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행정기관 공무원 정원관리 산식...

28
20권 제 2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 20, No. 2, June 2011, pp. 1~28. 지방교육행정기관 공무원 정원관리 산식 개발* 1) 최영출** 김민희*** 이인회**** < 국 문 요 약 > 본 연구는 현행 표준정원제로 책정되는 시도교육감 소속 공무원 정원 추정 방식을 총액인건비제 로 전환할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산식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6개의 교육행정 수요 변수를 포함한 회귀식과 보정식을 사용하여 산식을 개발하고, 산식에 따라 추정되는 총정원 규모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책 결정시 활용가능한 시 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다중회귀모형과 혼합모형으로 구분한 후, 혼합모형은 각 변수 별 동일가중치안과 차등가중치안으로 세분함으로써 총3개의 정원관리 산식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런데 산식을 적용하여 도출된 총정원의 시도교육청간 편차가 심하여 2010년도의 표준정원을 그대로 인 정하는 기본가정 하에, 총정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도교육청간 정원을 조정하는 보정대안을 도 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검토한 산식의 각 대안들은 장단점을 모두 지니고 있으나 정책수 용성 측면에서 볼 때, 그리고 향후 발생하는 교육행정 수요를 감안해 볼 때, 혼합모형 중에서도 현재 표준정원 범위 내에서 학생수의 가중치를 줄이고 학교수에 가중치를 더 부여한 보정대안이 가장 바람 직하다고 평가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향후 정원관리 산식개발시 직무분석에 의 한 보완 및 단위학교 직원 배치기준 등 고려, 새로운 행정수요 반영, 교육전문직을 포함하는 것이 필 요함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 지방교육행정기관, 총액인건비제도, 다중회귀모형, 혼합모형, 교육전문직 . 서 론 이명박 정부는 지방분권과 자율화의 취지에 따라 많은 권한을 지방교육행정기관으로 이양 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교육행정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한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조직관리의 주체로 지방의회 및 주민에 의한 자율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a). 그러나 최근에 이르기까지 지방교육행정기관은 정원 과 행정기구를 자율적으로 설치하지 못하고 사실상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의 폭넓은 지도감독을 받아왔다. 즉 지방교육행정기관의 개별적 교육행정 수요나 여건, 재정능력 등에 * 본 연구는 최영출 외(2010)가 수행한 도교육청 총액인건비제도 정착방안 연구의 내용을 일부 수정보완 한 것임. ** 1저자,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email protected] **** 영동대학교 교양융합학부 교수,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30-Dec-2019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제 20권 제 2호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 20, No. 2, June 2011, pp. 1~28.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1)

최 출**

김민희***

이인회****

< 국 문 요 약 >

본 연구는 행 표 정원제로 책정되는 시․도교육감 소속 공무원 정원 추정 방식을 총액인건비제

로 환할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산식을 개발하는데 목 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성

하기 해 본 연구에서는, 총6개의 교육행정 수요 변수를 포함한 회귀식과 보정식을 사용하여 산식을

개발하고, 산식에 따라 추정되는 총정원 규모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책 결정시 활용가능한 시

사 을 도출하 다. 본 연구에서는 먼 다 회귀모형과 혼합모형으로 구분한 후, 혼합모형은 각 변수

별 동일가 치안과 차등가 치안으로 세분함으로써 총3개의 정원 리 산식모형을 개발하 다. 그런데

산식을 용하여 도출된 총정원의 시․도교육청간 편차가 심하여 2010년도의 표 정원을 그 로 인

정하는 기본가정 하에, 총정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도교육청간 정원을 조정하는 보정 안을 도

출하 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검토한 산식의 각 안들은 장․단 을 모두 지니고 있으나 정책수

용성 측면에서 볼 때, 그리고 향후 발생하는 교육행정 수요를 감안해 볼 때, 혼합모형 에서도 재

표 정원 범 내에서 학생수의 가 치를 이고 학교수에 가 치를 더 부여한 보정 안이 가장 바람

직하다고 평가하 다.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 을 고려하여 향후 정원 리 산식개발시 직무분석에 의

한 보완 단 학교 직원 배치기 등 고려, 새로운 행정수요 반 , 교육 문직을 포함하는 것이 필

요함을 제언하 다.

주제어 : 지방교육행정기 , 총액인건비제도, 다 회귀모형, 혼합모형, 교육 문직

Ⅰ. 서 론

이명박 정부는 지방분권과 자율화의 취지에 따라 많은 권한을 지방교육행정기 으로 이양

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교육행정 수요에 효과 으로 응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한 이를 실질 으로 뒷받침하는 조직 리의 주체로 지방의회 주민에 의한 자율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a). 그러나 최근에 이르기까지 지방교육행정기 은 정원

과 행정기구를 자율 으로 설치하지 못하고 사실상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의 폭넓은

지도․감독을 받아왔다. 즉 지방교육행정기 의 개별 교육행정 수요나 여건, 재정능력 등에

* 본 연구는 최 출 외(2010)가 수행한 ‘시․도교육청 총액인건비제도 정착방안 연구’의 내용을 일부 수정․보완

한 것임.

** 제1 자, 충북 학교 행정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 교신 자, 구 학교 교육 학원 교수, [email protected]

**** 동 학교 교양융합학부 교수, [email protected]

2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한 고려없이 ‘지방교육행정기 의 기구와 정원 기 등에 한 규정(이하 ’규정‘이라 함)’

그 시행규칙에 따라 획일 으로 사 규제를 받아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정과 시행

규칙이 정한 행의 표 정원제에 의한 기구와 정원 리는 앙정부의 통제수단으로 활용되

어 왔고(김병국 외, 2004; 김종성, 2009), 지역별 다양한 교육행정 수요와 여건 재정능력에

효과 으로 응하기에는 신축성이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권용수․강정석․조명성, 2004).

일반자치단체는 이러한 문제 을 보완하고, 지방정부의 자치권을 확 하기 해서 2005년

부터 2006년에 걸쳐 총액인건비제도에 한 시범사업을 실시한 후, 2007년 1월 1일부터 제

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245개 지자체에서 면 으로 총액인건비제도를 도입하여 조직․인

사․ 산분야에서 유연하고 신축 인 기 운 을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권한의 이양과 교

육에 한 자율화가 수사 인 슬로건을 넘어 지방교육에 실질 으로 정착되기 해서는 지

역주민의 다양한 교육행정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역특성에 따라 개별 교육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방교육행정기 의 자치권을 최 한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흐름 하에 지방교육행정기 에 한 총액인건비제도가 2009년 2월 처음 논의가 시

작되어, 교과부에서는 ‘직원1) 총액인건비제 도입 기본계획안’을 수립하고(교육과학기술부,

2009), 동년 11월에 4개 시․도교육청을 선정하여 2010년~2011년의 2개년도에 걸쳐 시범운

을 실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b). 지방교육행정기 에 한 총액인건비제도는 지

역의 교육수요에 맞는 조직․정원․ 산 운용의 자율권 부여함으로써, 자율 이고 효율 인

조직 인력 운 과 교육행정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 을 두고 있다(나민주 외,

2009). 그런데 총액인건비제도를 시행하기 해서는 앙정부에서 각 시․도교육청으로 총

액인건비를 산출하여 배분하여야 하는데, 총액인건비 산출시 가장 먼 교육행정 수요변화

에 응할 수 있는 공무원 정원 규모가 추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총액인건비제도가 국 으로 시행될 경우 시․도교육

감 소속 공무원의 정원을 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산식을 개발하는데 목 을 두고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정원 리 산식의 개념은 ‘조직간 균형있고 합리 인 정원

리를 해 지방교육행정기 에 책정된 정 총정원을 추정하는 산정공식’을 의미한다. 그런

데 여기서 정 총정원은 평균 인 공무원 규모라기 보다는, 지방교육행정기 별로 주어진

업무량을 수행하기에 한 공무원의 규모를 의미하므로 이를 추정하기 해서는 변화되는

행정수요 변수 업무량 등을 고려한 합리 인 산정공식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 까지 활용된 다양한 정원 리 산식 모형을 검토한 후 교육행정 수요를 반 한 변수가

포함된 산식을 개발하고, 산식에 따라 추정된 총정원 규모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공무

원 정원 리 정책결정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 을 도출하고자 한다.

Ⅱ. 련 문헌 검토

1. 지방교육행정기 총액인건비제도의 주요 내용

1) 총액인건비제도가 논의되는 맥락 하에서, 직원(혹은 총정원)이란 시․도교육청의 교육 문직은 제외하고 일반

직과 기능직 정원을 합한 것을 의미함. 즉 시․도교육감 소속 공무원을 상으로 함. 이러할 경우의 한계는 총

액인건비제도의 주요 내용 결론의 제언에서 구체 으로 제시하 음.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3

지방교육행정기 의 기구와 정원에 한 리 방식은 1991년 지방자치의 부활이후 2차례

에 걸쳐 변화되어 왔다. 1998년 제8차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총정원제’가 도입됨으로써

지방교육행정기 도 총정원제에 따른 기구와 정원에 한 리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총원

제의 경직성은 학교신설이나 지역별 특수한 교육행정 수요 발생 등에 해서 시성 있고

효과 인 응에 필요한 인력 확보에 한계를 드러냈다(권용수 외, 2004). 이에 따라 2004년

부터 지방교육행정기 의 기구 정원에 한 리 방식은 총정원제에서 ‘표 정원제’로

환된다. 권용수 외(2004)에 의하면, 표 정원제는 교육행정 수요와 정원을 연계․운 함으

로써 학교 지방교육행정기 의 조직 정원 운 의 자율성 탄력성 확보를 도모하는

데 목 이 있다.

이러한 표 정원제는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교육권한의 폭 인 지방교육행정

기 으로의 이양과 지방자치의 내실화라는 정책 방향에 따라 2009년 부터 지방교육행정기

의 기구 정원에 한 리 방식을 총액인건비제도로 환하는 논의로 이어지게 되었

다. 나민주 외(2009)에 의하면, 지방교육행정기 에 한 총액인건비제도는 지역의 교육수요

에 맞는 조직․정원․ 산 운용의 자율권을 부여함으로써, 자율 이고 효율 인 조직 인

력 운 과 교육행정서비스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 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행

기구․정원 기 의 조직 리(표 정원제도)방식은 인건비 기 의 자율조직 리(총액인건비제

도) 방식으로 환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지방교육행정기 의 총액인건비제도는 교과부가 총액인건비를 산정하고, 이를 기 으로

지방교육행정기 은 법령상 범 내에서 인건비 산의 편성․운 과 조직 리를 조례로

자율 운 하며, 지방의회 주민참여 등에 의하여 자율 으로 통제되는 시스템이다(교육과

학기술부, 2009). 지방교육행정기 의 총액인건비제도는 앙정부 부처간의 산제도 심의

총액인건비제도와 일반자치단체의 조직 리 심의 총액인건비제도와 비교할 때, 개념과 운

방식은 유사하나 인건비 산정 법령규정에서 차이가 있다(조선일, 2008; 최순 , 2008).

