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00-싱크탱크-황윤원server6.kif.re.kr › kmfiledir › 128959098110078750_자유... ·...

36
No. 100 2009. 08. 28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황 윤 원 (중앙대 행정학과 교수)

Upload: others

Post on 06-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No. 100

    2009. 08. 28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황 윤 원

    (중앙대 행정학과 교수)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

    정부정책은 과연 누가 만드는 것인가? 참으로 어이없는 질문이지만, 우리는 늘 깊이 생각해 보지 않고 적어도 나는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다. 당연히 공무원의 전유물이라고 치부한다. 정부정책은 나와 우리가 속한 민간부문, 나아가 우리 일상생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민간부문은 단순히 정부정책을 수용하고 순응하는 수동적 정책 대상 집단으로서만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거버넌스시대에 접어들면서 정부정책은 정부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민관(民官)이 함께 만드는 합작품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런 점에서 민간부문도 정책결정 과정상 국외자일 수 없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장경제 싱크탱크(민간 싱크탱크)의 역할이 높아지고 있다. 시장도, 시민도 각각 스스로의 보호를 위해서 정책결정에 깊이 관여하는 것이 사치품이 아니라 필수품이 되었다는 생각이 시장경제 싱크탱크의 중요성을 높여가고 있다. 이런 문제인식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싱크탱크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와 더불어 한국 시장경제 싱크탱크에 대한 발전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싱크탱크의 정의에서부터 한국의 싱크탱크 실태분석, 미국 시장경제 싱크탱크 현황 파악,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실태 및 발전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싱크탱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략가들(thinker)이 전쟁기획을 비밀리에 논의하던 안전한 방(tank)”에서 유래된 말이다. 서구에서 싱크탱크의 기원은 1880년대 영국의 국방안전연구소(RUSI)나 Fabian Society에서 찾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고려 말에 만들어진 집현전이 싱크탱크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싱크탱크는 제2차 대전 이후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정책전문가(policy expert) 집단인 싱크탱크는 어떤 형태로 구성되고, 우리나라 싱크탱크는 왜 정부가 주도해 왔을까? 동시에 민간부문, 즉 시장경제 싱크탱크의 발전이 느린 이유는 무엇이며, 최근에 급성장하고 있는 영리형 싱크탱크인 컨설팅회사들은 어떻게 정책을 상품화시켜 나가고 있는 것일까? 미국은 자본주의의 실험실로서 시장경제 싱크탱크를 어떻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

    게 발전시켜 왔을까?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이 부진한 이유는 무엇이며, 어떤 전략이 필요한 것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함이 본고의 요지다.

    한국 시장경제 싱크탱크는 보수주의를 표방하면서 시장(market)을 정부(government)보다 더 중시하려 한다. 규제완화, 지방분권, 행정수도 이전, FTA 체결, 국민연금, 기업지배구조 개선, 부동산 정책, 고교평준화, 이라크 파병, 국가보안법 등 다양한 정책이슈에서 자유주의적, 보수적 성향을 주창하는 정책대안을 개발하여 정부에 제시한다. 그러나 민주주의 정부는 근원적으로 진보주의적·개혁적 성향을 지닌 탓에 쉽게 수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민주주의 자체가 진보주의적·포퓰리즘적 성격이 강한 때문이다. 따라서 보수주의 이념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보다 이성적, 체계적 설득작업이 뒤따라야 하며, 여기에는 반드시 검증된 객관적, 과학적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증거를 활용하여 정책결정자들을 설득해야 한다. 한국에서 시장경제 싱크탱크가 생존할 수 있는 길은 바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은 이러한 근간에 바탕을 두어 다양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소위 국책연구원이라고 불리는 정부부문 싱크탱크들이 갖는 부처이기주의나 독립성, 자율성 결여, 정권에의 예속 등과 정당 싱크탱크들이 갖는 임시방편적·후보미화적·득표지향적 속성,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들이 갖는 이익추구적 속성, 시민단체 싱크탱크들이 갖는 열악한 재정상황과 운동중심적 정책연구 속성 등을 뛰어 넘어 진정한 시장경제 싱크탱크의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지를 찾아내야 한다.

    바람직한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는 우선 정권을 초월하는 국가적·장기적 국가과제(national agenda)를 탐색해야 한다. 자사의 단기적 이익추구를 위해 오로지 경제연구에만 몰두하는 근시안적 ‘기업적 R&D’가 아니라, 국가사회에 도움을 주는 원시안적 ‘사회적 R&D’에 인색해서는 안된다. 시장경제 싱크탱크는 국가사회가 지향해 나가야 할 사회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3

    적 나침반 역할로 사회, 문화, 환경, 여성, 나아가 정치적 정책과제까지도 수면 위로 밀어 올려야 한다. 열악한 싱크탱크의 재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블리스 오블리제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 연구원을 국책연구원이나 대학에 빼앗기지 않도록 연구 환경도 개선시켜야 한다. 그래야 연구원(thinker)들이 더 좋은 직장으로 옮기기 위한 버스정류장으로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연구에 몰두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컨설팅업체나 대학, 국책연구기관들에게 좋은 상품(정책)을 빼앗길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세워 나갈 필요가 있다. 대외적으로는 주요 외국이나 정부부문 싱크탱크들과의 경쟁시스템을 도입하고, 동종 산업간 협업체제를 구축하며, 정책결정체제에의 접근도(accessibility)를 높이기 위해 회전문(revolving door) 효과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또한 신문, 방송, 잡지 등 기고를 활성화하는 홍보 전략을 활발하게 세우고, 국제적 네트워크 강화와 함께 이제는 IMD와 같이 국제적 평가업무도 수행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대내적으로는 자생력 제고를 위한 구체적 전략도 아울러 세워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샘플 마케팅(sample marketing)기법을 활용하여 정책보고서도 간단명료한(handy) 샘플로 만들어 정책담당자들이 우선 맛보게 하는 것이 아무도 읽지 않는 두꺼운 정책보고서를 작성하는 것보다 우선시해야 한다. 스타연구자(star researcher) 양성에 인색하지 말아야 하며, 세계적 연구자(global researcher)나 기존의 대학교수들을 영입하여 연구원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고취시킬 필요도 있다. 전·현직 관료나 시민단체 활동가들도 신진연구자들(new blood)과 동시에 영입하여 새로운 조직풍토를 조성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획기적인 재정확충이다. 우수한 인력, 우수한 시스템, 우수한 근무여건이 우수한 연구물을 창작하게 만든다는 단순한 이치가 사실은 가장 중요한 전략이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이 안전한 공간(tank)에서 안심하고 생각(think)할 수 있게 하는 것만이 진정으로 한국 시장경제 싱크탱크의 발전을 도모하게 할 수 있다.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4

    ⅠⅠ 싱크탱크 개념

    1. 싱크탱크의 어원 및 진화

    싱크탱크(Think Tank)의 출발은 19세기부터이나, 용어의 사용은 20세기 중반에 와서야 비로소 보편화됨. 역사적 발전과정은 다음과 같음. 아래 에서 요약 정리함. 싱크탱크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40년대 이후지만,

    싱크탱크의 모습을 갖춘 것은 1) 1831년 설립된 RUSI(the Institute

    for Defense and Security Studies)1)와 1884년에 설립된 Fabian

    Society2)로 볼 수 있음

    1910년대까지는 불과 10여개의 대규모 싱크탱크가 미국 연방정부에게

    초당적 정책 및 군사조언(non-partisan policy and military advice)을

    했음

    1930년 이후 다양한 이념적 관점에서 크고 작은 싱크탱크들이 폭발적으

    로 늘어나면서 명칭도 다양하게 표기됨3). 1940년대 이전까지는 싱크탱

    크라 불리지 않고 다만 개별기관(institute)의 이름으로 명명됨

    1940년대,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각 개별기관들은 비속어로 ‘두개

    골(skull)'을 의미하는 “두뇌상자(brain boxes)"로 불리다가, 전쟁 중에

    미국 속어(slang)인 싱크탱크(think tank)로 불림. 싱크탱크란 "전략가들

    이 전쟁기획을 논의하던 방(rooms in which strategists discussed

    war planning)"이라는 뜻이며, 유사어로 think-box, think-tanker 등이

    사용됨.

