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 js-silver.kr · 52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8
52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 신 동 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Dong-Gu Shin, MD, PhD Department of Cardiolog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gu, Korea Hypertension is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risk factor threatening cardiovascular health of peoples, especially in the aged population. The primary goal of treatment is to achieve the maximum reduction in the long-term total risk of cardiovascular morbid- ity and mortality. All hypertensive patients should be classified not only in relation to the grades of hypertension but also in terms of the total cardiovascular (CV) risk resulting from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risk factors, organ damage and disease. Decisions on treatment strategies (initiation of drug treatment, BP threshold and target for treatment, use of combination treatment, need of a statin and other non-antihypertensive drugs) all importantly depend on the initial level of total CV risk. This document is based on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 7), published in 2003, and the 2007 guidelines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 and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However, new eighth report (JNC 8) will be released soon and expected to include major modifications of JNC 7, in- corporating new evidences from clinical trials. Key Words: Hypertension, Diagnosis, Treatment Dong-Gu Shin, MD, PhD Department of Car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Cardiolog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170 Hyeonchungno, Nam-gu, Daegu, Korea Tel: +82-53-620-3843, Fax: +82-53-621-3310 E-mail: [email protected] 서 론 고혈압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뇌졸중, 심근경 색증, 울혈성 심부전, 신장병,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고혈압은 뇌졸중 발생의 약 80% 를 차지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들 중 가 장 중요하면서 잘 알려진 인자로 수축기 혈압은 115 mmHg 이상에서 20 mmHg 증가할 때마다, 그리고 이완기 혈압은 75 mmHg 이상에서 10 mmHg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의 발 생률이 2배씩 증가한다. 1 미국심장학회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CC)/미국뇌졸중학회(American Stroke Association, ASA)에서 발표한 뇌졸중의 일차 예방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고혈압으로 인한 뇌졸중의 상대 위험도는 8이며, 치료를 통 하여 고혈압을 엄격하게 조절할 경우 약 32%의 뇌졸중 위험 도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2 이처럼 철저한 고혈압 조 절을 통하여 뇌졸중 발생 및 재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 므로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는 국가가 정책적으로 관리해야 할 중요한 보건 의료 문제이다. 국내 조사 결과 고혈압 유병 률은 26.9%로 나이에 따라 증가하여 60세 이상에서는 2명 중 1명이 고혈압에 해당 되었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의 인지 율, 치료율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하여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인지율 66.1%, 치료율 59.4%, 조절률 42.4%). 3 고혈압의 치료목표는 생활요법과 약물요법으로 혈압을 조 절하여 뇌졸중, 관상동맥 질환,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 및 신부전에 의한 유병률과 사망률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 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승되어 있는 혈압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교정과 함께 동반질환의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 본문

Upload: dominh

Post on 04-Jun-2018

21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52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

신 동 구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Dong-Gu Shin, MD, PhD

Department of Cardiolog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gu, Korea

Hypertension is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risk factor threatening cardiovascular health of peoples, especially in the aged population. The primary goal of treatment is to achieve the maximum reduction in the long-term total risk of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ll hypertensive patients should be classified not only in relation to the grades of hypertension but also in terms of the total cardiovascular (CV) risk resulting from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risk factors, organ damage and disease. Decisions on treatment strategies (initiation of drug treatment, BP threshold and target for treatment, use of combination treatment, need of a statin and other non-antihypertensive drugs) all importantly depend on the initial level of total CV risk. This document is based on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 7), published in 2003, and the 2007 guidelines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 and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However, new eighth report (JNC 8) will be released soon and expected to include major modifications of JNC 7, in-corporating new evidences from clinical trials.