지방교육행정기 에서 총액인건비제도를 운 할 때의 장 은 다음과 같다(나민주 외,

2009). 첫째, 지방교육행정기 의 인사, 조직, 산 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며, 행정수

요의 변화에 응하여 유연하고 신축 인 인 자원 리체제 구축이 가능하다. 둘째, 기 의

장에게 리더십과 기 운 의 책임성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기 의 구성원에게 직 에

한 보상이 아닌 보상체계의 형평성을 제고함으로써 성과지향 인 조직변화를 유도할 수 있

다. 넷째, 지역의 실정 상황을 자율 으로 반 할 수 있기 때문에 행정수요 반여의 가능

성과 지역별 형평성이 향상될 수 있고, 조직 운 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 총액인건비제도는 그 취지에 맞게 시행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나민주 외, 2009). 첫째, 공무원 수와 계 별, 직 별 정원을 자율 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

로 직 향상의 인 이션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인사 체가 상 으로 심하고 계

간 공무원 비율의 불균형성, 특정계 에서의 극심한 인사 체 높은 수요가 발생할 수

있어 행정서비스의 질이 하될 우려가 있다. 셋째, 산 경직성 경비인 인건비가 차지하

는 비 이 상당히 높은 실을 감안할 때, 총액인건비제도는 장기 으로 인건비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넷째, 기 의 실질 인 정원 감축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기 별 총

액인건비를 산정하는데 시간과 비용의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 을 고려한 총액

인건비제도 운 의 설계가 요구된다.

4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재 시범․운 되고 있는 지방교육행정기 총액인건비제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학기술부, 2010b). 첫째, 총액인건비의 범 는 행 산과목상 인건비목 보수와

물건비목 등에서 인건비성 경비를 합한 액 체로 결정한다. 둘째, 총액인건비제도의 기본

방향은 자율성과 책임성의 조화이며 합리 인 총액인건비의 기 을 산정하는 것이다. 셋째,

총액인건비의 산식안은 우선 시범교육청에만 용한다. 넷째, 총액인건비제도 실시로 기 되

는 효과는 법령상 각종 기구설치 기 승인권을 폐지하고, 기기본인력운용계획의 수

립․시행을 추진하며, 조직운 에 한 진단․평가시스템을 구축하고, 지방의회의 심의기능

과 조직운 의 자율역량을 강화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주요 내용에서 핵심 인 것은 총액인건비를 산정하는 산식을 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과부가 제시한 시범교육청의 총액인건비 산식안과 총액인건비제도의 면 도입

시 총액인건비에 한 산식안은 다음과 같다(교육과학기술부, 2010b).

<시범교육청 총액인건비 산식>

총액인건비 = 시범교육청 표 정원① ×인건비 단가② +( 인건비성 경비③ )

① 표 정원(시범교육청): 기구 정원규정에 의한 표 정원

② 인건비 단가: ( 년도 직원인건비 세출결산액/ 년도 직원 원) × 공무원처우개선율

③ 인건비성 경비: 기 운 업무추진비, 맞춤형복지비, 직책 업무추진비, 특정업무담당활동비 등 기

존 교부 인건비 항목 이외 경비

<총액인건비제도 면도입시 산식>

총액인건비= (유형별․기능별 정인력① +지역여견보정인력② +여건보정인력)×인건비 단가③

① 유형별․기능별 정인력: 교육청별 다양한 요소를 반 한 산식 개발

② 지역여건보정인력: 학생수, 도시/농․어 /도서벽지, 학원 집지역 등 지역 여건 반

③ 인건비 단가: ( 년도 직원인건비 세출결산액/ 년도 직원 원)×공무원처우개선율

교과부에서 제시한 의 총액인건비제도 산식에는 교육 문직 정원은 포함되어 있지 않

다. 2011년 재 교육 문직수는 4,168명으로 시․도교육청 소속 공무원 총수인 66,553명의

6.3%에 불과하지만, 단 학교를 지원하는 지방교육행정기 의 목 을 달성하기 한 교육

문직의 역할은 향후 더 증 될 망이다. 일반자치단체와 달리 지방교육행정기 은 일반직

과 교육 문직 정원의 이원화된 인력구조를 지니고 있으나 그 기능상 분리되기 어려운 측면

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공무원인 교육 문직의 증원은 행정안 부와 기획재정부의

정원통제로 인해 정원 리 산식에는 반 되지 못하고 있고, 교육 문직을 제외한 총액인건

비제도는 반쪽짜리에 지나지 않는다(김태훈, 2011). 실 인 여건상 최근 추진되고 있는 총

액인건비 산식에는 교육 문직이 포함되기 어렵지만 향후에는 국가공무원인 교육 문직을

포함시키기 한 방안 모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5

2. 공무원 정원 리 필요성과 산정 모형

공무원 정원 리는 지방자치단체가 업무를 수행하기 해 필요한 정인원을 과부족없이

배치하고 인원의 불필요한 팽창을 규제하며 재정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리제도이

다. 정원 리제도는 공무원의 정원 산정, 공무원의 증원 등에 통제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

하므로 한 정원 리는 업무량에 합한 최 인원의 배치, 계획 인 인사 리의 추진, 인

건비의 억제, 새로운 행정수요에의 응 등을 통해 자원의 낭비를 이고 공공조직 운 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주재복, 2003). 공공부문 인력 리는 최근 신규 교육행정

수요의 지속 증가, 지역여건의 변화 가속화, 업무 수행방식의 고도화, 업무량 감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는 가운데 있다(권용수 외, 2004).

특히 교육기 의 경우 인력 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앙정부 차원에서 인력감축

정원 리 방식의 변화를 유도해 오고 있다(김성열 외, 2000; 교육과학기술부, 2010a). 즉 최

근 교육행정환경의 변화는 승진 체, 사기 하, 피동 조직 문화 등과는 별개로 인력수

불균형과 인력 활용 배치의 비탄력성, 인력의 문성 수 등 인력운 의 문제를 야기하

고 있어 앙정부 차원에서는 인력감축 정원 리방식의 변화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규모가 늘어나면서 이에 응하는 행정수요도 증가

하여 공공기 인력은 늘어나고 있으며 더욱이 킨슨의 법칙에 따른 인력의 증가를 고려할

때 재의 행정수요와 업무량, 향후 발생할 행정수요와 업무량 등을 정교하게 반 한 공무

원 정원산정 모형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 으로 공무원 정원을 산정하는 모형은 크게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김태일 외, 2003). 하나는 미시 인 근으로서 직무분석을 통하여 직무량과 소요시간

을 계산하고 필요 공무원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회귀분석기법을 용하는

것으로 지방교육행정기 의 행정수요의 규모를 리하는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재의 공

무원 정원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구모형을 설정한 후, 각 독립변수의 계수값을 추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주어진 행정수요의 리변수에 응하는 공무원 정원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김성열․천세 ․성기선(2000)은 공무원 정원을 산정하는 이론 모형을 크게 귀납모형과

연역모형으로 나 고 있다. 하나는 귀납 근 방법으로 업무량이나 업무간 기술 계로

부터 일정 업무량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기술 소요인력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회귀분석기법 투입산출기법, 타단체비교법, 회계자료에 의한 방법 등이 포함된다. 다른

하나는 연역 근 방법으로 조직가치나 업무 효율성의 극 화를 제한 후,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정원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이에는 직무분석, 자료포락분석, 회계자료에

의한 방법, 가치극 화모형 등이 있다.

한편 권용수 외(2004)는 거시 인 근과 미시 인 근으로 공무원 정원 산정의 모형을

구분하고 있다. 거시 근 방법은 기 의 향후 행정수요와 략 강조에 을 맞추고,

기 체 인 차원에서 총인력을 산정하여 에서부터 아래로 소요인원을 결정하는 방법이

다. 미시 근 방법은 일반 으로 과거 1년간 발생한 업무량을 감안하여 재 시 에서의

한 소요인력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공무원 정원 산정 모형의 구분은 학자에 따라 범 와 내용의 강조 이 다양하지만

6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크게 회귀분석기법과 직무분석으로 별된다. 이 2가지 근 방법은 공무원 정원 추정의 목

, 분석의 난이도와 비용 등에서 각각 장단 을 가지고 있다. 직무분석은 재 공무원 정원

의 정 수 , 즉 주어진 업무량을 수행하기 한 필요인력 규모를 산정하는 목 에 가장

하지만 직무분석이나 업무량을 정확하게 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 이 있다. 반면, 회귀분석기법은 기 의 체 공무원 정원의 정한 규

모를 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주어진 총정원을 시․도별 행정수요에 따라 배분할 경

우, 그 규모를 악하는 데는 유용하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직무분석보다 상 으로

은 장 이 있다.

김태일 외(2003)의 연구와 김성열 외(2000)의 연구는 기존의 공무원 정원 산정 모형이 주

로 회계자료에 의한 방법이나 타단체비교법 수 에서 이루어졌기에 회귀분석기법을 선정하

여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권용수 외(2004)의 연구는 회귀분석기법을 바탕으로

일부 사례 교육행정기 의 업무량을 분석하여 공무원 산정 모형을 개발하 다는 의미가 있

다. 그러나 직무분석에 있어서 일부 기 만을 상으로 하여 정 한 행정기능분석에 한계가

있고 측정오류의 가능성이 높다는데 문제 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2가지 근방법의 목 , 분석의 난이도 비용의 차이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회귀분석기법과 보정식을 사용하여 공무원 정원을 산정하는 산식을 개발하고자 한

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 방법을 다 회귀모형과 혼합모형으로 구분한 후, 혼합모형은 각

변수별 동일가 치안과 차등가 치안으로 세분함으로써 총정원 추정 산식모형을 개발하려는

것이다.

