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저당잡힌소비...

1
A9 2015년 5월 11일 월요일 기획 한국도 저당잡힌 소비 일본 잃어버린 20년보다 치명적 전문가들, 소비심리 현실은 1980년대후반 부동산 버블 붕괴 기업 금융, 부채 줄이기에 불황 가속 2000년대 세금 가처분소득 가계부채 심각, 저출산 고령화 덮쳐 우리경제도 본 전철 밟을 가능성 자리 노후 주거 등 3대불안 가중 소비심리 위축 구조적 문제 해결해야 베이비붐 세대 은퇴후 불황 대비 부머세대 은퇴시기 맞물려 소비 줄이고 저금 차곡차곡 작년 소비성향 73% 역대 최저 소비감소 투자감소 고용감소 경기 악순환 골만 더 깊어가… #주A씨는 지난해목록 1위로 립식 펀드와 아의의 예통장 을올놓았. A씨는 라 CMA 계좌에 매달 40만은 차곡차곡 쌓아 놓는다고 한다. A씨는 빠듯월급에 꿈에생각지 못했는데 다가는 노후 는 커녕 애들 교육로마게할 수 있 을까하는 걱정에 축을 하기 시작불안하다보니 꼭 필요생필품 소비생각지말했. 한국경케인즈가 경고한 절약의 수렁 속으로 빠져들. 제를 제키는 원동력인 심리 무너진 상태에 서 미래에 대한 불안까지 겹면서 소비줄이신 돈을 차곡차곡 쌓아두는얘기다. 특히 한국경제를 엄습하있는 약의 이비세대은퇴시점과 물려 빠르게 진행되는 점에서 상당기 이어질수있는우려도 나오. 계 건전성이 고령화에 따른 사회 구조변화 를 따라지 못하다보제의 선순환 무너지는 셈이다. 흔히 소비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되있는 처분득의 감소, 천정지로 쌓이기만 채, 득 불평등의 문제여전하 만더욱 중요한 소비침체의 단초는 현재와 미래를 바라한국인의 인식에 있는얘 기다.그큼 현실을 팍팍하게 보고 미래는 불안해지지 않을까하는 걱정을 안살아야 하는 한국인의 슬픈 화상절약의 을 현실로 있는 셈이다. 통계청 계동조사에 따르면 2012년 이 3년 연속 소비이가득증을 밑돌.게다가 2010년 77.3%로정 점을 찍었던 계의 평균소비성향 역시 지난 해엔 72.9%역대 최저치록했.100 원의 돈을 쓸 여력있는 사람들이 72만 9000지돈쟁겨 놓는얘기다. 특히 불과 5도 한국경제의 문제점 중 하나로 꼽혔던 축률이최 근엔 오히상승로 반전해 소비회복의 발 목을 잡고 . 실제 한국은제통계스템(민계정)에 따르면 2011년3.40%로바 닥을 찍었던 순저축률은 2013년 4.90% 가한 이어 지난해엔 6.10% 늘었. 전문특히 나아질 것라는 신뢰무너지, 현재와 미래에 대한 불안 감만 커지는 상황에서 물가하락를그 다보소비유예 현상이더 강해지적한다. 섭 우리영연구소금융연구실 실장은이와 관련 축률의 상승과 어 소비 부진행되있는 지의상 케인즈절약의 실화되있음을 의 한다 재정과 통화정책의 양 측면 에서 수요를 진경기부정책이다 . 한석희 원호연 기자 미래가 불안하다…국경제 절약의 역설 나는 득에불구하고 소비하지 고저축에 열을 올리는 은 일본1990~2010년대 침체, 른바 잃어버린 20년 을 단편으로 여주는 스케치다.전 은 한국소비심리살아나지 않는 유에 대한 진단서로 달랐지미래에 대한 불안 을해하지 않는일본잃어 버린 20년은 우리의 현실될것. 