 간암 진료결과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결과수술 사망률(원내 사망 및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

간암 절제술을 시행한 후 입원기간 내 또는 수술 후 30일내 사망한 환자 수 ×100

간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수

■간암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수술 사망률은 의료의 질과 긴밀한 관계가 있고 사망률의 증가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음

■없음

10. 약제급여

Page 19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81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항생제 총 처방횟수 ×100총 내원횟수

■항생제는 세균성 감염질환의 치료에 크게 기여한 것에 반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폐렴 사슬알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률이 71.5%로 높게 나타나는 등 부작용을 초래 하고 있음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발현은 서로 비례하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어,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억제를 위한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가 필요

■급성상기도감염은 주로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아 세균감염에 사용하는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를 위하여 선정

※중증도 보정 대상 질환 동일 적용급성상기도감염 세파3세대이상항생제처방률 해당 성분계열 항생제 총 처방횟수 ×100항생제 총 처방횟수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발현은 서로 비례하는 것으로 연구 보고 되고 있고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 억제를 위한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가 필요

■급성상기도감염은 주로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아 세균감염에 사용하는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를 위하여 선정

급성상기도감염퀴놀론계

항생제처방률 ※중증도 보정 대상 질환 동일 적용처방건당 약품목수

(전체 상병)원외처방 총 약품목수

원외처방 총 건수

■약품목수가 많아지면 약물 이상반응과 약물 상호 작용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약물복용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며, 의료비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음에 따라 선정

처방건당 약품목수

(호흡기계 질환)처방건당 약품목수

(근골격계 질환) ※중증도 보정 대상질환 동일 적용

6품목 이상 처방비율

6품목 이상 처방건수 ×100원외처방 총 건수

■청구명세서 분석결과 상병별 평균 약품목수 (상병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약 3~5.4개 정도) 및 제외국의 현황 등을 참조하여 상대적 과다 처방을 우선 관리 대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선정

※중증도 보정 대상질환 동일 적용

소화기관용약 처방률

소화기관용약 처방건수 ×100원외처방 총 건수

■처방건당 약품목수가 증가할수록 소화기관용 약품목수도 비례하여 증가함으로써, 약품목수와 상관성이 높은 약제로 분석됨

■소화기관용약의 처방경향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사용 억제를 위한 상세정보제공 방안이 필요함에 따라 선정

■소화기관용약 처방이 필요한 일부질환 (소화기계 질환(K20-K93), 소화기관 악성신생물(C15-C26), 관절 병증 (M00 –M25), 배병증 (M40-M45))

※중증도 보정 대상질환 동일 적용

Page 19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82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병실당 정원수

전체 병상수전체 병실수

■장기입원을 하고 있는 정신과 환자특성을 고려할 때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병실당 정원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 환자가 안정적인 환경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정신 의료기관의 병실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1실당 10병실 이내의 병실 비율의 보조지표로서 병실당 정원수를 지표로 선정함

■ 특수병실(분만실, 신생아실, 모자동실, 수술실, 회복실, 응급실, 인공신장실, 물리치료실 등), 낮병동의 병실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투약일당 약품비

총 약품비총 투약일수

■외래 처방의 투약일당 약품비 추이 분석■검사 및 처치 목적 등으로 투여된 약제 ※중증도 보정 대상 질환 동일 적용

NSAIDs 중복처방률(골관절염)

NSAIDs 중복 처방횟수 ×100총 처방횟수

■NSAIDs의 병용 투여는 진통효과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위장관 등 부작용 발생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음

■골관절염에서의 NSAIDs 사용을 평가하여 약제 사용의 적정화를 기하고자 선정

■NSAIDs 중 외용제와 혈전 예방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저용량 아스피린제(100mg), 아세트 아미노펜단일제, 아세트아미노펜트라마돌 복합제 등과 같이 추구관리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일부 약제

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률

(골관절염)

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횟수 ×100총 내원횟수

■골관절염에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사용은 권장 되지 않아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사용행태를 분석하여 사용의 적정성을 제고하고자 선정

■부신피질호르몬제(steroid제)는 원발성 또는 속발성 부신 피질 기능장애에 대한 보상요법 뿐 아니라 항염증 작용, 항알러지 작용, 면역억제 작용 등의 치료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제이나, 오·남용 시 골조송증, 골절, 무균성골 괴사, 녹내장, 백내장, 혈전·색전증, 감염증의 악화, 유아의 성장 지연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

※중증도 보정 대상질환:암질환·장기이식 등 중증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등

11. 의료급여 정신과

Page 19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83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전체 병상 중 침대

비율침대 병상수 ×100전체 정신과 병상수

■ 장기입원을 하고 있는 정신과 환자의 특성상 독립적인 공간은 중요한 요소임. 환자의 사생활 보호와 위생을 보장하기 위한 독립적인 사생활 공간 확보는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이 있음

■ 특수병실(분만실, 신생아실, 모자동실, 수술실, 회복실, 응급실, 인공신장실, 물리치료실 등), 낮병동의 병실, 프레임 없이 매트리스만 있거나 요나 이불로 이루어진 병상, 2층 이상의 침대

입원병동내 대변기 1개당 병상수

전체 병상수전체 대변기수

■환자들이 위생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정한 수의 시설을 구비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함 정신보건법 시행규칙에서는 환자들의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식당, 휴게실, 욕실,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도록 되어 있음

■ 직원 전용 화장실내의 변기, 남자 소변기는 제외

휴게 공간, 산책 공간, 운동설비를 갖춘 운동

공간의 유무

기준 시점에 휴게공간, 산책공간, 운동설비를 갖춘 운동공간 보유 유무

■다른 과에 비하여 재원기간이 긴 정신과 환자들의 신체기능 활동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환경은 중요함. 정신보건법 시행규칙에서는 환자들의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식당, 휴게실, 욕실,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도록 되어 있음

■ 동일 공간을 휴게공간, 산책공간, 운동시설 등 다용도로 사용 시 중복 산정 불가, 병원 소유 대지외의 공간 제외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1일 평균 입원환자수1일 평균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수

■ 정신보건법 시행규칙에 입원환자 60인당 정신과 전문의 1인을 두도록 되어 있으며, 환자들을 진료하고 정신치료 및 면담 등을 통하여 정신질환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정신과 의사인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표로 선정함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1일 평균 입원환자수1일 평균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수

