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35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이론이란 무엇인가 ? 사회에 관한 과학이 가능한가 ? 고전 사회학의 창시자 현대 사회학의 주요 이론 사회학의 주요 문제

Upload: others

Post on 24-Dec-2019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이론이란 무엇인가 ?

사회에 관한 과학이 가능한가 ?

고전 사회학의 창시자

현대 사회학의 주요 이론

사회학의 주요 문제

Page 2: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사회학

사회학은 사회에 관한 과학적, 체계적 연구이다.

Sociology 서양의 어원: Socius: ‘companion’ (from Latin); Ology: ‘study’ (from Greek), Theory (theoria: looking at, contemplation)

社會學 동양의 기원: 19세기 일본에서 ‘사회’라는 용어가 등장하다.

현대 사회에서 사회학은 개인, 사회집단, 사회적 관계의 유형, 사회계층, 사회제도의 체계에 관한 연구를 가리킨다.

Page 3: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사회학 이론

이론(theory)은 경험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여 인과적 관계(causal relations)를 일반화한 명제를 가리킨다.

이론은 사회의 어떤 현상 또는 사건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일어나는가 설명하려고 한다. (예: 부자와 빈자가 발생하는가? 왜 자살이 증가하는가? 왜 국가 관료제가 등장했는가?)

사회학의 창시자들은 자본주의(마르크스), 노동의 분업(종교), 관료제(베버), 화폐(짐멜)가 왜 등장했고, 어떻게 인간의 생활을 바꾸었는지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Page 4: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세 가지 관점

실증주의

이해의 사회학

상대주의

Page 5: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사회에 관한 과학은 가능한가?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사회학은 자연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가설을 위해서 실험이 가능한 인과적 설명. 자연과학은 현상의(hyphothesis)을 수립하고 관찰과 실험을 통해 인과적 모델을 만든다.

사회학도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인과적 설명(casual explanation)을 시도하며, 검증을 통해 가설이론을 만들고 실험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사회학자는 과학성을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자연과학처럼 일반화와 법칙을 주장하지 않는다.

물리학은 일반적인 법칙과 증명이 가능한 법칙들이 존재한다고 믿는 반면, 사회학에서는 일반적 법칙은 매우 적고 다수의 추상적인 거대가정이 존재한다.

Page 6: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실증주의

실증주의(positivism)는 과학적 방법으로 사회를 연구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은 사회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재이고, 과학적 방법을 통해 사회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사회학은 인간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연과학과 같은 실험의 방법을 사용하기는 어렵다.

사회학은 이러한 자연과학의 방법이 인간과 사회를 분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연구자 자신이 가치판단을 하는 인간이기 때문에 사회에 대한 객관적 연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사회학은 자연과학의 방법과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Page 7: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패러다임 전환

사회학의 방법에서 ‘패러다임(paradigm)’이라는 용어가 쓰인다. 일상적 의미의 패러다임은 다른 곳에서도 사용되는 전형적인 유형이나 모델을 가리킨다.

과학의 역사를 연구했던 토마스 쿤(Thomas Kuhn, 1962)은 과학자의 공동체 내부에서 이론적, 방법론적 합의가 이루어지는 정상적 기간의 과학을 ‘정상과학(normal science)’이라고 한다.

쿤은 과학적 진보가 단순히 지식의 축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론과 증거가 맞아 떨어지는 과정을 거친 과학적 합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합의를 얻은 정상과학이 위기를 겪게 되고 새로운 지적 혁명이 일어나고, 과학사에서 가장 근본적인 인식론(epistemology)의 가정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는 단절의 역사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Page 8: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패러다임 전환

17세기 아이작 뉴튼(Issac Newton)의 고전적 물리학과 20세기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현대 물리학의 등장은 패러다임의

전환(paradigm shift)의 대표적 사례로 지적된다.

사회학에서도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현재 사회학에서 단일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은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의 사회학자 조지 리처(George Ritzer, 2001)는 사회학이란 ‘복수 패러다임 과학(multiple paradigm science)’이라고 주장하였다.

20세기 후반 사회학에서 구조기능주의 이론이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갈등주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현상학, 교환이론, 비판이론이 등장하였다.

Page 9: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이해의 사회학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베버는 이해(Understanding)가 사회학의 기본적인 방법이라고 보았다.

베버는 ‘묘사적 이해’와 ‘설명적 이해’를 구분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은 방 가운데를 지나 창문을 열었다”는 진술은 묘사적 이해이다. 이에 비해 “홍길동은 답답한 방의 공기를 바꾸기 위해 문을 열었다”는 진술은 설명적 이해이다.

