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175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2010년 12월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Upload: runkilsh

Post on 11-Jul-2015

591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2010년 12월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Page 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연구책임자

김인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전문의

연구원

김정수 화성 중앙종합병원 산업의학과 전문의

조성식 인천산재병원 산업의학과 전문의

이훈구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대표

이지연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연구원

서은실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연구원

이숙견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연구원

두원정공 현장실천단 : 실천단장 강수구 PE 조립 대의원

PE동 실천단(단장 : 현덕천)

권용성, 박병기, 윤기봉, 이봉희, 주석재, 이희생, 정상철,

정헌종, 차동현, 박종국, 이용섭, 이원태, 김기호 등 14명

VE동 실천단(단장 : 한상국)

박일원, 정혁호, 한상철, 김오배, 엄정흠, 김선배, 양희만,

신정범, 서경석, 양정석, 박현호, 강민구 등 13명

NZ동 실천단(단장 : 하재석)

강창범, 김병철, 조연선 등 4명

Page 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차 례

I. 요약 ···················································································································1

II. 조사의 내용 및 방법 ·····················································································4

1. 조사의 배경 ······························································································································4

2. 조사의 목적 ······························································································································6

3. 조사연구의 방법 ·······················································································································7

1) 조사 흐름 ······························································································································7

2) 구체적 조사방법 ···················································································································8

III. 조사 결과 ····································································································· 19

1. 설문 조사 결과 ·······················································································································19

1) 설문의 배부와 수거 ············································································································19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3) 근속연수, 직책, 부서, 근무형태 ·························································································21

4) 노동시간, 업무만족도, 지치는 경우 ·················································································22

5) 부서별 노동시간, 업무만족도 ···························································································23

6) 부서별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치는 정도 ··········································································23

7) 부양가족, 소득수준, 소득이 충분한지 여부 ······································································24

8) 각종 질환 유병률 ···············································································································25

9) 결근일, 몸이 아파도 출근한 날, 주관적 건강 ··································································26

10) 작업조건 ····························································································································26

11) 부서별 작업조건 ···············································································································30

12) 직무스트레스 ·····················································································································35

13) 근골격계 증상 경험자의 비율 ··························································································35

14) NIOSH 진단기준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자의 비율 ························································42

15) 부서별 근골격계 증상자의 비율 ······················································································43

Page 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16)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조사 ····································································43

17) 작업 자세(QEC)와 업무특성 ····························································································44

2.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 ············································································································48

1) 부서별 인간공학 위험 요인 총괄 평가 결과표 ·································································48

2) 부서별 인간공학 위험 요인 평가 상 문제점과 대응방안 ················································56

3) 부서별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 체크리스트 ·······················································66

3. 건강검진 결과 분석 ················································································································67

1) 고혈압 ·································································································································67

2) 당뇨 ·····································································································································68

3) 이상지질혈증 ·······················································································································70

4) 간 기능 이상자 ···················································································································72

5) 비만 ·····································································································································73

6) 생활습관 ······························································································································74

7) 검진결과에 따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결과 ··············································76

IV. 결론 및 제언 ······························································································· 77

부록 1. 근골격계 질환 부담작업 평가를 위한 예비조사 결과 ····················· 80

부록 2. 부서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 체크리스트 ·························· 84

Page 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표 차례>

표 1.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2002년) ····································································5

표 2.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2004년) ······································································5

표 3.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2007년) ······································································6

표 4. 설문지의 구성 ·····················································································································9

표 5. 물리환경 영역 항목 ··········································································································11

표 6. 직무요구 영역 항목 ··········································································································11

표 7. 직무자율 영역 항목 ··········································································································11

표 8. 직무불안정 영역 항목 ·······································································································12

표 9. 관계갈등 영역 항목 ········································································································12

표 10. 조직체계 영역 항목 ·······································································································13

표 11. 보상부적절 항목 영역 ···································································································13

표 12. 직장문화 항목 영역 ·······································································································14

표 13. 직무스트레스 환산식 ·····································································································14

표 14. QEC 조치수준 ·················································································································15

표 15. ANSI 체크리스트 ············································································································16

표 16. ANSI 환산점수별 위험분류 ····························································································17

표 17. RULA 조치수준 ·············································································································18

표 18. 일반적 특성과 생활 습관 ·······························································································20

표 19. 근속연수 직책, 부서, 근무형태 ······················································································21

표 20. 노동 시간, 노동 강도, 만족도 등 ···················································································22

표 21. 부서별 노동시간 ··············································································································22

표 22 부서별 만족도 ··················································································································23

표 23. 육체적 정서적으로 지치는 정도 ·····················································································24

표 24. 부양가족 수, 2009년 급여, 소득이 충분한지 ·································································24

표 25 만성질환의 진단여부와 치료여부 ····················································································25

표 26. 건강문제로 인한 결근 여부, 몸이 아파도 출근하는 경우, 전반적인 건강수준 ········· 26

표 27. 작업조건 문항 1-7. ··········································································································27

표 28. 작업조건 문항 8-13 ·········································································································28

Page 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표 29. 작업조건 문항 14-19 ·······································································································29

표 30. 부서별 작업조건-1 ···········································································································32

표 31. 부서별 작업조건-2 ···········································································································33

표 32. 부서별 작업조건-3 ···········································································································34

표 33. 직무스트레스 수준 ··········································································································35

표 34. 목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36

표 35 어깨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37

표 36. 팔/팔꿈치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38

표 37. 손/손목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 39

표 38. 등/허리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 40

표 39. 다리/발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 41

표 40. 2007년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42

표 41. 2010년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42

표 42. 부서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43

표 43. 근골격계 증상으로 인한 작업 및 일상생활 방해 정도, 치료비 처리 방법, 치료 받지 않은

경우 그 이유, 근골격계 증상에 업무관련성에 대한 생각 ························································44

표 44. 작업 자세 ·························································································································45

표 45. 업무의 전반적인 특성 ·····································································································46

표 46. 부서별 QEC 노출점수 ····································································································46

표 47. 부서별 QEC 노출비율 평균 ···························································································47

표 48. QEC 노출비율별 분포 ····································································································47

표 49. 부서별 조치수준 대상 인원 ····························································································47

표 50. 노즐부서의 인간공학 평가 결과 총괄표 ······································································48

표 51. VE부서의 인간공학 평가 결과 총괄표 ·······································································49

표 52. PE부서의 인간공학 평가 결과 총괄표 ······································································53

표 53. 고혈압 요관찰자와 유소견자 ························································································68

표 54. 내당능장애와 당뇨 유병률 ····························································································69

표 55. 총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71

표 56. 간 기능 이상자 유병률 ···································································································73

표 57. 비만의 유병률 ·················································································································74

표 58. 문제 생활습관 유병률 ·····································································································75

Page 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그림 차례>

그림 1. 고혈압 요관찰자와 유소견자 ······················································································68

그림 2. 내당능장애와 당뇨의 유병률 ·····················································································69

그림 3. 이상지질혈증 요관찰자와 유소견자 ··········································································70

그림 4. 2009년 검진결과에 따른 LDL 수치 분포 ···································································71

그림 5. 간 기능 이상 유병률 ·································································································72

그림 6. 비만의 유병률 ············································································································73

그림 7. 문제 생활습관 유병률 ·······························································································75

그림 8. 2009년 검진결과에 따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도 ···········································76

Page 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 -

I. 요약

야간근무가 개선되기는 하였지만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51시간으로 여전히 장시간 노

동을 하고 있었다. 특히 PE제조 부서의 평균노동시간은 59.3시간이었으며, 부서 중 가

장 짧은 노동시간을 가진 부서는 VE제조 부서로 평균노동시간은 45.3시간이었다.

업무 만족도가 높아지고 육체적 지침과 정신적 지침 모두 2007년에 비해 개선된 것으

로 나타났다.

작업조건과 관련한 사항은 2007년에 비해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시간

에 대한 절대적 인식이나 상대적 인식에서도 큰 변화가 없었으며 유연화와 관련한 항

목에서도 큰 변화는 없었다. 여전히 상당수의 노동자들이 절대적인 노동강도와 상대적

노동강도가 세다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물론 2000년 초반에 비해서 물량의 감소 등 작업장의 변화한 환경으로 인해 전체적인

변화가 있었고 그러한 변화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부서별 노동강도

의 차이가 커지고 있으며 주당 평균 노동시간도 큰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일부 부서 노

동자의 경우에는 뇌심혈관계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2007년에 비해 약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

환경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 요구, 관계 갈등, 직장 문화는 상당히 증가하였고 직

무 자율,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은 반대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작업장의 분위기가 악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는 부서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노즐의 경우, 2004년과 2007년

조사결과와 한 차례이상 중복되는 공정은 DLL-S 리프트 연삭 공정, 공무팀 가공반 선

반작업, DLL-S 내경연삭, 열처리 피막 등 4공정이었다. 이전 평가기록과 비교했을 때,

ANSI 점수는 변화가 없거나 낮아지고 RULA 점수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평

가를 실제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지작업이 많은 현실을 반영하고 작업자들의 고충을 채

Page 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 -

택한 현장 실천단들의 평가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유의할

만한 작업환경 악화 및 개선은 없었다고 할 수 있겠다.

VE의 경우, 2004년과 2007년 조사결과와 한 차례이상 중복되는 공정은 SUB 헤드조립,

메인1라인 DOT 각인기, 메인 M/S 10, 코벡-F 런닝, 기계식 T/B, 코벡-F T/B, 코벡-F

완성조립라인, C/S 4축 호닝, DRIVE SHAFT 외경연삭, F/PUMP ASSY, R/H 조립,

R/H 선삭, 피스톤 연삭 등 13개 공정이었다. 이전 평가기록과 비교했을 때, ANSI 점

수는 높아진 공정이 C/S 4축 호닝, F/PUMP ASSY, 피스톤 연삭 등 3개였고, 나머지

10개 공정은 낮아졌다. 물량이 줄어든 것과 작업방식의 변경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가점수가 높아진 공정의 경우는 작업여건의 변화가 적거나

없는 상황에서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RULA 점수는 코벡-F T/B, C/S 4축

호닝, DRIVE SHAFT 외경연삭, F/PUMP ASSY, R/H 조립, R/H 선삭, 피스톤 연삭

등 7개 공정이 3~4점에서 6~7점으로 크게 높아 졌다. 반면에 SUB 헤드조립, 메인1라인

DOT 각인기, 메인 M/S 10, 코벡-F 런닝, 기계식 T/B, 코벡-F 완성조립라인 등 6개 공

정은 3~4점에서 변화가 없거나 1점이 늘거나 줄었다. 이는 실제 현장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지작업이 많은 현실을 반영하고 작업자들의 고충을 채택한 현장 실천단들

의 평가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물량이 줄면서 인원배치가

줄거나 담당 설비가 많아진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PE의 경우, 2004년과 2007년 조사결과와 한 차례이상 중복되는 공정은 PE-P

HOUSING 가공, PE-P 가바나 조정, BARREL LAPPING, C/SHAFT 등 4개 공정이었

다. 이전 평가기록과 비교했을 때, ANSI 점수는 BARREL LAPPING, C/SHAFT 두 공

정에서 높아졌고, PE-P HOUSING 가공, PE-P 가바나 조정 두 공정은 낮아졌다. 조사

대상 대비 이전 평가와 중복되는 공정이 적어서 의미있는 평가를 하기 어려웠다.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은 2007년에 비해 감소하였다. 기준 1 해당자가 2007년 82.6%에

서 2010년 74.3%로 감소하였고, 기준 2 해당자는 58.7%에서 49.05로, 기준 3 해당자는

24.4%에서 18.8%로, 기준 4 해당자는 23.1%에서 16.6%로 감소하였다. 이는 평균 연령

의 증가를 감안할 때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지속적인 현장 개선

과 노동강도의 감소가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설

문결과 2007년에 비해 음주와 흡연을 회피하는 이들이 10%가까이 많아지고, 운동을 규

Page 1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 -

칙적으로 하는 이들이 예년에 비해 2배 이상 많아 진 것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을 것

이다. 여하튼 절대적인 유병률이 낮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꾸준한 관리와 개선이 여전

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연령증가에도 불구하고 유병률이 감소하는 이례적인

양상과는 역설적이겠지만, 오히려 고령화와 장기근속에 따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작

업환경 전반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일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도 할 수 있겠다. 또한

부서별로 증상 유병률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시점에서 담당 작업량과 작업방식 등

부담요소 전반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처럼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만

성질환의 유병률은 응답률이 낮아 정확하게 파악이 어렵지만 응답자 중 100명이 고혈

압으로 진단을 받은 적이 있고, 현재 치료를 받고 있다는 사람도 42명인 것으로 나타

났다. 당뇨에 대해서도 33명이 진단을 받은 적이 있었고 11명은 치료 중인 것으로 나

타났다. 고지혈증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는 경우도 76명이었으며 치료를 받고 있는 사

람은 11명이었다. 유병률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전체적인 심각도를 판단할 수는

없지만 뇌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해 기초질환의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2009년도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중등도

위험군이 43%, 고위험군이 9%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과 저위험군은 48%에 불과하

여 절반 이상의 노동자들에 대해서 뇌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을 시급히 관리할 필요

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Page 1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 -

II. 조사의 내용 및 방법

1. 조사의 배경

두원정공은 1997년 경제 위기 이후 진행된 급격한 구조조정으로 인하여 집단적 작업환

경의 심각한 악화와 이로 인한 총량적 노동강도의 강화로 인해 작업자들에게 집단적인

근골격계 직업병이 유발된 바 있는 사업장이다. 이에 2002년 이래 근골격계 질환에 대

한 집단적 산재요양을 시작으로, 현장의 요구와 참여에서 비롯된 작업환경 개선위원회

의 활동이 진행되고 일부 인간공학적 개선을 가져오는 등의 성과를 일구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자동차 산업의 변화 및 국제적 환경규제 등에 의한 생산품의 단종 등

에서 비롯된 물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술투자 부족 및 물량확보 미흡 등의 어려움

이 수요개척과 수요다변화로 극복되기 보다는 장단기적 비전부재 등과 겹쳐지면서 현

장분위기는 여전히 일상적인 고용불안이 쟁점이 되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현장의 분위기와 장기간 지속되어 온 야간근무와 장시간 노동, 노동자들의 고

령화는 근골격계 질환뿐만이 아니라 뇌심혈관계 질환과 과로사의 가능성을 높이는 주

요한 요인이다. 근골격계 질환과 뇌심혈관계 질환은 작업장의 물리적 환경과 육체적

노동강도 뿐만이 아니라 직무 스트레스, 작업조직의 변화, 고용 불안정과 상당한 관련

이 있다. 따라서 두원정공 노동자들이 느끼는 고용불안감과 작업장의 변화는 현장 노

동자들의 근골격계 질환과 뇌심혈관계 질환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집단적 노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노동자들의 건강과 관련하여 근

골격계 직업병과 뇌심혈관계 질환의 전구 질환과 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 고혈압, 고지

혈증, 당뇨 등의 질환 유병률을 살펴보고 2009년 건강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뇌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위험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2002년과 2004년, 2007년의 세 차

례의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결과와 2003년부터 2009년까지의 건강검진 결과를 근간

으로 현재의 두원정공의 근골격계 질환의 현황과 노동환경의 변화를 보고자 한다.

Page 1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 -

부위 증상유무 기준 1 기준 2 기준 3 기준 4

목 218(49.77) 181(41.32) 36(8.22) 9(2.05) 7(1.60)

어깨 257(58.68) 223(50.91) 62(14.16) 20(4.57) 16(3.65)

팔/팔꿈치 113(25.80) 97(22.15) 9(2.05) 3(0.68) 2(0.46)

손가락/손목 194(44.29) 152(34.70) 26(5.94) 4(0.1) 3(0.68)

등/허리 295(67.35) 236(53.88) 64(14.61) 10(2.28) 9(2.05)

무릎/종아리 194(44.29) 161(36.76) 27(6.16) 2(0.46) 2(0.46)

골반/허벅지 54(12.33) 47(10.73) 13(2.97) 3(0.68) 3(0.68)

발목/발 107(24.43) 95(21.69) 22(5.02) 5(1.14) 5(1.14)

어느 한 부위라도 있는

경우408(93.15) 370(84.47) 138(31.51) 32(7.31) 28(6.39)

표 1.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2002년) ( ) : %

부위 기준 1 기준 2 기준 3 기준 4

목 175(40.9) 92(21.5) 35(8.2) 32(7.5)

어깨 223(52.1) 124(29.0) 48(11.2) 42(9.8)

팔/팔꿈치 90(21.0) 35(8.2) 14(3.3) 13(3.0)

손가락/손목 121(28.3) 52(12.1) 19(4.4) 17(4.0)

등/허리 199(46.5) 116(27.1) 51(11.9) 44(10.3)

다리/발 129(30.1) 60(14.0) 20(4.7) 18(4.2)

어느 한 부위라도 있는

경우331(77.3) 215(50.2) 98(22.9) 88(20.6)

표 2.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2004년) ( ) : %

Page 1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 -

부위 기준 1 기준 2 기준 3 기준 4

목 203(54.4) 104(27.9) 27(7.2) 26(7.0)

어깨 218(58.4) 132(35.4) 47(12.6) 45(12.1)

팔/팔꿈치 91(24.4) 44(11.8) 13(3.5) 13(3.5)

손가락/손목 123(33.0) 58(15.5) 17(4.6) 15(4.0)

등/허리 190(50.9) 119(31.9) 41(11.0) 36(9.7)

다리/발 144(38.6) 75(20.1) 19(5.1) 19(5.1)

어느 한 부위라도 있는

경우308(82.6) 219(58.7) 91(24.4) 86(23.1)

표 3.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2007년) ( ) : %

본 조사에서 사용한 증상 유병률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준 1 : 지난 1년 동안에 1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한달에 1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 (NIOSH 기준)

기준 2 : 증상이 기준 1에 해당하며 평균적인 증상 정도가 ‘중간정도로 심하다’ 이상인 경우 (NIOSH 최근 기준, 정밀검

사가 필요한 경우)

기준 3 : 증상이 기준 1에 해당하며 평균적인 정도가 ‘심하다’ 이상인 경우 (치료가 필요한 경우)

기준 4 : 기준 3에 해당하고 증상이 지난 1중일 동안 있었던 경우(당장 치료가 필요한 경우

2. 조사의 목적

본 조사는 두원정공의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실질적 대책

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근골격계 질환의 포괄적 원인에는 생리적 원인

뿐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원인이 같이 작용한다. 이에 본 조사연구에서는 생산과정중

의 전반적인 작업강도와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련성 등을 파악

하여, 작업량과 종류에 따른 인력, 속도 및 작업방법을 작업자의 능력에 적합화하고 근

골격계 질환의 물리적 요인인 인간공학적 요인을 파악하여 위험 요인들을 제거, 감소

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건강한 생산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Page 1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 -

실시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조사는 2007년 유해요인조사 시 파악된 근골격계 질환의

다양한 유해요인이 그 동안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혹은 악화되었는지를 파악하고 평가

하는 것 역시 중요한 목적으로 삼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의 발생에 영향

을 줄 수 있는 사회심리적 요인과 노동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장의 변화로

인한 노동자들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추적하는 한편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2009년 검진과 관련해서는 개인별 발병위험도를 평가

해보고 개입이 필요한 고위험군을 가려내어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수립하

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3. 조사연구의 방법

1) 조사 흐름

연구의 기본 흐름: 현장팀과 함께 하는 연구조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모형

이 조사연구는 “현장연구원과 함께 하는 연구조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의 모

형을 적용하였다. 이 함께 하는 연구조사는 전통적인 연구에서 서로 고립되어 있는 연

구, 교육, 활동의 과정들을 서로 결합한 것으로 연구자와 피연구자가 서로 구분되지 않

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De Kong과 Martin 1996).

참여활동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의 적용의 각 단계는 연구의 착수 ⇒ 서로

를 알기 ⇒ 서로의 신뢰를 획득 ⇒ 문제의 발굴 ⇒ 작업자들의 건강에 관련된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서로에게 동의를 구해나가는 과정 ⇒ 의결된 내용을 의

사로 표현 ⇒ 관리자 집단과 연구 집단간의 동의형성 ⇒ 평가에 반영 ⇒ 연구보고서의

발간 등의 순서로 되어 있다(Ritchie 1996).

이 연구에서는 이 함께 하는 연구조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를 적용하여, 현장

실천단이 연구의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훈련, 조사, 분석결과 공유 및 수정보완, 결과

공유를 수행하고, 평가와 대안을 함께 도출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Page 1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 -

(1) 현장 실천단 교육

현장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를 위한 실천단을 선정하였고, 실천

단이 중심이 되어 연구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교육을 실시하였다.

(2) 설문조사

전체적인 문제 정도를 분석하고, 공정과 작업별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3) 작업관찰 (공정 및 작업파악)

객관적으로 작업을 파악하고, 유사한 적업과 공정으로 작업과 작업자를 분류하고 대략

적으로 작업장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낸다.

(4) 인간공학적 평가

비디오 촬영, 작업 자세 분석, 면접 등을 통해 작업자세, 빈도, 중량물 등과 같은 인간

공학적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평가한다.

(5) 건강검진 결과 분석

2003년부터 2009년까지의 건강검진 결과를 제출 받아 전체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한다.

또한 2009년 검진 결과에 대해서는 개인별로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도를 평가한

다.

2) 구체적 조사방법

다음은 각각의 조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다. 전체적인 연구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현장 실천단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Page 1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 -

(1) 설문조사 방법

설문조사는 부서별로 실천단을 통해 설문을 배포하고 수거하였다.

① 설문지의 구성

설문지는 아래 표와 같이 구성되었다.

항목 내용일반적 특성 - 성, 나이, 키, 몸무게, 흡연, 음주, 운동유무, 결혼상태, 학력

직무관련 특성

- 입사 년도, 현 직종 근무기간

- 부서, 직위, 작업내용, 급여액

- 고용형태, 근무형태(주간, 주야교대 등)

- 근무시간, 잔업시간, 특근횟수

- 육체적 심리적 상태 : 현재 느끼는 건강, 정신, 심리상태

인간공학적 평가

- 손과 팔의 움직임의 정도 (HAL)

- 육체적 작업의 세기의 정도 (NPF)

- 주요업무의 작업자세 및 반복성 (QEC)

직무스트레스 요인- 물리환경 - 직무요구 - 직무자율 - 관계갈등

- 직무불안정 - 조직체계 - 보상부적절 - 직장문화

사회경제적 조건 - 부양가족, 급여, 가구 소득, 생활비, 수입 만족도

건강상태- 뇌심혈관계 관련 질환의 유병률, 진단률, 치료 여부

- 결근, 아파도 나와서 일한 적, 전반적 건강상태, 가족력

작업조건과

작업과정의 변화

(노동강도변화)

- 작업시간의 변동, 휴식시간 및 휴일 수, 잔업 및 특근 횟수의 변동

- 작업속도, 단위시간당 일의 양의 변화

- 담당하는 기계 수, 공정의 종류 변화

- 부서의 인력 변화

- 비정규직, 하청노동자수의 변동

- 자동화나 신공정과 관련된 변화

- 기본급, 복리후생비, 일의 성과에 따른 월급의 변화

- 주야 교대제근무의 변화

- 타부서 파견

근골격계 관련 증상

유무

- 증상의 종류 : 목, 어깨, 팔/팔꿈치, 손가락/손목, 등/허리, 무릎/다리,

발/발목

- 증상부위, 증상빈도, 증상지속기간, 증상정도

- 최근 일주일동안 증상유무, 최근 일주일동안 증상 정도

- 치료유무, 치료유무에 대한 이유

- 증상과 직업과의 관련성

표 4. 설문지의 구성

Page 1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 -

② 근골격계 증상 조사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증상 유병률은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 기준(기준 1)을 하

지까지 확대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와 다른 연구와의 비교 및 증상의 중증도 파악을 위

해 다른 연구에서 사용한 기준(기준 2, 기준 3, 기준 4)을 사용하였다.

본 조사에서 사용한 증상 유병률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준 1 : 지난 1년 동안에 1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한 달에 1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

(NIOSH 기준)

∙기준 2 : 증상이 기준 1에 해당하며 평균적인 증상 정도가 ‘중간정도로 심하다’ 이상

인 경우 (NIOSH 최근 기준, 정밀검사가 필요한 경우)

∙기준 3 : 증상이 기준 1에 해당하며 평균적인 정도가 ‘심하다’ 이상인 경우 (치료가

필요한 경우)

∙기준 4 : 기준 3에 해당하고 증상이 지난 1주일 동안 있었던 경우(당장 치료가 필요

한 경우

③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의 측정을 위한 도구는 총 43개 항목, 8개 영역(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

자율, 직무불안정,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구성하는 8개의 영역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그에 해당하는 설문문항

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환경”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근로자가 처해있는 일반적인 물리

적인 환경을 일컫는 것으로서, 작업방식의 위험성, 공기의 오염, 신체부담 등을 말한다.

Page 1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 -

세부범주 문항내용

공기오염 근무 장소가 깨끗하고 쾌적하다.

작업방식의 위험성 작업방식이 위험하고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

신체부담 내 업무는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해야 한다.

표 5. 물리환경 영역 항목

∙“직무요구”는 직무에 대한 부담정도를 의미하며 시간적 압박, 업무량 증가, 업무중

중단, 책임감, 과도한 직무부담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세부범주 문항내용

시간적 압박 일이 많아 항상 시간에 쫒기면서 일하게 된다.

중단상황 현재 하던 일을 끝내기 전에 다른 일을 하도록 지시 받는다.

업무량 증가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책임감 나는 동료나 부하직원을 돌보고 책임져야 할 부담을 안고 있다.

과도한 직무부담 내 업무는 장시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

과도한 직무부담 업무 수행 중에 충분한 휴식(짬)이 주어진다.

직장가정양립 일이 많아서 직장과 가정에 다 잘하기가 힘들다.

업무다기능 여러 가지 일을 한꺼번에 해야 한다.

표 6. 직무요구 영역 항목

∙“직무자율”은 직무에 대한 의사결정의 권한과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재량활용성의 수

준을 의미하며, 기술적 재량 및 자율성, 업무예측가능성, 직무수행권한 등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세부범주 문항내용

기술적 재량 내 업무는 창의력을 필요로 한다.

예측불가능성 업무관련 사항(업무의 일정, 업무량, 회의시간 등)이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정해지거나 바뀐다.기술적 재량 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다.

직무수행권한 작업시간, 업무수행과정에서 나에게 결정권한이 주어지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직무수행권한 나의 업무량과 작업스케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표 7. 직무자율 영역 항목

Page 1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 -

∙“직무불안정”은 자신의 직업 또는 직무에 대한 안정성의 정도로 구직기회, 고용불안

정성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세부범주 문항내용

구직기회 지금의 직장을 옮겨 나에게 적합한 새로운 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구직기회 현재의 직장을 그만두고 현재 수준만큼의 직업(직장)을 찾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다.전반적 고용불안정성 직장사정이 불안하여 미래가 불확실하다.

전반적 고용불안정성 나의 직업은 실직하거나 해고당할 염려가 없다.

전반적 고용불안정성 앞으로 2년 동안 현재의 내 직업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전반적 고용불안정성 나의 근무조건이나 상황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예, 구조조정)가

있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 8. 직무불안정 영역 항목

∙“관계갈등”이라 함은 회사 내에서의 상사 및 동료 간의 도움 또는 지지부족 등의 대

인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며 동료의 지지, 상사의 지지, 전반적 지지 등이 여기에 속한

다.

세부범주 문항내용

동료의 지지 나의 동료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사의 지지 나의 상사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전반적 지지 직장에서 내가 힘들 때 내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주고 이해해 주는

사람이 있다.동료의 지지 직장생활의 고충을 함께 나눌 동료가 있다.

표 9. 관계갈등 영역 항목

∙“조직체계”는 조직의 정략 및 운영체계, 조직의 자원, 조직 내 갈등, 합리적 의사소

통 등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Page 2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 -

세부범주 문항내용

조직의 정략 및 운영체계 우리 직장(회사)의 근무평가, 인사제도(승진, 부서배치 등)는

공정하고 합리적이다.조직의 지원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시설, 장비, 훈련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조직 내 갈등 우리 부서와 타 부서 간에는 마찰이 없고 업무 협조가 잘

이루어진다.목적, 이해의 동질성 근로자, 간부, 경영주 모두가 직장을 위해 한 마음으로 일을 한다.

합리적 의사소통 결여 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와 통로가 있다.

승진가능성 나의 경력개발과 승진은 무난히 잘 될 것으로 예상한다.

직위부적합 나의 현재 직위는 내 교육 및 경력에 비추어볼 때 적절하다.

표 10. 조직체계 영역 항목

∙“보상부적절”은 업무에 대하여 기대하고 있는 보상의 정도가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존중, 내적 동기, 기대 부적합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세부범주 문항내용

기대부적합 나의 직업은 내가 평소 기대했던 것에 미치지 못한다.

금전적 보상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내 봉급/수입은 적절하다.

존중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나는 직장에서 제대로 존중과

신임을 받고 있다.내적동기 나는 지금 하는 일에 흥미를 느낀다.

기대보상 내 사정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을 생각하면 힘든 줄 모르고 일하게

된다.기술개발기회 나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표 11. 보상부적절 항목 영역

∙“직장문화”는 서양의 형식적 합리주의 직장문화와는 달리 한국적인 집단주의적 문

화,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비공식적 직장문화 등의 직장문화 특징이 스트레스 요인

으로 작용하는지를 평가한다.

Page 2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 -

세부범주 문항내용

집단주의문화(술자리 등) 회식자리가 불편하다.

직장문화(직무갈등) 기준이나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업무 지시를 받는다.

직장문화(합리적 소통결여) 직장의 분위기가 권위적, 수직적이다.

