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7
- 211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8. Vol.25, No.3, pp.211-237 예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앵커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Review of Web-Based Anchored Programs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ies 허 유 성(조선대학교 교수)** 남 창 우(Texas A&M University Ph.D. Candidate)최근 통합교육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양성 기관에서는 2009학년도 입학 생을 대상으로 특수아동의 이해를 위한 소양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교수자가 부족하고,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에서 필요한 역량을 가르치기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로 인해 교사양성 기관 간에 교육의 질에서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단기적 관점에서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아동에 대한 학습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제안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대 효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교수-학습 측면 에서 특히 현 예비교사 교육에서 공통적으로 중요시하는 지식의 전이, 반성적 성찰, 태도 및 동기, 그리고 ICT 활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교수-학습 환경 측면에서 교육대상자의 확대, 멀티미디어 활용의 용이, 오프라인 통합을 통한 상호작용 극대화, 그리고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 예비교사교육, 웹기반 앵커드 프로그램, 특수아동 이해, 통합교육 * 본 논문은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수정한 것임. **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08.10.30). 심사(08.12.05). 수정완료(08.12.15).

Upload: others

Post on 19-May-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 211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08. Vol.25, No.3, pp.211-237

예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 및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앵커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Review of Web-Based Anchored Programs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ies

허 유 성(조선 학교 교수)**

남 창 우(Texas A&M University Ph.D. Candidate)1)

요 약

최근 통합교육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양성 기관에서는 2009학년도 입학

생을 대상으로 특수아동의 이해를 위한 소양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교수자가 부족하고,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에서 필요한 역량을 가르치기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로 인해 교사양성 기관 간에 교육의 질에서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단기적 관점에서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아동에 대한 학습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제안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대 효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교수-학습 측면

에서 특히 현 예비교사 교육에서 공통적으로 중요시하는 지식의 전이, 반성적 성찰, 태도

및 동기, 그리고 ICT 활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교수-학습 환경 측면에서 교육대상자의 확대, 멀티미디어 활용의 용이,

온․오프라인 통합을 통한 상호작용 극대화, 그리고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 비교사교육,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 특수아동 이해, 통합교육

* 본 논문은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수정한 것임.

**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08.10.30). 심사(08.12.05). 수정완료(08.12.15).

Page 2: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일반 학생들과 같이 한 학 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는 통합교육에

하여 사회 인 공감 가 차 형성되어 가고 있다. 이론의 여지없이, 향후 통합교육은

차 확 될 망이다. 미국의 경우 이미 1970년부터 통합교육이 지속 으로 확 되어

(Stella, Torlin, & Lan, 2007), 최근에는 미국 내 약 48%의 장애학생이 79% 이상의 수업시

간을 일반교실에서 보내고 있다(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 2005). 한국 역

시 학령기 특수교육 상학생 일반학교에 배치된 학생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정동

, 김형일, 정동일, 2001). 물론 통합교육에서 교수의 주체가 가 되어야하는가에 해서

는 이론이 있지만, 통합교육의 확 가 상되고 있고, 통합교육을 단순히 ‘교실’만이 아니

라 학교를 포함하는 반 인 ‘사회’의 개념으로 본다면, 통합교육의 한 주체로서 모든 일

반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에 한 이론과 실제, 즉 다양한 장애학생에 한 지식, 이해, 그리

고 장애학생을 한 교수법에 한 수행역량이 제되어야 한다. 최근 연구결과

(Cochran-Smith & Fries, 2001; Darling-Hammond, 2000; Imig & Imig, 2005)에 따르면, 학

습자의 학업성취 수 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요한 단일 변인이 교사의 질을 높이는 것으

로 밝 졌다. 특히 장애학생 교육과 련하여 최성규와 유태수(2003)의 연구결과를 보면,

특수교육에 한 교사교육 로그램 경험 여부가 통합교육에 한 정 인 태도 수 에

가장 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특수교육 로그램에 한 경험 여부가

일반교사가 장애학생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역량과 자신감을 높이는 가장 요한 요인으

로 보고되고 있다. 결과 으로 이러한 일반교사의 역량과 자신감은 학습장애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향을 미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 비 일반교사가 장애학생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통합교실,

통합학교에서 장애학생을 한 교수법을 포함한 다양한 교수-학습 략을 습득 활용할

수 있는 기회는 매우 제한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 식, 2002). 결과 으로 재의 교육

장에서는 일반학 에 재학하고 있는 특수교육 상학생이 일반교육 교육과정에 근, 참여,

진보(progress)하기 한 자원을 효과 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련하여 우정한,

김성애, 윤 보(2005)는 통합교육에 비하여 비 일반교사뿐만 아니라 직의 일반교사를

상으로 하는 교육에 있어서도 특수교육 련 연수를 받는 교사의 수 자체가 으로

Page 3: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13 -

부족하고, 연수 내용, 방법, 기간의 측면에서 효과성이 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다행히도 최근 통합교실에서 장애학생을 한 교수력 강화에 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09학년도 학 교육 학원 입학자부터 교원자격 무시험검정 기 강화를 해 교직

과목 이수자들이 특수학생과 련된 교과목을 필수 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교육인

자원부, 2007). 이를 통해 비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에 한 심, 지식, 그리고 이해 수

을 높일 것으로 기 된다. 그러나 단지 2학 강좌를 한두 개를 이수함으로써 특수교육

의 철학 , 역사 배경을 이해하고 다양한 유형의 장애학생에 한 지식뿐 아니라 증거기

반의 교수법을 습득하여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 지 까지 특수교사만을 양성

하던 특수교육 공 교수자들은 특수교육에 경험이 없는 일반교사들에게 통합교육에 합

한 교육과정을 별도로 개발하여 가르쳐야 한다.

비 일반교사를 상으로 하는 특수교육 장애학생에 한 교육에 하여 우려하는

부분 의 하나는 무엇보다 일반 사범 에서 특수교육 장애학생을 한 교수법을 가르

칠 수 있는 교수 인력과 통합교육 상황에서 일반교사에게 필요한 내용을 심으로 구성된

교육과정이 제 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더욱이 사범 학, 교육 학교, 그리고 교

육 학원의 실을 고려하면, 각 학별로 특수교육 련 문 교수자를 다수 확보하여

비 일반교사들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비교사 내지 직교사에게 제공하는

것이 짧은 기간 내에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수교육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교사양상

기 의 경우 사정은 나은 편이지만, 특수교사가 아닌 일반교사를 한 별도의 교육과정과

합한 교수법을 비해야 하는 데, 이는 많은 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네트워크 기술을 극 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 인 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즉,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비 일반교사를

한 효과 인 교수-학습 상황을 구 하고, 상자를 획기 으로 확 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교사교육인가 의회(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1997)

는 교사교육을 해 테크놀러지가 매우 유용하며 효과 인 수단이라고 지 하면서, 교사교

육에서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확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lark(1983,

1994)이 주장하 듯이, 웹기반 테크놀러지 혹은 웹기반 교수-학습 환경 자체가 교육 효

과를 담보하지 않는다. 따라서 Woodward와 Rieth(1997) 그리고 Maccini, Gagnon, 그리고

Hughes(2003)가 공통 으로 지 하듯이, 테크놀러지가 과학 증거에 입각한(evidence-based)

교수-학습 략과 효과 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이와 련하여 앵커드 교수법(anchored instruction)은 테크놀러지를 효과 인 교사교육

을 해 활용하는 데 합한 교수-학습 략을 제공할 수 있다. 앵커드 교수법은 1990년

Page 4: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4 -

미국 벤더빌트 학의 연구자들에 의해 구성주의, 상황인지(situated cognition), 그리고

도제학습(apprehenticeship)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법으로 앵커(anchor)를 심으로 교수-학

습을 설계한다(CTGV, 1992). 이때 앵커는 사진, 텍스트, 교사가 교실에서 활용하는 실제

(authentic) 자료 등 다양한 유형이 가능하며, 특히 멀티미디어 기반의 비디오가 표 인

형태 의 하나이다. Wang과 Hartley(2003)는 교사교육에 있어서 특히 비디오 테크놀러지

가 신입교사들이 다양한 교실상황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 한 다차원

인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필요한 지식, 기술, 그리고 태도를 교육시키는데 효과 이

