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저당잡힌소비...

Post on 15-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A92015년 5월 11일 월요일 기 획

한국도 저당잡힌소비 일본잃어버린 20년보다치명적

전문가들, 소비심리현실은

일본 1980년대후반부동산버블붕괴

기업 금융, 부채줄이기에불황가속

2000년대세금 가처분소득

가계부채심각, 저출산 고령화덮쳐

우리경제도일본전철밟을가능성

일자리 노후 주거등 3대불안가중

소비심리위축구조적문제해결해야

베이비붐세대은퇴후불황대비

부머세대은퇴시기맞물려

소비줄이고저금차곡차곡

작년소비성향 73% 역대최저

소비감소 투자감소 고용감소

경기악순환골만더깊어가…

#주부A씨는지난해부터가계부목록 1순

위로 적립식펀드와아이들명의의예금통장

을올려놓았다. A씨는이것도모자라 CMA

계좌에 매달 40만원 가량은 차곡차곡 쌓아

놓는다고한다. A씨는 빠듯한월급에저축

은꿈에도생각지못했는데이러다가는노후

는 커녕 애들 교육도 제대로 마치게할 수 있

을까하는걱정에저축을하기시작했다 며

불안하다보니꼭필요한생필품이외소비는

생각지도않고있다 고말했다.

한국경제가케인즈가경고한 절약의역설

수렁속으로빠져들고있다.경제를제대로

작동시키는원동력인 심리 가무너진상태에

서 미래에 대한 불안감까지 겹치면서 소비는

줄이는대신돈을차곡차곡쌓아두려는이들

이늘고있다는얘기다.

특히 최근 한국경제를 엄습하고 있는 절

약의역설은베이비붐세대의은퇴시점과맞

물려빠르게진행되고 있다는점에서상당기

간이어질수있다는우려도나오고있다.가

계건전성이고령화에따른사회구조적변화

를 따라가지 못하다 보니 경제의 선순환 구

조 마저무너지는셈이다.

흔히 소비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가처분소득의감소, 천정부지로쌓이기만하

는 가계부채, 소득 불평등의 문제도 여전하

지만더욱중요한소비침체의단초는현재와

미래를바라보는한국인의인식에있다는얘

기다. 그만큼 현실을 팍팍하게 보고 미래는

불안해지지 않을까하는 걱정을 안고 살아야

하는 한국인의 슬픈 자화상이 절약의 역설

을현실로만들고있는셈이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2012년 이

후 3년연속소비증가율이가계소득증가율

을 밑돌고 있다. 게다가 2010년 77.3%로 정

점을 찍었던 가계의 평균소비성향 역시 지난

해엔 72.9%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00

만원의 돈을 쓸 여력이 있는 사람들이 72만

9000원만 쓰고 나머지 돈은 쟁겨 놓고 있다

는얘기다.

특히 불과 5년전만 해도 한국경제의 고질

적문제점중하나로꼽혔던가계저축률이최

근엔오히려상승세로반전해소비회복의발

목을 잡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

스템(국민계정)에따르면 2011년 3.40%로바

닥을 찍었던 가계순저축률은 2013년 4.90%

증가한데이어지난해엔 6.10%늘었다.

전문가들은 특히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신뢰가 무너지고, 현재와 미래에 대한 불안

감만커지는상황에서물가마저하락세를그

리다보니소비유예현상이더강해지고있다

고지적한다.

임일섭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금융연구실

실장은이와관련 가계저축률의상승과더

불어 소비 부진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의 상

황은케인즈가말한

절약의 역설 이 현

실화되고있음을의

미한다 며 지금필

요한 것은 재정과

통화정책의양측면

에서수요를진작하

기 위한 경기부양

정책이다 고 지적

했다.

한석희 원호연기자

미래가불안하다…한국경제 절약의역설

늘어나는 소득에도 불구하고 소비하지

않고 저축에 열을 올리는 국민은 일본의

1990~2010년대 장기침체, 이른바 잃어버린

20년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스케치다. 전

문가들은 한국의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진단은 서로 달랐지만 미래에

대한불안을해소하지않는다면일본의잃어

버린 20년은우리의현실이될것이라고지적

했다.

