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글의창제와문자생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 ·...

12
318 3. 말과 글의 역사 (2) 한글의 창제와 문자 생활 한글의 창제가 선인들의 문자 생활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한편으로 한자를 사 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두, 구결, 향찰 등 한자 차용 표기법을 이용해 우리말을 표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던 때에, 한글 창제는 그야말로 혁신적인 사건이었다. 한 글의 창제 원리와 의의를 이해하고, 한글 창제 이전과 이후의 문자 생활을 되짚어 보는 것은, 한글 사랑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글의 창제 원리 1446년(세종 28) 한글이 처음 반포되었을 때의 이름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이었다. 훈민정음이 반포되던 때에‘훈민정음’이란 이름의 책이 간행되었는데, 이 책은 훈민 정음이란 문자에 대한 해설서 성격을 띠고 있는 책으로서, ‘예의(例義)’와‘해례(解 例)’의두부분으로구성되어있다. ‘예의’는 세종이 만들었고, 세종의 서문과 훈민정 음의 음가 및 운용법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다. ‘해례’는정인지를비롯한8명의신 하들이 만들었는데, 임금이 쓴‘예의’부분을 해설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는 내용으 로 이루어져 있다. “훈민정음”의체재는대략 다음과같다.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에 대한 설명은‘해례’의‘제자해’부분에정확하고 자세하게 나와 있다. 이 설명에 따르면 훈민정음 28자는 상형 (象形)의 원리에 따라 만들었는 데,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고, 모음은 자연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1 한글의 창제 원리와 의의 맛보기 다음에 주어진 자음 글자와 모양이 비슷한 글자를 찾아보자. ㄱ: ㄴ: ㅁ: ㅅ: ㅇ: 예의 세종 서문 음가와 운용법 해례 5해와 1예 정인지 서문 “세종실록”에 따르면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것은 1443년(세종 25) 으로,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3년 전이다. 한글날은 훈민정음이 창 제된 1443년이 아니라 훈민정음 이 반포된 1446년을 기준으로 제 정되었다. 세상에 반포됨으로써 비로소 문자로서의 생명을 얻은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한글 창제에 대한 고찰의 의의 훈민정음의 체재 예시 답ㄷ, ㅌ ㅂ, ㅍ ㅈ, ㅊ ‘백성을가르치는바른소리’라는뜻 ‘예의’의내용 ‘해례’의내용 자음의 제자 원리 모음의 제자 원리 소단원 안내|이 단원은 한글 창제의 원리와 의의 문자 생활의 변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소리의 특성이 반 영된 한글 창제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글이 매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글자임을 인지하고, 한글 창제 이전의 문 자 생활의 모습을 통해 한글 창제의 의의와 한글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차자 표기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문법 수업 ppt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318 3. 말과 글의 역사

(2) 한글의창제와문자생활

한글의 창제가 선인들의 문자 생활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한편으로 한자를 사

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두, 구결, 향찰 등 한자 차용 표기법을 이용해 우리말을

표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던 때에, 한글 창제는 그야말로 혁신적인 사건이었다. 한

글의 창제 원리와 의의를 이해하고, 한글 창제 이전과 이후의 문자 생활을 되짚어

보는것은, 한글사랑의출발점이될것이다.

•한글의창제원리

1446년(세종 28) 한글이처음반포되었을때의이름은훈민정음(訓民正音)이었다.

훈민정음이 반포되던 때에‘훈민정음’이란 이름의 책이 간행되었는데, 이 책은 훈민

정음이란 문자에 대한 해설서 성격을 띠고 있는 책으로서, ‘예의(例義)’와‘해례(解

例)’의두부분으로구성되어있다. ‘예의’는세종이만들었고, 세종의서문과훈민정

음의 음가 및 운용법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다. ‘해례’는 정인지를 비롯한 8명의 신

하들이 만들었는데, 임금이 쓴‘예의’부분을 해설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는 내용으

로이루어져있다. “훈민정음”의체재는대략다음과같다.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 대한 설명은‘해례’의‘제자해’부분에 정확하고 자세하게

나와 있다. 이 설명에 따르면 훈민정음 28자는 상형(象形)의 원리에 따라 만들었는

데,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고, 모음은 자연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1⃞ 한글의창제원리와의의

맛보기

다음에주어진자음글자와모양이비슷한글자를찾아보자.

•ㄱ: •ㄴ:

•ㅁ: •ㅅ:

•ㅇ:

예의

세종서문 음가와운용법

해례

5해와 1예 정인지서문

“세종실록”에 따르면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것은 1443년(세종 25)

으로,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3년

전이다. 한글날은 훈민정음이 창

제된 1443년이 아니라 훈민정음

이 반포된 1446년을 기준으로 제

정되었다. 세상에 반포됨으로써

비로소 문자로서의 생명을 얻은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한글창제에대한고찰의의의

훈민정음의체재

예시답|

ㅋ ㄷ, ㅌ

ㅂ, ㅍ ㅈ, ㅊ

‘백성을가르치는바른소리’라는뜻

‘예의’의내용

‘해례’의내용

자음의제자원리 모음의제자원리

소단원 안내|이 단원은 한글 창제의 원리와 의의 및 문자 생활의 변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소리의 특성이 반

영된 한글 창제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글이 매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글자임을 인지하고, 한글 창제 이전의 문

자생활의모습을통해한글창제의의의와한글의중요성을인식할수있도록지도한다.