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앵커드 교수법이 다양한 측면에서 교사교

육에 효과 임을 보여 다. 를 들어, 앵커드 교수법은 비교사의 반성 사고(Abell,

Bryan, & Anderson, 1998; Barnett, 2006), 분석 사고(Beck et al., 1999), 안 교수법에

한 이해(Anderson & Bird, 1995), 태도 신념(Thomas, 2008; Kurz & Batarelo, 2004),

지식습득(Koehler, 2002; Thomas 2008), 기술습득(Beck, King, & Marshall, 2002), 지식의

이(Wang, 1995), 그리고 학습만족도(Thomas, 2008) 등 다양한 범주에서 효과 임을 보여

다. 특히 웹(Web)을 기반으로 하는 앵커드 교수법은 일반교사를 한 특수교육 련 교

육과정 교수자가 부족한 상황에서 효과 인 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웹기반

(Web-based) 앵커드 로그램의 필요성과 특수아동에 한 일반 비교사의 역량을 높이기

한 수단으로서의 기 효과에 한 체계 인 문헌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2. 연구의 목

이에 본 연구의 목 은 재와 같이 비 일반교사의 특수아동에 한 이해와 교수역량

이 부족할 뿐 아니라, 특수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교수자와 통합교육에서 일반교사에게 필

요한 역량을 가르치기에 합한 교육과정에 한 비가 부족한 실에서, 일반 비교사

를 상으로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통합교실 상황에서 장애학생을 해 활용할 수 있는 교

수법을 가르칠 수 있는 안 근법으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제안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가능성에 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문헌의 분석 고찰을 통하여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

량 증진을 한 효과 인 안으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기 효과를 탐구하 다. 문헌

Page 5: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15 -

의 분석을 해 논문 문을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 Proquest와 EBSCOhost를 통하여 앵

커드 교수법, ( 비)교사 교육, 비디오 사례 혹은 앵커, 교사교육 등의 주제어를 사용해 웹

검색을 통해 련 문헌을 찾았다. 선택 문헌을 상으로 문헌의 내용을 (a) 교사교육의

제한 , (b) 비 일반교사 교육과 장애학생 교육, 그리고 (c)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효과

로 구분하여 분석하 다. 이 과정에서 비디오 사례를 활용하더라도 단순히 지식을 달하

는 방법으로 활용한 문헌은 포함하고 않고, 이론 배경에 한 분석을 통하여 앵커드 교

수법과 배경 이론을 공유하는 문헌만을 포함하 다.

Ⅱ. 통합교육을 한 비 일반교사의 교육 로그램

1. 통합교육과 일반교사교육의 필요성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 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 요구에 합한 교육을 받는 것(장애인 등에 한

특수교육법, 2008)”을 의미한다. 통합의 수 과 통합교육의 교육 효과에 해서는 여 히

학자 사이에 이론이 있지만(e.g., Lindsay, 2003; Kauffman & Wiley, 2004), 장애학생들이

최소한으로 제한 인 환경에서 학습해야 한다는 통합교육의 개념을 ‘혜택’에서 ‘권리’로 인

식해야 하는 에서는 부분 동의하고 있다. 즉, 장애학생 장애학생의 보호자는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서비스를 통하여 장애학생이 자아를 실 하고 사회통합을 통한 정

상 인 사회 응능력 발달과 행복한 삶을 추구하기 하여 최 의 교육 환경을 선택

활용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 이다. 이를 해 장애인 등에 한 특수교육법

에는 “각 학교의 장 는 학의 장은 특수교육 상자가 그 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는 경

우에는 그가 지닌 장애를 입학의 지원을 거부하거나 입학 형 합격자의 입학을 거부하는

등 교육기회에 있어서 차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명문화하고 있다.

한편, 성공 인 통합교육을 해서는 장애학생에게 합하도록 수정한 교육과정, 학습자

료, 학습보조기기, 보조인력, 법 ·제도 지원, 학교행정가 부모의 역할과 인식의 변화

등이 필수 이다. 이와 함께 통합교육에서 무엇보다 요한 성공요인 의 하나는 자질을

갖춘(highly qualified) 일반교사이다. 일반교실 학생의 12% 정도가 장애학생일 정도로 폭

넓은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의 경우 통합교실에서 일반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Page 6: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6 -

개발시키기 해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Buell, Hallam, Gamel-Mccormick, & Scheer, 1999;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3). 통합교육의 실천을 뒷받침하기 해 별도의 법률

이 제정되었고, 이의 후속 조치로 장애학생을 한 법령(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과 그에 따른 후속 개정안이 1990년, 1991년, 그리고 1997년에 각각

제정되었다. 이 법령에 따르면 미국 내의 각 주들은 장애학생들을 한 한 교육을 할

수 있는 질 높은 교사를 확보하기 해 인 자원개발 포 시스템(comprehensive system

of personnel development; CSPD)을 개발하도록 의무화되고 있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통

합교육을 제 로 시행하기 해서는 질 높은 교사의 충분한 확보가 요하고, 이를 해서

는 특수교사뿐만이 아니라 일반교사의 질(quality) 리가 더욱 요하다는 것이다.

부시 교육개 법(No Child Left Behind[NCLB], 2002) 역시 교사의 질이 학습자의 성취

도에 향을 미치는 가장 요한 교육 인 변인이라고 인식하여, ‘양질의 교사'를 양성하기

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책무(accountability)의 주체를 학생이 아닌 교사로 환하면

서, 교사교육 개 을 통하여 교사의 역량을 높임으로써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 을 높이기

한 다양한 근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1년차 교사의 약 10-13%, 특수

교사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여 4년 이내에 약 50%가 교직을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한국의 경우 교직이 갖는 장 으로 인해 교직을 그만두는 교사의 비율은 높지 않다.

그러나 교사들이 학교 장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동일한 상으로 나타나고 있다(우

정한 외, 2005). 특히 일반교사들은 통합교실에서 필요한 역량이 충분히 비되어 있지 않

다고 인식하고 있다(이 식, 2002; Schumm & Vaughn, 1995; Rose, 2001).

앞서 언 했듯이, 국내의 경우 교사자격 무시험검정 기 을 강화하여 교직소양과목에 특

수아동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교사의 특수아동 통

합교육에 향을 주는 요인 특히 일반교사의 훈련이나 교육 경험을 통한 지식과 기

술의 획득한 정도가 특수아동의 이해에 요한 향을 미친다는 을(Gerber & Semmel,

1985) 고려하면, 이는 일반교사의 특수학생에 한 경험․이해 교수력을 높이는데 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Powers(1992)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족할만한

수 은 아니지만 일반 비교사의 특수교육 련 과목에 한 수강 여부가 특수교육에

한 정 태도와 교수 역량 함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Romi와 Leyser(2006)

역시 비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경험이 통합교육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친다고 지

한다. 즉 장애학생에 한 경험이 많은 비교사 일수록 통합교육에 하여 정 인 태도

를 갖는다. 특히 그러한 경험이 많은 비교사 일수록 장애학생의 행동 인 문제에 하여

심리 인 두려움이 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장애학생에 한 경험이 많은 교사의 경

Page 7: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17 -

우 경험이 은 교사보다 통합교육에서 필요한 교사의 기술(skills) 부족에 하여 더 우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험이 많은 교사일수록 더욱 많은 특수교육 련 교육의 필요

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교사교육의 제한

효과 인 비교사교육이 무엇인가를 바라보는 시각에 상 없이(Cockran-Smith, 2005;

Pullin, 2004), 비교사 교육 로그램이 지니고 있는 문제에 한 인식과 새로운 안

의 필요성은 여러 연구들이 공통 으로 보고하고 있다. Cochran-Smith(2005)는 교사교육의

문제 을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1980년 ·후로 변화가 있었다고 지 한다. 1980년 이

에는 교사교육의 문제 을 훈련의 에서 인식하고 근한 반면에, 최근의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의 문제 을 비교사의 학습의 맥락에서 다루고 있다. 즉, 학습자로서 비교사가

향후 학교에서 문가로서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식, 기술, 신념, 태도의 학습에 문

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교사 양성 학의 구조조정이나 연구역량

강화를 통한 거시 인 근보다는 수업의 질 개선을 한 노력 등의 미시 인 근을

하고 있다.

