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5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2) 2009 7087 [email protected]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 건강기능식품 - 이제 건강에 양보하세요

Upload: others

Post on 14-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email protected]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

건강기능식품- 이제 건강에 양보하세요

Page 2: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INDEX

Chapter1. 건강기능식품이란?

1-1. 건강기능식품이란?

①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② 기능성 원료

Chapter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1-1.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① 글로벌 시장

② 미국 시장

③ 중국 시장

④ 일본 시장

⑤ 서유럽 시장

⑥ 기타 아시아 시장

1-2.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① 국내 시장 현황

②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현황

③ 국내 개별인정원료 시장 현황

④ 유통채널 현황

Chapter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3-1. 10대들의 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① 청소년 건강 실태 점검

② 부모님이 챙겨주는 우리 아이 건강기능식품

3-2. ‘외모지상주의’ 역시 건강기능식품시장 성장 Factor

① 외모가 중요한 현대사회

② 최고의 성형은 다이어트

3-3.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

Chapter4. 건강기능식품 관련기업

4-1. 뉴트리(270870) – 아름다움에 투자하세요

4-2. 노바렉스(194700)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보유 ODM/OEM社

4-3. 뉴트리바이오텍(222040) – 의미 있는 고객사 확대 지속

4-4. 쎌바이오텍(049960) – 프로바이오틱스 1인자

Page 3: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Chapter1. 건강기능식품이란?

1-1. 건강기능식품이란?

①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② 기능성 원료

3

Page 4: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1. 건강기능식품이란?

Exhibit 1. 기능성의 구분 Exhibit 2. 기능성 원료 인정 프로세스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1. 건강기능식품이란?

① 건강기능식품 정의

-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여러가지 제형으로 제조한 식품

- 기능성이란, 인체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

- 기능성은 질병발생위험감소기능, 생리활성기능, 영양소기능 등 3가지로 구분

② 기능성 원료

- 고시형 원료: 제조기준, 기능성 등 요건에 적합할 경우 누구나 사용 가능한 원료

- 개별인정형 원료: 원료의 안전성, 기능성, 기준규격 등 자료를 제출하여 식약처장으로부터 인정받아야 하며, 인정받은 업체만 동

원료 사용이 가능(인정받은 일로부터 6년 경과 및 품목제조신고 50건 이상인 경우 고시형 원료로 전환)

- 사용불가 원료: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

4

기능성 종류 기능성 내용 기능성 표시

질병발생위험감소기능질병의 발생 또는 건강상태의 위험감소와 관련

한 기능OO발생위험감소에 도움을 줌

생리활성기능

인체의 정상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특별한

효과가 있어 건강상의 기여나 기능향상 또는

건강유지/개선을 나타내는 기능

OO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영양소기능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대

한 영양소의 생리학적 작용-

Page 5: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Chapter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2-1.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① 글로벌 시장

② 미국 시장

③ 중국 시장

④ 일본 시장

⑤ 서유럽 시장

⑥ 기타 아시아 시장

5

2-2.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① 국내 시장 현황

②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현황

③ 국내 개별인정원료 시장 현황

④ 유통채널 현황

Page 6: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3.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추이 및 전망 Exhibit 4. 2017년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지역별 점유율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1.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① 글로벌 시장

-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년까지 매년 6%대의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 예상

- 지역별 시장점유율은 미국 33.9%, 중국 14.6%, 서유럽 12.9%, 기타 아시아 10.8%

② 미국 시장

- ’17년 기준 미국 시장이 43,674백만달러(점유율 33.9%)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

- 미국 시장은 전문소매점 및 대형할인점 등 오프라인 판매 시장이 가장 큰 시장

- 인터넷 판매 비중은 ’17년 7.0%에 불과했으나 매년 약 10%씩 성장하며 비중 확대 전망

6

114,713 121,245

128,933 137,016

145,700 155,096

0.0%

1.0%

2.0%

3.0%

4.0%

5.0%

6.0%

7.0%

-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시장 규모(좌) 성장률(우)

($백만)

33.9%

14.6%12.9%

10.8%

8.6%

8.0%

5.5%2.2%

미국 중국 서유럽 기타 아시아

일본 라틴아메리카 동유럽/러시아 호주/뉴질랜드

캐나다 중동 아프리카

Page 7: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7. 미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추이 및 전망 Exhibit 8. ‘17년 지역별 건강기능식품시장 전년동기대비 성장률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5. 미국 건강기능식품 유통채널 비중 Exhibit 6. 미국 건강기능식품 인터넷 판매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38,845 41,158

43,674 46,316

49,194 52,278

5.7%

5.8%

5.9%

6.0%

6.1%

6.2%

6.3%

-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시장 규모(좌) 성장률(우)

($백만)

37.6%

25.9%

15.8%

9.0%

7.0%4.7%

전문소매점 대형할인점 다단계 전문가 인터넷 우편/TV/라디오등

2,500 2,763

3,039 3,336

3,658 4,009

8.5%

9.0%

9.5%

10.0%

10.5%

11.0%

11.5%

-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인터넷 판매규모(좌) 성장률(우)

($백만)

9.5% 9.2% 9.1% 8.8%8.4% 8.3%

6.1%5.4%

3.5%3.1%

1.3%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7

Page 8: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9.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추이 및 전망 Exhibit 10. 중국 건강기능식품 기능별 점유율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전망산업연구원, Leading Research Center

1.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③ 중국 시장

-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미국 다음으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시장(점유율 14.6%)으로 매년 약 9%씩 성장

- 식이보충제(55.2%) 및 보양목적(33.5%)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대부분을 차지

- 기능별 등록 제품 수량 기준으로 면역력 강화(32.0%), 피로완화(13.9%), 영양보충제(10.2%)가 가장 큰 규모를 형성

④ 일본 시장

- 일본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단일국가로는 중국에 이어 3번째로 큰 시장

- 그러나 성장률은 매년 둔화되는 추세로, ‘20년까지 1% 미만의 시장 성장세 전망

8

15,748 17,218

18,810 20,504

22,302 24,226

8.2%

8.4%

8.6%

8.8%

9.0%

9.2%

9.4%

-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시장 규모(좌) 성장률(우)

($백만)

55.2%33.5%

6.5%4.8%

0.02%

식이보충제 보양목적 체중관리 아동용 운동영양

Page 9: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13. 일본 건강기능식품 시장 추이 및 전망 Exhibit 14. 일본 건강기능식품유통 채널별 점유율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야노경제연구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11. 중국 기능별 등록 제품 수량 비중 Exhibit 12. 중국 보건식품 가격대별 시장점유율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중국산업정보망, Leading Research Center