일본은 1980년대 후반 동산을 중심으로 한자붕괴하면서 업과 이부채조정을 우선. 시기 부산의 시가 이상의 출을 허때문에 줄이기에 혈안될 수 밖에 없었. 지출을 억제하면서 일본 경제는 융 정책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대차대 조표 형 불황에 빠져들었. 그 결과 4.4% 유지하던 장률1990년대에는 1.1%로 낮아졌. 이 시기 일본 국민들의 축률은치솟았 . 갚아야 할 돈많았지만자괴돼 미래에 쓸 돈는 생각에 소비때문이다. 그나마 개인득중 소비 축에 유롭게 쓸 수 있는 처분때문에 한 일이. 2000년대 상황급격히 나빠졌. 1997년 아지의영을 받는 상황에서 일본 부가 소비세를 인상하는 정 패착을 으켰때문. 이 시기 일본 국 민들은가처분 득까지 면서 더이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진. 그러나 일본 경제를 위협요인따로 있 . 바로 1996년부터 생산능인구가 감소 기 시작한 이다. 생산과 소비를 할 인구 가 줄어자성장률급격히 낮아졌노후 녀들의 양을 받을 수 없다고 판단노후 대비를 위해 소비. 강두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우리 역시 가채 문제심각하고저출산 령화급격히 진행되때문에 의 전철을 밟을 성이 고 경고. 2016~2017년 생산능인구가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되는데다가역시 2010년에 GDP 대비 80%까지 솟았.강 선임연구위원채 문제를 제로해 결하지 못한다일본 자블 붕괴처럼 인 불황을 끄는 화선될것 순금리 인하는 오히려가채 문제 추길 수 있는 양날의 검므로 실주의 처방을 내한다 . 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한국 가 일본형장침체의 길을 걷데 동의했. 일본의베이비세대은퇴시 기가 한국보다 10~20년 앞선 한국에서 인구학변화의 충격이 2010년대 중반에 닥칠 것라는 얘기다. 연구위원그나마 일본은 버시기 산축적이 잘돼있어버틸 수 있는 여지 있었지우리 민들그마저도 불황의 충격이더 강할 것으로 내. 연구위원어도 소비를 하지 않정체된 측면있지, 노후 불안으로 소비를 유예하있는 것 라며 일자리 불안으로 미래불안하면 를 안하는 측면, 근전세가오르로 돌릴 수 밖에 없는 주거불안 도 소비 성향을 억제하진단했. 연구위원평균소비성향을높이려면돈 어도 못쓰는 것을 해결해야 한다 화로운 소비 자체를 터부시 할게 아니라 고소 쓰게 하는 것순환의 출발 될것 란 처방전을 제. 권규호 오지윤 한국개발원(KDI) 연구위 은최보고서에서 한국령층은기 명은 나지등 근로나지 않으면서 은퇴 시기가 다가올수 소비줄이경향이 면서 미과 도한 사교육지출로 허리휜40대가 은 시기가 되면 불황의 골이 깊어질수있 .정부가 교육 및 채용시스템 도한 사교육지출을 줄이도록정야하고가계 지출 역시 자녀 교육과 노후를 대비축 간에 균형을 출 필요을제. 그러나 보다 본적인 해결책필요하는 의견. 연구위원일자불안, 노후불안, 주거불안 등 른바 3대 안 때문에 평균소비성향이 저하되있는 것 라면서 정규직 문제, 높집값과 난등 소비 심리를 위축키는 구조인문 제를 해결해야 베이비세대 은퇴 후의 불황 대비할수있조언했. 