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강 다문화 및 새터민 자녀에 대한...

24
5. 다문화 새터민 자녀에 대한 교육복지

Upload: others

Post on 08-Oct-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제 5강. 다문화 및 새터민 자녀에

대한 교육복지

학습 순서

01 | 다문화 사회의 도래

02 |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03 |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학습목표

다문화와 새터민의 의미와 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과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탈북민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과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 학생 및 탈북학생에 대한 교육복지 사업들을 설명할 수 있다.

1. 다문화 사회의 도래

문화의 국제적 교류, 국제결혼, 노동과 자본의 국제이동 확대 → 문화 다양성

촉진

국내 체류 외국인이 2016년 6월 말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어서 한국 인구의

약 4%를 차지하게 됨. 이중 3개월 이상 장기 체류자(외국인 등록·거소신고자)

도 149만을 넘어 전체 체류 외국인의 74%를 차지함

이런 추세라면 2021년엔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300만 명에 이르러, 총인구수의 5.8% 수준에 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이런 수치는 ‘다문화 사회’로 불리는 프랑스(6%), 캐나다(6%)와 비교해 결코 적지 않은 수치임

한국사회 내 외국인 체류자의 국적은 2016년 7월 기준 중국, 미국, 베트남, 태국,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일본, 몽골 순으로 많음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는 우리 사회에 ‘다문화가정’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정을 등장시킴

1. 다문화 사회의 도래

외국 출신 부모를 둔 다문화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6년 9

만9186명. 초등학생의 2.8%, 중학생의 1.0%, 고등학생의 0.6%가 다문화 학생으로 나타남

다문화 학생 부모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이 24.2%로 가장 많고, 중국(21.3%), 일본(13.0%), 필리핀(12.6%) 순

다문화가정은 서로 다른 국적, 인종, 문화를 가진 남녀가 이룬 가정을 의미하며,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다문화가정은 우리와 다른 민족,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포함된 가정을 의미함. 보통, 국제결혼 가정을 다문화가정으로 간주함

학자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인 새터민을 다문화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음

북한이탈주민은 1998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국내 총 입국자

수는 2015년 12월말 기준으로 2만 8,795명. 곧 북한이탈주민 3만 명 시대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전망됨

1. 다문화 사회의 도래

국제결혼에 의한 이주자 유입

외국인 근로자 급증

한국 사회 구성원의 문화적 다양화

연도

인원수 2010 2011 2012 2013 2014

다문화 학생 수(A) 31,788 38,678 46,954 55,780 67,806

전체 학생 수(B) 7,236,248 6,986,853 6,732,071 6,529,196 6,333,617

다문화학생 비율

(A/B*100) 0.44% 0.55% 0.70% 0.86% 1.07%

출처: 교육부(2014). 다문화 학생 통계 현황(14.4.1.)

구분 2013년도 2014년도

초 중 고 계 초 중 고 계

한국출생 32,831 9,174 3,809 45,814 41,575 10,325 5,598 57,498

중도입국 3,065 1,144 713 4,922 3,268 1,389 945 5,602

외국인자녀 3,534 976 534 5,044 3,454 811 441 4,706

계 39,430 11,294 5,056 55,780 48,297 12,525 6,984 67,806

비율 70.7% 20.3% 9.0% 71.2% 18.5% 10.3%

출처: 교육부(2014). 다문화 학생 통계 현황(14.4.1.)

1. 다문화 사회의 도래

학교급별, 출생특성별 다문화학생 현황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현재 다문화 가정 대부분은 저소득층

<표> 다문화 가정의 월평균 소득(2012) (단위: 만원, %)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이 경제적 빈곤 무제와 더불어 사회적, 교육적 기반 취약으로 인한 부적응을 겪고 있음

<표> 다문화 가정의 자녀 양육 어려움(2012) (단위: %)

월소득 ~50 50~100 100~200 200~300 300~400 400~500 500~600 600~700 700~ 계

% 3.7 7.3 30.9 31.4 15.7 5.1 2.3 1.1 2.4 100

어려움

없음

양육에

대한 배우자와

갈등

한국어교육

자녀를

돌봐줄

사람 없음

양육비,

교육비

성적부진, 학교부적응

자녀의

건강, 행동 문제

자녀의

정체성

혼란

기타 계

50.7

49.3

6.4 25.6 11.2 49.6 4.2 5.6 2.3 2.6 100

구분 초 중 고 계

재학생 수(명) 39,430 11,294 5,056 55,780

학업중단자 수(명) 328 140 104 572

학업중단율(%) 0.8 1.2 2.1 1.0

출처: 교육과학기술부(2010). ’10년 다문화가정학생 교육지원계획

다문화학생 학업중단율(2013)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다문화가구 국제결혼 이주여성 대부분이 국내 입국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해