Key Words: Hypertension, Diagnosis, Treatment

Dong-Gu Shin, MD, PhDDepartment of Car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Cardiolog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170 Hyeonchungno, Nam-gu, Daegu, KoreaTel: +82-53-620-3843, Fax: +82-53-621-3310E-mail: [email protected]

서 론

고혈압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뇌졸중, 심근경

색증, 울혈성 심부전, 신장병,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고혈압은 뇌졸중 발생의 약 80%

를 차지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들 중 가

장 중요하면서 잘 알려진 인자로 수축기 혈압은 115 mmHg

이상에서 20 mmHg 증가할 때마다, 그리고 이완기 혈압은

75 mmHg 이상에서 10 mmHg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의 발

생률이 2배씩 증가한다.1 미국심장학회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CC)/미국뇌졸중학회(American Stroke Association,

ASA)에서 발표한 뇌졸중의 일차 예방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고혈압으로 인한 뇌졸중의 상 위험도는 8이며, 치료를 통

하여 고혈압을 엄격하게 조절할 경우 약 32%의 뇌졸중 위험

도 감소를 기 할 수 있다고 한다.2 이처럼 철저한 고혈압 조

절을 통하여 뇌졸중 발생 및 재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

므로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는 국가가 정책적으로 관리해야

할 중요한 보건 의료 문제이다. 국내 조사 결과 고혈압 유병

률은 26.9%로 나이에 따라 증가하여 60세 이상에서는 2명

중 1명이 고혈압에 해당 되었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의 인지

율, 치료율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하여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인지율 66.1%, 치료율 59.4%, 조절률 42.4%).3

고혈압의 치료목표는 생활요법과 약물요법으로 혈압을 조

절하여 뇌졸중, 관상동맥 질환,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 및

신부전에 의한 유병률과 사망률을 최 한 감소시키는 것이

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승되어 있는 혈압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위험인자에

한 교정과 함께 동반질환의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 본문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53

Table 1. 고혈압의 정의와 분류

Category Systolic DiastolicOptimal <120 mmHg and <80 mmHgNormal 120-129 and/or 80-84High normal 130-139 and/or 85-89Grade 1 hypertension 140-159 and/or 90-99Grade 1 hypertension 160-179 and/or 100-109Grade 1 hypertension ≥180 and/or ≥110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140 and <90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should be graded (1,2,3) according to systolic blood pressure values in the ranges indicated, provided that diastolic values are <90 mmHg

Table 2. 혈압측정방법에 따른 고혈압의 기준치(mmHg)

SBP DBPOffice or clinic 140 9024-hour 125-130 80Day 130-135 85Night 120 70Home 130-135 85

Table 3. 활동중 혈압측정의 적응증

When BP shows unusual variabilityIn excluding white coat hypertensionIn helping with the assessment of patients with borderline hypertensionIn identifying nocturnal hypertensionIn assessing patients whose hypertension has been resistant to drug

therapy (defined as BP >150/90mmHg on 3 or more antihypertensive drugs)

As a guide to determining the efficacy of drug treatment over 24 hoursIn diagnosing and treating hypertension in pregnancyIn diagnosing hypotension and postural hypotension

에서 언급할 내용은 2003년에 발표된 7차 JNC보고서(the sev-

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 7)1, 2007년에 발표된 유럽고혈압지침4과 2011년 영국고

혈압 진료지침5에 따른 것이다. 곧 발표될 8차 JNC보고서에

서는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지침에 한 변경사항이 추가되

고, 새로운 항고혈압약제나 비약물치료법 등에 한 지침이

언급될 것이다.

본 론

1. 고혈압의 진단과 분류

미국 국립보건원 고혈압합동위원회에서는 1977년 처음으

로 고혈압 진료 지침을 발표한 이래 2003년 7차 보고서(JNC

7)를 발표하였다.1 7차 보고서는 정상 혈압의 기준을 강화하

고 혈압이 높아지기 전에 관리를 하기 위해서 “고혈압 전단

계(prehypertension)”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생활요법의 중요

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혈압은 정상 범위 내에 있더라도

높을수록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혈압이 높

아지기 전에 관리를 시작하고 고혈압이 되면 치료를 빨리 시

작하여야 하며 목표 혈압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치료

를 해야 고혈압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강

조하고 있다. JNC 7에서 고혈압의 분류는 간단하지만 다양

한 임상상황에 획일적으로 적용하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

서 WHO/ISH classification에 의한 고혈압의 정의를 따르는

것이 좀 더 유동적일 수 있다(Table 1).