■정신보건법 시행규칙에 입원환자 13인당 간호사 1인을 두도록 되어 있고, 환자관리 활동, 정신질환자에 대한 간호 등을 수행하고 있는 정신과 간호사 인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표로 선정함

■정신과 병동에 배치되어 있지만 요양기관 환자간호를 전담하지 않는 간호인력

※ 간호감독, 전임노조, 가정간호사, 호스피스 간호사 등 - 정신과 병동이 아닌 일반병동에 배치되어

정신과와 타과 환자의 간호를 병행하는 간호인력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을 순환 또는 파견 (PRN 포함)

근무하는 간호인력 - 분만 휴가자(1개월 이상 장기 유급휴가자 포함) 등

Page 19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84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인력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1일 평균 입원환자수1일 평균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인력수

■ 정신보건법 시행규칙에 입원환자 13인당 간호사 1인을 두도록 되어 있고, 환자관리 활동, 정신질환자에 대한 간호 등을 수행하고 있는 정신과 간호사 인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표로 선정함

■정신과 병동에 배치되어 있지만 요양기관 환자간호를 전담하지 않는 간호인력

※ 간호감독, 전임노조, 가정간호사, 호스피스 간호사 등 - 정신과 병동이 아닌 일반병동에 배치되어 정신과와

타과 환자의 간호를 병행하는 간호인력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을 순환 또는 파견 (PRN 포함)

근무하는 간호인력 - 분만 휴가자(1개월 이상 장기 유급휴가자 포함) 등

정신보건전문요원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1일 평균 입원환자수1일 평균 정신보건전문요원수

■정신보건법에서 입원환자 100인당 정신보건전문요원 1인을 두도록 되어 있으며, 정신의료기관에서 정신질환자들의 심리 평가, 개인력 조사, 사회조사 및 간호 등을 통하여 정신질환자들의 사회복귀나 직업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정신보건전문 요원의 인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표로 선정함

사회복지사1인당 1일 입원환자수

1일 평균 입원환자 수1일 평균 사회복지사수

■ 정신의료기관에서 정신질환자의 개인력 조사, 사회조사, 생활 훈련 및 작업 훈련 등을 담담하며 정신질환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복지사 인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표로 선정함

■ 정신과 이외의 환자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과정

비정형약물 처방률(조현병)

비정형약물 처방건수 ×100항정신약물 처방건수

■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개발은 약물 선택의 폭을 크게 넓혔으며, 정신분열병의 양성 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인지 기능, 그리고 삶의 질까지로 크게 확장되어 전반적으로 정신분열병의 치료의 질을 상향 조정시킴

■ 분모대상 5건 미만

정신요법 실시횟수

(주당)정신요법 실시횟수 × 7총 입원일수

■ 정신요법은 정신과 진료에서 약물요법 이외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수가기준에서 규정한 최소기준 이외 에 실제로 실시한 횟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표로 선정함

■실제 입원일수가 7일 미만 단기 입원 건, 외박일수, 분모건 5건 미만

개인정신치료 실시횟수

(주당)개인정신 치료 실시횟수 × 7총 입원일수

■ 정신요법은 정신과 진료에서 약물요법 이외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수가기준에서 규정한 최소기준 이외 에 실제로 실시한 횟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표로 선정함

■실제 입원일수가 7일 미만 단기 입원 건, 외박일수, 분모건 5건 미만

Page 19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85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낮병동 또는 정신보건센터

등 (위탁)운영

유무

기준시점에 낮병동이나 정신보건센터 등을 (위탁) 운영하고 있는지 유무

■ 정신의료기관은 정신질환 환자들이 지역사회 속에서도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를 받을 수 있는 낮병동 또는 정신 보건센터의 운영 등을 통하여 지역사회로의 연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함. 따라서 본 지표를 통하여 정신의료기관의 지역사회와의 연계 노력 여부를 평가하고자 함

결과

재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조현병)

대상기간 동안 조현병 (F20∼F29) 상병으로 입원하고 있는 환자의

누적입원일수 중앙값

■ 정신질환자의 평균재원기간이 OECD국가에 비하여 일본이나 우리나라는 매우 길고,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적절한 사회복귀유도를 위하여 정신분열병에 대한 입원일수 중앙값을 지표로 선정함

■ 이송‧회송‧사망환자, 10년 이상 장기입원환자, 퇴원환자, 분모대상 5건 미만

퇴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조현병)

대상기간 동안 조현병 (F20∼F29) 상병으로 퇴원한 환자의 누적입원일수

중앙값(대상기간: 1년)

■ 정신질환자의 평균재원기간이 OECD국가에 비하여 일본이나 우리나라는 매우 길고,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적절한 사회복귀유도를 위하여 정신분열병에 대한 입원일수 중앙값을 지표로 선정함

■ 이송‧회송‧사망환자, 10년 이상 장기입원환자, 분모대상 5건 미만

재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

(알코올장애)

대상기간 동안 알코올장애 (F100∼F109) 상병으로 입원하고 있는

환자의 누적입원일수 중앙값

■알코올 중독은 진행적이고 만성적이며 재발률이 높아 장기입원에 따른 비용지출 및 소득상실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클 것이므로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적절한 사회복귀 유도를 위하여 알코올 장애에 대한 입원일수 중앙값을 지표로 선정함

■ 이송‧회송‧사망환자, 10년 이상 장기입원환자, 퇴원환자, 분모대상 5건 미만

퇴원환자의 입원일수_중앙값

(알코올장애)

대상기간 동안 알코올장애 (F100∼F109) 상병으로 퇴원한 환자의 누적입원일수 중앙값 (대상기간: 1년)

■알코올 중독은 진행적이고 만성적이며 재발률이 높아 장기입원에 따른 비용지출 및 소득상실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클 것이므로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적절한 사회복귀 유도를 위하여 알코올 장애에 대한 입원일수 중앙값을 지표로 선정함

■ 이송‧회송‧사망환자, 10년 이상 장기입원환자, 분모대상 5건 미만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조현병)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 환자수 ×100총 퇴원 환자수

