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gazette d'agora 6월호

4
2014년 6월 30일 - 제 4호 - Faites de la musique, Fête de la Musique 음악을 연주하세요, 음악축제 Tous les 21 juin depuis 1982 a lieu la fête de la musique en France. "Faites de la musique", F-A-I-T-E-S, du verbe faire, tel était le slogan initial de cet événement inventé par Maurice Fleuret, directeur de la musique au ministère de la Culture, qui avait sa propre vision de la pratique musicale : "la musique partout et le concert nulle part" et Jack Lang, en 1982. Le concept, alors, était de valoriser les pratiques amateurs. La date du 21 juin a été choisie car elle coïncide le plus souvent avec le solstice d’été (donc aussi un des jours les plus longs de l’année, ou la nuit la plus courte pour ceux qui festoient jusqu’à l’aube). La coïncidence avec l’été symbolise ainsi le sacre de la nature à travers cette journée festive, à l'image des fêtes païennes dédiées à la nature ou aux moissons depuis l’Antiquité (dont les fêtes de la Saint Jean, des fêtes populaires où un grand feu était allumé toute la nuit le soir du 24 juin, date traditionnelle de fin des plus longs jours de l’année. Sous le slogan homophone à son nom, « Faites de la musique, fête de la musique ! », la fête de la musique encourage les musiciens amateurs à se produire bénévolement dans les rues et espaces publics. Grâce à l’organisation de nombreux concerts gratuits, d’amateurs mais aussi de professionnels, elle permet à un public large d’accéder à des musiques de toutes sortes et origines et mêmes celles chantées dans toutes les langues. 프랑스에서는 1982년부터 매년 6월 21일 음악축제 (La fête de la musique)가 열린다. “콘서트가 아니더라도 어디서든 흐르는 음악”이라는 음악적 실천을 추구하던 프랑스 문화부 음악 담당관 모리스 플로레와 자크 장은 1982년 “음악을 연주하세요.”라는 첫 슬로건을 만들었다. 이 슬로건은 아마추어들의 음악적 실천의 가치를 더 높 기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음악 축제의 날짜는 하지(1년 중 가장 해가 긴 날 중 하루이며, 새벽까지 축제를 즐기기에 밤이 가장 짧은 날)가 가장 적합하다는 이유로 6월 21일로 결정되었다. 음악 축제가 하지에 열리는 것은 고대부터 종교가 없는 사람 들이 풍년을 기원하며 자연에 바친 축제의 형상으로 축 제 동안 자연에 대한 축전을 상징한다. 특히 이는 6월 24일 성 요한 축일에 열리는 축제의 영향을 받은 것인데 고대부터 프랑스에서는 1년에 가장 해가 긴 날 중 마지막 날인 6월 24일에 화톳불을 밝히고 잔치를 벌였다. « 음악을 연주하세요, 음악축제 »라는 동음이의어로 된 슬로건 하에, 음악 축제는 아마추어 음악가들이 자발적으로 길거리에서 공공장소에서 음악을 하도록 장려한다. 아마 추어든 프로든 관계없이 음악가들은 공연이 가능한 곳이 라면 어디서나 원하는 장르의 음악을 원하는 언어로 연주할 수 있다. 올 여름도 역시 전국 각지에 프로와 아 마추어 음악가들의 연주가 울려퍼졌다. 11 문정원 <[email protected] > 참고 : FranceInfo “La fête de la musique : une grande fête populaire laïque”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Réforme Territoriale : Hollande propose une France à 14 Régions 프랑스 국토 개혁 : 22개의 주를 14개로 Dans une tribune publiée mardi 3 juin dans la presse quotidienne régionale,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François Hollande propose de passer de 22 à 14 régions en France métropolitaine. Selon le nouveau découpage: - Les régions Bretagne, Pays-de-la-Loire, Aquitaine, Nord-Pas-de-Calais, Corse, IDF et PACA restent inchangées - Basse et Haute Normandie fusionnent - Poitou-Charentes, Centre et Limousin sont aussi regroupées. - Alsace et Lorraine fusionnent aussi - Basse et Haute Normandie sont réunies - Picardie et Champagne-Ardenne fusionnent - Auvergne et Rhône-Alpes fusionnent - Bourgogne et Franche-Comté fusionnent - Midi-Pyrénées et Languedoc-Roussillon fusionnent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이달 3일 화요일, 매일 발행 되는 지역 관보를 통해 현재 22개인 주를 14개로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랑드 대통령이 제안한 새로운 지역 분할은 다음과 같다 : - 브르타뉴, 페이-드-라-루아르, 아키텐, 노르-빠-드-칼레, 코르시카, 일-드-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주 는 해당사항 없음. - 바스 노르망디, 오뜨 노르망디 주 통합 - 푸아투-샤렁뜨, 썽트흐, 리무쟁 주 통합 - 알자스, 로렌 주 통합 - 피카르디, 샹빠뉴-아르덴 주 통합 - 오베르뉴, 론-알프 주 통합 - 부르고뉴, 프랑슈-꽁떼 주 통합 - 미디-피레네, 랑그독-루씨용 주 통합 (다음 장에 이어서)

