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22
MICE Scandal Candle of MICE Final Report From Jeju island

Upload: -

Post on 12-Jul-2015

699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MICE Scandal

Candle of MICE

Final Report

From Jeju island

Page 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

*

*

*

*

*

*

*

*

*

Page 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Step.1

-3-

MICE란 무엇인가?

Meeting

“기업은 보다 나은 의견과 아이디어를 수렴하기 위해서 회의를 연다”

넓은 시야를 키울 수 있는 좋은 회의

기업 분위기 향상, 좋은 아이디어

높은 이윤

“바쁘게 일한 당신 이제는 즐겨라”

업무로 쌓인 스트레스

이를 위한 포상관광

기업에 대한 애정, 창의적인 아이디어

Incentive Tour

“21세기는 글로벌 시대다”

다양한 글로벌 문제 출현

국제협력의 필요성 증대

국제회의 급증

Convention

“일하면서 놀 수도 있는데 거기다 홍보까지?”

주목받는 융복합산업

일과 볼거리를 한 손에 잡는 박람회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인 홍보의 메카

Exhibition

Page 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4-

경제적 효과

Step.1

경제적 파급효과가 지대한 고부가가치 산업 - 회의 참가 외국인 1인 지출에 의한 직접효과: $ 2,488, 간접효과: $ 8,060

지역 문화의 발전 및 지방의 국제화에 기여하는 산업

- 칸느는 국제적인 축제 및 휴양도시로 변모(국제영화제) - 포츠담은 45년 ‘포츠담회담’ 이후 세계적인 도시로서 위상 정립

MICE는 왜 중요한가?

사회ㆍ문화적 효과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하는 종합산업

- 2010년 한 해 동안 일자리 12만 8,726개 만든 ‘미다스의 손’

최신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첨단산업 - 동북아 경제 중심 국가에 걸맞은 과학기술지식 허브 구현 가능 - 라스베가스 COMDEX 개최 → IT산업 강국으로 자리 매김

100명 입국 땐 자동차 21대 수출 효과 [표 1] 참조

-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국제 전시·컨벤션 행사에 100명의 참가자나

관광객을 유치하면 중형 자동차를 21대를 수출하는 것, 42인치 LCD TV

1,531대를 수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음

도시환경 개선 및 시민의식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산업

- 대형 국제회의 개최를 계기로 도시정비사업 및 시민질서 함양 (한국 ASEM, APEC 총회)

국제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평화 산업 - 국제로타리, 그린피스 등

고소비·양질의 관광객을 대량 유치할 수 있는 유망 산업 - 국제회의 참가자는 각국 해당분야의 여론 주도층 - MICE 1인당 소비액은 일반관광객의 2.8배

관광 측면의 효과

최소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국가홍보 산업 - 스위스의 무명도시 다보스는 세계적인 도시로 부각

향후 관광객으로서 재방문 가능

국제적 영향력 증대, 민간 외교 촉진

* [표 1] MICE관광객 100인

⇒ 일반관광객 100인 유치 직접수출효과

* 외화 가득율(%)

* 고용효과(명/10억)

사회

문화적

효 과

관광

측면의

효 과

경제적

효 과

0%

20%

40%

60%

80%

100% 90%

71% 60%

52%

43%

30%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52

35 32 32 27

23

21대

7.5대

1,531대

549대

1,076대

386대

중형승용차 LCD TV화면 42’ 휴대폰

출처 : 삼성 경제 연구소

출처 : 삼성 경제 연구소

출처 : 삼성 경제 연구소

Page 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5-

지금이 기회다!

국내 전시·회의시설 확충 [표1] 참조

- 현재 국내에는 서울 코엑스, 고양 킨텍스, 부산 벡스코, 대구 엑스코,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 등 12개의 대형 컨벤션센터 보유 → 전시장 면적

17만㎡, 회의장 면적 5만㎡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MICE에 대한 정부의 관심 확대

- 고용유발 효과 및 무역수지 개선 차원에서 MICE 산업의 중요성 인식

- 컨벤션과 전시의 행정지원체계 관련법률 통합 진행중

주요 국제회의 개최로 한국의 인지도 상승

- G20(’10. 11월), T20 관광장관회의(’10. 10월) 등 대형 국제회의 개최

국내 MICE 개최현황 [표2] 참조

- 2009년 기준 국내 MICE 총 개최 건수는 8,712건

MICE 총 참가자 수는 약 1,061만 명, 이 중 외국인 참가자 수는 약 45만 명으로

집계됨 (이는 09년 방한 외래객 수 약 782만 명의 5.8%를 차지)

국내 국제회의 개최현황(UIA: 국제협회연합 기준) [표3] 참조

- 국내 국제회의 개최건수는 2005년 185건에서 2009년 347건으로

약 87.6% 증가(세계 11위, 아시아 3위 기록)

- 이는 전년(293건, 12위)대비 세계 증가율(3.5%)을 훨씬 상회한 수치

(54건 증가, 18.4% 상승)

MICE 유형` 개최건수 전체

참가자수 내국인

참가자수 외국인

참가자수

Meeting

국제 704건 362,831 320,943 41,888

국내 4,373건 799,164 797,929 1,235

소계 5,077건 1,161,995 1,118,872 43,123

Incentive 2,860건 159,416 - 159,416

Convention 353건 277,459 166,441 111,018

Exhibition 422건 9,011,730 8,875,095 136,635

TOTAL 8,712건 10,610,600 10,160,408 450,192

(단위 : 명)

출처 : 정부 신성장동력 추진계획(2009)

2007년 2013년 2018년

산업 규모 4조

1,150 억 원

11조 1,080 억 원

22조 3,420 억 원

관광객(명) 586,842 1,584,000 3,185,000

일자리 창출

8만 8천 명

23만 8천 명

47만 8천 명

GDP 대비 비중

0.45% 1% 1.5%

MICE 산업 중장기 비전

* [표2] 국내 MICE 개최현황

* [표3] 국내 국제회의 개최현황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185

268 293

347

464

14 15

12

11

8

6

8

10

12

14

16

18

개최건수

세계순위

2007년 2013년 2018년

산업규모

관광객

일자리 창출

GDP 대비비중

4조 1,150억 원

11조 1,080억 원

22조 3,420억 원

586,842명

1,584,000명

3,185,000명

8만 8천 명

23만 8천 명

47만 8천 명

0.45%

1%

1.5%

출처 : 지식경제부

출처 : 지식경제부

시설명 소재지 개관 연도

전시장 면적

회의장 면적

COEX (신관)