3. 선행연구 검토

총액인건비 산식 개발에 있어서의 핵심은 지역별․기 별로 다양한 교육행정 수요를 반

하기 해서 어느 정도의 정한 정원을 산정하느냐 하는 것이다. 지방교육행정기 운 에

정 정원을 산정하기 해서는 우선 지방교육행정기 의 유형별 기능별 정인력을

악하고, 다음으로 지역별 교육행정 수요의 변화를 반 하는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여 이를

산식 모형에 용해야 한다. 이를 해 여기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모형 변수선정에 한 시사 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런데 지방교육행정기 정원

규모를 추정하는 산식을 개발하고 이를 구체 으로 용한 연구가 그리 많지 않고, 주로 표

정원 추정모형을 개발하기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총액인건비 제도를 가정한 것이

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한된 범 내에서 기존의 정원 리 산식 모형

변수를 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먼 , 김성열 외(2000)는 지방교육행정기 의 인력규모를 장기 으로 정화하고 교육부

가 주기 으로 정원운 황을 검하는 기 을 마련하고자 정원산식 모형으로 2가지 역

모형과 경남 경남을 제외한 2가지 도모형을 개발하 다. 이들은 산식모형을 개발하면서

정원에 향을 주는 인구수, 학교수, 교원수, 학생수, 평생교육기 수를 주요 변수로 고려하

으나, 최종 산식에는 (공립)학교수와 (공립)학생수만을 용하 다.

둘째, 김태일 외(2003)는 1998년 총정원제가 도입되면서 지방교육행정기 의 정원은 축소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7

되었지만 행정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므로 장기 으로 지방교육행정기 의 인력규모를

정하게 유도하여 효율 인 정원 리를 해서는 표 정원 산정모형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

장하 다. 표 정원 산정모형은 시․도별로 상이한 행정수요에 하여 정한 정원규모를 추

정하는 것으로, 각 시․도의 행정수요 규모을 악한 후에 회귀식을 통해 표 정원을 산정하

는 것이다. 이러한 산식 개발 과정에서 김태일 외(2003)는 교육행정 수요를 나타내는 표

인 변수로 학교수, 학 수, 학생수를 고려한 뒤, 학교수와 학 수만을 독립변수로 사용하 다.

셋째, 권용수 외(2004)는 기존의 표 정원 산식모형이 교육수요와 연 된 거시변수만을 활

용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방교육행정기 의 자율 이고 효율 인 업무 수행을 해서는

미시 인 직무분석의 결과를 표 정원 산식모형에 반 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들은 지방교

육행정기 체를 상으로 한 기존의 모형을 시․도교육청 본청, 지역교육청, 단 학교 등

으로 구분하여 제시하 다. 이러한 산식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권용수 외(2004)는 학교수와

학 당 학생수를 변수로 선정하 고, 김태일 외(2004)의 연구와 달리 교원수를 요한 변수

로 포함하 다.

넷째, 권용수(2006)는 양 질 수요변화에 응할 수 있는 지방교육행정기 의 기능

인력의 타당성 진단하고 미래 수요까지 고려한 표 정원모형을 개발하 다. 그는 지방교

육행정기 의 실태분석과 회귀분석 직무분석을 통해 시․도교육청 본청, 지역교육청

단 학교의 표 정원모형을 각각 제시하 다. 이러한 모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권용수

(2006)는 정원규모와 련하여 상 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교원수, 학 수, 학교수, 지역

교육청 수 등을 주요 변수로 선정하 으나, 학 수와 지역교육청 수는 제외하고 학교수를

보완하는 변수로 학교당 학 수를 활용하 다.

지 까지 제시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모형 주요 변수

구분 산식 모형 주요 변수

김성열, 천세 , 성기선

(2000)

- 역 모형(서울, 역1군, 역2군)

-도 모형(도1군, 도2군, 경남)

(공립) 학교수

(공립) 학생수

김태일 외(2003)

-특별․ 역 모형

-도 모형

-시 모형

-자치구 모형

학교수, 학 수

권용수․강정석․조명

성(2004)

-시․도교육청 본청 모형

-지역교육청 모형

-단 학교 모형

학교수, 학 당 학생수, 교원수

권용수(2006)

-시․도교육청 본청 모형

-지역교육청 모형

-단 학교 모형

학교수, 학교당 학 수, 교원수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를 한 시사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

육행정기 의 규모와 기능의 차이를 악하기 해서는 행의 표 정원제 산식에서 활용된

시( )모형과 도(道)모형을 보다 세분화할 필요성이 있다. 를 들어, 서울특별시는 학생수와

8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교원 는 학 의 규모 측면에서 다른 6개 역시와 큰 차이를 보이며, 경기도 역시 나머지

8개도와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다른

역시, 경기도와 다른 도를 각각 구분하여 시․도교육청별 유형 특성을 반 할 수 있는 산

식을 개발하고자 한다.

둘째, 일반 으로 정원 리 산식을 개발하는 경우, 회귀분석방법과 직무․기능분석에 의한

방법이 주로 활용된다(권용수, 2006; 나민주 외, 2009; 김성열 외, 2000). 여기서 직무․기능

분석에 의한 방법은 시․도교육청별로 유사한 몇 개의 표 인 시․도교육청을 선정하고,

선정된 교육청에 해 정 한 직무, 기능, 인력 분석을 실시한 후 표 인 정원모형을 산정

하는 과정을 거쳐 구체 인 산식을 개발하는 것이다(권용수 외, 2004). 그러나 이 방법은 수

행하기에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표 인 시․도교육청을 선정하여 정 공무원 수

등을 추정한다고 하더라도 시․도교육청간 행정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다른 시․도교육

청에 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행가능성과 타 제도와의 형평성

등을 고려하여 회귀분석방법을 용한다.

셋째, 최근 들어 격하게 변화된 교육행정 수요를 분석하기 한 최 의 변수를 선정하

여야 한다. 기존의 표 정원제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는 학교수, 학 수, 학 당 학생수, 교원

수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수만 가지고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 평생교육시설의 확 , 증폭

된 사교육 리 등과 같은 교육행정 수요의 변화를 악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다양한 교육행정 수요 변수2)를 활용하여 총정원 추정 산식에 반 하고자 한다.

Ⅲ. 정원 리 산식개발 개발과정

1. 산식개발 모형

본 연구에서는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을 개발하기 한 모형으로 실행가

능성과 타 제도와의 형평성 등을 고려하여 회귀분석방법을 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다 회

귀모형과 혼합모형에 의한 두 가지 방식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할 각 모형별 주요 내용과 변수선정 과정 정원 리 산식을 구체 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다 회귀모형

(1) 산식개발 개요

다 회귀모형은 학교수, 학원수 등과 같은 교육행정 수요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변수

2) 본 연구에서는 시․도교육청 조직 리 담당자들과의 5차례 이상의 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행정 수요 변

수를 도출하 음: 2005~2010년까지의 직원수(정원), 직원수( 원), 학교수(국‧공‧사립), 학 수(국‧공‧사립), 분교

장수, 병설유치원수, 단설유치원수, 사립유치원수, 학생수(국‧공‧사립), 교원수(국‧공‧사립), 지역교육청수, 직속

기 수, 학원수, 공익법인수, 학력인정평생교육시설수, 통폐합학교수, 통폐합에 따른 지원인력수, 학교가 있는

도서수(연륙도 제외) 등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9

들을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재의 공무원 정원이나 총액인건비 규모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

귀방정식을 산정하는 것이다. 즉, 각 독립변수의 계수를 추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독립

변수에 응하는 종속변수(공무원 수, 총액인건비 규모 등)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재

행정안 부에서 지방자치단체 일반직 총액인건비제 산식을 개발할 때 활용하는 방식이기도

하다(행정안 부․기획재정부, 2009).

다 회귀모형을 통해 산식을 개발하는 방법은 유사 시․도교육청간 비교분석을 행하는데

유리하고, 개별 시․도교육청의 행정수요를 정하게 반 할 수 있으며, 과거의 정원변동

행정수요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장 을 지니고 있다. 다만, 여기서 회귀분석방법에 의한

공무원 규모를 추정하는 것은 주어진 수요 변수(학교수, 학원수 등)에 한 기존 15개 시․

도교육청의 일반직공무원 규모에 한 평균 수치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러한 평균값이 가

장 한 공무원 규모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한계를 지닌다.

(2) 변수선택 산식개발 과정

가) 다 회귀모형 설계의 제

다 회귀모형을 사용하기 해서는 먼 15개 시․도유형3)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를 결

정해야 한다.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지방교육행정기 정원 리를 해서는 지역별, 기 단

별로 별도의 정원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학생수나 규모 측면에서 서울특별시는 다른 6개

역시와 큰 차이를 보이며, 경기도 역시 나머지 7개도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15개 시․도

를 같은 회귀식으로 추정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본 연구에

서는 15개 시․도 서울과 다른 역시, 경기도와 다른 도의 2개 모형으로 처리하고, 역

시와 도는 더미변수로 처리하여 시․도교육청별 유형 특성을 반 하 다. 종속변수인 공무원

총정원을 산출하는데 있어서는 도 본청-직속기 -지역교육청-단 학교 등 각 개별기 별로 공

무원수를 추정한 후 체 합산하는 방법이 있으나, 직속기 과 단 학교의 할범 를 고려

해 볼 때, 도 본청과 직속기 을 합하고 지역교육청과 단 학교를 합하여 총정원을 추정하여

도 무리가 없다고 단하 다. 최종 으로는 도 본청과 직속기 공무원 추정 자료에 지역교

육청과 단 학교 공무원 추정 결과를 합한 수가 시․도별 총정원으로 처리되었다.

나) 변수선택 산식개발 과정

공무원 정원 추정을 한 회귀모형에서 종속변수는 물론 시․도별 공무원 총정원이다. 그

다면 독립변수는 공무원의 수요를 나타내는 변수이어야 하는데, 공무원의 수요를 직

으로 볼 수 있는 변수는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리변수(proxy variable)를 주로 사용하게

되고, 지 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학교수, 학 수, 학생수 등을 표 인 변수로 사용하 다

(<표 1>의 정리자료 참조).

학교수는 공무원 수요에 한 가장 기본 인 변수이다. 그런데 학교수와 함께 학 수 도

는 학생수가 독립변수에 포함될 경우, 학 수와 학생의 회귀계수 값은 학교수가 동일할 때,

학 수 는 학생수가 더 많음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공무원 수가 된다. 따라서 학교수와

3) 제주시교육청의 경우 제주특별자치도법에 의해 용을 받으므로, 총액인건비제 하에서의 정원산정 모형에서는

모두 제외함.