차자표기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문법수업 ppt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18 mac02 T

01 우리 말과 글의 변천 319

고되어있다.

자음의 기본 글자는‘ㄱ, ㄴ, ㅁ, ㅅ, ㅇ’의 다섯이고, 모음의 기본 글자는‘ㆍ,

ㅡ, ㅣ’의셋이다. 각 글자의구체적인상형원리는다음과같다.

상형의 원리에 따라 기본자를 만든 다음, 이를 기초로 나머지 글자들을 만들었다.

자음들은 기본자에 가획(加劃)을 하여 만들고, 모음들은 기본자들을 합용(合用)하여

만들었다. 기본자에획을더하여만든자음글자를보이면다음과같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14자에, 이체자(異體字)인‘ㆁ, ㄹ, ㅿ’3자를 합쳐, 총 17

자의 자음 글자가 만들어졌다. ‘ㆁ, ㄹ, ㅿ’은“훈민정음”에서 가획의 뜻이 없다고

하였으나, 문자의모양자체는기본글자에가획한것임을쉽게알수있다.

기본자를 합용하여 만든 모음 글자를 초출자(初出字)와 재출자(再出字)로 나누어

보이면 다음과 같다. 초출자란‘ㆍ’와 나머지 기본자 하나를 합용하여 만든 글자이

고, 재출자란초출자에‘ㆍ’를다시합용하여만든글자이다.

상형과 가획의 원리로 만들어진 자음 17자와 상형과 합용의 원리로 만들어진 모

음 11자를 합하여, 총 28자의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졌다. 그 제자 원리가 매우 과

학적이고도철학적이며, 논리정연하다하겠다.

•한글의창제의의

한글창제의목적은“훈민정음”의어제서문(御製序文)에잘나타나있다.

자음

혀뿌리가목구멍을닫는모양

혀가윗잇몸에붙는모양

입모양

이모양

목구멍모양

모음

하늘의둥근모양

땅의평평한모양

사람의서있는모양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

가획자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ㆆ, ㅎ

이체자 ㆁ ㄹ ㅿ

기본자 ㆍ, ㅡ, ㅣ

초출자 ㅗ, ㅏ, ㅜ, ㅓ

재출자 ㅛ, ㅑ, ㅠ, ㅕ

로마자의 경우 글자 모양이 매우

자의적이어서, 발음 기관 등의 모

양과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 서로

비슷한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들끼

리도 형태상 어떤 유사성도 없다.

‘ㄲ, ㄸ, ㅃ, ㅆ, ㅉ, ㆅ’등 된소

리를 표시하는 글자는, 새로 만든

글자가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글

자를 병서(竝書)한 것이므로, 세종

이 새로 28자를 만들었다고 한

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훈민정음”제자해

천지인

훈민정음의기본자창제원리인상형의원리

기본자외글자들의제자원리인가획과합용

모음글자의초출자와재출자

훈민정음의제자원리가갖는특징

아음(牙音) 천(天)

지(地)

인(人)

설음(舌音)

순음(脣音)

치음(齒音)

후음(喉音)

획을더함. 합쳐서사용

원리에서벗어나게만든글자

임금(세종)이 몸소지은

(294~329)207교⑶1 2013.1.16 8:0 PM 페이지319 mac02 T

320 3. 말과 글의 역사

한글을 창제한 세종 스스로가 모든 백성들이 편하게 문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

겠다는 창제의 목적을 서문에서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한글 창제 이후에도 한글로

작성된 문서가 공식 문서로 인정되지 못했다거나, 한글 창제 직후에“동국정운(東國

正韻)”을 편찬하여 한자음을 정리하였다거나 하는 점을 근거로 들어, 한글 창제의

목적이백성들을위하는위민(爲民)에 있지않다고보는견해가있다. 실제로한글은

창제 이후 오랫동안 국가의 공식적인 문자로 대접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한글을 국자(國字)로 공인하기 어려웠던 시대 상황 때문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한글이 처해 있던 현실적 상황이 그렇다고 해서, 창제자 스스로 명백하게 밝

힌창제의목적을부정하는것은옳지않다.

세종의 창제 목적이 현실에서 발현하는 데에는 꽤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한글이

온 국민의 문자로서 지위를 확립한 것은 19세기와 20세기의 교체기에 와서의 일이

다. 이 무렵에‘국문(國文)’이라는 명칭이 쓰이게 되고, ‘한글’이라는 고유한 이름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동안‘훈민정음’혹은‘정음’이라는 정식 명칭 대신 속된 글이라

는 뜻의‘언문(諺文)’으로 불리며 지낸 세월이 500년이나 된 셈이다. 비로소 입으로

는 우리말을 하면서 한문으로 글을 쓰는 기형적 언어생활이 끝나고, 입으로 하는 말

과글로쓰는말이일치하는언문일치의언어생활이실현된것이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배우기 쉽고 쓰기 편한 소리글자이다. 입으로 하는 말은 제