서울 1998 (2000)

36,027 18,404

SETEC 서울 1999 9,313 839

aT Center 서울 2002 3,047 1,075

KINTEX 고양 2005 53,541 6,301

송도 컨벤시아

인천 2008 3,426 4,175

대전무역 전시관

대전 1995 11,950 216

DCC 대전 2008 2,520 7,382

EXCO 대구 2001 11,616 5,930

BEXCO 부산 2001 26,508 4,962

CECO 창원 2005 10,627 2,946

김대중 컨벤션센터

광주 2005 9,072 2,308

ICC Jeju 서귀포 2003 7,940 7,009

합 계 195,587 61,547

* [표1] 국내 전문회의 및 전시시설 (단위:㎡)

출처 : 주영민. “MICE 산업의 기회와 도전”

Step.1 한국 마이스의 초고속 성장

Page 6: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6-

그러나 그 속에 위기가 있다.

서울에만 편중된 MICE 개최 현황

- 2009년 지역별 MICE 행사 개최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 2,932건, 부산 532건,

광주 485건, 대구 392건, 경남 380건, 대전 317건, 제주 279건 등을 기록

- MICE 총 개최 수인 5,852건 중 서울의 비중은 50.1%

- 특히 참가자 수는 더욱 심각. 서울과 경기를 합친 수(6,882,761명)가

전체 참가자 수(10,451,184명)의 65.8%를 기록하고 있음.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서울 부산 광주 경상 대구 대전 제주 경기 인천 전라 충청 강원 울산

2,932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표준

-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이 잘되어 있음. (MICE 개최 시설, 호텔·숙박시설, 관광안내 시설)

- 뛰어난 MICE 지원 인력

(외국어 능력, 매너 등)

- 쇼핑, 문화시설 등 즐길 거리가 풍부

- 한국 경제 성장을 상징하는 도시

* 왜 서울인가?

출처 : 삼성 경제 연구소

구분 개최

건수

전체

참가자수

내국인

참가자수

외국인

참가자수

서울 2,932 3,775,447 3,695,611 79,836

부산 532 1,173,517 1,120,368 53,149

광주 485 327,867 324,480 3,387

경상 411 174,824 172,406 2,418

대구 392 978,939 969,019 9,920

대전 317 410,120 401,824 8,296

제주 279 85,451 61,612 23,839

경기 216 3,107,314 3,026,799 80,515

인천 179 397,554 370,586 26,968

전라 44 8,782 8,337 445

충청 35 3,493 3,187 306

강원 21 6,102 4,855 1,247

울산 9 1,774 1,324 450

총합계 5,852 10,451,184 10,160,408 290,776

서울형 MICE만으로는 한계에 봉착한다. . 서울은 다양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한국의 MICE 산업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서울 중심의 MICE는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음.

서울은 이미 인구과밀과 산업과밀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음.

(교통체증, 도시환경오염 등)

지역 MICE가 살아야 한국 MICE가 산다!

이미 과포화 된 서울, 한국의 발전을 위해서는 균형발전은 필수적!

MICE 산업은 상징성과 이미지가 중요함.

→ 한국의 다양한 색을 표현하기에 서울만으로는 역부족

한국 최고의 관광지 제주에서 답을 찾는다.

제주는 독특한 문화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어

성장가능성이 높음.

→ 제주의 성장을 통해 지역 MICE의 성공적인 발전 사례 제시 가능

서울 집약적

한국 MICE는

한계에 직면!

이제는

지역 MICE에

투자할 때!

그 최적지는

바로 제주!

Step.1 지역 MICE에 대한 투자의 필요성

Page 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7-

한국의 MICE 산업 발전, 제주 MICE가 답이다!

서울에만 집중된 MICE, 한국 MICE의 새로운 시장을 열어야 한다.

그 최적지는 뛰어난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모두 갖춘 제주!

서울이 경제와 관련된 이슈를 선점했다면, 제주는 평화와 환경이다.

다음과 넥슨 등 국내 유수의 IT기업들의 새로운 거점지, 한국 평화 메시지의 중심지,

스마트 그리드 등 친환경 산업의 출발지. 이 모든 요소들이 제주를 가리키고 있다.

⇒ 그러나 제주 MICE는 아직 걸음마 수준! 제주형 MICE 무엇이 필요한가?

<핵심전략 1>

지역을 대표할 이벤트 개발과 체계적인 인재양성 시스템을 도입하자 !

회의 중심의 MICE는 이제 그만. MICE는 복합 산업!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이벤트 개발과 지역산업과 연계한 MICE망이 구축되어야 함.

지역의 전략산업과 MICE를 융·복합시켜야 함. 지역민들의 관심에 바탕을 둔 MICE 인재 육성

세계 최고의 인재양성과 산업 연계 시스템을 갖춘 싱가포르에서 배워보자!

<핵심전략 2>

제주의 유니크함을 살려 즐길거리를 개발하자 !

MICE는 단순한 회의산업이 아니라 즐기는 산업! 일도 하고 놀 수 있는 제주를 만들어야 함.

독특한 문화를 관광자원화 시킬 수 있어야 함. 문화 컨텐츠와 환경의 조화를 이끌어야 함.

세계적인 관광지이자 MICE의 샛별, 홍콩에서 배우고 제주에 맞춰 새롭게 구성하자!

<핵심전략 3>

제주의 이미지를 통해 논제를 선점하라 !

MICE는 도시의 이미지가 중요한 산업! 환경과 평화의 이미지를 만들어야 함.

지역 이미지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 수립이 필요함. 이미지와 맞는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해야 함.

깨끗하고 안전한 도시 싱가포르, 동·서양이 혼합된 문화를 바탕으로 한 세계적인 관광지 홍콩에서 이미지 구축 방법을 배운다!

Step.1 우리는 왜 가야만 하는가?