성적차별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적인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

표 12. 직장문화 항목 영역

각 문항별로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하였고, 각각에 대해 1-2-3-4-점을 부여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문항은 1-2-3-4 점을 그대로 두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낮은

문항은 4-3-2-1로 재입력하여 개별 문항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영역별 점수와 전체 총

점은 모두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후 비교 평가하였다. 실제 점수를 100점으로 환산하

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각 영역별 환산점수 = (실제점수 - 문항수)☓100/(예상 가능한 최고점수 - 문항수)

직무스트레스 총 점수 = (각 8개 영역의 환산 점수의 총합)/8

표 13. 직무스트레스 환산식

④ 건강상태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선행요인 중 건강상태 관련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말초혈관질환, 신장질환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질환에 대해서 ‘한 번이라도 앓은 것이 있는지’, ‘지난 1년간 석 달 이상 앓았거

나 현재도 앓고 있는지’, ‘진단을 받았는지’, ‘치료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

하였다.

⑤ 작업조건(노동강도)의 변화

노동강도의 변화에는 절대적 노동강도에 대한 문항이 6개, 상대적 노동강도에 대한 문

항이 7개, 양적 유연화에 대한 문항이 3개, 질적 유연화에 대한 문항이 1개, 임금유연

화에 대한 문항이 2개가 포함되었다.

Page 2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 -

⑥ 작업자세 및 반복성 (QEC : Quick Exposure Checklist)

QEC 시스템(Li와 Buckle, 1999)은 작업시간, 부적절한 자세, 무리한 힘, 반복된 동작 같

은 근골격계질환을 유발시키는 작업장 위험요소를 평가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관

찰자가 작업관찰을 통해서도 평가 할 수 있고 설문지처럼 노동자에게 주어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번 조사에는 설문지에 포함시켜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세에 대한 문항 8개와 하중에 대한 문항 7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허리, 어깨/팔, 손/

손목, 목, 무릎 등의 각 신체부위별 자세와 무게, 시간, 손의 하중, 진동, 눈의 피로, 업

무수행의 어려움, 업무수행시의 스트레스 등으로 구성되어있고, 각각의 가산점에 가중

치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신체 각 부위의 위험도를 계산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인간공

학적 위험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QEC 노출비율은 각 신체 부위별 점수의 합계를 해

당 작업의 최대점수로 나눈 백분율로 표시하며, 중량물자 취급공정의 경우는 최대 점

수가 176점, 기타 작업의 최대 점수는 162점이 된다. 노출 비율에 따른 조치수준은 다

음과 같다.

노출비율 RULA조치수준 조치사항

40%이하 1-2 작업이 오랫동안 지속적, 반복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면 작업자세에 별 문제없음

40-49% 3-4 작업자세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필요, 작업자세 변경하는 것이 요구됨

50-69% 5-6 추가조사 및 작업 자세 변경이 빠른 시일 내 필요함

70%이상 7 추가조사와 작업자세 변경이 즉시 필요함

표 14. QEC 조치수준

(2) 인간공학 평가

① ANSI 체크리스트

미국표준연구원(ANSI)에서 개발한 ANSI 체크리스트(ANSI Z-365 Quick Checklist)는

평가 결과 점수가 ‘10’ 이상이면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저 위험도를 초과하는

것이 인정되므로 좀 더 자세한 인간공학적인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되어 있다. 평가

Page 2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 -

항목은 반복동작 시 노출시간, 중량물 들기 작업 시 물체의 무게와 노출시간, 밀기/당

기기 작업 시 작업강도, 중량물 이동(>3m), 작업자세( 목/ 어깨/ 팔꿈치 뒤틀림/ 손,

손목의 굽힘/ 허리의 뒤틀림, 굽힘/ 무릎: 웅크리고 앉음, 구부리고 앉음/ 동력공구의

사용 유무/ 신체압박 노출시간/ 정적인 동작 시간/ 작업장의 물리적 유해요인/ 키보

드 작업의 유무/ 인센티브제도, 작업속도 조절 가능의 유무)이다. 체크리스트에서 각

항목에 해당하는 작업이 있으면 하루 작업시간 중 몇 시간동안 그 작업이 존재하는지

파악하고 체크한다. 점수의 환산은 각 항목의 점수를 합한다.

위험요인노출시간

1시간이하 1~4시간 4시간이상

반복 동작수초 마다 반복(15회 이상/분) 0 1 3

수분마다 반복 0 0 1

중량물 들기

2.3kg - 6.8kg 0 0 1

6.8kg - 13.5kg 1 1 2

13.5kg - 22.5kg 2 2 3

22.5kg이상 3 3 3

밀기 / 당기기

쉽다 0 0 1

보통이다 0 1 2

무겁다(힘들다) 1 2 3

중량물이동(3m 이상)

2.3kg - 6.8kg 0 0 1

6.8kg - 13.5kg 0 1 2

13.5kg 이상 1 2 3

작업 자세

과도한 손뻗힘 0 1 2

목/어깨 : bend/twist 0 1 2

팔꿈치/전완 : twist 0 1 2

손/손목 : bend/pinch 0 1 2

몸통 : twist/bend 0 1 2

무릎 : squat/kneel 0 1 2

동력공구사용(power tools) 0 1 2

신체압박(작업도구 혹은 작업대로부터) 0 1 2

정적인 동작 0 1 2

작업환경(저온, 고열, 광선, 진동, 눈부심) 0 1 2

키보드 계속 작업 0 1 2인센티브제도/작업속도 조절 불가능 0 1 2

표 15. ANSI 체크리스트

Page 2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7 -

점수 위험분류

0~9점 정상 작업군

10~15점 저 위험성 초과작업

16점 이상 위험성 초과 작업(적극적인 관리필요)

표 16. ANSI 환산점수별 위험분류

② ACGIH TLV for Hand Activity

미국 산업위생 전문가협의회(ACGIH)에서 개발한 ACGIH TLV for Hand Activity는

손 활동도(HAL)와 작업 강도(NPF) 의 점수를 환산하여 평가하는 도구로써 전완, 손목,

손 활동 작업에 대한 허용기준(TLV)을 제시하며 평가 결과 점수가 ‘0.78’ 이상이면 허

용기준(TLV)을 초과하는 작업으로 공학적 작업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평가

점수가 ‘0.56’ 이상 ‘0.78’ 미만이면 감시기준(AL)에 해당하는 작업으로 행정적인 작업관

리 및 추가조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도구 적용 및 허용기준(TLV) 판단의 주의사항은 굴곡(flexion), 신전(extension), 회전

(rotation)과 같은 손목의 중립(neutral)이 유지되지 않는 작업 및 접촉 스트레스, 저온

및 진동이 존재하는 작업에서는 전문가의 판단에 의하여 허용기준(TLV) 점수를 하향

조절하여 적용해야 한다. 또한 하루 4시간 이상의 반복 수작업과 단일 작업에 한정해

서 사용해야 한다.

③ RULA

McAtamney & Corlett(1993)이 개발한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는 상

지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하체보다는 상체의 작업부하가 많이 부과되는

작업의 작업자세에 의한 근육 부하를 평가 시 효율적이다.

분석방법은 팔(상완 및 전완), 손목, 목, 몸통(허리), 다리 부위에 대해 각각의 기준에서

정한 값을 표에서 찾고 그런 다음, 근육의 사용 정도와 사용 빈도를 정해진 표에서 찾

아 점수를 더하여 최종적인 값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방법은 작업 자세에 의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 평가 점수에

Page 2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8 -

따라 4 단계의 조치수준으로 나누고 조치할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조치수준 1(총 점

수 1 - 2 점)은 적절한 작업, 조치수준 2(총 점수 3 - 4 점)는 추적관찰 필요함(추가적

인 조사와 작업자세의 변경이 필요할 수 있음), 조치수준 3(총 점수 5 - 6 점)은 추가조

사와 함께 빠른 시일 내(soon) 개선 필요함, 조치수준 4(총 점수 7점)는 추가조사와 함

께 즉시(immediately) 개선 필요함 등으로 구분하여 사후 관리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평가 과정이 난해하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조사에서는 인간

공학전문가의 집중적 교육과 실습을 통해 실천단들이 직접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 하였다. 또한 조사 과정에서 전문가의 자문을 상시적으로 구하여 조사의 질을 높

일 수 있도록 하였다.

조치수준 총괄점수 조치사항

1 1-2작업이 오랫동안 지속적, 반복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면 작업자세에 별 문제없음

2 3-4작업자세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필요, 작업자세 변경하는 것이 요구됨

3 5-6 추가조사 및 작업 자세 변경이 빠른 시일 내 필요함

4 7 추가조사와 작업자세 변경이 즉시 필요함

표 17. RULA 조치수준

④ 들기 작업 평가

들기작업의 경우, 이전까지 조사에서 사용했던 미국 산업위생 전문가협의회(ACGIH)

에서 개발한 도구인 ACGIH Lifting TLV 를 사용하여 평가하지 않았다. 실제 작업자의

부담을 사실상 측정키 곤란한 점을 고려하여, 중량물 작업 현실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

였다. 왜냐하면, 중량물의 경우 평가항목인 들기 작업시간 및 빈도, 물체와 작업자간의

수평․수직거리, 허용 최고 중량 등이 아니더라도, 작업자의 장기근속과 구체적인 작업

자체를 포괄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작업내용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여 위험

노출 실태를 보여주는 것이 보다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을 현실적으로 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Page 2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9 -

III. 조사 결과

1. 설문 조사 결과

1) 설문의 배부와 수거

설문지는 2010년 8월말~9월초에 안전보건교육 시간을 통해 대부분 배포 수거하였고,

실천단들이 담당 현장부서의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배포 수거하였다. 두원정공 전체 조

합원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은 총 416부였다. 수거된

설문은 모두 분석에 사용되었고 이는 전체 연구 대상의 82.8%에 해당 한다.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이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작업자 중 여성은 9명(2.2%)이였

고, 남성이 405명(97.8%)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키는 평균 170.5cm이었으며, 몸무게

는 70.3kg이었다. 작업자들의 평균 연령은 41.6세, 근속년수는 16.9년이었다. 최종학력은

고졸 및 대졸이상이 각각 71.3%와 21.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혼자가 373명(91.4%)

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미혼이 32명(7.8%) 기타 3명(0.74%)이었다.

현재 흡연자의 비율이 67명(16..6%)이었다. 그리고 292명(73.8%)은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하는 경우가 304명(74.8%)로 나타났다. 2007년에 비해 음주(안마시

는 이들이 81명 21.7%에서 109명 27.18%로)와 흡연(안핀다는 이들이 117명 31.4%에서

159명 39.45%로)을 기피하려는 것이 늘어나는 경향은 고령화와 장기근속에 따라 건강

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07년 규칙적 운동을 안하는 이들이

202명으로 54.2%였던 것에 비하면, 2010년에는 안하는 이들이 102명으로 25.12%로 상

당수가 운동에 대한 시간투여를 하고 있는 바, 개인적 건강관리에 나름의 애를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2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0 -

항목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성별 남성 405 97.8

여성 9 2.2

연령 46.16 5.51

키(cm) 170.5 6.14

몸무게(kg) 70.3 11.39

최종학력

중졸 11 2.7

고졸 312 76.66

전문대졸 78 19.16

대졸이상 6 1.47

결혼상태

미혼 32 7.84

기혼 373 91.42

기타 3 0.74

흡연

흡연 67 16.63

비흡연 159 39.45

과거흡연 177 43.92

음주횟수

거의 안마심 109 27.18

월 2-3회 92 22.94

주 1-2회 151 37.66

주 3-4회 43 10.72

주 5회 이상 6 1.5

근무시간외 규칙적 운동

안한다 102 25.12

1-2회 176 43.35

3-4회 92 22.66

5-6회 23 5.67

거의 매일 13 3.2

표 18. 일반적 특성과 생활 습관

Page 2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1 -

3) 근속연수, 직책, 부서, 근무형태

평균 근속연수는 16년 이었으며, 대다수인 87.5%의 직책이 사원이고, PE 부서에 125명

(30.9%) 노즐제조에 68명(16.8%) VE 제조에 128명(31.6%) 지원 부서에 84명(20.7%)이

근무하고 있었다. 한편 교대근무를 하는 사람은 145명(36.2%)이었다.

항목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근속연수 15.99 7.53

직책

반장 11 2.7

조장 35 8.6

기사 1 0.25

사원 356 87.47

대리 2 0.49

기타 2 0.49

부서

PE 제조 125 30.86

노즐제조 68 16.79

VE 제조 128 31.6

지원부서 84 20.74

근무형태

주간근무 238 59.35

2교대 (주야 맞교대)

145 36.16

기타 18 4.49

표 19. 근속연수 직책, 부서, 근무형태

Page 2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2 -

4) 노동시간, 업무만족도, 지치는 경우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51시간이었으며, 노동시간 중 실제로 일하는 평균비율은 75%이

었다. 업무만족도는 전혀 불만족하는 사람이 26명(6.4%)이었으며 약간 불만족하는 사람

은 71명(17.4)이었으며 가장 많은 275(67.5%)명의 사람이 약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육체적으로 지치는 경우는 간혹 지치는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정신적으

로도 간혹 지치는 경우의 사람이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항목 평균 중위수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평균근무시간 51.35 50.00 12.11

실제 일하는 시간 비율

75.65 80.00 11.29

업무가 힘든 정도

11.57 12.00 1.89

손과 팔의 빠르기

5.47 6.00 1.82

육체적인 작업의 세기

3.60 3.00 1.25

일에 대한 만족도

전혀 불만족 26 6.37약간 불만족 71 17.4

약간 만족 275 67.4매우 만족 36 8.82

육체적으로 지치는 경우

전혀 29 7.04

간혹 248 60.19

종종 114 27.67

항상 21 5.1

정신적으로 지치는 경우

전혀 33 8.87

간혹 223 59.95

종종 89 23.92

항상 27 7.26

표 20. 노동 시간, 노동 강도, 만족도 등

Page 3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3 -

5) 부서별 노동시간, 업무만족도

부서 중 가장 긴 노동시간을 가진 부서는 PE제조 부서로 평균노동시간은 59.3시간이었

으며, 부서 중 가장 짧은 노동시간을 가진 부서는 VE제조 부서로 평균노동시간은 45.3

시간이었다. 업무 만족도에서 약간 만족하거나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VE제조 부서였으며 PE제조부서는 만족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부서 응답인원 평균 근무시간 표준 편차

PE 제조 125 59.29 10.07

노즐제조 68 52.52 8.05

VE 제조 128 45.31 9.27

지원 부서 84 47.81 15.09

표 21. 부서별 노동시간

매우 불만족 불만족 약간 만족 매우 만족

PE 제조 13명 10.4% 24명 19.2% 81명 64.8% 7명 5.6%

노즐제조 3명 4.55% 14명 21.21% 42명 63.64% 7명 10.61%

VE 제조 7명 5.6% 25명 20% 80명 64% 13명 10.4%

지원 부서 3명 3.61% 7명 8.43% 64명 77.11% 9명 10.84%

표 22 부서별 만족도

6) 부서별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치는 정도

육체적으로 지치는 정도에 대해 물었을 때 ‘종종’이나 ‘항상’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

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 부서였으며 가장 낮은 부서는 지원부서로 조사되었다. 정

신적으로 지치는 경우는 PE부서와 지원부서가 높게 조사된 반면에 노즐제조 부서가

정신적으로 ‘종종’이나 ‘항상’에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Page 3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4 -

전혀 없음 간혹 종종 항상

육체적으로 지치는 정도PE 제조 4(03.23) 72(58.06) 38(30.65) 10(08.06)

노즐제조 3(04.41) 39(57.35) 23(33.82) 3(04.41)

VE 제조 12(09.38) 75(58.59) 34(26.56) 7(05.47)

지원 부서 10(12.05) 55(66.27) 17(20.48) 1(01.20)

정신적으로 지치는 정도PE 제조 8(07.02) 67(58.77) 29(25.44) 10(08.77)

노즐제조 4(06.56) 41(67.21) 12(19.67) 4(06.56)

VE 제조 14(12.17) 68(59.13) 25(21.74) 8(06.96)

지원 부서 6(07.89) 44(57.89) 21(27.63) 5(06.58)

표 23. 육체적 정서적으로 지치는 정도 명 (%)

7) 부양가족, 소득수준, 소득이 충분한지 여부

평균부양 가족은 3.2명이었으며 2009년 평균임금은 5231만원이었으며 현재의 소득이

매우 부족하거나 약간 부족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216명(54.3%)이었다.

항목 평균 중위수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부양 가족수 3.18 3.00 1.02

2009년 급여 총액

5231 5100 807.46

월평균 생활비 242 240 104.84

현재 소득의 충분한지 여부

매우 충분하다 1 0.25

충분하다 15 3.78

별 지장 없다 165 41.56

부족하다 170 42.82

매우 부족하다 46 11.59

표 24. 부양가족 수, 2009년 급여, 소득이 충분한지

Page 3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5 -

8) 각종 질환 유병률

조사결과 응답자 중 고혈압을 진단받았다고 응답한 조합원은 100명이었고, 당뇨는 33

명 이었으며, 고지혈증은 76명, 뇌졸중은 14명이었으며 심근경색은 19명, 말초혈관 질

환은 14명, 신장질환은 25명 이었다. 그런데 여기서의 백분율은 설문에 응답한 사람이

비율이 적어서 정확한 유병률은 아니다. 응답하지 않은 사람 중 많은 수가 질병이 없

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의사 진단 여부 진단받은 사람중 치료 여부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고혈압 예 100 38.17 완치되어 치료 안받음 17 21.25

아니오 156 59.54 치료 안받음 21 26.25

모른다. 6 2.29 치료받고 있음 42 52.5

당뇨병 예 33 15.49 완치되어 치료 안받음 4 19.05

아니오 173 81.22 치료 안받음 6 28.57모른다. 7 3.29 치료받고 있음 11 52.38

고지혈증 예 76 32.9 완치되어 치료 안받음 10 19.61

아니오 148 64.07 치료 안받음 30 58.82

모른다. 7 3.03 치료받고 있음 11 21.57

뇌졸중(중풍) 예 14 7.18 완치되어 치료 안받음 2 66.67

아니오 174 89.23 치료안받음 1 33.33

모른다. 7 3.59 치료받고 있음

심근경색 예 19 9.9 완치되어 치료 안받음 4 57.14

아니오 166 86.46 치료안받음 2 28.57

모른다. 7 3.65 치료받고 있음 1 14.29

말초혈관질환 예 14 7.41 완치되어 치료 안받음 3 75

아니오 168 88.89 치료안받음 1 25

모른다. 7 3.7 치료받고 있음

신장질환 예 25 12.76 완치되어 치료 안받음 7 50

아니오 161 82.14 치료안받음 2 14.29

모른다. 10 5.1 치료받고 있음 5 35.71

표 25 만성질환의 진단여부와 치료여부

Page 3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6 -

9) 결근일, 몸이 아파도 출근한 날, 주관적 건강

조사결과 건강문제로 결근한 날의 평균값은 1.9일 이었다. 그리고 몸이 아파도 출근할

날의 평균은 10.8일 이었으며 214명(55.9%)의 조합원이 몸이 아파도 출근한 경험이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주관적인 건강 수준은 대다수의 조합원인 252명(60.9%)이 중간

이라고 대답하였으며, 74명(17.8%)의 조합원은 건강이 나쁘거나 매우 나쁘다고 응답하

였다.

항목 평균 중위수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건강문제로 결근한 날 수 1.90 0 10.58

몸이 아파도 출근한 경우 출근한 날 수

10.79 5 24.98

몸이 아파도 출근한 경험있다 214 55.87

없다 169 44.13

전반적인 건강상태

매우 좋다. 2 0.48

좋은 편이다. 86 20.77

보통이다. 252 60.87

나쁜 편이다. 66 15.94

매우 나쁘다. 8 1.93

뇌졸중, 심장병 조기발병 가족력

예 30 7.52

아니요 369 92.48

표 26. 건강문제로 인한 결근 여부, 몸이 아파도 출근하는 경우, 전반적인 건강수준

10) 작업조건

(1) 1~7번 문항

작업조건에 대한 조사결과 잔업을 할 정도로 일이 많다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

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48명(35.8%)이었고, 휴식시간과 점심시간이 충분한가

Page 3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7 -

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73명

(42.1%)이었으며, 근무도중 대기시간과 여유시간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78명(43.8%)이었고, 하루 중 수면시간

과 휴식시간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

한 사람은 234명(57.1%)이었으며, 휴가를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할 정도로 일이 많다고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61명(14.9%)이었고, 여가를

즐길 정도로 휴일이 충분한가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

라고 응답한 사람은 226명(55.1%)이었으며, 업무속도가 매우 빠른가에 대한 질문에 ‘매

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25명(30.4%)이었다.

문항 답변 빈도수 백분율1. 잔업을 안 하면 안 될 정도로 일이 많다. 매우 (항상) 그렇다 19 4.66

대부분 그렇다 127 31.13별로 그렇지 않다 184 45.1전혀 그렇지 않다 78 19.12

2. 하루 근무 중 점심시간과 휴식시간이

충분하다.

매우 (항상) 그렇다 26 6.33대부분 그렇다 212 51.58별로 그렇지 않다 144 35.04전혀 그렇지 않다 29 7.06

3. 근무 도중 대기시간과 여유시간이 충분

하다.

매우 (항상) 그렇다 15 3.66대부분 그렇다 217 52.93별로 그렇지 않다 159 38.78전혀 그렇지 않다 19 4.63

4. 하루 중 잠자는 시간과 여가시간이 충분

하다.

매우 (항상) 그렇다 14 3.41대부분 그렇다 162 39.51별로 그렇지 않다 200 48.78전혀 그렇지 않다 34 8.29

5. 휴가를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일이 많다. 매우 (항상) 그렇다 4 0.97대부분 그렇다 57 13.87별로 그렇지 않다 222 54.01전혀 그렇지 않다 128 31.14

6. 여가시간을 즐길 만큼 휴일이 충분하다. 매우 (항상) 그렇다 17 4.15대부분 그렇다 167 40.73별로 그렇지 않다 187 45.61전혀 그렇지 않다 39 9.51

7. 내 업무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 매우 (항상) 그렇다 7 1.7대부분 그렇다 118 28.71별로 그렇지 않다 278 67.64전혀 그렇지 않다 8 ·1.95

표 27. 작업조건 문항 1-7.

Page 3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8 -

(2) 8-13번 문항

시간당 해야 할 일의 양이 너무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

라고 응답한 사람은 130명(31.5%)이었고, 본인의 업무의 양이 적당한가에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51명(36.8%)이었다. 담당하는

업무 종류가 매우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32명(32.7%)이었으며, 일하는 부서의 인력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206명(50.4%)이었다. 교대

작업 시 업무량은 적당한가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

고 응답한 사람은 120명(38.4%)이었고, 본인 업무의 자동화가 많이 되어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293명(75.3%)이었

다.

문항 답변 빈도수 백분율8. 내 업무는 시간당 해야 하는 일의 양이 너무 많다.

매우 (항상) 그렇다 8 1.94대부분 그렇다 122 29.61별로 그렇지 않다 269 65.29전혀 그렇지 않다 13 3.16

9. 내가 담당하는 업무의 양은 적당하다. 매우 (항상) 그렇다 7 1.7대부분 그렇다 253 61.56별로 그렇지 않다 135 32.85전혀 그렇지 않다 16 3.89

10. 내가 담당하는 업무의 종류가 너무 많다. 매우 (항상) 그렇다 16 3.96대부분 그렇다 116 28.71별로 그렇지 않다 245 60.64전혀 그렇지 않다 27 6.68

11. 내가 일하는 부서의 인력은 충분하다. 매우 (항상) 그렇다 10 2.49대부분 그렇다 185 46.13별로 그렇지 않다 172 42.89전혀 그렇지 않다 34 8.48

12. 나의 교대 작업시 업무의 양은 적당하다. 매우 (항상) 그렇다 7 2.26대부분 그렇다 183 59.03별로 그렇지 않다 88 28.39전혀 그렇지 않다 32 10.32

13. 내 업무는 자동화가 많이 되어있다. 매우 (항상) 그렇다 10 2.57대부분 그렇다 86 22.11별로 그렇지 않다 153 39.33전혀 그렇지 않다 140 35.99

표 28. 작업조건 문항 8-13

Page 3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29 -

(3) 14-19번 문항

새로운 업무가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

은 52명(12.6%)이었고, 하청이나 외주작업이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

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38명(9.6%)이었으며, 일하는 부서에 비정규직이나 하

청인원이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9

명(2.3%)이었고, 파견업무나 배치전환 업무가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25명(6.4%)이었으며, 급여 중 기본급의 비율이 높은

가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20명

(86.4%) 이었다. 성과급의 비율이 높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

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92명(23.6%) 이었다.

문항 답변 빈도수 백분율14. 내 부서에는 새로운 업무가 많이 있다. 매우 (항상) 그렇다 7 1.8

대부분 그렇다 42 10.8별로 그렇지 않다 215 55.27전혀 그렇지 않다 125 32.13

15. 내가 일하는 업무는

하청이나 외주 작업이 많다.

매우 (항상) 그렇다 8 2.04대부분 그렇다 30 7.63별로 그렇지 않다 147 37.4전혀 그렇지 않다 208 52.93

16. 내가 일하는 부서에

비정규직이나 하청인원이 많다.

매우 (항상) 그렇다 1 0.26대부분 그렇다 8 2.05별로 그렇지 않다 36 9.21전혀 그렇지 않다 346 88.49

17. 나의 일은 다른 부서로

파견가거나 배치전환을 많이 가는 일이다.

매우 (항상) 그렇다 4 1.02대부분 그렇다 21 5.34별로 그렇지 않다 83 21.12전혀 그렇지 않다 285 72.52

18. 나의 월급 중 일의 양과 관계없이 받는

기본급의 비율이 높다.

매우 (항상) 그렇다 13 3.34대부분 그렇다 40 10.28별로 그렇지 않다 179 46.02전혀 그렇지 않다 157 40.36

19. 월급 중 일을 많이 하면 월급을 많이

받는 성과급의 비율이 높다.

매우 (항상) 그렇다 26 6.67대부분 그렇다 66 16.92별로 그렇지 않다 98 25.13전혀 그렇지 않다 200 51.28

표 29. 작업조건 문항 14-19

Page 3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0 -

11) 부서별 작업조건

잔업을 할 정도로 일이 많다는 항목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

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68.6%)이었다.

휴식시간과 점심시간이 충분한가 라는 항목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

라고 응답한 사람의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부서(49.6%)이었으며, 근무도중 대기시간

과 여유시간이 충분한가라는 항목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

한 사람이 비율이 높은 부서는 PE제조(56.0%)였다.

하루 중 수면시간과 휴식시간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

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부서(67.2%)였으며, 휴가

를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일이 많다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

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부서(31.2%)이었다.

여가를 즐길 정도로 휴일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부서(76.8%)였고, 업무속도가

매우 빠른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도 PE제조(40.8%)였다.

시간당 해야 할 일의 양이 너무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

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 130명(44.0%)이었고, 본인의 업무의

양이 적당한가에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노즐제조(43.3%)이었다.

담당하는 업무종류가 매우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지원부서(40.9%)이었고, 일하는 부서의 인력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

이 가장 높은 부서는 지원부서(65.0%)이었다.

교대 작업 시 업무량은 적당한가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

Page 3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1 -

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44.6%)이었으며, 본인 업무의

자동화가 많이 되어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부서는 PE제조(87.9%)이었다.

새로운 업무가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

의 비율이 높은 부서는 지원부서(37.2%)이었고, 하청이나 외주작업이 많은가에 대한 질

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부서는 지원부서

(14.5%)이었다. 일하는 부서에 비정규직이나 하청인원이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은 부서는 PE제조(3.3%)이었고,

파견업무나 배치전환 업무가 많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

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부서는 PE제조(9.9%)이었다.

급여 중 기본급의 비율이 높은가에 대한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

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부서는 VE제조 (20.7%)이었다. 성과급의 비율이 높

은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와 ‘대부분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부서는 PE제조(28.9%)였다.

Page 3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2 -

문항 부서 매우 그렇다 대부분 그렇다 별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1. 잔업을 안 하면 안 될 정도로

일이 많다.

PE 제조 16(12.9) 69(55.7) 35(28.2) 4(3.2)노즐제조 3(4.6) 17(25.8) 40(60.6) 6(9.1)VE 제조 0(0) 13(10.3) 55(43.7) 58(46.0)지원부서 0(0) 26(31.71) 48(58.5) 8(9.8)

2. 하루 근무 중

점심시간과 휴식시간이 충분하다.

PE 제조 8(6.4) 55(44.0) 50(40.0) 12(9.6)노즐제조 3(4.5) 35(52.2) 25(37.3) 4(6.0)VE 제조 9(7.1) 73(57.9) 36(28.6) 8(6.4)지원부서 6(7.2) 43(51.8) 29(34.9) 5(6.0)

3. 근무 도중

대기시간과 여유시간이 충분하다.

PE 제조 3(2.4) 52(41.6) 61(48.8) 9(7.2)노즐제조 2(3.0) 30(44.8) 32(47.8) 3(4.5)VE 제조 6(4.7) 78(61.4) 37(29.1) 6(4.7)지원부서 4(4.9) 52(63.4) 25(30.5) 1(1.2)

4. 하루 중

잠자는 시간과 여가시간이 충분하다.

