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28
39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 나 삼 진 앙발달이론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이론을 주창하고 발 전시킨 제임스 파울러의 생애와 그 학문적인 행적, 그리고 신앙발달이 론 형성의 배경을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파울러가 신앙발달 이론을 주창하고 발전시킴에 있어서 누구에게서 어떤 학문적 영향을 받았는가를 밝히는 것은 그의 이론을 통전적인 안목으로 조망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 먼저 파울러의 신앙과 삶의 배경과 학문적인 여정을 살펴보고,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이 되고 있는 신학적 인 배경과 심리학적인 배경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각 학자들의 이론을 개관하고 파울러의 이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논의함 으로써 신앙발달이론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한다. 1. 제임스 파울러의 생애와 학문적 행적 제임스 파울러 3세(James W. Fowler III, 1940- )는 미국 연합감리교 회(the United Methodist Church) 목사이자 종교심리학의 대표적인 연 40 복음과 교육 제3집 구가로서 신앙발달이론을 주창하고 체계화하였다. 파울러는 그의 어머 니 루실 하월쓰 파울러(Lucile Haworth Fowler)와 미국 연합감리교회 의 목사 제임스 파울러 2세(James W. Fowler, Jr.)의 아들로 태어나 노스 캐로라이나(North Carolina) 주 서부 지역에서 성장하였다. 파울러는 자신이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적 단서로 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를 자신의 성장경험과 관련된 세 가지 이야기를 통하여 소개하 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파울러가 왜 그리고 어떻게 신앙발달이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1) 첫째는 아버지의 목회적 돌봄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그의 아버지 파 울러 2세는 제2차 세계대전 후 파울러가 5-6세가 되던 때 자신이 자란 서부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노스 캐로라이나 주 북부의 산악지대 스프 르스 파인(Sprus Pine)으로 이주하여 선교에 힘쓰게 되었다. 그의 아 버지 제임스 파울러 2세 목사는 그 곳만이 아니라 밴도나(Bandona)와 코나(Kona)라는 산악지역에 선교교회를 하고 있었는데, 그는 아버지의 신앙과 목회적 열정을 보며 성장하게 되었다. 파울러는 목사의 아들로 서 어릴 때부터 신앙적인 가정 분위기 가운데서, 그의 아버지의 목회 생활을 함께 경험하면서 성장하였다. 파울러는 아버지의 목회적 돌봄 (pastoral care)의 열정을 직접 보고 경험하면서 자라는 가운데, 아버 지의 목회 사역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어린 시절부터 그 것을 매우 사랑하게 되었다고 회고하고 있다. 2) 그의 아버지는 그가 접 촉하는 사람들의 신분에 관계없이 사랑으로 대하였고, 사람들이 어디 에 있든지 그들을 순수하게 받아들이고, 누구나 가지고 있지 아니하는 탁월한 능력과 그의 고유한 언어와 의사소통의 형태로 순수한 관계를 가졌는데, 파울러는 이 시기에 아버지로부터 목회자의 자세를 보고 배 우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아버지의 의사소통과 돌봄의 형태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의 학문적인 자세에도 영

Upload: others

Post on 31-Dec-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39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

나 삼 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원)

신앙발달이론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이론을 주창하고 발

전시킨 제임스 파울러의 생애와 그 학문적인 행적, 그리고 신앙발달이

론 형성의 배경을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파울러가 신앙발달

이론을 주창하고 발전시킴에 있어서 누구에게서 어떤 학문적 영향을

받았는가를 밝히는 것은 그의 이론을 통전적인 안목으로 조망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 먼저 파울러의 신앙과 삶의 배경과

학문적인 여정을 살펴보고,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이 되고 있는 신학적

인 배경과 심리학적인 배경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각 학자들의

이론을 개관하고 파울러의 이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논의함

으로써 신앙발달이론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한다.

1. 제임스 파울러의 생애와 학문적 행적

1.1. 파울러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제임스 파울러 3세(James W. Fowler III, 1940- )는 미국 연합감리교

회(the United Methodist Church) 목사이자 종교심리학의 대표적인 연

40 복음과 교육 제3집

구가로서 신앙발달이론을 주창하고 체계화하였다. 파울러는 그의 어머

니 루실 하월쓰 파울러(Lucile Haworth Fowler)와 미국 연합감리교회

의 목사 제임스 파울러 2세(James W. Fowler, Jr.)의 아들로 태어나

노스 캐로라이나(North Carolina) 주 서부 지역에서 성장하였다.

파울러는 자신이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적 단서로 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를 자신의 성장경험과 관련된 세 가지 이야기를 통하여 소개하

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파울러가 왜 그리고 어떻게 신앙발달이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1)

첫째는 아버지의 목회적 돌봄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그의 아버지 파

울러 2세는 제2차 세계대전 후 파울러가 5-6세가 되던 때 자신이 자란

서부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노스 캐로라이나 주 북부의 산악지대 스프

르스 파인(Sprus Pine)으로 이주하여 선교에 힘쓰게 되었다. 그의 아

버지 제임스 파울러 2세 목사는 그 곳만이 아니라 밴도나(Bandona)와

코나(Kona)라는 산악지역에 선교교회를 하고 있었는데, 그는 아버지의

신앙과 목회적 열정을 보며 성장하게 되었다. 파울러는 목사의 아들로

서 어릴 때부터 신앙적인 가정 분위기 가운데서, 그의 아버지의 목회

생활을 함께 경험하면서 성장하였다. 파울러는 아버지의 목회적 돌봄

(pastoral care)의 열정을 직접 보고 경험하면서 자라는 가운데, 아버

지의 목회 사역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어린 시절부터 그

것을 매우 사랑하게 되었다고 회고하고 있다.2) 그의 아버지는 그가 접

촉하는 사람들의 신분에 관계없이 사랑으로 대하였고, 사람들이 어디

에 있든지 그들을 순수하게 받아들이고, 누구나 가지고 있지 아니하는

탁월한 능력과 그의 고유한 언어와 의사소통의 형태로 순수한 관계를

가졌는데, 파울러는 이 시기에 아버지로부터 목회자의 자세를 보고 배

우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아버지의 의사소통과 돌봄의 형태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의 학문적인 자세에도 영

1) Sam Keen & Jim Fowler, Life Maps: Conversations on the Journey (Texas:

Word Book, 1978), 14-17.

2) Ibid., 15-17.

Page 2: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41

향을 미치게 되었다.

둘째는 파울러가 십대 초기에 처음으로 여름 휴양지에서 유급 관리팀

의 일원으로 일을 하면서 얻은 발달론적 통찰이었다. 그는 그곳에서

40대 중반의 페테(Pete)라는 사람과 함께 일하면서 트럭 운전을 통해

인상적인 경험을 하게 되었는데, 여기서 삐아제(Jean Piaget)나 콜버

그(Lawrence Kohlberg)와 같은 구조적 발달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되었

다. 이는 곧 다른 마음을 가지면 같은 자료라 하더라도 다른 해석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는 해석자들의 집(InterpretersHouse)에서 사람들의 신앙의 여

정을 듣고 정리하게 된 경험이다. 그가 대학원을 마치고 1968-69년에

해석자들의 집에서 첫 전임사역자로서 일할 때 200명 이상의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신앙경험을 듣게 되었다. 그는 그 곳에서 사람들의 생애

에 걸친 이야기를 통해 공통적인 전환점을 듣고 어떤 일관성 있는 형

태를 발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이 신앙발달이론을 체계화하는데

첫 걸음이 되었다.3)

신앙발달이론의 형성과 체계화의 배경에는 파울러의 신앙적인 배경과

함께 그 시대의 세계사적인 흐름과 그 가운데서 파울러의 경험과 이에

대한 파울러의 성찰이 자리하고 있다. 파울러는 그가 50세가 되던 해

에 모라비안 신학교(Moravian Seminary)의웨버 강좌(Weber

Lecture)에서 ‘교회의 미래: 약속과 위험의 이미지’(The Church and

the Future: Image of Promise and Peril)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였는

데, 이 강좌에서 자신의 출생 이후 생애를 두고 1940-1990년의 50년간

의 경험이 신앙발달이론의 체계화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고 있다.4)

파울러가 태어났던 1940년 이후 20세기 후반 반세기는 세계사적인 격

동기라고 할 수 있던 시기였다. 파울러는 미국 경제공황의 혼란기와

3) 이 경험이 신앙발달이론을 체계화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이

는 별도로 취급하도록 한다.

4) James Fowler, Weaving the New Creation: Stages of Faith and the Public

Church (New York: Harpercollins, 1991), 4-7.

42 복음과 교육 제3집

연이어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던 시기에 출생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

다. 그는 이 시절에 친구의 아버지와 형의 죽음을 경험하였고, 어둡고

지루한 시절을 보내면서 종전을 기뻐하였다. 전후에도 계속된 냉전시

대의 역사의 질곡이 그의 생애에 중요한 기억으로 남아 있었는데, 베

를린 장벽으로 인한 동독과 서독의 분리, 한국 전쟁의 충격, 맥카시

(Joseph McCarthy) 상원의원과 FBI의 후버(J. Edgar Hoover) 국장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와의 투쟁, 소련 공산주의와 스탈린의 공포 등이

어린 시절 그의 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회고하고 있다.

1950년대에는 핵문제와 그 공포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1960년대 대학

생활 기간에는 학생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데, 그가 뉴욕의 대학

원에서 신학을 공부하는 동안 쿠바와의 미사일 대치, 말콤 X 운동 등

을 경험하였다.

이 시기에 파울러는 몽고메리에서 한 흑인여성에 의해 시작되고 마틴

루터 킹 2세(Martin Luther King Jr.)에 의해 주도된 흑인민권운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였다. 그는 이 운동의 절정이었던 1963년

여름 25만 명 이상이 모인 ‘워싱턴 대행진’(March on Washington)에

도 열성적으로 참여하였다. 22세 되던 때 그는 대학원에서 종교와 사

회 분야를 연구하였는데, 이 기간에 베트남 반전운동에 참여하기도 하

였으며, 1963년 4월의 마틴 루터 킹의 암살과 연이은 케네디(John F.

Kennedy) 대통령의 죽음 등을 목격하며 충격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

초 그는 박사학위를 마친 후 교수와 연구를 계속하게 되었는데, 베트

남 전쟁의 종식과 미군 철수, 중국과의 수교, 워터게이트(Watergate)

사건과 연이은 닉슨 대통령의 탄핵 등 미국과 세계의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보고, 신학적인 성찰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근대의 세계사적인 흐름 가운데서 파울러는 그리스도인이 어

떻게 역사에 참여하고 반응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였

다. 그 자신의 표현을 빌리면, 자신의 이론 형성과정에는 “주변에서

열리고 있는 새로운 시대를 위해 생각하고 말하고 기도하고 행동하는

신앙과 교회를 형성하도록 도우려는 자신의 노력”이 포함되어 있으

Page 3: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43

며, 이 시대의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5) 요컨대 파울러는 삶의 무수한

사건들을 통해 자신의 삶의 여정 가운데서 추구해왔던 가치와 힘의 중

심(center of value and power)이 어떠한가를 진지하게 성찰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관심이 바로 그가 하버드 대학교에서 신앙발달이론을

연구하게 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파울러는 1981년『신앙의 단계들』을 출간한 이후로도 계속하여 세계

사적인 흐름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하게 되었는데, 특히 베를린 장벽의

붕괴, 독일의 통일, 동구 공산권의 몰락 등에 대해 특히 민감했는데,

이러한 문제에 대한 성찰은 미래사회가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신학적으로 탐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파울러는 역사의 중심에서 역사와 함께 항상 호흡해 왔고, 이

와 같은 그의 삶은 시대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의 계기가 되었으며, 이

러한 그의 사상적 경향은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파

울러가 제6단계 보편적 신앙의 모델에 마틴 루터 킹 목사나 켈커타의

데레사 수녀 등 역사와 함께 살아가며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위해 헌

신하고 있는 인물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들을 그 신앙의 실천자들

로 포함시키고6), 그들을 ‘하나님 나라의 개척자들’(the pioneers of

the Kingdom of God)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와 같은 이유에서이다.7) 이

러한 그의 학문적인 경향은 그가 배웠던 틸리히(Paul Tillich)나 니버

(H. Richard Neibuhr)의 신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 파울러의 학문적 행적

파울러는 미국감리교회에 속한 대학들 가운데 하나인 듀크 대학교

(Duke University)에서 학사(B.A.) 학위를 받고(1962), 드류 대학교

신학대학원(Drew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신학사

(B.D.) 학위를 받았다(1965). 그는 이어서 하버드 대학교(Harvard

5) Ibid., xi.

6) James Fowler, Stages of Faith: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San Francisco: Harper San Francisco, 1981), 201.

7) Fowler, Weaving the New Creation, 115.

44 복음과 교육 제3집

University)에서 신학적 윤리학과 종교사회학을 공부하고 니버(H.

Richard Neibuhr)의 신학적 입장의 변천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Ph.D.) 학위를 받았다(1971).8) 니버의 사상에 대한 파울러의 연구는

그의 신앙발달 이론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고, 그의 이론에 대한

신학적인 기초를 제공하여 주었다.

파울러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마치고 난 후 마리(Carlyle

Marney)가 종교적, 종족적, 그리고 인간적 만남과 대화와 교류를 위해

설립한 ‘해석자들의 집’(Interpreters‘ House)의 초청으로 부원장

으로 재직하게 되었다. 이 기관은 노스 케로라이나주 서부 지역의 성

직자들을 위한 계속교육과 평신도를 위한 퇴수기관이었는데, 성직자를

위한 3주 세미나를 일곱 번 인도하였고, 평신도와 성직자를 위한 퇴수

회를 9-10회 가량 인도하면서 200명 이상의 사람들로부터 그들의 신앙

의 여정(pilgrimages in faith)에 대해 깊이 있게 듣고 생각할 수 있

게 되었다.9)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는 사람들의 신앙여정에 어떤 일정

한 형식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신앙발달이론을 체계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연구방법은 주로 개인전기를 심층적으로 분

석하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연구방법은 매우 독창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파울러는 1969년에 대학원에서 강의를 하기 위해 하버드 대학교의 신

학대학원(Harvard Divinity School)로 돌아와 대학원에서 그의 전공과

는 달리 실천신학 분야에서 강의하기 시작했다. 그 때 파울러는 ‘경

험의 상징화로서의 신학’(Theology as the Symbolization of

Experience)이라는 강좌를 인도하면서 신앙발달이론의 연구방법론으로

서의 자전전기와 이야기 신학(autobiographical and narrative

theology)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0) 파울러는 그 강의 시간에 학생들

8) www.candler.emory.edu/ACADEMIC/FCULTY/faculty_Fowler.html#B.

