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7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작성자 : KaonSoft KR HQ Sales 서보성 차장 1. 모바일 플랫폼 (MEAP) 동향 2011년 부터 발아 하던, 국내 기업용 모바일 시장. 기업용 모바일 시장은 크게 "수익 창출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대고객용 모바일 앱 시장 (B2C)"과 "사내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B2E(Business to Employee)" 으로 구분되어 발전 하기 시작 했다. 우선적으로 발아한 시장은 B2C 시장. 스마트폰 보급이 크게 확대 되면서, 모든 업종의 對 고객용 PC기반 서비스가 모바일로 확대 되거나, Only Mobile 서비스로 발전하면서, 기업들도 B2E 보다는 B2C 서비스를 우선 선보이 기 시작 했다. 이 시점에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MEAP 솔루션. 스마트폰이 발아 하기 이전, 기업들이 제공하던 PC기반 서비스는, 윈도우즈 OS기반의 브라우 져에서 구동되는 서비스만 개발 하면, 95% 이상의 고객들을 커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앱 서비스의 출현은 “윈도우즈-iOS-안드로이드”와 같이 다수의 OS에서 구 동되는 중복되는 서비스를 개발 해야 했고, 이는 결국 인건비(네이티브 개발자 포함), 개발 소 요 시간, 중복되는 유지보수 비용등 TC(Total Cost) 가 증가 하는 문제가 발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도구’ 로써 MEAP 플랫폼이 주목을 받기 시작 했고, 다수의 기업들이 이를 수용하기 시작 했다. 그러나, 5년여가 흐른 지금 대부분의 B2C 앱 서비스 구축이 완료 되면서, 기업들의 IT관리자 들은 B2E 영역의 모바일 고도화를 검토 하고 있다. 그런데 B2E 영역은 “사용자의 대상, 목 적, 전달하는 데이터 형태, 보안 강도, 개발의 우선 순위” 등을 놓고 보았을 때, B2C 앱 개발 과는 다른 관점으로 방법론을 설계 해야 함에도, 많은 IT전담 부서는 B2C의 그것과 동일시 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간단히 살펴 보기로 하자. 1) SI 개발 VS 플랫폼 개발? B2E 영역에서 1식의 앱을 개발하는 목적의 프로젝트 라면, 굳이 플랫폼을 도입할 필요가 없 다고 말할 수 있다. 오히려 플랫폼 도입에 따른 총 개발 비용이, 날코딩 방식이라 일컫는 SI

Upload: bo-seong-seo

Post on 19-Jan-2017

495 views

Category:

Mobile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작성자 : KaonSoft KR HQ Sales 서보성 차장

1. 모바일 플랫폼 (MEAP) 동향

2011년 부터 발아 하던, 국내 기업용 모바일 시장. 기업용 모바일 시장은 크게 "수익 창출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대고객용 모바일 앱 시장(B2C)"과 "사내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B2E(Business to Employee)" 으로 구분되어 발전 하기 시작 했다.

우선적으로 발아한 시장은 B2C 시장. 스마트폰 보급이 크게 확대 되면서, 모든 업종의 對 고객용 PC기반 서비스가 모바일로 확대 되거나, Only Mobile 서비스로 발전하면서, 기업들도 B2E 보다는 B2C 서비스를 우선 선보이기 시작 했다.

이 시점에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MEAP 솔루션. 스마트폰이 발아 하기 이전, 기업들이 제공하던 PC기반 서비스는, 윈도우즈 OS기반의 브라우져에서 구동되는 서비스만 개발 하면, 95% 이상의 고객들을 커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앱 서비스의 출현은 “윈도우즈-iOS-안드로이드”와 같이 다수의 OS에서 구동되는 중복되는 서비스를 개발 해야 했고, 이는 결국 인건비(네이티브 개발자 포함), 개발 소요 시간, 중복되는 유지보수 비용등 TC(Total Cost) 가 증가 하는 문제가 발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도구’ 로써 MEAP 플랫폼이 주목을 받기 시작 했고, 다수의 기업들이 이를 수용하기 시작 했다.