    1) RUSI(The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for Defence and Security Studies)는 the

    Duke of Wellington에 의해 설립된 영국의 대표적 독립 국방외교싱크탱크(independent

    think tank on defense and security)로서 2008년 Prospect Magazine이 수여하는 “올

    해의 싱크탱크상”을 받았음2) 오늘날 영국 노동당의 논리를 제공하는 대표적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 노선의

    싱크탱크로서 Harold Wilson, Tony Blair, Gordon Brown 등 전 총리들도 회원이었음3) 대표적인 예가 루스벨트 대통령의 브레인 트러스트(Brain Trust)임. 이는 1932년 미국

    대통령선거 시 루스벨트 후보를 지지하던 뉴욕타임스 기자 R. Molly가 이끄는 대학교수 자문집단이었으며, 이 집단은 루스벨트에게 미국이 직면한 경제, 사회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정책대안을 개발할 뿐 아니라 선거유세에도 동원되었던 바, 이들이 제안한 대안들이 후일 뉴딜정책의 기초로 활용되었음. 그러나 루스벨트 본인은 정작 이를 ‘자신의 추밀원(Privy Council)’이라고 부름 (privy=private & secret, confidential)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5

    1950년대 이후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온 바, 요약하면 제2차 세계대전

    중 미 국방전문가들이 비밀리에 안전한 공간(tank) 안에서 군사전략을

    논의(think)했다는 합성어에서 유래

    싱크탱크의 현대적 정의

    사전적 정의로는 “다양한 문제를 고려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직, 특

    히 정부의 전문가 집단(a group of experts who are gathered

    together by an organization, especially by a government, in order

    to consider various problems and try and work out ways to solve

    them)”

    학술적 정의로는 “사회정책, 정치전략, 경제, 과학. 기술, 산업·기업 정

    책, 군사조언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옹호하고자 하

    는 조직, 기관, 및 집단(An organization, institute, corporation, or

    group that conducts research and engages in advocacy in areas

    such as social policy, political strategy, economy, science or

    technology issues, industrial or business policies, or military

    advice)."

    싱크탱크의 역사적 전개 과정

    시기 특징

    1880년대 설립 초기

    1910년대 소수 대규모 활동 시기

    1930년대 다수 소규모 출현 시기

    1940년대 싱크탱크 용어 첫 사용 시기

    1950년 대 이후 싱크탱크 용어 보편적 사용 시기

    2. 싱크탱크의 필요성과 비판

    싱크탱크의 필요성은 1800년대부터 정책개발의 전문성에서 찾을 수 있음

    싱크탱크의 필요성은 이들의 별칭만으로도 알 수 있는 바, 학생 없는 대

    학(브루킹스), 정부계약수행자(랜드), 정치적 주창자(헤리티지), 인재의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6

    회전문(브루킹스), 인재저수지, 스마트파워발전소, 정책제작소, 정책창고,

    정책대안생산공장, Brain Trust, Brain Bank, Think Factory, Social

    Engineer, Technocrat 등이 그 예임

    이처럼 싱크탱크는 연구, 정책개발대행, 정치적 아이디어 주창, 인재의

    유지, 정책개발두뇌집단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판도 없지 아니함

    대표적으로는 잭슨대통령의 ‘Egg-headed Row(지식인에 대한 경멸적

    표현)’, 에그뉴 부통령의 ‘Pointy Headed(외골수 지성인)’, 존슨 대통령

    의 ‘나약하고 뻔뻔스런 속물집단’ 등

    또한 랄프 네이더 등은 민간싱크탱크란 원래 자금원이 지닌 사적 속성

    으로 인해 연구결과도 자금원의 이념에 경도되게 마련이며, 때로는 ‘기

    업선전 도구로 위장(disguised vehicles for corporate propaganda)’될

    소지도 있다고 비판

    3. 싱크탱크의 유형

    싱크탱크는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됨

    연구주제에 따라 국가적 거대담론형(macro national agenda)과 지엽적

    현실문제형(micro daily-life agenda)으로 나누어지며, 거대담론형에는

    외교, 안보, 통일, 통상, 경제, 사회정책 등으로 세분화, 현실문제형은 지

    역, 문화, 환경, 교통, 복지, 여성 등 구체적 문제해결 중심의 싱크탱크

    정파성에 따라서는 보수주의형, 중도주의형, 진보주의형으로 나누어짐

    재원에 따른 형태는 정부지원형, 기업 및 재단지원형, 개미군단형, 자체

    연구수입형 등으로 구분, 특히 재단지원과 소액다수개인후원제를 병행하

    는 헤리티지재단은 ‘헤리티지재단형’으로 부름

    전략에 따라서는 소수이슈집중공략형과 광범위이슈심층분석형으로 나눌

    수 있음

    운영주체에 따라서는 미국의 민간우위균형발달형, 독일의 정부우위균형

    발달형, 일본의 공공·정치주도형, 중국의 당·정부주도형, 네덜란드의 공

    공·민간·시민타협형 등으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음. 는 이들을 요

    약한 것임.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7

    싱크탱크 유형

    기준 형태

    연구주제별 거대담론형, 지엽적 현실문제형

    정파성별 보수주의형, 중도주의형, 진보주의형

    재원별 정부지원형, 기업·재단지원형, 개미군단형, 자체수입형

    전략별 소수이슈집중공략형, 광범위이슈심층분석형

    운영주체별 민간우위형, 공공우위형, 공공민간타협형

    4. 한국의 싱크탱크 개관

    한국의 싱크탱크 역사는 사실상 고려 말인 1350년대 공민왕 시절 학문연

    구 및 국왕의 정책 자문기관이었던 집현전으로 볼 수 있으나,

    현대적 의미의 싱크탱크는 1962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1966년 한

    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에서 찾을 수 있으며, 사회과학분야는 1971년 한

    국개발연구원이 정부주도형으로 출발

    경제개발연대에는 국가발전과 경제개발이 중심이 되어 불균형성장이론

    (unbalanced growth)과 선진국 단순추격전략(catch-up strategy)으로

    정부-기업-대학-시민사회의 균형 있는 정책생산시설을 갖추지 못했음

    정부주도의 국가발전전략은 싱크탱크 시설도 정부주도의 유럽형 또는

    일본형 정부중심 싱크탱크 지형을 구축, 시장경제 싱크탱크보다는 정부

    출연연구기관 중심의 싱크탱크 인프라였음

    그 결과 민주화 초기에는 민간부문의 사회적 정책생산 역량을 지닌 싱

    크탱크 부족으로 정책 대안 제시 활동보다는 시위 등 물리적 현장운동

    중심의 정책 개입 시스템으로 집단적, 사회적 욕구 표출 통한 정책간여

    (policy intervention)가 주류를 이룸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8

    따라서 민주화성숙기 및 선진화시기에는 분야별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합

    리적·객관적 정책 대안 제시 역량을 갖춘 다양한 싱크탱크 출현이 필요하

    고, 실제로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9

    ⅡⅡ 한국의 싱크탱크

    1. 개관

    1987년 민주화 이전은 정부주도의 싱크탱크 구조였고, 1987년 민주화

    이후 우리나라의 싱크탱크 지형은 큰 변화를 가져와 i) 정부부문 싱크탱

    크의 거버넌스 재편, ii) 민간부문 싱크탱크의 분화, iii) 시민사회 싱크탱

    크의 출현, iv) 정치 싱크탱크의 발달, v)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 출현 등