이와 비슷하게 사회학자 슈츠(Alfred Schtz)는 이유 동기(Because Motives)와 목적 동기(In order to Motives)를 분리했다.

Page 10: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사회의 규칙

사회학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을 제공하려고 한다. 사회 속의 인간은 사회의 ‘규칙’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영국 철학자 윈치(Peter Winch, 1958)는 모든 사회적 행동이 규칙을 준수하는(rule following) 행동이라고 보았다.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인간 행동의 규칙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영국 사회학자 기든스(Anthony Giddens, 1984)는 명백하게 정식화된 모든 규칙은 해석의 장소가 되는 한편, 인간의 행동과 해석에 기초가 되는 규칙은 정식화되지 않고 의식 이전에(preconscious) 존재하는 상태라고 보았다.

사회학은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규칙, 제도, 구조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한다.

Page 11: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사회의 이해

민속방법론(ethnomethodolgy)은 인간이 주고 받는 대화의 규칙에 초점을 둔다.

구조주의(structuralism)는 내재적 구조에서 의미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규칙에 관심을 가진다.

포스트구조주의(post-structuralism)는 의미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놀이(play)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접근법들은 사회적 세계가 인간의 관념과 분리된 사회구조의 존재라고 전제한다.

Page 12: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상대주의

인간의 행동에 관한 지식은 인간 사회의 역사적 토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독일 철학자 가다머(Hans-Georg Gadamer, 1960)는 진리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통을 통해서 이해된다고 주장했다.

인류학의 문화적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도 역사를 해석하는 상대성을 강조한다.

Page 13: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세계의 연구

세계를 인식하는 두 가지 방식 – 부뤼노 라투르,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We Have Never Been Modern>, 1991

문화의 방식: 가리워져 있고, 장식이 되어 있고, 덮여 있는 따듯한 방식; 은유의 방식; 야생의 사유

자연의 방식: 벌거벗겨져 있고, 냉정하고, 심지어 얼어붙어 있기 까지 한 방식; 직설적 방식; 계몽의 사유

Page 14: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고전사회학의 창시자

오귀스트 콩트

칼 맑스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켐

게오르그 짐멜

Page 15: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왜 고전 사회학자를 읽는가?

“내가 조금 더 멀리 바라보았다면 그것은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

있었기 때문입니다. If I have seen further it is by standing on

the shoulders of giants.”– 아이작 뉴튼

Page 16: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콩트 Auguste Comte (1798~1857)

콩트는 프랑스 사상가로 ‘사회학’ (sociologie)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만든 사람이다.

“법칙은 이렇다: 우리 지식의 각 중요한 개념은 세 가지 다른 이론적 조건을 성공적으로 거친다” : 신학적 또는 허구적 단계; 형이상학적, 추상적 단계; 과학적, 실증적 단계

– 콩트

Page 17: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마르크스 Karl Marx (1818-1883)

“철학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세계를 해석했을 뿐이다. 그러나 중요한 문제는 철학자는 세계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 <포이에르바하의 테제>, 1845

“존재하는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 – <공산당 선언>, 1848

“거미는 방적기처럼 활동한다. 벌은 벌집을 만들 때 건축가처럼 행동한다. 그러나 최고의 벌과 최악의 건축가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건축가는 실제로 건축물을 만들기 전에 상상 속에서 구조를 만든다.” – <자본론> 1권 7장, 1867

Page 18: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규칙은 사회적 사실을 사물로 다루어야 한다.” –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 1895

“사회는 개인 내부에서 표현되어야 한다.” – <규칙>, 1895

“종교는 신성한 것과 관련을 가진 신념과 실천이 통합된 체계이다… 신념과 실천은 교회라고 불리는 단일한 도덕적 공동체 안에서 통합된다. 모든 사람들은 신념과 실천에 충실하게 따라야 한다.” – <종교생활의 기본적 형태>, 1912

Page 19: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베버 Max Weber (1864-1924)

사회학 (매우 모호한 말이지만) 은 사회적 행동의 과정과 효과에 대한 인과적 설명을 위해 해석적 이해를 시도하는 학문이다.

문화에 대한 절대적으로 ‘객관적인’ 분석은 없다.

학문적 예언이란… 단지 광신적인 여러 종파를 만들어 낼 뿐 결코 진정한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 수 없다.