PE 제조 4(3.2) 37(29.6) 69(55.2) 15(12.0)노즐제조 1(1.5) 26(38.8) 32(47.8) 8(11.9)VE 제조 6(5.0) 61(48.0) 51(40.0) 8(6.0)지원부서 3(3.7) 35(42.7) 41(50.0) 3(3.7)

5. 휴가를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일이 많다. PE 제조 2(1.6) 37(29.6) 71(56.8) 15(12.0)노즐제조 1(1.5) 6(9.1) 43(65.2) 16(24.2)VE 제조 0(0.0) 5(3.9) 49(38.6) 73(57.5)지원부서 1(1.2) 7(8.4) 54(65.1) 21(25.3)

6. 여가시간을 즐길 만큼 휴일이 충분하다. PE 제조 3(2.40) 26(20.8) 78(62.4) 18(14.4)노즐제조 3(4.5) 26(38.8) 32(47.8) 6(9.0)VE 제조 9(7.1) 80(63.5) 31(24.6) 6(4.8)지원부서 2(2.4) 31(37.8) 42(51.2) 7(8.5)

7. 내 업무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 PE 제조 3(2.4) 48(38.4) 73(58.4) 1(0.8)노즐제조 2(3.0) 18(26.9) 45(67.2) 2(3.0)VE 제조 0(0.0) 30(23.6) 95(74.8) 2(1.6)

지원부서 2(2.4) 20(24.4) 58(70.7) 2(2.4)

표 30. 부서별 작업조건-1

Page 4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3 -

문항 부서 매우 그렇다 대부분 그렇다 별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8. 내 업무는

시간당 해야 하는 일의 양이 너무많다.PE 제조 4(3.2) 51(40.8) 69(55.2) 1(0.8)

노즐제조 1(1.5) 19(28.4) 46(68.7) 1(1.49)

VE 제조 3(2.4) 31(24.4) 87(68.5) 6(4.7)

지원부서 0(0.0) 19(22.9) 59(71.1) 5(6.0)9. 내가 담당하는 업무의 양은 적당하다. PE 제조 2(1.6) 70(56.0) 46(36.8) 7(5.6)

노즐제조 2(3.0) 36(53.7) 27(40.3) 2(3.0)

VE 제조 2(1.6) 86(68.3) 35(27.8) 3(2.4)

지원부서 1(1.2) 56(67.5) 23(27.7) 3(3.6)10. 내가 담당하는

업무의 종류가 너무 많다.PE 제조 5(4.1) 31(25.2) 78(63.4) 9(7.3)

노즐제조 3(4.7) 20(31.3) 40(62.5) 1(1.6)

VE 제조 4(3.2) 33(26.6) 76(61.3) 11(8.9)

지원부서 4(4.8) 30(36.1) 45(54.2) 4(4.8)11. 내가 일하는 부서의 인력은 충분하다. PE 제조 1(0.8) 73(58.9) 47(37.9) 3(2.4)

노즐제조 0(0.0) 30(46.2) 30(46.2) 5(7.7)

VE 제조 5(4.0) 55(44.0) 50(40.0) 15(12.0)

지원부서 4(5.2) 23(29.9) 40(52.0) 10(13.0)12. 나의 교대 작업시

업무의 양은 적당하다.PE 제조 2(2.0) 53(52.5) 35(34.7) 11(10.9)

노즐제조 0(0.0) 31(64.6) 15(31.3) 2(4.2)

VE 제조 4(4.3) 58(62.4) 17(18.3) 14(15.1)

지원부서 1(1.7) 37(61.7) 17(28.3) 5(8.3)13. 내 업무는 자동화가 많이 되어있다. PE 제조 1(0.8) 14(11.3) 52(41.9) 57(46.0)

노즐제조 2(3.3) 19(31.2) 22(36.1) 18(29.5)

VE 제조 4(3.3) 42(34.4) 46(37.7) 30(24.6)

지원부서 3(4.2) 7(9.7) 31(43.1) 31(43.1)

표 31. 부서별 작업조건-2

Page 4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4 -

문항 부서 매우 그렇다 대부분 그렇다 별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14. 내 부서에는

새로운 업무가 많이 있다.PE 제조 2(1.7) 7(5.9) 73(61.9) 36(30.5)

노즐제조 0(0.0) 2(3.4) 37(62.7) 20(33.9)

VE 제조 0(0.0) 6(4.8) 60(48.4) 58(46.8)

지원부서 5(6.4) 24(30.8) 41(52.6) 8(10.3)15. 내가 일하는 업무는

하청이나 외주 작업이 많다.PE 제조 2(1.6) 7(5.7) 47(38.2) 67(54.5)

노즐제조 0(0.0) 5(8.3) 25(41.7) 30(50.0)

VE 제조 1(0.8) 9(7.3) 37(29.8) 77(62.1)

지원부서 4(5.3) 7(9.2) 32(42.1) 33(43.4)16. 내가 일하는 부서에

비정규직이나 하청인원이 많다.PE 제조 1(0.8) 3(2.5) 10(8.2) 108(88.5)

노즐제조 0(0.0) 1(1.6) 5(8.1) 56(90.3)

VE 제조 0(0.0) 3(2.4) 9(7.3) 111(90.2)

지원부서 0(0.0) 0(0.0) 9(12.2) 65(87.8)17. 나의 일은 다른 부서로 파견가거나

배치전환을 많이 가는 일이다.PE 제조 4(3.3) 8(6.6) 30(24.6) 80(65.6)

노즐제조 0(0.0) 3(4.8) 14(22.6) 45(72.6)

VE 제조 0(0.0) 7(5.7) 19(15.3) 98(79.0)

지원부서 0(0.0) 2(2.7) 15(20.0) 58(77.3)18. 나의 월급 중 일의 양과 관계없이

받는 기본급의 비율이 높다.PE 제조 2(1.7) 5(4.2) 57(47.5) 56(46.7)

노즐제조 0(0.0) 7(11.5) 28(45.9) 26(42.6)

VE 제조 8(6.6) 17(14.1) 54(44.6) 42(34.7)

지원부서 3(3.9) 9(11.7) 35(45.5) 30(39.0)19. 월급 중 일을 많이 하면 월급을 많

이 받는 성과급의 비율이 높다.PE 제조 13(10.7) 22(18.2) 24(19.8) 62(51.2)

노즐제조 5(8.1) 6(9.7) 17(27.4) 34(54.8)

VE 제조 4(3.3) 20(16.4) 30(24.6) 68(55.7)

지원부서 4(5.3) 13(17.3) 24(32.0) 34(45.3)

표 32. 부서별 작업조건-3

Page 4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5 -

12) 직무스트레스

두원정공 조합원의 전반적인 직무 스트레스 수준은 한국표준집단의 스트레스 수준

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평균값이 51.42이었고 중위수는 51.82 이었다. 세부 항목

별로는 물리환경,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장문화는 한국표준집단보다 높게 조사되었

으며 직무자율,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항목에 대한 직무스트레스는 한

국 표준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원 한국 표준

평균값 표준편차 중위수 평균값 표준편차 중위수

물리환경 54.55 9.14 50.00 50.40 18.81 55.00

직무요구 53.68 8.36 53.13 50.23 12.98 50.00

직무자율 49.17 5.38 50.00 54.02 12.43 53.33

직무불안정 45.29 5.23 45.83 52.83 12.75 50.00

관계갈등 61.73 8.78 62.50 40.25 13.07 33.33

조직체계 44.94 7.21 50.00 53.50 15.10 52.38

보상부적절 49.75 5.40 50.00 51.42 14.42 50.00

직장문화 52.46 11.01 50.00 40.93 13.28 41.67

전체총점 51.42 3.71 51.82 49.08 8.42 48.66

표 33. 직무스트레스 수준

13) 근골격계 증상 경험자의 비율

지난 1년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을 경험한 사람은 목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이 229

명(57.3%)이었고, 어깨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이 253명(63.3%)이었으며 팔과 팔꿈치

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이 130명(33.0%) 이었으며, 손과 손목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

은 181명(45.7%)이었고, 등과 허리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225명(56.4%)이었으며,

다리와 발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162명(40.7%)이었다.

Page 4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6 -

빈도 백분율

지난 1년간의 목의 불편한 증상 경험 예 229 57.83

아니요 167 42.17

불편한 증상 경험자 중 증상 경험 빈도 항상 73 32.59

1주일에 1회 78 34.82

1달에 한번 43 19.2

2달 이상에 한번 30 13.39

불편한 증상 지속기간 1주 이내 154 71.63

1주-1달 26 12.09

1달 - 6달 11 5.12

6달 이상 24 11.16

증상의 심한 정도 전혀 심하지 않다 8 3.67

약간 99 45.41

중간정도 81 37.16

심하다 26 11.93

매우 심하다 4 1.83

지난 일주일 간 불편한 증상 경험 여부 예 141 69.8

아니요 61 30.2

표 34. 목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Page 4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7 -

빈도 백분율

지난 1년간의 어깨의 불편한 증상 경험 예 253 63.25

아니요 147 36.75

불편한 증상 경험자 중 증상 경험 빈도 항상 93 37.65

1주일에 1회 78 31.58

1달에 한번 47 19.03

2달 이상에 한번 29 11.74

불편한 증상 지속기간 1주 이내 147 61.51

1주-1달 43 17.99

1달 - 6달 18 7.53

6달 이상 31 12.97

증상의 심한 정도 전혀 심하지 않다 4 1.63

약간 114 46.34

중간정도 88 35.77

심하다 33 13.41

매우 심하다 7 2.85

지난 일주일 간 불편한 증상 경험 여부 예 161 69.7

아니요 70 30.3

표 35 어깨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Page 4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8 -

빈도 백분율

지난 1년간의 팔/팔꿈치의 불편한 증상 경험 예 130 32.99

아니요 264 67.01

불편한 증상 경험자 중 증상 경험 빈도 항상 36 29.27

1주일에 1회 41 33.33

1달에 한번 25 20.33

2달 이상에 한번 21 17.07

불편한 증상 지속기간 1주 이내 71 60.17

1주-1달 20 16.95

1달 - 6달 13 11.02

6달 이상 14 11.86

증상의 심한 정도 전혀 심하지 않다 12 9.6

약간 57 45.6

중간정도 37 29.6

심하다 17 13.6

매우 심하다 2 1.6

지난 일주일 간 불편한 증상 경험 여부 예 65 57.02

아니요 49 42.98

표 36. 팔/팔꿈치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Page 4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39 -

빈도 백분율

지난 1년간의 손/손목의 불편한 증상 경험 예 181 45.71

아니요 215 54.29

불편한 증상 경험자 중 증상 경험 빈도 항상 45 25.71

1주일에 1회 63 36

1달에 한번 40 22.86

2달 이상에 한번 27 15.43

불편한 증상 지속기간 1주 이내 99 59.28

1주-1달 34 20.36

1달 - 6달 15 8.98

6달 이상 19 11.38

증상의 심한 정도 전혀 심하지 않다 11 6.29

약간 80 45.71

중간정도 59 33.71

심하다 22 12.57

매우 심하다 3 1.71

지난 일주일 간 불편한 증상 경험 여부 예 100 62.11

아니요 61 37.89

표 37. 손/손목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Page 4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0 -

빈도 백분율

지난 1년간의 등/허리의 불편한 증상 경험 예 225 56.39

아니요 174 43.61

불편한 증상 경험자 중 증상 경험 빈도 항상 57 26.03

1주일에 1회 77 35.16

1달에 한번 57 26.03

2달 이상에 한번 28 12.79

불편한 증상 지속기간 1주 이내 132 62.56

1주-1달 43 20.38

1달 - 6달 14 6.64

6달 이상 22 10.43

증상의 심한 정도 전혀 심하지 않다 7 3.29

약간 89 41.78

중간정도 87 40.85

심하다 23 10.8

매우 심하다 7 3.29

지난 일주일 간 불편한 증상 경험 여부 예 143 70.79

아니요 59 29.21

표 38. 등/허리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Page 4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1 -

빈도 백분율

지난 1년간의 다리/발의 불편한 증상 경험 예 162 40.7

아니요 236 59.3

불편한 증상 경험자 중 증상 경험 빈도 항상 45 29.22

1주일에 1회 54 35.06

1달에 한번 28 18.18

2달 이상에 한번 27 17.53

불편한 증상 지속기간 1주 이내 91 61.9

1주-1달 23 15.65

1달 - 6달 13 8.84

6달 이상 20 13.61

증상의 심한 정도 전혀 심하지 않다 11 7.19

약간 72 47.06

중간정도 49 32.03

심하다 18 11.76

매우 심하다 3 1.96

지난 일주일 간 불편한 증상 경험 여부 예 93 66.43

아니요 47 33.57

표 39. 다리/발의 증상 경험여부 및 빈도, 기간, 심한 정도 및 지난 일주일 동안의 경험

Page 4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2 -

14) NIOSH 진단기준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자의 비율

NIOSH 기준에 따라서 기준1에 해당하는 증상자는 309명(74.3%)이며, 기준2에 해당

하는 증상자는 204명(49.0)이고, 기준3에 해당하는 증상자는 78명(24.4%)이며, 기준4

에 해당하는 증상자는 69명(16.6%)이었다. 전반적으로 근골격계 증상자의 비율이 기

준1에서 4까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위 기준 1 기준 2 기준 3 기준 4

목 203(54.4) 104(27.9) 27(7.2) 26(7.0)

어깨 218(58.4) 132(35.4) 47(12.6) 45(12.1)

팔/팔꿈치 91(24.4) 44(11.8) 13(3.5) 13(3.5)

손가락/손목 123(33.0) 58(15.5) 17(4.6) 15(4.0)

등/허리 190(50.9) 119(31.9) 41(11.0) 36(9.7)

다리/발 144(38.6) 75(20.1) 19(5.1) 19(5.1)

어느 한 부위라도 있는 경우

308(82.6) 219(58.7) 91(24.4) 86(23.1)

표 40. 2007년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 ) : %

부위 기준 1 기준 2 기준 3 기준 4

목 198(47.6) 105(25.2) 27(6.5) 26(6.25)

어깨 225(54.1) 119(28.6) 39(9.4) 34(8.2)

팔/팔꿈치 111(26.7) 54(13.0) 20(4.8) 16(3.9)

손가락/손목 153(36.8) 78(18.8) 24(5.8) 19(4.6)

등/허리 197(47.4) 109(26.2) 29(7.0) 27(6.5)

다리/발 133(32.0) 65(15.6) 21(5.1) 20(4.8)

어느 한 부위라도 있는 경우

309(74.3) 204(49.0) 78(18.8) 69(16.6)

표 41. 2010년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 ) : %

Page 5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3 -

부서 기준 1 기준 2 기준 3 기준 4

PE 제조 100(80.0) 68(54.4) 25(20.0) 23(18.4)

노즐제조 47(69.1) 32(47.1) 14(20.6) 12(17.6)

VE 제조 95(74.2) 62 (48.4) 26(20.3) 23(18.0)

지원부서 60(71.4) 37(44.1) 11(13.1) 10(11.9)

표 42. 부서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15) 부서별 근골격계 증상자의 비율

PE제조 부서가 NIOSH 증상 기준 1-4모두에서 증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VE제조 부서가 근골격계 증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6)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조사

근골격계 증상으로 인하여 87명(23.8%)의 사람이 작업을 하는 다소 어려움이 있거

나 매우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근골격계 증상이 작업장 밖의 활동을 매우

방해하거나 다소 방해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80명(21.9%)이었다.

근골격계 증상을 치료받지 않는 사람은 139명(42.3%)이었으며 산재로 비용을 처리

한 사람은 14.6%에 불과하였고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대다수의 사람에서(87.1%)

의 사람이 증상과 작업과 연관성이 확실히 있거나 약간 있다고 응답하였다.

Page 5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4 -

빈도 백분율

근골격계 증상으로 정상적 작업속도와

작업을 유지하는데 어려움 여부

전혀 어려움이 없다 68 18.58

어려움이 약간 있다 211 57.65

다소 어려움이 있다 82 22.4

매우 어렵다 5 1.37

증상이 작업장 밖의 활동을 방해

아니요 97 26.58

약간 방해 188 51.51

다소 방해 70 19.18

많이 방해 10 2.74

근골격계 증상에 대한 치료비 처리

개인비용으로 111 33.74

공상처리 13 3.95

사내 휴업치료 18 5.47

산재처리 48 14.59

치료받지 않음 139 42.25

치료받지 않았다면 그 이유

증상이 미약해서 109 83.21

일하기 바빠서 17 12.98

불이익 우려 5 3.82

증상과 작업과의 관련성에 대한 생각

확실히 있다 142 40.57

약간 있다 163 46.57

없다 19 5.43

모르겠다 26 7.43

표 43. 근골격계 증상으로 인한 작업 및 일상생활 방해 정도, 치료비 처리 방법, 치료

받지 않은 경우 그 이유, 근골격계 증상에 업무관련성에 대한 생각

17) 작업 자세(QEC)와 업무특성

작업 자세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허리를 중간 이상으로 비틀거나 굽

히는 사람은 247명(64.2%)이었고, 자주 허리를 써서 물건을 들거나 옮기는 사람은

114명(36.8%)이었으며, 업무시 팔을 가슴 높이 이상으로 올려 작업하는 사람은 233

명(61.3%)이었고, 팔을 빈번하게 반복적으로 움직여서 작업하는 사람은 319명

(81.6%)이었으며 손목을 구부린 채로 작업하는 사람은 224명(58.6%)이었고, 분당 20

회 이상 손목을 움직이는 사람은 55명(14.6%)이었으며, 목을 지속적으로 비튼 자세

Page 5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5 -

로 일하는 사람은 35명(9.2)명 이었고 무릎을 구부린 채로 일하는 사람은 58명

(16.2%)이었다.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한 업무특성은 다음과 같다. 20Kg 이상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사람은 34명(8.3%)이었으며, 4시간 이상 중량물을 취급하는 사람은 111명(30.0)이었

고, 한 손에 4Kg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사람은 95명(25.8%)이었으며, 진동에 많이

노출되는 사람은 33명(8.8%)이었으며, 눈에 느끼는 피로감이 큰 사람은 212명

(57.1%)이었으며 중간 이상의 업무스트레스를 느끼는 사람은 104명(27.4)으로 조사되

었다.

빈도 백분율주요 업무 시의 허리 자세 거의 반듯함 138 35.84

중간 정도로 구부림, 비틈 215 55.84

매우 심하게 구부림, 비틈 32 8.31

들거나 운반하는 작업일 경우

허리의 움직임가끔(1분에 3회 이하) 195 63.11

자주(1분에 8번 정도) 71 22.98

매우 자주(1분에 12번 이상) 43 13.92앉거나 서 있는 작업일 경우

고정된 자세 여부예 117 41.49

아니요 165 58.51주요 업무 시 팔의 높이 허리 혹은 그 아래 147 38.68

가슴 높이 211 55.53

어깨 높이 22 5.79

팔 운동의 반복정도 빈번하지 않음 72 18.41

빈번함 173 44.25

매우 빈번함 146 37.34주요 업무 시 손목의 위치 거의 중립적인 위치 158 41.36

상하 혹은 좌우로 구부린 상태 224 58.64

손목/손의 작업 시 1분간의

반복 작업 횟수10회 이하 187 49.47

11-20회 136 35.98

20회 넘음 55 14.55

업무시 머리나 목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비틈아니오 154 40.31

때때로 193 50.52

계속적으로 35 9.16작업 시 무릎의 상태 양쪽 무릎을 꿇거나 쪼그림 27 7.56

한쪽 무릎을 꿇거나 쪼그림 31 8.68

무릎을 펴고 서 있음 299 83.75

표 44. 작업 자세

Page 5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6 -

빈도 백분율1. 취급하는 물건의 무게 5Kg 이하 150 39.27

6-10 Kg 105 27.4911-20 Kg 93 24.3520 Kg 초과 34 8.90

2. 중량물 취급 시간 2시간 미만 212 56.682-4 시간 51 13.644시간 이상 111 29.68

3. 한손에 가해지는 최대 하중 1 Kg 이하 103 27.991- 4Kg 170 46.204 Kg 초과 95 25.82

4. 진동에 노출되는 정도 적다 254 67.73중간정도 88 23.47높다 33 8.80

5. 눈에 가해지는 피로감 낮다 159 42.86높다 212 57.14

6. 업무 수행하는 데 어려움 전혀 없음 137 36.44가끔 213 56.65자주 26 6.91

7. 업무 중 스트레스 전혀 없음 44 11.58조금 232 61.05중간정도 73 19.21많이 31 8.16

표 45. 업무의 전반적인 특성

작업시간, 부적절한 자세, 무리한 힘, 반복된 동작 등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을 고

려하여 평가한 부서별 QEC 노출 점수는 다음과 같다.

부서허리 어깨 손목 목 전체

총점 SD 총점 SD 총점 SD 총점 SD 총점 SD

PE제조 29.53 9.15 31.88 8.64 27.03 7.55 10.69 4.38 97.92 25.94

노즐제조 22.11 9.44 25.28 8.66 21.24 8.39 7.06 3.73 80.33 28.75

VE제조 24.57 8.25 26.77 9.06 24.04 7.80 8.74 4.45 84.50 26.12

지원부서 27.20 10.48 25.39 7.80 20.71 6.50 7.38 3.37 79.51 23.65

표 46. 부서별 QEC 노출점수

노출점수를 해당작업에 대한 최대점수를 기준으로 환산한 노출비율은 PE제조, VE

제조, 노즐제조, 지원부서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age 5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7 -

부서 노출비율(%)평균 표준편차

PE제조 55.64 14.74

노즐제조 45.64 16.34

VE제조 48.01 14.84

지원부서 45.18 13.44

표 47. 부서별 QEC 노출비율 평균

노출비율을 기준으로 한 조치수준에 따라서 보면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한 경우가

29명(7.0%)였으며 빠른 시일 내에 개선이 필요한 경우도 87명(20.9%)로 나타났다.

노출비율 인원수 비율 조치사항

40%미만 248 59.62 작업이 오랫동안 지속적, 반복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면 작업자세에 별 문제없음

40-49% 52 12.50 작업자세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필요, 작업자세 변경하는 것이 요구됨

50-69% 87 20.91 추가조사 및 작업 자세 변경이 빠른 시일 내 필요함

70%이상 29 6.97 추가조사와 작업자세 변경이 즉시 필요함

표 48. QEC 노출비율별 분포

부서별로 살펴보면 PE제조와 VE 제조 부서가 즉시 개선 대상인원이 12.8%와

5.47%로 높게 나타났다.

부서 현행유지 가능 지속적 관찰요망 개선 요망 즉시 개선

PE제조 59 (47.2) 14 (11.2) 36 (28.8) 16 (12.8)

노즐제조 51 (75) 5 (7.35) 9 (13.24) 3 (4.41)

VE제조 76 (59.38) 14 (10.94) 31 (24.22) 7 (5.47)

지원부서 55 (65.48) 17 (20.24) 9 (10.71) 3 (3.57)

표 49. 부서별 조치수준 대상 인원 명 (%)

Page 5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8 -

2.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

인간공학적 평가를 위하여 ANSI Z-365 Quick Checklist, ACGIH TLV for Hand

Activity, RULA 등을 사용하였고, 중량물의 경우 ACGIH Lifting TLV 도구를 사용

하지 않고 관련 작업내용을 관찰 기록하였다. 총괄 인간공학평가결과에서는 2007년

부담작업 위험도가 높은 41개 공정을 중심으로 했던 것과는 달리 예비조사를 통해

조사대상 부담 작업을 일차로 추리고 증상호소 공정을 추가하여 가급적 많은 공정

을 조사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2004년과 2007년 조사결과와 변화추이를 분석 반영

하고자 하였다. 부서별로 노즐 15개 공정, VE 74개 공정, PE 68개 공정 등 총 157

개 공정을 조사하였다.

각 평가내용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부서별 인간공학평가에서는 각 공정 및 작업

별로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와 문제점, 개선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1) 부서별 인간공학 위험 요인 총괄 평가 결과표

(1) NZ 등 (공기와 열처리 포함)

부서(NZ 등)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DLL-S 리프트 연삭 13 0.66 5

공무팀 가공반 선반작업 9 1.25 7 5~15kg

DLL-S 내경연삭 6 0.25 4

열처리 피막 9 0.66 7

공기 밀링 밀링가공 8 0.66 4 5~15kg

열처리 고주파 15 0.5 4

DLL A-P 내경세척 11 0.4 3

DLL-S 압축실전해 13 0.5 3 14kg 4~5회

DLL-S 진도검사 13 1 5

DN-PD 검사포장 11 0.75 3 15kg 1회

DN-PD 내경검사 9 0.33 3 13.5kg 이상 들기

DN-PD 이단유바연삭1 13 0.25 4

DN-PD 이단유바연삭2 11 0.12 4

KBAL-2 조정 19 1 6 12kg 2~3회

KBAL-P 송유삭 13 0.4 4 22kg 2~3회

표 50. 노즐부서의 인간공학 평가 결과 총괄표

Page 5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49 -

(2) VE

VE 부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SUB 헤드 조립 7 0.5 3

메인1라인 DOT 각인기 12 0.8 4 1.2kg*300 /8h

MAIN M/S 10 10 1.25 5

COVEC-F 런닝 9 0.6 6 6.2kg*80 / 8h

기계식 T/B 7 1 7 5,5kg*50 /10h

COVEC-F T/B 7 0.57 7 6.2kg*37 / 10h

COVEC-F 완성조립라인 8 0.57 4 6.2kg*80 / 8h4

기계식조립

가나바 레버조립8 1 3

기계식조립 기밀시험기 12 1.25 6 5.5kg*400개 /10h

기계식조립 롤러

홀더조립9 0.83 3 1.9kg*300개 /8h

기계식조립 헤드조립 10 1.25 3

기계식조립 GCOVER 10 1 3

기계식조립 HPLUG 6 0.66 3

기계식조립 K-MAB측정 7 0.66 3

기계식조립 TCOVER 8 1 3

기계식 런닝 9 0.75 6 5.5kg*400개/10h

레일 조립 7 0.33 7 1.5kg*800

레일 검사 5 0.25 3 1.5kg*320

레일 고압유밀 5 0.5 3 1.5kg*480

레일 세척 5 0.33 4 1.5kg*320

레일 RDS 4 0.25 5 1.5kg*320

메인 코벡조립 8 0.5 4 6.2kg 100대/10h

완성조립 기밀시험 7 0.57 4

표 51. VE부서의 인간공학 평가 결과 총괄표

Page 5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0 -

VE 부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완성조립 액츄에이터

브라켓조립7 0.57 3

완성조립 와이어조립 6 0.57 3

완성조립 INOUT아이조립 7 0.57 4

완성조립 KEY WEY 조정 8 0.57 4 5.5kg 400대 /10h

SUB 플라이웨이트 7 0.5 3

SUB ACS BCS

카바 조립7 0.5 3

SUB rvalve 조립 7 0.66 3

SUB TCOVER SUB 4 0.5 3

sub D/shaft 5 0.5 3

C/S 4축 호닝 19 2.25 6 12kg*3

DRIVE SHAFT 외경연삭 8 0.5 715kg*24

120kg1회밀기

F/PUMP ASSY 19 1.33 7 10kg*40

R/H 조립 11 1.0 7 10kg*3

선삭 R/H 11 0.13 6

선삭 T피스톤 연삭 15 0.4 7

CDISK 파트 캠연삭 6 0.42 6 60kg 1회밀기

PB 바렐세척 9 0.42 6

롤러홀더 롤러부쉬 6 0.11 4 10kg*4

하우징 세척 16 0.75 6 100kg 10m이동

DV선삭 6축자동선반 11 0.07 7 1000kg 주1회 대차이동

가공분사 DV홀다조립기 7 0.5 6 10kg*30

가공분사 Hb headbody 7 0.5 7

들기2kg*300

밀기(대차) 250kg*2

칩 대차 4회

가공분사 H-SUB(앞공정) 14 0.57 7200~250kg

1일 2~3회 밀기

Page 5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1 -

VE 부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가공분사 H-SUB(뒤공정) 7 0.5 5

가공분사 RV호닝 5 0.25 6

가공분사항온실 세척 20 1.25 7 밀기 300kg*3~4/1일

가공분사항온실

제1조합연삭17 0.66 7

가공분사항온실

제2조합연삭20 1.0 7

가공분사DN

레그네팅밸브8 0.28 4

들기 15kg*1~2

5kg들고이동 6~8회

가공분사DV 자동검사기 9 0.6 5

가공분사DV CPV밸브 10 0.5 6

가공분사DV DV수동검사 16 3.5 7

가공분사 PL 방전 6 0.6 7

가공분사 PL 외경연삭 4 0.166 6 12kg*4회

구동반 FP 양면연삭 17 1.67 7들기15kg*15

밀기150kg*1

구동반 FP Disk구연삭

VANE양면연삭10 0.33 6 15kg*3

선삭 13 0.75 7 15kg*8

선삭 cdisk 9 1.75 7

밀기15kg*10

열처리15kg*10

들기15kg*10

선삭 DH가공 7 0.5 6 3~4kg*24회 소재이동

선삭 DSHAFT 16 0.625 6밀기15kg*5

75kg*2

선삭 PLUNGER 14 0.14 7

선삭 TPISTON 7 0.5 7 들기12kg*15

선삭 RH 전해 8 0.25 5 밀기200kg*1

하우징 5면가공 13 1.25 6 1.3kg*300개작업

Page 5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2 -

VE 부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하우징 내외경선삭 9 1 61.3kg*300개작업

390kg대차이동

하우징 함침 15 0.75 7 7

DV 양면연삭 8 1 6 6

DV ASSY Honing 4 0.33 3 3

DV 선삭 전수검사 9 0.75 51000kg 주1회

대차이동

FP 양면래핑 13 0.83 7 15kg*10회

RH 외경연삭 6 0.3 4 밀기100kg*2

Page 6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3 -

(3) PE

PE 부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PE-P HOUSING 가공 10 0.66 710~13kg

들기/이동

PE-P

가바나 조정9 2.0 7 18kg*14회

BARREL LAPPING 15 2 7

C/SHAFT 12 0.8 7 2kg 10h 180개

PE가공 하우징 4.6P 8 0.14 7

PE가공 하우징 PE-A

SUB조립20 1.8 7 3~10kg

PE가공 하우징 SLOTTER 14 2.25 7

PE가공 BL 선삭 13 0.5 5 2.3kg이하

PE가공 BL 외경삭(곤도) 14 0.8 6

PE가공 BL 전해 12 0.2 6

PE가공 BL선삭 호닝 12 0.6 7

PE가공 BL연삭 검사 10 0.6 4

PE가공 BL연삭 미드면 15 0.6 6 2kg이상 간헐이동

PE가공 BL연삭 래핑 세척 10 0.4 7

FP1 #100 디버링 세척 9 1 5

FP2 #10 플렌지부 선삭 3 0.66 3

FP3 #20 M26부 선삭 4 0.57 3

FP4 #30 프랜지부 드릴삭 3 0.42 3

FP5 #40 M16부 선삭 4 0.33 3

FP6 #50 M16부

20파이 선삭3 0.33 3

표 52. PE부서의 인간공학 평가 결과 총괄표

Page 6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4 -

PE 부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FP7 #60 5파이 선삭 6 0.66 5

FP8 #70 M14부 선삭 2 0.28 2

FP9 #80 6축 드릴삭 2 0.25 3

FP10 #90 22파이 리밍

세척부시압입3 0.5 3

FP 전체(1~10까지)

세부평가 총괄평가14 / 17 1.33 / 1 6 / 7

주 34*120

부 1.5*120

이바리 1.5*240

FW 가공 9 1 7 0.8kg

GOV 가공 #10 4 1 3

GOV 가공 #20 6 0.66 3

PKR 3, 4KD 9 1.2 7 3kg

PL 매칭 14 1 6 2.3kg이하

PLUNGER PL선삭 10 1 7 2kg이상 간헐이동

TAPPET가공 4 0.5 3

가버너조립 가버너커버 15 1.5 5 1.5kg 100개

가버너조립 가버너하우징 14 1.5 6 1~2kg 60개

메인6기통조립 1공정 10 1 7 5.5kg 72개

메인6기통조립 2공정 9 1.3 7 5.5kg 72개

메인6기통조립 3공정 13 1.66 7 13.5kg 72개

메인6기통조립 4공정 13 1 6 13.5kg 72개

메인6기통조립 5공정 11 1 6 13.5kg 72개

AT 타이머서브 16 0.8 7 51.1kg 40개

FP 조립1 11 1 4

FP 조립2 13 1.5 6

FP 조립3 10 1.25 7

Page 6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5 -

PE 부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FP 조립4 12 1.0 6

PE-A 4기통 메인 조립 1과 2 8 / 11 1.25 / 1 6 / 6 3.8kg 80~90개

PE-A 4기통 메인 조립 3과 4 10 / 13 1.25 / 1.67 7 / 7

PE-A 4기통 메인 조립 5 11 0.2 5 1.3kg 80~90개

PE-A 4기통 조정 20 1.0 7 16kg 8~12대

PE-A 4기통 완조1 9 0.83 7 16kg 87대 / 8h

PE-A 4기통 완조2 12 0.83 7 16kg 87대 / 8h

PE-A 4기통 완조3 8 1.25 7 16kg 87대 / 8h

PE-A 6기통 조정 20 1 7

PE-A 6기통 완조1 14 0.83 7 20kg 87대 / 8h

PE-A 6기통 완조 2 12 0.66 7 22kg 87대 / 8h

PE-A 6기통 완조 3 16 1.25 7 23kg 87대 / 8h

PE-P 완조1 13 1 6 27kg 51대 / 8h

PE-P 완조2 14 1.66 7 27kg 51대 / 8h

PE-P 완조3 12 1.25 6 27kg 51대 / 8h

PE-P 조립 1공정 13 1.4 7 7.3kg 63대 / 8h

PE-P 조립 2공정 15 2 7 11.9kg 63대 / 8h

PE-P 조립 3공정 13 1.66 7 17.3kg 63대 / 8h

PE-P 조립 4공정 12 1.33 7 25kg 63대 / 8h

PE-P 조립 5공정 13 0.8 7 1.9kg 63대 / 8H

PE-P 조립 6공정 12 0.83 7 5kg 63대 / 8h

PE-P 조립 7공정 11 1.33 6

PFR 조정 10 0.6 4 3.5~5kg

PFR 타이밍 10 0.57 3 2.5~5kg

PE조정 Q공정 14 0.83 7 18kg 12개

Page 6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6 -

2) 부서별 인간공학 위험 요인 평가 상 문제점과 대응방안

(1) 노즐 등

표 5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노즐 15개 공정(DLL-S 리프트 연삭, 공무팀 가공반 선

반작업, DLL-S 내경연삭, 열처리 피막, 공기 밀링가공, 열처리 고주파, DLL A-P 내

경세척, DLL-S 압축실 전해, DLL-S 진도검사, DN-PD 검사포장, DN-PD 내경검사,

DN-PD 이단유바연삭 1, DN-PD 이단유바연삭 2, KBAL-2 조정, KBAL-P 송유삭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인 위험도 평가를 하는 도구인 ANSI 체크리스트를 통해 확인한 내용을 보

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16점 이상의 공정은 KBAL-2 조정 공정이었다. 저위험

성 초과작업에 해당하는 10점~15점 사이의 공정은 DLL-S 리프트 연삭, 열처리 고

주파, DLL A-P 내경세척, DLL-S 압축실 전해, DLL-S 진도검사, DN-PD 검사포장,

DN-PD 이단유바연삭 1, DN-PD 이단유바연삭 2, KBAL-P 송유삭 등 9개였다. 10점

미만의 정상작업군에 속하는 결과를 보인 공정은 조사대상 15개 공정 중 5개였다.