일반적으로 첫 방문 후 수주간에 걸쳐 2회 이상 적절히 측

정한 혈압이 수축기 140mmHg 이상이거나, 또는 이완기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최근 개정된 영국

고혈압 가이드라인 (NICE 2011), 캐나다 고혈압 가이드라인

(CHEP 2012)에서는 고혈압 진단에서 활동 혈압 및 가정 혈

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4-6 백의 고혈압(white-coated

hypertension)이나 가면 고혈압(masked hypertension)을 진

단 하거나, 외래 측정 혈압(clinic blood pressure)과 비교하여

예후와 관련된 임상적 중요성으로서 활동혈압(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및 가정혈압(home blood pres-

sure measurement) 측정이 의미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어 고

혈압의 진단 또는 치료 감시에 있어 보조적인 역할을 했으나,

최근에는 본격적인 고혈압 진단의 도구로서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되고 있다.7,8 활동 혈압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되기

때문의 혈압의 하루의 리듬과 혈압변동성의 분석이 가능하

며, 수면 시 야간 혈압과 혈압의 하루 리듬, 혈압변동성 등과

장기 손상과의 연과 관계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주간 평

균혈압의 20% 이상이 야간에 감소되는 extreme dipper의 경

우 허혈성 뇌졸중이 흔하고, 야간혈압이 주간혈압 보다 오히

려 높은 reverse dipper의 경우 출혈성 뇌졸중이 흔한 특징이

신동구

54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Table 4. 총심혈관계위험도평가에 사용되는 임상변수

Risk factors Subclinical organ damage

⋅Systolic and diastolic BP levels ⋅Electrocardiographic LVH (Sokolow-Lyon > 38mm; Cornell > 2440 mm*ms) or:

⋅Levels of pulse pressure (in he elderly) ⋅Echocardiographic LVHo (LVMI M≥125g/㎡, W≥110g/㎡)⋅Age(M>55 years; W>65 years) ⋅Carotid wall thickening (IMT > 0.9mm) or plaque⋅Smoking ⋅Carotid-femoral pulse wave velocity > 12m/s⋅Dyslipidaemia ⋅Ankel/brachial BP index < 0.9⋅TC > 5.0 mmol/l(190 mg/dl) or:⋅LDL-C > 3.0 mmol/l(115 mg/dl)or:⋅HDL-C: M < 1.0 mmol/l(40mg/dl), W < 1.2 mmol/l (46 mg/dl) or:⋅TG > 1.7 mmol/l(150mg/dl)

⋅Slight increase in plasma creatinine:M: 115-133 μmol/l(1.3-1.5 mg/dl);W: 107-124 μmol/l(1.2-1.4 mg/dl)

⋅Fasting plasma glucose 5.6 - 6.9 mmol/L(102-125 mg/dl) ⋅Low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60ml/min/1.73㎡) or creatinine clearanceo (<60 ml/min)

⋅Abnormal glucose tolerance test ⋅Microalbuminuria 30-300 mg/24h or albumin-creatinine ratio: ≥22(M); or ≥ 31(W) mg/g creatinine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 > 102cm (M), >88 cm (W)

⋅Family history of premature CV disease (M at age < 55 years; W at age <65 years)

Diabetes mellitus Established CV or renal disease⋅Fasting plasma glucose ≥ 7.0 mmol/l (126 mg/dl) on repeated

measurements, or⋅Cerebrovascular disease: ischaemic stroke; cerebral haemorrhage;

transient ischaemic attack

⋅Postload plasma glucose > 11.0 mmol/l (198 mg/dl) ⋅Heart disease: myocardial infarction; angina; coronary revascularization; heart failure

Note: the cluster of three out of 5 risk factors among abdominal obesity, altered fasting plasma glucose, BP>130/85 mmHg, low HDL-cholesterol and high TG (as defined above) indicates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Renal disease: diabetic nephropathy; renal impairment (serum creatinine M >133, W >124 mmol/l); proteinureia (>300mg/24h)

⋅Peripheral artery disease⋅Advanced retinopahy: haemorrhages or exudates, papilloedema

M: men; W: Women; CV: cardiovascular; IMT: intima-media thickness; BP: blood pressure; TG: triglycerides; C: cholesterol; o Cockroft Gault formula; †MDRD formula; Risk maximal for concentraic LV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creased LVMI (left ventricular mass index) with a wall thickness/radius ratio >0.42.