Page 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8-

Step.2

관광과 연계할 수 있어서 (46.8%)

교통 및 이동이 불편했다.(34.8%)

인센티브 제도 축소(8.7%)

지원제도 부족(14.2%)

제주컨벤션뷰로(제주관광공사) 설문조사단 활동 (2012년 2월)

제주의 경우, 제주관광공사에서 행사 기획 및 유치 등의 컨벤션뷰로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인센티브 지원 제도가 있어서

(28.1%)

회의시설이 우수해서(11.8%)

기타(8.9%)

서비스가 우수해서(4.4%)

항공편 부족 (25.4%)

비싼 이용요금 (9.3%)

숙박시설 부족 (7.6%)

교통 (35.5%)

업무협조 (6.2%)

숙박 (17.5%)

비용 (27.4%)

식음료 품질 (8.4%)

관광 (5%)

국내 탐방

제주를 MICE 행사 개최지로 선택하게 된 배경은 무엇입니까?

MICE 행사 진행 과정에서 가장 불만족스러웠던 사항은 무엇입니까?

제주에서 MICE 행사를 개최하고자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사항은 무엇입니까?

* 지난해 제주에서 개최된 MICE 행사 주최 관계자 120명을 대상으로 이뤄짐.

Page 9: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9-

Step.2

2012 제주 국제 MICE포럼 참가 (2월 3일 ~ 4일) 제주대학교 관광·레저선도산업 인재양성센터, 한국컨벤션학회 공동 주최

박진혁 (서울컨벤션뷰로 국제마케팅운영팀장)

“전시 산업 등 MICE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관련 시설 주변에 쇼핑센터, 음식점, 그리고 엔터

테인먼트적인 요소 등이 갖춰져야 한다.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의 경우 주변에 다수의

특급호텔과 여가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중문관광단지나 기타 관광지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충

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항공편 부족문제와 교통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제주국제공항의 협소한 규모는 대형

MICE 행사를 유치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MICE 산업을 위해 소프트웨어적 인프

라도 중요하지만 접근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시설 투자의 장기적 방안이 필요하다.”

국내 탐방

정승훈 (제주발전연구원 연구위원)

“관광지·관광시설 위주인 기존 제주관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연관광을 활성화

할 것을 제안하고 싶다. 제주는 야간에 관광객이 즐길만한 요소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공연

등의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주관광진흥기금·문예진흥기금

을 통한 공연예술작품 지원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특히, 제주의 지역특성을 강조하는 공연 제

작을 위한 지원체계가 구축된다면 제주 관광이 한 단계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공연

관광상품 개발 방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제주칠머리당 영등굿의 상설 공연화, 역사를 담은 공연

창작, 순번제 공연, 자연경관 배경 공연예술 마련, 한류 활용 공연프로그램 기획, 국제공항 내

상설공연 활성화 등에 대한 도 차원의 검토 및 정책 집행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더불어 제주를 대표할 수 있는 공연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MICE 산업과 연계하여 지역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연예술단체를 사회적 기업으로 적극육성

하여 관광지와 연계한 상설공연을 추진, 문화예술인들의 일자리 창출 활성화가 이뤄져야 한

다. 그리고 교육 및 컨설팅 등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지원, 수익 창출 방안마련 또한 필요하다.”

김돈유 (㈔한국전시산업진흥회 부장)

“제주도 관광의 최대 강점은 청정환경이다. 이와 더불어 독특한 문화와 경마, 골프 등 새로운

발전동력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잠재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제주 MICE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제주에 가장 잘 구축된 산업이 무엇

인지에 대한 인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에서 시의성을

고려하여 기존 산업을 중심으로 전시 산업을 육성한다면 단기간에 효율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Page 1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0-

Step.2

장성수 (제주대학교 관광·레저선도산업 인재양성센터장)

“제주는 이미 뛰어난 조건을 가지고 있는 보석이다. 그렇지만 보석이 좀 더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세공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제주에는 원석을 세공 할만한 인재가 절대적으로 부

족한 실정이다. 제주 MICE의 발전을 위해서는 체계화 된 전문인재양성 프로그램의 존재가 우선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인재육성시스템들이 빠른 속도로 갖춰지고 있지만, 중심 프로그램

들이 외국어나 일반적인 관광(관광지나 관광시설)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고 본다. 이에 더해서 앞으로는 프로그램의 영역을 조금 더 확장해서 문화적인 요소

개발을 이끌어갈 인재육성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민간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다. 싱가포르나 홍콩은 다양한 기업체들로 민간 인프라가 구축돼 있다. 이

를 단기간 내에 MICE 선진국 수준으로 육성하는 것은 물론 불가능하다. 하지만 기업들에게 인센

티브를 제공하고 민간 인프라에 대한 관심을 지속한다면 그 기간이 생각보다 길지는 않을 것이다.”

제주 휴양형 MICE 네트워크숍 참가 (2월 3일 ~ 4일, 제주그랜드호텔)

장성수 교수님의 추천으로 멘토링 세션에 참여

지속적으로 중심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데 반해 관심층이 한정돼 있음

관심을 높이기 위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 (문화적 요소를 활용해)

교육의 범위도 기존에 영어와 관광지·관광시설 중심을 넘어서 공연문화 분야, 문화 콘텐츠개발 분야

등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음

20∼30 취업 멘토링 세션 진행

네트워크숍에서 체험프로그램으로 함께 진행

MICE 관련 민간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상황임

관심을 가지는 기업들은 많지만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

기업에 지속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제주 MICE상품 상담부스 운영

국내 탐방

오유경 (ICC JEJU 과장)

제주 MICE 이벤트 설명회 참가 (2월 17일 ~ 18일, ICC JEJU 주최)

“ICC JEJU 주변은 제주의 주요관광지들이 밀집돼 있어 시설적인 인프라는 어느 정도 구축이 돼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에 비해 공연인프라 등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테마 파티나 팀 빌딩, 그리고 추가적인 이

벤트공연 상품 등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Page 1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1-

Step.3

싱가포르 관광청(Singapore Tourism Board, STB)

탐방개요

STB는 싱가포르의 관광 산업에 대한 정책을 수립·집행하는 정부 기관이다.