특히 신입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요한 이유는 Whitaker(2001)가 지 하듯이, 학

의 교사교육 로그램이 크게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Sternberg(2001)는

학의 교사양성 로그램을 비 하면서 재의 교사교육 로그램은 '이론 앎(knowing

that)'에 치 하여 '몸소 체험을 통한 앎(knowing how)'을 소홀히 하고 있다고 지 한다.

즉, 비교사들이 학의 교사교육 로그램을 통하여 학습한 지식은 소 비활성화된 지

식(inert knowledge)으로, 실제 교육 장에서 배운 지식을 제 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Whitehead, 1929; Bransford, Brophy, & Williams, 2000). 결과 으로 부분의 신입

교사들은 학에서 배운 증거기반의 교수법보다는 주변의 교사경험이 많은 선배나 동료들

의 교수법을 쉽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교사 로그램에서는 학습한 것을

실제 학교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Mayer et al.(2003)

한 행 학 수업이 학생과 교수자간 상호작용이 부족한 강의식 수업 주로 진행되고

있다고 비 하면서, 교수내용과 학문내용에서 실제 인 활용을 무시한 교사 교육에 하여

비 하 다.

최근 Levine(2006)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범 졸업생들의 62%가 재의 학 교육과

정이 졸업 후 실제 경험하는 교실의 실에 맞는 교사교육을 시키지 못한다고 지 하 다.

Page 8: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8 -

일선 학교 교장의 경우 40%만이 재의 교사교육에 하여 정 인 응답을 하 다. 이는

학의 학장(56%) 교수(54%)보다 다소 부정 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좀 더 자세히

보면, 교장들은 교사들의 교과내용에 한 문성에는 72%가 정 이라고 응답한 반면,

교실 상황에서의 학생 리, 학생평가, 학생의 다양성에 따른 교육, 장애아 교육 등에 해

서는 상 으로 부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하여 Levine(2006)은 특히 연구 심

학의 경우 교사교육 로그램의 내용이 지나치게 세부 , 이론 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 특성을 제 로 반 하지 못한다고 비 하 다. 그는 미국 내에서 우수한 교사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로서 다음의 몇 가지 공통 을 지 하 다. 를 들면, 우수한 교사가

알아야 할 것에 한 명확한 정의, 통합 인 교사교육과정, 일 인 교육과정, 포 인

교육과정, 최신 교육과정, 조기 장경험(field experience), 교수이론의 용, 높은 졸업 기

, 력학교기 의 확보 등을 강조하 다. 이들 학은 특히 공통 으로 신입교사들이

학의 교사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졸업 후 실제 학교 교실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치

못한 문제 상황에 효과 으로 처할 수 있는 실제 인 도움을 제공한다. 한, 이들 학

의 교사교육을 담당하는 문가들은 학교 장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이슈 혹은 교실

상황에 한 교사들의 개인 그리고 력 사고를 증진시키고, 장연구의 부족함을 보

충하기 해 어떠한 방식으로 비교사교육 로그램을 구성할 것인지에 해 체계 으로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ang & Hartley, 2003).

3. 일반교사 교육과 장애학생 교육

통합교실 상황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양질의 교사를 만나지 못하면 학업성취 수

이 떨어진 채 그 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일반 으로 더욱 악화된다. 따라서 장애학생들에

게 양질의 교사를 제공하는 것은 특수교육뿐 아니라 교육 반의 핵심 인 심사라고 할

수 있다. 통합교실에서 일반교사의 태도와 역량은 장애학생의 교육 성취에 직 인

향을 미친다. 한 일반교사의 장애아동에 한 태도는 비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학부모

의 태도에도 향을 미치게 되어 결과 으로 장애아동의 성공 인 학습뿐 아니라 생활에

도 향을 미친다. Ringlaben와 Price(1981)는 특수교사에 비해 일반교사들이 통합교육에

해 부정 이며, 이는 통합교육에 한 교사교육 로그램이 미비하기 때문이라고 지 하

고 있다.

Ellins와 Porter(2005)는 교사가 학부시 이나 직무연수 때 특수교육과 련된 과목의 수

가 많을수록, 장애 학생에 한 태도가 정 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한 교육학 학사학

Page 9: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19 -

를 통해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가 다른 학사 학 , 교육학 석사학 , 혹은 학졸업 후 교

사자격증을 취득한 경우보다 장애학생에 한 태도가 더욱 정 이라는 연구가 있다. 그

들은 한 가르치는 교과에 따라 장애학생에 한 교사의 태도가 다를 수 있다고 보고하

고 있다. 국의 한 학교의 교사 47명을 상으로 장애학생에 한 태도 검사에서 어, 과

학, 수학 교사의 수가 체육, 미술, 기술, 인문, 제 2 외국어 교사에 비해 상 으로 낮게

나왔다. 그 에서 과학 교사의 평균 수가 가장 낮았다. 이후 학생들의 어, 과학, 수학

성 을 입학 당시와 3년 후의 성 에서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조사한 결과, 장애학생의 경

우 비장애학생에 비해 과학 과목의 성취도에 있어서 상 인 진보의 양이 가장 었다.

이 연구는 장애학생에 한 교사의 부정 인 태도가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부정 인

향을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사의 질과 학생의 학업성취의

련성에 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더욱이, 기존 연구에 의하면 교사의 질을 평가하는 방

법이 실제 교실에서의 교수-학습 행 를 기 으로 하기보다는 교사의 성격, 이수 교육과정,

동기, 학생들의 평가와 같은 연구자가 좀 더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활용하는 것들이

부분이다(Levine, 2006).

Ⅲ. 비교사를 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

1.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개념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웹기반 교수법과 통 인 앵커드 교수법을 결합한 교수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에 해 논의하기 에, 웹기반 수업의 개념 앵

커드 교수법에 해 간단히 논의하고, 두 교수법의 결합이 일반교사의 특수교육에 한 지

식, 기술,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왜 효과 인 교수법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웹기반 수업은 매체로서 웹을 사용하여 원격의 학습자에게 수업을 실시하기 한 교

수-학습 방법이다. 웹기반 교육은 특히 교수-학습에 있어서 기존의 물리 , 환경 , 시간

인 한계를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다는 장 이 있다. 더욱이 최근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

면서 웹기반 교육은 비디오, 사진, 다양한 유형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그 활용 가능성이 크게 확 되었다. 그러나 Clark(1983)과 Kozma(1994)의 매

체의 효과성에 한 논쟁에서 볼 수 있듯이, 단순히 웹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다는

Page 10: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20 -

것이 교육 효과를 담보하지는 않는다. 특히 웹을 활용한 비교사교육이 효과 이기

해서는 웹이라는 환경의 특성뿐 아니라 교사교육 분야의 선행연구들에 의해 검증된

(evidence-based) 교수-학습의 구조가 필요하다(Sherry & Wilson, 1997).

앵커드 교수법은 웹을 활용한 비교사교육을 한 효과 인 교수-학습 구조가 될 수 있

다. 일반 으로 앵커드 교수법이란 학습과 인지에 한 구성주의 근원리를 바탕으로

사진, 비디오, 기타 문서자료와 같은 앵커(anchor)의 활용을 강조한 교수법이다. 앵커는

학습자간, 학습자와 교사간 이해의 공유(shared understanding), 문제 상황에 한 민감도

를 높여주고, 지 모델(mental model)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는 수업에 있어

서 비교사들의 고차원 수 의 토론 문제해결력을 높여 수 있다.

