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소식 · 게 하는 도구나 장치 ’를 말하며, ‘업사이클링’은...

21
국립국어원 소식

Upload: others

Post on 26-May-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국립국어원 소식

  • 국립국어원 소식 161

    1. 국립국어원 말다듬기위원회, 다듬은 말 선정

    1.1. ‘텀블러’ 대신 ‘통컵’

    ∙ 텀블러(tumbler)’의 다듬은 말: ‘통컵’∙ 가드닝(gardening)’의 다듬은 말: ‘생활 원예’∙ 에코백(eco-bag)’의 다듬은 말: ‘친환경 가방’∙ 플리마켓(flea market)’의 다듬은 말: ‘벼룩시장’∙ ‘햄스트링(hamstring)’의 다듬은 말: ‘허벅지뒷근육/허벅지뒤힘줄’

    ‘텀블러’는 ‘음료수를 마시는 데 쓰는, 굽이나 손잡이가 없고 밑이 편

    평한 컵’을 말한다. 그리고 ‘가드닝’은 ‘정서 안정(심신 이완), 관상, 공기

    정화, 조경, 취미 생활, 식재료 수확 등의 목적을 위해 베란다, 사무실,

    정원 또는 채소밭 등에서 화초나 채소를 가꾸는 활동’을 가리킨다.

    ‘에코백’은 생태를 뜻하는 ‘에콜로지(ecology)’와 가방의 ‘백(bag)’이

    합쳐진 말로, ‘환경을 생각하는 가방’이라는 뜻인데, 천 소재로 된 가방

    을 말한다. ‘플리마켓’은 ‘안 쓰는 물건을 공원이나 길거리 등에 갖고 나

    와 매매나 교환을 하는 시장’을 말한다.

    ‘햄스트링’은 ‘인체의 허벅지 뒤쪽(또는 넓적다리 뒤쪽) 부분의 근육

    과 힘줄’을 뜻하는 말이다.

    1.2. ‘하우스 웨딩’ 대신 ‘정원 결혼식’

    ∙ ‘하우스 웨딩(house wedding)’의 다듬은 말: ‘정원 결혼식’∙ ‘트렌드 세터(trend setter)’의 다듬은 말: ‘유행 선도자’∙ ‘디스펜서(dispenser)’의 다듬은 말: ‘(정량) 공급기’∙ ‘디퓨저(diffuser)’의 다듬은 말: ‘방향기’∙ ‘업사이클링(up-cycling)’의 다듬은 말: ‘새활용’

  • 162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하우스 웨딩’은 ‘주로 정원이 있는 집, 레스토랑 등에서 소수의 선별

    된 하객만 초청하여 뜰잔치(가든파티)식으로 하는 결혼식’을 가리킨다.

    또 ‘트렌드 세터’는 ‘유행을 선도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의식주와 관련

    한 각종 유행을 창조하고 대중화하는 사람이나 기업’을 일컫는다. ‘디스

    펜서’는 ‘냅킨, 종이컵, 물비누, 양치액 등 특정한 물건이나 물질을 사용

    할 때 버튼이나 손잡이를 한 번 누르면 일정한 양이 공급되도록 고안된

    도구나 장치’이다. 또 ‘디퓨저’는 ‘방향제, 향수 등의 향기 입자를 잘 퍼지

    게 하는 도구나 장치’를 말하며, ‘업사이클링’은 ‘버려지는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2. 국립국어원 원내 토론회

    2.1. 2014년 제12회 원내 토론회

    ∙ 주제: 디자이너 세종의 독창성: 한글의 숨은 코드∙ 발표자: 이상억(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일시: 2014년 9월 29일(월) 16:00∼17:30∙ 장소: 국립국어원 3층 강의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이상억 서울대 명예교수가 ‘디자이너 세종의 독

    창성: 한글의 숨은 코드’라는 주제로, 한글 자모에 담긴 숨은 의도와 조

    형성, 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훈민정음의 문자적 독창성

    등에 대해 발표하였다.

    한글 자모에는 획수 절약이라는 경제성의 원리가 숨어 있다. 1획의

    ‘ㄱ’ 모양을 택함으로써 2획의 ‘Г’ 모양에 비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

  • 국립국어원 소식 163

    다. ‘ㄴ’의 경우도 획수 절약상 반대의 모습인 ‘˩’ 모양을 취하지 않았고, 3획인 ‘F’가 아닌 2획의 ‘ㅋ’을 선택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하게 되었다.

    또한 ‘ㅁ>ㅂ>曰’으로 예상되는 가획 대신 변칙적 ‘ㅍ’을 택한 것은 ‘曰’

    이 ‘ㄹ’이나 ‘ㅌ’과 모양이 비슷해서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를 피하

    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ㄴ’에서 가획으로 ‘ㄷ’을 취한 방향

    으로 밀고 나가고, 나머지 유사한 ‘⊐, ⊓, ⊔’을 더 취하지 않은 것은 유사성을 줄여 최대한 구별이 쉽도록 하려는 배려라 할 수 있다.

