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산업별성장요인분석과생산성추계 (1984...

52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984 2002) * * ** *** ****

Upload: tranmien

Post on 24-Feb-2018

21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984 2002)∼ *

表鶴吉**李謹熙․ ***河鳳贊․ ****

요 약

본 논문은 경제위기를 전후한 년의 기간 동안 한국경제의 산업별1984 2002∼

성장요인을 분석하고 총요소생산성과 노동생산성을 추계한 것이다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점은 총산출 회계를 통해 총요소생산성과 노동생산성

을 개 산업별로 추계하였다는 점에 있다 분석기간은 생산성 국제비교와 관31 .

련한 에 따라 년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산업ICPA Project 1984 2002 .∼

연관표 이외에도 국민계정 및 국민계정상의 표와 표를 이용하였다 자본스U V .

톡의 통계는 를 이용하여 년까지 연장 추계하였다Pyo(2002) 2002 .

총산출성장회계 에의해 년의기간(gross output growth accounting) 1984 2002∼

동안 한국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을 추계분석한 결과 전 산업의 총요소생산성,․증가율은 제조업의 경우 서비스업의 경우 등으로 추정되2.59%, 1.63%, 1.06%

었다 그러나 총산출 성장기여율을 볼 때 총요소생산성의 산출기여율은 전 산. ,

업의 경우 제조업의 경우 서비스업의 경우 정도로 나타남으로12%, 15%, 11%

써 아직 한국경제의 성장은 요소투입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한국경제가 효율적 구조로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총요소생산성주도적 성장전략을추구하되아직은상당기간지속적(TFP-led) 자본

축적에 의한 요소 주도적 성장 전략을 병행하지 않으면 안된다(input-led) .

핵심주제어 총요소생산성 성장회계 산출기여율 기술혁신: , (growth accounting), ,

JEL : O12, O41, O47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의 구축은 일본 경제산업성연구소 에서 주관한data-base (RIETI) Interna-

에서 지원을받았tional Comparison of Productivities among Asian Countries(ICPA) Project

다 최초심사일 년 월 일 최종심사일 년 월 일. (2004 6 13 ), (2005 2 21 )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E-mail: [email protected]*** 한국생산성본부 책임연구위원, E-mail: [email protected]****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박사과정, E-mail: [email protected]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10

서론.Ⅰ

한국정부는 년대를 통하여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수입개방을 추진하고1980

년대 초중반의 기간 동안은1990 WTO․ 가입을 계기로 금융개방을 추진하OECD

였다 그러나 국내 금융감독체제가 미비한 상태에서의 급속한 금융개방으로. 1997

년에는 경제위기를 맞이한바 있다 한국경제는 경제위기이후구조조정을통하여.

어느 정도의 경기회복을 달성하였으나 아직도 생산성혁신을 통한 지속적 성장경

로를모색하지못하고있다 이논문은 년의기간동안경제위기를전. 1984 2002∼후한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을 분석하고 총요소생산성과 노동생산성을 추계

한 것이다.

총요소생산성은 경제구조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써 생산성의,

측면에서 경제성장의효율성을 비교할수 있는 유효한측정도구이다 따라서 생산.

성주도 하의 경제성장을 추진해야할한국의입장에서는 총요소생산성 추계를통,

하여 한국경제의 성장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본연구는산업연관표 상의산업분류에근거하여전산업을 개부(I-O Tables) 31

문으로분류하고총산출성장회계 를통하여각산(gross output growth accounting)

업 총요소생산성을추정하였으며 분석대상기간은생산성국제비교와관련한, ICPA

에따라 년으로하였다 본연구가기존의연구와차별되는점은Project 1984 2002 .∼총산출 회계에 의해 총요소생산성과 노동생산성을 개 산업별로 추계하였다는31

점에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산업연관표 이외에도 국민계정 및 국민계정상의.

표와 표를이용하였으며 자본스톡의통계는 를이용하여 년까지U V , Pyo(2002) 2002

연장추계하였다.

총산출성장회계 에의해 년의기간동(gross output growth accounting) 1984 2002∼안 한국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을 추계․분석한 결과 전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

율은 제조업의경우 서비스업의경우 등으로추정되었다 그2.59%, 1.63%, 1.06% .

러나 총산출 성장기여율을 볼 때 총요소생산성의 산출기여율은 전 산업의 경우,

제조업의경우 서비스업의경우 정도로나타남으로써 아직한국12%, 15%, 11% ,

경제의 성장은 요소투입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경제가 효율적 구조로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총요소생산성 주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11

도적 성장전략을추구하되아직은상당기간지속적자본축적에의한요(TFP-led)

소주도적 성장전략을 병행하지 않으면 안된다(input-led) .

제 장에서는 총요소생산성의 개념 및 총요소생산성의 측정방법에 대해 살펴보Ⅱ며 제 장에서는 본 연구가 생산성 추계 방법으로 채택한 모형에 대해 살, KLEMⅢ펴본다 제 장에서는 국민계정과 산업연관표로부터 부가가치와 총산출 추계과정. Ⅳ을 살펴보며 나아가 자본스톡 노동투입 에너지 투입 중간재 투입 디플레이터, , , , ,

그리고 분배율 등의 추계과정을 설명한다 제 장에서는 성장회계방식에 의한 총. Ⅴ요소생산성의 추계결과를 업종별 및 구간별로 분석한다 마지막 장은 본 연구에.

대한 결론에 해당한다.

총요소생산성의 개념 및 측정방법.Ⅱ

총요소생산성의 개념1.

총요소생산성 이란노동과자(Total Factor Productivity or Multifactor Productivity)

본 등 총요소투입 단위당 산출량의 변화율1)을 의미하며 이것은 산출증가율을 요,

소투입에 의한 기여분과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의한 기여분으로 분해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구체적인 분해방법은 생산함수와 시장조건에 관한 가정여하.

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많은 경우 생산성 측정을 위해 총요소생산성보다는 측정의 용이성으로 인해 노

동생산성또는자본생산성등단일요소생산성 이이용된(partial factor productivity)

1) 총요소생산성은 여러 가지 생산요소가 투입되는 경제에서 요소투입과 산출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즉 한 경제에 이용되는 노동 자본 천연자원 등의 투입량이 에 비. , , 前期

해서 배로 증가하였을 때 산출량도 정확하게 배가 되었다면 총요소생산성은 전혀 증2 , 2 ,

가하지 않은 결과가 된다 그러나 투입량이 배가 되었을 때 산출량이 배 증가하였다. 2 , 2.3

면 산출량과 투입량의 인 만큼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한 것이 된다 즉 총(residual) 0.3 . ,殘差

요소생산성 변화율은 흔히 설명되지 않은 잔차 설명할 수 없는 부(unexplained residual),

분의 측정 지식의 진보 또는기술진보(measure of our ignorance), (advances in knowledge)

지수 로 일컬어지며 총요소생산성은 결합된 노동과 자본의 단위(technical progress index) ,

당 산출물로 정의된다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의 총요소생산성( ,「 ,」1991.).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12

다 즉 산출을노동투입또는자본투입으로나눈 평균노동생산성과 평균자본생. ( ) ( )

산성의 개념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요소생산성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

는 전반적인 효율성향상을측정하기에는한계가 있다 만일 생산요소를 자본과노.

동투입만으로 고려한다면 생산은 노동과 자본 등 개별투입요소의 상호작용에 의

해결정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노동생산성의 경우 노동투입뿐만아니라자본투.

입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는 것이다 근로자 수나 근로시간 등 노동투입에 변화가.

없다고 할지라도 기계설비 및 장치의 증가 또는 개선이 발생하게 되면 산출증가

가 발생하며 노동생산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자본생산성의 경우 마찬가지로.

자본투입의 변화가 없더라도 노동투입의 증가에 의해 자본생산성이 증가할 수 있

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일요소생산성으로서는 생산과정 전체의 효율성을 측정.

하는 데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만 이들 생산성의 경우는 단기에서.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노동투입 또는 자본투입의 한 측면에서 측정

한 생산성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총요소생산성에 의한 생산성 향상은 생산함수의 이동 으로 나타나게 되는(shift)

데이러한이동은일반적으로기술진보 로해석되는바 이보(technological progress) ,

다 넓은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즉 기계설비의 개선 노동력의 질적 개선 노사. , ,

관계의 개선 경영혁신등의효과를반영한다고볼수있는것이다 따라서총요소, .

생산성의 증가는 생산과정의 전반적인 효율성향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 것이

다2).

이러한 총요소생산성이 하나의 실용적인 개념으로 정립되고 여러 나라에서 측

정되기시작한것은Solow3)(1957), Kendrick4) 의논문및저서가발표된이후(1961)

이다 년대에들어서. 1960 Denison5) 은그의독창적인방법을개발하여(1962, 1967)

미국과서유럽제국의총요소생산성을측정한바있으며 과그의공저자, Jorgenson

2) 김광석홍성덕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동향과 그 결정요인,「․ 」 한국개발연구원, , 1992.

3) Solow, Robert M, “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Review of

economic and statistics, 39, 1957.

4) Kendrick, John W, Productivity trends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Univ Press, 1961.

5) Denison, Edward F, The sources of economic growth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alterna-

tives before, US, N.Y. 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1962.

, Why growth rates differ: Postwar experience in nine western countries,

The brookings institution, 1967.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13

들도 과는다른각도에서총요소생산성측정방법의개선과실제적응용면Denison

에서 많은 공헌을 하였다.6)

총요소생산성의 측정방법2.

총요소생산성증가율에 대한 추정은 두가지로나누어지고있다 하나는일정한.

생산함수의 형태를 가정하고 실제통계량을 사용하여 계량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이

다 다른 하나는 생산함수를 단순히 산출성장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계산하기.

위한 하나의 회계양식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후자의방법은 에서의호칭에따라성장회계방식Jorgenson-Griliches(1972) (growth

이란용어로불리어지고있다 이접근방법은 차동차생산함수를가정accounting) . 1

하며 경쟁적인 시장조건을 가정함으로써 투입요소의 가격이 당해요소의 한계생,

산물의 가치와일치한다는등식을이용하고있다 근본적으로이러한방법은 생산.

함수에 대한 이론적 측면보다는 통계측정의 정확성 완전성 및 일관성 등에 더 큰,

관심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성장회계방식에 의해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는 경우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실

은 첫째 산출을 부가가치 기준으로 할 것인가 또는 총산출 기준으로 할 것인가, ,

이다.7)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투입요소로써 노동과 자본과 같은 본원적 요소만

을포함하고 중간투입물은배제하였다 여러산업은산업간 연관효과를 갖고 있으.

며 이러한 연관효과는시간의 경과에따라중대한기술진보가발생하거나최종수,

요 패턴의 변화가 발생하게 될 때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산업연관효과의 변동은.

중간투입물의 품질개선과 외부경제의 형태로 다른 산업에 파급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간투입물을 생산함수에서 제외한다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상향편의

의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bias) .

둘째 노동과 자본 등본원적 요소에 대한 집계및 측정과관련된것이다 즉 노, .

동과 자본은 상당히다양하고 이질적인부분을 포함하고있는데 이러한이질적인,

6) 의 기하평균지수방법과 의 산출평균지수방법에 대한 설명은 한국생산성본Solow Kendrick

부 김광석홍성덕 등을 참조(1991), (1992)․7) 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표학길공병호권호영김은자 를 참조할 수 있다(1993) .․ ․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14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대체로 노동력의 질적 조정에 대해서는 의견의 일.

치를 보이고 있으며 의 경우 노동력의 질적 조정을 중시하고 있다 그는, Denison .

노동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써 노동시간의 감소 취업자의 성, ․연령별 구성

변화 교육수준의향상등을고려하고있다 다만자본의질적요인에대한측정에, .