특히 앵커드 교수법은 학습자가 다양한 문제상황에 한 다차원 인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에서 문제를 확인, 정의, 해결할 수 있도록 진하는 교수-학습 환경이다

(McLarty et al., 1990). 이 교수법은 학습과정이 실제(authentic)와 같은 구체 상황에서

이루어졌을 때 효과 이라고 보기 때문에 정보의 다차원 인 표 양상을 통하여 학습내용

과 련된 실제 인 맥락을 제공하는 앵커를 심으로 교수-학습을 진행한다. 한 학습의

결과는 실제와 같은 문제해결과정을 통하여 실에 이가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교수

자에 의한 일방 인 지식 달보다는 문제해결활동 근 방식을 취한다(CTGV, 1992). 이러

한 앵커드 교수법의 장 은 최근 교사교육에서 지향하는 방향과 많은 부분 일치한다. 를

들어, Wang과 Hartley(2003)는 교사교육에서 개인 , 집단 인 반성 사고, 구체 인 사

례 분석, 그리고 장에서 구조화된 도제 시스템(guided apprenticeships) 등을 필수 인

요소로 지 하는데, 이는 앵커드 교수법의 장 과 일치하는 요소가 많다.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시공간의 극복, 일 다수(one-to-many)의 학습 가능과 같은

‘웹기반 교수법’의 장 과 교사교육에 있어서 ‘ 통 인 앵커드 교수법’의 장 을 결합한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한국과 같이 장애학생에 한 경험이 으로 부

족한 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에 한 교수력을 높이는데 효과 일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에서 [그림 III-1]은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이 필요한 재의 문제 상황과, 이를 극복하기

한 방법으로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가능성과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그림 III-1]에 제시되어 있듯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활용은 재 비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과 련된 교육 요구가 당면한 두 가지 핵심 인 문제에 도움을 수 있을 것

이다. 첫째, 국내의 경우 · 등 교사양성기 에서 특수교육 련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교수자와 교육과정이 충분하지 않다. 더욱이 오랜 기간 진행되어 온 분리교육 때문에 비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에 한 경험과 이해수 이 낮은 편이다. 이는 통합교육 수행에 부

Page 1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21 -

정 인 향을 미칠 수 있다.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웹의 장 을 활용하여 다수의 일반

비교사에게 질 좋은 교육과정과 학습 자료를 달할 수 있는 유용한 략이 될 수 있다.

한 특수교육을 가르치는 교사는 웹기반 자료를 자신의 수업과 효과 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림 Ⅲ-1]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에 한 개념도

둘째, 이미 언 하 듯이 최근 교사교육 로그램의 문제 으로 흔히 지 되는 것이

비교사들이 교사양성기 에서 학습한 것을 실제 상황에서 효과 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교과서 심으로 재 수행되고 있는 통 인 교수법은 학습한 내용을 실제

교실 상황에서 활용하는 데 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특수학생과 같이 그 개인차가 심

한 경우, 특수아동에 한 경험이 제한 인 비 일반교사의 경우 교과서를 통해서만 학습

Page 12: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22 -

한 내용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상황에서 히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앵커

드 교수법은 이를 보완하여 일반 비교사들이 실제 교실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

의 장애학생과 문제 상황을 실제와 같은 맥락 속에서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실제 인 문제

해결 근법을 배우기 때문에 비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들을 한 교수법에 한 지식,

기술, 태도와 학습의 이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일반 비교사들의 특수교육 련 지식을 교육시키기 해 실제

개발한 사례는 매우 제한 이다. 최근에 미국 교육부는 비 일반교사 특수교사 교육을

지원하기 하여 MAINSTEP 로그램을 개발하 다(Rieth, Thomas, Heo, & Colburn,

2007). 이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은 재 교사 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인 원리를 반 하

는 것으로, 비교사들에게 실제 인 교실 환경에 한 이해를 높이고, 학교 실에서 요

한 수행 역량을 이해하고 습득 이를 돕기 하여 개발하 다. 이 로그램은 크게 특

수학생을 진단 배치하기 한 의뢰 단계(prereferral), 문제행동(challenging behavior),

읽기 유창성, 수학 재, 피드백 제공 략에 한 모듈(module)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의뢰 단계 모듈은 일반교사가 통합학 에서 학업성취 수 , 문제행동 등에서 문

제가 있어 해당 학생의 특수교육 여부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그 단계가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 수집을 통해 객 이고 정확한 결정을 해야 한다. 이 단계는 특히 신입교사

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과정이다. MAINSTEP 로그램에서는 실제 의뢰 단계에

한 다양한 비디오 앵커를 통해, 의뢰 과정에 한 장감 있는 내용을 달한다. 의

뢰 모듈의 학습단계에서는 기본 인 내용에 한 학습이 완료되면, 다양한 실제 특수학

생에 한 비디오 사례에 따라 의뢰 단계의 과정과 교사의 역할에 해 학습하며, 이 과

정에서 실제 학교에서 사용하는 문서와 평가표 등이 제공된다. 학습 후 단계에서는 각 내

용에 한 학습이 완료된 후 간단한 사례연구나 형성 평가를 통해 학생의 이해 수 을 평

가한다.

둘째, 신입교사 혹은 교사 경험이 은 교사가 제일 힘들어 하는 문제는 수업 발생하

는 다양한 문제행동에 어떻게 처하며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한 것이다. 비교사로

서는 실제 교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행동의 유형에 한 지식과 문제해결력이 부족

할 수 있다. MAINSTEP의 경우 기능행동분석(functional behavior analysis)을 활용한 문제

행동 진단 재 략을 활용한다. 비교사는 우선 교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행동

사례를 보고, 사례에 따른 문제해결 근법을 기능행동분석에 따라 수행한다. 즉, 문제행동

에 한 정보를 수집, 가설 인 문제행동 원인 찾기, 기능행동 분석에 따른 행동 수정

재 로그램 개발을 직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비교사들은 실제 수업상황에서 할 수

Page 13: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23 -

있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경험하고, 문제행동의 원인에 따른 재 략을 수립할 수 있다.

한 과정마다 문가의 문제해결과정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수 높은 략을 학습할

수 있다.

셋째, 읽기 유창성 모듈 역시 읽기 유창성에 문제가 있는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를 실제

비디오 앵커를 통해 이해하고, 실제 학교에서 경험 있는 교사가 활용한 평가도구, 평가과

정을 경험한다. 이 모듈 역시 과정마다 자신의 이해 수 과 문가의 이해 수 을 비교하

는 과정을 경험하고 최종 으로 비디오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모듈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실제에 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비교사가 배운 내용에 한 이를 진하는 데

효과 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넷째, 교육의 장에서 학생들의 학업을 진하고 동기를 유발하기 해서 교사는 피드

백을 히 사용해야 한다. 특히 일반학생에 비해 학습 실패 경험이 많은 장애 학생들에

게 효과 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교사의 요한 책무가 된다. 피드백 모듈은 장애학

생들에게 효과 으로 알려진 피드백 유형을 실제 교실 상황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

다. 다른 모듈과 마찬가지로 실제 교실 상황에서 유능한 교사가 사용하는 피드백 략을

비디오 앵커로 활용할 수 있다. 한, 교실 상황에서 흔히 범하기 쉬운 잘못된 피드백 사

례를 제시함으로써 비교사의 피드백에 한 다양한 을 가지도록 한다.

Ⅳ.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기 효과

1. 학습효과 측면

가. 지식의 획득 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비교사들이 졸업 후 학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한 지식과 기

술(skills)을 실에서의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의 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즉 웹기반 앵

커드 교수법의 경우, Lundberg와 Sheurman(1997)의 지식 구분에 의한 실천 인 지식을 강

조되고 있다. 이때 실천 지식이란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실행지향 인 지식을 의미한다.