9) James Fowler, "Dialogue Toward a Future in Faith Development Studies", C.

Dykstra & S. Parks ed. Faith Development and Fowler (Birmingham: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6), 275; Fowler & Keen, Life Maps, 16.;

Fowler, Stages of Faith, 38.

10) Fowler, "Dialogue Toward a Future in Faith Development Studies", 276.

Page 4: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45

을 그룹화하여 그 자신의 방식을 실험하면서 신앙발달이론의 연구방법

과 이론을 정교화시켰다. 그는 1971년부터 1972년에 박사 후 과정을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설 인간발달 연구소(Center for Moral

Development)에서 콜버그와 함께 연구하게 되었다. 이 당시에는 콜버

그의 연구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관심을 끌기 시작하던 시기였는데, 그

가 하버드 대학교에서 강의하던 동안 콜버그와 함께 가르치고 연구하

면서 서로 깊은 영향을 주고 받았다. 그는 이어 1975년부터 1976년까

지 보스톤 대학(Boston College)에서 신학과 인간발달(theology and

human development) 분야의 교수로 봉직하였으며, 1976년 미국 연합감

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인 에모리

대학교(Emory University)에서 신학과 인간발달 분야의 교수가 되었

다. 그는 1987년에 에모리 대학교의 켄들러 신학대학원(Candler

School of Theology, Emory University)의 이름을 딴 ‘켄들러 신학과

인간발달 석좌교수’로 명명되었고, 지금도 계속하여 연구와 교수를

함께 하고 있는데 신앙과 도덕발달 연구소(Center for Research in

Faith and Moral Development)의 소장으로, 그리고 1994년 이후에는

함께 최초의 전임소장으로 에모리 대학교의 윤리 연구소(Center for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리더십 아래 에모리 대학

교 발전에 이념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1)

파울러가 처음 신앙발달이론 분야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은

그가 32세이던 1972년부터였다.12) 신앙발달이론에 대한 관심으로 파울

러는 케네디 재단(Joseph P. Kennedy Jr. Foundation)의 연구비 지원

으로 ‘도덕과 신앙발달 연구를 위한 프로젝트(Research Project on

Moral and Faith Development, 1973-1979)를 수행하게 되었는데 이를

통해 신앙발달이론을 체계화하고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었다.13) 파울

러는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연구원들과 함께 380명

을 인터뷰하게 되었는데, 그들의 삶의 이야기를 조직적으로 듣고 분석

하는 가운데 신앙발달이론을 체계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뷰는 1972

11) www.ethics.emory.edu/staff/Fowler.htm.

12) Fowler, Stages of Faith, 269.

13) Fowler & Keen, Life Maps, 17.

46 복음과 교육 제3집

년 부터 1981년 까지 10년에 걸쳐 이루어졌고, 남성 180명, 여성 179

명 등 3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가운데 134회는 수석연구자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미국 동북부의 보스톤 지역에서, 30회는 미스취

(Eugene J. Mischey)에 의해 카나다 토론토 지역에서, 그리고 40회는

셜리크(Richard Shullik)에 의해 시카고 대학교의 박사학위 논문을 위

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인터뷰 응답자들은 4세에서 부터 90세에 이르

기까지 다양했다.14)

개인적인 인터뷰는 모두 생애에 대한 개관, 생애를 형성해주는 경험

들과 관계들, 현재의 가치들과 헌신들, 그리고 종교 등 네 가지 분야

에서 모두 34개에 걸친 다양한 질문들이 사용되었다. 제1부는 생애에

대한 개관으로서 자신의 출생과 가족적인 배경, 종교적 사회적 배경

등 사실적 자료들, 인생의 중요한 변화의 계기들, 무엇이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가 등의 질문을 담고 있다. 인터뷰의 제2부는 자신의

생애를 형성하여 주는 경험들과 관계들을 파악할 수 있게 했으며, 제3

부는 현재의 가치와 헌신으로 인간의 삶과 목적과 가치있다고 느끼는

것들, 행동을 촉발하는 가치들, 죽음의 문제 등을 파악하게 했다. 제4

부에서는 종교로서 자신의 종교적 경험, 하나님에 대한 이해, 죄의 문

제, 변화와 성장의 문제, 성숙한 신앙에 대한 이미지 등을 포함하고

있다.15) 이러한 인터뷰는 2시간 30분 정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그

내용은 각기 35-40장에 이르는 방대한 내용이었다. 응답자들은 대부분

기독교인, 천주교인이었지만 유대교인, 불가지론자나 불신자들을 포함

하고 있었고, 주부, 교수, 사업가, 그리고 노동자들이 골고루 포함되

어 있었다. 여기에서 타문화권 면담조사(cross cultural interview

research)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16) 파울러는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사람들의 가치의 중심, 힘의 이미지, 그리고 그

14) James Fowler, "Stages of Faith and Adults' Life Cycles", Kenneth Storkes

ed, Faith Development in the Adult Life Cycle (New York: W. H. Sadlier,1983), 179.

15) 인터뷰에서 사용된 ‘신앙발달 면담지침’은 Fowler, Stages of Faith, 310-312.와Karen DeNicola ed, 1993 Manual For Faith Development Research, (Revisededition), 16-20에 나타나 있다.

16) Fowler, Stages of Faith, 315.

Page 5: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47

들의 인생을 이끌어가는 이야기들의 어떤 패턴을 발견하기 시작하였으

며, 그가 인터뷰한 내용의 분석과 비교를 통하여 일곱 단계의 신앙발

달이론을 체계화하게 되었다.17)

신앙발달이론에 관한 파울러의 초기 논문은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

원의 조교수로 가르치던 1974년에 발표한 “신앙에 대한 발달적인 관

점에 대하여”(Toward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Faith)라는 논

문인데, 신앙의 동사적인 이해와 신앙의 언약적 구조와 앎으로서의 신

앙의 내적구조를 설명하고, 신앙발달의 단계들의 개요를 제시하며 그

와 함께 신앙과 하나님과 거룩한 은혜 등을 제시하고 있다.18) 파울러

는 1970년대 초반부터 활발한 연구활동을 전개하면서 신앙발달이론을

더욱 체계화시켰고, 1978년에 제롬 베리맨(Jerome Berryman)의 편집으

로 셈 킨(Sam Keen)과 함께『생애 지도』(Life Maps)를 출간하게 되었

다.19) 파울러는 이를 다시 보완하고 그 깊이를 더하여 제1회 도덕과

종교발달을 위한 국제회의(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ral and Religious Development)에서 발표하였다.2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케네디재단의 지원 연구가 완성되고 그 이론이 집대성되어『신앙

의 단계들』(Stages of Faith)을 출간하였다.21) 이후에도 그의 이론은

다양한 국제회의를 통해 주목을 받아왔는데, 이러한 노력으로 파울러

는 기독교 교육과 종교심리 분야에 대표적인 학자로 등장하였다.

17) James Fowler, "Faith and the Structuring of Meaning", C. Brusselmans ed.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ew Jersey: Silver

Burdett Company, 1980), 52.

18) James Fowler, "Toward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Faith", Religious

Education 59:.2, (Mar-April 1974), 207-219.

19) Fowler & Keen, Life Maps.

20) 1979년 5월 27일부터 7일 동안 유럽, 카나다, 미국학자 20명이 프랑스 남부의

Abbey of Senanque에서 모인 이 국제 심포지엄에는 파울러를 비롯하여 James

Loder, Ana Maria Rizzuto, Carol Gilligan, Robert Kegan, Fritz Oser 등 이 분

야에서 미국과 유럽에서 대표적인 학자들이 참여하였다. 이 심포지엄에서 발표,

토론된 18편의 논문은 이듬 해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ew Jersey: Silver Burdett Company, 1980)라는 제목으로 출간

되었다.

21) Fowler, Stages of Faith.

48 복음과 교육 제3집

『신앙의 단계들』이 출간된 이후 파울러는 계속하여 북미의 대표적

인 대학이나 신학교의 초청강좌에 임하며 그가 연구하던 신앙발달이론

을 심화시키는 논문들을 자주 발표하여 왔다. 1983년에 모인 북미기독

교교육학자들의 학술회의에서 발표되었던 글들이 모여 다익스트라

(Craig Dykstra)와 팍스(Sharon Parks)에 의해 편집되어 출간되었고,

파울러와 함께 독일 튜빙겐 대학교(Tubinggrn University)의 두 교수

닢코(Karl Enerst Nipkow)와 슈바이츠(Friedrich Schweitzer)의 편집

으로『신앙의 단계들과 종교발달』(Stages of Faith and Religious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hurch, Education, and Society)을

1991년에 펴냈다.『신앙의 단계들』이 출간된 후 그의 연구는 성인교

육, 목회적 돌봄, 그리고 실천신학적 접근으로 심화되고 있는데 가장

최근에 파울러는 오스머와 슈바이쳐의 공동편집으로 『공적신앙발달』

(Developing a Public Faith: New Direction in Practical Theology)

이 출간되었다.22) 이러한 경향은 오서(Fritz Oser)와 그의 연구진들이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이나 가정에서의 종교교육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

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23)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파울러는 20세기를 돌아보며 다가올 세대의

시대적 요청에 대한 교회의 책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논문과 저

서를 출간하고 있다. 그의 신학적인 관심은 1991년에 출간한『새로운

창조의 직조』(Weaving the New Creation: Stages of Faith and

Public Church)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종교교육학자들의 계속적인

비평에 따라 공교회 혹은 대중교회의 실천신학적 비전을 추구하는 일

로 전환하게 되었다. 특히 그의 관심은 이천년 대의 약속과 위기 가운

데서 문화적 의식 속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경험하고 하나님의 역사 참

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응답을 일깨우고 있다. 그는 교회와 신앙의

22) Richard Osmer & Friedrich Schweizer, eds., Developing a Public Faith:

New Direction in Practical Theology, 2003.

23) K. E. Nipkow, F. Schweitzer & J. Fowler, Stages of Faith and Religious

Education: Implication for Church, Education and Church (New York: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91), 3.

Page 6: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49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단체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의미를 찾는 일, 교회

적으로나 세속적으로 공동체를 이루고 형성하는 일, 신학적으로나 문

화적으로 전통을 해석하고 변형하는 일, 과학적이며 이론적으로 신학

과 윤리와 삶에서 실천적으로 이러한 변형의 시대에 하나님의 섭리에

따른 참여를 분별하고 이와 관계를 맺는 일 등을 통하여 행동과 존재

의 역동적인 형태에 참여하고 있다.24)

파울러의 『신앙의 단계들』은 출간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신앙발달

이론은 여전히 종교심리와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

고 있으며, 이를 기독교교육과 목회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이

루어지고 있다. 그는 다양한 국제적인 학술회의를 통하여 논문을 발표

하고 신앙발달이론이 토론된 결과를 엮어 지금까지 『성인생애 주기

안에서의 신앙발달』(Faith Development in the Adult Life Cycle)25)

을 포함한 12권의 책들이 편집 출간되었으며, 60여 편의 실천신학과

기독교 윤리 분야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연구를 하고 있다.

파울러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신학이나 종교심리학계에서 대표적인

학자로, 인근 학문세계에서도 매우 주목받는 학자로 큰 명성을 얻었

다. 그리하여 파울러는 1994년에 종교와 정신의학간의 대화 노력의 공

로로 미국 정신의학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로부터 오

스카 피서터상(Oskar Pfister Award)을, 종교심리학을 발전시킨 공로

로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로부터 윌리엄

제임스 상(William James Award)을 수여받았으며, 1999년에는 영국의

24) Fowler, Weaving the New Creation, vii.

25) Kenneth Stokes, ed, Faith Development in the Adult Life Cycle (New York:

W. H. Sadlier, 1983), 315-320. ‘성인 생애주기 안에서의 신앙발달’ 프로젝트는

미국종교교육협회(Religious Education Association) 성인교육위원회가 신앙발

달과 성인생주기와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18개 교단과 교회교육 기구가 함께

1979년부터 3년에 걸쳐 연구한 프로젝트였다. 1981년 여름 300여명의 정통주의

에서 인문주의자에 이르기까지 300명 가까운 교사, 목회자. 상담가, 기독교학자

들이 참여한 가운데 St. Thomas 대학교에서 개최되어 성인들의 신앙발달 문제

를 진지하게 논의하였던 심포지엄이었다.

50 복음과 교육 제3집

에딘버러 대학교(University of Edinburgh)에서 명예 신학박사(Doctor

of Divinity)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는 지금 에모리 대학교의 윤리연

구소의 소장으로 활동하면서 켄들러 신학대학원과 종교대학원에서 가

르치고 있다.26)

2. 신앙발달이론 형성의 배경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사상의

근원을 찾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한 일이다. 파울러가 신앙발달이론

이라는 새로운 종교심리학의 분야를 개척함에 있어 그는 신학과 심리

학을 학문적인 두 토대로 삼고 있다. 오스머(Richard Osmer)는 파울러

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을 삐아제의 구조주의, 에릭슨의 자아심리학,

그리고 니버의 신학적 윤리라고 지적하고, 그 가운데서도 니버의 작업

이 훨씬 더 중요하게 신앙발달이론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하고 있

다.27)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은 철학적 배경으로 칸트(Immanuel Kant)의 선

험철학, 듀이(John Dewey)의 실용주의, 미드(George H. Mead)의 영향

도 있었다고 할 수 있으나,28) 직접적인 영향으로는 신학자 니버와 틸

리히, 그리고 종교사가 스미스로 대표되는 신학적 배경과 삐아제, 에

릭슨, 콜버그로 대표되는 발달심리학이 그의 신앙발달이론의 중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29)

2.1. 신학적 배경

29) www.ethics.emory.edu/staff/Fowler.htm

27) Robert Osmer, "James W. Fowler and the Reformed Tradition: An Exercise

in Theological Reflection in Religious Education", J. Astley & L. Francis, ed.

Christian Perspectives on Faith Development (Leominster, England:

Gracewing, 1992), 135.

28) One Ho Park, A Study of Anthropology in James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Ed. D. Dissertation (Richmond: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 1989), 132-149.

29) Fowler, Weaving the New Creation, 16.