각각일정한언어공동체안에서의사소통수단으로서의기능을훌륭히수행하고있

으므로, 특별히 어떤 언어가 우수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문자는 다르다. 문자에

는 우열이 있다. 문자의 발달 과정을 보면, 그림 문자보다 표의 문자가 발달된 문자

이고, 표의 문자보다 표음 문자가 발달된 문자이다. 표음 문자에는 음절 문자와 음

소문자가있는데, 음소문자가음절문자보다발달된문자이다. 동양 3국의문자를

비교해 보자면, 한자는 표의 문자에 속하고, 일본의 가나는 음절 문자에 속하며 한

글은 음소 문자에 속한다. 한국어가 중국어나 일본어보다 우수하다고 할 수는 없지

만, 한글이 한자나 가나보다 우수한 문자라고 하는 것은 옳다. 더욱이 한글은 발음

기관을 본떠서 만들고, 소리가 세지는 것을 가획으로 표시하는 등 과학적이고 체계

적인 원리로 만들었기 때문에, 문자 자체로 보아 어떤 음소 문자보다 우수하다. 예

를 들어, 소리의 특성이 문자 모양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ㄱ, ㅋ’이 비슷한 소리

거의 완벽한 언문일치의 언어생활

을 하지만, 입으로 하는 말과 글

로 쓰는 말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이

유를 나타내는 어미‘-(으)므로’는

글로 쓰는 말에서만 쓰인다.

동국정운(東國正韻)

조선 세종 때 신숙주, 최항, 박팽년

등이 왕의 명으로 편찬하여 세종

30년(1448)에 간행한 우리나라 최

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으로 6권 6

책이며 활자본이다. ‘동국정운’이란

우리나라의 바른 음이라는 뜻으로,

당시 혼란스럽던 우리나라의 한자

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

하려는 목적으로 중국 운학(韻學)의

체계에맞추어편찬, 간행되었다.

음절 문자와 음소 문자

음절 문자는 글자 수만큼의 음절

만 표기할 수 있지만, 음소 문자

는 자음 글자 수와 모음 글자 수

의 곱만큼 음절을 표기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음절 문자 20자는

20개 음절을 표기하는 데 그치지

만, 자음 글자 10자와 모음 글자

10자로 총 20 글자를 가진 음소

문자는 적어도 100 음절을 표기

할 수 있다.

▲ 세종 대왕 어진

나랏말이중국과달라한자와서로통하지않으므로어리석은백성이말하고자하

는바가있어도끝내그뜻을펴지못하는사람이많다. 내가이를불쌍히여겨새로

스물여덟글자를만드니사람마다쉽게익혀날로씀에편하게하고자할따름이다.

한글창제의목적 - 위민(爲民) 정신

한글창제의목적이 20세기가까이에이르러서야현실에서발현됨.

음소문자

하나하나의글자가언어의음과상관없이일정한뜻을나타내는문자

말소리를그대로기호로나타낸문자

한글이우수한음소문자인이유

드러내어밝히고

한글창제의목적 - 위민(爲民) 정신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0 mac02 T

01 우리 말과 글의 변천 321

이고‘ㄴ, ㄷ, ㅌ’이 비슷한 소리라는 것을 척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우수성은

비단 학문적인 면에서의 문자 자체의 우수성일 뿐 아니라, 현실적인 면에서 문자 학

습에필요한노력과시간을줄여주는경제성으로나타나기도한다.

한글의이러한우수성은 오늘날우리나라가치열한경쟁속에서작지만강한나라

로 자리매김하는 데에 기여한 바가 크다. 누구나 쉽게 한글을 배워서 쓸 수 있게 됨

으로써 지식과 정보에 대한 평등이 가능해졌다. 문자로 표현된 수많은 지식과 정보

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이 이루어진 것이다. 봉건 사회에서 지배 계층만이

지식과 정보를 독차지하던 것과 비교하면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인적 자원이

무엇보다 중요한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할 때, 모든 국민이 쉽게 글을 배워서 지식

과 정보를 공유하고, 그러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세계와 경쟁할 수 있게 된 점

은, 오늘날의우리나라를가능하게만든여러요소가운데하나임이분명하다.

적용하기

훈민정음에대한다음설명의잘못된부분을바로잡아보자.

•훈민정음은상형과가획의원리로창제되었다. ①

•새로만들어진글자는, 자음의기본자와모음의기본자를합쳐모두여덟글자였다.

•훈민정음창제의궁극적인목적은한자음의정리였다. ③

2⃞ 문자생활사

맛보기

다음빈칸에들어갈알맞은말을아래에서찾아보자.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한글이 창제되기 전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말했습니까?”궁금증이가득한표정을보고할말을잃었다. ( )가 없던시절에

는 ( )도 없었으리라 생각하는 것일까? 이런 생각은, 문맹(文盲)인 사람은 말도

못하리라 생각하는 것처럼 어리석다. 입으로 하는 ( )와 글로 쓰는 ( )를

구별하지 못한 탓이다. ( )은 고대로부터 있어 왔고, 다만 한글 창제 이전에는

그것을온전히적을 ( )가 없었을뿐이었다.