그러나, 5년여가 흐른 지금 대부분의 B2C 앱 서비스 구축이 완료 되면서, 기업들의 IT관리자들은 B2E 영역의 모바일 고도화를 검토 하고 있다. 그런데 B2E 영역은 “사용자의 대상, 목적, 전달하는 데이터 형태, 보안 강도, 개발의 우선 순위” 등을 놓고 보았을 때, B2C 앱 개발과는 다른 관점으로 방법론을 설계 해야 함에도, 많은 IT전담 부서는 B2C의 그것과 동일시 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간단히 살펴 보기로 하자.

1) SI 개발 VS 플랫폼 개발?B2E 영역에서 1식의 앱을 개발하는 목적의 프로젝트 라면, 굳이 플랫폼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오히려 플랫폼 도입에 따른 총 개발 비용이, 날코딩 방식이라 일컫는 SI

Page 2: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방식의 개발 방법과 비교 했을 때, 매력이 없기 때문 이다.

그러나 다수의 시스템과 연동되는 B2E 앱 (그룹웨어, ERP, SFA, 인프라관리, 시스템관리, 공지관리, 사내 메신져 등) 으로 개발 범위가 확대 되거나, 확대를 목표로 하는 경우에는 플랫폼기반의 개발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TC의 효율성을 넘어서 IT기획부서에서 다수의 앱 개발에 따른 소스관리, 형상관리, 개발 일정 관리, 유저관리, 에러관리, 유지보수 그리고 통일된 UX 의 잇점을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SI 방식의 다수 앱을 개발 했던 기업들은 앱 관리 문제의 이유로, 2차 사업에서는 표준 플랫폼을 선택 하고 있는 추세이다.

2) 앱 개발 플랫폼 VS 앱 운영 플랫폼그러나 모든 플랫폼이 앞서 설명한 운영 관리 강점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점은 주의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MEAP 출현의 초점이 다수의 OS(Android & iOS & Web) 환경을 만족하기 위한 앱 개발에 있었기 때문에, OSMU (원소스 멀티 유즈) 개념의, 빠르고 저렴하게 (결국 SI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앱을 개발하는 플랫폼이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바꿔서 이야기 하면, 개발에 초점을 둔 MEAP 플랫폼은 개발 생산성은 높을지 몰라도, 다수의 앱 관리(트래픽, 에러리포트, 접근관리, 부서관리, 인증, 형상관리) 에 대해서는 대안을 가지고 있지 못하거나, B2E에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빠른 개발에 초점을 둔 프레임워크 기반의 MEAP 플랫폼을 도입할 경우, 프로젝트 이후, 관리 영역으로 전환 하게 되면, 앞서 설명했던 SI(날코딩 방식) 의 앱 개발과 동일한 문제에 봉착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다수의 앱 개발을 필요로 하는 B2E의 경우 플랫폼 선정의 기준 중 하나는 MEAP 초기 시절 초점을 두었던 OSMU를 넘어, 관리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한 설계가 플랫폼을 검토 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관리 부분에 염두를 둔 플랫폼이란 어떤 요소를 말하는지 살펴 보기로 하자.

2. 2016년을 대비하는 시점에서 염두해야할 B2E용 플랫폼 선정 기준.

1) 탬플릿화된 UI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가? SI를 지향하는 플랫폼이 확보할 수 없는 가장 큰 취약점이다. 이들 SI 플랫폼 기업들은 소스를 체계적으로 보유/관리 하기 때문에, 탬플릿과 유사한 생산성을 확보 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하지만, 실제로 대다수 SI 기업들이 수행하는 프로젝트는 외주 개발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심지어는 개발 파트너 마다 상이한 외주 개발사가 상주하여 개발에 참여 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실력에 따라 개발 품질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과거에 경험했던 유사한 프로젝트가 시작되더라도, 소스를 재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경우는 사실상 불가능 한 수준이며,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처음

Page 3: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부터 새롭게 개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 화면을 사용했던 PC 환경과는 달리, 모바일 업무 환경은 PC 업무 환경의 20% 이내 수준의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화면 사이즈가 제약으로 인해 업종/업무단위별로는 상당히 유사한 UI패턴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의 품질에 구속 되지 않고, 동일한 품질을 유지 하면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화면을 템플릿화 하여 개발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선택 해야 할 것이다.

현업 부서의 IT업무 고도화에 대한 요구 사항은 정기적으로 제기 되고 있고, 지속적으로 업무프로세스가 개선되어야 하는 오늘날 비즈니스 업무 현장에서 이미 개발된 UI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은 우리가 이미 많은 실수와 오류를 겪으면서 얻게 된 교훈이라 할 수 있다.