Page 7: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51

2.1.1. 니버와 파울러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신학적 배경의 중심에는 H. 리처드 니버

(Helmut Richard Neibuhr: 1894-1962)의 신학이 자리하고 있다. 파울

러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하는 가운데 그의 스승 니버로부터 지대

한 신학적인 영향을 받았다. 파울러의 박사학위 논문은 『하나님의 왕

국 고찰: 리처드 니버의 신학적 비전』으로, 니버의 신학을 정리하고

평가하는 것이었다.30) 그의 논문은 미간행되거나 일반적으로 접할 수

없는 니버의 다양한 저작을 수집, 분석하고 그의 사상을 연대기적으로

추적하면서 니버의 저작을 폭넓게 해석하고 있다. 파울러는 그 자신이

니버의 신학에 관한 논문을 쓰면서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역동적인 교

리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고하는 법을 배웠다고 회고할만큼 니버의 신

학은 신앙발달이론의 중요한 신학적 배경이 된다.31)

니버는 개혁자, 기독교 윤리학자, 역사가, 종교사회학자로서 다방면

에 걸쳐 신학적인 통찰력을 가지고 미국교회와 미국인의 삶에 크게 공

헌한 20세기 미국 최고의 종교사상가라고 할 수 있다. 그는 1894년 9

월 3일 기독교적인 성향이 강했던 중부의 미주리 주의 라이트 시

(Wright City)에서 북미 독일개신교단(German Evangelical Synod of

North America)에서 저명한 목사였던 구스타프 니버(Gustav Neibuhr)

의 아들로 태어났다.32) 니버는 자신이 속한 교단에서 설립한 엠허스트

대학(Elmhurst College)과 에덴신학교(Eden Theological Seminary)를

졸업한 후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가정의 경제적 필요를 돕기 위해 1

년 동안 고향 링컨(Lincoln, Illinois)의 신문사에서 기자로 일하였

30)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the Doctrine of

the Sovereignty of God in the Theology of H. Richard Niebuhr, Ph. D. Diss

(Harvard University, 1971)였으나 이를 상당히 보완하여 To See the

Kingdom: The Theological Vision of H. Richard Niebuhr (Nashville:

Abingdon Press, 1974)로 출간하였다.

31) Fowler, Weaving the New Creation, 57.

32) 니버의 생애에 관한 기술은 파울러의 논문에서 정리하였다. Fowler, To See

the Kingdom, 1-6.

52 복음과 교육 제3집

다. 그는 22세가 되던 해인 1916년 목사 안수를 받음과 함께 세인트

루이스의 월넛 팍 교회(Walnut Park Evangelical Church)에서 목회를

하였다. 그동안 그는 워싱턴 대학교(Washington University, St.

Louis)에서 역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1919년부터 신약학 교수 사

무엘 프레스(Samuel D. Press)의 초청으로 신학과 윤리학 교수로 3년

간 에덴신학교에서 강의하였으며, 1922-4년에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신학사(B. D.) 학위를

받았고 계속하여 ‘트뢸취의 종교철학’(Ernst Troeltsch's

Philosophy of Religion)을 연구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24년 그가 30세가 되던 해에 엠허스트 대학의 총장으로 부임하여 3

년 동안 일하면서 탁월한 행정력으로 대학의 재정상황을 크게 호전시

키고 교수들을 격려하여 학문적으로나 행정적으로 그 대학이 미국 최

고의 인문대학이 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1927년 모교인 에덴신

학교로 돌아와 학장직을 수행하였으며, 그 해 처음으로 출판한 『교파

주의의 사회적 원인』(The Social Sources of Denominationalism)으로

학문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1930년 안식년을 얻어 8개월간 독일에

서 연구하였는데 제1차 세계대전 후 독일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삶의 비관주의를 목격하게 되었다. 니버는 그 때 한 달간 러시아를 방

문하는 기회를 가졌는데 이 기회는 실천적인 신앙과 역사철학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를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33) 그 시기에 만난 틸

리히(Paul Tillich)의 신학은 니버의 신학적 숙고에 영향을 미쳤는

데,34) 그가 독일에서 돌아온 후 틸리히에 대해 ‘독일의 신세대 신학

자들 가운데 가장 유망한 사람’이라고 평가하기도 하였다.35) 니버는

1931년 예일 대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여 1938년 정교수가 되었는

데, 사망하던 해인 1962년까지 31년 동안 연구하고 가르치면서 신학과

기독교윤리학 분야에서 탁월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니버는 ‘신학자

의 신학자’(a theologian's theologian)로 불리워졌는데, 이것은 대

33) Ibid. 4.

34) Jerry Irish, The Religious Thought of H. Richard Neibuhr, 박종균 역,『리차

드 니버의 종교사상』(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11.

35) Fowler, To See the Kingdom, 62.

Page 8: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53

중적인 면에서 보다 큰 명성을 얻고 있던 그의 형 라인홀드 니버

(Reinhold Neibuhr)와 구분하려는 방식이라고 이해된다.36)

니버의 신학적인 특징은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관심, 교회에 대한 강

조, 목적론적인 윤리와 의무론적인 윤리를 넘어선 책임윤리의 제시,

그리고 교회와 세계의 관계에 관한 주제를 다루는 것이다.37) 그는 다

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철학, 역사, 심리학, 사회학, 과학철학, 미

학 등 광범위한 분야의 저서를 읽고 그 저자들과 어울리면서 얻은 새

로운 통찰을 자신의 신념과 원리들을 통하여 끊임없이 성찰해갔다.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니버의 강조는 하나님을 세 가지 메타포로 설

명하고 있는데 창조자로서의 하나님, 통치자로서의 하나님, 해방자-구

속자로서의 하나님이 그것이다.38) 파울러는 니버의 신학에 관한 그의

논문에서 이 메타포를 정리함으로써 하나님의 통치와 주권을 드러내고

있다. 니버의 이러한 신이해는 신-인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세계에서 하나님의 동반자적인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파울러는 초기에 니버의 하나님 이해를 그대로 계승하여 하나

님의 주권에 대한 역동적인 교리에 초점을 맞추어서 하나님의 사역과

인간의 소명을 기술하고 있다.39)

니버의 신학에서 가장 독특한 특징은 책임윤리와 책임자아 이론(The

Responsible Self)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니버의 윤리적 사상과

가르침 속에 있는 모든 것을 통합하면서 지속적으로 전개시켜가고 있

36) Irish, The Religious Thought of H. Richard Neibuhr, 10-11.

37) Ibid, 4-5.

38) Fowler, To See the Kingdom, 151-200; James Fowler, Becoming Adult,

Becoming Christian (New York: Harper San Francisco, 1984), 116.

39) 파울러는 이러한 ‘군주’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메타포가 전쟁과 핵시대와 생태

학의 세계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보고, 후기에 와서는 멕패그의 신학적 성찰

의 도움으로 어머니 하나님(성부모), 연인 하나님(그리스도), 그리고 친구 하나

님(성령)라는 삼위일체의 세 인격성의 중심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메타포를 사

용하고 있다. Fowler, Weaving the New Creation, 65-82.

54 복음과 교육 제3집

는 주제이다.40) 파울러는 그 자신이 니버의 근본적 유일신론(radical

monotheism)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근본적

유일신론’이라는 용어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하나님의 유일

성과 주권을 강조하는 서방종교를 인류학과 비교 종교학으로부터 특징

적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다. 1943년 초판이 출간된 이

후 네 차례에 걸쳐 증보 출간된『근본적 유일신론과 서구문화』

(Radical Monotheism and Western Culture)에서 니버는 신뢰와 충성으

로서의 신앙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단일신론, 다신론, 근본적 유일신

론의 신앙형태를 분석하면서 관계적 가치이론을 논하고 있다. 1943년

에 발표한 그의 논문 “신들의 신앙과 하나님 신앙”은 “유일신 하나

님에 대한 신앙이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41)

니버는 그의 책임적 자아에서 모든 인간과 문화의 여러 양태들이 유일

신의 주권 아래에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인간과 문화의 여러 형태가 가

지고 있는 상대적인 권위를 어떻게 생각하고 살아야 하는가에 대하여

폭넓게 설명하여 주고 있다. 특히 그의 책에는 윤리학을 학문적으로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독특한 글인 “가치의 중심”(The Center

of Value)이라는 논문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은 파울러의 신앙이해

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파울러 자신은 틸리히와 니버의 신학의 영

향을 받았지만 니버의 신학적 영향이 더욱 심대하다고 고백하고 있

다.42)

니버의 근본적인 유일신 사상에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강조가 있는

40) 니버의 ‘책임적 자아이론’은 1960년 영국 글라스고우 대학교의 로버트슨 강좌

(Robertson Lecture)에서 강연한 내용으로 체계화되었다. 그 강연은 ‘기독교 도

덕 철학에 관한 고찰’(An Essay in Christian Moral Philosophy)을 부제로 한

강연이었는데, 인간의 도덕적 삶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종합하고 정리한 것으

로 자아가 지닌 책임을 분석해가면서 기독교윤리의 주제를 다루려 하였는데,

그의 기독교윤리학의 서론과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 H. Richard Neibuhr,

The Responsible Self, 정진홍역,『책임적 자아』(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41) Irish, The Religious Thought of H. Richard Neibuhr, 166.

42) James Fowler, "The Vocation of Faith Developmental Theory", Fowler,

Nipkow & Schweitzer, ed. Stages of Faith and Religious Development, 20.

Page 9: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55

데, 이는 존재의 원리에 대한 총체적인 신뢰와 충성에 의해 특징 지워

지는 신뢰의 관계를 의미하고 있다.43) 주권적 하나님은 민족, 자아,

부족, 가족, 제도, 성공, 돈, 성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우

상들의 원수가 된다. 파울러는 이러한 근본적 유일신 신앙의 영향으로

왕적인 존재로서의 하나님을 이해하고 창조자, 통치자, 해방자-구속자

로서의 하나님의 메타포를 사용하고 있다. 파울러에 의하면 그 하나님

의 통치 안에서 하나가 된 존재의 연합은 보편적인 것이다.44) 니버는

그의 근본적 유일신 사상의 개념을 발전시킬 때 그것이 성경적 신앙의

지배적인 요소를 표현한다고 이해하였다.

그는 책임적 자아로서의 인간이해는 인간 존재와 행위를 정의함에 있

어서 인간을 본질적으로 자신에게 다가온 행위에 응답해서 행동하는

존재로 이해한다.45) 파울러는 신앙을 관계적인 성격으로 이해하고

‘신뢰와 충성’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것은 니버의 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6단계에 대한 파울러의 규범적인 이

미지들은 니버의 사상으로 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46) 파울러가 신학

적으로 니버의 신학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또 다른 하나의 사실은 일

곱 가지 신앙의 요소인데 이것 역시 니버의 책임적 자아 이론을 그 근

간으로 하고 있다.

니버는 인간의 본질을 이해함에 있어서 ‘응답자로서의 인간’(man

the responder), 예술가와 같이 ‘만드는 자로서의 인간’(man the

maker), 법 아래에 있는 인간에 대한 상징으로써 ‘시민으로서의 인

간’(man the citizen)으로 설명한다.47) 그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의

목적이나 희망을 넘어서 이웃과 자연의 음성에 귀 기울여야 함으로 당

연히 사회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그러한 질문에 대하여 응답하

43) Fowler, Stages of Faith, 204.

44) Ibid, 205.

45) 박원호,『신앙의 발달과 기독교 교육』, 97.

46) Fowler, Stages of Faith, 204.

47) H. Richard Niebuhr, The Responsible Self, San Francisco: Harper and Row,1963.

56 복음과 교육 제3집

는 존재인데, 이 응답은 인간이 의미를 찾는 해석의 과정을 거치게 된

다. 니버는 응답과 책임에서 인간의 본질을 찾으면서 이것을 책임적

자아이론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그래서 니버의 신학에서는 인간의 책

임성(accountability)이 강조되고 있다.48) 책임의 이념 또는 양태는

주체의 행위를 자신에게 다가온 행위에 대한 자신의 해석과 자신의 기

대에 따른 응답으로 인식하는데, 이 모든 것은 공동체 내에서 이루어

진다고 보고 있다.49)

파울러는 신앙발달이론에서 신앙이 보편적인 인간의 관심임을 확인하

면서 니버의 신학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용한다. 니버는 신뢰와 충성,

그리고 초월적인 원인자의 신앙적 삼중구조에 관한 논문을 발표한 일

이 있다.50) 이 논문에서 니버는 나와 너,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은

신앙의 삼각형적 구조를 예시하여 준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나아가 신

앙은 관계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 영향으로 파울러도 신앙을 자신과

타인이 상호관계하는 가운데 각기 가치와 힘의 공유된 중심을 향한다

고 생각한다.

니버는 자신의 기독교윤리학을 전개함에 있어서 자신의 관점이 기독

교 신자의 관점임을 분명히 하면서도, 그 자신이 관심하는 바는 인간

의 도덕적인 삶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가 관심하는 바는 단순한 기

독교적인 삶이 아니라 전반적인 인간의 도덕적인 삶에 관심을 기울이

고 있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파울러의 신학 전개 방식은 니버의 신학

하는 방식과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학문적인 배경이 성

경과 신학적인 기초 위에 있지만 성경을 직접적인 기초로 하는 신학과

는 달리 기독교적 관점에서 기독교적인 삶만을 이해하려는 것이 아니

라 기독교적 관점에서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니버의 방

48) 박원호, "신앙의 7요소 연구: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중심으로",『교회와 신

학』제23집, 1991, 414-18.

49) Ibid., 422.

50) H. R. Neibuhr, "The Triad of Faith", Andover Newton Bulletin 47 October

1954, 3-12, Jerry Irish, Ibid, p. 165에서 재인용. 니버의 이러한 신앙의 심각형

적 이해는Radical Monotheism and Western Culture에서 더욱 잘 정리되고 있

다.