어떠한 윤리라 할지라도 다음과 같은 사실, 즉 세상의 ‘선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우선 도덕적으로 의심스러운 수단, 최소한 위험한 수단을 사용해야 하며, 좋지 못한 부작용의 가능성과 개연성까지 각오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회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 <직업으로서의 정치>, 1919

Page 20: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짐멜 Georg Simmel (1858-1918)

돈이란 매개체를 통하게 되면 다양하고 무궁무진한 인간의 인품은 사라지게 되고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간미 넘치는 인간 주체로서의 특징 즉 인품은 소멸되며, 살아 숨쉬는 인간의 영혼은 상실된다.

– <돈의 철학>, 1900

유행이란 사회적 균등화 경향과 개인적 차별화 경향 사이에 타협을 이루려고 시도하는 삶의 형식들 중에서 특별한 것이다. –

<유행의 심리학, 사회학적 연구>

Page 21: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현대 사회학의 주요 이론

구조기능주의

갈등 이론

상호작용주의

교환 이론

현상학

구조주의

마르크스주의

비판 이론

여성주의

Page 22: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거대이론은 가능한가?

거대이론(grand theory): 인간의 사회생활, 역사, 인간의 경험을 전반적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거대이론은 특정한 사건, 사회, 현상을 연구해야만 이해할 수 있다고 보는 경험주의와 실증주의와 대조된다.

Page 23: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파슨스 Talcott Parsons (1902-79)

공통가치 유형과 인격의 내면화된 욕구-성향 구조의 통합은 사회체계의 동태(dynamics)에서 핵심적인 현상이다. 극히 일시적인 상호작용 과정을 제외한 모든 사회체계의 안정성이 이러한 통합의 정도에 의거하는 것이 사회학의 기본적인 통태적 정리(axiom)라고 할 수 있다.

– The Social System, 1951.

Page 24: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밀즈 Charles Wright Mills (1916-62)

<사회체계>에 제시된 거대이론은 단순히 쓸데없는 말 잔치에 불과한가, 아니면 그 안에 중요한 어떤 것을 담고 있는가? 그에 대한 나의 대답은 이렇다. 약 50%는 쓸데없는 말 잔치이고, 40%는 유명한 사회학 교과서이다. 나머지 10%는 파슨스가 말한 바와 같이, 독자들의 경험적 조사에 맡길 생각이다. 나 자신의 연구에 따르면, 나머지 10%는 애매모호하게나마 이데올로기적 효용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학적 상상력>(The Sociological Imagination), 1959, 2장 거대이론

Page 25: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푸코 Michel Foucault (1926-84)

“우리 사고에 대한 고고학이 쉽게 보여주듯이, 인간은 최근의 발명품이다. 그리고 인간은 아마도 거의 종말에 도달했다.”

“권력은 제도가 아니고, 구조도 아니다; 권력은 우리가 부여 받은 특정한 힘이 아니다. 권력은 특정한 사회에서 복잡한 전략적 상황이 가지는 속성을 가리킨다.”

“처벌하는 권력의 기능을 보면 본질적으로 치료하거나 교육하는 권력과 다르지 않다.”

“글쎄, 당신은 내가 동일한 것을 말하고 아무런 변화도 하지 않기 위해서 지난 날 동안 열심히 노력했다고 생각하는가?”

Page 26: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하버마스 Jürgen Habermas (1929~)

“오늘의 철학은 더 이상 세계와 자연, 역사와 사회 전체를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지식의 지위를 주장할 수 없다.” – <의사소통행위 이론>,1981

“이상적 담론 상황의 구조는 억압과 불평등을 특별한 방법으로 없앤다…. 더 나은 논쟁을 위해 의식이 된 경쟁의 구조는… 개인의 주장과 개인들의 상호관계의 구성을 결정한다.” – <의사소통행위 이론>

“사회운동은 물질적 재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면 신사회운동은 탈산업사회의 문화적 재생산 과정과 사회적 통합 과정의 산물이다.” – <의사소통행위 이론>

Page 27: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부르디에 Pierre Bourdieu (1930-2002)

“실천은 일정한 논리를 가진다. 이는 논리학자의 논리와 다르다.”

사회학은 사회과학이 생산되는 사회 세계에 대한 지식에 의거해서 이 세계에서 작용하며 동시에 사회학자들에게 가해지는 결정 요인들의 효과를 통제할 수 있다. –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모든 사회에는 지배가 존재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저항도 존재한다.”