    의 특징을 보임

    2. 정부 부문 싱크탱크 거버넌스 재편

    정부부문 싱크탱크는 1987년 민주화를 기점으로 권위적·집권적·수직적

    부처 싱크탱크적 정책지식 공급-전달 체계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이 지방

    자치단체들의 정책지식시장 분점화, 국책연구기관들의 거버넌스 구조 재

    편, 준정부 부문 싱크탱크의 출현 등으로 나타남

    1987년 이전에는 국책연구기관들이 1971년 설립된 KDI를 중심으로 각

    부처 산하에 설치되어 ‘부처싱크탱크’로서 산재해 왔음

    1992년 지방자치제 도입으로 지방자치단체들도 각자의 싱크탱크 설립에

    박차를 가함

    지방자치단체, 특히 광역자치단체들은 1991년 광주·전남발전연구원에

    이어 1992년 시정개발연구원(서울), 부산발전연구원, 전북경제사회연구

    원, 경남발전연구원, 1993년에 강원발전연구원, 1994년 경기개발연구

    원, 1995년 충남발전연구원, 인천발전연구원 등이 설립되어 현재 15개

    광역권싱크탱크와 기초단체들도 일부 설치함

    현재 국가 싱크탱크는 총 연구인력 만여 명, 총 예산 3조여 원, 총 42개

    국책연구기관들이 거버넌스 구조 변화로 모두 국무총리실 산하에 소속

    됨. 외환위기 타개를 위해 1999년 각 개별연구원법 폐지, “정부출연연

    구기관등의설립·운영및육성에관한법률” 제정으로 국무총리실 산하 5개

    연구회(경제사회연구회, 인문사회연구회, 기초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

    회, 공공기술연구회)를 두었으며, 2005년에는 다시 이를 축소시켜 4개

    연구회 체제로 바꿈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0

    세종연구소 등 준정부 부문 싱크탱크는 민간기업 자금출연과 공공자금

    으로 설립, 민간주도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음

    3. 민간기업 부문 싱크탱크의 분화

    '한국의 민간경제를 대표하는 싱크탱크'의 기치를 내건 한국경제연구원

    (KERI)은 전경련이 1963년에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싱크탱크임

    전경련은 시장경제원칙 확산을 보다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대

    안 개발을 위해 “자유주의 시장경제 홍보와 연구”를 목표로 1997년 ‘자

    유기업원’을 출범시킴

    삼성그룹의 삼성경제연구소, 현대경제연구소, LG경제연구소 등 여러 개

    의 대기업 중심 기업 부설 경제연구소가 생겨남

    IMF위기를 겪으면서 대기업 싱크탱크들은 자사의 생존전략 개발에 치중

    하는 정책생산에 치중해 왔음.

    그러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을 맞아 기존의 대

    기업 경제연구소들뿐만 아니라, 금융권 경제연구소들도 기존의 소규모

    연구 인력을 보강하면서 향후 경제 싱크탱크 판도 변화 예고됨

    그 예로서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농협경제연구소, 국민은행연구소, 신한

    FSB연구소, 기은경제연구소, 산은경제연구소, 대신경제연구소,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 등

    4. 시민사회 싱크탱크의 출현

    우리나라 시민사회는 1987년 민주화가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주로 현장중

    심·행동중심·운동중심의 시민정책투입메카니즘(citizen policy input

    system)이었음.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는 시민운동(citizen movement)과

    정책개발(policy development)을 동시에 추구하는 싱크탱크의 출범이 시

    작됨

    1989년 경제정의의 기치를 내걸고 시민운동과 시민정책개발운동을 병행

    하는 경제정의시민실천연합(경실련)을 설립

    1982년에 한국공해문제연구소로 출발한 한경운동연합은 1993년 환경운

    동연합으로 탄생, 환경보존 운동과 환경정책 개발에 집중

    이어서 1994년에는 녹색자치를 표방한 녹색연합과 참여와 인권이라는

    진보적 가치를 추구하는 참여연대가 창립됨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1

    시민단체들은 대개 전국조직을 통한 운동조직과 정책연구조직을 이원적

    으로 운영하기 위해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산하 연구소를 만들어 정

    책개발을 담당함. 예를 들면, 경실련의 경제정의연구소, 참여연대의 참

    여사회연구소, 환경운동연합의 시민환경연구소, 녹색연합의 녹색사회연

    구소 등

    기존의 운동지향적 단체들과는 다른 형태를 지향한 시민 사회 민간 싱

    크탱크로서 2006년에 출범한 희망제작소는 짧은 연륜에도 불구하고 비

    약적 발전을 해왔음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대부분의 시민단체는 운동과 정책개발을 동시에 표

    방하기 때문에 25,000여개에 달하는 시민운동단체들을 모두 싱크탱크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음

    5. 정치 싱크탱크의 성장

    정치 싱크탱크는 크게 ‘국회의원연구단체지원규정’에 근거한 국회의원 연

    구모임, 2003년에 설립된 국회예산정책처, 정당법과 정치자금법에서 규정

    한 각 정당별 정책연구소 등이 있음

    1993년 아태평화재단을 시작으로, 1995년 여의도연구소, 2004년 진보

    정치연구소(민주노동당), 2008년 민주정책연구원(민주당, 아태평화재단

    이 전신), 자유정책연구원(자유선진당), 사람희망정책연구소(창조한국당),

    2004년 정당법과 정치자금법 개정으로 제도화(연구소설립 의무조항)

    당법 제29조 제3항은 보조금 배분의 연구소 배부 의무화를, 정치자금법

    제19조 제2항은 보조금 총액의 50%는 중앙당, 30%는 정책연구소,

    10%는 시·도당, 10%는 여성정치발전으로 보조금 배분비율 규정

    10명~50명 정도의 인력, 3억~40억 원의 예산으로 임차사무실에서 주

    로 연구개발, 토론회, 교육연수, 정책홍보, 간행물 발간 등의 사업

    우리나라 정당연구소는 각 정당이 정당보조금 배분의 수단으로 정당 싱크

    탱크를 운영하고 있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정책개발 역량을 지

    닌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은 수행하면서 발전하고 있다고 판단됨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2

    기관명 분야 설립연도

    BearingPoint 비즈니스, 시스템 통합 2002

    PWC 경영전략 1997

    Braxton 회계컨설팅 1999

    McKinsey & Company 경영자문, 지원 1991

    Boston Consulting Group 경영전략 1994

    Bain & Company 컨설팅, 투자 1991

    Monitor Group 전략적 이슈 해결 지원 1990

    A.T.Kerney 전략컨설팅 1995

    Arthur D. Little 경영자문, 프로젝트 메니저 1994

    한국능률협회컨설팅 경영진단, 평가 1989

    6.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의 출현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는 정확하게 싱크탱크로 보기 어렵다는 점도 있지

    만, 정책정보의 생산과 제품(정책대안)의 정부 공급이라는 측면에서 싱크

    탱크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며,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글로벌 경쟁

    이 강화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정책대안시장이 영리성과 무관하게 강조

    되고 있음

    우리나라에는 처음으로 외국계 컨설팅 업체들이 정책정보 판매를 목적

    으로 진입하였으며, 1986년 앤더슨 컨설팅(현 엑센츄어)이 한국사무소

    설치를 시작으로 맥킨지, 보스턴 컨설팅 그룹, 베인&컴퍼니 등이 진출

    해 있음

    국내업체들도 생겨나 한국능률협회컨설팅, 한국표준협회컨설팅, 한국생

    산성본부 및 각종 여론조사기관, 여기에 2000년에 출범한 김광수경제연

    구소 등 이제 정책개발시장은 더 이상 비영리가 아니라 정책정보를 생

    산·판매하는 상태에 도달해 있음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의 출현은 우리나라 싱크탱크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신호를 보내고 있음. 즉, 정책개발이 이제 더 이상 비용 부담 없는 공공