Page 10: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57

식은 파울러의 신앙에 대한 이해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다익스

트라(Craig Dykstra)는 파울러가 감리교 신자요 목사이면서도 개혁신

학(reformed tradition)의 전통에 기초를 두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

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파울러도 자신에 대해 ‘고전적인 진보적 개신

교도’(classical liberal protestant)라고 평가하고 있다.51)

2.1.2. 틸리히와 파울러

신앙발달이론의 신학적인 배경 가운데 또 하나의 축은 폴 틸리히

(Paul Johaness Tillich: 1886-1965)의 신학적인 기반이다. 파울러는

니버와 함께 틸리히가 종교와 신념이라는 특정한 영역들 너머로 우리

의 시야를 넓혀 신앙에 관해 질문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고 지적

한다.52) 파울러에게서 신앙은 단순히 종교의 한 형태이거나 하나님과

의 관계 정도는 아니다. 신앙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틸리히와 니버로

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틸리히는 독일 베를린 근교의 작은 마을 슈타르체텔(Starzeddel)에서

출생하였다. 루터파 목사인 그의 아버지 요한 틸리히(Johannes Asker

Tillich)는 주교까지 지낸 사람으로 강한 의무감과 죄의식으로 무장하

여 엄격하고도 권위적인 인물이었으며, 어머니 빌헬미나 마틸드

(Wilhelmina Mathilde)는 중산층 출신의 헌신적인 어머니였다. 틸리히

는 어린시절 문법학교에서 필수적인 교과과정이었던 신앙교육과 절기

의 기독교 상징을 통해 성스러움을 경험하게 되고, 이것이 훗날 그의

모든 신학적 사유와 작품의 밑바닥에서 그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53)

틸리히는 인문계 고등학교(Gymnasium)에서 인문교양과목과 라틴어, 헬

라어를 배우고, 베를린 대학, 튀빙겐 대학, 그리고 할레 대학에서 신

학을 공부하고 쉘링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12년 교수

자격을 얻어 대학에서 가르치게 되었으며, 제1차 세계대전 때 4년 동

51) North America Professors of Christian Education Conference, 1987. 10.

22-25. Perry Downs, Teaching for Spiritual Growth, 114.

52) Ibid., 9.

53) 김경재, 『폴 틸리히』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2004), 14.

58 복음과 교육 제3집

안 군목으로 참전하였는데, 그 참전이 그의 생애와 신학에 상당한 영

향을 미쳤던 것으로 고백하고 있다. 틸리히는 전후에 프랑크푸르트 대

학에 재직하던 동안 전쟁을 통하여 역사의 심연을 경험한 사람으로서

이 경험으로 시대의 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두고 씨름하면서

종교사회주의 운동(religious socialism)에 깊이 참여하였다. 그의 철

학적 관념론과 신학적 초월주의에서 벗어나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토대에서 신학적 사유와 행위를 전개하는 것이었다.54) 나찌 정권으로

부터 교수 자격이 박탈되자 니버는 미국으로 건너가 1937년부터 유니

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 New York)에서 조직신학, 철

학, 철학적 신학의 부교수로, 1939년에는 정교수와 주임교수가 되었

다. 1940년에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명예신학박사를 받았

으며 1955년 65세로 은퇴하기 까지 계속하여 교수와 연구활동을 하였

다. 특히 그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독일 국민을 위한 ‘미국의 소

리’ 방송을 통해 반나찌 운동을 전개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에는 4개월간 독일을 방문하여 독일 전역에서 공개강연을 갖기도 하였

다.

칼 바르트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신학자로 일컬어지는 틸리히는『조

직신학』(Systematic Theology, 전3권)을 비롯하여 다양한 저작을 출

간하여 칼 바르트와 함께 20세기 신정통주의 신학의 최고봉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55) 특히 그의 신학은 인간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신

학적인 물음으로 나타나고 있어 과거의 어떤 신학자들보다 보편적이고

심원한 지평에서 신학을 전개하고 있는데, 그의 관심은 신학, 철학,

역사, 문학, 심리학은 물론 자연과학, 물리학, 연극, 그림 등에 이르

54) 박만,『폴 틸리히: 경계선상의 신학자』 (서울: 살림, 2003), 33-34.

55) 틸리히의 대표적인 저서들은 다음과 같다. The Protestant Era, ed. James

Adam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8; The New Being,

Danymics of Faith, New York: Harper and Row, 1957; Theology of Culture,

ed. Robert C. Kimbal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Christianity and the Encounter of World Religion, New York: Harper &

Row, 1963; Ultimate Concern: Tillich in Dialogue, ed. D. Mackinzie Brown,

New York: Harper and Row, 1965.

Page 11: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59

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유니온 신학교 은퇴 후에는 1962년까

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특별교수를 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시카고 대학

교에서 특별교수로 초빙받아 활동하는 영예를 누렸다.

틸리히는『신앙의 역학』(Dynamics of Faith)을 출간하였는데, 이 책

에서 그는 신앙의 의미를 지적인 내용을 강조하는 종교(religion) 혹

은 신념(belief)과 너무 쉽게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는데,56) 파

울러는 신앙에 대한 틸리히의 이러한 이해 방식을 전적으로 수용하면

서 신앙의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의 삶에 있어서 신적인

가치들(god values)은 우리의 궁극적인 관심사들이다. 우리가 드리는

진정한 예배나 참된 헌신은 그 자체를 우리의 궁극적인 관심의 대상들

에게로 향하게 한다. 그 긍극적인 관심이 결국에는 우리의 자아나 그

연장으로서의 일, 명성과 인정, 힘과 영향력, 그리고 부의 중심이 될

수 있다. ... 궁극적인 관심을 가지는 상태로서의 신앙은 제도적 혹은

종파적 형식 안에서 그 표현을 발견하거나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신앙은 삶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이해된다.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자신의 삶을 내기하는가에 관계가 된다. 신앙은 우 리

가 우리의 가장 깊은 사랑과 우리의 가장 가치있는 충성들을 투자하는

방법들을 형성해 준다.57)

신앙에 대한 틸리히의 이해는 신앙이 보편적인 인간의 관심사(a

universal human concern)라는 것인데, 파울러는 신앙에 대한 틸리히

의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파울러는 틸리히에게서 신앙

이 갖는 궁극적인 의미와 그 가치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틸리히

의 신학에 있어서 하나님에 대한 이해는 매우 독특한데, 이와 같은 이

해는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하나님에

대한 틸리히의 이해는 ‘궁극적 관심’(ultimate concern)이라는 독특

한 용어로 규정하고 있다. 틸리히는 ‘신의 죽음의 신학’ 등 탈신학

적인 급진신학이 나타났던 1960년대 사회에서 신의 존재를 받아들이기

보다 신의 존재에 대해 의미를 갖지 못하는 현대인들에게 하나님을 현

상학적으로 이해하여 인간의 궁극적인 관심으로 볼 것을 주장하였다.

56) Paul Tillich, Dynamic of Faith (New York: Harper & Row, 1957). 4.

57) James Fowler, Stages of Faith, 4-5.

60 복음과 교육 제3집

인간은 돈이나 권력, 사랑이나 건강, 직업이나 미래 등 다양한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들 가운데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

하는 궁극적 관심이 있다. 이 궁극적 관심은 모든 다른 관심들과는 달

리 가장 중요하고 우월하며 절대적인 무조건적 관심 곧 ‘완전한 헌

신’ 혹은 ‘완전한 복종’을 요구하고 전체적 약속을 성취하는 관심

이며, 다른 관심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절대적인 관심이다. 마리아

와 마르다의 이야기(눅10:38-42)는 무엇이 인간의 궁극적인 관심이 되

어야 할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 틸리히는 하나님이야말로 이런 궁극적

인 관심의 대상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한 틸리히의 직접적인 표현

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인간의 유한성이 내포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하나님은

인간이 궁극적으로 관심 갖는 것에 대한 이름이다. … 사람이 궁극적

으로 관심을 갖는 것이 그의 신이며 반대로 사람은 그에게 신이 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만 긍극적 관심을 가질 수 있다.58)

오직 무한하며 절대적인 존재만이 궁극적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우리의 궁극적 관심이란 우리의 존재나 비존재를 규정하는 것이다. 오

직 이런 언명만이 신학적이다. … 우리의 존재를 위협하거나 구원하는

능력 을 갖지 못한 것은 우리의 궁극적 관심이 될 수 없다.59)

틸리히에 의하면 궁극적인 관심 외의 것은 모두 예비적인 관심

(preliminary concern)이다. 우리의 모든 예비적인 관심은 궁극적인

관심이 되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간과하게 되면 우상숭배적

인 경향성이 나타난다. 현대인들의 가장 많은 관심이 되고 있는 돈을

중요하게 생각한 나머지 다른 모든 것을 희생하면서까지 그것을 가지

고 지키려하는 것은 그것이 궁극적인 관심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

이다. 인간은 누구나 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결

국 이 세상에는 무신론자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예비적인 관심이 궁

58) Paul Tillich, Systematic Theology 1, 211. 박만,『틸리히』, 152에서 재인용.

59) Ibid.

Page 12: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61

극적 관심이 되면 그것이 바로 우상이다. 돈이나 권력, 쾌락이 절대화

되어 궁극적 관심이 되면 우상숭배가 되는데 틸리히는 이로써 현대사

회의 위기를 경고하고 있다.

틸리히는 이러한 방식으로 현대인들에게 하나님을 궁극적인 관심으로

소개한다. 궁극적 관심은 절대적이며 무조건적인 관심 곧 완전한 헌신

혹은 완전한 복종을 요구한다. 하나님에 대한 이러한 현대적 이해는

신앙을 보편적인 인간의 관심으로 생각하고 하나님을 궁극적 관심으로

이해하는 파울러의 관점에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60)

2.1.3. 스미스와 파울러

신앙발달이론의 신학적인 배경에는 비교종교학자요 종교사학자인 하

버드 대학교의 윌프레드 스미스(Wilfred Cantwell Smith)의 사상도 중

요한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스미스는 종교사학자로서 신앙의 개념

을 독특하게 발전시켰다. 파울러는 하버드 대학교 재학시절 스미스의

제자로서, 후에는 그의 동료로서 깊은 교제를 나누었다. 파울러는 스

미스의 연구와 인품을 통하여 신앙을 탐구하는 자신의 연구에 도움과

격려를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61) 스미스는 어학에 능통하여 대부분의

중요한 종교적 전통에 대해 원자료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학자로

평가받으며『신념과 역사』(Belief and History),『신앙과 신념』

(Faith and Belief),『종교의 의미와 목적』(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등 주목할만한 저서들을 출간하였다.

파울러는 스미스의 작업을 기초로 하여 신앙을 몇 가지로 요약하고

있는데 곧 신앙은 신념 혹은 종교보다도 관계에서 초월에 관한 인간질

문들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것이며, 신앙은 인간실존의 모든 측면에

관계되어 있고, 신앙은 삶의 차원에서 분리된 것이 아니며, 신앙은 우

주적인 것이라는 것이다.62) 다양한 세계종교의 다양한 표현들과 상징

60) James Fowler, Stages of Faith, 4-8.

61) Ibid., 9.

62) One Ho Park, A Study of Anthropology in James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92.

62 복음과 교육 제3집

들에도 불구하고 모든 종교들은 신앙에 대한 우주적 질문에 기초를 두

고 있고, 신앙없이 인간존재들은 생존할 수 없다고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63) 스미스는 종교(religion)와 신앙(faith)을 근본적으로 구분

함으로써 종교의 특성을 밝히려고 하였다.64) 스미스는 종교를 설화,

신화, 예언, 계시에 대한 설명들을 포함하는 성전 혹은 율법서들에 의

해 구성될 수 있는 축적된 전통들(cumulative traditions)로 이해하고

있는데, 축적된 전통은 성경, 경전, 신화, 예언은 물론 문학, 음악,

예술, 상징 및 신학이라는 형태를 통해 후대에 전수되고 있다고 보았

다.65) 종교보다 더 깊고 더욱 개인적인 신앙은 축적된 전통들을 통하

여 인식되고 파악된 초월적 가치와 능력에 대한 한 개인 혹은 집단이

갖는 응답방법으로 보았다.66)

스미스는 또한 신앙과 신념이 동일시하는 경향의 오류를 지적하고 있

다. 그는 신앙을 마음 또는 의지의 지향성이며 충성과 신뢰의 위탁으

로 이해하였는데 신앙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방식이 파울러에게 영향

을 미쳤다. 파울러는 신앙에 대한 스미스의 이러한 이해를 그대로 수

용하고 있다.

2.2. 심리학적 배경

신앙발달이론은 파울러 자신이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발

달심리학자들들의 영향으로 더욱 구체화되고 구조화되었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은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cognitive development

theory),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moral development theory), 그리

고 에릭슨의 사회심리발달이론(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에

63) Wilfred Smith, Faith and Belief,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

1979), 132. One Ho Park, A Study of Anthropology in James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93-94에서 재인용.

64) Wilfred Smith, Belief and History, Charlottesville (Virginia: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77); Wilfred Smith, Faith and Belief에서 신앙을 독특하게

해석해내는 그의 입장을 볼 수 있다. Fowler, Stages of Faith, 9.

65) Wilfred Smith,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 제6, 7장. 강희천, “신앙발

달과 교수”,『기독교교육 연구』, 제7권 1집 (서울: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

소, 1996), 9에서 재인용.

66) Fowler, Stages of Faith, 9.

Page 13: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63

의해 대표되는 현대 심리학의 발달주의 이론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

다.

파울러는『신앙의 단계들』에서 자신의 심리학적인 기초를 언급하면

서 자신이 많은 발달이론가의 책을 읽고 도움을 받았지만 삐아제, 콜

버그, 에릭슨의 사상세계에서 엄청난 풍요로움을 발견하였으며, 이들

세 사람이 자신의 책의 기둥과 기초 역할을 하였다고 고백하고 있

다.67) 덕스(Dennis Dirks) 역시 파울러의 이론이 삐아제, 콜버그, 그

리고 에릭슨의 연구에 가장 분명한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 세 사람이

그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이 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 이것은 타당

한 평가이다.68) 그러므로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발달주의 이론을 간과할 수 없다.

이제 신앙발달이론의 심리학적 배경이 되고 있는 각 발달이론가들의

이론을 간단히 살피고, 그들의 이론이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2.2.1. 삐아제와 파울러

삐아제(Jean Piaget, 1896-1980)는 발달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스위스의 유전인식론자(genetic epistemologist)로서 어린이들의

내면에서 인지적인 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최초로, 그리

고 체계적으로 연구한 인물이다. 삐아제는 스위스의 뉴차텔

(Neuchatel)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아버지가 중세문학을 전공한 역사

학 교수인 관계로 어려서부터 학문적인 환경 가운데서 성장할 수 있었

다. 그는 어려서부터 동물을 관찰하는 일에 흥미를 가져 열 살 때에

처음으로 관찰 논문을 출판하였다. 그는 11세부터 15세 때까지 뉴차텔

의 자연사 박물관장을 도우며 연구하게 되었으며, 15세에 조개에 관한

연속적인 논문을 발표하였다. 삐아제는 18세에 뉴차텔 대학교

(University of Neuchatel)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1914), 21세에 생물

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921).69) 그는 연체동물학(malacology)을

67) Ibid, 39.