손활동도 평가점수가 0.56점~0.77점인 공정은 DLL-S 리프트 연삭, 열처리 피막, 공

기 밀링가공, DN-PD 검사포장 등 4개로 감시기준에 해당하여 작업관리와 추가조사

가 필요하고, 공학적 개선이 필요한 허용기준인 0.78점을 초과한 공정은 공무팀 가

공반 선반작업(1.25점), DLL-S 진도검사(1점), KBAL-2 조정(1점) 등이다.

RULA 평가점수는 조사한 공정 전부가 추적관찰이 필요한 ‘조치수준 2’ 이상이었다.

특히 즉시 개선이 필요한 ‘조치수준 4’에 해당하는 공정은 공무팀 가공반 선반작업,

열처리 피막 등 2개였고, 빠른 시일 안에 개선이 필요한 ‘조치수준 3’에 해당하는

공정은 DLL-S 리프트 연삭, DLL-S 진도검사, KBAL-2 조정 등 3개로 나타났다.

중량물 작업의 경우, 심각한 부하가 있는 공정은 없었다. 5~22kg의 중량물을 생산

과정에서 불특정하거나 1~5회 등 수 차례 작업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노즐의 경우, 2004년과 2007년 조사결과와 한 차례이상 중복되는 공정은 DLL-S 리

프트 연삭 공정, 공무팀 가공반 선반작업, DLL-S 내경연삭, 열처리 피막 등 4공정이

었다. 이전 평가기록과 비교했을 때, ANSI 점수는 변화가 없거나 낮아지고 RULA

Page 6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7 -

점수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평가를 실제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지작업이

많은 현실을 반영하고 작업자들의 고충을 채택한 현장 실천단들의 평가시각이 긍정

적으로 변화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유의할 만한 작업환경 악화 및 개선은 없었

다고 할 수 있겠다.

종합적인 개선방향은 우선 중량물, 육안검사, 작업대 높낮이, 설비개선 등 인간공학

적 해결이 필요한 공정에 대한 관련 보호구 제공 및 부담완화를 위한 실질적 개선

이 필요하다. 둘째, 노동과정의 특성상 서서 작업하는 이들에게 의자 및 팔걸이 등

을 제공하고, 이동거리가 긴 작업자들에게는 담당 설비 수를 조정하거나 인원을 투

여하는 방법 등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반복 작업이 많은 노동과정의 특

성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휴식을 취하면서 일할 수 있도록 하루 적정 작업량을 노사

합의로 조정하고, 부담작업 개선 계획을 마련하여 완료하기 이전까지 부담작업이

큰 공정에 대해서는 부서내 충분한 논의를 거쳐 작업자들의 합의에 기초한 순환보

직제를 실시하는 것이 당장의 부담을 적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ANSI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RULA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현실

을 고려할 때, 근골격계 질환 부담 유해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와 대응책 마련

에 노사가 공히 일상적인 관심과 역량을 투여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최

소한 일 년에 한차례씩 노사공동으로 유해요인조사를 정례적으로 실시하고, 개선방

안을 노사합의로 만들어 갈 때, 작업자의 건강을 지키는 것은 물론이고 바람직한

작업환경 조성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노즐 부서 작업자들은 다음과 같은 고충과 개선요구를 있었다.

- 가공시 공작물의 흑피 제거시 쇠가루 분진이 발생한다.

- 작업대의 높이가 조절 가능해야 한다.

- 행거가 무겁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 N/V 밸브 척킹 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 공정간 왕복 작업과 수동 작업으로 인해 다리에 통증이 있다.

- 기계 대수가 많아서 이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설비 배당 조정이 필요하다.

- 무릎 관절, 손목의 통증이 발생하였다.

- 몸에 부담이 가는 작업으로 팔이 아프고 어깨가 결린다.

- 적당한 휴식시간 확보를 위해 하루 적정 생산량 조정이 필요하다.

- 수작업으로 인해 손목에 무리가 있고, 정적인 자세로 일해 다리가 아프다.

- 어깨때문에 3주간 병원치료를 한 적이 있는데, 지금 손목과 어깨에 무리가 있다.

- 손가락, 손목, 어깨, 목 등 몸 곳곳에 무리가 간다.

- 육안 전수 검사를 하기 때문에 시력이 저하되고 눈이 피로하고 충혈이 있다.

Page 6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8 -

(2) VE

표 5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VE 74개 공정(SUB 헤드조립, 메인1라인 DOT 각인기,

메인 M/S 10, 코벡-F 런닝, 기계식 T/B, 코벡-F T/B, 코벡-F 완성조립라인, 기계식

가버너 레버조립, 기계식 조립 기밀시험기, 기계식 롤러홀더조립, 기계식 헤드조립,

기계식 GCOVER, 기계식 HPLUG, 기계식 K-MAB측정, 기계식 TCOVER, 기계식

런닝, 레일조립, 레일검사, 레일고압유밀, 레일세척, 레일RDS, 메인 코벡조립, 완성

조립 기밀시험, 완성조립 액츄에이트 브라켓조립, 완성조립 와이어조립, 완성조립

INOUT아이조립, 완성조립 KEY WEY 조정, SUB 플라이웨이트, SUB ACS BCS 카

바 조립, SUB rvalve 조립, SUB TCOVER SUB, Sub D/shaft, C/S 4축 호닝,

DRIVE SHAFT 외경연삭, F/PUMP ASSY, R/H 조립, R/H 선삭, 피스톤 연삭,

CDISK 파트 캠연삭, PB 바렐세척, 롤러홀더 롤러부쉬, 하우징 세척, DV선삭 6축자

동선반, 가공분사 DV홀다조립기, 가공분사 Hb headbody, 가공분사 H-SUB(앞공정),

가공분사 H-SUB(뒤공정), 가공분사 RV호닝, 가공분사항온실 세척, 가공분사항온실

제1조합연삭, 가공분사항온실 제2조합연삭, 가공분사DN 레그네팅밸브, 가공분사DV

자동검사기, 가공분사DV CPV밸브, 가공분사DV DV수동검사, 가공분사 PL 방전,

가공분사 PL 외경연삭, 구동반 FP 양면연삭, 구동반 FP Disk구연삭 VANE양면연

삭, 선삭, 선삭 cdisk, 선삭 DH가공, 선삭 DSHAFT, 선삭 PLUNGER, 선삭

TPISTON, 선삭RH 전해, 하우징 5면가공, 하우징 내외경선삭, 하우징 함침, DV 양

면연삭, DV ASSY Honing, DV선삭 전수검사, FP 양면래핑, RH 외경연삭)을 조사

하였다.

전체적인 위험도 평가를 하는 도구인 ANSI 체크리스트를 통해 확인한 내용을 보

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16점 이상인 공정은 C/S 4축 호닝, F/PUMP ASSY, 하

우징 세척, 가공분사 항온실 세척, 가공분사항온실 제1조합연삭, 가공분사항온실 제

2조합연삭, 가공분사DV DV수동검사, 구동반 FP 양면연삭 등 8개 공정이었다. 좀

더 자세한 평가가 필요한 저위험성 초과작업에 해당하는 10점~15점 사이의 공정은

17개 공정이었다. 10점 미만의 정상작업군에 속하는 결과를 보인 공정은 조사대상

75개 공정 중 50개로 그동안 작업환경을 개선한 결과로 보인다.

손활동도 평가점수가 0.56점~0.77점인 공정은 21개로 감시기준에 해당하여 작업관리

와 추가조사가 필요하다. 메인1라인 DOT 각인기, 메인 M/S 10, 기계식 T/B, 기계

식 가버너 레버조립, 기계식 조립 기밀시험기, 기계식 롤러홀더조립, 기계식 헤드조

Page 6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59 -

립, 기계식 GCOVER, C/S 4축 호닝, F/PUMP ASSY, R/H 조립, 가공분사항온실

세척, 가공분사항온실 제2조합연삭, 가공분사DV DV수동검사, 구동반 FP 양면연삭,

선삭 cdisk, 하우징 5면가공, DV 양면연삭, FP 양면래핑 등 총 19개 공정은 공학적

개선이 필요한 허용기준인 0.78점을 초과하였다. 조사공정 75개중 감시기준을 초과

하는 공정이 40개로 손 활동이 많은 노동과정을 반영하는 바, 이에 대한 개선방안

을 종합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RULA 평가점수는 조사결과 최하 점수가 3점으로 조사대상 모든 공정이 추적관찰

이 필요한 ‘조치수준 2’ 이상이었다. 특히 즉시 개선이 필요한 조치수준 4 이상인

공정도 기계식 T/B, 코벡-F T/B, 레일조립, DRIVE SHAFT 외경연삭, F/PUMP

ASSY, R/H 조립, 선삭 T피스톤 연삭, DV선삭 6축자동선반, 가공분사 Hb

headbody, 가공분사 H-SUB(앞공정), 가공분사 항온실 세척, 가공분사항온실 제1조

합연삭, 가공분사항온실 제2조합연삭, 가공분사DV DV수동검사, 가공분사 PL 방전,

구동반 FP 양면연삭, 선삭, 선삭 cdisk, 선삭 PLUNGER, 선삭 TPISTON, 하우징 함

침, FP 양면래핑 등 총 22개에 이른다.

빠른 시일 안에 개선이 필요한 조치수준 3에 해당하는 공정도 메인 M/S 10, 코벡

-F 런닝, 기계식 런닝, 레일 RDS, C/S 4축 호닝, R/H 선삭, CDISK 파트 캠연삭,

PB 바렐세척, 하우징 세척, 가공분사 DV홀다조립기, 가공분사 H-SUB(뒤공정), 가공

분사 RV호닝, 가공분사DV 자동검사기, 가공분사DV CPV밸브, 가공분사 PL 외경연

삭, 구동반 FP Disk구연삭 VANE양면연삭, 선삭 DH가공, 선삭 DSHAFT, 선삭RH

전해, 하우징 5면가공, 하우징 내외경선삭, DV 양면연삭, DV선삭 전수검사 등 23개

로 나타났다. 75개 조사공정 중 모든 공정이 추적관찰이 필요하고, 빠른 시일안에

개선이 필요한 공정이 45개 이르는 것은 상지 부담 작업이 많은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동안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를 보인 것은 일상적인 개선활동

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반증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중량물 작업의 경우, 1-2)항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2kg~15kg의 중량물을 10회

에서 320회 가량을 작업하는 공정은 일상적으로 반복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공정

이라고 볼 수 있다. 100kg 이상 많게는 390kg 가량의 중량물을 하루 1~2회 혹은 주

1회 대차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공정은 전동형 대차사용 등을 통해 급작스러운 중량

물 작업으로 인한 부담을 완화할 방안이 필요한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VE의 경우, 2004년과 2007년 조사결과와 한 차례이상 중복되는 공정은 SUB 헤드조

Page 6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0 -

립, 메인1라인 DOT 각인기, 메인 M/S 10, 코벡-F 런닝, 기계식 T/B, 코벡-F T/B,

코벡-F 완성조립라인, C/S 4축 호닝, DRIVE SHAFT 외경연삭, F/PUMP ASSY,

R/H 조립, R/H 선삭, 피스톤 연삭 등 13개 공정이었다.

이전 평가기록과 비교했을 때, ANSI 점수는 높아진 공정이 C/S 4축 호닝,

F/PUMP ASSY, 피스톤 연삭 등 3개였고, 나머지 10개 공정은 낮아졌다. 물량이 줄

어든 것과 작업방식의 변경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가

점수가 높아진 공정의 경우는 작업여건의 변화가 적거나 없는 상황에서 부담이 증

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RULA 점수는 코벡-F T/B, C/S 4축 호닝, DRIVE SHAFT 외경연삭, F/PUMP

ASSY, R/H 조립, R/H 선삭, 피스톤 연삭 등 7개 공정이 3~4점에서 6~7점으로 크

게 높아 졌다. 반면에 SUB 헤드조립, 메인1라인 DOT 각인기, 메인 M/S 10, 코벡-F

런닝, 기계식 T/B, 코벡-F 완성조립라인 등 6개 공정은 3~4점에서 변화가 없거나 1

점이 늘거나 줄었다. 이는 실제 현장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지작업이 많은 현

실을 반영하고 작업자들의 고충을 채택한 현장 실천단들의 평가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물량이 줄면서 인원배치가 줄거나 담당 설비가 많

아진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종합적인 개선방향은 우선 소음 및 분진(오일 미스트 포함), 조명, 온도, 배수, 절삭

유 관련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최근 전국금속노조 차원에서

벌이고 있는 발암물질 관련 개선대책 수립으로 이어나간다면 더욱 의미있는 현장개

선 사례가 될 것이다. 둘째, 노즐과 마찬가지로 중량물, 육안검사, 작업대 높낮이,

설비개선 등 인간공학적 해결이 필요한 공정에 대한 관련 보호구 제공 및 부담완화

를 위한 실질적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노동과정의 특성상 서서 작업하는 이들에게

의자 및 팔걸이 등을 제공하고, 이동거리가 긴 작업자들에게는 담당 설비 수를 조

정하거나 인원을 투여하는 방법 등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부품 조달 및

공정간 업무량 나누기에 대해 노동자들의 민주적 논의에 기초하여 노사가 합의하여

불편부당한 업무하중을 줄이거나 평등한 일나누기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다섯째,

반복작업이 많은 노동과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휴식을 취하면서 일할 수

있도록 하루 적정 작업량을 노사합의로 조정하고, 부담작업 개선 계획을 마련하여

완료하기 이전까지 부담작업이 큰 공정에 대해서는 부서내 충분한 논의를 거쳐 작

업자들의 합의에 기초한 순환보직제를 실시하는 것이 당장의 부담을 적게 하는데

Page 6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1 -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설비노후화에 대해 중장기적 대책마련을 통해 부담

작업을 완화하고, 생상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추가로 ANSI 점수가 높은 공정에 대해서 시급하게 대책마련이 필요하고, RULA 점

수가 전공정이 최하 점수가 3점으로 조사대상 모든 공정이 추적관찰이 필요한 ‘조

치수준 2’ 이상이었던 것은 조사한 전 공정에 대한 부담완화 대책 수립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특히 당장 개선해야 할 공정과 빠

른 시일안에 개선해야 할 공정으로 파악된 45개 공정에 대해 각별한 대책을 마련하

여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지혜와 예산 및 인력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노즐부서

보다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비춰볼 때, 구체적으로 최소한 일년에 한차례씩

노사공동으로 유해요인조사를 정례적으로 실시하고, 개선방안을 노사합의로 만들어

나가는데 각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이외에도 VE부서 작업자들은 다음과 같은 고충과 개선요구를 있었다.

- 고압세척기 청소시 배수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 출입구쪽 냉난방이 취약하다.

- 소재 및 칩 대차 이동시 무겁고 사용하기 어려워 힘들다.

- 국소배기장치 미흡으로 절삭유 오일미스트가 심하고 여름철에는 썩는냄새 심하다.

- 디버링기 에어분사 소리 소음이 있다.

- 분진문제 해결을 위해 기계내 국소배기장치 설치가 필요하다.

- 피부나 눈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칩이 문제다.

- 작업공정이 25~30미터로 너무 길어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힘들다.

- 수동검사 레버 조임 작업시 쑤시고 목이 뻐근하다.

- 투영기 측정 때와 검사작업대의 형광등과 정반 및 부품소재 반사로 눈이 부시다.

- 소재의 날카로운 이바리와 버 등으로 인해 손이 베이거나 칩이 박힌다.

- 벤 양면연삭기 작업때 소재 배출기 에어사용시 소음이 심하다.

- 호닝 작업 위치가 높다.

- 누유와 비산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온도가 높아서 힘들다.

- 다축드릴 면취 버 제거시 팔목이 아프다.

- 간이 칩장이 없어서 일하기 힘들고 불편하다.

- 40공 심혈삭과 전극봉이 자주 부러지고 표막이 자주 밀려 힘들다.

- 폴리건 소음이 심하고 드릴삭 분진 때문에 힘들다.

- 소재 투입 BOX 들어 올리는 작업이 힘들다.

- 알루미늄 미세 분진이 많이 날리고 냄새가 많이 나서 힘들다.

- 전해액이 옷과 몸에 묻는다.

- 세척기에서 나오는 안개같은 것 때문에 흡입시 문이 조금 늦게 열렸으면 한다.

Page 6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2 -

- 절삭유 탱크 가스배기 장치가 필요하다.

- 알레르기 비염으로 수술한 적이 있다.

- 실내공간이 어둡고 건조해서 눈이 아프고 눈물샘이 막힌다.

- 현재 어깨, 허리, 발에 통증이 있다.

- 무릎 관절 수술 경험이 있는데 지금도 쑤신다.

- 허리디스크 산재경험있는데, 현재 작업시 허리통증 있고 왼쪽 발바닥이 저리다.

- 현재 무리하게 일하면 아프고 쉬면 괜찮다.

- NC와 ROTOR 구연삭 작업중 소재투입하는 과정에서 손목 꺾이고 어깨가 힘들다.

- 펌프를 들어 올리는 작업과 D/SHAFT 박스를 들 때 어깨에 통증이 있다.

- 인원이 줄면서 공정을 2~3개씩 작업을 해서 힘들다.

- 공정설비 레이아웃이 잘 못되어 작업장소가 협소하다.

- 기계 노후로 잦은 트러블이 발생하는데도 정비공간이 협소하다.

- 생산이 계획적이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몰아치기 식이라 힘들다.

- 납품회사 부품이 제때에 수급이 안 되어 일의 리듬이 끊긴다.

(3) PE

표 5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E 68개 공정(PE-P HOUSING 가공, PE-P, 가바나 조

정, BARREL LAPPING, C/SHAFT, PE가공 하우징 4.6P, PE가공 하우징 PE-A SUB

조립, PE가공 하우징 SLOTTER, PE가공 BL 선삭, PE가공 BL 외경삭(곤도), PE가공

BL 전해, PE가공 BL선삭 호닝, PE가공 BL연삭 검사, PE가공 BL연삭 미드면, PE가

공 BL연삭 래핑 세척, FP1 #100 디버링 세척, FP2 #10 플렌지부 선삭, FP3 #20

M26부 선삭, FP4 #30 프랜지부 드릴삭, FP5 #40 M16부 선삭, FP6 #50 M16부 20

파이 선삭, FP7 #60 5파이 선삭, FP8 #70 M14부 선삭, FP9 #80 6축 드릴삭, FP10

#90 22파이 리밍 세척부시압입, FP 전체(1~10까지) 총괄평가, FW 가공, GOV 가공

#10, GOV 가공 #20, PKR 3, 4KD, PL 애칭, PLUNGER PL선삭, TAPPET가공, 가

버너조립 가버너커버, 가버너조립 가버너하우징, 메인6기통조립 1공정, 메인6기통조

립 2공정, 메인6기통조립 3공정, 메인6기통조립 4공정, 메인6기통조립 5공정, AT 타

이머서브, FP 조립1, FP 조립2, FP 조립3, FP 조립4, PE-A 4기통 메인 조립 1과 2,

PE-A 4기통 메인 조립 3과 4, PE-A 4기통 메인 조립 5, PE-A 4기통 조정, PE-A 4

기통 완조1, PE-A 4기통 완조2, PE-A 4기통 완조3, PE-A 6기통 조정, PE-A 6기통

완조1, PE-A 6기통 완조 2, PE-A 6기통 완조 3, PE-P 완조1, PE-P 완조2, PE-P 완

조3, PE-P 조립 1공정, PE-P 조립 2공정, PE-P 조립 3공정, PE-P 조립 4공정, PE-P

Page 7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3 -

조립 5공정, PE-P 조립 6공정, PE-P 조립 7공정, PFR 조정, PFR 타이밍, PE조정

Q공정)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인 위험도 평가를 하는 도구인 ANSI 체크리스트를 통해 확인한 내용을 보

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16점 이상인 공정은 PE가공 하우징 PE-A SUB조립, FP

전체(1~10까지) 총괄평가, AT 타이머서브, PE-A 4기통 조정, PE-A 6기통 조정,

PE-A 6기통 완조 3 등 6개 공정이었다. 좀 더 자세한 평가가 필요한 저위험성 초과

작업에 해당하는 10점~15점 사이의 공정은 FP 전체(1~10까지) 총괄평가 점수로 총

괄해서 보아야 하기 때문에 2점에서 9점까지 점수를 보인 FP1~FP10 공정을 제외할

경우 해당공정 수는 42개에 이른다. 10점 미만의 정상작업군에 속하는 결과를 보인

공정은 조사대상 68개 공정(FP 1~10 공정을 제외할 경우 58개 공정) 중 10개로 PE

부서의 타부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작업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손활동도 평가점수가 0.56점~0.77점으로 감시기준에 해당하여 작업관리와 추가조사

가 필요한 공정은 11개였다. 조사대상 공정 68개중 총 44개 공정은 공학적 개선이

필요한 허용기준인 0.78점을 초과하였다. 조사공정 68개중 감시기준을 초과하는 공

정이 55개였고, FP 1~10공정을 제외할 경우 총 조사대상 58개중 감시기준 이하의

점수를 보인 공정은 6개뿐 이었다. 이는 PE부서가 두원정공에서 타부서에 비해 손

활동이 가장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ULA 평가점수는 사실상 작업자는 다른 공정과 함께 작업을 하기 때문에 그 의미

는 없는 FP 8공정의 2점을 제외하면 조사대상 68개 공정중 67개 공정의 조사결과

최하 점수가 3점으로 조사대상 모든 공정이 추적관찰이 필요한 ‘조치수준 2’ 이상이

었다. 67개 공정 중 PE가공 BL연삭 검사, FP1 #100 디버링 세척, FP2 #10 플렌지

부 선삭, FP3 #20 M26부 선삭, FP4 #30 프랜지부 드릴삭, FP5 #40 M16부 선삭,

FP6 #50 M16부 20파이 선삭, FP9 #80 6축 드릴삭, FP10 #90 22파이 리밍 세척부

시압입, GOV 가공 #10, GOV 가공 #20, TAPPET가공, FP 조립1, PFR 조정, PFR

타이밍 등 15개 공정을 제외하면 나머지 공정 총 52개는 당장 개선을 하거나 빠른

시일안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그동안의 개선이 사실상 효과를

잃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타부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시간

작업을 반영하며, 그동안의 개선 효과가 사실상 없어지거나 적어져버린 작업환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Page 7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4 -

중량물 작업의 경우, 1-3)항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내지 2kg~51kg의 중량물을

12회에서 250회에 이르는 반복작업을 하고 있는 공정의 경우 중량물에 의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와 대책이 필요하다.

PE의 경우, 2004년과 2007년 조사결과와 한 차례이상 중복되는 공정은 PE-P

HOUSING 가공, PE-P 가바나 조정, BARREL LAPPING, C/SHAFT 등 4개 공정이

었다.

이전 평가기록과 비교했을 때, ANSI 점수는 BARREL LAPPING, C/SHAFT 두 공

정에서 높아졌고, PE-P HOUSING 가공, PE-P 가바나 조정 두 공정은 낮아졌다. 조

사대상 대비 이전 평가와 중복되는 공정이 적어서 의미있는 평가를 하기 어려웠다.

RULA 점수역시 중복조사한 공정 4개 모두 3~4점에서 5~7점으로 높게 조사되었지

만 유의미한 평가는 하기 어려웠다.

종합적인 개선방향은 우선 작업량에 따른 잔업과 특근으로 인해 업무부담이 가장

큰 부서인 만큼 제시된 문제점에 입각하여 그에 따른 근골겨계 질환 부담작업을 보

다 면밀하게 찾아 개선하는 것과 함께, 반복적인 작업특성을 고려하여 여유인력 확

보를 통한 장시간 노동해소와 일나누기를 꾀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둘째, 소음 및

분진(오일 미스트 포함), 조명, 온도, 배수, 절삭유 관련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

이 필요하다. 셋째, 노즐 및 VE 부서와 마찬가지로 중량물, 육안검사, 작업대 높낮

이, 설비개선 등 인간공학적 해결이 필요한 공정에 대한 관련 보호구 제공 및 부담

완화를 위한 실질적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PE부서의 경우 중량물 작업관련 부담완

화를 위한 설비개선작업에 공을 들여야 할 것이다. 넷째, 노동과정의 특성상 서서

작업하는 이들에게 의자 및 팔걸이 등을 제공하고, 작업장소가 협소하여 생기는 어

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레이아웃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정간 밸런스 갈등을 해

결하기 위해 업무량 나누기 및 업무체계에 대해 노동자들의 민주적 논의에 기초하

여 노사가 합의하여 불편부당한 업무하중을 줄이거나 평등한 일나누기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여섯째, 반복작업이 많은 노동과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휴식

을 취하면서 일할 수 있도록 하루 적정 작업량을 노사합의로 조정하고, 부담작업

개선 계획을 마련하여 완료하기 이전까지 부담작업이 큰 공정에 대해서는 부서내

충분한 논의를 거쳐 작업자들의 합의에 기초한 순환보직제를 실시하는 것이 당장의

Page 7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5 -

부담을 적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설비노후화에 대

한 대책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추가로 ANSI 점수가 높은 공정에 대해서 시급하게 대책마련이 필요하고, RULA 점

수가 사실상 작업자는 다른 공정과 함께 작업을 하기 때문에 그 의미는 없는 FP 8

공정의 2점을 제외하면 조사대상 68개 공정 전체의 최하 점수가 3점으로 조사대상

모든 공정이 추적관찰이 필요한 ‘조치수준 2’ 이상이었던 것 역시 주목해야 한다.

이외에도 PE 부서 작업자들은 아래와 같은 고충과 개선요구를 있었다.

- 스프레이 세척기에서 분진이 많이 날린다.

- 랩제 냄새와 경유 냄새가 많이 나서 목이 아프다.