Figure 1. 고혈압의 예후정량화를 위한 위험도 층별화방법.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CV: car-diovascular; HT: hypertension. OD: subclinical organ damage; MS: metabolic syndrome.

있다. 또한 허혈성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의 발생은 일중변동

이 있어서 기상 후 아침부터 오전에 걸친 수시간에 집중적으

로 발생된다는 사실은 아침 혈압상승의 중요성을 시사한

다.9,10

활동혈압 측정값은 주간 평균 혈압 ≥ 135/85 mmHg,

야간 평균혈압 ≥ 120/75mHg, 일일 평균혈압 ≥ 130/80

mmHg를 고혈압의 진단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다(Table 2).

활동혈압 측정의 적응증은 Table 3와 같다.

여러 고혈압치료지침에서 환자 자신이 집에서 측정하는

자가혈압측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또 이를 권장하

고 있다. 아침과 저녁에 한번씩 적어도 하루 두번 측정하는

것이 좋으며, 혈압이 안정되지 않았을 때는 1주일에 적어도

5일 이상, 혈압이 잘 조절되는 경우에는 1주일에 3일 이상 측

정한다. 자가혈압 측정에서 고혈압은 135/85 mmHg 이상으

로 정의하고, 주로 백의 효과 때문에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

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낸다. 진료실 혈압보다 자가혈압이

심혈관계 질환의 예후를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일부 보고되

고 있으나, 아직까지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혈압의 측정방법

은 진료실 혈압측정이 표준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자가혈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55

Figure 2. 혈압과 동반위험인자에 따른 항고혈압치료의 시작

Algorithm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Not at Goal Blood Pressure (<140/90 mmHg) (<130/80 mmHg for those with diabetes or chronic kidney disease)

Initial Drug Choices

Drug(s) for the compelling indications

Other antihypertensive drugs (diuretics, ACEI, ARB, BB, CCB)

as needed.

With Compelling Indications

Lifestyle Modifications

Stage 2 Hypertension(SBP >160 or DBP >100 mmHg)

2-drug combination for most (usually thiazide-type diuretic and

ACEI, or ARB, or BB, or CCB)

Stage 1 Hypertension(SBP 140–159 or DBP 90–99 mmHg)

Thiazide-type diuretics for most. May consider ACEI, ARB, BB, CCB,

or combination.

Without Compelling Indications

Not at Goal Blood Pressure

Optimize dosages or add additional drugs until goal blood pressure is achieved.

Consider consultation with hypertension specialist.

Figure 3. JNC 7에 따른 고혈압치료 알고리듬

압의 심혈관계 질환의 예후에 한 명확한 관계를 밝히고 정

상기준치를 정립하기 위하여 규모 장기추적 임상연구가

필요하다.11,12

2. 총심혈관계위험도(Total Cardiovascular Risk)평가

각 환자가 지닌 심혈관계위험요소(total cardiovascular risk)

를 고려하여 고혈압을 진단하고 치료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높은 정상혈압이 측정될 경우 저위험군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위험군에서는 치료가 필요한 고혈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수의 고혈압 환자들은 다른 심혈관계 위험인자들

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예후 예측과 치료를 하기

위해서 총심혈관계위험도(Fig. 1)평가를 바탕으로 치료를 시

작한다. 혈압의 정도뿐만 아니라 동반 위험인자, 장기손상

혹은 동반질환에 따라 치료의 시작시점, 혹은 항고혈압약제

의 선정, 혈압의 목표치가 다르다. 총심혈관계위험도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임상지표는 Table 4와 같다.