32.0%

13.9%

12.3%

10.2%

3.6%

3.5%

2.4%

18.7%

면역력 강화 피로완화 영양보충제 혈 지질감소 혈당 감소

수면 개선 다이어트 미용/미백 항산화 기타

20%

34%

26%

21%

~100위안 100~200위안 200~400위안 400위안~

10,768

10,909

11,044

11,136

11,201 11,262

0.0%

0.2%

0.4%

0.6%

0.8%

1.0%

1.2%

1.4%

1.6%

10,500

10,600

10,700

10,800

10,900

11,000

11,100

11,200

11,300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시장 규모(좌) 성장률(우)

($백만)

42.1%

30.0%

15.5%

3.6%2.3%

6.5%

통신판매 방문판매 약계 채널 식품계 채널 건강기능식품계 채널 기타

9

Page 10: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15. 서유럽 건강기능식품 시장 추이 및 전망 Exhibit 16. 서유럽 건강기능식품 시장점유율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1.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⑤ 서유럽 시장

- 서유럽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중국 다음으로 큰 규모(12.9%)를 형성하고 있는 시장으로 성장률은 약 3% 수준

- 서유럽 內 점유율은 독일(24.7%), 프랑스(13.9%), 영국(13.3%) 3개 국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17년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이탈리아 시장이 4.9%로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

④ 기타 아시아 시장

- 일본 및 중국을 제외한 기타 아시아 시장(39개 국가) 점유율은 10.8%로 4번째로 큰 시장

- 매년 약 9% 수준의 높은 시장 성장세 지속

- 기타 아시아 지역 內 5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는 인도 시장은 당국의 제도 정비가 본격화됨에 따라 연간 8% 수준 성장 지속

10

16,182 16,109

16,611

17,137

17,701

18,309

-4.0%

-3.0%

-2.0%

-1.0%

0.0%

1.0%

2.0%

3.0%

4.0%

15,000

15,500

16,000

16,500

17,000

17,500

18,000

18,500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시장 규모(좌) 성장률(우)

($백만)

24.7%

13.9%

13.3%11.1%

9.1%

8.5%

5.8%

5.0%4.8%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칸디나비아 스페인

스위스/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Page 11: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19. 아시아 지역 국가별 점유율 Exhibit 20. 아시아 지역별 전년동기대비 성장률(2017)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17. 서유럽 국가별 전년동기대비 성장률(2017) Exhibit 18. 기타 아시아 건강기능식품 시장 추이 및 전망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4.9%

3.5% 3.5% 3.4% 3.4%2.9% 2.9%

2.5%2.1%

0.0%

1.0%

2.0%

3.0%

4.0%

5.0%

6.0%

11,705 12,754

13,875 15,103

16,478 18,009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시장 규모(좌) 성장률(우)

($백만)

43.0%

25.3%

19.5%

12.3%

중국 일본 인도 기타

9.9%9.2%

8.1%

1.2%

0.0%

2.0%

4.0%

6.0%

8.0%

10.0%

12.0%

기타 아시아 중국 인도 일본

11

Page 12: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21.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 추이 Exhibit 22. 금액 기준 상위 5개 원료 시장 규모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2.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① 국내 시장 현황

- ’18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4.3조원 규모로 전년동기대비 2% 성장하여 ’17년 성장률 17.1%를 크게 하회

- 이는 대기업의 저가형 PB제품, 복합형 제품 등 출시로 판매 금액 기준 상위 원료 시장의 경쟁이 심화됨에 기인

- 건강기능식품 구매 총 가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경쟁심화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가구당 평균 건강기능식품 구매액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

- 특히 비타민 및 EPA/DHA 시장은 ‘18년 전년동기대비 역성장 기록

- 향후 국내 시장은 경쟁이 심화된 홍삼,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등 금액 기준 상위 원료 시장보다 소비자 각 개인이 요구하는 원료

기반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추정

12

3.56

4.17

4.26

3.2

3.4

3.6

3.8

4

4.2

4.4

2016 2017 2018

(조원)

14,476

4,657 4,036 2,604

2,015

15,551

4,762 3,999

2,263 1,914

-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홍삼 Probiotics 종합 비타민 단일 비타민 EPA/DHA

2017 2018

(억원)

Page 13: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25. 가구당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률 Exhibit 26. 건강기능식품 구매시 주요 판단 요인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23. 건강기능식품 구매 총 가구 수 Exhibit 24. 가구당 평균 건강기능식품 구매액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65.30%

71.60%

73.60%

60.00%

62.00%

64.00%

66.00%

68.00%

70.00%

72.00%

74.00%

76.00%

2016 2017 2018

12,359

13,592

14,093

11,000

11,500

12,000

12,500

13,000

13,500

14,000

14,500

2016 2017 2018

(천 가구)

86.2%

75.4%74.3% 74.0% 73.7%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88.0%

제품 효능 입소문 판매원 권유 유명 제품 정부 인정여부

13

287,755

307,017

302,015

275,000

280,000

285,000

290,000

295,000

300,000

305,000

310,000

2016 2017 2018

(원)

Page 14: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27.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현황 Exhibit 28. 매출 규모별 제조사 현황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2.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②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현황

- ‘17년 기준 건강기능식품 제조사는 496개

- 매출액 100억원 미만 제조사 비율은 94.2%이지만 매출액 기준 점유율은 19.0%에 불과

- 전체 제조사 중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 인증 업체 비중은 49.8%

- GMP 업체 매출액 점유율은 94.6%를 기록

- GMP 업체 중 100억원 이상 제조사 비율은 10.9%이지만 매출액 기준 점유율은 84.1%로 대부분 차지

- 건강기능식품은 안정성(Safety), 유효성(Efficacy), 안전성(St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GMP 업체 및 매출액 상위 업체로

지속적인 수요 집중 예상

14

386 396 407 414434 433 439

38 39 42 46 53 54 57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전문 제조업 벤처 제조업

(개)

개소 비율(%)

계 496 100.0 100.0

생산실적 X 131 26.4 -

~1억원 87 17.5 0.2

1~5억원 104 21.0 1.2

5~10억원 36 7.3 1.1

10~20억원 41 8.3 2.8

20~50억원 45 9.1 6.4

50~100억원 23 4.6 7.3

100~300억원 14 2.8 10.6

300~500억원 4 0.8 6.7

500~1,000억원 9 1.8 27.3

1,000~2,000억원 - - -

2,000~5,000억원 2 0.4 36.5

업체 수구분 총 매출액 비율(%)