우리말   우리글자   음성언어   문자언어

음소문자로서한글의우수성

한글이우리문화에기여한점

예시답|

우리글자

우리말

문자언어음성언어

우리말

우리글자

한글이우리나라발전에가장크게공헌한점

예시 답|① 훈민정음 창제의 기본 원리는 상형의 원리이다. 이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기본자를 바탕으로 가획과 합용

의원리에따라나머지글자를창제했다.

② 새로 만들어진 글자는, 자음 17자와 모음 11자를 합쳐 모두 28자이다. (물론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기본자는 자음

5자, 모음 3자이지만, 가획과 합용에 의해 만들어진 나머지 글자들도 모두 새로 만들어진 글자이므로 이를 전부 포

함해야한다.)

③ 한글 창제의 목적은 모든 백성들이 편하게 문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을, 창제자인 세종 스스로“훈민정

음”서문에서밝히고있다.

글을읽거나쓸줄모름.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1 mac02 T

322 3. 말과 글의 역사

한글 창제 이전에 우리 민족은 문자 생활을 어떻게 하였을까? 우리 고유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외래 문자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 문자가 바로 중국에

서 들어온 한자였다. 한자가 들어오면서 어느 정도 문자 생활이 가능해지긴 했지만,

여러 가지 제약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입으로는 우리말을 하면서, 문자로 기록을 할

때에는 한문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였다. 한문 학습은 한자 학습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었기 때문에 일부 지식 계층만이 그런 학습이 가능하였고, 그 결과

문자생활은매우한정된계층만이누릴수있는일이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유한 관직명, 인명, 지명 등의 고유 명사는 한자로 적기 어려

운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한자가 유입된 이후 고대 삼국에서는 사서(史書) 편찬

을 하였는데, 이 경우에 고유 명사의 표기는 문제가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고대삼국에서볼수있는한자차용표기법이었다.

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는 음독(音讀)과 석독(釋讀) 두 가지였다. 한자의 뜻을 버

리고 소리만 이용하는 것이 음독이고, 반대로 한자의 소리를 버리고 뜻만 이용하는

것이 석독이다. 예를 들어, ‘古[옛 고]’자를 뜻과는 상관없이 단순히‘고’라는 소리

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음독이고, ‘水[물 수]’자를 써 놓고‘물’이라고 읽

는다면 그것이 석독이다. 실제 문헌 자료에서 음독과 석독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다음자료를통해살펴보자.

이 구절은 신라의 혁거세 왕에 대한 주석이다. ‘赫居世’와‘弗矩內’는 모두 신라

말로서, 한 사람의 이름을 다르게 표기한 것이므로 표기는 다르지만 동일하게 읽어

야 한다. 한자의 뜻과 소리를 이용하여 두 표기가 하나의 이름으로 일치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赫’과‘世’를 뜻으로 읽고, 나머지 글자들을 모두 소리로 읽으면

두 표기가 거의 일치될 듯하다. 따라서‘赫居世’는 석독과 음독이 혼합된 표기이고,

‘弗矩內’는음독표기라고할수있다.

한자 차용 표기법은 고유 명사 표기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의 단어나 문장을 표

기하는 데까지 발전하였다. 이두(吏讀), 구결(口訣), 향찰(鄕札) 등은 고유 명사 표기

보다 발달된 한자 차용 표기법이다. 이두는 단어를 국어의 문장 구조에 따라 배열하

고 조사와 어미까지 표기하여 문장의 의미 및 문맥을 분명하게 표기하기 위한 차자

표기법이다. 구결은 한문을 읽을 때 구절 사이사이에 조사나 어미를 표기하여 문장

자기 이름을 석독한다면, 어떻게

읽을 수 있을지 말해 보자.

•赫 붉을 혁

•居 살 거

•世 뉘 세

•弗 아니 불

•矩 곱자 구

•內 안 내

蓋鄕言也或作弗矩內王言光明理世也 (“삼국유사”권 1)

모두 향언(신라 말)이다. 혹은‘弗矩內’왕이라고도 하는데, 광명으로 세상을 다스

린다는말이다.

말과글이서로어울리지않음. 훈민정음을만든이유로서문에잘나타남.

음독의개념(정의) 석독의개념(정의)

이두의정의. 이두는신라의설총이만든것으로알려져있음.

구결의정의

문자를빌려서쓴다고하여‘차자(借字)’라고함.

한자를빌려쓰는문자생활의한계

한자로고유명사를표기하기위해만든한자차용표기법

한자차용표기법인음독과석독의개념

음독과석독사용의예시

예를 들어 이름이‘신혁(新爀)’이

라면‘새 신(新)’자에‘빛날 혁(爀)’

자이므로 석독하면‘새빛’으로 읽을

수있다.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2 mac02 T

01 우리 말과 글의 변천 323

의 의미 및 문맥을 밝혀 주는 차자 표기법이다. 이두와 구결이 비슷한 점이 있지만,

이두는 국어 문장 전체를 표기하는 것인 데 비해, 구결은 한문 원문을 그대로 둔 채

문법 형태소만을 표기하는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 향찰은 신라의 향가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 차자 표기법으로, 표기 원리에 있어서는 이두나 구결과 차이가 없으나 순

수한국어문장을표기한점에서의미가있다.