3. 고혈압의 치료

고혈압 치료를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 요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생활 요법에는 식염 제한, 비만

한 체중감량, 음주 제한, 운동 요법, 금연, 과일 및 채소 섭취

증 , 콜레스테롤 및 포화지방산 섭취 제한 등이 있다. 생활

요법은 혈압을 강화시킬 뿐 아니라 강압제의 작용을 증강시

키고 심혈관 질환이나 위험인자의 합병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어 모든 환자를 상으로 실시한다. 생활 습관 개선이 기

본적 치료이지만 목표 혈압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부분 약물 요법과의 병행이 필요하다.13-15

1) 고혈압치료 목표

고혈압치료의 중요한 목표는 심혈관계질환의 이환에 의한

상병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것이다. 치료의 시작은 수축기 및

신동구

56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Table 6. 동반질환별 항고혈압제의 선택

Compelling Indication*Recommended Drugs†

Diuretic BB ACEI ARB CCB Aldo ANTHeart failurePostmyocardial infarctionHigh coronary disease riskDiabetesChronic kidney diseaseRecurrent stroke prevention*Compelling indications for antihypertensive drugs are based on benefits from outcome studies or existing clinical guidelines; the compelling indication is managed in parallel with the BP.†Drug abbreviations : ACEI,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ldo ANT, aldosterone antagonist; BB, beta-blocker; CCB, calcium channel blocker.

Table 5. 생활개선요법에 따른 혈압강화효과

생활개선 요법 혈압강하 정도

체중조절 5-20 mmHg/10kg 체중감량저지방, 아채, 과일 섭취 증가 8-14 mmHg저염식 2-8 mmHg운동 4-9 mmHg절주 2/4 mmHg

이완기 혈압의 정도, 그리고 총심혈관계 위험도에 따라 결정

하여야 한다(Fig. 2). 혈압을 적어도 140/90mmHg이하로 줄

이고, 당뇨나 뇌졸중, 심근경색, 신장기능저하, 단백뇨 등이

동반된 고위험군에서는 적어도 130/80mmHg이하로 줄이도

록 한다. JNC 7에서 권고하는 고혈압 치료의 알고리듬은 다

음과 같다(Fig. 3).

2) 고혈압의 비약물치료

고혈압 환자에서 비약물치료는 잘못된 생활습관 개선으

로, 약물을 투여하는 중증 고혈압 환자는 물론 높은 정상 혈

압에서도 시행할 필요가 있다. 생활습관 개선의 목적은 혈압

조절과 다른 위험인자의 개선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 있다. 생활습관 개선 항목으로 금연, 과일 및 채소 섭취 증

진, 지방(특히 포화지방) 섭취 억제, 금주, 체중조절, 운동 및

염분섭취 제한을 들 수 있다. 철저한 생활개선 요법은 항고

혈압약 1알 정도에 해당하는 혈압 감소(수축기 혈압 10-20

mmHg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과다한 염분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키며, 특히 포타슘 섭취가 부족할 경우 영향이 더 크

다. 염분 섭취를 하루 5g (4.7-5.8 g, 80-100 mmol)이하로 제

한하면 4-6 mmHg의 혈압 강하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

라, 고혈압 약제의 효과를 증 시킬 수 있다. 고혈압 환자는

특히 조리된 음식에 소금을 더 뿌려서 섭취하지 말고, 포탸슘

이 함유된 자연적 조미료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생활개선

요법에 따른 혈압강화효과는 Table 5와 같다.

3) 고혈압의 약물치료

다음 5가지 항고혈압 약제로 분류할 수 있다; 1) Diuretics,

2) Beta-blockers, 3) Calcium channel blockers (CCBs), 4)

ACE inhibitors, 5) Angiotensin-receptor blockers (ARBs). α수용체 차단제의 고혈압에 치료효과에 한 무작위연구는

없었다. ALLHAT연구에서 α수용체 차단제(the doxazosin

arm of ALLHAT)의 사용은 심혈관사고의 증가로 조기 종료

되었기 때문에 α수용체 차단제를 다른 항고혈압치료제보다

우선적으로 추천하지는 않지만 병합치료요법 시 추천될 수

있다. 동반질환에 따른 주요 항고혈압약제의 일차선택약은

Table 6와 같다. 고혈압의 단계에 따른 일차 항고혈압약제의

선택은 Table 7과 같다.