    한글 자모의 조형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견해를 제시하였

    다. 한글 자모 ‘ㄱ’부터 ‘ㅂ’까지를 한 개의 네모 속에 가지런히 채워 넣

    어, 네모 규격 속에 자음의 조형성을 입증하였다. 다음은 ‘ㅋ, ㅌ, ㅍ’을

    더 포함시켜 ‘ㄱ’부터 ‘ㅍ’까지를 더 큰 네모 속에 가지런히 채워 넣었다.

    이러한 숨은 디자인의 정제성은 수직·수평선의 일사불란한 조합에서

    이미 잉태된 것이다. 나머지 ‘ㅅ, ㅇ, ㅈ, ㅊ, ㅎ’도 아래의 한 형상에 집

    약해 넣을 수 있다. 이 수렴된 모습이 마치 열쇠 구멍처럼 무슨 비밀 코

    드를 숨긴 듯하다.

    이어서 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훈민정음에는 (1) 가획 (2) 합자(네모 속에 한 음절을 씀) 두 가지 특징

    외에, 다음과 같은 서예상의 원칙이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왼쪽

  • 164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에서 오른쪽으로 또 위에서 아래로 쓴다. (4) 가획을 할 때와 음절 단위

    내부를 합자해 써 나갈 때 같은 간격을 유지한다. (5) 음절 단위의 크기

    를 네모의 연쇄로 붙여 나갈 때 같은 크기를 유지한다. 획들을 평행으

    로 써 나갈 경우 여러 단계의 밀도가 있다. (6) 획수의 최소화를 고려하

    였다. (7) 서예적 유사성이 많을 경우 다른 자형을 도입하여 회피하도

    록 선택했다. (8) 자소의 최대 변별 원칙을 지키려면 ‘ㅋ’ 또는 ‘匕’과 ‘ㄷ’

    또는 ‘כ’ 중 하나가 선택되어야 했다. 모음자 창제 시 수직·수평선의 분포에 대한 계량적 고찰을 하면, 현재와 같은 선택이 모음자 출현 빈도

    에 비추어 현명한 선택이었다.

    끝으로 훈민정음의 문자적 독창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세계 문자

    들 가운데 훈민정음의 자형과 비슷한 것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한 표

    기 체계의 몇 요소가 다른 표기 체계의 몇 요소와 ‘비슷한’ 것을 발견했

    다고 놀랄 일은 아니다. 그들은 공통으로 쓰일 수 있는 기본 획들이기

    때문이다. 훈민정음과 다른 주요 표기 체계(미노아, 페니키아, 그리스,

    히브리, 브라미, 로만, 키릴, 중국 및 일본) 간의 유사성을 살펴본 결과,

    관찰된 유사성으로부터 어떤 의미 있는 결론을 찾을 수 없었다. 인류

    역사에서 발견되는 표기 체계상의 모든 증명된 ‘모방’에 반해, 제2의 창

    제가 세상에 유일하게 선행된 예가 없는 음성자질 표기 체계(featural

    system)라는 단순한 이유로, 훈민정음의 선행 모델이 된 것을 굳이 찾

    으려는 시도는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억 명예교수의 발표에 이어 한글 디자인의 특성과 활용 방안, 한

    글의 우수성 등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고, 앞으로 한글의 문자적 우수성

    뿐 아니라 디자인과 같은 다양하고 독창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취지에 공감하며 토론회가 마무리되었다.

  • 국립국어원 소식 165

    2.2. 2014년 제13회 원내 토론회

    ∙ 주제: 한자 문화의 안과 밖∙ 발표자: 송병렬(영남대학교 교수)∙ 일시: 2014년 11월 3일(월) 16:00∼17:40∙ 장소: 국립국어원 2층 대회의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송병렬 영남대학교 교수가 ‘한자 문화의 안과 밖’

    이라는 주제로, 문화의 어원과 의미,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형성, 우

    리나라 한자 문화의 특성 등에 대해 발표하였다.

    오늘날 문화(文化)의 의미는 근대에 서구로부터 동아시아에 들어왔

    다. ‘문화’라는 말은 서구의 ‘culture(영), Kultur(독), culture(프)’를 번

    역한 말로, 라틴어의 ‘cultura’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러나 동아시아에

    서 전통적으로 사용한 ‘문화’의 의미는 조금 다르다. ‘문’의 본뜻은 ‘문신

    (紋身=文身)’을 가리키는 말이었다가 ‘화문, 문장, 문학, 문덕, 천문, 인

    문’ 등으로 확장되었다. ‘화’의 본뜻은 ‘교화’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문’

    과 ‘화’가 동시에 출현한 것은 ≪역경≫과 한나라 유향의 ≪설원≫이다.