Page 15: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31. 매출 규모별 GMP업체 현황 Exhibit 32. GMP 업체 매출 규모별 점유율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29. GMP 지정업체 추이 Exhibit 30. GMP 업체 매출액 점유율 추이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84.1%

15.9%

매출액 100억원 이상 매출액 100억원 미만

개소 비율(%)

계 247 100.0 100.0

생산실적 X 38 15.4 -

~1억원 32 13.0 0.1

1~5억원 46 18.6 0.5

5~10억원 20 8.1 0.7

10~20억원 25 10.1 1.8

20~50억원 37 15.0 5.5

50~100억원 22 8.9 7.3

100~300억원 12 4.9 9.6

300~500억원 4 1.6 7.0

500~1,000억원 9 3.6 28.9

1,000~2,000억원 - - -

2,000~5,000억원 2 0.8 38.6

구분업체 수

총 매출액 비율(%)

198208 216

225

247

0

50

100

150

200

250

300

2013 2014 2015 2016 2017

(개)

91.5%

89.5%

91.9%

93.0%

94.6%

86.0%

87.0%

88.0%

89.0%

90.0%

91.0%

92.0%

93.0%

94.0%

95.0%

2013 2014 2015 2016 2017

15

Page 16: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33. 개별인정원료 등록 현황 Exhibit 34. 개별인정원료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2.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③ 국내 개별인정원료 시장 현황

- 백수오 사태 이후 개별인정원료 등록 수는 ’15년 31개에서 ’17년 6개로 감소하는 등 국내 개별인정 원료 시장 침체

- ’18년 개별인정원료 등록 수 14개로 회복하였으며 ’19년부터 회복세 지속될 것으로 추정

④ 유통채널 현황

- 인터넷 몰을 통한 구매 비중이 31.8%로 가장 높으며 전 가구 특성에 걸쳐 매년 인터넷 몰 점유율 확대

- 상대적으로 젊고 스마트한 소비자가 인터넷 구매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시장으로 유입되는 추세

- 각각의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원료 기반 건강기능식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개별인정원료 시장 회복 및 인터넷 몰

점유율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

16

9

2329

36

84

97

68

4238 37

66

31

21

614

10

20

40

60

80

100

12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1Q

(개)

백수오 사태

2,324

3,176 3,195

2,357 2,450

-30.0%

-20.0%

-10.0%

0.0%

10.0%

20.0%

30.0%

40.0%

-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2013 2014 2015 2016 2017

생산실적(좌) 성장률(우)

(억원)

Page 17: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37. 유통채널 별 점유율 Exhibit 38. 인터넷몰 건강기능식품 판매 규모 추이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35. 고시형 원료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Exhibit 36. 유통채널 별 가구당 평균 구매액(2018)

Source: 식품의약품안전처,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12,496 13,134 15,035

18,903 19,924

0.0%

5.0%

10.0%

15.0%

20.0%

25.0%

30.0%

-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2013 2014 2015 2016 2017

생산실적(좌) 성장률(우)

(억원)

31.8%

17.4%9.2%

8.5%

7.9%

7.8%

5.0%

4.6%3.1%

3.0%

인터넷몰 다단계 방문판매 대리점

약국 대형할인점 기타 TV홈쇼핑

백화점 면세점 슈퍼마켓 드럭스토어

5,988

8,801 9,289

-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0,000

2016 2017 2018

(억원)

17

419,627

318,362 295,232

210,310 197,988 180,238

159,578 124,873

95,316 67,367 54,976 41,873

-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원)

Page 18: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2.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Exhibit 41. 10대 자녀 가구 인터넷 몰 구매경험률 Exhibit 42. 성인 자녀 가구 인터넷 몰 구매경험률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39. 독립 가구 인터넷 몰 구매경험률 Exhibit 40. 베이비/키즈 가구 인터넷 몰 구매경험률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28.2%

36.9%

40.7%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16 2017 2018

23.3%

33.4%35.0%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2016 2017 2018

20.2%

26.1%

30.5%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016 2017 2018

16.5%

24.8%

27.5%

0.0%

5.0%

10.0%

15.0%

20.0%

25.0%

30.0%

2016 2017 2018

18

Page 19: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Chapter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3-1. 10대들의 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① 청소년 건강 실태 점검

② 부모님이 챙겨주는 우리 아이 건강기능식품

3-2. ‘외모지상주의’ 역시 건강기능식품시장 성장 Factor

① 외모가 중요한 현대사회

② 최고의 성형은 다이어트

3-3.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

19

Page 20: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43. 고등학생 아침식사 결식률 Exhibit 44. 청소년 아침식사 결식률 비교

Source: 교육부,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교육부, Leading Research Center

1. 10대들의 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① 청소년 건강 실태 점검

- 최근 인기 방영 드라마 ‘SKY캐슬‘은 대입 시험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 공감대 아래 높은 시청률을 기록

- 이처럼 대입시험을 준비하는 청소년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청소년 아침식사 결식율은 고등학교로 갈수록 상승하며 고등학생 아침식사 결식율은 상승 추세(’13년 13.3% ’17년 18.1%)

- 청소년 패스트푸드 섭취율 역시 고등학교로 갈수록 상승하며 ’17년 고등학생 패스트푸드 섭취율은 80.5%를 기록

- 주3회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청소년 비율은 고등학생 24.4%로 초등학생 58.3% 대비 현저히 낮음

- 즉, 학년이 높아지며 대입 수능시험에 가까워질수록 섭취하는 영양소는 감소하고 운동량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

- 따라서 청소년 건강기능식품 섭취의 중요성이 부각

20

13.3%

18.1%

0.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2013 2017

4.6%

13.5%

18.1%

0.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Page 21: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47. 청소년 유제품 섭취율 비교 Exhibit 48. 청소년 주3회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 비율

Source: 교육부,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교육부,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45. 고등학생 패스트푸드 섭취율 Exhibit 46. 청소년 패스트푸드 섭취율 비교

Source: 교육부,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교육부, Leading Research Center

48.2%

30.7%

19.5%

0.0%

10.0%

20.0%

30.0%

40.0%

50.0%

60.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68.0%

78.5%

80.5%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71.1%

80.5%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2013 2017

58.3%

35.7%

24.4%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1

Page 22: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49. 청소년 비만율 추이 Exhibit 50. 미성년 자녀 가구 체지방 감소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률