MICE 산업에 관해서는 산하에 싱가포르 전시·컨벤션뷰로(Singapore Exhibition

and Convention Bureau, SECB)를 두고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탐방목적

1. MICE 시설 개발 및 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정책적 지원 현황 파악

2. MICE 인턴십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현황 파악

관계자 인터뷰 주요 질문 및 답변

Q 싱가포르의 관광 산업과 MICE의 발전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A MICE 산업을 논하기 이전에 방문객들로 하여금 방문 지역에 매력을 느끼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사실 MICE 관련 시설만 놓고 생각해 본다면 세계 각 국의 조건은 점점 상향

평준화 되어 비슷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KINTEX나 BEXCO 등 최신 시설을

갖춘 MICE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구축되면서 시설 측면에서는 세계 어느 곳에 비해서도

결코 손색없는 수준에 이르지 않았는가. 이런 상황에서 싱가포르는 지속적인 관광 컨텐츠

개발을 통해 다른 도시들과 차별화를 꾀하였고, 그 결과 MICE 행사 유치 횟수에서 프랑크

푸르트, 뉴욕 등 전통적인 MICE 선진도시들을 앞지르며 세계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Q 싱가포르 MICE 인턴십 프로그램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A 비영어권 국가들에서 행해지는 MICE 인턴십 프로그램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문제

점은 지나치게 영어 관련 강좌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이다. 물론 전 세계인을 대상

으로 하는 산업이다 보니,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구사능력이 중요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MICE 인턴십을 통해서 참가자들이 행사 기획 및 진행, 사후 관리에 이르기까지

MICE 산업과 관련된 방대한 분야를 모두 아우를 수 있을만한 소양을 기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것이 STB 인턴십 프로그램의 모토이며, 이를 토대로 매년

200명 이상의 MICE 전문가 지망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기본 소양으로부터 행사

실무에 이르는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결 론

1. 최신식 시설만 가지고는 다른 경쟁 도시들을 앞지를 수 없다.

방문객의 관심을 끌만한 관광 컨텐츠의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것만으로는 MICE 산업의 전문가가 될 수 없다.

인턴십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해외 MICE 선진 도시 탐방(싱가포르)

STB 로비에서 관계자 인터뷰 직후

기관명 싱가포르 관광청

방문일자 2011. 12. 26.

주 소 Tourism Court 1 Orchard Spring Lane Singapore

247729

홈페이지 https://app.stb.gov.sg

/asp/index.asp

연락처 +1 (65) 6736 6622

마이스캔들. STB에 다녀오다.

Page 1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2-

Step.3

SACEOS

탐방개요

SACEOS는 MICE 산업과 관련되어 있는 관광청, 항공사, 철도, 호텔, 교통관련사업자,

기술회사, 통역사협회, 렌트카 업체, 전문 출판사, 이벤트/인센티브 에이전트 등이

가입되어 있는 MICE 전문 연합 기관이다. 현재 싱가포르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다수

행사의 기획 및 유치, 진행, 홍보 등을 망라하는 모든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SACEOS는

Singapore Association of Convention and Exhibition Organizers and Suppliers의 약자이다.

탐방목적

MICE 관련 분야 상호 연계 시스템 및 효과 조사

관계자 인터뷰 주요 질문 및 답변

Q SACEOS의 설립 배경 및 목표는 무엇입니까?

Q SACEOS가 싱가포르 MICE 산업에 기여하는 바는 무엇입니까?

A SACEOS는 MICE 행사 기획 및 유치 분야에서 독보적인 국제적 위상을 지닌 독일 컨벤션뷰로(German

Convention Bureau, GCB)를 모델로 설립되었다. 하나의 메이저급 MICE 행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최소 1년 이상의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메이저급 행사란

참가자 수를 기준으로 10,000명 이상의 인원이 동원되는 규모의 행사를 가리키는데, 이는 공식적인

기준은 아니고 편의를 위해서 SACEOS 내부적으로만 사용하는 용어이다.

행사 하나를 유치하려면 단순 관광업을 넘어 유통, 교통, 숙박, 관광업, 통역 등의 연관 산업 종사자

들의 협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사업자들의 관심을 이끌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수익성을 입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SACEOS에 직접적으로 소속된 직원의 절반

이상이 회계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국내 기관뿐만 아니라 타국의 관련 기관과의 연계 역시 중요하다. 정보 공유 등의 직접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럽게 홍보활동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A SACEOS는 20개 이상의 아시아 국가는 물론, 세계 100여 개 국의 관광관련 기관과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정보 및 인력을 교류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엔 한국관광공사와 연계되어 있다.

관련 산업 분야와의 긴밀한 연계는 행사 유치 과정에서 다른 도시들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유치 기획안을 제출하는 단계에서 이미 구체적인 수치를 언급하고 그에

대한 증빙 서류를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행사 진행 과정에서는 방문객들에게 최상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MICE 선진도시 싱가포르의 이미지를 재고하는데도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 론

MICE 산업의 진정한 선진화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폭넓은 산업 분야

에서의 공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부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해외 MICE 선진 도시 탐방(싱가포르)

기관명 SACEOS

방문일자 2011. 12. 27.

주 소

No. 1 Jalan Kilang Timor,

#09-02 Pacific Tech Centre,

Singapore 159303

홈페이지 http://sesallworld.com/

연락처 +1 (656) 233-6638

SACEOS 마케팅 디렉터와 함께

SACEOS에서 마이스캔들의 방문을 위해 준비해 준 자료들

Page 1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3-

Step.3

River side를 따라 일몰을 즐기면서 걷다 보면 신나는 파티가 열리는

젊은 이들의 ‘Hot place’ 클락 키에 이르게 된다. 클락 키에서는 일렉

트로닉, 재즈 팝, 디스코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으로 싱가포르의 밤을

뜨겁게 달군다.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밤 문화 컨텐츠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 클락 키의

클럽 문화는 싱가포르 특유의 깔끔함과 안전함 아래, 다른 국가들과는

차별화 된 분위기로 전 세계의 젊은이들을 유혹하고 있다.

온몸으로 느껴라! 클락 키(Clack Quay)

전 세계 젊은이들의 Hot Place!