■ 계획되지 않은 입원은 입원 후 재발 또는 합병증을 의미하고 조기퇴원 또는 외래 치료 불순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신분열병 치료의 적정성 여부를 위하여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을 지표로 선정함

■ 분모대상 5건 미만

Page 19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86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과정

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5개 항목 중 1개 이상 항목이‘있음’에 해당하는 건수 ×100해당기관의 DRG 퇴원건수

■DRG 지불제도는 부적절한 조기퇴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퇴원시 의학적인 측면에서 환자 상태의 안정성 평가 필요

■입원 중 사망■타 의료기관으로 응급 전원■의학적 권고에 반하는 퇴원■타기관 기타 전원■30일 초과 입원

재원일수비

∑(해당기관의 질병군별 건당 재원일수×해당기관의 질병군별 퇴원건수)

∑(종별 전체기관의 질병군별 건당 재원일수

×해당기관의 질병군별 퇴원건수)

■부적절한 조기퇴원 등 과소진료로 인한 의료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

■입원 중 사망■타 의료기관으로 응급 전원■의학적 권고에 반하는 퇴원■타기관 기타 전원■열외군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기본의료서비스 실시건수 ×100해당기관의 DRG 퇴원건수■과소진료로 인한 의료의 질 저하를 막기 위해

적정의료서비스 제공 여부 평가 필요■없음

결과 입원 중 사고율

입원기간 중 사고 발생건수 ×100해당기관의 DRG 퇴원건수■의료서비스의 질을 반영하는 진료결과■없음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결과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

(알코올장애)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 환자수 ×100총 퇴원 환자수

■ 계획되지 않은 입원은 입원 후 재발 또는 합병증을 의미하고 조기퇴원 또는 외래 치료 불순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알코올장애 치료의 적정성 여부를 위하여 퇴원 후 7일 이내 재입원율을 지표로 선정함

■ 분모대상 5건 미만퇴원 후

30일 이내 외래방문율

(조현병)

퇴원 후 30일 이내 외래방문 환자수 ×100총 퇴원 환자수

■정신의료기관은 정신질환 환자들이 퇴원 후 지역사회 속으로 복귀를 유도할 수 있는 외래 진료를 통하여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를 받을 수 있게 해야 함

■ 분모대상 5건 미만

12. 7개 질병군 포괄수가

Page 20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87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중환자실 병상 수중환자실 전담전문의 수

■ 중환자실 전담전문의가 있는 경우 중환자실 진료 수준이 올라가고 환자 예후가 좋아진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임

■ 해당 사항 없음병상 수 대 간호사수의

비중환자실 병상 수

간호사 수

■ 중환자실 내 간호사가 돌보는 환자 수가 적을수록 중환자실 진료 수준이 올라간다는 사실은 해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임

■ 해당 사항 없음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결과

입원 중 감염률

입원기간 중 감염 발생건수 ×100해당기관의 DRG 퇴원건수■의료서비스의 질을 반영하는 진료결과■없음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입원기간 중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건수 ×100해당기관의 DRG 퇴원건수

■의료서비스의 질을 반영하는 진료결과

■없음

재입원율 퇴원 후 30일 이내 재입원한 건수 ×100해당기관의 DRG 퇴원건수

■의료서비스의 질을 반영하는 진료결과 ■입원기간 중 사망■타 의료기관으로 응급 전원■의학적 권고에 반하는 퇴원■타기관 기타 전원■30일 초과 입원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퇴원 후 30일 이내 응급실 방문 건수 ×100해당기관의 DRG 퇴원건수

■의료서비스의 질을 반영하는 진료결과 ■입원기간 중 사망■타 의료기관으로 응급 전원■의학적 권고에 반하는 퇴원■타기관 기타 전원■30일 초과 입원

13. 중환자실

Page 20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88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구조

중환자실 내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각 세부사항별 1점 배정 : 총 6점 만점

■ 중환자실에서 환자가 호흡부전이나 쇽, 다장기 부전증 등에 빠졌을 때 환자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전문 장비가 중환자실 내에 없을 경우 환자를 회복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평가 필요

■ 해당 사항 없음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중환자 진료 프로토콜 구비 수 × 1009

■ 근거 중심 의학 관점에서 볼 때 최근 중환자 진료에는 표준화된 진료 지침과 프로토콜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통한 진료가 환자의 예후를 좋게 한다는 여러 자료가 나와 있음

■ 해당 사항 없음

과정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실시 환자

비율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을 실시한 환자 수 × 100인공호흡기 적용 환자 수

■ 중환자실 환자의 경우 인공호흡기의 장착 등 여러 가지 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가 많아 심부정맥 혈전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

■ 만성심부전증 환자, 활동성 출혈 환자, 하지 감염·손상(외상․창상 등), 하지의 피부문제(부종, 욕창 등), 혈류장애, 혈액응고장애로 세 가지(①,②,③) 예방요법을 모두 시행할 수 없는 경우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해당 사항 없음

■ 중환자실 내원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증도로 보정된 표준화된 사망률 필요

■ 해당 사항 없음

결과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일반 병동 전동 후 48시간 내에 중환자실 재입실된 건 × 100중환자실 입실 후 일반 병동으로 전동된 건

■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전동 후 48시간 내에 다시 중환자실 재입실할 경우 전동 당시 부적절한 상태에서 조기 전동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 필요

■ 중환자실 내 사망 건■ 타 의료기관으로 전원 간 건■ 계획된 procedure 등, 중환자실 퇴실 후 첫 입실

목적과 다른 새로운 사유로 입실하는 경우※ 1차 중환자실 평가 지표임

Page 20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지표 해설

189

14. 병원 표준화 사망비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결과위험도표준화사망비

실제사망자수(Observed deaths) ×100

기대사망자수(Expected deaths)

■ 그동안은 주로 특정 질병 혹은 시술 특이적 질 지표(disease specific indicator) 중심의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모든 환자와 연관되어 있는 포괄적 평가(generic quality indicator)로의 확대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됨. 이에 측정 가능성을 고려하여 국민이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병원의 전반적인 의료의 질 설명이 가능한 병원 표준화 사망비를 선정함

■ 전원■ 1일 입원■ 완화의료

15.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구분 지표명 산출식 선정근거제외기준

결과위험도표준화

재입원비

실제재입원수(Observed readmissions) ×100

기대재입원수(Expected readmissions)