Upload: hufsfrance

Post on 30-Jul-2015

212 views

Category:

Education


8 download

TRANSCRIPT

Page 1: La Gazette d'Agora 6월호

2014년 6월 30일 - 제 4호 -

Faites de la musique, Fête de la Musique음악을 연주하세요, 음악축제

Tous les 21 juin depuis 1982 a lieu la fête de la

musique en France. "Faites de la musique", F-A-I-T-E-S,

du verbe faire, tel était le slogan initial de cet événement

inventé par Maurice Fleuret, directeur de la musique au

ministère de la Culture, qui avait sa propre vision de la

pratique musicale : "la musique partout et le concert

nulle part" et Jack Lang, en 1982. Le concept, alors, était

de valoriser les pratiques amateurs.

La date du 21 juin a été choisie car elle coïncide le

plus souvent avec le solstice d’été (donc aussi un des

jours les plus longs de l’année, ou la nuit la plus courte

pour ceux qui festoient jusqu’à l’aube). La coïncidence

avec l’été symbolise ainsi le sacre de la nature à travers

cette journée festive, à l'image des fêtes païennes

dédiées à la nature ou aux moissons depuis l’Antiquité

(dont les fêtes de la Saint Jean, des fêtes populaires où

un grand feu était allumé toute la nuit le soir du 24 juin,

date traditionnelle de fin des plus longs jours de l’année.

Sous le slogan homophone à son nom, « Faites de la

musique, fête de la musique ! », la fête de la musique

encourage les musiciens amateurs à se produire

bénévolement dans les rues et espaces publics. Grâce à

l’organisation de nombreux concerts gratuits, d’amateurs

mais aussi de professionnels, elle permet à un public large

d’accéder à des musiques de toutes sortes et origines et

mêmes celles chantées dans toutes les langues.

프랑스에서는 1982년부터 매년 6월 21일 음악축제

(La fête de la musique)가 열린다. “콘서트가 아니더라도

어디서든 흐르는 음악”이라는 음악적 실천을 추구하던

프랑스 문화부 음악 담당관 모리스 플로레와 자크 장은

1982년 “음악을 연주하세요.”라는 첫 슬로건을 만들었다.

이 슬로건은 아마추어들의 음악적 실천의 가치를 더 높

기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음악 축제의 날짜는 하지(1년 중 가장 해가 긴 날 중

하루이며, 새벽까지 축제를 즐기기에 밤이 가장 짧은 날)가

가장 적합하다는 이유로 6월 21일로 결정되었다. 음악

축제가 하지에 열리는 것은 고대부터 종교가 없는 사람

들이 풍년을 기원하며 자연에 바친 축제의 형상으로 축

제 동안 자연에 대한 축전을 상징한다. 특히 이는 6월

24일 성 요한 축일에 열리는 축제의 영향을 받은 것인데

고대부터 프랑스에서는 1년에 가장 해가 긴 날 중 마지막

날인 6월 24일에 화톳불을 밝히고 잔치를 벌였다.

« 음악을 연주하세요, 음악축제 »라는 동음이의어로 된

슬로건 하에, 음악 축제는 아마추어 음악가들이 자발적으로

길거리에서 공공장소에서 음악을 하도록 장려한다. 아마

추어든 프로든 관계없이 음악가들은 공연이 가능한 곳이

라면 어디서나 원하는 장르의 음악을 원하는 언어로

연주할 수 있다. 올 여름도 역시 전국 각지에 프로와 아

마추어 음악가들의 연주가 울려퍼졌다.