이두는 한글이 창제되고 난 이후에도 19세기 말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이두는 당

시 지배 계층이 사용하는 한문의 후광을 입고 있었고, 갑오개혁까지 한글로 된 문서

는법적인효력을인정받지못했기때문이다.

구결은 속성상 한문을 사용하는 한은 계속 쓸모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한글이 창

제되고 난 이후 한글로 구결을 달 수 있게 되면서 한자 차용 표기로서의 구결은 용

도가 매우 제한되었다. 한글 구결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한자 차용 표기로서의 구결

은점차설자리를잃게되었던것이다.

향찰은 한자의 소리와 뜻을 차용하여 국어를 표기하려는 노력의 집대성이었다고

할 수 있으나, 향가 표기에만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 결과 통

일 신라가 멸망하고 향가가 더 이상 창작되지 않으면서 향찰 표기도 자연히 사라지

게되었다. 이두나구결에비해수명이극히짧았던차자표기법이었다.

<“대명률직해”(1395)의 이두>

한문원문: 謂謀背本國潛從 國

이두원문: 本國乙背叛爲遣彼國乙潛通謀叛爲行臥乎事

현대어역: 제 나라를배반하고다른나라를내통하여모반하는일

<“동몽선습”의구결>

天地之間萬物之中厓唯人伊最貴爲尼所貴乎人者隱以其有五倫也羅

천지지간만물지중애유인이최귀 소귀호인자 이기유오륜야라

<‘도솔가’의향찰>

향찰표기 양주동해독 김완진해독

今日此矣散花唱良

巴寶白乎隱花良汝隱

直等隱心音矣命叱使以惡只

彌勒座主陪立羅良

오 이 散花블러

고자너는

고 命ㅅ브리 디

彌勒座主뫼셔롸

오 이 散花블러

보보 고자너는

고 命ㅅ브리이악

彌勒座主모리셔벌라

오늘이에산화(散花)를 불러

뿌리온꽃아너는

곧은마음의명에부리워져

미륵좌주모셔라.

오늘이에산화를불러

솟아나게한꽃아너는

곧은마음의명에부리워져

미륵좌주모셔벌려늘어서라.

한자 구결음독 구결

석독 구결

한글 구결

구결

이두와구결의차이

구결쇠퇴의계기

향찰의제한성

향찰의정의와특징

차자표기체계인이두, 구결, 향찰

이두사용이지속된이유

한글창제이후구결의한계성

향가표기에만사용되었던향찰의제한성

중국명나라의법전인“대명률”을해석한책

조선중종때에박세무가쓴어린이학습서

하늘과땅사이만물가운데오직사람이가장귀하니사람이귀한것은오륜이있기때문이다.

도솔가(兜率歌)

신라 경덕왕 19년(760)에 월명사가

지은 향가. 4월 초하룻날 두 개의

해가 나타나는 괴변이 일어났는데,

이 노래를 지어 부르자 사라졌다고

한다. 4구체로 되어 있으며, “삼국

유사”에실려있다.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3 mac02 T

324 3. 말과 글의 역사

한글 창제 전까지 국어 표기의 가장 주요한 수단은 한자였고, 부분적으로 이두,

구결, 향찰 같은 한자 차용 표기가 사용되었다. 1446년(세종 28)에 훈민정음이란

이름으로 한글이 창제되었으나, 표기법의 양상이 크게 바뀌지는 않았다. 지배 계층

은여전히공식문서를한자로표기하였고, 이두도여전히사용되었다.

훈민정음은 정식 명칭인‘훈민정음’혹은‘정음’으로 불리지 못하고, 공식 문서에

서조차 속된 글이라는 뜻의‘언문(諺文)’으로 불리었다. 사적인 편지나 일기 등에서

한글이 쓰이기는 했지만, 한글로 된 문서는 조선 말까지 공식적인 효력을 인정받지

못하다가 갑오개혁(1894) 이후에야 공식 문서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때에 이르러

‘언문’대신‘국문(國文)’이란 이름이 쓰이기도 하고, ‘한글’이란 이름도 등장하게 되

었다. 그러나 일본의 식민 통치하에서‘국문’이란 명칭을 쓸 수 없게 되어‘조선문

(朝鮮文)’또는‘조선글’로 불리다가, 해방 후에야 우리 글자의 공식적 이름을‘한글’

로 정하게 됨으로써, 한글이 국가의 공식 문자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럼

에도불구하고여러매체에서한자와알파벳이한글과더불어사용되고있는현실은

우려를 자아낸다. 한글을 지키고 빛나게 하는 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몫

이다.

창제 당시‘훈민정음’이었던 이름

이 오늘날‘한글’이 되기까지, 한

글의 명칭 변화 과정은 한글 수난

의 역사를 잘 보여 준다.

훈민정음, 정음 → 언문 → 국문,

한글 → 조선문, 조선글 → 한글

2010 크리스마스 실 - 한글 사랑 ▶

훈민정음창제후에도달라지지않은차자표기체계

명칭에나타난한글의시련, 한글을대하는자세

주시경선생이지은명칭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4 mac02 T

01 우리 말과 글의 변천 325

배운후에

담아보기

1 한글의창제원리와관련하여다음활동을해보자.

(1) 한글의창제원리에대해한문장으로설명해보자.