    觀乎天文 以察時變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천문을 관찰하여 시변을 살피며, 인문을 관찰하여 천하를 변화시

    킨다.) ≪역경≫

    聖人之治天下也 先文德而後武力 凡武之興 爲不服也 文化不改

    然後加誅

    (성인이 천하를 다스릴 때에는 문덕을 먼저하고 무력을 나중에 쓴

    다. 다만 무력을 사용하는 것은 복종하지 않기 때문이다. 먼저 인문

    으로 교화했는데도 바뀌지 않으면 그런 뒤에 칠 수 있다.) ≪설원≫

  • 166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문화는 ≪설원≫에 나타난 표현으로 보면 ‘덕으로 하는 정치에 의한

    세상의 변화’라는 의미이다.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그 무엇’을 의미하는 현대의 사전적인 개

    념과 일부 상통하는 바가 있다.

    이어서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자 문화

    권은 ‘한자(한문)’라는 ‘언어’를 통해 이루어진 문화권임을 강조한 것이

    다. 언어와 관련한 문화권으로 서양의 라틴 문화가 존재한다. 라틴 문

    화는 서구 문화의 원류로 히브리 문화 및 그리스 문화와 더불어 서양 문

    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동아시아는 서구처럼 보편적 가치로 통일된

    세계로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문자로서는 한자 문화권이며, 이념에서

    는 유교의 문명권이다.

    한자 문화의 안(내포)은 유교 사상과 관련이 깊다. 유교의 이상적 정

    치와 문화는 ‘예치(禮治)’로 정의된다. 여기서 ‘예’는 상대를 교화하여

    화에 이르도록 하는 정치 행위를 의미한다. 유학은 ‘수기치인지학’이라

    할 만큼 군자의 수기치인을 매우 강조하였고, 수기와 인을 행하는 출발

    점을 효제로 잡았다. 또한 유학은 정치철학의 학문이다. 특히 ≪논어≫

    는 당시 군주세습제 사회에 대해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다. 공자는 왕

    의 후손만이 통치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며, 군자의 덕을 닦는 사람만이

    백성을 편안하게 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중세 한국은 이러한 유학의

    정치철학을 받아들였고, 그러한 이념을 추구하는 사회를 만들었다.

    한자 문화의 밖(외연)은 다음과 같이 언어, 문학·역사·철학, 생활

    사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한글 창제 이전까지 이

    두, 향찰을 비롯해 한자를 통해 문자 생활을 누려 왔다. 중세 동아시아

    의 학문은 분과적 학문 체계가 아닌 통합적 학문 체계로, 문학과 역사,

    철학의 내용들을 하나의 틀 속에 아우르고 있다. 한자 문화는 우리 주

  • 국립국어원 소식 167

    변에 있는 생활과 관련된 문화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한자 문화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동아시

    아에서 한자 문화는 보편적이지만, 한국의 한자 문화는 특수한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우리의 역사 속에서 우리의 사상과 감정을 담아온

    것이기 때문이다. 즉 우리의 한자 문화는 형식은 보편적이나 내용은 특

    수한 것이다.

    송병렬 교수의 발표에 이어 우리나라 한자 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

    동아시아 한자 문화의 비교 등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고, 한·중·일의

    한자 어휘 비교 연구 등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는 취지에 공감하며 토론

    회가 마무리되었다.

    3. 정부 · 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심의 결과

    3.1. 2014년도 제25차 실무소위원회 심의 확정안(2014. 9. 26.)

    [인명]

    ∙ 니시카와 고야(西川公也). 1942∼. 일본 정치가. 농림수산상(2014. 9.∼). 5선 중의원 의원(2012. 12.∼, 1996. 10.∼2009. 7.). 자민당 소속.

    ∙ 다케시타 와타루(竹下亙). 1946∼. 일본 정치가. 부흥상 겸 후쿠시마 원전사고 재생총괄 담당상(2014. 9.∼). 5선 중의원 의원(2000. 6.∼).

    자민당 소속. 방송인 출신. 다케시타(竹下登) 전 총리의 이복동생.

    ∙ 뢰벤, (셸) 스테판(Kjell) (Stefan Löfven). 1957∼. 스웨덴 정치가. 총리(2014. 10.∼). 중도좌파 사회민주당(SAP) 당수(2012. 1.∼). 금속

    노동조합(IF Metall) 위원장(2006. 1.∼2012. 1.).

    ∙ 마쓰시마 미도리(松島みどり). 1956∼. 일본 여성 정치가. 법무상

  • 168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2014. 9.∼). 4선 중의원 의원(2012. 12.∼, 2000. 6.∼2009. 7.). 자

    민당 소속. 호적상의 성명은 ‘바바 미도리(馬場)’. 신문 기자 출신.∙ 모치즈키 요시오(望月義夫). 1947∼. 일본 정치가. 환경상 겸 내각부특명담당상(원자력방재)(2014. 9.∼). 6선 중의원 의원(2011. 1.∼,

    1996. 10.∼2009. 7.). 자민당 소속.

