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12
437(2009-12) 2009. 6. 29 [요 약] ◦ 우리나라는 자원부존구조와 산업구조가 유사한 일본 독일과 비교할 때, 산 업부문 에너지 원단위(산업부문 에너지 최종소비/산업부가가치)가약 2 . 5배로 효율이 저조 ◦ 산업 에너지 효율 격차의 요인분해 결과, 일본 및 독일 대비 우리나라 산업의 상대적 에너지 저효율은 산업구조 요인보다 개별 산업의 저효율에 주로 기인 - 우리나라가 일·독보다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비중이 높은 것은 사실이나, 일·독 대비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 격차 산업구조 요인의 기여는 20% 내 외인 반면, 80% 정도가 개별산업의 효율 격차에 기인 - 이는 산업구조의 변화와 달리 비교적 단기간 내에 실행이 가능한 개별산업 차원의 에너지 절감이나 생산성 제고를 통해서도 에너지 효율을 상당정도 개 선할 수 있음을 시사 ◦ 고유가에의 근본적 대응, 기후변화문제에의 대응, 중장기적 내수 확대와 경상 수지 문제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부문으로서 에너지 효율 제고 노력 과 관련투자 확대에 주력할 필요 - 유가 5 0달러/배럴의경우, 총에너지 효율 일·독 평균수준 달성 연간 G D P 5.1%,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일·독 평균수준 달성 시 연간 GDP 1.4~2.4% 증가효과에 해당하는 경제적 가치 - 에너지 소비는 온실가스 배출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 대응에도 에너지 효율 제고가 중요 ◦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서는, 일본의 경험에서 보듯 단기적 유가변동과 무관하 게 꾸준히 정책을 추진해 나가는 정부와 관련업계의 의지와 자세가 가장 중요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의 국제비교와 요인분해 및 시사점

Upload: others

Post on 13-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제4 3 7호 (2009-12) 2009. 6. 29

[요 약]

◦ 우리나라는 자원부존구조와 산업구조가 유사한 일본 및 독일과 비교할 때, 산

업부문 에너지 원단위(산업부문 에너지 최종소비/산업 부가가치)가 약 2 . 5배로

효율이 저조

◦ 산업 에너지 효율 격차의 요인분해 결과, 일본 및 독일 대비 우리나라 산업의

상대적 에너지 저효율은 산업구조 요인보다 개별 산업의 저효율에 주로 기인

◦ - 우리나라가 일·독보다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비중이 높은 것은 사실이나,

일·독 대비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 격차 중 산업구조 요인의 기여는 20% 내

외인 반면, 80% 정도가 개별산업의 효율 격차에 기인

◦ - 이는 산업구조의 변화와 달리 비교적 단기간 내에 실행이 가능한 개별산업

차원의 에너지 절감이나 생산성 제고를 통해서도 에너지 효율을 상당정도 개

선할 수 있음을 시사

◦ 고유가에의 근본적 대응, 기후변화문제에의 대응, 중장기적 내수 확대와 경상

수지 문제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부문으로서 에너지 효율 제고 노력

과 관련투자 확대에 주력할 필요

◦ - 유가 5 0달러/배럴의 경우, 총에너지 효율 일·독 평균수준 달성 시 연간 G D P

5.1%,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 일·독 평균수준 달성 시 연간 GDP 1.4~2.4%

증가효과에 해당하는 경제적 가치

◦ - 에너지 소비는 온실가스 배출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

대응에도 에너지 효율 제고가 중요

◦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서는, 일본의 경험에서 보듯 단기적 유가변동과 무관하

게 꾸준히 정책을 추진해 나가는 정부와 관련업계의 의지와 자세가 가장 중요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의 국제비교와 요인분해 및 시사점

Page 2: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02

▫ 최근 유가 추이, 고유가에 근본적으로 대응할 필요성 시사

◦ 세계 경기침체 직후 30달러대까지 급락하였던 국제유가가 최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배럴당 70달러를 넘나드는 수준으로 상승