•상형:

•가획:

•합용:

(2) 각 원리에따라창제된글자들을나열해보자.

상형

가획

합용

ㄱ, ㄴ, ㅁ, ㅅ, ㅇ / ·, ㅡ, ㅣ

ㅋ, (ㆁ), ㄷ, ㅌ, (ㄹ), ㅂ, ㅍ, ㅈ, ㅊ, (ㅿ), ㆆ, ㅎ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2 이두, 구결, 향찰의특성을정리해보자.

3 한글창제원리가운데가획과관련하여다음활동을해보자.

(1) ‘훈민정음’에서는 소리가 세지면 획을 더한다고 하였다. 다음의 기본자와 가

획자의발음에서느껴지는차이를소리의세기와관련하여말해보자.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ㅎ

펼쳐보기

이두

구결

향찰

조사, 어미 등의문법요소를표기하고어순도우리말어순으로바꾸는차용표기

한문을그대로두고문법요소를표기하는차용표기

이두와유사하나일부어휘형태소까지적용된차용표기

▶한글창제의원리를파악하는활동

예시답|자음은발음기관의모양을, 모음은자연의모양을본떠만들었다.

예시답|기본자에획을더하여새로운자음글자를만들었다.

예시답|기본자를서로어울려새로운모음글자를만들었다.

예시답|

▶한자차자표기의특성을이해하는활동

예시답|

… 실제로 소리를 내서 발음하면서 소리의 세기를 듣고 느껴 보도록 한다. 이때 각 자음의 조음 방법에 신경쓰도록

한다. 획의 수가많아질수록소리가세지는느낌을받는지확인한다.

예시 답|•예사소리인‘ㄱ’보다 거

센소리인‘ㅋ’이 발음을 하면 소리

의세기가더세어진다.

•울림소리인 비음‘ㄴ’보다는 파열

음 예사소리인‘ㄷ’이, ‘ㄷ’보다는

같은 파열음의 거센소리인‘ㅌ’이

발음을 하면 소리의 세기가 더 세

어진다.

•울림소리인 비음‘ㅁ’보다는 파열

음 예사소리인‘ㅂ’이, ‘ㅂ’보다는

같은 파열음의 거센소리인‘ㅍ’이

발음을 하면 소리의 세기가 더 세

어진다.

•마찰음‘ㅅ’보다는 파찰음 예사소

리인‘ㅈ’이, ‘ㅈ’보다는 같은 파찰

음의 거센소리인‘ㅊ’이 발음을 하

면소리의세기가더세어진다.

•울림소리인 비음‘ㅇ’보다는 마찰

음‘ㅎ’이 발음을 하면 소리의 세

기가더세어진다.

▶ 한글창제원리중가획에반영된음운적특징을파악하는활동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5 mac02 T

326 3. 말과 글의 역사

4 한글표기와관련하여다음활동을해보자.

(1)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모음을 소리 내어 발음해 보고, 발음이 같다면 왜 표기

가다른지, 또한이러한경우표기를통일할수있는지말해보자.

•오늘은왠지모든일이술술풀릴것같아.

•이게웬떡이야?

(2) 다음 대화의 밑줄 친 부분의 실제 발음이 무엇인지 말해 보고, 현재의 모음

으로표기가가능한지, 가능하지않다면어떻게하면좋을지생각해보자.

•너그애랑무슨사이야? 사귀어?

•아니, 예전엔사귀었지.

5 휴대 전화에서 한글을 입력하는‘천지인(天地人)’방식과 한글 창제 원리의 상관

성에대하여말해보자.

(2) ‘ㄹ, ㅿ, ㆁ’은 글자 모양으로 보아‘ㄴ, ㅅ, ㅇ’에 가획한 것으로 보이는데,

‘훈민정음’에서 가획으로 설명하지 않고 이체자(異體字)라고 한 이유가 무엇

인지말해보자.

배운후에

1

l2

·3ㅡ

4

ㄱㅋ5

ㄴㄹ6

ㄷㅌ

7

ㅂㅍ8

ㅅㅎ9

ㅈㅊ

*0

ㅇㅁ #

1

l2

·3ㅡ

4

ㄱㅋ5

ㄴㄹ6

ㄷㅌ

7

ㅂㅍ8

ㅅㅎ9

ㅈㅊ

*0

ㅇㅁ #

예시답|‘왜[w¡]’와‘웨(we)’는 서로다

른 소리값을 가진 모음이나 실제로 언

중들 사이에서는 이들이 명확하게 구분

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말하는

이나 듣는 이가 발음으로 둘을 구분하

기는 어렵다. 따라서 발음을 기준으로

한다면 표기를 구별하지 않고 하나로

통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왠지’는

‘왜인지’에서 줄어진 형식이기 때문에

원래어원을밝혀적도록한것이다.

예시 답|실제 대화 상황에서는‘사귀어’, ‘사귀었지’처럼 말하지 않고 줄여서 말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모음 글자

중에는 이를 줄여 적을 글자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학생들로 하여금 줄여서 적을 수 있는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가

령‘사 ’, ‘사 ’같은형태로모음을만들어볼수있을것이다.