대해서는가동률을적용하는경우 와자산의임대가격(Jorgenson-Griliches, 1987)

을 자산형태별 가중치로 사용하여 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rental price) (BLS) .

본 연구에서는 성장회계방식에 따라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방법에따라투입물의집계및측정과정에서 가주로사용되. Divisia index

지만 이는 자료가 연속적인경우에 적용하는것이며 기초자료가 불연속적인 경우,

일반적으로 또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Translog index( Tornqvist index) .8)

최근 성장회계와 산업부문별 생산성 분석이 세계적으로 새롭게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세분화된산업수준별생산성증가의분석을위해투입요소를자본 노동. (K),

에너지 중간재 로나누는방식은 가(L), (E), (M) Jorgenson, Gollop, and Fraumeni(1987)

전후 미국 경제를분석하는데처음적용되었다 기본적인 방식은. KLEM Timmer

에서설명되었듯이유럽 프로젝트에의해유럽 개국으로 또캐나다(2000) KLEM 8 ,

일본 미국데이터베이스 로확장되었다 한편- - (e.g. Lee and Tang, 1999) . Forsgerau

에의해투입요소는수입재 서비스 등더세분화된항목으and Sorenson(1999) (I), (S)

로 나누어지면서 방법의 틀이 만들어졌다KLEMS .

한국에서는 그리고Pyo(1984), Kwon(1986), Kwon and Yuhn(1990), Pyo and Kwon

등에의해 접근방식을따른연구가이루어져왔다 그러나그러한연(1991) KLEM .

구의 주된 관심은 제조업 부문의 자료만을 이용한 생산성 증가와 대체 탄력성의

측정 또는부가가치회계(Pyo(1984) and Kwon(1990), Kwon and Yuhn(1990)), (Pyo

에머물렀다는한계가있다and Kwon, 1991) . Kim and Hong(1997), Pyo(2000), Timmer

등에의해이루어진최근의실증연구도총산출회and van Ark(2000), Rhee(2001)

계보다는응용부가가치회계에대한것이었다 예외적으로 의. Kim and Park(1988)

연구가 있지만 역시 제조업 분야에만 국한된 것이다 그러므로 방법틀에. KLEM

따라 총산출의 성장회계를 하는 것은 바람직한 시도이다.

8) 지수법과 지수법은 유사하며 다만 전자의 경우 생산함수를 가Translog Tornquist , Translog

정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김광석홍성덕 참조( , 1992.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15

모형의 개요. KLEMⅢ

과 과 그리고Jorgenson, Golop Fraumeni(1987), Jorgenson Stiroh(1999), Kuroda(2001)

에 따라 기에 기술수준 상태인 산업이 개의 투입물의 차동차 함수로 나타t T(t) n 1

내어진다고 가정하자.

(1)

이 함수는 이차미분가능하고 오목 하며 단조적이다 경쟁시장 하에서, (concave) .

생산자의 행동은 식 에 대해 쌍대적인 가격가능경계함수(1) (dual price possibility

로 대체되어 묘사될 수 있다frontier) :

(2)

Zj와 qj는 각각 번째 부문의 산출량과 산출물의 가격을j , Xji와 pji는 각각 번째 부j

문의 투입량과 투입물의 가격을 나타내는 벡터이다.

요소상대가격의 변화는 요소간 자원이동과 부문별 자원배분에 대해 심각한 영

향을끼친다 식 과식 에의하면 기술변화로인한생산함수의기술효율성의. (1) (2) ,

성장률과 산출물 가격감소의 증가율은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3)

그리고

- ․ =

(4)

경쟁시장에서의생산자균형조건에서 를이용하면다음과Konus-Byushgen lemma

같은 값을 얻을 수 있다: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16

=

= Vji (5)

대칭적으로쌍대적가격가능경계함수에 를이용하면다음과같은Shephard's lemma

값을 얻을 수 있다.

=

= Vji (6)

식 와 식 을 각각 식 과 식 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5) (6) (3) (4) :

= ․

(7)

한편 번째 부문의 회계 항등식의 정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식이 유도될 수 있다, j .

(8)

Pj와 Xj는 각각투입량과투입물의가격벡터를나타낸다 이를시간에대해미분하.

면:

(9)

우리는 다음과 같이 식 로부터 번째 부문의 성장률을 유도할 수 있다(9) j TFP :

(10)

단, 는

즉 지수이다 즉 식 에서 지수는 생산 효율성을 총, TFP . (10) TFP ,

체적으로 측정한 도구로써 성장률이 투입과 산출의 성장률 차이로 정의될TFP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경쟁시장에서 생산자 균형의 조건 하에서 그것은 식 의 기. (7)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17

술 변화율의 공식에 완전히 대응된다.

생산자 균형의 필요조건은 각 부문에서의 투입량과 산출량 그리고 그 가격들, ,

에만 기반한 부문별 기술변화의 지침을 주는 부문별 투입과 산출의 성장률과 관

계된다 어떤두시기의 번째산업부문의자료를고려하면 그부문의 변화율. j , TFP

의 평균은 산출량의 로그값의 기간 간 차이에서 자본 노동 에너지 중1 (K), (L), (E),

간투입재 의 로그값들의 기간 간 차이의 가중평균을 차감해 주는 것으로 표현(M) 1

될 수 있다:

(11)

가중치는 산출물 가치에서 자본 노동 에너지 중간투입재 서비스가 평균적으로, , , ,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주어진다:

그리고

이 지표들은 각 투입의 개별 요소들로 부문별 노동투입과 자본투입을 정의하,

여 트랜스로그집계함수 에기반한다 마찬가지로중, (translog aggregator functions) .

간투입의 집계함수 트랜스로그 표현은 다음과 같이 쓰일 수 있다: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18

(12)

불연속적인 두 시기에서 번째 부문의 자료를 고려하면 부문별 에너지와 중간j ,

투입재 서비스 변화의양적지표는 개별 투입의로그값들의차이의가중평균으로,

나타낼 수 있다:

(13)

여기서 가중치는 중간재가 에너지 투입의 각각의 형태에 따른 번째 산업의 총, j

중간투입 지출의 평균분배율에 의해 주어진다:

그리고 각 중간재의 가치 분배율은 다음과 같다:

v jX i =p X i

j X ji

∑ip X i

jX ji

총산출 및 투입자료의 추계.Ⅳ

국민계정과 산업연관표에서의 총산출1.

한국은행에서 발행되는 국민계정에는 개 부문 제조업과 개의 정부 서비스 부9 3

문을포함하여 개산업의총산출 중간소비 간접세 고정자본소모 국내요21 , , GDP, , ,

소소득 피용자보수 영업잉여가 년 신국민계정 체계 를 따르는 현가로, , 1993 (SNA)

만들어진 연도별 자료 가 있다(1970 2000)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19

또한한국은행은 년이래로산업연관표를간행해왔다 가장최근의 년1980 . 2000

산업연관표는 번째표이다 년간나온산업연관표의구체적인내용은19 . 1970 2000∼표 에요약되어있다 년표는 개산업부문과 개의대분류로되어있< 2> . 2000 77 28

다 산업연관표는 특정 연도들에만 있기 때문에 개 산업분류 이상으로. 21 KLEM

모형에 적용하려면 산업연관표 시계열의 추계가 필요하다.

가 문제. Matrix Balancing

산업연관표 시계열 추계의 문제는 이른바 문제의 한 예로 볼Matrix Balancing

수있다 이란주어진행렬 에대하여이에가장근접하며 몇가. Matrix Balancing A ,

지 선형적인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는 행렬 를 찾아내는 문제이다 산업연관표 시X .

계열 추계는 이처럼 산업연관표 각 행과 열의 합계각 부문별 총투입액 중간투입( ,

계 등가 제약조건으로 주어진 상황에서 산업연관표를 추정하는 문제이다) .

의방법은크게 스케일링알고리듬 최적Matrix Balancing (1) (scaling algorithm) (2)

화알고리즘 으로나눌수있다 의방법은각행과열에(optimization algorithm) . (1)

대한조정을통해해를찾는방법이고 및 이, RAS DSS(diagonal similarity scaling)

속한다 의방법은손실함수 를도입하고이를최소화하는해를. (2) (penalty function)

찾는방법이고 망최적화알고리즘 구체적으로는, (network optimization algorithm) -

법 엔트로피법 등이 속한다KEO-RAS , .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행렬 비음수A : m x n ,

차원 벡터 양수u : m ,

차원 벡터 양수 등이 주어졌을 때v : n , ,

for i=1,2,....,m

for j=1,2,....,n

를 만족시키는 행렬 를 찾아내는 문제이다X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20

나 법. RAS

법이란 전술한 문제를 을 통해서 해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각RAS scaling .

열은 일정한 상수를 곱하여 제약식에서 주어진 열의 합계와 동일하게 만들고 다,

시 이를 행에도 적용하여 제약식에서 주어진 행의 합계와 동일하게 만든다 이는.

다시 행의 합계를 제약식에서의 행의 합계와 불일치시키게 되므로 반복적으로 적

용하여 일정한오차범위 내로 수렴하도록 만드는방법이다 이상을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주어진 변수①행렬 비음수A : m x n ,

차원 벡터 양수u : m ,

차원 벡터 양수v : n ,

단계초기화1 ( )② ⒜k=0, A 0 = A 로 한다.

단계행의2 ( scaling)⒝에 대하여i=1,2,.....,m

로 정의하고, A k 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akij ← ρki akij i=1,2,....,m, j=1,2,.....,n

단계열의3 ( scaling)⒞에 대하여j=1,2,.....,m

로 정의하고, A k+ 1 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ak+ 1ij ← akijσkj i=1,2,....,m, j=1,2,.....,n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21

단계반복4 ( )⒟을 로 하고 단계부터 다시 적용한다k+1 k 2 .

다 산업연관표의 시계열추계.

산업연관표는 년에작1983, 1985, 1986, 1987, 1988, 1990, 1993, 1995, 1998, 2000 성

되었으므로비작성연도(1984, 1989, 1991, 1992, 1994, 1996, 1997, 1999, 2001, 2002년)

의 추계가필요하다 이를위해각부문별총투입량및중간소비량이필요하다 본. .

연구는 개부문으로되어있어국민계정상의분류로는 개부문으로세분화시31 31

키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배분과정이 개입되므로 국민계정상의 매년 자료를 이

용하여 배분하였다 구체적인 분류는 표 에 나와 있다. < 1> .

표< 1> 개 부문 산업 분류31

업종명 업종명

1 농림수산품 17 기계

2 광업 및 원유 18 전기기기

3 건설 19 자동차

4 음식료품 및 연초 20 운수장비

5 직물 21 정밀기계

6 의복 22 고무제품

7 제재 및 목재품 23 기타제조업제품

8 가구 24 운송 및 보관

9 종이 25 통신

10 인쇄출판 26 전력

11 화학제품 27 가스 및 수도

12 석유제품 28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13 가죽 29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

14 비금속광물제품 30 기타 개인서비스

15 차금속제품1 31 공공행정

16 조립금속제품

주 광업 및 원유의 경우 석탄 금속 및 비금속광업 석유 및 가스 등을 포괄함: i) , ii) , iii)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22

법은 초기값의결정에따라그결과의차이가많이나므로초기값의결정에RAS

신중을 기해야한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가까운연도로부터산업구조의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산업연관표 작성연도 중 가장 최근의 연도를 기준으

로 삼았다.

자본스톡 측정2.

신흥공업국에서 산업화의 성공은 경제발전 단계에서 빠른 자본축적과 그것의

부문별 배분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불가능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을.

실증적으로식별하는것은힘들다 왜냐하면자산형태및산업별자본스톡의시계. 열

자료를쉽게얻을수없기때문이다 즉영구재고법. (Perpetual Inventory Estimation

을 적용할충분한시계열투자자료가부족한것이가장큰문제이다 그러Method) .