원호연 기자 통계 수치 곳곳에 경고등… 국민은 불안에 쫓기고 있다 한국소비의 미덕( ) 축의 덕( ) 을 쫓는 모습은한 국경제 전반에 걸쳐 진행되. 한국 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내수진의 불안에서 벗나지 못하있는 현실에서 롯되는것이다. 특히 한국인의 불안감은 고령화 등 사회구조 변화와 맞물려 그크기가 증폭되는 점에서 한국경제의 구조문제점으 각될 성도 농후하. 축→소비부진→경기침체→투자축→이어지는 절약의 악순환은 통계 곳곳에서 목격되. 통계청의 계동조사에 따르면 비성향(처분대비 소비지출 중)은 2011년78.2%에서 지난해엔 74.5% 3년 연속 하락했. 특히 계의 소비지출 증근들어가득증율을 따라못하. 늘었지만 소비는오 려 줄이고 는것이다. 실제 2011득증5.78% 였던데 반해 소비출증4.63%에 그쳤. 지난해에 도 소비지출 증은2.84%득증 율(3.38%)에 참 못미쳤. 그러다보한국가계의 흑규모는 계속해서 늘있을 뿐 아니라 처분득증보다도 . 득증은 20115.46%, 2012년 6.35%, 2013년 1.92%, 2014년3.46% 였던데 반해, 흑은기23%, 25.9%, 26.6%, 27.1%로 큰 폭으로 늘 . 한국은행의 2014자금순환 보더지난해 계와 영리단체의 자금잉여 규모는 91조7000억원에 달했 . 자금잉여는 예주식 등에 예 해굴돈에서 주택담보대출등빌돈을 뺀 것으로 잉여 규모쌓아두기만 하는 돈많아지는뜻이다. 3~4에 상승로 반전한저축률에서 듯 사람들을 쟁겨 놓기만 는것이다. 그렇면 흔히 애하는 채와 득불평등이 소비를 짓누르는 것까. 는애기이기도 하지만최근몇간의 통계를 소비부진의 유를 100% 가채와 득불평등으로 돌릴 . 실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노동득분배 201159.9%, 2012년 60.9%, 2013년 61.7%, 201462.6%로조나마 개선를 그리. 특히 분위별 득증율과 소비성향현상은더욱 뚜렷해진. 통계청에 따르면 2011~2014동안 전 구의 연평균 득증4.3%던 데 반해 이가장낮1분위의 득증5.2%장 높았. 반면 최고소득층인 5분위의 연평균 득증4.2%로 평균 수준에 그쳤.또 2010년 대비 2014년 소비성향 하락폭을 보더전체 구의 하락폭-4.4%인트 였던데 반해, 1분위의 하락폭- 14.1%포인트에 달했. 소비성향이 대적으로 높1분위늘었는데 지갑오히닫았는애기다. 와 함께 계의 이자부도줄 . NH투자증권에 따르면 20114/4분12조5330억원에서 지난해 4/4 엔103450억원으로 . 채는 급속로늘있지만 이자부오히려 줄어든셈이다.게다가 저소 득 계층의 이자부대적으로 크지 . 지난해 득 1분위 계층의 처분 대비 이자비용 비은2.4%로전 구(2.5%) 보다 . 한석희·원호연 기자 소득은 고있지만, 소비지않고 미래에 대불안으로 저축을 케인즈의 역설 국경제에 나타나고 있다.백이세까지 나서고있지만 좀체 수 경기는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상황이다. 사진=