■ 그동안은 주로 특정 질병 혹은 시술 특이적 질 지표(disease specific indicator) 중심의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모든 환자와 연관되어 있는 포괄적 평가(generic quality indicator)로의 확대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됨. 이에 측정 가능성을 고려하여 국민이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병원의 전반적인 의료의 질 설명이 가능한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를 선정함

■ 암질환■ 정신질환■ 재활■ 산과■ 전원■ 원내사망

Page 20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90

2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1)현황1. 상급종합병원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➌ ➋강북삼성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➊건국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경북대학교병원 ➋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경상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➊ ➋경희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➊계명대학교동산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➋ ➋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➊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고신대학교복음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➌ ➋길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단국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➋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동아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➋ ➋부산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➋ ➊분당서울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삼성서울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서울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아주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양산부산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➊

1) 2017.3월 기준 요양기관 현황

Page 20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191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영남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원광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➌ ➌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전남대학교병원 ➊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➊ ➊ ➊ ➌ ➋전북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➌ ➋조선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➌중앙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충남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충북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➋ ➋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안암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학교법인 동은학원 순천향대학교부속 천안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➌ ➋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학교법인가톨릭학원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➊학교법인동은학원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학교법인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한림대학교성심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한양대학교병원 ➋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화순전남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등급제외 ➋ ➋

Page 20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92

2. 종합병원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KS병원 ➌ 등급제외 - 등급제외 등급제외 ➌ ➌ ➍ ➍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➋ ➋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➌가톨릭대학교부천성모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➋ ➌가톨릭대학교성바오로병원 ➊ ➊ ➋ ➎ ➋ ➋ ➊ ➋ ➋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➌가톨릭대학교의정부성모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➋ ➋강남고려병원 등급제외 - - - - ➌ ➌ ➌ ➍강남병원 ➋ - - - - ➋ ➋ ➌ ➎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➋강릉아산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➌ ➋ ➌강원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➌ ➊ ➊ ➊ ➊ ➋강원도 삼척의료원 ➌ - - - - ➌ ➋ ➋ - 강원도 영월의료원 ➋ - - - 등급제외  ➌ ➊ ➋ -강원도 원주의료원 ➋ - - - - ➌ ➋ ➌ ➎강원도강릉의료원 ➌ - - - - ➌ ➌ ➌ ➎강원도속초의료원 ➌ 등급제외 - - - ➍ ➌ ➌ ➎강일병원 - - - - - - - - -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➊ ➌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➍ ➋ ➌검단탑병원 ➊ ➊ 등급제외 - ➊ ➋ ➌ ➋ ➋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➌ - - - 등급제외  ➋ ➌ ➌ ➍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➌ 등급제외 - - - ➍ ➊ ➌ ➍

Page 20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193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경기도의료원의정부병원 ➌ 등급제외 - - - ➌ ➊ ➍ ➎경기도의료원이천병원 ➌ - - - - ➌ ➋ ➍ - 경기도의료원파주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➍ ➋ ➎경기도의료원포천병원 ➋ - - - - ➌ ➌ ➌ ➍경상남도마산의료원 ➊ 등급제외 - - - ➌ ➌ ➌ ➍경상북도김천의료원 ➌ - - - - ➌ ➍ ➍ - 경상북도안동의료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➋ ➍ ➍경상북도포항의료원 ➌ - - - - ➋ ➊ ➌ ➍경찰병원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➊ ➊ ➌고흥윤호21병원 ➋ - -  - - ➎ ➌ ➎ ➎광명성애병원 ➊ ➋ 등급제외 - ➌ ➋ ➋ ➌ ➌광양사랑병원 ➌ - - - -  ➍ ➌ ➌ ➎광주기독병원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➍ ➊ ➋ ➊ ➋ ➋광주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➋ ➌ ➍광주보훈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➍ ➋ ➊ ➋ ➍광주수완병원 등급제외 - - - -  ➍ ➋ ➌ - 광주씨티병원 ➋ - - - 등급제외 ➌ ➋ ➌ -광주일곡병원 ➌ - - - - ➌ ➍ ➌ - 광주한국병원 ➌ - - - - ➍ ➋ ➌ - 광주현대병원 ➌ 등급제외 ➌ - - ➍ ➋ ➌ - 광주희망병원 ➌ 등급제외 - - - ➌ ➍ ➍ - 구로성심병원 ➌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➌ ➍ ➋ - 

Page 20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94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구미강동병원 ➋ - - - - ➍ ➌ ➍ ➎구포성심병원 ➌ - - - - ➌ ➊ ➍ -국군수도병원 - - - - - ➋ ➊ ➊ - 국립암센터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➊ ➌국립중앙의료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➌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➊ ➋근로복지공단 대전병원 ➋ - - - - ➌ ➊ ➍ ➍근로복지공단 순천병원 ➋ - - - - ➌ ➊ ➍ ➍근로복지공단 창원병원 ➊ 등급제외 - - - ➋ ➌ ➍ ➍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 ➌ - - - - ➋ ➌ ➊ ➎근로복지공단안산병원 ➋ - - - - ➋ ➋ ➌ ➎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등급제외 - - - - ➋ ➌ ➊ - 김해복음병원 ➋ - - - - ➍ ➌ ➎ - 나사렛국제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➍ ➌ ➌나주종합병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➍ ➍ ➎ - 남양주 한양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➋ ➍남양주우리병원 ➋ - - - - ➌ ➌ ➌ ➎녹색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➊ ➋ ➌다나국제병원 - - - - -  ➍ ➌ ➌ - 단원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➍ ➌ ➎당진종합병원 등급제외 - - - - ➍ ➋ ➍ -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 ➋ - - - - ➌ ➍ ➋ - 