68) Dennis Dirks, "Faith Development", M. Anthony, ed. Evangelical Dictionary

of Christian Education, 286.

64 복음과 교육 제3집

공부하고, 생물학과 철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철학과 정신분석학에 매

우 몰입되어 있었다.70) 그는 청소년기에 철학과 정신분석의 두 분야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였고, 아울러 생물학과 철학의 교차점에서 연구

해왔는데, 이와 같은 학문적인 배경으로 말미암아 심리학에 있어서 독

특한 연구방법과 이론들을 발전시킬 수가 있었다.71)

박사 학위를 받은 후에 삐아제의 관심은 심리학으로 옮겨갔는데,

1921년부터 제네바에 있는 ‘루소연구소’(Jean-Jacques Rousseau

Institute in Geneva)에서 책임자로 일하면서 이 시기에 4-12세의 어

린이들을 면담한 결과 어린이는 꿈, 도덕성 등 여러 주제에 있어서 8

세 이후의 어린이와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의 사고를 한다는 점을 발견

하였다. 그는 이후에 제네바에 있는 국제발생론적 인식론 연구소

(Center International d' Epistemologie Genetique)에서 계속적인 연

구를 통해 지식에 대한 생물학적 설명을 시도하고 이 분야에서 명성을

얻게 되었으며,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관심을 얻게 되었다.

그리하여 삐아제는 하버드 대학교(1936), 솔본느 대학교(1946), 부르

셀 대학교(1949)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고, 1969년에는 미국 심리

학회에서 탁월한 과학자에게 주는 특별상(Distinguished Scientific

Award)을 받았다. 1975년에 삐아제는 루소연구소에서 은퇴하였지만,

1980년 그가 사망 때까지 계속 연구에 몰두하여 40권의 책을 저술하였

고, 수백 편의 논문들을 발표하는 가운데 인지적 발달이론을 체계화시

켰고,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얻게 되었다.72)

삐아제의 관심은 몸과 정신의 상호작용을 묘사하기 위해 유전적 인식

론을 체계화하는 것이었는데, 인간의 지적발달과 어떤 것을 알게 되는

방법은 유전적인 요소 곧 생물학적 발달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생각하

였다.73) 삐아제는 생물학에서 유기체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그 구

69) William Yount, Created to Learn: A Christian Teacher's Introduction to

Educational Psychology (Nashville: Brodman & Holman Publisher), 76-77.

70) Fowler, Stages of Faith, 44.

71) Ibid.

72) Yount, Created to Learn, 76-77.

Page 14: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65

조를 발전시켜 가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인간의 지능의 문제에 적용

시켜 인간이 환경의 요구에 따라 인지구조(cognitive structure)를 끊

임없이 재구성해 간다고 보았다.74) 그의 관점에서 보면 정신적인 성숙

은 그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정신적인 능력을 습득하는 것

이며, 지적인 능력이란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인지발달을 이해하는 것은 지적인 능력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변화해가는 것을 이해하는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삐아제에 따르면 인지는 인간의 정신적 사고과정을 의미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생물학적 성숙만이 아니라 경험의 영향도 받는다.

인지적 성장은 영아기에 급속도로 이루어지는데, 몇 가지 반사능력만

가지고 태어난 신생아는 점차 목적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는 존재로 성

장하게 된다.75) 이러한 성장은 어린이들과 성인들이 실제로 다르게 성

장하는데, 성숙의 과정에서 지식의 기초가 넓어지는 양적인 변화

(quantitative change)가 이루어지며, 사고방식의 논리도 변화하며 복

잡성이 증가되는 질적인 변화(qualitative change)가 함께 이루어진

다.76)

삐아제의 인지적 발달이론은 적응(adaptation)과 평형(equilibrium)

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적응은 두 가지 상호보완적인 기제인 동화

(assimilation)와 조절(accommodation)의 통합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

고, 평형은 현재의 인지구조와 새로운 정보간의 균형을 회복하는 과정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동화와 조절을 통해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

라고 할 수 있다.77) 모든 유기체는 환경에 적응하는 경향성을 타고난

다. 인지적 갈등(cognitive conflict)이 생기게 되면 불평형

(disequilibrium)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삐아제는 인지적 발달을 자

극하는 세 가지 요인으로 성숙(maturation), 경험(experience), 그리

고 사회적 전달(social transmission)로 보고 있다.

73) Perry Downs, Teaching for Spiritual Growth: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Zondervan, 1994), 82-83.

74) 신명희 외,『교육심리학의 이해』(서울: 학지사, 2004), 45.

75) 정옥분,『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서울: 학지사, 2004), 217-218.

76) Ronald Habermas & Klaus Issler, Teaching for Reconciliation, 80.

77) 신명희 외, 『교육심리학의 이해』, 46.

66 복음과 교육 제3집

삐아제는 인지적 발달과정을 네 단계 즉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출생-2세까지),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 구

체적 조작기(concrete period: 7-11세),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1 혹은 12세경)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인지

적 발달의 특징이 있음을 보여준다. 감각적 운동기는 감각이나 운동

활동을 통하여 환경을 경험해 나가는 생의 출발기이다. 아동의 행동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이 때 자극은 감각이고 반응은 운동으로 나타

난다. 이 시기에 유아들은 처음으로 감각적 인식과 움직이는 활동을

통하여 그들의 세계를 탐험하고 초기 몇 년 동안에 여러 가지 개념들

과 능력들을 발달시킨다. 이 시기에 대상연속성(object permanance)

개념을 갖게 된다.

학교에 들어가기 직전까지의 전조작기에는 언어가 점차 발달하고 언

어와 사고가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있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상상, 그

림, 꿈, 가장놀이, 제스추어, 언어 등 상징적 수준에서 그들의 세계를

탐험하기 시작하는데, 성인들의 행동의 모방을 통하여 세계에 적응하

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 시기에는 사물에 대한 사고능력에서 큰 발

전을 보이게 되며, 상징놀이, 자기중심적인 사고, 물활론적 직관적 사

고가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다.

학령아동기에 해당하는 구체적 조작기 동안에 어린이들은 구체적인

물체를 정신적으로 조직하고 분류하는 조작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되

고, 수학적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논리적으로 구체적인 문제들을 해

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며 가역성을 습득하게 된다.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형식적 조작기 동안 청소년들은 구체적이며 실체

적 물체뿐만아니라 사상과 아이디어에 대해 생각하는 정신적 조작의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면서 사고가 점차적으로 과학적이 되고, 복잡한

언어과제나 가설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78)

이처럼 질적으로 다른 단계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고 단계가 높

아질수록 복잡성이 증가한다.

78) Ibid., 48-57.

Page 15: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67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인지 발달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취학전 아동능력에 대해서는 과소평가하

고 청소년이나 성인들의 능력에 대해서는 과대평가하고 있다는 점, 발

달단계에 대한 설명은 충분하지만 그 발달의 기제에 대해 충분히 설명

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 그리고 각 단계의 발달이 극적인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 비판을 받고 있는 점

이다.79)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은

세상을 이해하는 나름대로의 틀을 가지고 있는 적극적인 사고가 있기

때문에 참여 학습이나 발견 학습 등 아동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유

도할 것을 강조한다는 점과 지식은 일련의 단계를 지나면서 발달되는

논리-수학적인 조작(logic-mathematical operations)의 체계에 의해

구성되므로 교사는 아동들의 개념발달 수준과 과제의 복잡성을 연결시

켜 가르침의 방법에 유의해야 한다는 교육적인 함의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80)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에 한 기초석을 형성

할 정도로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파울러는 자신의 발달이론에서

신앙의 일곱 가지 요소 가운데 논리의 형태(form of logic)는 삐아제

의 인지적 발달이론 위에 구축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81) 파울러는

신앙의 논리성을 강조하면서 신앙이 반논리적이거나 비논리적인 것이

아니라 논리적인 형태를 띄고 있다고 생각한다. 신앙발달이론은 인지

적인 발달과 깊은 관련을 지닌다. 신앙은 단순히 인간의 내재적 본성

을 개발하는 정도가 아니라 범죄한 인간의 구원을 위해 이 땅에 온 하

나님과 그의 계시를 이해하는 것이고 이는 인지적인 능력의 사용을 필

요로 하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과 창조세계의 이해를 위하여 이성과

지각을 사용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히5:13-14). 파울러의 신앙발달

단계는 삐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와 유사성을 갖게 되는데, 신앙의 여섯

단계 가운데 1단계는 전조작기, 2단계는 구체적 조작기, 3단계는 초기

형식적 조작기, 4단계는 형식적 조작기 등으로 삐아제의 다섯 단계와

79) Ibid., 57-58.

80) Ibid.

81) Fowler, Life Maps, p. 39.

68 복음과 교육 제3집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82)

2.2.2. 에릭슨과 파울러

신앙발달이론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또 다른 심리학자는 사회심리발

달이론(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의 창시자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 1902-1994)이다. 그는 인간의 생애의 8단계로 구분하여

자아와 타인에 대한 풍성한 이해를 열어준 인물로 생애주기 연구의 창

시자이다. 그는 어린이 심리분석가로 일하며 아동기에 대한 통찰력 있

는 저술을 남긴 인물이며, 심리전기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마틴 루터

(Martin Luther),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마하트마 간디

(Mahatma Gandi) 등의 심리전기를 내었던 인물이다.83)

1902년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난 에릭슨은 아동심리분석가가

되기 전까지 과학적인 훈련을 받은 적이 없이 미술을 공부한 사람이었

다. 그는 프로이드(Sigmund Freud)의 딸인 애나(Anna Freud)와 함께

정신분석학을 공부하고, 이 분야의 자격증을 받은 후 덴마크를 거쳐

미국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는 인간발달에 있어 사회적 맥락을 중

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강조함으로써 프로이드의 다섯 단계에 걸친 심

리적 발달을 확장하여 인간생애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8단계로 체

계화하였다. 그는 인간발달에 대해서 생애적 접근을 시도한 첫 인물이

다. 프로이드가 비정상적인 성심리 발달과정에 대한 강조를 하였던 것

과 달리 에릭슨은 정상적인 발달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은 그의

이론을 일반화하는데 유익이 있다고 할 수 있다.84)

에릭슨은 1902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으나 그가 출생한 후

얼마되지 않아 그의 어머니가 소아과 의사 데오드로 홈버그(Theodore

Homburger)와 재혼함에 따라 에릭슨은 어린 시절 양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에릭 홈버그(Erik Homburger)라 불리웠다. 이 일로 에릭슨은 개

인적인 혼돈에 빠지게 되고 어린 시절의 그러한 경험이 훗날 그의 사

82) Fowler, Stages of Faith, 244-245.

83) Fowler, Becoming Adult, Becoming Christian, 20-21.

84) Robert Pazmino, Foundational Issues on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Baker Books, 1997), 200.

Page 16: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69

고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고 회고한다. 그의 생애와 학문에 있어서

결정적인 변화의 계기는 고등학교 졸업 전 학교를 떠난 후에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림을 위해 유럽의 미술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유럽을 여행

하는 가운데 나타나게 되었다. 그는 그림을 그리는 가운데 두 미술학

교를 거치며 명성을 얻게 되었고, 1933년 한 어린이의 초상을 그리기

위해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한 빌라에 초대를 받아갔었는데 그 어린이

의 아버지가 프로이드였다.

몇 주 후에 에릭슨은 프로이드로부터 비엔나 심리분석연구소에 입학하

도록 초대를 받았고, 그는 어린이 심리분석가로 생애 소명을 얻게 되

었다. 그는 졸업 후는 이 연구소에 전임으로 일하게 되었고, 어린이

교육에 관심이 있었던 에릭슨은 비엔나에서 몬테소리 교육(Montessori

Group)을 연구하였다. 1933년 히틀러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게 되자

그와 가족은 덴마크를 거쳐 미국으로 이민하여 보스톤에서 거주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에릭슨은 어린이 분석가로서 메사추세츠 병원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과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Harvard

Medical School)에서 임상의(clinician)로 일하기 시작했다.85) 그는

여러 경험을 거쳐 상당한 명성을 얻고, 1936년부터 예일 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하였으며, 1939년부터는 UC 버클리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에 일하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이주하게 되었

다.

그는 아메리카 인디언, 비정상 어린이, 제2차 세계대전 후 귀환한 군

인들에 대해서 공부하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다양한 연구와 경험은

개인의 인성발달에 있어서 사회와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기회가

되었다. 에릭슨은 첫 저서 『아동기와 사회』(Childhood and Society,

1950)에서 인간의 생애를 여덟 단계로 구분하여 사회성 발달이론을 구

체화하였는데, 그의 이론은 그 해 ‘아동에 관한 백악관 협의

회’(White House Conference on Children)에서 받아들여져 미국교육

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는 계속하여『청년 루터』(Young

Man Luther, 1958),『정체성과 생애주기』(Identity and the Life

85) Les Steele, "Power of Erikson", J. Wilhoit & J. Dettoni, ed, Nurture That isChristian (Grand Rapids: Baker Books, 1995), 92.

70 복음과 교육 제3집

Cycle, 1959),『통찰과 책임』(Insight and Responsibility, 1964),

『정체성: 청소년과 위기』(Identity: Youth and Crisis, 1968),『간

디의 진리』(Gandi's Truth, 1969),『노년기에서의 역동적인 환경』

(Vital Environment in Old Ages, 1986)등을 출간하였으며 1994년 죽

기까지 많은 논문으로 이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86)

파울러는 ‘해석자들의 집’에서 연구하고 여러 사람들을 면담하던 시

기에 에릭슨의 글을 깊이 있게 탐독하여 에릭슨은 매우 특별한 스승이

고 동료였다고 했다.87) 파울러는 에릭슨에게서 삐아제보다 더 많은 영

향을 받았음을 확인하면서, 『신앙의 단계들』에 대한 최초의 예비적

인 개요는 에릭슨의 이론에 상당히 의존하였다고 했다. 파울러는 그

자신이 인간생애에 대한 여덟 단계에 대한 에릭슨의 작업을 듣게 되었

을 때 그 자신이 신앙발달이론을 분류하고 조직화 할 수 있었으며, 그

시기에 자신의 신앙발달이론이 배아되었다고 밝히고 있다.88)

에릭슨은 프로이드의 다섯 단계의 정신분석적 개념을 확장하여 8단계

의 성격이론을 만들었는데,89) 그의 이론은 사회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선천적인 경향성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사회심리발달이론이라고도 불

리워진다.90) 에릭슨은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했던 프로이드와

는 달리 정상적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에릭슨은 인격의 발

달은 일평생을 두고 일어난다고 보고, 이를 영아기, 초기와 중기 아동

기, 학령기, 청소년기, 초기 성인기, 성인기, 노년기 등 8단계로 나누

었다가,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노령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됨에 따라 그의 생애 말기에 최노년기(very old

age)를 추가하였다.91) 에릭슨은 각 시기 마다 나타나는 사회심리적인

86) Yount, Created to Learn, 47-48.