◦ 최근의 유가 추이는 세계경제의 본격적 회복 시 고유가가 재연·장기화될 가

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

- IEA는 이번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 경기침체 회복 이후에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수준으로 다시 상승하고 2030년까지는 배럴당 200달러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

◦ 한국경제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의 비

중이 높아 특히 고유가의 충격을 강하게 받는다는 점에서, 고유가 장기화에

대비한 근본적 대응이 필요

- 우리나라는 OECD 30개국 중 벨기에에 이어 에너지 수입/GDP 비율이

두 번째로 높고 우리나라의 동 비율은 OECD 평균의 약 2.5배에 달하여

고유가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

◦ 고유가에 대비한 근본적 대응으로서 에너지 자원 개발 투자의 확대,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통한 석유의존도 감축 노력 등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의 제고

가 가장 핵심적 과제

<그림 1> 에너지 수입/GDP 비중 국제비교

12

10

8

6

4

2

0

10.310.0

8.5

7.4

6.5

5.34.94.6

4.1 4.14.04.0 3.93.83.7 3.73.43.4 3.23.0 3.02.9 2.72.62.5 2.12.1 1.91.81.3

0.9

노르웨이

터키

덴마크

멕시코

영국

호주

캐나다

스위스

미국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프랑스

독일

뉴질랜드

그리스

스웨덴

폴란드

일본

룩셈부르크

OECD평균

스페인

오스트리아

핀란드

포르투갈

체코

헝가리

네덜란드

슬로바키아

한국

벨기에

(%)

자료:OECD.

자주:2007년 기준.

Page 3: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 에너지 효율 제고는 고유가에 대응하는 측면에서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불가피한 기후변화문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도 중요

◦ 본고에서는 에너지 최종소비에서 지배적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부문의 에너

지 소비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와 경제구조가 비슷한 국가들과의 비교를 통

해 산업부문별 에너지 효율을 비교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 산업부문은 국내 에너지 최종소비에서 약 6 4 % ( 2 0 0 6년 기준)를 차지

* 본고에서 산업부문은 농림어업, 광공업, 건설, 서비스(운수부문 제외)로 정의

하고, 통상적인 산업분류 중 에너지 소비와 관련하여 특수성(산업용 수요와

주거용 수요 혼재)을 갖는 전기가스수도 부문과 운수부문은 제외

▫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 일본·독일의 40% 수준

◦ 먼저 전체경제의 에너지 효율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OECD 내에서 에너

지효율이 가장 낮은 편에 속하여 2 0 0 6년 에너지 원단위(단위 부가가치당

에너지 총소비)가 일본의 약 3배, 독일의 2배 수준

- ppp 기준으로는 일본의 약 2배, 독일의 1 . 6배

◦ 산업부문에 국한하여 에너지 효율을 살펴보면 격차는 약간 좁혀져, 시장환

율 기준 시는 에너지 원단위가 일·독의 2 . 5배 내외, ppp 기준으로는 1 . 6 ~ 2

배 수준

- 일본과 독일은 에너지 다소비 부문인 제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비슷한 산업구조를 갖고 있으나, 우리나라

와 대조적으로 에너지 효율은 세계 최고 수준

0 3

<표 1> 주요국의 에너지 원단위 비교( 2 0 0 6년 기준)

단위:TOE/GDP 천달러( 2 0 0 5년 가격기준)

자료:IEA(2008), Energy Balances of OECD Countries로부터 계산.

주주:1) 1TOE(Tonnage of Oil Equivalent)는 원유 1톤에서 얻을 수 있는 열량을 의미.

주주:2) 에너지 총공급(total primary energy supply)을 G D P로 나눈 비율.

주주:3) ( ) 안은 한국의 에너지 원단위를 1 0 0으로 했을 때의 각국의 원단위 수준.