Source: 교육부,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국내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실태조사, Leading Research Center

1. 10대들의 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② 부모님이 챙겨주는 우리 아이 건강기능식품

- 청소년 건강관련 지표 악화에 따른 영향은 청소년 비만율에서 나타남

- 청소년 비만율은 ’07년 11.6%에서 ’17년 17.3%까지 확대

- 미성년 자녀 가구의 체지방 감소 관련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률은 ‘16년 4.1%에서 ‘18년 10.7%로 두 배 이상 증가

- 자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구매는 미성년 자녀를 둔 30~40대 가구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특히 10대 자녀 가구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률은 ‘16년 63.3%에서 ‘18년 70.7%로 증가하였음

- 청소년 건강기능식품 섭취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청소년 자녀를 둔 가구의 건강기능식품 구매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

22

11.6%11.2%

13.2%

14.3% 14.3%14.7%

15.3%15.0%

15.6%

16.5%

17.3%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4.1%

7.0%

10.7%

0.0%

2.0%

4.0%

6.0%

8.0%

10.0%

12.0%

2016 2017 2018

Page 23: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53. 베이비/키즈 자녀 가구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률 Exhibit 54. 성인 자녀 가구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률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51. 자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구매 비율(연령대별) Exhibit 52. 10대 자녀 가구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률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1.0%

23.2% 23.0%

16.9%

11.8%

0.0%

5.0%

10.0%

15.0%

20.0%

25.0%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2.4%

77.6% 77.7%

69.0%

70.0%

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

2016 2017 2018

66.7%

73.2%

74.1%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2016 2017 2018

63.3%

68.6%

70.7%

58.0%

60.0%

62.0%

64.0%

66.0%

68.0%

70.0%

72.0%

2016 2017 2018

23

Page 24: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55. 외모 관리의 필요성 Exhibit 56. 외모 관리를 하는 이유(응답자 비율)

Source: 트렌드모니터,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트렌드모니터, Leading Research Center

2. ‘외모지상주의’ 역시 건강기능식품시장 성장 Factor

① 외모가 중요한 현대사회

- 외모지상주의란, 외모를 인생 또는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사고방식을 의미

-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사회생활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며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인식

- 트렌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6.6%가 ‘외모 관리가 필요’하다고 응답

- 외모 관리를 하는 주된 이유는 자기만족(59%) 및 자신감(56.3%) 등

- 취업포털 사람인 조사에 따르면 구직자 48.5%가 취업을 위한 외모 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구체적으로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구직자 비율이 47.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24

86.6%

9.4%

4.0%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 기타

59.0%56.3%

37.4%34.2% 31.8%

25.9%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Page 25: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59. 19~29세 비만율 추이 Exhibit 60. 연령대별 성형 비율

Source: 통계청,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바노바기 성형외과,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57. 취업을 위한 외모관리 노력(응답자 비율) Exhibit 58. 국민 전체 비만율 추이

Source: 사람인,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통계청, Leading Research Center

47.5%45.5%

42.3% 41.2%

32.8%

29.3%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다이어트 피부관리 헤어스타일

변화

운동 표정연습 의류 구입

15.2%

17.3%

19.3%

22.0%23.0%

22.1%

20.5%21.7%

22.4%22.4%23.9%23.5%

27.2%

29.4%

10.0%

15.0%

20.0%

25.0%

30.0%

35.0%

1998 2001 2005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6.0%

29.2%

31.3%31.7%30.7%31.3%30.9%31.4%

32.4%31.8%30.9%

33.2%

34.8%34.1%

15.0%

20.0%

25.0%

30.0%

35.0%

40.0%

1998 2001 2005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11.5%

26.5%

19.9%18.1%

16.5%

5.8%

1.5%

0.0%

5.0%

10.0%

15.0%

20.0%

25.0%

30.0%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25

Page 26: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61. 체지방감소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률 Exhibit 62. 체지방감소제품 유통채널별 비중

Source: 국내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실태조사,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2. ‘외모지상주의’ 역시 건강기능식품시장 성장 Factor

② 최고의 성형은 다이어트

- 외모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대표적 외모 관리 방법인 다이어트 관련 건강기능식품 수요 증가

- 체지방감소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모든 가구 소득구간 및 특성에 걸쳐 구매경험률 상승

- 가구 소득구간별로 월 소득 600만원 이상, 가구 특성별로 독립가구의 구매경험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

- 체지방감소제품의 유통채널별 비중은 인터넷몰 등 온라인 채널이 51.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다이어트 관련 건강기능식품은 물론 피부, 미용, 주름개선 등 외모와 관련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

증가 및 관련 제품 출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26

3.9%

7.1%

8.2%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2016 2017 2018

51.2%

13.9%

10.5%

9.1%

5.4%

3.7%3.0%

인터넷몰 다단계 방문판매 TV홈쇼핑

드럭스토어 대리점 기타 대형할인점

약국 백화점 슈퍼마켓 면세점

Page 27: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65. 체지방감소제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400~600만원) Exhibit 66. 체지방감소제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600만원~)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63. 체지방감소제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200만원) Exhibit 64. 체지방감소제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200~400만원)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2.7%

8.1%

9.8%

0.0%

2.0%

4.0%

6.0%

8.0%

10.0%

12.0%

2016 2017 2018

4.0%

6.5%

7.3%

0.0%

1.0%

2.0%

3.0%

4.0%

5.0%

6.0%

7.0%

8.0%

2016 2017 2018

3.9%

7.2%

8.5%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2016 2017 2018

5.8%

8.4%

10.1%

0.0%

2.0%

4.0%

6.0%

8.0%

10.0%

12.0%

2016 2017 2018

27

Page 28: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69. 체지방감소제품 성인 자녀 가구 구매경험률 Exhibit 70. 체지방감소제품 시니어 가구 구매경험률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67. 체지방감소제품 독립 가구 구매경험률 Exhibit 68. 체지방감소제품 가구 특성별 구매경험률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4.7%

10.0%

12.4%

0.0%

2.0%

4.0%

6.0%

8.0%

10.0%

12.0%

14.0%

2016 2017 2018

4.1%

7.0%

10.7%

0.0%

2.0%

4.0%

6.0%

8.0%

10.0%

12.0%

2016 2017 2018

4.4%

9.1%

11.3%

0.0%

2.0%

4.0%

6.0%

8.0%

10.0%

12.0%

2016 2017 2018

5.2% 5.1% 5.1%

0.0%

1.0%

2.0%

3.0%

4.0%

5.0%

6.0%

2016 2017 2018

28

Page 29: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71. 국내 1인당 GNI 추이 Exhibit 62.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률 추이