11 문정원 <[email protected]>

참고 : FranceInfo “La fête de la musique : une grande fête

populaire laïque”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Réforme Territoriale : Hollande propose une France à 14 Régions

프랑스 국토 개혁 : 22개의 주를 14개로

Dans une tribune publiée mardi 3 juin dans la

presse quotidienne régionale,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François Hollande propose de passer de

22 à 14 régions en France métropolitaine.

Selon le nouveau découpage:

- Les régions Bretagne, Pays-de-la-Loire, Aquitaine,

Nord-Pas-de-Calais, Corse, IDF et PACA restent

inchangées

- Basse et Haute Normandie fusionnent

- Poitou-Charentes, Centre et Limousin sont aussi

regroupées.

- Alsace et Lorraine fusionnent aussi

- Basse et Haute Normandie sont réunies

- Picardie et Champagne-Ardenne fusionnent

- Auvergne et Rhône-Alpes fusionnent

- Bourgogne et Franche-Comté fusionnent

- Midi-Pyrénées et Languedoc-Roussillon fusionnent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이달 3일 화요일, 매일 발행

되는 지역 관보를 통해 현재 22개인 주를 14개로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랑드 대통령이 제안한 새로운 지역 분할은 다음과 같다 :

- 브르타뉴, 페이-드-라-루아르, 아키텐, 노르-빠-드-칼레,

코르시카, 일-드-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주

는 해당사항 없음.

- 바스 노르망디, 오뜨 노르망디 주 통합

- 푸아투-샤렁뜨, 썽트흐, 리무쟁 주 통합

- 알자스, 로렌 주 통합

- 피카르디, 샹빠뉴-아르덴 주 통합

- 오베르뉴, 론-알프 주 통합

- 부르고뉴, 프랑슈-꽁떼 주 통합

- 미디-피레네, 랑그독-루씨용 주 통합

(다음 장에 이어서)

Page 2: La Gazette d'Agora 6월호

2014년 6월 30일 - 제 4호 -

Des régions plus grandes, qui "auront davantage de responsabilités", assure François Hollande. "Elles seront la seule

collectivité compétente pour soutenir les entreprises et porter les politiques de formation et d'emploi, pour intervenir

en matière de transports, des trains régionaux aux bus en passant par les routes, les aéroports et les ports. Elles

géreront les lycées et les collèges. Elles auront en charge l'aménagement et les grandes infrastructures."

올랑드 대통령은 통합되어 더 커진 주가 “더 많은 책임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새로이 통합된)

지역들은 기업을 후원하고, 교육과 고용 정책을 지탱하며, 기차, 버스, 항공, 항만 등의 교통 분야까지 관할할 수 있는 유일

한 공공단체가 될 것”, “이 지역 정부들은 고등교육을 담당하고 지역 개발과 인프라 구축도 전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

역 재분할을 통한 지역 정부의 권한이 강해지면 전통적으로 중앙집권적 성향을 띄어온 프랑스에 적지않은 변화가 있을 것

으로 보인다.

La méfiance de l'opinion 부정적인 의견들

Interrogés, une nette majorité des Français (58%) estime au contraire que le projet du gouvernement de fusionner

des collectivités locales doit faire l'objet d'un référendum, selon un sondage Ifop/Acteurs publics/Ernst & Young publié

lundi. L'exécutif doit déjà faire face à la fronde d'élus locaux hostiles au projet, y compris socialistes, il doit aussi

compter avec la méfiance de l'opinion publique. 54% des sondés estime que cette réforme est "uniquement destinée

à donner une meilleure image du gouvernement" contre 44% qui la jugent "importante pour permettre de donner

plus de poids aux régions et de réduire la dépense publique".

한편 국민의 절반 이상(58%)이 지역통합이라는 정부의 새 계획을 국민 투표에 부치는 것을 반대했다. 올랑드 대통령이

속해있는 사회당을 포함한 지역 의원들은 지역 수가 줄어들 경우 선출되는 지역 의원 수 역시 줄어들 것을 우려하여 지역

통합 계획에 반감을 갖고 있다. 여론 역시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설문조사에 응한 사람들 중 54%는 “(지역통합 계

획이) 오로지 정부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답했고 44%는 “지방분권 실현의 기회가 될 수 있고 공공 지

출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Mais cette carte de France métropolitaine à 14 régions n'est pas définitive, a précisé Manuel Valls dès le lendemain

de sa publication. Le Premier ministre assure qu'il y aura "des débats d'abord au Sénat puis à l'Assemblée nationale".