해외 MICE 선진 도시 탐방(싱가포르)

마이스캔들이 보고 느낀 싱가포르의 관광 컨텐츠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호텔인 마리나베이 샌즈에서는 매일 저녁 8시 부

터 11시까지 매시 정각마다 15분 가량 레이저를 이용하여 밤하늘과 호

텔 앞에 조성된 인공 호수를 화려하게 수놓는다.

게다가 인공 호수에서는 국가 공휴일과 같은 특별한 날을 기념하여 수

증기를 활용한 색다른 쇼를 통해 관광객들의 이목을 끈다. 우리는 이와

같은 특색 있는 이벤트를 직접 목격하며 싱가포르 MICE 발전의 원동력

이 무엇이었는지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었다.

밤이 되면 더욱 화려해지는 싱가포르

싱가포르 대표 관광 아이템, 야간 레이저 쇼

싱가포르는 후텁지근한 날씨로 인해 야간 관광 프로그램이 잘 개발되

어 있다. 역동적인 분위기 속에서 간단한 식사와 주류를 저렴한 가격

에 즐길 수 있는 라우 파 삿(Lau Pa Sat)은 야간에만 열리는 싱가포르

의 대표적인 야외 푸드코드이다.

아시아 최대의 푸드코트라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다니는 라우 파 삿은

싱가포르만의 독특한 문화와 분위기를 즐기기에 적합한 관광 명소로

관광객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개성 있는 야외 푸드코트

싱가포르의 색이 강하게 느껴지는 관광 아이템

Page 1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4-

Step.3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

탐방개요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대규모 MICE 시설로 약 7만여 평의 면적을

자랑한다. 1997년 홍콩 반환식 행사가 열리기도 하였다. 국제적인 무역 박람회를

비롯하여 기업 미팅 및 국제회의, 그리고 콘서트 등이 연 평균 500회 이상 개최된다.

탐방목적

시설 가동 현황 및 활용도 파악. 진행 중인 박람회 관람

관계자 인터뷰 주요 질문 및 답변

Q 1년 중 시설을 사용하는 기간의 비율은 얼마나 됩니까?

A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이하 홍콩 컨벤션 센터)는 시설의 규모나

첨단화 정도 모두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자랑하는 컨벤션 시설이다.

시설 가용도는 연 평균 약 30% 수준이며, 베이징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던 지난 2008년

엔 40%를 넘어서기도 했다. 20,000명 이상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MICE 시설

중에서 홍콩 컨센션 센터 수준의 가용도를 기록하는 곳은 전 세계적으로도 독일의 프랑

크푸르트 메세(Frankfurt Messe) 등 약 10여 곳에 불과하다.

Q 시설의 주요 사용 목적과 시설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십시오.

A 시설의 주요 사용 목적은 무역 박람회를 비롯한 대규모 행사들을 치르는 것이다. 그러나

시설 활용도를 높이고,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국제회의나

콘서트, 중소규모의 박람회는 물론 기업미팅 등의 소규모 행사를 개최하는 데도 적극적

으로 나서고 있다.

그리고 홍콩 컨벤션 센터는 ‘Unlimited Innovation’이라는 모토 아래, 시설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1년 내내 시설의 개·보수 공사를 하는 것은 물론, 홍콩 아트 센터(Hong

Kong Art Centre) 등의 주변 시설과의 연계의 폭을 넓히며 시설 외적 컨텐츠의 범위를 확

장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결 론

홍콩 컨벤션 센터는 지속적인 공사와 시설 확장을 통해 끊임없이 파격을 시도하면서 항상

방문객들의 뇌리에 깊은 인상을 심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행사의 규모에 관계없이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시설 가용도를 유지하는

밑바탕이 되었음은 구태여 다시 설명할 필요가 없어 보인다. 한국 MICE 산업의 발전을

위해 ICC JEJU를 비롯한 국내 MICE 시설들이 적극적으로 본받아야 할 모습이다.

해외 MICE 선진 도시 탐방(홍콩)

기관명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

방문일자 2011. 12. 29.

주 소 P.O. Box 20379

Hennessy Road Post Office Hong Kong SAR

홈페이지 http://www.exhibitions.

org.hk/index.php

연락처 +1 (852) 2558 1238

박람회 총괄 기획자 인터뷰 기념사진

홍콩 컨벤션 센터 사무실 입구

Page 1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5-

Step.3

탐방개요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에서 열리는 대부분의 행사를 기획

하고 유치하는 MICE 행사 기획 전문 기업이다. 최근 홍콩에서 열리는 MICE 산업

행사 수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추세와 관련하여 이를 가능케 했던 주요 요인을 파악

하고, 앞으로 제주 MICE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조언을 얻고자 방문하였다.

탐방목적

MICE 행사 기획 및 유치 노하우 파악

관계자 인터뷰 주요 질문 및 답변

Q 홍콩이 MICE 선진 도시가 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Q 새롭게 홍콩이 개발 중인 문화 컨텐츠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A 우선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과 같은 세계 최고 수준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MICE 행사를 기획하고 유치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좋은 시설만 가지고서는 MICE 산업의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힘들 것이라 생각한다. 최근

MICE 산업의 발전 추세는 행사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 주변 환경에 더 초점을 두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행사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업무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관광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하자면 행사 이외의 수익구조를 만들기 위해 각 도시들이 총력을 기울인다는 것이다. 결국

MICE 산업은 행사를 치를 우수한 시설과 방문객들의 흥미를 유발할만한 다른 요소들이 충분히

갖추어졌을 때, 비로소 선진국 또는 선진 도시로서의 성장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다. 홍콩의

경우 충분히 갖추어진 문화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인프라시설을 매년 증설하면서 MICE 산업 선진

도시로 발돋움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홍콩의 모습을 세계 각 국의 사업자들에게 알리고

행사를 유치하는 것이 우리 회사의 업무이다.