Source: 통계청,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3.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

- ’18년 국내 1인당 GNI는 3,449만원을 기록하며 증가세 지속

-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률은 ‘16년 63.3%에서 ‘18년 73.6%로 확대

- 고소득 가구일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률은 상승

- 월 소득 500만원 이상 가구의 최근 1년간 건강기능식품 섭취경험률 70.1%, 항상 섭취 비율 60.0%로 가장 높았음

- 우리나라는 ’18년 처음으로 1인당 GNI가 3만 달러를 돌파

- 지속적인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

29

2,330

2,556 2,685

2,772 2,855 2,938 3,074

3,212 3,364

3,449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만원)

65.3%

71.6%

73.6%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2016 2017 2018

Page 30: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65. 건강기능식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400~600만원) Exhibit 66. 건강기능식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600만원~)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63. 건강기능식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200만원) Exhibit 64. 건강기능식품 가구 소득별 구매경험률(200~400만원)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Leading Research Center

59.4%

66.7%71.6%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16 2017 2018

65.8%

70.3%

73.4%

62.0%

64.0%

66.0%

68.0%

70.0%

72.0%

74.0%

2016 2017 2018

66.4%

74.8%

76.1%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2016 2017 2018

73.7%

79.2%78.9%

70.0%

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

80.0%

2016 2017 2018

30

Page 31: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

Exhibit 67. 가구 소득별 최근 1년간 건강기능식품 섭취경험률 Exhibit 68. 건강기능식품 소득별 항상섭취 비율

Source: 국내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실태조사,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국내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실태조사, Leading Research Center

60.5%

65.3%

70.1%

54.0%

56.0%

58.0%

60.0%

62.0%

64.0%

66.0%

68.0%

70.0%

72.0%

~300만원 300~500만원 500만원~

53.5%

54.4%

60.0%

50.0%

52.0%

54.0%

56.0%

58.0%

60.0%

62.0%

~300만원 300~500만원 500만원~

31

Page 32: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건강기능식품 산업 전망 및 전략

건강기능식품 산업 전망 및 전략

①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전체 매출액 기준 시장규모 성장률은 둔화 추세

시장규모가 가장 큰 홍삼,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EPA/DHA 등 고시형원료 시장 위주

시장 內 경쟁심화, 대기업의 PB상품 출시, 합리적 소비, 온라인몰 구매 증가에 기인

② 여전히 소비자 각 개인의 니즈에 부합하는 건기식 수요 증가

이러한 소비자 수요에 부합하는 개별인정원료 기반 신규 제품 출시 지속 전망

③ ‘15년 백수오 사태 이후 개별인정형 원료 시장 위축

’17년 6건으로 감소하였던 개별인정원료 등록 수는 ’18년 14개로 회복되었으며 ‘19년 회복세 지속 추정

④ 개별인정형 원료 시장 활성화에 따른 관련 업체들 수혜 예상

건강기능식품 관련기업

: 노바렉스(194700), 뉴트리(270870), 뉴트리바이오텍(222040), 쎌바이오텍(222040)

32

Page 33: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33

Chapter4. 건강기능식품 관련기업

4-1. 노바렉스(194700)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보유 ODM/OEM社

4-2. 뉴트리(270870) – 아름다움에 투자하세요

4-3. 뉴트리바이오텍(222040) – 의미 있는 고객사 확대 지속

4-4. 쎌바이오텍(222040) – 프로바이오틱스 1인자

Page 34: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N/R

목표주가 - 원

현재주가 19,850원

목표수익률 (%)

Key Data 2019년 03월 08일

산업분류 제조

시가총액 (억원) 1,787

발행주식수 (백만주) 9

외국인 지분율 (%) 1.5

52주 고가 (원) 20,250

52주 저가 (원) 14,300

60일 거래대금 (십억원) 2.0

주요주주(%)

권석형 외 8인 39.0

(단위: 억원, 배)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출액 671 827 771 809 1,096

영업이익 59 112 103 99 113

세전이익 62 115 109 96 119

순이익 51 97 92 80 103

지배순이익 51 97 92 81 103

PER - - - - -

PBR - - - - -

EV/EBITDA - - -0.01 -0.04 -

노바렉스(194700)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보유 ODM/OEM社

1. 기업개요

- 동사는 ‘08년 설립된 건강기능식품 ODM/OEM 전문기업

- 제약회사, 식품회사, 네트워크판매회사 등 200여개 고객으로 제품 공급 진행 중

- ’18년말까지 34건으로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를 확보

- 매출비중은 ODM 48.4%, OEM 47.5%, 원료 4.1%

2. 투자의견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기반 최대 고객사 확보하여 안정적인 사업기반 구축

- 수요 증대로 인한 CAPA 증설 진행 및 해외 진출 본격화에 따른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 ‘19년 컨센서스 기준 Fwd PER 12배 수준으로 Valuation 부담 제한적

34

Page 35: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1. 개별인정원료 인증 누적 현황 Exhibit 2. 국내 Top 5 개별인정원료 인증 업체 비교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① 국내 1위 건강기능식품 ODM/OEM 기업

- 동사는 205개社의 350여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개별인정원료 35건 보유로 국내 최다

- 이러한 경쟁력 기반 5년 이상 고객 비중은 약 50%

- '19년부터 '22년까지 총 22개의 개별인정획득 계획 중인 파이프라인을 보유

- '19년 수면의 질 개선, 체지방 감소, 간 기능 개선, 체지방 감소, 관절건강, 알코올성 간 보호, 체지방 감소 등 6개의

개별인정원료 획득에 따른 추가 매출 성장 기대

노바렉스(194700)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보유 ODM/OEM社

35

35

32

2220

15

0

5

10

15

20

25

30

35

40

노바렉스 A사 B사 C사 D사

(건)

3

13

1921 22

28

31

34 34 34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건)

Page 36: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3. CAPA 확장 계획 Exhibit 4.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② CAPA 확장을 통한 장기 성장동력 확보

- 고객사 수요 확대에 따라 약 802억원 규모 오성 공장 CAPA 증설 진행 중

- Major 제조사의 경우 CAPA Audit 후 수주를 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주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