일본은 1980년대 후반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자산 버블이 붕괴하면서 기업과 금융기관

이부채조정을최우선시했다.버블시기부동

산의시가이상의대출을허용했기때문에부

채비율줄이기에혈안이될수밖에없었다.

이들이지출을억제하면서일본경제는금

융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대차대

조표 형 불황에 빠져들었다. 그 결과 4.4%

를 유지하던 경제성장률은 1990년대에는

1.1%로낮아졌다.

이 시기 일본 국민들의 저축률은 치솟았

다. 갚아야할돈은많았지만자산가격이붕

괴돼 미래에 쓸 돈이 없다는 생각에 소비를

줄였기 때문이다. 그나마 개인소득 중 소비

나 저축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

이증가했기때문에가능한일이었다.

2000년대 들어 상황은 급격히 나빠졌다.

1997년아시아 지역외환위기의 영향을받는

상황에서일본정부가소비세를인상하는정

책적패착을 일으켰기때문. 이 시기 일본국

민들은가처분소득까지줄면서더이상저축

조차할수없는상황에빠진다.

그러나일본경제를위협한요인은따로있

었다. 바로 1996년부터생산가능인구가감소

하기 시작한 것이다. 생산과 소비를 할 인구

가줄어들자성장률은급격히낮아졌고노후

에 자녀들의 부양을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한

젊은층은노후대비를위해소비를줄였다.

강두용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

경제 역시가계부채문제가 심각하고저출산

과고령화가급격히진행되고있기때문에일

본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고 경고했

다. 2016~2017년 사이 생산가능인구가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가계부채비율 역시

2010년에 GDP 대비 80%까지 치솟았다. 강

선임연구위원은 가계부채문제를제대로해

결하지못한다면일본자산버블붕괴처럼본

격적인 불황을 이끄는 도화선이 될 것 이라

며 단순금리 인하는오히려 가계부채문제

를 부추길 수 있는 양날의 검이므로 실물 위

주의처방을내려야한다 고지적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한국

경제가 일본형 장기침체의 길을 걷고 있다는

데동의했다.일본의베이비붐세대의은퇴시

기가 한국보다 10~20년 앞선 만큼 한국에서

도인구학적변화의충격이 2010년대중반에

밀어닥칠것이라는얘기다.

이 연구위원은 그나마 일본은 버블 시기

에 자산축적이 잘 돼 있어 버틸 수 있는 여지

가있었지만우리국민들은그마저도없다 며

불황의 충격이 더 강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위원은돈이있어도소비를하지않은것

에대해 소득이정체된측면도있지만, 노후

불안으로소비를유예하고있는것 이라며

또일자리불안으로미래소득이불안하면소

비를 안하는 측면도 있고, 최근 전세가격이

오르고 월세로 돌릴 수 밖에 없는 주거불안

도 소비 성향을 억제하고 있다 고 진단했다.

이연구위원은 평균소비성향을높이려면돈

이있어도못쓰는것을해결해야한다 며 호

화로운소비자체를터부시할게아니라고소

득자산가들이쓰게하는것이선순환의출발

이될것 이란처방전을제시했다.

권규호 오지윤 한국개발원(KDI) 연구위

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의 고령층은 기

대수명은 늘어나지만 정년 등 근로가능시간

은늘어나지않으면서은퇴시기가다가올수

록소비를줄이는경향이있다 면서 이미과

도한 사교육비 지출로 허리가 휜 40대가 은

퇴할 시기가 되면 불황의 골이 깊어질 수 있

다 고지적했다. 정부가교육및채용시스템

은과도한사교육비지출을줄이도록정비해

야 하고 가계 지출 역시 자녀 교육과노후를

대비할저축간에균형을맞출필요성을제기

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는의견도있다.이연구위원은 최근일자리

불안, 노후불안, 주거불안등이른바 3대불

안때문에평균소비성향이 저하되고 있는 것

이라면서 비정규직 문제, 높은 집값과 전

세난등소비심리를위축시키는구조적인문

제를해결해야베이비붐세대은퇴후의불황

을대비할수있다 고조언했다.