Page 20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195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대구의료원 ➌ - - - - ➌ ➋ ➌ - 대구파티마병원 ➋ ➊ ➊ ➊ ➊ ➊ ➊ ➌ ➌대동병원 ➌ ➌ - - 등급제외  ➌ ➌ ➌ ➍대림성모병원 ➋ 등급제외 ➋ - ➍ ➌ ➌ ➌ ➎대산의료재단 익산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➊ ➎ ➍대아의료재단한도병원 ➌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➊ ➌ ➍대자인병원 등급제외 - - - - ➌ ➌ ➌ - 대전보훈병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➊ ➋ ➎대전한국병원 ➋ - - - - ➌ ➍ ➍ - 대진의료재단 분당제생병원 ➋ ➊ ➊ ➊ ➊ ➋ ➋ ➊ ➋대청병원 등급제외 등급제외 - -  - ➋ ➊ ➌ - 동국대학교의과대학경주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➎ ➍ ➋ ➋ ➌ ➋동국대학교일산불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➌동남권원자력의학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➊ ➌동래봉생병원 ➌ 등급제외 등급제외 -  -  ➌ ➎ ➌ ➌동마산병원 ➋ - - -  -  ➍ ➌ ➌ - 동아병원 ➌ - - -  -  ➌ ➊ ➌ - 메디플렉스 세종병원 - - - -  -  - - - - 명지성모병원 ➋ - - -  -  ➌ ➋ ➍ ➌목포기독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➍ ➌ ➋ ➋목포시의료원 ➋ - - -  -  ➍ ➋ ➎ - 목포한국병원 ➊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➌ ➊ ➍ ➍

Page 20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96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미래로21병원 ➊ - - -  -  ➌ ➌ ➌ ➍미리내천주성삼성직수도회천주성삼병원 ➋ - - -  -  ➍ ➋ ➌ - 미즈메디병원 등급제외 - ➋ -  등급제외 ➋ ➊ ➋ - 베데스다병원 ➋ - - -  -  ➍ ➋ ➍ - 부민병원 ➌ - - -  -  ➌ ➋ ➋ ➍부산광역시의료원 ➋ 등급제외 - -  ➊ ➋ ➊ ➌ ➌부산성모병원(재단법인 천주교부산교구유지재단)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➌ ➍ ➋ ➍부안성모병원 ➋ - - -  -  ➎ ➌ ➎ - 부천대성병원 ➋ - - -  -  ➍ ➍ ➎ ➎부평세림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➋ ➍비에이치에스한서병원 ➌ 등급제외 - 등급제외 -  ➋ ➌ ➍ ➌삼육부산병원 ➋ 등급제외 - -   -  ➌ ➋ ➍ ➌삼육서울병원 ➊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➋ ➍ ➋ ➍상무병원 ➋ - - -  -  ➌ ➌ ➌ - 상주적십자병원 ➌ - - -  -  ➌ ➊ ➌ ➍서광병원 ➍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➊ ➌ ➍서남대학교남광병원 - - - -  -  - - - - 서남대학교병원 - - - -  -  - - - - 서산중앙병원 ➋ 등급제외 - -  -  ➍ ➌ ➍ ➎서울산보람병원 ➌ - - -  -  ➍ ➍ ➌ - 서울성심병원 ➌ - - - -  ➋ ➋ ➌ ➍서울적십자병원 ➋ ➊ 등급제외 - ➌ ➋ ➋ ➌ ➍

Page 21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197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서울특별시 동부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➌ ➍ ➍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 ➊ ➊ ➊ ➌ ➊ ➊ ➊ ➋ ➋성가롤로병원 ➋ ➊ 등급제외 ➊ ➊ ➋ ➋ ➌ ➌성남중앙병원 ➋ ➊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➌ ➍ ➋ ➌성심의료재단강동성심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성애의료재단 성애병원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➌ ➋ ➌세란병원 ➋ - - - - ➌ ➊ ➋ - 속초보광병원 ➌ - - - - ➍ ➌ ➍ ➍순천의료재단 정병원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 - ➌ ➊ ➌ -순천중앙병원 ➊ - - - - ➍ ➌ ➍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시화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➋ ➍ ➍신가병원 ➌ - - - - ➌ ➋ ➌ -씨엠병원 ➍ - - - - ➌ ➌ ➋ -아산충무병원 ➋ 등급제외 - - - ➌ ➋ ➌ -안동성소병원 ➌ ➊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➍ ➌ ➍에스포항병원 등급제외 - - - - ➋ ➋ ➋ ➌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➊ ➊ ➋ 등급제외 ➊ ➋ ➌ ➋ ➌여수전남병원 ➋ ➋ 등급제외 - ➌ ➌ ➊ ➌ ➍여천전남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➋ ➋ ➍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종합병원 ➊ ➊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➌ ➋ ➎

Page 21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198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영광종합병원 ➋ - - - - ➍ ➍ ➍ ➍영남대학교의과대학부속영천병원 ➌ - - - - ➋ ➋ ➍ ➌영도병원 ➋ - - - - ➍ ➋ ➎ ➍영문의료재단 다보스병원 ➌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➌ ➌ ➋ ➍예산종합병원 ➌ - - - - ➍ ➌ ➍ -오산한국병원 ➋ ➋ ➌ - 등급제외 ➌ ➍ ➍ ➎온누리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➊ ➋ -우리들병원 - - - - - ➍ 등급제외 ➋ -운암한국병원 ➌ - - - - ➌ ➍ ➍ -울산시티병원 ➋ - 등급제외 - - ➍ ➌ ➍ -원광대학교의과대학산본병원 ➊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➋ ➌ ➋ ➍을지대학교 을지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의)근원의료재단경산중앙병원 ➌ - - - - ➌ ➌ ➌ -의료법인 갈렌의료재단 박병원 등급제외 - - - - - - - -의료법인 강릉동인병원 ➋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➌ ➌ ➍의료법인 거붕 백병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➍ ➌ ➍ ➍의료법인 광혜의료재단 광혜병원 ➌ - - - - ➌ ➌ ➌ 등급제외의료법인 녹향의료재단 신천연합병원 ➋ 등급제외 - - - ➋ ➌ ➋ ➍의료법인 대우의료재단대우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➌ ➌ ➌ ➎의료법인 동강의료재단 동강병원 ➊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➊ ➌ ➍ ➌ ➌의료법인 동강의료재단 동천동강병원 - - - - - - - - - 의료법인 동해동인병원 ➋ - - - - ➍ ➌ ➎ ➎