- '19년 착공 및 '20년 4분기 본격 생산 전망되며 자동화율은 34%에서 80%까지 증가 예상

- 신공장 증설에 따라 생산능력은 최대 2배인 3,000억원 규모까지 확대 가능할 전망

노바렉스(194700)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보유 ODM/OEM社

36

Page 37: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5. 고객사 수 추이 Exhibit 6. 현재 진행 중인 개별인정원료 인체적용시험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③ 올해는 해외 진출 본격화 원년

- '18년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인력 확충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북미, 중국, 동남아 시장진출 목표

- 한국에서 개별인정원료 승인을 받은 원료의 해외 현지 승인을 받아 제품 공급 계획

- ‘19년 1월 美 FDA로부터 렉스플로본(갱년기) NDI 승인 획득

- Mannatech社로부터 수주 계약 체결하였으며 상반기 중 NOW社로부터 수주 기대

- 중국 지역은 대만, 홍콩 기반 업체와 제휴하여 우회적으로 진출할 계획

- 대만 TCI社와 4년6개월 동안 400~500억원 규모 독점 제조 및 위탁 생산 계약을 체결

- 동남아 지역은 싱가폴 소재 네트워크 업체인 Unicity와 수주 계약을 체결하여 싱가폴 및 동남아 向 제품 생산 계획

노바렉스(194700)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보유 ODM/OEM社

37

104 109117 114 119

159

190205

0

50

100

150

200

25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개)원료 시험기관

인체적용시험

개시

상용화 예상

시점

NR-17-01

수면의 질 개선이화여자대학병원 2016. 04 2019

NKH-31-12

체지방 감소삼육서울병원, 분당제생병원 2018. 06 2019

NKM-01-01

간 기능 개선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 2018. 01 2019

NR-31-03

체지방감소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 2018. 05 2019

NR-06-01

관절건강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보라매병원 2018. 10 2019

NR-18-02

알콜성 간 보호아주대학교 대학병원 2017. 02 2019

NR-31-05

체지방감소전북대학교 대학병원 2018. 10 2020

Page 38: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9. PER band Exhibit 10. PER band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7. 매출액 및 매출액증가율 추이 Exhibit 8.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증가율 추이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노바렉스(194700) – 국내 최다 개별인정원료 보유 ODM/OEM社

38

671

827 771 809

1,096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200

400

600

800

1,000

1,200

2014A 2015A 2016A 2017A 2018A

매출액(좌) 매출액증가율(우)

(억원)

59

112 103 99

138

-20%

0%

20%

40%

60%

80%

100%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2014A 2015A 2016A 2017A 2018A

영업이익(좌) 영업이익증가율(우)

(억원)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2013-12 2015-12 2017-12 2019-12

수정주가 16.0X 15.0X

14.0X 13.0X 12.0X

(원)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3-12 2015-12 2017-12 2019-12

수정주가 2.2X 2.1X

2.0X 1.9X 1.8X

(원)

Page 39: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N/R

목표주가 - 원

현재주가 15,050원

목표수익률 (%)

Key Data 2019년 03월 08일

산업분류 제조

시가총액 (억원) 1,359

발행주식수 (백만주) 9

외국인 지분율 (%) 0.0

52주 고가 (원) 17,000

52주 저가 (원) 11,100

60일 거래대금 (십억원) 7.2

주요주주(%)

김도언 외 8인 50.6

(단위: 억원, 배)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출액 - - 331 604 872

영업이익 - - 12 46 99

세전이익 - - 4 30 40

순이익 - - 3 21 22

지배순이익 - - 3 21 22

PER - - - - -

PBR - - - - -

EV/EBITDA - - 0.33 -0.01 -

뉴트리(270870) – 아름다움에 투자하세요

1. 기업개요

- 동사는 '01년 설립되어 천연물 유래 이너뮤티 건강기능식품 소재 및 완제품을 판매하는 기업

- 주요 제품은 '에버콜라겐(피부)', '판도라(다이어트)' 등 5개 자체 브랜드

- 제품별 매출비중은 에버콜라겐 34.7%, 뉴피니션 21.1%, 판도라 18.2%

- 채널별 매출비중은 홈쇼핑 52.2%, 텔레마케팅 27.5%, 온라인 8.4%, 오프라인 5.1%, B2B 소재 6.7%

2. 투자의견

- 자체개발 소재 기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동사의 유통채널 확대에 따른 실적 성장세 예상

- 이너뷰티 시장 성장과 함께 동사의 지속적인 성장 예상되는 상황

- 이에 따라 ‘19년 연간 매출액 약 4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19년 실적 모멘텀 지속될 것으로 전망

39

Page 40: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1. 주요 제품별 매출비중 Exhibit 2. 유통채널 별 매출비중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① 유통채널 확대에 따른 외형 성장

- '14년 홍쇼핑 채널을 통한 브랜드 런칭 이후 '16년 7월 텔레마케팅 채널, '17년 4월 온라인몰, '18년 6월 네트워크 마케팅 등

유통채널 확대 지속

- 매출비중의 34.7%를 차지하는 에버콜라겐은 홈쇼핑 채널의 경우 '18년까지 GS홈쇼핑에서 단독 방송되었던 반면, '19년 1월

현대홈쇼핑 입점하였으며 CJ오쇼핑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

- '19년 중국 진출을 통한 유통채널 다변화 전망

- '18년 GS홈쇼핑 중국 자회사인 '유고홈쇼핑'을 통해 에버콜라겐 제품을 론칭하였으며 '19년 '동방홈쇼핑' 등 채널 추가 계획

- 연내 알약형 에버콜라겐의 중국 보건식품 인증 획득시 추가적인 판매채널 확장 가능성 상승

뉴트리(270870) – 아름다움에 투자하세요

40

35%

21%

18%

12%

5%

9%

에버콜라겐 뉴피니션 판도라 코어푸드 천수애 기타

52%

28%

8%

5%

7%

홈쇼핑 텔레마케팅 온라인 오프라인 B2B 소재

Page 41: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3. 동사의 매출액 추이 Exhibit 4. 동사의 영업이익 추이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② 자체개발 소재 기반 경쟁력 보유

- 체지방 감소, 보습, 자외선 케어의 3중 기능 소재 등 식약처 개발인정형 품목 8개 보유

- 연 매출 100억원 이상의 대형 브랜드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외 다수(15개) 개발 파이프라인 보유하고 있어 향후 개발인정원료

획득에 따른 성장동력 확보 전망

- 프리미엄 브랜드인 천수애 및 뉴피니션 매출 확대에 따른 ASP 상승효과 기대

- 에버콜라겐 및 판도라의 ASP는 월 4만원인 반면,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 월 20~30만원 수준