Upload: others

Post on 15-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도저당잡힌소비 일본잃어버린20년보다치명적heraldk.com/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8/... · 한국도저당잡힌소비 일본잃어버린20년보다치명적

A92015년 5월 11일 월요일 기 획

한국도 저당잡힌소비 일본잃어버린 20년보다치명적

전문가들, 소비심리현실은

일본 1980년대후반부동산버블붕괴

기업 금융, 부채줄이기에불황가속

2000년대세금 가처분소득

가계부채심각, 저출산 고령화덮쳐

우리경제도일본전철밟을가능성

일자리 노후 주거등 3대불안가중

소비심리위축구조적문제해결해야

베이비붐세대은퇴후불황대비

부머세대은퇴시기맞물려

소비줄이고저금차곡차곡

작년소비성향 73% 역대최저

소비감소 투자감소 고용감소

경기악순환골만더깊어가…

#주부A씨는지난해부터가계부목록 1순

위로 적립식펀드와아이들명의의예금통장

을올려놓았다. A씨는이것도모자라 CMA

계좌에 매달 40만원 가량은 차곡차곡 쌓아

놓는다고한다. A씨는 빠듯한월급에저축

은꿈에도생각지못했는데이러다가는노후

는 커녕 애들 교육도 제대로 마치게할 수 있

을까하는걱정에저축을하기시작했다 며

불안하다보니꼭필요한생필품이외소비는

생각지도않고있다 고말했다.

한국경제가케인즈가경고한 절약의역설

수렁속으로빠져들고있다.경제를제대로

작동시키는원동력인 심리 가무너진상태에

서 미래에 대한 불안감까지 겹치면서 소비는

줄이는대신돈을차곡차곡쌓아두려는이들

이늘고있다는얘기다.

특히 최근 한국경제를 엄습하고 있는 절

약의역설은베이비붐세대의은퇴시점과맞

물려빠르게진행되고 있다는점에서상당기

간이어질수있다는우려도나오고있다.가

계건전성이고령화에따른사회구조적변화

를 따라가지 못하다 보니 경제의 선순환 구

조 마저무너지는셈이다.

흔히 소비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가처분소득의감소, 천정부지로쌓이기만하

는 가계부채, 소득 불평등의 문제도 여전하

지만더욱중요한소비침체의단초는현재와

미래를바라보는한국인의인식에있다는얘

기다. 그만큼 현실을 팍팍하게 보고 미래는

불안해지지 않을까하는 걱정을 안고 살아야

하는 한국인의 슬픈 자화상이 절약의 역설

을현실로만들고있는셈이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2012년 이

후 3년연속소비증가율이가계소득증가율

을 밑돌고 있다. 게다가 2010년 77.3%로 정

점을 찍었던 가계의 평균소비성향 역시 지난

해엔 72.9%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00

만원의 돈을 쓸 여력이 있는 사람들이 72만

9000원만 쓰고 나머지 돈은 쟁겨 놓고 있다

는얘기다.

특히 불과 5년전만 해도 한국경제의 고질

적문제점중하나로꼽혔던가계저축률이최

근엔오히려상승세로반전해소비회복의발

목을 잡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

스템(국민계정)에따르면 2011년 3.40%로바

닥을 찍었던 가계순저축률은 2013년 4.90%

증가한데이어지난해엔 6.10%늘었다.

전문가들은 특히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신뢰가 무너지고, 현재와 미래에 대한 불안

감만커지는상황에서물가마저하락세를그

리다보니소비유예현상이더강해지고있다

고지적한다.

임일섭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금융연구실

실장은이와관련 가계저축률의상승과더

불어 소비 부진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의 상

황은케인즈가말한

절약의 역설 이 현

실화되고있음을의

미한다 며 지금필

요한 것은 재정과

통화정책의양측면

에서수요를진작하

기 위한 경기부양

정책이다 고 지적

했다.

한석희 원호연기자

미래가불안하다…한국경제 절약의역설

늘어나는 소득에도 불구하고 소비하지

않고 저축에 열을 올리는 국민은 일본의

1990~2010년대 장기침체, 이른바 잃어버린

20년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스케치다. 전

문가들은 한국의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진단은 서로 달랐지만 미래에

대한불안을해소하지않는다면일본의잃어

버린 20년은우리의현실이될것이라고지적

했다.

일본은 1980년대 후반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자산 버블이 붕괴하면서 기업과 금융기관

이부채조정을최우선시했다.버블시기부동

산의시가이상의대출을허용했기때문에부

채비율줄이기에혈안이될수밖에없었다.