예시 답|‘훈민정음’에서 가획이란 소리가 세지는 것을 의미한다. ‘ㄹ, ㅿ, ㆁ’은 글자의 형태로는 가획으로 보이지만,

가획의뜻이없기때문에, 즉 소리가세지는것이아니기때문에가획의뜻이없는이체자라고하였다.

▶ 한글표기의원리를이해하는활동

예시 답|‘천지인’이란 한글

모음을 창제할 당시에 기본자

의 상형 대상이 되었던 삼재

(三才)이다. 이를 본떠‘·, ㅡ,

ㅣ’세 모음을 만들고 나머지

모음 글자들은 이 세 글자를

합쳐서 만들었던 것이다. 현재

의‘천지인’방식은 기본적으

로 이러한 창제 원리를 원용

한것이라고볼수있다.

▶ 휴대전화의‘천지인’입력방식에나타난한글창제의원리를파악하는활동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6 mac02 T

01 우리 말과 글의 변천 327

세계 문자의 역사는 그 기원과 전승이 자못 단조로웠다고 할 수 있다. 인류의

모든 문자는 하나의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단원설(單元說)이 오랫동안 큰

매력을 끌어 왔을 정도였다. 단원설은 지나친 주장이라 하더라도, 세계의 곳곳

에서 사용되어 온 문자들의 과거를 더듬어 보면 수메르의 설형 문자(楔形文字),

이집트의 신성 문자(神聖文字), 중국의 한자(漢字)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문자들

은 모두 물건의 모양을 본뜬 상형(象形)을 기본으로 한 표의 문자였다. 그런데

이웃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표음 문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것은 세계 문자

의역사에서일어난가장큰변혁이었다.

서쪽에서 보면, 이 변혁은 페니키아에서 싹이 텄다. 그중 그리스로 들어간 것

이 가장 온전하게 틀이 잡혔다. 오늘날 온 세계를 제패하다시피 한 알파벳은 이

렇게태어난것이다.

㉠동쪽에서 보면, 중국의 한자를 가장 일찍 받아들인 우리 민족의 조상들이

이 문자로 우리말을 표기하려는 여러 가지 노력을 하여 고유 명사 표기, 이두,

구결 등을 만들어 썼는데, 그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사실은 한자의 획을 극도로

간략하게 하여 표음 문자로 쓰는 방법을 발달시킨 것이었다. 이것이 일본으로

건너가 가나[假名]라는 음절 문자가 형성되었다. 일본어의 음절 구조가 매우 간

단했기에가능했던것이다.

한편 중국의 동북쪽에 세워진 서하(西夏), 거란(契丹), 금(金)에서도 각기 문자

를만들어썼음을본다. 한자의변종이라할수있는것들이지만, 독특한문자를

만든사실자체가주목할가치가있다고하겠다.

이 밖에도 동아시아에는 두 계통의 문자가 들어와 있었다. 하나는 불교와 함

께 들어온 인도의 범자(梵字)요, 다른 하나는 중앙아시아를 통해서 들어온 위구

르 문자였다. 티베트 문자와 몽고 문자는 이들의 계통을 끄는 것이다. 특히 원

(元) 세조는 당시 원이 지배한 여러 지역의 언어들을 기록할 수 있는 일종의 국

제 문자를 라마 승려 파스파에게 명하여 만들게 하였는데, 이 파스파 문자는 티

베트 문자를 개량한 것으로 주목할 만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 문자들은 자

음자와 모음자로 이루어진 점에서 알파벳이라고 할 수 있으나 자세히 보면 결함

이한둘이아니었다.

이러한 속에서, 한글이 15세기 중엽에 우리나라에서 그 자태를 드러내었다.

6 다음글을읽고, 이어지는활동을해보자.

엮어보기

▲ 수메르의 설형 문자

▲ 이집트의 신성 문자

▶문자의발달과정을파악하고한글의중요성을이해하는활동

•갈래: 설명문

•성격: 분석적, 예시적

•제재: 한글

•주제: 세계 문자의 역사에서 한글

이갖는우수성과의의

•특징: 문자의 기원과 전승에 대해

역사적으로 서술하며 한글의 우수

성을드러냄.

고대메소포타미아에서사용된그림문자로‘쐐기문자’라고도함.

고대이집트에서사용된상형문자로‘신의말’이라는명칭을가진문자

기원전 3000년 무렵에페니키아인이시리아중부지방에건설한도시국가

¸1111111251111111111C

고대인도의산스크리트어를적었던문자

세계문자역사에서기원이되는표의문자와

전승과정에서가장큰변혁이된표음문자

서양의경우, 페니키아에서싹튼표음문자의변혁과알파벳의탄생

동양의경우, 중국의한자를우리민족과일본에서표음문자로만듦.