한 국 일 본 독 일 미 국

시장 환율 기준0 . 3 0

( 1 0 0 )

0 . 1 1

( 3 5 )

0 . 1 4

( 4 5 )

0 . 1 8

( 6 0 )

PPP 기준0 . 2 4

( 1 0 0 )

0 . 1 1

( 4 7 )

0 . 1 5

( 6 1 )

0 . 1 8

( 7 5 )

Page 4: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0 4

▫ 한국 산업의 일·독 대비 에너지 저효율은 산업구조 요인보다 개별산업 저

효율에 주로 기인

◦ 한국 산업의 에너지 효율이 낮은 이유는 크게 산업구조적 요인과 개별 산업

요인 두 가지로 분해하여 설명 가능

- 개별산업 에너지 효율의 국별 차이는 다시 생산품목의 부가가치 생산성

차이와 생산기술·방식상의 에너지 효율 차이(좁은 의미의 개별산업 에

너지 효율 차이)의 두 요인에 기인

- 그러나 현실적으로 제품 부가가치 요인과 좁은 의미의 에너지 효율 요인

의 분리 추정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여기서는 산업구조 요인과 개별산

업 요인만으로 분해하여 살펴봄.

* 부가가치 기준 에너지 효율 지표는 에너지 사용량을 부가가치로 나눈 것이므

로 동일 산업의 국별 비교 시 생산기술 및 생산방식상의 에너지 효율 차이뿐

아니라 생산품목의 부가가치 생산성 차이도 반영

* 하지만 고부가가치 제품일수록 더 복잡한 생산공정과 더 많은 설비, 따라서

더 많은 에너지 투입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부가가치 요인과

협의의 에너지 효율을 분리하여 추정하기는 불가능

◦ 우리나라 산업구조는 일본이나 독일보다 제조업 비중이 더 높고 특히 제조

업 내에서도 화학, 철강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

은 편(<표 3> 참조)

-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특성은 산업부

문 에너지 저효율의 한 요인으로 작용

<표 2> 산업부문 에너지 원단위 비교

자료:IEA, Energy Balances of OECD Countries 각년호로부터 계산.

자주:1) 산업부문 에너지 최종소비(비에너지용 소비 제외) /산업 부가가치의 비율.

자주:2) 산업은 광공업(전기가스수도 제외), 건설, 농림어업, 서비스(운송부문 제외)의 합.

시장환율 기준 PPP 기준

2 0 0 0 2 0 0 3 2 0 0 62 0 0 6 / 2 0 0 0

변화율

2 0 0 6년

한국 대비2 0 0 0 2 0 0 3 2 0 0 6

2 0 0 6 / 2 0 0 0

변화율

2 0 0 6년

한국 대비

한국 0.92 0.91 0.89 97.0 100.0 0.64 0.63 0.71 110.2 100.0

일본 0.38 0.37 0.38 100.2 42.4 0.54 0.45 0.40 73.9 56.8

독일 0.34 0.33 0.35 100.4 39.0 0.30 0.35 0.38 124.3 53.3

Page 5: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 에너지 저효율에 대한 요인별 기여의 크기를 살펴보기 위해 에너지 효율 격

차를 요인분해하여 보면, 한국 산업의 일·독 대비 에너지 저효율은 산업구조

요인보다는 개별산업 저효율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

- <표 4>는 일본 및 독일과 비교한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 격차를 산업구조

요인과 개별산업 효율 요인으로 분해한 결과(분석 방법은 부록 참조)

- 표의 제2열은 실제 한국의 산업별 에너지 소비량과 원단위, 제3 및 제5열

은 각각 일본·독일의 산업별 에너지 원단위와 한국의 산업구조 적용 시의

에너지 소비량과 원단위, 제4 및 제6열은 일본·독일의 산업구조와 한국

의 산업별 에너지 원단위 적용 시의 에너지 소비량과 원단위 추정치

- 마지막 행의 에너지 효율 격차 기여율은 한·일, 한·독 산업 에너지 원단위

격차 중 개별산업 효율 차이에 기인하는 부분(개별산업 요인)과 산업구조

차이에 기인하는 부분(산업구조 요인)의 비중을 의미

- <표 4>에서 보듯, 한·일 간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격차의 약 80%, 한·독

간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 격차의 약 7 8 %가 개별산업의 에너지 효율 차이

에 기인하며, 산업구조 요인의 기여는 20% 내외에 불과

◦ 이는 산업구조 변화와 달리 상대적으로 단기간 내에 실행이 가능한 개별산

업 차원의 효율 개선 노력을 통해서도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 제고에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의미

- 이 경우 개별산업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노력은 좁은 의미의 에너지 효

율 개선뿐 아니라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노력을 포함

- 물론 에너지 절감형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중장기적인 노력은 여전

히 중요

0 5

<표 3> 산업구조 비교( 2 0 0 6년)

주:경상부가가치 기준(전 산업 부가가치 대비 비중) .