원호연기자

통계수치곳곳에경고등…

국민은불안에쫓기고있다

한국인이 소비의 미덕( ) 을 버리

고 저축의악덕( ) 을쫓는모습은한

국경제 전반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내수부진의 이

유가 불안감 에서벗어나지못하고있는

현실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인의 불안감은 고령화 등 사회구조

적변화와맞물려그크기가증폭되고있

다는점에서한국경제의구조적문제점으

로부각될가능성도농후하다.

저축→소비부진→경기침체→투자위

축→가계소득 저하 로 이어지는 절약의

악순환은 통계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다.

통계청의가계동향조사에따르면가계소

비성향(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

중)은2011년78.2%에서지난해엔 74.5%

로 3년연속하락했다.

특히 국내 가계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최근 들어 가계소득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고있다.소득이늘었지만소비는오

히려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2011년

소득증가율이 5.78%였던데반해소비지

출 증가율은 4.63%에 그쳤다. 지난해에

도 소비지출 증가율은 2.84%로 소득증

가율(3.38%)에한참못미쳤다.

그러다 보니 한국가계의 흑자규모는

계속해서늘고있을뿐아니라가처분소

득 증가율 보다도 증가폭도 크다. 가처

분소득증가율은 2011년 5.46%, 2012년

6.35%, 2013년 1.92%, 2014년 3.46%

였던데 반해, 흑자율은 같은 기간 23%,

25.9%, 26.6%, 27.1%로 큰 폭으로 늘

었다.

한국은행의 2014년중자금순환 자료

를보더라도지난해가계와비영리단체의

자금잉여 규모는 91조7000억원에 달했

다. 자금잉여는 예금 보험 주식 등에 예

치해 굴린 돈에서 주택담보대출 등 빌린

돈을뺀것으로잉여규모가늘고있다는

것은 쌓아두기만 하는 돈이 많아지고 있

다는 뜻이다. 최근 3~4년 사이에 상승세

로 반전한 저축률에서 보듯 사람들이 돈

을쟁겨놓고있기만하다는것이다.

그렇다면 흔히 애기하는 가계부채와

소득불평등이 소비를 짓누르는 것일까.

일견 맞는 애기이기도 하지만 최근 몇년

간의 통계를 보면 소비부진의 이유를

100% 가계부채와 소득불평등으로 돌릴

수도없다.

실제한국은행에따르면노동소득분배

율은 2011년 59.9%, 2012년 60.9%,

2013년 61.7%, 2014년 62.6%로 조금씩

이나마개선세를그리고있다. 특히소득

분위별 소득증가율과 소비성향을 보면

이같은현상은더욱뚜렷해진다.

통계청에따르면 2011~2014년동안전

체 가구의 연평균 소득증가율은 4.3%였

던 데 반해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의소

득증가율은 5.2%로 가장 높았다. 반면

최고소득층인 5분위의 연평균 소득증가

율은 4.2%로 평균 수준에 그쳤다. 또

2010년 대비 2014년 소비성향 하락폭을

보더라도전체가구의하락폭이 -4.4%포

인트 였던데 반해, 1분위의 하락폭은 -

14.1%포인트에달했다.

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1분위가

소득은 늘었는데 지갑은 오히려 닫았다

는애기다.

이와함께국내가계의이자부담도줄

고 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2011년

4/4분기 12조5330억원에서 지난해 4/4

분기엔 10조3450억원으로 줄었다. 가계

부채는 급속도로늘고 있지만 이자부담

은 오히려 줄어든 셈이다. 게다가 저소

득 계층의 이자부담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지난해소득 1분위 계층의가처분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중은 2.4%로 전

체가구(2.5%)보다낮다.

한석희·원호연기자

소득은늘고있지만, 소비는하지않고미래에대한불안으로저축을늘리는 케인즈의역설 이한국경제에나타나고있다. 백화점이 떨이세일 까지나서고있지만좀체

내수경기는살아나지못하고있는상황이다. 사진=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