이들이지출을억제하면서일본경제는금

융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대차대

조표 형 불황에 빠져들었다. 그 결과 4.4%

를 유지하던 경제성장률은 1990년대에는

1.1%로낮아졌다.

이 시기 일본 국민들의 저축률은 치솟았

다. 갚아야할돈은많았지만자산가격이붕

괴돼 미래에 쓸 돈이 없다는 생각에 소비를

줄였기 때문이다. 그나마 개인소득 중 소비

나 저축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

이증가했기때문에가능한일이었다.

2000년대 들어 상황은 급격히 나빠졌다.

1997년아시아 지역외환위기의 영향을받는

상황에서일본정부가소비세를인상하는정

책적패착을 일으켰기때문. 이 시기 일본국

민들은가처분소득까지줄면서더이상저축

조차할수없는상황에빠진다.

그러나일본경제를위협한요인은따로있

었다. 바로 1996년부터생산가능인구가감소

하기 시작한 것이다. 생산과 소비를 할 인구

가줄어들자성장률은급격히낮아졌고노후

에 자녀들의 부양을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한

젊은층은노후대비를위해소비를줄였다.

강두용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

경제 역시가계부채문제가 심각하고저출산

과고령화가급격히진행되고있기때문에일

본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고 경고했

다. 2016~2017년 사이 생산가능인구가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가계부채비율 역시

2010년에 GDP 대비 80%까지 치솟았다. 강

선임연구위원은 가계부채문제를제대로해

결하지못한다면일본자산버블붕괴처럼본

격적인 불황을 이끄는 도화선이 될 것 이라

며 단순금리 인하는오히려 가계부채문제

를 부추길 수 있는 양날의 검이므로 실물 위

주의처방을내려야한다 고지적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한국

경제가 일본형 장기침체의 길을 걷고 있다는

데동의했다.일본의베이비붐세대의은퇴시

기가 한국보다 10~20년 앞선 만큼 한국에서

도인구학적변화의충격이 2010년대중반에

밀어닥칠것이라는얘기다.

이 연구위원은 그나마 일본은 버블 시기

에 자산축적이 잘 돼 있어 버틸 수 있는 여지

가있었지만우리국민들은그마저도없다 며

불황의 충격이 더 강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위원은돈이있어도소비를하지않은것

에대해 소득이정체된측면도있지만, 노후

불안으로소비를유예하고있는것 이라며

또일자리불안으로미래소득이불안하면소

비를 안하는 측면도 있고, 최근 전세가격이

오르고 월세로 돌릴 수 밖에 없는 주거불안

도 소비 성향을 억제하고 있다 고 진단했다.

이연구위원은 평균소비성향을높이려면돈

이있어도못쓰는것을해결해야한다 며 호

화로운소비자체를터부시할게아니라고소

득자산가들이쓰게하는것이선순환의출발

이될것 이란처방전을제시했다.

권규호 오지윤 한국개발원(KDI) 연구위

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의 고령층은 기

대수명은 늘어나지만 정년 등 근로가능시간

은늘어나지않으면서은퇴시기가다가올수

록소비를줄이는경향이있다 면서 이미과

도한 사교육비 지출로 허리가 휜 40대가 은

퇴할 시기가 되면 불황의 골이 깊어질 수 있

다 고지적했다. 정부가교육및채용시스템

은과도한사교육비지출을줄이도록정비해

야 하고 가계 지출 역시 자녀 교육과노후를

대비할저축간에균형을맞출필요성을제기

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는의견도있다.이연구위원은 최근일자리

불안, 노후불안, 주거불안등이른바 3대불

안때문에평균소비성향이 저하되고 있는 것

이라면서 비정규직 문제, 높은 집값과 전

세난등소비심리를위축시키는구조적인문

제를해결해야베이비붐세대은퇴후의불황

을대비할수있다 고조언했다.