10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함께 독립변수에 포함되는 학 수 는 학생수는 학교규모를 보여주는 공무원 수요변수가

될 수 있다. 그런데 김태일 외(2000)의 연구에서도 지 하고 있듯이 학교수와 학 수, 학생

수가 동시에 독립변수로 모형에 포함될 경우 다 공선성이 발생할 수 있어 하나는 제외되어

야 하지만 이는 이론 문제라기 보다는 다분히 경험 문제이다. 최근 학 당 학생수가 감

소하는 추세에 있는데 이 경우 학교수와 학 수는 변함이 없더라도 학 당 학생수가 감소하

다고 교원의 수를 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무원 정원을 여야 한다는 것은 설득

력이 낮기 때문에 재 단계에서는 학교수와 학 수, 학생수를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외에 기존의 표 정원 산정에 포함된 지역교육청수를 수요변수에 포함시키는 것에

한 논란이 있으나, 지역교육청 수 그 자체는 엄 하게 교육수요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법

령에 의해 정해지며 학교수나 학생수 등의 변화에 연동하여 증감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 회

귀모형에서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학교수, 학생수, 학 수 이외에 다 회귀 모형에 포함될 독립변수는 시․도별 담당자들과

의 의를 거쳐 총18개 변수를 선정하 으나, <부록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 변수간 상

성이 높아 회귀분석과정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변수를 선정하 다. 회귀분석 결과 t-값을

우선 으로 시하되 R2값을 높이기 하여 시․도교육청 더미(서울시와 경기도) 자연로

그로 치환한 변수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 고, 상수가 유의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수제

거를 하여 원 을 통과하는 회귀식을 도출하 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다 회귀 모형에는

재 공무원 정원을 가장 잘 리한다고 여겨지는 학생수, 학교수, 학 수와 더미변수가 독

립변수로 포함되었다.

그런데 다 회귀모형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개년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패 분석

(panel analysis)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도 더미변수 활용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정확성이 많이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단되어 통합시계열분석(pooled-time series analysis)

에 의한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 고, 결과 으로 더미변수가 의미가 없는 경우는 회귀방정

식에서 제외하 다.

(3) 다 회귀모형에 의한 정원 리 산식

앞에서 제시한 변수 선정 과정을 통해 총정원을 추정하는 산식을 개발하 다. 다 회귀모

형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 동안, 시․도교육청 정원에 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독립변수들을 활용하여 2010년의 정원추정 산식을 도출한 것이다. 역시교육청 유형에 용

되는 회귀식에는 학생수, 학교수, 학 수와 같은 변수가 용되었으며, 도교육청 유형의 경우

에는 학생수와 학교수만이 용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15개 시․도교육청의 본

청 정원 지역교육청별 표 정원을 산정하기 한 다 회귀모형 산식은 다음과 같다.

① 역시 모형 정원: R2=0.998

Y( 역시 정원)=0.004x학생수+0.457x학교수+0.062x학 수-1412.280x서울더미

② 도 모형 정원: R2=0.9985

Y(연도별 정원)=1368.468+0.006x학생수+0.901x학교수-2901.275x경기더미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11

나. 혼합모형

(1) 산식개발 개요

혼합모형은 실 인 정책수용성을 감안하여 엄 한 통계 유의성보다는 2010년 재의

정원을 그 로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향후의 교육행정수요 변동에 따른 정원변동을 고려

하는데 주안 을 두는 방안으로 회귀식과 보정식을 동시에 용한 것이다. 시모형과 도모형

으로만 구분한 다 회귀모형과는 달리, 혼합모형은 서울시와 역시를 구분하여 두 개 그룹

으로 하며, 경기도와 나머지 도를 구분하여 2개 그룹으로 구분하는 방식을 취하 다. 다시

말해, 서울시의 경우에는 타 역시와 월등히 차이가 나는 을 감안하고 규모의 경제를 반

하여 6개 역시와 구분되게 구성하 는데, 이 경우 서울의 경우에는 타 역시보다 낮은

비율로 총정원이 증가하게 된다. 도의 경우에도 경기도를 제외한 8개 도의 산식과 경기도

산식을 구분함으로써 경기도는 타 도보다도 증가폭을 낮게 구성하여 시․도간 격한 정원

증감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조정하 다.

(2) 변수선택 산식개발 과정

가) 혼합모형 설계의 제 쟁 처리

기존의 표 모형과 다 회귀모형에서는 지방교육행정기 들의 인력규모가 하게 반

되기 어렵다. 혼합모형은 각 소속기 을 분리하여 별도의 정원기 을 용함으로써 총정원

추정의 합리성을 높이고자 하 다. 혼합모형함으로써 산식은 행정수요 변동분을 반 한 것

으로, 2009년도와 2010년의 변동분함으해당하는 독립변수( 컨 , 학 수, 학생수 등)와 종속

변수를 소속기 별로 별도 용하여 ( 컨는 것을 제로 한다. 그런데 혼합모형 산식개발

과정 상에서 발생하는 쟁 사항을 다음과 같이 처리함으로써, 기존의 표 정원모형을 한 단

계 더 발 시키고, 정원 리 산식을 개발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한다.

첫째, 기존의 표 모형은 지역특성을 반 하지 못했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정

식을 사용하여 지역특성을 반 함으로써 정원 운 의 실성을 반 하 다. 본청의 경우에

는 보정식을 산입하지 않으며, 지역청에는 산식을 구한 후에 지역보정을 해 수 있는 보

정식에 통폐합 학교수와 분교장 수를 반 하 다. 통폐합 학교수의 경우는 통폐합 학교수와

통폐합 지원인력과의 회귀식을 구하여 통폐합 1개 학교로 인하여 필요한 지원인력수를 구하

여 이를 반 하 고 분교장 수의 경우에는 개별 분교별로 1명의 직원수를 반 해 주었다.

둘째, 행정수요의 변동분을 용한 혼합모형을 통해 추정된 총정원이 재의 표 정원보

다 격하게 어들거나 많아지게 되면 해당 시․도교육청의 정책수용성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쟁 사항을 처리하기 해 본 연구에서는 수요변동분과는 계없

이 정책 차원에서 증감폭의 차이를 고려한 보정을 추가로 수행하 다. 이는 2010년도의

표 정원으로부터 최종 총정원의 증감폭이 1%를 과하거나 미달하지 못하도록 증감의 상

한과 하한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수요(학생수 등)가 폭 증가하여 정원수요가 늘어난다 하

더라도 당해 정원의 1%를 과하지 못하게 하며, 반 로 격히 수요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추정정원이 기존 정원의 1%를 과하여 감소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방식이다. 컨 , 추

12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정정원을 산정한 후에 이 정원수치가 표 정원의 +1%와 -1% 사이에 있게 되면 그 로 추

정정원을 인정해 주는 반면, 추정정원이 당해 연도(2010년도) 표 정원에 1%를 더한 정원보

다 큰 경우에는 모두 인정해 주지 않고 +1% 범 를 최고 상한선으로 정하여 주는 방식이

다. 추정된 정원이 미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1%범 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이 게 증감폭 보정을 해 이후 총정원 값이 61,863명보다 어든 경우( 컨

, 61,800명)에는 총정원을 2010년 기 으로 동일하게 유지해 다는 의미에서 감소된 인원

(83명)을 표 정원보다 감소된 시․도교육청을 상으로 하여, 감소비율만큼 다시 추가로 보

정해 주었다. 그런데, 역으로 총정원 값이 61,863명 보다 과한 경우( 컨 , 62,000명)에는

과된 인원(77명)을 표 정원보다 늘어난 시․도교육청을 상으로 늘어난 비율만큼 여

으로써 2010년도의 표 정원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 다. 따라서 혼합모형은 총정원 추정

산식을 개발하고, 지역보정 후, 증감폭을 보정하고, 시․도간 차이보정을 추가로 실시하는

다단계 과정을 거쳐 최종 산식을 개발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게 함으로써 총정원

이 2010년 표 정원보다 아무리 증가해도 1%를 넘지 않고, 아무리 감소해도 1% 이하 감소

하지는 않도록 함으로써 정책 수용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 하고자 하 다.

셋째, 라남도 등과 같이 도서가 많은 지역의 경우에는 도서에 있는 학교를 유지․ 리

하는 정원을 더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독립변수 도서수와 분교장수의 상 계가 큰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부록 2> 참조) 최종 산식에서는 도서수는 제외하고 분교장수만 반

하여도 통계 으로 문제는 나타나지 않게 처리하 다.

넷째, 최종 산식개발시 행정수요 변동에 한 증감폭을 조정하기 해 가 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취하 다. 먼 각 변수별로 모두 동일한 가 치를 반 한 안과, 학교수에 한 가

치를 높이고 학생수에 한 가 치를 낮추는 차등가 치 용 안의 2개의 안 산식을

구성하여 총정원 증가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 다. 한 다른 안들과 마찬가지로 2011년

이후의 정원을 2010년 표 정원의 기 으로 산정하기 하여 보정산식을 추가로 제시하

다. 즉, 재 시․도별 표 정원 총수인 61,863명의 정원을 유지하기 하여 비율개념을

용하여 총정원수를 조정하 다.

나) 변수선택 산식개발 과정

각 시․도의 공무원 정원은 본청과 지역청으로 구분하여 산정하며 이 게 추정된 정원을

합하여 총정원을 산정하는데, 정원 추정에 사용된 변수 역시 본청과 지역청의 경우로 구분

하 다. 앞의 다 회귀모형 산출시 사용했던 총18개 변수 혼합모형에 포함될 독립변수를

선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앞의 다 회귀모형에서는 최소필요한의 변수만 포함되었으나,

혼합모형은 지역특성 향후 발생할 행정수요 등을 반 해야 하므로 시․도교육청 담당자

들과의 5차례 이상의 의과정을 거치고 통계 유의미성 검증 과정을 거쳐 독립변수를 선

정하 다. 학교수, 학 수, 학생수, 교원수 등의 표 변수 선택논리는 다 회귀모형에서 제

시한 내용과 같으므로 여기서는 기타 행정수요를 나타내는 변수 선택과정만 제시한다.

먼 , 직속기 수, 평생교육시설수, 유치원 수 등의 변수들은 행정수요를 반 하는 변수로

각 시․도 의회 과정에서 포함시켜 것을 요구하 으나 각 시․도별로 합의된 기 이 없

고 통계 유의성이 지나치게 낮거나 다른 변수들과의 공선성이 발생하여 혼합모형 산정식

을 개발하는 변수에서는 제외하 다. 이에 따라 최종 산식에는 본청의 경우 학생수, 학교수,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13

학 수, 교원수 등 4개의 표 인 독립 변수가 사용되었다.