나통계청은 년이래로국부조사 를네차례실시했다1968 (National Wealth Survey) .

한국은 정기적으로 경제전체적인 국부를 측정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

년처음국부조사 가실시된이래로 년 년 년에조사가이1968 (NWS) 1977 , 1987 , 1997

루어졌다 이렇게국가차원에서정기적인 국부조사를 하는 경우는선진국이나개.

발도상국 모두에서 매우 드물기 때문에 국부의 동태적 분석은 어떻게 국부가 축,

적되고 다른 부문 사이에 어떻게 배분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

미를갖고있다 자산형태별및산업별국부추계는 에의해이루어졌고. Pyo(1998) ,

수정된 영구재고법과 개의 기준연도 추정치를 이용한 다항식 기준년접속법을 이4

용하여 에서 갱신되었다 후자는 전자를 두 가지 측면에서 수정하고 확Pyo(2002) .

장한 것이다 먼저 년국부조사의결과가 년배포되어기준연도추정치. , 1997 1999

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은행에서 국민계정을 년 가격으로. , 1995

개정했기때문에그에따라자본스톡의추정치를 년가격에서 년가격으1990 1995

로 전환하였다.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23

표< 2> 한국의 산업연관표(1970 2000)∼ 9)

생산자가격평가표1)산업분류 수( )

년도 기본분류 소분류 중분류 대분류

1970 153 56

1973* 153 56

1975 392 164 60

1978* 164 60

1980 396 162 64 19

1983* 396 162 64 19

1985 402 161 65 20

1986* 161 65 20

1987* 161 65 20

1988* 161 65 20

1990 405 163 75 26

1993* 163 75 26

1995 402 168 77 28

1998* 168 77 28

2000 404 168 77 28

자료 산업연관표:「 」 각 연도 한국은행, ,

주 : *의 경우 산업연관표 연장표 의 경우임( ) .

접속불변 산업연관표2) (Link Input-Output Tables)

산업분류 수( )

연 도 소분류 중분류 대분류

1975-80-85 161 65 20

1980-85-90 161 75

자료 접속불변산업연관표: 1) 1975-1980-1985「 」 한국은행, , 1989.

접속불변산업연관표 한국은행2) 1975-1980-1985 CD-ROM,「 」

9) 산업연관표 과 경제통계월보 년 월 한국은행(1970 1995) CD-ROM (2001 5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24

부속표3)

가) 고용표 고용메트릭: 1980, 1983, 1985, 1986, 1990*, 1995*, 1998*, 2000*(*

스 포함)

나 고정자본형성표) : 1990, 1995, 2000

표 와 표 개의 제조업을 포함한 개의 산업4) U- V- (9 22 )

국민계정에서 년기준가격의 년부터 년각연도 표와그리고1995 1985 1998 U-

경상가격과 기준가격의 표를 구할 수 있다V- .

가 한국의 국부조사.

국부조사 와총자본스톡 은다음과같이 년부터한국은행이축적(NWS) (GK) 1910 한

자산형태에 따른 적당한 가격지수로 유형고정자산의 구매가격을 곱해서 구했다:

GKi=Pti × PI

ti

는 특정기준연도 에서평가된GK m(m>t) i 자산총자본스톡의가치이고, P는 년t

도 i자산의 구매가격이며, PI는 i자산의 가치를 반영하는 가격지수이다 다시 말해.

총자본스톡은 고정유형자산의 재취득 또는 재구매가격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한

다.

다음으로순자본스톡(NK 은 다음과같이총자본스톡에잔가율을곱하여도출했)

다.

NKi=GKi×(S/Pti)n/N=Pti × PI

ti × (S/P

ti)n/N

는 자산의 잔존가치이고 은 자산의 평균 서비스 수명이고S , N , n은 경과한 연도

의 수이다 다시 말해 정률에 의한 감가상각을 적용하였다 잔존가치는 그것이 자. .

본서비스의평균수명에이르렀을때구매가격의 평균수명의두배에이르렀10%,

을 때 구매가격의 라고 가정하였다1%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25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자산서비스의 평균수명을 년이라 하고 년, 5 , 3

전 달러에구매했다고하자 또한구매후컴퓨터가격의연상승률이 라3000 . 20%

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이 가능하다. .

GK=3,000×1.2=3,600

NK=3,000×1.2×(300/3,000)3/5=904

한국의국부조사는 와 보다평균수명을짧게가정한다OECD(1996) BEA(1993) .

예를 들어 의건물이나구축물의평균수명은 년이고 의주거용건물OECD 48 , BEA

의평균수명은 년이고비주거용구축물의평균수명은 년이지만한국32 80 31 48∼ ∼의 국부조사는 주거용건물의 평균수명을 년 비주거용 건물의 평균 수명을23 60 ,∼

년으로 간주한다 운송장치의 경우 한국에서 간주하는 평균수명 년은8 60 . , (4 5 )∼ ∼의그것 년보다짧다 따라서자산의짧은 평균수명과높은감가상각률은BEA (10 ) . ( )

후발 공업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나 순자본스톡과 총자본스톡의 추계.

년 추계방법1) 1968 97∼이 구간의 경우 원칙적으로 총자본스톡과 순자본스톡 추계에 있어서 개 기준4

연도로다항식기준년접속법을적용할수있다 이전연구 에. (Pyo 1988, 1992, 1997)

서는 다항식에 기반하여 자산형태와 산업별로 정률에 의한 폐기율과 감가상각률을

추정하였다 가령 년과 년으로구분하고이들구간에대해. 1977 1987 1987 1997∼ ∼정률에의한폐기율을다항식기준년접속법(polynomial benchmark year estimation

으로추정하였을때 년의구축물 운송장치 와method) , 1977 87 (0.6%), (3.4%) 1987∼ ∼년의 비주거용 건물 을 제외하고 경제전체의 평균 폐기율 년97 (0.9%) , (1977 87∼

년 을포함하여대부분의추정치는음 의값으로나타났다-3.0%, 1987 97 3.1%)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산형태별 감가상각을 추정하는 데에만 다항식 기준

년접속법을적용했다 년기간에대해처음으로자산형태별로순자본스톡. 1977 87∼을추계한후 각기준연도사이에보간법 에의해추정된산업별가중, (interpolation)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26

치에 의해 순자본스톡을 부문별로 분배하였다 나아가 순자본스톡을 먼저 추계한.

후보간한순자본 총자본전환비율 을이용해총자본스톡을추계하- (conversion ratio)

였다.

표< 3> 자본재 형태별 폐기율과 감가율의 추계결과(단위 : %)

폐기율 감가율

68 77∼ 77 87∼ 87 97∼ 68 77∼ 77 87∼ 87 97∼

유형고정자산 합계 -3.5 -3.0 -3.1 4.8 5.3 4.6

주택 -3.4 -3.3 -1.5 5.6 1.1 3.6

비거용건물 -11.4 -6.1 0.9 -6.5 -1.4 3.5

구축물 3.5 0.6 -4.2 9.3 8.5 0.7

운수설비 14.0 3.4 -0.3 49.5 28.6 16.2

기계설비 -3.7 -3.0 -7.4 11.7 15.8 8.9

자료 : Pyo(2002)

년 추계방법2) 1953 1967∼년 국부조사의 추정치를 첫 번째 기준년도 추정치로 사용하였으므로 영구1968 ,

재고방정식 을역으로이용하여 년기간동안(perpetual inventory equation) 1953 76∼자본스톡을 추정해야 한다 먼저 현가로 되어있는 년 국부조사의 순스톡자료. 1968

를자본형성의암묵적 디플레이터 를이용하여 년가격기준으로GDP (deflator) 1995

재산정했다 또한 자본형성의 암묵적인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를 사용하여. 1968

년순스톡자료를 년기준가격으로변화시켰다 그리고 년의 년1995 . 1953 67 1995∼가격기준산업별순자본스톡을추계하기위하여 년간의산업별실질국1968 87∼내총생산 년 기준가격과 선형 시계열추세에 대하여 순자본스톡을 회귀하여(1995 )

자본 산출계수를추정하였다 또한 년의자산별국부조사의가중치를- . 1953 1968∼이용하였다.

년의산업별순스톡을추계하기위하여 년과 년국부조사를1968 76 1968 1977∼이용하여각자산형태별로산업별가중치를추정하였다 그리고 년의기. 1953 67∼간에대해서는한국은행의국민계정 의자본형성의누적가중치와 년국(1984) 1968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27

부조사의 산업별 가중치를 이용하였다.

년 이후의 추계방법3) 1997통계청은 년국부조사를마지막으로직접추정에서 와 의방법에1997 BEA OECD

따른간접추계로바꾸었다 국민경제규모가커짐에따라직접조사방법의비용이증.

가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국책은행이 민영화됨에 따라 통계청만이 국부조사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일본 역시도 년에 같은 이유로 국부조사를 중단하였다. 1977

따라서마지막국부조사인 년이후로는영구재고법을이용하여자본스톡을1997

추계해야만한다 먼저 년의추정된감가상각률을이용하여기준가격으로. 1977 87∼각 자산별 순자본스톡을 추정하고 년 국부조사 광공업통계조사와 도소매통, 1997 ,

계조사의 산업별가중치를이용하여 분배하였다 결국 미시적자료에기반한 연구.

를 통해 각 자산별 감가상각률은 재추정되고 보완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이렇게. ,

생성된자산별 산업별순스톡은잠정적으로 년국부조사의순자본 총자본변, 1997 -

환비율에 따라 총자본스톡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결국 자산별 산업별 자. , ,

산의 평균내용연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자료의 조정4) Pyo(2002)에서의자료는제조업 개부문을포함한개괄적인 개산업부문으Pyo(2002) 28 10

로 되어있기때문에 개부문으로재분류되어야한다 그러나자의적인배분과정31 .

을 피하기 위해 개 부문으로 분류하고 같은 부문에 속하는 것은 같은 증가율을31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총요소생산성을 구하였다.

노동투입 측정3.

모형에서 노동투입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업별 고용량이나 노동시간 같KLEM

은양적자료와성 교육 연령등의질적자료모두가필요하다 년이래로한, , . 1980

국의 노동통계의이용가능성과 신뢰도는개선되어왔다 그러나산업별 고용량통.

계가 개 부문에 이를 정도로 자세하지 않기 때문에 산업별 노동투입 측정은 쉽31

지 않다.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28

통계청의경제활동인구조사에는 개10 (15-19, 20-24, 25-29, 30-34, 35-39, 40-44,

이상의연령별분류를통해취업자와실업자 비경제활동인45-49, 50-54, 55-59, 60 ) ,

구 경제활동인구가나온다 개부문, . 7 - 농림어업 광업 제조업 건설업(1) (2) (3) (4)

도소매및음식숙박업 전기및가스업 운송 보관및금융(5) (6) (7) , -에서산업별

고용량이 이용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고용에 대한 분류는 산업연관표의 보조표인.

고용표 에기준을두어야한다 그러나고용표자료는산업연관(Employees Tables) .

표가 나오는 년 단위로만 구할 수 있다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광공업통계조사에5 .

서도 고용통계를 작성하고 있으나 광공업에 한정되어 있다.

노동부에서는 매월노동통계조사「 」를 통해서 개의 산업별로 매월의 소득과12

노동일수에 대해발표하고있다 나아가명목및실질임금지수에 대해서도 매월. 「노동통계조사」를 통해 자료를 구할 수 있다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 」에 있어서는근로시간및임금등을노동력의유형 즉성 연령 학력등에따라구할수있, , , 는

관계로 양적 및 질적 측면의 노동투입량을 일관된 통계구조 하에 구할 수 있다, .