뉴트리(270870) – 아름다움에 투자하세요

41

331

604

872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16A 2017A 2018A

(억원)

12

46

99

0

20

40

60

80

100

120

2016A 2017A 2018A

(억원)

Page 42: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N/R

목표주가 - 원

현재주가 17,000원

목표수익률 (%) -

Key Data 2019년 03월 08일

산업분류 제조

시가총액 (억원) 3,507

발행주식수 (백만주) 21

외국인 지분율 (%) 16.4

52주 고가 (원) 28,750

52주 저가 (원) 12,500

60일 거래대금 (십억원) 2.2

주요주주(%)

코스맥스비티아이 외 8인 38.8

(단위: 억원, 배)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출액 469 775 1,208 1,364 2,017

영업이익 35 108 188 115 180

세전이익 28 104 209 101 123

순이익 22 86 171 64 76

지배순이익 22 86 172 63 76

PER - 47.72 36.85 72.05 -

PBR - 6.39 7.78 5.32 -

EV/EBITDA - 29.93 35.30 44.33 -

뉴트리바이오텍(222040) – 의미 있는 고객사 확대 지속

1. 기업개요

- 동사는 '02년 설립되어 중국, 미국, 호주 등 해외 공장 설립을 통해 30여개 국가에 진출한 건강기능식품 ODM/OEM 업체

- '14년 코스맥스비티아이 계열사로 편입되어 '1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

- 지역별 매출비중은 국내 57.8%, 중국 27.7%, 호주 7.6%, 미국 6.9%

2. 투자의견

- 신규 고객사 확대 및 자회사 적자폭 축소에 따라 매년 실적 성장세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특히 美 Amazon 向 공급은 동사의 성장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는 판단

- '19년 실적 컨센서스 기준 Fwd PER 28배 수준으로 Peer 업체 대비 높은 수준

42

Page 43: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1. 미국법인 매출액 추이 Exhibit 2. 동사의 영업이익 추이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① 신규 고객사 확보로 성장동력 확보

- 미국 시장의 경우 현지 유통업체 시장 위주로 진출하여 ‘18년 매출액 173억원, 영업적자 -90억원 추정

- 미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네트워크 시장 비중이 15.8%에 불과

- 이에 '19년부터 미국 리테일 시장으로 본격적인 진출을 계획

- TJX 및 Amazon의 PB제품 ODM 공급 추진 중

- Amazon社 向 공급은 '19년 3월부터 개시 전망

- Amazon의 두 번째 PB제품인 콜라겐 관련 제품이며 상반기 중 2개 라인 추가 출시 예상

뉴트리바이오텍(222040) – 의미 있는 고객사 확대 지속

43

12

110

173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2016 2017 2018E

(억원)

37.6%

25.9%

15.8%

9.0%

7.0%4.7%

전문소매점 대형할인점 다단계 전문가 인터넷 우편/TV/라디오등

Page 44: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3. 지역별 매출비중 Exhibit 4. 중국 상해법인 매출액 추이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② 중국 向 공급 확대 지속

- 중국 법인 매출액은 '17년 370억원에서 '18년 699억원으로 성장 추정

- 이는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과 더불어 '18년 하반기 신규 고객사(왕이엄선) 확보에 기인

- '18년 상반기까지 중국 역시 네트워크 마케팅 업체 위주로 공급되었으나 '18년 하반기부터 온라인 및 브랜드 회사에 대한

공급이 확대되는 추세

- 중국인들의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선호도 증가에 따라 동사가 생산하는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제품 수요 증가

지속 전망

뉴트리바이오텍(222040) – 의미 있는 고객사 확대 지속

44

38%

34%

13%

9%

6%

중국 한국 호주 아시아 미국

66

370

699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16 2017 2018E

(억원)

Page 45: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5. 미국법인 적자지속 Exhibit 6. 호주법인 적자지속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③ 가동률 상승에 따른 자회사 적자폭 축소 기대

- 동사는 글로벌 수주 확대를 위해 미국 및 호주에 공장증설을 통해 진출

- '18년 미국 법인 실적은 매출액 173억원, 영업적자 -90억원 추정

- ‘18년 호주 법인 실적은 매출액 192억원, 영업적자 -56억원 추정

- 미국과 호주 공장의 CAPA는 각각 1,000억원, 800억원 규모이나 현재 가동률은 30% 미만

- 기존 고객사 물량 증가와 신규 고객사 확보에 따른 가동률 상승으로 호주 법인 '19년 하반기 분기 흑자전환 예상

- 미국 법인의 경우 ‘20년 흑자전환 기대

뉴트리바이오텍(222040) – 의미 있는 고객사 확대 지속

45

-19

-88 -90-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2016 2017 2018E

(억원)

-4

-21

-56-60

-50

-40

-30

-20

-10

0

2016 2017 2018E

(억원)

Page 46: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9. PER band Exhibit 10. PBR band

Source: B3 Report, 한국수출입은행,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7. 매출액및 매출액증가율 추이 Exhibit 8.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증가율 추이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Leading Research Center

뉴트리바이오텍(222040) – 의미 있는 고객사 확대 지속

46

35

108

188

115

180

-100.0%

-50.0%

0.0%

50.0%

100.0%

150.0%

200.0%

250.0%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2014A 2015A 2016A 2017A 2018A

영업이익(좌) 영업이익증가율(우)

(억원)

469

775

1,208 1,364

2,01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0

500

1,000

1,500

2,000

2,500

2014A 2015A 2016A 2017A 2018A

매출액(좌) 매출액증가율(우)

(억원)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2013-12 2015-12 2017-12 2019-12

수정주가 91.0X 76.0X

61.0X 46.0X 31.0X

(원)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2013-12 2015-12 2017-12 2019-12

수정주가 11.5X 9.5X

7.5X 5.5X 3.5X

(원)

Page 47: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N/R

목표주가 - 원

현재주가 33,350원

목표수익률 (%)

Key Data 2019년 03월 08일

산업분류 제조

시가총액 (억원) 3,135

발행주식수 (백만주) 9

외국인 지분율 (%) 19.3

52주 고가 (원) 52,100

52주 저가 (원) 24,800

60일 거래대금 (십억원) 2.6

주요주주(%)