지역교육청 총정원 추정산식에는 본청의 경우처럼 학생수, 학교수, 학 수, 교원수 등 4개

변수에 사설학원 리 업무의 증가를 감안하여 학원수가 추가로 포함되었고, 아울러 지역보

정계수로서 지역교육청 할 통폐합학교수와 분교장수가 포함되었다. 다만, 연도별 증가폭이

큰 시․도교육청의 경우 정책수용성 문제가 제기되므로 증감폭을 최소로 이도록 정책

차원에서의 보정을 추가하 다. 결국 혼합모형은 엄 한 통계 유의성보다는 2010년 재

의 정원을 그 로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향후의 교육행정수요 변동에 따른 정원변동을

고려하는데 주안 을 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지 까지 제시한 혼합모형의 산식개발 과정을 제시하면 [그림 1]과 같다. 최종 산식을 통

해 총정원은 4개 유형(서울시, 역시, 경기, 도)별 ‘가 치(동일, 차등)’ 추정정원 보정에 따

라 산정된다(<부록 1> 참조).

유형특별․ 역시형 도형

서울 5개 역시 경기 8개 도

변수(변동분)

본청 학생수 학교수 학 수 교원수

지역청 학생수 학교수 학 수 교원수 학원수지역교육청

(2국6과,

4과, 2과)

지역보정

(통폐합

학교수,

분 교 장

수)4)

가 치

(차등

가 치)5)

본청 0.5/4 1.5/4 1/4 1/4

지역청 0.5/5 1.5/5 1/5 1/5 1/5

변수*회귀계수*가 치 = 안별 총정원 추정

재 표 정원 기 으로 정원 재조정

총정원 내 1% 정원 추정

↙ ↘

추정정원보정

1% 미만 정원추정(추정정원 - 1% 정원)

1% 과정원 추정(추정정원 + 1% 정원)

↓ ↓

그 로 인정 상한선에 맞춤

최종 보정 정원추정

[그림 1] 혼합모형에 의한 총정원 추정 과정

4) 통폐합학교수와 분교장수는 변동분이 아닌 실제 학교수를 반 함

5) 동일가 치의 경우 이 과정은 생략함

14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3) 혼합모형에 의한 정원 리 산식

앞서 제시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혼합모형을 통한 총정원 추정산식을 산출하 다.

여기서는 차등가 치를 용하여 서울시와 역시유형, 경기도와 도유형의 4가지 유형별로

본청 정원 지역교육청별 표 정원을 산정하기 한 총8가지 산식을 제시한다. 각 유형별

최종 정원은 본청과 지역교육청의 추정 정원을 합한 것이다.

① 서울시교육청 본청

2011년 본청 정원=2010년 정원+{(0.007x본청 할 학생수 변동분)x0.5/4+(7.411x본청 할

학교수 변동분)x1.5/4+(0.231x본청 할 학 수 변동분)x1/4+(0.110x본청 할 교원수 변동

분)x1/4}

② 서울시교육청의 산하 지역교육청

2011년 정원=2010년 지역청 정원+{(0.005x지역교육청청 할 학생수 변동분)x0.5/5+(3.976x

지역교육청 할 학교수 변동분)x1.5/5+(0.160x지역교육청 할 학 수변동분)x1/5+(0.105x지

역교육청할 교원수 변동분)x1/5+(0.370x지역교육청 할 학원수 변동분)x1/5}+지역교육청수

의 변동분 {(94.0x2국6과 지역교육청 수 변동분)+(81x4과 지역교육청 변동분)+(51x2과 지역교

육청 변동분)}+지역보정{(4.204x통폐합학교수)+(1x분교장수)}

③ 역시교육청 본청

2011년 본청 정원=2010년 본청 정원+{(0.010x본청 할 학생수 변동분)x0.5/4+(9.528x본청

할 학교수 변동분)x1.5/4+(0.326x본청 할 학 수 변동분)x1/4+(0.154x본청 할 교원수 변

동분)x1/4}

④ 역시교육청 산하 지역교육청

2011년 지역청 정원=2010년 지역청 정원+{(0.005x지역교육청 할 학생수 변동분)x0.5/5+(3.151x

지역교육청 할 학교수 변동분)x1.5/5+(0.165x지역교육청 할 학 수 변동분)x1/5+(0.113x지

역교육청 할 교원수 변동분)x1/5+(0.463x지역교육청 할 학원수 변동분)x1/5}+지역교육청

수의 변동분 {(96.6x2국6과 지역교육청 수 변동분)+(81x4과 지역교육청 변동분)+(51x2과 지역

교육청 변동분)}+지역보정{(4.204x통폐합학교수)+(1x분교장수)}

⑤ 경기도교육청 본청

2011년 본청 정원=2010년 본청 정원+{(0.008x본청 할 학생수 변동분)x0.5/4+(7.135x본청

할 학교수 변동분)x.1.5/4+(0.274x본청 할 학 수 변동분)x1/4+(0.124x본청 할 교원수 변

동분)x1/4}

⑥ 경기도교육청 산하 지역교육청

2011년 지역청 정원=2010년 지역청 정원+{(0.008x지역교육청 할 학생수변동분)x0.5/5+(4.295x

지역교육청 할 학교수 변동분)1.5/5+(0.260x지역교육청 할 학 수 변동분)x1/5+(0.168x지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15

역교육청 할 교원수 변동분)x1/5+(0.635x지역교육청 할 학원수 변동분)x1/5}+지역교육청

수의 변동분 {(94.1x2국6과 지역교육청 수 변동분)+(76x4과 지역교육청 변동분)+(47.8x2과 지

역교육청 변동분)}+지역보정{(4.204x통폐합학교수)+(1x분교장수)}

⑦ 도교육청 본청

2011년 본청 정원=2010년 본청 정원+{(0.014x본청 할 학생수 변동분)x1/4+(7.402x본청

할 학교수 변동분)x1/4+(0.399x본청 할 학 수 변동분)x1/4+(0.185x본청 할 교원수 변동

분)x1/4}

⑧ 도교육청 산하 지역교육청

2011년 지역청 정원=2010년 지역청 정원+{(0.012x지역교육청 할 학생수 변동분)0.5/5+(3.612x

지역교육청 할 학교수 변동분)x1.5/5+(0.344x지역교육청 할 학 수 변동분)x1/5+(0.227x지

역교육청 할 교원수 변동분)x1/5+(0.867x지역교육청 할 학원수 변동분)x1/5}+지역교육청

수의 변동분{(94.7x2국6과 지역교육청 수 변동분)+(76x4과 지역교육청 변동분)+(46.4 x2과 지

역교육청 변동분)}+지역보정{(4.204x통폐합학교수)+(1x분교장수)}

다. 모형별 정원 리 산식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 회귀모형과 혼합모형별 산식의 장․단 을 종합 으로 비교 분석

하여 정리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다 회귀모형의 경우 통계 유의성을 고려하여 회귀분

석의 원칙에 부합하지만 기존의 변수를 넘어서지 못해 선택에 제한이 있는 단 을 지니며

보정을 용하지 않았을 경우 재의 표 정원 규모와 큰 차이를 보이는 단 을 지닌다.

<표 2> 정원 리 산식 모형별 장․단 비교 분석

구분 장 단

다 회귀

모형

○ 회귀분석의 원칙에 부합함

○ 통계 유의성을 고려함

○ 통계 으로 유의미한 제한된 소수의

변수만 추정식에 반 함

○ 재 표 정원 규모와 상이할 경우 정

책수용성이 낮아짐

혼합

모형

1안

○ 정원에 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변수

들을 최 한 다양하게 반 할 수 있음

○ 과거 추세와는 계없이 재의 정원을

그 로 인정해 수 있다는 에서 정

책수용성 높음

○ 재정원을 그 로 인정해 으로써

정책환경변화에 보수 이라는 논란이

있을 수 있음

○ 수요변수들을 동시에 회귀방정식에서

활용할 경우, 다 공선성 문제로 통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2안

○ 특정변수( : 학생수)에 해서 정책 단

에 의해 가 치를 다양하게 용할 수 있음

○ 학생수라는 정책수요변수를 고려하되,

낮게 반 함으로써 농 지역의 실정을

많이 반 해 수 있음

- 학생수가 농 지역에서 어드는 경우,

정원감소로 크게 이어지지 않고 약한

정도로 이어지게 함

○ 농 지역의 정책수용성이 높을 수 있음

○ 학생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가 치

감소로 정원증가에 낮게 반 되는 문

제 이 있음

- 도시가 많은 지역에서 반 할 가능

성이 있음

16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반면, 혼합모형은 기존의 역시와 도로 구분한 2유형을 넘어서 서울, 역시, 경기도, 도

등의 4가지 시․도유형을 용하고, 학교수, 학 수 등 기존에 사용했던 변수와 더불어 다양

한 지역특성을 반 한 변수 보정계수를 활용함으로써 지역특성을 최 한 반 하여 정원

을 추정했다는 장 이 있다. 한 재 정원을 그 로 인정해 주면서 총정원을 추정했다는

에서 정책수용성은 높지만 역으로 재의 정원이 다양한 행정수요를 반 한 정 공무원

규모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보수 이라는 비 을 받을 수 있는 단 이 있다. 행정 수요

변화에 해 차등가 치를 용하고 보정 안을 감안한다면 지역간 격차를 반 해 수는

있으나, 가장 큰 행정수요 변화를 가져오는 학생수 변수의 가 치가 낮음으로 인해 학생수

의 증감이 정원증감에 크게 향을 미치지 못하는 단 한 최종 산식 개발시 고려해야 할

한계 라고 할 수 있다.

2. 기술통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최종 수집자료에 한 기술통계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직원수

의 경우 체 시․도교육청의 본청에는 평균 1,188명, 지역교육청에는 2,892명의 직원이 배

치되어 있다. 학교수, 학 수, 학생수, 교원수는 국․공․사립학교를 합하 으며, 학원수는 2

국6과, 4과, 2과 지역교육청 할 학원수를 모두 합한 것이다. 변수별 기술통계 분석결과에

의하면 학생수와 교원수 편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최종 수집자료의 기술통계(2010)

(단 : 명, 학 , 개, 교)

변수

지역최 값 최소값 평균 표 편차

직원수본청 2,794 640 1,188.1 578.173

지역청 8,812 902 2,892.4 1,992.822

학교통계6)

학교수 2,170 233 872.1 530.680

학 수 53,842 6,736 16,404.1 13,397.179

학생수 1,811,367 202,109 489,037.4 452,053.270

교원수 98,424 11,091 28,097.9 23,916.861

학원수 18,669 2,501 5,492.7 4,868.304

지역교육청

2국6과 10 0 2.7 3.132

4과 1 0 0.1 0.267

2과 22 0 8.9 8.823

지역보정통폐합학교수 15 0 2.7 3.904

분교장수 111 0 25.4 32.774

3. 자료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Excel 2009를 사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별 자료입력, 연구모형별 총정

6) 학교통계 학교수, 학 수, 학생수, 교원수는 국․공․사립학교를 모두 합산한 것임.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17

원 추정 등을 실시하 다. 다 회귀모형과 혼합모형에 활용될 변수 선정 회귀식 구성, 변

수별 기술통계 분석에는 SPSS 15.0 for windows 로그램을 활용하 다.