단기간의 적응교육만 받고, 곧바로 임신, 출산 및 생업에 종사하기 때문에 우리 사회에 온전히 적응하지 못하고 있음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사회 부적응은 자녀 양육 및 교육의 문제로 이어짐

결혼 이주여성 어머니의 언어와 문화 부적응으로 자녀의 입학 준비, 가정교육 지원 부족, 학습결손이 발생

다문화 가정 자녀의 공통적 문제

언어능력 결핍: 기본적인 학습기능인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 언어능력 발달 지체와

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 발생(2005년 보건복지부 조사, 초등학교 7.5%, 중학교 9.5% 기초학력 미달)

학교 부적응: 2005년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 국제결혼가정 자녀 17.6% 집단 따돌림 경험(따돌림 이유 중 34.1% “엄마가 외국인이어서”).

상급학교 진학 포기로 이어짐(2012년 중학교 취학 비율: 전체 96.1%, 다문화 92.3%, 고등학교 취학비율: 전체 92.6%, 다문화 85.1%, 대학 취학 비율: 전체 68.4%, 다문화 49.3%)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새터민의 경우도 유사한 문제 발생

20세 미만 새터민 중 절반 정도가 중도 학업 포기

중도 포기 이유: 생활양식 및 문화 차이, 학교풍토 차이, 생활습관과 말투 등 일상생활에서의 풍습 차이로 인한 왕따 경험, 디지털 격차 등으로 인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 문제 이유

언어능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 부진: 유아기 때 한국어가 서툰 어머니로부터의 초기교육 영향

정체성 혼란: 한국어와 문화에 부적응한 어머니의 문화적 정체성 부족, 주위와 또래로부터의 편견과 차별에 의한 자아정체성 혼란

정서적 발달 장애와 학교 부적응: 집단 따돌림

학교의 대응 문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연령이 점차 증가하여, 초등학생에서 중고등학생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지원은 한국어와 문화 이해 교육에 치중되어 종합적 지원 부족

도시에서도 취학연령에 이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준비 부족

언어 등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지원 외에 정서적 지원 부족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탈북학생 교육경로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탈북학생 재학현황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구분

학교급 대안교육

시설

(전일제)*

계 초 중 고

남 여 남 여 남 여

학생수

575 553 325 359 189 182

283 2,466 1,128 684 371

2,183

탈북학생수와 학업중단율 추이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적 취약성

966 1,143

1,417 1,681

1,992 2,022 2,183

10.8

6.1 4.9 4.7

3.3 3.5 2.5 0.0

5.0

10.0

15.0

0

500

1,000

1,500

2,000

2,5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연도별 탈북학생 인원수 및 학업중단율 변화 추이

학생수

학업중단율백분율(%)인원수(명)

출처: 교육부(2015). 2015년 탈북학생 교육 지원 계획 발표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다문화가족지원법> “다문화 가족 구성원이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교육부의 다문화 가정 학생 교육지원 대책은 2006년 처음 시작, 최근에는 학부모 지원까지

확대

다문화 가정 학생 교육지원은 ‘국제결혼 가정 자녀 대상 지원’과 ‘외국인 가정 자녀 대상’으로 구분

미등록 외국인 자녀의 경우에도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의거, 거주사실 확인만으로 초등학교 및 중학교 입학이 가능

2012년 기준, 최근 5년간 초중고 전체 학령인구는 매년 20만명 이상씩 감소, 다문화 가정 학생수는 매년 6천명 이상씩 증가

16개 시도교육청에서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지원 예산은 2008년 83

억원에서 2012년 350억원으로 증가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북한이탈주민이란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

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사람”

탈북학생은 2008년 966명에서 2014년 2,183명으로 꾸준히 증가

<북한이탈주민의보호및정착지원에관한법률>에 따르면 “통일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호 대상자의 나이, 수학능력, 그 밖의 교육여건 등을 고려하여 보호

대상자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고 규정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전체인원(명) 966 1.143 1.417 1.681 1.992 2.022 2.183

전년대비증감(명,%)

- 177

(18.3)

274

(24.0)

264

(18.6)

311

(18.5)

30

(1.5)

161

(8.0)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세부사업 세부 내역

학교적응력 제고를 위한

입국초기·전환기 교육 내실화

한국어 교육 지원, 하나둘학교 중등교사 파견 지원, 학력 심의 지원,

삼죽초 특별학급 운영, 전환기학교 협력 학교 운영, 입국초기-전환기학교 협의체 운영

정착기 학교의

통합적 맞춤형 교육 강화 맞춤형 교사 멘토링 지원, 밀집학교 특별학급 운영, 토요거점 방과후학교 운영, HOPE 프로그램 운영, 제3국 출생 탈북학생 교육지원