정명준 외 2인 25.0

(단위: 억원, 배) 2014 2015 2016 2017 2018A

매출액 408 495 583 611 629

영업이익 129 188 216 226 221

세전이익 131 217 227 226 244

순이익 104 175 185 182 197

지배순이익 104 175 185 182 197

PER 47.08 30.66 24.72 20.66 -

PBR 9.35 7.81 5.43 4.17 -

EV/EBITDA 34.95 26.83 19.90 15.49 -

쎌바이오텍(049960) – 프로바이오틱스 1인자

1. 기업개요

- 동사는 '95년 설립되어 세포 공학 및 미생물 발효 기술을 바탕으로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식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

- 기존 <듀오락> 등 건강기능식품 판매와 더불어 대장암과 같은 질병의 치료제 목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개발 진행 중

- 매출비중은 완제품 89.0%, 원말 11.0%

2. 투자의견

-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경쟁심화에 따라 동사의 실적 성장세 둔화되며 '15년 최고점 대비 -60% 주가 하락을 경험

- 최근 5년 Valuation band 하단 부근의 현재 주가 수준에서 CBT-P8 전임상 성공 및 임상 1상 진입시 Valuation re-rating 가능성

상승 예상

47

Page 48: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1. 동사의 매출액 추이 Exhibit 2. 장내 미생물과 인체 간 상호 영향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한국의과학연구원, Leading Research Center

3. 투자 포인트

-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Cash cow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에 진출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장내 미생물을 연구해 유익균과 유해균이 생성되는 원리와 질병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분야

- 유산균 및 인체에서 항암에 효과가 있는 단백질 P8을 분리하여 표적 단백질 전달체로 김치유산균(P. pentosaceus)을 이용하는

대장암 치료제(CBT-P8) 개발 중

- 말기 암(3~4기) 환자 대상 치료제이며 임상 1상부터 기존 화학치료제와의 병용투여 임상을 동시에 진행할 예정

- '19년 상반기 전임상 완료 후 IND 신청 및 '19년 하반기 임상 1상 진입 목표

- '19년 하반기 전문의약품 생산시설의 KGMP 승인 기대

쎌바이오텍(049960) – 프로바이오틱스 1인자

48

전임상 종료 및 IND 신청

- 전문의약품 GMP 시설 확보

-영장류 등 동물시험 진행: mamoset

2019 2H 임상1상 진입

2020 2H 임상1상 완료 및 임상2상 진입 신청

마이크로바이옴 임상 계획

2019 1H

Page 49: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3. 동사의 주요 제품 ‘듀오락’ Exhibit 4. 글로벌 진출 현황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4. 리스크 요인

-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의 경쟁심화가 리스크요인

- 동사는 유산균 다량 발효를 국내 최초로 성공한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1위 기업

- 그러나 경쟁 심화 및 경기 둔화에 따른 성장성 둔화 지속

- GMP 승인을 위한 전문의약품 생산시설 증설로 인한 CAPEX 증가 및 고정비 증가 전망

- ’19년 하반기 임상 1상 진입에 따른 임상 관련 비용 증가 전망

- 이에 따른 ’19년 수익성 악화 우려

쎌바이오텍(049960) – 프로바이오틱스 1인자

49

Page 50: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Exhibit 7. PER band Exhibit 8. PBR band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Exhibit 5. 매출액 및 매출액증가율 추이 Exhibit 6.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증가율 추이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Source: Company Data, Leading Research Center

쎌바이오텍(049960) – 프로바이오틱스 1인자

50

408

495

583 611 629

0%

5%

10%

15%

20%

25%

30%

35%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2014A 2015A 2016A 2017A 2018A

매출액(좌) 매출액증가율(우)

(억원)

129

188

216 226 221

-20%

-10%

0%

10%

20%

30%

40%

50%

0

50

100

150

200

250

2014A 2015A 2016A 2017A 2018A

영업이익(좌) 영업이익증가율(우)

(억원)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2013-12 2015-12 2017-12 2019-12

수정주가 57.0X 46.0X

35.0X 24.0X 13.0X

(원)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3-12 2015-12 2017-12 2019-12

수정주가 11.2X 8.9X

6.6X 4.3X 2.0X

(원)

Page 51: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 Compliance Notice

본 자료를 작성한 금융투자분석사는 동 자료를 작성함에 있어서 기재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 당사는 보고서 작성일 현재 해당회사의 지분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보고서를 작성한 금융투자분석사는 작성일 현재 해당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보고서 작성일 기준 해당회사와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본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 3자에게 사전에 제공된 사실이 없습니다.

■ 당사는 지난 6개월간 해당회사의 유가증권의 발행업무를 수행한 사실이 없습니다.

■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작성된 내용은 당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것이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라며,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의 모든 저작권은 당사에 있으며, 무단복제, 변형 및 배포될 수 없습니다.

▶ 투자기간 및 투자등급

기업

BUY (매수) 향후 12개월간 현재 주가 대비 절대 수익률 15% 이상

HOLD (중립) 향후 12개월간 현재 주가 대비 절대 수익률 ± 15% 내외

SELL (매도) 향후 12개월간 현재 주가 대비 절대 수익률 -15% 이하

산업

OVERWEIGHT (비중확대) 향후 12개월간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5% 이상 상회 예상

NEUTRAL (중립) 향후 12개월간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 5% 예상

UNDERWEIGHT (비중축소) 향후 12개월간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5% 이상 하락 예상

▶ 투자기간 및 투자등급

BUY (매수) 100.0%

HOLD (보유/중립) 0.0%

SELL (매도) 0.0%

합계 100.0%

Page 52: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주가대비

최고(최저)주가대비

2019-03-11

N/R

-원

노바렉스(194700)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주가대비

최고(최저)주가대비

2019-03-11

N/R

-원

뉴트리(270870)

02,0004,0006,0008,000

10,00012,00014,00016,00018,000

'18-12

(원)

목표주가 수정주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18-11

(원)

목표주가 수정주가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주가대비

최고(최저)주가대비

2019-03-11

N/R

-원

뉴트리바이오텍(222040)

05,000

10,00015,00020,00025,00030,00035,00040,00045,000

'15-12 '16-06 '16-12 '17-06 '17-12 '18-06 '18-12

(원)

목표주가 수정주가

Page 53: Leading Long-Term Theme Research 4.file.mk.co.kr/imss/write/20190311140025__00.pdf · 2019-03-11 · 리딩투자증권리서치센터 정 태 원 02) 2009 7087 twchung@leading.co.kr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 추이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주가대비

최고(최저)주가대비

2019-03-11

N/R

-원

쎌바이오텍(049960)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15-09 '16-03 '16-09 '17-03 '17-09 '18-03 '18-09 '19-03

(원)

목표주가 수정주가