- 파라졸 세척유 가열하면 냄새가 극심하게 난다.

- 오래서서 작업해서 다리가 많이 아프다. 분진이 많이 날린다.

- 공정 진행에 따라 펌프 무게가 더 무거워 지는데, 들어옮기는 과정이 힘들다.

- 하우징 면취가 안되 날카로워 손이 찔리고 베인다.

- 하우징이 무거워 손목이 아프다. 소재 박스가 무겁다.

- 타이밍 후 조정대기 대차에 올려 놓을 대 중량 때문에 무거워 힘들다.

- 불량이 많아 반복 수리작업이 많고 손목이 아프다.

- 작업대 높이가 높거나 낮아 등 결림과 허리가 아프다.

- 세척유 냄새가 많고 분진이 심하다.

- 기밀 시험후 세척유와 분진이 심하다.

- 에어콘이 없고, 겨울에 추워 작업환경이 열악하다.

- 대형설비이기 때문에 청소하기 힘들다.

- 칩이 쌓이지 않도록 절삭유 노즐 설치가 필요하다.

- 코킹 작업시 진동이 심해서 손목이 아프다.

- 태핑 머신 2호기 소재 탈착시 치구에 끼어 잘 빠지지 않아 손에 무리가 간다.

- 닥트 흡입력이 약해 에어컨 사용시 미스트 다량 발생한다.

- 디버링 인텍트 작업시 진동과다로 손목, 팔, 어깨에 통증이 있다.

- 설비 커버가 없어 절삭유가 튄다.

- 가공완료후 도어를 열면 분진이 심하다.

- 도어를 수동으로 열고 닫으면서 손목에 통증이 발생한다.

- 반복작업으로 손목, 어깨, 허리, 무릎이 아프고 온 몸이 쑤신다..

- 드라이버 작업으로 손목 비틀림이 많다.

- 핸들을 돌리는 것 때문에 손목이 아프다.

- 망치로 코킹시 손목에 무리가 간다.

- 틈새 작은 곳에 롱로우즈로 핀을 끼울 시 손과 손목에 무리가 간다.

- 플라이웨이트 20개 한 박스를 허리높이로 올려서 적재할 때 힘들다.

- 무제품 선별과정에서 허리를 구부리고 작업을 하여 장시간 허리 통증이 있다.

Page 7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6 -

- 열처리 망에 담는 과정에서도 손가락이 아파 퇴근후 한동안 주물러야 한다.

- 무게가 많이 나가서 어깨, 허리 결림 현상이 있다.

- 공정간 이동거리가 길다.

- 2인1조 작업인데, 1명 결원시 물량이 과다하다.

- 기밀 시험기 교환치구가 노후화되어 작업시 힘들다.

- 보턴 플러그 체결기 등 설비 노후화로 인한 잦은 고장 때문에 힘들다.

- 설비와 설비사이가 좁아 작업반경이 비좁아 허리 비틀림이 있다.

- 가버너 하우징 조립 3공정은 생산량이 과다하고 공정간 생산량 문제도 있다.

- 타페트 조립시 숙련도에 따라 노동강도가 틀리다.

- 앞공정과 뒷공정 사이에 생산 발란스 문제가 있다.

- 가공부품 품질 향상이 필요하다.

- 래바, 스크류 ASS'Y 국산화되면서 무거워 들어서 운반하는 데 무리가 있다.

- 설비불안정으로 잦은 드릴 파손이 있고 이 때문에 작업지연이 수시로 발생한다.

- 라인 공정 역방향 작업으로 피로가 심하다.

3) 부서별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 체크리스트

본격적인 인간공학적 평가를 하기 이전에 실시한 예비조사는 호소하는 증상이 있는

부서와 실천단과의 현장조사 및 회의를 통해 ‘부록 1’에 결과를 수록하였다.

예비조사에서 확인한 공정에 대한 ANSI, 손활동도, RULA, 중량물 작업 등과 작업

자등의 고충 및 의견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 결과는 공정별 체크리스트로 ‘부록 2’에

첨부하였다.

이후 구체적인 개선을 위한 점검과 논의를 할 때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과 개선방안

에 대해서는 부록 2의 결과표를 참고하면 된다.

Page 7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7 -

3. 건강검진 결과 분석

2003년부터 2009년까지 건강검진 결과를 통해 유소견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뇌심혈관계 질환과 관련한 선행요인은 보통 일반건강검진 항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2009년 일반건강검진 항목은 개편이 되었으며 이 개편을 통해 뇌심혈관

계 질환의 선행요인에 대한 더욱 자세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건강검진 항목

의 변화는 2009년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뇌심혈관계 질환의 선행요인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이번 분석에서는 결과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질환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

증 (총 콜레스테롤 결과만 활용), 간기능 이상, 비만, 생활습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 고혈압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인 경우를 정상

으로 하였다. 수축기가 120∼140mmHg 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90mmHg인 경우

를 요관찰자로 정의하였다. 유소견자는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

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고혈압 요관찰자는 2006년 303명으로 72%에까지 이르렀으나 2007년에는 56%로 감

소하였으며 2008년 62%로 약간 늘었으나 2009년에는 56%로 약간 감소하였다. 비율

의 변화가 크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50% 이상이 요관찰자인 상황은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선행요인인 고혈압의 관리가 매우 필요함을 보

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소견자의 비율은 2003년 26%에서 2004년 33%로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2005년 16%로 감소하였으며 2006년 12%, 2007년 19%, 2008년 10%, 2009년 13%로

감소하였다. 유소견자 비율의 감소가 투약과 치료를 통한 관리가 이루어져서 인지

아니면 건강검진 자체의 문제인지 파악할 수는 없어 유소견자 비율의 변화가 큰 이

유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적인 관리를 통한 사실 확인과 이후

검진 결과의 추이 관찰이 필요하다.

Page 7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8 -

그림 1. 고혈압 요관찰자와 유소견자

정상요관찰자 유소견자

총합빈도 % 빈도 %

2003 44 214 61% 93 26% 351

2004 10 89 60% 49 33% 148

2005 66 155 59% 41 16% 262

2006 65 303 72% 50 12% 418

2007 104 237 56% 82 19% 423

2008 118 262 62% 40 10% 420

2009 127 229 56% 55 13% 411

표 53. 고혈압 요관찰자와 유소견자

2) 당뇨

당뇨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동맥경화의 발생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복시 혈당은 107미만을 정상으로 정의하였으며 공복시 혈당이 107∼126미

만인 경우를 내당능장애, 공복시 혈당 126이상을 당뇨로 정의하였다.

내당능장애의 유병률은 2003년 19%, 2004년 22%, 2005년 1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6년 14%로 약간 감소하였고 2007년 9%로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Page 7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69 -

러나 2008년 15%로 매우 증가하였고 2009년 19%까지 증가하여 문제의 심각성이 증

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당뇨의 유병률은 2004년과 2006년이 가장 낮은 4%였으며 2007년과 2008년이 5%였

고 2009년 9%까지 증가하였다.

그림 2. 내당능장애와 당뇨의 유병률

정상내당능장애 당뇨

총합빈도 % 빈도 %

2003 251 68 19% 32 9% 351

2004 109 33 22% 6 4% 148

2005 197 46 18% 19 7% 262

2006 346 57 14% 15 4% 418

2007 364 39 9% 20 5% 423

2008 333 64 15% 23 5% 420

2009 296 80 19% 35 9% 411

표 54. 내당능장애와 당뇨 유병률

Page 7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0 -

3)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혈증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 수

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건강검진 제도가 바뀌기 이전에는 건강검진에서

총콜레스케롤 수치만 확인이 가능하며 총콜레스테롤에서 이상이 발견될 경우에만 2

차검진을 통해 HDL과 중성지방을 확인할 수 있었고 LDL을 측정하기 시작한 것은

2009년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상지질혈증에 대해서는 2009년 이후에나 LDL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추이는 총콜레스테롤을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총콜레스테롤과 관련해서 240mg/dL 미만을 정상으로 정의하였으며 240∼

250mg/dL 미만을 요관찰자 250mg/dL 이상을 유소견자로 정의하였다.

이상지질혈증의 요관찰자와 유소견자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른 요관찰자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해는 2003년, 2004년, 2008년으로 3%

였으며 2005년과 2007년이 각각 1%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 이상지질혈증 요관찰자와 유소견자

Page 7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1 -

정상요관찰자 유소견자

총합빈도 % 빈도 %

2003 333 8 2% 10 3% 351

2004 143 1 1% 4 3% 148

2005 259 1 0% 2 1% 262

2006 404 6 1% 8 2% 418

2007 404 13 3% 6 1% 423

2008 389 19 5% 12 3% 420

2009 391 11 3% 9 2% 411

표 55. 총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LDL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증의 위험요인으로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한 예측인자이다. 이의 수치는 매우 중요한 건강지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그

러나 LDL 콜레스테롤을 건강검진에서 측정한 것은 일반건강검진 제도가 개선된 최

근의 일이다. 전체 인원에 대해서 LDL을 측정한 2009년 건강검진 결과를 정리한

결과, 130mg/dL 미만으로 정상으로 나타난 인원이 231명으로 82%를 차지하였다.

130~160mg/dL인 경우는 41명으로 14%였다. 160mg/dL 이상으로 투약을 고려해봐

야 하는 인원은 11명으로 4%에 해당하였다.

그림 4. 2009년 검진결과에 따른 LDL 수치 분포

Page 7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2 -

4) 간 기능 이상자

현재까지 간 기능의 이상이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증

거는 없다. 그러나 한국인에서 발생하는 간 기능 이상이 대부분 비만으로 인한 지

방간 또는 음주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역시 뇌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간 기능 검사는 2003년부터 매

년 규칙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GOT, GPT, γ-GTP 모두 측정 결과가 있어 각각의

간 기능 수치에 대해 세부적으로 정의를 내렸다. 정상은 GOT와 GPT가 모두 50이

하인 경우이며 GOT와 GPT나 모두 50이상이거나 둘 중 하나만 이상이 있는 경우

또는 γ-GTP가 78 이상인 경우를 모두 간 기능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음주와 관련성이 가장 큰 것으로 생각되는 γ-GTP만 이상이 있는 경우는 2003년부

터 2009년까지 14%에서 18%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좀 더 만성적인 영향을 의미하는

GOT와 GPT가 모두 이상이 있는 경우는 5%이하로 나타났으며 2007년 1%였다가

2008년 2%, 2009년 3%로 증가하고 있었다. GOT와 GPT 중 둘 중 하나만 이상이

있는 경우는 2003년과 2004년의 16%와 18%에 비해 2008년 8%, 2009년 6%로 감소

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림 5. 간 기능 이상 유병률

Page 8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3 -

정상GOT, GPT 모두 GOT, GPT 중 하나 γ-GTP만 이상

빈도 % 빈도 % 빈도 %

2003 276 18 5% 57 16% 48 14%

2004 117 5 3% 26 18% 22 15%

2005 232 4 2% 26 10% 38 15%

2006 362 11 3% 45 11% 63 15%

2007 391 5 1% 27 6% 64 15%

2008 379 9 2% 32 8% 69 16%

2009 374 11 3% 26 6% 72 18%

표 56. 간 기능 이상자 유병률

5) 비만

뇌심혈관계 질환, 특히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만의

양상을 평가하였다.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한 예측인자로 허리둘레가 주목을 받고

있으나 2009년 개정 이전의 검진결과에서는 허리둘레를 확인할 수 없어서 키와 몸

무게를 이용한 체질량지수를 계산하였다. 한국인의 기준에 따라 BMI가 23 미만인

경우를 정상으로 정의하였으며 23∼25kg/m2를 요관찰자로 25kg/m2 초과를 유소견

자로 정의하였다.

그림 6. 비만의 유병률

Page 8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4 -

정상요관찰자 유소견자

총합빈도 % 빈도 %

2003 115 103 29% 133 38% 351

2004 36 47 32% 65 44% 148

2005 97 79 30% 86 33% 262

2006 134 135 32% 149 36% 418

2007 138 129 30% 156 37% 423

2008 118 138 33% 164 39% 420

2009 114 143 35% 154 37% 411

표 57. 비만의 유병률

6) 생활습관

생활습관은 뇌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흡연, 음주, 운동

부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 가지 생활습관은 모두 건강검진 결과에서 의사 문진을

통해 각각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된 경우를 유소견자로 하여 유병률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2005년의 경우 흡연, 음주, 운동부족이 모두 유병률이 매우 낮게 나타난

것을 비롯하여 연도별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의 문진에 따른 생활습관

판정이 일관된 기준으로 이루어진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 2007년 이후에는 비교

적 안정되고 일관된 양상으로 결과가 나오고 있는데 흡연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2007년 35%, 2008년 38%, 2009년 41%로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며 음주는 2007년

28%, 2009년 38%, 2010년 56%로 마찬가지로 증가하였다. 운동부족의 경우는 2007

년 6%에서 2008년 10%로 증가하였으나 2009년에는 한 명도 없었다.

Page 8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5 -

그림 7. 문제 생활습관 유병률

정상흡연 음주 운동부족

빈도 % 빈도 % 빈도 %

2003 277 51 15% 34 10% 9 3%

2004 42 67 45% 96 65% 0 0%

2005 246 14 5% 7 3% 0 0%

2006 216 185 44% 52 12% 1 0%

2007 133 148 35% 119 28% 26 6%

2008 148 158 38% 159 38% 42 10%

2009 99 167 41% 230 56% 0 0%

표 58. 문제 생활습관 유병률

Page 8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6 -

7) 검진결과에 따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결과

2009년 검진결과를 바탕으로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검진결

과와 교대근무 등의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평가한 결과, 정상군에 해당하는 경우는

40명으로 14%에 불과하였다. 고위험군은 24명으로 8%였다.

현재는 정상군과 고위험군이 모두 많지는 않았으나 중등도 위험군이 123명으로

43%나 되기 때문에 꾸준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8. 2009년 검진결과에 따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도

Page 8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7 -

IV. 결론 및 제언

이전 결과와 비교하여 노동강도는 전반적으로는 큰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야간근무자가 줄어드는 등 개선의 측면이 없지는 않지만, 주당 평균 노동시간

은 51시간으로 여전히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었다. 특히 작업조건과 인간공학적 평

가에서 부서별 차이가 두드러져 나타나는 것이 올해 조사 결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부 부서 노동자의 경우에는 뇌심혈관계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의 발

생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2007년에 비해 약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환경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 요구, 관계 갈등, 직장 문화는 상당히 증가하

였고 직무 자율,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은 반대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

났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작업장의 분위기가 악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은 2007년에 비해 감소하였다. 이는 평균 연령의 증가를 감안

할 때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속적인 현장 개선과 노동강도의

감소가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절대적

인 유병률이 낮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꾸준한 관리와 개선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서별로 증상 유병률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시점에서 업무량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처럼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응답률이 낮아 정확하게 파악이 어렵지만 뇌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해 기초질환의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는 2009년도 검진 결과를 바

탕으로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자들의 근골격계 질환과 뇌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다

음과 같은 개선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 부서별 불균형의 감소 노력

두원정공 현장은 부서별로 큰 차이가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근골격계 유병

Page 8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8 -

률 뿐만이 아니라 이의 위험요인인 작업조건, 노동시간, 인간공학적 평가, 직무 스

트레스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별 차이는 커졌지만 절대적

인 수준이 감소한 것이 아니므로 그 위험이 감소했다고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물론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생산의 특성과 흐름에 따라 차후 이러한 현상이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조직적인 노력

이 필요하다.

노동자간의 연대 의식을 높이기 위한 꾸준한 현장 사업뿐만이 아니라 위험 요인에

의 노출이 많은 노동자들에 대한 회사 차원의 각별한 주의와 관리 역시 필요한 것

이다.

(2) 노동시간의 감소

여전히 하루 중 잠자는 시간과 여가시간이 충분하지 못하고 여가를 즐길 만큼 충분

한 휴일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절대적 노동일이 여전히 길다는 것이며 노동

시간의 감소는 여전히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이다. 2010년 교대제가 변화하면서

이러한 문제는 상당부분 해결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교대제의 전환과정이 실질

적인 노동강도의 저하와 노동시간의 감소를 위해서 세부적인 내용을 노동자들과 상

의하고 결정해가는 과정을 꾸준히 가져가야 한다.

(3) 직무스트레스 관리

올해 직무 스트레스 설문 조사는 현장 분위기의 악화를 반영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이전 조사에서도 높게 나왔던 관계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문화도 악화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직무요구와 함께

상승한 것은 부서별로 노동강도에 차이가 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의 관리는 이후 뇌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갈등요소를 개선하기 위해서, 현장 노동자들의 의견

이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집행되는 의사소통 구조를 확보해야 하고, 사업장 관리체

계 전반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한 조직 운영이 필요하다.

Page 8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79 -

(4) 지속적 현장 개선

인간공학평가관련 지표가 2004년에 비해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그러나 일부 작업의

경우에는 악화된 것도 있고 새롭게 위험요인이 발견된 경우도 있었다. 인간공학적

평가 지표가 물량의 변화와 관련성이 높다는 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근

골격계 질환의 증상 유병률이 감소한 것은 그 동안의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작업 환경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여전히 높은 증상 유병률을

조금 더 낮출 수 있도록 다양한 문제들과 현장의 개선 요구안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실제적 개선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현장의 적극적 활동이 요구된다.

(5) 뇌심혈관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

올해 최초로 실시한 뇌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도에 대한 평가와 건강 검진 결과

분석을 통해서 전반적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노동자들의 평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가속

화 될 것으로 보인다. 적극적인 건강관리와 주기적인 의학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현장 노동자들의 건강 상담과 관리를 위한 구체적이고 장기적

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노동자들과 관리자

들의 인식을 모두 높이기 위한 사전 교감과 소통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Page 8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0 -

부록 1. 근골격계 질환 부담작업 평가를 위한 예비조사 결과

각 부서별 실천단과 연구원들이 예비 현장조사와 회의를 통해 각 공정별로 근골격계 부담작업

해당여부에 대한 구체적 조사를 위해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노동부가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

위로 제시한 2003년 7월 15일에 제2003-24호로 고시한 11개 부담작업을 일차기준으로 삼고, 추

가로 증상호소를 하는 공정을 일차 정리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노동부 11개 부담작업 고시로

는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성과 작업관련성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이 예비조사내용은 기초조사

와 참고자료 정도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후 자세한 인간공학적 평가와 작업자 면담 등을 통해 완성한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

인 체크리스트는 부록 2를 참조하면 된다.

예비조사는 아래 11개 부담작업 중 해당되는 것의 번호를 공정별로 표기하거나 증상호소 내용

을 적는 방식으로 정리하였다.

- 아 래 -

1.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머리 위에 손이 있거나, 팔꿈치가 어깨 위에 있거나, 팔꿈치를 몸통으로부터 들거나, 팔꿈치를 몸통뒤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자세를 바꿀 수 없는 조건에서,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이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트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5.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6.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1kg 이상의 물건을 한손의 손가락으로 집어 옮기거나, 2kg 이상에 상응하는 힘을 가하여 한손의 손가락으로 물건을 쥐는 작업

7.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4.5kg 이상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들거나 동일한 힘으로 쥐는 작업

8. 하루에 10회 이상 2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9. 하루에 25회 이상 10kg 이상의 물체를 무릎 아래에서 들거나, 어깨 위에서 들거나, 팔을 뻗은 상태에서 드는 작업

Page 8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1 -

10.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11.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10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

이상의 내용을 참고로 하고 증상호소 내용을 포함하여 조사한 부서별 공정별 예비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NZ 부서(공기 및 열처리 포함)

공정 해당 부담 작업 / 호소 증상

DLL A-P 파트 내경세척 2, 3, 4 / 다리 부위 통증

DLL-S 파트 내경연삭 2, 4, 6 / 다리 부위 통증

DLL-S 파트 리프트연삭 2, 4, 6 / 손목과 다리 부위 통증

DLL-S 파트 압축실(AP) 전해 2, 3, 4, 6 / 손목과 어깨 부위 통증

DLL-S 파트 진도검사 2, 4 / 손가락, 손목, 어깨, 목 부위 통증

DN-PD 파트 검사포장 2, 4 / 눈의 피로감

DN-PD 파트 내경검사 2, 4, 6 / 다리와 어깨 부위 통증

DN-PD 파트 이단유바연삭 1 2, 4 / 시력저하와 목 부위 통증

DN-PD 파트 이단유바연삭 2 2, 4, 6 / 눈의 피로감과 다리 부위 통증

KBAL-2 파트 조정 2, 3, 4, 6 / 팔과 어깨 부위 통증

KBAL-P 파트 송유삭 2, 3, 4, 6 / 목과 어깨 부위 통증

공기부서 밀링파트 밀링가공 2, 3, 4, 6 / 어깨 부위 통증

공기부서 선반파트 선반가공 2, 3, 4, 6 / 어깨 부위 통증

열처리부서 고주파 2, 3, 4, 6 / 눈 충혈, 무릎과 손목 부위 통증

열처리부서 피막 2, 3, 4, 6

Page 8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2 -

2) VE 부서(호소 증상은 부록 2 체크리스트 참조)

공정 해당부담작업 공정 해당부담작업

C/DISK파트 캠연삭 2, 3, 4, 6 D/V선삭파트 6축자동선반 2, 3, 4, 6

P/B파트 바렐세척 2, 3, 4, 6 D/S 파트 외경연삭 2, 3, 4, 6, 9

롤러홀더파트 롤러부쉬 2, 3, 4 하우징파트 세척 2, 3, 4

D/V ASSY파트 호닝 2, 3, 4 D/V파트 양면연삭 2, 3, 4, 6

D/V파트 홀다조립기 2, 3, 4, 6, 9 가공분사파트 H/sub 뒤 2, 3, 4, 6, 11

H/Body파트 H/B 2, 3, 4, 6 가공분사파트 H/sub 앞 2, 3, 4, 6

F/P파트 조립ASSY 2, 3, 4, 6, 9 가공분사파트 RV호닝 2, 3, 4, 6

항온실파트 세척 2, 3, 4, 6 항온실파트 제1조합연삭 2, 3, 4, 6

항온실파트 제2조합연삭 2, 3, 4, 6 D/N파트 레그네팅밸브 2, 3, 4, 6

D/V파트 자동검사기 2, 3, 4, 6 D/V파트 CPV밸브 2, 3, 4, 6

D/N파트 D/V수동검사 2, 3, 4, 6 PL파트 방전 2, 3, 4, 6

PL파트 외경연삭 2, 3, 4, 6 F/P파트 양면연삭 2, 3, 4, 6

F/P파트 구연삭/양면연삭 2, 3, 4, 6 C/S파트 4축호닝 2, 3, 4, 6

선삭파트 선삭 2, 3, 4, 6 선삭파트 C/DISK 2, 3, 4, 6, 9

선삭파트 D/H가공 2, 3, 4, 6 선삭파트 D사프트 2, 3, 4, 6

선삭파트 PLUNGER 2, 3, 4, 6 선삭파트 R/H 2, 3, 4

선삭파트 T/PISTON 2, 3, 4, 6 선삭파트 T/PISTON연삭 2, 3, 4, 6

선삭파트 R/H전해 2, 3, 4 R/H파트 조립 2, 3, 4, 6

하우징파트 5면가공 2, 3, 4, 6 하우징파트 내외경선삭 2, 3, 4, 6

하우징파트 함침 2, 3, 4, 6, 8 D/V선삭파트 전수검사 2, 3, 4

F/P파트 양면래핑 2, 3, 4, 6 R/H파트 외경연삭 2, 3, 4, 6

조립파트 기계식조정(T/B) 2, 3, 4, 6, 7 조립파트 가바나레버조립 2, 3, 4, 6

조립파트 기계식런닝조정 2, 3, 4, 6, 7 조립파트 기계식헤드조립 2, 3, 4, 6

조립파트 기계식기밀시험기 2, 3, 4, 6, 7 조립파트 롤러홀더조립 2, 3, 4, 6

조립파트 DOT각인기 2, 3, 4, 6 조립파트 G/커버조립 2, 3, 4, 6

조립파트 H/플러그조립 2, 3, 4, 6 조립파트 K-MAB측정 2, 3, 4, 6

조립파트 MS 2, 3, 4, 6 조립파트 T/커버조립 2, 3, 4, 6

조립파트 레일조립서브 2, 3, 4, 6 조립파트 레일검사 2, 3, 4, 6

조립파트 레일고압유밀 2, 3, 4, 6 조립파트 레일세척 2, 3, 4, 6

조립파트 레일RDS 2, 3, 4, 6 조립파트 메인코벡조립 2, 3, 4, 6, 7

조립파트 완성조립기밀시험 2, 3, 4 조립파트 엑추에이터브라켓 2, 3, 4, 6

조립파트 와이어조립 2, 3, 4 조립파트 인아웃아이조립 2, 3, 4

조립파트 키웨이조정 2, 3, 4, 6, 7 조립파트 코벡런닝조정 2, 3, 4, 6, 7

조립파트 코벡완성조립 2, 3, 4, 6, 7 조립파트 코벡조정 2, 3, 4, 6, 7

조립파트 D/사프트 서브 2, 3, 4, 6 조립파트 플라이웨이트서브 2, 3, 4, 6

조립파트 헤드서브조립 2, 3, 4, 6 조립파트 ACS,BCS커버 2, 3, 4, 7

조립파트 R/밸브조립 2, 3, 4, 6 조립파트 T/커버 서브 2, 3, 4, 6

Page 9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3 -

3) PE 부서(호소 증상은 부록 2 체크리스트 참조)

공정 해당부담작업 공정 해당부담작업

하우징파트 4,6P가공 2, 3, 4, 6, 7 BL파트 BL선삭 2, 3, 4, 6

하우징파트 PE-A서브조립 2, 3, 4, 6 BL파트 BL외경삭 2, 3, 4, 6

하우징파트 SLOTTER 2, 3, 4, 6 BL파트 전해 2, 3, 4, 6

BL선삭파트 호닝 2, 3, 4, 6 BL연삭파트 래핑 2, 3, 4, 6

BL파트 BL연삭검사 2, 3, 4, 6 BL연삭파트 미드면 2, 3, 4

가공파트 C/S 2, 3, 4, 6 BL파트 BL연삭래핑세척 2, 3, 4, 6

F/P1파트 #100디버링세척 2, 3 F/P2파트 #10플랜지선삭 2

F/P3파트 #20M26선삭 2 F/P4파트 #30플랜지드릴삭 2, 3

F/P5파트 #40M16선삭 2, 3 F/P6파트 #50M16선삭 2

F/P7파트 #60 5파이선삭 2, 3 F/P8파트 #70M14선삭 2

F/P9파트 #80 6축드릴삭 2, 3 F/P10파트 #90 22파이 2, 3, 4, 6

F/P1~10 전체 2, 3, 4, 6 PL파트 PL매칭 2, 3, 4

가공파트 F/WRKRHD 2, 3, 4 가공파트 PE-P하우징가공 2, 3, 4, 7

PFR파트 3,4KD 2, 3, 4, 6 가공파트 TAPPET가공 2, 3, 4, 6, 7

PL파트 PL선삭 2, 3, 4, 7 GOV파트 #10태핑 1,2호기 2, 3, 4, 6

GOV파트 #20 2, 3, 4, 6 조정파트 가버너조정 2, 3, 4, 7, 11

조정파트 Q 2, 3, 4, 11 GOV조립파트 가버너하우징 2, 3, 4, 6

PFR파트 PFR조정 2, 3, 4, 7 PE-A AT파트 타이머서브 2, 3, 4, 8, 9, 11

GOV조립파트 가버너카바 2, 3, 4, 6, 8, 11 6기통파트1 D/V홀더 2, 3, 4, 7

FP조립파트 FP조립1 2, 3, 4, 6, 8,11 6기통파트2 콘트롤슬러브 2, 3, 4, 6, 7, 11

FP조립파트 FP조립2 2, 3, 4, 6, 11 6기통파트3 가버너하우징 2, 3, 4, 6, 9, 11

FP조립파트 FP조립3 2, 3, 4, 6, 11 6기통파트4 보턴플러그 2, 3, 4, 6, 9, 11

FP조립파트 FP조립4 2, 3, 4, 6 6기통파트5 타이밍기심교환 2, 3, 4, 6, 9, 11

PE-A파트 4기통조립1, 2 2, 3, 4, 6, 7, 11 PE-A파트 4기통조립3, 4 2, 3, 4, 6, 11

PE-A파트 4기통조립5 2, 3, 4, 6, 11 PE-A파트 4기통조정 2, 3, 4, 11

PFR파트 타이밍 2, 3, 4, 6 PE-A4기통 완조1 2, 3, 4, 6, 9, 11

PE-A4기통 완조2 2, 3, 4, 6, 9, 11 PE-A4기통 완조3 2, 3, 4, 6, 9, 11

PE-A6기통 완조1 2, 3, 4, 6, 9, 11 PE-A6기통 완조2 2, 3, 4, 6, 9, 11

PE-A6기통 완조3 2, 3, 4, 6, 9, 11 PE-A6기통 완조조정 2, 3, 4, 6, 7, 11

PE-P파트 완조1 2, 3, 4, 6, 8, 11 PE-P파트 완조2 2, 3, 4, 6, 8, 11

PE-P파트 완조3 2, 3, 4, 6, 8, 11 PE-P조립파트 조립1 2, 3, 4, 6, 7, 11

PE-P조립파트 조립2 2, 3, 4, 6, 9, 11 PE-P조립파트 조립3 2, 3, 4, 6, 9, 11

PE-P조립파트 조립4 2, 3, 4, 6, 8, 11 PE-P조립파트 조립5 2, 3, 4, 6, 11

PE-P조립파트 조립6 2, 3, 4, 6, 7, 11 PE-P조립파트 조립7 2, 3, 4, 6

Page 9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4 -

부록 2. 부서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 체크리스트

두원정공 NZ(공기, 열처리 포함)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체크리스트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LLA-P 파트 내경세척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외경작업 - 내경삭 - 내경세척 - 샘플 검사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1. 공정간 왕복작업, 수동 작업으로 인한 다리에 통증이 있다.

2. 설비의 높이가 낮아서 고개 숙임으로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3 0.4

개 선 방 향자동화 추진과 적절한 휴식시간이 필요하다.