    ∙ 발리온, 로데베이크(Lodewijk Baljon). 1956∼. 네덜란드 건축가.∙ 쓰쓰미 쓰요시(堤剛). 1942∼. 일본 첼로 연주자.∙ 아리무라 하루코(有村治子). 1970∼. 일본 여성 정치가. 내각부특명담당상(소비자·식품안전, 규제개혁, 저출산 대책, 남녀공동참여) 겸

    행정개혁·여성활약·국가공무원제도 담당상(2014. 9.∼). 3선 참

    의원 의원(2001. 7.∼). 자민당 소속.

    ∙ 야마구치 슌이치(山口俊一). 1950∼. 일본 정치가. 내각부특명담당상(오키나와·북방 대책, 과학기술·우주 정책) 겸 정보통신기술(IT)

    정책·재도전(再チャレンジ)·쿨저팬(クールジャパン)전략 담당상(2014. 9.∼). 8선 중의원 의원(1990. 2.∼). 자민당 소속.

    ∙ 야마타니 에리코(山谷えり子). 본명 오가와 에리코(小川惠里子). 1950∼. 일본 여성 정치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겸 내각부특명담

    당상(방재) 겸 납치문제·국토강인화·해양정책·영토문제 담당상

    (2014. 9.∼). 총리 보좌관(교육재생 담당)(2006. 9.∼2007. 9.). 2선

    참의원 의원(2004∼), 중의원 의원(2000∼2003). 2014년 현재 자민

    당 소속. 언론인 출신.

    ∙ 에토 아키노리(江渡聰徳). 1955∼. 일본 정치가. 방위상 겸 안보법제 담당상(2014. 9.∼). 5선 중의원 의원(2003. 11.∼, 1996. 10.∼2000. 6.).

    자민당 소속.

    ∙ 자이드 (빈) 라아드 (Zayd (bin) Raʕd/Zeid (bin) Ra'ad) 아랍 어명:

  • 국립국어원 소식 169

    (요르단 외교관. 유엔(UN) 인권고등판무관(UNHCHR .∽1964 .زيد بن رعد(2014. 9.∼). 미국 주재 대사(2007∼2010), 유엔 주재 대사(2000∼

    2007), 부대사(1996∼2000). 현 국왕 압둘라 2세(ʕAbdullāh Ⅱ bin al Ḥusayn)의 재당숙(7촌).

    ∙ 케직, 칩스(Chips Keswick). 본명 존 치펀데일 린들리 케직(Sir John Chippendale Lindley Keswick). 1940∼. 영국 경영인. 스코틀랜드인.

    잉글랜드 프로축구 팀 아스널(Arsenal F.C.) 회장(2013. 6.∼).

    3.2. 2014년 제26차 실무소위원회 심의 확정안(2014. 10. 2.)

    [인명]

    ∙ 무구루사 (블랑코), 가르비녜(Garbiñe Muguruza (Blanco)). 1993∼ 베네수엘라·에스파냐 테니스 선수. 카라카스(Caracas) 근교에서 에

    스파냐 바스크인 부친과 베네수엘라인 모친에게서 출생. 2014년 9월

    현재 여자테니스협회(WTA) 세계 랭킹 단식 22위, 복식 15위.

    ∙ 사무카이, 브라우니(Brownie J. Samukai). ?∼. 라이베리아 군사·경찰 행정가. 국방장관(2006. 1.∼).

    ∙ 슈나이더, 에티엔(Etienne Schneider). 1971∼. 룩셈부르크 정치가. 부총리 겸 경제·국내안보·국방 장관(2013. 12.∼), 경제·대외무

    역 장관(2012. 2.∼2013. 12.).

    ∙ 슐링크, 베른하르트(Bernhard Schlink). 1944∼. 독일 법조인·법학자·저술가. 대표 집필 소설 ‘더 리더(Der Vorleser)(The Reader)’(1995).

    ∙ 추미, 베르나르(Bernard Tschumi). 1944∼. 프랑스·스위스 건축가. 로잔(Lau˗sanne)에서 스위스인 부친과 프랑스인 모친에게서 출생. 미국 영주권자. 미국 컬럼비아(Columbia)대 건축·계획·보존대학원

  • 170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GSAPP) 학장(1988∼2003). 스위스 건축가 장 추미(Jean Tschumi)의

    아들.

    ∙ 추미, 장 (앙드레) (Jean (André) Tschumi). 1904∼1962. 스위스 건축가. 제네바(Geneva)에서 스위스 독일어권 출신 부모에게서 출생.