원호연기자

통계수치곳곳에경고등…

국민은불안에쫓기고있다

한국인이 소비의 미덕( ) 을 버리

고 저축의악덕( ) 을쫓는모습은한

국경제 전반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내수부진의 이

유가 불안감 에서벗어나지못하고있는

현실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인의 불안감은 고령화 등 사회구조

적변화와맞물려그크기가증폭되고있

다는점에서한국경제의구조적문제점으

로부각될가능성도농후하다.

저축→소비부진→경기침체→투자위

축→가계소득 저하 로 이어지는 절약의

악순환은 통계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다.

통계청의가계동향조사에따르면가계소

비성향(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

중)은2011년78.2%에서지난해엔 74.5%

로 3년연속하락했다.

특히 국내 가계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최근 들어 가계소득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고있다.소득이늘었지만소비는오

히려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2011년

소득증가율이 5.78%였던데반해소비지

출 증가율은 4.63%에 그쳤다. 지난해에

도 소비지출 증가율은 2.84%로 소득증

가율(3.38%)에한참못미쳤다.

그러다 보니 한국가계의 흑자규모는

계속해서늘고있을뿐아니라가처분소

득 증가율 보다도 증가폭도 크다. 가처

분소득증가율은 2011년 5.46%, 2012년

6.35%, 2013년 1.92%, 2014년 3.46%

였던데 반해, 흑자율은 같은 기간 23%,

25.9%, 26.6%, 27.1%로 큰 폭으로 늘

었다.

한국은행의 2014년중자금순환 자료

를보더라도지난해가계와비영리단체의

자금잉여 규모는 91조7000억원에 달했

다. 자금잉여는 예금 보험 주식 등에 예

치해 굴린 돈에서 주택담보대출 등 빌린

돈을뺀것으로잉여규모가늘고있다는

것은 쌓아두기만 하는 돈이 많아지고 있

다는 뜻이다. 최근 3~4년 사이에 상승세

로 반전한 저축률에서 보듯 사람들이 돈

을쟁겨놓고있기만하다는것이다.

그렇다면 흔히 애기하는 가계부채와

소득불평등이 소비를 짓누르는 것일까.

일견 맞는 애기이기도 하지만 최근 몇년

간의 통계를 보면 소비부진의 이유를

100% 가계부채와 소득불평등으로 돌릴

수도없다.

실제한국은행에따르면노동소득분배

율은 2011년 59.9%, 2012년 60.9%,

2013년 61.7%, 2014년 62.6%로 조금씩

이나마개선세를그리고있다. 특히소득

분위별 소득증가율과 소비성향을 보면

이같은현상은더욱뚜렷해진다.

통계청에따르면 2011~2014년동안전

체 가구의 연평균 소득증가율은 4.3%였

던 데 반해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의소

득증가율은 5.2%로 가장 높았다. 반면

최고소득층인 5분위의 연평균 소득증가

율은 4.2%로 평균 수준에 그쳤다. 또

2010년 대비 2014년 소비성향 하락폭을

보더라도전체가구의하락폭이 -4.4%포

인트 였던데 반해, 1분위의 하락폭은 -

14.1%포인트에달했다.

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1분위가

소득은 늘었는데 지갑은 오히려 닫았다

는애기다.

이와함께국내가계의이자부담도줄

고 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2011년

4/4분기 12조5330억원에서 지난해 4/4

분기엔 10조3450억원으로 줄었다. 가계

부채는 급속도로늘고 있지만 이자부담

은 오히려 줄어든 셈이다. 게다가 저소

득 계층의 이자부담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지난해소득 1분위 계층의가처분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중은 2.4%로 전

체가구(2.5%)보다낮다.

한석희·원호연기자

소득은늘고있지만, 소비는하지않고미래에대한불안으로저축을늘리는 케인즈의역설 이한국경제에나타나고있다. 백화점이 떨이세일 까지나서고있지만좀체

내수경기는살아나지못하고있는상황이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