설비의 높이를 작업자의 키를 고려하여 조정하거나 숙임자세 개선할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3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LL-S 파트 내경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17파이 외경연삭 - 내경세척 - 내경시트 연삭 - 분사면 연삭 - 세척 - 전해가공 -

내경세척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기계 대수가 많아서 이동거리가 길다. 설비조정이 필요하다. 다리에 무리가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4 0.25

개 선 방 향

설비 레이아웃을 통해 이동거리를 줄이거나, 장시간 서서 일하는 공정이기 때문에 담

당설비를 줄여 적절한 휴식시간을 확보하거나, 의자 등을 제공하여 앉아서 쉬거나 작업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9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3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LL-S 파트 리프트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시트와 누름 축 연삭 후 리프트 길이 측정함.

하루 800개 내외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수작업으로 인해 손목에 무리가 있음. 정적인 자세로 일해 다리가 아프다.

2. N/V 밸브 척킹 방법 개선이 필요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5 0.66

개 선 방 향

작업 중 적절한 휴식시간이 필요하고, 서서하는 작업을 고려하여 의자를 제공하여 앉

아서 작업을 병행하거나 쉬어가면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척킹 과정에

서 손목에 무리를 줄일 수 있는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3일 김병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LL-S 파트 압축실(AP) 전해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전극 봉에 소재를 수동으로 끼우고 스위치 양손으로 누르고 중화세척기에 투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손목과 어깨에 무리가 있다.

2. 어깨 통증으로 3주간 병가치료를 한 적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3 0.5 14kg 4~5회

개 선 방 향

작업기계의 개선 혹은 변경이 여의치 않기 때문에 작업 중 적절한 휴식시간을 적절하

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치료경력을 고려할 때 부서내 다른 작업자들과 논의를 통

해 작업숙지 기간을 충분히 고려하여 부담이 적은 공정으로 전환배치가 필요해 보인다.

작업 사진

Page 9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LL-S 파트 진도검사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씨트 성형 - 씨트와 리이머 - 진도검사 등의 순으로 작업함.

치구에 제품을 삽입하고 망치로 제품을 타격하며 진도검사를 진행함.

작업자 고충 의견 손가락, 손목, 어깨, 목, 등 곳곳에 몸에 무리가 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5 1

개 선 방 향 망치 수동사용을 대체할 자동화 설비 도입을 적극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3일 김병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N-PD 파트 검사 포장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송유구 관통 유무 검사와 시트 조도 검사 그리고 포장작업을 함.

작업자 고충 의견 전수검사로 눈이 피로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3 0.75 15kg 1회

개 선 방 향 눈의 피로감을 줄일 있도록 작업량을 조정하여, 작업 중 틈틈이 쉴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필요하고, 검사 작업 관련한 보호구 구입을 적극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사진

Page 9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3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N-PD 파트 내경검사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면취 연삭 - 외경 연삭 - 내경 연삭 - 내경검사와 시트 검사 - 이동 등의 순으로 작

업함. 하루 1,000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잦은 이동으로 다리에 무리가 있고 어깨도 결린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3 0.33 13.5kg 이상 들기

개 선 방 향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 작업대의 높이를 높여서 고개를 숙이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서서작업을 하는 공정이기 때문에 의자를 제공하고,

적정한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3일 김병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N-PD 파트 이단유바연삭1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N/V)를 스토퍼에 수동으로 투입하여 이단유바 연삭을 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육안으로 전수 검사하기 때문에 시력이 저하되었다.

2. 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4 0.25

개 선 방 향

검사대의 높이를 눈높이와 팔 사용 각도 등을 고려하여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눈

의 피로를 완화하기 위해 작업 중 수시로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작업량 조정이 필요

하다. 작업 중에도 의자를 등받이 있는 것으로 교체하여 피로도를 완화시키는 것도 하

나의 방안일 수 있겠다.

작업 사진

Page 9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DN-PD 파트 이단유바연삭2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스토퍼에 소재를 올려 놓고 이단유바 연삭 가공 - 육안으로 가공부위 전수 검사함.

작업자 고충 의견1. 눈이 피로하다.

2. 검사시 서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다리에 부담이 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4 0.12

개 선 방 향

육안검사시 다리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여 다리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

하다. 작업공간의 조도 검사를 통해 적절한 조도를 제공하고, 보호구 제공과 검사시 틈

틈이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6일 김병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KBAL-2 파트 조정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NH ASS'Y 조정치구에 취부하여 시험유를 연결(고압 파이프 연결)하여 FULL-LIFT

측정함. 제2 조정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팔이 아프다.

2. 어깨가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9 6 1 12kg 2~3회

개 선 방 향

작업 자세를 가급적 전취자세에서 할 수 있도록 작업방식 개선이 필요하고, 이에 조응

한 작업량 조절이 필요하다. 서서하는 작업을 고려하여 작업 중 여유시간에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의자를 제공하거나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작업 사진

Page 9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8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6일 김병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NZ 부서 KBAL-P 파트 송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노크 홀 및 퇴유 파이프 홀 삭 작업을 함.

제품을 치구에 파이프 홀부 위로 향하게 노크 홀 치구에 밀고 핸드밸브 이용하여 척

킹하여 작업을 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무리한 작업으로 어깨가 아프다.

2. 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4 0.4 22kg 2~3회

개 선 방 향 작업량을 조정하여 작업의 무리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고, 목에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작업관련 스위치 혹은 작업대 높이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강창범,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공기 부서 밀링 파트 밀링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도면화 - 공작물 준비 - 도면 숙지 - 가공 - 가공완료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어깨가 결린다.

2. 업무특성상 일이 몰리면, 힘에 부친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4 0.66 5~15kg

개 선 방 향 작업특성상 정취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적정 작업량 조절을 통해 업무가

몰리지 않도록 하거나 여유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사진

Page 9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0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현덕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공기 부서 선반 파트 선반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도면화 - 제품(공작물) 구입 - 도면숙지 - 공작물 축에 물림 - 가공 - 가공완료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가공시 공작물의 흑피 제거시 쇠가루 분진이 발생한다.

2. 장시간 작업으로 인해 어깨가 결린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1.25 5~15kg

개 선 방 향

허리를 비틀고 숙이면서 팔을 뻗치는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작업방식과 적정

작업량 개선이 필요하다. 분진 비산에 대한 국소배기장치 설치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열처리 부서 고주파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NZ 바디를 대차로 운반 - 고주파 작업 - 박스에 적재 - 수작업으로 고주파 처리후

박스에 담아서 적재 다이에 옮김.

작업자 고충 의견

1. 하루 적정 생산량 확보가 필요하다. 대략 1,000개 내외가 적당하다.

2. 휴식시간이 불충분하다.

3. 무릎 관절, 손목의 통증 발생하였고, 눈에 충혈이 생긴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5 4 0.5

개 선 방 향

팔사용을 어깨높이 이상과 허리이하로 사용하지 않도록 적재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적재대 높이를 제한하거나 리프트 가능한 대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정 작업

량으로 재설정하여 휴식시간을 적절하게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개를 숙이는 작업

을 줄일 수 있도록 작업대 높낮이를 조절하고, 눈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작업 사진

Page 9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하재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열처리 부서 피막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T.E.M 작업 후 행거에 담아 피막 - 피막완료후 대차에 적재

고주파 작업후 박스를 대차로 이동후 치구에 담아서 피막 - 피막 해체 후 건조기에서

건조시킴

작업자 고충 의견 1. 작업대 높이가 조절가능해야 한다.

2. 행거가 무겁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0.66

개 선 방 향 작업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비개선이 필요하고, 중량물 작업을 완화시킬 방안

이 마련되어야 한다.

작업 사진

Page 9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2 -

두원정공 VE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체크리스트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C/DISK 파트 캠 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이동 80m -지립리밍 - 호연삭 - 핀압입 - 캠연삭 - 존면연삭 등의 순으로 작업

함.

작업자 고충 의견 상지 작업 부담이 커서 어깨, 팔, 목에 부담이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6 0.42 60kg 1회 밀기

개 선 방 향 어깨위로 팔 뻗힘이 심한 작업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작업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거나, 정취자세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D/V선삭 파트 6축 자동선반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이동 - 6축자동선반 1# 2# 3# 4# 5#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현재 어깨, 허리, 발에 통증이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7 0.07 1000kg 주1회 대차이동

개 선 방 향 정취자세작업이 가능토록 높이조정이 가능한 앉은뱅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박현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P/B 파트 바렐 세척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주작업 : Ba 지립 리밍 - 외경 단면 연삭 - 세척 및 링 압입 등의 순으로 작업함.

부작업 : P/L 홈 연삭 (C/F용), P/L 수동으로 척에 제품 고정하여 가공 후 제품 꺼냄.

작업자 고충 의견 1. Ba 세척공정, 리툴링시(휠 교환시) 목과 어깨 부담감.

2. P/L 홍연삭 공정, 척에 P/L 고정시 손목, 목, 어깨 부담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6 0.42

부작업1 9 6 0.42

개 선 방 향 휠 교환 작업개선이 필요하고, 척 고정 방법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 월 13 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드라이 샤프트 파트 외경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주작업 : 소재이동(80m)- 외경연삭 1#, 2#- 호연삭- 슈퍼피니싱 등의 순으로 작업함.

부작업 : 소재이동(80m) - 외경연삭 - 슈퍼피니싱 - 플러그 압입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지석교환시 휠 무게 많이 나가 몸에 무리가 감.

2. 근막통 5개월, 요추디스크(수술) 6개월, 현재 허리통증, 왼쪽 다리 저림.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7 0.5 15kg*24회, 120kg 1회 밀기

개 선 방 향

휠 무게를 고려한 지석교환 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고개를 숙이고 하는 작업을 하지

않도록 작업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롤러 콘베어 설치를 연장하여 중량물 작업

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롤러홀더 파트 롤러 부쉬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이동 80m - 양면연삭 - 외경연삭 - 내경연삭 - 슈퍼피니싱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그렇게 큰 부담은 없지만, 작업과정에서 자세가 썩 좋지 않은 것 같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4 0.11 10kg 4회

개 선 방 향 작업과정 전체에서 부적절한 자세(허리숙임, 어깨위로 팔들기 등)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하우징 파트 세척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경사홀 - 화인보링 -핀 압입 - 고압세척 - 전해 - 코코세척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고압세척기 청소시 배수방법 개선

2. 알레르기 비염으로 수술하였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6 6 0.75 100kg 10m 이동

개 선 방 향 세척작업시 허리와 목, 팔 사용을 정취자세에서 하도록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양정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D/V ASSY 파트 Honing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선삭 소재 이동 - PE전용, VE전용 Honing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크게 무리없이 작업하고 있지만, 장기간 노동으로 인해 불편함이 있는 것 같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3 0.33

개 선 방 향 연령과 근속을 고려한 업무할당과 배치 고민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6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D/V 파트 양면 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양면 연삭

작업자 고충 의견 기계 자체가 너무 낮아서 어깨와 목에 부담이 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6 1

개 선 방 향 기계설비 교체가 사실상 쉽지 않기 때문에 작업량 등을 조정하여 여유있는 작업과 충

분한 휴식시간 보장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가공분사 dv 파트 D/V홀다 조립기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외주 도금 홀다 - 단면 선삭 - 내경 브러쉬 작업 - 16축 조립기 - 검사 등의 순서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출입구쪽 냉난방 취약함. 소음: 바스피터(7개), 레이아웃 공정설비 잘못되어 장소협소함.

2. 기계 노후로 잦은 트러블 발생하고, 정비공간도 협소함.

3. 무릎관절 수술경험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6 0.5 들기: 10kg, 30회

개 선 방 향 공간확대와 설비노후화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높낮이 가변형 대차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파트 H/sub(뒤)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호닝 - 단면선삭 - 게어링 - 세척 및 검사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피막장 소재 이송으로 2008년도 공상처리(1달간) 건강관리실에서 물리치료 받음.

2. 현재 무리하게 일하면 아프고 쉬면 괜찮다.

3. 간혹 건강관리실에서 치료받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5 0.5

개 선 방 향 작업 중 여유시간을 확보하여 작업하중이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박일원, 연구원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H/Body파트 HEAD-Body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현장 밖에서 소재(대차이동) - CNC#1 - 트랜스퍼(국소배기장치 사용하지 않음, 이동

공간 협소 작업지장) 경사롤 - (이동공간, 사다리 설치 이용중)10축 - CNC 2# -

CNC 3#(이동공간협소, 작업지장, 트러블 제어시 문제) - 디버링기 - 버(이바리) 제거

작업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소재 대차 이동시(1개 대차: 250kg, 20m 이동, 칩통 대차 무겁다) 힘들다.

2. 절삭유: 국소배기장치 미흡으로 분산, 여름철 썩는 냄새 심하다.

3. 허리디스크 산재경험있고, 현재 작업시 허리통증과 왼쪽 발바닥이 절임(발바닥

3~4일 통증)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7 0.5 들기 2kg*300회

부작업1 밀기(대차)250kg*2회

부작업2 칩대차 4회처리

개 선 방 향 전동형 대차 사용으로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고, 냄새 대책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가공분사 파트 H/sub(앞)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열처리(피막장) 대차로 소재 이동 - 휠터 압입기 - 내경연삭 - 세척기 - 열박음 등의 순으로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1. 열처리 피막장에서 소재 이동시 힘들다. 1kg짜리 200~250개 작업하고,

200kg~250kg짜리 1일 2~3회 이동 작업함.

2. 허리통증시, 간혹 건강관리실에서 치료하고, 왼쪽 어깨에 뻐근함이 종종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7 0.57 밀기(200~250kg 1일 2~3회)

개 선 방 향 전동형 대차 사용이 필요하고, 높낮이 가변형 의자제공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구동 F/P파트 조립 ASSY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세척작업 - 제품보관 장소로 이동 - 조립 - 대차에 적재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부품(링, 밴, 로타) 소재의 날카롭고 이바리와 버 등으로 인해 손 베임이나 칩 박힘.

2. 작업대의 정반과 형광등, 부품 소재로 인한 반사로 눈부심.

3. 김민수 조합원과 작업공정 변경후, 4개월정도 경과되었는데 조립작업으로 허리통증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9 7 1.33 들기 10kg, 1일 40회

개 선 방 향 허리받침대 제공과 목구부림 자세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대 높이 개선등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9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 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파트 RV호닝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열차리에서 소재 이동 - 리밍기 - 도금 외주 - 호닝(내경 가공) - 세척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소음: H/Boody에서(디버링기) 에어분사 소리(칩, 절삭유 제거)

2. H/sub 근무시 오른쪽 엘보로 산재경험있고, 현재 간헐적으로 통증 있음, 어지러움

증 도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5 6 0.25

개 선 방 향 소음대책이 필요하고, 통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스트레칭을 수시로 할 수 있도록 틈틈

이 여유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항온실파트 세척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제2조합연삭 소재 이동 - 세척 공정 전 Head, C/S, PL 분리 - 세척과정(세척기) -

Head, C/S, PL조립 - 스프림시트, 와샤, 심, 클립 조립 - VE조립라인 Sub공정으로

이송 등의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산재로 2003~2007년 요양후 복귀, 고혈압 관련하여 1달~2달에 1번 치료 중

2. 현재 매일 2시간씩 건강관리실에서 허리, 다리(간혹 어깨) 물리치료 중.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20 7 1.25 밀기:300kg 정도 1일 3~4회

개 선 방 향 전동형 대차 사용으로 부담을 줄인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0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 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항온실파트 제1조합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PL라인에서 소재 이동 - 항온실에서 PL연삭 후 C/S 조합

작업조건 (실내) 온도 20℃ ± 2℃, 습도 50%~60%

작업자 고충 의견

1. 실내 공간의 어두움, 건조함. 외벽의 창문을 통해서 공기유입(간헐적으로 썬팅지 띄

어냄)

2. 과거 근막통(어깨)이 있었음. 수영과 웨이트트레이닝으로 치료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7 7 0.66

개 선 방 향 실내 공기질과 조도 측정 등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항온실파트 제2조합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Head Sub에서 소재 이동 - 항온실에서 Head+PL(PL연삭) C/S 매칭

항온실 실내 작업환경조건 : 온도: 20℃ ± 2℃, 습도: 50%~60%)

작업자 고충 의견

1. 작업시 작업자에게 분진 흡입되어 기계내 국소배기 장치 설치하여 흡입(외부공기)

와 배출공기 필요함. 월요일 출근 후 목이 아프고 가래생김.

2. 작업시 허리통증 있고, 건조해서 눈이 아프고 눈물샘이 막힘,

3. 현재 허리통증시 외부 침치료를 받고 있다. 치아 관련 4개가 흔들림(음주하지 않음.

흡연관련: 금연 4년째임)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20 7 1.0

개 선 방 향 국소배기장치 점검과 개선이 필요하고, 허리를 숙이고 하는 자세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6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분사D/N파트 레그네팅밸브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납품업체 현장 소재 투입 - 건드릴 MC - 검사, 세척 - 복합가공 or 드릴삭 - 세척

- 각인기 - R/V HOLDER 나사 수정 M/C - 열처리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복합가공 or 드릴삭 작업공정: 작업시 칩이 밖으로 분산, 돌출됨 (개선방안 요구됨)

피부나 눈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4 0.28

들기 15~20kg 1일 1~2회(건드릴 작

업시 바스피더에 box붓는 작업)

세척시(2번) 5kg 들고 이동 1일 6~8

번 반복

개 선 방 향 칩 분산 대책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6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D/V파트 자동검사기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D/SEAT 연삭 - 세척기 - 시트, 밸브조합 - 자동검사기 - 완제품 박스 적재

* D/VALVE 외경연삭 쓰가미, 슈트다 - 세척 - 시트, 밸브조합 - 자동검사기 - 완제

품 박스 적재

작업자 고충 의견

1.소재 부품이 작아서 손가락(엄지, 중지, 검지)이 아프다. 1일 시트, 밸브 각 2,000개

씩 조합함.

2. 허리로 4개월 산재요양 경험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5 0.6

개 선 방 향 앉아서 작업이 가능한 방법으로 개선이 필요하고, 작업량 조절로 휴식시간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0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2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6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DV파트 CPV밸브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CPV 밸브 내경연삭 - 조립 - 기밀검사 - 조립기(자동 9공정)

* CPV 밸브 외경연삭 - 조립 - 기밀검사 - 조립기(자동 9공정)

* CPV(HCV) 시트 및 외경연삭 - CPV(HCV) 내경연삭 - 기밀검사 -조립기(자동 9공정)

작업자 고충 의견 작업공정이 25~30미터로 너무 길어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6 0.5

개 선 방 향 담당 작업공정을 줄이거나, 작업량 조절을 통해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6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D/N파트 D/V수동검사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합연삭(밸브연삭) - 절흠연삭 - 조합(조립): 밸브+시트 - 수동검사 등의 순으로 작

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1일 1000~1200회 수동검사시 오른쪽 손 엄지손가락을 많이 사용함.

2. 현재 수동검사 레버 조임 작업시 쑤심 현상이 있다. 목이 뻐근하다.

3. 손등(엄지손가락 위쪽) 골절 6개월 정도 산재경험이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6 7 3.5

개 선 방 향 손가락사용이 많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앉아서도 서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

업량 조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박현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PL파트 방전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외경연삭, 단면초사상 및 세척 - 소재(PL)를 방전 1#, 2#, 3#기에서 방전액속에서

PL소재와 전극봉에 전기를 걸어서 방전 가공을 함 - 가공 완료 후 투영기를 통해서 측

정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투영기 검사시(측정) 눈부심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7 0.6

개 선 방 향 눈부심 개선 방안이 필요하고, 상지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작업자세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PL 파트 외경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소재를 열처리에서 대차이동(80M) - 단면 연삭가공 - 외경 연삭가공 1호기, 2호기 -

ZONE 가공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근막통으로 3개월 산재경험있고, 현재 어깨통증때문에 휴게실에서 벨트 맛사지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6 0.166 12kg 4회

개 선 방 향 소재 투입 방법개선과 앉아서 작업이 가능한 부분에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구동반 F/P 파트 양면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RING : 제품대기 - 양면연삭 - 외경연삭 - 내경연삭 - 래핑대기로 이동

* ROTOR : 제품대기 - 양면연삭 - 내경연삭 - 구연삭 - 래핑대기로 이동

* 제품대기 - 양면연삭 - 구연삭 - 바렐대기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1. 열처리에서 소재(대차) 이동시, 작업부하량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는 것이 불만사항,

중량물 취급시 15~20kg의 BOX를 적재함에 옮기는 것이 부담됨.

2. ROTOR 구연삭 작업 중 소재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손목이 꺾이는 문제가 있어 어

려움.

3. 산재(어깨, 목), 조립공정에서 연삭공정으로 변경(4개월 되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7 7 1.67

들기 15kg box

1일 15회,

밀기 150kg 1회

개 선 방 향 중량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동형 대차사용이 필요하고, 작업량 조정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박일원,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구동반 F/P 파트 Disk구연삭, VANE 양면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Disk 구연삭 - 바렐 - 세척 - 조립과로 이동

* VANE 3M 1차 2차 - D연삭 - 세척 - 10M - 바렐 - 세척 - 분류

작업자 고충 의견 1. 벤 양면연삭기 작업시 소재 배출기 에어 사용하는데 소음 심함.

2. 허리로 산재경험있고, 현재 허리통증 있어 수영, 웨이트트레이닝으로 허리근력운동중임.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6 0.33 15kg 3회

개 선 방 향 소음대책과 부적절한 자세 교정을 위한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한상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가공분사 c/s 파트 4축 호닝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P/W 홀연삭 - 내경호닝 내경연삭(전수 수동 손작업) - 세척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호닝 작업위치가 높다.

2. 목디스크(수술)-작업시 등이 아프다. 팔, 허리 몸통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9 6 2.25 12kg 3회

개 선 방 향 호닝 작업위기 개선이 쉽지 않다면, 작업량 조정 등을 통해 부담을 줄이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

작업 사진

Page 11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양정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선삭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투입 - 건드릴 드릴 가공 - Air 검사구 검사 #1 선박 외경삭 - #2선반 내경삭 -

두원 R/T, 야마시다 - 태링센타 기준홀 가공 - Panch가공(흡입형) - 세척기 세척 -

검사(기준홀․ 전체) - 완료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누유 다량 발생, 고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7 0.75 15kg 8회

개 선 방 향 누유와 고온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상지부담을 줄일 방안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정혁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C/Disk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NC소재투입 - NC가공 - 면취 - 풀리건 - 다축드릴 - 각인 - 황삭연마기 - 소재망

에 담고 - 열처리 입고하는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NC소재 투입시 힘들어 손목과 어깨에 통증이 있다.

2. 면취기 분진, 다축 드릴 절삭유 분진이 심하다. 다축드릴 면취 버 제거시 팔목이

아프다.

3. 이전에 8개월간 산재경험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1.75 밀기작업 15kg*20/2일

부작업1 열처리 15kg*20/2일

부작업2 들기:15kg*10회

개 선 방 향 허리 굽힘과 팔 어깨 위로 드는 자세 교정을 위한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양정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D/H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외부에서 지게차로 소재 투입 - 6축 기계설비 작업 - 소재 대차이동 - 8축 기계 설비 작업

- 콤베아 세척기 작업 - 외경 가공 - M12 나사 작업+완료 - 도금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칩장으로 칩 대차 이동시 중량과다하다. 칩 배출 방법 개선, 기름 누유

2. 어깨, 허리통증(사내 물리치료), 발목 사내치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6 0.5 3~4kg 소재 24EA 이동

개 선 방 향 칩과 누유 대책이 필요하고, 중량물 이동에 전동형 대차 사용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한상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D샤프트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페이스 센타삭 - 외경작업 - 두부면삭 - 다각기 - 키홈삭 - 커브삭 - 디버링기 - 전

조기 - 센타수정삭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함칩 콘베어 등 설비 노후화에 따른 불편, 절삭유와 유압유 누유 및 비산에 따른 문

제, 간이 칩장 설치가 필요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6 6 0.625 밀기 15kg*5=75kg

부작업1 75kg*2회=150kg/일

개 선 방 향 설비노후 대책을 마련하고, 누유와 오일미스트 대책 그리고 간이칩장 설치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한상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PLUNGER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10공정 NC 두부작업 - 20공정 단면작업 - 30공정 NC전체연삭 - 40공정 심혈삭 -

50공정 두부홈작업 - 60공정 중앙 - 70공정 홀작업 - 80공정 구멍뚫음 - 90공정 디

버링 잔해물 제거 - 100공정 전해기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00 전해기 작업시 전극봉이 자주 부러짐 및 표막이 자주 밀림. 40공 심혈삭 자주 부

러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7 0.14

개 선 방 향 소재가 부러지는 것을 줄이고, 리프트 사용으로 부담자세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정혁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R/H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풀리건 구부삭 - 3파이, 8.7파이 드릴삭 - 8.5파이 디버링 - 커브삭 - 사포디버링 등

의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폴리건 소음, 드릴삭 분진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6 0.13

개 선 방 향 분진대책이 필요하다. 높낮이 가변형 의자 제공으로 부담자세 최소화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0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한상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T/PISTON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양단면삭기 - 다축드릴 - 홈삭기 - 호닝Ⓜ - 내경 CNC - 디버링 등읭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소재투입 Box 들어 올리는 작업으로 힘들다.

2. 분진 (air, 절삭유)

3. 어깨 결림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7 0.5 들기 12kg*15번

개 선 방 향 발판 등을 사용하여 어깨 이상으로 팔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 일 한상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파트 T/Piston 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piston 샌타레스 투입 - 연마 - 육안으로 치수 확인 세척 - 외주도금 작업 후 제2차

연마 - 육안으로 전수 검사 후 BUSH 작업후 VE조립과로 인수

작업자 고충 의견 알루미늄 미세 분진이 많이 날림. 냄새가 많이 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5 7 0.4

개 선 방 향 도금업체 사용물질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고 분진과 냄새 대책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0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정혁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선삭 R/H 파트 전해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세원그란더 작업 - 소재청소 - 전개 - 그란더작업 - 철망에 적재 - 열처리 등의 순

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전해액 옷과 몸에 뭍음.

2. 소재 청소시 칩이 튀는 경우가 생김.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5 0.25 밀기작업 200kg 1회

개 선 방 향 전해액 성분 점검이 필요하고, 튀는 칩과 전해액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 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R/H 파트 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부품세척 - 조립 - 상호차 측정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세척작업이 부담됨.

2. 어깨 근막통 6개월, 우측 무릎 연골파열(수술), 현재 어깨 결림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7 1.0 들기 10kg 3회

개 선 방 향 적재 높이 개선이 필요하고, 발판설치로 어깨 위로 팔을 사용치 않도록 하는 것이 필

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6 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하우징 파트 5면 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5면 가공

작업자 고충 의견 1. 절삭유 탱크 가스배기 장치

2. 요추디스크 10개월 산재경험있고, 현재 어깨 통증이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6 1.25 1.3kg*300개 작업

개 선 방 향 절삭유 탱크 배기 대책마련이 필요하고, 허리 숙임작업 유발요인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6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하우징파트 내외경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이동 - 내외경 선삭 - 3면 가공 - 미크론 5면 가공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3면 가공 에어블록 소음발생이 심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6 1 390kg 대차이동

부작업1 1.3kg 300개 작업

개 선 방 향 소음대책이 필요하고, 중량물 이동시 전동형 대차사용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1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2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양정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하우징 파트 함침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함침 - 회수조 - 세척조 - 경화조 - Air Blow 등의 순으로 작업함.

하루 130kg정도 중량물을 9회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뇌경색으로 약 4주 치료 경험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5 7 0.75

개 선 방 향 적재물 보관대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중량물 전동형 대차 사용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D/V 선삭 파트 전수 검사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주작업 : 육안 전수검사

부작업 : C.P.V 내경 선삭 1# 2#

작업자 고충 의견 요추디스크로 3개월 산재경험있고, 현재 허리통증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5 0.75 1000kg 주1회 대차이동

개 선 방 향 어깨 위로 팔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판사용이 필요하다. 검사를 앉아서 할 수 있

도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한상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F/P 파트 양면 래핑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ROTOR :적재 다이에서 래핑작업대로 이동하여 래핑 작업 후 ROTOR 구연삭기로 이동

RING : 적재다이에서 랭핑작업대로 이동하여 래핑 작업후 바구니에 담아 세척공정으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팔목과 무릎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7 0.83 15kg 10회

개 선 방 향 앉아서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높낮이 가변형 이동가능한 의자 제공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김선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R/H 파트 외경연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이동 - 외경연삭 - 내경연삭 - 구연삭 - 세척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요추디스크 12개월 산재 경험 있고, 현재 연 2회 꼴로 허리 통증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4 0.3 밀기 100kg 2회

개 선 방 향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작업방법 개선과 앉아서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

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 일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부서 조립 파트 기계식 조정(T/B)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런닝) 배달 작업자가 가져다주는 기계식 펌프를 조정하는(성능조정) 작업으로

수동 작업으로 RPM구간별로 조정하는 작업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다.

(1대 생산 12분 설정)

작업자 고충 의견

1. 팔꿈치, 목, 어깨 통증이 있음. (특히 팔꿈치가 주기적으로 통증있음)

2. 예전에 런닝 작업을 했음. 그때부터 통증이 있었음.

3. 팔꿈치가 아파서 회사에서 물리치료를 받음. (어깨, 팔꿈치)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7 1 5.5kg 50개 / 10h

개 선 방 향 작업량 조절을 통해 작업중 틈틈이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한상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기계식조립 파트 가바나레버조립 9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8공정에서 조립한 제품에 부시와 스프링, 가바나 레버를 조립하는 공정으로 조립공정

에서는 마지막 공정임.경기본부 파견후 2010년 4월 21일 복귀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어깨 통증 있음.

2. 2002년 근막통증후군으로 산재경험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3 1

개 선 방 향 작업대 높이 조정을 통해 부담자세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 일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기계식 런닝 조정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립한 기계식 펌프를 조정라인에 투입하기 전에 런닝기에서 펌프를 한번 돌려서 내

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서 조정 작업자에게 배달을 해주는 작업이다.(런닝기 9대)

작업인원은 3명이며, 1명은 조립에서 런닝기로 펌프 이동 작업, 1명은 런닝이 마무리

된 펌프를 조정 라인에 투입하는 작업을 한다.