A 누구나 홍콩이라는 이름을 들으면 영화나 쇼핑 등을 떠올릴 정도로 홍콩의 도시 브랜드는 대중화

되어 있다. 현재는 이러한 이미지 위에 150년 이상 영국의 식민 지배를 통해서 자리잡은 동·서양의

문명이 조화된 홍콩만의 문화를 입혀 나가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홍콩 당국에서 MICE 선진

도시로서 홍콩이 추구해나갈 모토로 설정한 ‘프리미어급 데스티네이션(Premier Destination)’은

세계 제 1의 국제도시, 누구나 익숙함과 동시에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홍콩을 표현한 것이다.

결 론

MICE 관련 시설을 갖추기에 급급한 우리의 현실을 날카롭게 지적하면서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을 꾀해야 하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와 한류를

바탕으로 한 대중문화, 그리고 이 외에 방문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했을 때, 한국이 MICE 산업의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될 것이다.

Hong Kong Exhibition Service Ltd.

해외 MICE 선진 도시 탐방(홍콩)

기관명 Hong Kong Exhibition

Services Ltd.

방문일자 2011. 12. 30.

주 소

Unit 2010, 20/F, China Resources Building 26

Harbour Road, Wanchai, Hong Kong

홈페이지 http://www.

hkesallworld.com/

연락처 +1 852 2804 1500

Hong Kong Exhibition Services Ltd. 방문기념

홍콩 컨벤션 센터는 주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한다. 대표적인 연계 기관인 홍콩 아트 센터

Page 16: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6-

Step.3

탐방개요

2011 Book Fest @ Hong Kong(이하 북 페스티벌)은 하나의 컨벤션 홀만을 사

용하는 소규모 박람회였다. 중국, 싱가포르,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의 출판사들이

홍콩 시민들에게 상품을 소개하고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친소비자적인 행사였다.

탐방목적

박람회 프로그램 체험 및 운영 실태 파악

주요 특징

한 부스에서 한 가지 분야의 도서만을 다룬다.

- 특정 분야에 대한 책을 찾는 고객을 위해서 한 부스에서 한 가지 분야의 도서만을 취

급한다는 것이 홍콩 북 페스티벌의 첫 번째 원칙

- 기획자의 설명을 빌리자면, 한 부스에서 다양한 종류의 책을 진열하게 되면 출장 서

점과 차이가 없어 박람회의 매력을 대중에게 어필할 수 없다고 한다.

상품의 주요 구매층을 고려한 맞춤형 즉석 마케팅

- 주요 구매 고객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맞춤형 마케팅을 즉석에서 실시할 수 있다.

홍콩 북 페스티벌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나 마니아층을 위한

코스튬플레이 이벤트, 또는 주부들을 겨냥한 패키지 상품의 판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인턴십 프로그램의 실습의 장으로 적극 활용

-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인턴십과의 차이점을 엿볼 수 있었던 부분

소규모 실습생을 한 명의 정규 직원이 인솔하며 전문 실무 교육을 진행한다.

- 짧은 시간동안 지나친 그룹의 수만 해도 10여 개 이상

홍콩 학생들의 MICE 실무 교육에 대한 관심을 직접 마주할 수 있었다.

노인 인력의 활용

- 출입구 관리, 행사장 안내 업무 등을 노인들에게 배정하면서 장년층 일자리를 창출

- 이 부분은 팀에서 자체적으로 발견한 것이 아닌 인터뷰 과정에서 알게된 내용이다.

평 가

1.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물품을 가지고 소규모 박람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하면서

시민들이 박람회 등 MICE 산업에 익숙해지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2. 행사에 관한 지속적인 마케팅과 연령대별 방문객들에게 각각 어필할 수 있는 프로그

램을 갖춤으로써 가족단위 방문객을 유치했다는 점을 특별히 높이 평가하고 싶다.

Hong Kong Book Festival 2011

해외 MICE 선진 도시 탐방(홍콩)

Hong Kong Book Festival 포스터

평일임에도 방문객이 많은 행사장

인턴십 참가자와 인터뷰도 해 보았다.

코스튬플레이 이벤트 장소 표지판

Page 1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7-

Step.3

마이스캔들이 보고 느낀 홍콩의 관광 컨텐츠

아시아 쇼핑의 메카. 수 많은 대형 쇼핑센터

엄청난 수의 점포. 가격 비교 및 다양한 상품 구입 가능

하버 시티(Harbour City)는 침사추이에 위치한 홍콩 최대의 쇼핑몰로,

700여 개의 점포가 밀집해 있다.

홍콩 명품 1번지인 랜드마크(The Landmark)는 홍콩 비즈니스의 중심가

에 위치하여 비즈니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 외에도 타임스퀘어(Times Square) 등과 같은 다양한 대형 쇼핑몰이

각자의 특징에 따라 주요 고객들의 입맛을 충족시키며 아시아를 대표하

는 쇼핑의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빅토리아 파크의 야경은 세계 3대 야경으로 선정될 정도로 유명하며,

홍콩 관광의 빼놓을 수 없는 코스로 손꼽힌다.

특히, 새해 첫 날 열리는 새해맞이 행사는 매년 많은 사람들을 유치하

는 대표적인 홍콩 관광 아이템으로 자리매김 했다.

야시장은 홍콩의 밤 풍경을 보는 것에서 즐기는 것으로 전환시킨다.

관광객의 이목을 끄는 독특한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노점상은 물론,

길거리에서 파는 음식 조차도 훌륭한 관광 아이템이다.

아름다움 속에서 느낄 수 있는 다이나믹한 홍콩의 밤

보는 것을 넘어서 즐기는 야간 관광

홍콩에서 배 편으로 한 시간이면 도착하는 마카오는 오랜 기간에 걸친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에 의해 동·서양의 모습을 모두 갖춘 이색적인

관광의 명소가 되었다. 게다가 세계 최고급 호텔들이 밀집해 있어, 호

텔 관광만으로도 관광객들의 눈을 즐겁게 만들어 준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마카오는 카지노의 도시. 마카오 달러는 홍콩 달러

와 같은 환율이 적용되어, 홍콩 방문객이라면 누구나 쉽게 카지노에서

게임을 즐기는 특권을 누릴 수 있다.