한 국 일 본 독 일

제조업 2 9 . 4 0 1 6 . 0 7 2 0 . 5 9

에너지 다소비 업종 소계 6 . 7 4 4 . 2 6 4 . 4 0

철 강 2 . 5 9 1 . 1 4 0 . 7 7

화 학 2 . 9 2 1 . 8 8 2 . 3 9

제 지 0 . 4 2 0 . 5 4 0 . 5 1

비금속 광물 0 . 8 0 0 . 7 0 0 . 7 4

Page 6: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 비금속광물, 제지, 서비스 부문의 효율격차가 크고, 철강금속, 농림업 부문

은 상대적으로 격차 작은 편

◦ 산업부문별로 에너지 효율을 비교하면, 광공업은 일본·독일의 약 55% 수

준, 서비스는 일본의 약 44%, 독일의 32% 수준

- 광공업 부문의 에너지 효율 격차는 전체경제나 산업 전반에 비해 작은 편

0 6

<표 4> 대일본·대독일 산업 에너지 효율 격차의 요인분해

단위:백만 톤

주:1) 산업별 에너지 최종소비 기준(비에너지용 소비 제외) .

주:2) 각국의 산업별 부가가치, 한국과 독일의 산업별 에너지 원단위는 2 0 0 6년 기준, 일본 산업별 에너지 원

단위는 2 0 0 0년 기준.

주:3) 추정방법은 부록 참조.

한국 에너지 소비

한·일격차 요인분해 한·독격차 요인분해

한국 산업구조·일

본 산업별 원단위

적용

한국 산업별

원단위·일본

산업구조 적용

한국 산업구조·독

일 산업별 원단위

적용

한국 산업별

원단위·독일

산업구조 적용

철강제품 9.0 7.1 4.1 9.1 2.5

화학제품 7.5 2.2 4.8 3.1 6.2

비철금속 0.2 0.4 0.2 1.0 0.1

비금속제품 5.7 1.7 4.2 2.0 4.6

운송기계 2.3 0.7 1.7 0.8 2.3

기계 4.2 1.7 2.0 1.3 3.0

광업 0.2 0.2 0.1 0.2 0.1

음식료품 1.5 0.5 1.9 1.1 1.6

종이, 펄프, 인쇄 2.3 1.0 3.5 0.9 3.5

나무제품 0.3 0.0 0.3 0.1 0.6

건설업 0.8 0.3 0.6 0.3 0.4

섬유가죽제품 3.1 0.7 1.2 0.5 1.1

기타제조업 3.4 3.9 2.8 2.8 4.4

<광공업> 40.6 20.2 27.4 23.1 30.5

<농림어업> 1.8 4.4 0.7 2.9 0.4

<서비스> 1 7 . 9 7 . 7 2 2 . 7 5 . 7 2 2 . 1

산업 계 60.2 32.3 50.8 31.7 53.0

산업부문 원단위 0.89 0.48 0.75 0.47 0.78

효율 격차 기여율

( % )- 80.4 27.0 77.6 19.5

Page 7: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 비산업 부문까지 포함하여 비교할 경우, 일본은 주거부문의 고효율이 특

히 두드러지고, 독일은 산업부문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이 특징

◦ 한편, 세부업종별로는 먼저 전 업종의 최근 자료( 2 0 0 6년)가 존재하는 독일

과 비교할 경우, 섬유의류가죽, 기계, 서비스의 순으로 상대 효율이 낮으며,

반면 농업, 광업, 철강금속 부문은 오히려 독일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것

으로 추정

0 7

<표 5> 부문별 에너지 효율 비교( 2 0 0 6년 기준)

주:전 부문 1은 에너지 최종소비 기준, 전 부문 2는 에너지 총공급(중간수요 포함) 기준.