성장·자립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지원 강화

전환기학교 직업과정 운영, 대안교육기관 직업과정 운영, 고등학교

직업 관련 학과 특별 입학 전형 확대, 진로ㆍ직업교육 캠프 운영, 직업교육 위탁 운영 지원

관계기관 협력체제 강화 관계기관 네트워크 활성화, 포럼 운영

탈북학생 교육 지원 기반 구축

교원연수, 남북한 상호이해교육, 기초학력 진단도구 개발·보급,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지도교사 매뉴얼 등 개발·수정·보급, 정책연구학교 운영, 수업연구회 운영, 홈페이지 운영, 표준(보충) 교재 등 개발·수정·보급,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운영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탈북청소년 지원사업의 대상은 초중고 학령과 청소년 기본법에 규정하는 만24

세까지의 연령을 포함

탁불학생은 북한에서 출생한 학생과 제3국 출생자(부모 중 한 사람 이상이 북한

이탈주민이고 중국 등 제3국에서 출생한 아동, 청소년) 로 구분되는데, 제3국 출

생 탈북학생은 탈북학생 교육지원이나 대학특례입학 및 교육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

다문화 예비학교

중도입국 자녀 등 급증하는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한국어 기초능력 향상 및 한국 문화 적응을 통해 원만한 공교육 진입을 돕기 위함

이중언어 강사 양성 및 상담교사 배치 지원, 한국어 표준교재 및 진단도구

보급, 한국어 평가도구 개발 및 보급

다문화 예비학교 과정 이수(최소 6개월 이상) 후 일반학교로 들어가거나 다문화 친화적인 학교로 전학할 수 있게 지원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다문화예비학교 현황(2012)

학교명(학교급) 재학생수

서울 지구촌학교(초), 다애다문화학교(중), 서울시작다문화학교(중, 고) 35

부산 아시아공동체학교(초중고) 62

대구 신당초(초) 13

인천 인천당산초(초중고), 가좌고(고) 18

광주 새날학교(초중) 49

대전 동부다문화교육센터(초중), 서무다문화교육센터(중고) 29

울산 내황초(초) 2

경기 안산 원일초(초), 시흥 시화초(초), 부천 신흥초(초), 수원 권선초(초), 남양주 장현초(초) 35

강원 원주 YMCA 고등학교(중고) 5

충북 한벌초(초), 청명학생교육원(중고) 10

충남 차동초(초중), 인주초(초) 22

전남 한울고(중고) 예정

경북 포항다문화교육센터(초), 구미다문화교육센터(초) 예정

경남 자여초(초) 13

제주 제주다문화교육센터(초) 예정

계 306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글로벌 선도학교 지원사업

다문화 거점학교 지원사업을 글로벌 선도학교 지원사업으로 확대, 시행

일반학생도 오고 싶어하는 다문화학교를 모토로 실시

집중지원형 글로벌 선도학교: 다문화 교육 우수학교 중 시도교육청의 추천을 받아

초등학교(도시형) 11개교, 초등학교(농촌형) 11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1개교 등 총 30개교를 선정(2012년 기준)

집중지원형 초등학교는 학교당 1억원, 중고등학교는 5천만원, 거점형 학교는 1천만원을 지원

다문화 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한국어교실, 이중언어교실, 상호이해교육, 학부모교육, 상담, 인식개선 프로그램 등 운영

다문화 대안학교

2012년부터 다문화 학생들의 적응과 교육을 위해 운영

서울: 지구촌학교(사립, 초등 90명), 서울다솜학교(공립, 고교 120명, 직업교육)

충북: 한국폴리텍다솜학교(국립-고용부, 고교 135명, 기술교육)

인천: 한누리학교(공립, 초중고 210명)

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교육복지 사업

탈북청소년을 위한 학력인정 체제 구축

시도교육청 교육감 산하에 학력심의위원회를 설치, 탈북민의 학력인정을

심사

북한에서의 교육기간과 현재 본인의 연령, 취학의지 등을 감안하여 졸업

학력을 심의, 인정함

디딤돌 교육기관 설립

교육부와 통일부가 연계, 디딤돌 교육기관 설립을 통해 초기 적응교육을

지원

한겨레중고등학교 설립, 운영: 경기도 안성시에 소재한 특성화 자율학교,

정원 120명, 6개 학급, 6~12개월 동안의 초기 적응교육 및 무연고·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육 담당

확인학습

우리 사회는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차별과 편견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가정 중에서도 국제결혼 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제한적인 언어능력과

문화 이해 부족으로 학력격차를 겪고 있으며, 따돌림 등으로 학교 부적응 문제 등도 발생하고 있다.

다문화와 함께 논의될 수 있는 탈북학생의 경우에도 문화적 차이와 사회적

편견으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업 중도포기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생각해 볼 문제

현재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탈북학생 중 학업중단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차시예고

제6강 농산어촌 지역에 대한 교육복지

지역 간 교육격차, 사업농어촌 지역의 교육적 취약 실태와 원인, 농산어촌 지역 대상 교육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