“누구의 견해가 모든 사람의 견해인가? 신문에 글을 쓰는 사람들의 견해, ‘최소국가’를 주장하는 지식인, 공공성과 공공의 이익을 너무 빨리 매장하려는 지식인들...” – <맞불>, 1998

Page 28: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기든스 Anthony Giddens (1938~)

“사회학은 ‘미리 주어진’ 대상의 우주가 아니다. 사회학의 우주는 구성되는 것이다. 또는 주체의 적극적 행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인간 행위자의 범주는 한계를 가진다. 개인들은 사회를 만든다. 그러나 개인들은 역사적으로 위치한 행위자로서 행동한다. 개인이 처한 조건은 그들 스스로 선택한 것이 아니다.”

“구조는 인간 행위자들에게 제약을 하는 동시에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 <사회의 구성 The Constitution of Society>, 1984

Page 29: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현대 사회학의 주요 문제

구조와 행위자

거시와 미시

합의와 갈등

권력과 이데올로기

현대성과 탈현대성

Page 30: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구조와 행위자

구조(structure): 일반적으로 조직이 구성된 틀과 유형을 가리킨다. 구조는 인간의 행동을 제한하기도 하고, 일정한 방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행위자(agency): 목적을 가진 행동을 추구하는 개인 또는 집단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행위자가 사건을 창조하고, 변화시키고,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age 31: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거시와 미시

거시사회학(macro sociology): 거대한 집단, 제도, 사회체계, 사회구조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두는 사회학적 연구.

미시사회학(micro sociology): 대면적인 사회적 만남 또는 집단들 사이의 소규모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지는 사회학의 연구.

Page 32: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합의와 갈등

합의(consensus): 사회에 있는 개인과 집단 사이의 이해의 일치. 사회적 합의는 사회의 제도와 규칙을 통해 실현되는 동시에 사회의 공통적 가치와 문화에 의해서 유지되고 강화된다. 사회의 정치, 경제, 가족, 문화의 체계는 사회의 합의를 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갈등(conflict): 사회의 개인과 집단들 사이의 이해의 충돌. 사회적 갈등은 개인적인 이해관계가 대립하여 발생할 수도 있고, 집단적인 이해관계가 대립되어 생길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들의 단체와 노동자들의 단체 집단적인 이해관계의 충돌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익의 갈등이 항상 공개적인 투쟁을 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개인과 집단들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생각되거나 간주되는 서로 다른 정치적 정당들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Page 33: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권력과 이데올로기

권력(power): 개인이나 집단의 성원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성취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권력은 모든 인간관계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개인 또는 집단이 통치하기 위해서 권력을 사용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의사에 반해 자신들의 의사를 관철할 수 있는 능력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의 많은 갈등은 권력을 얻기 위한 투쟁이다.

이데올로기(ideology): 실재에 대한 인지 또는 사고방식에 대한 인지를 가리킨다. 현대 사회에서 이데올로기는 지배집단의 이익을 정당화하기 위한 공통의 사고와 신념을 가리킨다. 이데올로기는 집단들 사이의 불평등이 존재하는 모든 체계적인 사회에서 발견된다. 이데올로기 체계는 집단이 가지고 있는 권력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이데올로기는 권력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Page 34: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현대성과 탈현대성

현대성(modernity): 이전의 전통적인 생활 양식과 분명하게 단절된 18세기와 19세기에 서유럽에서 발생한 특별한 사회적 과정을 가리키는 용어. 일반적으로 산업화, 도시화, 자본주의의 발전, 과학기술의 발전, 이성과 합리성의 대한 기대의 증가가 함께 이루어졌다. 특히 영국에서 출발한 산업혁명과 함께 프랑스에 일어난 정치혁명이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를 받는다.

탈현대성(포스트모더니티 postmodernity): 현대성(modernity)을 초월하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배치의 전환을 가리킨다. 계몽주의와 이성적 합리성이 의심을 받으며 지식의 상대적 특성과 해석의 다원성을 강조한다.

Page 35: 1. 사회학 이론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net/.../2015/korea_sejong/kimyuntae2/1.pdf를 만든다.” –  1권 7장, 1867 뒤르켐 Emile Durkheim (1858-1917)

젊은 사회학자의 과제

“세계가 전체적으로 진보한다 할지라도 젊은이는 언제나 처음부터 새로 시작할 수 밖에 없다”. – 요한 볼프강 괴테, 요한 페터 에커만의 <괴테와의 대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