작업자 고충 의견 중량물을 자주 들고 손목을 비트는 작업이 많아 손목이나 팔에 무리가 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6 0.75 5.5kg 400개 / 10h

개 선 방 향 중량물 작업과 상지 부담 작업을 고려하여 작업량 조정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양희만과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파트 기계식조립 공정 헤드조립 5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4공정에서 완료한 제품에 헤드와 가바나 레바를 임팩트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공정

작업자 고충 의견 임펙트 사용시 진동 등으로 인해 불편감이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3 1.25

개 선 방 향 임펙트 개선이 필요하고,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기계식조립 파트 기밀시험기 10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립라인에서 마지막 작업으로 조립완료한 제품을 에어를 활용하여 제품을 기밀 시험

유에 담가 누유되는 곳이 있나 확인하는 작업임. 한번 작업할 때 2대씩 하고, 작업대에

서 펌프를 들어서 이동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분진이 있어서 눈이 침침해진다.

2. 펌프를 들어올리는 작업이 있어 어깨에 통증이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6 1.25 5.5kg 10시간 400개

개 선 방 향 분진 대책이 필요하고, 펌프를 들어올리고 이동하는 것과 관련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양희만,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기계식 조립/ 공정 롤러 홀더 조립 2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1공정에서 나온 하우징을 빠렛트에 올려 롤러와 피스톤을 수동으로 조립하는 작업

2공정 작업 후, 3공정으로 이동해서 작업

작업특성상 작업자가 전체 공정을 순환하면서 작업을 진행함.

1인이 2공정 정도를 작업함.

물량 정시 340대, 작업 400대. 1명이 정시 60대 생산

작업자 고충 의견

1. 적응이 되어서 없음.

2. 작업 하는 곳이 키에 비해 낮음.

3. 어깨 통증, 회사에서 물리치료 받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3 0.83 1.9kg(약300개)정시

개 선 방 향 작업대 높이를 조정하는 것과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양희만과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기계식조립/ 공정 Dot 각인 및 P/pump, D/shaft 조립 1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하우징에 제품번 도장을 찍은 후 Dot 각인기에서 각인을 찍음.

P/pump와 D/shaft 부품을 하우징에 자동 조립기로 조립하는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1. 하우징에서 냄새가 심함. (바로 나왔을 때)

2. 하우징이 칩이 있어 작업할 때 불편함.

3. D/shaft 박스를 들때 어깨에 무리가 많이 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4 0.8 1.2kg(약300개)정시

개 선 방 향 냄새와 칩 관련 대책이 필요하고, 박스를 드는 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기계식조립 파트 G/COVER 조립 8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7공정에서 조립한 제품에 리테이닝 핀과 가바나 카바를 조립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손을 많이 사용하여 작업을 해선지 손목과 어깨에 부담이 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3 1

개 선 방 향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한상철과 양정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기계식조립 파트 H/PLUG 조립 7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6공정에서 조립후 자동조립기를 통해 너트와 볼트를 조립한 후 역전 세척기에서 세척

한 후 헤드 플러그와 필터, 스프링을 조립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예전에 수동 작업할 때 어깨를 많이 쓰는 작업을 해선지 오른쪽 어깨 통증 있음.

2. 목디스크로 산재치료 경험있음.3.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3 0.66

개 선 방 향 손활동도 감시기준을 초과한 바, 손 관련 작업 개선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양희만과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기계식 조립공정 K-MAB 측정 4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3공정에서 나온 펌프 켐디스크를 조립 후 K-MAB 측정기를 통해 HEAD 및 하우징

측을 측정하여 K-MAB심을 헤드에 조립하는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1. 어깨통증이 있음. 허리 통증이 최근 들어 있음.

2. 목디스크로 산재치료 받은 적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3 0.66

개 선 방 향 정취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1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신정범과 서경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기계식 조립 파트 MS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5공정에서 나온 제품을 통해 자동 헤드 볼트 조립기와 피봇 볼트 조립기를 통과한 제

품을 MS측정기를 통해 각심과 클로징 플로그를 측정해서 가바나 샤프트로 조립하고

플라이 웨이트와 레규레이팅 밸브를 조립하는 작업임.

펌프를 들어서 위치를 바꾸는 작업이 힘듬.

작업자 고충 의견 1. 어깨 통증이 심하지는 않으나 가끔 있음.

2. 인원이 줄면서 공정을 2~3개씩 작업을 해서 힘들다.3.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5 1.25

개 선 방 향 펌프를 들어서 위치를 바꾸는 것을 자동화하는 등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 일 양희만과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기계식 조립 공정 T/COVER 조립 3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2공정에서 나온 하우징에 T/COVER와 디스크 등을 조립하는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손을 많이 사용해선지 손목과 어깨가 쑤신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3 1

개 선 방 향 정취자세 작업임에도 통증을 호소하는 바, 고개 숙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0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 일 한상국과 김오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레일조립 서브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포장 제거 - 제품다이에 옮겨싣음 - 세척기 앞에 안착

RDS 포장 제거 - 제품다이에 옮겨싣음 - 라인투입

DRV 박스 제거 - 제품전용대차에 옮겨싣음 - 라인투입

작업자 고충 의견 반복작업에 의한 허리에 부하가 많이 걸림.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7 0.33 1.5kg을 800회

개 선 방 향 리프트 사용으로 허리숙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한상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레일 검사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고압 성능 검사 후 - 완제품 다이에 반복 - 네임플레이트 검사 및 - RDS검사 - 나

사산 찍힘 검사 - 캠씌우기 - 완성제품 - 다이에 출하

작업자 고충 의견 크게 무리는 없으나, 가끔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5 3 0.25 1.5kg 320회

개 선 방 향 정취자세에 가까운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반복작업으로 인한 부담 완화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한상국과 정혁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레일 고압유밀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다이에 소재 투입 - 임팩트 작업 - 유량 검사 - 유량검사 후 - 임팩트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1. 여러개 잭을 꼽기 때문에. 힘이 듦.

2. 손을 위로 올리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어깨와 팔이 아픔.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5 3 0.5 1.5kg 480회

개 선 방 향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한상국과 김오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레일 세척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바리 세척 공정으로 바리가 투입되면 세척기에 들어가기 전에 투영기로 이바리 확인

후 4EA씩 세척기 투입. 세척 완료 후 콘베어 위에 1EA씩 올려 놓는다.

작업자 고충 의견

1. 투영기에 이물질이나 이바리가 잘 보이지 않아서 작업이 어려움.

2. 세척기에서 나오는 안개 같은 것 흡입시 문이 조금 늦게 열렸으면

3. 똑같은 반복 작업으로 왼쪽 팔꿈치가 아픔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5 4 0.33 1.5kg 320회

개 선 방 향 배기대책이 필요하고, 반복작업으로 인한 부담 점검과 완화할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2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2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한상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레일 RDS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컨베어에 있는 제품을 집어서 네임 플레이트 작업 후 내경(화상검사) 이물질 및 이바

리 검사하고 (RDS) or 메꾸라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제품이 무거워 이동 중 팔이 아픔(D엔진)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5 0.25 1.5kg 320회

개 선 방 향 중량물 이동방안 개선이 필요하고, 이바리 제거 방안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 일 박현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메인 코벡 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코벡 조립 라인은 10개 공정으로 되어 있지만, 물량이 많이 없어서 1인~2인이 작업

(정시 기준: 1인 40대)

기계식 조립 라인과 비슷하게 콤베어에서 하우징에 Dot작업과 P/pump, 피스톤, 켐디

스크, G/COVER, TCV, TPS 부품을 공정에 맞게 조립하는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물량 불안정으로 담당공정이 많아서 불편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4 0.5 6.2kg 100대 / 10h

개 선 방 향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 생산계획 수립과 인력투입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한상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완성조립 공정 기밀시험 5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완성 조립을 완료한 펌프를 기밀 시험기에 장착하여 누수 시험을 하는 작업.

작업자 고충 의견 1. 허리 통증이 있음. (정시하면서 통증이 완화 되었음)

2. 허리통증으로 회사에서 물리치료 받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4 0.57

개 선 방 향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박현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완성조립 공정 엑츄에이터 브라켓조립 3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2공정 작업 후 펌프에 액츄에이터, 브라켓을 조립, 아이는 가조립

작업자 고충 의견 1. 허리통증이 있음.

2. 한의원에서 물리치료와 침 맞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3 0.57

개 선 방 향 허리와 목을 숙이고 작업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 일 신정범,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완성조립 공정 와이어조립 2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1공정 작업 후 와이어 조립과 하단 브라켓을 조립

작업자 고충 의견 공정을 2-3개씩 할 때 어렵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3 0.57

개 선 방 향 담당 공정 수를 조정하고, 높낮이 가변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한상국과 한상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완성조립 공정 IN, OUT 아이 조립 4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3공정에서 OUT측 아이 가조립한 것을 조립하고 IN측 아이를 조립

작업자 고충 의견 1. 목, 어깨 통증이 있음.(작업할때보다 휴식할 때 아픔)

2. 목 디스크로 산재 치료 받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4 0.57

개 선 방 향 작업량 조정을 통해 부담을 완화하거나 부서내 타 공정과의 전환배치 등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 일 한상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완성조립 공정 KEY WEY 조정 1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정작업 완료한 펌프를 파렛트에 안착시키고 CAP 봉인 후 (임팩트로) 타코 픽업을

조립하는 작업.

- 기종별로 현대 기종은 KEY조립, 기아 기종은 제외.

6개 공정에서 보통 4명이 작업 ⇒ 5공정으로 축소됨.

조정라인 인원에 따라 인원 변화 있음.

작업자 고충 의견 작업공정에 인원이 적을 때 2공정씩 작업해서 어렵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4 0.57 5.5kg 400대 / 10h

개 선 방 향 허리 비틀림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작업방식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엄정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코벡런닝 조정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립라인에서 조립한 코벡 펌프를 조정라인에 투입하기 전에 런닝기에서 펌프를 한번

돌려서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서 조정하기 편하게 하는 작업이다.(런닝기 12대)

작업자 1명

작업자 고충 의견

1. 런닝이 높이가 낮아서 어렵다. (작업자에따라 기준이 다름)

2. 허리에 통증이 있다. (담이 잘 걸림)

3. 허리, 팔이 아파서 회사에서 물리 치료를 받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6 0.6 6.2kg 100개 / 10h

개 선 방 향 런닝 높이 개선이 여의치 않다면, 앉은뱅이 이동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양정석과 강민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코벡 완성 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코벡 완성 조립은 8개 공정이 있지만, 1명이 28대(정시)를 모든 공정을 소화하며 생산.

코벡 펌프 외관에 브라켓과 아이를 조립 후 기밀 시험을 검사 - 와이에 테이핑을 하고

클립을 조립함. 2명이 작업하다가 간혹 1명이 작업하기도 함.

작업자 고충 의견 담당 공정이 많아 반복작업이 적은 것은 좋으나 불편하기도 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4 0.57 6.2kg 10시간 100대

개 선 방 향 담당 공정을 적당하게 조정하고, 부담자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0 일 엄정흠 ,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코벡 조정 공정(T/B)

작 업 공 정 설 명

런닝 작업을 마친 코벡 펌프를 조정하는 작업으로 기계식 펌프 보다는 많은 부분이

자동화 되어 있어 기계식 보다는 손을 사용하는 횟수가 적지만 모니터를 지속적으로

봐야 하는 작업으로 눈에 많은 피로가 가는 작업이다.

작업자 고충 의견 1. 가끔씩 팔에 통증이 있음.

2. 치료받은 적 없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7 0.57 6.2kg 37대 / 10h

개 선 방 향 작업량 조정으로 눈의 부담과 상지작업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작업 사진

Page 13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양희만,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D/shaft sub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D/shaft에 키를 본드로 붙이고 - 기어와 댐퍼(고무)를 조립(조립기에서) - 박스에

D/shaft를 담은 후 와셔를 조립.

작업자 고충 의견 수작업이 많아 손목과 목에 부담이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5 3 0.5

개 선 방 향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 할 수 있도록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 일 양희만,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P/pump, G/LEVER 플라이웨이트 서브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GO V/SLEEVE, 와셔 등을 사용하여 플라이 웨이트를 조립.

* P/pump, G/LEVER을 세척해서 sub하는 작업(일 물량은 조립라인 생산에 맞게 준

비)

작업자 고충 의견 1. 세척기에서 소음이 많음.

2. 전 보다는 줄었지만 분진이 좀 날림.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3 0.5

개 선 방 향 소음과 분진 대책이 필요하고, 작업대 높이 조정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 일 양희만,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헤드서브 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헤드바디에 M/VALVE와 고무링을 조립 후 빠렛트 안착 - D/VALVE와 홀더를 조립

- 가이드 핀과 심, 스프링을 조립(조립 라인 생산에 맞게 생산 준비)

작업자 고충 의견 서서 작업을 해선지 다리가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3 0.5

개 선 방 향 앉아서도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 일 양희만,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sub ACS, BCS 카바 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빠짐없이 자세하게)

가바너 커버에 스크류 부쉬, 플레이트, 너트를 조립 - 레바, 플러그, 로드 스크류 조립

- 스프링, 벨로우즈 조립 - 카바 조립 및 브라켓 조립 - 고무 도장(품번) 마킹

(정시: 1인 60EA/일, 2인 100EA/일)

* 작업량이 많을 때 반장이 도와줌.

작업자 고충 의견 1. 납품회사에 제때 안들어오고 부품이 제때 수급이 안됨.

2. 생산이 불규칙(몰아치기로)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3 0.5

개 선 방 향 부품공급을 안정화하여 일이 몰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2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 일 양희만,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sub R/VALVE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R/V 본체에 피스톤, 플러그, 스프링을 공급하여 자동 조립기에서 조립 후 고무링을 수

동으로 끼워주는 작업. (정시:4W EA/일)

작업자 고충 의견 기계가 오래되서 고장이 많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7 3 0.66

개 선 방 향 설비 노후화 대책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양희만,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VE 부서 조립 파트 T/COVER SUB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저압측 T/COVER에 심과 스프링을 기종별로 sub조립 작업

- 슬라이더 sub작업

- 오일 씰 sub작업

- 타이머 티스톤 sub 조립 작업

*여러가지 작업을 같이 함.

작업자 고충 의견 전에는 기종마다 달라서 헷갈렸지만 지금은 괜찮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3 0.5

개 선 방 향 이공정 작업자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규배치시 숙련도를 고려한 작업량 조정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0 -

두원정공 PE 공정별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체크리스트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6일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하우징 파트 4, 6P 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소재 파렛트 이동(4P는 ‘A' 타입 개당 3kg 내외 81개, ’AA' 타입 개당 4kg 내외

90개씩이고 6P는 개당 4kg 내외 224개씩임.) - #10공정(기준홀 가공) - #20공정(14

개 공정 자동 외부가공-컨베어로 #30공정으로 이동) - #30공정(5개 공정 자동 배면가

공 후 슬러터 라인으로 이동)

* 전체 3개 공정으로 자동가공 10시간기준으로 4기통 135개, 6기통 113개임.

* 가공시간은 #20공정은 1시간, #30공정은 20분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설비 트러블이 있을 때 기계안 에 들어가서 작업하는 것이 힘들다.

2. 분진이 심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7 0.14

개 선 방 향 국소배기 장치 기능을 향상시키고, 설비트러블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윤기봉,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BARREL 파트 BL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 외주(유원정공) 가공후 라인 투입 - G/DRILL M/C에서 홀 가공 - 양단면취가공

- PORT 홀 가공 - 방전가공을 함.

중요 공정 작업으로 BARREL 집합구성 가공이다.

작업자 고충 의견

1. 라인 공정 역방향 작업으로 피로가 심함.(기계 반드시 재배치 요망)

2. 소재 박스 무게가 무겁다.

3. G/DRILL M/C 소음 및 방전 분진, 고열 작업으로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5 0.5 2.3kg 이하

개 선 방 향 소재박스 무게를 가볍게 하고, 레이아웃에 대한 점검과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현덕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하우징 가공 파트 PE-A SUB 조립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BASH와 PIN 압입 - DF 체결기 - ADAPTER IP 조립 - 하우징 세척기 - 링 압입

(왼손으로 3kg 하우징 기계 체결후 이발이제거하고 DF 체결, IP 양손으로 ADAPT 조

립하고 세척후 링 압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임펙트 진동을 무진동으로 작업전환이 필요함을 호소.

2. 손목에 통증이 있음을 호소.

3. 산재했던 조합원 퇴사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20 7 1.8 3~10kg

개 선 방 향 임펙트 개선이 필요하고, 정취작업 자세로 일할 수 있도록 작업방식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BARREL 파트 BL외경삭(수동곤도)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BARREL 소재를 오른손으로 잡고 돌리개는 왼손으로 잡아 소재를 도리개에 끼우고

핀을 꼽고 돌리개를 돌린다음 오른손으로 심갑대 손잡이를 잡아 돌리개를 심갑대에 꼽

고 연삭후 외경이 잘나왔나 마이크로미터로 확인하고 박스에 넣음.

10시간 기준으로 700~750개 작업함. 자동곤도는 350개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지석 가루가 날리고 절삭유 냄새가 난다.

2. 휠 교환시 허리에 무리가 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6 0.8

개 선 방 향 휠 교환 방법 개선이 필요하고, 작업물량 조절을 통해 적정한 휴식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3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2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현덕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하우징가공 파트 SLOTTER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F.T.L 가공후 하우징 버 제거하고 캠 샤프트 홈을 가공후 배면을 가공하고 버를 제거

한 후 세척함.

하루 10시간 기준으로 140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버 제거시 진동으로 오는 손목의 힘과 어깨결림을 호소함.

2. 버 제거후 하우징을 SLOTTER 작업시 결합(물림)할 때, 상체를 앞으로 과도하게

숙이고 뻗는 것 때문에 허리와 어깨에 무리가 온다고 호소함.

3. 산재발생 공정임.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7 2.25

개 선 방 향 진동기구 개선이 필요하고, 설비개선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작업량을 줄여 작업중

여유있는 휴식을 수시로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윤기봉과 이봉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BARREL 파트 전해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를 손으로 잡고 전극봉에 차기하여, 작업완료후 다시 손으로 뽑아서 박스에 담는

다. 그리고 중화제로 세척하여 다시 박스에 담아 외경삭으로 넘긴다.

작업자 고충 의견 1. 전해 작업시 분진이 날린다.

2. 일일 하루 작업을 하면 다리가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6 0.2

개 선 방 향 의자를 제공하고 작업량 조절을 통해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BL 선삭 파트 호닝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열처리된 BARREL 소재를 소바구니에 옮겨 담고, BARREL 소재를 SUN NEN 치구에

소재를 넣어서 가공 후 치수 측정함. 이어 소재박스에 담아서 연삭 호닝으로 보냄.

하루에 700~750개(SUN NEN), 300개(3축 호닝기) 작업함.

SUN NEN 작업하면서 3축 호닝기 작업도 관리해야 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장시간 작업시 목과 어깨 통증 유발함을 호소.

2. 오래 서서 작업해서 다리가 많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7 0.6

개 선 방 향 앉아서 할 수 있는 작업은 의자를 제공하고, 과도한 손뻗힘 작업을 지양하는 작업방식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BL연삭 파트 래핑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외경연삭이 완료된 BARREL 소재를 플라이어로 잡고 소재를 래핑 축에 낀 다음 랩제

를 테이퍼 봉에 발라주고 작동시켜 작업하고, 래핑작업이 완료된 소재를 오른손으로 잡

고 경우가 들은 브러쉬 세척통에서 브러쉬 세척하고 내경치수가 잘 나왔나 확인하고

다음 공정으로 보냄.

하루 작업량 10시간에 PE-P는 500개, PE-A는 550개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어깨 걸림, 손목 비틀림, 무릎 통증 있고, 장시간 작업으로 힘들다.

2. 랩제 냄새와 경유냄새가 많이 나서 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5 7 2 가벼운 소재

개 선 방 향 정취 자세로 작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고, 냄새 발생을 줄이거나 배기설비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BARREL 파트 BL연삭 검사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진공세척기 작업후 작업판에 담긴 소재를 작업대에 옮겨서 소재가 식을 때까지 기다

렸다가 식으면 양손으로 소재를 5개 정도 잡고 전해경과 단면삭이 잘되었나 확인하고

박스에 담아서 다음공정으로 보냄.

작업자 고충 의견 파라솔 세척유 가열하면 냄새가 극심하게 난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4 0.6

개 선 방 향 배기 설비를 통해 냄새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1일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BL연삭 파트 미드면 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PL 플렌저 선삭에서 나온 플렌저를 열처리 하고, 다시 양면을 연삭하여 일정한 치수

로 가공한다. 하루 600개 정도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분진(미스트)이 많이 날린다.(개선요망)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5 6 0.6 2kg 이상 간헐적이동

개 선 방 향 발판을 설치하여 팔을 어깨위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박종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가공 파트 C/S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우 테이퍼 부 연삭(180개 한 쪽 테이퍼 연삭 후 숫돌 교체후 반대편 테이퍼 부 연

삭하고, 이어 중간측 연삭하고 각 기종별로 1호기 PA 4기통, 2호기 PA 6기통, 3호기

PE-P 6기통, 편심, 분사 CAM 연삭 작업함.

하루 10시간 기준으로 180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설비마다 과다한 오일 미스트 발생함.

2. 1호기와 3호기 횔교체시 장소 협소함.

3. 임승용 조합원은 허리와 어깨로 10개월 산재경험 있음. 현재 작업시 허리와 어깨에

경미한 통증있음을 호소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7 0.8 2kg 180개/10시간

개 선 방 향 휠교체 방법 개선이 필요하고 공간확보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LUNGER, BARREL 파트 BL연삭 래핑 세척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래핑으로 완료된 BARREL 소재를 스프레이 세척기에 넣고 깨끗하게 2~3회 세척하고

방전구멍이 잘 뚤렸는지 쓰다남은 전극봉으로 확인하고(하루에 100개이상) 다시 스프

레이 세척기에 외경이 깨끗하게 2~3회 세척함. 이어 브러쉬 세척기에서 양손으로 소재

를 하나씩 잡고 내경 브러쉬 세척함(하루에 1000개 이상). 이어서 세척기판(한판에

100개) BARREL 소재를 세워서 넣고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세척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스프레이 세척기에서 분진이 많이 날린다.

2. 경유 냄새가 많이 난다.

3. 과거 래핑 작업에서 목디스크로 산재했고, 현재는 목, 어깨, 손 등에 통증이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7 0.4 가벼운 소재

개 선 방 향 분진과 냄새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고, 작업량조절로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1 파트 #100 디버링, 세척 공정(상시주간)

작 업 공 정 설 명

앞 공정 완성품을 20개씩 작업다이에 올린다 - 임텍트에 철브러쉬를 달아 소재 가공

구멍을 디버링 한다 - 철브러쉬로 제거되지 않는 부위는 수작업(칼)으로 제거한다 -

세척기로 4개씩 세척하고 박스에 담는다

작업자 고충 의견 임펙트 진동 및 반복작업으로 팔과 어깨에 통증 발생을 호소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5 1

개 선 방 향 임펙트 진동이 완화된 기기 사용이 필요하고, 작업량 조절을 통해 수시로 작업중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2 파트 #10 플렌지부 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소재 파렛트를 수동리프트로 이동(주당 1~2회, 400~500kg) - 도어를 수동으로 열고

소재척킹 후 자동가동(가공시간 1분20초) - 작업완료 후 도어를 수동으로 열고 소재

탈착 - #20 공정 슈트로 이동시킴.

작업자 고충 의견

1. 가공완료 후 도어를 열면 분진이 심함.

2. 일과 종료 후 칩을 수작업으로 퍼내는 것이 힘듦.

3. 도어를 수동으로 열고 닫으면서 손목에 통증 발생을 호소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3 3 0.66

개 선 방 향 도어 자동장치로 개선이 필요하고, 분진 및 칩 작업 개선을 위한 설비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3 파트 #20 M26부 선삭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작업완료품을 인덱스에 척킹한다(인덱스는 원형으로 8개의 척킹치구가 있음).

가공 시간 1분간 자동가공 - 가공 완성품 탈착 -#30 공정으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설비 커버가 없어 절삭유가 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3 0.57

개 선 방 향 설비 커버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4 파트 #30 프랜지부 드릴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작업 완료품을 치구에 척킹후 1분간 자동가공 - 가공 완성품 탈착 - #40공정

슈트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공정을 여러 개 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3 3 0.42

개 선 방 향 담당 공정 수 혹은 작업량 완화를 하거나 작업량 여유인력 추가배치 등의 조치가 필

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5 파트 #40 M16부 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작업 완료품을 인텍스에 척킹한다(인덱스 한판에 소재 10개가 척킹됨 - 자동

가공시간 2분 - 인덱스는 원형으로 한번에 2개씩 가공 - 완성품 탈착 - #50 공정 슈

트로 이동함.

작업자 고충 의견 설비 노후화로 인한 잦은 트러블 발생으로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3 0.33

개 선 방 향 설비 개선을 통해 트러블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6 파트 #50M16부 20파이 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작업 완료품을 선반 수동으로 척킹한다 - 자동가동시간 2분 - 나사산을 이용

해서 수동으로 소재를 척킹한다 - 완성품을 탈착 - #60 공정 슈트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설비 노후화로 치수보정시 정도 떨어짐. 전수검사 실시에도 불구하고 잦은 설비트러블

발생하여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3 3 0.33

개 선 방 향 설비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투자와 품질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3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7 파트 #60 5파이 부 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작업완료품을 치구에 고정시킴 - 자동가동시간은 5분(한번에 4개씩 가공) -

작업완료후 #70 공정슈트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치구 높이가 낮아 허리숙임이 심해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5 0.66

개 선 방 향 치구높이를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앉아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8 파트 #70 M14부 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작업완료품을 치구에 척킹 - 가동시간 1분30초 - 완성품 탈착 -#80공정 슈

트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설비 노후화로 잦은 트러블 발생.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2 2 0.28

개 선 방 향 설비개선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설비 트러블을 고려한 작업량 조절

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0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9 파트 #80 6축 드릴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완성품을 치구에 고정 - 자동가공시간 1분 - 완성품 탈착

작업자 고충 의견 설비 불안정으로 잦은 드릴 파손 발생함. 잦은 드릴 교환으로 작업지연 수시 발생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2 3 0.25

개 선 방 향 설비개선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설비 트러블을 고려한 작업량 조절

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10 파트 #90 22파이 리밍, 세척, 부시압입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앞공정 완성품 치구에 고정시킴 - 자동가공 1분 - 가공완료후 세척기로 이동 세척실

시(1분) - 부시압입 치구에 고정후 부시 2개 압입 - 박스에 20~25개씩 담아서 디버링

공정으로 이동

작업자 고충 의견 작업공정을 여러 개 하는 것 때문에 부담스러움.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3 3 0.5

개 선 방 향 FP 여러 공정을 한명이 여러공정을 하기 때문에 인력투여로 적정 담당공정 설정이 필

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2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1~10 전체) 파트 F/P가공과 서브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주간 2명, 야간 2명, 서브 1명(이바리 제거 작업)이 작업하는 공정임.

* 12공정으로 소재 파랫트 500KG 이동-10공 프렌지부 선삭 32파이-20공정 M26 선

삭-프렌지부 드릴삭-M16부 선삭-20파이 선삭-5파이부 선삭 8리미-M14부 선삭-6측

드릴삭-22파이 리밍-푸쉬 압입-디버링세척 등임.

* 서브작업은 이바리 제거가 주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공정간 이동거리 길다. 반복 손동작 너무 많다. 디버링 인텍트 작업시 진동과다로

손목, 팔, 어깨, 근육통증이 있다. 삼각칼 이용한 버제거시 손목 비틀림 과다함.

2. 2인 1조 일하는데 1명 결원시 물량과다함. (10시간 기준 2명 할당이 120개/ 1명일

때 90개임)

3. 습진(자비로 치료중임)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7 1.33120*34번

약 1.5KG 1일 120개

부작업1(서브작업) 17 6 1약 1.5KG 일 240개

이바리 제거

개 선 방 향결원시 합리적인 작업물량 조정이 필요하고,버 제거 기기 및 진동기기 개선과 함께 담

당공정 수를 줄이거나 인력충원을 통해 여유시간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4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2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LUNGER 파트 PL매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바렐과 플렌저를 조합하는 공정으로 바렐 경에 플렌저를 연삭하여 매칭함.

바렐 플렌저는 ‘A' 타입, ’P' 타입, P.F.R용으로 구분됨.

작업자 고충 의견 분진(미스트)가 심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6 1 2.3kg 이하

개 선 방 향 분진 대책이 필요하고, 손활동도와 상지부담을 고려하여 작업량 조정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박종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가공 파트 F/W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주물 : 소재양면삭 작업-버 그라인딩- M.C.T(복합가공)-가공제품 그라인딩 및 면취

드릴링과 디버링-핀압입

단조 : 소재양면삭작업-버 그라인딩-복합가공-면취 드릴링-내측선삭 R34, R31-버그

라인딩-15파이 전용 드릴과 리버 작업-20파이 연삭-각인작업-15파이 스토퍼 핀 압입

-스토퍼 핀 선삭-핀 버 그라인딩-10파이 핀압입

작업자 고충 의견 1. 에어컨 사용시 미스트 다량 발생한다.(닥트 흡입력이 약함).

2. 요추염좌 2회 산재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1 0.8kg

개 선 방 향 일부 미장착 설비 포함하여 각 설비 닥트연결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현덕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가공 파트 PE-P 하우징 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기준홀 가공-타펫트 TA, PL 황삭-FTL 가공-전후면 가공

작업자 고충 의견 중량물 이동으로 인해 어깨통증을 호소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7 0.66 10~13kg 들기와 이동

개 선 방 향 중량물 적재 높낮이 변경 가능한 대차를 이용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F.R. 파트 3,4KD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P.F.R. 하우징 펌프 가공 공정으로 크게 3가지 작업을 함.