이번연구에서 우리는노동부에서 년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의원자, 1983 2002∼료를 구했으며 산업분류가 중분류 또는 대분류로 구분되어 있어 개 부문으로, 31

세분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자료의 경우 농업 및 정부부문의 자료가 포함되.

어 있지 않으므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사용하였다.

가 노동의 질적 조정방법.

p jLl 을 부문의 유형노동의가격이라고하면 각노동유형별임금비중은다음j l ,

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각 노동유형별 평균 임금비중은

와 같다.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29

노동의 질적인 부분을 반영하기 위하여 노동투입을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여 구

하고 노동투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노동자수(① M j)

평균 노동시간(② H j)

노동시간의 상대적 비율(③ d jl)

이는 노동유형별 총노동시간을 노동시간의 상대적 비율을 가중치로 하여 평균

을 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노동의 질적인 조정을 하기 위해서 각 노동유.

형별 상대적인 분배율을 사용하여 높은 질의 노동에는 높은 가중치를 낮은 질의

노동에는낮은가중치를 적용하여노동투입증가율을 구하였다 각부문별증가율.

은 다음과 같다.

우변의 첫 번째 항은 근로자수의 변화를 나타내며 두 번째 항은 평균노동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은 노동투입의 양적 변화를 의미하게 된다 세 번째. .

항은 각 노동유형의 비중변화에 평균 임금비중을 곱하여 노동투입의 질적인 측면

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게 하였다10).

나 노동투입자료.

노동유형은 성별 연령 교육정도에 따라 각각 개로 분류하여 모두 개, , 2, 3, 3 18

유형으로 나누었다 구체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10) Masahiro Kuroda, “METI-RI: ICPA Project,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Productivity

among Pan-Pacific Countries”, 2001.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30

표< 4> 노동의 유형 분류

구 분 분 류

성 남 여,① ②

연령 세 세 세 이상16~34 , 35~54 , 55① ② ③

학력 중졸이하 고졸이하 대졸이상, ,① ② ③

에너지 투입과 중간재 투입4.

에너지 투입을 중간재 투입에서 분리하기 위해 우리는 중간 투입재를 두 가지

투입으로 나누었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개 부문광업 및 원유. 4 ( (2),

석탄석유제품 전력 가스및수도 부문을에너지 투입부문으(12), (26), (27) ) (energy)

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을 중간재 투입부문으로 하였다 산업연관표가 없는, .

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법을 이용하여 연장추계하고 이를 적용하였다RAS .

총산출과 투입의 디플레이터5.

한국은행의 국민계정에서는 개부문의총산출이경상가격으로만집계되어있21

다 년이후부터는부문별로내재된디플레이터를만들어내기위해 표에나. 1985 V-

온 경상가격과 불변가격을 이용하여 상품별 디플레이터를 구하였다 년 이전. 1985

기간에는 표 표가존재하지않으므로접속불변산업연관표에서 년디플V- , U- 1980

레이터를 구하였으며 이를 년과 비교하여 년 자료를 보관하였다, 1985 1984 .

이렇게 구한 상품별 디플레이터를 산업별 디플레이터로 바꾸기 위해서는 집계

함수 를구성하여야하며 이때집계함수는 표의산업의상(aggregator function) , U-

품구성을 가중치로 하여 위에서 설명한 상품별 디플레이터의 가중평균을 하는 형

태로구하였다 그러나 년이후로는 표 표를구할수없기때문에생산자. 1998 V- , U-

물가지수로 대신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총산출 디플레이터는 모든 상품이 포함.

되는 형태로 그 가중치를 구하였으며 중간재 에너지는 각 범주에 속하는 상품만,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31

을 포함하여 가중치를 구하고 상품별 디플레이터를 가중평균하였다 이를 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

∈∈

( 총산출 디플레이터: ,

중간재 디플레이터: , 에너지 디플레이터:

: i 상품의 디플레이터)

분배율6.

노동투입과 자본투입의 분배액은 각각의 요소투입량에 요소가격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노동의 경우는명목임금을구하고자본의 경우는자본의사용자.

비용 을추정하여이를각각의요소투입량에곱하면분배액을계산할수(user cost)

있다 그러나 산업연관표상에는 노동과자본의투입에 대한 분배액이나와있으므.

로 따로 요소가격을 구하지 않고 산업연관표상의 경제활동별 피용자보수를 노동,

에 대한분배액으로사용하고 영업잉여 고정자본소모 순간접세를합하여자본에, , ,

대한 분배액으로사용하였다 그리고 에너지투입과중간재 투입에대한분배액은.

명목에너지 투입액 명목중간재 투입액을 사용하였다, .

이러한분배액을모두합하면명목총산출 이되며 명목총(nominal gross output) ,

산출 에대한이들의비중을각각의분배율로하였다 이러한각연도(gross output) .

별 분배율과 전년도 분배율의 산술평균인 평균분배율을 총요소생산성 추계에 사

용하였다.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32

표< 5> 모형을 위한 한국 자료의 특성KLEM

총산출 부문 개수

국민계정․산업연관표(1980, 1985, 1990, 1995, 2000)․표 표 각 연도U- and V- (1985 1998)∼․

21

64-77 or 20-28

22

자본스톡(capital services)

총스톡 순스톡 국부조사, : (1987)(1997)․고정자본형성 국민계정: (1999)․산업별 자산별 매년 총스톡 순스톡과 감가상각률 추정치, ,․: Pyo(2001)

순스톡 투자 자료 광공업통계조사, :․자산유형별 주거용건물 비주거용건물 기타 구축물: , , ,․운송장비 기계장치,

개 유형의 자산과5

개의 제조업을 포28

함한 개의 산업분10

노동투입 노동의 질을 고려한 노동( )

임금구조기본조사 노동부(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성별 남 여( / )․학력별․연령별․

유형18

유형2

유형3

유형3

에너지 중간재 서비스투입, ,

국민계정․산업연관표(1980, 1985, 1990, 1995, 2000)․표 표 각 연도U- and V- (1985 1998)∼․

에너지 투입 부문: 2, 12, 26, 27․중간재 투입 에너지 투입을 제외한 나머지 부문:․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33

표< 6> 한국의 자료KLEM (1984 2002)∼

단위 백만원 년 가격기준 시간( : /'95 , 1000 )

총산출 자본투입 노동투입 에너지투입 중간재투입

’84 259,310,758 360,432 872,897 27,389,703 128,861,466

’85 275,966,864 402,653 878,364 24,674,600 136,526,515

’86 323,061,414 451,133 924,514 22,282,651 160,300,466

’87 375,314,221 504,384 1,089,097 24,976,407 187,102,461

’88 428,687,447 564,098 1,134,484 25,043,510 211,800,885

’89 464,300,221 631,508 1,101,721 27,956,608 227,333,970

’90 522,149,141 718,932 1,127,720 28,362,992 260,910,123

’91 577,439,192 816,055 1,058,979 32,052,901 288,049,452

’92 615,417,891 916,549 1,151,356 35,066,107 306,029,611

’93 658,194,299 1,027,459 1,200,525 41,661,492 310,981,219

’94 717,658,544 1,147,806 1,203,773 46,326,085 337,794,912

’95 834,246,402 1,280,513 1,267,580 46,297,103 393,842,657

’96 911,363,207 1,422,593 1,238,044 51,112,401 431,201,856

’97 974,298,803 1,563,310 1,224,157 53,807,767 463,956,371

’98 970,847,303 1,639,118 1,133,578 70,860,471 451,657,154

’99 1,008,501,498 1,720,957 1,339,988 74,019,810 470,453,020

’00 1,079,880,768 1,815,947 1,352,764 84,293,974 516,665,389

’01 1,139,141,865 1,830,768 1,404,284 86,581,979 547,529,610

’02 1,233,970,854 1,859,773 1,440,524 93,641,063 593,041,140

증가율 8.67 9.12 2.78 6.83 8.48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34

총요소생산성 추계결과.Ⅴ

이제 년기간에서한국경제의총요소생산성을총산출성장회계1984 2002 (gross∼에의해추계한결과를산업별로분석하면다음과같다output growth accounting) .

전 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이1.

전산업의경우총요소생산성추이를보면 그림 과같다 년 년 년< 1> . ’86 , ’88 , ’90 ,

년 등에서고점을이루었으며 년및 년에저점을이루었다 년경제위’95 , ’92 ’99 . ’98

기를맞이했던한국경제는 년이후경기회복과더불어제조업을중심으로총요’99

소생산성의 증가율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즉 제조업의 경우 년 경제. '98

위기를 맞이했던 기간을 포함하여 년 년 등 년동안 총요소생산성 증가율’99 , ’00 3

이음 의증가율을보임으로써제조업의성장동력약화가진행되었다 그러나이(-) .

러한 추이는 년 총요소생산성 증가 년 증가가 나타남으로써’01 1.13% , ’02 3.05%

그 회복세가 확인되었다.

그림< 1>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추이 총산출 성장회계( )

-10.00

-5.00

0.00

5.00

10.00

15.00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전산업TFP 제조업TFP 서비스업TFP

주 전 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개별산업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함: Domar .

전산업TFP 제조업TFP 서비스업TFP

단위 증가율( :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35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고려함에 있어서 연도별 증가율보다는 일정구간에 대한

증가율이보다의미가있다고할수있다 이것은총요소생산성을기술진보. (technical

라고볼때 일정구간에서의증가율을살펴보는것이보다현실적의미가progress) ,

있기 때문이다 이제 구간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우선 전 산업에 있어서 외환위기 이전 년의 총요소생산성이 연평균, (’85 ’97 )∼증가 외환위기이후 년의경우연평균 증가등으로나타남3.41% , (’98 ’02 ) 0.44%∼

으로써 외환위기에 따른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둔화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표(< 참조 외환위기 이후의 이러한 총요소생산성 둔화현상은 경기침체에 따7> ).

른 총산출 둔화에 결정적으로 기인되고있다 나아가 분석기간전체적으로총요소.

생산성은 연평균 증가하였다2.59% .

둘째 생산요소의 산출기여율을 보면 분석기간 전체적 년으로 자본투, , (’85 ’02 )∼입의산출기여율은 노동투입의경우 에너지투입의경우 중간재투25%, 10%, 5%,

입의경우 등으로나타남으로써 원재료 자본 노동등의순으로총산출성장47% , > >

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총요소생산성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 12%

로 나타났다.

셋째 노동투입을근로시간 근로자수등과같은노동투입의양적측면, , (quantity

과성 연령 학력등노동력유형에근거한질적측면 으로of labor) , , (quality of labor)

분해한 결과 노동투입의 질적 변화가 산출에 기여하는 것보다 노동투입의 양적,

변화가 산출에 기여하는 부분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석기간 전체적으.

로 볼 때 노동투입의 질적 변화가 산출증가에 기여한 비율은 인 반면 노동투, 2% ,

입의 양적 변화가 산출증가에 기여한 비율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8% .

은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경제의 경우 기존연구에서 지적되었던 바와 같이 산출증가에 대한,

요소투입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기술혁신 경영혁신 등을 포함하는 생산효율성, ,

지표로서의총요소생산성의존도는상대적으로낮은것으로나타났다(efficiency) .

나아가 전산업에서 노동투입의 질적 증가보다는 노동투입의 양적 증가가 산출증

가에 기여한 부분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36

표 전 산업 총요소생산성의 구간별 증가율 총산출 성장회계< 7> ( )

(단위 연평균증가율: (%))

기간 총산출 자본투입노동투입 에너지

투 입

중간재

투 입TFP

노동의 질 노동의 양총노동투입

'85 '97∼ 24.33 6.41 0.37 1.91 2.28 0.71 11.52 3.41

'98 '02∼ 11.55 2.10 0.63 1.03 1.66 1.80 5.55 0.44

'85 '02∼ 20.78 5.21 0.44 1.66 2.11 1.01 9.86 2.59

산출기여율

'85 '97∼ 100.00 26.35 1.52 7.85 9.37 2.92 47.35 14.02

'98 '02∼ 100.00 18.18 5.45 8.92 14.37 15.58 48.05 3.81

'85 '02∼ 100.00 25.07 2.12 7.99 10.15 4.86 47.45 12.46

주 전 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개별산업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한 것이며 생산요소의 증가: Domar ,

율은 각각의 분배율이 가중된 수치임.