Ⅳ. 지방교육행정기 정원 리 산식개발 용 결과

1. 다 회귀모형 용 결과

다 회귀모형에 의해 개발된 산식으로 2010년도부터 2013년도까지의 시․도교육청별 총정

원을 추정한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시․도교육청별로 증감폭은 다르지만 체 인 경

향을 보면 2011년도에는 2010년보다 약간 고 그 이후에도 총정원은 약간씩 어드는 경향

을 보인다.

<표 4> 다 회귀식에 의한 총정원 추정결과(2010~2013)

구 분 2010 2011 2012 2013

서울다 회귀식 6,814 6,874 6,648 6,511

(보정안) 6,814 6,956 6,793 6,709

부산다 회귀식 3,482 3,399 3,284 3,222

(보정안) 3,482 3,440 3,356 3,320

구다 회귀식 2,452 2,456 2,780 2,314

(보정안) 2,452 2,485 2,432 2,384

인천다 회귀식 3,057 2,972 2,956 2,971

(보정안) 3,057 3,008 3,021 3,061

주다 회귀식 1,631 1,772 1,749 1,722

(보정안) 1,631 1,793 1,787 1,774

다 회귀식 1,719 1,788 1,774 1,744

(보정안) 1,719 1,810 1,813 1,797

울산다 회귀식 1,480 1,299 1,264 1,219

(보정안) 1,480 1,314 1,291 1,256

경기다 회귀식 12,155 11,578 11,820 12,121

(보정안) 12,154 11,715 12,078 12,489

강원다 회귀식 3,595 3,261 3,217 3,197

(보정안) 3,595 3,299 3,287 3,294

충북다 회귀식 2,956 3,188 3,171 3,122

(보정안) 2,956 3,226 3,240 3,217

충남다 회귀식 3,933 3,848 3,821 3,799

(보정안) 3,933 3,893 3,904 3,914

북다 회귀식 3,824 4,235 4,184 4,135

(보정안) 3,824 4,286 4,275 4,260

남다 회귀식 4,636 4,447 4,399 4,337

(보정안) 4,636 4,500 4,495 4,469

경북다 회귀식 4,945 4,813 4,737 4,578

(보정안) 4,945 4,870 4,840 4,717

경남다 회귀식 5,184 5,207 5,141 5,047

(보정안) 5,184 5,269 5,253 5,201

합계다 회귀식 61,863 61,140 60,543 60,041

(보정안) 61,863 61,863 61,863 61,863

18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그런데 실 인 여건을 감안하여 2010년 표 정원 규모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책 선택

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표 4>에서 (보정안)으로 제시된 총정원수를 제시하여 기존의 제1

안에서 추정된 규모와 비교하고자 하 다. (보정안)은 다 회귀식으로 추정된 인원에 2010년

기 의 정원을 유지하는 것을 제로 하여 표 정원 규모만큼의 비율을 곱한 결과이다. (보

정안)은 다 회귀식으로 추정한 인원보다는 연도별 정원 감소폭이 기 때문에 정책수용성

측면이 높아질 것으로 기 할 수 있다.

2. 혼합모형 용 결과

가. 동일가 치 용 결과

앞서 제시한 [그림 1]의 혼합모형 산식개발 과정을 통해 산출된 동일가 치 용 최종 총

정원 추정 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혼합산식에 의한 2011년도 총정원 추정결과(동일가 치 용안)

지역표

정원

동일가 치

용 결과

정원

조정

1%

정원

1%

1%

미만

1-1

조정정원

차이

(1-1)

최종보정

정원

서울 6,838 6,774 6,727 68 6,906 6,770 6,770 -68 6,770

부산 3,495 3,466 3,442 35 3,530 3,460 3,460 -35 3,460

구 2,455 2,420 2,403 25 2,480 2,430 2,430 -25 2,430

주 1,601 1,617 1,606 16 1,617 1,585 1,606 5 1,600

1,711 1,717 1,705 17 1,728 1,694 1,705 -6 1,705

울산 1,542 1,557 1,546 15 1,557 1,527 1,546 4 1,541

인천 3,073 3,090 3,069 31 3,104 3,042 3,069 -4 3,069

경기 12,247 12,521 12,433 122 12,369 12,125 12,369 122 12,350

강원 3,591 3,648 3,622 36 3,627 3,555 3,622 31 3,606

충북 2,918 2,942 2,921 29 2,947 2,889 2,921 3 2,919

충남 3,959 4,009 3,981 40 3,999 3,919 3,981 22 3,971

북 3,783 3,817 3,790 38 3,821 3,745 3,790 7 3,787

남 4,610 4,696 4,663 46 4,656 4,564 4,656 46 4,637

경남 4,882 5,086 5,050 49 4,931 4,833 4,931 49 4,912

경북 5,158 4,940 4,906 52 5,210 5,106 5,106 -52 5,106

합계 61,863 62,300 61,863 61,962 61,863

동일가 치 용 산식에 의해 산출된 정원은 2010년도 재 표 정원 규모로 재조정하

으며 +1%~-1% 조정과정을 거쳐 최종 보정정원을 산출한 결과, 서울시와 6개 역시는 모두

표 정원에 비해 최종 정원이 었으나 경북을 제외한 경기도, 강원도, 충북, 충남, 북,

남 등은 모두 최종 정원이 다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정원에 비해 가장 많은 정원

이 감소된 곳은 서울과 부산이었고, 가장 많은 정원이 늘어난 곳은 경기도와 충남이었다. 그

러나 이 결과는 향후 행정수요 변화에 한 가 치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므로, 다음에 제시

할 차등가 치 용산출결과와 비교하여 결과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19

나. 차등가 치 용 결과

혼합모형으로 개발된 산식의 각 변수에 차등가 치를 부여하여 최종 총정원을 추정한 결

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최종 보정정원 산출 결과는 앞서 제시한 동일가 치 용 결과와

는 차이를 보인다. 즉 구를 제외한 서울시와 5개 역시는 모두 총정원이 2010년도 표

정원보다 감소하 으나, 경기도 경북을 제외한 6개 도 역시 모두 총정원이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다. 즉 행정수요 변화에 한 가 치를 부여할 경우, 학생수와 교원수, 학교수 등

이 격히 감소하는 도의 경우 정원도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표 6> 혼합산식에 의한 2011년도 총정원 추정결과(차등가 치 용안)

지역표

정원

차등가 치

용정원

정원

조정

1%

정원

1%

1%

미만

1-1조정

정원

차이

(1-1)

최종

보정정원

서울 6,819 6,753 6,753 68 6,906 6,770 6,770 -68 6,770

부산 3,478 3,445 3,445 35 3,530 3,460 3,460 -35 3,460

구 2,427 2,403 2,403 25 2,480 2,430 2,430 -25 2,430

주 1,620 1,604 1,604 16 1,617 1,585 1,604 3 1,601

1,720 1,704 1,704 17 1,728 1,694 1,704 -7 1,704

울산 1,564 1,549 1,549 15 1,557 1,527 1,549 7 1,542

인천 3,102 3,072 3,072 31 3,104 3,042 3,072 -1 3,072

경기 12,559 12,438 12,438 122 12,369 12,125 12,369 122 12,353

강원 3,653 3,618 3,618 36 3,627 3,555 3,618 27 3,606

충북 2,947 2,918 2,918 29 2,947 2889 2,918 0 2,918

충남 4,017 3,978 3,978 40 3,999 3,919 3,978 19 3,970

북 3,818 3,782 3,782 38 3,821 3,745 3,782 -1 3,782

남 4,693 4,648 4,648 46 4,656 4,564 4,648 38 4,635

경남 5,095 5,046 5,046 49 4,931 4,833 4,931 49 4,915

경북 4,951 4,903 4,903 52 5,210 5,106 5,106 -52 5,106

합계 62,465 61,863 61,863 61,939 61,863

3. 시․도교육청별 총정원 추정인원 비교

다 회귀모형과 혼합모형을 통해 총정원을 추정한 결과를 각 시도교육청별로 통합하여 아

래 [그림 2]~[그림 5]와 같이 시 으로 제시하 다. 2011년도 총정원 추정결과를 각 산식

별로 비교해보면, 서울특별시의 경우 다 회귀식 보정안으로 추정한 총정원이 가장 많으며,

혼합식으로 추정한 총정원이 가장 게 산출된다. 그러나 인천의 경우에는 다 회귀식으로

추정한 총정원이 가장 게 나타나지만, 혼합식으로 추정한 정원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경기도와 북의 경우에도 각 산식에 따라 추정된 총정원의 증감폭은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재의

표 정원 규모를 유지할 것인지, 그 지 않을 것인지 등의 기본 인 가정에 따라 총정원 추

20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정 결과가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는 이다. 즉 재 사용하고 있는 표 정원 산출모형은 합

리 인 행정수요를 반 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에서 본다면, 엄 한 통계 분석방

법을 용하여 행정수요 변동분에 따라 시․도교육청 총정원도 함께 증감을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그러나 실 인 정책수용성 측면에서 본다면 갑자기 행정인력이 감소하는 것을 받

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 즉 학생수나 교원수 등 행정수요가 감소한다고 할지라도 학교를

지원하는 업무가 어드는 것은 아니므로 인력이 행정수요에 비례하여 어들기가 어렵다는

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6,814 6,8146,838 6,838 6,838 6,838

6,874

6,956

6774 6770

6819

6770

6,650

6,700

6,750

6,800

6,850

6,900

6,950

7,000

제1안 (보정제1안) 제3-1안 (보정3-1) 제3-2안 (보정3-2)

서울

2010

2011

[그림 2] 서울특별시 안별 총정원 추정

3,057 3,0573,073 3,073 3,073 3,073

2,972

3,008

30903069

3102

3072

2,900

2,950

3,000

3,050

3,100

3,150

제1안 (보정

제1안)

제3-1안 (보정3-1) 제3-2안 (보정3-2)

인천

2010

2011

[그림 3] 인천 역시 안별 총정원 추정

12,155 12,15412,247 12,247 12,247 12,247

11,57811,715

12521

12350

12559

12353

11,000

11,200

11,400

11,600

11,800

12,000

12,200

12,400

12,600

12,800

제1안 (보정제1안) 제3-1안 (보정3-1) 제3-2안 (보정3-2)