Et donc des évolutions possibles.

마뉴엘 발스 총리는 14개 주로의 통합이 아직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발스 총리는 “상원에서 먼저 심의가 있은

후 하원으로 법안이 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번 국토 개혁안은 얼마든지 수정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13 김여경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La France à 14 régions de François Hollande"

FranceTVInfo "Les Français en majorité contre la nouvelle carte des régions"

Bac 20142014년도 프랑스 고교 졸업시험

Le baccalauréat 2014 a lieu du 16 au 23 juin. Les épreuves commencent traditionnellement par la philo comme

tous les ans, mais cette année les épreuves sont étalés sur 6 jours, un rallongement d'un jour supplémentaire pour

alléger les journées d'épreuves.

2014년 6월 16일부터 23일까지 프랑스 고교 졸업시험 바깔로레아가 치러졌다. 매년 그래왔듯이 철학시험을 맨 처음에

본다. 올해는 시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하루를 늘인 관계로 6일에 걸쳐(21, 22 주말 제외) 시험을 본다.

Bac 2014 : découvrez les sujets de philosophie

2014년 바깔로레아 철학시험 문제는?

프랑스 고교졸업시험은 암기를 기반으로 한 단편적인 지식을 요하는 우리나라 수능과 달리 창의성과 사고능력을 검증하

는 시험으로서 특히 철학시험이 매우 심오한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올해 철학시험은 어떤 문제가 출제되었을까?

Série L : Littéraire 인문계열

1. Les œuvres d'art éduquent-elles notre perception ?

2. Doit-on tout faire pour être heureux ?

3. explication de texte : Karl Popper, «La Connaissance objective», 1972

1. 예술작품은 우리의 지각능력을 교육시키는가?

2.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

3. 주어진 본문, 칼 포퍼의 “객관적 지식”의 일부를 읽고 코멘트.

Série ES : Economique 상경계열

1. Suffit-il d'avoir le choix pour être libre ?

2. Pourquoi chercher à se connaître soi-même ?

3. explication de texte : Hannah ARENDT, Condition de l’homme moderne, 1958

1.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것으로 우린 충분히 자유로운 것인가?

2. 왜 우리는 스스로를 알기 위해 노력하는가?

3. 주어진 한나 아렌트의 “현대 인간의 조건”의 텍스트를 읽고 코멘트.

Série S : Scientifique 자연계열

1. Vivons-nous pour être heureux ?

2. L'artiste est-il maître de son œuvre ?

3. explication de texte : René Descartes - Règles pour la direction de l’esprit, 1628

1.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 사는가?

2. 예술가는 자기 작품의 주인인가?

3. 주어진 본문, 데카르트의 “정신의 향방을 위한 규칙”의 일부 텍스트에 대해 코멘트.

(다음 장에 이어서)

Page 3: La Gazette d'Agora 6월호

2014년 6월 30일 - 제 4호 -

«Trop dur les maths» au bac : plus de 40 000 lycéens ont signé la pétition

“수학시험이 너무 어려워!”, 서명운동한 4만 명 이상의 고등학생들

« Trop dur les maths », estiment les candidats qui ont planché jeudi sur les épreuves du bac scientifique : plus de

40 000 lycéens ont décidé de s'adresser directement au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en signant une pétition sur

internet demandant l'arrêt du « carnage des sujets du bac S ».

« Après la physique et l'anglais c'est à présent au tour des maths d'être ultra-dure, si ça continue les résultats vont

être inférieurs à 50% de réussite », dénoncent ces élèves qui sont 176 730 cette année à passer les épreuves de la

filière scientifique.

“수학시험이 너무 어려웠어요.” 라고 목요일 자연계열 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이 말했다. 4만명이 넘는 고등학생들이 ‘자연계열

바깔로레아 대학살’을 그만할 것을 요구하는 인터넷 서명운동을 통해 그들의 불만을 교육부 장관에게 직접 알리기로 했다.

“물리 시험과 영어 시험이 끝나고 극도로 까다로운 수학 시험 차례가 왔다. 만약 이런 난이도로 계속 간다면 수험생 중

절반만이 통과할 것이다.”라며 자연계열 시험을 치른 17만 6천 7백 30명의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했다.