    ∙ 카마이클, 앨리스터(Alistair Carmichael). 본명 알렉산더 모리슨 카마이클(Alexander Morrison Carmichael). 1965∼. 영국 정치가. 스

    코틀랜드인. 스코틀랜드 담당 장관(2013. 10.∼). 중도좌파 스코틀

    랜드 자유민주당(Scottish Liberal Democrats) 부대표(2012. 9.∼).

    3선 하원의원(2001. 6.∼). 하원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s) 원

    내대표(Chief Whip)(2010. 5.∼2013. 10.).

    ∙ 파들리, 무흐신(Muḥsin al Faḍlī/Muhsin al-Fadhli) 아랍 어명:군인. 쿠웨이트 태생. 다국가 출신 시리아 이민 .∽1981 .محسن الفضلي자들로 구성된 이슬람 테러 집단 호라산(Khorasan)(페르시아 어명:

    )의 수장으로 추정되는 인물. 전 알카에다(al-Qaeda) 이란 지

    부장.

    [지명]

    ∙ 타반보그드 산(Tavan Bogd 산). 몽골 어명: Таван богд. 몽골 서단에 위치한, 몽골 최고(最高)의 산.

    3.3. 2014년 제27차 실무소위원회 심의 확정안(2014. 10. 10.)

    [인명]

    ∙ 글리슨, 도널(Domhnall Gleeson). 1983∼. 아일랜드 배우. 단편영화 감독·각본가로도 활동.

    ∙ 라메시, 라마무르티(Ramamoorthy Ramesh). 타밀 어명:

  • 국립국어원 소식 171

    . 1960∼. 인도·미국 재료학자 타밀나두(Tamil Nadu)

    주 첸나이(Chennai) 태생.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UC Berkeley) 교수

    (2004∼).

    ∙ 룬구, 이리나(Irina Lungu). 1980∼. 몰도바 성악가. 소프라노 가수.∙ 마흐말바프, 모센(Mohsen Makhmalbaf). 페르시아 어명: محسن مخملباف.

    1957∼. 이란 영화 감독·각본가·제작자. 대표 연출작 ‘칸다하르

    (Kandahar)(페르시아 어명: 2001) ’(سفر قندهار).∙ 아기옹, 필리프 (마리오) (Philippe (Mario) Aghion). 1956∼. 프랑스

    경제학자. 하버드(Harvard)대 경제학 석좌교수.

    ∙ 아이컨그린, 배리(줄리언) (Barry (Julian) Eichengreen). 1952∼. 미국 경제학자.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Berkeley) 경제·정치학과 교수.

    ∙ 에이브러햄슨, 레니(Lenny Abrahamson). 본명 레너드 에이브러햄슨(Leonard Abrahamson). 1966∼. 아일랜드 영화감독. 대표 연출

    작 ‘주유소(Garage)’(2007).

    ∙ 오디에어노, 레이먼드(Raymond T. Odierno). 애칭 레이(Ray). 1954∼. 미국 군인. 육군 대장(2008. 9.∼). 육군 참모총장(2011. 9.∼).

    3.4. 제117차 정부 · 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심의 결정안

    (2014.10.15.)

    [인명]

    ∙ 가튼스타인로스, 더비드(Daveed Gartenstein-Ross). 1976∼. 미국 법조인·실업가. 오리건(Oregon)주 애슐랜드(Ashland)의 유대인

    집안에서 출생. 워싱턴시 소재 국가안보·외교정책 두뇌집단(think

    tank) 민주국가수호재단(FDD) 산하 테러리스트 급진화 연구소장

    (2010∼ ). 테러 대응 문제 학자·분석가·고문으로 활동.

  • 172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 구톈러(古天樂/Gǔ Tiānlè). 영어명: 루이스 쿠(Louis Koo). 1970∼. 중국 배우. 홍콩인. 광둥 어명은 ‘구틴록(Gu Tin-lok)’.

    ∙ 그리세이, 토머스 (풀) (Thomas P(oole) Griesa). 1930∼.미국 법조인. 뉴욕주남부연방지방법원(S.D.N.Y.) 법원장(1993∼2000), 판사

    (1972∼1993, 2000∼).

    ∙ 꾼찰라 워라위찟차이꾼(Kulchala Worawicitchaikul/KunchalaVoravichitchaikul). 타이 어명: ก ุลชลา วรว ิจ ิตรช ัยก ุล. 1984∼. 타이 여성 배드민턴 선수.

    ∙ 리바오장(李保樟 Lǐ Bǎozhāng). 통용 표기: 리포청(Lee Po-Cheung). ?∼.중국 영화감독. 홍콩인.

    ∙ 모드, 그레임(Graeme Moad). 1952∼. 오스트레일리아 화학자. 호주연방과학원(CSIRO) 소속(1979∼ ).

    ∙ 모신스키, 일라이자(Elijah Moshinsky). 1946∼. 오스트레일리아 공연감독. 중국 상하이에서 러시아 유대인 부모에게서 출생, 5세에 가

    족이 멜버른(Melbourne)에 이주. 영국 로열 오페라 하우스(Royal

    Opera House), 미국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단(Metropolitan Opera),

    영국 국립극장(Royal National Theatre) 등에서 활동.