경기

계열1

계열2

[그림 4] 경기도 안별 총정원 추정

3,824 3,8243,783 3,783 3,783 3,783

4,2354,286

3817 3787 38183782

3,5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4,400

제1안 (보정

제1안)

제3-1안 (보정3-1) 제3-2안 (보정3-2)

전북

2010

2011

[그림 5] 라북도 안별 총정원 추정

둘째, 시․도교육청 총정원수 증감 정도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산식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즉 어떠한 산식을 개발한다고 할지라도 모든 구성원이 만족하고 수용할 수 있는

단일한 산식을 개발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이다. 따라서 최종 인 시․도교육청 총정원수

는 각 산식개발 모형이 지니고 있는 기본 가정, 산식개발 모형의 장․단 , 정책수용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궁극 으로 정치 과정을 통해 선택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

므로 이 과정에서 각 시․도교육청이 처해 있는 특수한 상황을 반 하고 당사자들간의 이해

조정 과정을 거치는 정책 리더십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21

Ⅴ. 결론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총액인건비제도가 시행될 경우 시․도교육청의 일반직 정원을 추정하는데 활용

될 수 있는 산식을 개발하고, 산식에 따라 추정되는 총정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정

책 시사 을 도출하는데 목 을 두고 수행되었다. 여기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

모형 선택 논리와 과정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산식개발 과정에서 반 하지 못한 제한 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에 주는 제언사항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 회귀모형과 혼합모형의 크게 2개로 구분하여 시․도교육청의 정원 리

산식을 개발하 는데, 혼합모형이 1안(동일가 치)과 2안(차등가 치)으로 구분되어 최종

으로는 총3개의 산식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산식에 의해 도출된 총정원의 시․도교육청간

편차가 심하여 2010년도의 표 정원으로 총정원을 고정시킨 상태를 가정하여 다시 추가 안

을 구성하 고, 이에 따라 3개의 보정 안이 다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정원 리 산식 안은 총6개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산출된 2011년도의 총정원을 추정해 볼 때, 각 시․도교육청

별로 행 표 정원인 61,863명을 과하거나 부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컨 2010년도의

표 정원을 고정시키지 않았을 경우에는 각 수요변수들의 증감에 따라 시․도교육청별 정원

도 달라지는데, 총정원이 늘어나는 경우 공무원 수의 증가에 한 논란이 있을 수 있으므로

2010년 표 정원을 그 로 유지하도록 증감비율만큼 보정하여 61,863명으로 고정시킬 필요

성도 발생하 다. 결국 가장 합리 인 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정책 단을 고려한 보

정 안도 추가로 구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총액인건비제도 산식 개발의 두 가지 안을 놓고 볼 때, 각 안들

은 장․단 을 모두 지니고 있다. 다 회귀모형은 총정원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을 제로

하여 설령 행정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정원은 증가시키지 않는 것에 기반을 둔 것이므로 정책

수용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는 증가하는 행정수요에 정원공 이 따라가지 못하는 단

이 있다. 즉, 공무원수를 총정원이라는 상한선에 묶어 두고 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무원

정원 증가 억제에는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으나 행정수요를 충분히 반 한 것이라고 보기

는 어렵다. 혼합모형은 개별 독립변수의 분리 반 을 통한 회귀식에 의한 산정방식으로써,

시․도교육청의 실여건을 가장 잘 반 해 주면서도 교육행정수요에 응하는 장 을 지니

고 있다.

이상에서 제시한 정원 리 산식 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수용성 측면, 그리고 재의

교육수요 반 정도 측면에서 볼 때, 학생수의 가 치를 이고 학교수에 가 치를 더 부여

한 산식인 혼합모형 2안을 최 의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2안에 포함된 기본 안과

보정 안 에서는, 보정 안이 정원수를 2010년 수 으로 고정시킨 것이므로 총정원이 증

가하지는 않는다는 장 으로 인해 정책수용성이 높아 기본 안보다는 더 하다고 본다.

이 게 추정된 정원 리 산식은 재 시범운 되고 있는 지방교육행정기 총액인건비제도

의 면 도입시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2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총액인건비제도는 지방교육행정기 의 인사, 조직, 산 리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행

정수요 변화에 응하여 유연하고 신축 인 인 리체제 구축이 가능성 신축성이 높아

질 수 있으나, 직 향상의 인 이션이 일어날 수 있고 기 의 실질 인 정원 감축을 보

장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기 별 총액인건비를 산정하는데 시간과 비용의 많이 소요되는

등의 한계를 지닌다(나민주 외, 2009). 실제로 제1차 총액인건비 시범운 기간에 일부 교육

청에서는 총액인건비제를 승진수단으로 잘못 인식하여 지나친 상 직 비율 주로 정원비

율이 재조정되는 등 부 한 기구․정원 리 문제가 일부 나타나기도 하 다(정 수 외,

2010).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분권과 자율화의 취지에 따라 지방교육행정기 의 조직 리

운 의 자율성은 더욱 확 될 망이다. 따라서 지방교육행정기 이 자율 으로 기구와 정

원을 리할 수 있는 역량을 높이고 지역별 다양한 교육행정 수요와 여건 재정능력에 효

과 으로 응해 나갈 수 있도록 총액인건비제도를 도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2. 연구의 제한 제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은 기존의 표 정원 추정 모

형에 비해 다양한 행정수요를 반 하 다는 에서는 일부 진일보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여 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후 지방교육행정기 정원 리 산식 개발과 련된 연구를

진 시키기 해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한계 을 고려한 정교한 산식개발이 더 요

구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 진행을 한 제언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용한 회귀분석방법에 의해 산출된 공무원 정원은 회귀분석기법의 정

의상 ‘평균 인 공무원 규모’라는 의미를 지닌다. 즉 특정 지방교육행정기 의 학교수, 학생

수, 교원수 등의 수요규모에 한 16개 시․도의 평균 인 공무원 규모를 산출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김태일 외(2003)에서도 지 하 고 정원 리 산식의 개념에서 제시한 ‘ 정공무

원 정원규모’라고 하기에는 여러 문제 이 있다. 그 하나는 평균공무원 규모가 다양한 행정

수요를 반 한 정한 공무원 규모와 동일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므로 평균값이 가장

한 공무원 규모라고 할 근거가 없다는 이다. 이를 보완하기 해 자치단체별로 행정수

요를 추정하고, 직무분석 등을 통해 직무당 업무량을 모든 직원에 해 산출한 후 이로부터

정 공무원수가 산출되어야 하지만 이는 기술 ․경제 인 한계로 인해 근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다른 하나는 분석의 단 가 역자치단체이므로 지방교육행정기 의 존재 목 인

단 학교 지원 련 수요 조건의 차이를 반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지역교육청이나 직

속기 과 달리 단 학교에 배정되는 공무원은 별도의 배치기 을 용하고 있는데 부분의

산식에서 이러한 기 까지 용하지는 못함에 따라 학교별로 실제 인 수요를 반 하지 못

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정원 리 산식 개발시에는 직무분석에 의한 보완 단 학교 직원

배치기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새로운 행정수요에 따른 정원 리 산식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행정환경과 행정수요

가 변하게 되면 이를 지원하는 행정시스템도 이에 맞게 변해야 한다. 최근 학생수 감소 등

으로 체 지방교육행정기 의 기구․정원을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교육

과학기술부는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출범이후 ․ 등교육에 한 주요한 기능들을 앙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23

에서 지방으로 이양하는 계획을 지속 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일선학교의 책임경 제를

성공 으로 정착하기 해 학교 장을 지원하고 교육수요자를 지원하기 해 2010년 9월,

국의 178개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환하고 컨설 장학을 도입하는 등 선진형 지

역교육청 기능개편 방안을 마련 시행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c). 이에 따라 지역교육

청에서도 이 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면서 소요인력이 더욱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

비하기 해서는 업무 수행방식의 고도화, 업무량 감노력, 담당인력의 문성 강화 등

총체 인 조직 리 운 방식이 변화해야 한다.

일선학교의 경우에도 추가 인 행정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교육행정수요의 다양성과 각종

업무운 시스템(에듀 인 등)의 도입, 교원의 행정업무경감 추진, 국민의 알권리 증가 등으

로 인한 민원업무,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따른 업무, 학교운 원회 업무, 산시스템을 활

용한 업무처리 등으로 단 학교 행정실의 업무량과 책임도 곤란도는 계속 으로 증가 추

세에 있다. 하지만 단 학교에 배치되는 공무원 정원은 기능직 공무원 정원이 상 으로

많이 배정되고 행정실장에게 업무가 편 되고 있으며, 기능직(사무원)의 업무량과 책임도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김민희, 2011). 특히, 단 학교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을 유도하는 정부

의 정책방향 등으로 인해 행정실로 이 되는 교원의 행정업무 추진을 한 추가 인력 확보

지원에 한 고민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수요를 반 하기 해서는 본청, 지

역교육청으로 구분된 재의 기 구분 기 에 단 학교를 포함시키거나, 이것이 어려울 경

우 정원 리 산식에서 보정계수로 조정 혹은 별도의 정원을 인정해 주는 등의 방안을 검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앞서 총액인건비제도 운 의 한계 에서도 제시한 바와 같이, 재 정원 리 산식에

는 교육 문직 정원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교육 문직은 시․도교육감 소속 공무원이 아니

라 국가공무원이므로 행정안 부나 기획재정부의 정원 통제를 받기 때문에 재 구조하에서

총액인건비 산식에는 포함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

등교육에 한 요한 기능들이 앙에서 지방으로 그리고 일선학교로 지속 으로 이양되고

있으며 특히 일선학교의 책임경 을 지원하기 한 컨설 장학 체제로의 교육지원청의 기능

은 앞으로 보다 확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유아교육, 특수교육, 교육복지, 다문화가정교육

등의 분야는 과거 수년 에 비해 그 교육행정수요가 폭 늘어났다 이에 따라 이러한 역할

을 담당할 교육 문직 인력소요는 더욱 증 되고는 있으나 국가공무원인 교육 문직 장학사

장학 등의 증원은 2007년 4,148명에서 2010년 4,168명으로 약 20여명만 증가하 는데, 이

는 교육청의 기능에 비추어 볼 때 매우 미미한 수 으로 그동안 일선 교육청에서의 교육

문직 인력 부족분은 지방공무원 는 견교사로 체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김태훈,

2011). 이러한 변화된 교육행정 수요에 극 으로 응하기 해서는 교육 문직을 보다

증원할 필요가 있고, 이를 정원 리 산식에도 반 해야 한다. 다만 교육 문직 증원노력과

함께 행 시․도교육청의 인력 리시스템을 반 으로 검해 보고 효율 인 인력운 방

안을 먼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24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0a). 시․도교육청 직원 총액인건비제 도입․운 방안. 내부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0b). 직원 총액인건비제 시범사업 운 지침. 내부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0c). 지역교육청 기능 조직개편 방안 보도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9). 직원 총액인건비제 도입 기본계획안. 내부자료.