87) Fowler, Stages of Faith, 38.

88) Ibid, 272; Fowler, Life Maps, 16.

87) Harley Atkinson, "Eric Erikson", M. Anthony, ed., Evangelical Dictionary of

Christian Education, 253; Ellery Pullman, "Life Span Development", M.

Anthony, ed., Introducing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1), 64-67.

90) 신명희 외,『교육심리학의 이해』, 69.

91) Erik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997), 105-114; Ellery Pullaman, "Life Span

Page 17: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71

위기를 갈등으로 이해하고, 각 시기에 극복해야 할 과제로 신뢰감 대

불신감(trust vs. mistrust),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autonomy

vs. shame and doubt), 자발성 대 죄책감(initiative vs. guilt), 근

면성 대 열등감(industry vs. inferiority),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돈

(identity vs. role confusion), 친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gnation), 자아통

합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그리고 불멸 대 소멸

(immortality vs. extinction)로 설명하고 있다. 각 단계의 중요한 특

징은 다음과 같다.

영아기(출생부터 2년)는 신뢰감과 불신감의 단계로 유아기 동안 세상

에서 기본적인 신뢰감을 갖는 것이 목표이다. 이 단계는 유아 자신이

신뢰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아는 것은 물론 다른 사람을 신뢰할 수

있는 존재가 되는 것으로, 이 단계의 신뢰감은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

를 통해 형성된다. 이 시기에 신뢰감을 갖지 못하면 무력감이 나타나

고, 그 무력감은 훗날 생의 좌절의 원천이 된다.

초기 아동기(2-3세)는 유아기로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의 단계로

자율성을 발전시켜야 하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는 다른 사람들과의 충

분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은 보유하려는 욕구와 보내려

하는 욕구를 함께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독립심과 힘에 대한 욕구는

어른들과 부딪치게 된다. 이 시기에는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정도를 스스로 발견하는 과업이 요구되는데, 지나치게 엄격한 육아방

식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수치심과 의심을 갖게 할 위험이 있다.

중기 아동기(놀이기: 4-6세)는 자발성 대 죄책감의 단계로 언어능력

과 운동능력이 성숙하면서 물리적 환경을 탐색하는 시기로서 모든 면

에 공격적이고 활력이 넘쳐나는 특성을 보인다. 이같은 특성으로 인해

아동들이 주도적으로 행동할 때 성인들이 심하게 꾸짖게 되면 아동들

Development", 64-65. 국내의 최근의 저서들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정옥

분, 『발달심리학』. 43-48; 신명희 외, 『교육심리학의 이해』, 69-73.

72 복음과 교육 제3집

은 자신들의 자연적인 추진력에 대해 죄의식을 느끼게 된다.

학령기(6-11세)는 근면성 대 열등감으로 학교생활을 하면서 사회적

세계가 넓어지게 되는 시기로서, 부모의 영향력은 줄어들고 교사와 친

구의 영향력이 확대된다. 이들이 무엇을 하려고 할 때 성공하면 근면

성이 개발되고 실패하면 부정적인 자아상과 무력감을 갖게 된다.

청소년기(12-18세)는 정체감 대 역할혼돈이 대립되는 단계로 친구들

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며 나는 누구인가를 질문하게 된다. 이 시기의

가장 큰 과제는 자아정체감을 갖는 일인데 부모로부터 독립을 성취하

지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자신을 찾으려 한다.

초기 성인기(18-30세)는 친밀감 대 고립감이 대립하는 단계로 이전

단계에서 자아정체감을 확립한 젊은이들은 자신의 삶을 함께 나눌 사

람들을 찾게 된다. 이들은 다양한 방면에서 경쟁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사람들과 친밀감과 신뢰관계를 맺을 준비가 되어 있다. 친밀감

을 추구하지 않거나 실패할 경우 그들은 고립된다.

중기 성인기(30-65세)는 생산성 대 침체성이 대립되는 단계로 생산

성은 다음 세대를 기르고 이끌어주는 데 대한 관심을 의미하는 것으로

계속하여 성장하지 못할 경우 대인관계에 부족을 느끼게 되고 자기 자

신에 대한 몰두와 탐닉에 빠지게 된다.

노년기(60-75세)는 통합 대 절망이 대립하는 단계로 자신의 삶을 돌

아보고 자신의 마지막 정체감 위기를 해결한다. 자신의 업적, 실패,

긍극적인 한계의 수용은 통합감을 갖게 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받아들인다.

마지막 단계인 최노년기(75세-죽음)는 불멸과 소멸의 대립이 이루어

지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는데, 죽음

을 받아들이고 희망을 갖거나 그렇지 못하는 일로 충돌될 가능성이 있

Page 18: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73

다. 이 단계에는 종교적인 차원이 있다고 할 수 있다.92)

에릭슨의 사회심리발달이론은 부모나 교사들이 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서 아동들이 발달과정에서 겪는 갈등의 유형들을 이해하고 그들을 받

아들이고, 그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일에 유용성이 있다. 에릭슨의

이론은 교사와 부모들은 아동의 실패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며, 실패하는 이들을 격려하고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긍정

적인 요소가 있다. 교회 공동체 역시 아동들이 처한 사회적 상황을 고

려하여 공동체 전체의 교육적인 책임을 인식하고 이들을 도와주는 것

도 중요한 교육적 과제가 될 것이다.93)

신 앙발달이론은 에릭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는 영아기와

원시적 신앙단계, 청소년기와 종합적 관습적 신앙단계의 구조적인 일

치만이 아니라 그 내용에 있어서도 많은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신

앙발달이론에는 세계관의 형태나 사회인식의 테두리 또는 상징적 기능

과 같은 에릭슨적인 요소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에릭슨의

주된 관심인 자아와 사회, 문화와의 관계는 파울러의 신앙이해와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94)

2.2.3. 콜버그와 파울러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에 영향을 미친 또 다른 발달심리학자는 예일

대학교와 시카고 대학교를 거쳐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였던 로렌스 콜

버그(Lawrence Kohlberg, 1927-1987)이다. 콜버그는 유복한 환경에서

자라 어려서부터 엘리트를 위한 사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영국 상선에 들어가 일하는 가운데 유대인들을 유럽에서

팔레스틴으로 이송하는 일을 위해 봉사하였다가 그 배가 영국군에 의

해 부딪치고 파선되어 그로 인해 여성과 아이들을 포함하여 여러 사람

들이 죽는 것을 경험했다.95) 그는 곧 바로 키프러스에 있는 억류 캠프

에 보내졌고, 이 때 유대인들을 나찌로 부터 구하는 도덕적인 정당함

92)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105-14.

93) 신명희 외, 『교육심리학의 이해』, 83-74.

94) 박원호,『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 135.

95) Yount, Created to Learn. 108. 이 시기의 Kohlberg의 경험은 그의 도덕발달

이론에 대한 연구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Fowler, Stages of Faith, 45-46.

74 복음과 교육 제3집

이 영국에 의해 불법으로 선언될 수 있음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그곳

에서 법과 합법적인 당국자들을 어떻게 정당하게 불순종할 수 있는지

를 생각하게 되었다.96)

억류로부터 돌아온 콜버그는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에 입학한 지 2년 만에 졸업을 하고, 1948년에 박사과정에 등록하였

다. 그의 일차적인 관심은 홀로코스트(Holocaust)와 그의 억류에 의해

자극된 사건을 도덕적으로 추론(moral reasoning)하는 것이었다. 콜버

그는 부르노 베텔하임(Bruno Betellheim)에게서 심리학을, 칼 로저스

(Carl Rogers)에게서 인문주의를, 제이콥 게비르츠(Jacob Gewirtz)에

게서 행동주의를 배웠으나 사람들이 직면하는 도덕문제를 부적절하게

다루는 이들 사회화이론들을 완전히 수용하기를 거절하였다.97) 그래서

삐아제의 인지발달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심리학을 연구하면서

도덕적 추론의 가능성에 새로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관심은 박사학위 논문 ‘도덕적 발달단계들에 대한 연구’(A Study of

the Stages of Moral Development)의 틀을 개발하게 했다. 콜버그는

1962년 시카고 대학교와 ‘어린이 심리학 훈련 프로그램 연구소’의

조교수가 되었다가 1968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의 ‘도덕발달과 교육 센터’(Center for Moral

Development and Education)의 소장으로 함께 일했으며, 그 후 영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자유중국, 터어키를 포함한 9개국의 어린이와 성

인의 도덕발달 연구를 위해 20년간 일했다. 그는 1987년 59세의 나이

로 의문스럽게도 보스톤 항구에서 떨어져 자살하였다.

파울러는 하버드 시절 콜버그와 함께 연구하였는데, 그에 대해 좋은

동료로서, 그리고 친구로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연구해 왔다고

회고하고 있다.98) 이 시기에 콜버그는 존 듀이의 발달주의적인 사상노

선과 삐아제의 실험적인 연구를 따랐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도덕발달

96) Catherine Stonehouse, "Power of Kohlberg", J. Wilhoit & J. Detone, ed.,

Nurture That is Christian, 61; Perry Downs, Teaching for Spiritual Growth,

99.

97) Yount, Created to Learn, 108.

98) Fowler, Stages of Faith, 41.

Page 19: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75

에 대한 탐구의 기초를 닦게 되었다. 콜버그는 특히 삐아제의 초기의

두 단계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도덕법칙에 대한 어린이들의

이해와 사용에 대한 인식구조 발달과정과 도덕적 추론(moral

reasoning)의 발달이론을 체계화함으로써 도덕발달에 관한 가장 영향

력 있는 인물이 되었다.99) 파울러는 『신앙의 단계들』에서 콜버그와

의 가상적인 대화를 통해 그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히고 있다.100)

콜버그는 “단계와 위계”(Stage and Sequence, 1969), “사실에서 당

위로”(From is to Ought, 1971), “도덕 단계와 도덕화 과정”(Moral

Stages and Moralization, 1976), “가역성으로서의 정의”(Justice

as Reversibility, 1981) 등의 의미 있는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이 네

논문은 다양한 심리학적 문제와 철학적 문제에 대한 논의와 함께 콜버

그의 단계위계성에 대한 기술, 도덕추론의 채점방법상의 변화에 대한

논의, 그리고 도덕규범과 신념은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도덕발달은 단

계적이고 불변적인 계열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요지의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논문들은 많은 지지와 비판을 함께 받아왔는데, 1980년

대 초까지 상당히 정교하게 수정되었으며, 이론과 측정도구의 경험적

타당성도 확보하게 되었다.101) 그리하여 1981년경 자신의 지난 20년간

의 종단연구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도덕발달의 철학』(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도덕발달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Moral Development),『교육과 도덕발달』(Education

and Moral Development) 등 세 권의 책을 출간하였다. 1983년에는 자

신의 도덕발달이론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도덕 단계들』(Moral

Stages: A Current Formulation and Response to Critics)을 출간하였

다.

콜버그는 자신의 도덕발달이론을 체계화하기 위해 10세에서 16세 사

이의 미국 소년들 75명을 표본으로 하여 20년 동안 3년을 간격으로 그

99) Downs, Teaching for Spiritual Growth, 99.

100) Fowler, Stages of Faith, 42-88.

101) Lawrence Kohlberg, Charles Levine, Alexandra Hewer, Moral Stages: ACurrent Formation and Response to Critics, 문용린 역,『콜버그의 도덕성이

론』(서울: 아카넷, 2000), 17.