Wang과 Hartley(2003)은 교사 교육의 핵심은 바로 교과내용과 교육 지식을 얼마나 효과

으로 실제 교수활동으로 이 시킬 것인가에 달려있다고 주장한다. 즉 비교사들에게

Page 14: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24 -

기본 인 교과 지식과 교수-학습에 필요한 기술(skill)을 비 시키는 것은 교사교육의 필요

조건은 될 수 있지만, 충분조건은 되지 못한다. 보 교사들이 각 학의 비교사 교육

로그램을 통해, 검증된(evidence-based) 지식과 기술을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하다. Gerber, English, 그리고 Singer(1999)는 교사교

육에 있어 ‘학문 지식’과 학교 장에서 교사가 필요한 ‘맥락 구체 인 지식’ 간에 큰 차

이가 있음을 지 하면서, 교사교육의 핵심은 교사양성 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지식,

기술, 경험’과 ‘실행’ 간의 간격을 이는 것, 즉 지식의 이(transfer)를 높이는 데에 있다

고 본다. 즉 비교사들에게 실제 교실 장에 하여 다차원 으로 근하는 능력을 높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재 교재 심의 교사교육, 시험 주의 평가제도는 교사의 실천

지식을 교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비교사들의 지식의 이를 높이기 해서는 강의와 교재 심의 학교육을 지양하고,

실제 맥락을 기반으로 문제해결 심의 구성주의 근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

해 재의 불활성화된 지식(inert knowledge) 교육에 치 하고 있는 교사교육의 문제 을

극복할 수 있다. 불성화된 지식으로는 학습한 지식이 필요할 때 효과 으로 생각해 내기가

쉽지 않고 활용하기는 더욱 힘들다. 비교사교육은 교사들이 일상 인 교실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복잡하고 실제 (authentic) 문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략을 다룰

필요가 있다. CEC(2003)는 교사 특히 비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 을 제시하면서 기존의

지식과 기술에 한 기 을 제시하 고, 최근에는 수행기반의 기 (표 )을 추가하 다.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다양한 유형의 앵커( 를 들어, 비디오, 사진, 학교에서 활용하

는 실제 문서 등)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을 통해 획득한 지식을 실제 교실 수업 상황에

이하는 데 효과 이다. 특히 최근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으로써, 기존 교실기반의 앵커

드 교수법보다 훨씬 다양한 앵커의 활용이 가능해졌다.

구체 으로, 보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의 하나가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다

(Bransford, Sherwood, Hasselbring, Kinzer, & Williams, 1990). 수업, 교실, 학교와 같은

복잡한 실 상황 속에서 우연처럼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 에서 교사로서 문제가 되는

상황을 히 발견해야 구체 인 문제해결을 시도할 수 있다. 교사의 문제발견 정도는 경

험의 유무, 지식의 정도, 상황의 민감도 등에 향을 받기 때문에 보교사의 경우 어려움

을 호소할 수 있다. Bransford et al.(1990)은 앵커드 교수법이 다차원 이고 다양한 사례를

제공할 수 있는 비디오를 활용함으로써 보 교사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미리 경험하게 함으로써 실제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효과 이라고

보고한다. 비디오 앵커의 활용은 문제의 발견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언제, 어떻게 용할

Page 15: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25 -

것인가의 측면에서 장 을 가진다는 것이다. 비디오 앵커를 통해 보교사들은 실제로

실 속에서 문제 상황 혹은 자신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해야 할 구체 인 상황에 어떻게 아

는 지식을 활용할 것인가를 배우는 데 효과 이다. 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문가

해결법(expert solution)을 강조한다. 즉, 보교사들에게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자신들이

학습한 내용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구체 인 상황을 제시하는 것과 동시에, 문가들,

를 들면 교사 경력이 풍부한 교사에게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기 해 근하는지에

한 교육경험을 제공한다.

물론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지식의 이뿐 아니라 지식의 획득에도 일반 교수법에 비

해 더욱 효과 인 학습효과를 보인다. 최근에 Thomas(2008)는 비교사를 상으로 문제

행동에 한 기능분석(functional analysis)을 가르치면서, 멀티미디어 앵커드 교수법, 아날

로그 비디오를 활용한 교수법, 그리고 통 인 교수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 다. 연구결

과, 멀티미디어 교수법과 아날로그 비디오 그룹이 통 인 교수법보다 지식 획득에 있어

서 보다 효과 이었다. 비록 멀티미디어 앵커드 교수법이 아날로그 비디오 기반의 교수법

에 비해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지식획득 증가율이 아날로그 교수법

보다 높았다. 한, Schrader, Leu, Kinzer, Ataya, Teale, 그리고 Labbo(2003)는 웹기반 비

디오 사례를 활용하여 비교사들의 효과 인 문해 교수법에 한 이해정도를 멀티미디어

비디오 집단과 아날로그 비디오 집단과 비교하 는데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이 모두 효과

이었다. 한편, Lambdin, Duffy, 그리고 Moore(1997)의 연구결과에서는 비디오 앵커를 활용

한 경우, 강의 심의 집단에 비해 비교사들이 구성주의 수학교수법 련 이론을

이해하는 데 더욱 효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 태도, 신념, 동기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의 변화 수용 등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한 변화를 해서는

비교사들의 신념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비교사들의 교수-학습에 한 신념과 자신감

은 성공 인 통합교육을 해 매우 요하다. 실제 비디오 앵커를 활용한 많은 연구들은

지식획득과 함께 비교사들의 교수-학습에 한 신념의 변화에 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비디오 앵커는 기존에 비교사들이 오랜 경험과 학습을 통해 익숙해

진 교수법 등에 한 변화를 요구한다. 특히 비디오는 다차원 인 에서 비교사들의

기존의 념(conception)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장 이 있다. 여러 연구자들은 이러한 비교

사의 념을 바꾸는 방식에 해 교사교육의 에서 논의하고 있다. Copeland와

Decker(1996)는 비디오 테크놀러지를 이용하여 실제 (authentic) 상황을 반복 으로 보여

Page 16: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26 -

으로써 비교사들이 다양한 을 가질 수 있게 하고, 기존의 아이디어나 념을 변화

시키고 반성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 Schmidt와 McCutcheon(1994)

은 비교사들에게 자신들의 가르치는 행 들을 비디오 리코더로 직 녹화하고 보게 함

으로써 기존의 자신의 교육 신념과 실제 행 와의 차이를 깨닫게 함으로써 그들의 기존

의 념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하 다.

한편, Thomas(2008)은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활용한 집단의 문제행동에 한 신념이

교수법을 마친 이후 통계 으로 유의미한 수 에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omas는 웹기

반 정착 교수법, 아날로그 비디오 교수법, 통 교수법에 한 학습자 만족도를 비교

한 결과, 세 집단 에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 집단의 학습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

다. 반면에 아날로그 비디오를 활용한 집단의 학생들의 만족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훨씬

낮았다. 이는 비록 잘 만들어진 비디오가 학습내용을 달하는 데는 효과 일 수 있지만,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측면에서 비효과 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이는 일방 인

비디오 달보다는 앵커드 교수법과 같이 다양한 교수-학습 략이 통합 으로 설계될 때

지식의 달뿐 아니라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비교사의 자신감과 련하여, Scrader 외(2003)는 읽기 수업에서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이후 읽기 수업에 한 교사들의 자신감이 늘어났다고 보고하 다. 한, Daniel(1996)은

앵커드 교수법이 비교사들의 신념과 교수법에 한 태도, 자신감 등에 정 인 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 다. 그리고, 비디오 앵커를 활용할 때, 비교사들이 학습을 통해 습

득한 교수법이 실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더울 잘 이해하고, 학교 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에 해 보다 정 인 시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nderson(2002)의 연

구에 의하면 비디오를 활용한 학습 이후 비교사들의 학습경 에 한 태도가 벌과 같은

부정 인 측면에서 정 인 략을 극 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로 변하 다.