Page 21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199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의료법인 박애의료재단 박애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➍ ➍ ➍ ➌의료법인 백제병원 ➋ - - - - ➋ ➍ ➎ ➎의료법인 보원의료재단 김해중앙병원 ➊ -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➍ ➍ ➍ ➍의료법인 보원의료재단 웅상중앙병원 등급제외 - - - - ➌ ➌ ➍ - 의료법인 석경의료재단 센트럴병원 ➋ - - - - ➌ ➌ ➎ ➍의료법인 성념의료재단맑은샘병원 ➋ - - - - ➍ ➍ ➌ -의료법인 성수의료재단 인천백병원 ➊ - - - - ➌ ➍ ➍ -의료법인 양진의료재단 평택성모병원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➌ ➋ ➋ -의료법인 영남병원 등급제외 - - - - ➎ 등급제외 ➊ -의료법인 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 ➋ ➊ ➋ 등급제외  ➊ ➋ ➌ ➋ ➋의료법인 오성의료재단 동군산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➊ ➌ ➍의료법인 우범의료재단 장흥종합병원 ➌ - - - - ➍ ➋ ➌ - 의료법인 운경의료재단 곽병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➌ - 의료법인 은성의료재단 좋은강안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➌ ➌ ➋ ➍의료법인 은성의료재단 좋은삼정병원 ➋ 등급제외 - - - ➍ ➌ ➍ - 의료법인 은혜와감사의료재단 화성중앙종합병원 ➊ - - - - ➍ ➌ ➍ ➍의료법인 인당의료재단 부민병원 ➋ - - - - ➌ ➊ ➍ ➍의료법인 인당의료재단 해운대부민병원 등급제외 - - - - ➌ ➌ ➋ - 의료법인 인천사랑병원 ➋ ➋ 등급제외 - ➊ ➋ ➋ ➌ ➍의료법인 인화재단 한국병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➋ ➌ ➌의료법인 자산의료재단 제천서울병원 ➋ 등급제외 - - - ➍ ➊ ➎ ➎의료법인 정산의료재단 효성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➌ ➎

Page 21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00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의료법인 정안의료재단 중앙병원 ➋ - - - 등급제외 ➌ ➊ ➌ - 의료법인 제일의료재단 제일병원 등급제외 등급제외 ➊ - - ➊ ➋ ➊ 등급제외의료법인 중앙의료재단 중앙병원 ➊ 등급제외 -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➋ ➋ ➍의료법인 혜인의료재단 한국병원 ➋ ➊ 등급제외 - ➊ ➋ ➊ ➋ ➍의료법인 환명의료재단 조은금강병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➍ ➋ ➎의료법인 힐링의료재단 옥천성모병원 - - - - - ➌ 등급제외 등급제외 -의료법인갑을의료재단갑을장유병원 ➌ - - - - ➌ ➎ ➍ -의료법인거명의료재단 영광기독병원 ➍ - - - - ➎ ➊ ➎ ➎의료법인건명의료재단진천성모병원 등급제외 - - - - ➍ ➊ ➍ -의료법인구의료재단 구병원 ➌ ➊ ➌ - 등급제외 ➍ ➍ ➋ -의료법인기독교한국침례회의료재단왈레스기념 침례병원 ➌ ➌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➋ ➌ ➍의료법인녹산의료재단동수원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➋ ➌ ➌의료법인대송의료재단 무안병원 ➋ 등급제외 - - - ➍ ➋ ➍ ➍의료법인대인의료재단 다니엘종합병원 ➌ - - - - ➌ ➌ ➍ ➎의료법인덕산의료재단김천제일병원 ➌ - - - - ➋ ➍ ➌ ➎의료법인동신의료재단 동신병원 ➋ ➊ - - - ➌ ➋ ➌ ➌의료법인동춘의료재단문경제일병원 ➌ 등급제외 - - - ➋ ➌ ➌ ➍의료법인루가의료재단 나은병원 ➊ ➌ - - 등급제외 ➋ ➌ ➌ ➍의료법인명지의료재단명지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➌의료법인명지의료재단명지병원 ➋ 등급제외 - -  - ➋ ➎ ➌ ➍의료법인백송의료재단 굿모닝병원 ➋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➌ ➋ ➋ ➍의료법인삼백의료재단상주성모병원 ➋ - - - - ➌ ➌ ➍ ➎

 

Page 21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201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의료법인서구의료재단 여수성심병원 ➌ - - - - ➌ ➍ ➌ ➎의료법인석영의료재단창원제일종합병원 등급제외 - - - - ➍ ➊ ➋ - 의료법인석천재단고창병원 ➌ - - - - ➍ ➌ ➌ ➎의료법인성세의료재단 성민병원 ➌ - - - - ➌ ➋ ➍ - 의료법인성화의료재단 대한병원 ➊ - - - - ➍ ➌ ➌ ➎의료법인안동병원 ➌ ➊ ➊ ➊ ➊ ➋ ➌ ➍ ➌의료법인영경의료재단전주병원 ➌ 등급제외 - - - ➌ ➌ ➎ ➍의료법인영동의료재단의정부백병원 ➋ - - - - ➋ ➍ ➍ - 의료법인영서의료재단천안충무병원 ➊ 등급제외 ➍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➊ ➌ ➍의료법인영성의료재단 고흥종합병원 ➌ - - - - ➍ ➍ ➍ ➎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➊ ➊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➊ ➋ ➍의료법인우리의료재단김포우리병원 ➋ ➊ 등급제외 - ➋ ➋ ➌ ➋ ➌의료법인은성의료재단좋은삼선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 ➋ ➋ ➌ ➍의료법인은성의료재단좋은선린병원 - - - - - ➋ ➊ ➌ - 의료법인인봉의료재단뉴고려병원 ➋ - - - - ➌ ➍ ➌ ➍의료법인일심의료재단우리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 ➍ ➋ ➌ ➌의료법인정선의료재단 온종합병원 ➌ ➌ - - 등급제외 ➌ ➌ ➍ ➌의료법인정화의료재단 김원묵기념봉생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➍ ➌의료법인청구성심병원 ➊ 등급제외 - - - ➌ ➊ ➌ ➍의료법인청아의료재단청아병원 ➌ - - - - ➍ ➍ ➍ - 의료법인한국의료재단 순천한국병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➌ ➍ ➍의료법인한마음의료재단하나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➌ ➋ ➋ ➌