    재(public goods)가 아니라 사적재(private goods)로서 시장경쟁논리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임( 참조).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의 운영 실태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3

    네모 파트너즈 경영전략, 운영, IT 2000

    김광수경제연구소 경영컨설팅,산업분석,시장조사 2000

    한국표준협회컨설팅 경영전략 1999

    한국생산성본부 혁신, 정책자문 1957

    케이알컨설팅 컨설팅, 교육 1999

    마켓비전컨설팅그룹 마케팅조사, 전략 2001

    한국갤럽 여론조사 1974

    한길리서치 여론조사 1990

    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 1990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여론조사 1997

    동서리서치 여론조사 1987

    리서치앤리서치 여론조사 1989

    TNS코리아 여론조사 1984

    엠브레인 여론조사 1998

    디오피이언(안부근연구소) 여론조사 2005

    한국리서치 여론조사 1978

    자료: 김선빈 외(2007): 121

    7. 한국 싱크탱크 운영의 문제점

    정부부문 싱크탱크 중심으로 정권을 뛰어 넘는 장기적 National Agenda

    소화 능력 미비 등 문제점 노정

    부처 감독·통제로 독립성 부족

    부처이기주의 중복연구

    우수연구인력 유출

    민간싱크탱크 설립으로 상대적 경쟁력 약화

    고위정책결정자들의 활용 미흡 등

    민간기업 부문 싱크탱크는 주로 대기업 중심으로 설립되어 자사의 이익

    추구에 직접, 간접으로 관련된 정책대안을 개발

    대기업 중심의 기업이익 추구적 경제관련 싱크탱크가 주류

    보다 거시적·국가적 정책대안 개발에 소홀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4

    시민사회 싱크탱크는 운동과 정책개발을 병행하기 때문에 정책개발 역량

    에 한계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순수민간연구소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지만, 재

    정·인력 등에서 일부를 제외하고는 초보적 수준

    정책개발을 표방하나, 여전히 운동중심의 시민단체가 중심

    정치 싱크탱크 중 정당 싱크탱크의 문제점: 가장 오래된 여의도연구소가

    겨우 10년 역사, 나머지는 대부분 정권교체에 따라 명멸하는 등 문제점

    노정

    보조금취득수단으로 장식용 싱크탱크(Vanity TT)로 유지

    정책개발보다는 패거리집단, 세대결의 장, 비공식 선거운동본부인 정당

    의 장식품으로서 전문성 결여

    자율성과 독립성 결여

    정치이슈 투쟁기관화(political issue fighter)

    미약한 사회적 파급효과

    평가시스템의 부재 등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는 수익형 기업운영이 원칙이기 때문에 사실상 수동

    적인 주문생산방식이기 때문에 사회변동을 위한 능동적 자발적 정책개발

    에는 소극적임. 특히 외국계 컨설팅 업체들은 한국의 보편적 사회규범이

    나 문화와 가치와는 무관하게 영리목적 정책대안 생산과 판매에 치중함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5

    ⅢⅢ 미국의 싱크탱크

    1. 미국의 싱크탱크 중심 체제

    미국은 시장경제 싱크탱크가 중심이며, 정부지원보다는 민간자본의 자율

    적 운영이 원칙이며, 특히 보수주의 싱크탱크는 대규모 민간 지원자들이

    있음

    미국은 베일에 가려진 엘리트 계층의 큰손들(Establishments)이 시장경

    제 싱크탱크의 후원자 역할 수행

    CFR이 대표적이며, 다른 보수싱크탱크들도 그 뒤에는 큰손들이 버티고

    있음

    예를 들면, 보헤미안클럽(정재계 유력인사 친목단체), 유태계로비협회,

    현인협회(지도자들 비공식모임), 구미일(歐美日)삼각위원회, 군산(軍産)

    복합군수업협회, 록펠러가, 모건가등 재벌가문, WASP 등임

    미국은 정책개발시장(policy products market)의 자유경쟁시스템(free

    competition system)은 우수제품 생산자(think tanks)만 생존 가능하

    며, 2,2000여개 중 10%만이 생존가치 인정

    2. 미국의 싱크탱크와 정부 관계

    미국은 정부와 민간 싱크탱크가 회전문(revolving door)을 통해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

    레이건행정부: 헤리티지, 후버, AEI 등에서 150여명의 인력 중용

    카터행정부: 브루킹스, CFR 등에서 지원

    클린턴행정부: 국제경제연구소(IIE), 카네기재단의 ‘국가경제위원회’ 도입

    등 지원

    부시행정부: CFR, AEI, CSIS 등에서 지원

    오바마행정부: 미국진보센터(CAP), 브루킹스의 외교정책, CSIS의 Smart

    Power위원회 보고서

    특히 브루킹스는 “Plan for Action A New Er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 Changed World’의 42쪽 보고서로 적극 지원. 이

    보고서는 브루킹스가 뉴욕대, 스탠퍼드대와 함께 2년간 공동 연구한 것

    으로 존 포데스타 오바마 정권인수 공동팀장,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6

    싱크탱크 성향 소재도시 설립연도 연구원 수예산규모(2000년, 백만달러)

    국제평화를 위한 카네기 기금

    중도 워싱턴 D.C. 1910 39 Over 10

    브루킹스연구소 중도 워싱턴 D.C. 1916 79 Over 20

    후버연구소 보수 스탠퍼드 1919 80 Over 20

    외교관계평의회(CFR)

    중도 뉴욕 1921 100 Over 20

    미국기업연구소(AEI)

    보수 워싱턴 D.C. 1943 100 Over 10

    무, 윌리엄 페리 전 국방, 스트로브 탤벗 브루킹스연구소장 등 미국 내

    전문가 16명과 하비에르 솔라나 유럽연합(EU) 외교정책 집행위원장 등

    전 세계 전문가 17명이 참여.

    CFR(외교관계평의회)은 중도이면서 카터, 부시행정부에서 동시에 지원,

    CSIS는 보수이면서 부시와 오바마 정부에서 동시 지원

    3.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 실태

    싱크탱크는 영국에서 1830년대에 처음으로 설립되었지만, 1900년대에

    들어와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 지금은 세계적 주요 싱크탱크가 미

    국에 가장 많이 소재함

    이념성향은 크게 보수, 중도, 진보로 나뉘며, 연방 수도 Washington, D.

    C.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음.