76 복음과 교육 제3집

들의 도덕적 추론과정에 대한 횡단적 연구를 하였다. 다문화적인 연구

도 함께 이루어져 이러한 폭넓은 연구를 통하여 콜버그는 도덕적 추론

의 발달단계를 체계화할 수 있었다. 콜버그가 체계화한 도덕발달이론

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협약을 의미하는 인습(convention)을 중심으로

세 차원의 여섯 단계로 도덕적 인지를 구분하고 있다. 콜버그는 도덕

적 사고와 추론은 질적으로 변화하는 유형들 속에서 발달의 일정한 순

서를 따른다. 그가 제시하는 세 차원은 인습이전 차원

(pre-conventional level), 인습적 차원(conventional level), 그리고

인습이후 차원(post-conventional level)인데, 각 차원은 다시 두 단

계로 나누어진다. 콜버그에 의하면 대개의 경우 어린이들은 10세 이전

에는 인습이전 단계를 통과할 수 없는데, 상과 벌을 주는 권한을 가진

사람에게 순종하며, 대개의 청소년들과 성인들은 도덕적 사고에서 관

습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보고 있다. 도덕적 사고는 20세 이후에 나

타나며 극소수의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 도덕적 가치와 원리들에 의해

자율적인 정의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

게 하여 형성되고 체계화된 콜버그의 도덕발달은 인습 이전 차원에서

는 순종-벌의 경향(obedience-punishment orientation), 개인적인 흥

미 경향(personal-interest orientation), 인습적 차원에서는 착한 소

년 멋진 소녀 경향(good boy-nice girl), 사회질서 유지 경향

(authority-social order orientation), 그리고 인습이후 차원에서는

사회계약 경향(social contract orientation), 마지막으로 양심의 경

향(conscience orientation) 등으로 발전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인습

이전 차원은 자기중심적인 경향을 보이고, 인습차원은 어느 정도 타자

중심적이며 인습이후 수준은 타자중심적적인 도덕적 수준을 보인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그가 제시하는 단계가 불변의 순서인가

라는 문제, 문화적 보편성과 관련된 문제, 도덕적 사고와 행동의 문

제, 그리고 이 연구가 남성을 중심으로 한 것이므로 여성의 도덕적 추

론과 도덕발달 단계와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

가 있다.102) 파쯔미뇨는 콜버그의 이론에 대해 인간의 도덕적 발달은

102) Gilligan은 콜버그의 이론의 남성편향적인 경향에 대해 비판하고, 그의 이론이

여성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발달단계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Carol

Page 20: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77

도덕적 추론 이상의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도덕적 발달의 최고 수준을

인간의 자율성의 관점에서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기독교적인 관점에

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평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콜버그의 이론

은 교회교육에 유익한 측면이 있는데, 도덕 내용의 중요성, 도덕적 행

동의 중요성, 신뢰하는 관계의 중요성, 그리고 사랑의 공동체의 중요

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어린이 사역을 포함한 교회교육에 중요한 시

사점을 준다고 평가된다.103) 개혁주의 기독교철학자인 월터스톨프

(Nicholas Wolterstorff)는 콜버그가 내용이나 본질을 상대적으로 배

척하고, 형식에 관심을 갖는다는 비판을 하고,104) 개혁주의 교육철학

의 입장에서 어린이가 기독교적인 가치관을 가지면서 책임있는 행동

(responsible action)을 위한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월트스톨

프가 제시하는 교육방법은 어린이가 상황을 올바로 인식하고 기꺼이

행동할 수 있도록 부모, 교사, 친구는 분명한 도덕적인 기준을 가지고

본보기를 보여주며, 어린이에게 깊은 애정을 주는 동시에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해주는 소위 경향성 학습의 방법이다.105)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연구를 한 단계

더 진전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신앙발달이론의 최초의 개요는 에릭슨

의 영향 아래 시작되었으나, 콜버그의 영향을 받아 각 단계의 구조적

인 설명을 보다 진전시키게 되었다. 파울러가 신앙의 구조와 내용을

보다 엄격하게 구별하면서 신앙발달이론을 정교화시키는 과정에는 콜

버그의 영향이 지대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106) 파울러는 신앙에 있어

서 합리성과 감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는 신앙발달이론에서 도

덕적 판단을 신앙의 일곱 가지 요소 가운데 하나로 도입하고 있다. 파

울러의 신앙발달이론에서 종합적 관습적 단계는 콜버그의 도덕발달이

론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콜버그의 여섯

Gilligan, In a Difference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103) Lawrence Richards, Children's Ministry: Nurturing Faith within theFamily of Go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3), 159-162.

104) Nicholas Wolterstorff, Education for Responsible Action (Grand Rapids: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79-100.

105) Ibid., 109.

106) Fowler, Stages of Faith, 272.

78 복음과 교육 제3집

째 단계나 파울러의 보편화된 신앙의 단계가 서로 유사성이 많은 것은

파울러와 콜버그의 학문적인 동반자적인 관계에서 비추어 볼 때 자연

스러운 일이다.

2.2.4. 융과 파울러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심리학적인 배경으로 현대 분석심리학의 창

시자인 칼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

다. 융은 스위스의 작은 도시 케스빌(Kesswil)에서 스위스 개혁교회의

성직자의 가정에서 태어나 1895년부터 5년간 바젤 대학교(Basel

University)에서 공부하였다. 그는 의사가 된 후 쮜리히 대학교의 정

신병리학 교수로서 정신의학 크리닉에서 일하였다. 그는 정신의학적인

작업과 교수와 연구로 이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업적을 남겼는데,『심

리분석이론』(The Theory of Psychoanalysis, 1915),『양심의 심리

학』(Psychology of Unconscious, 1925),『현대인의 영혼의 탐구』

(Modern Man in Search of a Soul, 1933),『심리학과 종교』

(Psychology and Religion, 1938),『인격의 통합』(The Integration

of Personality, 1939) 등의 주요 저서가 있다.107)

융은 1906년 부터 프로이드와 협력하여 동료로 일하면서 그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가 프로이드의 이론에 반대하여 결별하기 까지 7년 동안

프로이드(Sigmund Freud)와 함께 동료로 활동하였다. 그는 프로이드의

초기정신분석학이 인간의 심층심리를 분석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생물

학적 결정론에 사로잡히고 성에 대한 해석으로 인간의 모습을 왜곡했

다고 이해함으로써 애들러(Alfred Adler), 셜리반(H. S. Sullivan)등

과 함께 프로이드와 결별하였다. 프로이드와 구별하여 후기 정신분석

학파로 명명되는데, 이들은 인간의 성격형성이나 행동에 있어서 중요

한 요인은 후천적으로 획득한 사회 문화적인 요인이라고 이해하였는

데, 이들의 관점은 오늘날 프로이드의 이론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융은 1911년부터 국제심리분석학회(International

107) Harley Atkinson, "Carl Gustav Jung", Michael Anthony, ed., EvangelicalDictionary of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1),387.

Page 21: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79

Psychoanalytical Association)를 창립하고 1914년 까지 첫 회장으로

일했다.

개성화이론(individuation theory)으로 불리워지는 융의 연구는 기독

교교육과 영적형성에 교차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성화

에 대한 그의 개념과 인간발달에 있어서 상징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종

교교육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고도 폭넓게 수용되어 왔다.108) 개성화는

인간의 성숙을 기술하기 위한 융의 핵심용어로서, 인간은 개별적으로

독특한 개체인간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성화는 아동기와 사춘기 동

안에 일어난 일에 대하여 상당히 영향을 받지만, 35세 혹은 40세 이후

인 중년기에 성취된다. 융에 의하면 개성화에 이르는 중요한 방법은

상징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인데 이 상징들은 인간의 꿈과 환상, 언

어와 전통과 집단적인 무의식 가운데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그는 우

리의 가장 심오한 상징들 가운데 일부는 기독교 초기에 나타났으며,

그 상징들에 대한 깊은 탐구는 보다 풍부하고 보다 성숙한 삶으로 인

도할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상징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109)

파울러는 융의 개성화이론이 자신의 신앙발달이론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밝히고 있다.110) 특히 에릭슨과 융에 의해 사용된 정신분석

학과 심층심리학적 접근에 깊이 영향을 받았음을 언급하고 있다. 파울

러는 에릭슨의 사회심리이론과 융의 개성화이론이 자신이 명시적으로

의식하지 못한 인간발달의 역동성과 합리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개인적인 발달의 과정에서 상징적인 기능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111)

2.3. 파울러의 학문방법론

지금까지 고찰한 신앙발달이론의 배경은 파울러의 독특한 학문방법론

108) Craig Dykstra, “신앙발달의 문제와 종교적 양육”, Taylor 편, 이기문역,『기

독교교육의 새방향』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85), 127.

109) Ibid., 128.110) Fowler & Keen, Life Maps, 35, 37.111) Ibid., 37.

80 복음과 교육 제3집

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 탐구한 것과 같이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은

파울러의 신앙적 배경과 학문적 순례과정, 그리고 신학적 배경과 심

리학적인 배경이 어우러져 배태하게 된 것이다. 니버의 신학탐구를 통

해 시작된 그의 학문적인 출발은 틸리히와 스미스의 이론을 엮어 신학

적인 기초로 삼고, 나아가 에릭슨, 삐아제, 콜버그 등 발달심리학자들

의 이론과 만나 서로 융합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이론에 영향을 받으

면서도 신학과 심리학의 각기 다른 학문적인 성격을 하나로 통합시키

고 있다. 이러한 파울러의 학문방법론을 학제간 연구방법

(interdisciplinary method)이라고 부른다. 파울러는 이 학제간 연구

를 통하여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은 물론, 심리학 안에서도 서로 뿌리

가 다른 구조주의 심리학과 역동주의 심리학을 독특한 방식으로 하나

로 통합하여 신앙발달이론의 심리학적 기초를 구축해 내고 있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탐구와 체계화는 트레이시가 제시한 수정주

의 방식처럼 철학, 신학, 심리학, 사회과학, 그리고 역사와 현실 등

다양한 인접학문과 깊은 대화를 통해 이루어 진 것이다. 파울러는 신

앙발달이론이 형성하게 된 그의 학문방법론 곧 학제간 연구방법 구도

를 (그림 1)과 같이 도식화하여 제시하고 있다.112)

112) James Fowler, Faith Development and Pastoral Car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7), 19.

Page 22: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81

(그림 1) 파울러의 학제간 연구방법 구도

실천신학

사회 과학적, 조직적,

전문적 연구; 문화적

해석과 예술

성경적, 조직신학적,

윤리적, 철학과 비교

신학적 연구

교회적 실천

현재의 상황과

도전들

성경과 전통

선포 : 성례; 영의 돌봄과

치유; 인격의 형성과 변화;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참여;

행정; 세계에서의 평신도

소명의 지원

이러한 파울러의 연구경향은 기독교교육과 실천신학에서도 활발하게

논의하고 있는 방식인데, 도덕과 종교발달에 관한 제1차 국제협의회에

서 로저스(William Rogers)가 발표한 “도덕과 종교발달에 관한 학제

간 연구방법에 관한 비판적인 개요”(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Moral and Religious Development: A Critical Overview)는 이러한

연구방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113) 이와 같은 방식은 신학 분야에서는

113) William R. Roger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Moral and Religious

82 복음과 교육 제3집

트레이시(David Tracy)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는 현대라는

현상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는가에 따라 정통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

학, 신정통주의 신학, 혁신주의 신학, 그리고 수정주의 신학으로 구분

하는데, 파울러의 방법은 수정주의적인 접근 방식과 같은 유형이

다.114)

신앙발달이론은 삐아제, 에릭슨, 콜버그로 대표되는 현대 발달심리학

의 영향 가운데 형성되었다. 파울러는 스스로 자신의 신앙발달이론의

기둥과 기초 역할을 한 것은 삐아제, 에릭슨, 콜버그 등 세 사람이라

고 밝힌다.115) 실제로 그는 『신앙의 단계들』제2부 ‘가상적인 대

화’에서 여섯 장에 걸쳐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그리고

성인기 등 생애에 이르는 발달상의 특징을 이들 세 사람들의 탐구와

이론을 중심으로 심포지움 형식으로 소개하고 있다.116)

그런데 이러한 발달이론가들의 이론은 그 출발점과 방향에서 서로 일

치하지 않는다. 발달심리학 안에서 삐아제나 에릭슨은 그들의 목표,

방법, 결과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학문적 전통을 가지는 것

이다. 세계라는 지주를 강조하는 삐아제와는 달리 에릭슨은 자아라는

지주를 사용하고 있다. 실험주의적인 학문전통에서 시작된 삐아제와는

달리 프로이드의 영향을 받은 에릭슨은 신경증과 임상병리학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임상경험으로 비롯된 연구방법의 차이를 가지고 있

다.117) 이들의 서로 다른 두 흐름은 구조주의와 역동주의인데 파울러

는 이 두 이론의 통합하여 화학적 결합을 이루어내고 있는 것이다.

구조주의는 인지이론을 발전시킨 삐아제가 그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데, 인간이 어떻게 인식하고 정신은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관심을 가지

고 있다. 이 학파들의 연구방법은 한 사람에게 문제나 딜레마를 제시

Development: A Critical Overview", C. Brusselmans, ed.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ew Jersey: Silver Burdett Company,

1980), 11-50.

114) David Tracy, Blessed Rager for Oder (New York: Crossroad, 1975), 22-56.

박원호,『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 81에서 재인용.

115) Fowler, Stages of Faith, 39.

116) Ibid., 41-88.

117) Gabriel Moran, Religious Education Development: Image for the Future

(Minneapolis: Winston Press, 1983), 24-25.

Page 23: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83

한 후 그 사람이 어떻게 문제에 대한 대답을 구성하는가에 관심을 두

고 있다. 여기에서 당연히 내용적인 측면보다는 어떻게 반응하는가의

형식과 구조에 더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118) 이와는 달리 역동주의

는 프로이드의 기본적 개념과 구조에 발달의 개념과 기본구조를 도입

하고 있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구조에 인간이 현재에 적응하기 위하

여 과거를 현재에 끊임없이 동화시키고 있다는 가정을 받아들이는 것

이다. 인간의 변화 초점이 일생을 통하여 변화해가는 사회적 역할들과

자아의 이미지에 있다고 본다. 이 연구방법은 한 인간이 지나온 과거

를 재구성하는 임상적 면담방법이다. 삐아제와 콜버그는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의 발달과정을 연구해 왔고, 에릭슨과 융은 역동주의적

인 관점에서 인간의 발달과정을 연구해왔다.

파울러는 이와 같이 연결되기 어려운 이 두 학파의 입장을 적절하게

교류시키며 그들의 이론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자신의 이론을 체계화

하고 있다. 파울러는 이들의 이론으로부터 상당한 정도의 영향을 받았

지만 그들의 이론을 단순히 비판하고 수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그들의

이론을 통합하는 자리에 나아간다.

이러한 파울러의 학제간 연구는 발달심리학의 영역 안에서만 이루어

지는 것은 아니다. 파울러는 발달심리학 안에서 두 가지 각기 다른 계

열인 구조주의와 역동주의 발달이론을 통합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신

학과 심리학의 통합을 함께 이루고 있다. 파울러의 신학이 니버와 틸

리히와 스미스의 신학이 그 기조를 이루고 있지만, 이를 토대로 하여

성격이 전혀 상이한 발달심리학을 접목시키고 통합하고 있는 것은 매

우 특이한 것으로 평가된다. 파울러는 자신의 신앙발달이론을 체계화

하기 까지 성경과 신학, 사회과학과 심리학을 적절히 포괄하고 있고,

성경과 전통을 현재의 상황과 연결시켜 교회적인 실천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오스머(Richard Osmer)는 파울러의 연구에 대한 가

장 일반적인 오해들 가운데 하나는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구조주의

발달심리학자들인 삐아제-콜버그 학파의 단순한 확장으로 보는 것이라

118) 김삼복, “파울러의 신앙발달론의 교육현장 적용에 대한 비평적 접근”,『교수논

단』 제4집 (부천: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1993), 133.