[ 템플릿 기반의 UI를 제공함으로써, 개발 생산성을 높여주는 개발 방법론 ]

2) 통합된 EMM 환경을 제공 하는가?B2E용 업무용 앱만 개발 하고 나면, 모든 것이 끝날 줄로만 알았던 IT 기획팀은 새로운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바로 “보안, Push, MDM, 문서변환, 독립형 앱스토어”와 같은 EMM 요건들이 점차 필요해 지면서, 이러한 feature tools 을 별도로 구매 해야 하는 이슈가 발생하기 때문 이다.

그런데 이는 두가지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 한다. 바로 TC 의 증가와 복수의 관리자 console 을 보유에 따른 업무 효율성 저하이다. 가령 A사를 통해 플랫폼과 PUSH를 도입하고, B사를 통해 보안 솔루션을 구매하며, C사를 통해 MDM, D사를 통해 문서 변환, E사를 통해 앱스토어를 구축하게 될 경우 (불과 2~3개 회사로만 나뉘더라도) 전체적인 솔루션 도입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관리 선상에 놓이지 않기 때문에, IT기획팀은 복수의 관리자 툴을 확보 해야 하는 것이다.

Page 4: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문제는 이러한 구축 방식의 SI의 그것과 하등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 했지만, SI 개발 방식은 반복적인 관리 요소의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는 구조에 놓여 있다.

3) 레거시 연동에 필요한 각종 어댑터를 제공하고 있는가?오늘날 많은 플랫폼 기업들이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보니, 레거시 연동을 위한 어댑터를 상당수 보유 하고 있다. 그러나 어댑터를 별도로 판매하는 플랫폼 회사도 있어, 이점은 주의를 요한다. 결국 플랫폼 도입의 비용 절감의 효과가 감소 하기 때문 이다.

4)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는가?본 내용은 국내 영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자에게는 비 검토 대상이 되겠지만, 오늘날과 같이 글로벌 포지션을 취하는 회사에게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즉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을 만족하는 플랫폼이 클라우드 기반에서 구동되지 않는 구조적인 문제를 않고 있다면, 글로벌 기업에서는 치명적인 기술적 한계를 떠 안게 된다

5) 다국어 지원이 가능한가?이 역시도 글로벌을 지향하는 기업들이 필수적으로 검토해야할 플랫폼 자격 요건 이다. 만일 번역자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겠지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플랫폼 자체적으로 다국어를 지원하여, 사전에 네이티브 수준으로 정의된 용어들이 적용되어, 현지인들이 사용상의 어려움을 취소화 하는 것이 중요 하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언급 되지만, 이는 조차도 개발비를 절감 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건이 될 것이다.

Page 5: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원소스 멀티유즈One-Source Multi-Use

하나의 소스로 Android, iOS, Windows Mobile 동시 지원

하나의 소스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화면, 해상도 지원

개발 환경

하이브리드 방식 개발 가능 (HTML5, CSS3 지원)

닷넷 & 자바 환경 동시 제공통합개발환경(SDK 또는 IDE) 지원

Pre built 된 앱 탬플릿을 제공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관리자 툴 제공

관리자 콘솔 MDM, MAM, 앱스토어, Push 통합 관리자 콘솔 제공

다국어 지원글로벌 지향 하는 기업들이 글로벌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 된 다국어 언어 환경 지원

Back end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아답터 보유

지원해야 하는 아답터는 위와 같음

6) 자바 & 닷넷 환경이 지원이 되는가?국내는 자바 환경이 압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지만, 미주를 비롯한 해외의 경우 닷넷 기반의 프레임워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글로벌화를 고려한다면, 닷넷과 자바 환경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을 검토 하여야 한다

이상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들이 검토 해야 할 필수적인 6가지 검토 요건 외 상세 요건을 아래와 같이, 서술해 본다.

3. 플랫폼 선정 세부 기준.