JNC 7권고안은 개원의들에게 단순화시킨 분류를 제공함

으로써 고혈압의 관리율을 높일려는 목적이다. 혈압의 정도

를 제1기와 2기로 나누고 임상질환, 표적장기 손상 등에 따

라 특정군을 정하고 강제적응으로 일차 선택약제를 고르고,

강제적응이 아닌 일반환자에게는 더욱 간편하게 제1도 고혈

압(≥ 140/90 mmHg)에서는 thiazide이뇨제를 처음 선택하고

더 필요 시 다른 5 약제 중 한 가지의 병용을 권고하고, 제2도

고혈압(≥ 160/100 mmHg)에서는 처음부터 이뇨제를 포함한

두 가지 약제를 사용하도록 권고하였다. 물론 고혈압 전단

계에서도 당뇨병, 만성 콩팥병이 있는 경우는 목표혈압을

130/90 mmHg 미만으로 하고 단백뇨가 1일 1g 이상인 경우

125/75 mmHg 미만으로 권고하였다(Fig. 3).1

그러나 유럽심장학회 및 고혈압학회의 지침은 혈압의 높

은 정도와 심혈관계 위험인자 0, 1-2개, 3개 이상 혹은 사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57

Table 7. JNC 7에 따른 고혈압의 분류와 치료, 이에 따른 항고혈압제의 선택

BPClassification

SBP*mmHg

DBP*mmHg

LifestyleModification

Initial drug therapyWithout compelling indication With compelling indications

Normal <120 and <80 EncouragePrehypertension 120-139 or 90-99 Yes No antihypertensive drug indicated Drug(s) for compelling indications. ‡

Stage 1 Hypertension

140-159 or 90-99 Yes Thiazide-type diuretics for most. May consider ACEI, ARB, BB, CCB or combination

Drug(s) for the compelling indications.‡

Other antihypertensive drugs (diuretics, ACEI, ARB, BB, CCB) as needed.Stage 2

Hypertension≥ 160 or ≥ 100 Yes Two-drug combination for most† (usually

thiazide-type diuretic and ACEI or ARB or BB or CCB).

*Treatment determined by highest BP category.†Initial combined therapy should be used cautiously in those at risk for orthostatic hypotension.‡Treat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or diabetes to BP goal of <130/80 mmHg

Figure 4. 2011년 영국고혈압학회의 항고혈압제의 선택알고리듬.5

증후군, 표적장기손상, 당뇨병, 또 심혈관계 및 신장질환의

동반에 따라서 평균,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 최고위험의 5

단계로 나누어 고위험군에서부터 약물치료를 하는 것으로

적용이 복잡하다. 초기 치료약제로는 다섯 가지의 약제군,

즉 이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

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가운데 하나를 경도, 저위험

군에서는 저용량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목표혈압이 안되면

전용량 또는 체약제를 권고하며, 2도 고혈압이상 또는 고

위험군일 경우는 처음부터 두 가지 약제의 저용량 병합요법

을 시작하고 목표가 안되면 전용량 또는 세 번째 약을 저용

량 추가하는 순서를 권고하였다.4

또 2011년 영국심장학회의 지침은 유색인종과 백인, 또

55세를 기준으로 고령과 유색인에서는 칼슘차단제(C)를, 백

인, 약년자에게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 안지오텐

신 수용체 차단제(A)를 일차약으로 권고하고 제 2단계로 안

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에

칼슘차단제를 병용하고 제3단계에서 A+C+이뇨제 3자 병용

을 권고하였으며 제4단계에서 알파차단제나 베타차단제를

선택하도록 해서 당뇨병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베타차단제를

일차약에서 제외시켜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지만 새로운 베

타차단제의 출현으로 장기 결과가 주목된다(Fig. 4).5

신동구

58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Figure 5. 항고혈압약제의 병용사용방법. 실선은 추천되는 병용방법이고 각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입증된 약은 네모상자안에 표시하였다.