    상임연구원 수도 적게는 10명 이내에서 많게는 수백 명에 달하며, 예산

    규모도 백만 불 이내에서 수억 불을 넘는 상태임( 참조).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 현황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7

    랜드사 중도 산타모니카 1948 543 Over 100

    허드슨 연구소 중도인디애나폴리스

    1961 54 Over 10

    전략 및 국제문제 연구센터(CSIS)

    보수 워싱턴 D.C. 1962 50 Over 10

    정책연구소(IPS) 중도 워싱턴 D.C. 1963 16 Over 1~2

    도시연구소 중도좌파 워싱턴 D.C. 1968 212 Over 10

    헤리티지 재단 보수 워싱턴 D.C. 1973 134 Over 40

    케이토 연구소보수/자유

    워싱턴 D.C. 1977 42 10~20

    맨하튼 연구소 보수 뉴욕 1978 25 Over 5

    건전경제를 위한 시민재단(CSEF)

    진보 워싱턴 D.C. 1984 98 Over 20

    경제정책연구소(EPI)

    진보 워싱턴 D.C. 1986 18 2~5

    진보정책연구소(PPI)

    진보 워싱턴 D.C. 1989 17 1~2

    진보와 자유 재단(PFF)

    진보 워싱턴 D.C. 1993 4 2~5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8

    4.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의 영향력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의 영향력 순위

    인력과 예산의 규모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정책결정과정 영향력 정도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브루킹스, 헤리티지, 미국기업연구소, 케이토, 외교

    협회, 랜드사, PPI, CFR 등이 영향력이 큼. 는 각 싱크탱크의 영

    향력 순위임

    미국 주요 싱크탱크의 영향력 순위

    싱크탱크 성향 소재도시 설립연도상임

    연구원 수

    예산규모(2000년,

    백만)

    국제평화를 위한 카네기 기금

    중도 워싱턴 D.C. 1910 39 Over 10

    브루킹스연구소 중도 워싱턴 D.C. 1916 79 Over 20

    후버연구소 보수 스탠퍼드 1919 80 Over 20

    외교관계평의회(CFR) 중도 뉴욕 1921 100 Over 20

    미국기업연구소(AEI) 보수 워싱턴 1943 100 Over 10

    랜드사 중도 산타모니카 1948 543 Over 100

    허드슨 연구소 중도인디애나폴리스

    1961 54 Over 10

    전략 및 국제문제 연구센터(CSIS)

    보수 워싱턴 D.C. 1962 50 Over 10

    정책연구소(IPS) 중도 워싱턴 D.C. 1963 16 Over 1~2

    도시연구소 중도좌파 워싱턴 D.C. 1968 212 Over 10

    헤리티지 재단 보수 워싱턴 D.C. 1973 134 Over 40

    케이토 연구소 보수/자유 워싱턴 D.C. 1977 42 10~20

    맨하튼 연구소 보수 뉴욕 1978 25 Over 5

    건전경제를 위한 시민재단(CSEF)

    진보 워싱턴 D.C. 1984 98 Over 20

    경제정책연구소(EPI) 진보 워싱턴 D.C. 1986 18 2~5

    진보정책연구소(PPI) 진보 워싱턴 D.C. 1989 17 1~2

    진보와 자유 재단(PFF) 진보 워싱턴 D.C. 1993 4 2~5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19

    5. 미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전략

    헤리티지, AEI, CATO 등 미국 시장경제 싱크탱크들은 1990년대에 들어

    와 전성기를 맞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전략 구사

    다양한 효과 기대한 다양한 이슈 선정

    적은 숫자의 집중 공략

    풍부한 자금

    언론의 적극적 활용

    적절한 시기의 전문가 집단 활용

    분명한 이념, 체계적 조직, 사람에 대한 확실한 투자

    보수재단의 충분한 후원: Four Sisters(John M. Olin, Lynde and

    Harry Bradley, Smith Richardson, Sarah Scaife)가 시장경제 싱크탱

    크 재원의 60% 지원

    이들은 매년 수백만 불 이상의 보수싱크탱크와 사회운동단체, 풀뿌리운

    동조직, 학자, 대학원생에게 지원하여 “Buying A Movement”라는 비판

    받을 정도임

    6. 미국 싱크탱크 성공 사례: The Brookings Institution

    브루킹스는 미국 싱크탱크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1916년 정부조사연구소

    (Institute for government Research:IGR)가 모태

    IGR은 공공정책이슈 연구 위해 당시 미국 행정학계 권위자 Frank

    Goodnow, William Willoughby 등이 중심이 되어 설립. 이어서 1922

    년 경제연구소, 1924년 공무원교육 위한 경제·정부대학원(Graduate

    school of Economics and Government) 설립, 1927년 이들 3개 기관

    단일연구기관으로 통합

    1916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민주당 정권 획득 후 루스벨트, 트루먼,

    케네디, 존슨, 카터, 클린턴 정부 등 민주당 정권과 밀접한 관계 유지.

    그러나 1970년대 후반 이후에는 비당파성 강조, 중도성향 유지

    브루킹스는 그동안 미국 역사를 바꾸는 큰 정책 틀 제공

    1921년 미국예산회계법 기초 연구

    루스벨트 뉴딜정책 지원 연구

    2차대전 전시동원체제 연구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0

    전후 마샬플랜 기초연구

    존슨의 ‘위대한 사회’ 기초 연구

    최근의 "Opportunity 08", "Hamilton Project" 등 수행

    2008년 현재 총 예산 8천만 달러, 250명(상임 100명) 연구원으로 성장,

    주요 전략으로는

    출판수입 3% 이외 모두 기부금으로 충당하는 풍부한 자금동원 전략

    지출의 6% 커뮤니케이션 경비 지출로 인맥관리 및 홍보 관리

    철저한 중도주의적 시장경제 강조

    현장중심의 정책지향연구

    끊임없는 신의제(新議題, new issue) 개발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1

    ⅣⅣ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1. 시장경제 싱크탱크와 보수주의 이념 추구

    시장경제 싱크탱크란 정부지원 싱크탱크(government supported think

    tank)에 대비시켜 시장경제운영원리를 기본 철학으로 삼고 시장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싱크탱크(market-based private think tank)를 말함. 즉,

    시장경제의 기본원리를 핵심운영원리로 수용하는 자유시장시스템 안에서

    의 보수주의 싱크탱크(conservative think tank)를 말함.

    보수주의 싱크탱크는 민주주의가 갖는 포퓰리즘적4), 진보적 속성으로

    인해 체계적인 보수주의 대항 논리 개발 필요

    정부 존립이유 또한 진보가치에서 비롯함: 자생적 질서(시장률과 도덕

    률) 실패를 인위적 질서(법률) 성공으로 보완하려는 것이므로 분배, 형

    평, 공존, 상생 등 진보가치는 정부존립의 근원적 토대임

    이성적 사고력이 높은 식자층조차 진보성향 높다는 점도 보수주의 확산

    의 어려움 제기. 과 같이 미국 대학교수들도 진보적 성향

    미국 대학교수들과 대중들의 이념적 성향

    (단위:%)

    교수 대중

    진보 72 18

    보수 15 37

    주: 중립 혹은 다른 성향은 제외

    자료: 김선빈 외: 239

    4) Demos는 라틴어 Plebs와 같은 말로 “평민’이라는 뜻. 평민은 사회의 가장 큰 계급군으로 이들에게 인기(관심)있는 정책표방은 democracy의 당연한 논리. 따라서 포퓰리즘이 근본적으로 나쁘다는 논리보다는 그 폐해를 설득하는 것이 바람직함. The word populism is derived from the Latin word populus, which means people in English. This is in contrast to elitism, aristocracy(귀족정치), or plutocracy(부민정치), each of which is an ideology that espouse government by a small, privileged group above the masses.(Wikipedia)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2

    따라서 민주주의에서 국민은 태생적, 감정적 진보가치 지향적. 국민의 보

    수화(保守化) 노력은 이성적(理性的) 국민화(國民化)를 뜻하며, 이는 체계

    적, 지속적 노력 요구

    특히 우리 사회는 감정적 즉각 반응 강한 문화로 인해 논리적, 합리적,

    이성적 보수가치화가 더욱 어렵다는 점에서 보수 가치 지향적 정책 설

    득은 지난한 과제임5)