84 복음과 교육 제3집

고 비판하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에 대한 평가 역시 삐아제와 콜버

그에 대한 비판을 자동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은 잘못이라는 지적은 파

울러의 학문방법론과 관련하여 볼 때 의미있는 관찰이라고 할 수 있

다.119)

이처럼 파울러의 학문방법론은 종합적이고 복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의 과정을 거쳐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배태하게 되었

고, 성경과 전통을 고려하는 가운데 현재의 상황과 도전을 교회적 실

천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파울러는 교회의 사명은 현재의 경험과 교회

환경의 도전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평가되어야 하고 계속적으로 개혁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시에 교회의 실천(ecclesial praxis)과 현

재의 상황, 그리고 도전은 성경의 전통이라는 해석적이고 규정적인 관

점에 상응하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120)

그러나 이처럼 파울러의 통합적이며 종합적인 연구 방법과 방향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상황을 강조하는 반면 성경과 신학의 전통을 충분하

게 강조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점은 비판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119) Richard Osmer, “Fowler and Reformed Tradition", Christian Perspectiveson Faith Development, 126.; Richard Osmer, A Teachable Spirit, 219.

120) Ibid., 17.

Page 24: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85

참고문헌

김경재. 『폴 틸리히』.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2004,

김삼복. “파울러의 신앙발달론의 교육현장 적용에 대한 비평적 접

근”.『교수논단』 제4집. 부천: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1993.

박만.『폴 틸리히: 경계선상의 신학자』. 서울: 살림, 2003.

박원호. "신앙의 7요소 연구: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중심으로".

『교회와 신학』제23집, 1991.

신명희 외.『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4.

정옥분.『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2004.

Atkinson, Harley. "Carl Gustav Jung", Michael Anthony. ed.

Evangelical Dictionary of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1.

Downs, Perry. Teaching for Spiritual Growth: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Zondervan, 1994.

Dykstra, Craig. “신앙발달의 문제와 종교적 양육”. Taylor 편. 이

기문 역.『기독교교육의 새방향』.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85.

Erikson, Erik.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997.

Fowler, James & Keen, Sam. Life Maps: Conversations on the

Journey. Texas: Word Book, 1978.

________________. To See the Kingdom: The Theological Vision of

H. Richard Niebuhr (Nashville: Abingdon Press, 1974)

______________. "Toward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Faith",

Religious Education 59:.2, (Mar-April 1974), 207-219.

______________. "Faith and the Structuring of Meaning", C.

Brusselmans ed.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86 복음과 교육 제3집

Morristown, New Jersey: Silver Burdett Company, 1980.

______________. Stages of Faith: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San Francisco:

Harper San Francisco, 1981.

______________. "Stages of Faith and Adults' Life Cycles".

Kenneth Storkes ed, Faith Development in the Adult Life

Cycle. New York: W. H. Sadlier, 1983.

______________. Becoming Adult, Becoming Christian. New York:

Harper San Francisco, 1984.

________________. "Dialogue Toward a Future in Faith Development

Studies". C. Dykstra & S. Parks ed. Faith Development and

Fowler. Birmingham: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6.

______________. Faith Development and Pastoral Car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7.

________________. Weaving the New Creation: Stages of Faith and

the Public Church. New York: Harpercollins, 1991.

Gilligan, Carol. In a Difference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Irish, Jerry The Religious Thought of H. Richard Neibuhr. 박종균

역.『리차드 니버의 종교사상』.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Kohlberg, Lawrence, Levine, Charles, & Hewer, Alexandra. Moral

Stages: A Current Formation and Response to Critics. 문용

린 역.『콜버그의 도덕성이론』. 서울: 아카넷, 2000.

Moran, Gabriel. Religious Education Development: Image for the

Future. Minneapolis: Winston Press, 1983.

Neibuhr, H. Richard. The Responsible Self. 정진홍역.『책임적 자

아』.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Nipkow, K. E., Schweitzer, F. & Fowler, J. Stages of Faith and

Religious Education: Implication for Church, Education

Page 25: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87

and Church. New York: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91.

One Ho Park, A Study of Anthropology in James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Ed. D. Dissertation. Richmond: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 1989.

Osmer, Robert. "James W. Fowler and the Reformed Tradition: An

Exercise in Theological Reflection in Religious

Education". J. Astley & L. Francis, ed. Christian

Perspectives on Faith Development. Leominster, England:

Gracewing, 1992.

Pazmiňo, Robert. Foundational Issues on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Baker Books, 1997.

Pullman, Ellery. "Life Span Development". M. Anthony. ed.

Introducing Christian Education .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1.

Richards, Lawrence. Children's Ministry: Nurturing Faith within

the Family of Go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3.

Rogers, William R.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Moral and

Religious Development: A Critical Overview", C.

Brusselmans. ed.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ew Jersey: Silver Burdett Company, 1980.

Smith, Wilfred. Belief and History. Charlottesville, Virginia: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77.

Steele, Les. "Power of Erikson". J. Wilhoit & J. Dettoni, ed.

Nurture That is Christian. Grand Rapids: Baker Books,

1995.

Stokes, Kenneth. ed, Faith Development in the Adult Life Cycle.

New York: W. H. Sadlier, 1983.

Tillich, Paul. Dynamic of Faith. New York: Harper & Row, 1957.

www.candler.emory.edu/ACADEMIC/FCULTY/faculty_Fowler.html#B.

www.ethics.emory.edu/staff/Fowler.htm.

88 복음과 교육 제3집

A study on the historical, theological,

psychological background of

The James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Na, Sam-Jin

Lector

Korea Theological Seminary

Busan, Korea

The faith development theory advocated by James W. Fowler III

has been supported by Christianity pedagogists and psychologists

in spite of the debate about pros and cons of the theory.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faith development

theory comprehensively and to develop educational-pastoral

applicative points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f it. This

article is the second chapter of the dissertation James W.

Fowler III's faith development theory and its applications to

educational ministry in the church. The faith development theory began with Fowler's examination of

and reponses to history and reality, and was influenced by modern

theologians such as H. Richard Niebuhr, Paul Tillich, and Wilfred

Smith etc. Fowler has systemized this theory with his ow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which he has incorporated modern

theorie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such as Jean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Erik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 Lawrence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and Karl Jung's individuation theory.

Page 26: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89

주제어:

신앙발달이론, 발달이론, 제임스 파울러.

(faith development theory, development theory, James

W. Fowler III)

90 복음과 교육 제3집

(논 찬)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

을 읽고

장 혜 선 (서울신학대학교)

발제자는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 이해를 위해 본 연구

를 시도하였고, 크게 두 가지의 배경을 제시하고 있다. 신학적인 배경

과 심리학적인 배경이 그것이다. 그러나 실제는 파울러의 생애와 학문

적 행적이 신앙발달이론에 더 기초적인 배경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겠

다.

먼저 발제 내용은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신학적 배경에는 니버,

틸리히, 스미스가 소개되었으며, 심리학적 배경에는 삐아제, 에릭슨,

콜버그, 융이 소개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신학적, 심리학적 배경

을 갖는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은 결국 각기 성격이 다른 학문을 하

나로 통합시킨 것으로 “학제간 연구방법”을 사용한 독특한 방법론임

이 밝히고 있다. 이는 인간의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 삐아제와

콜버그는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에릭슨과 융은 역동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파울러는 이 두 학파의 입장을 적절히 교류시키며

자신의 이론에 선별적으로 받아들여 체계화하였다는 것이다.

발제자는 이렇게 다양한 학문들, 즉 철학, 신학, 심리학, 사회과학 등

의 학문들과의 연계와 학문들 간의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 신앙발달이

론을 체계화시킨 파울러의 공헌은 통합적이고 종합적 연구 방법론을

Page 27: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91

제시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본 발제는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신학적, 심리학적 배

경”을 다루고자 한 연구 목적에 합당하게, 배경적 이론들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특히 파울러의 생애 및 시대적 상황 뿐 아니라 각 배

경 학문들의 학자들에 대한 생애를 소개하여 더욱 통합적인 이해를 도

모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비록 내용의 분량은 많았지만, 여러 학자들

의 학문적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노력한 연구자의 수고로 인해

기독교교육학에 무지한 본 논찬자 조차도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

의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됨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본 연구에서 자세히 제시되지는 않았으나, 분명히 구분되는 것은 파

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은 두 가지 기초를 갖는다. 그 중에서 신학적 배

경은 주로 파울러의 ‘신앙’개념에 영향을 주었고, 심리적 배경은 주

로 ‘발달론적 통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이 ‘신앙여정에 어떤 일정한 형식이 있음’(4면)을 발견

하게 되어 체계화된 것임을 생각할 때 마땅한 것일 수 있다. 신앙에

대한 이해와, 그 신앙이 어떤 형식으로 전개되어가는 지에 대한 두 가

지 관점이 동시에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신학적 배경으로 제시된 니버

와 틸리히 그리고 스미스는 파울러의 ‘신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

가? 이를 위해 먼저 파울러가 ‘신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정의하는지

를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전개가 파울러의 신앙 개념을

먼저 제시하지 않고, 니버, 틸리히, 스미스의 신학을 설명하면서, 이

들의 이론이 어떻게 파울러에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소개하는 방식이어

서 연구 전개를 따라 파울러의 신앙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본 발제에 따르면 파울러가 니버의 신학에서 영향 받은 것은 ‘하나

님’에 대한 이해이다. 하나님 주권을 강조하는 세 가지 상징으로서,

창조자로서의 하나님, 통치자로서의 하나님, 해방자-구속자로서의 하

나님이다. 하나님의 통치와 주권을 드러내는 이러한 하나님 이해를 파

울러는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맞추어 파울러는 하나님

92 복음과 교육 제3집

의 사역과 인간의 소명을 기술한다.(11) 또한 니버의 ‘근본적 유일신

론’(radical monotheism)에 영향을 받았다. 즉, 니버의 주권적 하나

님 이해, 타 종교와 구별되는 유일신론, 이러한 하나님에 대한 신뢰와

충성으로서의 신앙 이해, 그리고 인간의 책임적 자아에 대한 강조가

파울러의 신앙이해, 특히 신앙의 일곱 가지 요소에 영향을 주었다. 본

문에서 필자는 니버의 영향으로 “파울러는 신앙을 관계적인 성격으로

이해하고 ‘신뢰와 충성’으로 정의”(12)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파울러는 “신앙이 인간의 보편적 관심임을 확인하면서 니버의 신학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용한다.”(13) 또한 니버가 신앙적 삼중구조에서

신앙을 관계적인 측면을 강조하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파울러도 “신

앙을 자신과 타인이 상호관계하는 가운데 각기 가치와 힘의 공유된 중

심을 향한다고 생각한다.”(13) 더 나아가 파울러는 니버가 기독교적

관점에서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니버의 방식은 파울러의

신앙이해에도 그대로 나타난다.(13)

또한 파울러는 틸리히의 “신앙이 보편적인 인간의 관심사”라는 신

앙이해에 영향을 받았다. 틸리히는 하나님을 ‘궁극적 관

심’(ultimate concern)의 대상이라고 본다. 이러한 하나님 이해는 현

대인들에게 신의 존재를 설명하는 틸리히의 독특한 하나님 이해이다.

인간은 누구나 궁극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 궁극적 관심은 절대적이며

무조건적인 관심, 곧 완전한 헌신 혹은 완전한 복종을 요구한다. 하나

님에 대한 틸리히의 이해는 “신앙을 보편적인 인간의 관심으로 생각

하고, 하나님을 궁극적 관심으로 이해하는 파울러의 관점에서 분명하

게 나타나고 있다.”(16)

스미스의 영향은 신앙에 대한 독특한 개념일 것이다. 그는 종교를 축

적된 전통들로, 신앙은 축적된 전통들을 통해 인식된 초월적 가치와

능력에 개인이나 집단의 응답방법으로 본다. 또한 신앙은 신념과 구분

되는데, 신앙은 마음 또는 의지의 지향성으로서 충성과 신뢰의 위탁으

로 이해된다. 파울러는 스미스의 신앙에 대한 이해를 그대로 수용한

다. 스미스를 기초로 한 파울러의 신앙이해는 “신앙은 가장 근본적인

것이며, 인간 실존의 모든 측면에 관계되어 있고, 삶의 차원에서 분리

된 것이 아니며, 우주적인 것이다.”(16-17)

Page 28: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배경kesce.org/_data/kesce/file/m3_4/1889201285_JWiHwKmB_2_EB... · 2011. 4. 5. · Ethics)를 이끌고 있는데 이 연구소는 그의

93

요약해 보면, 파울러의 이론에 신학적 배경이 된 니버, 틸리히, 스미

스는 파울러의 신앙이해에 영향을 주었다. 신앙이해란 실제로는 하나

님, 인간, 그리고 신앙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

신학과 심리학의 교차학문이라는 점, 신앙이 동적인 요소를 갖는다는

점, 현재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고자 했던 부분 등은 틸리히의 영향

을 드러나는 부분으로 보인다. 발표자는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이,

“성경과 전통을 고려하는 가운데 현재의 상황과 도전을 교회적 실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파울러는 교회의 사명은 현재의 경험과 교회환

경의 도전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평가되어야 하고 계속적으로 개혁되

어야 한다”(32)고 밝힌다. 이러한 교회의 과제에 대한 인식은 틸리히

가 지속적으로 교회와 신학에 촉구하였던 내용과 일치한다. 틸리히의

신학적 관심은 그리스도교의 메시지를 현실 상황에 관련되도록 하는데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파울러의 이론은 성경과 신학적 전통을 강조하기 보다는 현재

의 상황을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한다. 마찬가지

의 맥락에서 틸리히 역시 보수주의자들로부터 비판받았다.

마지막으로, 궁금한 점과 아쉬운 면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에 있어서, 신앙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파울러가 이해하는 신앙의 개념과 그 특징이

보다 분명하게 제시되었으면 학문적 배경을 이해하기에 도움이 될 것

으로 보인다. (아마도 발제자가 논문 전체를 요약 발표한 것이 아니라

한 부분만을 발제한 것으로 보인다.)

2. 발제자에 따르면, 파울러의 하나님 이해는 니버와 틸리히의 하나님

이해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니버의 주권적 하나

님 이해와 틸리히의 궁극적 관심의 대상으로서의 하나님 이해는 차이

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두 가지의 하나님 이해가 어떻게 파

울러에게 조화가 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94 복음과 교육 제3집

3. 틸리히에 의하면 신앙이란 무의식의 행위가 아닐 뿐만 아니라, 합

리적 기능도 아니다.신앙에는 합리적 요소와 비합리적 요소가 초월되

는 행위이다. 틸리히는 신앙의 초월적 요소, 즉 황홀(ecstasy)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한다.<폴 틸리히, 신앙의 다이내믹스, 이병섭 역(서

울: 전망사, 1982), 12-13.>파울러의 신앙이해에도 이러한 측면이 있

는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