권용수(2006). �지방교육행정기 기능 인력 표 모형 개발 연구�. 건국 학교 산학 력단.

권용수․강정석․조명성(2004). �지방교육행정기 표 정원제 개선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민희(2011). �지방교육행정기 조직운 선진화 방안: 정원 리 실태 개선방안을 심

으로�.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 창립3주년 기념 학술 회 자료집.

김병국 외(2004).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리제도 발 방안: 총액인건비제 도입을 심으로�.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김성열․천세 ․성기선(2000). �지방교육행정기 정원책정 방안에 한 연구�. 경남 학교.

김종성(2009).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조직권에 한 앙의 통제제도". �사회과학연구�, 20(1),

37~61.

김태일․김태 ․홍 (2003). �시․도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표 정원 산정모형 개발�.

서울: 교육인 자원부.

김태훈(2011). “지방교육행정기 조직 리 선진화 방향”. �지역교육발 포럼 제1차 워크

자료집�. 충북: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 37~45.

나민주․최 출․김용․김민희․이인회(2009). �지방교육행정기 의 총액인건비제도 도입에

한 연구�. 충북: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

정 수 외(2010). �시․도교육청 조직진단 평가를 한 지표개발 연구�. 충북: 한국지방교

육연구센터.

조선일(2008). " 앙부처 총액인건비제도 개선과제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7(1),

261~285.

조선일(2005). "총액인건비제도에 기 한 조직 인사 리시스템 구축방향". �한국거버 스

학회보, 12(2), 71~94.

최순 (2008). "총액인건비제도의 재량한계에 한 공무원의 인식". �한국인사행정학회학보�,

7(2), 117~150.

최순 (2007). "총액인건비제도의 이론 근거와 정 기 의 향요인". �행정논총�,

45(4), 275~303.

최 출․김민희․김용․이인회(2010). �시․도교육청 총액인건비제도 정착방안 연구�. 충북: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

하혜수․양덕순(2007). "공무원 정원 리제도의 경로의존성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총액인건

비제를 심으로". �행정논총�, 45(2), 127~153.

행정안 부․기획재정부(2009). 2009년도 앙부처 총액인건비제 세부 운 지침(안). 내부자료.

행정자치부(2006). 2007년 지방 총액인건비제 시행계획. 내부자료.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25

[ABSTRACT]

A Study on Developing A Personnel Management Equation for

The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y Officials

Choi, Young-Chool(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im, Min-Hee(Daegu University)

Lee, In-Hoi(Youngd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ersonnel management equation of the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y (PEA) that would be used in the case of transfer from

the current standard quota system to the lump-sum personnel expenditure system. To do

so, the study developed 3 equations and 3 correction equations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mixed mode with variables of educational demands, and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comparatively the number of total personnel resulted

from the equations. The study developed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mixed model,

and then classified the mixed model by the same weight method or the different weight

method. These 3 equations were used for developing 3 other correction equations in the

same condition of 2010 standard personnel because there were high numerical deviations

of total personnel of PEA as a result of the equation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proffer equation from the

viewpoint of policy acceptability was the mixed model that was developed by decreasing

weight of number of students and increasing weight of number of schools, although

there were 6 equations that ha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espectively. It is important

that a necessary complement by job analysis, consideration to arrangement standard for

schools' officials, the future educational demands and the inclusion of educational

supervisors should be included in the future personnel management equation

development, because this study has limit to do so.

Key words :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y, lump-sum personnel expenditure system,

multiple regression model, mixed model, educational supervisors

26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구 분 2010 2011 2012 2013

서울

다 회귀식 6,814 6,874 6,648 6,511

(보정안) 6,814 6,956 6,793 6,709

혼합식(1안) 6,838 6774 - -

(보정안) 6,838 6770 - -

혼합식(2안) 6,838 6819 - -

(보정안) 6,838 6770 - -

부산

다 회귀식 3,482 3,399 3,284 3,222

(보정안) 3,482 3,440 3,356 3,320

혼합식(1안) 3,495 3466 - -

(보정안) 3,495 3460 - -

혼합식(2안) 3,495 3478 - -

(보정안) 3,495 3460 - -

다 회귀식 2,452 2,456 2,780 2,314

(보정안) 2,452 2,485 2,432 2,384

혼합식(1안) 2,455 2420 - -

(보정안) 2,455 2430 - -

혼합식(2안) 2,455 2427 - -

(보정안) 2,455 2409 - -

인천

다 회귀식 3,057 2,972 2,956 2,971

(보정안) 3,057 3,008 3,021 3,061

혼합식(1안) 3,073 3090 - -

(보정안) 3,073 3069 - -

혼합식(2안) 3,073 3102 - -

(보정안) 3,073 3072 - -

다 회귀식 1,631 1,772 1,749 1,722

(보정안) 1,631 1,793 1,787 1,774

혼합식(1안) 1,601 1,617 - -

(보정안) 1,601 1,600 - -

혼합식(2안) 1,601 1,620 - -

(보정안) 1,601 1,601 - -

다 회귀식 1,719 1,788 1,774 1,744

(보정안) 1,719 1,810 1,813 1,797

혼합식(1안) 1,711 1,717 - -

(보정안) 1,711 1,705 - -

혼합식(2안) 1,711 1,720 - -

(보정안) 1,711 1,704 - -

울산

다 회귀식 1,480 1,299 1,264 1,219

(보정안) 1,480 1,314 1,291 1,256

혼합식(1안) 1,542 1,557 - -

(보정안) 1,542 1,541 - -

혼합식(2안) 1,542 1,564 - -

(보정안) 1,542 1,549 - -

경기

다 회귀식 12,155 11,578 11,820 12,121

(보정안) 12,154 11,715 12,078 12,489

혼합식(1안) 12,247 12,521 - -

(보정안) 12,247 12,350 - -

혼합식(2안) 12,247 12,559 - -

(보정안) 12,247 12,353 - -

<부록 1> 지역별․ 안별 총정원 추정 비교 (단 : 명)

지방교육행정기 공무원 정원 리 산식 개발 / 27

구 분 2010 2011 2012 2013

강원

다 회귀식 3,595 3,261 3,217 3,197

(보정안) 3,595 3,299 3,287 3,294

혼합식(1안) 3,591 3,648 - -

(보정안) 3,591 3,606 - -

혼합식(2안) 3,591 3,653 - -

(보정안) 3,591 3,606 - -

충북

다 회귀식 2,956 3,188 3,171 3,122

(보정안) 2,956 3,226 3,240 3,217

혼합식(1안) 2,918 2,942 - -

(보정안) 2,918 2,919 - -

혼합식(2안) 2,918 2,947 - -

(보정안) 2,918 2,918 - -

충남

다 회귀식 3,933 3,848 3,821 3,799

(보정안) 3,933 3,893 3,904 3,914

혼합식(1안) 3,959 4,009 - -

(보정안) 3,959 3,971 - -

혼합식(2안) 3,959 4,017 - -

(보정안) 3,959 3,970 - -

다 회귀식 3,824 4,235 4,184 4,135

(보정안) 3,824 4,286 4,275 4,260

혼합식(1안) 3,783 3,817 - -

(보정안) 3,783 3,787 - -

혼합식(2안) 3,783 3,818 - -

(보정안) 3,783 3,782 - -

다 회귀식 4,636 4,447 4,399 4,337

(보정안) 4,636 4,500 4,495 4,469

혼합식(1안) 4,610 4,696 - -

(보정안) 4,610 4,637 - -

혼합식(2안) 4,610 4,693 - -

(보정안) 4,610 4,635 - -

경북

다 회귀식 4,945 4,813 4,737 4,578

(보정안) 4,945 4,870 4,840 4,717

혼합식(1안) 4,882 4,940 - -

(보정안) 4,882 5,106 - -

혼합식(2안) 4,882 4,951 - -

(보정안) 4,882 5,106 - -

경남

다 회귀식 5,184 5,207 5,141 5,047

(보정안) 5,184 5,269 5,253 5,201

혼합식(1안) 5,158 5,086 - -

(보정안) 5,158 4,912 - -

혼합식(2안) 6,168 5,095 - -

(보정안) 5,158 4,915 - -

합계

다 회귀식 61,863 61,140 60,543 60,041

(보정안) 61,863 61,863 61,863 61,863

혼합식(1안) 61,863 62,300 - -

(보정안) 61,863 62,465 - -

혼합식(2안) 61,863 62,851 - -

(보정안) 61,863 61,863 - -

28 /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부록 2> 독립변수간 상 계 분석

구분표정원

총학교수

총학 수

분교장수

병설유치원수

단설유치원수

사립유치원수

총학생수

총교원수

지역교육청수

직속기 수

총학원수

공익법인수

평생교육시설

통폐합학교

통폐합지원인력

도서수

표정원 1

총학교수 .890

**1

총학수 .903

**.744

**1

분교장수 .268

*.421

**-.040 1

병설유치원수

.813** .785** .519** .529** 1

단설유치원수

.497**

.571**

.316**

.177 .527**

1

사립유치원수

.861** .687** .993** -.125 .451** .260* 1

총학생수 .890

**.707

**.995

**-.086 .507

**.270

**.995

**1

총교원수 .910

**.755

**.998

**-.033 .540

**.342

**.990

**.992

**1

지역교육청수

.738** .782** .410** .724** .893** .626** .323** .368** .424** 1

직속기수

.550**

.471**

.386**

.434**

.539**

.602**

.318**

.347**

.386**

.679**

1

총학원수 .875** .715** .981** -.113 .494** .401** .978** .977** .983** .381** .370** 1

공익법인수

.352** .312** .577** -.158 -.149 .277** .579** .540** .558** .037 .213* .616** 1

평생교육시설

.545** .534** .739** -.282** .024 .279** .758** .719** .734** .066 .114 .747** .770** 1

통폐합학교

.119 .200 -.145 .564**

.377**

.304**

-.210*

-.190 -.135 .572**

.365**

-.168 -.128 -.300**

1

통폐합지원인력

.073 .339**

-.088 .739**

.237*

.076 -.158 -.127 -.086 .368**

.215*

-.141 -.069 -.151 .232*

1

도서수

.079 .348** -.116 .703** .264* .189 -.189 -.156 -.114 .404** .342** -.156 -.089 -.146 .233* .957** 1

* p<.05 *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