    ∙ 바추리, 잠바(Jamba Batsuuri). 몽골 어명: Жамбын Батсуурь. ?∼. 몽골 정치가. 수흐바타르(Sükhbaatar)(Сүхбаатар) 주지사.

    ∙ 베일리콜, 케마르(Kemar Bailey-Cole). 1992∼. 자메이카 육상 선수. 주종목은 단거리 달리기(100, 200미터), 400미터 계주.

    ∙ 세르트 (이 로페스), 주제프 류이스(Josep Lluís Sert (i López)). 1902∼ 1983. 에스파냐 건축가. 카탈루냐 인. 바르셀로나(Barcelona) 태생.

    ∙ 셰어, 스티븐 (웨인) (Stephen W(ayne) Scherer). 애칭 스티브(Steve). 1964∼. 캐나다 유전학자. 토론토대(UToronto) 부속 소아과병원(Hospital

  • 국립국어원 소식 173

    for Sick Children) 연구소 응용유전체학 센터(TCAG) 소장(Scientific

    Director).

    ∙ 시귀르드손, 길비 (소르) (Gylfi (Þór) Sigurðsson). 1989∼. 아이슬란드 축구 선수. 미드필더. 영국 웨일스 프로축구 팀 스완지시티(Swansea

    City A.F.C.) 소속(2014. 7.∼ ).

    ∙ 아이오아디, 리처드 (엘레프) (Richard (Ellef) Ayoade). 1977∼. 영국 배우·감독·각본가·방송인. 잉글랜드인. 런던에서 나이지리아인

    부모에게서 출생.

    ∙ 오케손, (페르) 임미 (Per) (Jimmie Åkesson). 1979∼. 스웨덴 정치가. 극우파 스웨덴 민주당(SD) 당수(2005. 5.∼). 국회의원(2010. 10.∼).

    ∙ 이데르바트, 만라이바타르(Manlaibaatar Iderbat). 몽골 어명: Манлайбаатарын Идэрбат. ?∼. 몽골 정치가. 수흐바타르(Sükhbaatar)(Сүхбаатар) 주 바룬우르트(Baruun-Urt)(Баруун-Урт) 시장.

    ∙ 추쿠, 오니에붙이(Onyebuchi Chukwu). 1962∼ 나이지리아 정치가·의학자·의사. 보건장관(2010. 4.∼).

    ∙ 커즈너, 이즈리얼 (메이어) (Israel (Meir) Kirzner). 1930∼. 미국 경제학자. 영국 런던의 유대계 집안에서 출생. 뉴욕대(NYU) 경제학 명예교수.

    ∙ 클라레트, 류이스(Lluís Claret). 1951∼. 안도라 첼로 연주자. ∙ 하얀햐르바, 담딘(Damdin Hayanhyarvaa). 몽골 어명: Дамдингийн Хаянхярваа. ?∼. 몽골 정치가. 국회의원.

    ∙ 맥다월, 그레임(Graeme McDowell). 별칭 지맥(G-Mac). 1979∼. 영국 골프 선수. 북아일랜드인. 2014년 10월 현재 세계 골프 랭킹(Official

    World Golf Ranking) 18위.

  • 174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2014 노벨상 수상자]

    ∙ 나카무라 슈지(中村修二). 영어명: Shuji Nakamura. 1954∼. 미국 공학자. 2014년도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 2000년 국적이 일본에서

    미국으로 변경.

    ∙ 머너, 윌리엄(William E. Moerner). 2014년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 미국.

    ∙ 모디아노, 파트리크(Patrick Modiano). 2014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 프랑스.

    ∙ 모세르, 마이브리트(May-Britt Moser). 2014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 노르웨이. 에드바르 모세르(Edvard I. Moser)의 부인.

    ∙ 모세르, 에드바르(Edvard I. Moser). 2014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 노르웨이. 마이브리트 모세르(May-Britt Moser)의 남편.

    ∙ 베치그, 에릭(Eric Betzig). 2014년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 미국. ∙ 사티아르티, 카일라시(Kailash Satyarthi). 힌디 어명: .

    2014년도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 인도.

    ∙ 아마노 히로시(天野浩). 2014년도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 일본. ∙ 아카사키 이사무(赤﨑勇). 2014년도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 일본. ∙ 오키프, 존(John O’Keefe). 2014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

    미국·영국.

    ∙ 유사프자이, 말랄라(Malala Yousafzay). 파슈토 어명: م الله یوسفزۍ . 1997∼. 파키스탄 여성 여성인권운동가. 2014년도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 2012년 10월부터 영국에 거주.