    이를 위해 가진 자 스스로가 모범이 되는 노블리스 오블리제 문화 정

    착이 중요

    특히 대기업 지원 싱크탱크는 시민들의 엘리트정치, 귀족정치, 부민정치

    에 대한 반감으로 더욱 설득 곤란한 반면, 시민단체 주도 진보적 싱크탱

    크는 정책의 속성에서부터 개미군단후원 등 지지세력 저변확대 비교적

    용이함

    2. 시장과 정부, 시장경제와 정부정책의 관계

    시장경제의 활동무대(locus)는 시장(market)이며, 정책의 활동무대는 정

    부, 따라서 시장과 정부의 관계 정립 필요

    시장은 자생적 질서 중 시장률에 의해 질서를 유지하나, 정부는 인위적

    질서인 법률(정책)에 의해 유지됨

    시장률은 도덕률과 더불어 가장 대표적 자생적 질서

    정책의 구체적 표현방식은 법령(법과 명령), 계획, 지침, 판례 등이며,

    법률이란 이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인위적 질서

    인위적 질서인 법률은 타율적 인간행동 통제, 인간존엄성 훼손, 부정부

    패 우려, 사회적 비용 초래 등을 감수하면서도 자생적 질서 실패를 바로

    잡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

    따라서 정책생산(policy production)이란 통제, 인간 존엄성 훼손, 사회

    적 비용 부담, 부정부패 우려 등 자생적 질서와의 갈등을 조정하는 작업

    즉, 자생적 질서를 강조하는 보수주의와 인위적 질서를 강조하는 진보주

    의의 갈등 조정 작업이기 때문에 보수주의적 시장경제 논리를 관철시키

    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 이성적 설득이 관건

    5) 국가경쟁력, 기업경쟁력, 개인경쟁력의 키워드는 “적자생존의 만인 투쟁적 전장(戰場; Battlefield of struggling against each other for the fittest survival)”이며, 보수가치의 국민적 수용은 전쟁터에서 만신창이가 되어 살아나오는 용사의 용맹함을 존경하도록 국민들에게 설득시키는 것만큼 어려운 작업임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3

    시장과 정부의 비교

    질서유형 행동통제인간

    존엄성부정부패

    사회적

    비용지배주체

    시장자생적

    질서자율적 보존 저 저 시장률

    정부인위적

    질서타율적 훼손 고 고 법률

    3. 시장경제 싱크탱크 운영 부진의 원인

    한국 정부 정책생산역량의 상대적 우위성: 정책생산 역량 높은 관료시스

    템 운영과 독점시스템 구축으로 민간영역 역할 상대적 위축

    개발연대 국가주도의 경제개발정책으로 우수한 관료 충원제도 통한 우

    수인재 정부 독점: 고시엘리트 구축과 개방직 통한 우수 전문가 영입으

    로 관료시스템 역량 강화

    관료 정책능력 향상 제도 강화: 정부장학금 지원에 의한 외국유학 등 재

    직훈련(on-the-job training) 강화로 기존의 우수인력을 더욱 보강

    공공부문 정책생산인프라 적극적 지원: 국책연구기관 영역 확장 및 강화

    관료들의 글로벌경쟁력 확대: 공직사회의 국제교류 네트워크

    시장 스스로의 정책생산 역량 미진

    민간부문 스스로의 정책개발 유용성 인식 결여: 국가정책은 시장의 자생

    적 질서(시장률)와는 무관하다는 인식 팽배

    기업의 장기적, 국가적 이익창출 기반 구축보다는 자사에게 유리한 단기

    적, 기업 내부적 이익 창출에 우선순위 부여

    인위적 질서(법률) 세우기에 적극적 참여보다는 정부가 만든 인위적 질

    서에 수동적 순응(compliance)이나 대응(response)하기에 급급

    대기업은 단기적 자사이익 추국에 함몰, 중소기업은 R&D투자 여력 부

    족으로 국가정책생산 참여에 소극적

    국가적 정책생산시설(national policy production infrastructure) 구축

    에 무관심: 주로 경제관련 싱크탱크만 양산하여 경제정책 중심의 기형

    적 정책생산인프라 운영으로 사회적 수용 어려움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4

    그린정책, 노령화정책, 여성정책, 사회통합정책, 교육정책 등 사회적 정

    책이슈에서 정부를 추월하지 못한 채 이슈선정 및 대응과제 발굴 역량

    향상도 달성되지 못함. 이는 다양한 분야 전문가 양성보다 오로지 경제

    관련 전문가들만 기형적으로 수용, 양성

    싱크탱크의 생산제품(products of think tank)인 일부 정책(policy)조차

    도 정부마케팅(government marketing) 부족으로 정부채택도(degree

    of policy adoption) 높이려는 시도 부족

    체계적 회전문(systematic revolving door) 구축, 핵심정책인사접근

    (policy black box accessibility), 공식로비시스템(formal lobbying

    system) 구축, 샘플 마케팅(sample marketing), 적극적 언론홍보 활동,

    소액다수후원제 등 노력 부족

    동종 산업, 동일 이해군 등을 통한 집합적 노력(collaborative &

    collective policy inputting efforts)으로 정책형성과 집행과정에서 이

    해표명 전략 구사 부족으로 노사관계에서 늘 노조의 물리적 최후 의사

    표현 수단인 데모에 시달림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5

    VV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1. 우리나라 싱크탱크 전반적 발전 방안

    정부부문 싱크탱크는 정권을 초월한 국가적·장기적 National Agenda 제

    독립성 부족, 부처이기주의, 정권획득용 등 문제점 개선이 요구되지만,

    재정독립성 부재로 현실적 어려움 직면

    국책연구원에 대한 정부의 신뢰 저하: ‘국책연구원은 정부의 싱크탱크

    (두뇌)가 아니라 마우스탱크(입) 정도로 생각하는 현 정부에 연구 자율

    성과 독립성은 한갓 사치품’이라는 금융연구원장의 비판

    민간기업연구소에 대한 신뢰 축적: 특히 전경련 산하의 한국경제연구원

    과 자유기업원, 삼성경제연구소, 김광수경제연구소 등이 정부연구소를

    대치하는 현상이 발생

    따라서 정부부문 싱크탱크의 대안 제시 역량 강화가 필요

    민간부문 싱크탱크 소액기부제도 정착 등 민간 싱크탱크 활성화: 공익성

    단체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 더욱 강화

    기획재정부는 공익성 기부금 대상단체에 대한 개인 및 법인 기부금은

    법인소득 5%, 개인소득 10% 한도 내에서 비용으로 인정하는 제도적 장

    치 실천이 관건

    미국처럼 정규교육 못 받아 한 맺힌 사람들, 유산 많은 노인, 뜻 있는

    정치인, 꿈 많은 기업인 등과 5만원 이내 개미군단후원자들에게 싱크탱

    크의 유용성 홍보

    정치권의 싱크탱크 인식 제고: 선거용 보다는 국가적, 장기적 정책생산용

    싱크탱크 육성

    ‘정권획득=싱크탱크 설립’ 의식 결여: 선거에 임박하면 우후죽순처럼 생

    겨나는 임시싱크탱크들의 정책 산물도 임시제품(싱크탱크인 척하는 소

    규모 홍보회사 수준)

    국정철학, 경륜, 장기적 연구에 의한 전문지식에 근거한 정책보다 임시

    방편적, 득표지향적, 후보미화적 오합지졸들의 임시저장소(Adhoc Tank)

    로서 Tinkers6)의 Tank인 ‘Tinkle Tank7)가 됨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6

    기업형 영리 싱크탱크의 정책대안 수용은 신중해야 함

    특히 외국계 영리형 싱크탱크인 컨설팅 업체들(consulting firms)에 대

    한 맹신풍조는 정부와 기업이 동시에 경계해야 할 점임

    기업의 구조조정, 정부의 조직개편 등 민감한 정책사안의 경우에는 다국

    적 글로벌 기업인 외국계 컨설팅 업체의 상표와 신뢰도를 남용하는 경

    향도 경계의 대상임8)