표 전 산업 총요소생산성의 구간별 증가율 부가가치 성장회계< 8> (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기간 부가가치 자본투입노동투입

TFP노동의 질 노동의 양 총노동투입

'85 '97∼ 8.85 6.43 0.38 1.87 2.24 0.18

'98 '02∼ 4.46 2.07 0.63 0.97 1.60 0.79

'85 '02∼ 7.63 5.22 0.45 1.62 2.07 0.35

산출기여율

'85 '97∼ 100.00 72.66 4.29 21.13 25.31 2.03

'98 '02∼ 100.00 46.41 14.13 21.75 35.87 17.71

'85 '02∼ 100.00 68.41 5.90 21.23 27.13 4.59

주 전 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개별산업에 대한 총부가가치 대비 비중을 가중치로 적용함: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37

한편생산요소가운데노동과자본만을고려한부가가치성장회계(Value-added

에의한전산업총요소생산성추정결과를보면growth accounting) 표 과같다< 8> .

외환위기이전 년의경우총요소생산성은연평균 증가하였고 외환(’85 ’97 ) 0.18% ,∼위기이후 년의경우는연평균 증가한것으로나타났으며 분석기(’98 ’02 ) 0.79% ,∼간 전체 에서의 총요소생산성은 연평균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85 ’02) 0.35% .∼이때자본및노동투입의산출기여율을살펴보면 분석기간 전체의경우자본투입,

의 산출기여율은 노동투입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68%, 27% .

부가가치 증가에 있어서 노동투입보다 자본투입의 기여도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는 외환위기 전후에도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총요소생산성, .

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로 나타났다5% 11).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이2.

총산출 성장회계에 의한 제조업의 구간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살펴보면

표< 9 와같다 즉외환위기이전 년의총요소생산성이연평균 증> . (’85 ’97 ) 2.25%∼가 외환위기이후 년의경우연평균 증가등으로나타남으로써 외, (’98 ’02 ) 0.07% ,∼환위기이후의총요소생산성증가율둔화현상은전산업의경우 에비해보(0.44%)

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외환위기 이후 제조업의총요소생산성 둔화현상은.

총산출이 증가로 급락한 것에 기인되고 있다 나아가 분석기간 전체적으로5.35% .

총요소생산성은 연평균 증가하였다1.63% .

둘째 생산요소의 산출기여율을 보면 분석기간 전체적 년으로 자본투, , (’85 ’02 )∼입의산출기여율은 노동투입의경우 에너지투입의경우 중간재투입15%, 2%, 6%,

의 경우 등으로 나타남으로써 원재료의 산출성장 기여비중이 상대적으로 높62%

게 나타났으며 총요소생산성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 15% .

국 제조업에서의총요소생산성산출기여율은미국제조업의경우 년기간‘80 ’90∼에서 총요소생산성의 산출기여율이 년 기간에서 수준 등임을53%, ’90 ’99 48%∼11) 일반적으로 기술진보가 모든 생산요소에 비례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총산출기준 총요,

소생산성은 부가가치기준 총요소생산성에 비해 기술진보에 대한 더 좋은 측정치이다 한(

국은행 생산성측정 매뉴얼, OECD「 」, 2002, p.39.).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38

고려할 때 아직은 상당한차이를보이고 있다, 12) 따라서 총요소생산성증가율 측.

면에서 볼 때 한국 제조업의 성장구조와 선진국 경제와의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

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제조업의경우노동투입을양적및질적측면으로분해한결과를보면 구, ,

간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즉 외환위기 이전의 경우는 노동력의 질적 증.

가가 노동력의 양적 증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반대로 노,

동력의 양적 증가가 노동력의 질적 증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업종.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외환위기 이전의 경우 제조업 개 업종 가운데. 20

개업종10 13)에서노동투입량의감소가나타난반면노동투입의질적부분은 개20

업종 모두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제조업 총요소생산성의 구간별 증가율 총산출 성장회계< 9> (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기간 총산출 자본투입노동투입 에너지

투 입

중간재

투 입TFP

노동의 질 노동의 양 총노동투입

’85 '97∼ 12.53 1.98 0.17 0.04 0.21 0.36 7.73 2.25

’98 '02∼ 5.35 0.36 0.10 0.17 0.27 1.23 3.42 0.07

’85 '02∼ 10.53 1.53 0.15 0.08 0.23 0.60 6.54 1.63

산출기여율

’85 '97∼ 100.00 15.80 1.36 0.32 1.68 2.87 61.69 17.96

’98 '02∼ 100.00 6.73 1.87 3.18 5.05 22.99 63.93 1.31

’85 '02∼ 100.00 14.53 1.42 0.76 2.18 5.70 62.11 15.48

주 제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개별산업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한 것이며 생산요소의 증가: Domar ,

율은 각각의 분배율이 가중된 수치임.

12) 한국생산성본부 제조업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측정 및 분석,「 」, 2001, p.52.

13) 외환위기 이전구간에서 노동투입의 감소가 나타난 경우는 음식료품 및 연초, (-0.02%),①

석유제품 조립금속제품 고무제품 운수장비(-0.02%), (-0.07%), (-0.15%),② ③ ④ ⑤ (-0.27%),

제재및목재품 직물 의복 기타제조업제품(-0.59%), (-0.87%), (-0.96%),⑥ ⑦ ⑧ ⑨ (-1.31%),

가죽 등으로 나타난다(-2.02%) .⑩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39

반면 외환위기 이후의 경우는 제조업 개 업종 가운데 개 업종에서 노동투입20 6

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개 업종에서는 노동투입의 양적 증가가 나타났, 14

다14) 또한이들 개업종의경우 차금속제품 가구 기타제조업. 14 1 (-0.02%), (-0.03%),

제품 고무제품 직물 등 개업종에서는노동투입의질적(-0.03%), (-0.14%), (-0.20%) 5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외환위기이전의 경우 제조업의과반수에이르는업종에.

서 노동투입량의 감소가 나타난 반면 전반적인 노동투입의 질적 증가로 인해 상,

대적으로 노동투입의 질적 증가가 산출에 기여한 부분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경제회복에 따른 고용증가가 나타남과 더불어 고용증가가 나,

타난 업종 가운데 일부업종에서는 노동투입의 질적 감소가 나타남으로써 상대적

으로 노동투입의 양적 증가가 보다 크게 나타났다 나아가 분석기간 전체적으로.

볼때는 노동투입의질적증가 가양적증가 보다높은것으로나타, (0.15%) (0.08%)

났다 이와같은 현상은 부가가치 성장회계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표 참조(< 10> ).

표 제조업 총요소생산성의 구간별 증가율 부가가치 성장회계< 10> (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기간 부가가치 자본투입노동투입

TFP노동의 질 노동의 양 총노동투입

’85 '97∼ 3.87 1.98 0.18 0.01 0.19 1.70

’98 '02∼ 1.29 0.35 0.11 0.14 0.24 0.69

’85 '02∼ 3.16 1.53 0.16 0.05 0.21 1.42

산출기여율

’85 '97∼ 100.00 51.16 4.65 0.26 4.91 43.93

’98 '02∼ 100.00 27.13 8.53 10.85 18.60 53.49

’85 '02∼ 100.00 48.42 5.06 1.58 6.65 44.94

주 제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개별산업에 대한 총부가가치 대비 비중을 가중치로 적용함: .

14) 이러한 외환위기 이후 노동투입의 양적 증가는 경제회복에 따른 고용증가에 따른 것으

로 판단된다.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40

한편제조업의부가가치성장회계결과를보면 표(< 10> 참조 외환위기이전), (’85

년의 경우 총요소생산성은 연평균 증가하였으며 외환위기 이후’97 ) 1.70% , (’98∼년의경우는연평균 증가한것으로나타남으로써 분석기간전체’02 ) 0.69% , (’85∼에서의 총요소생산성은 연평균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자본’02) 1.42% .∼

및 노동투입의 산출기여율을 살펴보면 분석기간 전체의 경우 자본투입의 산출기,

여율은 노동투입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로 나타나 부가가치 증가에 있48%, 7% ,

어 노동투입보다는 자본투입의 기여가보다큰 것으로나타났다 나아가총요소생.

산성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로 나타났다45% .

서비스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이3.

서비스업15)의 구간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살펴보면 표 과 같다 우선< 11> .

외환위기 이전 년의 총요소생산성이 연평균 증가 외환위기 이후(’85 ’97 ) 1.41% ,∼년의경우연평균 증가등으로나타남으로써 분석기간전체적으(’98 ’02 ) 0.15% ,∼

로 총요소생산성은 연평균 증가하였다1.06% .

둘째 생산요소의 산출기여율을 보면 분석기간 전체적 년으로 자본투, , (’85 ’02 )∼입의산출기여율은 노동투입의경우 에너지투입의경우 중간재투32%, 21%, 4%,

입의 경우 등으로나타났다 따라서원재료투입의산출기여율이상대적으로32% .

높게 나타났으며 총요소생산성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1% .

셋째 서비스업의경우노동투입을양적및질적측면으로분해한결과 분석기, , 간

전체에서노동투입의양적증가 가질적증가 보다높게추정됨으로(1.82%) (0.27%)

써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 보다 높은 산출기여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와같은,

현상은 부가가치 성장회계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표 참조(< 12> ).

한편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성장회계 결과를 보면 표(< 12> 참조 외환위기 이),

전 년의경우총요소생산성은연평균 증가하였으며 외환위기이(’85 ’97 ) -1.02% ,∼후 년의 경우는 연평균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분석기간(’98 ’02 ) -0.25% ,∼15) 본 연구에서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가스 및 수도업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I) , ii) , iii) ,

운수창고 및 통신업 금융보험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사회 및 개인서비스업iv) , v) , vi)

등을 포괄한다.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41

전체(’85 ’02)∼ 에서의총요소생산성은연평균 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이-0.81% .

렇게 부가가치기준서비스업의총요소생산성이음 의증가율을보인것은자본(-)

및 노동투입 증가율이부가가치증가율을 상회하였기 때문이다 자본및노동투입.

표 서비스업 총요소생산성의 구간별 증가율 총산출 성장회계< 11> (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기간 총산출 자본투입노동투입 에너지

투 입

중간재

투 입TFP

노동의 질노동의 양 총노동투입

’85 '97∼ 11.13 3.69 0.18 1.97 2.14 0.33 3.56 1.41

’98 '02∼ 6.43 1.59 0.52 1.44 1.96 0.56 2.17 0.15

’85 '02∼ 9.82 3.11 0.27 1.82 2.09 0.39 3.17 1.06

산출기여율

’85 '97∼ 100.00 33.15 1.62 17.70 19.23 2.96 31.99 12.67

’98 '02∼ 100.00 24.73 8.09 22.40 30.48 8.71 33.75 2.33

’85 '02∼ 100.00 31.67 2.75 18.53 21.28 3.97 32.28 10.79

주 서비스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개별산업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한 것이며 생산요소의 증: Domar ,

가율은 각각의 분배율이 가중된 수치임.