    ∙ 티롤, 장(Jean Tirole). 2014년도 노벨 경제학상 수상. 프랑스. ∙ 헬, 슈테판(Stefan W. Hell). 1962∼. 독일 물리학자. 2014년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 루마니아 태생, 1978년 가족이 서독에 이주.

  • 국립국어원 소식 175

    ∙ 다우토을루, 아흐메트(Davutoğlu, Ahmet). 터키 외교관․정치학자(1959∼). 외무장관(2009. 5.∼).

    ∙ 맥다월(MacDowell). 미국의 작곡가, 피아니스트(1860∼1908). ∙ 분냥 보라치트 Bounnhang Vorachit 라오스의 정치가(1937∼ ). 총리

    (2001∼2007).

    ∙ 워라위 마꾸디 Worawi Makudi 타이 어명: วรว ีร มะก ูด ี 타이 인. FIFA (국제축구연맹) 집행위원회 위원.

    ∙ 통룬, 시술리트(Thongloun Sisoulith). 라오스 부총리 겸 외교 장관(?∼). 전 부총리 겸 국가 계획 위원회 위원장. 2006년 6월 현직.

    [지명]

    ∙ 수루츠(Suruç). 터키 남동부 샨르우르파(Şanlıurfa) 주 남서부의 지명. ∙ 샨르우르파(Şanlıurfa). ①터키의 주. ②샨르우르파 주의 주도. ∙ 시느스(Sines). 포르투갈 서남부 세투발(Sétubal) 주의 도시. ∙ 자구아리비(Jaguaribe). 브라질의 지명. ∙ 카세리스(Cáceres). 브라질 마투그로수(Mato Grosso) 주 남쪽에 있는

    도시.

    ∙ 하니시 섬(Ḥanīsh/Hanish) 섬 아랍 어명: حنيش. 에리트레아 점유 홍해의 섬. 1998년 예멘에 반환되었다.

    [일반 용어]

    ∙ 구아룰류스 국제공항(Guarulhos). 국제공항 브라질. 상파울루.

  • 176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3.5. 2014년 제28차 실무소위원회 심의확정안(2014. 10. 24.)

    [인명]

    ∙ 네베스 (다쿠냐), 아에시우(Aécio Neves (da Cunha)). 1960∼. 브라질 정치가. 상원의원(2011. 2.∼). 중도파 사회민주당(PSDB) 당수(2013.

    5.∼). 미나스제라이스(Minas Gerais) 주지사(2003. 1.∼2010. 3.). 4선

    하원의원(1987. 2.∼2002. 12.), 하원의장(2001. 2.∼2002. 12.).

    2014년 10월 대통령선거·총선·지방선거 사회민주당 대통령 후보.

    ∙ 드브레, 장루이(Jean-Louis Debré). 1944∼. 프랑스 정치가. 헌법위원회(Conseil Constitutionnel) 위원장(2007. 3.∼). 하원의장(2002. 6.∼

    2007. 3.).

    ∙ 마에스트리, 루카(Luca Maestri). 1963∼. 이탈리아 경영인. 애플(Apple Inc.)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전무(SVP)(2014. 5.∼), 상무

    (VP)(재무 당담)(2013. 2.∼2014. 5.). 제록스(Xerox Corp.) 최고재

    무책임자(CFO) 겸 전무(EVP)(2011. 2.∼2013. 2.).

    ∙ 베기치, 마크 (피터) (Mark (Peter) Begich). 1962∼. 미국 정치가. 상원의원(민주·알래스카)(2009. 1.∼). 앵커리지(Anchorage) 시장(2003.

    7.∼2009. 1.). 친조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크로아티아

    인 이민자.

    ∙ 부퀴키오, 잔니(Gianni Buquicchio). 1944∼. 이탈리아 법조인. 유럽평의회(CoE) 자문기구로서, 통상 베네치아 위원회(Venice Commission)

    로 불리는 ‘법을 통한 민주주의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for Democracy through Law)’ 위원장(2009. 12.∼), 사무국장(1990?

    ∼2009).

    ∙ 아마르사나, 주그네(Jugnee Amarsanaa). 몽골 어명: Жүгнээгийн Амарсанаа. 1953∼. 몽골 법조인·법학자. 헌법재판소장(2012∼).

  • 국립국어원 소식 177

    ∙ 인호프, 짐(Jim Inhofe). 본명 제임스 마운틴 인호프(James Mountain Inhofe). 1934∼. 미국 정치가·경영인. 4선 상원의원(공화·오클라호마)

    (1994. 11.∼). 4선 하원의원(공화·오클라호마)(1987. 1.∼1994. 11.).

    털사(Tulsa) 시장(1978∼1984).

    ∙ 찰하노을루, 하칸(Hakan Çalhanoğlu). 1994∼. 터키 축구 선수. 독일 태생. 공격형 미드필더. 독일 프로축구 팀 레버쿠젠(Bayer 04 Leverkusen)

    소속(2014. 7.∼).