    2. 시장경제 싱크탱크의 정책생산 역량 강화 방안

    Governance Era를 맞아 민간부문(시장) 정책생산 역량 제고 절실

    민간부문 정책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제고 필요: 국가정책은 민간부문

    Inputs에 근거해야 바람직한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 가능. 기업의 장기

    적 이익창출 인프라를 선도적으로 구축해야 장기적 유리한 기업환경 마

    련, 그렇지 않으면 정부정책에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종속변수적 친기업

    적 분위기에 끌려 다님

    민간부문 Social R&D 투자 필요: 이제 우리 기업도 Noblesse Oblige

    (Wealth with Social Responsibility) 정신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나설

    때임. 단기적 개인이익보다 장기적 사회이익에 관심. 민간차원의 객관적

    정책대안 개발 필요

    Policy Production Infra 구축: 집단이기주의적 정책생산이 아닌 사회적

    공익 추구 위한 정책생산인프라 필요. 경제 싱크탱크만이 아닌 여타 사

    회적 문제 해결 대안 개발 인프라에도 투자 필요

    생산제품(정책)의 대정부, 대국민 마케팅 제고: Jumping into Revolving

    Door System Policy Black Box Accessibility 확대, Formal

    Lobbying System 개발, Marketing위한 Desirable Sample 개발

    동종 내 협업 강화: 개발정책 채택 위한 Policy Maker Persuasion

    Mechanism 개발, 이를 위해서는 동종 산업 내 네트워크 및 유사산업과

    의 연계 설득체계 구축, 예를 들어 ‘한경연’이나 ‘자유기업원’을 중심으

    6) 영어의 'tinker'는 ‘딸랑딸랑 종 치며 다니는 떠돌이 땜장이, 서투른 만물수선공, 무슨 일

    이든 닥치는 대로 하는 얼치기 수선공, 집시, 부랑아’를 의미함7) 영어의 ‘Tinkle'은 ’딸랑딸랑 종치다‘의 뜻8) 실제로 필자가 국책연구원장 재직 시 구조조정 및 조직개편과 같은 민감한 정책사안의

    경우, 국내 컨설팅 업체보다는 외국계 업체에 대한 연구원들의 선호도와 신뢰도가 매우

    높았으며, 정책담당자로서는 이러한 유혹에서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점을 경험하였음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7

    로 활용

    3. 시장경제 싱크탱크의 대외적 발전 전략

    시장경제 싱크탱크는 정부부문 싱크탱크와의 경쟁 강화, 동종 산업 간 협

    업체제 구축, 정책결정체제에의 접근성 강화, 글로벌시대에 걸 맞는 국제

    적 이슈 개발 등 대외적 전략 수립 필요

    KDI 등 정부부문 주요 싱크탱크와 경쟁관계 설정: 공격적 주도권 시비

    통한 동격위상 관계 설정, 여타 싱크탱크와의 의도적 차별화 위한 특정

    싱크탱크 집중공략 대상 설정

    대기업싱크탱크들의 수평적 네트워크 구축: SERI, LG ERI, HERI 등 주

    요 시장경제 싱크탱크들의 연합제휴, 이를 위해서는 ‘한경연’이나 자유

    기업원 같은 민간 연구기관이 주도적 추진체로 유리함

    신문, 방송, 잡지 기고와 방송 출연 등 언론홍보 매체 최대한 활용

    국회, 정부 등 핵심정책집단 접근성(Accessibility) 강화

    국제평가기관화(예: 영국 신경제 재단(New Economics Foundation:

    NEF)이 전 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행복지수(HPI)를 조사).

    최근 전경련 회장의 ACRA(Asian Credit Rating Agency) 설치 제의는

    싱크탱크의 발전과제 측면에서 시의적절

    국제정보수집 거점 설치: 일본 NRI, 미츠비시총합연구소, 전 만철조사

    부, 아시아경제연구소 등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SERI는 “SERI Japan”, “SERI China”를 운영 중

    4. 시장경제 싱크탱크의 대내적 발전 전략

    시장경제 싱크탱크는 자생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대내적 전략 수립 필요

    Handy Products Sample Marketing9): 간단·명료한 정책제품 생산으로

    언론·국민에게 한눈에 띄게 어필할 수 있는 요약정책보고서, 두꺼운 학

    9) Sample Marketing은 화장품 회사인 “Estee Lauder"가 1946년 미용실에서 기다리던 손

    님들에게 샘플을 나눠주면서 이를 써본 소비자들의 긍정적 반응 덕분에 성장 기반을 다

    졌다는 데서 유래함. 샘플마케팅은 샘플 경험자들에게 체험을 통한 중독효과(toxic

    effect)와 입소문을 통한 구전효과(word of mouth effect)를 노린 전략으로 오늘날 생리

    대, 샴푸, 화장품, 아이스크림, 도넛, 티셔츠 등 제품마케팅에서 보편화되어 있음. 정부정

    책도 정책수요자인 정부담당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정책아이디어에 친숙해지고 구전되어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음.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8

    술연구보고서 지양

    Star Researcher 양성, 각 주제별 방송, 신문, 토론회 등 지속적 노출

    Star Researcher 양성, 각 주제별 방송, 신문, 토론회 등 지속적 노출

    Global Researcher 영입: 세계적 싱크탱크화 위한 외국연구원. 최근 아

    산정책연구원이 이미 실행 중

    국내 대학교수 스카웃: 연구원 위상 강화 위해 상징적으로라도 수도권

    대학교수 스카웃

    전·현직 관료, 시민단체 활동가 등 영입: 법률회사, 대기업 등에서 이미

    시행 중. Revolving Door Effect를 위한 용이한 전략

    획기적 펀드확충(Fund Expansion): 전략적 제휴를 통해 Epoch-making

    Momentum 의 재정 확충

    5. 강소 시장경제싱크탱크로서의 ‘자유기업원’ 발전 전략

    SERI 등과 달리 강소(强小) 싱크탱크로서 CFE는 거버넌스시대에 걸 맞

    는 자유주의 실천 위한 현실적 정책대안 집중 개발 및 홍보 기관으로서의

    입지 강화: 자유시장 실현을 위한 정책개발에 관한 한 정부부문 싱크탱크

    와의 동등한 입지 강화 전략 수행

    KDI 등 정부부문 싱크탱크와의 상대적 경쟁력 강화 대책 필요. 이들을

    벤치마킹 상대로 보기 보다는 경쟁상대로 보는 패러다임 변화 필요

    싱크탱크들의 수평적 네트워크 구축 중심 역할 추진: 예를 들면, "기업

    싱크네트(Think Net)" 설립으로 각 기업싱크탱크 또는 기업정책정보 보

    급 종합기관으로 대정부 정책공동대응시스템 구축

    생산제품의 대정부, 대국민 마케팅 역량 강화: 단순한 자유기업원 제품

    홍보를 넘어 연구원들의 정책담당자와의 개별접촉 활동 강화 위한 대내

    적 재정, 인사 지원시스템 개혁

    감시시스템 구축: 정부, 국회, NGO 등 각 분야의 활동을 감시하고 모니

    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시 가동

    국제적 네트워크 강화: 선진국들의 시장경제 싱크탱크와의 유대 강화 통

    한 교류체계 확대

    Sample Marketing 지속적 확대: 이미 운영하고 있는 CFE Viewpoint,

    CFE Report, 시민논객, Hot Issue, Libertarian Column, 시리즈 발간

    등 더욱 강화. 이는 타 싱크탱크에 비해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서 자리매

    김한 측면이 크지만, 이들을 최종 정책담당자들에게 전달하는 시스템도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29

    강화할 필요 있음.