다. 반성 성찰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비교사의 반성 성찰을 진할 수 있다. 이러한 성찰 행

는 웹기반 환경에서 보다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비교사는 웹으로 제공되는 앵커

로 비디오 자료, 실제 교실에서 활용하는 문서 등에 반복 으로 근할 수 있고 혹은 노출

됨으로써 성찰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 반성 인 사고는 교사에게 요한

역량이다. 교사는 수업뿐 아니라 학생과의 계 등 학생들의 학습과 발달을 돕기 해 자

신의 교수법, 태도, 행동과 련하여 성찰하는 반성 인 노력을 해야 한다. 반성 사고는

문가로서 교사가 자신의 일과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에 해 의미를 악하고 이해하

Page 17: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27 -

는 것뿐만 아니라 내재된 의미를 이해, 해석, 단하는 극 인 사고과정을 포함한다. 특

히 교사는 반성 사고를 통해 자신의 수업 행동, 교수법, 학생의 반응에 한 객

인 분석, 결과를 측하고, 안을 찾아보는 성찰의 과정을 통해 수업을 좀 더 매력 으로

발 시킬 수 있다. 교사는 문가로서 자신의 교수법, 학습내용, 학생의 상태, 그리고 교실

환경에 하여 끊임없이 반성 사고를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

웹을 통한 앵커드 교수법은 특히 온라인 토론학습 혹은 력학습을 진함으로써 학생

들의 반성 사고를 진하는 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문제

상황과 맥락을 비디오를 심으로 앵커링(anchoring)시킴으로써 수업 시 토론을 더욱 활성

화할 수 있다는 장 이 있다(Abowd, Pimentel, Kerimbaev, Ishiguro, & Guzdial, 1999). 앵

커를 활용한 토론은 학생들에게 토론의 방향성과 구심 을 제공함으로써 구조화되지 않은

토론보다 효과 이다(Guzdial, 1997). 를 들어, Abowd et al. (1999)은 미국 국립과학재단

의 지원으로 조지아 공 에서 이루어진 ‘Classroom 2000’이라는 로젝트를 통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효과에 한 연구를 실시하 다. 이 로젝트의 목 은 학습자들이 학습

경험을 기록(강의노트, 토론 게시 등)하게 함으로써, 수업 후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기

한 것이었다. 이 로젝트에서는 수업에 련된 강의노트를 웹상에서 제공하 고, 한

웹기반 앵커드 토론 공간을 마련해주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들이 웹기반 앵커드

토론을 강의 노트보다 더욱 많이 활용을 하 고, 수업에 한 이해력을 더욱 높이는 데에

도 웹기반 앵커드 토론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사들이 실제로 제작한 비디오를 앵커로 활용함으로서 그들의 반성 사고를 증진

시키는 연구도 최근 들어 이루어지고 있다. Calandra, Gurvitch, 그리고 Lund(2008)는 미국

남동부의 한 도시의 체육교육 비교사 10명을 상 로 4주간의 사례 연구를 실시하 다.

이들의 연구에서 비교사들은 비디오편집 로그램(iMovie)에 한 기본 인 지식을 교육

받고, 3번에 걸쳐 각각 45분간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 다. 한, 비교사들에게 자신의 수

업 내용을 기술하도록 하 고, 그것을 비디오 편집 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업 에서 요

한 부분을 3분짜리 비디오 클립(clip)을 이용하여 발췌, 편집하 다. 편집된 비디오 클립을

분석한 결과, 클립들의 90% 이상은 학생들의 학습이 아닌, 교사의 교수활동에 을 맞추

고 있었다. 한, 비디오 편집에 한 반성 사고 쓰기를 비디오 편집활동과 더불어 실

시하 는데, 그 결과 역시 쓰기의 부분이 학생의 학습활동이 아닌 비교사의 교수활

동에 을 맞춘 것이었다. 한, 그들의 연구는 비디오 클립이 어떠한 교수활동을 담고

있는지에 해 비교사의 3차례 편집활동 결과를 요약 보고하 는데, 언어 교수활동,

학 경 , 일반 찰, 모델링 측면, 그리고 구체 찰 순으로 그 비 을 차지하 다.

Page 18: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28 -

편집된 비디오 클립들의 상당 부분(85%)은 성공 이지 못했던, 즉 부정 인 교수활동의

보다 정 인 교수활동의 를 포함하고 있었다. 결론 으로 그들의 연구의 가장 요한

부분은 비교사의 반성 사고가 비디오 편집활동 보다 그 이후가 훨씬 증진되었다는

이다. 3차에 걸친 반성 사고 쓰기에서 6 만 기 으로 1차 3.71에서 4.29로, 2차

3.71에서 4.71로, 3차 4.14에서 4.71로 올라갔다.

라. 비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향상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비교사들로 하여 웹기반 교수-학습 경험 련 기술 등

을 체험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비교사들은 테크놀러지를 통해 향상된(enhanced) 교

수법을 경험함으로써 향후 학교, 교실, 수업 상황에서 테크놀러지에 한 정 인 태도,

자신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PT3 Group at Vanderbilt, 2003). 즉,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

은 교사교육을 한 테크놀러지와 테크놀러지를 활용하는 교사교육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다. 박병호(2004)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제 비교사 시기의 테크놀러지 활용 경험이

수업에서 ICT를 더욱 극 으로 활용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 양성 교육

단계에서 웹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테크놀러지 기반의 수업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비교사들에게 ICT 활용기술 자체를 가르치는 것과는 차이가 있

다. 비교사들은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경험하는 과정을 통하여 테크놀러지 활용 기술

을 배울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업 참여와 학습을 개선하기 해 최 의 테크놀러지를

선택,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Romano와 Schwartz(2005)는 미국 남서부의 교사 비 로그램을 최근에 이수한 1년차

신임교사 10명을 상 로 2002-2003년(1년) 동안 교수법에 한 그들의 반성 사고를 증진

시키기 해 자 포트폴리오(electronic portfolios), 온라인 토론, 비디오 활용 교수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반성 사고의 도구로서 테크놀러지의 효과성을 실험하 다. 연구기간 1년

동안 분기별로 한번씩, 그들을 상 로 당신들의 장래에는 어떠한 테크놀러지들을 활용하고

싶은가의 질문에 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 는데, 종합한 결과를 보면, 비디오 활용 교수

법을 가장 선호할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다음 순서로 자 포트폴리오, 온라인 토론 순이

었다. 하지만, 연구에 사용된 세 가지 테크놀러지 모두가 그들의 교수법에 한 반성 사

고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에 해서는 정 이었다. 이들의 연구에서 비교사들에게

개인별 성과 능력에 따라 테크놀러지의 단순한 가르침이나 용이 아닌 최 화, 개별화

시켜주는 방법에 해 체계 근이 더욱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비교사로

서 그들의 반성 사고를 해 재 잘 활용하고 있는 테크놀러지와 미래에 그들이 배우

Page 19: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29 -

고 활용하고 싶어 하는 테크놀러지에는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테크놀러지에 한 비교사들의 인식과 테크놀러지 자체의 변화와

발 의 계도 한 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 을 통하여 궁극 으로 앵커드

교수법은 일반 비교사들 혹은 보교사들의 ICT 활용에 한 인지 융통성을 확 하

고, 문제 상황에 어떠한 지식과 기술을 언제 활용할 것인가에 한 보다 분명한 인지모델

을 지닐 수 있도록 진할 수 있다.

2. 교수-학습 환경 측면

가. 교육 상자 확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은 다수의 교수자 비교사들을 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에서 언 했듯이, 2009학년도 학 교육 학원 입학자부터 특수학생과 련된 과목을

필수 으로 이수하게 된다. 특수교육 련 과목을 이수하는 비 일반교사 수가 속히 증

가할 것으로 상된다. 이에 국의 주요 교사양성 기 에서는 특수교육과 련된 교육과

정을 비해야 한다. 그러나 학습장애와 같은 경도장애부터 발달장애까지 장애의 유형이

다양한 특수교육 상자를 비 일반교사에게 효과 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

발하는 것은 일정 기간과 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웹기반 앵커드 교육 로그램

은 다수의 일반교사에게 특히 통합교육 환경에서 필요한 내용과 역량을 가르칠 수 있는

효과 인 교수법이 될 수 있다. 즉, 일 다수(one-to-many)의 웹기반 교육의 특성을 활용

할 필요가 있다. 한 웹기반 교육과정을 다수의 교수자 비교사들에게 공개함으로써

다양한 상황과 필요에 의해 활용되는 과정을 통하여 로그램을 진 으로 발 시킬 수

있다.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활용함으로써 단기 으로, 특히 일반 비교사를 한 교육

과정에 한 비가 충분하지 않은 교사양성 기 에서 활용하기에 유용할 것이다. 이는 교

사양성 기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질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망

된다.