표 서비스업 총요소생산성의 구간별 증가율 부가가치 성장회계< 12> (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기간 부가가치 자본투입노동투입

TFP노동의 질 노동의 양 총노동투입

’85 '97∼ 4.79 3.68 0.18 1.96 2.13 -1.02

’98 '02∼ 3.25 1.57 0.51 1.41 1.93 -0.25

’85 '02∼ 4.36 3.09 0.27 1.81 2.08 -0.81

산출기여율

’85 '97∼ 100.00 76.83 3.76 40.92 44.47 -21.29

’98 '02∼ 100.00 48.31 15.69 43.38 59.38 -7.69

’85 '02∼ 100.00 70.87 6.19 41.51 47.71 -18.58

주 서비스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개별산업에 대한 총부가가치 대비 비중을 가중치로 적용함: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42

의 산출기여율을 살펴보면 분석기간 전체의 경우 자본투입의 산출기여율은, 71%,

노동투입의 산출기여율은 수준으로 나타났다48% .

이상에서우리는총산출성장회계에의한산업별총요소생산성을분석하였으며,

부가가치 성장회계에 의한 결과도 아울러 살펴보았다.16)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총

산출기준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비교해 보면 외환위기이전에는제조업의 총요,

소생산성 증가율이 서비스업의 그것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서,

비스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경제위기.

상황이제조업성장동력약화에미친충격 이서비스업에비해크게작용하(shock)

였다고 보여진다.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분석4.

년기간중업종별총산출성장회계에의한총요소생산성증가율을플1985 ’02∼로팅하면 그림 와같다 총요소생산성을살펴볼때광업및원유 통신< 2> . (4.30%),

금융 보험 부동산및사업서비스 등 개업종의경우상대적으로(3.70%), , , (3.91%) 3

높은증가율을보이고있으며 도소매및음식숙박 의경우상대적으로낮, (-2.33%)

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광업 및 원유의 경우 총산출 증.

가율이 로낮음과더불어노동투입및자본투입등이감소함으로인해잔차1.06%

로써의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신업과 금융 보험 부동. , ,

산 및 사업서비스 등 개 업종의 경우는 고부가가치 업종으로서 총산출 증가율이2

요소투입 증가율을 초과함으로써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하였다 이와 반대로 도소.

매 및 음식숙박업의 경우는 요소투입 증가율이 총산출 증가율을 초과함으로써 총

요소생산성이 음 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경우 제조업으(-) .

로부터의 노동력 이동이 이루어지는 대표적 업종으로서 년 기간 중 근로, ’85 ’02∼자수증가율이도소매및음식숙박업 개인서비스업 금융 보험 부(9.71%), (8.98%), , ,

16) 총산출 기준 총요소생산성은 중립적이고 체화되지 않은 기술진보율과 비슷하다 이와달.

리 부가가치 기준 총요소생산성은 경제전체의 소득과 최종수요 증가에 기여하는 한 산

업의 생산능력을 반영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부가가치 기준 총요소생산성 측정치는 총.

산출 기준 총요소생산성 측정치를 보완하는 수단이 된다 한국은행( ,「 생산성측정OECD

매뉴얼」, 2002, p.29.).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43

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제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5.99%) .

각 업종별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살펴보기로 한다.

그림< 2>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년(’85 ’02 )∼

4.30

-0.45

2.18

1.21

0.35

1.33

0.30

1.17

2.61

1.58

0.80

2.20

1.54 1.40

2.26

0.58

1.82

3.70

0.61

-2.33

3.91

0.52

3.17

0.60

-0.04

1.65

1.56

1.32

1.66

-0.86-0.77

-3.00

-2.00

-1.00

0.00

1.00

2.00

3.00

4.00

5.00

농림

수산

광업

및 원

건설

음식

료품

및 연

직물

의복

제재

및 목

재품

가구

종이

인쇄

출판

화학

제품

석유

제품

가죽

비금

속광

물제

1차

금속

제품

조립

금속

제품

기계

전기

기기

자동

운수

장비

정밀

기계

고무

제품

기타

제조

업제

운송

및 보

통신

전력

가스

및 수

도소

매 및

음식

숙박

금융

, 보

험,

부동

산 및

사업

서비

기타

개인

서비

공공

행정

가 제조업.

외환위기 이전구간의 경우 총산출 성장회계에의한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

가율은 이며 업종별 총요소생산성이 이를 초과하는 경우는 개 업종으로2.25% , 12

나타났다 표 참조 이들 개업종가운데노동및자본투입이감소한가죽(< 13> ). 12 ,

의복 제재 및 목재품 등 개 업종을 제외하면 총요소생산성 상위 개 업종은 인, 3 , 5

쇄출판 고무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정밀기계 전기기기(3.36%), (3.18%), (2.99%), (2.85%),

(2.72%) 등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이상의 고율의 산출증가율을 실현하였다, 10% .

나아가기타주요업종의총요소생산성증가율을보면기계 자동차(2.61%), (2.50%),

조립금속 등으로 제조업 평균 증가율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2.46%) .

동차 업종의 경우 총산출 증가율이 제조업 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동시에 중간재투입 또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더불어제조업평균증가율보다낮은경우는 개업종으로써 총요소생산성하위8 ,

개 업종은 석유제품 음식료품 및 연초 운수장비 화학제품 종이 등이며 이 가5 , , , ,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44

운데특히운수장비 음식료품및연초 석유제품 등 개(-0.16%), (-0.27%), (-0.30%) 3

업종은 음 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한편 외환위기 이후구간의경우 총산출성장회계에의한제조업의 총요소생산,

성 증가율은 이며 업종별 총요소생산성이 이를 초과하는 경우는 석유제품0.07% ,

직물 전기기기 운수장비 등 개업종으로이들이(5.00%), (1.68%), (0.86%), (0.27%) 4

표 제조업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전< 13> ( : 1985∼’ 년97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 자본투입 노동투입 에너지투입 중간재투입 TFP

13 가죽 6.40 -0.04 -1.58 0.06 3.70 4.26

6 의복 9.03 0.32 -0.71 0.10 5.27 4.05

10 인쇄출판 12.22 1.16 0.98 0.06 6.68 3.36

22 고무제품 15.15 2.04 0.08 0.39 9.47 3.18

14 비금속광물제품 12.56 2.03 0.41 2.28 4.84 2.99

21 정밀기계 14.38 1.82 0.54 0.22 8.96 2.85

18 전기기기 15.20 2.43 0.52 0.05 9.48 2.72

8 가구 14.74 2.64 0.34 0.21 8.87 2.68

7 제재 및 목재품 6.48 0.48 -0.50 0.12 3.72 2.65

17 기계 14.59 1.81 1.00 0.19 8.98 2.61

19 자동차 20.54 2.57 1.31 0.18 13.99 2.50

16 조립금속제품 11.27 1.97 0.04 0.20 6.60 2.46

23 기타제조업제품 4.28 1.39 -0.84 0.11 1.86 1.76

5 직물 3.43 0.62 -0.62 0.14 1.64 1.65

15 차금속제품1 10.65 1.30 0.14 0.87 6.94 1.40

9 종이 9.92 2.25 0.31 0.44 5.94 0.99

11 화학제품 10.38 2.29 0.31 0.92 6.00 0.87

20 운수장비 6.73 2.10 0.02 -0.12 4.89 -0.16

4 음식료품 및 연초 2.84 1.60 0.07 0.03 1.41 -0.27

12 석유제품 3.90 3.11 0.09 0.47 0.54 -0.30

제조업평균 2.25

주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총산출 성장회계에 의한 것임: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45

총요소생산성 상위업종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특히 석유제품의 경우 총산(< 14> ).

출 증가율이 로제조업업종가운데가장높은증가율을보인반면 에너지16.79% ,

투입 증가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기기기의 경우는 총산출 증.

가율이 로상대적으로높게나타났으며 업종의특성상중간재투입증가율10.65% ,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제조업평균증가율보다낮은경우는 개업종으로써 총요소생산성하16 , 위

개업종은인쇄출판 의복 가구 기타제조업제품5 (-3.93%), (-2.66%), (-2.61%), (-2.49%),

표 제조업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후 년< 14> ( : 1998 ’02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 자본투입 노동투입 에너지투입중간재투입 TFP

12 석유제품 16.79 0.52 -0.34 11.02 0.58 5.00

5 직물 3.16 0.18 0.03 0.16 1.12 1.68

18 전기기기 10.65 0.27 0.54 0.13 8.85 0.86

20 운수장비 6.27 0.74 0.45 0.12 4.68 0.27

22 고무제품 3.85 0.31 0.58 0.31 2.80 -0.15

15 차금속제품1 0.86 0.29 0.38 0.41 0.53 -0.75

16 조립금속제품 -0.40 0.47 0.35 0.14 -0.59 -0.77

17 기계 3.31 0.30 0.51 0.16 3.19 -0.85

4 음식료품 및 연초 0.70 0.61 0.27 0.07 0.65 -0.91

19 자동차 3.18 0.27 -0.38 0.14 4.10 -0.95

11 화학제품 3.91 0.38 0.33 1.81 2.56 -1.18

9 종이 0.59 0.31 0.36 0.33 0.92 -1.32

13 가죽 -6.20 -0.09 -1.01 0.01 -3.45 -1.66

14 비금속광물제품 -4.35 0.35 -0.56 -0.65 -1.38 -2.10

7 제재 및 목재품 -6.34 0.40 -0.09 0.15 -4.66 -2.14

21 정밀기계 4.13 0.38 1.43 0.06 4.63 -2.37

23 기타제조업제품 -1.18 0.42 0.33 0.08 0.47 -2.49

8 가구 -0.98 0.58 1.32 0.18 -0.46 -2.61

6 의복 -2.53 0.31 -0.50 0.00 0.32 -2.66

10 인쇄출판 -0.93 0.26 1.00 0.09 1.63 -3.93

제조업평균 0.07

주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총산출 성장회계에 의한 것임: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46

정밀기계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의 경우 대부분은 총산출 증가율이(-2.37%)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총요소생산성이감소한 업종 가운데총산출이 감소.

한 경우는 제재 및 목재품 비금속광물제품 가죽 조립금속제품 등으로 나타났다, , , .

나 서비스업.

외환위기 이전 구간의 경우 총산출 성장회계에 의한 서비스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이며 업종별총요소생산성이이를초과하는경우는 개업종으로1.41% , 5

나타났다 표 참조 이들 가운데 총요소생산성 상위 개 업종을 보면 금융(< 15> ). 3 ,

보험 부동산및사업서비스 통신 공공행정 등으로나타났, (4.41%), (4.21%), (3.04%)

다.

더불어서비스업평균증가율보다낮은경우는 개업종으로써 총요소생산성하4 ,

위 개업종은도소매및음식숙박업 건설 가스및수도 등3 (-2.37%), (0.13%), (0.71%)

이며 이 가운데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경우는 음 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

보이고 있다.

표 서비스업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전< 15> ( : 1985 ’97∼ 년)

단위 연평균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자본

투입

노동

투입

에너지

투 입

중간재

투 입TFP

29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 14.98 4.69 1.52 0.34 4.02 4.41

25 통신 13.18 6.11 0.99 0.22 1.65 4.21

31 공공행정 8.92 0.25 3.23 0.09 2.31 3.04

24 운송 및 보관 8.90 1.53 0.93 0.61 3.37 2.46

30 기타 개인서비스 12.23 2.39 5.46 0.26 2.66 1.46

26 전력 7.72 4.02 0.43 0.83 1.39 1.04

27 가스 및 수도 17.73 4.07 1.54 9.62 1.79 0.71

3 건설 11.89 3.21 1.92 0.21 6.42 0.13

28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9.21 7.01 1.95 0.23 2.39 -2.37

서비스업 평균 1.41

주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총산출 성장회계에 의한 것임: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47

한편 외환위기이후 구간의경우 총산출성장회계에 의한 서비스업의 총요소생

산성증가율은 이며 업종별총요소생산성이이를초과하는경우는 개업종0.15% , 5

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이들 가운데 총요소생산성 상위 개 업종을 보면(< 16> ). 3 ,

공공행정 금융 보험 부동산및사업서비스 통신 등으로나(3.49%), , , (2.61%), (2.36%)

타났다.