한 국 일 본 독 일 한국/일본 한국/독일

광공업 1.51 0.85 0.81 177.3 185.8

철강 4.92 3.94 4.99 124.8 98.6

화학 1 (에너지용 o n l y ) 3.59 2.48 1.47 144.8 243.9

화학 2(feedstock 포함) 1 7 . 7 8 5 . 9 2 4 . 7 4 3 0 0 . 3 3 7 5 . 4

비철금속 0.60 0.96 2.74 63.2 22.0

비금속광물 9.53 2.99 3.30 319.1 288.6

수송기계 0.87 n . a . 0.28 n . a . 309.6

기계류 0.51 0.37 0.15 138.9 335.0

광업 0.88 0.83 1.20 106.3 73.5

음식료 1.22 0.41 0.85 300.6 143.0

제지, 인쇄 3.12 1.15 1.24 270.2 252.6

나무제품 2.46 n . a . 0.69 n . a . 358.2

건설 0.13 0.13 0.05 100.5 270.1

섬유의류가죽 4.16 n . a . 0.68 n . a . 607.5

기타제조업 2.25 2.27 1.83 99.4 122.9

서비스 0.46 0.20 0.15 226.3 312.7

농림업 0.76 0.41 1.25 187.3 61.1

전 산업 1 (비에너지용제외) 0.89 0.38 0.35 235.9 256.3

전 산업 2 (비에너지용포함) 1 . 3 5 0 . 4 6 0 . 4 5 2 9 4 . 3 3 0 1 . 3

수송부문 13.60 4.75 11.92 286.4 114.1

주거부문 11.61 2.75 10.88 422.1 106.7

전 부문 1 (최종소비 기준) 1.58 0.63 0.89 249.1 177.9

전 부문 2 (총공급 기준) 2.02 0.71 0.98 284.4 205.3

Page 8: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 일본과의 비교는 2 0 0 6년의 경우 자료의 제약으로 일부 업종에 대해서만 가

능한바, 비금속광물, 음식료, 제지 부문의 효율 격차가 상대적으로 크고, 반

면 철강금속, 광업, 건설 등의 부문에서 격차가 작은 편

◦ 전체적으로 독·일에 비해 비금속광물, 제지, 서비스 부문에서 효율격차가

특히 크고, 철강금속, 농림업 부문은 상대적으로 격차가 작은 것으로 분석

◦ 대표적 에너지 다소비 업종인 화학의 경우 순수 에너지용 소비 효율은 일·

독의 절반(41~68%) 수준이나, 화학원료용(석유화학 feedstock) 에너지

소비를 포함할 경우는 1/3 미만( 2 7 ~ 3 3 % )으로 격차가 큰 편

- 이는 석유제품을 중간원료로 사용하는 석유화학산업의 비중이 일본이나

독일에 비해 훨씬 높은 데 기인

▫ 일·독 수준 에너지 효율 달성의 경제적 효과, GDP의 약 5 %에 해당

◦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데다 앞서 본 것처럼

에너지 효율이 낮다는 점에서, 에너지 효율 제고의 경제적 중요성이 매우 큼.

◦ <표 6>은 한국경제가 일·독 수준의 에너지 효율 달성 시 발생하는 에너지

절감분을 토대로 그 금전적 가치를 추정한 결과

- 경제적 효과는 에너지 효율 변화로 발생하는 에너지 절감을 원유로 환산

하여 추정

◦ 총에너지 효율이 일·독 평균 수준 달성 시 경제적 효과는 연간 약 4 7 0억 달

0 8

<표 6> 에너지 효율 제고의 경제적 효과

주:원유 1톤 = 7.33배럴, 배럴당 유가 5 0달러, 2006년 에너지 소비량 및 2 0 0 8년 명목GDP 기준.