    ∙ 팜빈민(Phạm Bình Minh). 1959∼. 베트남 정치가·외교관. 부총리 겸 외무장관(2013. 11.∼), 외무장관(2011. 8.∼2013. 11.), 외무 부

    장관(2007. 9.∼2011. 8.).

    ∙ 포스쿨레, 안드레아스(Andreas Voßkuhle). 1963∼. 독일 법조인·법학자. 연방헌법재판소 소장(2010. 3.∼), 부소장(2008. 5.∼2010. 3.).

    ∙ 프라디프 몽가(Pradeep Monga). ?∼. 인도 에너지 정책학자, 행정가. 유엔 산업개발기구(UNIDO) 에너지·기후변화 국장(2001∼).

    ∙ 하르프비켄, 크리스티안 베르그(Kristian Berg Harpviken). 1961∼. 노르웨이 사회학자. 오슬로 평화연구소(PRIO) 소장(2009. 7.∼).

    3.6. 2014년 제29차 실무소위원회 심의 확정안(2014. 10. 31.)

    [인명]

    ∙ 로드리게스, 리코(Rico Rodriguez). 1998∼. 미국 배우. 텍사스(Texas)주 브라이언(Bryan)의 멕시코계 집안에서 출생.

    ∙ 리에도, 다니엘(Daniel Riedo). 1960∼. 스위스 경영인. 고급 시계 제조사 제제르-르쿨트르(Jaeger-LeCoultre) 최고경영자(CEO)(2013. 7.∼).

    ∙ 머혼, 오스틴(Austin Mahone). 1996∼. 미국 가수·작사작곡가.

  • 178 새국어생활 제24권 제4호(2014년 겨울)

    ∙ 브리뇰프슨, 에릭(Erik Brynjolfsson). ?1958∼. 미국 경영경제학자·실업가. 매사추세츠 공대(MIT) 경영대학원(Sloan) 석좌교수(2001∼ ).

    ∙ 스커를러토이우, 그리고레(Grigore Scǎrlǎtoiu). 영어 애칭 그레그(Greg). ?∼. 루마니아 인권운동가·경영인. 워싱턴시 소재 비정부 연구기관

    북한인권위원회(HRNK) 사무총장(Executive Director)(2011. 7.∼).

    국제관계, 외교, 동아시아 전문가. 서울시 명예시민(1999∼).

    ∙ 시리완나와리 나리랏(Siriwannawari Narirat/Sirivannavari Narira˗ta-na). 타이 어명: . 1987∼. 타이 왕족. 푸미폰 아둔야

    뎃(Phumiphon Adun˗yadet) 현 국왕의 손녀, 마하 와찌랄롱꼰(Maha Wajiralongkorn) 왕세자의 막내딸. 개명 전 이름은 ‘붓남펫(Busnamphech)

    ( )’, ‘짜끄릿야파(Cakkrisyapha)( )’, ‘시리완와리

    (Siriwanwari)( )’. 패션 모델·디자이너, 배드민턴·승마 선

    수로 활동.

    ∙ 십카, 키어넌 (브레넌) (Kiernan (Brennan) Shipka). 애칭 키키(Kiki). 1999∼. 미국 여배우. 대표 출연 텔레비전 연속극 ‘매드 맨(Mad Men)’

    (2007∼).

    ∙ 아켓, 퍼트리샤(Patricia Arquette). 1968∼. 미국 여배우. 텔레비전 연속극 ‘미디엄(Medium)’(2005∼2011)으로 제57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Primetime Emmy Award) 드라마 연속극 여우주연상 수상(2005. 9.).

    ∙ 아크도안, 얄츤(Yalçın Akdoğan). 1969∼. 터키 정치가. 부총리(2014. 8.∼). 국회의원(2011. 6.∼). 언론인 출신.

    ∙ 차우쇼을루, 메블뤼트(Mevlüt Çavuşoğlu). 1968∼. 터키 정치가. 외무장관(2014. 8.∼), 유럽연합 문제 장관(2013. 12.∼2014. 8.). 3선 국회의원

    (2002. 11.∼). 유럽평의회(CoE) 의회(PACE) 의장(2010. 1.∼2012. 1.).

    ∙ 코파치, 에바(Ewa Kopacz). 1956∼. 폴란드 여성 정치가·의사. 총리

  • 국립국어원 소식 179

    (2014. 9.∼). 하원의장(2011. 11.∼2014. 9.). 보건장관(2007. 11.∼

    2011. 11.).

    ∙ 투레, 아마둔(Hamadoun Touré). 1953∼. 말리 전기공학자·행정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사무국장(2007∼).

    ∙ 퍼라이아, 머리(Murray Perahia). 1947∼. 미국 피아니스트·지휘자. 뉴욕시의 유대계 집안에서 출생.

    ∙ 헹컷, 휘버르트얀(Hubert-Jan Henket). 1940∼. 네덜란드 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