Page 21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02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의료법인한성재단포항세명기독병원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➊ ➋ ➌의료법인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➊ ➊ 등급제외 ➍ 등급제외 ➋ ➋ ➋ ➌의료법인합포의료재단MH연세병원 ➋ ➎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➌ ➎ ➋ ➍의료법인해민의료재단 세안종합병원 ➋ - - - 등급제외 ➌ ➌ ➎ ➎의료법인행촌의료재단 해남병원 ➊ - - - - ➌ ➌ ➌ - 의료법인혜명심의료재단 울산병원 ➊ - - - - ➌ ➋ ➌ ➍의료법인혜원의료재단세종병원 ➊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➊ ➋ ➍ ➋의산의료재단강릉고려병원 ➌ 등급제외 - - - ➌ ➌ ➎ - 인산의료재단 메트로병원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등급제외 ➋ ➍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➋ ➊ ➊ ➊ ➊ ➊ ➌ ➊ ➋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➊ ➊ ➌ 등급제외 ➋ ➋ ➌ ➋ ➋인제대학교일산백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인제대학교해운대백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➋ ➋인천광역시의료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➌ ➋ ➌ ➍ ➍인천기독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➋ ➌ ➍인천적십자병원 ➋ - - - - ➍ ➊ ➍ ➎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속 보령아산병원 ➋ - - - - ➋ ➍ ➌ ➍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정읍아산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➍ ➍재단법인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창원파티마병원 ➊ ➊ ➊ 등급제외 ➊ ➋ ➊ ➋ ➌재단법인베스티안재단베스티안서울병원 등급제외 - - - - ➋ ➊ ➊ - 재단법인예수병원유지재단예수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➌ ➋재단법인천주교부산교구유지재단 메리놀병원 ➌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➋ ➌ ➌ ➍

Page 21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203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재단법인한호기독교선교회 일신기독병원 등급제외 - - - - ➋ ➋ ➌ - 전라북도 군산의료원 ➋ 등급제외 - - - ➋ ➍ ➌ ➍전라북도 남원의료원 ➋ 등급제외 - - - ➌ ➊ ➌ ➎전주고려병원 ➊ 등급제외 - - - ➍ ➌ ➌ -제일병원 ➋ ➊ ➋ 등급제외 ➊ ➌ ➍ ➌ -제주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➊ ➋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의료원 ➋ - - - - ➌ ➌ ➌ ➍제주한라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 ➋좋은문화병원 ➊ - - - - ➌ ➋ ➋ - 지샘병원 ➊ ➊ ➊ ➊ ➊ ➌ ➌ ➋ ➍진해연세병원 ➎ - - - - ➍ ➎ ➍ ➎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➊ - ➋ - - ➋ ➊ ➊ - 차의과학대학교부속구미차병원 ➊ ➊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➊ ➍ ➊ ➌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참조은병원 - - - - - ➌ ➌ ➌ -창원경상대학교병원 등급제외 - - - - ➋ ➊ ➊ -첨단종합병원 ➋ 등급제외 - - - ➌ ➍ ➍ ➍청주성모병원 ➊ ➊ - ➎ ➊ ➊ ➊ ➋ ➌충청남도 공주의료원 ➌ - - - - ➋ ➋ ➍ ➎충청남도 서산의료원 ➋ - 등급제외 - - ➌ ➋ ➍ ➎충청남도 천안의료원 ➋ - - - - ➌ ➌ ➍ - 충청남도 홍성의료원 ➌ - - - - ➋ ➋ ➌ ➌

Page 217: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04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충청북도 청주의료원 ➌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➌ - 충청북도 충주의료원 ➋ ➋ ➍ - 등급제외 ➋ ➋ ➌ ➍칠곡경북대학교병원 ➋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포항성모병원 ➊ ➊ 등급제외 - ➋ ➋ ➋ ➌ ➌하남성심병원 ➋ - - - - ➌ ➌ ➎ ➍학교법인 을지학원 을지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학교법인 춘해병원 ➋ - - - - ➍ ➍ ➌ ➎학교법인)동의병원 ➊ 등급제외 - - - ➋ ➍ ➌ ➍학교법인가톨릭학원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➋ ➊ ➊ ➊ ➊ ➊ ➊ ➌ ➌학교법인건양학원 건양대학교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➌ ➋학교법인동은학원순천향대학교구미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➊ ➊ ➋학교법인성균관대학삼성창원병원 ➋ ➊ ➊ ➊ ➊ ➋ ➊ ➋ ➌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대구보훈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➊ ➋ ➍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 ➊ ➊ ➌ ➊ ➊ ➋ ➊ ➊ ➍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부산보훈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➊ ➋ ➍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➊ ➊ ➊ ➊ ➊ ➋ ➊ ➊ ➍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 ➋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등급제외 - - - - ➊ ➊ ➊ -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➊ ➋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➊ ➊ ➊ ➍ ➊ ➊ ➊ ➊ ➋한림병원 ➊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등급제외 ➋ ➍ ➌ ➍한마음병원 ➊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➌ ➋ ➍

Page 218: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부문별 평가결과 요양기관 현황

205

요양기관명만성 암 약제 중환자실만성

폐쇄성폐질환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주사제 항생제 약품목수 중환자실

한마음창원병원 ➋ 등급제외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➌ ➊ ➌ ➌한양대학교구리병원 ➊ ➊ ➊ ➍ ➊ ➊ ➊ ➋ ➋해남우리종합병원 - - - - - ➍ 등급제외 등급제외 -해동병원 ➋ 등급제외 등급제외 - - ➍ ➍ ➎ ➍현대병원 ➌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➋ ➌ ➍현대유비스병원 ➊ 등급제외 - - - ➌ ➍ ➎ ➎혜민병원 ➋ - - - - ➋ ➍ ➋ ➎홍익병원 ➋ 등급제외 - - 등급제외 ➋ ➍ ➋ ➌홍천아산병원 ➌ - - - - ➍ ➍ ➎ ➍효산의료재단 안양샘병원 ➊ 등급제외 등급제외 - 등급제외 ➋ ➋ ➌ ➌희명병원 ➌ - - - - ➍ ➋ ➍ ➍