일본 수준 독일 수준 일·독평균 수준

금액

(억 달러)

對G D P

비율( % )

금액

(억 달러)

對G D P

비율( % )

금액

(억 달러)

對G D P

비율( % )

에너지 총소비 기준 545 5.9 394 4.2 469 5.1

에너지 최종소비 기준 345 3.7 273 2.9 309 3.3

산업부문 최종소비 기준 1

(비에너지용 포함)221 2.4 224 2.4 222 2.4

산업부문 최종소비 기준 2

(에너지용 o n l y )127 1.4 135 1.4 131 1.4

Page 9: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러, 2008년 G D P의 약 5 . 1 %에 해당( 2 0 0 6년 에너지 소비량 216.5Mtoe, 유

가 배럴당 5 0달러1 ) 기준)

- 산업부문에 국한하여 에너지 효율이 일·독 수준 달성 시의 효과는 연간

약 1 3 0억~ 2 2 0억 달러( 2 0 0 8년 G D P의 1 . 4 ~ 2 . 4 % )

- 유가가 배럴당 5 0달러를 훨씬 상회할 경우 경제적 효과는 비례적으로 더

커질 것

▫ 기후변화문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도 에너지 효율 제고가 중요

◦ 에너지 효율 제고는 에너지 수입 절감뿐 아니라 온실가스 감소와도 직결된

다는 점에서 이러한 측면을 감안하면 그 경제적 가치는 위에서 환산한 것보

다 더 클 것으로 예상

- 에너지 소비는 온실가스 배출의 가장 중요한 변수

◦ 우리나라는 2 0 0 5년 현재 에너지 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기준 세계 1 0

위의 이산화탄소( C O2) 배출국으로 전 세계 배출량의 1 . 7 %를 차지하며, 특

히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이 OECD 내에서 가장 높은 편

◦ 우리나라는 2 0 1 3년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

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에너지 효율 제고의 중요성은 매

우 클 것으로 판단

0 9

1) 주요전망기관들은 2 0 0 9년 국제유가를 연평균 배럴당 5 0달러 중반 수준으로전망.

<표 7> 에너지 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추이 국제비교

단위:백만t C O2

주:IEA/OECD, CO2 Emission from Combustion, 2007.

1990 1995 2000 2003 2005

1 9 9 0 ~ 2 0 0 5

배출량 비중 비중 증가율 변화율

전 세계 2 1 , 0 2 4 100.0 21,809 23,487 25,090 2 7 , 1 3 6 1 0 0 . 0 3 . 1 2 9 . 1

O E C D 1 1 , 0 9 2 53.3 11,569 12,497 12,774 1 2 , 9 1 0 4 9 . 4 3 . 0 1 6 . 4

1 미국 4,851 23.3 5,109 5,701 5,712 5 , 8 1 7 2 1 . 4 0 . 4 1 9 . 9

2 중국 2,211 11.0 2 , 9 8 6 3,038 3 , 8 3 0 5 , 0 6 0 1 8 . 6 1 1 . 3 1 2 8 . 9

3 러시아 2 , 1 8 9 9.8 1,589 1,514 1,538 1 , 5 4 4 5 . 7 1 . 0 - 2 9 . 5

4 일본 1,058 5.1 1,141 1,172 1,203 1 , 2 1 4 4 . 5 1 . 1 1 4 . 8

1 0 한국 227 1.1 362 428 454 4 4 9 1 . 7 - 3 . 3 9 7 . 6

Page 10: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 에너지 효율 제고형 투자, 내수 확대와 경상수지 문제에 동시 대응하는 전략적

부문으로서도 가치

◦ 한편, 에너지 효율 제고를 위한 설비투자 및 연구개발 투자는 경기침체 속에

서 투자 및 내수 창출을 위한 전략적 부문으로서도 중요

- 이번 금융위기의 규모와 심도를 고려할 때 세계경제의 부진과 높은 변동

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에 따라 우리 경제도

내수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의 구조변화가 불가피

◦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내수 비중을 높이고자 할 경우 가장 큰 제약요인

이 경상수지 문제인바, 에너지 효율 제고형 투자 확대는 내수 창출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수입 억제를 통해 경상수지 개선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