    외부 인력 자원 활용 지속적 강화: CFE는 이미 자유주의에 관한 한 내

    부 상임연구원에 비해 외부 인적자원 활용 pool이 매우 크므로 이를 더

    욱 활성화시켜 나갈 전략 필요

    Star Researcher 양성, 영입: 이미 뛰어난 스타가 된 김정호 원장 외에

    도 보다 많은 Star Researcher가 자유기업원과 자유주의 이름으로 대

    외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보완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30

    참고 문헌

    강원택 외 (2006). 한국적 싱크탱크의 가능성. 삼성경제연구소.

    고바야시 히데오(2004). 만철: 일본제국의 싱크탱크. 임성모 역. 산처럼.

    김동원(2004). “기업연구소 1만개, IT가 55.2%”. The Digital Times, 9

    월 10일.

    김선빈외(2007). 대한민국 정책지식 생태계. 삼성경제연구소.

    박승엽.박원규(2007). 삼성 vs LG: 그들의 전쟁은 계속된다. 미래의창.

    박준도(2001). “자유주의 싱크탱크와 미국“. 15호.

    박준도(2001). “보수주의 싱크탱크, 그리고 부시행정부”.

    13호.

    신승근(2004). “너희가 ‘싱크탱크’를 믿느냐.” 한겨레21제 512호.6/3.

    이선호(2005). “싱크탱크 키우자” 문화일보. 2005.3/28.

    이영섭(2009). “현대적 싱크탱크의 원형 브루킹스 연구소.” 미래정책포커스 창간호:76~9.

    제임스 A. 스미스 저, 손영미 역(1996). .

    세종연구원.

    정기연(2005). “일본의 싱크탱크를 가다(1)” 연합뉴스. 2009.2/2.

    정서환(1997). 세계를 움직이는 미국의 싱크탱크. 도서출판 모색.

    정인영(2002). 홍릉 숲 속의 경제브레인들. 한국개발연구원 연우회.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31

    최창순(2008). “진보가 요동친다...좌파 맞나? 비판도” 네이버 지식in. 8/19.

    최형두(2007). 한국형 싱크탱크의 발전 전략. (주)사회평론.

    한겨레21(2009). 맞수 기업 열전, “트렌드와 이슈를 선점하라”, 쉼없는

    싱크탱크.1/23.

    한겨레신문(2009). “연구기관을 정권 나팔수로 삼으려 해서야”. 사설.

    7/15.

    한경비즈니스(2009). 업경제연구소의 대변신: 금융대전 ‘싱크탱크’조직 확

    대나서, 주목받는 금융권 연구소. 6/18.

    한광덕(2009). “마우스탱크 vs 시민탱크: 경제 쓰나미와 담론에 대한 신

    뢰의 위기로 경제연구소 지형도 균열”. 한겨레21. 3/20.

    홍일표.(2008). 세계를 이끄는 생각. 중앙북스.

    황윤원(2002). “21세기 국정운영과 싱크탱크의 역할: 외국사례를 중심으

    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주최 2002년 상반기 종합세미

    나 발표논문, 5/10.-11.

    황윤원(2006). “한국의 싱크탱크 현황과 과제”, 희망제작소 창립기념 국

    제세미나 발표논문집:『싱크탱크와 우리시대 희망찾기』. 희망제

    작소:53~119.

    황윤원(2006). 정부부문 싱크탱크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 한국거버넌스

    학회보, 13(3):385~416.

    황윤원(2008). 우리나라 정당 싱크탱크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 한국거버

    넌스학회보, 15(3):383~413.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32

    황윤원(2009). “미국 보수주의 싱크탱크 성장전략과 시사점”. FKI

    Seminar Proceeding. 7/2.

    황윤원(2009). “민간부분 기업 싱크탱크의 현재와 미래: KERI 사례중심”.

    KERI Brain Storming Proceeding. 7/13.

    황윤원외(2003). 싱크탱크와 국가경쟁력. 나남출판.

    Abelson, D.E.(1996). American Think Tanks and their Role in US Foreign Policy. New York: St Martin Press.

    Abelson, D.E..(2002). Do Think Tanks Matter? Assessing the

    Impact of Public Policy Institutes. Montreal: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Abelson, D.E., and C.M. Carberry. (1997). Policy Experts in

    Presidential Campaigns: A Model of Think Tank

    Recruitment. 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 27(4):679~697.

    Callahan, D.(1999). "The Think Tank As Flack, How Microsoft and

    Other Corporations Use Conservative Policy Groups,"

    Washington Monthly, November.

    Cockett, R.(1995). Thinking the unthinkable: think tanks and the

    economic counter revolution; 1931 - 1983. London:

    Fontana.

    Denham, A. and Mark Garnett.(1998). British Think Tanks and the

    Climate of Opinion. Taylor & Francis Group.

    Fan, M.(2005). "Capital Brain Trust Puts Stamp on the World",

    Washington Post. 16 May: B01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33

    Feulner, E. (2000). The Heritage Foundation. In James G. McGann

    and R. Kent Weaver(ed.), Think Tanks and Civil Societies:

    Catalysts for Ideas and Action.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pp. 67~85.

    Goodman, J.C.(2005). "What is a Think Tank?" National Center for

    Policy Analysis, 2.

    McGann, J.G., and R. K. Weaver. (2000). Think Tanks and Civil

    Societies: Catalysts for Ideas and Action.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McGann, J.(2005). Comparative Think Tanks, Politics and Public

    Policy. Edward Elgar.

    McGann, J.(2007). Think Tanks and Policy Advice in the U.S:

    Academics, Advisors and Advocates. London: Routledge.

    McGann, J.(2008). Global Trends and Transitions: 2007 Survey of

    Think Tanks. Philadelphia: FPRI.

    McGann, J.(2008). The Global Go To Think Tanks. Philadelphia:

    FPRI.

    Morgan, D.(2001). "Think Tanks: Corporations' Quiet Weapon".

    Washington Post, 29, Jan.:A1.

    Rich A.(2005). Think Tanks, Public Policy, and the Politics of

    Experti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thman, et al.(2005). "Politics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Among College Faculty". an unpublished manuscript.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34

    Smith, J. A.(1991). The Idea Brokers: Think Tanks and the Rise of

    the New Policy Elite, New York: The Free Press.

    Smith, J.A. (1993). The Idea Brokers: Think Tanks and the Rise of

    the New Policy Elite. New York: Free Press.(Reprint of

    1991 Edition

    Snider, J. H(2009). "Strengthen Think Tank Accountability",

    Politico, 4 (3 February).

    Stefaniac, J. and R. Delgado.(1996). No Mercy: How Conservative

    Think Tanks and Foundations Changed America's Social

    Agenda, Temple University Press, Philadelphia.

    Stone, D. and A. Denham. (2004). Think Tank Traditions: Policy

    Research and the Politics of Ideas.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Stone, D. and Andrew Denham eds.(2004). Think Tank Traditions:

    Policy Analysis Across Nation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Stone, D., Denham, A, and Mark Garnett, eds.(1998). Think tanks

    across nations: A comparative approach. Manchester

    University Press.

    Stone, D.(1996). Capturing the Political Imagination: Think Tanks

    and the Policy Process. London: Frank Cass.

    Stone, D.(2007). “Garbage Cans, Recycling Bins or Think Tanks?

    Three Myths about Policy Institutes”. Public Administration,

    85(2): 259~278.

  • No.100 한국의 시장경제 싱크탱크 발전 방안

    CFE Report | 35

    Struyk, R. J.(2002). Managing Think Tanks: Practical Guidance for

    Maturing Organizations, Budapest. Local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Reform Initiative. Urban Institute:

    Washington, D.C.

    http://www.fair.org/extra/0203/think_tanks.html.

    InforUSA, http://suinfo.state.gov/usa/infousa/politics/thinktank.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