Grève SNCF : le dispositif prévu pour les candidats au bac

프랑스 철도 파업, 바깔로레아 수험생들을 위한 예방책

Ce lundi matin, le marathon commence pour les candidats au baccalauréat avec l'épreuve de philosophie. Avec,

pour certains un stress supplémentaire, la crainte d'arriver en retard à cause de la grève SNCF reconduite pour le

sixième jour consécutif par la CGT Cheminots et SUD-Rail. Ils sont quelque 8% des lycéens à dépendre du train pour

se rendre sur leur lieu d'examens. La compagnie ferroviaire a prévu un plan d'urgence et le ministre de l'Education

nationale, Benoît Hamon, a pris des dispositions pour ne pas pénaliser les élèves concernés.

La SNCF a mis une numéro Vert en place : pour orienter les lycéens : 0.805.200.440. Sur les lignes les plus

importantes pour les centres d'examen, des trains et des bus sont garantis aux moments-clés, leurs listes sont

affichées sur le site sncf.com. Dans les gares, 10 000 agents avec des gilets rouges marqués « SNCF ASSISTANCE

EXAMS » sont mobilisés. Ils assisteront «individuellement» les lycéens qui doivent prendre le train pour aller passer, à

8 heures, la première épreuve, la philo, ou à 9h30 le français, pour le bac professionnel. Plus de 150 000 autocollants

seront distribués aux candidats au bac pour leur permettre d'être identifiés et de bénéficier, le cas échéant, de la

solidarité d'autres voyageurs qui leur laisseraient la priorité, selon la SNCF.

16일 월요일 아침, 바깔로레아가 철학 시험으로 시작되었다. 그런데 몇몇 수험생들은 시험에 대한 불안함 뿐만 아니라

며칠째 계속되는 프랑스 철도 노조 파업 때문에 시험에 늦을지도 모른다는 또다른 두려움을 안고 있었다. 시험장에 기차를

타고 와야하는 학생은 전체 수험생 중 8%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철도 회사는 긴급 계획을 예정하고 있으며 교육부 장관

브누아 아몽(Benoît Hamon)은 관련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였다.

SNCF 철도공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무료 전화번호(0.805.200.440)를 두었다. 시험장까지 가는 노선에는 기차와

버스가 황금시간대에 보장되어 있으며 그 시간표는 철도공사 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다. 역에는 ‘SNCF 시험 도우미’라고 적

힌 빨간 조끼를 입은 만 명의 요원들이 동원된다. 이들은 8시에 첫 번째 영역인 철학시험이나 9시 반에 국어 시험을 보러

가기 위해 열차를 타야하는 학생들을 일대일로 안내한다. 또한 철도공사는 수험생들이 그들의 신분을 알리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그리고 다른 탑승객들의 배려를 구할 수 있도록 15만개 이상의 스티커가 수험생들에게 배부될 것이라고 했다.

Admis, recalé, avec mention... Vendredi 4 juillet 2014 à partir de 10h, les résultats du Bac seront rendus publics par

affichage dans les établissements où les candidats auront passés leurs examens du Bac.

바깔로레아 합격 여부는 7월 4일 금요일, 각 시험장에 부착된 벽보에 공지된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참고 : LeParisien "bac 2014 decouvrez les sujets de philosophie"

Le Parisien "greve sncf le dispositif prevu pour les candidats au bac"

La France veut attirer encore plus de touristes프랑스, 비자 개선·친절로 관광객 1억명 시대 연다

프랑스 정부가 ‘파리 신드롬’(Paris syndrome) 확산 방지에 나섰다. 잦은 파업으로 박물관과 같은 공공 서비스에 이용자들의 불편

을 초래하고 있고 영어 사용 거부, 상점에 만연한 불친절 등이 파리에 대한 관광객들의 ‘환상’을 깨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

가 이 같은 이미지를 쇄신하고 관광산업 육성을 통해 경제 성장 둔화를 이겨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파리 신드롬이

란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프랑스를 찾고 있지만, 그 동안 관광 서비스의 질은 기대만큼 좋지 않았다는 불만을 담은 용어다.

La France est championne du monde du tourisme. Pourquoi s'inquiéter ?