아시아 속의 유럽, 마카오

홍콩의 매력을 한 단계 높여주는 고마운 이웃

해외 MICE 선진 도시 탐방(홍콩)

Page 1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Step.4 탐방 주요 활동 / 느낀 점

대학생. 젊음. 도전. 어떻게 하면 이 단어들이 지닌 공통

점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을까. 동시에 머나먼 이국에서

나날이 발전하는 한국의 MICE 산업을 홍보할 수 있는 방

법은 무엇인가. 탐방을 위한 준비를 하면서, 탐방 첫 날

비행기에 몸을 맡길 때, 그리고 하루 일정을 마치고 숙소

로 돌아와 잠이 들기 전까지 탐방 기간 내내 스스로 묻고

또 물었던 화두였다.

그리고 이제 스스로에게 끊임없는 반복했던 질문 끝에

마이스캔들이 내린 해답을 공개하고자 한다.

CHEER KOREA’S MICE INDUSTRY UP!!

Step.1

편집 과정을 통해 동영상을 제작한다.

동영상을 YouTube 등에 업로드하여 홍보 효과를 극대화한다.

Step.4

Step.5

한국에서 왔음을 알리고 MICE 산업에 대해서 소개한다.

응원 메세지를 받은 후 기념사진을 찍는다.

Step.2

Step.3

화이트보드를 구입한 후 시민들이 많은 곳을 찾아간다.

Page 19: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19-

Step.4

팀 탐방 자료, 제주대학교 MICE 관련 과목 강의 자료로 채택

7박 8일 간의 싱가포르와 홍콩 탐방 기획안 및 보고서가 제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MICE 관련 전공 과목인 MICE 현장실습과 해외 MICE 실습(이상 제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장성수 교수)과, 그리고 컨벤션산업론(제주대학 교 관광경영학과 홍성화 교수)의 보조 강의 자료로 채택되었다.

→ 기대효과 : 탐방의 준비 과정과 탐방 전후 기록을 종합하여 수강 학생들에게 해외 MICE 선진 도시의 사례

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일반 선택과목으로 수강하는 타 학과 전공 학생들

과 전공 학생들에게도 MICE 산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역할도 함께 하기를 바란다.

제주 MICE 서포터즈에서 해외 탐방 프로그램 기획 추진 검토

제주 MICE 서포터즈 ‘샛보름’을 운영하고 있는 제주 관광공사에서 마이스캔들의 해외 탐방 사례를 모델로 해외 MICE 기관 탐방 프로그램을 기획해보고 싶다는 연락이 왔다. 이에 따라 팀에서 준비한 탐방 자료를 모두 제공하였으며, 지난 2월 16일에 있었던 MICE 서포터즈 제2차 교육에서 강보배 팀원이 탐방 사례 소개 및 질의

응답 등으로 약 1시간의 발표를 진행하였다.

→ 기대효과 : 해외 탐방을 통해 MICE 산업으로의 진출을 꿈꾸는 학생들이 선진 사례를 직접 경험하면서 M

ICE 산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앞으로 제주 MICE가 발전해나갈 길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예비 MICE 전문가들이 자신의 목표를 구체화하는데 밑바탕이 되어줄 것을 기대한다.

2. 외국어 구사 여부와 관계없이 방문객에게 최선을 다하는 선진시민의식

해외 방문객에 대한 태도 또한 대단히 인상적이었는데, 말이 통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얘기를 끝까지 경 청하고 최선을 다해 답변해주는 자세가 몸에 베어 있는 것 같았다. 외국에서 오는 방문객을 자주 접하다 보 니 익숙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겠으나, 외국어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외국인을 무조건 기피하고

보는 경향이 있는 우리의 모습을 돌아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음은 틀림없다.

1. 싱가포르 / 홍콩 시민들에게 MICE는 생활의 일부

싱가포르, 홍콩 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의외적으로 다가온 부분은 대다수의 시민들 이 MI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이는 단어의 의미에 대한 인식 수준이 미약할 뿐, MI CE 산업 자체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는 상당히 높았다. MICE 시설을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

때문인지, MICE 시설이 하나의 여가와 휴식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홍콩 북 페스티벌과 같은 경우 방문

객의 대다수가 필요한 책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어도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접한 싱가포르와 홍콩 시민들의 모습을 토대로 생각해본다면, MICE는 산업이라

기 보다는 생활의 일부로 자리를 잡은 것 같았다.

이벤트를 통해 느낀 점

기타 활동 성과

탐방 주요 활동 / 느낀 점

Page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20-

1. 접근성

참석자들이 주로 해외에서 방문하는 국제회의의 경우, 회의 장소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접근성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해외에서 제주를 방문하기 위해서는 상하이나 오사카 등 몇몇 도시를 제외하고는 모두 인천을 거쳐서 와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제주도 내 유일한 MICE 전문 시설인 ICC JEJU는 공항에서 차량으로 약 1시간 정도 거리에 위치 하

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성 측면의 문제는 제주가 국제적인 행사를 유치하는데 굉장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 열악한 인프라 시설

ICC JEJU는 회의장의 동시 수용인원이 약 2,500명 정도인 중소규모 MICE 시설이다. 박람회장은 갖추어져 있지

않다. 이는 유치할 수 있는 MICE 행사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때로는 MICE 행사를 유치할 때 결정

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 인지도를 넓히는데 있어, 위와 같은 제주의 약점은 향후 발전 과정에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제주를 넘어 우리나라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한국 사회에서는 한 가지가 히트상품으로 떠오르면 그

것에만 지나치게 열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된다. 가령, 제주의 경우엔 ‘제주 올레’가 사람들에게 화제로 떠오

르자 여기에만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다른 컨텐츠를 개발하는데 소홀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개발되는 모

든 관광상품이 올레에 연관된다는 말과 맥락을 같이 한다. 다른 지역들은 ‘올레’를 모방하는데 열중하여 ‘둘레길’

등의 상품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한 가지 상품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면서 다듬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하나에만 열중하는

것은 방문객들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아무리 매력적인 것이라 할 지라도, 하나만 오래 두고 보면 금방 지겨

움을 느끼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3. 컨텐츠의 다양성 부족

MICE가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은 싱가포르나 홍콩을 비롯한 MICE 선진도시들과는 달리, 제주는 MICE 산업에 대

한 대중들의 인식 수준이 현저히 낮다. 게다가 해외 관광객에 대한 도민의 태도가 대체로 소극적이다. 이는 도민들

의 외국어 구사력이 높은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는 점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외국인 방문

객에 대한 태도의 개선 없이 MICE 산업의 선진도시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지난 60여 년간, 공익 광고

를 비롯한 다양한 캠페인 등을 통해 국내 관광객에 대한 친절 수준을 향상시켰던 경험을 해외 관광객의 사례에도

적용해야 할 시점이다.