더불어서비스업평균증가율보다낮은경우는 개업종으로써 총요소생산성하4 ,

위 개 업종은 건설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기타 개인서비스3 (-3.44%), (-2.23%),

등으로총요소생산성이모두음 의증가율을나타냈다 이가운데건설(-1.92%) (-) .

업의경우는총산출이감소한경우이며 이러한총산출의감소가음 의총요소생, (-)

산성 증가율로 결과되었다.

따라서 서비스업에 있어서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의 경우 총요소, ,

생산성이 상대적으로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 전통적 서비스업종인도소매및음,

식숙박업의경우음 의증가율을보이는등총요소생산성이낮은것으로나타났(-)

다.

표 서비스업 업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후 년< 16> ( : 1998 ’02 )∼

단위 연평균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자본

투입

노동

투입

에너지

투 입

중간재

투 입TFP

31 공공행정 5.61 0.76 1.21 0.20 -0.05 3.49

29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 7.38 1.77 1.40 0.14 1.46 2.61

25 통신 15.44 3.78 1.15 0.21 7.94 2.36

27 가스 및 수도 17.76 3.42 1.08 11.78 1.13 0.35

24 운송 및 보관 2.44 -0.44 -0.52 1.25 1.97 0.18

26 전력 5.79 3.83 -0.07 1.47 1.13 -0.56

30 기타 개인서비스 7.06 0.79 4.29 0.45 3.45 -1.92

28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7.10 1.56 3.09 0.43 4.26 -2.23

3 건설 -1.53 1.44 1.73 -0.05 -1.21 -3.44

서비스업 평균 0.15

주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총산출 성장회계에 의한 것임: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48

노동생산성 분석5.

산업대 분류별 노동생산성 증가율 추이를 보면 그림 과 같다 년 년< 3> . ’87 , ’92 ,

년 등 개의 저점이 존재하며 년의 경우 대규모 노사분규 년의 경우’98 3 , ’87 , ’98

경제위기 등 대규모 경제적 변화가 노동생산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IMF

추정된다 최근 노동생산성의 변화는 년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 ’98

이고 있다 또한제조업의노동생산성변화는서비스업의노동생산성변화보다큰.

진폭을 가지며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산업별 총산출 노동생산성 증가율 추이 전 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3> ( / / )

-20.00

-15.00

-10.00

-5.00

0.00

5.00

10.00

15.00

20.00

25.00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총산출임: .

나아가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추이를 보면 그림 와 같다 전 산업의 경우 부< 4> .

가가치노동생산성수준은점진적증가추이를보이는가운데 년을정점을이룬’98

후 년 감소하였으며 이후다시증가하는추이를보이고있다 제조업의경우는’99 , .

년 이후매우둔화된증가세를유지하였으며 년이후증가하는모습을보이’98 , ’01

고 있다.

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단위 로그 증가율( :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49

그림< 4> 산업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추이

0.000

0.050

0.100

0.150

0.200

0.250

0.300

0.350

0.400

0.450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불변부가가치임: .

한편 구간별 총산출 노동생산성 증가율 변화를 보면 표 과 같다 외환위기< 17> .

이후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는 바 이를 보면 외환위기 이,

전 기간의 경우 전산업노동생산성증가율은 제조업의 경우 서비7.58%, 9.97%,

스업의경우 등으로나타났으며 외환위기이후노동생산성증가율은전산5.56% ,

업의경우 제조업의경우 서비스업의경우 등으로나타났다1.47%, 2.67%, 4.33% .

외환위기 이후의 노동생산성 증가의 둔화는 경제회복과정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

의 경우 다 같이 노동투입이 증가한 것으로 볼 때 노동투입 측면의 변화보다는,

총산출 증가의 둔화가 그 배경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간별 노동생산성 추이는.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의 경우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표 참조(< 18> ).

분석기간 전체적 년으로전산업의총산출노동생산성은연평균(’85 ’02 ) 5.88%∼증가 제조업의 경우 연평균 증가 서비스업의 경우 연평균 증가를, 7.94% , 4.33%

시현하였다 따라서 노동생산성 증가속도는 제조업의 경우가 서비스업을 추월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업종별 노동생산성 변화율을 살펴보기로 한다. .

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단위 시간당 노동생산성 수준( :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50

표< 17> 산업별구간별 총산출 노동생산성 증가율․단위 연평균 로그증가율( : (%))

기 간 총산출 노동투입 노동생산성

'85 '97∼ 10.18 2.60 7.58

전 산업 '98 '02∼ 4.73 3.26 1.47

'85 '02∼ 8.67 2.78 5.88

'85 '97∼ 9.77 -0.20 9.97

제조업 '98 '02∼ 4.55 1.89 2.67

'85 '02∼ 8.32 0.38 7.94

'85 '97∼ 11.51 5.95 5.56

서비스업 '98 '02∼ 5.49 4.33 1.16

'85 '02∼ 9.84 5.50 4.33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총산출임: .

표< 18> 산업별구간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증가율․단위 연평균 로그증가율( : (%))

기 간 부가가치 노동투입 노동생산성

'85 '97∼ 7.78 2.60 5.18

전 산업 '98 '02∼ 5.57 3.26 2.32

'85 '02∼ 7.17 2.78 4.39

'85 '97∼ 10.51 -0.20 10.71

제조업 '98 '02∼ 7.56 1.89 5.68

'85 '02∼ 9.69 0.38 9.31

'85 '97∼ 7.41 5.95 1.46

서비스업 '98 '02∼ 5.03 4.33 0.70

'85 '02∼ 6.75 5.50 1.25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불변부가가치임: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51

가 제조업.

외환위기를 전후한 제조업의 총산출 노동생산성 상위 및 하위업종을 살펴보면

표 와같다 우선외환위기이전기간 년의경우 제조업평균노< 19> . (’85 ’97 ) ,∼ 동생

산성 증가율은 이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는 개 업종으로 나타났다 이9.97% , 10 . 가

운데 노동투입이 감소한 고무제품 가죽 의복 등 개 업종을 제외할 때 노동생산, , 3 ,

표 제조업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전 년< 19> ( : 1985 ’97 )∼

단위 연평균 로그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 노동투입 노동생산성

22 고무제품 15.15 -1.22 16.37

13 가죽 6.40 -8.75 15.15

6 의복 9.03 -5.49 14.52

8 가구 14.74 0.56 14.18

21 정밀기계 14.38 1.07 13.31

18 전기기기 15.20 1.97 13.23

14 비금속광물제품 12.56 1.38 11.18

16 조립금속제품 11.27 0.15 11.12

7 제재 및 목재품 6.48 -4.63 11.11

23 기타제조업제품 4.28 -6.37 10.65

17 기계 14.59 5.05 9.54

19 자동차 20.54 11.01 9.53

10 인쇄출판 12.22 2.96 9.26

5 직물 3.43 -5.80 9.23

9 종이 9.92 0.82 9.11

15 차금속제품1 10.65 1.79 8.86

11 화학제품 10.38 1.69 8.69

20 운수장비 6.73 -1.49 8.22

12 석유제품 3.90 -0.80 4.70

4 음식료품 및 연초 2.84 0.35 2.50

제조업전체 9.97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총산출임: .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52

성이증가한상위 개업종은가구 정밀기계 전기기기5 (14.18%), (13.31%), (13.23%),

비금속광물 조립금속 등으로나타났다 이들업종의경우다같(11.18%), (11.12%) .

이 총산출 증가율은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노동생산성10% .

증가율 하위업종을 보면 음식료품 및 연초 석유제품 운수장비, (2.50%), (4.70%),

화학제품 차금속제품 등으로 나타났다(8.22%), (8.69%), 1 (8.86%) .

이렇게 볼 때 외환위기이전기간에서총요소생산성상위 개업종과 노동생산5 ,

성 상위 개 업종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경우는 정밀기계 전기기기 비금속광물제5 , ,

표 제조업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후 년< 20> ( : 1998 ’02 )∼

단위 연평균 로그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 노동투입 노동생산성

12 석유제품 16.79 -16.20 32.98

18 전기기기 10.65 3.59 7.06

19 자동차 3.18 -2.81 5.99

20 운수장비 6.27 0.60 5.67

11 화학제품 3.91 1.41 2.50

17 기계 3.31 2.13 1.19

5 직물 3.16 2.19 0.98

14 비금속광물제품 -4.35 -3.40 -0.95

22 고무제품 3.85 5.11 -1.26

6 의복 -2.53 -1.11 -1.42

16 조립금속제품 -0.40 1.88 -2.28

9 종이 0.59 3.12 -2.52

4 음식료품 및 연초 0.70 3.35 -2.66

21 정밀기계 4.13 7.14 -3.01

23 기타제조업제품 -1.18 1.83 -3.01

10 인쇄출판 -0.93 2.71 -3.65

13 가죽 -6.20 -2.55 -3.65

15 차금속제품1 0.86 6.20 -5.34

7 제재 및 목재품 -6.34 0.90 -7.24

8 가구 -0.98 6.82 -7.80

제조업전체 2.67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총산출임: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53

품 등 개 업종으로나타났으며 하위 개업종에공통적으로속하는경우는화학3 , 5

제품 운수장비 음식료품 석유제품 등으로 나타났다, , , .

둘째 외환위기이후기간 년의경우 제조업총산출노동생산성증가율, (’98 ’02 ) ,∼은 이며 이를초과하는경우는석유제품 전기기기 자동차2.67% , (32.98%), (7.06%),

운수장비 등 개업종으로나타났다 표 참조 이가운데석(5.99%), (5.67%) 4 (< 20> ).

유제품 자동차 등의경우는산출증가와노동투입감소를통하여 노동생산성이증,

가한 유형이며전기기기 운수장비등의경우산출증가율이 노동투입증가율을초,

과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이 증가한 유형이다 특히 석유제품 전기기기 등의 경우는. ,

총산출 증가율이 이상으로 나타났다10% .

반면에노동생산성증가율하위업종을보면가구 제재및목재품(-7.80%), (-7.24%),

차금속제품 가죽 인쇄출판 등으로 모든경우에서음1 (-5.34%), (-3.65%), (-3.65%) , (-)

의 노동생산성증가율을나타냈으며 차금속제품을제외하고총산출이감소한것, 1

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외환위기 이후 기간에서 총요소생산성 상위 개 업종과 노동생산5

성상위 개업종에공통적으로속하는경우는석유제품 전기기기 운수장비등5 , , 3

개 업종으로나타났으며 하위 개업종에공통적으로속하는경우는가구 인쇄출, 5 ,

판 등으로 나타났다.

나 서비스업.

외환위기를 전후한 서비스업의 총산출 노동생산성 상위 및 하위업종을 살펴보

면 표 과 같다 우선 외환위기 이전 기간 년의 경우 서비스업 평균< 21> . (’85 ’97 )∼노동생산성증가율은 이며 이를초과하는경우는통신 금융 보험5.56% , (13.51%), , ,

부동산및사업서비스 가스및수도 운송및보관 등 개(8.45%), (7.03%), (6.09%) 4

업종으로 나타났다 이가운데 통신업의경우는 산출이증가하고 노동투입이 감소.

하는 유형에 속하고있으며 기타의 경우는산출증가율이노동투입증가율을 초과,

하고있다 또한운송및보관업을제외하면 총산출증가율은 이상을초과하. , 10%

고 있다 반면에 노동생산성 증가율 하위 개 업종을 보면 도소매 및 음식숙박. 3

기타 개인서비스 전력 등으로 나타났다(0.10%), (3.21%), (3.81%) .