나. 멀티미디어 활용

최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은 웹기반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활용성을 크

게 높 다. 즉, 기존 웹기반 교육에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할 때 주요 문제 으로 지

되던 동 상 자료 사진 자료의 로딩속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이는 교육 효과에 비해

상 으로 활용이 미비했던 앵커드 교수법과 같이 동 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극

Page 20: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30 -

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에 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기 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의 활용성 증 는 일반교사들이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제

공할 수 있다. 를 들어, 멀티미디어를 통하여 구체 이고 실제 인 교육과정 구성이 가

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비교사들은 통합교육 상황에서 직면할 수 있는 구체 이고 실제

인 상황을 이해하고 처방법을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장애학생의 사

례와 문제 심의 교수법을 통해 비교사들은 학습내용이 실제로 장래에 도움이 될 것이

라는 련성을 이해함으로서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 한, 멀티미디어를 통한 다양

한 사례와 교수법에 한 교육경험은 비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자신감을 키워 수 있

다. 이는 향후 통합교실 상황에서 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 온 ·오 라인의 효과 통합을 통한 상호작용의 극 화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일반교사를 한 특수교육 련 교육과정, 학습 자료가 부족한

실을 볼 때, 웹기반 수업만으로도 효과가 기 되지만 특히 면 면 수업과 혼합된 즉, 블

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통해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교수자는 웹기반 앵커

드 로그램을 면 면 수업에서 학습 맥락을 제공하는 데 활용함으로써 수업 고차 인

수 의 토론이 가능하고, 한 비디오 앵커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이 가능하다. 한 제한된

수업시간 내에 달할 수 없었던 다양한 상황에 한 실제 이고 풍부한 사례를 제공함으

로써 면 면 수업 후 학습자의 학습내용에 한 이와 상호작용을 진할 수 있다. 더불

어, 다양한 상호작용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와 학습자 간, 학습자와 교수자 간, 그리고 학

습자와 학습내용 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언 한 것처럼, Rieth et al.(2007)은

비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상으로 특수교육 의뢰 (prereferral), 읽기 유창성, 수학 재,

피드백 제공 략에 한 각각의 모듈을 포함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학습효과의 차이

와 학습자 교수자 만족도를 분석하 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든 모듈에서 정 인

학습효과를 나타났다. 한 80% 이상의 비교사들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에 하여 정

인 응답을 보 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다른 모듈에 비해 의뢰 모듈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면 면 모듈의 경우 면 면 수업에서 통합 으로 활용하 기 때문이라고

연구자들은 설명하고 있다. 이는 비교사와의 인터뷰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학습자들은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이 면 면 수업과 통합될 때 가장 효과 이라고 생각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runvand와 Fishman(2006-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면

면 수업과 웹기반 로그램이 통합되었을 때 가장 효과 이라는 것을 보여 다.

Thomas(2008)의 연구결과 역시 비슷한 결과를 보 는데, 강의식 수업에 비해 웹기반 앵커

Page 2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31 -

드 교수법을 면 면 수업과 통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학습자의 지식획득, 반성 사고,

만족도 모두에서 효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

라. 하이퍼미디어기반의 개별화 학습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다양한 사례 심의 교수법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수업의 속도를 조 하고 자신의 수 에 맞는 수업을 받을 수 있는 개별화 학습 는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다. 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한 분석을 기반으로 풍부한

련 자료를 하이퍼미디어 혹은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는 특정 장애

역에 한 사례 심의 동 상 자료를 하이퍼링크 형태로 쉽게 근할 수 있어, 비

교사의 다양한 장애유형 장애유형에 따른 교실 학습의 특성, 상되는 문제 상황을 선

행 경험할 수 있다. 실제 Rieth 외(2007)의 비교사의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 활용에 한

연구결과를 보면, 학습자들의 학습시간이 학습 모듈이나 학습 내용에 따라 차이가 많은 것

으로 나타났다. 즉, 읽기 유창성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학습자가 의뢰 학습모듈에서는

비교 짧은 시간을 보내고, 반면에 어떤 학습자는 의뢰 학습모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반면 읽기 유창성 학습모듈에서는 비교 짧은 시간을 보냈다. 이는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

이 개별 학습자의 필요와 수 에 맞추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일반교사 양성 기 에서 통합교육과 련하여 특수교육 련 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교수자가 부족하고, 교육과정 비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웹을 기반으로 하는

앵커드 교수법을 안으로 제시하 다. 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비 일반교사 교육

을 한 교수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문헌고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 일반교사

를 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크게 학습효과 측면과 교수-학습 환경 측면에서 정 인

효과가 기 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학습효과 측면에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지식의 획득은 물론 지식의 이를

진하고, 태도 신념의 변화를 진하며, 반성 사고를 진한다. 한, 비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러한 역량들은 교사의 반 인

문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이 다른 교수법에 비해

Page 22: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32 -

갖는 장 은 비디오 앵커(anchor)를 통하여 특수아동에 한 경험이 부족한 일반 비교사

에게 특수아동에 한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장애아동 유형을 경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장애아동과 련된 문제 상황을 다차원 인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

에 비교사가 향후 교실에서 할 수 있는 장애학생과 련된 문제 상황에 한 민감성

(sensitivity)과 지 모델(mental model)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멀티미디어 첨단 네트워크 기술을 극 으로 통합 활용함으로써

비교사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극 화할 수 있다.

둘째 교수-학습 환경측면에서 살펴보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일반 비교사를 한

통합교육 로그램이 부족한 고등교육 기 에 재정 비용 교육 효과의 문제를 효율

으로 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즉 비교 은 비용과 인력을 활용하여 교육 상

자를 획기 으로 확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습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온라인

라인을 통한 상호작용의 극 화가 가능하고, 하이퍼미디어를 기반으로 개별화 학습을 기

해 볼 수 있다. 한 양질의 웹기반 교육과정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교사양성 기 간의 질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기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련 역량을 높이고 학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비교사의 교육

격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 인 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효과 인 통합교육을 해 질 좋은 교사의 확보와 양성에 한 사회 요구는 지

속 으로 증 될 것으로 상된다. 그러한 사회 요구에 부응하기 해서는 교사는 필수

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 교사양성 기 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효과 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향후 교사교육은 단순

히 지식을 달하고 탈맥락화되고, 가공된 환경에서 실습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실제 교육

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효과 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는 방향

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하여 비교사를 한 웹기반 앵커드 로

그램의 개발 연구와 개발 로그램을 재의 교사양성 체제 하에서 어떻게 효과 , 효율

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 지속 으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의 효과에 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검증이 필요하다.

Page 23: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33 -

▣ 참 고 문 헌 ▣

교육과학기술부(2008). 장애인 등에 한 특수교육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2007). 교사자격 무시험검정 기 강화를 한 련 법령 개정안 교육부고시 신

설안 주요내용. 서울: 교육인 자원부.

박병호․정한석․이명근․서순식(2004). ICT를 활용한 로젝트 기반학습 연수 참여 교사들의 활용

실태 진 환경 조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7(6), 107-116.

이 식 (2002). 등학교에서 성공 인 장애아 통합교육을 한 일반교사 교육의 방향. 등교육연구,

15(1), 167-187.

우정한․김성애․윤 보(2005). 통합교육 효율화를 한 웹기반 교사교육 로그램 콘텐츠 개발

을 한 기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정동 ․김형일․정동일(2001).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 율 조사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최성규․유태수(2003). 등학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한 태도와 수행능력간의 상 계 연구. 特殊

敎育再活科學硏究, 42(2), 73-91.

Abell, S. K., Bryan, L. A., & Anderson, M. A.(1998).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reflective thinking using integrated media case 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Science Teacher Education, 82(4), 491-510.

Abowd, G., Pimentel, M., Kerimbaev, B., Ishiguro, Y., & Guzdial, M.(1999). Anchoring discussions

in lecture: An approach to collaboratively extending classroom digital media.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1999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

Palo Alto, California.

Anderson, D. H.(2002). Effects of a CD-ROM training program to teach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es of problem behavior in their class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tah State University, Logan.