4) 병합요법

고혈압 환자중 단일 약에 의한 강압효과는 약 반 수에서만

기 할 수 있으며 혈압을 충분히 낮추기 위해서는 70% 이상

의 환자에서 병용요법이 필요하다. 치료 시작의 혈압이

160/100 mmHg 이상 시, 충분한 양의 1차 약으로 효과가 없

을 때, 심혈관계 질환(관상동맥 질환, 뇌졸증, 말초동맥질환

등)이 이미 생긴 경우, 당뇨나 신질환이 있는 경우, 단일 약제

에 부작용이 심한 경우 병용 요법을 시작할 수 있다. 서로 작

용이 다른 약을 소량씩 추가하면 강압 효과와 순응도를 높이

면서 부작용은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작용기전상 이

상적인 약제의 병용방법은 Figure 5와 같다.4

4. 뇌혈관질환이 동반된 고혈압환자의 치료

고혈압의 치료로 뇌졸중의 재발을 30-40%감소시킬 수 있

으며, JNC 7보고서에서는 과거 뇌경색이나 일과성 허혈을 경

험하였던 환자의 경우 ACE억제재나 이뇨제를 사용하여 고혈

압치료를 권고하였으나, 실제적으로 뇌졸중의 위험감소는

항고혈압제의 종류보다는 약제의 강압효과에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결 론

고혈압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압 강하이다. 아울

러 고혈압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적절하게 관리하여

유병률과 사망률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진

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약

제의 선택과 치료 목표가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

한 고혈압 지침은 임상 연구 결과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JNC 8에서는 지난 10여년간 수행된 임상연구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항고혈압제의 사용지침, 초기약제의 선택, 활동성 혈

압측정의 중요성, 저항성고혈압의 치료법으로서 신장신경절

제(renal nerve denervation)과 같은 비약물적 치료요법에

관한 기술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EFERENCES

1.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et al.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003;289:2560-2572.

2.Furie KL, Kasner SE, Adams RJ, Albers GW, Bush RL, Fagan

SC, et al.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stroke in patients

with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

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11;42:227-276.

3.질병관리본부, 2008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4.Mancia G, De Backer G, Dominiczak A, et al. 2007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 and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J Hypertens. 2007;

25:1105-1187

5.Hypertension: The Clinical Management of Primary Hypertension

in Adults: Update of Clinical Guidelines 18 and 34 [Internet].

National Clinical Guideline Centre (UK). Lond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UK); 2011 Aug.

6.Daskalopoulou SS, Khan NA, Quinn RR, Ruzicka M, McKay

DW, Hackam DG, et al. The 2012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ssessment of risk, and therapy. Can J Cardiol 2012;28:270-287.

7.Group JCSJW. Guidelines for the clinical use of 24 hour am-

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ABPM) (JCS 2010): - di-

gest version. Circ J 2012;76:508-519.

8.Kim SG. Clinical implications of ambulatory and home

blood pressure monitoring. Korean Circ J 2010;40:423-431.

9.Zis P, Spengos K, Manios E, Vemmos K, Zis V, Dimopoulos

MA, et al.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in acute

stroke: the importance of time rate of blood pressure

variation. Blood Press Monit 2012;17:220-221; author reply

221-222.

10. Lip GY, Zarifis J, Farooqi IS, Page A, Sagar G, Beevers DG.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in acute stroke. The

고혈압의 진단과 치료

2013년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59

West Birmingham Stroke Project. Stroke 1997;28:31-35.

11. Asmar R, Zanchetti A. Guidelines for the use of self-blood

pressure monitoring: a summary report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sensus Conference. Groupe Evaluation & Measure of the

French Society of Hypertension. J Hypertens 2000;18:493-508.

12. Imai Y, Otsuka K, Kawano Y, Shimada K, Hayashi H,

Tochikubo O, et al. Japanese society of hypertension (JSH)

guidelines for 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 at home.

Hypertens Res 2003;26:771-782.

13. Elmer PJ, Obarzanek E, Vollmer WM, Simons-Morton D,

Stevens VJ, Young DR, et al. Effects of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on diet, weight, physical fitness, and

blood pressure control: 18-month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2006;144:485-495.

14. Cornelissen VA, Fagard RH.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resting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

trolled trials. J Hypertens 2005;23:251-259.

15. Appel LJ, Moore TJ, Obarzanek E, Vollmer WM, Svetkey LP,

Sacks FM, et al. A clinical trial of the effects of dietary pat-

terns on blood pressure. DASH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N Engl J Med 1997;336:1117-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