외환위기이전기간에서총요소생산성상위 개업종과노동생산성상위 개업3 3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54

종을 비교할 때 공통적으로 속하는 경우는 통신업과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 , ,

서비스업 등 개 업종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개 업종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경우2 , 3

는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으로 나타났다.

표 서비스업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전 년< 21> ( : 1985 ’97 )∼

단위 연평균 로그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 노동투입 노동생산성

25 통신 13.18 -0.33 13.51

29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 14.98 6.53 8.45

27 가스 및 수도 17.73 10.70 7.03

24 운송 및 보관 8.90 2.81 6.09

3 건설 11.89 7.03 4.85

31 공공행정 8.92 4.18 4.74

26 전력 7.72 3.91 3.81

30 기타 개인서비스 12.23 9.02 3.21

28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9.21 9.12 0.10

서비스업평균 5.56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총산출임: .

표 서비스업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 외환위기 이후 년< 22> ( : 1998 ’02 )∼

단위 연평균 로그증가율( : (%))

업종명 총산출 노동투입 노동생산성

25 통신 15.44 4.08 11.36

26 전력 5.79 -2.24 8.04

27 가스 및 수도 17.76 10.70 7.06

31 공공행정 5.61 0.88 4.73

29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 7.38 4.14 3.24

24 운송 및 보관 2.44 -0.56 3.00

30 기타 개인서비스 7.06 6.87 0.19

28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7.10 9.03 -1.93

3 건설 -1.53 2.99 -4.52

서비스업 평균 1.16

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총산출임: .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55

둘째 외환위기이후기간 년의경우 서비스업총산출노동생산성증가, (’98 ’02 ) ,∼율은 이며 이를초과하는경우는 개업종으로나타났다 표 참조 이1.16% , 6 (< 22> ).

들가운데상위 개업종은통신 전력 가스및수도 등으3 (11.36%), (8.04%), (7.06%)

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동생산성 증가율 하위업종을 보면 건설 도소매 및 음식숙박(-4.52%),

기타개인서비스 등으로나타났다 이가운데건설업 도소매및(-1.93%), (0.19%) . ,

음식숙박 등의 경우는 음 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나타냈다(-) .

외환위기이후기간에서총요소생산성상위 개업종과노동생산성상위 개업3 3

종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경우는 통신업종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개 업종에 공통, 3

적으로 속하는 경우는 건설 도소매 및 음식숙박 기타 개인서비스업 등으로 나타, ,

났다.

결 론.Ⅵ

이상에서우리는총산출성장회계 에의해(gross output growth accounting) 1984

년 기간 동안 한국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을 추계’02∼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산업.

의 총요소생산성증가율은 제조업의경우 서비스업의경우2.59%, 1.63%, 1.06%

등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의 수준은 한국경제의 현 위치를.

가늠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중요하겠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자본 노동 에, (K), (L),

너지 중간재 등의 생산요소를 포함한 총요소생산성 등이 총산출의 성장에(E), (M)

어느정도기여했는가를분석하는것이라할수있다 등에의. P.krugman, A.Young

해제기된생산성논쟁 에따르면 동아시아경제성장은요(productivity controversy) ,

소축적 에보다의존적이며 진정한의미에서생산성증가에의(factor accumulation) ,

한 경제성장이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측정결과 한국경제에서 총요소.

생산성의총산출증가에대한기여율은 년기간에서전산업의경우1985 ’02 12%,∼제조업의 경우 서비스업의 경우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직 한국경15%, 11% .

제의 성장은 요소투입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한 연구(2003)17)에 따르면이러한현상은일본과중국의경우도동일하게나타나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56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경제가 효율적 구조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주도적 방향으로나가야할것은분명하다 왜냐하면경제위기이(productivity-led) .

후 한국경제의 구조조정과정이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위 산업공동화,

내지 기술 및 비용경쟁력 측면에서의 넛 트래커(Hollowing-Out of Industry)

현상이지속되고있으며 이러한문제는한국경제를보다효율적구(nut-cracker) ,

조로 재창조함에 있어서 중요한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총요소생산성의 증가는 논리적으로 볼 때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중간재, ,

생산성등개별요소생산성 의향상을통해가능하다 뿐만아니(partial productivity) .

라 총요소생산성 증가는 지속적 연구개발 에 의한 기술혁신을 통해 가능하(R&D)

다 이러한 총요소생산성의 증가는 산업의 효율적 성장 해외시장에서의 가격경쟁. ,

력을 제고함으로써 한국상품의 대외경쟁력을 높이는 전제조건이 된다 따라서 총.

요소생산성 증가를 위한 실질적연구개발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집중,

적투자가요청된다.18) 이러한투자를통해신기술의창출과기술혁신을담보함으

로써 원천 및 기초기술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을 한 단계 높일 뿐만 아니,

라 기술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개별요소 생산성 및 총요소생산, .

성 혁신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전략이 된다고 보여진다.

17) 한국생산성본부 서울대 경제연구소 한중일 총요소생산성 측정 및 비교, ,「 ․ ․ 」, 2003.

18) 한국의 지출규모는 년 현재 평균에 못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R&D 2000 OECD , 2000년

현재 국가별 총지출액을 보면 한국은 로 미국의 일본의 독일R&D , $12,249 4.6%, 8.2%, 의

프랑스의 영국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당 지출액을 보면26.7%, 44.1%, 45.4% . 1 R&D ,

한국은 로일본의 미국의 독일의 프랑스의 영국의$260.6 2.2%, 27.8%, 46.5%, 55.2%, 57.5%,

대만의 등으로 나타나 투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경영개발원91.7% R&D ( ,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02.).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57

참 고 문 헌

김광석․홍성덕,「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동향과 그 결정요인」 한국개발연구원, ,

1992.

표학길․공병호․권호영․김은자,「한국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 및 생산성 추계

(1970 1990)∼ 」 한국경제연구원, , 1993.

노동부,「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1980 2002.∼통계청,「국부통계조사」, 1977, 1987, 1997.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

한국생산성본부,「한국의 총요소생산성 ,」1991.

한국은행,「 생산성측정 매뉴얼OECD ,」 2002.

한국은행,「산업연관표」, 1980, 1983, 1985, 1986, 1987, 1988, 1990, 1993, 1995,1998, 2000.

한국은행,「국민계정」 각 연도, .

Forsgerau, M. and A. Sorenson, “Deflation and Decomposition of Danish Value- added

growth using the KLEMS-methodology”, mimeograph, December 7, Centre for

Economic and Business research,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Copenhagen,

1999.

Izumi, Hirosh and Jie Li, “Compilation of Input-Output Tables of ROK and Japan

Using PPP Data”, Pan-pacific Association of Input- Output Studies, No.4, Vol.

8, 1999(in Japan).

Jorgenson, D. W., F. M. Gollop and B. M. Fraumeni, Productivity and US Economic

Growth,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Jorgenson, D.W. and K. Stiroh, “Information Technology and Growth”, American

Economic Review, Papers and Proceeding, 89(2), 1999, pp.109-115.

Jorgenson, D. W. and Z. Griliches, “Issues in Growth Accounting: A Reply to Edward

F.Denison”, Survey of Current Business, Vol. 52, Part , May 9, 1972.ⅡKim, Kwang Suk and Sung Duk Hong, Accounting for Rapid Economic Growth in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58

Korea 1963 1995∼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Press, Seoul, 1997.

Kim, Kwang Suk and Joon Kyung Park, Sources of Economic Growth in Korea 1963∼1982, KDI Press, 1985.

Krugman, Paul, “The Myth of Asia's Miracle. Foreign affairs”, November/December

1994, Mything My Point, Letters to the Editor, Foreign affairs, March/April

1995, La Croix Sumner J. and Chung H. Lee, Letters to the Editor, March/

April 1995.

Kwon, J. K, November, “Capital Utilization, Economies of Scale and Technical Change

in the Growth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24, No. 2, 1986, pp.75-89.

Kwon, J. K, Kyhyang Yuhn, “Analysis of Factor Substitution and Productivity Growth

in Korean Manufacturing 1961 1981”,∼ Korean Economic Development,

Greenwood Press, Westport, CT, 1990, pp.145-166.

Lau, Lawrence J. and Jong-Il Kim, “The Sources of Growth of East Asian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Journal of Japanese and International Economies,

1994.

Lee, Jong Hwa and Sun-Bin Kim, “Estimates of Human Capital Stock in Korea, 1963

1993”,∼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23, 1997, pp.73-02.

Pyo, Hak K., “Estimates of Capital Stock and Capital/Output Coefficients by Industries

for the Republic of Korea 1953 1986”,∼ KDI Working Paper, No. 8810,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eoul, 1988a.

, “Estimates of Capital Stock and Capital/Output Coefficients by Industries:

Korea, 1953 1986”, I∼ 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1988b summer.

, “A Synthetic Estimate of National Wealth of Korea 1953 1990”,∼ KDI

Working Paper, No. 9212,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eoul, 1992.

, “Estimates of Fixed Reproducible Tangible Assets in the Republic of

Korea 1953 1996”,∼ KDI Working Paper, No. 9810,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eouI, 1998.

Pyo, Hak K., “Estimates of Capital Stocks by Industries and Types of Assets in

한국경제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성 추계 159

Korea(1953 2000)”, Mimeograph,∼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Rhee, Keun Hee, Total Factor Productivity Analysis in Korean Manufacturing, Korea

Productivity Center, 2001(In Korean).

Timmer, M.P, Towards European Productivity Comparisons using the KLEMS Approach

An Overview of Sources and Methods- , Groningen Growth and Development

Centre and The Conference Board, 2000.

Timmer, M.P and Van Ark, Capital Form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in South Korea

and Taiwan: Realising the Catch-up Potential in a World of Diminishing

Returns, Groningen Growth and Development Centre University of Groningen,

2000.

Kuroda, M. “A Mothod of Estimation for Updating Transaction Matrix in the

Input-Output Relationships”, in Uno, K. and Shishido, S. eds., Statistical Data

Bank Systems, Socio-Economic Database and Model Building in Japan, North-

Holland, 1998.

Schneider, M. H. and Zenios, S., “A Comparative Study of Algorithms for Matrix

Balancing”, Operations Research, 1990.

Charles R. Hulten, “Growth Accounting with Intermediate Inputs”, The economics of

productivity, Vol. , edited by E. N. Wolff, 1978.ⅡMasahiro Kuroda and Koji Nomura, “Productivity comparison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Journal of applied Input-Output analysis, Vol. 5, 1999.

의 제 권 제 호11 1 (2005. 4)韓國經濟 分析160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and Productivity Estimates in

Korea(1984 2002)∼

Abstract

This paper has analyzed the growth factors of Korean economy by industry

level and measure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labor productivity during

the period of 1984~2002. Our contribution is to measur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labor productivity of 31 industries through the gross output

growth accounting. We have classified the entire economy into 31 industrial

sectors. We have limited our time-series data to the period of 1984 2002∼

because the detailed labor data is not available prior to 1984. We have used

U-tables and V-tables in National Accounts as well as IO-Tables and extended

the capital stock data into 2002 using Pyo(2002)'s data and the investment data

in the National Accounts.

Through gross output growth accounting, we have found that the average

growth rat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during 1984~2002 are 2.59%, 1.63%,

and 1.06% in the whole industries,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service

industries, respectively. Their contribution ratios to gross output growth are

12%, 15%, and 11%,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the growth of Korean

economy still has depended upon the inputs of production. Therefore, we have

to implement the TFP-driven growth strategy along with the input-led growth

strategy by accumulating capital for the sustainable growth with efficient

industrial structure.

Keywords: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Accounting, Contribution to Gross

Output Growth, Technical Innovation

JEL classification: O12, O41, O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