“-”는 평가대상기간 중에 진료 건수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항목별로 정한 기준 미만으로 평가에서 제외된 기관임

“등급제외” 기준- COPD는 평가대상자가 10명 미만이거나, 3개 평가지표가 산출되지 않는 경우- 대장암은 평가대상건이 10건 미만이거나 보조요법영역 8개 지표 중 5개 미만인 경우- 유방암은 평가대상건이 10건 미만이거나 보조요법영역 지표 5개 미만인 경우- 폐암은 평가대상건이 10건 미만인 경우- 위암은 평가대상건이 10건 미만, 위절제술 또는 내시경절제술만 시행한 기관, 보조

항암화학요법 6개 지표 중 3개 미만인 경우- 주사제는 평가기간내 진료건수가 100건 미만인 경우- 항생제는 평가기간내 급성상기도감염 진료건수가 100건 미만인 경우- 약품목수는 평가기간내 진료건수가 100건 미만이거나 원외처방이 30건 미만인 경우- 중환자실은 평가대상건이 10건 미만인 경우

Page 219: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6

3 평가 관련 용어

약어 약어명칭 뜻 설명

ACSC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 외래민감성질환

적절한 외래기반의 관리로 병원입원의 필요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는 질환 (예) 천식, COPD 등)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수행능력기본적인 일상 활동(목욕하기, 앉기, 걷기, 옷갈아입기, 식사하기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미국공동암위원회

ASA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core

마취과 의사가 평가한 환자상태 수술 전 환자상태에 따라 부여하는 점수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우회술CI Costliness Index 진료비 고가도지표

한 요양기관의 환자구성을 감안했을 때 실제진료비가 비교군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수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

CP Critical Pathway 임상 경로CQI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지속적 질 향상

CQS Composite Quality Score 종합점수 구조, 과정, 결과 지표 결과를 합하여 산출한 점수

DDD Defined Daily Dose 1일 사용량 기준단위단위용량이 다른 여러 항생제의 사용량 비교를 위하여 WHO의 의약품 사용량 기준을 이용함

HQCM Hospital Quality composit Measure 기관단위 질 종합지표

HSMR Hospital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병원 표준화 사망비

일정기간 동안 병원에서 사망한 환자들의 주진단군 중 사망환자 수가 많은 상위 80% 주진단군을 대상으로 실제 사망한 환자수와 환자 중증도를 고려한 기대 사망자수를 비로 나타낸 것(국가 평균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낮으면 사망비가 낮고, 100보다 높으면 사망비가 높은 것을 의미)

IQR Interquartile Range 사분위수범위제3사분위수(75백분위수)-제1사분위수(25백분위수) 값으로 자료의 변이를 나타내는 통계량

1. 평가 관련 약어

Page 220: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

평가 관련 용어

207

LI Lengthiness Index 입원일수 장기도지표해당 요양기관의 환자구성에 따라 기대되는 입원일수 대비 실제 입원일수의 비를 산출·1.0초과: 재원일수가 평균보다 높음·1.0미만: 재원일수가 평균보다 낮음

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간이정신상태 검사 인지기능의 손상을 밝혀내고 측정하는 검사

OPCI Outpatient Prescribing Costliness Index

외래 약품비고가도지표

환자구성(상병 및 연령)을 보정 후 동일 표시과목의 약품비 발생수준과 비교하여, 해당 기관의 약품비 발생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P4P Pay for Performance 성과연동지불제도QI Quality Improvement 질 향상QA Quality Assurance 질 보장QC Quality Control 질 관리

RSRR Risk Standardized Readmission ratio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

퇴원 후 30일 이내에 동일 또는 타 기관에 모든 원인으로 재입원한 계획되지 않은 입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재입원수와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한 기대 재입원수를 비로 나타낸 것(국가 평균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낮으면 재입원비가 낮고, 100보다 높으면 재입원비가 높은 것을 의미)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총체적 질 관리

구분 용어 뜻 설명

통계

percent(%) 백분율 전체 중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percentile(%ile) 백분위수 자료를 크기순으로 배열하고, 100등분 하였을 때 작은

쪽에서부터 각 점에 해당하는 값Quartile 사분위수 자료를 크기순으로 배열하고, 누적 백분율을 4등분한 각 점에 해당하는 값

Q1 제1사분위수 누적 백분율이 25%에 해당하는 점수Q2 제2사분위수 누적 백분율이 50%에 해당하는 점수(중앙값)Q3 제3사분위수 누적 백분율이 75%에 해당하는 점수Q4 제4사분위수 누적 백분율이 100%에 해당하는 점수

Observed deaths 실제사망자수 병원 내에서 사망한 환자(death in hospital)

- 퇴원일자와 사망일자가 같은 경우Expected deaths 기대사망자수

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즉, 연령, 보험자, 동반질환, 수술여부, 응급실 입원 여부 등을 적용한 주진단군별 로지스틱회귀 모형에 의해 예측되는 사망자 수

2. 평가 관련 용어

Page 221: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08

Observed readmissions 실제재입원수 퇴원 후 30일 이내에 동일 또는 타 기관에 모든 원인의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

Expected readmissions 기대재입원수

환자의 재입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즉, 성별, 연령, 보험종류, 주진단군, 동반질환 등을 적용한 5개 진료군별 로지스틱 회귀 모형에 의해 기대되는 재입원수(5개 진료군 : 외과계, 내과계, 심호흡계, 심혈관계, 신경계)

지표연동자율개선제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관리지표 정보를 요양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고, 미개선시 현지조사, 평가와 연계하여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

Page 222: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발 행 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제 작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2실

26465 강원도 원주시 혁신로 60(반곡동) Tel. 1644-2000 www.hira.or.kr

발 행 일 2017년 7월편집 · 인쇄 전우용사촌(주)

Tel. 02-426-4415 Fax. 02-429-9562

※ 이 책에 대한 저작권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있으므로 무단으로 복사·복제를 할 수 없습니다. ※ 동 책자는 2017년 3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므로 법령 및 관련 내용 등 변경사항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를 참고하시거나 해당 부서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Page 223: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224: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225: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ge 226: INSIDabcdef :MS 0001MS 0001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 례 요 약 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개요 및 환경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Part 4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