1) 최소 만족 기준 ●GS(Good Software) 인증을 획득한 모바일 플랫폼(MEAP) 제품

●MEAP뿐만 아니라 MDM, MAM, PUSH, 앱스토어, 문서 변환 기술을 통합적으로 보유하 고 있는 플랫폼 ●한번 개발된 앱 개발 소스/UX/UI를 손쉽게 재 활용 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자 툴 제공. ●다수의 개발자가 원격지에서 동시에 프로젝트를 수행 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개발 환경 제공

2) MEAP 플랫폼 기술 평가

Page 6: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사용자 디바이스 관리/인증

사용자 및 디바이스 등록/삭제/수정 관리

ID/PW 인증

SSO 지원

OTP (One Time Password) 인증 지원

사용자 패스워드 관리

패스워드 제약조건 지정/관리

패스워드 입력 실패시 초기화기능

앱 배포 및 업데이트 관리 배포버전 앱 자동 업데이트 진행 및 내역관리

앱 관리

원격 앱의 설치/삭제/업데이트

설치된 앱 조회

실행중인 앱 조회

원격실행

디바이스 관리

디바이스 잠금설정 (시간 등)

하드웨어 정보 조회

카메라 제어

화면 캡쳐 제어

외장 메로리 제어 (SD Card 등)

테더링 제어

리소스 관리 단말 리소스 조회 (CPU/메모리/저장공간/배터리 사용량 조회)

도난/분실 관리

공장 초기화

디바이스 잠금설정 / 패스워드 초기화 기능

디바이스 위치 조회

중요 정보 삭제 (주소록/SMS 메시지 등)

경보음 발생

외장메모리 초기화 (SD Card 전체 또는 특정폴더 기능 삭제)

디바이스 발신 제한 기능

디바이스 사용자 정보 조회 통화 내역 조회

중요 정보 백업/복원

중요정보 서버 백업

중요정보 서버 복원

주기적 백업 지원

네트워크 사용 제어 3/4GData/WiFi/BT(BlueTooth),AirplaneMode통제/제어

앱 버전 관리 관리자 포탈에서 버전을 설정하며 릴리즈 노트를 조회할 수 있음

앱 업데이트 관리 관리자 포탈에서 신규 앱 파일 업데이트 후 앱에서 접속 시 바로 반영

레거시 접속 이력 관리 레거시시스템과 연동한 사용자 정보 조회

3) EMM을 지향하는 MEAP 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MDM

4) EMM을 지향하는 MEAP 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MAM (Mobile application

management)

Page 7: 모바일 오피스를 검토하는 기업의 모바일 플랫폼 선정 기준

서비스 기능 오류 리포트 서비스 오류 내역 포탈에서 조회 가능

앱 Crash 관리 Crash가 발생하여 비 정상적으로 종료 될 경우, 관리자 포탈에서 조회 가능

사용자 행태 분석 사용자가 클릭하는 행위에 대한 통계제공 하고, 특정기간 동안의 사용자별 접속수 , 앱 별 접속수 등의 통계 제공

접속자 권한 설정 관리자 포털에서 접속 권한을 설정하여, 앱 별 접근 가능한 그룹과 사용자를 설정 가능

이벤트 관리 사용자의 모든 링크에 대한 정보 조회 가능

단말기 제약에 따른 권한 제어 사용자 및 그룹에 따른 권한 제어 외에 단말 모델, OS, OS version 에 따른 권한 제어 기능도 제공

사설 앱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경유 하지 않고, 앱을 설치 배포 할 수 있는 기능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배포된 앱의 업데이트 내역이 있을 경우, 관리자가 앱을 패킹 후, 관리자 포털에 등록만 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행위 없이, 업데이트된 앱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3rd party app 배포및 업데이트 3rd party app 에 대한 앱 스토어 기능 제공

스트리밍 열람 기능 열람하는 문서가 단말기에 저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트리밍 형태로 문서를 단말기에 전달 하여야 함.

이미지 변환 기능 열람하는 문서는 원본이 아닌, 이미지로 변환되어 단말기로 전달되어야 함.

암호화 기능 변환된 이미지는 암호화되어 저장 되어야 함.

문서 휘발 기능 단말기에서 열람 행위가 종료 된 문서는 휘발되어야 함.

지원하는 파일 포맷

* HWP* DOC, DOCX* XLS, XLSX* PPT, PPTX* PDF* TIF, GIF, PNG, JP(E)G, BMP* DWG, DXF

5) EMM을 지향하는 MEAP 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사설 앱스토어

6) EMM을 지향하는 MEAP 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보안 문서 관리 기술

/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