첫번째는 기계가공 부분이고, 두번째는 가공된 하우징 펌프를 사상하는 부분이고, 세번

째는 완성된 하우징 펌프를 피막작업 다시 RACK HOLE 재가공하는 부분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각 설비마다 분진(미스트)이 심하게 발생함.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1.2 3kg

개 선 방 향 중중량물 적재 높낮이 변경 가능한 대차를 이용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분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5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가공 파트 TAPPET 가공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호닝 M/C : 소재 박스(150개) PART/FEEDER 투입 - 자동 로딩후 인덱스로 투입

- 가공(10시간 기준으로 700개 작업함)

* 드릴삭 전용기 : 소재 박스(300개) PART/FEEDER 투입 - 자동 로딩후 인덱스로

투입 - 가공(10시간 기준으로 1,000개 작업함)

* 내경 연삭기 : 소재 박스(100개) PART/FEEDER 투입 - 자동 로딩후 인덱스로 투

입 - 가공(10시간 기준으로 2,500개 작업함)

* C/S 디버링 : 자동 브러쉬를 이용해 디버링작업-1차 세척후-자분탐상(형광물질을

이요한 크랙검사) 후 탈착 - 2차 세척후 방청작업(방청액 수조에 담갔다 꺼냄)(10시간

기준으로 180개 작업함)

* C/S 디버링을 제외한 공정은 단독공정이고, 호닝 MC, 드릴삭 전용기, 내경연삭기는

자동설비로 소재투입만 작업자가 실시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소재 박스가 무겁다.

2. 탁범우와 김민수 주야 맞교대 작업임.

3. 탁범우 조합원 요추 추간판탈출증 산재 발생 공정임.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3 0.5

개 선 방 향 소재 박스 무게를 경감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1일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LUNGER 파트 PL선삭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4kg 바 소재투입 - CNC 선반가공 - 제품 선별(800개 칩 제거 및 치수 확인) - 바구

니 담아 세척 - 각인기 PART FEEDER에 투입 - 열처리 망(파렛트)에 담는다(하루 8

시간 800개) - 대차에 싣는다(열처리망 4~5개).

10시간 기준으로 1,000~1,200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바 소재(길이가 4M) 투입시 어깨 및 허리에 무리가 간다. 투입시 설비와 설비 사이

가 좁아 작업반경이 좁아서 허리 비틀림이 있다.

2. 제출 선별과정에서 허리를 구부리고 작업을 하여 장시간 허리 통증이 있다.

3. 열처리 망에 담는 과정에서도 손가락이 아파서 집에 퇴근하면 한동안 주물러주고

마사지를 해야 한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7 1 2kg 이상 간헐적이동

개 선 방 향 작업공간 확장이 필요하고, 허리를 구부리고 작업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이동가능

하고 높낮이 변경이 가능한 앉은뱅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GOV가공 파트 #10 태핑머신 1, 2호기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GOV/HSG 소재 박스 이동(박스당 72개) - #10공정 기준면 선삭(소재를 선반에 척

킹-3분 자동가동-탈착후 에어분사-태핑 머신으로 이동 - 치구에서 분소후 소재 척킹

- 기동

* 태핑머신 1호기는 #10공정 완성품 치구에 척킹(2개씩) 후 가동하고, 2호기는 1호기

완성품 치구에 척킹(4개씩)해서 가동함.

* 완성품은 포장박스에 30개씩 포장하여, #20공정으로 이동함.

* GOV가공라인은 애초 한 라인이었으나 #10공정을 분리해서 운영중임. 1명 충원예정

임.

작업자 고충 의견1. 작업완료후 소재에 에어분사시 절삭유와 칩등이 튄다.

2. 태핑 머신 2호기 소재 탈착시 치구에 끼어 잘 빠지지 않아 손에 무리가 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4 3 1

개 선 방 향치구 개선을 통해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튀는 절삭유와 칩에 대한 방호구 설비가 필

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GOV가공 파트 #20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GOV/COVER 소재 박스 대차로 이동(박스당 72개) - #20 공정 기준면 홀삭 가공

(GOV/COVER를 치구에 척킹 - 가동(2분30초) - 탈착 - 치구를 에어로 청소 - 소재

재척킹 - 재가동

* #20공정 완료품을 #30공정 파렛트에 장착 - #70공정까지 자동 가공 - 탈착 - 파

렛트 에어로 청소 - 소재 재장착 - 자동가동

* #80 공정 세척(가공 완성품 2개씩 수용성 세척유로 자동세척)

* 박스포장(GOV/HSG 30개, GOV/COVER 45개)

* 10시간 기준으로 GOV/HSG와 COVER 1세트 기준으로 220개씩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80 공정 세척기 작업시 1차 세척액 분사후 2차 에어분사가 되어야 하나, 에어분사

시 세척액이 나와 에어분사 효과가 없다.

2. 대형설비인 관계로 청소하기 힘들고, #50~#70공정 칩이 쌓여 청소하기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6 3 0.66

개 선 방 향칩이 쌓이지 않게 절삭유 노즐 설치가 필요하고, 에어분사와 세척액 조절 타이밍 조절

로 품질개선을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김기호와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조정 파트 가버너 조정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가버너 조정 대기- 라인투입- 호이스트 이용하여 벤치 체결- 가버너 조정- 작업완료 후

호이스트 이용하여 빈 대차에 적재 등의 순으로 작업함. 하루 약 18kg 14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앞 공정과 뒷 공정에 생산 발란스 문제가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2.0 18kg 14개 작업

개 선 방 향 상지와 손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작업중 적정한 휴식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조정 파트 Q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가버너 조정 후 - Q 조정대기 펌프를 호이스트로 Q조정(MICOM 파렛트 안착-펌프

가조정-MICOM 밀어서 부착-Q조정-탈거후 완조 대기-대차이송)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소음이 많다.

2. 손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7 0.83 18kg 12개 작업

개 선 방 향 손목에 부담이 많이 가는 공정을 고려하여 작업량을 축소하여 틈틈이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4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6일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GOV조립 파트 가버너 하우징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카바 박스 분해-오일실 사프트, 스프링, 래바 부착-볼트, 와셔, 실스냅링 고정-와셔,

심, 스냅링, 칼라, 스트링, 래바, 스프링, 와셔, 볼트 조립후 토오그 확-사프트, 스프링,

유형 래바, 스프링, 심, 래바, 너트 조립후 토오크 확인-볼, 록와이트 삽입후 토오크 확

인-볼트 가조립-스프링 캡슐 가조립-박스 포장후 대차 이동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자주 구부리는 동작때문에 힘들다.

2. 반복작업으로 손목, 어깨, 허리, 무릎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6 1.5 1~2kg 60개 작업

개 선 방 향 부담이 많은 공정이기 때문에 작업량을 축소하여 여유와 휴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현덕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FR 파트 PFR조정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타이밍 후 제품을 들어 조정 벤치에 건 후 유량을 확인하면서 조정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손목이 뻐근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4 0.6 3.5~5kg

개 선 방 향 조정하는 도구의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대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

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0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3일 김기호와 박종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AT 파트 타이머 서브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플라이웨이트 조립(2kg) - 하우징 각인(2.5kg) - 커버에 오일씰 조립, 프렌지에 플아

이웨이트 ASS'Y 조립후 프렌지(8kg)를 뒤집는다 - E CAM 조립후 하우징 조립(8.5kg)

을 다시 뒤집는다 - 커버를 가조립 - 커버 조립기에 올려 체결(51.2kg) - 코킹기에 올

려놓고 임펙트 코킹기로 코킹 - 다시 들어 올려 기밀 시험기에 놓고 기밀시험 - 완조

대기대차에 올려 완조라인으로 이동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에어콘이 없고 겨울에 추워 작업환경 열악하다.

2. 코킹 작업시 진동이 심해서 손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6 7 0.8 51.1kg 40개 작업

개 선 방 향

실내 온도 개선이 필요하고, 코킹 작업이 진동을 완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발 받침

대를 설치하여 과도한 힘 사용으로 인한 부담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량에

대한 조정을 통해 적정한 여유와 휴식이 제공되어야 한다.

작업 사진

Page 15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6일 김기호와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GOV 조립 파트 가버너 카바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박스에서 커버 분리 - 커버 내외부핀 작업 - 명판부착 - 월열각인 - 커머, 와셔, 볼

트 조립 - 토오크 확인 - 록타이트 볼트 조립후 토오크 확인 - 오링, 래바, 스프링, 캡

조절후 래바 삽입하여 볼트조립후 토오크 확인 - 가이드래바 조립핀 삽입 플러그 록타

이트 조립후 토오크 확인 - 부시압입후 스냅링 조립 - 래바조립 - A/SCREW 조립 -

기종별로 노 치수조정 - 심, 스프링, 롱가스켓, 다이아후램, 롱가스켓, 와셔, 너트 조립

- 커버 볼트 3개 조립 - 아이볼트, 캡슐, A/SCREW, 너트 조립 - 박스포장 - 이동 등

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래바, 스크류 ASS'Y 국산화 되면서 무거워(25kg) 들어서 운반하는데 무리가 있다.

2. 반복작업으로 손목이 아프다, 팔을 많이 사용하면서 어깨도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5 5 1.5 1.5kg 100개 작업

개 선 방 향 중량물 이동 방법 개선이 필요하고, 부담이 많은 공정이기 때문에 작업량 조절을 통해

작업중 틈틈이 쉬어가면서 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5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2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메인6기통 조립 파트 D/V 홀더조립 1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펌프 하우징 80개 대차로 이동 - 펌프하우징에 명판구멍과 하우징 네일홈과 일치시켜 망

치로 코킹 - 하우징가버너 측에 아답터 1~2산 가조립(접착제) - 바렐의 홈속으로 핀이 들

어가도록 조립 - 바렐과 플란자를 분리(PL ASS'Y 조립) - D/V홀다를 하우징 펌프에 가조

립(D/V홀더 ASS'Y 조립) - 래크를 가버너측부터 삽입하여 래크의 습동상태 확인후 래크가

이드 스크류를 조립 - D/V 홀다 가조립후 작업완료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토오크 체결

- 기밀시험기 자동테스터 - 펌프 하우징 연료실 자동세척 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기밀시험기 교환치구가 노후화 되어 작업시 힘들다.

2. 가공부품 품질향상 되었으면 한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7 1.0 5.5kg 하루 72개

개 선 방 향 노후화된 치구를 교체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조립 파트 FP조립 1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2소재 박스 이송 - 드시로드 오일실 압입 - 본드 기밀(타펫 조립) - 명판 각인 - 플러그와

프리밍 펌프 조립 - 피드 펌프 완성 조립 - 기밀검사 등의 순으로 작업함.

박스당 20~25개 25kg 12박스 작업 함. 하루 10시간 한사람이 90개 작업하여 270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손가락 사용이 많아 부담스럽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4 1

개 선 방 향 작업량 조절을 통해 틈틈이 쉬어가면서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의자를 제공하여 앉아서

작업을 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메인6기통 조립 파트 콘트롤슬러브 조립 2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래크와 하우징펌프의 정중앙이 일치하도록 래크끝에 그어놓은 금이 일정하게 설정 - 슬리브

의 피니언 정중앙이 슬롯트 핀과 일치하도록 각각의 바렐에 끼워 래크와 피니언을 조립 - 스

프링 시트의 오목한 부분이 펌프하단 방향이 되게 조립 - 집게를 이용하여 스프링, 플란자 조

립 - 플란자의 두부를 스프링시트의 홈부분에 넣어서 플란자 각인부가 위로 향하도록 바렐에

삽입 - 작업완료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타펫트 압입 - 지지핀을 끼워 넣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작업자에 따라 작업다이 높이가 맞지 않는다.

2. 어깨 결림이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1.3 5.5kg 하루 72대

개 선 방 향 작업자의 신장을 염두에 두고 작업대를 가변형으로 하거나 발판사용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 조립 파트 FP 2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플러그와 프리밍 펌프 조립 작업으로 BODY 약 15~23개 나열하여 망치를 사용하여

명판 부착 - 밸브, 스프링, 오링 투입 - 플러그와 프리밍 가조립 등의 순으로 작업함.

박스당 15개, 개당 1.5kg 하루에 270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망치사용으로 인해 손가락과 손목에 부담이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6 1.5 1.5kg*270개(박스당 15개)

개 선 방 향 망치사용으로 인한 부담을 경감시킬 작업방식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메인6기통 조립 파트 가버너 하우징 조립 3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 가버너 하우징 조립부가 상단이 되도록 펌프를 세움

- 가스켓을 펌프의 형상에 맞게 놓음

- 가버너 하우징 아쎄이 압입후 볼트 체결

- 가버너 형식에 따른 스타트 걸이용 플레이트를 볼트에 끼워서 조립

- 하우징 펌푸 구동측이 위로 올라가도록 함

- 캠샤프트를 하우징 캠실에 넣는다

- 구동측 1번기통이 상사점으로 오게 조립하고 센터베어링은 샤프트의 캠과 캠사이의

가공면에 조립

- 캠샤프트의 링과 기준심을 조립망치로 샤프트를 타격하여 샤프트를 아래로 최대한

밀착시킨후 갭 측정구를 올려놓고 측정구에 베어링과 가스켓 베어링 커버를 차례로 올

려놓고 위에서 눌러 갭 측정(결정된 심의 보정치를 올려놓고 작업 종료 스위치를 누른

다)

- 자동으로 베어링, 가스켓, 베어링커버를 함께 프레스로 압입

- 베어링 커버 볼트 체결

- 타펫트 지지핀을 해체한 후 작업종료 스위치를 누르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손목이 아프다

2. 가버너 하우징 조립시 망치사용으로 인해 어깨 결림이 있다.

3. 가버너 하우징 조립 3공정은 생산량이 과다하고, 공정간 생산량 문제도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7 1.66 13.5kg 하루 72개

개 선 방 향작업량을 조절을 통해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망치사용을 대체할 작업방법

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메인6기통 조립 파트 보턴 플러그 조립 4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펌프 하우징을 들어 보턴플러그 자동체결기에 올려놓아 조립 - 가버너 측 캠샤프트에 반달

키를 끼우고 플라이웨이트를 가조립후 스프링와셔와 라운드너트를 넣고 자동토오크 조임함 -

래크 습동 확인, 플라이웨이트 체결 확인하고 매직 체크 - 가버너 커버 가스켓과 가버너 커버

를 함께 잡고 하우징 가버벙 부착(이때 가버너슬리브와 플라이웨이트 플로팅 레버와 래크의

링크 연결 - 가버너 커버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보턴 플러그 체결기 등 설비 노후화로 인한 잦은 고장으로 작업이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6 1 13.5kg 하루 72대

개 선 방 향 노후화된 설비를 개선하고, 작업량 조절을 통해 부담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강수구와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 조립 파트 FP조립 3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플러그 및 프리밍 펌프 완성 조립하고 기밀시험 작업을 함.

박스당 15개, 개당 1.6kg 270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기밀 시험 후 세척유와 분진이 심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7 1.25 1.6kg*270개(박스당 15개)

개 선 방 향 박스 적재 대차를 높낮이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대체하고, 오일미스트와 분진 대책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메인6기통 조립 파트 타이밍기 심교환 5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펌프를 타이밍기에 올려놓고 취부(피니언 홈부위가 중앙에 오도록 셋팅) - 제1기통을

다이얼 게이지로 캠리프트로 맞춤(리프트 지점에서 기름이 초당 2~3방울 떨어져야 함)

- 제1기통을 맞춘다음 1-5-3-6-2-4 순으로 분사시기를 맞춤

보정방법 : 각기통 조정시 각도 오바시 심을 감해주고 각도 미달시 심을 더해준다.

작업자 고충 의견 1. 어깨 결림과 팔목이 아프다.

2. 분진 제거방안이 필요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6 1.0 13.5kg 하루 72대

개 선 방 향 분진대책이 필요하고, 작업량 조절을 통해 부담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3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FP 조립 파트 FP 조립 4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실린더 핀 압입 - 스프링 투입 - 피스톤 가스켓 오일씰 압입 - 실린더 와셔 투입후

피스톤 조립 - 코킹 등의 순으로 작업함.

개당 60g 박스에 400개 24kg 한 박스 들기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손에 부담이 많이 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6 1.0

개 선 방 향 작업대를 변경하여 앉아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박병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메인 파트 4기통 조립 1 공정과 2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1공정 : 펌프 취부대에 하우징 안착 - 명판 구멍과 네일 홈과 일치시켜 망치로 코킹

- 하우징을 들어올려 콘베어 위 파렛트에 안착(RACK LIFT 볼트, 가이드스크류, 아답

터, 바렐, 데리버리 홀더 조립 - 연료 기밀시험 등의 순으로 작업함.

2공정 : 연료기밀 시험기 통과후 세워져 있는 하우징을 들어올려 파렛트에 눕힌다 -

코트롤 스리브, 스프링 시트, 부라져 스프링시트, 타펫 조립(타펫을 가조립후 압입구를

이용 압입후 지지 핀을 끼워 넣는다.)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공정은 누유 검사시 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반복 수리 작업이 많고, 손목이 아프다.

2공정은 작업자의 키차이를 배려하지 못해 등 결림과 허리가 아프다.

세척유 냄새가 많고 분진이 심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1공정) 8 6 1.25 3.8kg 8~90개 작업

부작업1(2공정) 11 6 1.0 3.8kg 8~90개 작업

개 선 방 향

품질 개선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고, 반복수리 작업을 작업부하에 포함시켜 적정한 작

업량 조정으로 업무하중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자 키 차이를 고려한 작업대

높낮이 변경 혹은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박병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메인 4기통 파트 4기통 조립 3과 4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3공정 : 눕혀있는 하우징을 GOV/HOUSING 조립부가 상단이 되도록 펌프를 세워놓는

다 - 가버너 하우징 가스켓, 가버너 하우징 ASS'Y를 하우징 펌프에 압입 볼트 체결 -

스타트 스프링 조립 - 하우징 펌프를 들어올려 구동측이 위로 올라가도록 놓는다 -

SUB된 캠샤프트를 하우징 실에 넣는다 - 약 1.5kg 짜리 캠측정기로 측정후 베어링 커

버를 씌워 봍트를 체결한다.

4공정 : 캠샤프트에 임펙트로 커플링 체결 - 펌프를 들어 보터플러그 체결기에 안착

후 다시 들어올려 파렛트에 안착 - 플라이웨이트 조립 - 가버너 가스켓과 커버를 잡고

가버너 조립부에 볼트를 체결한다.

작업자 고충 의견 작업하중이 커서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3공정) 10 7 1.25

부작업1(4공정) 13 7 1.67

개 선 방 향 부담이 큰 공정으로 작업량 조절을 통해 틈틈이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현덕천과 정상철,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FR 파트 타이밍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완성품을 타이밍 설비에 걸어 체크하여 타펫트 조립후 핀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고개를 숙이고 작업을 해선지 목이 뻐근하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0 3 0.57 2.5~5kg

개 선 방 향 의자 등을 제공하거나 작업대 높이를 조정하여 고개숙임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6: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59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0일 박병기와 이봉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메인 4기통 파트 4기통 조립 5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콘베어 라인의 펌프를 1차 타이밍기로 끌어와 타이밍 후 조정 대기 대차에 올려 놓는

작업을 함.

작업자 고충 의견 타이밍 후 조정대기 대차에 올려놓을 때 중량이 무거워 힘들다.

분진이 많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5 0.2 1.3kg 8~90개 작업

개 선 방 향 대차를 높낮이 가변형으로 하고 롤러 콘베어를 통해 적재하는 방법으로 중량하중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강수구와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4기통 파트 4기통 조정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메인 라인 펌프(개당 15kg, 하루 8~12개 작업) 대차 이송 - 테스터 벤치 취부 - 성

능조정후 망치로 코킹 - T/BENCH 탈거 - 대차 이송 - 완성조립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펌프 취부시 힘을 가해 밀어넣어 손목이 아프다.

2. 망치로 코킹시 손목에 무리가 간다.

3. 드라이버 작업으로 손목 비틀림이 많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20 7 1.0 15kg*8~12개

개 선 방 향 목꺽임과 허리 굳힘 자세를 개선할 방안과 취부 및 조정 작업 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7: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0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강수구와 정헌종,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4기통 파트 완조 1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펌프 런닝후 와이어 봉인작업 - 사이드 커버 조립 및 피드 펌프 조립 - 카플링 제거

및 브라켓트 조립 - 펌프를 후 공정으로 보내는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손목 사용으로 부담이 있음.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9 7 0.83 16kg 87대 / 8h

개 선 방 향 중량물 작업이 많으므로 작업량 조정과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이원태와 이희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4기통 파트 4기통완조 2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기밀 시험을 하기위해 볼트 구멍을 막고 브라켓트 치구를 조립 - 에어를 투입하면서

기밀시험기를 침전 - 기밀 누유 확인후 펌프를 올리고 마개와 치구를 제거 - 타이머를

조립후 후 공정으로 보내는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온 몸이 쑤신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7 0.83 16kg 87대 / 8h

개 선 방 향 중량물 작업이 많으므로 작업량 조정과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8: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1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차동현과 이용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4기통 파트 4기통 완조 3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2차 타이밍기에 펌프를 장착한 후 타이밍점을 조정 - 조정 후 각인으로 타각 - 펌프

를 타이밍기에서 해체 - 아이볼트 조립 및 플레이트 조립 - 고무 캡을 씌우고 육안 검

사 후 출하하는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업무하중이 커서 부담이 큼.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8 7 1.25 16kg 87대 / 8h

개 선 방 향 중량물 작업이 많으므로 작업량 조정과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이원태,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6기통 파트 6기통 완조 1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정완료된 펌플를 대차에 싣고 온다 - 펌프를 파렛트에 올리면서 카풀링을 제거 -

사이드 커버 및 피드펌프를 조립 - 브라켓트를 조립후 볼트를 가조립 - 펌프를 기밀시

험 공정으로 보내는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어깨와 팔 안쪽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7 0.83 20kg 87대 / 8h

개 선 방 향 업무하중이 크고 중량물 작업이 많으므로 작업량 조정과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69: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2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이원태와 이용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6기통 파트 6기통 완조 2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기밀 시험을 하기 위해 마개를 막는다(브라켓트 축에 기밀시험 치구를 돌려서 막는다)

- 하우징 축에 에어 투입하면서 기밀시험기에 침전한다 - 기밀 누유 확인후 펌프를 올

리고 마개와 치구를 제거한다 - 타이머를 부착후 후 공정으로 보내는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팔꿈치 안쪽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7 0.66 22kg 87대 / 8h

개 선 방 향 업무하중이 크고 중량물 작업이 많으므로 작업량 조정과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주석재와 윤기봉,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6기통 파트 6기통 완조 3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2차 타이밍기에 펌프를 장착 - 타이밍 점을 조정 - 조정후 각인 타각 - 펌프를 타이

밍기에서 해체 - 아이볼트를 조립 - 카플링을 조립 - 플레이트를 조립 - 고무캡 씌우

기 - 육안검사 후 출하하는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2차 타이밍 조정시 자세가 불안정하다.

2. T/Q 스패너 작업시 밑에서 위로 올리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손목과 어깨가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6 7 1.25 23kg 87대 / 8h

개 선 방 향 업무하중이 크고 중량물 작업이 많으므로 작업량 조정과 작업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70: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3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4일 강수구와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A 6기통 조립 파트 6기통 조정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메인 라인 조정 대기 펌프 대차로 이송 - 테스터 벤치 취부 - 성능조정 - T/BENCH

탈거 - 대차이송 - 완성조립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1. 드라이버 작업으로 손목 비틀림이 많다.

2. 허리 비틀림 때문에 무리가 많이 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20 7 1.0 15kg* 9~11개

개 선 방 향 드라이버 작업 개선과 정취 자세 작업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강수구와 박종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파트 완조 1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조정 완료된 펌프를 대차에서 파렛트를 들어 옮기고 사이드 커버, 타이머 브라켓트를

조립 - 피드 펌프를 끼운 후 너트를 손으로 가조립하고 임펙트로 조립 - 기밀시험 등

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6 1 27kg 51대 / 8h

개 선 방 향 작업대를 높낮이 가변형으로 하여 목과 허리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71: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4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권용성과 주석재,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파트 완조 2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타이머 조립하고 2차 타이밍 작업을 함.

작업자 고충 의견 팔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4 7 1.66 27kg 51대 / 8h

개 선 방 향 손목 부담이 큰 작업공정 및 방식 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19일 정상철과 이희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파트 완조 3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카플링 조립 - 아이 볼트 조립 및 고무켑 조립 - 육안검사 및 출하 등의 순으로 작업

함.

작업자 고충 의견 조립과정에서 손과 어깨에 부담이 감.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6 1.25 27kg 51대 / 8h

개 선 방 향 조립 기기 및 작업방법 개선을 통한 부담완화 노력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72: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5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1일 박병기와 이희생,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조립 파트 1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대차에 60개 하우징을 들어올려 세워서 파렛트에 안착 - 베어링외륜과 링을 압입구에

넣고 에어 실린더로 이동압입 - 압입된 위에 가스켓을 오일 침착후 GOV/하우징을 올

려놓는다 - 볼트가조립후 에어실린더로 압입후 나머지 볼트를 조립한다 - 조립완료된

하우징을 들어 2공정으로 이송 등의 순으로 작업함.

작업자 고충 의견 하우징 면취가 안되 날카롭고 손이 찔리고 베인며, 무거워 손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7 1.4 7.3kg 63대 / 8h

개 선 방 향 하우징 면취 공정을 사전에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고, 중량물 작업개선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1일 이봉희와 박병기,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조립 파트 2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PL 블럭을 세척 - 하우징에 PL 스토퍼 장착 - PL 블럭을 삽입 노크핀이 한 방향으

로 오게 삽입 - 펌프를 들어올려 너트, 와셔 체결기에 안착 - 펌프를 들어 뒤집어서

PL 스토퍼 탈거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공정으로 넘어가면 펌프 무게가 점점 무거워져 들어 옮기는 과정이 힘이 든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5 7 2 11.9kg 63대 / 8h

개 선 방 향 중량물 작업 개선방법을 찾거나 작업량 조절을 통한 부담완화노력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73: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6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1일 이원태 정헌종,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조립 파트 타페트 조립 3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PL 미드면 정렬 후 스프링 시트 조립기에 콘트롤 스리브와 스프링시트를 찍어서 하우

징 타페트를 안쪽에 조립 - 안착후 콘트롤레크의 충돌을 확인 - 스프링을 조립 - PL

배기구로 PL 두부를 빼내서 상부스프링 시트와 연결 - 타페트 공급봉을 켐심쪽에 조립

- 타페트 자동조립 스위치를 누르고 작업종료 후 타페트 지지핀을 끼워 놓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타페드 조립시 숙련도에 따라 노동강도가 틀리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7 1.66 17.3kg 63대 / 8h

개 선 방 향 중량물 작업임을 고려하여 연령 및 숙련도를 고려한 작업량 조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1일 이원태와 차동현,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조립 파트 캠샤프트 베어링 카바조립 4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펌프에 캠샤프트를 조립 - 갭 측정치구를 올려놓고 갭을 측정 - 캠샤프트에 베어링을

가조립 후 압입치구에 베어링 카바, 심, 오링을 끼운후 압입 - 압입후 볼트를 조임 -

펌프를 들어 보터커버 체결기에 올려 놓음 - 베어링 커버 오일실을 조립후 자동체결기

를 누르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무게가 많이 나가서 어깨, 허리 결림 현상이 있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7 1.33 25kg 63대 / 8h

개 선 방 향 중량물 작업임을 고려하여 연령 및 숙련도를 고려한 작업량 조절이 필요하다. 관련 공

정도 최종 중량물을 기준으로 적절한 작업량을 적용하여 순환업무가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74: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7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1일 박병기와 박종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조립 파트 5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파펫트에 펌프를 들어올려 고정볼트로 고정 - 우드루프 키와 임펠러 플라이웨이트 조립

- 파펫트를 플라이웨이트 조립기로 이송 - 90도 회전시켜 너트를 체결 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플라이웨이트 20개 한박스를 허리높이로 올려서 적재할 때 힘들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3 7 0.8 1.9kg 63대 / 8h

개 선 방 향 박스당 적재 개수를 조정하거나, 적재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박병기와 이용섭,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조립 파트 6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가버너 커버에 스타트 스프링과 가스켓을 조립 - 가버너 커버를 가버너 하우징에 조

립(플라이웨이트를 벌려 슬리브를 넣고 S/SPR 은 플래이트에 끼워주고 콘트롤레크와

캔스링크를 연결) - 클로우징 커버에 오링을 끼우고 가버너 커버에 조립 - 기밀검사 -

F/PUMP롤에 엔진오일 투입 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틈새 작은 곳에 롱로우즈로 핀을 끼울시 손과 손목에 무리가 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2 7 0.83 5kg 63대 / 8h

개 선 방 향 핀을 끼울 때 사용하는 롱 로우즈 개선이 필요하고, 세밀작업을 고려한 작업량 조절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

Page 175: [2010] 두원정공 근골격계 유해요인 및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 조사

- 168 -

○ 조사일시 및 조사자 : 2010년 7월 22일 박병기와 김기호, 연구원

○ 조사대상(공정) : PE 부서 PE-P 조립 파트 7 공정

작 업 공 정 설 명

호이스트로 펌프를 들어 타이밍기 안착 - 리프트 측정기 장착 - 오일주입구와 오버플

로우브를 연결 - 분사순서에 의해 각통측정 - 측정시 오일이 초당 2~3방울 떨어지는

지점 확인후 임펙트를 사용해 너트를 풀고 임펙트로 TQ - 호이스트로 조정 대기 - 대

차 이송 등의 순으로 하는 작업임.

작업자 고충 의견 1. 분진이 많이 날린다.

2. 핸들 돌리는 관계로 손목이 아프다.

작/업/별/ 주/요/ 체/크/리/스/트/ 평/가/점/수

ANSI RULA 손활동도 중량물

주작업 11 6 1.33

개 선 방 향 분진 대책이 필요하고, 핸들 돌리는 작업방법 개선과 임펙트 진동완화 대책을 통해 작

업환경 개선 및 부담경감 노력이 필요하다.

작업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