Parce que nous vivons un paradoxe. D'un côté, la situation de la France est, en effet, très positive. Elle reste le premier

pays d'accueil, en nombre, pour les touristes étrangers. Et le secteur représente plus de 2 millions d'emplois. Mais de l'autre

côté, en termes de recettes, nous ne sommes qu'au troisième rang. L'Espagne reçoit environ 30 % de touristes en moins

que la France, selon les années, mais cela lui rapporte 10 % de recettes en plus, voire davantage. Car les séjours y sont

plus longs. Chez nous, beaucoup viennent à Paris, mais ensuite ne visitent pas nos régions ou y restent trop peu de temps.

La compétition se développe. Face au boom et aux changements que va connaître ce secteur dans les années qui viennent,

il faut que nous corrigions nos insuffisances.

Comment améliorer l'accueil des touristes ?

Des mesures ont déjà été prises. D'autres le seront, concernant l'aéroport de Roissy-CDG, ou la gare du Nord, en

particulier la rénovation du hall Eurostar. En délibération ministérielle, il a été décidé de réaliser ce qui était un serpent de

mer, la liaison Roissy Express. L'objectif est de rejoindre la capitale en vingt minutes. Depuis Roissy, au 1er janvier 2015, les

taxis et les bus bénéficieront d'une voie réservée sur l'autoroute. A cette même date, après les concertations nécessaires, un

forfait taxi raisonnable sera établi. Il est important de donner cette lisibilité-là. Vous avez récemment assoupli la délivrance

des visas. Quel bilan en tirez-vous ? Nous avons délivré de l'obtention d'un visa français de 30% à 250% fois plus qu'avant.

Nous allons étendre cette mesure notamment à plusieurs pays du Golfe, à l'Afrique du Sud et à l'Inde, sans que cela

n'affecte les contrôles.

'낭만의 도시' 프랑스 파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는 도시다. 그러나 프랑스는 스페인보다 관광객 수가 30% 이

상 많아도 관광수입은 10% 더 적다고 지적했다. 스페인에는 관광객들이 더 오래 머무는 반면, 프랑스에서는 관광객들이 파리에

만 잠시 머물고 다른 지역들은 들르지 않거나, 다른 도시를 방문하더라도 비교적 적은 시간을 쏟기 때문이다. 때문에 프랑스 정

부는 관광산업 진흥과 경제성장을 위해 파리를 머물기 좋은 환경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프랑스 당국은 관광객 유치를 위해 샤를 드골 공항, 파리 북역, 유로스타 보수 등 교통편을 개선하고, 비자 발급 기준을 완화

하고 이를 점차 걸프 지역 국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등으로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호텔 등 숙박 분야 서비스를

개선하고, 일요일에도 상점을 열 수 있도록 하며,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경찰력을 강화하고, 인터넷 서

비스 품질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11 김우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Il faut corriger nos insuffisances dans le secteur du tourisme"

Page 4: La Gazette d'Agora 6월호

2014년 6월 30일 - 제 4호 -

La grève à la SNCF touche à sa fin프랑스 철도공사 파업 막바지에 이르러

Après treize jours de grève contre le projet de réforme ferroviaire, la SNCF a décidé un retour progressif à la

normale des conditions de trafic à partir de mardi 24 juin. Le taux de grévistes est tombé à 6,85% vendredi, quatre

fois moins qu’au premier jour de grève, le 11 juin, selon les chiffres de la direction. Ce mouvement est le plus long

conflit à la SNCF depuis 2010.

Le conflit porte sur le projet de réforme ferroviaire du gouvernement. La réforme prévoit de regrouper dans une

holding publique la SNCF et Réseau ferré de France (RFF), qui gère le réseau. Le projet de loi présenté par Frédéric

Cuvillier, secrétaire d'Etat aux transports, prévoit la création de trois établissements publics à caractère industriel (EPIC).

L'un, dit de tête, nommé « SNCF » qui chapeautera les deux autres, « SNCF Réseau », le gestionnaire des

infrastructures, et « SNCF Mobilités » qui exploitera les trains. L'objectif est de stabiliser la dette du secteur ferroviaire

(44 milliards d'euros) et de préparer son ouverture totale à la concurrence.

열흘 이상 지속된 ‘프랑스 철도공사(SNCF)’ 노조의 파업이 24일 화요일 종료되었다. 파업 가담자의 수는 파업이 시작된

11일의 4분의 1인 6.85%로 줄어들었다. 정부의 철도 개혁에 반대하면서 지난 11일 시작된 이들의 파업은 근래 들어 가장

오래 지속된 파업이다. 이 때문에 파리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서는 열차 운행이 60% 가량 취소되는 등 교통에 큰 차질을

빚었다.