- 에너지 수입은 우리나라 전체 수입의 약 1 / 4 ( 2 0 0 7년 기준)을 차지한다

는 점에서 에너지 효율 제고는 경상수지 개선에 크게 기여할 전망

◦ 에너지 효율 제고에는 에너지 절감형 투자뿐 아니라 투자규모가 훨씬 큰 합

리화 투자, 자동화 투자도 크게 기여한다는 점에서, 에너지 절감 효과나 온

실가스 배출 감소 성과에 비례한 유인 제공을 통해 관련 투자를 유도할 경우

상당규모의 투자 유발효과 기대

- 경기의 본격적 회복 이전에는 생산능력 증강형 투자는 기대하기 어렵다

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투자 유발이 용이하고 중장기적으로도 필요성이

높은 이들 분야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인하는 전략을 검토할 필요

1 0

<표 8> 투자와 에너지 효율 제고 효과(1% 투자 증가 시)

자료:에너지경제연구원(2005), p.62에서 인용.

자주:1) 제조업 8개 업종 대상.

자주:2) 왼편은 최소값이고오른편은 최대값.

자주:3) 모든 수치는 2 0 0 4년 기준.

에너지절약투자 합리화 투자 자동화 투자

투자액(억 원) 3 7 . 6 7 3 7 . 2 6 9 9 . 6

에너지 절약량(천 t o e ) 4 8 7 3 2 1 0 2 7 9 2 2 3 3 6 4

이산화탄소배출저감량(천 t C O2) 7 8 1 1 8 3 3 8 4 4 9 3 5 9 5 8 5

단위투자비당 에너지 절약량

( t o e /백만 원)1 . 2 8 1 . 9 4 0 . 2 8 0 . 3 8 0 . 3 2 0 . 5 2

단위투자비당 이산화탄소 배출저감량

( t C O2/백만 원)2 . 0 7 3 . 1 4 0 . 4 6 0 . 6 1 0 . 5 1 0 . 8 4

Page 11: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

▫에너지효율개선에는정책의지와꾸준한추진자세가가장중요

◦ 에너지 절감 내지 에너지 효율 제고 정책은 흔히‘no regret policy’라고 불

릴 만큼 실패나 부작용의 가능성이 적은 정책인 반면, 정책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 노력이 필요

◦ 우리와 비슷한 자원부존여건과 산업구조하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에너지 효

율을 달성한 일본의 정책경험에 비추어 보더라도, 정책당국과 업계의 정책

의지와 꾸준한 추진 자세가 정책 성공의 핵심 관건

- 우리와 비슷하게 에너지 자원빈국인 일본은 1차 오일쇼크의 충격을 경험

한 뒤 단기적 유가 변동에 연연하지 않고 에너지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

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달성

- 그 결과 1차 오일쇼크 직전 대비 2006년 제조업 생산은 약 1.9배 증가하

였음에도 약 37%의 에너지 소비효율 개선을 달성하여 제조업 에너지 소

비는 거의 정체 수준이며, 향후 2030년까지 에너지 효율을 30% 추가 개

선할 계획

- 일본의 에너지 효율 제고 정책은 에너지 절약 기술개발과 보급 강화, 에

너지 절약을 강제하는 규제 실시, 에너지 절감형 설비투자 촉진이라는 세

가지 축으로 추진

◦ 아울러 에너지 효율 제고를 직접적 목표로 한 정책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개별산업의 고부가가치화나

산업구조 고도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

◦ 또한 산업부문을 넘어 전체경제의 에너지 효율 제고를 위해서는 모든 경제

주체의 인식과 자발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한 대국

민 홍보와 의식 고취 노력도 중요

<부록:에너지효율격차의요인분해방법>

: 국 산업의 에너지소비량, : 국 산업의 부가가치,

: 국 산업의 에너지 원단위 :한국의 전 산업 에너지 원단위,

11

Page 12: 산업부문에너지효율의국제비교와요인분해및시사점kif.re.kr/KMFileDir/128907166539660100_KIET 산업부문...우리나라는자원부존구조와산업구조가유사한일본및독일과비교할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