4. MICE 산업에 대한 시민들의 낮은 인지도와 소극적 태도

제주 MICE의 성장 저해 요소 및 한계점

국내·외 MICE 산업 종사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제주 MICE의 현실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도출해 보았다.

Step.5 결 론

Page 2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21-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분야 혹은 논제의 선점과 집중

제주가 가장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분야 혹은 논제를 선점해야 한다. 제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장성수

교수에 따르면, 제주는 환경, 해양 산업, 그리고 최근 주목 받기 시작한 말(馬)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

다고 한다. 여러 전문가들의 조언을 구하고, 철저한 분석과정을 통해 가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를 선

정하여 집중 공략하는 것이 제주 MICE가 가장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이라 판단된다.

현실적인 목표 설정 및 단계적 성장 모색

현재 상황에서는 유치할 수 있는 규모의 행사부터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는 것이 더 중요하다.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인지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 번에 큰 것을 이루기보다는 단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현재 제주는 MICE 산업에 대한 도민들의 인식 수준

을 개선하고 주변 산업들 간의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

컨텐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은 MICE 선진 도시들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이다.

제주가 내세울만한 관광 아이템은 지난 50여 년간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자리매김하면서 축적해온 것들

이 대다수일 뿐, 지역 차원에서 새롭게 개발한 문화 컨텐츠는 전무한 실정이다. 자연경관에 지나치게 의존하

고 있는 현재의 관광 컨텐츠 구조에서 탈피하여 제주 고유의 전통, 역사, 신화 등을 활용한 문화 컨텐츠의 개

발이 필요하다.

문화 컨텐츠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투자

Step.5

향후 발전 방안

⇒ 앞서 언급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제주 MICE의 한계점을 도출해보면

첫째, 열악한 접근성 및 시설 규모의 협소함으로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어렵다.

둘째, 같은 이유로 국제 행사 및 박람회를 개최하는 것에도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

셋째, 방문객들의 흥미를 자극할만한 요소가 정체되어 있어 MICE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이 어렵다.

넷째, 지역을 홍보할 방법이 제한되면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쌓기가 어렵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꺼번에 높은 인지도를 쌓아 올린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보다는 한·중·일 3

국이나 동아시아 등 주변 지역에서 확보한 제주의 높은 인지도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제주가 지향

해야 할 목표는 주력 논제에 관한 한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MICE 행사 개최지가 되는 것이다.

현재까지 구축된 이미지 및 인지도의 효율적 활용

결 론

Page 2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마이스캔들_탐방 보고서

Epilogue

처음으로 모든 팀원이 모여 팀명을 짓던 그 날부터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 순간까지. 내가 글로벌 프

런티어로서, 그리고 한 팀의 리더로서 활동하던 모든 시간 동안 지금 이 순간이 올 것이라고 생각이나 해

봤을까. 이제 5개월에 걸친 마이스캔들의 글로벌 프런티어 활동을 마무리 지을 시간이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항상 좋기만 했던 것은 아니었다. 갈등도 있었고, 의견 충돌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

은 모든 것이 다 추억으로 기억되는 것을 보니 시간이 꽤 지나긴 했나 보다.

지금까지 내 말을 잘 들어준 팀원들이 없었다면 이번 여정은 결코 마칠 수 없었을 것이다. 정말 고맙고,

수고 많았다. 적어도 내겐 우리가 최고의 팀이다. 그리고 잡코리아 여러분들을 비롯해서 팀에 도움을 주

신 다른 모든 분들께도 이 자리를 빌어 진심으로 고맙다는 인사를 꼭 전하고 싶다.

글로벌 프런티어 8기.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글로벌 프런티어 8기라는 자부심과 책임감을 안고 시작된 마이스캔들의 도전이 의욕만 앞서 주변에서 보여

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물을 내지는 않을까 내심 걱정을 많이 했었다.

이러한 부담감 속에서 최선을 다해 만들어낸 계획 아래, 우리 팀의 탐방은 무리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왔고

그럴수록 더욱 완벽한 탐방을 만들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만약 이러한 욕심을 컨트롤 해주던 팀원들이 없었다면 어땠을까? 내 욕심으로 인해 우리가 지금까지 빚어낸

성과물이 탄생하지 못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팀원들의 소중함을 또 한번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에필

로그를 쓰는 지금 이 순간, 내가 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마이스캔들의 팀원이라는 사실이 자랑스럽다.

이런 소중한 기회를 제공해주신 잡코리아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뜨거운 열정을 가진 청춘

이여! 움직이고 도전하자!! 뜻밖의 행운 Serendipity가 찾아 올 것이다!!

‘1차 합격은 할 수 있을까?’ 반신반의하며 시작했던 글로벌 프런티어.

그리고 까페에서 수다를 떨다가 시작된 우리 팀 마이스캔들.

기획서를 쓰는 순간부터 탐방을 다녀온 후까지 나에게는 정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글로벌 프런티어

는 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볼 수 있는 문을 열어주었다. 때론 힘들고 포기하고 싶을 때도 많았지만 항상

옆에서 굳건히 지켜준 우리의 팀원들. 6개월이라는 길고도 짧은 여정 속에서 항상 동고동락 해온 팀원들,

그리고 팀장 명수형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해외 탐방의 추억과 경험들을 평생 간직하고 싶다.

그저 단순한 탐방여행이 아니었다. 대한민국의 숨어있는 원석과 보석을 찾아내고, 그 보물들을 세공할

인재들을 키워주는 활동. ‘대한민국과 제주의 젊은 꿈’이 나에게 다가왔다. 글로벌 프런티어는 나에게 너

무나 당연했던 제주라는 보석의 가치를 알게 해주었다. 그 보석을 어떻게 가공해야 될까를 치열하게 고

민도 해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