이번 파업은 부채를 줄이고자 철도 소유주인 ‘프랑스 철도시설공단(RFF)’과 철도 운영을 맡은 SNCF를 재통합하려는 정부 계

획에 ‘철도 노조총동맹(CGT Cheminots)’과 프랑스의 연대 단결 민주(Solidaires Unitaires Démocratiques) 노동조합의 산하 조합

인 'SUD-rail', 두 노조가 반대해 일어났다. 프랑스 교통장관 프레데릭 뀌비에는 10일 열차 사업부문 부채가 400억유로(55조 8

억원) 이상이 됐으며 개혁이 뒤따르지 않으면 부채규모는 2025년 무렵에는 두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는 개혁안

에 포함된 조치들이 부채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파업에 돌입했다. 이들은 재통합으로 인해 철도 관련 부채가 오히려

급증하게 될 것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되는 각종 민영화 조치들이 철도의 안전과 노동자들의 고용조건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며 파업을 선언했다.

Le projet de loi amendé

Sur les thèmes au cœur de la contestation de la CGT Cheminots et de SUD-Rail, les députés ont modifié le projet

de loi : ils ont ainsi renforcé l’unité du futur groupe SNCF, voté une «règle d’or» permettant d’alléger la pression de

la dette sur le gestionnaire de l’infrastructure, et le principe d’un cadre social commun s’appuyant sur une convention

collective. Des amendements ont été votés pour lever les craintes des grévistes, notamment sur l'unité de la future

SNCF, sa dette, la convention collective ou le statut des cheminots.

Les usagers appellent à la grève des billets

La Coordination nationale des usagers du train (Cnut) a appelé vendredi 20 juin les voyageurs à un boycott

symbolique de la SNCF, pour protester contre l’indemnité, jugée trop faible, accordée par la compagnie après la

grève des cheminots. « Comme on n’a pas obtenu gain de cause et qu’on fait fi de nos demandes, nous appelons

les usagers à boycotter la SNCF et à ne pas présenter leur billet au personnel de contrôle », a indiqué à l’AFP le

porte-parole de la Cnut, Willy Colin.

Trafic quasi normal sauf en Île-de-France

Les assemblées générales de conducteurs ou de contrôleurs dans de nombreuses villes ont voté tour à tour la

reprise du travail. Parmi les grandes gares parisiennes, la gare de Lyon (zone Paris Sud-Est) a, elle, mis fin au

mouvement. La grève continue dans les quatre autres zones d'Ile-de-France, Paris-Est (dont dépend la gare de l'Est),

Paris-Ouest (gare Saint-Lazare), Paris-Nord (gare du Nord) et Paris-Rive gauche (Austerlitz et Montparnasse), selon

SUD-Rail.

하원의 법안 수정

노조의 항의를 고려하여 하원은 법안을 일부 수정하기로 결정했다. 시설관리공단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황금법(균형

재정을 명시하는 것)»을 가결하고 노사간의 단체 협약에 근거한 철도 종사원의 지위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 수정안은 통합

된 SNCF의 빚과 향방, 철도 종사원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파업 가담자들의 불안을 걷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철도 이용자들, SNCF 보이콧

한편 프랑스 철도 이용자 조합(Cnut)은 20일 금요일, 철도 파업에 따른 보상이 너무 적다는 이유로 SNCF에 대해 보이콧

을 선언했다. « 우리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았고 심지어 무시되었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SNCF 보이콧을 호소하고 열차 이

용 시 검표원에게 표를 보여주지 말자고 촉구할 것 »이라고 Cnut의 대변인 윌리 콜린은 밝혔다.

일-드-프랑스 지역 제외한 대부분 지역 열차 운행 정상화

기관사와 검표원 총회는 열차 운행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상당수의 도시에서 열차 운행이 정상화된 가운데 일-드-프랑

스 지역은 여전히 열차 운행에 차질을 빚고 있다. 파리 남동쪽에 위치한 리옹역을 제외한 파리 동역, 생 라자르역, 파리 북

역과 몽파르나스역은 여전히 파업이 지속되고 있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참고 : FranceInfo "La grève à la SNCF touche à sa fin"

Metronews “SNCF : trafic quasi normal ce lundi, sauf en Île-de-France“

Nous vous souhaitons de bonnes vacan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