중국동북쪽나라에서사용된

한자의변종이지닌가치

동아시아문자의두계통인범자와위구르문자에서비롯된여러문자와그결함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7 mac02 T

328 3. 말과 글의 역사

이 문자가 위에서 말한 여러 문자들과는 생김새부터 아주 딴판임은 누구나 첫눈

에 알 수 있는 사실이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문자의 탄생에 관한 기록으로

전하는 것이 아주 적었다. 15세기 말엽의 사람들조차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적은 책을 볼 수 없었다. 이런 형편이고 보니, 한글은 언제 누가 어떻게 만들었

는가 하는 데 대해서 구구한 학설이 나오게 되었다. 단편적인 기록들을 토대로

한온갖억측들이뒤엉키게된것이다. <중략>

세계의 문자들은 그 성질로 보아 크게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로 나누고, 표음

문자는 다시 음절 문자와 음소 문자로 나누는 것이 문자 분류의 전통적인 틀이

었다. 이 중음소문자의대표는서양의알파벳이요, 한글도여기에속하는것으

로 간주되어 왔다. 그런데 영국의 언어학자 샘슨(G. Sampson)은“문자 체계”

(1985)라는 책을 쓰면서 이러한 분류의 틀을 바꾸어 버렸다. 그는 순전히 한글

을 위하여 자질 문자(資質文字)라는 것을 새로 마련한 것이다. 언어의 음소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에는 각 음소가 몇 개의 자질의

묶음으로 되어 있다는 일부 학자의 주장이 힘을 얻어 이제는 정설이 되어 있다.

한글 체계는 기본자와 거기에 획을 더한 글자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바로 이것

이 자질을 나타낸 것으로 세계의 어느 다른 문자에서도 볼 수 없는 특징임에 샘

슨은착안한것이다.

한글이 알파벳과는 다른 특징들을 갖추고 있음은 우리나라 학자들도 오래전

부터 느껴 왔다. 그러나 서양에서 이루어진 문자 분류의 틀을 깨거나 그것에서

벗어날 생각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런 우리 학계에 샘슨의 새 학설은 커다

란 충격이었다. 우리나라 학자들이 한글의 우수성을 염불처럼 외우고 있는 동

안에 외국 학자가 그것을 이론적으로 드러냈으니 낯을 들고 다니기도 부끄럽게

되었다.

이제 다시 생각하면 자질 문자라는 것은 한글이 가진 특징의 일부를 드러낸

것뿐이며 그것을 온전히 드러내기에는 모자란다는 느낌을 뿌리칠 수 없다. 앞으

로 이 느낌을 어떻게 이론화하는가 하는 것은 우리나라 학자들에게 주어진 과제

라고생각한다.

세계에 유례가 없는 문자이건만, 한글의 역사는 기구하였다. 공적으로나 사적

으로나, 우리 사회의 상층부가 오랫동안 한문을 씀으로써 한글은 그 밑에 짓눌

려온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의 중요성은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는 것이었다. ㉡한

글이 적게 쓰인 것은 사실이지만, 한글만이 쓰일 곳이 있었고 그 사명을 다했던

배운후에

제프리샘슨(Geoffrey Sampson,

1944~ )

영국의 저명한 언어학자.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책에서 한글의 우

수성을 과학적으로 조명하여‘세계

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 ‘가장

훌륭한문자체계’라고칭함.

한글의탄생과그에대한기록의

부족으로인한많은억측

샘슨이주장하여문자분류의틀을바꿔버린자질문자한글

한글의우수성을이론적으로드러낸샘슨에게받은우리학계의충격과부끄러움

우리학자들에게주어진한글이론화의과제

한글의기구한역사

음절이한단위가되는문자

이유와근거없는짐작

음소가음성적자질을나타내주는문자

자음·모음등의음소가단위가되는문자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8 mac02 T

01 우리 말과 글의 변천 329

것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말로 쓴 문학 작품에서 한글은 절대적이었다. 우리나라

문학 유산은 매우 빈약하지만 한글마저 없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이에 생각이

미칠 때마다 세종이 좀 더 일찍 태어나서 한글을 만들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억누르기어렵다.

- 이기문, ‘한글’중에서

(1) 다음빈칸을채워문자의발달과정을정리해보자.

그림문자 ⁄ ⁄1⁄11123⁄11111125⁄

표음문자표의문자

음절문자

음소문자

자질문자

(2) ㉠의 내용을 참고하여, 한자의 약자를 이용하여 표음 문자로 활용하는 방법

이 일본에서는 가나로 자리 잡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러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말해보자.

(3) ㉡과 관련하여, 우리 문학 작품을 영어로 번역할 때 어떤 어려움이 있을지

말해보자.

우리한글의중요성과문학작품에서갖는절대성

예시 답|한자 차용 표기는 기본적으로 음절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즉, 음절 단

위로 차자(借字)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음절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지만 국어의 경우

에는가능한음절의수가 1만을넘기때문에그수만큼음절문자를정해서쓰는것이거의불가능했다.

예시 답|순 우리말을 소리 글자인 한글로 온전히 적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영어로 적는 것은 매우 어

렵다. 예를 들어‘엄마, 어머니’를‘mom, mother’로 옮기면 될 것 같지만 이 영어 단어들에서 우리말의‘엄마, 어머

니’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애틋하고 살가운 정서들을 읽어 내기란 어려워 보인다. 각 언어에는 그 언어 사용자들의

고유한 정서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다. 또한 언어마다 어휘가 발달하는 영역도 달라서‘파랗다, 퍼렇

다, 푸르다, 푸르스름하다, ……’등의우리말을영어로정확히옮겨표현하는것은거의불가능해보인다.

예시답|

(294~329)207교⑶1 2012.6.11 2:34 PM 페이지329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