Barnett, M.(2006). Using a Web-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to support preservice

teachers in examining authentic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4(4), 701-729.

Beck, R. J., King, A., & Marshall, S. K.(2002). Effects of videocase construction on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s of teaching.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0(4), 345-361.

Bransford, J. D., Brophy, S., & Williams, S.(2000). When computer technologies meet the learning

sciences: Issue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1), 59-84.

Bransford, J. D., Sherwood, R. D., Hasselbring, T. S., Kinzer, C. K., & Williams, S.(1990).

Anchored instruction: Why we need it and how technology can help. In D. Nix & R.

Spiro (Eds.), Cognition, education, and multimedia: Exploring ideas in high technology (pp.

115-141). Hillsdale, NJ: Erlbaum.

Brunvand, S., & Fishman, B.(2006-2007). Investigating the impact of the availability of scaffolds on

Page 24: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34 -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and learning from video.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35(2), 151-174.

Buell, M. J., Hallam, R., Gamel-Mccormick, M., & Scheer, S.(1999). A survey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inservice needs concerning inclu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46(2), 143-156.

Calandra, B., Gurvitch, R., & Lund, J.(2008). An exploratory study of digital video editing as a

too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6(2), 137-153.

Clark, R. E. (1983). Reconsidering research on learning from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4), 445-459.

Clark, R. E.(1994). Media will never influence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2(2), 21-29.

Cochran-Smith, M., & Fries, M. K.(2001). Sticks, stones, and ideology: The discourse of reform in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30(8), 3-15.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 University[CTGV].(1992). The Jasper experiment:

An exploration of issues in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sign, 40(1), 65-80.

Copeland, W. D., & Decker, D.(1996). Video cases and the development of meaning making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5), 467-481.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2003).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 Ethic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special educators(5th ed.). Retrieved August 5th, 2008, from

http://www.cec.sped.org/Content/NavigationMenu/ProfessionalDevelopment/ProfessionalSta

ndards/

Darling-Hammond, L.(2000). Teacher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A review of state policy

evidence. Educational Policy Analysis Archives, 8(1).

Ellins, J., & Porter, J.(2005). Departmental differences in attitudes to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the secondary school. Britis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2(4), 188-195.

Gerber, M. M., & Semmel, M. I.(1985). Microeconomics of referral and reintegration: A paradigm

for evaluation of special education.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11, 13-29.

Gerber, M. M., English, J., & Singer, G. S.(1999). Bridging between craft and academic knowledge:

A computer support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professional preparation in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22(2), 100-113.

Guzdial, M.(1997). Information ecology of collaborations in educational settings: Influence of tool.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1997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 Toronto, Ontario, Canada.

Imig, D., & Imig, S.(2005). The learned report on teacher education. Change, 37(5), 58-65.

Kauffman, J. M., & Wiley, A. L.(2004). How the president’s commission on excellence in special

Page 25: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35 -

education (PCESE) devalues special education. Learning Disabilities: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3, 3-6.

Koehler, M. J.(2002). Designing case-based hypermedia for developing understanding of children's

mathematical reason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0(2), 151-195.

Kozma, R. B.(1994). A reply: Media and method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2(3), 11-14.

Kurz, T. L., & Batarelo, I.(2004). Using anchored instruction to evaluate mathematical growth and

understand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33(4), 421-436.

Lambdin, D. V., Duffy, T. M., & Moore, J. A.(1997). Using an interactive information system to

expand preservice teachers' visions of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5(2 & 3), 171-202.

Levine, A.(2006). Educating school teachers. The Education Schools Project. Retrieved August 9th,

2008, from http://www.edschools.org/teacher_report.htm

Lindsay, J.(2003). Inclusive education: a crit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0(1), 3-12.

Lundeberg, M. A., & Scheurman, G.(1997). Looking twice means seeing more: Developing

pedagogical knowledge through case analysi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3(8), 783-797.

Maccini, P., Gagnon, J. C., & Hughes, C. A.(2003). Technology-based practice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25, 247-261.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NCES].(2005). The condition of education.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NCATE].(1997). Technology and the new

professional teacher: Preparing for the 21st century classroom. Washington, DC: Author.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 Pub. L. No. 107-110 (2002).

Powers, P.J.(1992). The effect of special education coursework upon the preparation of preservice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orthern Rocky Mountai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377 183).

PT3 Group at Vanderbilt.(2003). Three amigos: Using "anchored modular inquiry" to help

prepared future teacher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1(1), 105-123.

Pullin, D.(2004). Accountability, autonomy, and academic freedom in educator preparation

progra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5(4), 300-312.

Romano, M., & Schwartz, J.(2005). Exploring technology as a tool for eliciting and encouraging

beginning teacher reflection.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5(2),

149-168.

Romi, S., & Leyser, Y.(2006). Exploring inclusion pre-service training needs: A study of variables

associated with attitudes and self-efficacy beliefs. 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Page 26: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36 -

21(1), 85–105.

Rose, R.(2001) Primary school teacher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required to include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Review, 53(2), 147-157.

Schmidt, C. P., & McCutcheon, J. W.(1994). Verbal versus nonverbal cues in evaluations of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27(2), 118-125.

Schrader, P. G., Leu, D. J. Jr., Kinzer, C. K., Ataya, R., Teale, W. H., Labbo, L. D., et al.(2003).

Using Internet delivered video cases to support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ffective early literacy instruction: An exploratory study. Instructional Science, 31, 317-340.

Schumm, J.S., & Vaughn, S.(1995). Getting ready for inclusion: Is the stage set?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and Practice, 10(3), 169-179.

Sherry, L. and Wilson, B.(1997). Transformative communication as a stimulus to Web innovations.

In Khan, B. (Ed.) Web-Based Instruction (pp. 67-73). Englewood Cliffs: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Stella, C. S., Torlin, C., & Lan, M.(2007). The influence of an inclusive education course on

attitude chang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Hong Kong.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2), 161-179.

Sternberg, R. J.(2001). Giftedness as developing expertise: A theory of the interface between high

abilities and achieved excellence. High Ability Studies, 12(2), 159-171.

Thomas, C.(2008). A comparison of three instructional methods-teacher-directed lecture- and text-based

instruction, analog video instruction, and multimedia anchored instruction-on the knowledge, beliefs,

and skills of preservice teachers. Austin, TX: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ieth, Thomas, Heo, & Colburn(2007). Project MAINSTEP: Multimedia anchored instruction and

networking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project. Presented a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pecial Education’s (IASE) Conference.

Wang, C.-H.(1995). The phenomenon of knowledge transference from a constructive and

cognitive-flexible hypermedia learning environment to a real world situ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Greeley.

Wang, J., & Hartley, K.(2003). Video technology as a support for teacher education reform.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1(1), 105-139.

Whitaker, S. D.(2001). Supporting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34(4), 1-18.

Whitehead, A., N.(1929). Aims of education. New York: The Free Press.

Woodward, J., & Rieth, H.(1997). A historical review of technology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7(4), 503-536.

Page 27: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TpzQy2Dm_10_E…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212 - Ⅰ. 서 론

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한 이해 교수역량 증진을 한 웹기반 앵커드 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 237 -

ABSTRACT

Review of Web-Based Anchored Programs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ies

Heo, Yusung (Chosun University, professor)

Nam, Changwoo (Texas A&M University, Ph.D. Candid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nticipated positive effects of Web-based

anchored program o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particular, currently Korean teacher educators

face new challenges; teaching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underst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are effective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s.

However, it does not seem to be easy because of two reasons. First, there are not enough

teacher educators for this. Second, there is no well-structured curriculum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at is well matched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s. Previous

studies on Web-based anchored instruction for the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is approach would be effective on pre-service teachers' 1) knowledge

transfer, reflective thinking, attitude and motivation, and 2) use of ICT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perspective. In addition, Web-based anchored program seems to be effective on

teaching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small number of teacher educators with

well-prepared curriculum, use of multimedia resources, increasing interactions, and

individualized learning.

Key words : Web-based anchored instruct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siv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